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9518B1 -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9518B1
KR100759518B1 KR1020040073827A KR20040073827A KR100759518B1 KR 100759518 B1 KR100759518 B1 KR 100759518B1 KR 1020040073827 A KR1020040073827 A KR 1020040073827A KR 20040073827 A KR20040073827 A KR 20040073827A KR 100759518 B1 KR100759518 B1 KR 100759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t
bad breath
oral
mouthwash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4950A (ko
Inventor
정충현
Original Assignee
정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충현 filed Critical 정충현
Priority to KR1020040073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9518B1/ko
Publication of KR20060024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4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5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4Phosphoro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2Oral administ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성의 제 1제제와, 염기성의 제 2제제로 이루어지는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산성의 제1제제와 염기성의 제2제제를 약 1:1로 배합하여 사용하면 다양한 pH 조건의 구취 유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구치 예방 및 억제의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치아 변색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게 된다.
구취, 미생물, pH, 산, 염기

Description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Oral Composition for suppressing oral malodor}
본 발명은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성의 제 1제제와 염기성의 제 2제제로 이루어지며, 사용시 약 1:1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에 의해 우수한 구취 예방 및 억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취는 후천적인 전신질환에 의해서나, 타액중의 단백질, 음식물 찌꺼기 등이 구강내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생성된 아미노산이 탈회산 효소나 아미노 효소 등에 의해 분해되어 악취를 유발하는 물질을 생성하므로써 발생되는데, 이러한 구취 유발물질로는 황화수소(H2S), 메틸머캅탄(CH3SH), 디메틸머캅탄[(CH3)2S] 등의 휘발성 황화물(volatile sulfide compounds; VSC), 휘발성 아민화합물, 알데히드, 지방산, 암모니아, 피리딘 등이 있다. 또한, 마늘이나 고추 등을 섭취하는 경우 이들 물질에 함유되어 있는 황화물에 의해서도 구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구강내의 구취를 예방 또는 억제하기 위해서는 구취를 유발하는 원인물질들을 제거하거나 구취 유발의 1차 원인인 구강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야 하므로, 종래에는 죽염, 녹차 플라보노 성분, 감잎 추출물 등을 사용하여 휘발성 황 화합물의 제거하거나, 트리클로산, 염산클로로헥시딘 등의 구강용 항균제를 사용하여 구취 유발 원인 미생물을 제거하여 구취를 예방 또는 억제하여 왔다.
그러나, 구취를 유발하는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은 단기적으로 구취를 예방 및 억제할 수는 있지만 구취를 유발하는 1차 원인인 미생물이 구강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장기간 효과를 지속할 수 없는 문제점이 었었다.
또한, 구취 유발 원인 미생물을 제거하는 방법은 구취 유발 원인 미생물마다미생물의 증식을 억제시킬 수 있는 항균제가 상이하므로, 이에 적합한 항균제를 선정하는 것이 쉽지 않고, 항균제에 따라서는 치아를 변색시키는 등 부작용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 없이 간단하게 다양한 구취 유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구취를 효과적으로 예방 및 억제할 수 있는 구강 위생용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구강용 조성물을 산성의 제 1제제와, 염기성의 제 2제제로 구성하고, 이들을 약 1:1로 배합하여 사용하면 구강내에 산성, 염기성 및 중성의 pH가 모두 존재하게 되어 구취 유발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증식을 억제하는 pH 조건이 상이한 점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어 우수한 구취 예방 및 억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치아 변색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 없이 간단하게 다양한 구취 유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우수한 구취 예방 및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은 산성의 제 1제제 및 염기성의 제 2제제로 이루어지고, 이들을 약 1:1의 비율로 배합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강 조성물은 산성의 제 1제제와, 염기성의 제 2제제로 이루어지고, 이들을 약 1:1의 비율로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자들은 하기 사실들로부터 구취 유발 미생물마다 이들의 증식을 억제시킬 수 있는 유효 pH의 범위가 상이한 바, 구취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구강내의 pH가 이러한 구취 유발 미생물들의 증식억제를 위한 유효 pH 범위를 모두 만족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하 구강 내 구취 발생 미생물의 특성 및 이에 대한 기작에 대해 상술한다.
