KR100765954B1 -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954B1
KR100765954B1 KR1020050120485A KR20050120485A KR100765954B1 KR 100765954 B1 KR100765954 B1 KR 100765954B1 KR 1020050120485 A KR1020050120485 A KR 1020050120485A KR 20050120485 A KR20050120485 A KR 20050120485A KR 100765954 B1 KR100765954 B1 KR 100765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ype shock
recovery type
diaphragm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0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5554A (ko
Inventor
허광용
Original Assignee
(주) 임팩트 블랙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임팩트 블랙홀 filed Critical (주) 임팩트 블랙홀
Publication of KR20060065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복원형 충격흡수 완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격판(11)과 격판(11) 사이에 설치되는 단위 링크 충격 흡수부재(2)는, 다수의 단위 링크부재(3)가 X자 형태로 결합되어 다수의 힌지부(13)를 형성하며, X자 형태로 결합된 단위 링크부재(3)는 일측으로 중첩되도록 힌지부(13)와 힌지부(13)를 연결봉(14)으로 연결하고, 중앙부의 중심축(15)과 동일선상에 위치한 양측 고정축(16)(16') 단부가 격판(11)에 결합되며 힌지부(13)를 연결한 각각의 연결봉(14)에는 수직선상으로 다수의 인장발생링크탄성부재(12)가 설치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에 의한 운동에너지가 인가될 때 힘의 방향을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동시에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운동에너지를 흡수하고 관성에 의한 충격을 경감시키도록 변위를 확보하는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를 도로의 분기점에 설치하여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충격을 흡수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충격흡수장치, 단위 링크 충격 흡수부재, 단위 링크부재, 힌지, 스프링

Description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Restorable impact enery absorber for car Crush}
도 1은 본 발명의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가 설치되는 레일 및 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원형 충격흡수완화 장치를 구성하는 단위복원형 충격흡수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의 탄성반발을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를 도시한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시스템의 내부형상을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의 확산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중앙분리대 전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시스템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성능시험 평가항목을 도시한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충돌평가데이터 그래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를 이용한 복원형 충격흡수시설의 시험성적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 2:단위 링크 충격흡수부재
3:단위링크부재 4:가이드패널
5:덮개부재 6:전면커버
7:완충부재 8:레일바퀴
9:가이드레일 10:지지대
11:격판 12:인장발생링크탄성부재
12':보조탄성부재 13:힌지부
14:연결보 15:중심축
16,16':고정축 17:스프링
18:가이드공 19:복귀 제어장치
20:스토퍼 21:걸림부재
22:횡봉 23:걸고리
25:보조철판
26:파이프 27:완충고무부재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반복사용이 가능한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충돌에 의한 운동에너지가 인가될 때 힘의 방향을 수직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동시에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운동에너지를 흡수하고 관성에 의한 충격을 경감시키도록 변위를 확보하는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를 도로의 분기점에 설치하여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충격을 흡수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인 개념의 충격흡수는 본체의 전체 또는 일부가 압력방향으로 찌그러짐으로써 힘을 흡수하고 그 변위만큼 충돌시간을 지연시키는 방법으로 보편화되어 있어 자동차 제작회사조차 차량의 새시가 일정한 압력이상을 받으면 찌그러지도록 설계했다.
통상 주위에서 발견할 수 있는 충격흡수완화장치는, 에어백, 물통, 모래통, 페타이어, 가스쇼바, 스프링, 점성이 강한 물질, 스치로풀 등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중 압력을 받고 외부 표피면(구(求)의 표면)으로 고루 압력을 분산시켜 주는 에어백이 가장 이상적인 충격흡수완화장치이나 작용과 반작용으로 인한 반발특성을 제거할 수 없고 비교적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협소한 공간에는 견고하게 고정설치 사용할 수 없으며 이는 모두 1회용 제품으로 파손시 모두 교체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스 쇼바는 실린더내의 가스 수축압력이 증가하는 동안 충격을 흡수하나 충격 방향은 그대로 유지되고, 상기 압착스프링의 경우는 스프링이 갖고 있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힘을 흡수하나 작용시 발생하는 강한 탄성 반작용으로 튕겨 나가는 문제를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핀 방식에 의한 전단식은 절개부에 가해지는 형틀과 전단력을 받는 재질 사이에서 재질의 두께이상의 거리에서 재료를 파단 시키므로 정확한 표현으로 말하자면 일종의 인장식에서 파생된 방법이나 지속적이고 적절한 변위를 확보하기 어려워 시설물의 길이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나머지 충격흡수완화장치는 동일한 시설물크기에서 충격에 의한 힘의 방향을 분산하거나 전환 흡수할 수 없어 반작용에 의한 반발력을 제공함으로 운동에너지를 제대로 흡수할 수 없다는 단점과, 완충재의 크기와 대비하여 충분한 변위를 확보할 수 없어 충격물체와 피 충격물체의 손상이 심하고, 부딪치는 물체가 차량인 경우 탑승자가 심하게 상해를 입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의 충격흡수완화장치을 이용하여 형성된 1회용 충격흡수완화장치들은 일부 변형된 부위 보수시 그 안전성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으며 그에 따른 신뢰성 또한 저하되는 문제점과 신속한 교체 설치 및 운용해야하는 경쟁적인 비용수반이 필연적이었다.
