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1553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Editing Image Having Dual-Display Equipment And Its Method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Editing Image Having Dual-Display Equipment And Its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1553B1
KR100751553B1 KR1020050077855A KR20050077855A KR100751553B1 KR 100751553 B1 KR100751553 B1 KR 100751553B1 KR 1020050077855 A KR1020050077855 A KR 1020050077855A KR 20050077855 A KR20050077855 A KR 20050077855A KR 100751553 B1 KR100751553 B1 KR 100751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unit
editing
function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8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23350A (en
Inventor
이상혁
박연우
천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50074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808B1/en
Priority to KR1020050077855A priority patent/KR100751553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06016523A priority patent/EP1753239B1/en
Priority to EP10010065A priority patent/EP2265012B1/en
Priority to ES10010065T priority patent/ES2401863T3/en
Priority to DE202006021124U priority patent/DE202006021124U1/en
Priority to DE602006018227T priority patent/DE602006018227D1/en
Priority to PL10010065T priority patent/PL2265012T3/en
Priority to AT06016523T priority patent/ATE488956T1/en
Priority to CN2006101110447A priority patent/CN1913683B/en
Priority to US11/502,461 priority patent/US7471890B2/en
Priority to JP2006221336A priority patent/JP4461122B2/en
Publication of KR20070023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3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553B1/en
Priority to US12/242,488 priority patent/US8605005B2/en
Priority to US13/216,889 priority patent/US860500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갖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 중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표시부에 제공되는 소정의 기능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기능 아이콘에 할당된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Dual)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갖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al display device having an image editing function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e of at least one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mong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included in the terminal is selected, the selected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In addition, when a predetermined function icon provided on the first display unit is selected, an image edit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execute a function assigned to the selected function icon. And it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al display device having an image editing function for implementing the sam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원본 이미지의 디스플레이와, 원본 이미지의 편집 혹은 확대 등을 위한 디스플레이를 각각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현함과 동시에,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한 장점이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of the original image and the display for editing or enlarging the original image are implemented on separate display devices, and at the same time, a user interface using a touch screen is provided, which is convenient for the user. .

이동통신 단말기, 듀얼 디스플레이, 터치 스크린, 이미지 편집 Mobile terminal, dual display, touch screen, image editing

Description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갖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Editing Image Having Dual-Display Equipment And Its Method}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al display device having an image editing function and a method there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Editing Image Having Dual-Display Equipment And Its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의 흐름도.1 is a flow chart of an image edit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편집 기능 실행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executing an image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편집 기능을 실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ecuting an image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확대 기능 실행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executing an image magn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확대 기능을 실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ecuting an image magn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의 흐름도.6 is a flowchart of an image edit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의 흐름도.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age edit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갖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8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having an image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본 이미지의 디스플레이와, 원본 이미지의 편집 혹은 확대 등을 위한 디스플레이를 각각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현함과 동시에,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갖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al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display for displaying an original image and a display for editing or enlarging the original image, respectively, on a separate display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al display device having an image editing function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and a method thereof.

최근 이동통신 및 정보 산업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그 중심이 옮아가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industry technology, the center is shifting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one display dev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wo display devices.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형태는 매우 다양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메인(main)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대형 화면을 구비하고, 서브(sub)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화면을 구비하는 형태가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서브(sub)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제공되는 화면은 날짜, 시간, 짧은 길이의 텍스트(text) 등 매우 간단한 정보만을 디스플레이하게 되고, 특히 이미지 정보는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Forms with two display devices can vary widely. Howev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 form having a large screen as a main display device and a relatively very small screen as a sub display device has been common. Accordingly, a screen provided as a sub display device displays only very simple information such as date, time, and short text, and in particular, image information cannot be displayed.

한편, 최근 출시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점점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는데, 특히 정지 영상 혹은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자유자재로 취급할 수 있는 기능들이 속속 탑재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recently relea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increasingly providing a variety of functions, in particular, the ability to handle multimedia data, such as still images or videos freely are being installed one after another.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이미지 편집, 이미지 확대 등의 기능은,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발 및 보급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However, there are problems that display, image editing, image enlargement, and the like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 not meet the needs of the user, and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meet the needs of the user. Necessity is emerging.

또한, 한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의 경우, 원본 이미지를 편집함에 있어서, 이미지 편집이 진행됨에 따라 원본 이미지와의 비교가 필요한 경우, 편집된 이미지를 저장하고 다시 원본 이미지를 읽어들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이러한 문제점은 단순 정보만을 제공하는 서브 화면이 포함된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단말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terminal having a single display device, when editing the original image, when the comparison with the original image is required as the image editing is performed, it is inconvenient to save the edited image and read the original image again. This problem also applies to a terminal having two display apparatuses including sub-screens that provide only simple information.

