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3483B1 - 바이러스 제거 백 및 그것을 이용한 바이러스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바이러스 제거 백 및 그것을 이용한 바이러스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3483B1
KR100743483B1 KR1020057010502A KR20057010502A KR100743483B1 KR 100743483 B1 KR100743483 B1 KR 100743483B1 KR 1020057010502 A KR1020057010502 A KR 1020057010502A KR 20057010502 A KR20057010502 A KR 20057010502A KR 100743483 B1 KR100743483 B1 KR 100743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us
bag
virus removal
plasma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0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5498A (ko
Inventor
다까히로 호리
가즈이시 사또오
겐지 다까사
사또시 야나세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5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5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7Degassing devices; Buffer reservoirs; Drip chambers; Blood filters
    • A61M1/3633Blood component filters, e.g. leukocyte filters
    • A61M1/3635Constructional details
    • A61M1/3636Constructional details having a flexible hou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09Multiple bag systems for separating or storing blood components
    • A61M1/0218Multiple bag systems for separating or storing blood components with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61M1/0209Multiple bag systems for separating or storing blood components
    • A61M1/0218Multiple bag systems for separating or storing blood components with filters
    • A61M1/0227Multiple bag systems for separating or storing blood components with filters and means for securing the filter against damage, e.g. during centrifug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61M2205/7509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for vir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입구 및 하나 이상의 출구를 갖는 자루형 케이싱(1) 및 상기 자루형 케이싱(1)의 내부에 확실하게 보유 지지되고, 상기 자루형 케이싱(1)의 내부 공간을 상기 입구에 연통하는 제1 구획실(3)과 상기 출구에 연통하는 제2 구획실(4)로 나누어 일부 또는 전부가 바이러스 제거막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격벽(2)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한 바이러스 제거 백을 개시한다.
자루형 케이싱, 시트형 격막, 구획실, 튜브, 여과 백, 부직포, 바이러스 제거막

Description

바이러스 제거 백 및 그것을 이용한 바이러스 제거 방법 {VIRUS-REMOVING BAG AND VIRUS-REMOV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바이러스 제거 백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입구 및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출구를 갖는 자루형 케이싱(a) 및 상기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에 확실하게 보유 지지되고, 상기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 공간을 상기 입구에 연통하는 제1 구획실(c)과 상기 출구에 연통하는 제2 구획실(d)로 나누는 격막(b)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제거 백이며, 상기 격막(b)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바이러스 제거막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여과에 의해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여,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인 여과액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 구획실(c)은 상기 입구로부터 도입한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수용하고, 상기 제2 구획실(d)은 상기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으로 여과하여 얻을 수 있는 여과액을 포집하도록 되어 있는 바이러스 제거 백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이러스 제거 백을 이용한 바이러스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백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면,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인 여과액은 바이러스 제거 백의 내부에 포집되므로, 여과액을 받기 위한 용기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로 인해 바이러스 제거 백의 구조는 간편하며, 단순한 조작으로 바이러스 제거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이러스 제거 백을 이용한, 바이러스 제거 혈장을 얻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복잡한 무균 조작을 행하거나, 대규모인 장치를 사용하는 일 없이 혈장으로부터 쉽게 윈도우기의 바이러스나 검사 대상 밖의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모든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면, 바이러스 감염의 위험성이 매우 낮은 수혈용 혈장을 간편하면서도 또한 저비용으로 조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인간 또는 동물의 혈장은 수혈뿐만 아니라, 혈장 제제나 혈장 분화(分畵) 제제의 원료, 바이오 테크놀로지에 이용하는 다양한 재료로서 유용하다. 그러나, 혈장에는 잠재적으로 바이러스가 혼재될 위험성이 있어, 특히 헌혈 혈액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수혈용 혈장에 바이러스가 혼입되어 있는 경우, 그와 같은 바이러스가 혼입된 혈장을 수혈 받은 환자가 바이러스에 감염될 위험성이 높다.
헌혈 혈액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을 방지하는 대책으로서, 우선 첫 번째로 스크리닝(screening)을 들 수 있다. 스크리닝은 헌혈자의 문진과 헌혈 혈액의 검사로 이루어진다. 특히 중독인 감염증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에 대하여, 항원 및 항체 반응에 의한 검사가 행해진다. B형 간염 바이러스, C형 간염 바이러스, 에이즈 바이러스 등의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자동 수혈 검사 장치 외에 인간의 손에 의한 용수(用手) 검사가 행해져, 양성 반응이 인정된 혈액은 폐기된다.
기존에는 헌혈 혈액을 통한 바이러스 감염의 가능성을 상기한 방법으로 충분 히 배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혈장 분화 제제에 있어서는, 혈장 성분은 각종 정제 공정을 거쳐 최종적으로는 바이러스 제거 기능을 갖는 여과막에 의해 처리되어 있으므로 감염의 위험성은 거의 배제되어 있지만, 수혈용 혈장의 경우는 감염증 검사에 의해 바이러스를 검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어, 수혈에 의한 감염의 위험성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감염증 검사에 의해 바이러스를 검지할 수 없는 경우란 스크리닝의 대상으로 삼지 않은 바이러스가 혼입되어 있는 경우와, 바이러스가 각 바이러스 고유의 항원 및 항체 검사에 반응하지 않는 윈도우기라 불리우는 기간에 검사가 행해진 경우이다. 헌혈 혈액 중 바이러스가 윈도우기에 있는 경우, 이러한 혈액은 스크리닝 검사를 통과하게 된다.
헌혈 혈액을 통한 바이러스 감염의 가능성을 배제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바이러스 그 자체를 불활화하는 기술의 개발도 행해지고 있다. 바이러스 그 자체를 불활화하는 기술로서는 솔벤트디타젠트법이라 불리우는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용액을 혈액과 접촉시키는 방법, 광불활화라 불리우는 솔라렌 유도체와 같은 반응성 물질을 바이러스에 도입시켜, 빛을 조사하여 바이러스의 유전자를 파괴하는 방법의 2가지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어떠한 방법도 모든 바이러스에 대하여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고, 또한 첨가하는 물질의 안전성이나 처리 비용이 증대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혈액 속의 바이러스의 종류(검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바이러스인지 여부)나, 바이러스가 윈도우기에 있는지 여부에 특별히 관계 없이, 바이러스가 통과하지 않는 구멍 직경을 갖는 필터를 이용하면, 바이러스를 여과에 의해 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 공개 소62-67456호 공보 및 일본국 특허 공개 소63-88130호 공보에는 중공 섬유로 이루어지는 필터를 사용하여 혈장 중의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공개 소62-67456호 공보에는 중공 섬유로 이루어지는 필터 유닛에 혈액을 도입한 후, 원심력을 여과의 구동력으로서 혈액을 여과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허 공개 소63-88130호 공보에는 통상의 헌혈 혈액(전혈)을 혈액 백에 도입하고, 원심 분리에 의해 전혈로부터 혈장 성분을 분리하여, 분리한 혈장 성분을 바이러스 제거 필터에 투과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혈액 백에 채취한 혈액을 원심 분리에 의해 혈구 성분과 혈장 성분으로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기존의 혈액 처리 방법에, 상기한 바와 같은 필터 유닛을 이용한 바이러스 제거 공정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의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중공 섬유를 충전한 필터 유닛의 경우는 하드한 부재이므로, 전혈을 혈액 성분으로 분리하기 위해 전혈을 포함하는 혈액 백을 필터 유닛에 결합한 상태에서 원심 분리 장치에 걸면, 혈액 백이 파손될 위험성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혈을 포함하는 혈액 백을 원심 분리로 처리한 후에 무균적으로 필터 유닛을 혈액 백에 접속해야만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혈액 처리 현장에서 이러한 무균 접속을 행하기 위한 무균 영역을 확보하는 것은 어렵고, 또한 무균 영역에의 사람의 출입 등에 의해 무균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 새로운 감염증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필터 유닛을 혈액 백에 결합한다는 것은 한 사람분 의 헌혈 혈액에 대하여 하나의 필터 유닛을 이용하는 것을 의미하고, 일회의 헌혈 혈액인 200 내지 400 ㎖의 혈액에 대하여 하나의 필터 유닛이 사용된 후 버려지게 된다. 1회용이 되는 필터 유닛은 가능한 한 간편한 구조를 가지며 낮은 제조 비용으로 생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중공 섬유를 이용한 필터 유닛은 반드시 적당하다고는 할 수 없다. 보다 간편한 필터 구조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 공개 평7-26787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백혈구 제거를 위한 필터 유닛의 구조를 들 수 있다. 이 필터 유닛은 부직포로 구성되는 백혈구를 흡착시켜 제거하기 위한 여과재를 가요성의 하우징 내에 장착한 것이다. 그러나, 일본국 특허 공개 평7-26787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필터 유닛을 이용하여, 여과를 원심력에 의해 행하는 경우에는 여과되기 전의 혈액이 들어 간 백과, 여과 후의 혈액을 수용하기 위한 백을 필터 유닛을 사이에 두고 원심력이 발생하는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배치하기 위해 튜브로 연결해야만 한다. 이러한 배치를 취하기 위해서는 매우 큰 공간을 필요로 하고, 또한 원심 중에 필터 유닛과 백의 위치 관계가 변화하여 안정된 원심 조작이 행해지지 않는다고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일본국 특허 공개 평7-26787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필터 유닛의 여과재를 바이러스 제거에 적합한 여과재로 변경한 경우에도 원심 여과를 행하기 위한 큰 공간이 필요해, 원심 중에 필터 유닛과 백의 위치 관계가 변화하여 안정된 원심 조작이 행해지지 않는다고 하는 등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서 남아 버린다.
또한 헌혈 혈액으로부터 얻어진 혈장을 여과하는 경우, 특히 바이러스를 저지하는 미세한 구멍 직경의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혈장 중에 존재하는 지질 등 에 의한 필터의 눈 막힘이 큰 문제가 된다. 이러한 문제는 몇 가지의 정제 공정을 거쳐 눈 막힘을 일으키는 물질이 거의 존재하지 않게 된 혈장을 여과하는 혈장 분화 제제의 제조에는 보이지 않는 것이다. 헌혈 혈액을 원심 분리하여 혈구 성분으로부터 분리한 직후의 혈장은 신선 혈장이라 불리지만, 그 조성은 개인차가 크다. 특히 지질 성분에 대해서는 고지혈증 혹은 그 위험성이 높은 사람의 혈장인 경우, 실온까지 냉각한 혈장 중에 눈으로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큰 지질 덩어리가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혈장을 막으로 처리하는 경우, 막의 눈 막힘에 의한 처리량의 저하가 자주 문제가 된다. 이 문제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으로서, 일본국 특허 공개 평3-146067호 공보에는 막의 구멍 직경이 다른 복수의 필터 유닛을 연결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을 적용하여 헌혈 혈액으로부터 수혈용 혈장을 조제하기(즉, 헌혈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하여, 분리한 혈장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함)위한 시스템을 구성하면, 중공 섬유를 이용한 필터 유닛을 복수 연결해야만 해, 결과적으로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에 있어서 필터 유닛이 차지하는 부분이 장대해져 원심 조작에 지장이 생긴다. 또한 필터 유닛의 비용이 많이 든다고 하는 현실적인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현행의 혈액 처리 시스템에 적합한 간편한 방법으로, 헌혈 직후의 신선 혈장으로부터 윈도우기의 바이러스나 검사 대상 밖의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모든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이나 방법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놀랍게도 입구와 출구를 갖는 자루형 케이싱(a) 및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에 확실하게 보유 지지되고,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 공간을 입구에 연통하는 제1 구획실(c)과 출구에 연통하는 제2 구획실(d)로 나누어, 일부 또는 전부는 바이러스 제거막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격막(b)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제거 백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의 바이러스 제거를 행하면, 처음에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은 제1 구획실(c)에 수용되고, 이어서 격막(b) 중 일부 또는 전부인 바이러스 제거막에 의해 여과되어 바이러스가 제거되고,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인 여과액은 제2 구획실(d)에 포집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바이러스 제거 백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의 바이러스 제거를 행하면,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인 여과액이 바이러스 제거 백의 내부에 포집되므로, 바이러스 제거 백의 구조는 간편하고, 단순한 조작으로 바이러스 제거를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바이러스 제거 백을 혈장 처리 시스템에 조립한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복잡한 무균 조작을 행하거나, 대규모인 장치를 이용하는 일 없이 혈장으로부터 쉽게 윈도우기의 바이러스나 검사 대상 밖의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모든 바이러스를 제거한 바이러스 감염의 위험성이 매우 낮은 수혈용 혈장을 간편하면서도 저비용으로 조제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는 데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여과액을 받기 위한 용기를 별도로 설치하는 일 없이 단순한 조작으로 바이러스 제거를 행하기 위한 바이러스 제거 백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한 바이러스 제거 백을 이용한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한 바이러스 제거 백을 이용한 바이러스 제거 혈장을 얻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여러 가지 목적, 여러 가지 특징 및 여러 가지 이익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행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의 범위로부터 명백해진다.
첨부한 도면에 있어서,
도1은 시트형의 격막(b)을 갖는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2는 격막(b)이 여과 백의 막형의 위요벽 전체의 형태로 설치된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로, 도2a는 바이러스 제거 백의 평면도이며, 도2b는 그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3은 바이러스 제거막으로서 이용하는 복합 필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4는 바이러스 제거막으로서 이용하는 복합 필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5는 바이러스 제거막으로서 이용하는 복합 필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로, 적층한 필터류와 부직포를 일체화하기 위해 설치한 접착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은 격막(b)으로서 이용하는 여과 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로, 도6a 내지 도6c는 위요벽 전체가 바이러스 제거막으로 이루어지는 여과 백을 각각 도시하고, 도6d는 여과 백의 위요벽의 일부가 바이러스 제거막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밖의 부분은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에 대한 투과성이 없는 시트로 구성되어 있는 여과 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백에 있어서의 제2 구획실(d)의 용량을 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로, 도7a는 시트형의 격막(b)을 갖는 바이러스 제거 백의 평면도이며, 도7b는 격막(b)이 여과 백의 막형의 위요벽 전체의 형태로 설치된 바이러스 제거 백의 평면도이며, 도7c는 그 Ⅶ-Ⅶ선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백에 있어서의 시트형의 격막(b)의 접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로, 도8a는 자루형 케이싱(a)의 내벽에 접합한 격막(b)의 접합부를 도시하고, 도8b는 2장 이상의 시트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자루형 케이싱(a)을 이용하여 시트와 함께 격막(b)도 접합한 경우의 접합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백에 있어서의 여과 백과 자루형 케이싱(a)과의 접합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로, 도9a는 여과 백과 자루형 케이싱(a)이 입구가 되는 튜브(13)만으로 접합되어 있는 바이러스 제거 백을 도시하고, 도9b는 여과 백과 자루형 케이싱(a)이 자루형 케이싱(a)의 상부 단부면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접합되어 있는 바이러스 제거 백을 도시하는 도면.
