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311B1 - 데이터 패킷 접속 상의 헤더 압축에 대한 콘텍스트 식별자 전송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패킷 접속 상의 헤더 압축에 대한 콘텍스트 식별자 전송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311B1
KR100765311B1 KR1020037016984A KR20037016984A KR100765311B1 KR 100765311 B1 KR100765311 B1 KR 100765311B1 KR 1020037016984 A KR1020037016984 A KR 1020037016984A KR 20037016984 A KR20037016984 A KR 20037016984A KR 100765311 B1 KR100765311 B1 KR 100765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cket
header
protocol layer
convergence protocol
con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6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5759A (ko
Inventor
토우루넨아리
칼리오쿨주주하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015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4Protocols for data compression, e.g. ROH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1Implementation details of TCP/IP or UDP/IP stack architecture; Specification of modified or new header fie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6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transport layer [OSI layer 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콘텍스트 식별자가, 통신 시스템의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에서 전송될 데이터 패킷의 헤더 안에 포함되거나, 압축된 데이터 패킷의 일부로서 전송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패킷 접속 상의 헤더 압축에 관한 콘텍스트 식별자 전송 방법. 콘텍스트 식별자 전송 방법은,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들의 헤더 내 이용 가능한 공간과 압축 방식에 대해 정의된 콘텍스트 식별자들의 개수를 비교하고,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들의 헤더 내 사용 가능한 공간이 압축 방식에 대해 정의된 콘텍스트 식별자의 개수 보다 큰지 작은지에 따라, 콘텍스트 식별자를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들의 헤더에 부착시키거나 압축 데이터 패킷에 부착시킴으로써, 선택된다.

Description

데이터 패킷 접속 상의 헤더 압축에 대한 콘텍스트 식별자 전송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of compression context identifier of headers on data packet connection}
본 발명은 데이터 패킷 접속을 위한 헤더 압축 결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압축이 적용될 때의 데이터 패킷 접속을 위한 헤더 압축 결정에 관한 것이다.
지난 수 년 동안 인터넷 프로토콜(IP)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통상의 인터넷 데이터 전송 이상으로 서로 다른 IP 기반 어플리케이션들의 적절한 사용을 확대시켜왔다. 특히, IP 기반 전화 어플리케이션이 빠르게 발전하였으며, 그 결과 점점 더 많은 량의 통화 전송 경로가 전통적 교환 전화 네트웍(PSTN/ISD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과 이동 통신 네트웍(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모두에서 원론적으로 IP 기술을 활용해 구축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이동 통신 네트웍에 있어서, IP 기술은, 다양한 IP 스피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구현될 수 있는 전통적인 콜 서비스에 더하여, 이동 통신 네트웍들이 인터넷 검색, 이메일 서비스, 게임 등과 같이 보통 대부분이 패킷 교환 IP 기반 서비스들로서 바람직하게 구현되는 점점 더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들을 제공할 것이기 때문에, 여러 잇점들을 제공한다. 그에 다라 이동 통신 시스템의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IP 계층이 오디오/비디오 서비스 및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들 모두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통 통신 네트웍에 있어서, 제한된 자원을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그러나, 이것은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IP 프로토콜을 활용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드는데, 그 이유는 IP 기반 프로토콜에서는 전송될 데이터 내 여러 헤더들의 몫이 매우 크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페이로드(payload)의 몫은 작아지기 때문이다. 또, 열악한 조건에서 무선 인터페이스의 비트 에러율(BER) 및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왕복 시간(RTT)이 크게 늘고, 이것은 대부분의 종래 기술 상의 헤더 압축 방식들에 있어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IP 프로토콜 및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헤더 압축 방법을 개정할 필요성이 발생되었으며, 특히, 비트 에러율과 지연이 크게 증가하는 조건에서 활용될 수 있는 효율적인 헤더 압축 방법에 대한 수요가 발생되었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는 최근에 ROHC(Robust Header Compression)으로 알려진 헤더 압축 방법을 표준화하였다. ROHC 개발의 중요 개념 중 하나가, 데이터 패킷 안에서 뿐만 아니라 패킷들 사이에서, 데이터 패킷 전송에 사용되는 여러 IP 헤더들 사이에 수 많은 중복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즉, 헤더 내 대부분의 정보는 데이터 패킷 전송 중에는 전혀 바뀌지 않으며, 이 경우 헤더에 포함된 정보는 전혀 전송되지 않아도 수신단에서 쉽게 재구성될 수 있다. 다만 작은 수의 헤더들만이 압축시 주의를 요하는 정보를 포함한 다. ROHC는 여러 압축 레벨들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압축이 상위 레벨로 갈수록 압축 효율이 증가한다. ROHC는 항상 가장 효율적인 압축이 가능하도록 애쓰지만, 다음 레벨로 이동하기 전에 해당 레벨에서의 동작이 충분히 신뢰할 수 있는지 항상 확실히 한다.
ROHC에서, 동일한 무선 링크상에 전송된 여러개의 패킷 데이터 플로우들은 콘텍스트 식별자 CID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콘텍스트 식별자는 전송될 데이터 패킷에 부착되며, 수신기는 이 콘텍스트 식별자로부터 데이터 패킷이 속하는 데이터 패킷 플로우와 압축 콘텍스트를 판단할 수 있다. 3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특히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에 적용시, 콘텍스트 식별자 CID는 최소한 두 가지 방식으로, 전송될 데이터 패킷에 부착된다. 콘텍스트 식별자는 ROHC의 내부 절차 안에서 부착될 수 있고, 이때 ROHC 사양에 따르면 압축된 데이터 패킷은 콘텍스트 식별자 CID가 부착되는 고유의 CID 필드를 구비한다. 이와 다른 방식은, 그 콘텍스트 식별자를 이동 통신 시스템의 프로토콜 계층의 데이터 패킷 헤더, 바람직하게는 컨버전스(convergence) 프로토콜 계층의 데이터 패킷 헤더에 부착 또는 연관시키는 것으로, 그에 따라 압축 데이터 패킷은 ROHC 사양에 따른 콘텍스트 식별자 CID를 포함하지는 않으나, 콘텍스트 식별자 또는 그와 관련된 다른 식별자가 컨버전스 데이터 패킷, 특히 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부착되고, 그 안으로 상술한 ROHC 압축 프로토콜 패킷이 공급된다.
UMTS 사양(3GPP TS 25.323, 4.0.0 버전, 5.1.3 문단)은 ROHC 압축이 사용될 때, 상술한 방법들 중 하나가 선택되어야 한다는 것을 규정하지만, 그 사양이 선택 방식을 규정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술한 선택이 이뤄질 수 있도록 UMTS 시스템을 구현하는 방법을 고안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단점을 줄이는 방법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독립 청구 범위들에 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가지고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 범위들에 기술된다.
