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956B1 - Outline Skate - Google Patents

Outline Sk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956B1
KR100732956B1 KR1020050101058A KR20050101058A KR100732956B1 KR 100732956 B1 KR100732956 B1 KR 100732956B1 KR 1020050101058 A KR1020050101058 A KR 1020050101058A KR 20050101058 A KR20050101058 A KR 20050101058A KR 100732956 B1 KR100732956 B1 KR 100732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wheel
wheel link
coupled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10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44859A (en
Inventor
김선기
Original Assignee
김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기 filed Critical 김선기
Priority to KR1020050101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956B1/en
Publication of KR20070044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8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9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2Wheels for roller skates
    • A63C17/226Wheel mounting, i.e. arrangement connecting wheel and axle mou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 A63C17/26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with foot bindings or suppo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우트라인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과 협조하여 에이치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 측에 하나씩 배치되는 한 쌍의 후방휠을 갖는 아우트라인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저면 중앙을 지지점으로 하여 시소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후방휠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의 저면에 결합된 로우아암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축선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로우아암의 양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휠링크와, 상기 각 휠링크가 상기 로우아암에 대하여 동일한 각도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휠링크를 연동시키는 휠링크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후방휠은 상기 휠링크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곡선주행 중 또는 자세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상황에서 착용자가 무게중심을 잃고 미끌어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후방휠이 지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발목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er skate, the outer frame having a support frame and a pair of rear wheel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one by one to cooperate with the support frame to form an H shape,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The lower arm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frame in a direction connecting the pair of rear wheels so as to perform a seesaw movement with a center as a support point; A pair of wheel link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lower arm, and a wheel link interlocking unit for linking the pair of wheel links so that each wheel link can rotate at the same angle with respect to the low arm; Each of the rear wheels i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wheel link to rotat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earer from losing the center of gravity and slipping or falling while driving in a curved line or in a situation in which the posture is inclined left and right, and prevent ankle injuries occurring when the rear wheel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아우트라인, 스케이트, 로우아암, 휠링크, 프레임 Outline, Skate, Low Arm, Wheel Link, Frame

Description

아우트라인스케이트{Outline Skate}Outline skate {Outline Skat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결합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line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 도3,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분해사시도,2, 3, 4 and 5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outlin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요부평면도,Figure 6 is a plan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outlin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직선상으로 주행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를 도시한 도면,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line sk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veling in a straight line;

도8은 곡선상으로 주행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를 도시한 도면,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line sk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veling in a curved line;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요부평면도,9 is a plan view of main parts of an outline sk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요부측면도,10 is a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outline sk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1 및 도12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요부사시도,11 and 12 are each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line fig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3은 직선상으로 주행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를 도시한 도면,13 is a view showing an outline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unning in a straight line;

도14는 곡선상으로 주행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를 도시한 도면,14 is a view showing an outline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unning in a curved line;

도15는 종래의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측면도,15 is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outline skater,

도16은 종래의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평면도이다.16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outline skat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신발부 12, 112 : 전방휠11: shoe 12, 112: front wheel

13 : 평행유지스프링 20, 120 : 지지프레임13: parallel holding spring 20, 120: support frame

21, 21' : 레버지지부 30 : 로우아암21, 21 ': lever support 30: low arm

31 : 언덕부 32 : 링크결합돌부31: hill portion 32: link coupling protrusion

40, 40' : 휠링크연동레버 50 : 휠링크40, 40 ': Wheel link interlocking lever 50: Wheel link

51, 51' : 바디부 52 : 상측결합플랜지51, 51 ': body portion 52: upper coupling flange

53, 53' : 하측결합플랜지 54 : 지지축부53, 53 ': lower coupling flange 54: support shaft

70' : 휠링크연동레일부 60, 160 : 후방휠70 ': Wheel link interlocking rail part 60, 160: Rear wheel

본 발명은 아우트라인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휠이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장착되는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er sk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kate in which the wheel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support frame.

최근 육상에서의 운동, 레크레이션 등의 목적으로 롤러(휠 포함)를 구비한 롤러스케이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롤러스케이트는 롤러의 배치형태에 따라 롤러가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배치되는 인라인스케이트와 롤러가 지지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배치되는 아우트라인스케이트로 구 분할 수 있다.Recently, roller skating with rollers (including wheels) has been widely used for the purpose of athletics, recreation, and the like on land. Such roller skating has a roller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rollers. The inline skates and the rollers can be divided into outlines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도15는 종래의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측면도이고, 도16은 종래의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평면도이다.Fig. 15 is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outline skate, and Fig. 16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outline skate.

종래의 아우트라인스케이트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20)과, 지지프레임(120)의 전단에 결합된 전방휠(112)과, 지지프레임(120)의 후단에 결합된 한 쌍의 후방휠(160)과, 지지프레임(120)의 후단에 형성된 뒷꿈치지지부(114)와, 뒷꿈치지지부(114)의 상측에 형성된 발목지지부(115)와, 지지프레임(120), 뒷꿈치지지부(114) 및 발목지지부(115)에 각각 하나씩 연결된 3개의 고정띠(116,117, 118)를 갖고 있다.Conventional outlines, as shown in these figures, a support frame 120, a front wheel 112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frame 120, a pair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support frame 120 Rear wheel 160, the heel support portion 114 formed on the rear end of the support frame 120, the ankle support portion 115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eel support portion 114, the support frame 120, the heel support portion 114 ) And three fixing bands 116, 117, and 118 connected to the ankle support 115, respectively.