종래의 차량충돌 흡수장치로서는 실용신안등록 제0359993호의 차량의 충돌시 수축되어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 차량충돌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격판(2) 사이에 탄력적으로 장착된 다수의 스프링들(13)과; 가드레일(4)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스프링(120)과 보울트(121)(122) 및 파이프(123)를 포함하고; 차량의 충돌시 상기 스프링들(13)이 길이방향으로 수축되었을 경우 권취수단(20)이 수축된 만큼 늘어진 와이어(10)를 신속하게 감아 수축된 스프링들(13)이 다시 팽창되지 않도록 구성된 차량 충돌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가 제공되었으나 이는 와이어를 권취수단으로 신속하게 감아 수축된 스프링이 팽창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차량충돌시 권취장치도 함께 파손 및 고장이 발생되므로 수축된 스프링이 탄발되어 운전자에게 2차 충격을 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판형상의 코일스프링을 사용함으로 제작상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0367001호의 차량의 충돌시 수축되어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 차량충돌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폐타이어들(101)을 고정바(102)와 보울트(103) 및 너트(104)를 이용하여 상호 적층방식으로 접착시켜서 된 완충용 폐타이어 부재(110)와; 상기 폐타이어 부재(110)의 양단부를 지지하되 어느 일측에는 다수의 볼트구멍(120a)이 형성되어 상기 폐타이어 부재(110)의 압축 및 팽창시 공기가 드나들게 되도록 한 판부재들(120,121)과; 상기 폐타이어 부재 (110)를 구성하는 상기 폐타이어(101) 사이에 장착되며, 다수의 볼트구멍(420)이 형성되어 다수의 볼트(430)가 상기 폐타이어 부재(101)의 압축 및 팽창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한 다수의 판부재(400)와; 상기 판부재들(120,121)이 고정되며 차량의 충돌시 폐타이어 부재(110)의 압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다수의 격판들(130)과; 차량의 충돌시 압축된 폐타이어 부재(110)의 팽창을 저지하는 팽창저지수단(1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 차량충돌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가 제공되었으나, 이는 폐타이어를 중첩시키고 전후면에 격판을 설치한 구성으로 차량충돌시 폐타이어의 탄성력에 의하여 충격이 완화됨으로써 스프링에 비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성능이 떨어져 차량 충돌시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이 매우 큰 반력이 발생되어 운전자에게 2차 충격을 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0357788호의 차량충돌 방지장치를 길이방향으로 텐션을 유지하기 위한 와이어(10)와; 차량의 충돌시 상기 차량충돌 방지장치가 길이방향으로 수축되었을 경우 수축된 만큼 늘어진 와이어(10)를 신속하게 감아 수축된 상기 차량충돌 방지장치가 다시 팽창되지 않도록 한 권취수단(20)으로 구성되는바, 권취수단(20)은 상기 와이어(10)를 탄력적으로 감거나 풀 수 있도록 한 하우징(211)내에 장착된 태엽스프링(210)과; 상기 와이어(10)의 끝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태엽스프링(210)과 연동 회전되어 차량의 충돌시 상기 늘어진 와이어(10)를 권취하도록 한 방차(220)와; 상기 방차(220)를 고정하는 2개의 측판(230)과; 상기 방차(220)와 동축상으로 장착되되 치차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고정체(240)에 장착되는 한 쌍의 라체트(251,252)와; 상기 방차(220)를 정역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방차(220)의 축에 고정되어 작동 가능한 윈치(260)와; 상기 라체트(251,252)에 선택적으로 계합되어 상기 방차(220)의 회전을 저지 또는 허용하기 위한 스토퍼(271,272)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 역시 일측에 권취수단을 구비하여 차량충돌시 권취수단내의 태엽스프링이 늘어진 와이어를 팽팽하게 당기도록하고 있으나 차량충돌시 작은 충돌은 충격완화장치가 파손되지 않게 되므로 취하고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나 차량충돌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가 일부파손되면서 부재가 와이어와 엉키면 권취장치가 작동되지 않게 되므로 수축된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가 반력에 의하여 다시 팽창되면서 운전자에게 2차 충격을 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인 고속에서의 탄성반발로 인해 압궤시에 의한 소성변형개념으로만 인식되어 1회용으로만 사용되어 왔던 것을, 작용과 반작용에 의한 반발력을 구조 역학상으로 내력에 따라 1차 반발력을 제어하며, 물리량을 가하는 충격체의 무게중심에 따라 불안정한 구조를 역학 시스템상 충격시의 무게중심의 범위확대하고, 힘의 방향 전환 및 완충재의 변위확보 등을 통해 탑승자의 상해치를 경감시키고, 충돌에너지 소멸이후 탄성반발을 제어하는 착탈이 손쉬운 별도의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경제적인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충격에 대한 흡수가 뛰어난 완충장치와 성능기준 안에서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과 차량 충돌시 수축된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가 팽창 복귀 제어장치에 의해 수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운전자에 게 2차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충돌시 수축되어 충격을 흡수하도록 된 차량 충격흡수완화장치에 있어서,
단위 링크부재(3)가 하나 이상으로 연속적으로 체결된 인장발생링크탄성부재(12)와,
단위 링크 충격 흡수부재(2)의 힌지부(13)를 구성할 수 있도록 관통연결된 연결봉(14)과;
삭제
단위 링크 충격 흡수부재(2)가 격판(11) 사이에 설치되어 하나 이상으로 연속적으로 체결된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와;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 양 측면에 위치되어 신축되도록 파이프(26)양단과 연결된 다수의 가이드 패널(4)과;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 상부에 설치되어 신축되도록 된 다수의 덮개부재(5)와;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 전면에 설치되어 충격을 1차 흡수할 수 있도록 된 전면커버(6) 및 완충부재(7)와;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가 이동될 수 있도록 된 저면에 설치된 레일바퀴(8) 및 상기 레일바퀴(8)가 전후면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레일(9)과;
수축 후 복귀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도록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 저부 일측에 설치된 복귀 제어장치(19)와
가이드레일 끝 부분에 설치되어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대(10)가 설치된 구성이다.
상기 격판(11)과 격판(11) 사이에 설치되는 단위 링크 충격 흡수부재(2)는, 다수의 단위 링크부재(3)가 X자 형태로 결합되어 다수의 힌지부(13)를 형성하며, X자 형태로 결합된 단위 링크부재(3)는 일측으로 중첩되도록 힌지부(13)와 힌지부(13)를 연결봉(14)으로 연결하고, 중앙부의 중심축(15)과 동일선상에 위치한 양측 고정축(16)(16') 단부가 격판(11)에 결합되며 힌지부(13)를 연결한 각각의 연결봉(14)에는 수직선상으로 다수의 인장발생링크탄성부재(12)가 설치된 구성이다.