첫째, 구강 내에서 구취는 폭넓은 pH 범위에서 증식하는 후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Fusobacterum nucleatum), 베리오넬라 알카르센스(Veionella alcalescens), 포르피로모나스 긴기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프레보텔라 인터메디아(Prevotella intermedia), 프레보텔라 로에스치(Prevotella loeschii), 트레포네마 덴티콜라(Treponema denticola), 클레브시엘라 뉴모니에(Klebsiella pneumonieae) 등의 미생물에 의해서 유발된다.
둘째, 인간이 병균이나 미생물이 많이 들어있는 음식물을 섭취하더라도 병에 감염되지 않는 것은 음식물의 병균이나 미생물들이 위속에서 pH 2 내지 3 정도의 강산성인 위산에 의해 죽기 때문으로 산성 조건하에서는 대부분 미생물의 증식이 억제될 수 있다.
셋째, 타액은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데, 이의 pH는 7이다. 넷째, 미생물의 엽록소나 DNA, ATP 등은 산성 조건하에서 분해되고, RNA나 인지질 등은 알칼리성 조건하에서 분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사실에 의해 산성의 제 1제제와 염기성의 제 2제제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구강 조성물을 제안하였고, 각각의 제제를 약 1:1의 비율로 배합하여 사용하면 구강내에 제 1제제의 산성 부분; 제 1제제와 제 2제제가 반응한 중성부분(대략, 제 1제제의 산성과 제 2제제의 염기성의 중간 pH를 의미함); 및 제 2제제의 염기성 부분이 존재하게 되어 다양한 구취 유발 미생물들의 증식 억제를 위한 유효 pH가 만족되므로 많은 종류의 구취 유발 미생물의 증식이 억제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구강 조성물에서 산성의 제 1제제는 산성의 pH 조정제를 사용하여 pH를 2 내지 7로 조정한 것이다. 이때, 제 1 제제의 pH를 2이상으로 한 이유는 pH가 2미만인 경우에는 치아 경조직의 부식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되는 산성의 pH 조정제는 통상의 구강 조성물에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구연산, 주석산, 붕산, 인산, 염산 등이 사용가능하다.
한편, 염기성의 제 2제제는 염기성의 pH 조정제를 사용하여 pH를 7 내지 12로 조정한 것이다. 이때, pH를 12이하로 한 이유는 pH가 1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치아 및 잇몸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염기성 pH 조정제는 통상의 구강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가 한정되지 않으며, 제1인산나트륨, 제2인산나트륨, 제3인산나트륨, 구연산나트륨, 주석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슘,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이나트륨(EDTA 2Na) 등이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강 조성물에서 제 1제제와 제 2제제는 페이스트상, 액상 또는 정제 형태를 갖는데, 제 1제제와 제 2제제는 동일한 형태이어야 한다.
상기 제 1제제 및 제 2제제가 페이스트상 또는 액상인 경우에는 사용할 때만 이들이 혼합되어 반응하도록 각각의 제제를 격막이 있는 이중 용기 또는 별도의 용기에 보관한다. 또한, 상기 격막이 있는 이중 용기 등에서는 상기 제 1제제와 제 2제제가 동량 토출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이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이중용기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한국특허공개 제 2003-60753호에 개시되어 페이스트의 토출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강 조성물에서 상기 제 1제제 및 제 2제제가 정제형인 경우에는 각각의 정제를 사용하기 직전에 물에 용해시킨 후, 이들 용액을 약 1: 1의 비율로 배합하여 구강에 적용한다. 이때, 제 1제제 및 제 2제제를 물에 용해시키는 양은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지만, 정제형 제제 0.01 내지 5g을 음용수 1 내지 2,000㎖에 용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이 산성의 제 1제제 및 염기성이 제 2제제를 동량으로 배합하여 구강에 적용하게 되면 제 1제제의 산성 pH, 제 2제제의 염기성 pH, 제1제제와 제 2제제가 반응한 중성 pH가 구강 내에 존재하게 되어, 구취 유발 원인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다양한 pH 조건이 만족되므로, 다양한 구취 유발 원인 미생물의 증식이 억제되어 우수한 구취 예방 및 억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데, 여기서 제 1제제와 제 2제제가 반응하여 나타내는 중성 pH는 사용된 제 1제제와 제 2제제의 중간 pH로 5 내지 8의 범위에 있는 pH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조성물은 치약, 구강청정제, 구강 세정제 등의 구강 위생증진제의 여러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하 치약, 구강 청정제 및 구강세정제를 예를 들어 각 성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이 구강 조성물이 치약으로 제형화 되는 경우, 본 발명의 치약은 상기 산성의 pH 조정제 및 염기성의 pH 조정제를 필수 성분으로 함유하고, 이외에 연마제, 습윤제, 기포제, 점증제, 보존제, 감미제, 향료, 기타 첨가물 등을 함유한다.