한편,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경우, 사용자로서는 다양한 정보의 빠른 습득, 화면 간 이동, 화면 간 서로 다른 정보 처리 등을 위해, 종전 키 패드 방식의 입력 장치 외에 보다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을 요구하게 되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having two display devices, the user is required to provide a more convenient user interface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keypad-type input device in order to quickly acquire various information, move between screens, and process different information between screens. It beca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와 같은 최근의 추세와 요청에 따라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원본 이미지의 디스플레이와, 원본 이미지의 편집 혹은 확대 등을 위한 디스플레이를 각각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현할 수 있는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갖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s, and as proposed 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trends and request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of the original image and the display for editing or enlargement of the original image, respectively, separate displa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al display device having an image editing function that can be implemented in a device,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 이스로서 터치 스크린을 장착함으로써, 이미지를 편리하게 편집 혹은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갖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al display device having an image editing function capable of conveniently editing or displaying an image by attaching a touch screen as a separate user interface to different display devices, and the same. To provide a wa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Dual Display)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 중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표시부에 제공되는 소정의 기능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기능 아이콘에 할당된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As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 image edit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termina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one of the at least one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mong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is selected, the selected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and a predetermined function icon provided on the first display unit is displayed. If selected, characterized in that for executing the function assigned to the selected function icon.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a)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 중 상기 제1 표시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b)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되는 과정; (c)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d) 상기 제1 표시부에 제공되는 소정의 기능 아이콘이 선택되는 과정; 및 (e) 상기 선택된 기능 아이콘에 할당된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edit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of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terminal; Displaying at least one image on the first display unit; (b) selecting one of the image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c) displaying the selected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d) selecting a predetermined function icon provid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nd (e) executing a function assigned to the selected function icon.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User Interface)로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고, 상기 (b) 과정 및 상기 (d) 과정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may include a touch screen as a separate user interface, and the steps (b) and (d)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touch screen. .

또한, 상기 기능 아이콘은, 이미지 편집을 나타내는 아이콘이고, 상기 기능은,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각종 편집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unction icon is an icon representing image editing, and the function preferably provides various editing tools capable of editing the selected image.

한편, 상기 기능 아이콘은, 이미지 확대를 나타내는 아이콘이고, 상기 기능은,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unction icon is an icon indicating image enlargement, and the function is displayed by enlarging the selected image.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제1 표시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a) 상기 제1 표시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b)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되어 상기 제1 표시부에 제공되는 소정의 기능 아이콘으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되는 과정; (c)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단말기에 별도로 구비된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및 (d) 상기 드래그 앤 드롭된 기능 아이콘에 할당된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image edit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first display unit having a touch screen, (a) the Displaying at least one image on the first display unit; (b) dragging and dropping one of the image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to a predetermined function icon provided on the first display unit; (c) displaying the selected image on a second display unit separately provided in the terminal; And (d) executing a function assigned to the drag and drop function icon.

여기서, 상기 (c) 과정은, 상기 이미지가 선택된 즉시 이루어지거나, 상기 이미지가 소정의 기능 아이콘으로 드래그 앤 드롭된 즉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tep (c) is preferably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image is selected, or immediately after the image is dragged and dropped to a predetermined function icon.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갖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디 스플레이하는 제1 표시부;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중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dual display device having an image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t least one image; A control unit which receives a selection signal for one of the image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nd outputs a first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selected image; And a second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selected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signal.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표시부에 소정의 기능 아이콘을 제공하고, 상기 기능 아이콘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선택된 기능 아이콘에 할당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trol unit provides a predetermined function icon to the first display unit, and when receiving a selection signal for the function icon, outputs a second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a function assigned to the selected function icon. It is desirable to perform further operations.

또한, 상기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have a separate user interface.

그리고, 상기 기능 아이콘은, 이미지 편집을 나타내는 아이콘이고, 상기 제2 제어신호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각종 편집 도구를 상기 제1 표시부에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 편집 도구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function icon is an icon representing image editing,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provides various editing tools capable of editing the selected image to the first display unit, and selects the image editing tool received from a user. It is preferable to edit the selected image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또한, 상기 기능 아이콘은, 이미지 확대를 나타내는 아이콘이고, 상기 제2 제어신호는, 상기 제1 표시부에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이동 명령 신호에 따라 이동하는 지시자(indicator)를 제공하고, 상기 지시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지시자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의 배율로 확대된 이미지를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function icon is an icon indicating an image enlargement,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provides an indicator that moves in accordance with a movement command signal received from a user on the first display unit.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o display an image enlarged at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around the indicator position on the second display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갖는 듀 얼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표시부;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되어 상기 제1 표시부에 제공되는 소정의 기능 아이콘으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와, 상기 드래그 앤 드롭된 기능 아이콘에 할당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al display device having an image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isplay unit displaying at least one image; A first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selected image when one of the image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is selected and dragged and dropped to a predetermined function icon provid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second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a function assigned to a function icon dragged and dropped; And a second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selected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signal.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의 흐름도이다.1 is a flowchart of an image edit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1,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an image edit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및 제2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display sections for display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preferably includes a touch screen as a separate user interface.

먼저, 상기 제1 표시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S100]. 여기서,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과정은 일반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특징이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 과정에 있는 것은 아니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제1 표시부에의 이미지 디스플레이는, 하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이미지를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First, at least one image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S100]. Here, the image display process is general, and since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resent in the image display proces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the image display on the first display unit may display one image, and more preferably, display a plurality of images in the form of a thumbnail.