본 발명은 데이터 패킷의 헤더에서 사용가능한 공간, 즉 PID 값들의 개수를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과 같은 통신 시스템의 프로토콜 계층에서 주어진 시간에 ROHC에 대해 사용 가능한 콘텍스트 식별자 CID들의 개수와 비교하고, 사용할 수 있는 PID 값들의 개수가 ROHC에 대해 규정된 콘텍스트 식별자들의 개수와 같거나 그를 초과하면, CID 값들이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의 데이터 패킷들에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될 데이터의 헤더 비율을 최소화하고 CID 값들의 전송을 구현하는데 요구되는 시그날링을 감소시키게 할 수 있다. 콘텍스트 식별자 CID들의 개수가 사용가능한 PID 값들의 개수를 초과하면, 콘텍스트 식별자들은 항상 ROHC 데이터 패킷의 CID 필드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방법이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때, 동일한 비교 알고리즘이 이동국과 무선 네트웍 둘 다에 저장되어, 패킷 데이터 접속에 대해 두 당사자들 모두 콘텍스트 식별자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방법을 선택하기 위해 그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이동국과 무선 네트 웍은 그들 사이에 어떤 별도의 시그날링도 필요로 하지 않음이 바람직하지만, 두 당사자들 모두 사용할 그 방법을 자동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비교 알고리즘은 무선 네트웍에만 저장됨이 바람직하고, 상술한 비교는 그 무선 네트웍에서 수행된다. 무선 네트웍이 콘텍스트 식별자들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방법을 규정한 다음, 무선 네트웍은 이동국에, 바람직하게는 RRC 시그날링을 이용해 이러한 결정에 대해 알린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의 장점은 CID 값들을 전송하는 방법이 정의될 수 있고, 이동국 MS 및 무선 네트웍 UTRAN 모두 이 방법을 이용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장점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될 데이터의 총량 중 헤더 비율의 최적화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이점은 기존의 시그날링에 대해 매우 작은 변화로, 바람직하게는 변화 없이도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무선 자원들의 효율적인 활용을 가능하게 하여 시스템에 대한 변경의 필요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이용해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서로 다른 ROHC 압축 레벨들 사이의 천이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서로 다른 ROHC 동작 모드들 사이의 천이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UMTS 시스템의 단순화된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a 및 4b는 제어 시그날링 및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UMTS 패킷 데 이터 서비스의 프로토콜 스택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콘텍스트 식별자들의 전송을 결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교 알고리즘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헤더 압축 방법 ROHC의 구현에 대해 본질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그 압축 방법의 보다 상세한 설명에 관해서는, RFC3095 Robust Header Compression(ROHC, 강력한 헤더 압축)을 참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압축 방식들은 압축기와 압축해제기 모두에 대한 하나의 콘텍스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콘텍스트는 전송될 헤더를 압축하기 위해 압축기가 이용하는 상태 및 수신된 헤더를 압축 해제하기 위해 압축해제기가 이용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콘텍스트는 데이터 전송 접속을 통해 전송(압축기) 및 수신(비압축기)된 비압축 버전의 선행 헤더를 포함한다. 콘텍스트는 또한 데이터 패킷의 시퀀스 번호나 시간 증명(stamps)과 같이, 데이터 패킷 플로우를 식별하는 데이터 역시 구비할 수 있다. 보통 콘텍스트는 전 패킷 플로우에 대해 동일하게 유지되는 정적 정보와, 패킷 플로우 중에, 그러나 흔히 결정 가능 패턴에 따라 변화하는 동적 정보 모두를 포함한다.
ROHC는 세 가지 압축 레벨들을 이용하며, 압축은 가장 낮은 레벨에서 시작해 차례로 상위 레벨들로 이동한다. 기본 원리는 항상 압축은 가능한 한 높은 레벨에서 수행된다는 것이나, 압축기는 해당 레벨에서 압축 해제를 수행하기 충분한 정보를 포함하는 압축 해제기에 의지할 수 있어야 한다. 서로 다른 압축 레벨들 사이 의 천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는 연속적인 헤더들의 변동, 압축 해제기로부터 수신된 긍적적이고 부정적인 승인 및, 승인이 이용되지 않을 때 어떤 시퀀스 카운터의 만기가 포함된다. 필요하면, 해당 방식에 있어서 상위 압축 레벨에서 하위 레벨까지의 천이도 가능하다.
IP(Internet protocol, 인터넷 프로토콜), UDP(User Datagram Protocol,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및 RTP(Real-Time Protocol, 실시간 프로토콜) 프로토콜들과 관련해 ROHC에서 사용되는 압축 레벨은 개시/리프레쉬(IR, initiation/refresh) 상태, 제1상태(FO, First Order) 및 제2상태(SO, Second Order)이다. 그 레벨들 사이의 이동이 도 1의 다이어그램에 기술된다. IR 레벨은 압축해제기나 에러로부터의 복구를 위한 콘텍스트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압축기는 압축해제기가 요청하거나 업데이트 타이머가 만료되면, 헤더 압축을 시작할 때 IR 레벨로 이동한다. IR 레벨에서 압축기는 데이터 패킷을 비압축 형태로 전송한다. 압축기는 압축해제기가 업데이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했다는 것에 대한 확인을 수신하면 상위 레벨로 이동하려고 한다.
FO 레벨은 데이터 패킷 플로우 헤더들에서의 변칙에 대해 수신기에게 알리기 위해 사용된다. IR 레벨 이후에, 헤더들이 균일한 패턴을 형성하고 있지 않거나(즉, 변화가 예측될 수 없을 만큼 연속적 헤더들이 불규칙하게 변화할 때), 압축기가 압축해제기가 헤더들에 대해 균일 패턴을 규정한 패러미터들을 수신했는지 안했는지를 확신할 수 없을 때, 압축기는 FO 레벨에서 동작한다. 이러한 상황은 보통, 예를 들어 콜 전송이, 특히 휴식 뒤의 첫번째 스피치 버스트 도중에, 시작될 때, 일반적이다. FO 레벨에서 압축기는 압축된 FO 헤더들을 전송한다. 압축기는 헤더들이 균일한 패턴을 형성하고 압축해제기가 그 균일한 패턴에 대한 패러미터들을 수신했다는 확인을 수신할 때 상위 레벨로 다시 이동한다. FO-레벨 데이터 패킷은 보통 콘텍스트 업데이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이 경우 성공적 압축 해제 또한 연속적인 FO 헤더들의 성공적 전송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압축 해제 프로세스의 성공은 읽어 버리거나 손상되는 FO-레벨 패킷들에 대해 영향을 받기 쉽다.
SO 레벨에서 압축은 최적이 된다. 헤더들은 압축기가 실제로는 데이터 패킷의 시퀀스 번호의 일부인 압축된 SO 헤더들에 의해 기술하는 균일한 패턴을 형성한다. 압축해제기는 FO 레벨에서 이미 균일한 패턴을 규정한 패러미터들에 대해 정보를 얻는다. 이러한 패러미터들 및 수신된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압축해제기는 원래의 헤더들을 추정할 수 있다. SO 레벨에서 전송된 데이터 패킷들은 실제로 서로에 대해 독립적이기 때문에, 압축해제기의 에러 민감도가 낮다. 헤더들이 더 이상 균일한 패턴을 형성하지 않은 이후에, 압축기는 FO 레벨로 다시 이동한다.
압축해제기의 콘텍스트 규정에 따른 세 레벨들은 또한 압축해제기에 대해 결정되기도 한다. 암축해제기의 동작은 항상 아직 아무 콘텍스트도 정의되지 않은(콘텍스트 없는) 최저 레벨에서 시작한다. 그 경우 압축해제기는 하나의 데이터 패킷에 대해서도 그 압축을 해제하지 않고 있다. 압축해제기가 정적 정보 및 동적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첫번째 데이터 패킷을 압축해제한 다음에, 압축기는 중간 레벨(Static context)을 통해 최상위 레벨(Full Context)로 직접 이동할 수 있다. 최상위 레벨에서의 몇가지 에러들로 인해, 압축해제기는 중간 레벨로 이동하지만, 일반적으로 성공적으로 압축해제된 단 하나의 데이터 패킷도 압축해제기를 최상위 레벨로 다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서로 다른 압축 레벨들에 추가하여, ROHC에 대해 세 가지의 서로 다른 동작 모드들인, 단일방향 모드(U 모드), 양방향 최적 모드(O 모드) 및 양방향의 안정 모드(R 모드)들이 정의되고 있고, 이들은 도 2의 다이어그램에서 도시되고 있다. 도 2에 따르면, 상술한 각각의 압축 레벨들(IR, FO, SO)이 각 모드에서 동작하지만, 각 모드는 각 레벨에서 상이하게 동작하고 또한 독자적 방식으로 레벨들 사이의 이동을 결정한다. 주어진 압축 상황에 대해 어떤 동작 모드가 선택되는지는 리턴 채널을 이용할 가능성, 에러 가능성 및 에러 분포, 헤더 사이즈 변화의 효과 등과 같이,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 접속의 패러미터들에 좌우된다.