도10a 내지 도10f는 여과 백의 내경이 여과 백 내의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의 유동 방향으로 보아, 여과 백의 전단부를 향해 점감하고 있는 여과 백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1은 제1 구획실(c)이 스폰지형 흡착재를 내포하고 있는 바이러스 제거 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로, 도11a는 바이러스 제거 백의 평면도이며, 도11b는 그 ⅩⅠ-ⅩⅠ선 단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스페이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로, 도12a는 여과 백을 내부에 수용한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며, 도12b는 그 ⅩⅡ-ⅩⅡ선 단면도이다.
도13 내지 도22는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혈장을 얻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폐쇄 시스템인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23은 원심기의 컵 안에 삽입한 바이러스 제거 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24는 바이러스 제거 백을 원심기의 컵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훅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로, 도24a는 고정용 훅을 위에서 보았을 때의 개략도이며, 도24b는 고정용 훅을 옆에서 보았을 때의 개략도이다.
도25는 바이러스 제거 백에 원심력을 가하여 여과를 촉진하는 방법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로, 도25a는 2개의 회전체 사이에 바이러스 제거 백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25b는 회전체를 하나로 하여 그 외측에 바이러스 제거 백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25c는 회전체를 하나로 하여 그 내측에 바이러스 제거 백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25d는 회전체를 하나로 하여 전체 길이가 회전체의 원주와 거의 동일한 바이러스 제거 백을 회전체의 외측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26은 원심기의 컵 안에 삽입한 바이러스 제거 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27은 롤식 압축기에 의해 바이러스 제거 백에 압력을 가하여 여과를 촉진하는 방법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28은 플레이트식 압축기에 의해 바이러스 제거 백에 압력을 가하여 여과를 촉진하는 방법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29는 가압용의 가스 수용 백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제거 백에 압력을 가하는 방법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30은 제7 실시예에서 제작한 바이러스 제거 백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31은 제2 참고예에 이용한 중공 섬유 필터 모듈을 모방한 경질 폴리술폰제 원통 케이스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32는 제8 실시예에서 작성한 여과 백의 형상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자루형 케이싱(a)
2 : 시트형 격막(b)
3 : 제1 구획실(c)
4 : 제2 구획실(d)
5 : 입구
6 : 출구
7 : 여과 백
7a : 바이러스 제거막
7b :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에 대한 투과성이 없는 시트
8 : 바이러스 제거 필터
9 : 예비 필터
10 : 부직포
11 : 복합 필터
12 : 접착 부분
13 : 입구가 되는 튜브
14 : 자루형 케이싱(a)의 밀봉부
15 : 격막(b)과 자루형 케이싱(a)과의 접합 부분
16 : 스폰지형 흡착재
17 : 스페이서
18 : 채혈 바늘
19 : 수액 파이프의 용단 부위
20 : 전혈을 수용하기 위한 혈액 백
21 : 여과 후의 혈장을 수용하기 위한 혈액 백
22 : 백혈구 제거 유닛
23 : 백혈구 제거 혈액을 수용하기 위한 혈액 백
24 : 버피 코트를 수용하기 위한 혈액 백
25 : 첨가제 등을 수용하기 위한 백
26 : 바이러스 제거 백의 공기 제거를 위한 백
27 : 가압용 가스를 수용하기 위한 백
28 : 원심기의 컵
29 : 고정용 훅
30 : 고정용 바아
31 : 원심력이 가해지는 방향
32 : 훅
33 : 압박 플레이트
34 : 고정용 나사
35 : 바이러스 제거 백의 상측 부분
36, 37 : 회전체
38 : 보조 포트
39 : 롤식 압축기의 롤
40 : 핀치 콕
41 : 플레이트식 압축기의 플레이트
42 : 고정용 플랜지
43 : 경질 폴리술폰 원통 케이스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입구 및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출구를 갖는 자루형 케이싱(a) 및
상기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에 확실하게 보유 지지되어, 상기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 공간을 상기 입구에 연통하는 제1 구획실(c)과 상기 출구에 연통하는 제2 구획실(d)로 나누는 격막(b)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한 바이러스 제거 백이며,
상기 격막(b)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바이러스 제거막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여과에 의해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여,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인 여과액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 구획실(c)은 상기 입구로부터 도입한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수용하고, 상기 제2 구획실(d)은 상기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으로 여과하여 얻을 수 있는 여과액을 포집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제공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우선 본 발명의 기본적 특징 및 바람직한 형태를 열거한다.
1.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입구 및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출구를 갖는 자루형 케이싱(a) 및
상기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에 확실하게 보유 지지되어, 상기 자루형 케이 싱(a)의 내부 공간을 상기 입구에 연통하는 제1 구획실(c)과 상기 출구에 연통하는 제2 구획실(d)로 나누는 격막(b)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한 바이러스 제거 백이며,
상기 격막(b)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바이러스 제거막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여과에 의해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여,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인 여과액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 구획실(c)은 상기 입구로부터 도입한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수용하고, 상기 제2 구획실(d)은 상기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으로 여과하여 얻을 수 있는 여과액을 포집하도록 되어 있다.
2. 상기 격막(b)이 여과 백의 막형의 위요벽 전체의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여과 백은 상기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에 확실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고, 상기 여과 백의 막형의 위요벽 전체에 의해 상기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 공간이 상기 입구에 연통하는 제1 구획실(c)과, 상기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 공간에서 필터 백 부분을 제외한 공간 부분으로 상기 출구에 연통하는 제2 구획실(d)로 나누어져 있고,
상기 여과 백의 위요벽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바이러스 제거막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 여과에 의해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기재된 바이러스 제거 백.
3. 상기 여과 백의 내경이 상기 여과 백 내의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의 유동 방향으로 보아, 상기 여과 백의 전단부를 향해 점감하고 있고, 내경의 점감은 상기 여과 백의 후단부 또는 후단부와 전단부 사이에서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항에 기재된 바이러스 제거 백.
4.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이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의 유동 방향으로 보아, 하나 이상의 예비 필터와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제거 필터를 이 순서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필터이며, 상기 복합 필터의 한쪽 또는 양쪽 단부측에 부직포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이러스 제거 백.
5.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이 평균 구멍 직경이 1 내지 100 ㎚의 다공질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이러스 제거 백.
6.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이 다공질막의 표면에 친수성 화합물을 부가시켜 얻을 수 있는 친수성 다공질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이러스 제거 백.
7. 상기 친수성 화합물의 부가가, 친수성 모노머의 그라프트 중합 반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6항에 기재된 바이러스 제거 백.
8.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이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이러스 제거 백.
9. 제2 구획실(d)이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에 투과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여과액의 전량을 수용하는 데 충분한 용량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이러스 제거 백.
10. 제1 구획실(c)이 스폰지형 흡착재를 내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이러스 제거 백.
11. 제2 구획실(d)의 용량이 100 내지 8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이러스 제거 백.
12. 바이러스 제거 능력 이외의 기능을 갖는 하나 이상의 기능적 백에 무균적 또한 액밀적으로 접속하여, 폐쇄 시스템인 멀티 백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이러스 제거 백.
13.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이며,
(1) 적어도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바이러스 제거 백을 제공하고 ;
(2)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에 도입하여, 제1 구획실(c)에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수용하고 ;
(3) 상기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으로 여과하여, 상기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고 ;
(4)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인 여과액을 제2 구획실(d)에 포집하고 ; 그리고
(5) 상기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을 상기 출구로부터 취출한다.
14. 공정 (3)에 있어서, 제1 구획실(c)에 수용되어 있는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에 원심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에 의한 상기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의 여과를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3항에 기재된 방법.
15. 공정 (3)에 있어서, 제1 구획실(c)에 수용되어 있는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에 의한 상기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 의 여과를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3항에 기재된 방법.
16. 상기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이 전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17. 상기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이 혈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18. 상기 혈장이 동결 처리가 실시된 일이 없는 혈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7항에 기재된 방법.
19. 상기 혈장이 백혈구 제거 혈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7항 또는 제18항에 기재된 방법.
20. 공정 (4)에 있어서,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여과하여 얻을 수 있는 여과액의 전량을 제2 구획실(d)에 포집한 후에, 공정 (5)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이러스 제거 방법.
21. 바이러스 제거 혈장을 얻기 위한 방법이며,
(1) 혈장과 혈구를 포함하여, 바이러스를 함유하고 있을 것 같은 전혈을 채취하여, 전혈로부터 혈장을 분리 채취하기 위한 혈장 채취 수단(ⅰ)과 ;
적어도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바이러스 제거 백(ⅱ) 및
바이러스를 제거한 혈장을 회수하기 위한 혈장 회수 수단(ⅲ)을 포함하여, 상기 혈장 채취 수단(ⅰ)은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ⅱ)에 무균적 또한 액밀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ⅱ)은 상기 혈장 회수 수단(ⅲ)에 무균적 또한 액밀적으로 접속하는 폐쇄 시스템인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고 ;
(2) 상기 혈장 채취 수단(i)에 헌혈자로부터 전혈을 채취하고 ;
(3) 채취한 전혈로부터 원심 분리에 의해 혈장을 분리하고 ;
(4) 분리한 혈장을 상기 혈장 채취 수단(i)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제거 백(ii)에 도입하고,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ii)의 제1 구획실(c)에 분리 혈장을 수용하고 ;
(5) 상기 분리 혈장을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ii)의 바이러스 제거막으로 여과하여, 상기 분리 혈장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고 ;
(6) 바이러스 제거 혈장인 여과액을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ii)의 제2 구획실(d)에 포집하고 ; 그리고
(7) 바이러스 제거 혈장을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ⅱ)으로부터 취출하여, 상기 혈장 회수 수단(ⅲ)으로 회수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2. 공정 (6)에 있어서, 상기 혈장을 여과하여 얻을 수 있는 여과액의 전량을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ii)의 제2 구획실(d)에 포집한 후에, 공정 (7)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1항에 기재된 바이러스 제거 방법.
23. 제21항 또는 제22항의 방법으로 얻게 된 인간 또는 동물의 혈장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입구 및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출구를 갖는 자루형 케이싱(a)[pouchy casing(a)] 및
상기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에 확실하게 보유 지지되어, 상기 자루형 케이 싱(a)의 내부 공간을 상기 입구에 연통하는 제1 구획실(c)[first compartment(c)]과 상기 출구에 연통하는 제2 구획실(d)[second compartment(d)]로 나누는 격막(b)[separation membrane(b)]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한 바이러스 제거 백이며,
상기 격막(b)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바이러스 제거막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여과에 의해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여,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인 여과액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 구획실(c)은 상기 입구로부터 도입한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수용하고, 상기 제2 구획실(d)은 상기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으로 여과하여 얻을 수 있는 여과액을 포집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백은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입구 및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출구를 갖는 자루형 케이싱(a) 및 상기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에 확실하게 보유 지지되어, 상기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 공간을, 상기 입구에 연통하는 제1 구획실(c)과 상기 출구에 연통하는 제2 구획실(d)로 나누는 격막(b)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백에 사용하는 자루형 케이싱(a)은 하나 이상의 입구 및 하나 이상의 출구를 갖고, 그 내부에 용액을 보유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좋다. 또한, 자루형 케이싱(a)의 재질은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또는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 등의 현탁액에 대한 투과성이 없는 재질인 한 특별히 한정은 없고, 후술하는 가요성의 재료로 만들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루형 케이싱(a)의 크기는 그 내부에 격막(b)을 확실하게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한 특별히 한정은 없고, 격막(b)의 크기나 처리하는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의 용량을 기초로 하여 결정하면 좋다.
본 발명의 바이러스 백의 격막(b)은 시트형(즉, 평막형)이라도 좋지만, 여과 백의 막형의 위요벽 전체의 형태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이하, 자주「여과 백의 막형의 위요벽 전체의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격막(b)」을 단순히「백형의 격막(b)」또는「여과 백」이라 함). 이러한 백형의 격막(b)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제거 백이라 함은 격막(b)이 여과 백의 막형의 위요벽 전체의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여과 백은 상기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에 확실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고, 상기 여과 백의 막형의 위요벽 전체에 의해 상기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 공간이 상기 입구에 연통하는 제1 구획실(c)과, 상기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필터 백 부분을 제외한 공간 부분으로 상기 출구에 연통하는 제2 구획실(d)로 나누어져 있고,
상기 여과 백의 위요벽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바이러스 제거막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여과에 의해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는 바이러스 제거 백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여과 백의 막형의 위요벽」이라 함은 여과 백을 구성하고 있는 막으로, 여과 백의 내부 공간을 외부로부터 막고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백을 도1과 도2에 도시하였다. 도1은 시트형의 격막(b)을 갖는 바이러스 제거 백의 일례이며, 자루형 케이싱(1), 격막(2), 제1 구획실(3), 제2 구획실(4) 및 튜브인 입구(5) 및 출구(6)로 구성되어 있다. 도2는 백 형의 격막(b)(여과 백)을 갖는 바이러스 제거 백의 일례이며, 도2a는 평면도이며, 도2b는 그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2의 바이러스 제거 백은 자루형 케이싱(1), 여과 백(7), 제1 구획실(3), 제2 구획실(4) 및 튜브인 입구(5) 및 출구(6)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백이 갖는 격막(b)의 일부 또는 전부는 바이러스 제거막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여과에 의해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일부 또는 전부가 바이러스 제거막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격막(b)」이라 함은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과 접촉하는 격막(b)의 면적의 10 %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이 바이러스 제거막으로 구성되어 있는 격막이다. 따라서, 격막(b)은 그 전체면이 바이러스 제거막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일부가 바이러스 제거막이며, 나머지 부분은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에 대한 투과성이 없는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에 대한 투과성이 없는 시트에 대해서는 여과 백에 관련지어 후술한다.