또한, 상기 이미지는, 상기 단말기가 별도로 구비한 메모리에 저장된 것이거나, 상기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이거나, 혹은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may be stored in a memory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terminal,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mounted on the terminal, or received from the outsid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그 후,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되면[S110],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S120]. 상기 이미지 선택은, 상기 제1 표시부가 구비한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는 손가락 혹은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키 입력부 등 기타 사용자 입력 장치를 통하여 이미지를 선택할 수도 있다.Thereafter, when one of the image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is selected [S110], the selected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S120]. It is preferable that the image selection is made through a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first display unit. That is, the user can select an image using a finger or a stylus pen. Of course, the image may be selected through another user input device such as a key input unit provided in the terminal.

한편, 상기 이미지 선택 및 선택된 이미지의 상기 제2 표시부 디스플레이 과정의 구체적인 방법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The method of selecting the image and displaying the second display unit of the selected image may vary. Specific examples are as follows.

(1) 사용자가 손가락 혹은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표시부에서 이미지를 선택하여 상기 제2 표시부 방향으로 드래그(Drag)하면, 상기 제2 표시부에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표시부와 상기 제2 표시부가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표시부와 손가락 혹은 스타일러스 펜의 접촉이 이격된 후 일정 시간 내에 손가락 혹은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제2 표시부와 접촉이 시작되면, 단말기가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라는 명령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 모두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여야 한다.(1) When the user selects an image on the first display unit using a finger or a stylus pen and drags the image toward the second display unit, the selected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Here, when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re physically spaced apart, the contact between the finger or the stylus pen starts contacting the second display uni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finger or the stylus pen is spaced apart. If so, the terminal may recognize the selected image as a command to display on the second display unit. Here, both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should have a touch screen.

(2) 제1 표시부에서의 접촉이 일정 거리 이상 유지될 때, 선택된 이미지를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있다. 즉, 상기 제1 표시부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표면에서, 선택하고자 하는 이미지가 위치하는 곳으로부터 손가락 혹은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접촉이 시작되어, 상기 제2 표시부 방향으로 소정의 제한 시간 내에 소정의 거리만큼 상기 접촉이 유지된 경우에,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상기 제1 표시부만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면 된다. 상기 소정의 제한 시간은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2) There is a method of displaying the selected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when the contact on the first display unit is maintained over a certain distance. That is, on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first display unit, a contact using a finger or a stylus pen is start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image to be selected is located, and the predetermined distance is set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limit toward the second display unit. When the contact is maintained, the selected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In this method, only the first display portion needs to have a touch screen. The predetermined time limit can be set by the user.

(3) 제1 표시부에서의 접촉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유지될 때, 선택된 이미지를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있다. 즉, 상기 제1 표시부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표면에서, 선택하고자 하는 이미지가 위치하는 곳으로부터 손가락 혹은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접촉이 시작되어, 상기 제2 표시부 방향으로 소정의 제한 시간 내에 소정의 압력 이상으로 상기 접촉이 유지된 경우에,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상기 제1 표시부만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면 된다. 상기 소정의 제한 시간은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3) When the contact on the first display portion is maintained above a certain pressure, there is a method of displaying the selected image on the second display portion. That is, on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first display unit, a contact using a finger or a stylus pen is start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image to be selected is located, and above the predetermined pressur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limit toward the second display unit. When the contact is maintained, the selected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In this method, only the first display portion needs to have a touch screen. The predetermined time limit can be set by the user.

(4) 기타, 손가락 혹은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선택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일 회 혹은 소정의 시간 간격 내로 2회 접촉하면, 선택된 이미지를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게 할 수도 있다.(4) If the image to be selected is touched once or twic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by using a finger, a stylus pen, or the like, the selected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그 후, 상기 제1 표시부에 제공되는 소정의 기능 아이콘이 선택되면[S130], 상기 기능 아이콘에 할당된 기능을 실행한다[S140]. 상기 기능 아이콘의 선택은, 상기 이미지 선택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 표시부가 구비한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reafter, when a predetermined function icon provided in the first display unit is selected [S130], a function assigned to the function icon is executed [S140]. The function icon may be selected through a touch screen provided with the first display unit in the same manner as the image selection.

여기서, 상기 기능 아이콘 및 이에 할당된 기능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이미지 편집 기능, 이미지 확대 기능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기능 아이콘 및 이에 할당된 기능에 대한 세부적인 특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 the function icon and the function assigned thereto may be very diverse. There may be an image editing function, an image enlargement function, and the like. Detailed features of the function icon and the function assigned thereto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1) 이미지 편집 기능:(1) Image editing function:

