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696B1 -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696B1
KR100755696B1 KR1020050107130A KR20050107130A KR100755696B1 KR 100755696 B1 KR100755696 B1 KR 100755696B1 KR 1020050107130 A KR1020050107130 A KR 1020050107130A KR 20050107130 A KR20050107130 A KR 20050107130A KR 100755696 B1 KR100755696 B1 KR 100755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and
frequency
digital broadcasting
div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7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9871A (ko
Inventor
손주호
류재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7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696B1/ko
Priority to EP06122540A priority patent/EP1786113A2/en
Priority to US11/586,570 priority patent/US20070105513A1/en
Priority to CNA2006101444842A priority patent/CN1964202A/zh
Publication of KR20070049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4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separate antennas for the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via a GHz frequency band, e.g. via satell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는, 제 1 무선 통신 방식의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와 제 2 무선 통신 방식의 제 2 입력 주파수 신호를 공용으로 수신하는 무선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제 1 수신부, 단일 크기의 주파수로 고정된 LO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는 LO 신호 발생부, 상기 제 1 수신부에 의해 증폭된 상기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와 상기 LO 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LO 주파수 신호를 믹싱(mixing)함으로써 주파수가 하향 변환된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믹싱부, 상기 제 1 믹싱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제 1 무선 통신 방식 수신 장치; 및 상기 제 2 입력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제 2 수신부, 상기 LO 신호 발생부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소정 배율로 분주하는 주파수 분주기, 상기 제 2 수신부에 의해 증폭된 상기 제 2 입력 주파수 신호와 상기 주파수 분주기에 의해 분주된 신호를 믹싱함으로써 주파수가 하향 변환된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신호 처리부로 입력시키는 제 2 믹싱부를 포함하는 제 2 무선 통신 방식 수신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인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의 여러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수신 장치로 지상파 DMB와 위성 DMB 규격의 통신 방식의 방송 수신을 동시에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LNA(Low Noise Amplifier), 믹서(Mixer), 전압 제어 발진기(VCO), DMB, T-DMB, S-DMB

Description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WIRELESS RECEIVING DEVICE FOR USING TERRESTRIAL AND SATTELITE DIGITAL BROADCASTING IN COMM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T-DMB 용 수신 장치의 블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S-DMB 용 수신 장치의 블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6 실시예의 방식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제 1 수신부 101: 제 1 저잡음 증폭기(LNA)
102: 제 1 자동 이득 제어기(AGC) 103: PLL 합성기
104: 제 1 전압 제어 발진기(VCO) 105: 제 1 믹싱부
110: 신호 처리부 111: 베이스밴드 자동 이득 제어기
112: 제 1 대역 통과 필터 120: LO 신호 발생부
200: 제 2 수신부
200a: 제 2a 수신부 200b: 제 2b 수신부
201a: 제 2a 저잡음 증폭기 201b: 제 2b 저잡음 증폭기
202a: 제 2a 자동 이득 제어기 202b: 제 2b 자동 이득 제어기
203a: 제 2a 대역 통과 필터 203b: 제 2b 대역 통과 필터
204: 주파수 분주기
204a: 1/2 분주기 204b: 1/14 분주기
205: 제 2 믹싱부 205a: 제 2a 믹싱부
205b: 제 2b 믹싱부 205c: 제 2c 믹싱부
210a, 210b: 버퍼 220: 제 2 전압 제어 발진기
본 발명은 무선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디지털 방송 기술 및 이동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동 중에도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함)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DMB란 무지향성 수신 안테나를 장착한 개인 휴대용 수신기 또는 차량용 수신기를 통해 이동 중에도 다양한 멀티미디어 방송을 다채널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서비스를 말한다. DMB와 같은 통신 방식은 현재 아날로그 TV 방송에 이용되고 있는 초단파 대역을 통하여 이동 중에도 선명한 화질을 수신할 수 있는 일종의 디지털 무선 통신 서비스로 규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DMB의 종류에는 전파 송수신 방식에 따라 지상파 DMB(T-DMB)와 위성 DMB(S-DMB) 방식으로 나뉜다.
