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340B1 - 전,후 양면 시청용 필름 스크린 - Google Patents

전,후 양면 시청용 필름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340B1
KR100753340B1 KR1020030070443A KR20030070443A KR100753340B1 KR 100753340 B1 KR100753340 B1 KR 100753340B1 KR 1020030070443 A KR1020030070443 A KR 1020030070443A KR 20030070443 A KR20030070443 A KR 20030070443A KR 100753340 B1 KR100753340 B1 KR 100753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image
film
silica
s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0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4408A (ko
Inventor
최해용
Original Assignee
최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해용 filed Critical 최해용
Publication of KR20040034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03B21/625Lenticular translucent scre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스크린에 있어서, 하나의 영상을 전, 후 양면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투과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소재에, 광투과 특성과 굴절율이 1.4-2.5인 굴절 특성이 우수한 실리카 등의 미세한 광굴절소재를 함유한 박막 필름으로 형성하되, 실리카의 함유량과 실리카의 입자도 및 필름의 두께를 기술적으로 구성하여, 하나의 스크린의 전, 후면에서 영상을 분할하게 하므로서, 하나의 프로젝터에서 입사된 영상을 스크린의 전, 후 양면에서 시청하게 하고, 투과영상 시청 시 스크린 자체의 이물감을 소멸시키고, 프로젝터의 투사광원에 의한 핫스포트 영상을 소멸하게 하여, 종래의 양면 스크린과 전혀 다른 전, 후 양면영상을 시현하는 현저한 작용효과를 갖는 전, 후 양면 시청용 필름 스크린
양면 영상 필름 스크린, 핫 스포트, 실리카, 프로젝터

Description

전,후 양면 시청용 필름 스크린{Both-side Image Film Screen}
도 1은 종래의 투과형 스크린의 설명도.
도 2는 종래의 후레스넬 투과형 스크린의 설명도.
도 3은 종래의 투과형 스크린의 투사 광원 잔광에 대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리카의 작용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투사 광원 잔광 소멸 작용에 대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을 투명판에 결합 실시한 실시예의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을 반사면과 결합 실시한 실시예의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을 롤 형태로 실시한 실시예의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을 고정 스크린 형태로 실시한 실시예의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을 유리창에 실시한 실시예의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을 천정에 설치한 실시예의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을 응용한 양면 프로젝터 실시예의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에 색소면을 형성한 실시예의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에 편광판을 결합한 실시예의 설명도.
도 16은 본 발명을 전, 후면으로 결합한 실시예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부호의 설명〉
1 : 필름스크린 2 : 광굴절소재
2A : 실리카 3 : 투명소재
4 : 반사면 5 : 프로젝터
6 : 투사렌즈 7 : 광원램프
8 : 투과스크린 9 : 투명판
10 : 회전봉 11 : 유리창
12 : 색소면 13 : 편광필름
본 발명은 영사용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젝터의 영상을 투사할 때, 투사된 영상을 스크린의 전, 후면으로 분할하여 하나의 투사영상을 하나의 스크린으로 전, 후 양면에서 동시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하고, 필름 형태의 박막으로 구성하여 롤스크린의 기능을 가능하게 하며, 동시에 투과광의 잔광을 소멸시켜 영상의 밝기를 균일하게 하며, 이질감이 없는 선명한 영상 시현이 가능한 전, 후 양면 시청용 필름 스크린에 관한것이다
종래, 스크린류는 투과형 스크린과 반사형 스크린으로 대별된다.
도 1과 같이, 종래 투과형 스크린은 표면을 투명한 면으로, 이면을 박막 등의 산란면으로 형성하거나, 도 2와 같이, 스크린의 표면을 후레스넬 렌즈로 형성하고, 이면을 상하 버티칼 곡면으로 형성하므로서, 표면인 영상 입사면(D)으로 빛을 투과하고, 이면인 영상 출사면(E)으로는 영상을 확산하므로서 영상 출사면(E)으로는 영상 시청이 가능하나, 영상 입사면(D)으로는 영상이 그대로 투과되므로 전, 후 양면(兩面) 영상 시청이 불가능하고 일면 영상 시청만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스크린의 형태가 경질의 쉬트 구조로서 롤 스크린화하거나 이동, 보관에 문제점이 많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스크린 영상을 전, 후 양면(前後兩面)으로 시청하기 위해서는 전, 후 2개의 스크린에 전, 후 2개의 프로젝터 구성이 필요하였다.