격막(b)의 일부를 구성하는 바이러스 제거막은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에 포함되는 바이러스의 투과를 저지할 수 있는 막이며, 이러한 기능을 가진 바이러스 제거막은 다수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이러스 제거막에 특별히 한정은 없고, 공지의 바이러스 제거 필터를 사용하면 좋다. 바이러스 제거 필터 그 자체를 바이러스 제거막으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바이러스 제거막이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의 유동 방향으로 보아, 하나 이상의 예비 필터와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제거 필터를 이 순서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필터이며, 상기 복합 필터의 한쪽 또는 양쪽 단부측에 부직포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합 필터를 이용함으로써,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얻을 수 있어 장기간에 걸쳐 안정된 여과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바이러스 제거 필터의 평균 구멍 직경은 1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10 내지 80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30 내지 70 ㎚의 범위가 가장 바람직하다. 막의 평균 구멍 직경을 1 내지 100 ㎚로 함으로써 혈장 중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어, 인체에 있어서 중독인 증상을 일으키는 에이즈 바이러스(HIV, 평균 입자 직경 100 내지 120 ㎚) 등을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막의 평균 구멍 직경이라 함은 ASTMF316-86 및 E128-61에 준거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구멍 직경이다. 바이러스 제거막의 바이러스 제거 성능을 보다 상세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바이러스의 대수 제거율을 이용할 수 있다. 바이러스의 대수 제거율(LRV)이라 함은 -1og10(여과 후의 투과액 중의 바이러스 농도)/(여과 전의 원액 중의 바이러스 농도)로 표시되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3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고, 4 내지 9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이러스 제거막의 바이러스의 대수(log) 제거율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한다. 처음에 5 % 말혈청을 포함하는 덜베코(Dulbecco's) MEM 배지로 배양한 MDBK 세포에 소 설사증 바이러스를 감염시켜, 배양 상청을 분취하여 막으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다. 여과는 압력이 0.1MPa, 온도가 25 ℃인 조건하에서 실시하여, 막을 투과한 액은 2 ㎖씩, 10회로 나눠 채취한다. 채취한 투과액의 프랙션(fraction)으로부터 1 ㎖씩을 샘플링하 여, 이들을 혼합하여 여과액으로 한다. 여과 전의 원액과 여과액을 각각 MDBK 세포에 첨가하여 배양하고, TCID50법을 기초로 하여 대수 제거율을 산출한다.
복합 필터에 있어서는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의 유동 방향으로 보아, 하나 이상의 예비 필터와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제거 필터를 이 순서로 적층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예비 필터의 평균 구멍 직경은 바이러스 제거막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사용하는 바이러스 제거 필터의 평균 구멍 직경의 1.2 내지 10.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이러스 제거 필터와 예비 필터의 두께는 모두 5 내지 500 ㎛가 바람직하고, 10 내지 200 ㎛가 보다 바람직하다. 바이러스 제거 필터와 예비 필터에 대해서는 그 평균 구멍 직경과 막의 두께가 각각 상술한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실용상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고, 또한 여과를 실시했을 때의 시간이 흐름에 따른 액 투과량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복합 필터에 있어서는 복합 필터의 한쪽 또는 양쪽 단부측에 부직포가 더 설치되어 있다. 부직포는 바이러스 제거 필터와 예비 필터를 보호하고, 또한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 중에 존재하는 것보다 큰 입자(예를 들어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이 혈장인 경우에는 지질 등도)를 포착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복합 필터에 이용하는 부직포는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폴리우레탄, 스틸렌-이소브틸렌-스틸렌 공중합체, 셀룰로오스, 초산셀룰로오스 혹은 이들의 혼합물인 수지제의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필터류를 보호하기 위한 충분한 강도를 보유 지지하고, 또한 입자나 지질을 효과적으로 포착하기 위해서는 부직포의 눈은 1 내지 100 g/㎡ 범위가 적합하고, 부직포의 섬유 직경은 0.3 내지 100 ㎛의 범위가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복합 필터의 단면도를 도3과 도4에 도시하였다. 도3에 도시한 복합 필터는 부직포(10), 예비 필터(9), 바이러스 제거 필터(8)와 부직포(10)를 이 순서대로 적층한 것이다. 여기서 부직포(10)는 필터류의 상하에 설치되어 있으나, 반드시 상측과 하측의 양쪽에 적층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적층하는 필터류나 부직포의 수에도 특별히 한정은 없고, 복수의 예비 필터나 바이러스 제거 필터를 적층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4에 도시한 복합 필터에 있어서는 3장의 바이러스 제거 필터가 적층되어 있다. 특히 높은 바이러스 제거 능력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이 복수의 바이러스 제거 필터를 복수매 포개어 예비 필터와 부직포와 함께 적층함으로써 높은 바이러스 제거율을 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류와 부직포를 적층한 후, 필터나 부직포가 일체가 되도록 복합 필터의 주변을 일정한 폭으로 접착해 두면 가공 시에 취급하기 쉬워 적합하다. 이 일례를 도5에 도시하였다. 도5는 복합 필터의 평면도이며, 부호 11은 복합 필터, 12는 그 접착 부분이다. 접착 부분의 폭a에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복합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 백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여과 백의 크기에도 의하지만 1 내지 2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10 ㎜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 방법으로서는 열, 초음파, 고주파에 의한 융착이나 에폭시계 수지, 포름 알데히드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초산 비닐계, 폴리비닐 알콜계 등의 접착제에 의한 접착이 적합하다.
바이러스 제거 필터와 예비 필터는 공압출의 기술을 이용하여 성막 후에 일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압출이라 함은 성막 시에 다른 성막원액을 하나의 다이스구로부터 동시에 밀어내는 기술이다. 이 때 막의 평균 구멍 직경은 열용융 성막의 경우에는 가소제와 막의 원료와의 혼합비, 습식 성막의 경우는 용제와 막의 원료 성분과의 혼합비를 바꾸는 것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복합 필터는, 또한 그 상하에 네트나 다공질재를 적층하여 강도를 높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격막(b) 중 일부 또는 전부인 바이러스 제거막(바이러스 제거 필터나, 복합 필터에 포함되는 예비 필터)의 재질에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여과하는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이 혈장인 경우에는, 혈장과 접하는 세공내 표면이 친수성이고, 혈장 성분 중의 단백의 흡착이 발생하지 않는 표면 조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질로서는 친수화 폴리불화비닐리덴, 친수화 폴리술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셀룰로오스, 재생 셀룰로오스, 초산셀룰로오스, 가교폴리비닐알콜, 에틸렌 비닐 알콜 공중합체, 혹은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재질은 건식 또는 습식 제막법에 의해 다공질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바이러스 제거막(바이러스 제거 필터나, 복합 필터에 포함되는 예비 필터)이 다공질막의 표면에 친수성 화합물을 부가시켜 얻을 수 있는 친수성 다공질막인 것이 바람직하고, 친수성 화합물의 부가가, 친수성 모노머의 그라프트 중합 반응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친수성 다공질막은 다공질막을 제막한 후에, 그 막 표면(세공내 표면도 포함함)에 친수성 화합물을 부가시 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친수성 화합물을 부가하기 전의 다공질막의 재질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브틸렌 등의 폴리올레핀, 올레핀과 할로겐화 올레핀의 공중합체,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염화비닐리덴, 초산셀룰로오스, 혹은 이들의 혼합물이 적합하다.
친수성 화합물을 부가하기 전의 다공질막의 평균 구멍 직경은 1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10 내지 80 ㎚가 보다 바람직하고, 20 내지 70 ㎚가 가장 바람직하다. 다공질막의 두께는 5 내지 500 ㎛가 바람직하고, 10 내지 200 ㎛가 보다 바람직하다. 다공질막의 기공율에 대해서는 5 내지 80 %가 바람직하고, 10 내지 40 %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다공질막의 부가에 사용하는 친수성 화합물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 다가 알콜의 에스테르류 등의 친수성 모노머나 모노머의 혼합물 및 가교 가능한 비닐기나 알릴기 등을 주쇄(主鎖) 또는 측쇄(側鎖)에 갖는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폴리머로서는 비닐기나 알릴기 등을 갖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글리시들,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등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부가의 방법으로서는 다공질막에 전자선이나 감마선과 같은 전리 방사선을 조사하여 래디컬을 발생시켜, 액상 또는 기체상의 친수성 화합물과 접촉시키는 방법(그라프트 중합)이 가장 적합하다. 막 표면에 친수성 화합물 을 부가시키는 다른 방법으로서는 상기한 가교 가능한 비닐기나 알릴기 등을 주쇄 또는 측쇄에 갖는 친수성 폴리머를 막 표면에 코팅하여 열, 방사선, 가교제 등으로 가교하는 방법과 폴리비닐 알콜이나 에틸렌 비닐 알콜 공중합체 등의 친수성 폴리머를 막 표면에 코팅하는 방법을 들 수 있어, 이들의 방법도 간편한 방법으로서 추천된다. 또한 부가 시에,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등의 디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친수성 화합물에 첨가하고 나서 반응을 행하여, 얻어진 반응 생성물을 가교할 수도 있다.
바이러스 제거 필터나 예비 필터 재질의 친수성은, 평막의 상태에서 측정한 접촉각이 0 내지 140 °인 것이 바람직하고, 0 내지 120 °가 보다 바람직하고, 0 내지 90 °가 더욱 바람직하다. 접촉각이 140 °이하이면, 높은 투과액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접촉각은 다공질형의 평막을 이용하여, 일본국 교와가이멘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제의 자동 접촉각계(DCA-VM형)로 측정한 값이다.
다음에, 백형의 격막(b)을 갖는 바이러스 제거 백에 이용하는 여과 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여과 백의 위요벽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바이러스 제거막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여과에 의해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여과 백은 바이러스 제거 필터나 상술한 복합 필터 등의 바이러스 제거막을 자루 형상으로 가공하거나, 바이러스 제거 필터와 다른 재질의 시트를 접합한 복합 재료를 자루 형상으로 가공하여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6a 내지 도6c에 바이러스 제거막을 자루 형상으로 가공한 여과 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6a에 있어서는 2장의 바이러스 제거막을 포개어, 3쪽을 접착함으로써 자루 형상으로 가공하고 있으며, 도6b와 도6c에 있어서는 1장의 바이러스 제거막을 되접어[즉, 도6b의 좌단부 및 도6c의 바닥부는 절첩 부분이며], 2쪽을 접착함으로써 자루 형상으로 가공하고 있다. 접착 부분의 폭은 여과 백의 크기에 의해 조정하면 좋지만, 통상 1 내지 20 ㎜가 바람직하고, 2 내지 10 ㎜가 보다 바람직하다. 여과 백의 개구부는 바이러스 제거 백의 입구와 연통하도록 예를 들어 튜브를 넣어 접착하거나 자루형 케이싱(a)의 개구부와 함께 접착할 수 있다(도9를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여과 백은 위요벽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바이러스 제거막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면 좋으며,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과 접촉하는 여과 백의 막형의 위요벽 면적의 10 %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이 바이러스 제거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따라서, 여과 백의 위요벽 중, 바이러스 제거막이 아닌 부분은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에 대하여 투과성이 없는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시트의 재질로서는, 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폴리우레탄, 스틸렌-이소브틸렌-스틸렌 공중합체 등의 수지를 들 수 있어, 이들의 수지는 가소제 등을 포함하여 연질 재질로 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6d에, 여과 백(7)의 위요벽의 일부가 바이러스 제거막(7a)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밖의 부분은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에 대한 투과성이 없는 시트(7b)로 구성되어 있는 여과 백을 도시하였다. 여기서 바이러스 제거막(7a)과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에 대한 투과성이 없는 시트(7b)는 접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백은 가요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러스 제거 백이 가요성을 갖는다고 하는 것은 바이러스 제거 백을 구성하는 부품[즉, 자루형 케이싱(a), 격막(b), 여과 백, 입구나 출구가 되는 튜브 등]의 대부분이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바이러스 제거 백의 일부분, 예를 들어 다른 기능적 백과 연결하기 위한 튜브를 잇는 부분이나, 여과 백과 자루형 케이싱(a)의 접합 부분 등은 바이러스 제거 백 전체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경질 플라스틱과 같은 비가요성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자루형 케이싱(a)이나 여과 백은 가요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추천된다. 다른 기능적 백 등과 연결한 바이러스 제거 백에 원심력을 거는 경우, 바이러스 제거 백이 가요성을 가지면, 다른 기능적 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이러스 제거 백의 제조에 이용하는 가요성 재료로서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등의 고분자 재료에 가소제 등을 첨가하는 등 연질성의 재료를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연질 폴리염화비닐, 폴리우레탄,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연질성의 재료라 함은 손의 힘으로 쉽게 굽힐 수 있을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 재료인 것이다.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백에 있어서는 제2 구획실(d)이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바이러스 제거막에 투과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여과액의 전량을 수용하는 데 충분한 용량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러스 제거 백이 이러한 구조를 가지면,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제1 구획실(c)에 도입하여,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예를 들어 원심력을 이용하여) 여과할 때에, 여과액인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이 모두 제2 구획실(d)에 포집되므로, 여과액을 포집하기 위한 백을 별도로, 수액 파이프 등에 의해 바이러스 제거 백에 연결시킬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제2 구획실(d)이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바이러스 제거막에 투과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여과액의 전량을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을 갖고 있음」이라 함은 제2 구획실(d)의 용량이 여과로 처리하는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의 용량과 동일하거나 그것보다도 큰 것을 의미한다. 도7a에 시트형의 격막(b)을 갖는 바이러스 제거 백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사선으로 제2 구획실(d)의 용량의 측정에 이용하는 부분을 도시하였다. 도7b와 도7c에는 여과 백을 갖는 바이러스 제거 백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사선으로 제2 구획실(d)의 용량의 측정에 이용하는 부분을 도시하였다. 제2 구획실(d)의 용량은 모두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한다. 출구와 제2 구획실과의 접점을 핀치 콕 사이에 두고, 제2 구획실에 순수(純水)를 넣는다. 다음에 바이러스 제거 백을 쓰러지지 않도록 정치(靜置)시키거나, 혹은 바이러스 제거 백을 현수한 상태에서 도7의 사선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포함되는 순수의 양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백을 혈액 또는 혈장 처리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1회의 헌혈 혈액량을 고려하면, 바이러스 제거 백의 제1 구획실(c)의 용량은 100 내지 600 ㎤가 바람직하고, 150 내지 250 ㎤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바이러스 제거막에 투과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여과액의 전량을 수용하는 데 충분한 제2 구획실(d)의 용량은 100 내지 800 ㎤가 바람직하고, 150 내지 400 ㎤가 보다 바람직하다.
