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723B1 - 오디오 썸네일 기능을 지원하는 오디오 재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 썸네일 기능을 지원하는 오디오 재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723B1
KR100739723B1 KR1020050078427A KR20050078427A KR100739723B1 KR 100739723 B1 KR100739723 B1 KR 100739723B1 KR 1020050078427 A KR1020050078427 A KR 1020050078427A KR 20050078427 A KR20050078427 A KR 20050078427A KR 100739723 B1 KR100739723 B1 KR 100739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output
thumbnails
user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1026A (ko
Inventor
오윤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06823595.1A priority Critical patent/EP1905035B1/en
Priority to PCT/KR2006/002815 priority patent/WO2007027013A1/en
Priority to US11/488,842 priority patent/US20070021961A1/en
Priority to CN2006800266348A priority patent/CN101228582B/zh
Publication of KR20070011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723B1/ko
Priority to US13/725,227 priority patent/US2013011026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01Enhancing the perception of the sound image or of the spatial distribution using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s [HRTF's] or equivalents thereof, e.g. interaural time difference [ITD] or interaural level difference [ILD]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재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재생 방법은 소정 개수의 오디오 파일들 각각을 대표하는 오디오 썸네일들을 상기 소정 개수의 방향들로 음상 정위하고, 이와 같이 음상 정위된 오디오 썸네일들을 동시에 출력하고, 이 오디오 썸네일들의 동시 출력 음을 청취한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오디오 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함으로서, 사용자는 여러 개의 오디오 파일들을 한번에 검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 파일을 보다 빨리 선택하여 청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디오 썸네일 기능을 지원하는 오디오 재생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reproduction supporting audio thumbnail function}
도 1은 종래의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썸네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음상 제어부(26) 및 제 1 출력 제어부(27)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 1-4 음상 정위부들(51-54)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오디오 썸네일들의 동시 출력 음을 청취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오디오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오디오 파일의 출력 음을 청취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오디오 썸네일들의 동시 출력 음을 청취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오디오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오디오 재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오디오 재생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오디오 재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 화면(11)을 통하여 다수의 오디오 파일들을 표시하고, 이 표시를 인지한 사 용자는 입력 패널(12)의 검색 버튼을 조작하여 이 오디오 파일들 중 사용자가 청취하기를 원하는 오디오 파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입력 패널(12)의 선택 버튼을 조작하여 이 오디오 파일을 선택하여 청취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오디오 재생 장치의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청취하기를 원하는 오디오 파일이 디스플레이 화면(11)에 표시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검색 버튼을 조작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사용자가 오디오 파일들을 청취하면서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일이 선택하여 재생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많은 시간이 소유되고, 사용자에게 많은 인내를 요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이미지 뷰어(image viewer)를 지원하는 휴대용 재생 장치가 많이 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휴대용 재생 장치는 대부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를 저장, 검색, 및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 만약, 휴대용 재생 장치에 수많은 이미지들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를 찾기 위해, 이미지들 각각을 하나씩 재생하여 보는 것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매우 불편하다. 이에 따라, 최근의 휴대용 재생 장치는 여러 장의 이미지들을 작은 크기로 동시에 한 화면에 보여주는 썸네일(thumbnail)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이미지 썸네일 기능과 유사한 오디오 썸네일 기능을 지원하는 오디오 재생 방법들 및 장치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된 방법들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오디오 재생 방법은 소정 개수의 오디오 파일들 각각을 대표하는 오디오 썸네일들을 상기 소정 개수의 방향들로 음상 정위하는 단계; 상기 음상 정위된 오디오 썸네일들을 동시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오디오 썸네일들의 동시 출력 음을 청취한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는 소정 개수의 오디오 파일들 각각을 대표하는 오디오 썸네일들을 상기 소정 개수의 방향들로 음상 정위하는 음상 제어부; 상기 음상 제어부에 의해 음상 정위된 오디오 썸네일들을 동시에 출력하는 제 1 출력 제어부; 및 상기 제 1 출력 제어부에 의해 출력된 오디오 썸네일들의 동시 출력 음을 청취한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제 2 출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된 제 1 오디오 재생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오디오 재생 방법은 소정 개수의 오디오 파일들 각각을 대표하는 오디오 썸네일들에 상기 소정 개수의 방향들의 채널들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채널 할당부에 의해 할당된 채널들을 갖는 오디오 썸네일들을 상기 채널들로 분리하여 동시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오디오 썸네일들의 동시 출력 음을 청취한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는 소정 개수의 오디오 파일들 각각을 대표하는 오디오 썸네일들에 상기 소정 개수의 방향들의 채널들을 할당하는 채널 할당부; 상기 채널 할당부에 의해 할당된 채널들을 갖는 오디오 썸네일들을 상기 채널들로 분리하여 동시에 출력하는 제 1 출력 제어부; 및 상기 제 1 출력 제어부에 의해 출력된 오디오 썸네일들의 동시 출력 음을 청취한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제 2 출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된 제 2 오디오 재생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 3 오디오 재생 방법은 소정 개수의 오디오 파일들 각각을 대표하는 오디오 썸네일들을 동시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오디오 썸네일들의 동시 출력 음을 청취한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된 제 3 오디오 재생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 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는 복호화부(21), 오디오 파일 데이터베이스(22), 오디오 썸네일 데이터베이스(23), 사용자 인터페이스(24), 오디오 썸네일 추출부(25), 음상 제어부(26), 제 1 출력 제어부(27), 우채널 D/A 변환부(28), 좌채널 D/A 변환부(29), 오디오 파일 추출부(30), 및 제 2 출력 제어부(31)로 구성된다.