단방향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들은 압축기에서 압축해제기로만 전송되고, 따라서 ROHC의 U 모드는 리턴 채널이 사용될 수 없거나 부적당한 상황에서 실용적으로 된다. 양방향 최적 모드는, 에러를 보정하고 압축해제기에서 압축기로 중요한 콘텍스트 업데이트를 승인하기 위한 리턴 채널을 사용한다는 사실을 예외로 하면, 단방향 모드와 상응한다. O 모드는 작은 리턴 채널 트래픽으로 최적의 압축 효율을 필요로 하는 접속에 매우 적합하다. 양방향 안정 모드는 상술한 모드와 완전히 다르다. R 모드는 모든 콘텍스트 업데이트를 승인하기 위해 리턴 채널을 사용하고 그에 따라 시퀀스 번호 업데이트의 어떤 부분 역시 승인된다. 따라서 R 모드에서 데이터 패킷들은 압축기와 압축해제기 사이에서 거의 완벽하게 안정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ROHC의 세 가지 동작 모드와 세 가지 압축 레벨은 헤더 압축에 대한 서로 다른 동작 상황을 만든다. 각 상황에서 압축기 및 압축해제기의 동작은 그들 사이의 패킷 전송과 마찬가지로 정의될 필요가 있다. ROHC에서 상이한 패킷들이 상이한 동작 상황의 용도로 사용된다. 그 때, 6 개의 상이한 데이터 패킷 유형들이 ROHC에 대해 정의되며, 그들 중 넷은 압축기에서 압축해제기로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고, 둘은 압축해제기에서 압축기로의 리턴 채널 데이터 패킷들로서 사용된다. 사용된 데이터 패킷 종류의 수는 앞으로 바뀔 수 있을 것이지만, 모든 데이터 패킷 종류들의 특징은 주어진 시간에서 사용될 콘텍스트를 식별하는 콘텍스트 식별자 CID가 각 데이터 패킷이 전송 경로로 전송되기 전에 그 데이터 패킷에 부착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ROHC에서, 동일한 무선 링크상에 전송된 여러 데이터 패킷 플로우들은 콘텍스트 식별자 CID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그 콘텍스트 식별자는 전송될 한 데이터 패킷에 부착되며, 수신기는 이 콘텍스트 식별자로부터 그 데이터 패킷이 속한 패킷 데이터 플로우 및 압축 콘텍스트를 판단할 수 있다.
ROHC 사양에 따른 헤더 압축 방법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UMTS(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및 IMT-2000(국제 이동 통신 시스템)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제3세대 이동 통신이다. 이하에서, UMTS 시스템이 도 3을 들어 간략화된 방식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서술에 관련된 블록들만을 포함하고 있으나, 이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통상의 이동 통신 시스템이 여기서 상세하게 설명될 필요가 없는 다른 기능 및 구조 역시 구비한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의 주요 성분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고정 네트웍을 형성하는 코어 네트웍 CN과 UMTS 지상 무선 억세스 네트웍 및, 이동국 또는 사용자 기기(UE)이다. CN과 UTRAN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lu로 불려지고 UTRAN과 UE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Uu로 알려져 있다.
UTRAN은 보통 여러개의 무선 네트웍 서브 시스템들로 이뤄지며, 그들 사이에는 lur (미도시)라 불려지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 RNS는 무선 네트웍 제어기(RNC)들과, 노드 Bs로도 불려지는 한 개 이상의 기지국(BS)들로 이뤄진다. 일반적으로 기지국(BS)은 무선 경로 구축을 책임지며, 무선 네트웍 제어기(RNC)는 적어도 무선 자원 관리, 셀들 사이의 핸드오버 제어, 전력 제어, 타이밍 및 동기, 가입자 단말의 페이징(paging)을 책임진다.
코어 네트웍(CN)은 UTRAN 밖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속하는 인프라구조로 이뤄진다. 코어 네트웍에서, 이동 교환 센터/방문자 위치 레지스터(3G-MSC/VLR)는 홈 위치 레지스터(HLR)와 통신하며, 바람직하게는 인텔리전트 네트웍의 서비스 제어 포인트(SCP)와도 통신한다. 홈 위치 레지스터(HLR) 및 방분자 위치 레지스터(VLR)은 이동 가입자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홈 위치 레지스터(HLR)은 이동 통신 네트웍의 모든 가입자들에 관한 정보 및 그들에 의해 주문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LR)은 어떤 이동 교환 센터(MSC)의 영역을 방문한 이동국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무선 시스템의 서빙 GPRS 지원 노드(3G-SGSN)로의 접속은 Gs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게이트웨이 이동 교환 센터(GMSC, 게이트웨이 MSC, 미도시)를 거쳐 공공 교환 전화 네트웍(PSTN/ISDN)까 지 이뤄진다. 서빙 지원 노드(3G-SGSN)로부터 Gn 인터페이스를 경유해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GSN)까지, 그리고 추가적으로 GGSN으로부터 외부 데이터 네트웍(PDN)까지 접속이 설정된다. 이동 교환 센터(3G-MSC/VLR) 및 서빙 지원 노드(3G-SGSN) 모두 lu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네투억 UTRAN(UMTS 지상 무선 억세스 네트웍)과 통신한다. UMTS 시스템은, 코어 네트웍(CN)이 GSM 시스템의 코어 네트웍과 동일하고 가령 그런 경우에 전 네트웍 인프라 구조가 고쳐질 필요가 없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UMTS 시스템은 GSM 네트웍에 연결된 GPRS 시스템에 상당히 의존해 구축되는 패킷 무선 시스템을 또한 구비하며, 그러한 이유 때문에 네트웍 요소들의 명칭은 GPRS 시스템에 대한 인용사항을 포함한다. UMTS의 패킷 무선 시스템은 여러개의 서빙 지원 노드와 게이트웨이 지원 노드들을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여러 서빙 지원 노드들(3G-SGSN)은 하나의 게이트웨이 지원 노드(3G-GGSN)로 연결된다. 3G-SGSN 노드 및 3G-GGSN 노드 모두 이동국의 이동 기능을 지원하고 이동 통신 시스템을 제어하며 위치 및 사용되는 프로토콜에 관계없이 데이터 패킷들을 이동국들로 라우팅하는 라우터들과 같이 동작한다. 서빙 지원 노드(3G-SGSN)는 무선 네트웍 UTRAN을 통해 이동국(UE)과 통신한다. 서빙 지원 노드(3G-SGSN)의 동작은 자신의 영역 안에서 패킷 무선 접속을 할 수 있는 이동국들을 검출해 그 이동국들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 및 수신하며,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 이동국들의 위치를 모니터하는 것이다. 또, 서빙 지원 노드(3G-SGSN)는 시그날링 인터페이스 Gs'를 통해 이동 교환 센터(3G-MSC) 및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LR)와 통신하고, Gr 인터페이스를 통해 홈 위치 레지스터(HLR)와 통신한다. 홈 위치 레지스터(HLR)는 패킷 무선 서비스와 관련되고 가입자-고유의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의 콘텐츠를 구비하는 레코드들도 포함한다.
