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041B1 -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 Google Patents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041B1
KR100734041B1 KR1020050118072A KR20050118072A KR100734041B1 KR 100734041 B1 KR100734041 B1 KR 100734041B1 KR 1020050118072 A KR1020050118072 A KR 1020050118072A KR 20050118072 A KR20050118072 A KR 20050118072A KR 100734041 B1 KR100734041 B1 KR 100734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vy load
heavy
drainage
lower support
drai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8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9344A (ko
Inventor
오웅배
Original Assignee
오웅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웅배 filed Critical 오웅배
Priority to KR1020050118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041B1/ko
Publication of KR20070059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9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6Gully grat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against vandalis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항만이나 비행장 또는 물류기지 및 도로의 폭이 넓은 지역 등지에서 무거운 하중을 갖는 중량체의 통행시에도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큰 지지력을 갖도록 하여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무거운 하중을 갖는 중량체가 통행하는 항만이나 공항 또는 물류기지 및 도로 폭이 넓은 지역에 설치되는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 덮개는 한쌍의 측프레임 사이에 상,하 받침판의 중간에 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재를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하 받침판 사이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보강대가 연속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에 관한 것이다.
중하중, 배수로 덮개, 지지부재, 상,하 받침대, 세로대, 통공, 보강대, 연결부재