상기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패널(4)은 상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가이드공(18)이 설치되고 외면 돌출부에 반사표시부 형성된다.
상기 격판 저면 양측에 설치되는 레일바퀴(8)는 유동 되도록 핀으로 결합되고 일측외면에 스토퍼(20)가 설치되어 가이드레일(9) 외면에 설치된 걸림 부재(21)와 대응되도록 하여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의 복귀 제어장치(19)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복귀 제어장치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9) 사이에 횡봉(22)을 설치하고 격판(11)저면 중앙에 걸고리(23)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레일바퀴 외면에 설치된 스토퍼(20)와 가이드레일(9) 외면에 설치된 걸림부재(21)중 어느 하나는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축에 의해 유동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가이드 패널(4)은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 양 측면에 신축되도록 다수설치하고 전면은 좁고 후면은 넓게 설치되어 충격시 후부로 벌어지면서 축소되어 충격 에너지를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단위 복원형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는 "X" 으로 교차되는 단위 링크부재(3)와 단위 링크부재(3)가 교차되는 교차점에 다수의 힌지부(13)가 구비된다.
상기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는 교차되는 단위 링크부재와 단위링크부재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구비되는 파이프(26) 안으로 힌지부 사이를 관통하는 연결봉(14)으로 격판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의 인장발생 링크 단위부재는 스프링(1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체는 굴곡 선재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는 파이프(26)에 통상의 인장스프링을 삽입한 후 파이프 양단에 가이드패널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는 격판 내에 수평으로 삽입되어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별도의 인장 스프링과 결착부와샤와 스크류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이웃하는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의 격판(11)과 가이드패널(4)을 연결한다.
상기 가이드 패널은 이웃하는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의 가이드패널(4)과 중첩되어 구비되되, 전면커버(6)측의 가이드패널(4)이 상측으로 중첩된다.
상기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의 격판(11) 측면에 연장된 보조 철판(29)이 구비되되, 전면측 부분이 짧고 지지대 부분이 길게 형성된 변을 갖는 사다리꼴 평면구조를 갖는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의 저부 일측부분인 가이드 레일(9), 격판 저부, 레일바퀴 등에 설치하여 탄성반발에 의한 팽창을 제어하는 팽창복귀 제어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는 하나의 도로에서 2개의 도로로 나누어지는 선단부 또는 하나의 도로에서 2개의 터널로 이루어지는 터널 선단부, 분기되는 램프입구 등에 설치하여 차량충돌시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주행중 실수로 충돌사고시 설치된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의 전면커버(6)와 충돌되면 전면커버 내측에 설치된 완충부재(7)가 1차로 충격을 흡수한 후 격판(11)이 밀리면서 격판(11)과 격판(11) 사이에 설치된 단위 링크 충격 흡수부재(2)가 수축되면서 뒤로 밀리게 된다.
이때 단위 링크 충격 흡수부재(2)는 충격시 중심축(15)을 중심으로 오므라들게 되는데 힌지부(13)와 힌지부(13)를 연결한 연결봉(14)사이에 수직으로 연결된 인장발생링크탄성부재(12)인 스프링(17)이 늘어나면서 수평으로 인입되는 충격에너지를 수직으로 분산시켜 충격을 완화하게 된다.
또한, 다수의 격판(11) 하단부 양측에 설치된 레일바퀴(8)는 가이드레일(9)을 따라서 뒤로 밀리게 되므로 정면으로 받은 충격에너지는 단위 링크 충격 흡수부재(2)에 설치된 스프링(17)에 의해 수직으로 분산시키는 동시에 뒤로 밀리게 됨으로써 충격 에너지는 뒤로 밀릴수록 분산 완화된다.
충돌 사고시 충격 에너지는 차량의 충돌 정도에 따라서 각각 상이하게 발생하므로 작은 충돌시에는 전면에 설치된 전면커버(6)와 완충부재(7)에 의해 1차 충격이 완화된다. 이때 더 큰 충격에너지가 발생되면 앞에 위치한 단위 링크 충격 흡수부재(2)부터 뒷쪽으로 차례로 수축되면서 스프링(17)은 늘어나고 격판(11)과 단위 링크 충격 흡수부재(2)는 밀리면서 수축되어 중첩되는 동시에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패널(4)과 상부의 덮개부재(5)는 순차적으로 뒤로 밀리면서 중첩된다. 이때 가이드패널과 덮개부재는 앞에 위치한 것이 상부로 올라가면서 중첩된다.