상기 기능 아이콘은, 이미지 편집을 나타내는 아이콘이고, 상기 기능은,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각종 편집 도구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이미지를 다양하게 편집하게 할 수 있는 기능일 수 있다.The function icon may be an icon representing image editing, and the function may be a function that allows a user to variously edit an image by providing various editing tools for editing the selected imag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편집 기능 실행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각종 이미지 편집 도구를 제1 표시부에 제공하고[S200],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 편집 도구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편집한다[S210]. 그 후, 사용자의 선택 과정[S220]을 거쳐, 상기 편집된 이미지를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한다[S230].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executing an image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various image editing tools are provided to the first display unit [S200], and the selected image is edited according to the image editing tool sel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S210]. Thereafter, through the user's selection process [S220], the edited image is stored in a predetermined memory [S23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편집 기능을 실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참조번호 (300)은, 제1 표시부에 세 개의 이미지가 썸네일(Thumbnail)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특정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제2 표시부에 선택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1 표시부에 각종 기능 아이콘이 제공된다(310), 여기서, 참조번호 (311)은, 이미지 편집을 위한 기능 아이콘을 나타내고, 참조번호 (313)은, 기능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포인터(pointer) 혹은 지시자(indicator)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손가락 혹은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표시부에 구비된 터치스크린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포인터 혹은 지시자(313)를 이동시킬 수 있다. 참조번호 (320)은, 선택된 이미지를 편집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편집, 복사 등 각종 이미지 편집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미도시). 따라서,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원본 이미지를 보면서, 상기 제1 표시부에서 상기 원본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게 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ecuting an image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numeral 300 denotes a state in which three images are displayed in a thumbnail format on the first display unit. When a specific image is selected, the selected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and various function icons are provided on the first display unit 310, where reference numeral 311 denotes a function icon for image editing. Reference numeral 313 denotes a pointer or indicator for selecting a function icon. The user may move the pointer or indicator 313 by using a finger or a stylus pen to contact the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first display unit. Reference numeral 320 denotes an example of a screen for editing the selected image. Here, various image editing tools such as editing and copying may be provided (not shown). Accordingly, while viewing the original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the original image can be edited on the first display unit.

(2) 이미지 확대 기능:(2) image magnification function:

상기 기능 아이콘은, 이미지 확대를 나타내는 아이콘이고, 상기 기능은,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일 수 있다.The function icon may be an icon indicating image enlargement, and the function may be a function of enlarging and displaying the selected imag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확대 기능 실행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상기 제1 표시부에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이동 명령 신호에 따라 이동하는 포인터 혹은 지시자를 제공한다[S400]. 상기 포인터 혹은 지시자의 이동[S410]에 따라 상기 지시자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의 배율로 확대된 이미지를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S420].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executing an image enlarge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first display unit provides a pointer or indicator that moves according to the movement command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S40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inter or the indicator [S410], an image enlarged at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around the indicator position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S42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확대 기능을 실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참조번호 (500)은, 제1 표시부에 세 개의 이미지가 썸네일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특정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제2 표시부에 선택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1 표시부에 각종 기능 아이콘이 제공된다(510). 여기서, 참조번호 (511)은, 이미지 확대를 위한 기능 아이콘을 나타내고, 참조번호 (513)은, 기능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포인터(pointer) 혹은 지시자(indicator)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520)은, 선택된 이미지의 특정 영역을 소정의 배율로 확대하여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ecuting an image magn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numeral 500 denotes a state in which three images are displayed in a thumbnail format on the first display unit. When a specific image is selected, the selected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and various function icons are provided on the first display unit (510). Here, reference numeral 511 denotes a function icon for image enlargement, and reference numeral 513 denotes a pointer or indicator for selecting a function icon. Reference numeral 520 denotes an example of a screen on which the specific area of the selected image is enlarged at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and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의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age edit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6,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an image edit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및 제2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first and second display portions for display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includes a touch screen as a separate user interface.

먼저, 상기 제1 표시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S600].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의 세부적인 특징은 전술한 바와 같다.First, at least one image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S600]. Detailed features of the image and the image display are as described above.

그 후,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되면[S610],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S620]. 상기 이미지 선택 에 관한 세부적인 특징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단, 상기 제2 표시부 디스플레이 과정[S620]은, 상기 이미지가 선택된 즉시 이루어질 수 있다.Thereafter, when one of the image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is selected [S610], the selected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S620]. Details of the image selection are a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process of displaying the second display unit [S620] may be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image is selected.

그 후, 상기 선택된 이미지가 상기 제1 표시부에 제공되는 소정의 기능 아이콘으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되면[S630], 상기 드래그 앤 드롭된 기능 아이콘에 할당된 기능을 실행한다[S640]. 여기서, 상기 기능 아이콘 및 이에 할당된 기능의 세부적인 특징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드래그 앤 드롭은, 상기 제1 표시부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제1 표시부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표면에 손가락 혹은 스타일러스 펜 등을 선택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접촉시키고(이미지 선택), 상기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선택하고자 하는 기능 아이콘을 향하여 손가락 혹은 스타일러스 펜을 이동시킨다. 상기 선택된 이미지는, 상기 손가락 혹은 스타일러스 펜이 이동하는 궤적을 따라 같이 이동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이동한 손가락 혹은 스타일러스 펜을 상기 기능 아이콘 위에서 접촉을 이격시키면, 접촉이 이격된 지점에 위치한 기능 아이콘이 선택되는 것이다(기능 아이콘 선택).Thereafter, when the selected image is dragged and dropped (Drag & Drop) to a predetermined function icon provided on the first display unit [S630], the function assigned to the dragged and dropped function icon is executed [S640]. Here, the detailed features of the function icon and the function assigned thereto are as described above. The drag and drop may be performed using a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first display unit. That is, the user contacts the image to select a finger or a stylus pen on the touch screen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unit (image selection), and the finger or stylus faces the function icon to be selected while maintaining the contact. Move the pen. The selected image may move along the trajectory of the finger or the stylus pen. When the finger or the stylus pen moved as described above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on the function icon, the function icon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contact is spaced is selected.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의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age edit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7,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an image edit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및 제2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first and second display sections for display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includes a touch screen as a separate user interface.