T-DMB 는 유럽 디지털 라디오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의 기술 표준인 유레카-147을 기본 규격으로 사용하며 1 개 채널을 쪼개면 3개 블록이 생겨나고 블록당 여러 개의 비디 오 및 오디오 채널이 생기게 된다. S-DMB는 대기권 밖의 위성에서 한반도를 향해 전파를 발사하게 되는데, 지상의 방송 센터에서 각종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위성 주파수(Ku밴드, 12-13㎓)를 통해 위성으로 쏘아 올리면 위성은 이를 DMB용으로 할당된 S밴드(2.630- 2.655㎓)를 통해 지상의 DMB 수신 단말기에 뿌려주게 된다. 위성 신호를 직접 받기가 여의치 않을 경우 위성에서 '갭필러(Gap Filler)'라는 지상의 중계기까지는 Ku 밴드의 하향 주파수를 통해 신호가 보 내진 뒤 갭필러에서 가입자의 수신 단말기까지는 S 밴드를 통해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이다. 주파수는 200㎒ 대역을 사용하며 전파는 장거리에 알맞도록 회절 특성을 갖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T-DMB 용 수신 장치의 블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174~240 MHz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Band Ⅲ 의 주파수 신호가 입력되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상기 신호가 제 1 LNA(Low Noise Amplifier)(11)를 통해 증폭되며, 제 1 AGC(Automatic Gain Control Amplifier)(12) 에 의해 상기 증폭된 신호의 크기가 자동 조절되며, 제 1 BPF(Band Pass Filter)(13)에 의해 특정 범위의 주파수 신호가 통과되어 제 1 믹서(Mixer)(14)로 입력된다. 한편, 제 1 위상 동기 루프(Phase Locked Loop; 이하, PLL이라 칭함) 합성기(15)와 제 1 전압 제어 발진기(VCO)(16)에 의해 발생된 국부 발진(Local Oscillation; 이하, LO라 칭함) 주파수도 상기 제 1 믹서(14)로 입력되기 때문에, 제 1 믹서(14)는 BPF를 통과한 신호와 제 1 전압 제어 발진기(16)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믹싱(mixing)하여 두 주파수의 크기 차에 해당하는 만큼의 크기로 주파수를 하향 변환(Down-Conversion)함으로써 고정된 중간 주파수(IF)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출력된 신호는 또 다른 단의 제 2 BPF(23)를 거쳐 제 2 믹서(24)로 입력되며, 상기 입력된 신호는 제 2 PLL 합성기(27)와 제 2 VCO(28)에 의해 발생된 LO 주파수 신호와 믹싱됨으로써 하향 변환된 신호로 바뀌어 제 3 AGC(25)와 제 3 BPF(28)를 통과하여 출력되게 된다. 그리고, 1450~1492 MHz의 대역을 가지는 L-Band의 주파수 신호가 또 다른 수신 안테나로 입력되면, 제 2 LNA(21)와 제 2 AGC(22) 및 제 2 BPF(23)를 통과하여 제 2 믹서(24)로 입력되게 되며, 상기 입력된 신호는 제 1 믹서(14)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마찬가지의 경로를 거쳐 출력되게 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S-DMB 용 수신 장치의 블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2605~2655 MHz 대역폭을 가지는 입력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면, LNA(31)를 통해 증폭되며, RF AGC(32)에 의해 상기 증폭된 신호의 크기가 자동 조절된 상태로 믹서(33)로 입력된다. 한편, PLL 합성기(36)와 전압 제어 발진기(37)에 의해 발생된 LO 주파수가 믹서(33)로 입력되기 때문에, 믹서(33)는 상기 RF AGC(32)를 통과한 신호와 전압 제어 발진기(37)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믹싱(mixing)하여 두 주파수의 크기 차에 해당하는 만큼의 크기로 주파수를 하향 변환(Down-Conversion)함으로써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믹서(33)에 의해 출력된 신호는 아날로그 처리부인 BB AGC(Basaband Automatic Gain Control Amplifier)(34)와 LPF(Low Pass Filter)(35)를 통과하여 출력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S-DMB 수신 장치와 T-DMB 수신 장치는 각각 S-DMB와 T-DMB 용으로 국한되어 있어서 하나의 수신 장치 IC로 두 가지 방식의 방송 서비스를 동시에 받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수신 장치 내부에 각각의 방식에 해당하는 2 개의 수신 IC를 사용해야 하다면 제품 가격이 올라가고 크기가 증가하게 되어 이동 통신 장치로서의 활용도가 제한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 통신 방식, 특히, 지상파 DMB 와 위성 DMB 규격의 통신 방식의 RF 수신 장치를 원칩(One-Chip)화함으로써,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는, 제 1 무선 통신 방식의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와 제 2 무선 통신 방식의 제 2 입력 주파수 신호를 공용으로 수신하는 무선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제 1 수신부, 단일 크기의 주파수로 고정된 LO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는 LO 신호 발생부, 상기 제 1 수신부에 의해 증폭된 상기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와 상기 LO 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LO 주파수 신호를 믹싱(mixing)함으로써 주파수가 하향 변환된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믹싱부, 상기 제 1 믹싱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제 1 무선 통신 방식 수신 장치; 및 상기 제 2 입력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제 2 수신부, 상기 LO 신호 발생부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소정 배율로 분주하는 주파수 분주기, 상기 제 2 수신부에 의해 증폭된 상기 제 2 입력 주파수 신호와 상기 주파수 분주기에 의해 분주된 신호를 믹싱함으로써 주파수가 하향 