상기 연마제는 치아에 부착된 치구, 치석 따위를 제거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콜로이드성이산화규소, 인산일수소칼슘,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침강실리카, 함수규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습윤제는 치약 조성물내의 물의 증발을 억제하여 상이 공기 중에 노출 될 때에 고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글리세린, 소르비톨액, 비결성 소르비톨액,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 다가 알코올 중에서 1종 내지 2종 이상을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포제는 치약 조성물 내의 수용성 성분과 유용성 성분과의 유화 및 구강 내에서의 세정 효과를 갖는 성분으로서, 라우릴황산나트륨, N-라우로일살코실산나트륨, N-장쇄아실글루탐산염,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코폴리머 등의 음이온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치약 조성물 내의 물에 불용성인 무기분말성분과 액상성분을 결합시켜 시간에 따른 상분리를 방지하며, 조성물에 점성을 부여하는 성분으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라기난, 잔탄검, 폴리비닐 피롤리돈, 알긴산나트륨, 기타 검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존제는 치약 조성물의 보존 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성분으로,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안식향산, 안식향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미제 및 향료는 양치시 맛을 좋게 하고 양치 후 뒷맛을 상쾌하게 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감미제로는 사카린나트륨, 아스파탐, 스테비오사이드, 감초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향료로는 페퍼민트, 스페아민트오일, 멘톨, 카르본, 아네톨, 오이게놀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타 첨가제로서 이산화티탄 등의 증백제, 청색 1호와 같은 식용색소를 착색제로 사용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구강 조성물이 구강 청정제로 제형화 되는 경우, 본 발명의 구강 청정제는 상기 산성의 pH 조정제 및 염기성의 pH 조정제를 필수 성분으로 함유하고, 이외에 습윤제, 감미제, 기포제 및 가용화제, 수렴제, 보존제, 착색제, 향료, 용제 등을 함유한다.
상기 구강 청정제의 성분들은 수렴제로 염화아연을, 용제로 에탄올, 정제수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치약 조성물에서의 각각의 성분들과 동일한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이 구강 조성물이 구강 세정제로 제형화되는 경우, 본 발명의 구강 세정제는 상기 산성의 pH 조정제 및 염기성의 pH 조정제를 필수 성분으로 함유하고, 이외에 발포제, 습기 제거제, 기포제, 결합제, 활택제, 향료, 용제 등을 함유한다.
상기 발포제는 구강세정을 위한 성분으로서,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암모늄, 탄산수소칼륨 및 탄산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습기제거제는 구강 세정제를 무수물 형태의 정제로 제형화하기 위한 성분으로, 탄산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결합제로는 수용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셀룰로오스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스테아릴알콜,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탈크, 경질무수규산 및 안식향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 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안식향산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 치약
비교예 1 내지 3의 치약은 하기의 조성과 함량으로 각각의 성분을 정확히 정량하고 혼합한 후, 일반적인 치약의 제조방법으로 치약 페이스트를 제조하여 일반 치약 용기에 충진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의 치약은 각각 하기의 제 1제제 및 제 2제제의 조성과 함량으로 성분을 정확히 정량하고 혼합한 후, 일반적인 치약의 제조방법으로 치약 페이스트를 각각 제조하였다. 그 다음, 제 1 페이스트와 제 2페이스트를 격막이 있는 치약용기에 충진하였다. 한편, 각각의 실시예들의 제 1 페이스트와 제 2페이스트의 pH를 pH 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하기에 나타내었다.
