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9804B1 - Relay apparatus, mobile terminal for server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Relay apparatus, mobile terminal for server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9804B1
KR100759804B1 KR1020060013329A KR20060013329A KR100759804B1 KR 100759804 B1 KR100759804 B1 KR 100759804B1 KR 1020060013329 A KR1020060013329 A KR 1020060013329A KR 20060013329 A KR20060013329 A KR 20060013329A KR 100759804 B1 KR100759804 B1 KR 100759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terminal
server
connectio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3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60958A (en
Inventor
윤민홍
이재호
김선자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13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9804B1/en
Publication of KR20070060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09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8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중계 장치,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이 개시된다. 이 중계 장치는 클라이언트와 서버용 단말기 간의 접속을 중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단말기로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부; 상기 수신된 접속 요청을 기초로, 망에 접속하라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메시지송신부; 및 상기 메시지에 따른 상기 단말기의 망 접속을 감지하여 상기 수신된 접속 요청을 상기 단말기로 중계하는 접속중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헐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단말기가 웹 서비스 등의 서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 relay device, a terminal, and a method using the same are disclosed. An apparatus for relaying a connection between a client and a server terminal, the relay apparatus comprising: a request receiving unit receiving a connection request from the client to the terminal; A messag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message to the terminal to access a network based on the received access request; And a connection relay unit for detecting a network connec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message and relaying the received connection request to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that accesses the network intermittently may serve as a server such as a web service.

에스엠에스(SMS), 서버, 웹서비스 SMS, Server, Web Service

Description

중계 장치,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법{Relay apparatus, mobile terminal for server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Relay apparatus, mobile terminal for server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서버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serv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중계 장치가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는 테이블을 예시한다.Figure 2 illustrates a table that can be maintained and managed by the relay device of Figur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3b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 및 서버용 단말기 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A and 3B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relay device and a serv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서버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server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단말기가 서버 역할을 하도록 하는 중계 장치, 그 단말기, 단말기 서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헐적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휴대용 단말이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서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계 장치, 그 단말기, 단말기 서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ay apparatus for allowing a terminal to act as a server, a terminal, a terminal server system, and a method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a portable terminal intermittently accessing a network may perform a server role at the request of a cli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ay apparatus, a terminal, a terminal server system, and a method using the same.

현재까지의 간헐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이 가능한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기술은 간헐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이 가능한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게 하는 것이었다. 즉, 지금까지의 간헐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이 가능한 단말기는 직접 왑 페이지(WAP page)를 찾아가 관련 정보를 가져오거나, 에스엠에스(SMS)를 통해 콜백 유알엘(callback URL)을 전송 받은 뒤 해당 유알엘(URL)로 연결해 원하는 정보를 얻는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했다.Until now, the technology of intermittently accessing the network by the terminal accessing the network and exchanging information has been to allow the user of the terminal intermittently accessible to the network to passively access the network. In other words, the terminal that can access the network intermittently up to now go to the WAP page to get the relevant information, or after receiving the callback URL through SMS, the relevant URL (URL) ) To act as a client to get the information you want.

그 중, 에스엠에스(SMS)를 통해 콜백 유알엘(callback URL)을 전송 받은 뒤 단말기에서 해당 유알엘(URL)에 접속하는 것은 컨텐츠에 접근하기 위해 왑 페이지(WAP page)를 네비게이션(navigation)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뿐 아니라, 벨소리 또는 배경화면 등의 컨텐츠를 선물하는 수단과, 엠엠에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수신하는 수단 등의 다양한 곳에 활용 되고 있다. 컨텐츠 선물하기는 선물하고자 하는 컨텐츠가 있는 유알엘(URL)을 에스엠에스(SMS)와 함께 전송하면 단말기에서 해당 유알엘(URL)로 접속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엠엠에스(MMS) 수신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또는 이를 기술하는 마크업 랭귀지(Markup Language)가 위치한 곳의 유알엘(URL)이 담긴 에스엠에스(SMS)를 전송 받으면 해당 유알엘(URL)에 접속해 관련 정보를 추출(retrieval)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Among them, accessing the URL from the terminal after receiving a callback URL through SMS is a hassle to navigate the WAP page to access the content. In addition to eliminating the pain, it is used in various places, such as a means for presenting content such as a ringtone or a wallpaper, and a means for receiving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In presenting contents, when a URL including a content to be sent is transmitted along with an SMS, the terminal accesses the URL. MMS reception receives multimedia information or SMS containing the URL where the markup language describing the multimedia content is located and accesses the relevant URL to extract relevant information. I'm taking a way (retrieval).

그러나, 위 방법들은 모두 클라이언트(client)의 입장에서 전송받은 유알엘(URL)에 접속하여 정보를 교류하고 있다. 이는 항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할 준비를 하고 있지 않고, 필요시에만 간헐적으로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단말기가 가지는 한계라 할 수 있다.However, all of the above methods exchange information by accessing the URL received from the client's point of view. This is a limitation of a terminal that is not always connected to the network and ready to provide a service, and only intermittently connects to the network when necessar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간헐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단말기가 웹 서비스 등의 서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계 장치,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lay device, a terminal and a method using the same so that a terminal intermittently accessing a network can perform a server role such as a web servic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중계 장치는 클라이언트와 서버용 단말기 간의 접속을 중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단말기로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부; 상기 수신된 접속 요청을 기초로, 망에 접속하라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메시지송신부; 및 상기 메시지에 따른 상기 단말기의 망 접속을 감지하여 상기 수신된 접속 요청을 상기 단말기로 중계하는 접속중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lay apparatus, comprising: a request recep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connection request from the client to the terminal; A messag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message to the terminal to access a network based on the received access request; And a connection relay unit for detecting a network connec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message and relaying the received connection request to the terminal.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한 중계 장치로부터 망에 접속하라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수신부;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망에 접속하는 망 접속부; 및 상기 접속된 망에서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의 접속 요청을 중계받는 접속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message receiving unit receiving a message for connecting to a network from a relay device receiving a connection request from a client; A network connection unit connecting to a network based on the received message; And a connection receiving unit receiving the client's connection request from the relay device in the connected network.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중계 방법은 클라이언트와 서버용 단말기 간의 접속을 중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로 부터 상기 단말기로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접속 요청을 기초로, 망에 접속하라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에 따른 상기 단말기의 망 접속을 감지하여 상기 수신된 접속 요청을 상기 단말기로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relaying a connection between a client and a server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connection request from the client to the terminal; Sending a message to the terminal to access a network based on the received connection request; And detecting the network connec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message and relaying the received connection request to the terminal.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서버 동작 방법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한 중계 장치로부터 망에 접속하라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망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된 망에서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의 접속 요청을 중계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server of a terminal, the method including: receiving a message for accessing a network from a relay device that receives a connection request from a client; Accessing a network based on the received message; And receiving a connection request of the client from the relay device in the connected network.