시트형의 격막(b)을 갖는 바이러스 제거 백에 있어서는 격막(b)은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에 확실하게 보유 지지되어,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 공간을 입구에 연통하는 제1 구획실(c)과 출구에 연통하는 제2 구획실(d)로 나누고 있다. 격막(b)을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에 확실하게 보유 지지하는 방법에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어 열, 초음파, 고주파에 의한 융착이나 에폭시계 수지, 포름알데히드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초산 비닐계, 폴리비닐 알콜계 등의 접착제를 사용한 접착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8에 시트형의 격막(b)을 갖는 바이러스 제거 백에 있어서의 격막(b)의 접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8a에 있어서는 자루형 케이싱(a)의 내벽에 격막(b)이 접합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의 바이러스 제거 백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자루형 케이싱(a)과 격막(b)을 따로따로 준비하여, 접착제 등으로 접합하면 좋다. 또한 도8b에는 적어도 2장의 시트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자루형 케이싱(a)을 이용하여, 시트와 함께 격막(b)도 접합한 경우의 접합부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형상의 바이러스 제거 백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자루형 케이싱(a)을 적어도 2장의 시트로 제작하여, 2장의 시트를 접합할 때에 격막(b)도 시트에 끼운 상태로 접합한다. 예를 들어, 본원 명세서의 제7 실시예와 같이 그 주위에 플랜지를 설치한 받침 접시형의 케이스를 2개 만들어(2개의 케이스 중 하나는 입구를 갖고, 다른 하나는 출구를 가짐), 격막(b)을 2개의 케이스 사이에 두고 접합함으로써 바이러스 제거 백을 얻을 수 있다. 도8b에 도시한 형태로 격막(b)을 접합하면, 접착 강도가 커지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자루형의 격막(b)(여과 백)을 갖는 바이러스 제거 백에 있어서도 여과 백은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에 확실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고, 여과 백의 막형의 위요벽 전체에 의해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 공간이 입구에 연통하는 제1 구획실(c)과,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필터 백 부분을 제외한 공간 부분으로 출구에 연통하는 제2 구획실(d)로 나누어져 있다. 여과 백을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에 확실하게 보유 지지하는 방법에 특별히 한정은 없고, 시트형의 격막(b)과 마찬가지로 열, 초음파, 고주파에 의한 융착이나 접착제에 의한 접착 방법 등으로 고정하면 좋다. 여과 백과 자루형 케이싱(a)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할 수 있다. 도9a에 있어서는 여과 백(7)은 입구(5)인 튜브(13)를 통해 자루형 케이싱(1)에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여과 백(7)과 자루형 케이싱(1)과의 접합점은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위한 튜브(13)뿐이다. 도9b에 있어서는 여과 백(7)과 자루형 케이싱(1)이 각각의 상부 단부면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넓은 접합부를 갖는 바이러스 제거 백에 있어서는 접합부가 견고하므로, 큰 힘이 드는 원심력을 이용한 여과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9a 및 도9b 중 어느 쪽에도 자루형 케이싱(1)의 밀봉부(14)가 도시되어 있지만, 입구(5)가 되는 튜브(13)를 협지한 부분을 열로 융착하는 경우에는 밀봉 시의 온도, 압력, 시간을 조정하여 튜브 전체가 찌부러지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여과 백의 내경이 여과 백 내의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의 유동 방향으로 보아, 여과 백의 전단부를 향해 점감하고 있고, 내경의 점감은 여과 백의 후단부 또는 후단부와 전단부 사이에서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여과 백은 자루가 조여지도록 그 내경이 작아져 가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내경이 점감하고 있는 여과 백의 형상을 도10에 예시하였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여과 백은 도10b나 도10c와 같이 연속적으로 내경이 감소하고 있어도 좋고, 도10a, 도10d, 도10e 및 도10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중에서 내경이 감소하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도10d 및 도10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 형상으로 내경이 감소하고 있어도 좋다. 내경이 점감한 형상의 여과 백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바이러스 제거막이나 일부 또는 전부에 바이러스 제거막을 갖는 막을 미리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재단하여, 재단한 막을 열융착(열 밀봉) 또는 접착제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자루 형상으로 가공하는 방법이 추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바이러스 제거 백의 제1 구획실(c)이 스폰지형 흡착재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과 백이 스폰지형 흡착재를 내포하고 있는 바이러스 제거 백의 일례를 도11에 도시하였다. 스폰지형 흡착재를 이용하면,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에 포함되는 지질이나 협잡물 등이 스폰지형 흡착재에 흡착되어, 여과 효율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스폰지형 흡착재로서는 압력을 가했을 때에 쉽게 압축되고, 또한 증기 멸균에 견디는 것으로서 우레탄 발포체나 멜라민 발포체가 적합하다. 스폰지형 흡착재의 크기에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제1 구획실(c)의 용량의 30 내지 90 용적 퍼센트가 적합하다.
여과 백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제거 백을 이용하여, 제1 구획실(c)에 수용되어 있는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바이러스 제거막에 의한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의 여과를 촉진하는 경우에는,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인 여과액의 유로를 확보하기 위해 여과 백이 스페이서에 내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스페이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수지제 네트이고, 눈금은 0.5 내지 20 ㎜인 것이 적합하다. 스페이서는 내부에 여과 백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자루이며, 여과 백을 수용한 상태에서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에 확실하게 보유 지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페이서의 내부에 수용한 여과 백의 일례를 도12에 도시하였다. 도12에 있어서 스페이서(17)는 여과 백(7)을 덮고 있고, 입구(5)가 되는 튜브(13)의 선단부가 스페이서의 외측으로 나오도록 여과 백을 스페이서로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백은 바이러스 제거 능력 이외의 기능을 갖는 하나 이상의 기능적 백에 무균적 또한 액밀적으로 접속하여, 폐쇄 시스템인 멀티 백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폐쇄 시스템인 멀티 백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이라 함은 종래부터 혈액 처리 등의 현장에서 이용되고 있는 것과 같은 기능적 백(구체적으로는 혈액 성분의 회수 등에 이용하는 혈액 백 등)이 또한 상술한 바이러스 제거 백에 무균적 또한 액밀적으로 접속하여, 폐쇄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시스템이고,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폐쇄 시스템인 멀티 백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의 구체예로서는, 도13 내지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바이러스 제거혈장을 얻기 위한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들 수 있다.
바이러스 제거 혈장을 얻기 위한 멀티 백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은, 기능적 백인 혈액 백을 포함한다. 「혈액 백」이라 함은 혈액 성분을 수용하기 위한 기능 적 백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혈액 성분이라 함은 전혈, 혈장,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또는 이들의 혼합물(예를 들어, 백혈구와 혈소판의 혼합물인 버피 코트)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혈액(전혈)은 채취된 후, 원심 분리 등에 의해 혈액 성분으로 분리하고 나서 수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혈액 처리에 이용하는 멀티 백 시스템에 있어서는 전혈을 위한 혈액 백, 혈장을 위한 혈액 백, 혈구 성분을 위한 혈액 백 등의 백나, 이후에 서술하는 백혈구 제거 필터 유닛 등의 복수의 백나 유닛 등이 미리 연결되어 있다. 또한 멀티 백 시스템에 있어서는 혈액 백 내에는 미리 생리식염수 등의 생리적 용액이나 혈액 성분의 응고 방지를 위한 첨가제 등이 수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들의 첨가제는 다른 백에 수납해 두고, 혈액 백과 연결해 두어도 좋다. 또한 바이러스 제거 백의 여과 백 내에 전술한 바와 같이 스폰지형 흡착재가 충전되어 있는 경우에는 혈장을 여과 백에 도입하기 전에 미리 스폰지형 흡착재 안에 있던 공기를 제거해야만 하므로, 스폰지형 흡착재 중에서 제거한 공기를 저장하기 위한 백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공기 제거 백도 멀티 백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바이러스 제거 백에 가스를 송입하여 가압하고, 완전히 여과되지 않은 액체를 완전히 여과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가압용의 가스를 봉입한 백을 연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의 다양한 백은 백의 재질과 마찬가지의 재질로 만들어진 가요성 튜브로 이루어지는 수액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백을 포함하는 「폐쇄 시스템인 멀티 백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 및 후술하는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방법에 이용하는 「폐쇄 시스 템인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에 있어서는, 바이러스 제거 백이 다른 기능적 백나 필터 유닛에 무균적 또한 액밀적으로 접속되어 있지만, 「무균적 또한 액밀적으로 접속되어 있다」라고 함은 액체가 도입되기 전의 기능적 백 등과 바이러스 제거 백이 튜브 등의 수액 파이프로 연결된 후, 밀봉하여 폐쇄한 시스템으로 되어 있고, 그 내부가 무균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 상태이면, 기능적 백의 내부는 외기에 노출되는 일은 없고, 얻게 되는 액체 안에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 필요에 따라서 액을 빼거나 액을 도입하기 위해, 일부에 주사 바늘이나 콕이 달린 개방 가능 부분을 설치해도 좋다. 또한 기능적 백과 바이러스 제거 백을 연결하여 멀티 백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렇게 얻게 된 시스템을 열, 증기, 방사선과 같은 멸균 방법에 의해 처리하여, 멀티 백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균이나 바이러스를 죽이고, 그 후의 균이나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 멀티 백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에 있어서는 복수의 기능적 백이 바이러스 제거 백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멸균 처리는 모든 백을 연결시킨 채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멸균을 열 처리로 행하는 경우에는 처리 온도는 90 ℃ 내지 150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내지 130 ℃이며, 처리 시간은 5 내지 120분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60분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 기능적 백에 연결시키는 바이러스 제거 백의 수는 1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처리하는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의 양을 고려하여 복수개 연결시켜도 된다.
도13 내지 도22에,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백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제거 혈장을 얻기 위한 멀티 백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예시하였다. 도13 내지 22에 있어서는 채혈 바늘(18)과 전혈 수용을 위한 혈액 백(20)을 포함하는 채혈 수단과, 자루형 케이싱(1)을 갖는 바이러스 제거 백, 여과 후의 혈장을 위한 혈액 백(21)을 포함하는 혈장 회수 수단을 포함한다. 채혈 바늘이나 백 등을 잇는 도면 중의 선은 수액 파이프이다. 도13은 채혈 바늘(18), 전혈 수용을 위한 혈액 백(20), 바이러스 제거 백 및 여과 후의 혈장을 위한 혈액 백(21)으로 이루어지는 간략한 장치이다. 도14는 도13의 장치에 백혈구 제거 유닛(22)과 백혈구 제거 혈액을 위한 혈액 백(23)을 첨가한 것이다. 도15는 도13의 장치에 버피 코트를 위한 혈액 백(24)을 첨가한 것이다. 도16은 도13의 장치에 항응고제 등의 첨가제를 위한 혈액 백(25)을 첨가한 것이다. 도17은 도13의 장치에 항응고제 등의 첨가제를 위한 혈액 백(25)과 버피 코트를 위한 혈액 백(24)을 첨가한 것이다. 도18은 도14의 장치에 항응고제 등의 첨가제를 위한 혈액 백(25)과 버피 코트를 위한 혈액 백(24)을 첨가한 것이다. 도19는 도18의 장치에 또한 바이러스 제거 백용 공기 제거 백(26)을 첨가한 것이다. 도20은 도18의 장치에 가압용 가스가 들어 간 백(27)을 첨가한 것이다. 도21은 도13의 장치에서 바이러스 제거 백의 직전에 백혈구 제거 유닛(22)을 첨가한 것이다. 도22는 도13의 장치에서 바이러스 제거 백에 바이러스 제거 백로부터 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공기 제거 백(26)을 첨가한 것이다. 또한 도13과 도22에 대표하여 도시한 수액 파이프를 용단하는 부위(19)는 바이러스 제거 백에 혈장을 도입한 후에 용단 등의 방법으로 분리한 쪽이 바람직한 위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는 이하의 공정 (1) 내지 (5)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1)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제거 백을 제공하고 ;
(2)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에 도입하여, 제1 구획실(c)에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수용하고 ;
(3) 상기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으로 여과하여, 상기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고 ;
(4)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인 여과액을 제2 구획실(d)에 포집하고 ; 그리고
(5) 상기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을 상기 출구로부터 취출한다.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방법에 이용하는 바이러스 제거 백은 상술한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백이며, 격막(b)이 시트형인 것도 자루형(여과 백)인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방법의 공정 (2)에 있어서는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입구로부터 바이러스 제거 백에 도입하여, 제1 구획실(c)에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수용한다. 다음에 공정 (3)에서,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바이러스 제거막으로 여과하여,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고, 공정 (4)에서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인 여과액을 제2 구획실(d)에 포집한다.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의 여과를 행하는 방법에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제1 구획실(c)에 수용되어 있는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에 원심력이나 압력을 가함으로써 바이러스 제거막에 의한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의 여과를 촉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구획실(c)에 수용되어 있는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에 원심력을 가하는 경우에는 제1 구획실(c) 내의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이 바이러스 제거막을 통과하여, 제2 구획실(d) 내에 여과액으로서 이동하도록 원심력을 가한다. 즉, 이러한 방향으로 원심력이 가해지도록 바이러스 제거 백을 회전시킨다. 제1 구획실(c)에 가하는 원심력은 사용하는 원심기의 크기와 바이러스 제거 백의 강도에 따라 결정하면 좋지만, 5 내지 70,000G의 범위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러스 제거 백에 기능적 백 등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의 세균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해, 기능적 백 등을 분리하지 않고서 함께 원심으로 처리해도 상관없다. 또한, 원심기의 백 수납 부분에 바이러스 제거 백 이외의 기능적 백 등이 수납되지 않는 경우에는 바이러스 제거 백과 다른 기능적 백을 연결하고 있는 튜브를 가열 용단하여 용단 부분을 밀봉하고, 바이러스 제거 백과 필요한 기능적 백만으로 원심 조작을 행해도 좋다. 원심 조작시의 온도는 0 내지 40 ℃가 바람직하고, 5 내지 35 ℃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온도 범위 내이면,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이 혈장이라도 큰 변성을 받지 않고 고속으로 여과를 행할 수 있다.