성분(중량%)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1 2 3 제 1 페이스트 제 2 페이스트 제 1 페이스스 제 2 페이스트 제 1 페이스트 제 2 페이스트
콜로이드성이산화규소 6.00 6.00 6.00 6.00 6.0 6.00 6.0 6.00 6.0
글리세린 20.00 20.00 20.00 20.00 20.0 20.00 20.0 20.00 20.0
함수이산화규소 16.50 16.50 16.50 16.50 16.50 16.50 16.50 16.50 16.50
산탄검 0.30 0.30 0.30 0.30 0.3 0.30 0.3 0.30 0.3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사카린나트륨 0.35 0.35 0.35 0.35 0.35 0.35 0.35 0.35 0.35
청색1호 0.04 0.04 0.04 0.04 0.04 0.04 0.04 0.04 0.04
이산화티탄 0.20 0.20 0.20 0.20 0.20 0.20 0.20 0.20 0.20
라우릴황산나트륨 3.50 3.50 3.50 3.50 3.5 3.50 3.5 3.50 3.5
조합향료 (민트플레버 B70097) 2.00 2.00 2.0 2.00 2.00 2.00 2.00 2.00 2.00
구연산 - 0.8 - 0.8 - 0.35 - 0.2 -
수산화칼륨 (10% 용액) - - 0.5 - 0.5 - - - -
수산화나트륨 - - - - - - 0.64 - -
인산나트륨(Na3PO4) - - - - - - - - 0.5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pH 7.3 4.3 8.5 4.3 8.5 5.07 8.3 5.67 8.48
<시험예 1> pH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치약에 있어서, 각각의 제 1페이스트와 제 2페이스트를 약 1: 1이 비율로 배합하여 혼합하는 것에 의해 이들을 반응시킨 다음 pH미터를 사용하여 pH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제 1 페이스트 제 2 페이스트 제 1 페이스트 제 2 페이스트 제 1 페이스트 제 2 페이스트
반응전 pH 4.3 8.5 5.07 8.3 5.67 8.48
제 1페이스트 및 제 2페이스트의 반응 후 pH 5.4 6.27 7.7
상기 표 1로부터 본 발명의 치약을 구강에 적용하게 되면 구강내에 다양한 pH 범위가 존재하게 되어, 구취 유발 미생물들의 증식 억제를 위하여 요구하는 유효 pH 범위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구취 유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예 2> 항균력 비교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치약 1g을 살균한 인산완충액 19g에 희석 현탁시켜서 하기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즉, 희석한 상기 시험액 2㎖와 혈액 한천 배지(혈액 한천 베이스 + 최종 농도 5%의 양 혈액) 18㎖를 9cm 페트리 디쉬(petri dish)에 부었다. 그 후 시험균을 접종하고, 혐기성 챔버를 이용하여 37℃에서 9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시험균이 자라지 않는 최대희석비율을 MID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Bactron I. anaerobic chamber를 사용).
시험균은 구취원인균인 후소박테리움 누클레아툼(Fusobacterium nucleatum) ATCC 25586과 포르피로모나스 긴기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ATCC 33277를 사용하였다.
시험균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후소박테리움 누클레아툼(Fusobacterium nucleatum) 320 1,800 1,600 2,560 2,400 2,100
포르피로모나스 긴기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120 1,900 1,500 2,560 2,350 2,150
상기 표 2로부터 본 발명의 치약을 사용하게 되면, 산성, 염기성 및 중성의 pH가 구강내에 존재하게 되어, 중성을 나타내는 비교예 1의 일반 치약, 산성을 나타내는 비교예 2의 치약 및 염기성을 나타내는 비교예 3의 치약보다 구취를 유발하는 원인균에 대한 항균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구취 측정
구취 관리가 필요한 환자 가운데 각각 40명씩을 선택하여 상기에서 준비한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내지 3의 치약을 하루 2번씩 1주일 동안 사용하게한 후, 할리미터(halimeter; interscan Co. chartworth. CA. USA)를 사용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입냄새의 감소 유무를 측정하고, 하기의 평가 방법에 따라 판정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참고로 할리미터는 휘발성 황화합물들의 농도를 10억분의 1단위(ppb)로 측정할 수 있는 기기이다.