또한, 차량의 충격에 의해 뒤로 밀린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는 충격에너지가 완전히 소멸된 후에는 늘어났던 스프링(17)이 탄발력에 의해 수축되면서(중심축으로 잡아당기는 현상) 복귀되므로 다시 본래의 위치로 복귀 될려는 에너지가 발생되므로 하부에 설치된 복귀 제어장치(19)에 의해 복귀되는 것이 제어된다. 복귀 제어장치(19)는 레일바퀴(8)의 외면에 설치된 스토퍼(20)가 격판(11)을 따라서 앞으로 밀려나오면서 가이드 레일(9) 외면에 설치된 걸림부재(21)에 걸리게 되므로 단위 링크 충격 흡수부재(2)와 격판(11)은 더 이상 앞으로 전진하지 못하고 수 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 충돌된 차량을 다시 가격하여 운전자에게 2차 충격을 주는 것을 복귀 제어장치(19)가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복귀 제어장치(19)는 레일바퀴(8) 외면에 설치된 스토퍼(20)는 고정설치되고 가이드레일 외면에 설치된 걸림부재(21)는 축으로 끼워 고정함으로서 소정의 각으로 유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로서는 레일바퀴(8) 외면에 설치된 스토퍼(20)를 축으로 끼워 고정시켜 소정의 각으로 유동 될 수 있도록 하고, 가이드 레일 외면에 설치되는 걸림부재(21)를 고정설치할 수 있다.[도6b (b)(c)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복귀제어장치는 격판(11) 저단 중앙부에 유동되는 걸 고리(23)를 설치하고, 복수의 가이드레일 사이에 횡봉(22)을 설치하여 뒤로 밀렸던 격판(11)이 앞으로 밀리면서 걸고리(23)가 횡봉(22)에 걸리도록 하므로서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가 수축되었다 복귀되는 것일 막을 수 있게 된다.[도6b (a)참조]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충격 흡수장치는 차량의 충돌 상태에 따라서 차이가 발생 될 수 있으나, 충돌시 파손되지 않고 되로 밀리면서 수축되도록 설치하여 사고 후 부분적인 보수만 하면 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새로 설치함으로서 발생되는 경제적인 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본 원리는, 단위 링크 충격 흡수부재(2)를 구성하는 두개의 단위 링크부재(바아)(3)가 "X" 형태로 교차하도록 반복 형성하여 단위 링크충격흡수 부재(2)를 형성하고 다수의 단위 링크충격흡수부 재( )는 이웃되도록 연결봉(14)으로 관통시켜 소정의 간격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물론 X형태로 교차결합되는 부분은 힌지부(13)로 이루어지고, 단위 링크부재(3)를 연결하도록 수평으로 관통되는 상하 연결봉(14)에는 다수의 스프링(17)으로 된 인장발생링크탄성부재(12)가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직선(수평) 방향의 힘을 수직 방향으로 전환시키고, 수직 방향에서 잡아당기는 힘으로 스프링이 탄성 인장되며(반력에 의한 내각의 변화와 현의 길이: 내각90도 기준 41.4%인장), 충돌하는 물체의 소성변형을 최소화하고 충돌직후 관성에 의한 탑승자의 상해치 정도를 크게 경감시킬 수 있는 변위(displacement)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인장발생링크탄성부재(12)는 스프링이 아닌 모든 탄성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고무부재로된 바아, 탄성을 갖는 선재, 탄성을 갖는 직물밸트 등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인장발생링크탄성부재(12)로 사용되는 부재는 적합한 탄성력과 인장력을 갖는 것으로 사용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물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탄성반발을 억제할 수 있는 수단을 갖고 있는 복원형 충격흡수완화 장치에 있어서는 일반스프링을 단순하게 횡방향 종방향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이때 사용되어지는 스프링의 형태는 감속특성을 완만하게 얻을 수 있는 변위확보를 위해 권선구경이 순차적으로 다르게 제작되어지는 항아리형이나 중앙부가 좁아졌다 넓어지는 형태의 나선형 탄성체를 사용 적용할 수도 있다. 물론 이때 사용되어지는 탄성체는 필요에 따라 수량 및 강도등 적절한 형태로 제작 사용되어 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복원형 충격흡수완화 장치는 국가가 제시한 성능시험기준에 만 족하기 위해서는 충돌에너지를 탄성체가 축적 후 이를 고속으로 에너지를 방출시키면서 복원될 때 발생하는 탄성반발에 의한 2차 사고 및 탑승자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차량구조물에 의해 내부에서 크게 다치게 되어 있어 순간 탄성반발을 억제할 수 있는 복귀 제어수단을 함께 갖고 있어야만 가능하다.
또한, 본 발 명에서 제시하는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는 용도에 따라 다른 형태로 변형 적용되어 사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된 본 발명은 복원형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가 용이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9)을 형성하고, 가이드 레일(9) 끝 부분에는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의 밀림을 방지는 지지대(10)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레일(9)에는 양측에 격판(11)이 결합되는 단위 링크충격흡수부재(2)가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전면에는 충돌하는 물체의 접촉면에 라운딩 된 전면커버(6)와 완충부재(7)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전면커버(6)에 충돌시 자체 흡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단위 링크부재는 X자 형태로 결합되는 하나의 구성품을 지칭하는 것이며, 단위 링크 충격 흡수부재는 각각의 단위 링크부재를 X자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결합하고 중첩되도록 연결봉으로 연결하여 힌지부가 형성되며 양측에는 격판이 대응되도록 하여 탄발되도록 한 결합한 구성체를 지칭하는 것이며,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는 다수의 격판 사이에 단위 링크 충격 흡수부재가 연속적으로 결합된 전체적인 구성을 지칭하는 것이며, 전체적인 발명의 명칭은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 흡수 완화 장치로 지칭된다.
또한 격판의 재질은 금속패널부재로 형성하는 것이나 필요에 따라서 특수 합성수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복귀형 충격흡수완화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의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가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및 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흡수완화 장치에 있어서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를 구성하는 단위 링크 충격 흡수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의 탄성반발을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원형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단위 링크 충격흡수부재가 충돌시 수축 및 팽창 복귀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8은 복원형 충격흡수완화 장치에 있어서 단위 링크 충격흡수 부재가 격판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결합되고 가이드레일에 탑재된 상태를 예시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충격흡수완화 장치를 예시한 사시도로서 여러 가지 형태의 압착스프링을 복합적으로 적용한 것이고, 도 10 은 좌우로 확장된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11은 철재 중앙분리대 전면에 일체형으로 결합 된 복원형 충격흡수완화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이며, 도 12는 성능시험 평가항목을 도시한 예시도 이고, 도 13은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시스템의 데이터 그래프이며, 도 14는 샘플을 제작하여 건설교통부 성능평가시험을 통과한 시험성적서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도 1은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의 동작 특성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도로에 포장된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를 정리한 후 복수의 가이드레일(9)을 설치하고 그 후면 끝단에 지지대(10)를 설치한다.
상기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는 가이드레일(9) 끝 부분에 설치되는 지지대(10)와 도로노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9)과 가이드레일 상부에 설치되는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 충격완화 장치 상부에 위치하는 덮개부재(5),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패널(4),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커버(6)로 구성된다.