본 발명은 간헐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이 가능한 단말기가 정보의 소비자 역할만을 하던 것을 벗어나 간헐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상황에서도 정보의 제공자인 서버(server)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지금까지는 단말기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수동적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해 데이터를 가져오던 클라이언트(client) 기능에서 벗어나,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클라이언트를 기다리도록 하게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간헐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이 가능한 단말기(이하 휴대형 서버)로부터 서비스 받고자 하는 클라이언트가 휴대형 서버의 고유 식별번호를 통해 휴대형 서버에 접근하려는 시도를 하면, 클라이언트의 연결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가 에스엠에스(SMS, 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서비스를 원하는 클라이언트가 있음을 휴대형 서버에 알리고, SMS를 받은 휴대형 서버는 네트워크에 접속해 클라이언트의 접속을 기다리며, 중계 장치는 휴대형 서버의 연결을 인식한 후 클라이언트의 연결을 휴대형 서버로 중계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network to serve as a server that is a provider of information even in a situation of accessing the network intermittently from being used only as a consumer of information.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allowing a terminal to wait for a client to provide a service to a network, thus deviating from the client function of bringing data by manually accessing a network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d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lient attempting to access a portable server through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portable server attempts to receive a service from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the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ortable server), the relay device relaying the client connection is SM. SMS (Short Message Service) informs the portable server that there is a client who wants to service.The portable server that receives the SMS connects to the network and waits for the client's connection.The relay device recognizes the connection of the portable server and then the client Relaying the connection to the portable server.

이와 같이 간헐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이 가능한 단말기가 사용자와 무관하게 그리고 투명하게(transparently) 서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으로 해서 개인이 휴대하는 단말기가 서비스의 제공자 역할을 할 수 있고, 간헐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이 가능한 단말기에서도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 World Wide Web)의 표준인 웹 서비스(Web Service)의 서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단말기가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클라이언트의 접속 요청을 받아들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As such, the terminal that can access the network intermittently can act as a server irrespective of the user and transparently, so that the terminal carried by the individual can act as a provider of the service and intermittently to the network. Even accessible terminals can serve as servers for Web services, a standard of the World Wide Web (W3C).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in which a terminal can accept a client's connection request even when the network is not connected.

간헐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이 가능한 단말기가 네트워크 상에서 정보의 제공자인 서버(server)로 역할을 하게 되면 정보 교류의 폭이 넓어 진다. 한 예로, 웹 서비스(Web Service)를 들 수 있다.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 World Wide Web Consortium)의 표준인 웹 서비스(Web Service)는 웹 상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들과 이 서비스를 받기 위해 주고받는 데이터를 기술하고 정형화 하는 표준인데, 이를 위해 더블유에스디엘(WSDL, Web Service Description Language), 에스오에이피(SOAP,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유디디아이(UDDI, Universal Description, Discovery and Integration) 등의 마크업 랭귀지(markup language)를 엑스엠엘(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으로 정의하고 있다. 간헐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이 가능한 단말기가 웹 서비스(Web Service)의 서버 역할을 한다면, 임의의 장소에 존재하는 클라이언트는 더블유에스디엘(WSDL)만을 해석해 간헐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이 가능한 단말기에게도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을 것이고, 엠투엠(M2M, Machine-to-Machine) 통신을 통해 진정한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을 꾸밀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terminal which can access the network intermittently acts as a server which is a provider of information on the network, information exchange becomes wider. One example is Web Services. The Web Service, a standard of the World Wide Web Consortium (W3C), is a standard that describes and formalizes the services provided on the Web and the data sent and received for receiving these services. Markup languages such as WSDL (Web Service Description Language), SOAP,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UDAP), and UDDI (Universal Description, Discovery and Integration), etc. Language). If a terminal that can access the network intermittently acts as a server of a Web service, a client in any place can request a service from a terminal that can access the network intermittently by interpreting WDL only. There will be a true ubiquitous environment through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and a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서버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즉, 간헐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이 가능한 단말기 즉, 휴대용 서버가 네트워크 상에서 서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조를 나타낸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serv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the network intermittently, i.e., a portable server, may serve as a server structure on a network.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단말기(102), 유선 장치(103), 중계 장치(104), 휴대용 서버(101), 이동통신 네트워크(113, 111) 및 퍼블릭 네트워크(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 a wireless terminal 102, a wired device 103, a relay device 104, a portable server 101,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113 and 111, and a public network 112 are included.

여기서, 휴대용 서버(101)는 간헐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서버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다. 무선 단말기(102) 및 유선 장치(103)는 휴대용 서버(101)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를 의미한다. 또한, 휴대용 서버(101)가 속한 이동통신 네트워크(111)에는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104)가 존재한다.Here, the portable server 101 i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the network intermittently and is a terminal performing a server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terminal 102 and the wired device 103 refer to a client connecting to the portable server 101. In addi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11 to which the portable server 101 belongs, a relay device 104 relaying a connection with a client exists.