또한 종래의 투과 스크린(8)은 도 3과 같이, 밝기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투과 스크린(8)의 투과율을 증대할 때, 이면의 프로젝터(5)에서 투사되는 광원의 밝기가 투과하면서 노출되므로 프로젝터(5)의 투사렌즈(6)를 통해 보이는 광원 램프(7)의 광원 부분은 밝고, 주변은 어두운 이른바, 핫스포트(hot spot = F) 현상이 나타나며, 이는 반사 스크린일 경우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반사율이 높은 스크린일수록 핫스포트(F) 현상이 밝기에 비례하여 스크린 전면(全面)에서 증가되어 영상의 밝기 균일도를 저해하므로 이를 해소하는 기술이 요망되었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3과 같이, 투과 스크린(8)일 경우, 투과 스크린(8) 이면에 배치한 프로젝터(5)의 투사렌즈(6)를 정면으로 보게 되고, 이 경우, 프로젝터(5)의 투사렌즈(6) 내부의 광원램프(7)의 광원을 투사렌즈(6)를 통하 여 보게 되고, 동 광원은 투과 스크린(8)에 그대로 투사되어 시청자는 광원램프(8)의 광원과 투과 스크린(8)에 결상된 투사 영상 2가지를 모두 보게 되는, 이른바 스크린 중심부위는 밝고 영상 주위는 상대적으로 어두워져 화면의 밝기가 불균일한 핫스포트(F)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반사 스크린에서도 광원램프(7)의 광원을 반사하여 보게 되므로 동일한 핫스포트(F)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와 같은 투명소재(3)에 실리카(SiO2 )와 같은 광이 투과 하면서 굴절하는 광굴절소재(2)를 기술적으로 함유시켜 영상을 전, 후 양면으로 분할, 양면영상을 시현하되, 그 형태를 박막 필름화한 것을 특징으로 구성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의 편의상 이하 필름 스크린(1)이라 한다.
도 11과 같이, 유리창(11)면에 본 발명의 필름 스크린(1)을 구성한 후, 영상을 투사하여 옥내뿐만 아니라 옥외에서도 전, 후 양면에서 동시 시청이 가능하게 하고
도 12와 같이 천정에 필름 스크린(1)을 설치하여 이동하는 사람들이 스크린 전, 후면인 양면에서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하고, 아울러 스크린 형태가 롤(Roll) 형태가 가능하도록 하며, 필름 스크린(1)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하고,
도 13과 같이 하나의 프로젝션 시스템으로 전, 후면에서 양면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하되, 상기 도 11, 도 12, 도 13의 시스템이 모두 하나의 스크린과 하나 의 프로젝터로 전, 후 양면에서 선명한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하고,
도 3 및 도 6과 같이 스크린 전면에서 영상 감상 시, 후면의 프로젝터(5)에서 투사되는 투사렌즈(6) 부분의 투사광원에 의한 핫스포트(F) 현상을 소멸하게 하여 균일한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하고,
밝기가 증가하여도 핫스포트(F)현상이 소멸되어 균일한 영상을 시현 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터, 아크릴, 폴리카보넷과 같은 투명성이 양호한 투명소재(3)에, 실리카(2A)와 같은 빛이 투과하면서 굴절하는 광굴절소재(2)를 혼합하여, 박막 필름화하고, 박막 필름형태에서 입사된 영상을 전, 후면으로 분리, 굴절하여 양면 시청이 가능하게 하고, 원거리에서 투사하는 투사 광원의 잔광을 소멸시키고, 투과영상 시청시 필름 내부의 실리카(2A)등 가첨물에 의한 영상 이물감을 해소하여 선명한 영상 시청이 가능한 박막의 필름 스크린(1)을 구성함에 특징이 있다.
설명의 편의상 발명의 구성과 작용효과의 일부를 동시 설명한다.
폴리에스터, 아크릴, 폴리카보넷 등은 투과성이 우수하고, 박막 필름화가 가능한 투명소재(3)로서 제조공정은 모두 유사하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상 상기 투명소재(3) 중, 폴리에스터 필름 위주로 설명하고, 광굴절소재(2)는 실리카(2A) 위주로 설명한다.
실리카(2A)는 화학식으로는 SiO2 이며 규산 무수물이라고 하며 굴절율이 1.4 이상이다.
고순도의 실리카(2A)는 광 투과성이 매우 우수하여 광통신용 광섬유의 제조에 사용되고 있으며 입자도가 0.1㎛이하일 경우에는 입자가 너무 작아 광학작용이 소멸되나, 그 이상일 경우에는 투과성과 굴절성의 광학작용을 한다.
상기 투명소재(3) 중, 폴리에스터 필름은 투명성이 높고 표면이 평탄하며, 광택성도 우수하다.
또한 고온다습한 조건하에서도 텔레프탈릭에이시트(TPA)와 디메틸텔레프탈레이트(DMT)와 에틸렌그리콜(EG)을 주원료로 하여, 상압 고온에서 1차 에스퍼(Esfer) 교환 반응을 시킨 후, 고진공 고온에서 축중합 반응을 시켜 필름(Film)의 원료가 되는 폴리에스터 수지(Chip)를 용융하며, 일정축에 다이(Die)에 표출시켜 쉬트(Sheet) 형태로 만드는 공정은 공지되어 있으며 동 과정 중에서 실리카(2A) 등의 미세 광결정구를 투입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리카(2A)를 폴리에스터와 같은 투명소재(3)에 함유하고 이를 필름화하여 투과 광량이 굴절하여, 전, 후 분할하는 박막 스크린 면을 형성한다.
실리카(2A)는 그 자체로는 점성이 없으므로 스크린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필름 등의 박막구조로의 제조형성이 불가능하므로 폴리에스터 수지의 점성, 용해 가능한 특성을 이용, 이를 베이스(Base)로 하여, 실리카(2A) 등의 광굴절소재(2)를 함유시켜 박막 필름화한다.