게이트웨이 지원 노드(3G-GGSN)는 UMTS 네트웍의 패킷 무선 시스템과 외부 데이터 네트웍 PDN(패킷 데이터 네트웍) 사이의 게이트웨이로서 동작한다. 외부 데이터 네트웍은 다른 네트웍 운영자, 인터넷, X.25 네트웍 또는 사설 LAN의 GPRS나 UMTS 네트웍을 포함한다. 게이트웨이 지원 노드(3G-GGSN)는 Gi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들 데이터 네트웍들과 통신한다. 게이트웨이 지원 노드(3G-GGSN)와 서빙 지원 노드(3G-SGSN) 사이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들은 항상 게이트웨이 터널링 프로토콜(GTP, gateway tennelling protocol)로 보호된다. 게이트웨이 지원 노드(3G-GGSN)는 또한 이동국들의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 어드레스와 라우팅 데이터, 즉 3G-SGSN 어드레스들을 포함한다. 그러면 라우팅 데이터는 외부 데이터 네트웍과 서빙 지원 노드(3G-SGSN) 사이의 데이터 패킷들을 링크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게이트웨이 지원 노드(3G-GGSN)과 서빙 지원 노드(3G-SGSN) 사이의 네트웍은 바람직하게는 IPv6(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인 IP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네트웍이다.
도 4a 및 4b는 UMTS 시스템의 패킷 무선 서비스에 있어서의 제어 시그날링(제어 영역)과 사용자 데이터 전송(사용자 영역)을 위한 UMTS 프로토콜 스택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이동국(MS)과 코어 네트웍(CN) 사이의 제어 시그날링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다. 이동국(MS)의 이동 관리(MM), 콜 제어(CC) 및 세션 관리(SM)가 이동국(MS) 및 코어 네트웍(CN) 사이의 최상위 프로토콜 계층들에 서 시그날링되어, 그들 사이의 기지국(BS)들과 무선 네트웍 제어기(RNC)가 그 시그날링을 통과시키도록 한다. 이동국(MS)들과 기지국(BS)들 사이의 무선 접속 상의 무선 자원 관리는 무선 네트웍 제어기(RNC)에서 기지국(BS)들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자원 관리(RRM) 시스템에 의해 제어된다.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일반적 관리와 관련된 이러한 동작 기능들이 비억세스 단계(Non-Access Stratum)로도 알려진 코어 네트웍 프로토콜(CN 프로토콜)로 불려지는 프로토콜들의 집합을 이룬다. 이와 대응하여, 이동국(MS), 기지국(BS), 및 무선 네트웍 제어기(RNC) 사이의 무선 자원 관리와 관련된 시그날링은 총칭하여 무선 네트웍 프로토콜(RAN 프로토콜), 즉 억세스 단계(Access Stratum)라 칭하는 프로토콜 계층들에서 수행된다. 최하위 레벨에서 이들은 추가 처리를 위해 상위 계층들로 전송되는 제어 시그날링을 전송하는 전송 프로토콜들을 포함한다. 가장 중요한 상위 억세스 단계 계층은 설정(establishment), 구성(configuration), 이동국(MS)과 무선 네트웍 UTRAN 사이의 무선 접속 및 코어 네트웍(CN)과 무선 네트웍(RAN)에서 이동국(MS)으로의 전송에 대한 유지 및 설정 해제를 책임지는 무선 자원 제어 RCC 프로토콜이다. 또, 무선 자원 제어 RCC 프로토콜은,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기반 수용 예비시 무선 자원 관리 RRM 프로토콜의 명령에 따라 단말 접속을 위한 충분한 수용 용량을 예비할 책임이 있다.
UMTS에서, 도 4b에 따른 프로토콜 스택은 패킷 교환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된다. 무선 네트웍 UTRAN과 이동국 MS 사이의 인터페이스 Uu에서, 물리 계층의 WCDMA 또는 TD-CDMA 프로토콜에 따라 저레벨 데이터 전송이 수행된다. 데이 터 패킷들은 물리 계층 위에 있는 MAC 계층(미디어 억세스 계층)에 의해 물리 계층과 RLC 계층(무선 링크 제어 계층) 사이에서 전송되며, RLC 계층은 서로 다른 단말 연결 무선 링크의 형식적 관리를 책임진다. RLC의 동작 기능들은 한 개 이상의 RLC 데이터 패킷들 RLC-PDU 안으로 전송될 사용자 데이터의 조각(RLC-SDU, 서비스 데이터 유닛)을 포함한다. 만일 요망된다면, RLC 최상부에 있는 PDCP 계층의 데이터 패킷들(PDCP-PDU)에 포함된 IP 헤더들이 압축될 수도 있다. 그 다음, 하나의 RLC-SDU에 대응하는 PDCP-PDU들이 RLC로 제공된다. 사용자 데이터 및 RLC-SDU들은 조각으로 나뉘어져서 제어 전송에 필요한 제어 정보와 어드레스들이 더해졌던 RLC 프레임 형태로 전송된다. RLC 계층은 또한 손상된 프레임들의 전송을 책임지기도 한다. 서빙 지원 노드 3G-SGSN는 이동국(MS)으로부터 무선 네트웍(RAN)을 통해 바른 게이트웨이 지원 노드 3G-GGSN까지 데에터 패킷들을 라우팅할 책임이 있다. 이러한 연결은 코어 네트웍을 통해 전송되는 모든 사용자 데이터 및 시그날링을 보호하고 나아가게 하는 터널링 프로토콜(GTP)를 이용한다.
UMTS 시스템에서,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PDCP에서 전송될 데이터 패킷에 대한 헤더 압축 및 수신될 데이터 패킷에 대한 압축해제가 수행된다. PDCP 계층의 작업은 채널 효율 향상과 관련되고 데이터 패킷 헤더들의 압축 알고리즘의 활용과 같은 상이한 최적화 방법에 일반적으로 기반하는 동작들을 포함한다. UMTS에 대해 설계된 네트웍 레벨 프로토콜은 요즘에는 IP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사용되는 압축 알고리즘 또한 IETF(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에 의해 표준화된 알고리즘이다. 그래서 ROHC 압축 방법은 UMTS 시스템에 특히 적합하게 된다. 단말의 PDCP 계층은 일반적으로, 가능한 한 많은 프로토콜 종류의 네트웍 계층에 접속 설정할 수 있는 여러 헤더 압축 방식들을 지원한다.