본 명세서에서는 무선 단말기(102)와 유선 장치(103)가 클라이언트로서 서비스를 받기 위해 휴대용 서버(101)에 접속을 요청하는 시나리오를 사용한다. 무선 단말기(102) 또는 유선 장치(103)가 휴대용 서버(101)에 접속하기 위해 휴대용 서버(101)의 고유식별번호를 사용해 접속을 요청한다. 여기서, 상기 접속 요청은 무 선 단말기(102)가 속한 이동통신 네트워크(113)나 유선 장치(103)이 속해있는 아이에스피(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네트워크를 거치고 퍼블릭 네트워크(112)상에서 라우팅(routing)된 후 휴대용 서버(101)가 속한 이동통신 네트워크(111)에 도달한다. 여기서, 접속 요청은 메시지 형식으로 송신될 수 있으며, 이 메시지의 목적지 주소의 예로는 휴대용 서버(101)의 네트워크 상 주소를 들 수 있다. 휴대용 서버(101)의 네트워크 상 주소가 빈번히 바뀌어 메시지에 담긴 목적지 주소와 다를 지라도, 본 발명의 중계 장치(104)는 후술할 휴대용 서버(101)에 대한 네트워크 상 주소 갱신 등에 의해 최종적으로 클라이언트와 휴대용 서버(101)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a scenario in which the wireless terminal 102 and the wired device 103 request a connection to the portable server 101 to receive a service as a client is used. The wireless terminal 102 or the wired device 103 requests a connection us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portable server 101 to access the portable server 101. Here, the access request is routed on the public network 112 through an Internet Service Provider (ISP) network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13 or the wired device 103 to which the wireless terminal 102 belongs. After that, the mobile server 101 reaches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11 to which the portable server 101 belongs. Here, the connection request may be transmitted in a message format, and an example of a destination address of the message may be an address on the network of the portable server 101. Although the address on the network of the portable server 101 changes frequently and is different from the destination address contained in the message, the relay device 104 of the present invention finally performs a client and portable operation by updating an address on the network for the portable server 10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rver 101 can be connected.

휴대용 서버(101)가 속한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접속 요청이 간헐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이 가능한 단말기로의 요청임을 인지하고 중계 장치(104)에 요청을 전달한다. 중계장치(104)는 휴대용 서버(101)의 네트워크 접속 여부를 확인하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으면 클라이언트(102 또는 103)의 요청을 휴대용 서버(101)로 중계하고, 연결이 되어 있지 않으면 휴대용 서버(101)에 에스엠에스(SMS : Short Message Service : 이하 SMS라 칭함)를 통해 접속 요청이 있음을 알린다. 접속 요청이 있음을 SMS를 통해 통보받은 휴대용 서버(101)가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수락할 수 있는 상태로 전이한다. 휴대용 서버(101)가 네트워크 연결이 되었고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수락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음을 인지한 중계장치(104)는 클라이언트(102 또는 103)의 요청을 휴대용 서버(101)에 중계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portable server 101 belongs recognizes that the access request is a request to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the network intermittently and transmits the request to the relay device 104. The relay device 104 checks whether the portable server 101 is connected to the network and, if connected to the network, relays the request of the client 102 or 103 to the portable server 101, and if the connection is not established, the portable server 101. Informs that there is a connection request through SMS (short message service (SMS)). The portable server 101 notified of the connection request via SMS connects to the network and transitions to a state where the client can accept the request. Recognizing that the portable server 101 is connected to the network and in a state capable of accepting the client's request, the relay device 104 relays the request of the client 102 or 103 to the portable server 101.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중계 장치(104)가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는 테이블을 예시한다.2 illustrates a table that can be maintained and managed by the relay device 104 of FIG. 1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중계 장치(104)는 휴대용 서버(101)의 고유 식별번호를 테이블에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중계 장치(104)는 휴대용 서버가 네트워크가 접속할 때 부여 받는 네트워크상 주소와 휴대용 서버(101)의 기타 접속 수단을 내포한 유알엘(202)을 테이블에 유지할 수 있다. 이 정보를 유지하고 갱신함으로 해서 휴대용 서버(101)의 고유 식별번호와 유알엘(URL)을 대응 시킬 수 있다. 또 테이블의 다른 영역(203)에서는 휴대용 서버(101)의 접속 기록과 휴대용 서버(101)의 접속을 모니터링 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유지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서버(101)는 임의로 연결이 끊길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연결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최근 연결 모니터링 상황을 테이블에서 관리할 수 있다. 또는 휴대용 서버(101)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도 테이블에 유지할 수 있다.The relay device 104 may maintain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portable server 101 in the table. In addition, the relay device 104 may maintain a UAL 202 in a table that includes an address on the network that the portable server receives when the network is connected, and other means of connecting the portable server 101. By maintaining and updating this information,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portable server 101 and the URL can be mapped. In another area 203 of the table, information necessary to monitor the connection record of the portable server 101 and the connection of the portable server 101 can be maintained. For example, since the portable server 101 may be disconnected arbitrarily, if it is determined that periodic connection checking is necessary, the portable server 101 may manage a recent connection monitoring situation in a table. Alternatively, information about the service provided by the portable server 101 may be maintained in a table.