지지프레임(120)은 후단 뒷꿈치지지부(114)의 하측에는 브레이크(123)가 부착되어 있다.The support frame 120 has a brake 123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rear heel support 114.

각 후방휠(160)은 휠지지부재(162)와 결합축(163)을 통해 지지프레임(12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한 쌍의 후방휠(160)은 전방휠(112)과 협조하여 이등변삼각형을 이루도록 지지프레임(120)에 결합된다.Each rear wheel 16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20 through the wheel support member 162 and the coupling shaft 163. Here, the pair of rear wheels 160 are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20 to form an isosceles triangle in cooperation with the front wheels 112.

그리고 각 후방휠(160)은 중심에서 결합축(163)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축(163)의 양단에 결합된다.Each rear wheel 160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oupling shaft 163 to form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shaft 163 at the center.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아우트라인스케이트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method of using a conventional outline skat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s follows.

먼저 고정띠(116,117, 118)를 조작하여 양 발을 지지프레임(120)의 상면에 안착시킨다.First, the fixing bands 116, 117 and 118 are manipulated to mount both fee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20.

다음에 지지프레임(120)이 지면을 향해 가압되도록 양발에 힘을 주면서 전진시키면 전방휠(112)과 후방휠(160)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아우트라인스케이트와 함께 착용자는 주행할 수 있게 된다.Next, when the support frame 120 moves forward while forcing both feet to be pressed toward the ground, the front wheel 112 and the rear wheel 160 rotate, and thus the wearer can travel together with the outline skate.

여기서 곡선상으로 주행할 때 착용자의 무게중심이 회전중심을 향해 이동하고, 한 쌍의 후방휠(160) 중 내측(회전중심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후방휠은 지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후방휠(160) 중 외측(회전중심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후방휠은 지면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상승하게 되고(이는 한 쌍의 후방휠이 결합축(163)에 대해 일정한 각도(직각)를 유지하도록 결합되어 있기 때문), 결합축(163)은 지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게 된다. In this cas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wearer moves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when driving in a curved shape, and the rear wheels located in the inner side (near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pair of rear wheels 160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Accordingly, the rear wheels located on the outer side (distant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pair of rear wheels 160 are rais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ground (the pair of rear wheels are fixed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shaft 163). The coupling shaft 163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because it is coupled to maintain the angle (perpendicular).

그런데 종래의 아우트라인스케이트에 따르면, 곡선상으로 주행하는 동안 한 쌍의 후방휠(160) 중 외측(회전중심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후방휠은 지면으로부터 이탈하거나, 외측에 위치하는 후방휠을 통해 지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대적으로 적어지게 된다(여기서 압력이 적어지는 것은 지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는 결합축을 통해 착용자로부터 후방휠에 압력이 전달됨으로써 지면에 수직인 방향의 성분이 작아지기 때문).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outline skate, the rear wheel located on the outer side (distant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pair of rear wheels 160 while driving in a curved line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or through the rear wheel located outside The pressure exerted on the ground becomes relatively small (where the pressure is less because the pressure is transmitted from the wearer to the rear wheels through the coupling axis inclined to the ground, the component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becomes smaller).

이에 따라 곡선주행 중에 착용자가 무게중심을 잃고 미끌어지거나 넘어질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후방휠의 지면접촉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발목을 구부려야 하기 때문에 발목이 접질리는 부상이 발생할 염려가 있었다.Accordingl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earer may lose the center of gravity and slip or fall during the curve driving. In addi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ground contact state of the rear wheel, the ankle was folded, there was a fear of injury.

전술한 문제점은 곡선주행이외 자세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상황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may occur even in a situation in which the posture is inclined to the left and right besides the curved driving.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곡선주행이거나 자세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상황에서 착용자가 무게중심을 잃고 미끌어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발목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아우트라인스케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utline skater that can prevent a wearer from losing weight and slipping or falling in a situation where a curve is running or a posture is tilted left and right, and ankle injury can be prevente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과 협조하여 에이치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 측에 하나씩 배치되는 한 쌍의 후방휠을 갖는 아우트라인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저면 중앙을 지지점으로 하여 시소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후방휠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의 저면에 결합된 로우아암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축선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로우아암의 양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휠링크와, 상기 각 휠링크가 상기 로우아암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휠링크를 연동시키는 휠링크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후방휠은 상기 휠링크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트라인스케이트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utline frame having a support frame and a pair of rear wheel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one by one to cooperate with the support frame to form an H shape,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The lower arm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frame in a direction connecting the pair of rear wheels so as to perform a seesaw movement with a center as a support point; A pair of wheel link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lower arm, and a wheel link interlocking portion interlocking the pair of wheel links so that each wheel link can rotate at the same angle with respect to the low arm; Each of the rear wheels is achieved by an outline skat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wheel link to rotate.

