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3281B1 -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 Google Patents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3281B1
KR100743281B1 KR1020050104429A KR20050104429A KR100743281B1 KR 100743281 B1 KR100743281 B1 KR 100743281B1 KR 1020050104429 A KR1020050104429 A KR 1020050104429A KR 20050104429 A KR20050104429 A KR 20050104429A KR 100743281 B1 KR100743281 B1 KR 100743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support
center
stand
ima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7563A (ko
Inventor
김윤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4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3281B1/ko
Priority to CN 200610115899 priority patent/CN1897167A/zh
Publication of KR20070047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28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3차원적으로 동시에 제어가능하도록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가 공간상에서 x,y,z 축을 중심으로 동시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며,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틸팅, 스위블 및 피봇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요소가 동작에 따라 개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부품 수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스탠드,자유도,힌지

Description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Stand of an image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힌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힌지부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힌지부의 회동 중심부 수용부의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의 연결부의 작동 범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의 연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 10: 스탠드
20: 연결부 26: 회동 중심체
30: 회동 중심부 37: 수용공
40: 마찰 스프링부 50: 지지부
60: 베이스부 70: 틸팅축부
80: 틸트부
본 발명은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3차원적으로 동시에 제어가능하도록 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스탠드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소정의 수평면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구조물로서, 일반적으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에 결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하측에 연결되고 바닥면에 놓이는 베이스부로 구성된다.
종래의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는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을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부가 구성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 예로서, 스탠드의 지지부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을 상하로 움직이는 틸팅 동작과,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을 좌우로 움직이는 스위블 동작과,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 자체를 상하로 움직이는 높낮이 조절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스탠드의 동작들은 각각의 동작들이 별개로 이루어지 거나, 또는 둘 이상의 동작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능들을 구현하는 지지부의 구조는 대부분 상기 기능들이 별개로 이루어져 1 자유도를 갖는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둘 이상의 기능으로 작동하는 스탠드의 경우에도 상기 동작들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다자유도를 갖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1 자유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동작들이 모여 구현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스탠드는 사용자가 틸팅 및 스위블, 또는 틸팅 및 높낮이 조절과 같은 2 이상의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여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움직이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틸딩 동작, 스위블 동작 및 높이 조절 동작은 3차원 공간상에서 x, y, z 축을 중심으로 작동하였기 때문에 대각선 방향으로의 작동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탠드는 상기와 같은 틸팅 동작, 스위블 동작 및 높이 조절 동작을 개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각각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개별적인 구성요소들을 구비하고 있었기 때문에 부품수가 많아지고, 이는 스탠드 비용의 증가를 가져 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가 공간상에서 x,y,z 축을 중심으로 동시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틸팅, 스위블 및 피봇 회전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동작에 따라 개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하나의 구성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부품수를 줄임으로써, 스탠드의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지지하기 위하여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측에 연결되는 상측 지지대와, 일단이 상기 상측 지지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에 구형의 회동 중심체를 구비하는 하측 지지대가 포함되는 지지 부재; 상기 회동 중심체가 수용되는 수용공이 제공되어,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가 상기 회동 중심체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연결부재 ; 상기 수용공에 제공되는 마찰 스프링;및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되고, 바닥면에 놓이는 베이스부;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가 공간상에서 x,y,z 축을 중심으로 동시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틸팅, 스위블 및 피봇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요소가 동작에 따라 개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부품 수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스탠드(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10)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배면(2)에 고정되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를 지지하는 연결부(20)와, 상기 연결부(20)가 3자유도를 가지고 공간상에서 x, y, z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회동 중심부(30), 상기 회동 중심부(30)를 지지하는 지지부(50) 및 상기 지지부(50)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바닥면에 놓이는 베이스부(60)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연결부는 배면 결합부(22)에 의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배면(2)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20)의 단부는 회동 중심부(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20)는 도 1에서 볼 때,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를 x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움직이는 틸팅 회동(화살표 A 방향)과,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z 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움직이는 스위블 회동(화살표 B 방향)과,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y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시는 피봇 회동(화살표 r 방향)이 가능하게 작동된다.