(1-1) 측정방법
① 할리미터를 측정 시작 전에 최소 30분 동안 전원을 연결시켜 놓는다.
② 할리미터의 수치가 10ppb 사이에 위치하도록 영점 조정을 한다.
③ 측정 전 3분 동안 구강 내에 휘발성 황화합물을 모으기 위해 입을 다물고 있게 한다.
④ 할리미터에 연결되어 있는 1회용 튜브를 조사대상자의 구강내 제1대구치 부위에 점막에 닿지 않도록 삽입한 후, 약 1분 가량 입을 다물도록 한다(바람을 불거나 침을 흡입하지 못하도록 하며, 숨을 참게 하거나 코로 숨을 쉬게 한다).
⑤ 할리미터의 측정결과 최고를 나타내면 기록 후 튜브를 제거한다.
⑥ 다음 측정을 위해서 수치가 다시 10 ppb 사이에 위치할 때까지 기다린다.
⑦ 앞의 과정을 반복해서 3회의 구취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여 기록한다. (1-2) 판독 및 평가 기준
뚜렷한 구취를 못 느낄 정도 : 50ppb~80ppb
구취를 느낄 정도 : 80ppb~150ppb 이상
구취 관리가 필요한 정도 : 150ppb~200ppb
확실한 치료가 필요한 정도 : 200ppb 이상
치료경과에 따른 평균 황 화합물(Volatile Sulfur Compounds) 농도변화
사용전 사용후
비교예 1 1군(20명) 140± 5.4 142± 7.0
2군(20명) 221± 11.2 214± 12.7
비교예 2 1군(20명) 141± 9.5 135± 7.2
2군(20명) 225± 10.5 215± 9.2
비교예 3 1군(20명) 140± 6.5 137± 8.0
2군(20명) 240± 11.6 235± 9.0
실시예 1 1군(20명) 145± 7.2 72± 3.2
2군(20명) 272± 10.4 148± 5.4
실시예 2 1군(20명) 143± 10 102± 5.2
2군(20명) 232± 12.0 180± 7.2
실시예 3 1군(20명) 142± 11.4 120± 4.8
2군(20명) 252± 7.4 203± 6.3
상기 표 3로부터 본 발명의 치약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교예 1의 일반 치약, 비교예 2의 산성 치약, 비교예 3의 염기성 치약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현저한 입냄새의 감소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치아 변색 정도 측정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의 치약을 20 내지 30대의 건강한 사람에게 1주일 동안 사용하게 한 후, 치아 표본을 발취하고, 발취한 치아 표본을 에폭시수지에 고 정시켜 노출면적이 가로 × 세로(2mm × 2mm)가 되도록 시편을 제작한 다음, 색차계(Model : SZ, Nippon Denshoku사)를 이용하여 백색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치약을 사용하기 전의 치아 표본에 대한 백색도를 대조군으로 하여 본 발명의 치약을 사용하였을 때의 치아의 백색도 변화율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백색도 변화율(%) 0 0 0
상기 표 4로부터 본 발명의 치약을 사용하여도 치아 변색 등 부작용이 유발하지 않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4 내지 6> 구강 청정제
실시예 4의 구강 청정제는 하기 제 1제제 및 제 2제제의 조성과 함량으로 성분을 정확히 정량하고 혼합한 후, 일반적인 구강 청정제의 제조방법으로 각각의 구강 청정제를 제조한 다음, 제 1 구강 청정제와 제 2 구강 청정제를 별도의 용기에 충진해 놓고, 하기 실험 바로 직전에 약 1:1의 비율로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비교예 4 내지 6의 구강 청정제는 하기의 조성과 함량으로 각각의 성분을 정확히 정량하고 혼합한 후, 일반적인 구강 청정제의 제조방법으로 구강청정제를 제제조하여 일반 구강 청정제 용기에 충진하였다.