상기 중계 장치(104)는 휴대용 서버(101)에 보내는 SMS에 콜백 유알엘(callback URL)을 부가하여 보낼 수 있다. 이 콜백 유알엘(callback URL)은, 휴대용 서버(101)의 네트워크 연결이 완료되고 클라이언트(102 또는 103)의 연결을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가 된 경우 이 사실을 통보하라는 유알엘(URL)이 될 수 있다. 콜백 URL이 가리키는 장치의 예로는 중계 장치(104)를 들 수 있으며, 여기서 중계 장치(104)는 하나의 장치일 수도 있고, 여러 개의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콜백 유알엘(callback URL)이 포함된 SMS를 전송 받은 휴대용 서버(101)는 네트워크에 접속한 뒤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수락할 수 있는 상태로 전이하고, 이 사실을 콜백 유알엘(callback URL)에 통보한다. 휴대용 서버(101)가 속한 이동통신 네트워크 (111)는 휴대용 서버(101)가 연결을 수락할 준비가 되었음을 인지하고, 중계 장치(104)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연결 요청을 휴대용 서버(101)에 중계한다. 상기 콜백 유알엘(callback URL)은 휴대용 서버(101)가 서비스를 마치고 네트워크 연결을 종료할 때에도 연결 종료를 알리는 통지 수단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지 수단은 휴대용 서버(101)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명시적으로 모니터링 하는데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 될 수 있다.The relay device 104 may add and send a callback URL to the SMS sent to the portable server 101. This callback URL may be a URL to notify this when the portable server 101's network connection is complete and the client 102 or 103 is ready to accept the connection. . An example of the device indicated by the callback URL is the relay device 104, where the relay device 104 may be one device or may be composed of several devices. The portable server 101 receiving the SMS including the callback URL transmits to the state capable of accepting the client's request after connecting to the network, and notifies the callback URL of the fact.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11 to which the portable server 101 belongs recognizes that the portable server 101 is ready to accept the connection, and relays the client's connection request to the portable server 101 through the relay device 104. . The callback URL may also be used as a notification means for notifying the termination of the connection even when the portable server 101 terminates the network connection after completing the service. Such notification means may be used as a useful means for explicitly monitoring the network connection status of the portable server (101).

휴대용 서버(101)에서 이루어지는, 에스엠에스(SMS)를 받고 네트워크에 접속한 뒤 클라이언트의 접속 요청을 수락할 수 있는 상태로 전이하는 일련의 과정은 사용자 모르게 진행될 수도 있다. 한 예로 주소록 공유를 들 수 있다. 무선 단말기(102)가 내장하고 있는 주소록에서 검색에 실패해 휴대용 서버(101)가 가지고 있는 주소록을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휴대용 서버(101)와 무선 단말기(102) 사용자들 간의 주소록 공유에 대한 사전 협의가 된 상태라면, 휴대용 서버(101) 사용자의 개입 없이 모든 프로세스(process)를 진행할 수 있다. 즉, 휴대용 서버(101)가 에스엠에스(SMS)를 받은 뒤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주소록 검색 서비스 제공을 위한 상태로 전이하고, 클라이언트(102)의 접속 요청을 수락하고, 주소록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들이 휴대용 서버(101) 사용자의 개입 없이 진행될 수 있다.A series of processes performed in the portable server 101, receiving an SMS and connecting to the network and transitioning to a state capable of accepting a client's connection request may be performed without user's knowledge. One example is address book sharing. If the search fails in the address book in which the wireless terminal 102 is embedded, and the user wants to search the address book owned by the portable server 101, prior consultation on sharing the address book between the portable server 101 and the users of the wireless terminal 102 is performed. In this state, the portable server 101 may proceed with all processes without user intervention. That is, the portable server 101 receives the SMS and connects to the network, transitions to a state for providing an address book search service, accepts a connection request from the client 102, and provides an address book search service. Processes may proceed without intervention of the portable server 101 user.

한편, 휴대용 서버(101)에 네트워크상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으로는 정적 할당 방법과 동적 할당 방법이 있다. 첫째, 정적 할당 방법을 본 발명에 적용시키는 예를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계 장치(104)가 휴대형 서버(101)의 고유식별 번호와 네트워크상 주소를 사전에 저장한다. 클라이언트가 휴대형 서버(101)에 접속을 시도하면, 중계 장치(104)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인지해 휴대형 서버가 현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휴대형 서버(101)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으면 통신을 연결하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SMS를 통해 접속 요청이 있음을 휴대형 서버(101)에 알린다. SMS를 받은 휴대형 서버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고(이때, 사전에 할당된 네트워크상 주소를 사용한다.), 중계 장치(104)에 네트워크 접속 사실을 알린다. 중계 장치(104)는 휴대형 서버(101)가 통신이 가능했음을 알고 통신 연결한다. 둘째, 동적 할당 방법을 본 발명에 적용시키는 예를 설명한다. 이 경우는 상술한 정적 할당의 과정과 거의 유사하다. 다만, 휴대형 서버(101)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사전에 할당된 네트워크상 주소를 사용하지 않고, DHCP를 통해 네트워크상 주소를 부여받고, 중계 장치(104)가 새로운 네트워크상 주소를 사용하여 테이블을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테이블의 콘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다른 점이다.On the other hand, there are a static allocation method and a dynamic allocation method for assigning an address on a network to the portable server 101. First, an example of applying the static allocation metho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The relay device 104 stores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address on the network of the portable server 101 in advance. When the client attempts to connect to the portable server 101, the relay device 104 recognizes the client's request and checks whether the portable server is currently connected to the network. If the portable server 101 is connected to the network, the communication is connected. If the portable server 101 is not connected to the network, the portable server 101 is notified of the connection request through SMS. The portable server receiving the SMS connects to the network (at this time, uses a pre-assigned address on the network) and informs the relay device 104 of the network connection. The relay device 104 knows that the portable server 101 has been able to communicate, and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Second, an example of applying the dynamic allocation metho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is case is almost similar to the process of static allocation described above. However, when the portable server 101 connects to the network, the mobile server 101 does not use a pre-assigned network address but receives an address on the network through DHCP, and the relay device 104 updates the table using the new network address. The difference is that you use the contents of the updated table.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요청수신부(300), 메시지송신부(310) 및 접속중계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의 중계장치는 클라이언트와 서버용 단말기 간의 접속을 중계하는 장치로서, 도 1의 중계 장치(104)에 해당된다.3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request receiver 300, a message transmitter 310, and a connection relay 320. The relay device here is a device for relay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client and the server terminal, and corresponds to the relay device 104 of FIG.