상기 회동 중심부(30)는 바닥에 놓이는 베이스부(60)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50)의 일단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20)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연결부(20)의 틸팅 회동(A), 스위블 회동(B) 및 피봇 회동(r)은 하나의 중심점(C1)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상기 틸팅 회동(A), 스위블 회동(B) 및 피봇 회동(r)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20)의 틸팅 회동(A), 스위블 회동(B) 및 피봇 회동(r)이 하나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회동되므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를 틸팅, 스위블 및 피봇 회동시키는 동작이 상기 연결부(20)를 지지하는 회동 중심부(3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10)의 연결부(20)는 상기 x, y, z 축을 기준으로 한 회동 뿐 아니라, x-y, y-z, z-x 방향과 같은 각각의 축의 대각선 방향으로도 또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도 9 참조)
상기 회동 중심부(30)는 종래의 틸팅, 스위블 및 피봇 회전을 위하여 별개로 제공되어야 했던 구성요소들과 비교할 때 매우 적은 수를 갖는 구성요소만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적은 수의 부품만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스탠드를 제작하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0)가 회동 중심부(30)에 연결된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달리하여 하기에서 살펴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회동 중심부를 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회동 베이스에 하부 마찰 스프링이 결합된 사시도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10)는 연결부(20), 회동 중심부(30), 지지부(50) 및 베이스부(60)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연결부(20)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배면(2)에 고정되는 배면 결합부(22), 상기 배면 결합부(22)의 중심부에 결합되는 지지대(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24)의 일단에는 구형으로 이루어진 회동 중심체(26)가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배면 결합부(22)는 직사각형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면 결합부(22)의 네 모서리부에는 상기 배면 결합부(22)를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배면(2)에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와 같은 체결 부재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면 결합부(22)의 중심에는 지지대(24)가 결합되기 위한 체결 부재(68)가 관통되는 결합홀(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홀(23)에 나사와 같은 체결 부재(68)가 관통되어 지지대(24)의 일단부면과 체결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배면 결합부(22)가 지지대(24)와 결합된다.
상기 지지대(24)는 상기 배면 결합부(22)의 중앙에 결합되고 하측으로 연장된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24)의 하단부에는 회동 중심체(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 중심체(26)는 상기 지지대(24)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갖는 구형 성형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 중심체(26)의 단부는 완전한 구형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지지대(24)와 수직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는 회동 중심체(26)가 회동 중심부(30)에 위치될 때, 하부 마찰 스프링(46)을 회동 베이스(31)에 고정하는 체결 부재(64)가 회동 중심체(26)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회동 중심부(30) 내에 체결 부재(64)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상기 회동 중심체(26)는 회동 중심부(30) 내측에 위치고정된다.
상기 회동 중심부(30)는 회동 중심체(26)가 안착되는 회동 베이스(31)와 상기 회동 베이스(31)의 상측에 고정되어 회동 중심체(26)를 위치 고정시키는 회동 중심체 고정부(32)로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동 중심체 고정부(32)는 내측에 중심체 고정홀(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심체 고정홀(33)의 상측면 개구(35)는 상기 지지대(24)의 지름보다는 크고 상기 회동 중심체(26)의 지름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심체 고정홀(33)의 하측면 개구(36)는 상기 회동 중심체(26)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 중심부(30)와 회동 중심체(26)의 사이에는 상기 회동 중심체(26)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마찰 스프링부40)가 위치된다.
상기 마찰 스프링부(40)는 회동 중심체 베이스(31)에 결합되는 반구형 하부 마찰 스프링(46)과, 상기 회동 중심체 고정부(32)에 위치되는 반구형 상부 마찰 스프링(4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마찰 스프링(46)의 중앙 하부에는 상기 하부 마찰 스프링(46)을 회동 베이스(31)에 결합하는 체결 나사(64)가 관통되는 스프링 결합홀(47)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마찰 스프링(42)의 상부에는 지지대(24)가 관통될 수 있도록 홀(24)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 베이스(31)의 상측부에는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중심체 안착면(3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 베이스의 하측부에는 지지부(50)에 고정되는 지지부측 고정부(39)로 형성된다.