ROHC가 UMTS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에 적용될 때, 전송하는 PDCP 및 수신하는 PDCP 모두, 전송될 데이터 패킷들을 압축하고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을 압축해제하는 한 쌍의 압축기/압축해제기를 구비한다.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PDCP은 각 단말 접속에 대해 압축을 결정하는 서로 다른 패러미터들을 협의하기 위해 ROHC 압축 방법에 대해 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실제로, 그 메커니즘은 가령 PDCP 계층이 압축기와 압축해제기의 메시지들을 RRC로 전송하고 실질적인 협의가 RRC 시그날링으로서 일어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UMTS 사양에 따르면, 콘텍스트 식별자 CID는 적어도 두 가지 방식으로 전송될 데이터 패킷에 부착될 수 있다. 콘텍스트 식별자는 ROHC의 내부 절차 안에서 부착될 수 있고, 이때, ROHC 사양에 따르면 압축된 데이터 패킷은 콘텍스트 식별자 CID가 부착될 고유의 CID 필드를 포함한다. 다른 방식은 콘텍스트 식별자를 UMTS PDCP 계층의 데이터 패킷 PDCP-PDU에 부착 또는 연관시켜, 압축된 데이터 패킷이 ROHC 사양에 따른 콘텍스트 식별자 CID를 포함하지는 않지만 콘텍스트 식별자나 그와 관련된 식별자가 ROHC 압축된 데이터 패킷이 매핑되었던 PDCP 계층 데이터 패킷 PDCP-PDU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PDCP 계층에서 서로 다른 압축 방법들은 데이터 패킷들 PDU에 부착된 패킷 식별자 PID를 이용해 서로 구분 및 구별된다. 각 PDCP 개체에 대한 패킷 식별자 PID 값들의 테이블이 생성된다. 그 테이블에서, 서로 다른 압축 알고리즘들은 사 로 다른 패킷 종류들에 매치되며, 이들의 조합이 패킷 식별자 PID의 값을 규정한다. 일반적으로 단 하나의 PID 값만이 ROHC에 대해 예비된다. PID는 PDCP-PDU 구조 안에서 5 비트 필드로 되며, 0에서 31까지의 값을 수용할 수 있다. 만일 어떤 압축 알고리즘도 사용되지 않으면, 패킷 식별자 PID가 0의 값으로 주어진다. PID 값들은, 각 압축 알고리즘의 PID값들이 n+1 부터 시작할 수 있도록 각 압축 알고리즘 및 그 알고리즘의 다른 데이터 패킷 종류들과의 조합에 대해 연속적으로 정해진다. 상기 n은 이전 압축 알고리즘에 대해 정해진 마지막 PID 값이다. 압축 알고리즘의 순서는 무선 자원 제어기 RRC와의 협의 하에 정해진다. PID 값들의 테이블에 기초하여, 패킷 데이터 접속의 양 단 모두에서의 PDCP 개체들은 압축 알고리즘과 전송 및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의 데이터 패킷 종류들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PDCP 접속으로 CID 값들을 전송하기 위한 상술한 선택을 수행하는 메커니즘이, 주어진 시간에 사용 가능한 PID 값들의 개수와 ROHC에 대해 사용 가능한 콘텍스트 식별자들의 개수를 비교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PID 값들의 개수가 ROHC에 대해 규정된 콘텍스트 식별자들의 개수와 같거나 그를 초과하면, CID 값들이 PDCP-PDU 데이터 패킷들에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될 데이터의 총량 중에서 헤더의 비율을 최소화 하고 CID 값들의 전송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시그날링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콘텍스트 식별자 CID의 개수가 사용 가능한 PID 값의 개수를 초과하면, 콘텍스트 식별자들은 항상 ROHC 데이터 패킷의 CID 필드에 부착된다.
이 방법은 이동국(MS)과 무선 네트웍(UTRAN) 둘 모두에 동일한 알고리즘을 저장함으로써 적용될 수 있으며, PDCP 접속의 두 당사자들로 하여금 콘텍스트 식별자들을 전송하는 데 사용될 방법을 선택하기 위해 이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이동국(MS)과 무선 네트웍(UTRAN)은 그 방법에 동의하기 위해 둘 사이에 어떤 별도의 시그날링도 필요로 하지 않음이 바람직하며, 두 당사자들 모두 사용될 방법을 자동으로 구성한다.
어떤 경우, 이와 반대로, 무선 네트웍(UTRAN)이 콘텍스트 식별자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방법을 항상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는, 가령 비교 알고리즘의 업데이트가 사후애되기 용이해야 할 때, 또는 일반적으로 한 쪽에서 무선 네트웍이 가능한 한 최대로 이동국들의 동작을 제어하기를 원할 때의 경우가 된다. 이런 경우 비교 알고리즘은 무선 네트억에만 저장됨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상술한 비교는 무선 네트웍에서 수행될 것이다. 무선 네트웍(UTRAN)이 콘텍스트 식별자들을 전송하는데 사용할 방법을 규정한 다음, 무선 네트웍은 이동국(MS)에 이러한 결정에 대해 알린다. 이것은 RRC 시그날링으로서 수행됨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술한 규정은 매우 미미한 변화를 가지고 RRC 시그날링에 더해질 수 있다. 이 규정은,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콘텍스트 식별자 전송 방법들 중 어느 것이 사용될 것인지를 정의한 CID 값 필드와 같은 필드를 추가함으로써, 가령 3GPP TS25.331, 버전 4.4.0 사양에서 논의된 PDCP 정보 정의에 바람직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 메시지는 그 자체로서 알려진 RRC 시그날링으로서 이동국(MS)으로 전송되며, 이동국은 이 메시지를 해독하고 정의된 콘텍스트 식별자 전송 방법을 사용하도록 구성(configure)한다.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구현되는 비교 알고리즘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 가능한 PID 값들의 개수가 ROHC에 할당된 콘텍스트 식별자 CID의 개수와 비교된다(500). 사용가능한 PID 값들의 개수는 PID 값들의 최대 개수 31에서, ROHC 이외의 나머지 비교 알고리즘들에 예비된 압축 알고리즘들의 개수를 감산함으로써 얻어진다. 사용 가능한 PID 값들의 개수가 ROHC에 할당된 콘텍스트 식별자들의 개수와 같거나 그를 초과하면, 다른 접속 규정들이 PDCP-PDU 데이터 패킷들로의 헤더 부착을 필요로 하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만약 어느 경우에라도 PDCP-PDU 데이터 패킷들에 헤더가 필요로 된다면, CID 값들이 그 PDCP-PDU 데이터 패킷들에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먼저 무선 베어러(bearer)에 대해 여러개의 압축 알고리즘들이 규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502단계)함으로써 두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여러개의 압축 알고리즘들이 동일한 무선 베어러에 대해 규정되었다면, PDCP-PDU 데이터 패킷들은 헤더를 포함하며, 따라서 CID 값들이 PDCP-PDU 데이터 패킷들에 부착되는 방법(504단계)이 사용되도록 규정된다. 만약 동일한 무선 베어러에 대해 여러개의 압축 알고리즘이 규정되어 있지 않으면, PDCP-PDU 헤더가 시퀀스 번호들을 전송하는 것과 같은 다른 용도에 대해 필요로 되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506 단계). DCP-PDU 헤더가 다른 용도로 필요한 경우, CID 값들이 PDCP-PDU 데이터 패킷들에 부착되는 방법(504 단계)이 이 경우에도 사용되도록 정의된다. PDCP-PDU 데이터 패킷들에 헤더가 전혀 필요로 되지 않으면, 다만 CID 값들의 전송만을 위해 PDCP-PDU 데이터 패킷들에 대한 한 헤더를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ROHC 데이터 패킷들의 CID 필드 들의 형태로 전송되도록 CID 값들이 규정된다(508 단계).
처음에 수행된 비교 단계(500 단계)에서 사용 가능한 PID 값들의 개수가 ROHC에 할당된 콘텍스트 식별자 CID들의 개수 보다 작다고 관찰되었으면, CID 값들은 ROHC 데이터 패킷의 CID 필드 형태로 직접 전송될 수 있도록 규정된다(508 단계).
CID 값들이 PID 값들과 반드시 균형을 이루지는 않기 때문에, 상술한 CID 값들의 PDCP-PDU 데이터 패킷들로의 부착은 해당하는 PID 값을 전송 전에 각 CID 값과 관련시킴으로써 바람직하게 수행될 수 있다. PID 값은 PDCP-PDU의 PID 필드 형태로 정상적으로 전송된다.