도 3a를 참조하면, 요청수신부(300)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단말기로의 접속 요청을 수신한다. 여기서, 요청수신부(300)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며, 그 수신 방법의 예로는, 수신된 접속 요청 메시지에 고유 식 별번호를 포함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the request receiver 300 receives a connection request from a client to a terminal. Here, the request receiving unit 300 receives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terminal from the client, an example of the receiving method is a method of including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in the received connection request message.

메시지송신부(310)는 수신된 접속 요청을 기초로, 망에 접속하라는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한다. 메시지 송신부(310)는 수신된 고유 식별번호를 기초로, 문자 메시지 등으로 망 접속 명령을 내리는 것이다.The message transmitter 310 transmits a message to the terminal to access the network based on the received access request. The message transmitter 310 issues a network access command through a text message based on the received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접속중계부(320)는 상기 메시지에 따른 상기 단말기의 망 접속을 감지하여 상기 수신된 접속 요청을 상기 단말기로 중계한다.The connection relay unit 320 detects the network connec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message and relays the received connection request to the terminal.

한편, 도 3a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각 단말기의 네트워크상 주소 및 고유식별번호를 저장 및 갱신하는 단말기 정보 관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속중계부(320)는 저장된 네트워크상 주소 중 접속 요청 대상인 단말기의 고유식별번호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상 주소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네트워크상 주소를 기초로 상기 단말기로 상기 수신된 접속 요청을 중계한다. 단말기 정보 관리부는 도 2의 테이블의 형태로 각 단말기의 네트워크상 주소 및 고유 식별번호를 저장 및 갱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Figure 3a, it may further include a termi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not shown) for storing and updating the address and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n the network of each terminal. In this case, the connection relay unit 320 extracts an address on the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terminal to which the connection request target is from among the stored network addresses, and receives the received connection request from the terminal on the basis of the extracted network address. Relays The terminal information manager may store and update an address and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n each network in the form of a table of FIG. 2.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메시지수신부(340), 망 접속부(350) 및 접속수신부(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의 서버용 단말기는 도 1의 휴대형 서버(101)에 해당된다.3B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rv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message receiver 340, a network connection unit 350, and a connection receiver 360. The server terminal here corresponds to the portable server 101 of FIG.

도 3b를 참조하면, 메시지수신부(340)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한 중계 장치로부터 망에 접속하라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메시지에는 망 접속 결과를 보고하는 URL이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B, the message receiver 340 receives a message for accessing a network from a relay device that receives a connection request from a client. Here, the message may include a URL for reporting a network access result.

망 접속부(350)는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망에 접속한다. 특히, 망 접속 결과를 보고하는 URL을 망 접속부(350)가 알고 있다면, 망 접속부(350)는 망에 접속한 결과를 상기 URL로 송신한다. 한편, 망에의 접속여부 결정은 서버용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행해질 수도 있지만, 수신된 접속 요청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면 망에 자동 접속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이 경우 사용자의 불필요한 개입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The network connection unit 350 connects to the network based on the received message. In particular, if the network connection unit 350 knows the URL for reporting the network connection result, the network connection unit 350 transmits the result of accessing the network to the URL. On the other hand,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to connect to the network may be performed by the user of the server terminal, but it is also possible to automatically connect to the network if the received connection request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That is,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no unnecessary intervention of the user.

접속수신부(360)는 상기 접속된 망에서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의 접속 요청을 중계받는다.The connection receiving unit 360 relays the client's connection request from the relay device in the connected network.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버용 단말기로의 접속요청을 수신한다(S400). 그 다음, 수신된 접속 요청을 기초로, 망에 접속하라는 메시지를 서버용 단말기로 송신한다(S410). 서버용 단말기가 수신된 메시지에 응답하여 망에 접속하게 된다. 그 후, 서버용 단말기의 망 접속을 감지하여 상기 수신된 접속 요청을 상기 단말기로 중계한다(S420). 여기서, S410단계에서 송신되는 메시지에는 단말기가 망 접속 결과를 보고하는 URL을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S420 단계는 망 접속 결과가 상기 URL에 보고되는 것을 기초로 서버용 단말기의 망 접속을 감지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4, an access request from a client to a server terminal is received (S400). Next, based on the received access request, a message to connect to the network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terminal (S410). The server terminal accesses the network in response to the received message. Thereafter, network connection of the server terminal is detected and the received connection request is relayed to the terminal (S420). In this case, the message transmitted in step S410 may include a URL for the terminal to report the network connection result. In this case, step S420 is for detecting the network connection of the server terminal based on the network connection result reported in the URL.

한편, S400 단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버용 단말기의 고유 식별번호를 수신하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S410단계는 수신된 고유식별번호를 이용하여, 망에 접속하라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step S400 may be implemented as a method of receiving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erver terminal from the client, in this case, step S410 is to send a message to access the network using the received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 방법은 각 단말기의 네트워크상 주소 및 고유식별번호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가 빈번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그에 따라 네트워크 주소가 매번 바뀌는 경우에 대처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주소 등을 갱신한다. 이 경우, S420 단계는 저장된 네트워크상 주소 중 상기 접속 요청 대상인 단말기의 고유식별번호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상 주소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네트워크상 주소를 기초로 상기 단말기로 상기 수신된 접속 요청을 중계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e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storing in advance the address and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n the network of each terminal. In this case, the network address and the like are updated so that the terminal frequently accesses the network and copes with the case where the network address changes every time. In this case, step S420 extracts a network address corresponding to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terminal that is the target of the access request from the stored network addresses, and relays the received access request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extracted network address. will b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서버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server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한 중계 장치로부터 망에 접속하라는 메시지를 수신한다(S500).Referring to FIG. 5, a message for accessing a network is received from a relay device that receives an access request from a client (S500).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망에 접속한다(S510). 여기서, 망에 접속할지 여부는 사용자의 결정에 따를 수도 있지만, 수신된 접속 요청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면 망에 자동 접속하는 기능이 서버용 단말기에 구비된 경우, 사용자의 번거로운 결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On the basis of the received message, access to the network (S510). Here, whether or not to connect to the network may be determined by the user. However, if the server terminal is provided with a function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to the network when the received connection request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the user may not have to make a troublesome decision. .