상기 중심체 안착면(37)은 회동 중심체(26) 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체 안착면(37)의 중앙에는 상기 회동 중심체(26)가 위치되는 반구형 수용공(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공(38)의 중앙 하단부에는 나사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측 고정부(39)는 수용공(38)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회동 베이스(31)의 외주면보다 약간 작은 지름을 갖는 돌출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39)의 측면에는 나사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지지부(50)의 상측에는 상기 회동 중심부(30)의 지지부측 고정부(39)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 결합홈(5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 결합홈(53)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부(39)가 고정부 결합홈(53)에 끼워진 경우 고정부(39)의 측면에 형성된 나사 체결홈과 정렬되는 위치에 나사 체결홈(54)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50)의 하측단은 바닥면에 놓이는 베이스부(60)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부(50)는 상기 베이스부(60)의 중앙에 위치 고정되며, 이 때 상기 지지부(50)는 베이스부(60)에 대하여 약간 기울어지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스탠드(10)의 조립과정을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에서, 베이스부(60)에 지지부(50)를 고정한다. 상기 지지부(50)는 베이스부(60) 하측면으로부터 관통되어 지지부(50) 하측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체결 나사(90)에 의해 베이스부(60)에 고정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지지부(50)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부 결합홈(53)에 회동 베이스(31)를 결합한다. 상기 회동 베이스(31)를 고정부 결합홈(53)에 결합하는 것은 고정부 결합홈(53) 측면에 형성된 나사 체결홀(54)과 지지부측 고정부(39) 측면의 나사 체결홀을 정렬시킨 후 체결나사(66)를 결합함으로서 달성된다.
상기 지지부(50)에 결합된 회동 베이스(31)의 수용공(38)에 하부 마찰 스프링(46)을 결합한다. 이는 상기 하부 마찰 스프링(46)을 회동 베이스(31)의 수용공(38)에 삽입하고 상기 하부 마찰 스프링(46)의 중앙 하측에 형성된 스프링 결합홀(47)을 수용공(38) 중앙의 나사 체결홈에 정렬시키고 나사(64)를 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하부 마찰 스프링(46)이 회동 베이스(31)에 결합된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회동 베이스(31)에 지지대(24)를 결합한다.
상기 지지대(24)를 회동 베이스(31)에 결합하기 위하여는 먼저 연결부(20)의 지지대(24)에 회동 중심체 고정부(32) 및 마찰 스프링부(40)을 끼워넣어 회동 중심체(26)의 상측에 마찰 스프링부(40) 및 회동 중심체 고정부(32)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회동 중심체(26)의 상측에 마찰 스프링부(40) 및 회동 중심체 고정부(32)가 위치된 상태에서 회동 중심체 고정부(32)를 회동 베이스(31)에 나사와 같은 체결 부재(62)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고정시킨다.
그 후 배면 결합부(22)를 지지대(24)의 상측면에 고정시킨다.
그 후 상기 배면 결합부(22)를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배면(2)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스탠드(10)의 조립이 완료된다.
도 5에는 스탠드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스탠드(10)의 회동 중심부(3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10)에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배면(2)에 결합된 지지대(24)는 회동 중심부(30)의 회동 중심(C1)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이 때 지지대(24)가 회동될 수 있는 범위는 도 5에서 회동 중심체 고정부(32) 상측면에 형성된 개구부(35)의 내부로 한정된다.
이에 따라, 연결부(20)는 회동 중심체 고정부(32) 상측면에 형성된 개구부(35)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회동 중심부(30)의 회동 중심체 고정부(32)의 상측면 내에서 회동될 수 있는 연결부의 이동 범위를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도 6은 도 1에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틸팅 회동(A)시 회동 가능 범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1에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위블 회동(B)시 회동 가능 범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부는 도 5에서 볼 때 소정의 각도(α°) 만큼 회동될 수 있다.
상기 도면을 참고하면, 지지대(24)의 지름에 비하여 회동 중심체 고정부(32)의 상측의 개구부(35)의 지름이 클수록 지지대(24)의 회동가능 범위가 넓어지게 된다.
이 때, 회동 중심체 고정부(32)의 상단부 개구부(35)의 크기는 회동 중심체(26)가 커지거나, 또는 회동 중심체(26)를 둘러싸는 회동 중심체 고정부(32)의 상단부의 개구부를 크게 함으로써 가능하다.