복호화부(21)는 인터넷 등을 통하여 획득된 압축 오디오 파일들을 복호화함으로서 PCM(Pulse Code Modulation) 신호 형태의 오디오 파일들을 복원한다. 오디오 파일의 압축 방식의 대표적인 예로 MP3(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layer 3)을 들 수 있다. 만약, 압축 오디오 파일들이 MP3 파일들이라면, 복호화부(21)는 MP3 규격에 따라 압축 오디오 파일들을 복호화함으로서 PCM 신호 형태의 오디오 파일들을 복원한다.
오디오 파일 데이터베이스(22)는 복호화부(21)에 의해 복원된 오디오 파일들을 저장한다.
오디오 썸네일 데이터베이스(23)는 복호화부(21)에 의해 복원된 오디오 파일들로부터 이 오디오 파일들 각각을 대표하는 오디오 썸네일들을 생성하고, 이 오디오 썸네일들을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썸네일을 도시한 도면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썸네일은 오디오 파일의 클라이맥스 구간 또는 시작 구간 등, 사용자에게 어떤 곡을 인지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인 일부 구간을 말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파일의 클라이맥스 구간을 오디오 썸네일로 선정하는 경우, 오디오 썸네일 데이터베이스(23)는 오디오 파일로부터 이 오디오 파일의 클라이맥스 구간만을 추출함으로서 이 오디오 파일을 대표하는 오디오 썸네일을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오디오 썸네일 데이터베이스(23)는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수동으로 오디오 썸네일들을 추출할 수도 있고, 오디오 파일의 신호 파형을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오디오 썸네일들을 추출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4)는 사용자에게 오디오 썸네일 데이터베이스(23)에 저장된 오디오 썸네일들을 표시하고, 이 표시를 인지한 사용자로부터 상기 오디오 썸네일들 중 소정 개수의 오디오 썸네일들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정 개수, 즉 본 실시예에서의 오디오 썸네일 처리 단위를 4 개로 상정하고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소정 개수를 4 개 이외의 다른 임의의 복수로 상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2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화면(41)을 통하여 오디오 썸네일 데이터베이스(23)에 저장된 오디오 썸네일들을 표시하고, 이 표시를 인지한 사용자로부터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에 부착된 입력 패널(42)을 통하여 4 개의 오디오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오디오 썸네일 추출부(2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4)에 수신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썸네일 데이터베이스(23)에 저장된 오디오 썸네일들로부터 4 개의 오디오 썸네일들을 추출한다. 즉, 오디오 썸네일 추출부(25)는 오디오 썸네일 데이터베이스(23)에 저장된 오디오 썸네일들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24)에 수신된 선택 정보가 지시하는 4 개의 오디오 썸네일들을 추출한다.
음상 제어부(26)는 오디오 썸네일 추출부(25)에 의해 추출된 오디오 썸네일들을 4 개의 방향들로 음상 정위(sound localization)한다. 일반적으로, 음원은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에 실제로 존재하는 음의 위치를 의미하고, 음상은 사용자가 지각하는 가상적 음의 위치를 의미하고, 음상 정위란 어느 특정 위치에 가상의 음원을 위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4 개의 방향들이란 4 개의 오디오 썸네일들이 출력된 경우, 사용자가 이것들을 식별하기에 가장 용이한 방향들을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사용자 전방 +30도, -30도 및 사용자 후방 +110도, -110도 방향을 의미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음상 제어부(26)는 머리 전달 함수(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 HRTF)를 사용하여 오디오 썸네일 추출부(25)에 의해 추출된 오디오 썸네일들을 상기된 4 개의 방향들로 음상 정위한다. 머리 전달 함수는 음원과 사용자의 고막간의 음향학적 전달 함수로서, 다채널 신호들을 2 채널의 가상 입체 음향으로 변환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음상 제어부(26) 및 제 1 출력 제어부(27)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음상 제어부(26)는 제 1 음상 정위부(51), 제 2 음상 정위부(52), 제 3 음상 정위부(53), 및 제 4 음상 정위부로(54)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오디오 썸네일의 처리 단위가 N 개라면,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음상 제어부(26)가 N 개의 음상 정위부들로 구성됨을 이해할 수 있다.
제 1 음상 정위부(51)는 오디오 썸네일 추출부(25)에 의해 추출된 제 1 오디오 썸네일과 사용자의 전방 우측 방향에 해당하는 좌측/우측 머리 전달 함수 계수 쌍을 컨벌루션함으로서 사용자의 전방 우측 방향의 음원에 해당하는 제 1 오디오 썸네일 좌채널 신호 및 제 1 오디오 썸네일 우채널 신호를 생성한다.
제 2 음상 정위부(52)는 오디오 썸네일 추출부(25)에 의해 추출된 제 2 오디오 썸네일과 사용자의 전방 좌측 방향에 해당하는 좌측/우측 머리 전달 함수 계수 쌍을 컨벌루션함으로서 사용자의 전방 좌측 방향의 음원에 해당하는 제 2 오디오 썸네일 좌채널 신호 및 제 2 오디오 썸네일 우채널 신호를 생성한다.
제 3 음상 정위부(53)는 오디오 썸네일 추출부(25)에 의해 추출된 제 3 오디오 썸네일과 사용자의 후방 좌측 방향에 해당하는 좌측/우측 머리 전달 함수 계수 쌍을 컨벌루션함으로서 사용자의 후방 좌측 방향의 음원에 해당하는 제 3 오디오 썸네일 좌채널 신호 및 제 3 오디오 썸네일 우채널 신호를 생성한다.