변환된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신호 처리부로 입력시키는 제 2 믹싱부를 포함하는 제 2 무선 통신 방식 수신 장치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또는 흐름도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무선 수신 장치는 제 1 무선 통신 방식 수신 장치와 제 2 무선 통신 방식 수신 장치가 하나의 칩에 함께 구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제 1 무선 통신 방식 수신 장치는,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제 1 수신부(100), 단일 크기의 주파수로 고정된 LO 주파수 신 호를 발생시키는 LO 신호 발생부(120), 제 1 수신부(100)에 의해 증폭된 상기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와 LO 신호 발생부(120)에 의해 발생된 LO 주파수 신호를 믹싱(mixing)함으로써 주파수가 하향 변환된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믹싱부(105), 제 1 믹싱부(105)로부터 출력된 상기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1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2 무선 통신 방식 수신 장치는, 제 2 입력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제 2 수신부(200), LO 신호 발생부(120)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소정 배율로 분주하는 주파수 분주기(204), 제 2 수신부(200)에 의해 증폭된 상기 제 2 입력 주파수 신호와 주파수 분주기(204)에 의해 분주된 신호를 믹싱함으로써 주파수가 하향 변환된 신호를 출력하여 신호 처리부(110)로 입력시키는 제 2 믹싱부(205)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무선 통신 방식은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S-DMB) 통신 방식이고, 상기 제 2 무선 통신 방식은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T-DMB) 통신 방식인 경우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상기 도 3의 하단에 회색의 블럭으로 표시되어 있는 S-DMB 통신 방식의 수신 장치를 설명하면, 제 1 수신부(100)와 LO 신호 발생부(120)와 제 1 믹싱부(105)와 신호 처리부(110)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수신부(100)는 2605~2655 MHz 대역의 주파수 범위를 가지는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제 1 저잡음 증폭기(101)와 제 1 저잡음 증폭기(101)로부터 증폭되어 출력된 신호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여 제 1 믹싱부(105)로 출력하는 제 1 자동 이득 제어기(102)로 구성되어 있다. LO 신호 발생부(120)는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전압 제어 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이하, VCO라 칭함)(104)와 위상 동기 루프(Phase Locked Loop; 이하 PLL이라 칭함) 합성기(103)로 구성된다. 전압 제어 발진기(104)는 국부 발진(LO)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후술하게 될 제 1 믹싱부(105)나 T-DMB 방식의 수신 장치에 구비된 주파수 분주기인 1/2 분주기(204a) 또는 1/14 분주기(204b)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PLL 합성기(103)는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104)를 제어하는 제어 전압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위상 동기 루프(PLL)란,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위상차를 검출하고, 이것에 비례한 전압으로 출력 신호 발생기의 위상을 제어함으로써 출력 신호의 위상과 입력 신호의 위상을 같게 하는 회로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PLL 합성기는 위상 비교기, 저역 통과 필터, 오류 증폭기, 전압 제어 발진기 등으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압 제어 발진기(104)를 PLL 합성기(103)와 별도로 분리하여 도시하였다.
한편, 제 1 자동 이득 제어기(102)에 의해 증폭된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2605~2655 MHz)와 전압 제어 발진기(104)에 의해 발생된 LO 주파수 신호를 제 1 믹싱부(105)가 믹싱함으로써 주파수를 하향 변환하여 출력하고, 이렇게 하향 변환하여 출력된 신호는 베이스밴드 자동 이득 제어기(BB AGC)(111)와 제 1 대역 통과 필터(112)로 구성된 신호 처리부(110)로 입력되어 아날로그 신호 처리 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베이스밴드 자동 이득 제어기(111)의 역할은 제 1 믹싱부(105) 또는 T-DMB 방식의 무선 수신 장치의 제 2a 믹싱부(205a)나 제 2b 믹싱부(205b)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신호의 크기를 기저 대역(Basaband)의 주파수 범위 대로 자동 조절하는 것이다. 제 1 대역 통과 필터(112)는 베이스밴드 자동 이득 제어기(111)에 의해 조절된 신호의 특정 대역을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믹싱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 범위에 따라서 저대역 통과 필터(LPF) 또는 대역 통과 필터(BPF)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 3의 상단의 흰색의 블럭으로 표시된 T-DMB 통신 방식의 수신 장치를 설명하면, 제 2 수신부(200)는 L-밴드의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제 2a 수신부(200a)와 밴드-Ⅲ 대역의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제 2b 수신부(200b)로 나누어져 있어 각기 따로 L-밴드와 밴드-Ⅲ 대역의 주파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컨트롤된다. 여기서, L-밴드의 주파수 대역은 1450~1492 MHz이며, 밴드-Ⅲ 대역의 주파수는 174~240 MHz를 가진다.