각각의 구강 청정제에 대하여 pH를 측정하고 하기에 나타내었다.
성분(㎎/100㎖) 실시예 4 비교예
제1제제 제2제제 4 5 6
불화나트륨 20 20 20 20 20
에탄올 6.6 6.6 6.6 6.6 6.6
글리세린 6 6 6 6 6
폴리옥실 40 수소화피마자유 30 30 30 30 30
라우릴황산나트륨 100 100 100 100 100
구연산나트륨 100 100 100 100 100
사카린나트륨 20 20 20 20 2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34 34 34 34 34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17 17 17 17 17
염화아연 10 10 10 10 10
Toothpaspe flover AQF 188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창색 1호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구연산 0.35 - - 0.35 -
수산화나트륨 - 0.64 - - 0.64
정제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pH 5.07 8.48 7.5 5.07 8.3
<시험예 5> pH 측정
각각의 별도의 용기에 충진되어 있는 상기 실시예 4의 제 1 구강 청정제 및 제 2 구강 청정제를 약 1:1의 비율로 배합하고 혼합하는 것에 의해 이들을 완전히 반응시킨 다음, pH미터를 사용하여 pH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pH가 6.4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강 청정제를 구강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구강내에 다양한 pH 범위가 존재하게 되어, 구취 유발 미생물들의 증식 억제를 위하여 요구하는 유효 pH 범위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구취 유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예 6> 항균력 비교 시험
상기 실시예 4 및 비교예 4 내지 6의 구강 청정제를 정제수를 사용하여 1:20의 비율로 희석한 시험액을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시험예 2와 동일한 방 법으로 항균력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시험균 실시예 4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6
후소박테리움 누클레아툼(Fusobacterium nucleatum) 2,300 300 1,500 1,700
포르피로모나스 긴기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2,280 130 1,550 1,700
상기 표 5로부터 본 발명의 구강 청정제를 사용하게 되면, 산성, 염기성 및 중성의 pH가 구강내에 존재하여 되어, 중성을 나타내는 비교예 4의 일반 구강 청정제, 약산성을 나타내는 비교예 5의 구강 청정제 및 염기성을 나타내는 비교예 6의 구강 청정제과 비교하여 구취를 유발하는 원인균에 대한 항균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7> 구취 측정
실시예 4 및 비교예 4 내지 6의 구강 청정제를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시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구치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치료경과에 따른 평균 황 화합물(Volatile Sulfur Compounds) 농도변화
사용전 사용후
실시예 4 1군(20명) 140± 10.5 105± 4.8
2군(20명) 235± 11.0 195± 8.5
비교예 4 1군(20명) 141± 6.7 139± 5.4
2군(20명) 220± 10.5 217± 11.5
비교예 5 1군(20명) 142± 7.5 138± 6.3
2군(20명) 235± 12.0 227± 9.0
비교예 6 1군(20명) 145± 8.0 141± 5.4
2군(20명) 240± 10.0 236± 9.0
상기 표 6으로부터 본 발명의 구강 청정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교예 4의 일반 구강 청정제, 비교예 5의 약산성 구강 청정제, 비교예 6의 염기성 구강 청정제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현저한 입냄새의 감소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8> 치아 변색 정도 측정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구강 청정제를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시험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치아의 변색도 변화율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구강 청정제를 사용하여도 치아 변색 등 부작용이 유발되지 않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및 비교예 7 내지 9> 정제형 구강 세정제
실시예 5의 정제형 구강 세정제는 하기의 제 1제제 및 제 2제제의 조성과 함량으로 각각의 성분을 정확히 정량하여 혼합한 후, 타정기를 이용하여 1.0± 0.1g이 되도록 정제를 만들었다. 제 1 정제 및 제 2정제를 각각 10㎖의 물에 희석한 후, 실험직전에 제 1정제액과 제 2 정제액을 각각 5㎖씩을 배합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비교예 7 내지 8의 정제형 구강 세정제도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를 만들었다. 그 다음, 정제를 10㎖의 물에 희석한 후, 하기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각의 정제액에 대한 pH를 측정하여 하기에 나타내었다.