제 4 음상 정위부(54)는 오디오 썸네일 추출부(25)에 의해 추출된 제 4 오디오 썸네일과 사용자의 후방 우측 방향에 해당하는 좌측/우측 머리 전달 함수 계수 쌍을 컨벌루션함으로서 사용자의 후방 우측 방향의 음원에 해당하는 제 4 오디오 썸네일 좌채널 신호 및 제 4 오디오 썸네일 우채널 신호를 생성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 1-4 음상 정위부들(51-54)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제 1-4 음상 정위부들(51-54)은 머리 전달 함수 계수 데이터베이스(61) 및 컨벌루션부(62)로 구성된다.
머리 전달 함수 계수 데이터베이스(61)는 상기된 4 개의 방향에 해당하는 음원들의 위치를 모델로 하여 산출된 좌측 및 우측 머리 전달 함수 계수 쌍을 저장하고 있다.
컨벌루션부(62)는 오디오 썸네일 추출부(25)에 의해 추출된 제 N 오디오 썸네일과 머리 전달 함수 계수 데이터베이스(61)에 저장된 좌측/우측 머리 전달 함수 계수 쌍들 중 제 N 오디오 썸네일에 할당된 방향에 해당하는 좌측/우측 머리 전달 함수 계수 쌍을 컨벌루션함으로서 제 N 오디오 썸네일 좌채널 신호 및 제 N 오디오 썸네일 우채널 신호를 생성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출력 제어부(27)는 음상 제어부(26)에 의해 음상 정위된 오디오 썸네일들을 4 개의 방향들로 동시에 출력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1 출력 제어부(27)는 음상 제어부(26)에 의해 음상 정위된 오디오 썸네일들의 신호들을 합성함으로서 좌채널 출력 신호 및 우채널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이것들을 동시에 출력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출력 제어부(27)는 제 1 합성부(55) 및 제 2 합성부(56)로 구성된다.
제 1 합성부(55)는 제 1-4 음상 정위부(51-54)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썸네일 좌채널 신호들을 합성함으로서 사용자의 헤드폰의 좌측 스피커로 출력될 좌채널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제 2 합성부(56)는 제 1-4 음상 정위부(51-54)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썸네일 우채널 신호들을 합성함으로서 사용자의 헤드폰의 우측 스피커로 출력될 우채널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좌채널 D/A 변환부(28)는 제 1 출력 제어부(37)에 의해 출력된 좌채널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이 아날로그 신호를 사용자의 헤드폰의 좌측 스피커로 출력한다. 제 1 출력 제어부(37)에 의해 출력된 좌채널 출력 신호는 PCM 형식의 디지털 신호로서 이것을 청취하기 위해서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야 한다. 이로서, 사용자는 헤드폰의 좌측 스피커를 통하여 가상 입체 음향 처리된 4 개의 오디오 썸네일들의 좌측 출력 음을 청취하게 된다.
우채널 D/A 변환부(29)는 제 1 출력 제어부(27)에 의해 출력된 우채널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이 아날로그 신호를 사용자의 헤드폰의 우측 스피커로 출력한다. 제 1 출력 제어부(27)에 의해 출력된 우채널 출력 신호도 PCM 형식의 디지털 신호로서 이것을 청취하기 위해서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야 한다. 이로서, 사용자는 헤드폰의 우측 스피커를 통하여 가상 입체 음향 처리된 4 개 의 오디오 썸네일들의 우측 출력 음을 청취하게 된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오디오 썸네일들의 동시 출력 음을 청취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된 4 개 방향으로 음상 정위된 오디오 썸네일들의 동시 출력 음을 청취한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의 전방 우측 방향의 가상 음원으로부터 제 1 오디오 썸네일(1_thumb.pcm)을 청취하고, 사용자의 전방 좌측 방향의 가상 음원으로부터 제 2 오디오 썸네일(2_thumb.pcm)을 청취하고, 사용자의 후방 좌측 방향의 가상 음원으로부터 제 3 오디오 썸네일(3_thumb.pcm)을 청취하고, 사용자의 후방 우측 방향의 가상 음원으로부터 제 4 오디오 썸네일(4_thumb.pcm)을 청취하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24)는 사용자의 헤드폰을 통하여 가상 입체 음향 처리된 4 개의 오디오 썸네일들의 동시 출력 음을 청취한 사용자로부터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에 부착된 입력 패널(42)을 통하여 4 개의 오디오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오디오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된 4 개 방향으로 음상 정위된 오디오 썸네일들(1_thumb.pcm, 2_thumb.pcm, 3_thumb.pcm, 4_thumb.pcm)의 동시 출력 음을 청취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에 부착된 입력 패널(42)의 검색 버튼을 조작하여 상기된 4 개 방향 으로 음상 정위된 다음 오디오 썸네일들(5_thumb.pcm, 6_thumb.pcm, 7_thumb.pcm, 8_thumb.pcm)의 출력 음을 청취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에 부착된 입력 패널(42)의 선택 버튼을 조작하여 어느 하나(7_thumb.pcm)를 선택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오디오 파일 추출부(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4)에 수신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파일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들로부터 어느 하나를 추출한다. 즉, 오디오 파일 추출부(30)는 오디오 파일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들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24)에 수신된 선택 정보가 지시하는 오디오 파일을 추출한다.
제 2 출력 제어부(31)는 오디오 파일 추출부(30)에 의해 추출된 오디오 파일들로부터 좌채널 출력 신호 및 우채널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이것들을 출력한다. 즉, 제 2 출력 제어부(3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4)에 수신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파일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좌채널 D/A 변환부(28)는 제 2 출력 제어부(31)에 의해 출력된 좌채널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이 아날로그 신호를 사용자의 헤드폰의 좌측 스피커로 출력한다. 제 2 출력 제어부(31)에 의해 출력된 좌채널 출력 신호는 PCM 형식의 디지털 신호로서 이것을 청취하기 위해서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야 한다. 이로서, 사용자는 헤드폰의 좌측 스피커를 통하여 자신이 선택한 오디오 파일의 좌측 출력 음을 청취하게 된다.