이럴 경우 투과성이 양호한 폴리에스터 필름 소재 자체에 실리카(2A)를 함유하되 실리카(2A)를 굴절투과 단위의 입자 크기로 함유시키므로 입사된 광원은 미세 단위의 실리카(2A)에서 미세 단위로 굴절하게 하여 광량이 감소되지 않는 확산효과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폴리에스터 필름의 실리카(2A) 함유량(C)은 굴절투과도에 영향을 미치며, 실리카(2A)를 함유한 폴리에스터 필름 스크린(1)의 두께(A) 역시 광 투과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영상 양면 시청작용에 결정적인 요소가 된다.
실리카(2A) 자체의 입자도(B)는 영상 투사 시, 투과된 영상의 해상도와 전, 후 화면 분할 작용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인 양면 영상을 현출하기 위해서는 폴리에스터 등 필름 스크린(1)의 실리카(2A)등의 광굴절소재(2)의 함유량(C), 광굴절소재(2) 자체의 입자도(B), 광굴절소재(2)를 함유한 폴리에스터 필름 스크린(1)의 두께(A)가 중요한 기술적 요건이 된다.
이를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도 4의 "가"와 같이 필름 스크린(1) 전체로 입사한 입사광원(G)은 실리카(2A)의 입자도(B) 크기 단위로 투과하여 입자도(B) 단위로 세분화하여 굴절하므로 확산 효과를 가져오며, 0.1∼50㎛ 이하일 경우에는 투과 굴절율(屈折率)이 1.4∼3까지 높아지므로 투과하면서도 전, 후면으로 굴절 투과하므로 산란과 같은 작용이 발생한다.
즉, 실리카(2A)의 입자도(B)가 미세할수록 실리카(2A)의 굴절 투과단위도 미세해지므로, 투과에 의한 광손실이 없는 산란작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실리카(2A)의 입자도(B) 크기단위로 필름 스크린(1) 전면(前面)으로 입사한 영상은 도 5의 "나"와 같이 굴절 투과한다.
즉, 도 4의 "나" 및 도 5의 "가"와 같이 실리카(2A)의 입자 중 중앙으로 입사하는 입사광은 직진 투과하고, 상단으로 입사한 광원은 실리카(2A)의 자체 매질의 굴절율에 의해 굴절 반사하여 되돌아 반사하므로 전, 후 양면으로 영상이 분할된다.
실리카(2A)의 후면(後面)으로 입사한 광원은 같은 논리로 중앙으로 입사한 광원은 직진 투과하고, 상, 하단으로 입사한 광원은 굴절 반사하여 되돌아 반사하므로 원거리 프로젝터(5)의 광원(7)에 의한 핫스포트(F)를 소멸시킨다.
도 5의 "나"와 같이 하향 사각(斜角)으로 입사한 광원은 같은 논리로 실리카(2A)의 중심부분으로 입사한 광원은 입사각대로 직진 투과 하나, 사각(斜角)으로 입사한 광원은 굴절하여 인접한 실리카(2A)의 중심부로 입사할 경우는 직진하게 되므로 하향하여 좌, 우로 양분할하여 투과하게 된다.
도 5의 "다"와 같이 상향 사각(斜角)으로 입사한 광원은 같은 논리로 상향하여 좌, 우로 양분할되어 투과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일방향에서 입사한 광량은 전후 상하 좌우 방향으로 실리카(2A)의 입자도(B) 단위로 굴절, 확산하게 되므로 상하, 좌우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전, 후 양면 분할 작용을 좀더 설명하면, 실리카(2A)의 굴절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굴절율 1.0으로 굴절율이 없을 시, 그대로 투과하므로, 투과스크린 기능 밖에 안되나, 상기 1.4이상의 굴절을 발생 시, 실리카(2A)의 복겹굴절에 의해 전, 후 굴절되므로 영상이 분할되는 것이다.
이러한 미세단위 굴절에 의한 확산효과는 종래 스크린의 표면에서 난사에 의한 산란이 아니고 굴절투과에 의한 확산 효과이므로 전, 후면으로 화면이 분할하여, 영상이 양면이 되어도 입사광의 손실이 매우 적어 밝기의 손실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3 및 도 6과 같이 필름 스크린(1)의 필름면 표면인 영상 입사면(D)에 입사 결상한 영상은 박막 필름 이면의 영상 출사면(E)으로 투과하지만 원거리에 있는 프로젝터(5)의 투사렌즈(6) 부분의 광원램프(7)의 광량은 실리카(2A)의 미세한 입자도(B)에 의해 입자 단위로 확산하므로 핫스포트(F) 현상은 소멸하게 되므로 필름 스크린(1)에서는 필름면 표면 및 이면의 양면 영상만이 선명하게 결상되게 된다.