접속된 망에서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의 접속 요청을 중계받는다(S520).In step S520, the access request of the client is relayed from the relay device in the connected network.

본 발명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주소록 공유, 일정 관리, 텔레메틱스 단말기의 교통정보 제공, 텔레메틱스 단말기의 교통정보 수신과 관련하여 예를 든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 address book sharing, schedule management,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of a telematics terminal, and receiving traffic information of a telematics terminal are given.

첫째, 주소록 공유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갑의 주소록에는 을, 병의 전화 번호가 있지만, 병의 주소록에는 갑의 전화번호만 있는 경우로서, 병은 을에게 전화하려 하지만, 전화번호가 없기 때문에 갑의 주소록을 통해 을의 전화번호를 알아내려고 하는 경우를 전제로 한다. 먼저, 병의 휴대폰은 갑의 주소록에 접근해 을의 전화번호를 얻어오려고 시도한다. 갑의 휴대폰은 병의 휴대폰이 접속을 시도하는 것을 중계수단을 통해 알아채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병의 휴대폰 접속을 기다린다. 그 다음, 중계 수단의 도움으로 병의 휴대폰은 갑의 휴대폰에 접속해 을의 전화번호를 얻고, 을의 전화번호를 저장한다. 결국, 갑의 휴대폰은 정보를 제공해주는 휴대형서버의 역할을 수행하여 병의 휴대폰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First, the address book sharing will be described. If you have a phone number in your address book, but you have only a phone number in your address book, and the bottle tries to call you, but you do not have a phone number. On the premise that First, the bottle's cell phone tries to get A's phone number by accessing A's address book. A's cell phone recognizes the bottle's cell phone attempting to connect through a relay means, and connects to the network and waits for a bottle cell phone connection. Then, with the help of the relay means, the bottle's cell phone connects to the cell phone of Gap, obtains the phone number and stores the phone number. Eventually, A's cell phone serves as a portable server that provides information to provide information to a bottle's cell phone.

둘째, 일정관리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을이 갑과 약속잡기를 희망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먼저, 을은 자신의 휴대폰을 통해 갑과 점심식사 약속을 잡으려 한다. 을의 휴대폰은 갑의 일정 관리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갑이 같은 시각에 겹치는 약속이 없는지 확인하려 한다. 갑의 휴대폰은 을의 휴대폰에 접속하려 한다는 사실을 중계수단을 통해 알아채고, 네트워크에 접속해 을의 휴대폰 접속을 기다린다. 을의 휴대폰은 갑의 휴대폰에 접속해 갑이 해당 시각에 겹치는 약속이 있는지 확인하고, 약속을 잡는다. 그 다음, 갑의 휴대폰은 을이 약속을 잡으로 한다는 갑에게 사실을 알리고, 갑의 확인을 기다린다. 갑이 약속을 승인하면 약속이 잡히고, 갑과 을의 일정 관리 응용프로그램은 모두 데이터를 업데이트 한다. 결국, 갑의 휴대폰은 정보를 제공하는 휴대형서버의 역할을 하며, 겹치는 약속 시간이 있는지 확인해주고, 갑에게 알려 약속을 잡는 서비스를 제공한다.Second, it explains with respect to schedule management. For example, if you want to make an appointment with A. First, Eul tries to make a lunch appointment with Gap on his cell phone. A's cell phone uses A's schedule management application to check that A's appointments do not overlap at the same time. A's cell phone recognizes that he wants to access his cell phone, and then connects to the network and waits for his cell phone access. Eul's cell phone connects to A's cell phone to see if he has an overlapping appointment at that time and makes an appointment. A's cell phone then informs him that he is making an appointment and waits for him to confirm. When A accepts the appointment, the appointment is made, and both A and B's scheduling application update the data. Eventually, A's cell phone acts as a portable server to provide information, checks for overlapping appointment times, and provides A to service A's appointment.