우채널 D/A 변환부(29)는 제 2 출력 제어부(31)에 의해 출력된 우채널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이 아날로그 신호를 사용자의 헤드폰의 우측 스피커로 출력한다. 제 2 출력 제어부(31)에 의해 출력된 우채널 출력 신호도 PCM 형식의 디지털 신호로서 이것을 청취하기 위해서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야 한다. 이로서, 사용자는 헤드폰의 우측 스피커를 통하여 자신이 선택한 오디오 파일들의 우측 출력 음을 청취하게 된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오디오 파일의 출력 음을 청취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를 사용하여 오디오 썸네일들을 청취하고, 이어서 자신이 선택한 오디오 썸네일(7_thumb.pcm)을 일부 구간으로 하는 오디오 파일의 전 구간(7_song.pcm)의 출력 음을 청취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가장 단순하게 구현한 일례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된 구성 요소들 이외에 보다 사실적인 임장감을 위하여 잔향(reverberation) 효과 부분, 크로스토크(crosstalk) 제거 부분 등이 추가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는 복호화부(101), 오디오 파일 데이터베이스(102), 오디오 썸네일 데이터베이스(103), 사용자 인터페이스(104), 오디오 썸네일 추출부(105), 채널 할당부(106), 제 1 출력 제어부(107), 제 1 채널 D/A 변환부(108), 제 2 채널 D/A 변환부(109), 제 3 채널 D/A 변환부(110), 제 4 채널 D/A 변환부(111), 오디오 파일 추출부(112), 및 제 2 출력 제어부(113)로 구성된다.
복호화부(101)는 인터넷 등을 통하여 획득된 압축 오디오 파일들을 복호화함으로서 PCM 신호 형태의 오디오 파일들을 복원한다. 만약, 압축 오디오 파일들이 MP3 파일들이라면, 복호화부(21)는 MP3 규격에 따라 압축 오디오 파일들을 복호화함으로서 PCM 신호 형태의 오디오 파일들을 복원한다.
오디오 파일 데이터베이스(102)는 복호화부(101)에 의해 복원된 오디오 파일들을 저장한다.
오디오 썸네일 데이터베이스(103)는 복호화부(101)에 의해 복원된 오디오 파일들로부터 이 오디오 파일들 각각을 대표하는 오디오 썸네일들을 생성하고, 이 오디오 썸네일들을 저장한다. 특히, 오디오 썸네일 데이터베이스(103)는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수동으로 오디오 썸네일들을 추출할 수도 있고, 오디오 파일의 신호 파형을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오디오 썸네일들을 추출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4)는 사용자에게 오디오 썸네일 데이터베이스(103)에 저장된 오디오 썸네일들을 표시하고, 이 표시를 인지한 사용자로부터 상기 오디오 썸네일들 중 소정 개수의 오디오 썸네일들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정 개수, 즉 본 실시예에서의 오디오 썸네일 처리 단위를 4 개로 상정하고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 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소정 개수를 4 개 이외의 다른 임의의 복수로 상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0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화면(41)을 통하여 오디오 썸네일 데이터베이스(103)에 저장된 오디오 썸네일들을 표시하고, 이 표시를 인지한 사용자로부터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에 부착된 입력 패널(42)을 통하여 4 개의 오디오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오디오 썸네일 추출부(10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4)에 수신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썸네일 데이터베이스(103)에 저장된 오디오 썸네일들로부터 4 개의 오디오 썸네일들을 추출한다. 즉, 오디오 썸네일 추출부(105)는 오디오 썸네일 데이터베이스(103)에 저장된 오디오 썸네일들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104)에 수신된 선택 정보가 지시하는 4 개의 오디오 썸네일들을 추출한다.
채널 할당부(106)는 오디오 썸네일 추출부(105)에 의해 추출된 오디오 썸네일들에 4 개의 방향들 각각을 갖는 채널들을 할당한다. 본 실시예에서, 4 개의 방향들이란 4 개의 오디오 썸네일들이 출력된 경우, 사용자가 이것들을 식별하기에 가장 용이한 방향들을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사용자 전방 +30도, -30도 및 사용자 후방 +110도, -110도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4 개의 방향들 각각을 갖는 채널들은 사용자 전방 우측 방향의 R(Right) 채널, 사용자 전방 좌측 방향의 L(Left) 채널, 사용자 후방 좌측 방향의 Ls(Left surround) 채널, 및 사용자 후방 우측 방향의 Rs(Right surround) 채널이 된다. 즉, 채널 할당부(106)는 오디오 썸네일 추출 부(105)에 의해 추출된 오디오 썸네일들 각각에 R 채널, L 채널, Ls 채널, 및 Rs 채널을 할당한다.
제 1 출력 제어부(107)는 채널 할당부(106)에 할당된 채널들을 갖는 오디오 썸네일들을 R 채널, L 채널, Ls 채널, 및 Rs 채널로 분리하여 동시에 출력함으로서, R 채널 출력 신호, L 채널 출력 신호, Ls 채널 출력 신호, 및 Rs 채널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이것들을 동시에 출력한다.
R 채널 D/A 변환부(108)는 제 1 출력 제어부(107)에 의해 출력된 R 채널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이 아날로그 신호를 R 채널 스피커로 출력한다. 제 1 출력 제어부(107)에 의해 출력된 R 채널 출력 신호는 PCM 형식의 디지털 신호로서 이것을 청취하기 위해서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야 한다.
L 채널 D/A 변환부(109)는 제 1 출력 제어부(107)에 의해 출력된 L 채널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이 아날로그 신호를 L 채널 스피커로 출력한다. 제 1 출력 제어부(107)에 의해 출력된 L 채널 출력 신호는 PCM 형식의 디지털 신호로서 이것을 청취하기 위해서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야 한다.