먼저, 상기 제1 표시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S700].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 디스플레이의 세부적인 특징은 전술한 바와 같다.First, at least one image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S700]. Detailed features of the image and the image display are as described above.

그 후,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되어 상기 제1 표시부에 제공되는 소정의 기능 아이콘으로 드래그 앤 드롭되면[S710],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고[S720], 상기 드래그 앤 드롭된 기능 아이콘에 할당된 기능을 실행한다[S730]. 상기 이미지 선택, 상기 기능 아이콘 및 기능, 상기 드래그 앤 드롭에 관한 세부적인 특징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단, 상기 제2 표시부 디스플레이 과정[S720]은, 상기 선택된 이미지가 소정의 기능 아이콘으로 드래그 앤 드롭된 즉시 이루어질 수 있다.Thereafter, when one of the image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is selected and dragged and dropped onto a predetermined function icon provided on the first display unit [S710], the selected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S720]. In operation S730, the function assigned to the drag and drop function icon is executed. Details of the image selection, the function icon and function, and the drag and drop are a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second display unit display process [S720] may be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selected image is dragged and dropped to a predetermined function icon.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갖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having an image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a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갖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8, a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display apparatus having an image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통신모듈(800), 카메라(810), 키 입력부(820), 제어부(830), 제1 표시부(840), 제2 표시부(850) 및 메모리(8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표시부(840) 및 상기 제2 표시부(850)는, 상기 키 입력부(820)와는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터치 스크린(843, 853)을 구비할 수 있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800, a camera 810, a key input unit 820, a control unit 830, a first display unit 840, and a second display unit 850. And a memory 860. The first display unit 84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850 may include touch screens 843 and 853 as user interfaces different from the key input unit 820.

상기 키 입력부(82)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 신호를 받기 위한 각종 키를 구비한 입력 장치이다.The key input unit 82 is an input device having various keys for receiving various command signals from a user.

상기 제1 표시부(8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1 표시부(840)의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위한 구체적인 구성은 본 발명의 특징에서 벗어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 상기 이미지는, 상기 무선통신모듈(800)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혹은 상기 카메라(810)를 통하여 촬영된 것일 수 있고, 소정의 경로를 통하여 상기 메모리(860)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The first display unit 840 displays at least one image. Since a detailed configuration for displaying an image of the first display unit 840 is out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the image may be receiv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800, or may b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810, or may be stored in the memory 860 through a predetermined path.

상기 제어부(830)는,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중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이미지 선택은, 상기 제1 표시부에 구비된 제1 터치 스크린(843)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기타 세부적인 특징은 전술한 바와 같다. 물론, 상기 이미지 선택은, 상기 키 입력부(820)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controller 830 receives a selection signal for one of the image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nd outputs a first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selected image. The image selection may be made through the first touch screen 843 provided in the first display unit, and other detailed features are as described above. Of course, the image selection may be made through the key input unit 820.

상기 제2 표시부(850)는, 상기 제1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The second display unit 850 displays the selected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signal.

또한, 상기 제어부(830)는, 상기 제1 표시부에 소정의 기능 아이콘을 제공하고, 상기 기능 아이콘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선택된 기능 아이콘에 할당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아이콘 선택은 상기 제1 터치 스크린(843)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기능 아이콘 및 상기 기능에 대한 세부적인 특징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단, 편집된 이미지 혹은 확대된 이미지는, 상기 메모리(860)에 저장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기능 아이콘 선택은, 상기 키 입력부(820)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830 provides a predetermined function icon to the first display unit, and when receiving a selection signal for the function icon, a second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a function assigned to the selected function icon. You can output The function icon selection may be made through the first touch screen 843, and detailed features of the function icon and the function are a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edited image or the enlarged imag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860. Of course, the function icon selection may be made through the key input unit 820.

즉, 상기 기능 아이콘은 이미지 편집을 나타내는 아이콘이고, 상기 제2 제어신호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각종 편집 도구를 상기 제1 표시부에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 편집 도구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That is, the function icon is an icon representing image editing,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provides various editing tools capable of editing the selected image to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image editing tool selection signal received from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 editing the selected image.

또한, 상기 기능 아이콘은 이미지 확대를 나타내는 아이콘이고, 상기 제2 제어신호는, 상기 제1 표시부에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이동 명령 신호에 따라 이동하는 지시자(indicator)를 제공하고, 상기 지시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지시자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의 배율로 확대된 이미지를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The function icon is an icon indicating an image enlargement,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provides an indicator to move according to a movement command signal received from a user on the first display unit, and mov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n image enlarged at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around the indicator position on the second display uni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갖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는 도 8과 동일 하므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fifth exemplary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having an image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 block diagra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FIG. 8,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상기 제1 표시부(8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이미지에 관한 세부적인 특징은 상술한 바와 같다.The first display unit 840 displays at least one image. Detailed features relating to the image are as described above.