도23은 원심기의 컵 안에 삽입한 바이러스 제거 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도면 중의 바이러스 제거 백은 도2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이다. 자루형 케이싱(1)을 갖는 바이러스 제거 백은 그 상단부를 고정용 훅(29)으로 고정하고, 고정용 훅(29)은 원심기의 컵에 설치된 고정용 바아(30)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을 취함으로써 원심 중의 바이러스 제거 백의 변형을 억제하여 정상적인 여과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도면 중의 흰 화살표(31)는 원심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나타내고, 여과도 이 방향으로 진행한다. 도24는 바이러스 제거 백을 원심기의 컵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훅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24에 예시한 훅을 이용할 때에는 훅(32)이 달린 압박 플레이트(33)로 바이러스 제거 백의 상단부(35)를 끼워 넣고, 고정 나사(34)로 바이러스 제거 백을 고정한다.
도25는 바이러스 제거 백에 원심력을 가해 여과를 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도25a는 시트형의 격막(b)을 갖는 바이러스 제거 백에 원심력을 더하여 여과를 촉진하는 다른 하나의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25a에 있어서는, 회전체(원심기의 회전자에 상당)(36) 및/또는 회전체(37)에 바이러스 제거 백을 도면과 같이 고정하여, 회전체를 도면의 검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면 중의 흰 화살표(31)의 방향으로 원심력이 작용하여 여과가 촉진된다. 바이러스 제거 백은 회전체(36)와 회전체(37)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에 고정한다. 이 때 바이러스 제거 백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쪽의 회전체는 바이러스 제거 백이 회전 중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회전 중에 바이러스 제거 백이 낙하될 우려가 적을 때는 회전체는 어느 한 쪽만 사용해도 상관없다. 2개의 회전체 중 어느 한쪽만을 사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25b와 도25c에 도시하였다. 도25b는 회전체의 외측에 바이러스 제거 백을 고정하는 방법이며, 도25c는 회전체의 내측에 바이러스 제거 백을 고정하는 방법이다. 바이러스 제거 백을 회전체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나사 고정으로 고정하는 방법, 백을 덮도록 회전체에 벨트를 권취하여 고정하는 방법, 회전체의 일부에 백을 삽입할 수 있는 부분을 미리 마련해 두는 방법 등,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면 좋다. 또한, 회전체에 권취하는 바이러스 제거 백의 전체 길이에 특별히 한정은 없고, 바이러스 제거 백의 전체 길이가 회전체의 원주와 거의 동일해도 상관 없다. 회전체의 원주와 거의 동일한 길이의 바이러스 제거 백을 원심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도25d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바이러스 제거 백의 전체 길이가 회전체의 원주를 넘는 경우에는 백이 포개어진 상태에서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회전체에는 바이러스 제거 백을 동시에 복수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고, 한번에 대량의 처리를 행하기 위해 이러한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형의 격막을 갖는 바이러스 제거 백에 원심력을 가하여 여과하는 경우의 다른 방법을 도26에 도시하였다. 도26은 원심기의 컵 안에 삽입한 바이러스 제거 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바이러스 제거 백은 도1의 구조를 갖는 것이다. 도면 중, 원심컵(28)에는 바이러스 제거 백을 장전하기 위한 보조 포트(38)가 설치되어 있고, 바이러스 제거 백은 격막(b)을 자루형 케이싱(a)에 고정하기 위해 설치한 플랜지 부분[도8b를 참조]이 도26과 같이 보조 포트(38)에 고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백 전체가 원심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을 억제한다. 이 상태에서 원심기를 회전시키면, 도면 중의 흰 화살표(31)의 방향으로 원심력이 작용하여, 여과가 촉진된다.
제1 구획실(c)에 수용되어 있는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에는 제1 구획실(c) 내의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이 바이러스 제거막을 통과하여, 제2 구획실(d) 내에 여과액으로서 이동하도록 압력을 가한다. 이 방법은 여과 백을 갖는 바이러스 제거 백에 대하여 특히 적합한 방법이다. 제1 구획실(c)에 가하는 압력은 격막(b)이나 여과 백의 내압성을 기초로 하여 적당한 값을 선택하면 좋지만,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백을 이용하는 경우, 막면에 가해지는 압력으로서 0.05 내지 100 kg/c㎡의 범위에서 여과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을 거는 방법으로서는, 바이러스 제거 백 그 자체를 롤식 압축기 또는 플레이트식 압축기를 사용하여 압축하고, 제2 구획실(d)에 여과액인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을 포집하는 방법, 여과 백 내에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도입한 후, 가압용 가스를 봉입한 백을 가압하여, 여과 백 내부에 압력을 가하여 여과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도27은 롤식 압축기에 의해 바이러스 제거 백에 압력을 가하여 여과를 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27에 있어서는 롤식 압축기의 롤 부분(39)이 조금씩 회전하면서 바이러스 제거 백 내의 여과 백(7)을 찌부러뜨림으로써 압력을 가한다. 여과된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은 제2 구획실(d)에 쌓여 간다. 또한 입구(5)에 상당하는 튜브의 선단부에 설치한 핀치 콕(40)은 여과와 반대 방향으로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부분은 핀치 콕을 사용하는 대신에 용단하여 밀봉해도 된다.
도28은 플레이트식 압축기에 의해 바이러스 제거 백에 압력을 가하여 여과를 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28에 있어서, 플레이트식 압축기의 플레이트 부분(41)은 두개의 플레이트가 조금씩 간격을 좁히면서 여과 백(7)을 찌부러뜨려 압력을 가해 간다. 여과된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은 제2 구획실(d)에 쌓여 간다.
도29는 가압용의 가스 수용 백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제거 백에 압력을 가하여 여과를 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29에서는 가압용의 가스 수용 백(27)에는 공기, 질소, 아르곤 등의 활성이 작은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가 스 수용 백(27)을 플레이트식 압축기의 플레이트 부분(41)에서 압축하고, 가스 수용 백 중의 가스를 여과 백(7)에 송입하여 가압한다. 여과된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은 제2 구획실(d)에 쌓여 간다.
어떠한 방법의 경우도, 가압 조작시의 온도는 0 내지 40 ℃가 바람직하고, 5 내지 35 ℃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온도 범위이면,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이 혈장이라도 큰 변성을 받는 일 없이 바이러스 제거막에 의한 여과도 빠른 속도로 행해진다.
여과액인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은 제2 구획실(d)에 포집되므로, 공정 (5)에 있어서는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을 제2 구획실(d)에 연통하는 출구로부터 추출한다.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은 출구를 개구하여 그곳으로부터 취출하면 된다.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방법에 이용하는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에 특별히 한정은 없고, 바이러스를 함유하는 배양액이나, 바이러스를 함유하고 있을 위험성이 있는 혈액이나 혈장 등의 체액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으로서는, 인간 또는 동물의 혈액이나 혈장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혈장」이라 함은 혈액 중의 성분이며, 혈액으로부터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의 혈구 성분을 제외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채혈된 전혈을 원심 분리에 의해 분리한 상징(上澄) 부분이나, 성분 헌혈 장치로 얻을 수 있는 혈장 성분 등이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혈장이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으로서 이용하는 혈장은 혈구 성분이 10 % 이내의 비율로 혼입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혈장은 동결 처리가 실시된 일이 없는 혈장인 것이 바람직하다. 혈액 제제로서 제조되는 혈장은, 통상은 채혈 후 수 시간 이내에 동결되지만, 동결된 후의 혈장을 다시 융해하여 여과를 행하면 여과 특성이 변화하여 눈 막힘 등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동결 처리라 함은 혈장을 저온으로 유지하여, 액상으로부터 고형상으로 변화시키는 것, 또는 그와 같은 온도 이력을 적어도 일회 부여하는 것이다. 동결 처리가 실시된 일이 없는 혈장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를 실시함으로써, 단시간에 실용적인 혈장의 처리량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혈장은 백혈구 제거 혈장인 것이 바람직하다. 백혈구 제거 혈장이라 함은 백혈구 제거 공정을 거친 혈장이며, 백혈구를 제거하기 전의 혈장과 비교하여 백혈구 농도가 1/10 이하, 바람직하게는 1/100 이하가 된 혈장이다. 백혈구 제거 공정을 거친 혈장은 혈장 중에 잔존하는 백혈구나 협잡물 등의 여과 방해 물질이 제거되어 있으므로, 안정된 바이러스 제거가 용이해진다. 백혈구 제거 혈장을 얻기 위한 백혈구 제거 방법에 특별히 한정은 없고, 전혈, 혈장 또는 혈장을 포함하는 성분을 백혈구 제거 필터로 여과하면 좋다. 채혈 후의 전혈을 직접 백혈구 제거로 처리하는 경우에는 채혈 후의 전혈을 원심 분리에 걸쳐서 혈장 성분을 취출하여 백혈구 제거로 처리하는 경우와, 성분 헌혈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혈장을 백혈구 제거로 처리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백혈구 제거 방법에 의해서도 여과 방해 물질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아, 바이러스 제거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방법을 실시하기 전에 흡 착제에 의한 흡착이나 마이크로 필터에 의한 막 여과 등을 행해도 좋다.
바이러스 제거에 사용하는 바이러스 제거 백의 제2 구획실(d)이,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바이러스 제거막에 투과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여과액의 전량을 수용하는 데 충분한 용량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방법에 있어서는 공정 (4)에서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여과하여 얻을 수 있는 여과액의 전량을 제2 구획실(d)에 포집한 후에, 공정 (5)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여과하여 얻을 수 있는 여과액의 전량을 제2 구획실(d)에 포집함으로써, 여과 도중에 여과액이 제1 구획실(c)로 역류하여 바이러스 제거가 불완전해지는 일이 없다. 또한, 여과 공정 도중에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인 여과액을 회수하거나, 여과액을 포집하기 위한 백을 별도로 수액 파이프 등에 의해 바이러스 제거 백에 연결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이 간편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있어서는, 이하의 공정 (1) 내지 (7)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제거 혈장을 얻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1) 혈장과 혈구를 포함하여, 바이러스를 함유하고 있을 것 같은 전혈을 채취하여, 전혈로부터 혈장을 분리 채취하기 위한 혈장 채취 수단(ⅰ)과,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제거 백(ii) 및
바이러스를 제거한 혈장을 회수하기 위한 혈장 회수 수단(ⅲ)을 포함하여, 상기 혈장 채취 수단(ⅰ)은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ii)에 무균적 또한 액밀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ii)은 상기 혈장 회수 수단(iii)에 무균적 또한 액밀적으로 접속하는 폐쇄 시스템인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고,
(2) 상기 혈장 채취 수단(ⅰ)에 헌혈자로부터 전혈을 채취하고 ;
(3) 채취한 전혈로부터 원심 분리에 의해 혈장을 분리하고 ;
(4) 분리한 혈장을 상기 혈장 채취 수단(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제거 백(ii)에 도입하고,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ⅱ)의 제1 구획실(c)에 분리 혈장을 수용하고,
(5) 상기 분리 혈장을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ii)의 바이러스 제거막으로 여과하여, 상기 분리 혈장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고 ;
(6) 바이러스 제거 혈장인 여과액을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ii)의 제2 구획실(d)에 포집하고 ; 그리고
(7) 바이러스 제거 혈장을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ii)으로부터 취출하여, 상기 혈장 회수 수단(ⅲ)으로 회수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혈장을 얻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는 처음에 혈장과 혈구를 포함하여, 바이러스를 함유하고 있을 만한 전혈을 채취하여, 전혈로부터 혈장을 분리 채취하기 위한 혈장 채취 수단(ⅰ)과,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제거 백(ii) 및 바이러스를 제거한 혈장을 회수하기 위한 혈장 회수 수단(ⅲ)을 포함하고, 상기 혈장 채취 수단(i)은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ii)에 무균적 또한 액밀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ii)은 상기 혈장 회수 수단(ⅲ)에 무균적 또한 액밀적으로 접속하는 폐쇄 시스템인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이라 함은 종래부터 혈장을 얻기 위해서 이용되고 있는 혈액 성분을 채취하기 위한 멀티 백 시스템에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백을 더한 것이며, 상술한 혈장 처리를 위한 멀티 백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도13 내지 도22에 개략도를 도시한 시스템을 들 수 있다. 또,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는 바이러스 제거 백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기능적 백 등이 혈장 채취 수단(ⅰ)을 구성하고, 바이러스 제거 백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기능적 백 등이 혈장 회수 수단(ⅱ)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백은 그것 하나로 혈장의 바이러스 제거가 가능하므로, 지금까지 행해져 온 헌혈에 의한 채혈로부터 혈액 제제나 수혈용 혈장을 제조하는 프로세스에 큰 변경을 가하는 일 없이, 혈장으로부터의 바이러스 제거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방법의 공정 (2)에 있어서는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의 혈장 채취 수단(i)으로 헌혈자로부터 전혈을 채취하고, 그리고 공정 (3)에 있어서는 채취한 전혈로부터 원심 분리에 의해 혈장을 분리한다. 전혈 채취 및 혈장 분리는 종래부터 채용된 방법으로 행하면 된다.
다음에 공정 (4) 내지 (6)에 있어서, 바이러스 제거 백(ii)을 이용하여, 분리한 혈장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한다. 바이러스의 제거는 상술한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방법으로 행하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분리한 혈장을 상기 혈장 채취 수단(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제거 백(ii)에 도입하고,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ii)의 제1 구획실(c)에 분리 혈장을 수용하고 ;
상기 분리 혈장을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ii)의 바이러스 제거막으로 여과하여, 상기 분리 혈장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고 ;
바이러스 제거 혈장인 여과액을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ⅱ)의 제2 구획실(d) 에 포집한다.