Ls 채널 D/A 변환부(110)는 제 1 출력 제어부(107)에 의해 출력된 Ls 채널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이 아날로그 신호를 Ls 채널 스피커로 출력한다. 제 1 출력 제어부(107)에 의해 출력된 Ls 채널 출력 신호는 PCM 형식의 디지털 신호로서 이것을 청취하기 위해서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야 한다.
Rs 채널 D/A 변환부(111)는 제 1 출력 제어부(107)에 의해 출력된 Rs 채널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이 아날로그 신호를 Rs 채널 스피커로 출 력한다. 제 1 출력 제어부(107)에 의해 출력된 Rs 채널 출력 신호는 PCM 형식의 디지털 신호로서 이것을 청취하기 위해서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야 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오디오 썸네일들의 동시 출력 음을 청취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 10에 도시된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를 사용하여 R 채널, L 채널, Ls 채널, 및 Rs 채널로 분리하여 출력된 오디오 썸네일들의 동시 출력 음을 청취한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의 전방 우측 방향의 R 채널 스피커로부터 제 1 오디오 썸네일(1_thumb.pcm)을 청취하고, 사용자의 전방 좌측 방향의 L 채널 스피커로부터 제 2 오디오 썸네일(2_thumb.pcm)을 청취하고, 사용자의 후방 좌측 방향의 Ls 채널 스피커로부터 제 3 오디오 썸네일(3_thumb.pcm)을 청취하고, 사용자의 후방 우측 방향의 Rs 채널 스피커로부터 제 4 오디오 썸네일(4_thumb.pcm)을 청취하게 된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04)는 R 채널 스피커, L 채널 스피커, Ls 채널 스피커, 및 Rs 채널 스피커를 통하여 R 채널, L 채널, Ls 채널, 및 Rs 채널로 분리하여 출력된 오디오 썸네일들의 동시 출력 음을 청취한 사용자로부터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에 부착된 입력 패널(42)을 통하여 4 개의 오디오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오디오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 10에 도시된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를 사용 하여 R 채널, L 채널, Ls 채널, 및 Rs 채널로 분리하여 출력된 오디오 썸네일들(1_thumb.pcm, 2_thumb.pcm, 3_thumb.pcm, 4_thumb.pcm)의 출력 음을 청취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에 부착된 입력 패널(42)의 검색 버튼을 조작하여 R 채널, L 채널, Ls 채널, 및 Rs 채널로 분리하여 출력된 다음 오디오 썸네일들(5_thumb.pcm, 6_thumb.pcm, 7_thumb.pcm, 8_thumb.pcm)의 출력 음을 청취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에 부착된 입력 패널(42)의 선택 버튼을 조작하여 어느 하나(7_thumb.pcm)를 선택한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오디오 파일 추출부(11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4)에 수신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파일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들로부터 어느 하나를 추출한다. 즉, 오디오 파일 추출부(112)는 오디오 파일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들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24)에 수신된 선택 정보가 지시하는 오디오 파일을 추출한다.
제 2 출력 제어부(113)는 오디오 파일 추출부(30)에 의해 추출된 오디오 파일을 R 채널, L 채널, Ls 채널, 및 Rs 채널로 분리하여 출력함으로서, R 채널 출력 신호, L 채널 출력 신호, Ls 채널 출력 신호, 및 Rs 채널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이것들을 출력한다. 즉, 제 2 출력 제어부(11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4)에 수신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파일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R 채널 D/A 변환부(108)는 제 2 출력 제어부(113)에 의해 출력된 R 채널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이 아날로그 신호를 R 채널 스피커로 출력한 다. 제 1 출력 제어부(107)에 의해 출력된 R 채널 출력 신호는 PCM 형식의 디지털 신호로서 이것을 청취하기 위해서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야 한다. 이로서, 사용자는 헤드폰의 좌측 스피커를 통하여 자신이 선택한 오디오 파일의 R 채널 출력 음을 청취하게 된다.
L 채널 D/A 변환부(109)는 제 2 출력 제어부(113)에 의해 출력된 L 채널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이 아날로그 신호를 L 채널 스피커로 출력한다. 제 2 출력 제어부(113)에 의해 출력된 L 채널 출력 신호는 PCM 형식의 디지털 신호로서 이것을 청취하기 위해서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야 한다. 이로서, 사용자는 헤드폰의 좌측 스피커를 통하여 자신이 선택한 오디오 파일의 L 채널 출력 음을 청취하게 된다.
Ls 채널 D/A 변환부(110)는 제 2 출력 제어부(113)에 의해 출력된 Ls 채널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이 아날로그 신호를 Ls 채널 스피커로 출력한다. 제 2 출력 제어부(113)에 의해 출력된 Ls 채널 출력 신호는 PCM 형식의 디지털 신호로서 이것을 청취하기 위해서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야 한다. 이로서, 사용자는 헤드폰의 좌측 스피커를 통하여 자신이 선택한 오디오 파일의 Ls 채널 출력 음을 청취하게 된다.
Rs 채널 D/A 변환부(111)는 제 2 출력 제어부(113)에 의해 출력된 Rs 채널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이 아날로그 신호를 Rs 채널 스피커로 출력한다. 제 2 출력 제어부(113)에 의해 출력된 Rs 채널 출력 신호는 PCM 형식의 디지털 신호로서 이것을 청취하기 위해서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야 한다. 이로 서, 사용자는 헤드폰의 좌측 스피커를 통하여 자신이 선택한 오디오 파일의 Rs 채널 출력 음을 청취하게 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헤드폰과 같은 2 채널 스피커 시스템이 아닌, 그 이상의 다채널 스피커 시스템을 가진 사용자는 도 10에 도시된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를 사용하여 오디오 썸네일들을 청취한 후, 이어서 자신이 선택한 오디오 썸네일(7_thumb.pcm)을 일부 구간으로 하는 오디오 파일의 전 구간(7_song.pcm)의 출력 음, 즉 도 9에 도시된 출력을 청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다채널 스피커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댁내에 설치되는 5.1 채널 스피커 시스템 등을 의미하지만, 헤드폰 내부에 미세하게 설치된 스피커 시스템을 의미할 수도 있다는 것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13-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오디오 재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오디오 재생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오디오 재생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에 도시된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오디오 재생 방법에도 적용된다.