따라서 원거리 프로젝터(5)의 광원램프에 의한 광원은 소멸하고 필름 스크린(1) 표면에 입사한 영상은 균일하게 굴절 확산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리카(2A)의 입자도(B)가 커지면 투과 영상 감상 시, 실리카(2A)의 입자도에 의한 그림자와 윤곽에 의해 필름 스크린(1)면 자체가 거칠어 보이게 되어 필름 스크린(1) 자체에 투과된 영상만 보이는 것이 아니라 실리카(2A)의 입자도(B)에 의한 이물감까지 동시 시청하게 되므로 실리카(2A)의 입자도(B)의 크기가 중요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실리카(2A)는 실리카(2A) 입자도(B) 자체가 굴절에 의한 확산 작용을 하므로 실리카(2A) 함유량(C)이 과소하면 상기와 같은 프로젝터(5)에 의한 핫스포트(F) 영상이 나타나며, 영상이 전, 후 분할 할 수 있는 작용이 감소하게 되고, 실리카(2A)의 함유량(C)이 과다하면 투과율이 감소하여 투과 스크린으로의 투과기능이 소멸된다.
또한 본 발명이 실시된 필름 스크린(1)의 두께(A)가 두꺼워지면 광 투과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양면 스크린으로서의 기능이 감소하고, 반대로 얇을수록 투과량이 많아지나 필름 자체 두께가 10㎛이하 일 때에는 스크린으로서의 지지력 한계가 있어서 실용성에 문제점이 발생한다.
실제 본 발명을 실시해 본 결과,
하기 표 1과 같이 실리카(2A) 함유량(C)이 필름 스크린(1)에 800ppm까지는 광 굴절에 의한 확산작용이 매우 적어, 핫 스포트(F) 현상이 발생하고, 90,000ppm 이상의 함유량(C)에서는 광 투과율이 미미하여 투과 기능을 상실하였다.
상기 ppm은 모두 중량비로서 이하에서 표기되는 ppm은 모두 중량비 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전, 후 양면으로 영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실리카(2A)등의 광굴절소재(2)의 함유량(C) 범위는 800ppm 내지 90,000ppm으로 한다.
상기 실리카(2A)의 입자도(B)를 50㎛이상으로 할 때, 투과된 영상을 비쳐 본 결과 실리카(2A)의 입자도(B)에 의해 영상이 거칠게 나왔으며, 50㎛ 이하에서는 이질감이 현저히 감소하며, 10㎛ 이하로 할 경우는 근거리에서도 전혀 실리카(2)의 입자도(B)에 의한 스크린 자체의 거칠기 및 이물감이 감지되지 않았으며, 전, 후 영상분할 작용이 양호하였다.
실리카(2)의 입자도(B)가 미세할수록 영상의 거칠기는 상대적으로 감소하나, 실리카(2) 입자도가 0.1㎛ 이하일 경우는 굴절, 투과작용이 미미해 일면만 영상이 시현되고, 양면 영상시현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카(2)의 입자도(B)의 적용 범위는 상기와 같은 이유로 0.1㎛ 내지 50㎛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조건을 충족하는 범위 및 논리 이내에서 투명 필름막으로 형성한 필름 스크린, 양면 또는 일면에 실리카(2A) 소재 또는 플라스틱 광굴절 및 확산 소재를 박막으로 인쇄, 증착,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리카(2A)의 함유량(C)과 입자도(B)에 의해 형성된 폴리에스터 필름 스크린(1)을 두께(A) 별로 투과율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표 1]
Figure 112003519344519-pat00001
상기의 광 투과율의 의미는 실리카(2A)의 함유량 10,000ppm 내지 30,000ppm기준일 때, 필름 스크린(1)의 표면 영상의 밝기를 100으로 했을 때의 필름 스크린(1) 이면으로 투과하는 투과 지수로서 스크린을 전, 후면으로 시청할 수 있는 양면 영상의 기능을 뜻하는 것으로, 실리카(2A)의 함유량(C)과 입자도(B)에 의해 가변 조정할 수 있다.
즉, 사용 용도에 따라 필름스크린(1)의 두께(A), 광굴절소재(2)의 입자도(B) 및 함유량(C)에 의해 선택 가변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필름 스크린(1)의 두께(A)가 10㎛이하일때에는 필름 두께(A) 자체가 얇아 본 발명 실시의 실용성에 한계가 있고 400㎛이상은 상기 표 1과 같이 광 투과율이 극히 미미하므로 양면 스크린으로서의 효율이 떨어지며, 롤스크린으로서 권취할 수가 없다.
따라서 실리카(2A)가 함유된 본 발명의 필름 스크린(1)의 두께(A) 적용범위는 10㎛ 내지 400㎛로 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에 의해 정리하면 본 발명의 실시 범위는 다음과 같다.
즉, 필름 스크린(1)의 실리카(2A)등의 광굴절소재(2) 함유량(C)은 800ppm 내지 90,000ppm이며, 필름 스크린(1)의 두께(A)는 10㎛ 내지 400㎛, 실리카(2A)등의 광굴절소재(2)의 입자도(B)는 0.1㎛ 내지 50㎛가 된다.
이러한 실리카(2A)와 같은 광굴절소재(2)의 함유량(C)과 입자도(B) 및 필름 스크린(1)의 두께(A)의 구성요소 등 상기 3가지 구성요소는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상호 유기적으로 복합작용을 하여 양면반사 굴절작용과 투과작용 및 핫스포트(F) 현상의 소멸작용을 동시에 하고, 필름 스크린(1) 전, 후의 영상이 양면으로 선명하게 현출하므로서, 종래 투과 스크린과는 다른 매우 이질적인 스크린 기능을 하면서, 핫스포트(F) 현상 소멸 및 이물감이 없는 스크린 영상을 현출하여 종래 투과 스크린과 대비해 볼 때, 현저한 선명도를 시현하는 작용효과를 가져온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은 도 7과 같이 필름 스크린(1) 전, 후면에 투명판(8)을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일면에 투명판(8)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은 도 8과 같이 필름 스크린(1) 이면에 알루미늄 증착면과 같은 반사면(4)을 형성하거나 또는 결합 할 수 있다.