성분(중량%) 실시예 5 비교예
제1제제 제2제제 7 8 9
불화나트륨 20.0 20.0 20.0 20.0 20.0
글리세린 2.0 2.0 2.0 2.0 2.0
탄산수소나트흄 40.0 40.0 40.0 40.0 40.0
탄산나트륨 10.0 10.0 10.0 10.0 10.0
라우릴황산나트륨 3.0 3.0 3.0 3.0 3.0
폴리비닐피롤리돈 3.0 3.0 3.0 3.0 3.0
사카린나트륨 1.0 1.0 1.0 1.0 1.0
7.0 7.0 7.0 7.0 7.0
구연산 0.2 - - 0.2 -
인산나트륨 - 0.5 - - 0.5
pH 5.67 8.48 7.79 5.67 8.48
<시험예 9> pH 측정
각각의 별도의 용기에 희석되어 있는 상기 실시예 5의 제 1 구강 세정제 및 제 2 구강 세정제를 약 1: 1의 비율로 배합하고 혼합하는 것에 의해 이들을 반응 시킨 다음, pH미터를 사용하여 pH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pH가 7.8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강 세정제를 구강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구강내에 다양한 pH 범위가 존재하게 되어, 구취 유발 미생물들의 증식 억제를 위하여 요구하는 유효 pH 범위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구취 유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예 10> 항균력 비교 시험
상기 실시예 5 및 비교예 7 내지 9의 구강 세정제액을 정제수를 사용하여 다시 1:20의 비율로 희석한 시험액을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시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력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시험균 실시예 5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후소박테리움 누클레아툼(Fusobacterium nucleatum) 2,150 290 1,450 1,550
포르피로모나스 긴기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2,200 125 1,400 1,500
상기 표 7로부터 본 발명의 구강 세정제를 사용하게 되면, 산성, 염기성 및 중성의 pH가 구강내에 존재하여 되어, 중성을 나타내는 비교예 7의 일반 구강 세정제, 약 산성을 나타내는 비교예 8의 구강 세정제 및 염기성을 나타내는 비교예 9의 구강 세정제와 비교하여 구취를 유발하는 원인균에 대한 항균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11> 구취 측정
실시예 5 및 비교예 7 내지 9의 구강 세정제를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시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구치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치료경과에 따른 평균 황 화합물(Volatile Sulfur Compounds) 농도변화
사용전 사용후
실시예 5 1군(20명) 143± 10.5 123± 5.4
2군(20명) 250± 8.2 209± 7.0
비교예 7 1군(20명) 142± 9.7 139± 10.0
2군(20명) 242± 8.0 240± 7.5
비교예 8 1군(20명) 141± 10.0 138± 5.1
2군(20명) 240± 9.0 235+7.5
비교예 9 1군(20명) 145± 11.2 142± 9.0
2군(20명) 240± 8.5 235+6.5
상기 표 8로부터 본 발명의 구강 세정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교예 7의 일반 구강 세정제, 비교예 8의 약산성 구강 세정제, 비교예 9의 염기성 구강 세정제 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현저한 입냄새의 감소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12> 치아 변색 정도 측정
실시예 5의 구강 세정제를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시험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치아의 변색도 변화율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구강 세정제를 사용하여도 치아 변색 등 부작용이 유발되지 않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조성물은 통상적인 구강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pH 조정제를 사용하여 pH를 조정하는 것만으로도 구강 내의 다양한 구취 유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어 간단한 방법에 의해 우수한 구취 예방 및 억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취를 유발하는 미생물은 구취뿐만 아니라 치주 질환, 충치 등과도 관련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구강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구취 예방 및 억제 효과 이외에도 치주질환, 충치 등을 부가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pH 조정제들은 통상적으로 구강 조성물에서 사용되어 오던 성분들로 그 안전성이 이미 입증된 성분들이기 때문에, 치아 변색 등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구연산, 주석산, 붕산, 인산 또는 염산으로 구성된 그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산성의 pH 조정제가 포함된 제 1제제와, 제1인산나트륨, 제2인산나트륨, 제3인산나트륨, 구연산나트륨, 주석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또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이나트륨(EDTA 2Na)으로 구성된 그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염기성의 pH 조정제가 포함된 제 2제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제제와 제 2제제를 1:1의 비율로 배합되고, 상기 제 1제제는 pH가 4 내지 6.5로 조정되며, 상기 제 2제제는 pH가 7.5 내지 10으로 조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제제 및 제 2제제는 페이스트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억제용 조성물.