혈액이 헌혈 등으로 채혈되고 나서 혈장을 바이러스 제거 공정으로 처리하기 까지의 시간에 대해서는, 혈장의 변성을 피하기 위해 가능한 한 짧은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40 ℃의 온도 범위에서는 10 시간 이내, 바람직하게는 6 시간 이내, 10 내지 20 ℃에서는 24 시간 이내에 바이러스 제거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공정 (7)에 있어서는 바이러스 제거 혈장을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ii)으로부터 취출하여 상기 혈장 회수 수단(ⅲ)으로 회수한다. 회수한 혈장은 그대로 혈장 제제의 제조나 수혈 등에 사용할 수도 있지만, 동결 보존해도 상관없다.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에 포함되는 바이러스 제거 백의 제2 구획실(d)이, 혈장을 바이러스 제거막에 투과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여과액의 전량을 수용하는 데 충분한 용량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혈장을 얻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는, 공정 (6)에서 혈장을 여과하여 얻을 수 있는 여과액의 전량을 제2 구획실(d)에 포집한 후에, 공정 (7)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혈장을 여과하여 얻을 수 있는 여과액의 전량을 제2 구획실(d)에 포집함으로써, 여과 도중에 여과액이 제1 구획실(c)로 역류하여 혈장의 바이러스 제거가 불완전해지는 일이 없다. 또한, 여과 공정 도중에 바이러스 제거 혈장인 여과액을 회수하거나, 여과액을 포집하기 위한 백을 별도로 수액 파이프 등에 의해 바이러스 제거 백에 연결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조작이 간편해져 무균 상태를 파괴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이러스 제거 혈장을 얻기 위 한 방법으로 얻게 된 인간 또는 동물의 혈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얻게 된 혈장은 윈도우기의 바이러스나 검사 대상 밖의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모든 바이러스가 제거되어 있으므로, 혈장 제제의 원료나 수혈용 혈장으로서 적합하다.
이하, 실시예 및 참고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 및 참고예에 있어서, 필터나 바이러스 제거 백의 물성 등은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필터의 평균 구멍 직경]
필터의 평균 구멍 직경은 ASTMF316-86 및 E128-61에 준거하여,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직경 25 ㎜로 펀칭한 필터를 셀에 세트하고, 그곳에 충전액으로서 퍼플루오로 카본 쿨랜트(일본국, 스미또모쓰리엠 가부시끼가이샤제의 FX3250)를 주입하였다. 필터의 편측을 공기로 천천히 가압하고, 필터의 가스 투과 측에 설치한 플로우미터가 매분 2.5 ㎖가 되는 부분의 압력 P(Pa)을 판독하였다. 압력 P를 이용하여, 다음 [수식 1]로부터 평균 구멍 직경을 산출하였다.
[수식 1]
평균 구멍 직경(㎛) = 34,320/P
[소 설사증 바이러스의 대수 제거율]
처음에 5 % 말혈청을 포함하는 덜베코 MEM 배지(일본국, 일본 생물 의약 연구소제)에서 배양한 MDBK 세포에 소 설사증 바이러스를 감염시켜, 배양 상청을 분취하여 막으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얻었다. 여과는 압력이 0.1 MPa, 온도가 25 ℃ 인 조건하에서 실시하여, 막을 투과한 액은 2 ㎖씩, 10회로 나눠 채취하였다. 채취한 투과 액의 프랙션(fraction)으로부터 1 ㎖씩을 샘플링하여, 이들을 혼합하여 여과액으로 하였다. 여과 전의 원액과 여과액을 각각 MDBK 세포에 첨가하여 배양하여, TCID50법을 기초로 하여, 다음 식으로 나타내는 대수 제거율을 산출하였다.
[수식 2]
대수 제거율 = -log10(여과 후의 투과액 중의 바이러스 농도)/
(여과 전의 원액 중의 바이러스 농도)
[바이러스 제거 백의 제2 구획실(d)의 용량]
바이러스 제거 백의 제2 구획실(d)의 용량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출구와 제2 구획실(d)과의 접점을 핀치 콕 사이에 두고, 제2 구획실(d)에 순수를 넣었다. 다음에 바이러스 제거 백을 쓰러지지 않도록 정치시키거나, 혹은 바이러스 제거 백을 현수한 상태에서, 도7의 사선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포함되는 순수의 양을 측정하였다.
[라텍스 입자의 투과율]
1 중량 %의 스틸렌계 라텍스의 수성 현탁액(라텍스의 평균 입자 직경 : 120 ㎚)(일본국, 아사히카세이 가부시끼가이샤제) 100 ㎖를,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의 전혈 수용을 위한 혈액 백에 도입하였다. 라텍스 현탁액의 전량을 바이러스 제거 백의 제1 구획실(c)에 도입하여, 원심기(8100형)(일본국, 가부시끼가이샤 구보다 세이사꾸쇼제)를 이용하여 25 ℃, 1000G의 조건하에서 15분간 회전시켰다. 원심에 의해 바이러스 제거 백의 제2 구획실(d)에서 얻게 된 여과액에 포함되는 라텍스 입자의 입도 분포를 입도 분포계(UPA150 입도 분석계, 모델 9230)(미국 마이크로 트랩사제)로 측정하였다.
<제1 실시예>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결정 융점 173 ℃)(일본국 솔베이소레크시스 가부시끼가이샤제의 SOLEF1012) 40 중량 %, 프탈산디시클로헥실(공업품)(일본국, 오오사까 유끼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60 중량 %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플라스트밀(일본국, 도요세이끼샤제의 라보플라스트밀 C형)을 이용하여 200 ℃에서 용융 혼합하고, 그 후 30 ℃ 이하가 될 때까지 냉각하여 수지의 벌크를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수지의 벌크를 200 ℃, 10 MPa의 조건으로 가열 프레스하고, 다시 10 MPa의 압력으로 냉각 프레스하여 수지 시트를 얻었다. 다음에, 이소프로필 알콜(특급 시약)(일본국, 와꼬쥰야꾸 가부시끼가이샤제)을 이용하여 수지 시트에 포함되는 프탈산디시클로헥실을 추출 제거하여, 미다공막 A를 얻었다. 미다공막 A의 평균 구멍 직경은 83 ㎚, 두께는 40 ㎛였다.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25 중량 %, 프탈산디에틸헥실 75 중량 %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원료로서 이용하는 이외는 미다공막 A와 마찬가지로 미다공막 B를 제조하였다. 미다공막 B의 평균 구멍 직경은 123 ㎚, 두께는 42 ㎛였다.
미다공막 A 및 미다공막 B의 각각에 대하여 친수화 처리를 행하였다. 질소 분위기하에서 미다공막에 Co60의 γ선을 100 kGy 조사하였다. 다음에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1급 시약)(일본국 와꼬쥰야꾸 가부시끼가이샤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미국, Aldrich사제)를 그 농도가 각각 10 중량 %와 1 중량 %가 되도록 1-부탄올에 용해시킨 용액을 친수성 화합물 용액으로서 이용하였다. 친수성 화합물 용액에 γ선 조사 미다공막을 침지하여, 40 ℃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으로부터 미다공막을 취출하고, 에탄올에 의한 세정 및 건조를 행하였다. 또한, 건조한 미다공막을 오토 크레이브를 이용하여 121 ℃의 뜨거운 물 침지 처리를 20분 행하여, 친수화한 미다공막 A 및 B를 얻었다.
친수화한 미다공막 A 및 B를,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의 유동 방향으로 보아, 미다공막 B와 미다공막 A를 이 순서로 적층하여, 복합막으로 하였다. 이 복합막의 소 설사증 바이러스의 대수 제거율을 측정한 결과, 3.1이었다.
상기에서 얻은 복합막의 상하를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눈 : 50 g/㎡)(일본국, 아사히카세이 가부시끼가이샤제)로 협지하고, 20 ㎝ 사각형의 크기로 하여, 그 주변부(도5 중의 부호 11에 상당하는 부분)를 밀봉 폭을 약 2 ㎜로 하여 열 밀봉에 의해 융착시켜 복합 필터를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복합 필터에 있어서는 미다공막 B가 예비 필터이며, 미다공막 A가 바이러스 제거 필터이다.
이렇게 얻어진 복합 필터를 11 ㎝ 사각형으로 재단한 것을 2장 준비하여, 미다공막 B가 안쪽이 되도록 이들을 포개어 도6a의 형태로 열 밀봉하고, 각 변 11 ㎝의 백형의 여과 백을 제조하였다. 이 때의 밀봉 폭은 약 4 ㎜로 하였다. 이 여과 백을 13 ㎝ × 20 ㎝의 크기의 가요성의 연질 폴리염화비닐제의 자루형 케이싱(a)(미리 출구가 되는 튜브가 설치되어 있음)의 내부에 수납하고, 폴리염화비닐제 튜브를 입구가 되도록 여과 백에 집어 넣은 상태에서, 도9b의 형태로 열 밀봉하여 백형의 격막(b)(여과 백)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제거 백을 얻었다. 이렇게 얻은 바이러스 제거 백에 있어서는 여과 백의 막형의 위요벽 전체가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 공간이 입구에 연통하는 제1 구획실(c)과,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 공간에서 여과 백 부분을 제외한 공간 부분으로 출구에 연통하는 제2 구획실로 나누어져 있다. 바이러스 제거 백의 제2 구획실(d)의 용량을 측정한 결과, 180 ㎤였다.
여과 백의 입구에 튜브를 부착하고, 전혈 수용을 위한 혈액 백(내용량 200 ㎖)에 연결하였다. 또한 출구에도 튜브를 부착하고, 여과 후의 혈장을 수용하기 위한 혈액 백(내용량 200 ㎖)을 연결하고, 도13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멀티 백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제조하였다. 또, 혈액 백과 바이러스 제거 백을 연결하기 전에, 제2 구획실(d) 내의 공기는 제거해 두었다. 이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에 대하여, 121 ℃에서 20 분간의 증기 멸균 처리를 행하여 폐쇄 시스템인 멀티 백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게 된, 도13에 도시한 멀티 백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제거 혈장의 조제를 행하였다.
처음에 헌혈자로부터 200 ㎖의 전혈을 혈액 백(20)에 채취하여, 바이러스 제거 백이 연결된 시스템 전체를 원심기(himacCR7B3형)(일본국, 히다찌세이샤꾸쇼제)의 컵에 장전하고, 4000G의 원심력으로 10 분간 회전시켜 혈장 성분인 상징상(上澄相)과 혈구 성분인 침전상으로 분리하였다. 이 때 연결 혈액 백과 바이러스 제거 백에 파손은 보이지 않았다. 이렇게 얻어진 약 100 ㎖의 혈장 성분을, 혈구 성분이 섞이지 않도록 신중히 바이러스 제거 백의 제1 구획실(c)(여과 백) 내에 도입하였다. 여기서 전혈 수용을 위한 혈액 백(20)을 자루형 케이싱(1)을 갖는 바이러스 제거 백에 연결되어 있는 튜브를 용단 부위(19)에서 용단하여 분리하였다. 그 결과, 시스템은 바이러스 제거 백과 여과 후의 혈장 수용을 위한 혈액 백(21)으로 구성되는 것이 되었다. 또한, 바이러스 제거 백의 제2 구획실(d)에 연통하는 출구에 연결되어 있는 튜브를 핀치 콕 사이에 두고, 여과 후의 혈장의 전량이 제2 구획실(d) 내에 포집되도록 하였다. 도23과 같이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개량한 원심기의 컵에 수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원심기의 컵 내에 고정용 바아(30)를 설치하고, 바이러스 제거 백의 상단부에는 도24에 도시한 고정용 훅[도23의 고정용 훅(29)]을 설치하여, 고정용 훅(29)으로 바이러스 제거 백을 원심기의 컵에 고정하였다. 이 때, 혈장 수용을 위한 혈액 백(21)은 컵의 바닥에 수납하였다. 이 상태에서 원심기(8100형)(일본국, 가부시끼가이샤 구보다 세이사꾸쇼제)에 원심기의 컵을 장전하여 25 ℃, 1000G의 조건하에서 30 분간 회전시켰다. 이 조작에 의해 여과 백 내의 혈장은 여과되고, 여과 후의 혈장의 전량이 바이러스 제거 백의 제2 구획실(d) 내에 포집되었다. 그 후, 여과된 혈장의 양을 측정하여, 다음 식으로부터 회수율을 구한 결과, 95 %였다.
회수율 (%) = [제2 구획실(d)에 포집된 여과 후의 혈장량(g)]/[제1 구획실에 도입한 혈장량(g)] × 100
또, 원심 조작 후의 혈액 백과 바이러스 제거 백에 파손은 보이지 않았다.
상기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백을 이용하여 혈장 의 바이러스 제거를 행하면, 무균실을 사용하는 일 없이 또한 막의 눈 막힘도 발생하는 일 없이, 일련의 조작으로 무균적으로 필요한 혈장 처리량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의 라텍스 입자의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라텍스 입자 투과율은 검출 한계 이하이며, 바이러스와 같은 평균 입자 직경이 120 ㎚인 입자의 투과는 본 발명에 의한 바이러스 제거 백에 의해 저지되는 일이 확인되었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폐쇄 시스템인 바이러스 제거 백을 제조하여, 그것을 이용하여 도21에 도시한 멀티 백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제조하였다. 백혈구 제거 유닛(22)으로서는 일본국, 아사히 메디칼 가부시끼가이샤제의 백혈구 제거 백(상품명「세파셀」)을 이용하였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혈로부터 혈장을 분리하고, 분리한 혈장을 백혈구 제거 유닛(22)을 통과시켜 혈장으로부터 백혈구를 제거하였다. 백혈구 제거 혈장을 바이러스 제거 백의 제1 구획실(c)(여과 백)에 도입하여,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바이러스 제거를 행하였다. 여과한 혈장의 회수율은 97 %이며, 백혈구 제거 공정을 행하지 않은 제1 실시예보다도 높은 회수율이 달성되었다. 또, 원심 조작 후의 혈액 백과 바이러스 제거 백에 파손은 보이지 않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멀티 백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에 백혈구 제거 유닛이 포함되어 있지만, 전혈을 원심 분리에 의해 혈구 성분과 혈장 성분으로 분리할 때에 혈액 백나 바이러스 제거 백에 파손은 보이지 않았다.