제 2a 수신부(200a)의 세부적 구성을 설명하면, 제 2a 저잡음 증폭기(201a), 제 2a 자동 이득 제어기(202a) 및 제 2a 대역 통과 필터(203a)를 포함한다. 제 2a 저잡음 증폭기(201a)는 수신된 L-밴드의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한다. 제 2a 자동 이득 제어기(202a)는 제 2a 저잡음 증폭기(201a)로부터 증폭되어 출력된 신호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제 2a 대역 통과 필터(203a)는 제 2a 자동 이득 제어기(202a)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특정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여 후술하게 될 제 2a 믹싱부(205a)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제 2b 수신부 (200a)의 세부적 구성을 설명하면, 제 2b 저잡음 증폭기(201b), 제 2b 자동 이득 제어기(202b) 및 제 2b 대역 통과 필터(203b)로 구성되어 있다. 제 2b 저잡음 증폭기(201b)는 상기 수신된 밴드-Ⅲ 대역의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하면, 제 2b 자동 이득 제어기(202b)는 제 2b 저잡음 증폭기(201b)로부터 증폭되어 출력된 신호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제 2b 대역 통과 필터(203b)는 제 2b 자동 이득 제어기(202b)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특정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여 후술하게 될 제 2b 믹싱부(205b)로 출력하게 된다.
제 2a 믹싱부(205a)와 제 2b 믹싱부(205b)는 일종의 믹서로서 두 가지의 신호를 믹싱하여 상향 변환(Up-conversion) 또는 하향 변환(Down-Conversion)하게 되는데, 이러한 믹서로 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해 주파수 분주기(Frequency Devider)가 사용된다. 상기 L-밴드 대역(1450~1492 MHz)의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는 제 2a 수신부(200a)를 통해 제 2a 믹싱부(205a)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1/2 분주기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입력시키며, 상기 밴드-Ⅲ 대역(174~240 MHz)의 주파수 신호가 제 2b 수신부(200b)를 통해 제 2b 믹싱부(205b)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1/14 분주기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상기 제 2b 믹싱부(205b)로 입력시킨다. 왜냐하면, 전압 제어 발진기(104)에서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의 대역이 2436~3360 MHz이므로 상기 L-밴드 대역(1450~1492 MHz)의 주파수 신호를 커버하기 위해서는 이보다 더 넓은 대역의 주파수 신호가 제 2a 믹싱부(205a)로 공급되어야 하기에 1/2 분주기(204a)를 사용하면, 2436~3360 MHz 대역의 주파수 신호가 반으로 줄어 1218~1680 MHz 대역의 범위로 변환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밴드-Ⅲ 대역(174~240 MHz)의 주파수 신호를 커버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이보다 더 넓은 범위의 주파수 신호가 제 2b 믹싱부(205b)로 공급되어야 하므로, 2436~3360 MHz 대역의 주파수 신호를 1/14로 줄이는 1/14 분주기(204b)를 사용하면 174~240 MHz 대역의 범위로 변환되어 제 2b 믹싱부(205b)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제 2 믹싱부(205)를 구성하는 제 2a 믹싱부(205a)와 제 2b 믹싱부(205b)를 설명한다. 제 2a 믹싱부(205a)는 제 2a 수신부(200a)의 제 2a 대역 통과 필터(203a)에 의해 필터링된 신호와 1/2 분주기(204a)에 의해 분주된 신호를 믹싱하여 하향 변환하고, 하향 변환된 신호를 S-DMB 방식 수신 장치의 신호 처리부(110)의 베이스밴드 자동이득 제어기(111)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 2b 믹싱부(205b)는 제 2b 수신부(200b)의 제 2b 대역 통과 필터(203b)에 의해 증폭된 신호와 1/14 분주기(204b)에 의해 분주된 신호를 믹싱하여 하향 변환하고, 하향 변환된 신호를 S-DMB 방식 수신 장치의 베이스밴드 자동 이득 제어기(111)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 3의 상단의 T-DMB 방식의 수신 장치에 의한 주파수 신호도 상기 도 3 하단의 S-DMB 방식의 신호 처리부(110)에 의해 신호 처리됨으로써 두 가지 방식의 DMB 수신을 공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T-DMB와 S-DMB 방식의 공용 수신 방식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4의 제 2 실 시예에서는, 도 3의 제 1 실시예에서의 주파수 분주기(204)를 S-DMB 수신 장치의 PLL 합성기(103) 내부로 구비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1/2 분주기(204a) 및 1/14 분주기(204b)가 S-DMB 방식의 수신 장치에 구비된 PLL 합성기(103)의 내부에 구비되며, 1/2 분주기(204a) 및 1/14 분주기(204b)에 의해 분주된 각 신호는 버퍼링(buffering)을 거친 후에 제 2a 믹싱부(205a) 및 제 2b 믹싱부(205b)로 