Description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a heavy load for cover drainage canal}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4a는 도 1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
도 4c는 도 4a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5a는 도 1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5b는 도 5a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6a는 도 1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6b는 도 6a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7은 종래 일반적인 배수로 덮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부재
12 : 상 받침판 12a,14a : 통공
13 : 지지대 14 : 하 받침판
20 : 보강대
30 : 연결부재
40 : 세로평판
42 : 고정구
100 : 배수로 덮개
110 : 측프레임
본 발명은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항만이나 비행장 또는 물류기지 및 도로의 폭이 넓은 지역 등지에서 무거운 하중을 갖는 중량체의 통행시에도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큰 지지력을 갖도록 하여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수로 덮개는 도로의 배수구나 배수로의 상면에 설치되어 비교적 부피가 큰 쓰레기와 같은 이물질 등을 걸러주면서 우수(빗물)이나 오수 등이 배수로를 통하여 하수로와 배수처리장을 거쳐 하천으로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유도하는 배수실설물 중의 하나이다.
이렇게, 종래 사용되는 통상적인 배수로 덮개(100)는, 첨부된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 또는 배수로에 하나나 하나 이상이 연속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구성은 양측의 측프레임(110) 사이의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평판 형태인 다수의 베어링바(120)가 용접되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바의 상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스크류 형태인 다수의 크로스바(130)가 용접되어 그 베어링바와 베어링바 사이 및 크로스바와 크로스바 사이에 수개의 배수공(140)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배수로 덮개는 주로 사람들이 통행하는 인도나 차량이 통행하지 않은 도로변 등과 같이 비교적 무거운 하중을 갖는 중량체가 통행하지 않는 곳에 설치되어 진다.
그러나, 항만이나 비행장 또는 물류기지 및 도로의 폭이 넓은 지역 등지에서 무거운 하중을 갖는 중량체가 수시로 통행하는 지역에서 상기한 양측의 측프레임 사이에 용접되는 다수의 베어링바 및 그 베어링바의 상단으로 용접되는 크로스바로 구성된 통상적인 배수로 덮개를 사용함으로써, 중량체의 통행에 따른 그 진행방향으로, 즉 베어링바와 크로스바의 상면에서 중량체가 이동되면서 무거운 하중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평판 형태의 베어링바에 뒤틀림이나 휨 등과 같은 변형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배수로 덮개에 변형이 발생함에 따라 그 이후 중량체의 통행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이후 중량체의 통행에 따른 변형됨이 더욱더 심해지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항만이나 비행장 또는 물류기지 및 도로의 폭이 넓은 지역 등지에서 무거운 하중을 갖는 중량체의 통행시에도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더욱더 큰 지지력을 갖도록 하여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부피가 큰 이물질 유입 및 미끄럼 방지도 겸할 수 있도록 한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배수 능력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거운 하중을 갖는 중량체가 통행하는 항만이나 공항 또는 물류기지 및 도로 폭이 넓은 지역에 설치되는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 덮개는 한쌍의 측프레임 사이에 상,하 받침판의 중간에 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재를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하 받침판 사이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보강대가 연속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상,하 받침판의 양측단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거운 하중을 갖는 중량체가 통행하는 항만이나 공항 또는 물류기지 및 도로 폭이 넓은 지역에 설치되는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무거운 하중을 갖는 중량체의 통행시에도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큰 지지력을 갖도록 하여 뒤틀림이나 휨 등과 같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로 덮개(100)는 한쌍의 측프레임(110) 사이에 아이빔 형태인 상,하 받침판(12)(14)의 중간에 지지대(13)가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재(10)가 용접 등을 통하여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항만이나 공항 또는 물류기지 및 도로 폭이 넓은 지역에서 무거운 하중을 갖는 중량체의 통행에 따른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무거운 하중에 대하여 측프레임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아이빔 형태인 다수의 지지 부재로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이렇게, 다수의 지지부재로 가해지는 하중은 상,하 받침판의 중간에 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된 아이빔 형태의 구조를 갖는 다수의 지지부재 상으로 각각 분산되어 지지됨에 따라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중량체가 아이빔 형태인 다수의 지지부재의 상면으로 통행할 때 가해지는 무거운 하중은 상기 지지부재의 상하부에 일정한 단위면적을 갖는 상,하 받침판에서 더욱더 큰 지지력을 가지게 되므로서, 뒤틀림이나 휨 등과 같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동일한 형태의 다수의 지지부재를 사용하고 있는 관계로, 설치시 상하면의 구별없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측 상면을 일정 기간 동안 사용하고 난 후 다시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무거운 중량체가 통행하는 항만이나 공항 또는 물류기지 및 도로 폭이 넓은 지역에서 배수로 덮개의 변형됨을 최소화하여 보다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10)의 상,하 받침판(12)(14) 양측단에는 도 3에서와 같이 그 상,하 받침판 사이에서 배수되는 것 이외에 보다 원활한 배수를 위한 다수의 통공(12a)(14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통공은 배수 용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미끄럼 방지구 등을 결합시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4a는 도 1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 고, 도 4b는 도 4a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최대한의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10)의 상,하 받침판(12)(14) 사이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보강대(20)가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되게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이는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상기 상,하 받침판을 지그재그로 연속되게 결합되는 보강대에 의해 보다 큰 지지력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상,하 받침판 사이로 부피가 큰 이물질 등을 걸러 주는 역할과 함께 상면을 통행시 상기 보강대에 의해 미끄럼 방지 역할도 부수적으로 가질 수 있는 조건을 갖는다.
또한, 상기 상,하 받침판(12)(14)의 양측단 부분으로 배수되는 것에 비해 보다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상,하 받침판(12)(14)의 양측단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통공(12a)(14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통공은 배수 용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미끄럼 방지구 등을 결합시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5a는 도 1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이 각 지지부재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보다 큰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10)의 지지대(13) 사이에는 그 지지대의 중간으로 일정 폭으 로 다수의 연결부재(30)가 동일 선상으로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지지대를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간에 연결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이 상호 간에 연결된 연결부재를 통하여 분산되어 지지됨에 따라 하중에 대하여 보다 큰 지지력을 가질 수 있는 조건을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0)의 지지대(13)가 연결부재(30)에 의해 연결 고정된 상태의 상,하 받침판(12)(14)에도 도 5b에서와 같이 다수의 통공(12a)(14a)을 형성하여 보다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통공은 배수 용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미끄럼 방지구 등을 결합시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6a는 도 1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하 받침판 사이로 배수되는 것에 비하여 더욱더 원활한 배수는 물론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서도 큰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10) 사이에는 다수의 세로평판(40)을 일정 폭으로 구비하되, 상기 지지부재(10)의 지지대(13)와 세로평편(40) 사이에는 중간으로 일정 폭을 갖는 다수의 고정구(42)가 동일 선상으로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전술한 지지부재만을 구비한 것에 비하여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일정 폭을 갖는 세로평판을 구비하므로서, 더욱더 많은 량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 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와 세로평판을 고정구에 의해 연결 고정하므로서,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서도 지지부재와 세로평편으로 골고루 분산되어 보다 큰 지지력을 가지게 됨에 따라 변형됨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세로평판은 부피가 큰 이물질 등을 걸러 주는 부수적인 역할도 갖는다.
한편, 이도 상기 지지부재(10)의 사이에 고정구(42)에 의해 연결 고정되는 세로평판(40)이 형성된 상태의 상기 상,하 받침판(12)(14)으로도 도 6b에서와 같이 다수의 통공(12a)(14a)을 형성함에 따라 더욱더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통공에는 배수 뿐만 아니라 별도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미끄럼 방지구 등을 결합시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항만이나 비행장 또는 물류기지 및 도로의 폭이 넓은 지역 등지에서 무거운 하중을 갖는 중량체의 통행시에도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큰 지지력을 갖도록 하여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를 제공하므로서, 설치되는 지역의 특성에도 불구하고 보다 오랜기간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질 뿐만 아니라 변형됨으로 인해 통행에 지장을 초래하였던 것을 해소하여 원활한 통행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하 받침판의 양측단에 형성되는 통공에 의하여 우기나 폭우시에 더 욱더 원활한 배수 능력을 가질 수 있는 효과와 함께 별도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미끄럼 방지구 등을 결합시켜 통행에 따른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갖는다.
또, 상,하 받침판 사이에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보강대로 인하여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더욱더 크게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끄럼 방지도 겸함은 물론 부피가 큰 이물질도 걸러 주는 부수적인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삭제
삭제