이 경우 후면부로 투과하는 투과광량은 반사면(4)에서 되반사하여 전면으로 출사하므로 밝기가 반사량만큼 비례하여 증배한 스크린이면서도 핫스포트(F) 현상이 제거된 선명한 스크린이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반사면(4)에 의한 반사영상은 영상의 명암(明暗)비를 올려주므로 영상의 선명도를 올려 줄 수 있다.
[실시예 3]
도 9와 같이 필름 스크린(1) 상단에 회전봉(10)에 의하여 롤스크린처럼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0과 같이 필름 스크린(1)을 투명판(9)에 고정하여 회전봉(10)에 의해 상, 하 이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 5]
또한 도 11과 같이 필름 스크린(1)을 유리창(11)면에 부착하여 영상을 옥내, 옥외 양면에서 모두 시청할 수 있다.,
[실시예 6]
도 12와 같이 필름 스크린(1)을 천정에 설치하여 유동인구가 전, 후면으로 시청할 수 있다.
[실시예 7]
본 발명을 이용하여 도 13의 "가" 와 같이 전면 영상(A)과 후면 영상(I)을 동시에 볼 수 있게끔 하부에 프로젝터(5) 그 전단에 반사경(11)을 상단에 필름스크린(1)을 구성한 , 하나의 시스템 구조의 전,후 양면 시청용 스크린 으로 설치 사용 할 수 있다.
[실시예 8]
또한 도 14와 같이 입사 광원의 외광에 대한 명암비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필름 스크린(1) 일방에 투명한 갈색이나 남색 또는 흑색의 암색(暗色)의 색소면(12)을 박막으로 형성 할 수 있다.
[실시예 9]
도 15와 같이 본 발명의 필름 스크린(1) 일방에 편광필름(13)을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효과는 편광필름(13)의 편향효과로 인해 외광에 대한 강한 편향효과를 가져오므로 필름 스크린(1) 영상의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입체 스크린으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이 경우 입체영상을 상기와 같은 논리로 스크린 전, 후 양면으로 시청할 수 있는 입체 영상 양면 시청용 스크린 기능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10]
상기 필름스크린(1)의 구성요소 즉, 필름의 두께(A), 광굴절소재(2)의 함유량(C) 및 입자도(B)를 본 발명의 구성 범위이내에서 가운데 투명판(9)을 기준으로 하여 전, 후면으로 분할하여 양분할 수 있다.
즉, 도 16과 같이, 예를 들면 투명판(9) 전면 필름스크린(1A), 후면 필름스크린(1B)의 두께(A)는 각각 200㎛, 전, 후면 필름스크린(1A, 1B)의 광굴절소재(2)의 함유량(C)은 각 30,000ppm, 동 광굴절소재(2)의 입자도는 10㎛으로 구성할 시, 전, 후면 필름스크린(1A, 1B)의 두께의 합은 400㎛이며, 광굴절소재(2)의 함유량(C)의 합은 60,000ppm, 입자도(B)는 10㎛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 범위 이내에 해당되는 것이다.
삭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 4의 "가" 및 "나"와 같이 투명 플라스틱 등의 필름 스크린(1) 내부에 함유된 실리카(2A)는 입사된 광원을 실리카(2A) 자체의 높은 투과율에 의해 투과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본 발명은 실리카(2A)와 같은 광굴절소재(2)의 함유량은 800ppm 내지 90,000ppm, 필름 스크린(1)의 두께(A)는 10㎛ 내지 400㎛, 실리카(2A)의 입자도(B) 크기는 0.5㎛ 내지 50㎛의 미세한 입자로 구성되었으므로 입사된 광원은 상기 실리카(2A)의 입자도 (B) 단위로 미세하게 투과 굴절하므로 결국 입사 영상은 0.5㎛ 내지 50㎛단위로 미세 투과 굴절시키게 되므로, 전, 후 양면 영상 시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굴절 투과는 필름스크린(1)의 두께(A)에 여러층 적층한 실리카(2A)의 굴절율이 1.4이상에 의해 미세 단위로 여러 방향으로 확산하게 되므로 입사된 광원은 필름 스크린(1)의 전, 후면으로 확산하게 되는 것이다. 즉, 실리카(2A)의 굴절율은 1.4이상이므로 입사된 광량은 굴절율에 의해 미세단위로 확산하게 되고, 전후 양면으로 영상이 분리되는 양면 스크린이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 논리이내에서 굴절율이 1.4이상이 되면서 자체가 투과성이 있는 재질이면 다른 재질의 사용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작용은 본 발명을 하나의 프로젝터(5)와 하나의 필름 스크린(1)에서 전, 후 양면으로 스크린 영상을 감상 할 수 있는 것이 매우 큰 특징이므로, 종래 스크린과 는 전혀 다른 매우 이질적인 기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3 및 도 6과 같이 프로젝터(5)의 투사렌즈 부분의 핫스포트(F) 현상의 광량도 상기와 같이 필름 스크린(1)의 광굴절소재(2)의 입자도(B)에 의해 표면 의 입사 영상은 투과하고, 원거리에 위치한 프로젝터(5)의 광원의 잔광을 산란시키므로 핫스포트(F) 현상을 제거한 균일한 영상 시현이 동시에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표면으로 입사한 영상을 투과하면서 미세한 실리카(2A)의 입자도(B)는 투과 영상 시청 시 전혀 이물감, 이질감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 1, 도 2의 종래 스크린과 같이 투과 후 산란하거나 집광 한 후 산란하는 것이 아닌 바로 입사된 광원을 투과율이 양호한 미세 입자도의 실리카(2A)에 의해 미세 단위로 투과 굴절하면서 투과 방향을 전, 후면으로 반사굴절하여 중복시키므로, 영상의 밝기에 손실없이 스크린 전, 후면으로 하나의 프로젝터, 하나의 스크린으로 전, 후면 영상 시현이 동시에 가능한 것이다.