입력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버퍼(210a, 210b)는 분주된 신호를 제 2a 믹싱부(205a) 및 제 2b 믹싱부(205b)로 펌핑(Pumping)하거나 입력 속도를 조절하는 버퍼링 역할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5의 제 3 실시예는 상기 도 3의 제 1 실시예와 달리, 제 2b 수신부(200b)가 밴드-Ⅲ 대역(174~240 MHz)의 주파수 신호뿐만 아니라 밴드-Ⅰ(47~68 MHz)과 밴드-Ⅱ(70~108 MHz) 대역의 신호까지 수신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T-DMB 방식 수신 장치의 제 2b 저잡음 증폭기(201b)는 밴드-Ⅰ 또는 밴드-Ⅱ 대역의 주파수 신호도 수신하여 증폭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밴드-Ⅲ 대역(174~240 MHz)의 주파수 신호는 제 1 실시예에서의 경로와 동일하게 신호가 처리되어 출력되지만, 밴드-Ⅰ과 밴드-Ⅱ 대역의 신호가 수신된 경우는 제 2b 저잡음 증폭기(201b)에 의해 증폭된 후에, 제 2c 믹싱부(205c)를 거쳐 제 2a 자동 이득 제어기(202a)로 입력되어 처리된다. 상기 밴드-Ⅰ(47~68 MHz)과 밴드-Ⅱ(70~108 MHz) 대역의 주파수가 낮기 때문에 주파수 크기의 상향 변환(Up-Conversion)을 할 필요가 있기에, 제 2c 믹싱부(205c)로 신호를 입력하게 된다. 즉, 제 2c 믹싱부(205c)는 제 2b 저잡음 증폭기(201b)에 의해 증폭된 신호와 제 2 전압 제어 발진기(220)에 의해 발생된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믹싱함으로써 상향 변환(Up-Conversion)된 신호를 제 2a 자동 이득 제어기(202a)로 입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 5에서는 제 2c 믹싱부(205c)에 의한 상향 변환 결과 밴드-Ⅰ(47~68 MHz)의 주파수 신호는 1447~1468 MHz 로, 밴드-Ⅱ(70~108 MHz)의 주파수 신호는 1470~1508 MHz 로 각각 1000 MHz 씩 상향 변환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주파수를 상향 변환함으로써 공진률(대역폭/중심 주파수)을 감소시켜 주파수 선택을 위한 전압 제어 발진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나머지 과정은 실시예 1의 과정과 동일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6의 제 4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5의 제 3 실시예에서의 주파수 분주기(204a, 204b)를 S-DMB 수신 장치의 PLL 합성기(103) 내부로 구비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1/2 분주기(204a) 및 1/14 분주기(204b)가 상기 도 6의 하단의 S-DMB 방식의 수신 장치에 구비된 PLL 합성기(103)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1/2 분주기(204a) 및 1/14 분주기(204b)에 의해 분주된 각 신호는 버퍼링(buffering)을 거친 후에 제 2a 믹싱부(205a) 및 제 2b 믹싱부(205b)로 입력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버퍼(210a, 210b)는 분주된 신호를 제 2a 믹싱부(205a) 및 제 2b 믹싱부(205b)로 펌핑(Pumping)하거나 입력 속도를 조절하는 버퍼링 역할을 함은 상술한 제 2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제 3 실시예와 제 4 실시예에서는 T-DMB 수신 장치 내에 제 2 전압 제어 발진기(220)가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제 2c 믹싱부(205c)로 입력하고 있는 것과 구별하여, S-DMB 수신 장치 내에 이미 존재하였던 전압 제어 발진기(104)를 편의상 제 1 전압 제어 발진기(104)로 명명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7의 제 5 실시예는 제 2b 저잡음 증폭기(201b)가 밴드-Ⅲ 대역(174~240 MHz)의 주파수 신호뿐만 아니라 밴드-Ⅰ(47~68 MHz)과 밴드-Ⅱ(70~108 MHz) 대역의 신호까지 모두 수신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상기 제 3 실시예 또는 제 4 실시예와 동일하나, 상기 제 3 실시예 또는 상기 제 4 실시예와 달리, 밴드-Ⅲ 대역(174~240 MHz)의 주파수 신호도 L-밴드 신호를 처리하는 제 2a 수신부(200a)로 올려서 주파수 상향 변환하여 처리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또한, 주파수 분주기는 1/2 배율로 분주하는 1/2 분주기(204a) 하나만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제 5 실시예에서의 제 2 수신부(200)도 L-밴드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 2a 수신부(200a)와 밴드-Ⅰ,Ⅱ,Ⅲ 대역의 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는 제 2b 수신부(200b)로 나뉘어져 있다. 제 2a 수신부(200a)는 L-밴드의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제 2a 저잡음 증폭기(201a), 제 2a 저잡음 증폭기(201a)로부터 증폭되어 출력된 신호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여 출력하는 제 2a 자동 이득 제어기(202a), 및 제 2a 자동 이득 제어기(202a)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특정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여 제 2a 믹싱부(205a)로 입력시키는 제 2a 대역 통과 필터(203a)를 포함한다.