131 단계에서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는 인터넷 등을 통하여 획득된 압축 오디오 파일들을 복호화함으로서 PCM 신호 형태의 오디오 파일들을 복원한다.
132 단계에서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는 131 단계에서 복원된 오디오 파일들을 저장한다.
133 단계에서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는 131 단계에서 복원된 오디오 파일들로부터 이 오디오 파일들 각각을 대표하는 오디오 썸네일들을 생성하고, 이 오디오 썸네일들을 저장한다.
134 단계에서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는 사용자에게 133 단계에서 저장된 오디오 썸네일들을 표시하고, 이 표시를 인지한 사용자로부터 상기 오디오 썸네일들 중 4 개의 오디오 썸네일들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만약, 134 단계에서 4 개의 오디오 썸네일들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다음 단계, 즉 135 단계로 진행하고, 이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134 단계에서 대기한다.
135 단계에서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는 134 단계에서 수신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썸네일 데이터베이스(23)에 저장된 오디오 썸네일들로부터 4 개의 오디오 썸네일들을 추출한다.
136 단계에서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는 135 단계에서 추출된 오디오 썸네일들을 4 개의 방향들로 음상 정위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136 단계에서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는 머리 전달 함수를 사용하여 135 단계에서 추출된 오디오 썸네일들을 상기된 4 개의 방향들로 음상 정위한다.
137 단계에서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는 136 단계에서 음상 정위된 오디오 썸네일들을 동시에 출력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137 단계에서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는 136 단계에서 음상 정위된 오디오 썸네일들의 신호들을 합성함으로서 좌 채널 출력 신호 및 우채널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이것들을 동시에 출력한다.
138 단계에서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는 137 단계에서 출력된 좌채널 출력 신호 및 우채널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고, 이 아날로그 신호들을 사용자의 헤드폰의 좌측 스피커 및 우측 스피커로 출력한다.
139 단계에서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는 사용자의 헤드폰을 통하여 가상 입체 음향 처리된 4 개의 오디오 썸네일들의 동시 출력 음을 청취한 사용자로부터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에 부착된 입력 패널(42)을 통하여 4 개의 오디오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만약, 139 단계에서 4 개의 오디오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다음 단계, 즉 140 단계로 진행하고, 이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134 단계로 돌아간다.
140 단계에서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는 139 단계에서 수신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132 단계에서 저장된 오디오 파일들로부터 어느 하나를 추출한다.
141 단계에서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는 140 단계에서 추출된 오디오 파일들로부터 좌채널 출력 신호 및 우채널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이것들을 출력한다.
142 단계에서 제 1 오디오 재생 장치는 140 단계에서 출력된 좌채널 출력 신호 및 우채널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고, 이 아날로그 신호들을 사용자의 헤드폰의 좌측 스피커 및 우측 스피커로 출력한다.
도 15-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오디오 재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 오디오 재생 방법은 다음과 같 은 단계들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 오디오 재생 방법은 도 10에 도시된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0에 도시된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 오디오 재생 방법에도 적용된다.
151 단계에서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는 인터넷 등을 통하여 획득된 압축 오디오 파일들을 복호화함으로서 PCM 신호 형태의 오디오 파일들을 복원한다.
152 단계에서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는 151 단계에서 복원된 오디오 파일들을 저장한다.
153 단계에서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는 151 단계에서 의해 복원된 오디오 파일들로부터 이 오디오 파일들 각각을 대표하는 오디오 썸네일들을 생성하고, 이 오디오 썸네일들을 저장한다.
154 단계에서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는 사용자에게 153 단계에서 저장된 오디오 썸네일들을 표시하고, 이 표시를 인지한 사용자로부터 상기 오디오 썸네일들 중 4 개의 오디오 썸네일들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만약, 154 단계에서 4 개의 오디오 썸네일들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다음 단계, 즉 155 단계로 진행하고, 이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154 단계에서 대기한다.
155 단계에서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는 154 단계에서 수신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153 단계에서 저장된 오디오 썸네일들로부터 4 개의 오디오 썸네일들을 추출한다.
156 단계에서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는 155 단계에서 추출된 오디오 썸네일 들에 4 개의 방향들 각각을 갖는 채널들을 할당한다. 즉, 156 단계에서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는 155 단계에서 추출된 오디오 썸네일들 각각에 R 채널, L 채널, Ls 채널, 및 Rs 채널을 할당한다.
157 단계에서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는 156 단계에서 할당된 채널들을 갖는 오디오 썸네일들을 R 채널, L 채널, Ls 채널, 및 Rs 채널로 분리하여 동시에 출력함으로서, R 채널 출력 신호, L 채널 출력 신호, Ls 채널 출력 신호, 및 Rs 채널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이것들을 동시에 출력한다.
158 단계에서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는 157 단계에서 출력된 R 채널 출력 신호, L 채널 출력 신호, Ls 채널 출력 신호, 및 Rs 채널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고, 이 아날로그 신호들 각각을 R 채널 스피커, L 채널 스피커, Ls 채널 스피커, 및 Rs 채널 스피커로 출력한다.