상기 제어부(830)는, 상기 제1 표시부(840)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되어 상기 제1 표시부(840)에 제공되는 소정의 기능 아이콘으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된 경우,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제2 표시부(850)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와, 상기 드래그 앤 드롭된 기능 아이콘에 할당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드래그 앤 드롭, 기능 아이콘 및 이에 할당된 기능, 기타 제5 실시예의 세부적인 구성을 위해 필요한 특징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When one of the image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840 is selected and dragged and dropped to a predetermined function icon provided on the first display unit 840, the controller 830 A first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a selected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850 and a second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a function assigned to the drag and drop function icon are output. Since the features necessary fo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rag and drop, the function icon and the function assigned thereto, and other fifth embodiments are as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상기 제1 제어신호는, 상기 이미지가 선택된 즉시,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제2 표시부(850)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상기 이미지가 소정의 기능 아이콘으로 드래그 앤 드롭된 즉시,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제2 표시부(850)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However, the first control signal may be for displaying the selected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850 immediately after the image is selected, and immediately after the image is dragged and dropped onto a predetermined function icon, the selected The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850.

상기 제2 표시부(850)는, 상기 제1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The second display unit 850 displays the selected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signal.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갖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having a dual display device having an image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원본 이미지의 디스플레이와, 원본 이미지의 편집 혹은 확대 등을 위한 디스플레이를 각각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본 이미지와 비교하면서 원본 이미지를 편집 혹은 확대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mplementing the display of the original image and the display for editing or expanding the original image on separate display devices, the user can edit or enlarge the original image while comparing with the original image It works.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터치 스크린을 장착함으로써, 키 입력 장치를 이용하지 않아도 이미지를 편리하게 편집 혹은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ttaching the touch screen as a separate user interface to different display devices,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edit or display an image without using a key input device.

Claims (26)