셋째, 텔레메틱스 단말기의 교통 정보 제공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자동차에 탑재된 텔레메틱스 단말기를 교통 정보의 제공자로 활용하는 것이다. 마포 대교를 달리는 자동차들의 평균 속도를 얻으려 할 경우를 예로 든다. 먼저,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가 마포 대교 상에 있는 자동차에 접속을 시도한다.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의 접속 시도를 중계 수단을 통해 인지한 텔레메틱스 단말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교통 정보 수집 장치의 접속을 기다린다. 중계 수단의 도움으로 교통 정보 수집 장치는 텔레메틱스 단말에 접속해 주행 속도 정보를 가져온다. 결국, 텔레메틱스 단말이 실시간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휴대형 웹서비스 서버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Third, the traffic information of the telematics terminal will be described. The telematics terminal mounted in the car is used as a provider of traffic information. Take the example of trying to get the average speed of cars running on Mapo Bridge. First, a device for collecting traffic information attempts to connect to a car on Mapo Bridge. The telematics terminal, which has recognized the connection attempt of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traffic information through a relay means, connects to the network and waits for access of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traffic information. With the aid of the relay means,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accesses the telematics terminal and retrieves the traveling speed information. As a result, the telematics terminal serves as a portable web service server providing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넷째, 텔레메틱스 단말기의 교통 정보 수신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실시간 교통 정보를 반영하여 길을 안내하는 텔레메틱스 단말기에 교통 정보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는 경우 텔레메틱스 단말의 교통 정보 업데이트를 유도하는 것을 예로 든다. 먼저, 지능형 교통 시스템(Intelligent Transformation System : 이하, ITS라 칭함) 서버가 텔레메틱스 단말에 접속을 시도한다. 텔레메틱스 단말은 ITS 서버가 접속을 시도함을 중계 수단을 통해 알아채고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그 다음, ITS 서버가 텔레메틱스 단말에 접속해 현재의 교통 상황을 전달한다. 결국, 텔레메틱스 단말에 긴급으로 업데이트해야 할 교통 정보가 있을 때, 텔레메틱스 단말에 접속하여 교통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Fourth, a description will be given regarding the traffic information reception of the telematics terminal. For example, when it is necessary to update traffic information in a telematics terminal guiding a road reflecting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the traffic information of the telematics terminal is induced. First, an Intelligent Transformation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ITS) server attempts to access a telematics terminal. The telematics terminal recognizes that the ITS server attempts to connect to the network through a relay means. The ITS server then connects to the telematics terminal and delivers the current traffic conditions. As a result, when there is traffic information to be urgently updated in the telematics terminal, the telematics terminal accesses and transmits the traffic information.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which are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clude.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러한 본원 발명인 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Such a method and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for clarity,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사용할 때 클라이언트의 역할만 하던 간헐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이 가능한 단말기가 타 클라이언트의 접속을 받아들일 수 있는 서버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간헐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이 가능한 단말기가 서버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면 엠투엠(M2M) 통신의 영역이 넓어지고, 간헐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이 가능한 단말기가 웹 서비스(Web Service)의 서버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단순히 서버역할을 하는 개체가 늘어나는데 그치지 않고, 웹 서비스(Web Service) 등을 이동 중에도 충실히 지원할 수 있어 진정한 유비쿼터 스(ubiquitous) 환경을 이루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capable of intermittently accessing the network, which used only a role of a client when using a network, can serve as a server that can accept a connection of another client. When a terminal that can access the network intermittently serves as a server, the area of M2M communication becomes wider, and a terminal that can access the network intermittently can serve as a server of a web service. Not only does this increase the number of objects that act as servers, but it can also be a great help in creating a true ubiquitous environment because it can faithfully support Web services on the go.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간헐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이 가능한 단말기가 네트워크 투명하게(transparently) 서버 역할을 한다는데 있다. 간헐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이 가능한 단말기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클라이언트는 간헐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이 가능한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고유 식별번호를 사용해 접근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입장에서는 간헐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이 가능한 단말기에 접속하는 것이 항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있는 단말기에 접근하는 것과 다르지 않아 보이므로, 클라이언트에 네트워크 투명성을 제공한다.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the network intermittently serves as a network transparently server. A client who wants to receive services by connecting to a terminal that can access the network intermittently can access it using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a terminal that can access the network intermittently is connected to the network. From a client's point of view, accessing a terminal that is intermittently accessible to the network is no different than accessing a terminal that is always connected to the network, thus providing network transparency to the client.

본 발명을 활용하여 간헐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이 가능한 단말기가 서버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면, 개개인은 자신이 보유한 정보를 자연스럽게 공유할 수 있고, 텔레메틱스(telematics)등에서는 지능형 교통 서비스(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ervice)에 유용한 정보들을 쉽게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외에도 수 많은 부가 서비스가 가능해져 간헐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이 가능한 단말기의 서버로서의 활용을 통해 사용자의 삶을 윤택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If the terminal capable of intermittently accessing the network us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act as a server, individuals can naturally share their own information, and in telematic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ervices (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It will be easy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the service. In addition, a number of additional services are available, and it is expected that the user's life can be enhanced by utilizing the terminal as a server of an intermittent network.

경제적으로는 에스엠에스(SMS) 송신의 증가와 무선 네트워크의 트래픽 증가로 인해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시장의 규모가 확대되어 경제의 흐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Economically, the increase of SMS transmission and the increase of traffic of wireless network will expand the market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ich will greatly help the economic flow.

Claims (15)