제 2b 수신부(200b)는 밴드-Ⅰ, 밴드-Ⅱ 또는 밴드-Ⅲ 대역의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제 2b 저잡음 증폭기(201b),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는 제 2 전압 제어 발진기(220), 제 2b 저잡음 증폭기(201b)에 의해 증폭된 신호와 제 2 전압 제어 발진기(220)에 의해 발생된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믹싱함으로써 상향 변환(Up-Conversion)된 신호를 상기 제 2a 자동 이득 제어기(202a)로 입력시키는 제 2b 믹싱부(205b)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2b 믹싱부(205b)에 의해 밴드-Ⅰ, 밴드-Ⅱ 및 밴드-Ⅲ 대역의 주파수는 1260 MHz 크기만큼 상향 변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주파수를 상향 변환함으로써 공진률(대역폭/중심 주파수)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5 실시예에서의 주파수 분주기는 LO 신호 발생부(120)로부터 발생하는 신호의 주파수 크기를 반으로 분주하여 제 2a 믹싱부(205a)로 입력하는 1/2 분주기(204a)가 사용된다. 상기 LO 신호 발생부(120)는 국부 발진(LO)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켜 제 1 믹싱부(105) 또는 상기 1/2 분주기(204a)로 출력하는 제 1 전압 제어 발진기(104)와 제 1 전압 제어 발진기(104)를 제어하는 제어 전압을 출력하는 PLL 합성기(103)로 구성되어 있음은 도 5의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8의 제 6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7의 제 5 실시예에서의 주파수 분주기(204a)를 S-DMB 수신 장치의 PLL 합성기(103) 내부로 구비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1/2 분주기(204a)는 PLL 합성기(103)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1/2 분주기(204a)에 의해 분주된 신호는 버퍼링을 거친 후에 제 2a 믹싱부(205a)로 입력되고, 그 이후의 과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6 실시예의 방식을 비교한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의 경우는 T-DMB 방식의 수신 장치에서는 밴드-Ⅲ와 L-밴드 대역의 주파수 신호만 수신하여 처리하게 되며, 발진기의 수는 하나만을 사용하였으며, 제 3 실시예 내지 제 6 실시예의 경우에는, T-DMB 방식의 수신 장치에서 밴드-Ⅰ과 밴드-Ⅱ 대역의 주파수 신호도 포함하는 모든 밴드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며, 또한 T-DMB 수신 장치 측에 발진기가 더 추가되어 모두 2 개의 발진기가 사용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대역폭을 중심 주파수로 나눈 값을 의미하는 공진률은 낮을수록 주파수 선택성이 높아지게 되는바,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경우에는 31.8 %이고, 상기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6의 경우에는 14 %로 더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 즉 '~모듈' 또는 '~테이블' 등은 소프트웨어, FPGA(Frequently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기능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은 디바이스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인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의 여러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수신 장치로 지상파 DMB와 위성 DMB 규격의 통신 방식의 방송 수신을 동시에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7)

  1. 제 1 무선 통신 방식의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와 제 2 무선 통신 방식의 제 2 입력 주파수 신호를 공용으로 수신하는 무선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제 1 수신부; 단일 크기의 주파수로 고정된 LO(Local Oscillation)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는 LO 신호 발생부; 상기 제 1 수신부에 의해 증폭된 상기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와 상기 LO 신호 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LO 주파수 신호를 믹싱(mixing)함으로써 주파수가 하향 변환된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믹싱부; 상기 제 1 믹싱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제 1 무선 통신 방식 수신 장치; 및
    상기 제 2 입력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제 2 수신부; 상기 LO 신호 발생부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소정 배율로 분주하는 주파수 분주기; 상기 제 2 수신부에 의해 증폭된 상기 제 2 입력 주파수 신호와 상기 주파수 분주기에 의해 분주된 신호를 믹싱함으로써 주파수가 하향 변환된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신호 처리부로 입력시키는 제 2 믹싱부를 포함하는 제 2 무선 통신 방식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통신 방식은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S-DMB) 통신 방식이고, 상기 제 2 무선 통신 방식은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T-DMB) 통신 방 식인,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신부는,
    L-밴드의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제 2a 수신부; 및
    밴드-Ⅲ 대역의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제 2b 수신부를 포함하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분주기는,
    상기 L-밴드 대역의 주파수 신호가 상기 제 2a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에는 1/2 배율로 분주하는 1/2 분주기가 사용되며, 상기 밴드-Ⅲ 대역의 주파수 신호가 상기 제 2b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에는 1/14 배율로 분주하는 1/14 분주기가 사용되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믹싱부는,