삭제delete 삭제delete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제 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 중 상기 제1 표시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a) displaying at least one image on the first display unit of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including at least one touch screen; (b)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과정;(b) receiving a selection signal for at least one of the image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c)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c) displaying the selected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d) 상기 제1 표시부에 제공되는 소정의 기능 아이콘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과정; 및(d) receiving a selection signal for a predetermined function icon provid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nd (e) 상기 선택된 기능 아이콘에 할당된 기능을 상기 제 2 표시부를 통해 실행하는 과정을(e) executing the function assigned to the selected function icon through the second display unit;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듀얼(Dual)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An image edit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b)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b) comprises: 상기 제1 표시부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표면에서, 선택하고자 하는 이미지가 위치하는 곳으로부터 접촉이 시작되어, 상기 제2 표시부 방향으로 소정의 제한 시간 내에 소정의 거리만큼 상기 접촉이 유지된 경우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Dual)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On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provided on the first display unit, contact is start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image to be selected is located, and the contact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limit toward the second display unit. An image edit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b)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b) comprises: 상기 제1 표시부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표면에서, 선택하고자 하는 이미지가 위치하는 곳으로부터 접촉이 시작되어, 상기 제2 표시부 방향으로 소정의 제한 시간 내에 소정의 압력 이상으로 상기 접촉이 유지된 경우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Dual)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On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first display unit, contact is start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image to be selected is located, and the contact is maintained above a predetermined pressur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limit toward the second display unit. An image edit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아이콘은,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wherein the function icon, 이미지 편집을 나타내는 아이콘이고,An icon representing image editing. 상기 기능은,The function is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각종 편집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Dual)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An image edit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variety of editing tools for editing the selected imag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e)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e) 상기 각종 이미지 편집 도구를 상기 제1 표시부에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the various image editing tools to the first display unit;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 편집 도구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편집하는 단계; 및Editing the selected image according to the image editing tool selection signal received from a user; And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편집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Storing the edited imag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듀얼(Dual)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An image edit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아이콘은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wherein the function icon 이미지 확대를 나타내는 아이콘이고,It's an icon to enlarge the image. 상기 기능은,The function is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Dual)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An image edit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enlarge and display the selected imag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e)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e) 상기 제1 표시부에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이동 명령 신호에 따라 이동하는 지시자(indicator)를 제공하는 단계; 및Providing an indicator for moving according to a movement command signal received from a user on the first display unit; And 상기 지시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지시자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의 배율로 확대된 이미지를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Displaying an image enlarged at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around the indicator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듀얼(Dual)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An image edit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제1 표시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에 있어서,In the image edit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first display unit having a touch screen, (a) 상기 제1 표시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a) displaying at least one image on the first display unit; (b)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되어 상기 제1 표시부에 제공되는 소정의 기능 아이콘으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되는 과정;(b) dragging and dropping one of the image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to a predetermined function icon provided on the first display unit; (c)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단말기에 별도로 구비된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및(c) displaying the selected image on a second display unit separately provided in the terminal; And (d) 상기 드래그 앤 드롭된 기능 아이콘에 할당된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d) executing the function assigned to the dragged and dropped function icon.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듀얼(Dual)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An image edit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1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registration fe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 process, 상기 이미지가 선택된 즉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Dual)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The image edit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is made immediately selected.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2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 process, 상기 이미지가 소정의 기능 아이콘으로 드래그 앤 드롭된 즉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Dual)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And an image is immediately dragged and dropped to a predetermined function icon.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3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아이콘은,The method of claim 11 or 12, wherein the function icon, 이미지 편집을 나타내는 아이콘이고,An icon representing image editing. 상기 기능은,The function is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각종 편집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Dual)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An image edit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variety of editing tools for editing the selected image.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4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d)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d) process, 상기 각종 이미지 편집 도구를 상기 제1 표시부에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the various image editing tools to the first display unit;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 편집 도구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편집하는 단계; 및Editing the selected image according to the image editing tool selection signal received from a user; And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편집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Storing the edited imag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듀얼(Dual)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An image edit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5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아이콘은,The method of claim 11 or 12, wherein the function icon, 이미지 확대를 나타내는 아이콘이고,It's an icon to enlarge the image. 상기 기능은,The function is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Dual)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An image edit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enlarge and display the selected image.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6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registration fe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d)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d) process, 상기 제1 표시부에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이동 명령 신호에 따라 이동하는 지시자(indicator)를 제공하는 단계; 및Providing an indicator for moving according to a movement command signal received from a user on the first display unit; And 상기 지시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지시자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의 배율로 확대된 이미지를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Displaying an image enlarged at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around the indicator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듀얼(Dual)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 편집 방법.An image edit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삭제delete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크스린을 포함하는 제1, 제2 표시부와;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including at least one touch screen;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중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선택된 이미지를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first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a selected image on a second display unit when receiving a selection signal for one of the image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갖는 듀얼(Dual)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having an image editing function.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표시부에 소정의 기능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기능 아이콘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선택된 기능 아이콘에 할당된 기능을 제2 표시부를 통해 실행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더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갖는 듀얼(Dual)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a predetermined function icon on the first display unit, and when receiving a selection signal for the function icon, executing the function assigned to the selected function icon through the second display uni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al display device having an image editing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ntrol signal.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아이콘은,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function icon, 이미지 편집을 나타내는 아이콘이고,An icon representing image editing. 상기 제2 제어신호는,The second control signal,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각종 편집 도구를 상기 제1 표시부에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 편집 도구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갖는 듀얼(Dual)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Providing various editing tools for editing the selected image to the first display unit, and editing the selected image according to the image editing tool selection signal received from a user; Du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isplay device.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아이콘은,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function icon, 이미지 확대를 나타내는 아이콘이고,It's an icon to enlarge the image. 상기 제2 제어신호는,The second control signal, 상기 제1 표시부에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이동 명령 신호에 따라 이동하는 지시자(indicator)를 제공하고, 상기 지시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지시자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의 배율로 확대된 이미지를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갖는 듀얼(Dual)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Providing an indicator moving according to a movement command signal received from a user on the first display unit, and displaying an image enlarged at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around the indicator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on the second display uni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having an image editing function.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표시부;A first display unit displaying at least one image; 상기 제1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되어 상기 제1 표시 부에 제공되는 소정의 기능 아이콘으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와,A first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selected image when one of the image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is selected and dragged and dropped onto a predetermined function icon provided on the first display unit; 상기 드래그 앤 드롭된 기능 아이콘에 할당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A controller configured to output a second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a function assigned to the drag and drop function icon; And 상기 제1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표시부를A second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the selected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signal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갖는 듀얼(Dual)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having an image editing function.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3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신호는,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first control signal, 상기 이미지가 선택된 즉시,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갖는 듀얼(Dual)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And a dual display device having an image editing function, for displaying the selected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immediately after the image is selected.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4 was abandoned when the setup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신호는,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first control signal, 상기 이미지가 소정의 기능 아이콘으로 드래그 앤 드롭된 즉시,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갖는 듀얼(Dual)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And displaying the selected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as soon as the image is dragged and dropped onto a predetermined function icon, wherein the dual display device has an image editing function.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5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아이콘은,The method of claim 23 or 24, wherein the function icon, 상기 제2 제어신호는,The second control signal,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각종 편집 도구를 상기 제1 표시부에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미지 편집 도구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갖는 듀얼(Dual)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Providing various editing tools for editing the selected image to the first display unit, and editing the selected image according to the image editing tool selection signal received from a user; Du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display device.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6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아이콘은,The method of claim 23 or 24, wherein the function icon, 이미지 확대를 나타내는 아이콘이고,It's an icon to enlarge the image. 상기 제2 제어신호는,The second control signal, 상기 제1 표시부에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이동 명령 신호에 따라 이동하는 지시자(indicator)를 제공하고, 상기 지시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지시자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의 배율로 확대된 이미지를 상기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편집 기능을 갖는 듀얼(Dual)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Providing an indicator moving according to a movement command signal received from a user on the first display unit, and displaying an image enlarged at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around the indicator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indicator on the second display uni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dual display device having an image editing function.
KR1020050077855A 2005-08-12 2005-08-2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Editing Image Having Dual-Display Equipment And Its Method KR1007515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153A KR100640808B1 (en) 2005-08-12 2005-08-1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ual-display of photograph and its method
KR1020050077855A KR100751553B1 (en) 2005-08-24 2005-08-2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Editing Image Having Dual-Display Equipment And Its Method
PL10010065T PL2265012T3 (en) 2005-08-12 2006-08-0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ual-display unit having function of editing captured image and method therof
ES10010065T ES2401863T3 (en) 2005-08-12 2006-08-0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dual display unit that has a function for editing the captured image and corresponding procedure
DE202006021124U DE202006021124U1 (en) 2005-08-12 2006-08-08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ual display unit with a function for editing a captured image
DE602006018227T DE602006018227D1 (en) 2005-08-12 2006-08-0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ual display unit with reprocessing function of the recorded images and method therefor
EP06016523A EP1753239B1 (en) 2005-08-12 2006-08-0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ual-display unit having function of editing captured image and method thereof
AT06016523T ATE488956T1 (en) 2005-08-12 2006-08-0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UAL DISPLAY UNIT WITH PROCESSING FUNCTION OF THE RECORDED IMAGES AND METHOD THEREFOR
EP10010065A EP2265012B1 (en) 2005-08-12 2006-08-0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ual-display unit having function of editing captured image and method therof
CN2006101110447A CN1913683B (en) 2005-08-12 2006-08-1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ual-display unit having function of editing captured image and method thereof
US11/502,461 US7471890B2 (en) 2005-08-12 2006-08-1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ual-display unit having function of editing captured image and method thereof
JP2006221336A JP4461122B2 (en) 2005-08-12 2006-08-14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US12/242,488 US8605005B2 (en) 2005-08-12 2008-09-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ual-display unit having function of editing captured image and method thereof
US13/216,889 US8605007B2 (en) 2005-08-12 2011-08-2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ual-display unit having function of editing captured imag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855A KR100751553B1 (en) 2005-08-24 2005-08-2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Editing Image Having Dual-Display Equipment And Its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350A KR20070023350A (en) 2007-02-28
KR100751553B1 true KR100751553B1 (en) 2007-08-23