  7. 제 6에 있어서, 상기 제 1제제 및 제 2제제가 격막이 있는 이중용기 또는 별도의 용기에 충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
  8. 삭제
  9. 제 5항에 있어서, 제 1제제와 제 2제제를 1:1의 비율로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에 의해 구강내에 산성, 염기성 및 중성의 pH가 모두 나타남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
  10. 삭제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조성물은 치약, 구강 청정제 또는 구강 세정제로 제형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
KR1020040073827A 2004-09-15 2004-09-15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 KR100759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827A KR100759518B1 (ko) 2004-09-15 2004-09-15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827A KR100759518B1 (ko) 2004-09-15 2004-09-15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950A KR20060024950A (ko) 2006-03-20
KR100759518B1 true KR100759518B1 (ko) 2007-09-18

Family

ID=37130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827A KR100759518B1 (ko) 2004-09-15 2004-09-15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95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536A (ko) 2018-12-17 2020-06-25 진태원 연마제가 무함유된 발포성 고체 구강청결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234A (ko) * 1983-06-16 1985-02-26 원본미기재 구강위생조성물
KR850007377A (ko) * 1984-04-18 1985-12-04 로버트 엘. 미니어 구강 위생 조성물
KR970064588A (ko) * 1996-03-11 1997-10-13 성재갑 상쾌감 및 지속성을 증진시킨 구강용 액체 조성물
JPH1121219A (ja) 1997-07-03 1999-01-26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KR100444893B1 (ko) 2001-12-24 2004-08-21 주식회사 화이투스 치약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234A (ko) * 1983-06-16 1985-02-26 원본미기재 구강위생조성물
KR850007377A (ko) * 1984-04-18 1985-12-04 로버트 엘. 미니어 구강 위생 조성물
KR970064588A (ko) * 1996-03-11 1997-10-13 성재갑 상쾌감 및 지속성을 증진시킨 구강용 액체 조성물
JPH1121219A (ja) 1997-07-03 1999-01-26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KR100444893B1 (ko) 2001-12-24 2004-08-21 주식회사 화이투스 치약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자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536A (ko) 2018-12-17 2020-06-25 진태원 연마제가 무함유된 발포성 고체 구강청결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950A (ko) 2006-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1422A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a C3 -C6 alcohol
RU2535010C2 (ru) Антибактериаль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4- изопропил-3- метилфенол и ионы цинка
US5833952A (en) Oral compositions
KR20160098260A (ko) 구강 관리 조성물
HRP950385A2 (en) Antiseptic dentifrice
EP0854702B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s containing a c 3-c 6 alcohol
US5026539A (en) Anticaries dentifrice
JP2008143825A (ja) 歯磨組成物
EP0616520B1 (en) Phytate-antimicrobial compositions in oral care products
US20040258631A1 (en) Oral care compositions exhibiting antiplaque and breath freshening properties
KR20170103476A (ko) 금앵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1997030685A1 (en) Reduced alcohol mouthwash
CA2754213C (en) Desensitizing dentifrice exhibiting dental tissue antibacterial agent uptake
KR100759518B1 (ko)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
CN116600770A (zh) 具有氟化胺的口腔护理组合物
US20050180927A1 (en) Novel anti-bacterial compositions
KR20170037230A (ko) 카사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110128961A (ko) 녹차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용 조성물
JPH10330230A (ja) 口腔用組成物及び抗菌性の増強方法
KR101818211B1 (ko) 우방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37231A (ko) 퍼슬린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JPH11505819A (ja) ニシン含有組成物
AU2003213864B2 (en) Novel anti-bacterial compositions
US20240130937A1 (en) Oral care composition
JP2001342122A (ja) 口腔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3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