상술한 비교 알고리즘은 CID 값들의 전송을 규정하는 하나의 방식일 뿐임을 주지해야 한다. 이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그 알고리즘이 본 발명의 개념에 대해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여러 방식으로 규정될 수 있음이 명확할 것이다. 또, 본 발명은 PDCP 접속에서의 CID 값들의 결정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시스템의 다른 프로토콜 계층들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CID 값들을 전송하는 방법을 규정하고 이동국(MS)과 무선 네트웍(UTRAN) 모두가 그 방법을 사용하도록 구성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될 데이터의 총량에서의 헤더 비율을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기존의 시그날링에 대해 극소의 변화 내지는 변화가 없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것은 무선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가능하게 하고 시스템의 변화에 대한 수요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매우 바 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예로서 UMTS 시스템을 사용해 위에서 설명되었다. ROHC에 따른 헤더 압축은, 그러나, UMTS 시스템에 국한되지 않으며, IP 데이터 패킷들이 전송되는 어떤 통신 시스템에라도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GERAN(GSM Edge Radio Access Network)와 같은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들의 추가 진행 프로세스들에도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기술 진보 면에서 본 발명의 개념이 여러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이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그 실시예들은 상술한 예들에 국한되지 않으며 청구항들의 범주 안에서 변경될 수 있다.

Claims (20)

  1. 텔레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패킷 연결에 있어 압축 헤더의 콘텍스트 식별자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콘텍스트 식별자(Context Identifier, CID)는 압축된 데이터 패킷의 일부로서 혹은 통신 시스템의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convergence protocol layer, PDCP)에서 전송될 한 데이터 패킷(PDCP-PDU)의 헤더 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고, 상기 헤더는 콘텍스트 식별자들이 부착될 수 있는 값-한정된 필드(PID)를 구비하며, 상기 방법은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들의 헤더 안에 사용 가능한 값들의 개수를 정하고 압축 방식에 대해 정의된 콘텍스트 식별자들의 개수를 정하여 콘텍스트 식별자의 전송 방법을 선택하는 단계;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들의 헤더 내 사용 가능한 값들의 개수가 압축 방식에 대해 정의된 콘텍스트 식별자들의 개수를 초과하거나 그와 같으면,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 내 헤더에 다른 데이터 패킷 접속 규정들이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 내에 헤더 사용을 필요로 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데이터 패킷 접속의 다른 규정들이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 내에 헤더 사용을 필요로 하면, 콘텍스트 식별자들을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들의 헤더들에 부착시키는 단계; 및
    데이터 패킷 접속의 다른 규정들이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 내에 헤더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 콘텍스트 식별자들을 압축된 데이터 패킷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스트 식별자 전송 방법.
  2. 콘텍스트 식별자(Context Identifier, CID)가 압축된 데이터 패킷의 일부로서, 혹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convergence protocol layer, PDCP)에서 전송될 한 데이터 패킷(PDCP-PDU)의 헤더 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고, 상기 헤더는 콘텍스트 식별자들이 부착될 수 있는 값-한정된 필드(PID)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패킷 연결 상에서 헤더 압축에 대한 콘텍스트 식별자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들의 헤더 내 사용 가능한 값들의 개수가 압축 방식에 대해 정의된 콘텍스트 식별자들의 개수를 초과하거나 그와 같으면, 데이터 패킷 접속의 다른 규정들이 컨버전스(convergence)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 내에 헤더 사용을 필요로 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데이터 패킷 접속의 다른 규정들이 컨버전스(convergence)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 내에 헤더 사용을 필요로 하면, 콘텍스트 식별자들을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들의 헤더에 부착하는 단계; 및
    데이터 패킷 접속의 다른 규정들이 컨버전스(convergence)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 내에 헤더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 콘텍스트 식별자들을 압축된 데이터 패킷에 부착하는 단계; 또는
    무선 네트웍에서 이동국으로, 콘텍스트 식별자를 전송하기 위해 선택된 방식에 관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콘텍스트 식별자의 전송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콘텍스트 식별자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콘텍스트 식별자를 전송하는 방식을 나타내기 위한 별도의 필드를 구비하는 RRC 시그날링 메시지로서 이동국으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스트 식별자 전송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 접속에 대해 여러개의 압축 알고리즘들이 정의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스트 식별자 전송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퀀스 번호들의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 접속에 대해 헤더들이 정의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스트 식별자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이동 통신 시스템임을 특징으로 하고, 그 콘텍스트 식별자 전송 방법은,
    상기 결정들을 이동국과 무선 네트웍에서 별도로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텍스트 식별자 전송 방법을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웍 모두에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스트 식별자 전송 방법.
  7. 헤더 압축에 대한 콘텍스트 식별자(CID)가, 통신 시스템의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PDCP)에서 전송될 데이터 패킷(PDCP-PDU)의 헤더 안에 포함되거나 압축된 데이터 패킷의 일부로서 전송되도록 정해지고, 상기 헤더는 콘텍스트 식별자들이 부착될 값-한정된 필드(PID)를 구비하며,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들의 헤더 내에 사용 가능한 값들의 개수와 압축 방식에 대해 정의된 콘텍스트 식별자들의 개수를 결정하여 콘텍스트 식별자의 전송 방법이 선택되도록 구성된 콘텍스트 식별자 전송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들의 헤더 내에 사용 가능한 값들의 개수가, 압축 방식에 대해 정의된 콘텍스트 식별자들의 개수를 초과하거나 그와 같을 때, 데이터 패킷 접속의 다른 규정들이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들 내 헤더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도록 되고,
    데이터 패킷 접속의 다른 규정들이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들 내 헤더의 사용을 필요로 하면, 콘텍스트 식별자들을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들의 헤더에 부착하도록 되고, 선택적으로는
    데이터 패킷 접속의 다른 규정들이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들 내 헤더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 콘텍스트 식별자들을 압축된 데이터 패킷에 부착하도록 된 콘텍스트 식별자 전송 이동 통신 시스템.
  8. 헤더 압축에 대한 콘텍스트 식별자(CID)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PDCP)에서 전송될 데이터 패킷(PDCP-PDU)의 헤더 안에 포함되거나 압축된 데이터 패킷의 일부로서 전송되도록 정해지고, 상기 헤더는 콘텍스트 식별자들이 부착될 값-한정된 필드(PID)를 구비하며,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들의 헤더 내에 사용 가능한 값들의 개수와 압축 방식에 대해 정의된 콘텍스트 식별자들의 개수를 비교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네트웍의 콘텍스트 식별자 전송 방법이 선택되도록 구성된 콘텍스트 식별자 전송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들의 헤더 내에 사용 가능한 값들의 개수가, 압축 방식에 대해 정의된 콘텍스트 식별자들의 개수를 초과하거나 그와 같을 때, 데이터 패킷 접속의 다른 규정들이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 내 헤더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지를 체크하도록 되고,
    데이터 패킷 접속의 다른 규정들이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 내 헤더의 사용을 필요로 하면, 콘텍스트 식별자들을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들의 헤더에 부착하도록 되고, 선택적으로는,
    데이터 패킷 접속의 다른 규정들이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 내 헤더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 콘텍스트 식별자들을 압축된 데이터 패킷에 부착시키도록 되며,
    콘텍스트 식별자를 전송하기 위해 선택된 방식에 대한 정보가 무선 네트웍에서 이동국으로 전송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스트 식별자 전송 이동 통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웍은 상기 정보를, 콘텍스트 식별자를 전송하기 위해 선택된 방식을 가리키는 별도의 필드를 구비하는 RRC 시그날링 메시지로서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스트 식별자 전송 이동 통신 시스템.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 접속에 대해 여러개의 압축 알고리즘이 정의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스트 식별자 전송 이동 통신 시스템.