종래 평면 고휘도 반사 스크린의 가장 문제점인 프로젝터(5) 투사광원의 잔광인 핫스포트(F) 현상을 확산 소멸시키므로 반사 스크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1과 같이 유리창에 설치시에는 옥내, 옥외에서 동시 영상 시청이 가능하므로 옥내외 광고, 영상제공 장치가 가능하다.
도 12와 같이 천정에 설치시에는 터미널, 지하상가, 대형상가 등에서의 양면(兩面) 광고 장치 등으로 유용하다.
도 13과 같이 하나의 시스템에 의한 전, 후면 영상 장치는 점포 앞문, 백화점 등에서 사용할 때, 전, 후면에서 볼 수 있는 광고 장치로 유용하다.
도 16과 같이 두께가 상이한 필름 스크린(1)을 전, 후면으로 부착 결합 사용 시에는 각기 전, 후면의 밝기 차이를 필름 스크린(1)의 두께(A)로 조정하여 용도에 따라 선택 사용할 수 있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16과 같이 필름스크린(1)의 투명판(9)을 기준으로하여 전면 필름스크린(1A)과 후면 필름스크린(1B) 나누어 구성하되, 전, 후면 필름스크린(1A, 1B)의 구성 요건인 필름스크린(1)의 두께(A), 광굴절소재(2)의 입자도(B) 및 함유량(C)의 합이 본 발명의 구성 이내로 구성하므로서, 양면 스크린 작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리카(2A)와 같은 광굴절소재(2 )의 함유량(C)과 입자도(B)와 이를 함유한 필름 스크린(1)의 두께(A)가 상호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프로젝터(5)에서 투사한 영상을 전, 후면으로 양분할하여, 전, 후면에서 영상시청이 가능하므로 종래 표면 또는 투과형 스크린에 대비하여 특이하고, 이질적인 기능을 현출하고, 영상에 있어서도 전, 후면 모두가 선명하고, 핫스포트(F) 현상이나 이물감이 없는 현저하게 선명한 영상을 시현하는 작용효과를 얻으므로서 양면 영상 광고장치 , 교육용 스크린, 홈시어터 스크린 등 다양한 프로젝터(5)의 새로운 영상스크린으로서 매우 효과적인 발명인 것이다.

Claims (10)

  1. 프로젝터 영사용 스크린 구조에 있어서,
    폴리에스터와 같은 투명소재(3)에 광굴절소재(2)를 함유한 필름 스크린(1)을 박막으로 구성하고,
    상기광굴절소재(2)는 굴절 율 1.4이상 의 광굴절소재(2)로 하고
    상기 광굴절소재(2)의 함유량(C) 및 입자도(B) 와 박막의 필름스크린(1)의 두께(A)가 상호 작용 하게 하여,
    하나의 프로젝터(5)의 영상이 하나의 필름 스크린(1)에서 전, 후 분할하게 함으로서 스크린의 전, 후에서 동시에 시청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 후 양면 시청용 스크린.
  2. 삭제
  3. 제 1항 에 있어서,
    필름 스크린(1) 상단에 회전봉(10)을 구성하고, 회전봉(10)에 의하여 롤 스크린 처럼 상하 이동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 후 양면 시청용 스크린
  4. 제 1항 에 있어서
    필름스크린(1)을 투명판(9)에 고정하여 회전 봉(10)에 의해 상하 이동 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 후 양면 시청용 스크린
  5. 제 1항에 있어서,
    필름 스크린(1)을 유리창(11)에 부착하여 영상을 옥내, 옥외 양면에서 모두 시청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 후 양면 시청용 스크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 에 있어서,
    필름 스크린(1) 일방에 청색 및 흑색 등 암색(暗色)의 색소면(1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 후 양면 시청용 스크린.
  10. 제 1항에 있어서,
    투명판(9) 전, 후로 전면 필름 스크린(1A)과 후면 필름스크린(1B)으로 분할 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 후 양면 시청용 스크린.