이 때, 회동 중심체(26)가 커지면 회동 중심부(30)가 전체적으로 커지게 되며, 회동 중심체(26)를 둘러싸는 회동 중심체 고정부(32)의 상단부 홀만을 크게 하면, 회동 중심체 고정부(32)와 회동 중심체(26) 사이에 삽입된 마찰 스프링부(40)이 회동 중심체(26)를 고정하는 힘이 약하여지게 된다.
따라서, 스탠드(10)의 크기 및 설치되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하중을 고려하여 지지대(24)의 회동 범위를 적절하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은 도 1에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피벗 회동(r)시 회전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에서 연결부는 회동 중심(C1)를 중심으로 360도만큼의 회전이 가능하다.
도 9는 회동 중심체 고정부(32)의 상단부 홀 내측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 되는 연결부의 이동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연결부(20)의 대각선 방향의 움직임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의 연결부(20)의 이동 방식 중 틸트와 스위블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움직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지지대(24)가 회동 중심부(30) 내측에서 회동되면, 회동 후에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자중과 마찰 스프링부(40)의 마찰력에 의해 지지대의 위치가 위치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틸트, 스위블 및 피벗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사용되지 않고도 회동 중심체(26)가 구형 마찰 스프링부(40)의 마찰력과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의 하중에 의해 위치 고정되므로, 사용자가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을 배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배치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의 연결부 중앙에 틸트부(80)가 형성되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1)가 회동 중심부(30)를 중심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틸트부(80)를 중심으로 틸팅회동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때, 도 10에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사용하여 표기하였다.
이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때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에는 연결부(120) 중앙에 틸트부(80)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는 틸팅축(C2)을 중심으로 틸팅회동(D)가능하다.
도 11에는 이와 같은 연결부(120)에서의 틸팅 회동을 위한 연결부(120)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연결부(120)는 상측 지지대(123)와 하측 지지대(124)로 구성된다.
상측 지지대(123)의 상단부에는 배면 연결부가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결합되고, 상측 지지대(123)의 하단부에는 중앙에 관통공(83)이 형성된 돌출부(8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82)는 하측 지지대(124)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지지부(85)(87)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하측 지지대의 제 1 및 제 2 지지부(85)(87)는 하측 지지대(124)의 상측단에 서로 나란한 돌출부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85)(87)의 중앙에는 나사 체결홀(86)(8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측 지지대(123)와 하측 지지대(124)의 결합은 상기 상측 지지대(123)의 돌출부(82)를 하측 지지대(124)의 제 1 및 제 2 지지부(85)(87) 사이에 위치시키고 상기 돌출부(82)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83)과 제 1 및 제 2 지지부(85)(87)의 나사 체결홀(86)(88)을 정렬시킨 후 틸팅축(71)을 결합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이 때, 상기 돌출부(82)와 제 1 및 제 2 지지부(85)(87)의 사이에는 소정의 마찰력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돌출부(82)와 제 1 및 제 2 지지부(85)(87)의 사이에는 소정의 마찰력이 형성됨으로써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하중에 의해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가 하측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에 틸딩축을 x축과 평행하게 형성하여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가 회동 중심부 이외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틸팅 회동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틸팅축을 z축과 평행하게 형성하거나, 또다른 형태로 회동축을 형성하여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가 회동 중심부 이외의 또다른 축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형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가 공간상에서 x,y,z 축을 중심으로 동시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틸팅, 스위블 및 피봇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요소가 동작에 따라 개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부품 수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를 지지하기 위하여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측에 연결되는 상측 지지대와, 일단이 상기 상측 지지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에 구형의 회동 중심체를 구비하는 하측 지지대가 포함되는 지지 부재;
    상기 회동 중심체가 수용되는 수용공이 제공되어,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가 상기 회동 중심체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연결부재 ;