  11.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퀀스 번호들의 전송을 위해 데이터 패킷 접속에 있어 헤더들이 정의 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스트 식별자 전송 이동 통신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들이 이동국과 무선 네트웍에서 별개로 수행되도록 정해지고,
    상기 콘텍스트 식별자 전송 방식은 상기 이동국과 무선 네트웍 둘 모두에서 선택되도록 정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스트 식별자 전송 이동 통신 시스템.
  13.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장치로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압축 방법에서 정의된 콘텍스트 식별자 개수와 컨버젼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의 값-한정된 필드(PID) 헤더 내에 사용 가능한 값들의 개수를 비교함으로써 이동 통신 시스템 무선 네트워크에서 압축 헤더의 콘텍스트 식별자의 전송 방법을 선택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들의 헤더 내 사용 가능한 값들의 개수가 압축 방식에 대해 정의된 콘텍스트 식별자들의 개수를 초과하거나 그와 같으면,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 내 헤더에 다른 데이터 패킷 접속 규정들이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 내에 헤더 사용을 필요로 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며, 이 경우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데이터 패킷 접속의 다른 규정들이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 내에 헤더 사용을 필요로 하면, 콘텍스트 식별자들을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들의 헤더들에 부착시키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데이터 패킷 접속의 다른 규정들이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 내에 헤더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 콘텍스트 식별자들을 압축된 데이터 패킷에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기지국으로 상기 콘텍스트 식별자를 전송하도록 선택된 상기 방법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기지국에 상기 콘텍스트 식별자를 전송하도록 선택된 상기 방법을 표시하는 독립된 필드를 포함하는 RRC 시그널링 메세지로 상기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복수의 압축 알고리듬이 상기 데이터 패킷 접속에 대해 정의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17.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헤더가 시퀀스 번호들의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 접속에 대해 헤더들이 정의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18.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서, 상기 기지국은 압축 방법에서 정의된 콘텍스트 식별자 개수와 컨버젼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의 값-한정된 필드(PID) 헤더 내에 사용 가능한 값들의 개수를 비교함으로써 이동 통신 시스템 무선 네트워크에서 압축 헤더의 콘텍스트 식별자의 전송 방법을 선택하고,
    상기 기지국은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들의 헤더 내 사용 가능한 값들의 개수가 압축 방식에 대해 정의된 콘텍스트 식별자들의 개수를 초과하거나 그와 같으면,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 내 헤더에 다른 데이터 패킷 접속 규정들이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 내에 헤더 사용을 필요로 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며, 이 경우
    상기 기지국은 데이터 패킷 접속의 다른 규정들이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 내에 헤더 사용을 필요로 하면, 콘텍스트 식별자들을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들의 헤더들에 부착시키고,
    상기 기지국은 데이터 패킷 접속의 다른 규정들이 컨버전스 프로토콜 계층 데이터 패킷 내에 헤더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 콘텍스트 식별자들을 압축된 데이터 패킷에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복수의 압축 알고리듬이 상기 데이터 패킷 접속에 대해 정의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헤더가 시퀀스 번호들의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 접속에 대해 헤더들이 정의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037016984A 2001-06-27 2002-06-26 데이터 패킷 접속 상의 헤더 압축에 대한 콘텍스트 식별자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1007653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11380A FI118244B (fi) 2001-06-27 2001-06-27 Otsikkokenttien kompressiotunnisteen välittäminen datapakettiyhteydellä
FI20011380 2001-06-27
PCT/FI2002/000563 WO2003003668A1 (en) 2001-06-27 2002-06-26 Transmission of compression identifier of headers on data packet conn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759A KR20040015759A (ko) 2004-02-19
KR100765311B1 true KR100765311B1 (ko) 2007-10-09

Family

ID=8561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6984A KR100765311B1 (ko) 2001-06-27 2002-06-26 데이터 패킷 접속 상의 헤더 압축에 대한 콘텍스트 식별자 전송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301947B2 (ko)
EP (1) EP1405472B1 (ko)
JP (1) JP3857688B2 (ko)
KR (1) KR100765311B1 (ko)
CN (1) CN100388720C (ko)
AT (1) ATE406734T1 (ko)
BR (1) BR0210691A (ko)
CA (1) CA2451620C (ko)
DE (1) DE60228575D1 (ko)
FI (1) FI118244B (ko)
WO (1) WO2003003668A1 (ko)
ZA (1) ZA2003097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5020B2 (en) * 2001-11-14 2006-08-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aster data compression apparatus and method
ATE502472T1 (de) * 2001-11-24 2011-04-15 Lg Electronics Inc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paketdaten in komprimierter form in einem kommunikationssystem
JP4317403B2 (ja) * 2002-08-09 2009-08-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ヘッダ圧縮装置及びヘッダ圧縮方法
KR100884956B1 (ko) * 2002-08-14 2009-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대칭 양방향 패킷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EP1432196A1 (en) * 2002-12-20 2004-06-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trol traffic compression method in media data transmission
FI116258B (fi) 2003-02-14 2005-10-14 Nokia Corp Menetelmä tiedonsiirtokapasiteetin riittävyyden varmistamiseksi, menetelmää hyödyntävä päätelaite sekä ohjelmalliset välineet menetelmän toteuttamiseksi
US20050094670A1 (en) * 2003-08-20 2005-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acquiring header compression context in user equipment for receiving packet data service
US7398325B2 (en) * 2003-09-04 2008-07-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eader compression in messages
KR100602633B1 (ko) * 2003-11-08 2006-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의 헤더를 압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FR2863797B1 (fr) * 2003-12-15 2006-02-24 Cit Alcatel Compression/decompression de couche deux pour la transmission mixte synchrone/asynchrone de trames de donnees au sein d'un reseau de communications
US7430617B2 (en) * 2003-12-19 2008-09-3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header compression
DE102004003551A1 (de) * 2004-01-23 2005-08-18 Siemens Ag Kompressionsverfahren für einen Bytestrom in Netzwerkprotokollen
CN100393064C (zh) * 2004-06-21 2008-06-04 ***电信研究院 Ip电信网***中对分组进行报头压缩的方法
IL162306A0 (en) * 2004-06-02 2005-11-20 Eci Telecom Ltd Method for header compression in packet based telecommunication systems
US7817628B2 (en) * 2004-11-15 2010-10-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header compression with transmission of context information dependent upon media characteristic
US7924731B2 (en) * 2004-11-15 2011-04-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out-of-sequence packets in header decompression
KR20060054662A (ko) * 2004-11-15 2006-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헤더 압축 장치 및 방법
JP4690423B2 (ja) * 2005-01-24 2011-06-01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コアネットワークの方法及び装置
CN100396114C (zh) * 2005-06-09 2008-06-18 华为技术有限公司 在联合路由/位置更新中实现负载重分配的方法
US8804765B2 (en) * 2005-06-21 2014-08-12 Optis Wireless Technology, Llc Dynamic robust header compression
FI120072B (fi) * 2005-07-19 2009-06-15 Ssh Comm Security Corp Pakettidatan lähettäminen verkon yli tietoturvaprotokollaa käyttäen
KR100644548B1 (ko) * 2005-11-03 2006-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업로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단말기, mms 프록시 릴레이, 이동 통신 시스템
JP4933531B2 (ja) 2006-03-14 2012-05-16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4619312B2 (ja) * 2006-03-29 2011-01-26 京セラ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送信装置
CN100440869C (zh) * 2006-04-11 2008-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启动用户数据报协议报文首部压缩的方法
KR101419287B1 (ko) * 2006-07-07 2014-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Ipdc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및 ipdc서비스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265643B1 (ko) * 2006-08-22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수행 및 그 제어 방법
KR101387500B1 (ko) 2006-08-22 2014-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 전송 및 수신 방법
KR101430449B1 (ko) * 2006-10-02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메시지 송수신 방법
ES2344758T3 (es) * 2006-10-27 2010-09-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Optimizacion de indicador de longitud.