KR1020030070443A 2002-10-21 2003-10-09 전,후 양면 시청용 필름 스크린 KR1007533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041 2002-10-21
KR20020065041 2002-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408A KR20040034408A (ko) 2004-04-28
KR100753340B1 true KR100753340B1 (ko) 2007-08-30

Family

ID=32105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443A KR100753340B1 (ko) 2002-10-21 2003-10-09 전,후 양면 시청용 필름 스크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324277B2 (ko)
JP (1) JP4408809B2 (ko)
KR (1) KR100753340B1 (ko)
CN (1) CN100465780C (ko)
AU (1) AU2003269563A1 (ko)
DE (1) DE10393217T5 (ko)
GB (1) GB2407396B (ko)
WO (1) WO20040363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8746B2 (ja) * 2002-12-20 2008-10-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FR2849932B1 (fr) * 2003-01-15 2005-02-18 Saint Gobain Ecran de retroprojection et/ou de projection
US20060003239A1 (en) * 2004-06-30 2006-01-05 Cooper Terence A Multilayer optical display device
FR2872927B1 (fr) 2004-07-08 2006-09-22 Patrick Curti Ecran de projection
US7855833B2 (en) * 2004-08-10 2010-12-21 Kimoto Co., Ltd. Transmission screen
TW200624992A (en) * 2005-01-13 2006-07-16 Prodisc Technology Inc Conferecne assisatance equipment
TW200624916A (en) * 2005-01-13 2006-07-16 Prodisc Technology Inc Twin image screen
JP4822104B2 (ja) * 2005-01-21 2011-11-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投影システム
US20060187544A1 (en) * 2005-02-23 2006-08-24 David Wiener Flexible screen for front and rear projection
US7495829B2 (en) * 2005-07-27 2009-02-24 Infocus Corporation Dual front/rear projection screen
US7717569B2 (en) * 2006-04-13 2010-05-18 Nokia Corporation Projector screen with one or more markers
KR20080044370A (ko) * 2006-11-16 2008-05-21 최해용 입체 영상용 스크린
KR200438879Y1 (ko) * 2006-12-07 2008-03-07 최해용 대칭구조를 갖는 영사용 스크린
ES2323616B1 (es) * 2007-02-05 2010-04-07 Javier Ortiz Jimenez Sistema de representacion de imagenes.
KR101174550B1 (ko) * 2010-03-05 2012-08-16 최해용 광고용 양방향 반사 스크린 장치
TWM398645U (en) 2010-05-06 2011-02-21 Fun-Tun Tsen An easy assembly, disassembly and compact storage rear projection system
CN102831625B (zh) * 2011-06-13 2016-01-0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双面图片处理***和方法
CN102881229B (zh) * 2011-07-12 2015-01-28 联想(北京)有限公司 显示模组及电子终端
FR2991064B1 (fr) * 2012-05-25 2014-05-16 Saint Gobain Procede de projection ou de retroprojection sur un vitrage comprenant un element en couches transparent presentant des proprietes de reflexion diffuse
US8570651B1 (en) * 2012-06-04 2013-10-29 Hae-Yong Choi Both side screen for combined use of 2D/3D images
TWI443442B (zh) * 2012-09-25 2014-07-01 Nat Univ Tsing Hua 投影螢幕及其投影系統
US9389497B2 (en) * 2013-07-18 2016-07-12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icro-projection-display devices and adjustable display screens
CN103472667B (zh) * 2013-09-25 2015-05-06 孙绪刚 一种透明防紫外线投影屏及制作方法
WO2015186630A1 (ja) * 2014-06-02 2015-12-10 旭硝子株式会社 映像投影構造体、映像投影方法及び映像投影窓
WO2016143566A1 (ja) 2015-03-06 2016-09-15 Jxエネルギー株式会社 透視可能な積層体、それを備えた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投影装置
US20190212569A1 (en) * 2016-08-31 2019-07-11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Display device
TWI599840B (zh) * 2017-03-28 2017-09-21 陳韋廷 雙面顯像投影系統、方法及其應用的立體影像投影系統
FR3067476B1 (fr) * 2017-06-07 2019-10-18 Saint-Gobain Glass France Ecran de projection de couleur foncee ou noir
CN107742492B (zh) * 2017-11-01 2021-10-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透明显示***及其显示方法
CN110007552B (zh) * 2018-12-14 2021-07-20 北京宝江科技有限公司 用于投影的透明薄膜和投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2259A (ja) 1987-01-12 1988-07-15 Seiko Epson Corp 両面視認型投写表示装置
JPH0255202U (ko) * 1988-10-13 1990-04-20
KR19990078484A (ko) * 1998-06-09 1999-11-05 박영선 불투명 투사형 스크린 및 그 시스템
KR20020017341A (ko) * 2000-08-30 2002-03-07 조익환 반투과광고면이 형성된 유리창 및 이를 이용한 야간광고방법
JP2002099047A (ja) 2000-09-22 2002-04-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クリーン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3301A (en) * 1980-05-14 1982-04-06 Donald Spector Collapsible rear/front projection screen assembly
US4584972A (en) 1984-12-21 1986-04-29 Jayne Michael E Dynamic compress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yoke having an offset arcuate slot
GB8619922D0 (en) * 1986-08-15 1986-09-24 Hewitt B Composite holographic elements
NL8700135A (nl) * 1987-01-21 1988-08-16 Philips Nv Doorzichtprojektiescherm en doorzichtprojektiesysteem voorzien van een dergelijk scherm.