    상기 제 2a 수신부에 의해 증폭된 신호와 상기 1/2 분주기에 의해 분주된 신호를 믹싱하는 제 2a 믹싱부; 및
    상기 제 2b 수신부에 의해 증폭된 신호와 상기 1/14 분주기에 의해 분주된 신호를 믹싱하는 제 2b 믹싱부를 포함하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신부는,
    상기 수신된 제 1 입력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제 1 저잡음 증폭기(LNA); 및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로부터 증폭되어 출력된 신호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여 상기 제 1 믹싱부로 출력하는 제 1 자동 이득 제어기(AGC)를 포함하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LO 신호 발생부는,
    국부 발진(LO)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 1 믹싱부, 상기 1/2 분주기 또는 상기 1/14 분주기로 출력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VCO); 및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를 제어하는 제어 전압을 출력하는 위상 동기 루프(PLL) 합성기를 포함하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a 수신부는,
    상기 수신된 L-밴드의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제 2a 저잡음 증폭기;
    상기 제 2a 저잡음 증폭기로부터 증폭되어 출력된 신호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여 출력하는 제 2a 자동 이득 제어기; 및
    상기 제 2a 자동 이득 제어기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특정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는 제 2a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b 수신부는,
    상기 수신된 밴드-Ⅲ 대역의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제 2b 저잡음 증폭기;
    상기 제 2b 저잡음 증폭기로부터 증폭되어 출력된 신호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여 출력하는 제 2b 자동 이득 제어기; 및
    상기 제 2b 자동 이득 제어기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특정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는 제 2b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 1 믹싱부, 상기 제 2a 믹싱부 또는 제 2b 믹싱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신호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는 베이스밴드 자동 이득 제어기; 및
    상기 베이스밴드 자동 이득 제어기에 의해 조절된 신호의 특정 대역을 필터 링하는 제 1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1/2 분주기 및 상기 1/14 분주기는,
    상기 위상 동기 루프 합성기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1/2 분주기 및 상기 1/14 분주기에 의해 분주된 각 신호는 버퍼링을 거친 후에 상기 제 2a 믹싱부 및 상기 제 2b 믹싱부로 각각 입력되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b 저잡음 증폭기는,
    밴드-Ⅰ 대역 또는 밴드-Ⅱ 대역의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신부는,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는 제 2 전압 제어 발진기; 및
    상기 제 2b 저잡음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신호와 상기 제 2 전압 제어 발진기에 의해 발생된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믹싱함으로써 상향 변환(Up- Conversion)된 신호를 상기 제 2a 자동 이득 제어기로 입력시키는 제 2c 믹싱부를 더 포함하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1/2 분주기 및 상기 1/14 분주기는,
    상기 위상 동기 루프 합성기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1/2 분주기 및 상기 1/14 분주기에 의해 분주된 각 신호는 버퍼링을 거친 후에 상기 제 2a 믹싱부 및 상기 제 2b 믹싱부로 각각 입력되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신부는,
    L-밴드의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제 2a 저잡음 증폭기; 상기 제 2a 저잡음 증폭기로부터 증폭되어 출력된 신호의 크기를 자동 조절하여 출력하는 제 2a 자동 이득 제어기; 및 상기 제 2a 자동 이득 제어기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특정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여, 상기 주파수 분주기에 의해 분주된 신호와 믹싱하는 제2a 믹싱부로 입력시키는 제 2a 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제 2a 수신부; 및
    밴드-Ⅰ, 밴드-Ⅱ 또는 밴드-Ⅲ 대역의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는 제 2b 저잡음 증폭기;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는 제 2 전압 제어 발진기; 상기 제 2b 저잡음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신호와 상기 제 2 전압 제어 발진기에 의해 발생된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믹싱함으로써 상향 변환(Up-Conversion)된 신호를 상기 제 2a 자동 이득 제어기로 입력시키는 제 2b 믹싱부를 포함하는 제 2b 수신부를 포함하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분주기는,
    상기 LO 신호 발생부로부터 발생하는 신호의 주파수 크기를 반으로 분주하여 상기 제 2a 믹싱부로 입력하는 1/2 분주기인,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LO 신호 발생부는,
    국부 발진(LO)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 1 믹싱부 또는 상기 1/2 분주기로 출력하는 제 1 전압 제어 발진기; 및
    상기 제 1 전압 제어 발진기를 제어하는 제어 전압을 출력하는 위상 동기 루프 합성기를 포함하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1/2 분주기는,
    상기 위상 동기 루프 합성기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1/2 분주기에 의해 분주된 신호는 버퍼링을 거친 후에 상기 제 2a 믹싱부로 입력되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 수신 장치.