KR100938754B1 (ko) 2006-10-30 2010-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연속 수신을 이용한 데이터 수신 및 전송 방법
EP2057862B1 (en) 2006-10-30 2017-02-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direction of uplink access
WO2008054112A2 (en) * 2006-10-30 2008-05-08 Lg Electronics Inc. Methods of performing random acc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078342B1 (en) * 2006-10-30 2015-08-2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random access channel message and response messag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464748B1 (ko) * 2007-04-30 2014-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단말의 측정보고 기동방식
KR101458641B1 (ko) * 2007-04-30 2014-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bms를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방법
US8081662B2 (en) 2007-04-30 2011-12-20 Lg Electronics Inc. Methods of transmitting data block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69281B1 (ko) * 2007-04-30 2014-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단말의 상태 전환 방식
US8027363B2 (en) * 2007-04-30 2011-09-2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145436B1 (en) * 2007-04-30 2011-09-07 LG Electronics Inc. Methods of generating a data block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80097338A (ko) * 2007-05-01 2008-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불연속 데이터 송수신 방법
US20080273503A1 (en) * 2007-05-02 2008-11-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terminal for performing handover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of point-to-multipoint service
US20080273482A1 (en) * 2007-05-02 2008-11-06 Lg Electronics Inc. Uplink access method for receiving a point-to-multipoint service
KR100917205B1 (ko) 2007-05-02 2009-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블록 구성 방법
WO2008136598A1 (en) * 2007-05-03 2008-11-1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data process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930587B2 (ja) 2007-05-11 2012-05-16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のヘッダ圧縮制御方法並びに無線基地局及び送信装置
KR101467750B1 (ko) * 2007-06-04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mac 헤더 생성방법 및 데이터전송방법
KR101470638B1 (ko) * 2007-06-18 201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향상 방법, 상태정보 보고방법 및 수신장치
KR101526971B1 (ko) * 2007-06-18 2015-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송수신 방법 및 단말
ES2652668T3 (es) 2007-06-18 2018-02-05 Lg Electronics Inc. Procedimiento y equipamiento de usuario para realizar una sincronización de enlace ascendente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US20090034529A1 (en) * 2007-07-30 2009-02-0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packets via header-compression channels
US7885294B2 (en) * 2007-08-23 2011-02-08 Cisco Technology, Inc. Signaling compression information using routing protocols
US8400982B2 (en) * 2007-09-20 2013-03-1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handling correctly received but header compression failed packets
KR101387537B1 (ko) 2007-09-20 2014-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성공적으로 수신했으나 헤더 압축 복원에 실패한 패킷의 처리 방법
JP5018890B2 (ja) * 2007-10-31 2012-09-05 富士通株式会社 通信方法並びに通信端末、データ転送装置及び制御装置
JP5195762B2 (ja) * 2007-12-03 2013-05-15 富士通株式会社 パケット通信装置及びパケット通信方法
CN101453298B (zh) * 2007-12-07 2013-06-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网络中头压缩的处理方法及***、装置
CN101350812B (zh) * 2008-08-22 2012-06-27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的传输方法、通信设备及通信***
CN102197635A (zh) * 2008-10-21 2011-09-21 三菱电机株式会社 通信***以及通信装置
US8902805B2 (en) * 2008-10-24 2014-12-02 Qualcomm Incorporated Cell relay packet routing
KR20110113649A (ko) * 2009-03-19 2011-10-17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수신 장치, 송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방법,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US9160566B2 (en) * 2009-04-10 2015-10-13 Qualcomm Incorporated QOS mapping for relay nodes
US8588138B2 (en) * 2009-07-23 2013-11-19 Qualcomm Incorporated Header compression for relay nodes
US8599878B2 (en) 2009-07-27 2013-12-03 Institute For Information Industry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header compression method thereof, and header decompression method thereof
US20110149848A1 (en) * 2009-08-17 2011-06-23 Qualcomm Incorporated Header compression for relay nodes
US8787242B2 (en) * 2009-11-06 2014-07-22 Qualcomm Incorporated Header compression for relay nodes
KR101371638B1 (ko) * 2012-05-31 2014-03-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컨텍스트 기반의 헤더 압축을 위한 통신 관리장치 및 방법
CN105764093A (zh) * 2014-12-19 2016-07-13 ***通信集团黑龙江有限公司 一种选择数据压缩级别的方法和装置
KR102159641B1 (ko) 2018-04-03 2020-09-25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
US20210345171A1 (en) * 2018-12-21 2021-11-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unit using dual header compression algorith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014610A1 (en) * 2019-01-03 2022-01-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data unit based on execution time indicato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51374A1 (en) * 1999-02-26 2000-08-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between mobile terminals and entities in a radio access network
WO2001035694A2 (en) * 1999-11-09 2001-05-17 Nokia Corporation A handoff procedure for header compress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7022A (en) 1996-12-27 1999-11-16 Motorola, Inc.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ple-protocol packetized data
JP2002538604A (ja) 1999-02-26 2002-11-12 トリコン ホールディングス リミティド ポリマー層の処理方法
US6839339B1 (en) 2000-02-02 2005-01-04 Lucent Technologies Inc. Header compression for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tunneling protocol (GTP)-encapsulated packets
EP1146713B1 (en) 2000-03-03 2005-04-27 NTT DoCoM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t transmission with header compression
WO2001067715A1 (en) 2000-03-07 2001-09-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e-verification of checksums used with checksum-based header compression
US20020001315A1 (en) 2000-03-21 2002-01-03 Tran Hung V.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IP/UDP/RTP headers in a lossy environment
JP4520032B2 (ja) 2000-08-17 2010-08-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ヘッダ圧縮装置およびヘッダ圧縮方法
US6967964B1 (en) 2000-10-03 2005-11-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ext identification using header compression key at link lay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51374A1 (en) * 1999-02-26 2000-08-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between mobile terminals and entities in a radio access network
WO2001035694A2 (en) * 1999-11-09 2001-05-17 Nokia Corporation A handoff procedure for header compress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7016984 - 7105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05472A1 (en) 2004-04-07
BR0210691A (pt) 2004-09-21
KR20040015759A (ko) 2004-02-19
JP3857688B2 (ja) 2006-12-13
JP2004533792A (ja) 2004-11-04
US7301947B2 (en) 2007-11-27
CA2451620A1 (en) 2003-01-09
CA2451620C (en) 2008-09-16
FI20011380A (fi) 2002-12-28
DE60228575D1 (de) 2008-10-09
ATE406734T1 (de) 2008-09-15
FI20011380A0 (fi) 2001-06-27
US20030007512A1 (en) 2003-01-09
EP1405472B1 (en) 2008-08-27
ZA200309795B (en) 2005-02-23
WO2003003668A1 (en) 2003-01-09
CN1545783A (zh) 2004-11-10
FI118244B (fi) 2007-08-31
CN100388720C (zh) 200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5311B1 (ko) 데이터 패킷 접속 상의 헤더 압축에 대한 콘텍스트 식별자 전송 방법 및 시스템
JP3834001B2 (ja) データパケット接続のヘッダフィールド圧縮の定義方法
USRE47719E1 (en) Relocating context information in header compression
US9635142B2 (en) Bi-directional packet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7164665B2 (en) Transfer of IP data in telecommunications system
US20030156559A1 (en) Context relocation method
WO200310761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using header compression
KR20030011914A (ko) 패킷-교환 데이터 전송에서 데이터 전송 자원들의 할당
RU2316906C2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пакетных данных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