<제3 실시예>
친수성 화합물을 부가시키는 미다공막으로서 폴리에틸렌제의 미다공막(평균 구멍 직경 : 65 ㎚, 막 두께 : 20 ㎛)(일본국, 아사히카세이 가부시끼가이샤제)을 이용하여,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1급 시약)(일본국 와꼬쥰야꾸 가부시끼가이샤제)를 50 중량 %가 되도록 메탄올에 용해시킨 용액을 친수성 화합물 용액으로 하여, 반응 온도를 40 ℃, 반응 시간을 15분으로 하는 이외는 제1 실시예와 같이 친수성 미다공막을 제조하였다. 이 막의 평균 구멍 직경은 58 ㎚였다.
상술한 친수성 미다공막을 미다공막 A 대신에 이용하는 이외는 제1 실시예와 같이 복합 필터를 작성하였다. 제작한 복합 필터의 소 설사증 바이러스의 대수 제거율은 3.9였다.
제작한 복합 필터를 이용하여 제1 실시예와 같이 여과 백을 제조하였다. 이 여과 백을 이용하는 이외는 제1 실시예와 같이 바이러스 제거 백을 제조하고, 제조한 바이러스 제거 백을 이용하여 제1 실시예와 같이 멀티 백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제조하였다.
이 멀티 백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1 실시예와 같이 혈장의 바이러스 제거를 행한 결과, 여과한 혈장의 회수율은 92 %이며, 라텍스 입자 투과율은 검출 한계 이하였다.
폴리에틸렌제의 다공질막을 친수화한 바이러스 제거 필터도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백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부가시키는 친수성 화합물을 히드록시 프로필아크릴레이트로 하는 이외는 제3 실시예와 같이 바이러스 제거 필터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필터의 평균 구멍 직경은 52 ㎚였다. 그것을 이용하여 제작한 복합 필터의 소 설사증 바이러스의 대수 제거율은 3.9였다.
제작한 복합 필터를 이용하여 제1 실시예와 같이 여과 백을 제조하였다. 이 여과 백을 이용하는 이외는 제1 실시예와 같이 바이러스 제거 백을 제조하고, 제조한 바이러스 제거 백을 이용하여 제1 실시예와 같이 멀티 백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제조하였다.
이 멀티 백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1 실시예와 같이 혈장의 바이러스 제거를 행한 결과, 여과한 혈장의 회수율은 94 %이며, 라텍스 입자 투과율은 검출 한계 이하였다.
폴리에틸렌제의 다공질막을 히드록시 프로필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하여 친수화한 바이러스 제거 필터도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백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여과 백 속에 스폰지형 흡착재(80 × 80 × 10 ㎜의 멜라민폼)(일본국, 아라이카세이제)를 삽입하는 이외는 제1 실시예와 같이 바이러스 제거 백을 제조하였다.
스폰지형 흡착재의 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백[공기 제거 백(26)]을 여과 백에 연결시키는 이외는, 제1 실시예와 같이 멀티 백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제조하고, 도22에 도시한 멀티 백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얻었다. 공기 제거 백(26)에는 공기는 들어가 있지 않고, 바이러스 제거 백의 제1 구획실(c)(여과 백)에 혈장을 도입할 때에 여과 백 내의 공기를 공기 제거 백으로 이송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예와 같이 전혈로부터 혈장을 분리하여 여과 백에 도입했지만, 이 때 스폰지형 흡착재에 포함되어 있던 공기는 혈장의 도입과 함께 공기 제거 백으로 이송되었다. 또한 제2 구획실(d) 내부의 공기는 미리 제거된 상태로 하였다. 여과 백의 혈장 도입용 튜브와 공기 제거 백에 연결되어 있는 튜브를 모두 용단 부위(19)로 용단하여 밀봉하고, 제2 구획실(d)에 연통되는 출구에 연결되어 있는 튜브를 핀치 콕 사이에 넣은 후, 롤식 압축기로 30분간에 걸쳐 조금씩 여과를 행하여, 제2 구획실(d)에 여과 후의 혈장을 포집하였다. 이 때의 상태를 도27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이 조작에 의해 여과 백 내의 혈장을 여과하고, 여과 후의 혈장의 전량을 제2 구획실(d) 내에 포집하였다.
여과 후의 혈장의 회수율은 92 %였다. 또한, 라텍스 입자의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검출 한계 이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롤러식 압축기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여과의 촉진을 행할 수도 있다.
<제6 실시예>
롤러식 압축기 대신에 플레이트식 압축기를 이용하는 이외는 제5 실시예와 같이 혈장의 바이러스 제거를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플레이트식 압축기를 이용하여, 30분간에 걸쳐 조금씩 여과를 행하여 바이러스 제거 백의 제2 구획실(d)에 여과 후의 혈장을 포집하였다. 이 때의 상태를 도28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이 조작에 의해 여과 백 내의 혈장을 여과하여, 여과 후의 혈장의 전량을 제2 구획 실(d) 내에 포집하였다.
여과 후의 혈장의 회수율은 94 %였다. 또한, 라텍스 입자의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검출 한계 이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플레이트식 압축기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여과의 촉진을 행할 수도 있다.
<제7 실시예>
두께 0.4 ㎜의 연질 폴리염화비닐시트를 높이 1.5 ㎝, 세로 20 ㎝, 가로 10 ㎝의 받침 접시 형상으로 가공한 것을 2개 작성하였다. 이 때 받침 접시의 주위에는 폭 1 ㎝의 고정용 플랜지가 생기도록 하였다. 또한 받침 접시 중 하나에는 입구가 되는 튜브를, 다른 한 쪽에는 출구가 되는 튜브를 에폭시 수지제 접착제로 부착하였다. 제1 실시예에서 제작한 복합 필터를 격막(b)으로서 이용하여, 2개의 받침 접시형 시트의 사이에 끼워 넣고, 고정용 플랜지 부분을 열 밀봉으로 고정하여 바이러스 제거 백으로 하였다. 이렇게 얻은 바이러스 제거 백의 단면도를 도30에 도시하였다. 여기서 부호 42는 고정용 플랜지를 도시하고, 받침 접시형 시트 중 한쪽은 제1 구획실(c)(도면 중 부호 3)이며, 다른 한 쪽은 제2 구획실(d)(도면 중 부호 4)이다.
직경 20 ㎝의 원통형 회전자의 외주에 이 바이러스 제거 백을 권취하고, 또한 바이러스 제거 백을 회전자에 나사로 고정하였다. 이 때의 상태를 도25b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바이러스 제거 백의 제1 구획실(c)에 제1 실시예에서 이용한 혈장 약 100 ㎖를 도입하여, 온도 25 ℃, 1000G의 조건하에서 30분간 회전시켰다. 이 조작에 의해 제1 구획실(c)의 혈장은 여과되고, 여과 후의 혈장의 전량이 제2 구획실(d) 내에 포집되었다. 여과된 혈장의 회수율은 90 %였다.
시트형의 격막(b)을 갖는 바이러스 제거 백을 이용해도 바이러스 제거 혈장을 높은 회수율로 얻을 수 있다.
<제1 참고예>
바이러스 제거 필터와 예비 필터를 이용하지 않고서, 폴리에스테르제 부직포(일본국, 아사히카세이 가부시끼가이샤제)만으로 제1 실시예와 같이 여과 백을 제작하였다. 또한, 이 여과 백을 사용하여 제1 실시예와 같이 바이러스 제거 백을 제작하였다. 여과 백에 이용한 여과재는 일본국 특허 공개 평7-26787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백혈구 제거 필터에 상당한다.
제작한 바이러스 제거 백의 라텍스 입자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제1 구획실(c)에 도입한 라텍스 현탁액에 대하여, 체적 분률 78 % 상당의 입자가 제2 구획실(d)로 이동하고 있었다. 따라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필터에서는 평균 입자 직경이 120 ㎚인 입자의 투과를 저지할 수 없었다.
<제2 참고예>
바이러스 제거 백 대신에 도31에 도시한 경우(직경 3 ㎝, 길이 13 ㎝의 경질 폴리술폰제 원통 케이스)를 이용하는 이외는, 제1 실시예와 같이 멀티 백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제조하였다. 이 경우는 중공 섬유 필터 모듈을 모방한 것이다.
전혈 수용을 위한 혈액 백에 전혈을 도입하여,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으로 원심 분리를 행한 결과, 혈액 백은 찢어짐 등의 심각한 파손은 없지만, 원통 케 이스가 혈액 백에 닿은 부분은 혈액 백의 표면에 흠집이 생기는 등 바람직한 상황은 아니었다.
<제8 실시예>
여과 백의 하단부를 도10a와 같이 내경이 점감하고 있는 형상으로 한 이외는, 제1 실시예와 같이 멀티 백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제조하였다. 여과 백의 형상에 대해서는 도32에 도시하였다.
제조한 멀티 백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이용하여, 혈장을 여과할 때의 원심력을 1000G에서 500G로 변경하는 이외는 제1 실시예와 같이 혈장의 바이러스 제거를 행하였다. 그 결과, 여과 후의 혈장의 회수율은 65 %였다.
이와 같이, 여과 백의 내경이 여과 백 내의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의 유동 방향으로 보아, 여과 백의 전단부를 향해 점감하여 있으면 원심력을 절반으로 떨어뜨려도 6할 이상의 회수율을 유지할 수 있다.
<제9 실시예>
혈장을 여과할 때의 원심력을 1000G에서 500G로 변경하는 이외는 제1 실시예와 같이 혈장의 바이러스 제거를 행하였다. 그 결과, 여과 후의 혈장의 회수율은 45 %였다. 여과 백 내경을 여과 방향을 향해 점감시키지 않는 경우, 원심력을 절반으로 떨어뜨리면 회수율이 저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3 참고예>
제1 실시예에서 사용한 연질 폴리염화비닐제의 자루형 케이싱(a)의 크기를 13 ㎝ × 13 ㎝로 하는 이외는, 제1 실시예와 같이 바이러스 제거 백을 제작하였 다. 제작한 바이러스 제거 백의 제2 구획실(d)의 용량은 52 ㎤였다.
이 바이러스 제거 백을 이용하는 이외는 제1 실시예와 같이 멀티 백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제조하여, 제1 실시예와 같이 혈장의 바이러스 제거를 행하였다. 그 결과, 여과 후의 혈장의 회수율은 41 %로, 대부분의 혈장이 여과되지 않고서 여과 백 내에 남아 버렸다.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백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면,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인 여과액은 바이러스 제거 백의 내부에 포집되므로, 여과액을 받기 위한 용기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로 인해 바이러스 제거 백의 구조는 간편해, 단순한 조작으로 바이러스 제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이러스 제거 백은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혈액 처리를 위한 멀티 백 시스템 외에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제조하는 것도 용이하고,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혈장의 바이러스 제거를 행하면, 복잡한 무균 조작을 행하거나, 대규모인 장치를 이용하는 일없이 혈장으로부터 쉽게 윈도우기의 바이러스나 검사 대상 밖의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모든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바이러스 감염의 위험성이 매우 낮은 수혈용 혈장을 간편하면서도 또한 저비용으로 조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23)

  1.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입구 및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출구를 갖는 자루형 케이싱(a) 및
    상기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에 확실하게 보유 지지되어, 상기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 공간을 상기 입구에 연통하는 제1 구획실(c)과 상기 출구에 연통하는 제2 구획실(d)로 나누는 격막(b)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한 바이러스 제거 백이며,
    상기 격막(b)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에 포함된 바이러스의 투과를 저지하는 바이러스 제거막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여과에 의해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여,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인 여과액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 구획실(c)은 상기 입구로부터 도입한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수용하고, 상기 제2 구획실(d)은 상기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으로 여과하여 얻을 수 있는 여과액을 포집하도록 되어 있는 바이러스 제거 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b)이 여과 백의 막형의 위요벽 전체의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여과 백은 상기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에 확실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고, 상기 여과 백의 막형의 위요벽 전체에 의해 상기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 공간이 상기 입구에 연통하는 제1 구획실(c)과, 상기 자루형 케이싱(a)의 내부 공간에서 여과 백 부분을 제외한 공간 부분으로, 상기 출구에 연통하는 제2 구획실(d)로 나누어져 있고,
    상기 여과 백의 위요벽의 전체 또는 일부는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에 포함된 바이러스의 투과를 저지하는 바이러스 제거막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 여과에 의해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제거 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백의 내경이 상기 여과 백 내의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의 유동 방향으로 보아, 상기 여과 백의 전단부를 향해 점감하고 있고, 내경의 점감은 상기 여과 백의 후단부 또는 후단부와 전단부 사이에서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제거 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이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의 유동 방향으로 보아, 하나 이상의 예비 필터와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제거 필터를 이 순서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필터이며, 상기 복합 필터의 한쪽 또는 양쪽의 단부측에 부직포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제거 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이 평균 구멍 직경이 1 내지 100 ㎚의 다공질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제거 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이 다공질막의 표면에 친수성 화합물을 부가시켜 얻을 수 있는 친수성 다공질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제거 백.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화합물의 부가가 친수성 모노머의 그라프트 중합 반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제거 백.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이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제거 백.
  9. 제1항에 있어서, 제2 구획실(d)이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에 투과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여과액의 전량을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제거 백.
  10. 제1항에 있어서, 제1 구획실(c)이 스폰지형 흡착재를 내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제거 백.
  11. 제1항에 있어서, 제2 구획실(d)의 용량이 100 내지 8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제거 백.
  12. 제1항에 있어서, 바이러스 제거 능력 이외의 기능을 갖는 하나 이상의 기능적 백에 무균적 또한 액밀적으로 접속하여, 폐쇄 시스템인 멀티 백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 바이러스 제거 백.
  13.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이며,
    (1) 하나 이상의 제1항의 바이러스 제거 백을 제공하고 ;
    (2)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에 도입하여, 제1 구획실(c)에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수용하고 ;
    (3) 상기 바이러스 제거백의 격막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구성하고,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에 포함되는 바이러스의 투과를 저지하는 바이러스 제거막에서 상기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여과하여, 상기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고 ;
    (4)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인 여과액을 제2 구획실(d)에 포집하고 ; 그리고
    (5) 상기 바이러스 제거 현탁액을 상기 출구로부터 취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제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공정 (3)에서 제1 구획실(c)에 수용되어 있는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에 원심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에 의한 상기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의 여과를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제거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공정 (3)에서 제1 구획실(c)에 수용되어 있는 바이러스 함 유 현탁액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에 의한 상기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의 여과를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제거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이 전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제거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이 혈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제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혈장이 동결 처리가 실시된 일이 없는 혈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제거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혈장이 백혈구 제거 혈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제거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공정 (4)에서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을 여과하여 얻을 수 있는 여과액의 전량을 제2 구획실(d)에 포집한 후에, 공정 (5)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제거 방법.