이때,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는 가이드레일(9) 상측에 탑재된 형태로 구성되고,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커버(6)와 완충부재(7)는 차량과 충돌시 충격을 분산시키기 위해 전면부가 볼록한 형태로 형성하여 충격을 1차 분산 흡수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는 수평방향의 충격력을 수직방향으로 분산시켜 충돌하는 물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한다. 상기 충돌하는 물질은 자동차, 떨어지는 엘리베이터, 비상착륙하는 비행기, 항만 접안시의 배, 중량물등과 같이 속도를 갖는 물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전면커버(6)는 임의의 물체가 충돌하는 경우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를 구성하는 주요재질의 소성변형 없이 압궤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완충부재(7)로 가장 먼저 부딪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가이드 패널(4)은, 각각의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의 측면에 형성하되, 상기 내부 격판(11) 측면에 결합된 가이드패널(4)은 상기 전면커버(6) 측에 차량이 충돌할 때 끝 부분에 설치된 지지대(10) 측으로 중첩되면서 겹쳐져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의 동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복원형 충격흡수완화 장치의 분해 사시도 로서, 단위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의 연결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복원형 충격흡수완화 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기초부인 가이드레일(9)과 끝단에 설치되는 지지대(10)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바닥에 복수의 가이드 레일(9)을 설치하되 가이드 레일(9)은 "I"형으로 이루어져 바닥부에 앵커 등으로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9)은 양측 외면 일측에 한개 이상의 걸림부재(21)가 설치된다. 상기 걸림부재(21)는 가이드레일(9)의 후부에 설치되어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에 차량이 충돌되면서 수축되었다 복귀되는 시작점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격판 저부 양측에 설치된 스토퍼(20)가 걸리도록 함으로서, 수축되었던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가 복귀되면서 운전자에게 2차 충격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 레일(9)은 필요에 따라서 받침대를 형성한 후 그 상부에 복수의 가이드레일을 설치할 수 있다.
도 4는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를 구성하는 단위 링크 충격 흡수부재 (2)를 분해한 것으로서, 격판(11)은 양측에 체결볼트가 결합 될 수 있도록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되고 양측면 상하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완충 고무부재(27)를 설치하여 격판(11) 측면과 가이드패널(4) 사이에 위치하여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완충 고무부재(27)의 결합은 체결볼트로 결합된다.
또한, 격판(11)의 하단부에는 레일바퀴(8)를 형성하되 레일바퀴와 격판을 연결시 좌,우에 고무링을 개재한 후 고정핀으로 관통하여 백와샤로 체결함으로서 레일바퀴는 유동 되도록 연결된다.
도 5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레일바퀴와의 연결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충돌시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가 뒤로 가이드레일(9)을 따라 밀릴 때 레일바퀴(8)의 연결부가 유동 되어 충격을 레일바퀴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힌지부(13)를 구성하면서 다수의 단위 링크 충격 흡수부재(2)를 관통한 상하 연결봉(14)에 다수의 스프링(17)이 연결되고 다수의 단위 링크 충격 흡수부재(2)를 연결하면서 관통한 연결봉(14)은 중앙부의 중심축(15)의 선상에 위치한 양측 고정축(16)(16') 연결봉(14)의 양 단부가 격판(11)에 체결되고 나머지 힌지부(13)를 구성하는 연결봉(14)들은 양단부가 공중에 떠있는 형상으로서 차량충돌시 격판이 밀리면서 동시에 중심축(15)을 중심으로 X자 형상으로 결합된 단위 링크부재(3)가 오므라들면서 수직으로 설치된 스프링(17)은 상하부 수직상으로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충돌시 정면에서 수평으로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를 스프링이 늘어나면서 상하로 분산시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상기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를 구성하는 단위 링크 충격 흡수부재(2)의 양측에 결합되는 격판(11) 중앙부 상하단부 평행으로 구성된 연결봉(14)에 스프링(17)이 구비되고, 격판(11) 양측에 삼각 굴곡형상의 완충고무부재(27)에 대응되도록 가이드패널(4)을 좌, 우로 강하게 인장력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격판(11)과 격판(11)이에 횡으로 파이프(26)를 설치하고 파이프 양단에 스쿠류볼트가 압착와샤부에 의하여 가이드패널(4)이 구비되어 외부 충격시 충격흡수와 가이드패널(4)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패널(4)은 길이 방향으로 상부에 가이드공(18)이 형성되어 충격시 파이프를 체결한 스쿠류볼트(28)와 압착와샤부(29)가 가이드공(18)을 따라서 뒷쪽으로 밀리게된다.
도 5는 도 1의 I축을 단면으로 절개한 것으로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가 격판(11)에 결합된 단면과 좌, 우측면에 인장력으로 부착되는 가이드패널(4)이 압착와샤부(29)를 관통하여 스쿠류볼트(28 )가 격판의 파이프(26) 양단에 결합되고 가이드 레일(9)과 레일받침대(9')에 구멍이 구비되어 바닥면에 앵커로 고정되어 있고 레일바퀴(8)가 격판(11) 하부에 백와샤와 고무링 및 고정핀으로 구성되며 또한 격판 하부 중앙에 고리형태의 걸고리(23)를 걸어주는 횡봉(22)이 복수의 가이드레일 사이에 설치된 것을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와 도6b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복원형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가 순차적으로 후면으로 밀리면서(도6a 참조) 충돌에너지가 소멸되면 원상회복하려 는 탄성체를 순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복귀 제어장치(19)로 고리형[도6b (a)참조], 복귀 제어장치(19)로 스토퍼와 걸림부재(도6b (b),(c)참조] 중 하나로 구성되어 충돌에의 밀리는 순방향에서는 기능이 해제된 상태이고 탄성반발에 의해 역추진이 시작될 때 복귀 제어장치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도6b의 (c)타입은 전면부와 후면부의 크기가 다른 형상(유선형)으로 가이드 레일(9)에 설치된 걸림부재(21)의 상부면을 타고 레일바퀴(8) 외면에 설치된 스토퍼(20)가 후면부로 이동시에는 자연스럽게 넘어가고 밑면에 있는 스프링(도시없음)에 의해 걸림부재(21)의 후면 우측부가 정상상태로 돌아올 때 복원형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에 구비된 레일바퀴(8)의 스토퍼에 걸려 제동기능을 부여하여 순간적인 급팽창을 저지하는 수단을 갖는 제어장치를 제공[도6b (a),(b),(c)의 부분확대상세도시]하고 있다.