KR890013883A (ko) 1988-02-15 1989-09-26 서주인 튜너의 자동주파수 제어(afc)회로
US5274499A (en) * 1992-09-04 1993-12-28 Draper Shade & Screen Co., Inc. Battery operated projection screen with spring assisted roller and replaceable fascia
JP2926454B2 (ja) * 1992-10-02 1999-07-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反射型映写スクリーン
JP2881101B2 (ja) * 1993-04-19 1999-04-12 惠和商工株式会社 スクリーン用シート材
JPH09114003A (ja) * 1995-10-19 1997-05-02 Toppan Printing Co Ltd 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
US6076933A (en) * 1996-10-08 2000-06-20 Jenmar Visual Systems Light transmitting and dispersing filter having low reflectance
US6519087B2 (en) * 1997-04-10 2003-02-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ar projection screen incorporating diffuser
US6064521A (en) * 1997-05-14 2000-05-16 Burke; Douglas Polarizing resonant scattering three dimensional image screen and display systems
US6163402A (en) 1998-06-11 2000-12-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ar projection screen
WO2000038005A1 (fr) * 1998-12-18 2000-06-29 Mitsubishi Rayon Co., Ltd. Ecran de transmission
KR100351844B1 (ko) 1999-01-12 2002-09-11 엘지전자주식회사 모니터의 돌입전류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1188230A (ja) * 1999-12-28 2001-07-10 Fuji Photo Film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02139798A (ja) * 2000-10-31 2002-05-17 Silver Maintenance Kk 光誘導パネル
JPWO2002056112A1 (ja) * 2001-01-11 2004-08-12 株式会社アリサワ・オプテック 背面透過型スクリーン
US6819486B2 (en) * 2001-01-17 2004-11-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jection screen having elongated structures
US20030163367A1 (en) * 2001-04-06 2003-08-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creens and methods for displaying information
JP2003057757A (ja) * 2001-08-21 2003-02-26 Silver Maintenance Kk 光誘導パネル
JP2004004476A (ja) * 2002-04-23 2004-01-08 Akikuni Nishida 両面視認型プロジェクタ投映用スクリーン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2259A (ja) 1987-01-12 1988-07-15 Seiko Epson Corp 両面視認型投写表示装置
JPH0255202U (ko) * 1988-10-13 1990-04-20
KR19990078484A (ko) * 1998-06-09 1999-11-05 박영선 불투명 투사형 스크린 및 그 시스템
KR20020017341A (ko) * 2000-08-30 2002-03-07 조익환 반투과광고면이 형성된 유리창 및 이를 이용한 야간광고방법
JP2002099047A (ja) 2000-09-22 2002-04-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クリーン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95080A (zh) 2005-11-09
GB2407396A (en) 2005-04-27
US7324277B2 (en) 2008-01-29
US20060012876A1 (en) 2006-01-19
WO2004036310A1 (en) 2004-04-29
KR20040034408A (ko) 2004-04-28
GB2407396B (en) 2005-12-28
DE10393217T5 (de) 2005-08-18
JP4408809B2 (ja) 2010-02-03
AU2003269563A1 (en) 2004-05-04
JP2006503334A (ja) 2006-01-26
CN100465780C (zh) 2009-03-04
GB0503057D0 (en) 200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3340B1 (ko) 전,후 양면 시청용 필름 스크린
US6535333B1 (en) Optical system with reduced color shift
WO2002056112A1 (en) Back face transmission screen
JP2004093848A (ja) 光拡散性スクリーンおよびこのスクリーンを用いた表示装置
JP2006195475A (ja) 両面スクリーン
CN103399456A (zh) 建筑玻璃幕墙投影成像膜
CN107315314B (zh) 双面观看透光投影屏幕及投影***
JPH09211729A (ja) 反射型スクリーン
CN103399455A (zh) 单透贴和投影成像膜在投影中的应用
US10712650B2 (en) Screen and projection image display system
KR100940762B1 (ko) 배면 투사형 스크린용 광확산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배면 투사형 스크린
US20060050380A1 (en) Rear projection screen
KR100693330B1 (ko) 후면 투사 스크린
KR100693326B1 (ko) 후면 투사 스크린
JPH06123920A (ja) 反射型映写スクリーン
CN108267922A (zh) 一种光学膜
CN211454219U (zh) 抗光背投式硬幕
CN211454223U (zh) 光栅式抗光投影膜
KR100693325B1 (ko) 후면 투사 스크린
KR20040049763A (ko) 고이득 하이컨트라스트 반사 스크린
KR20220167446A (ko) 스크린 겸용 투명 필름
KR20030063562A (ko) 비디오 및 레이저 그래픽의 복합기능을 갖춘 대화면의프로젝션 tv
KR101195347B1 (ko) 입체, 평면영상 겸용 양면 스크린
JP2002122715A (ja) 光拡散シートとそれを用いた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
JPH07261272A (ja) マルチ映像装置用スクリ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808

Effective date: 200707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