Claims (5)

  1. 삭제
  2. 무거운 하중을 갖는 중량체가 통행하는 항만이나 공항 또는 물류기지 및 도로 폭이 넓은 지역에 설치되는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 덮개(100)는 한쌍의 측프레임(110) 사이에 상,하 받침판(12)(14)의 중간에 지지대(13)가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재(10)를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10)의 상,하 받침판(12)(14) 사이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보강대(20)가 연속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받침판(12)(14)의 양측단에는 다수의 통공(12a)(14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KR1020050118072A 2005-12-06 2005-12-06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KR100734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072A KR100734041B1 (ko) 2005-12-06 2005-12-06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072A KR100734041B1 (ko) 2005-12-06 2005-12-06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344A KR20070059344A (ko) 2007-06-12
KR100734041B1 true KR100734041B1 (ko) 2007-07-02

Family

ID=38355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8072A KR100734041B1 (ko) 2005-12-06 2005-12-06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0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635B1 (ko) * 2013-07-22 2013-11-14 류광열 고강도 스틸 그레이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906Y1 (ko) * 2003-02-10 2003-05-22 안병철 유수 차단용 배수로
KR200349399Y1 (ko) * 2004-01-19 2004-05-04 오웅배 배수로 덮개
KR200356483Y1 (ko) 2004-03-26 2004-07-15 강재언 집배수용 덮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906Y1 (ko) * 2003-02-10 2003-05-22 안병철 유수 차단용 배수로
KR200349399Y1 (ko) * 2004-01-19 2004-05-04 오웅배 배수로 덮개
KR200356483Y1 (ko) 2004-03-26 2004-07-15 강재언 집배수용 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9344A (ko) 200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7015A (en) Floor mat system
US20020090483A1 (en) Floor mat system
KR101197361B1 (ko) 슬라이드형 신축이음장치
KR100734041B1 (ko)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KR100734038B1 (ko)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US6740380B2 (en) Floor mat system
KR102301318B1 (ko) 배수용 그레이팅 구조체
KR200412951Y1 (ko)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KR100647223B1 (ko) 복공판
KR20110123069A (ko)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EP3480086B1 (de) Bodenblech und bodenprofil, insbesondere als aufstandsfläche für zu transportierende fahrzeuge
WO2006065041A1 (en) Temporary bridge of a cable-stayed girder bridge type with a long span
KR100779563B1 (ko)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KR100734037B1 (ko)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KR200322645Y1 (ko) 압연 강재 그레이팅
KR20110007013U (ko) 배수용 그레이팅
JP2006233669A (ja) 橋梁歩道の拡幅方法及び橋梁歩道構造
KR100431674B1 (ko) 확장된 보행면을 갖는 스틸그레이팅
KR100589444B1 (ko)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구조
US5467493A (en) Support plates for bridges and ramps
KR100837654B1 (ko) 조립식 그레이팅
KR102510725B1 (ko) 손상 방지용 그레이팅
KR20130099652A (ko) 고하중 지지구조 및 미끄럼방지 구조를 갖는 그레이팅
KR102300295B1 (ko) 개방형 배수직관
KR101051636B1 (ko) 호환성을 갖는 중하중용 배수로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