도6b의 복귀 제어장치(19)에 있어서 (b)와 (c)는 고정된 부분과 유동되는 부분이 서로 반대의 경우를 예 시한 것이다.
따라서 복원형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는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개념으로 복귀 제어장치는 필수요소 중의 하나이다.
이들 모두 복귀되기 위한 역추진 에너지를 방지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제시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를 도시한 상세도로서, 단위 링크부재(3)의 양 단면부에서 크로싱될 때 상하축으로 준비된 보조탄성부재(12')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실시 예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크로싱링크형의 "X"의 부재 끝마디부에 상하로 미는 피스톤 왕복운동하는 형상에서 양단부에 연장된 힌지부(관절부)에 의해 보조 탄성스프링(12')을 압착 또는 인장하면서 힘을 소비하는 형태를 취할 수도 있고 이때 사용하는 탄성부재인 스프링은 일반스프링이나 항아리형 스프링, 나선형스프링에 의해 변형 구현할 수도 있다.
또는 힘을 완충하는 일반적인 보조 탄성스프링(12')으로도 적절한 탄성반발을 제어하는 별도의 잠금장치와 함께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충격흡수완화장치는 직.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복원형 충격흡수완화 장치의 내부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9는 복원형 충격흡수완화 장치에서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가 각기 다른 형상의 탄성체를 적용한 도시한 사시도로서, 크로싱링크부재로 구성된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를 대체하여 압착스프링(30) 계통 중 변위가 우수한 항아리형 스프링, 나선형스프링 등에 의해 변형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압축스프링은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 탄성부재를 대체할 수 있는 일반스프링이나 항아리형 스프링, 나선형스프링에 의해 변형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0은 후면으로 갈수록 뒤가 넓어지는 확산 복원형 충격흡수완화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의 충격흡수완화 장치의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에 보조 철판(25)이 형성되되, 상기 전면커버(6)에서 지지대(10)로 갈수록 보조 철판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보조 철판(25)은 상기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의 전면커버(6) 측에서 지지대(10)측으로 갈수록 그 보조 철판(25)의 길이를 벌어지는 간격의 길이 만큼 길게 형성하여 격판(11)과 가이드패널(4)을 연결한 것이다. 따라서 도10의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는 전면커버(6)부분은 가이드패널(4)이 밀착대응되고 후면으로 갈수록 점점 벌어지 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차량 충돌시 전면 커버와 격판(11) 단위 링크부재(3)가 뒤로 밀리면서 수축되어 정면에서 수평으로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를 상하로 분산하는 동시에 양측면으로 분산시켜 충격 에너지를 흡수 및 완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확산의 정도에 따라 그 길이를 다르게 할 수도 있고 좌, 우측 비대칭형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로의 철재 중앙분리대에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를 설치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로안전시설설치 및 관리기준에 의한 충돌평가시험 항목의 종류를 아타낸 것으로서, 정면충돌, 모서리충돌, 사각된 진행방향서 정면충돌, 측면 충돌 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성능시험연구소의 충돌 데이터로 CC1등급 (60Km) 의 정면과 측면 15도 기준 값 이내의 데이터 값이다.
각기 정면의 경우 기준 값은 PHD는 20g이하 (8.9g) THIV 44Km/h (32.9Km/h). 측면 15도의 경우 기준값은 PHD 는 20g이하(4.9g THIV 33KM/h (16.2 Km/h). [( ) 안의 값은 평가획득수치]
도 14는 CC1등급 (60Km)의 성능시험에 합격한 시험성적이다.
여기서, 상기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900)는 6개의 단위 복원형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로 구성된 것으로, 설계속도에 따라 그 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충격흡수완화장치의 크기를 설계기준에 따라 그 폭과 높이를 다르게 할 수도 있고 특수한 경우 탄성부재의 강약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순간 탄성반발을 억제할 수단은 상기 제시한 방법외에 와이어로프를 이용 잡아당겨 고정시키는 수단외 다양한 방법으로도 가능하다.