    상기 수용공에 제공되는 마찰 스프링;및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되고, 바닥면에 놓이는 베이스부;가 포함되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수용공은 상기 회동 중심체가 놓이는 반구형 회동 베이스와 상기 반구형 회동 베이스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 중심체의 상측 반구면을 둘러싸는 회동 중심체 고정부에 의해 형성되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부가 포함되고, 상기 지지부는 경사지도록 형성된,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관통되어 회동 중심체가 수용공에 수용가능하도록, 상기 구형인 회동 중심체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개구가 형성되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은 경사진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홀을 통해 구형 회동 중심체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1020050104429A 2005-11-02 2005-11-02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100743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429A KR100743281B1 (ko) 2005-11-02 2005-11-02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CN 200610115899 CN1897167A (zh) 2005-11-02 2006-08-17 图像显示装置的支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429A KR100743281B1 (ko) 2005-11-02 2005-11-02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563A KR20070047563A (ko) 2007-05-07
KR100743281B1 true KR100743281B1 (ko) 2007-07-26

Family

ID=37609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429A KR100743281B1 (ko) 2005-11-02 2005-11-02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43281B1 (ko)
CN (1) CN18971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1518A (ko) * 2014-10-08 2016-04-18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수평조절부재를 구비하는 사이드스캔소나의 유실방지장치 및 방법
KR20160041517A (ko) * 2014-10-08 2016-04-18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사이드스캔소나의 유실방지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006B1 (ko) * 2008-04-01 2014-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탠드 장치 및 디스플레이 기기
JP5593912B2 (ja) * 2010-07-22 2014-09-2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2157107A (zh) * 2010-08-30 2011-08-17 谭湘 一种五角星
JP2012068515A (ja) * 2010-09-24 2012-04-05 Sony Corp 表示装置
CN104344173A (zh) * 2013-08-08 2015-02-11 冠捷投资有限公司 支架总成及使用该支架总成的显示装置
CN105206206A (zh) * 2015-10-30 2015-12-30 李丽芳 一种新型的太阳能警示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208Y1 (ko) 1999-11-23 2000-07-01 노기환 컴퓨터모니터에 부착되는 카피홀더의 고정대
KR200385924Y1 (ko) 2005-03-21 2005-06-03 류기용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208Y1 (ko) 1999-11-23 2000-07-01 노기환 컴퓨터모니터에 부착되는 카피홀더의 고정대
KR200385924Y1 (ko) 2005-03-21 2005-06-03 류기용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1518A (ko) * 2014-10-08 2016-04-18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수평조절부재를 구비하는 사이드스캔소나의 유실방지장치 및 방법
KR20160041517A (ko) * 2014-10-08 2016-04-18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사이드스캔소나의 유실방지장치 및 방법
KR101686084B1 (ko) 2014-10-08 2016-12-13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수평조절부재를 구비하는 사이드스캔소나의 유실방지장치 및 방법
KR101692372B1 (ko) 2014-10-08 2017-01-03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사이드스캔소나의 유실방지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97167A (zh) 2007-01-17
KR20070047563A (ko) 2007-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3281B1 (ko)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100553971B1 (ko) 디스플레이의 방향조정장치
US6801426B2 (en) Display device with pivotable base
KR100553972B1 (ko) 디스플레이의 승강조정장치
US6601810B2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screen of monitor
KR100586983B1 (ko) 모니터장치
EP1488533B1 (en) Rotary hinge mechanism of portable phone
US7770862B2 (en) Rotatable support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7798460B2 (en) Apparatus to support a display device
CN101026015A (zh) 显示设备的支座
EP1351011A2 (en) Monitor
US6859356B2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monitor
KR101701558B1 (ko) 디스플레이 거치대
US6896227B2 (en) Universal adjusting mechanism for tripods
JP2001107943A (ja)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モニタテレビ用スタンド
WO2006000127A1 (en) Hinge system for computer display device
US20060255222A1 (en) Wrist joint for positioning a test head
KR100289438B1 (ko) 평판표시기기의 경사 및 회전과 높낮이 조절장치
JP2002341782A (ja) 画像表示装置
KR20000000722U (ko) 엘시디 모니터
JP2009027561A (ja) 携帯電話の充電台
KR200161523Y1 (ko) 실물 화상기의 회전 지지 구조
KR100306086B1 (ko) 개선된모니터스탠드어셈블리
TWI533786B (zh) 具有支撐機構的電子裝置
KR100361487B1 (ko) 영상표시기기용 위치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