159 단계에서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는 158 단계에서 R 채널 스피커, L 채널 스피커, Ls 채널 스피커, 및 Rs 채널 스피커를 통하여 R 채널, L 채널, Ls 채널, 및 Rs 채널로 분리하여 출력된 오디오 썸네일들의 동시 출력 음을 청취한 사용자로부터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에 부착된 입력 패널(42)을 통하여 4 개의 오디오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만약, 159 단계에서 4 개의 오디오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다음 단계, 즉 160 단계로 진행하고, 이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154 단계로 돌아간다.
160 단계에서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는 159 단계에서 수신된 선택 정보에 기 초하여 152 단계에서 저장된 오디오 파일들로부터 어느 하나를 추출한다.
161 단계에서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는 160 단계에서 추출된 오디오 파일을 R 채널, L 채널, Ls 채널, 및 Rs 채널로 분리하여 출력함으로서, R 채널 출력 신호, L 채널 출력 신호, Ls 채널 출력 신호, 및 Rs 채널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이것들을 출력한다.
162 단계에서 제 2 오디오 재생 장치는 161 단계에서 출력된 R 채널 출력 신호, L 채널 출력 신호, Ls 채널 출력 신호, 및 Rs 채널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고, 이 아날로그 신호들 각각을 R 채널 스피커, L 채널 스피커, Ls 채널 스피커, 및 Rs 채널 스피커로 출력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 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디오 파일들 각각을 대표하는 오디오 썸네일들을 동시에 출력하고, 이 오디오 썸네일들의 동시 출력 음을 청취한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오디오 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함으로서 사용자는 여러 개의 오디오 파일들을 한번에 검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 파일을 보다 빨리 선택하여 청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MP3 파일 등과 오디오 파일의 검색 방식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Claims (18)

  1. (a) 소정 개수의 오디오 파일들 각각을 대표하는 오디오 썸네일들을 상기 소정 개수의 방향들로 음상 정위하는 단계;
    (b) 상기 음상 정위된 오디오 썸네일들을 동시에 출력하는 단계; 및
    (c) 상기 출력된 오디오 썸네일들의 동시 출력 음을 청취한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썸네일들은 상기 오디오 파일들 각각의 일부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머리 전달 함수(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 HRTF)를 사용하여 상기 오디오 썸네일들을 상기 방향들로 음상 정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음상 제어부에 의해 음상 정위된 오디오 썸네일들을 합성함으로서 좌채널 출력 신호 및 우채널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좌채널 출력 신호 및 우채널 출력 신호를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다수의 오디오 썸네일들로부터 상기 소정 개수의 오디오 썸네일들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의해 추출된 오디오 썸네일들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오디오 썸네일들의 동시 출력 음을 청취한 사용자로부터 상기 오디오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수신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방법.
  7. 소정 개수의 오디오 파일들 각각을 대표하는 오디오 썸네일들을 상기 소정 개수의 방향들로 음상 정위하는 음상 제어부;
    상기 음상 제어부에 의해 음상 정위된 오디오 썸네일들을 동시에 출력하는 제 1 출력 제어부; 및
    상기 제 1 출력 제어부에 의해 출력된 오디오 썸네일들의 동시 출력 음을 청취한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제 2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9. (a) 소정 개수의 오디오 파일들 각각을 대표하는 오디오 썸네일들에 상기 소정 개수의 방향들의 채널들을 할당하는 단계;
    (b) 상기 채널 할당부에 의해 할당된 채널들을 갖는 오디오 썸네일들을 상기 채널들로 분리하여 동시에 출력하는 단계; 및
    (c) 상기 출력된 오디오 썸네일들의 동시 출력 음을 청취한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썸네일들은 상기 오디오 파일들 각각의 일부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오디오 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채널들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다수의 오디오 썸네일들로부터 상기 소정 개수의 오디오 썸네일들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추출된 오디오 썸네일들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오디오 썸네일들의 동시 출력 음을 청취한 사용자로부터 상기 오디오 썸네일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수신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방법.
  14. 소정 개수의 오디오 파일들 각각을 대표하는 오디오 썸네일들에 상기 소정 개수의 방향들의 채널들을 할당하는 채널 할당부;
    상기 채널 할당부에 의해 할당된 채널들을 갖는 오디오 썸네일들을 상기 채널들로 분리하여 동시에 출력하는 제 1 출력 제어부; 및
    상기 제 1 출력 제어부에 의해 출력된 오디오 썸네일들의 동시 출력 음을 청 취한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제 2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
  15.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6. 소정 개수의 오디오 파일들 각각을 대표하는 오디오 썸네일들을 동시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오디오 썸네일들의 동시 출력 음을 청취한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썸네일들은 상기 오디오 파일들 각각의 일부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방법.