Family

ID=41631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855A KR100751553B1 (en) 2005-08-12 2005-08-2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Editing Image Having Dual-Display Equipment And Its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155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513B1 (en) 2010-10-07 2017-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enhancing a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767B1 (en) * 2007-05-15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KR101405928B1 (en) * 2007-06-07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ethod for generating key signal in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KR101012300B1 (en) * 2008-03-07 201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User interface apparatus of mobile station having touch screen and method thereof
KR20100050103A (en) 2008-11-05 2010-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of controlling 3 dimension individual object on map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527019B1 (en) * 2008-12-31 2015-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thereof
KR101498078B1 (en) * 2009-09-02 201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digital photo fr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31910B1 (en) * 2009-09-10 2016-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351006B2 (en) * 2009-12-24 2013-11-27 京セラ株式会社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program
KR102297903B1 (en) * 2019-12-20 2021-09-06 네이버 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web browser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1849A (en) 1996-10-31 1998-11-24 Lucent Technologies Inc. User interface for personal telecommunication devices
KR20040055141A (en) * 2002-12-20 2004-06-26 지현진 Multi-Function Mobile Phone With Two Displays
KR20040059598A (en) * 2002-12-27 2004-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with internal dual lcd
KR20050074034A (en) * 2004-01-13 2005-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editing image and image edition method using tha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1849A (en) 1996-10-31 1998-11-24 Lucent Technologies Inc. User interface for personal telecommunication devices
KR20040055141A (en) * 2002-12-20 2004-06-26 지현진 Multi-Function Mobile Phone With Two Displays
KR20040059598A (en) * 2002-12-27 2004-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with internal dual lcd
KR20050074034A (en) * 2004-01-13 2005-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editing image and image edition method using tha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513B1 (en) 2010-10-07 2017-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enhancing a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350A (en) 200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1553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Editing Image Having Dual-Display Equipment And Its Method
JP3977684B2 (en) Digital still camera
EP2191358B1 (en) Method for providing gui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CN108509115B (en) Page oper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523370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3996852B2 (en) Remote control with touchpad for highlighting preselected parts of displayed slides
US20080129759A1 (en) Method for processing imag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429978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20070220449A1 (en) Method and device for fast access to appli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801205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enu in cross shape
US20120032988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that displays list of images onto display unit,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therefor
CN101901107A (en) Can be based on the mobile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that touch convergent-divergent
JP2010067135A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0009733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2279700A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display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4243749B (en) The control method of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system
KR20150095536A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KR102016650B1 (en) Method and operating device for operating a device
JP4713270B2 (en) Web browsing apparatus and web information display method
JP5055098B2 (en) Image display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KR100703289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effect item
CN110661946B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JP2007114402A (en) Display processing apparatus
KR1012965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of image data
CN100419653C (en) Method of inputting information into a mobile digit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