KR1020050107130A 2005-11-09 2005-11-09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수신 장치 KR100755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130A KR100755696B1 (ko) 2005-11-09 2005-11-09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수신 장치
EP06122540A EP1786113A2 (en) 2005-11-09 2006-10-18 Radio reception device for receiving both terrestrial and satellite digital broadcasting
US11/586,570 US20070105513A1 (en) 2005-11-09 2006-10-26 Radio reception device for receiving both terrestrial and satellite digital broadcasting
CNA2006101444842A CN1964202A (zh) 2005-11-09 2006-11-08 接收地面和卫星数字广播的无线接收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130A KR100755696B1 (ko) 2005-11-09 2005-11-09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871A KR20070049871A (ko) 2007-05-14
KR100755696B1 true KR100755696B1 (ko) 2007-09-05

Family

ID=37776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7130A KR100755696B1 (ko) 2005-11-09 2005-11-09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수신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105513A1 (ko)
EP (1) EP1786113A2 (ko)
KR (1) KR100755696B1 (ko)
CN (1) CN19642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927B1 (ko) 2011-05-25 2012-08-2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전력수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8893B2 (ja) * 2005-03-28 2010-01-13 株式会社東芝 モバイ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048303B1 (ko) * 2009-01-08 2011-07-13 주식회사 코아로직 Dtv 수신기용 주파수 합성기, 그 합성기를 포함하는 dtv 수신장치, 및 dtv 수신용 국부 발진기 신호 생성방법
WO2012106889A1 (zh) * 2011-07-14 2012-08-16 华为技术有限公司 接收机及其接收方法
US9673842B2 (en) * 2012-04-25 2017-06-06 Qualcomm Incorporated Combining multiple desired signals into a single baseband signal
JP5870836B2 (ja) * 2012-05-08 2016-03-01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
US9654120B2 (en) 2012-07-26 2017-05-1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an oscillator gain
EP2717480B1 (en) 2012-10-05 2016-10-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transceiver having frequency synthesizer
US9232562B2 (en) * 2013-06-17 2016-01-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current communication with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f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CN107852178B (zh) * 2015-07-24 2019-12-24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装置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596A (ko) * 2001-12-27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 중계기의 주파수 변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9602A (en) * 1983-06-28 1985-02-12 Rca Corporation Double conversion tuner for broadcast and cable television channels
SE507527C2 (sv) * 1996-10-11 1998-06-15 Ericsson Telefon Ab L M Flerbandsmottagare som genererar en mellanfrekvens som är gemensam för de olika frekvensbanden, och förfarande för densamma
US5974305A (en) * 1997-05-15 1999-10-26 Nokia Mobile Phones Limited Dual band architectures for mobile stations
US6029052A (en) * 1997-07-01 2000-02-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ultiple-mode direct conversion receiver
JPH1141131A (ja) * 1997-07-15 1999-02-12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
US6134427A (en) * 1998-09-30 2000-10-17 Conexant Systems, Inc. Using a single low-noise amplifier in a multi-band wireless station
US20040022326A1 (en) * 2002-07-30 2004-02-05 John Morrish Digital audio receiver
US20040198420A1 (en) * 2002-08-21 2004-10-07 Ziming He RF front-end of dual-mode wireless transciver
US7299020B2 (en) * 2002-12-10 2007-11-20 Nanoamp Solutions, Inc. Tunable multi-band receiver by on-chip selectable filtering
KR100635723B1 (ko) * 2004-07-28 2006-10-17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위성 방송 수신 다이버시티 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596A (ko) * 2001-12-27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 중계기의 주파수 변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927B1 (ko) 2011-05-25 2012-08-2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전력수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86113A2 (en) 2007-05-16
CN1964202A (zh) 2007-05-16
KR20070049871A (ko) 2007-05-14
US20070105513A1 (en) 200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696B1 (ko)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위성 디지털 방송을 공용하는 무선수신 장치
US6510317B1 (en) Satellite digital audio radio service tuner architecture for reception of satellite and terrestrial signals
US7924944B2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band direct conversion compli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CMOS) mobile television tuner
KR100813463B1 (ko) 다중밴드 지원 수신기
US6724827B1 (en) Low cost interoperable satellite digital audio radio service (SDARS) receiver adapted to receive signals in accordance with advantageous frequency plan
TWI477091B (zh) 用於通過通訊媒介發送和接收第一服務和第二服務的服務內容的多服務收發器
US201002056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Programmable Biasing Mechanism for a Mobile Digital Television Environment
CN107276605B (zh) 具有多调谐器的接收机及用于无线电接收的方法和***
JP2003198401A (ja) チューナ装置とその据付けボックス
KR100725405B1 (ko) Pll 주파수 합성기를 구비하지 않은 무선 수신 장치 및이를 이용한 무선 수신 방법
KR100407522B1 (ko) 송/수신 유니트
KR100714568B1 (ko) Dmb 지상파 방송 수신기
US2009027899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 integrated multi-standard audio/video receiver
GB2392566A (en) A tuner in which one band is up-converted and this or a second band is selected for direct conversion to baseband
CN100571343C (zh) 调谐器
US20050007498A1 (en) Tuner for reception of digital and analog television signals
US20070178863A1 (en) AM/FM tuner saw filter-less architecture using AM frequency band up-conversion
US4692803A (en) CATV converter having phase locked loop for sound carrier wave frequency control
JP3288251B2 (ja) Catv受信装置
US20220263530A1 (en) Tuner ic
JPH06133317A (ja) チューナ装置
KR100550865B1 (ko) 싱글 위상동기루프를 갖는 듀얼밴드용 원칩 디지털 오디오방송 튜너
JP3583760B2 (ja) Catv受信装置
JPH0983400A (ja) 選局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受信機
JP2006041678A (ja) 無線送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