  17. 삭제
  18. 제 16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50078427A 2005-07-19 2005-08-25 오디오 썸네일 기능을 지원하는 오디오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0739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823595.1A EP1905035B1 (en) 2005-07-19 2006-07-19 Audio re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supporting audio thumbnail function
PCT/KR2006/002815 WO2007027013A1 (en) 2005-07-19 2006-07-19 Audio re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supporting audio thumbnail function
US11/488,842 US20070021961A1 (en) 2005-07-19 2006-07-19 Audio re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supporting audio thumbnail function
CN2006800266348A CN101228582B (zh) 2005-07-19 2006-07-19 支持音频缩略图功能的音频再现方法及设备
US13/725,227 US20130110267A1 (en) 2005-07-19 2012-12-21 Audio reproducton method and apparatus supporting audio thumbnail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0033105P 2005-07-19 2005-07-19
US60/700,331 2005-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026A KR20070011026A (ko) 2007-01-24
KR100739723B1 true KR100739723B1 (ko) 2007-07-13

Family

ID=38012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427A KR100739723B1 (ko) 2005-07-19 2005-08-25 오디오 썸네일 기능을 지원하는 오디오 재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20070021961A1 (ko)
KR (1) KR100739723B1 (ko)
CN (1) CN1012285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6400A (ja) * 2007-03-15 2008-09-2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オーディオ再生装置およびオーディオ再生方法
JP5050721B2 (ja) * 2007-08-06 2012-10-1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00137030A1 (en) * 2008-12-02 2010-06-03 Motorola, Inc. Filtering a list of audible items
US9746923B2 (en) 2009-03-12 2017-08-29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features in a friction display wherein a haptic effect is configured to vary the coefficient of friction
US10007340B2 (en) * 2009-03-12 2018-06-26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aces featuring surface-based haptic effects
US10564721B2 (en) 2009-03-12 2020-02-18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multiple actuators to realize textures
US9696803B2 (en) 2009-03-12 2017-07-04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friction displays and additional haptic effects
US9927873B2 (en) 2009-03-12 2018-03-27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extures in graphical user interface widgets
US9874935B2 (en) 2009-03-12 2018-01-23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 texture engine
US8380333B2 (en) * 2009-12-21 2013-02-19 Nokia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facilitating efficient browsing and selection of media content and lowering computational load for processing audio data
US8923995B2 (en) * 2009-12-22 2014-12-30 Apple Inc. Directional audio interface for portable media device
US8903525B2 (en) 2010-09-28 2014-12-02 Sony Corporation Sound processing device, sound data selecting method and sound data selecting program
US20120078399A1 (en) * 2010-09-29 2012-03-29 Sony Corporation Sound processing device, sound fast-forwarding reproduction method, and sound fast-forwarding reproduction program
EP2463861A1 (en) * 2010-12-10 2012-06-13 Nxp B.V. Audio playback device and method
US9220615B2 (en) * 2011-02-23 2015-12-29 Celonova Stent, Inc. Stent having at least one connecting member configured to controllably sever in vivo
US20120283811A1 (en) * 2011-05-02 2012-11-08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Biodegradable, bioabsorbable stent anchors
CN107113524B (zh) * 2014-12-04 2020-01-03 高迪音频实验室公司 反映个人特性的双耳音频信号处理方法和设备
CN107979807A (zh) * 2016-10-25 2018-05-01 北京酷我科技有限公司 一种模拟环绕立体声的方法及***
EP3489821A1 (en) 2017-11-27 2019-05-29 Nokia Technologies Oy A user interface for user selection of sound objects for rendering, and/or a method for rendering a user interface for user selection of sound objects for render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487A (ko) * 2001-02-20 2002-11-2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기록 장치, 기록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1851A (en) * 1997-06-23 2000-01-04 Cisco Technology, Inc. Spatial audio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xt switching between telephony applications
US7272556B1 (en) * 1998-09-23 2007-09-18 Lucent Technologies Inc. Scalable and embedded codec for speech and audio signals
US6633845B1 (en) * 2000-04-07 2003-10-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sic summarization system and method
GB2374772B (en) * 2001-01-29 2004-12-29 Hewlett Packard Co Audio user interface
US7386357B2 (en) * 2002-09-30 2008-06-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udio thumbnail of an audio track
JP4694763B2 (ja) * 2002-12-20 2011-06-0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ヘッドホン装置
EP1435620A1 (en) * 2003-01-06 2004-07-07 Thomson Licensing S.A. Method for creating and accessing a menu for audio content without using a display
JP2005086680A (ja) * 2003-09-10 2005-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面表示方法、画像表示プログラム及び画像表示装置
US7603434B2 (en) * 2006-04-13 2009-10-13 Domingo Enterprises, Llc Central system providing previews of a user's media collection to a portable media play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487A (ko) * 2001-02-20 2002-11-29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기록 장치, 기록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21961A1 (en) 2007-01-25
CN101228582A (zh) 2008-07-23
US20130110267A1 (en) 2013-05-02
CN101228582B (zh) 2011-06-08
KR20070011026A (ko)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723B1 (ko) 오디오 썸네일 기능을 지원하는 오디오 재생 방법 및 장치
US5982902A (en) System for generating atmospheric quasi-sound for audio performance
JP7014176B2 (ja) 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1635612B1 (en) Audio reproduction apparatus and audio reproduction system
KR20100017860A (ko)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JP2012075085A (ja) 音声処理装置
US10999678B2 (en)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JP5338053B2 (ja) 波面合成信号変換装置および波面合成信号変換方法
Kalliris et al. Media management, sound editing and mixing
CN203206451U (zh) 一种3d音频处理***
US20130251157A1 (en) System for reproducing an audio signal
JP5372142B2 (ja) サラウンド信号生成装置、サラウンド信号生成方法、及びサラウンド信号生成プログラム
WO2018150774A1 (ja) 音声信号処理装置及び音声信号処理システム
CN108141693B (zh) 信号处理设备、信号处理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60035963A (ko) 동적 포맷 변환을 지원하는 오디오 메타데이터 제공 장치 및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동적 포맷 변환들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EP1905035B1 (en) Audio re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supporting audio thumbnail function
US20150373472A1 (en) Data process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program
JP5743003B2 (ja) 波面合成信号変換装置および波面合成信号変換方法
JP5590169B2 (ja) 波面合成信号変換装置および波面合成信号変換方法
JP2002152897A (ja) 音声信号処理方法、音声信号処理装置
JP2006279555A (ja) 信号再生装置及び信号再生方法
KR20190079993A (ko) 입체 음향 컨텐츠 저작 방법 및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JP7396029B2 (ja) 録音再生装置
JP2008147840A (ja) 音声信号生成装置、音場再生装置、音声信号生成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50005438A (ko)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