  21. 바이러스 제거 혈장을 얻기 위한 방법이며,
    (1) 혈장과 혈구를 포함하여, 바이러스를 함유하고 있을 것 같은 전혈로부터 혈장을 분리 채취하기 위한 혈장 채취 수단(ⅰ)과, 하나 이상의 제1항의 바이러스 제거 백(ⅱ)과, 바이러스를 제거한 혈장을 회수하기 위한 혈장 회수 수단(ⅲ)을 포함하여, 상기 혈장 채취 수단(ⅰ)은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ⅱ)에 무균적 또한 액밀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ⅱ)은 상기 혈장 회수 수단(ⅲ)에 무균적 또한 액밀적으로 접속하는 폐쇄 시스템인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고 ;
    (2) 상기 혈장 채취 수단(i)에 전혈을 도입하고 ;
    (3) 도입한 전혈로부터 원심 분리에 의해 혈장을 분리하고 ;
    (4) 분리한 혈장을 상기 혈장 채취 수단(i)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제거 백(ii)에 도입하고,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ii)의 제1 구획실(c)에 분리 혈장을 수용하고 ;
    (5)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ii)의 격막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구성하고 바이러스 함유 현탁액에 포함되는 바이러스의 투과를 저지하는 바이러스 제거막으로 상기 분리 혈장을 여과하여, 상기 분리 혈장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고 ;
    (6) 바이러스 제거 혈장인 여과액을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ii)의 제2 구획실(d)에 포집하고 ; 그리고
    (7) 바이러스 제거 혈장을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ⅱ)으로부터 취출하여, 상기 혈장 회수 수단(ⅲ)으로 회수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공정 (6)에서 상기 혈장을 여과하여 얻을 수 있는 여과액 의 전량을 상기 바이러스 제거 백(ii)의 제2 구획실(d)에 포집한 후에, 공정 (7)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제거 방법.
  23. 삭제
KR1020057010502A 2002-12-12 2003-12-12 바이러스 제거 백 및 그것을 이용한 바이러스 제거 방법 KR100743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60241 2002-12-12
JPJP-P-2002-00360241 2002-12-12
JP2003312541 2003-09-04
JPJP-P-2003-00312541 2003-09-04
JPJP-P-2003-00322597 2003-09-16
JP2003322597 2003-09-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5498A KR20050085498A (ko) 2005-08-29
KR100743483B1 true KR100743483B1 (ko) 2007-07-30

Family

ID=32512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0502A KR100743483B1 (ko) 2002-12-12 2003-12-12 바이러스 제거 백 및 그것을 이용한 바이러스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054557A1 (ko)
EP (1) EP1579838A4 (ko)
JP (1) JPWO2004052270A1 (ko)
KR (1) KR100743483B1 (ko)
AU (1) AU2003289072A1 (ko)
WO (1) WO20040522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5376B2 (ja) * 2005-03-08 2010-04-21 旭化成株式会社 フィルター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982100B2 (ja) * 2005-03-31 2012-07-25 東レ株式会社 吸着担体および体外循環用カラム
DK1886704T3 (en) 2005-03-31 2017-01-16 Toray Industries ABSORBENT AND COLUMN FOR EXTRACORPORAL CIRCULATION
JP4983070B2 (ja) * 2005-04-08 2012-07-25 東レ株式会社 吸着材および体外循環用カラム
US8603805B2 (en) 2005-04-22 2013-12-10 Hyclone Laboratories, Inc. Gas spargers and related container systems
US8328792B2 (en) * 2005-10-27 2012-12-11 C. R. Bard, Inc. Enhanced pre-wetted intermittent catheter with lubricious coating
JP5036026B2 (ja) * 2006-03-09 2012-09-26 旭化成株式会社 血液成分分離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4754377B2 (ja) * 2006-03-22 2011-08-24 旭化成メディカル株式会社 血液処理用フィルター装置の製造方法及び血液処理用フィルター装置
GB0809092D0 (en) 2008-05-20 2008-06-25 Univ Strathclyde Fluid processing device
CN102215887A (zh) * 2008-08-29 2011-10-12 M·S·瑞兹 Hiv过滤机和使用该过滤机的过滤hiv的方法以及在过滤过程中检测hiv病毒的方法
WO2011014201A1 (en) 2009-07-29 2011-02-03 C. R. Bard, Inc. Catheter having improved drainage and/or a retractable sleev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9821139B2 (en) 2009-08-13 2017-11-21 C. R. Bard, Inc. Catheter having internal hydrating fluid storage and/or catheter packag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king and/or using the same
CN102575219B (zh) * 2009-08-26 2019-01-11 通用电气医疗集团生物科学公司 连续回收收获袋
CA2766670C (en) 2009-11-17 2018-07-10 Brightwake Limited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fluid
US8512566B2 (en) * 2009-12-11 2013-08-20 General Electric Company Disposable fluid path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complex biological materials
ES2655824T3 (es) 2009-12-23 2018-02-21 C. R. Bard, Inc. Envase/unidad de catéter que utiliza un manguito hidratante/de hidrogel
US9033149B2 (en) 2010-03-04 2015-05-19 C. R. Bard, Inc. Catheter assembly/package utilizing a hydrating/hydrogel sleeve and a foil outer layer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5873269B2 (ja) * 2010-10-06 2016-03-01 旭化成メディカル株式会社 血液処理システムおよび血液製剤の製造方法
WO2012122154A2 (en) * 2011-03-08 2012-09-13 Emory University Systems and devices for red blood cell storage
EP2556815A1 (en) * 2011-08-10 2013-02-13 Debiotech S.A. Container for storing a drug such as insulin
US9376655B2 (en) 2011-09-29 2016-06-28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Filter systems for separating microcarriers from cell culture solutions
US9643133B2 (en) 2011-09-30 2017-05-09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Container with film sparger
US8998882B2 (en) 2013-03-13 2015-04-07 C. R. Bard, Inc. Enhanced pre-wetted intermittent catheter with lubricious coating
FR3015902B1 (fr) * 2013-12-26 2017-03-03 Maco Pharma Sa Procede pour extraire au moins un premier et un deuxieme composant sanguin contenus dans une poche primaire d'un systeme a poches
EP3119504B1 (en) * 2014-03-21 2020-10-14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Gas filter systems for fluid processing systems
US9968738B2 (en) 2014-03-24 2018-05-15 Fenwal, Inc. Biological fluid filters with molded frame and methods for making such filters
US9796166B2 (en) 2014-03-24 2017-10-24 Fenwal, Inc. Flexible biological fluid filters
US10159778B2 (en) 2014-03-24 2018-12-25 Fenwal, Inc. Biological fluid filters having flexible walls and methods for making such filters
US9782707B2 (en) 2014-03-24 2017-10-10 Fenwal, Inc. Biological fluid filters having flexible walls and methods for making such filters
US10376627B2 (en) 2014-03-24 2019-08-13 Fenwal, Inc. Flexible biological fluid filters
US9079690B1 (en) 2014-06-26 2015-07-14 Advanced Scientifics, Inc. Freezer bag,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freezing
DE102014014725A1 (de) * 2014-10-02 2016-04-07 Resuscitec Gmbh Vorrichtung mit einem beutelförmigen Behältnis sowie Verfahren zum gasblasenfreien Befüllen eines pumpenbetriebenen, hohlleitungsgestützten Flüssigkeitskreislaufes mittels der Vorrichtung
FR3032718B1 (fr) * 2015-02-16 2019-04-12 Interscience Procede de culture microbienne mettant en œuvre un sac a analyse comprenant de la poudre de bouillon de culture
ES2906577T3 (es) * 2015-06-04 2022-04-19 Fond Irccs Ca Granda Ospedale Maggiore Policlinico Sistema de bolsas múltiples para la preparación de hemoderivados
US9861939B2 (en) 2015-10-02 2018-01-09 Lawrence Livermore National Security, Llc Filtration device for rapid separation of biological particles from complex matrices
NZ743477A (en) 2016-01-22 2019-03-29 Baxter Healthcare Sa Method and machine for producing sterile solution product bags
CA3011511C (en) 2016-01-22 2019-06-25 Baxter International Inc. Sterile solution product bag
CN107537318A (zh) * 2016-06-23 2018-01-05 江苏博发生物科技有限公司 乙肝病毒过滤器
US10589197B2 (en) 2016-12-01 2020-03-17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Microcarrier filter bag assemblies and methods of use
KR102316263B1 (ko) 2017-06-12 2021-10-26 아사히 가세이 메디컬 가부시키가이샤 단백질 함유액의 여과 방법
IT202000012355A1 (it) * 2020-05-26 2021-11-26 Tecnoline S P A Dispositivo medicale di trattamento di sostanze corporee.
TR202008937A2 (tr) * 2020-06-09 2020-07-21 Gigabiomol Biyoteknoloji Sanayi Ve Ticaret Ltd Sirketi Elastik Polimer ile Mikroorganizma Konsantrasyon Yöntemi
WO2024011114A1 (en) * 2022-07-06 2024-01-11 Iovance Biotherapeutics, Inc. Devices and processes for automated production of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6067A (ja) * 1989-11-02 1991-06-21 Asahi Chem Ind Co Ltd 血漿濾過方法
US5100564A (en) 1990-11-06 1992-03-31 Pall Corporation Blood collection and processing system
WO2001028597A1 (fr) * 1999-10-20 2001-04-26 Maco Pharma Unite de filtration d'une substance virucide
KR20020063597A (ko) * 1999-12-20 2002-08-03 미츠비시 웰파마 가부시키가이샤 다공성막으로 처리되어 바이러스가 제거된 혈장 단백질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41114A (en) * 1943-02-16 1944-02-08 Novak Milan Disposable filter for blood and plasma transfusions
JPS544121Y2 (ko) * 1974-07-05 1979-02-23
EP0040427B1 (en) * 1980-05-20 1985-11-06 Haemonetics Corporation Suction liquid collection assembly and flexible liquid collection bag suitable for use therein
JPS62262705A (ja) * 1986-05-07 1987-11-14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親水性多孔質膜、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親水性多孔質膜を用いた血漿分離装置
JPH01254205A (ja) * 1988-04-01 1989-10-11 Asahi Chem Ind Co Ltd ウイルス除去ユニツト
DE4005325A1 (de) * 1989-08-25 1991-02-28 Seidel Medizin Technik Forschu Blutfilter
FR2718033B1 (fr) * 1994-03-31 1998-02-13 Inoteb Dispositif de filtration de fluides biologiques et son application.
JP3615785B2 (ja) * 1994-04-28 2005-02-02 テルモ株式会社 Hiv及びその関連物質除去材料
CA2319261A1 (en) * 1998-01-23 1999-07-29 Pall Corporation Biological fluid treatment system
JPH11267421A (ja) * 1998-03-20 1999-10-05 Terumo Corp 血液浄化材料
US6099734A (en) * 1998-07-08 2000-08-08 Baxter International Inc. Apparatus, membranes and methods for removing organic compounds from a biological fluid
JP2002114799A (ja) * 2000-08-01 2002-04-16 Nihon Pharmaceutical Co Ltd ウイルス除去方法
JP2004509192A (ja) * 2000-09-11 2004-03-25 マサチューセッツ・インスティチュート・オブ・テクノロジー グラフトコポリマー、親水性鎖を疎水性ポリマー上にグラフト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れらの物品
FR2825617B1 (fr) * 2001-06-12 2004-05-28 Maco Pharma Sa Poche pourvue de moyens d'association temporaire d'un filtre
US20040116676A1 (en) * 2002-09-30 2004-06-17 Hotta Joann Methods for removal of contaminants from blood product solutions
EP1608457A1 (en) * 2003-03-12 2005-12-28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Use of recombinant albumin in dialysis after liver fail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6067A (ja) * 1989-11-02 1991-06-21 Asahi Chem Ind Co Ltd 血漿濾過方法
US5100564A (en) 1990-11-06 1992-03-31 Pall Corporation Blood collection and processing system
WO2001028597A1 (fr) * 1999-10-20 2001-04-26 Maco Pharma Unite de filtration d'une substance virucide
KR20020063597A (ko) * 1999-12-20 2002-08-03 미츠비시 웰파마 가부시키가이샤 다공성막으로 처리되어 바이러스가 제거된 혈장 단백질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5498A (ko) 2005-08-29
EP1579838A1 (en) 2005-09-28
JPWO2004052270A1 (ja) 2006-04-06
AU2003289072A1 (en) 2004-06-30
EP1579838A4 (en) 2007-11-28
WO2004052270A1 (ja) 2004-06-24
US20060054557A1 (en) 200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3483B1 (ko) 바이러스 제거 백 및 그것을 이용한 바이러스 제거 방법
US6682656B2 (en) Biological fluid treatment system and method
CA2095623C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biological fluids
US5616254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biological fluid
EP0349188B1 (en) Method for separating blood into blood components, and blood components separator unit
EP0586268B1 (en) A pathogenic substance removing material and a blood filter comprising said material
AU2003204942B2 (en) A selective deleukocytation unit for a platelet product
CA24054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leukocyte-reduced blood components, including plasma that is free or virtually free of cellular blood species
JP2003274923A (ja) 単球捕捉フィルターおよび単球分離培養装置、並びに樹状細胞回収方法
JP3208132B2 (ja) 血液成分分離方法
JPH03173824A (ja) 白血球分離器
JP4411019B2 (ja) フィルタ、血液成分分離装置および細胞浮遊液成分の分離・移送方法
JPH04236959A (ja) 血液成分分離方法
JP3117942U (ja) 白血球除去血液成分の分離セット
JP2001078757A (ja) 細胞分離方法及び細胞分離用流体
JP3157519B2 (ja) 血液成分分離システム
JPH07136257A (ja) 血液浄化システム
JP2011235188A (ja) 血液処理フィル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