물론 인명의 상해와 경감과 관계없는 수단으로서의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가 사용 적용되어질 때는 탄성반발의 문제를 해결할 별도의 억제수단을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좁은 공간에서도 이용할 수가 있으며, 예를 들어 자동차충격흡수범퍼용, 선박의 선체주위의 범퍼용, 공항의 동체착륙용 비상활주로 및 방호벽, 승강기 하부·피트의 충격흡수용, 완충 교좌장치, 특수장비의 보호용 범퍼, 대형 특장 화물 차량 범퍼용, 열차의 전.후두부범퍼, 방호벽·가이드레일·도로분리대와 같은 도로교통안전시설용, 도로/선로 종단부 방호시설, 화재시 저층 건물에서 긴급하게 점프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낙하 보드용, 선박 접안 항만 시설용, 시설물 보호용 등 외부로부터의 이탈 방지와 충격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산업과 내진설계 등 전 분야에 걸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원형 충격흡수완화 장치는, 성능수행에 따른 등급별 충격순간 작용과 반작용에 의한 충돌에너지 흡수 및 탄성반발력을 구조 역학상으로 1차 반발력을 제어하며, 충격시의 충격흡수완화장치 무게중심점의 범위확대를 통해 충돌물체의 크기에 따른 안전성을 확대하고, 순간 충격시 충격에 의한 수평 힘의 방향을 수직(직교)방향으로 전환시켜 충격량을 다단계로 흡수 소멸하는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완화 장치를 형성함으로써 피 대상물 및 대상물의 변형 방지와 대상물에 존재하는 탑승자의 상해치를 크게 경감시키고 급격한 탄성반발 특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인적.물적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충격흡수완화장치의 원상태로의 복원을 통해 재사용함으로 도로상에서 지속적인 충격흡수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기능수행시간대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며 재설치 및 교체보수가 필요치 않아 경제적 비용 절감효과가 매우 크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부품들을 여러 단계에 걸쳐 분리가능하게 형성시킴으로써 기타 다른 형태의 기준을 초과한 물리량 충격에도 파손부위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고안은 이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변형 및 수정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발명은 도로의 충격흡수시설 뿐만 아니라, 지면에서 돌출되어 교통흐름에 방해되는 위험한 강성구조물 주변과 더 이상 이동체의 진행을 억제할 목적으로 방호시설이 필요한 곳에 적용될 수 있으며 충돌하는 물체의 중량 및 속도에 따라 적절한 탑승자안전수치를 달성하기 위해 단위복원형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 치의 단수를 1개이상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차량충돌시 수축되어 충격을 흡수하도록 된 차량 충격흡수완화장치에 있어서,
    단위 링크부재(3)가 하나 이상으로 연속적으로 체결된 인장발생링크탄성부재(12)와,
    단위 링크 충격 흡수부재(2)의 힌지부(13)를 구성할 수 있도록 관통연결된 연결봉(14) 과;
    연결봉 일측으로 교차되도록 설치된 파이프(26)에 관통되도록 체결된 인장스프링(24)과;
    단위 링크 충격 흡수부재(2)가 격판(11) 사이에 설치되어 하나 이상으로 연속적으로 체결된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와;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 양 측면에 위치되어 신축되도록 파이프(26) 양단과 연결된 다수의 가이드 패널(4)과;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1) 상부에 설치되어 신축되도록 된 다수의 덮개부재(5)와;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 전면에 설치되어 충격을 1차 흡수할 수 있도록 된 전면커버(6) 및 완충부재(7)와;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가 이동될 수 있도록 된 저면에 설치된 레일바퀴(8) 및 상기 레일바퀴(8)가 전후면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레일(9)과;
    수축 후 복귀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도록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 저부 일측에 설치된 복귀 제어장치(19)와
    가이드레일 끝 부분에 설치되어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대(10)가 설치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 흡수 완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격판과 격판 사이에 설치되는 단위 링크 충격 흡수부재는, 다수의 단위 링크부재(3)가 X자 형태로 결합되어 다수의 힌지부(13)를 형성하며, X자 형태로 결합된 단위 링크부재(3)는 일측으로 중첩되도록 힌지부와 힌지부를 연결봉(14)으로 연결하고, 중앙부의 중심축(15)과 동일선상에 위치한 양측 고정축(16)(16') 단부가 격판(11)에 결합되며 힌지부을 연결한 각각의 연결봉(14)에는 수직선상으로 다수의 인장발생링크탄성부재(12)가 설치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 흡수 완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패널은 상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가이드공(18)이 설치되고 외면 돌출부에 반사표시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흡수완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인장발생링크탄성부재는 연결봉과 연결봉 사이에 수직선상으로 스프링(17)이 설치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흡수완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가이드 패널은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 양 측면에 신축되도록 다수설치하되 가이드패널(4)과 격판 사이에 완충고무부재(27)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흡수완화 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는 격판 내에 수평으로 파이프(26)가 삽입되어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결착부와샤(29)와 스크류 고정볼트(28)를 이용하여 이웃하는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의 격판과 가이드패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흡수완화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가이드 패널은 이웃하는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의 가이드패널과 중첩되어 구비되되, 전면판 측 가이드패널이 상측으로 중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흡수완화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단위 복원형 충격흡수장치는 격판 측면에 연장된 보조 철판이 구비되며, 전면커버측 부분은 짧고 후면지지대 부분은 길게 형성된 가이드패널을 갖는 사다리꼴 평면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흡수완화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레일바퀴는 레일바퀴와 격판을 연결시 좌,우에 고무링을 개재한 후 고정핀으로 관통하여 백와샤로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복귀 제어장치는 레일바퀴 일측 외면에 스토퍼(20)가 설치되어 가이드레일(9) 외면에 설치된 걸림부재(21)와 대응되도록 하여 팽창에 따른 복귀가 제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인장발생링크탄성부재는 연결봉과 연결봉 사이에 수직으로 고무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복귀 제어장치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9) 사이에 횡봉(22)을 설치하고 격판(11)저면 중앙에 걸고리(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복귀제어장치는 레일바퀴 외면에 설치된 스토퍼(20)와 가이드레일(9) 외면에 설치된 걸림부재(21)중 어느 하나는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축에 의해 유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인장발생링크탄성부재는 굴곡 선재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
KR1020050120485A 2004-12-10 2005-12-09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 KR1007659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305 2004-12-10
KR20040104305 2004-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554A KR20060065554A (ko) 2006-06-14
KR100765954B1 true KR100765954B1 (ko) 2007-10-10

Family