복수의 단말기가 존재하는 망에서 하나의 단말기(서버용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해 서버로서 동작하도록 단말기들간의 접속을 중계하는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relaying connections between terminals such that one terminal (terminal for a server) operates as a server with respect to another terminal (client terminal) in a network in which a plurality of terminals exist.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버용 단말기로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부;A request receiving unit which receives a connection request from the client terminal to the server terminal; 상기 수신된 접속 요청을 기초로, 망에 접속하라는 메시지를 상기 서버용 단말기로 송신하는 메시지송신부; 및A message transmitter which transmits a message for accessing a network to the server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access request; And 상기 메시지에 따른 상기 서버용 단말기의 망 접속을 감지하여 상기 수신된 접속 요청을 상기 서버용 단말기로 중계하는 접속중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And a connection relay unit for detecting a network connection of the server terminal according to the message and relaying the received connection request to the serv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요청수신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버용 단말기의 고유식별번호를 수신하고,The request receiving unit receives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erver terminal from the client terminal, 상기 메시지송신부는 상기 수신된 고유식별번호를 기초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서버용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And the message transmitting unit transmits the message to the server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각 단말기의 네트워크상 주소 및 고유식별번호를 저장 및 갱신하는 단말기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termin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storing and updating the address and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n the network of each terminal, 상기 접속중계부는 상기 저장된 네트워크상 주소 중 상기 서버용 단말기의 고유식별번호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상 주소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네트워크상 주소를 기초로 상기 서버용 단말기로 상기 수신된 접속 요청을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The connection relay unit may extract a network address corresponding to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erver terminal among the stored network addresses, and relay the received connection request to the server terminal based on the extracted network address. Re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시지는 상기 서버용 단말기가 망 접속 결과를 보고하는 URL을 포함하고,The message includes a URL for reporting the network connection result of the server terminal, 상기 접속중계부는 상기 서버용 단말기의 망 접속 결과가 상기 URL에 보고되는 것을 기초로 상기 서버용 단말기의 망 접속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And the connection relay unit detects a network connection of the server terminal based on the network connection result of the server terminal being reported in the URL. 타 단말기의 접속 요청에 따라 망에 접속하라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Messag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message to connect to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connection request of the other terminal;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망에 접속하는 망 접속부; 및A network connection unit connecting to a network based on the received message; And 상기 접속된 망에서 상기 타 단말기의 접속 요청을 중계받는 접속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And a connection receiving unit which receives a connection request of the other terminal in the connected network.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메시지수신부는 망 접속 결과를 보고하는 URL을 수신하고,The message receiving unit receives a URL for reporting a network connection result, 상기 망에 접속한 결과를 상기 URL로 보고하는 접속보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And a connection reporter for reporting the result of accessing the network to the UR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망 접속부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network connection portion 상기 수신된 메시지 내의 접속 요청을 기초로 상기 망에 자동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And automatically access the network based on a connection request in the received message. 복수의 단말기가 존재하는 망에서 하나의 단말기(서버용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대해 서버로서 동작하도록 단말기들간의 접속을 중계하는 방법에 있어서,In a method of relaying connections between terminals such that one terminal (terminal for a server) operates as a server to another terminal (client terminal) in a network in which a plurality of terminals exist.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버용 단말기로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Receiving a connection request from the client terminal to the server terminal; 상기 수신된 접속 요청을 기초로, 망에 접속하라는 메시지를 상기 서버용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Based on the received connection request, transmitting a message for connecting to a network to the server terminal; And 상기 메시지에 따른 상기 서버용 단말기의 망 접속을 감지하여 상기 수신된 접속 요청을 상기 서버용 단말기로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법.And detecting the network connection of the server terminal according to the message and relaying the received connection request to the server terminal.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버용 단말기의 고유 식별번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The receiving step includes receiving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erver terminal from the client terminal,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고유식별번호를 기초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서버용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법.The transmitting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message to the server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각 단말기의 네트워크상 주소 및 고유식별번호를 저장 및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And storing and updating the address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n the network of each terminal, 상기 중계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네트워크상 주소 중 상기 서버용 단말기의 고유식별번호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상 주소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네트워크상 주소를 기초로 상기 서버용 단말기로 상기 수신된 접속 요청을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법.The relaying may include extracting a network address corresponding to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erver terminal among the stored network addresses, and relaying the received access request to the server terminal based on the extracted network address. Relay method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메시지는 상기 서버용 단말기가 망 접속 결과를 보고하는 URL을 포함하고,The message includes a URL for reporting the network connection result of the server terminal, 상기 중계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용 단말기의 망 접속 결과가 상기 URL에 보고되는 것을 기초로 상기 서버용 단말기의 망 접속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법.The relaying may include detecting network connection of the server terminal based on the network connection result of the server terminal being reported in the URL. 타 단말기의 접속 요청에 따라 망에 접속하라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message for accessing a network according to an access request of another terminal;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망에 접속하는 단계; 및Accessing a network based on the received message; And 상기 접속된 망에서 상기 타 단말기의 접속 요청을 중계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서버 동작 방법.And receiving a connection request of the other terminal from the connected network.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망 접속 결과를 보고하는 URL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The receiving step includes receiving a URL for reporting a network connection result, 상기 망에 접속한 결과를 상기 URL로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서버 동작 방법.And reporting the result of accessing the network to the UR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necting step 상기 수신된 메시지 내의 접속 요청을 기초로 상기 망에 자동으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서버 동작 방법.Automatically connecting to the network based on the connection request in the received message.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4.
KR1020060013329A 2005-12-08 2006-02-11 Relay apparatus, mobile terminal for server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KR1007598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329A KR100759804B1 (en) 2005-12-08 2006-02-11 Relay apparatus, mobile terminal for server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9287 2005-12-08
KR1020050119287 2005-12-08
KR1020060013329A KR100759804B1 (en) 2005-12-08 2006-02-11 Relay apparatus, mobile terminal for server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958A KR20070060958A (en) 2007-06-13
KR100759804B1 true KR100759804B1 (en) 2007-09-20

Family

ID=38356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329A KR100759804B1 (en) 2005-12-08 2006-02-11 Relay apparatus, mobile terminal for server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980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285B1 (en) * 2010-08-25 2017-03-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e managing in collecting information environment
KR101650152B1 (en) * 2010-08-25 2016-08-2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data managing in in collecting information environ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666A (en) * 2000-12-23 2002-06-29 윤종용 Mobile terminal for use in serv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030005138A (en) * 2001-06-15 200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of sharing mutually a data for mobile phone users
KR20060013579A (en) * 2006-01-19 2006-02-10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666A (en) * 2000-12-23 2002-06-29 윤종용 Mobile terminal for use in serv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030005138A (en) * 2001-06-15 200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of sharing mutually a data for mobile phone users
KR20060013579A (en) * 2006-01-19 2006-02-10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958A (en)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5482B1 (en) Service layer device location management and privacy control
US9723428B2 (en) Internet-of-things system for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20060073788A1 (en) Context based connectivity for mobile devices
CN101616132B (en) Method for acquiring data, device and system thereof
CN105453047A (en) Internet of things (IoT) adaptation services
JP2008131594A (en) Applic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090019056A1 (en) Method, Sensor Network, and Sensor Node for Accessing Sensed Data
US93575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data over wireless adhoc network
Couderc et al. Improving level of service for mobile users using context-awareness
US20110105024A1 (en) Transport independent service discovery
US20100222080A1 (en) Context aware wireless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CN103401943A (en) Information sha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WIFI
KR10072234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ring positional informations of information terminal user
JP2001359169A (en)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KR100759804B1 (en) Relay apparatus, mobile terminal for server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CN107950005A (en) Service element Selection of chiller
CN102571935B (en) A kind of method of transfer of data, client, server and system
JP2005143100A (en) Erp access method from mobile device
EP1794935A1 (en) Context based connectivity for mobile devices
JP2002369264A (en) Service providing method by distributed system
EP2317726A1 (en) Transport independent service discovery
Al-Awami et al. Vehicle to Infrastructure in a Semi Dynamic Environment Based on A Novell IoT 7th Layers Framework
KR101528529B1 (en) Method of providing user group service,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relay server performing the same
JP2005203965A (e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ommunication server, data distribution method, and server program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with the program stored
Al-awami et al. A Proposed Unified Standard IoT-Based Architecture Based on 7-Layers Framework (Case Applied: Car Accid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