ID=37160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0485A KR100765954B1 (ko) 2004-12-10 2005-12-09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95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630B1 (ko) 2009-01-29 2009-06-15 우신그린산업(주) 차량 충돌충격 흡수완화장치
KR100962094B1 (ko) 2008-05-28 2010-06-10 (주) 임팩트 블랙홀 차량충돌 복원형 마찰패드 충격흡수완화 장치
KR101063322B1 (ko) 2011-05-11 2011-09-07 이은섭 도로에 설치되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KR101203068B1 (ko) 2011-12-01 2012-11-21 주식회사 우전그린 차량충돌충격 흡수장치
KR101287856B1 (ko) * 2011-06-08 2013-07-19 정석원 도로의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1376170B1 (ko) * 2013-11-06 2014-03-19 김옥희 차량방호 안전시설용 충격흡수장치
EP2441889A4 (en) * 2009-06-09 2017-05-17 Impact Black Hole Co., Ltd Method for absorbing a vehicle impact using kinetic friction force and rolling force produced by the dragging of a surface of rolled tube, and vehicle impact absorbing apparatus using same
KR101736966B1 (ko) 2015-11-30 2017-05-30 주식회사 스마트에어챔버 접이식 대형 차량의 충격 흡수 시스템
KR102414868B1 (ko) 2021-02-23 2022-06-30 주식회사 티엘이 도로설치용 디지털 충격흡수장치 및 그 디지털 충격흡수장치의 2차 교통사고 방지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914B1 (ko) * 2006-08-01 2007-04-13 주식회사 우전그린 도로 안전 방호대의 슬라이딩 스토퍼장치
WO2008143393A1 (en) * 2007-05-21 2008-11-27 Kotrass Co., Ltd. Apparatus for absorbing impact of vehicle collision
KR100798346B1 (ko) 2006-09-04 2008-01-28 주식회사 코트라스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
KR100869344B1 (ko) * 2008-05-27 2008-11-19 광주광역시 남구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KR100889943B1 (ko) * 2009-01-02 2009-03-2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절삭에너지를 이용한 충격흡수시설
US8998298B2 (en) * 2009-03-30 2015-04-07 Oakwood Energy Management, Inc. Recoverable energy absorber
KR101041733B1 (ko) * 2009-07-06 2011-06-16 (주)필코이엔씨 소화액이 내장된 중앙분리대 완충장치
KR101313065B1 (ko) * 2012-02-15 2013-09-30 유한회사 거동건설 충격흡수장치
US9415708B2 (en) 2014-02-18 2016-08-16 Oakwood Energy Management, Inc. Conformable energy absorber
KR101974083B1 (ko) 2015-08-20 2019-05-0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좌굴을 이용한 차량 충돌 에너지 감쇄 장치
CN105178224B (zh) * 2015-10-09 2017-05-03 耿志斌 一种路桥防撞保护装置
SI3366841T1 (sl) 2016-06-20 2021-11-30 MAKAROV, Georgy Vladimirovich Blažilna naprava
RU199464U1 (ru) * 2020-05-20 2020-09-02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Точинвест"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фронтальное ограждение для автодорог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9181A (ja) * 1988-07-29 1990-02-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242757A (ja) * 1988-08-02 1990-02-13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JPH0330001A (ja) * 1989-06-28 1991-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憶装置
JPH1041896A (ja) * 1996-07-19 1998-02-13 Sony Corp 送受信装置および送受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9181A (ja) * 1988-07-29 1990-02-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242757A (ja) * 1988-08-02 1990-02-13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JPH0330001A (ja) * 1989-06-28 1991-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憶装置
JPH1041896A (ja) * 1996-07-19 1998-02-13 Sony Corp 送受信装置および送受信方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998-041896호
국내등록실용신안 제0239181호
국내등록실용신안 제0242757호
국내등록실용신안 제0330001호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094B1 (ko) 2008-05-28 2010-06-10 (주) 임팩트 블랙홀 차량충돌 복원형 마찰패드 충격흡수완화 장치
KR100902630B1 (ko) 2009-01-29 2009-06-15 우신그린산업(주) 차량 충돌충격 흡수완화장치
WO2010087586A2 (ko) * 2009-01-29 2010-08-05 우신그린산업(주) 차량 충돌충격 흡수완화장치
WO2010087586A3 (ko) * 2009-01-29 2010-10-07 우신그린산업(주) 차량 충돌충격 흡수완화장치
EP2441889A4 (en) * 2009-06-09 2017-05-17 Impact Black Hole Co., Ltd Method for absorbing a vehicle impact using kinetic friction force and rolling force produced by the dragging of a surface of rolled tube, and vehicle impact absorbing apparatus using same
KR101063322B1 (ko) 2011-05-11 2011-09-07 이은섭 도로에 설치되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KR101287856B1 (ko) * 2011-06-08 2013-07-19 정석원 도로의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1203068B1 (ko) 2011-12-01 2012-11-21 주식회사 우전그린 차량충돌충격 흡수장치
KR101376170B1 (ko) * 2013-11-06 2014-03-19 김옥희 차량방호 안전시설용 충격흡수장치
KR101736966B1 (ko) 2015-11-30 2017-05-30 주식회사 스마트에어챔버 접이식 대형 차량의 충격 흡수 시스템
KR102414868B1 (ko) 2021-02-23 2022-06-30 주식회사 티엘이 도로설치용 디지털 충격흡수장치 및 그 디지털 충격흡수장치의 2차 교통사고 방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554A (ko)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5954B1 (ko)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
US10006179B2 (en) Crash cushion
KR101150938B1 (ko) 충격흡수장치
KR101022533B1 (ko) 확산형 충격흡수장치
US7410320B2 (en) High-impact, energy-absorbing vehicle barrier system
JP3663507B2 (ja) 衝撃吸収装置
KR20060135927A (ko) 네트 및 매트
KR20120091929A (ko)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교각보호장치
KR100962094B1 (ko) 차량충돌 복원형 마찰패드 충격흡수완화 장치
KR101778299B1 (ko) 희생부재를 구비한 교량의 방호울타리 연결장치
KR100716195B1 (ko) 방호울타리
KR101267446B1 (ko) 가드레일 전방부의 차량 충돌시 충격흡수장치
KR101170330B1 (ko) 충격 흡수를 위한 완충 구조를 구비한 중앙분리대용 가드레일
KR200383560Y1 (ko) 안전 완충장치를 구비한 가드레일
KR100769270B1 (ko) 완충용 가드레일
KR20120090908A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100516808B1 (ko) 충격 흡수 완화 시스템
KR101190671B1 (ko) 방호 울타리
KR200390585Y1 (ko)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
KR102189073B1 (ko) 칸막이 지지대의 충돌 슬립에 대한 가변 저항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KR20060072726A (ko) 방호 울타리의 충격완화장치
KR102227635B1 (ko) 충돌 슬립에 대한 가이드패널의 가변 저항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RU207483U1 (ru) Мобильное демпф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351445B1 (ko) 충돌 완충 장치
KR100887193B1 (ko) 철재난간의 충격완화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