여기서 상기 휠링크연동부는 상기 로우아암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휠링크의 상단영역을 연결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 영역을 지지점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휠링크연동레버를 포함하거나 또는 맞물릴 수 있는 단면형상을 갖는 슬라이딩레일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딩레일이 상기 휠링크의 전방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 측면에 하나씩 결합되는 한 쌍의 휠링크연동레일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Wherein the wheel link interlock includes a wheel link interlock lever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to connect an upper region of the wheel link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w arm and to rotate a region of the support frame to a support point; or And a pair of wheel link interlocking rails, each of which has a sliding rail having an interlockable cross-sectional shape and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so that the sliding rail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front of the wheel link. Can be.

그리고 지면으로 이탈된 상태에서 로우아암과 지지프레임을 평행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로우아암과 상기 지지프레임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로우아암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나란하도록 상기 로우아암을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탄성 가압하는 평행유지스프링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low arm with respect to the support frame such that the low arm is parallel to the support frame, interposed between the low arm and the support frame, so that the low arm and the support frame can be kept in parallel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ground. It is preferable to comprise so that the parallel holding spring to elastically press.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결합사시도이고, 도2, 도3,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분해사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요부평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utlin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3, 4 and 5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outlin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A major part plan view of an outline sk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부(11)와, 신발부(11)의 저면에 장착된 지지프레임(20)과, 지지프레임(20)의 전단에 결합된 전방휠(12)과, 지지프레임(20)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배치되도록 지지프레임(20)의 저면 중앙영역에 결합된 로우아암(30)과, 로우아암(30)을 지지프레임(20)에 대하여 탄성 가압하는 한 쌍의 평행유지스프링(13)과, 지지프레임(20)의 후단에 결합된 휠링크연동레버(40)와, 하단부가 로우아암(3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고 상단은 휠링크연동레버(40)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휠링크(50)와, 각 휠링크(50)에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된 한 쌍의 후방휠(60)을 갖고 있다.The outline sk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shoe portion 11, the support frame 20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shoe portion 11, and the support frame 20 Supports the front wheel 12 coupled to the front end, the low arm 30 coupled to the center reg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20 so as to be disposed horizont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20, the low arm 30 A pair of parallel retaining springs 13 elastically pressed against the frame 20, a wheel linkage lever 40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support frame 20, and a lower end at both ends of the lower arm 30, respectively. The upper end has a pair of wheel links 50 respectively coupled to the wheel link interlock lever 40 and a pair of rear wheels 60 coupled to each wheel link 50 so as to be rotatable.

지지프레임(20)은 대략 신발부(11)의 바닥면과 같은 형태로 제작되고, 후단에는 레버지지부(21)가 판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support frame 2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portion 11, and the lever support portion 21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plate surface at the rear end.

레버지지부(21)는 중앙영역에 레버결합공(21a)이 형성되어 있다.The lever support portion 21 is formed with a lever coupling hole 21a in the center region.

그리고 지지프레임(20)의 저면 중앙영역에는 한 쌍의 지지벽부(22)가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후단 저면에는 브레이크(23)가 부착되어 있다.A pair of support wall portions 22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20, and a brake 23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end.

한 쌍의 지지벽부(22)는 그 사이영역에 대략 디귿자 형상의 아암수용홈(22a)이 마련되도록 형성된다.The pair of support wall portions 22 are formed such that the arm receiving grooves 22a having a substantially dichroic shape are provided in the area therebetween.

전방휠(12)은 부착판(12a)을 통해 지지프레임(20)에 결합된다. 여기서 전방휠(12)은 후방휠(60)과 지지프레임(20)이 지면에 수평으로 배치될 때 지면으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ont wheel 12 is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20 through the attachment plate 12a. Here, the front wheel 12 is preferably spaced slightly from the ground when the rear wheel 60 and the support frame 20 is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ground.

로우아암(30)은 상면 중앙영역에 한 쌍의 언덕부(31)가 지지프레임(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양단에는 각각 한 쌍의 링크결합돌부(32)가 분리 형성되어 있다.The lower arm 30 is formed such that a pair of hill portions 31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20 in the upper center region, and a pair of link coupling protrusions 32 are formed on both ends, respectively. hav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로우아암(30)은 지지프레임(20)의 아암수용홈(22a) 영역에서 한 쌍의 언덕부(31)와 한 쌍의 지지벽부(22)를 직선상으로 연결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지지축(33)을 통해 지지프레임(2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로우아암(30)은 지지프레임(20)의 저면 중앙을 지지점으로 하여 시소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The low arm 3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provided in a direction connecting the pair of hill portions 31 and the pair of support wall portions 22 in a straight line in the arm receiving groove 22a of the support frame 20. It is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20 via the shaft 33. Accordingly, the lower arm 30 can perform a seesaw movement with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20 as a support point.

한 쌍의 평행유지스프링(13)은 각각 비틀림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호 협조하여 로우아암(30)을 지지프레임(20)의 저면에 대하여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언덕부(31)사이영역에서 지지축(33)에 결합되어 있다.The pair of parallel holding springs 13 are each formed in the form of a torsion spring,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lower arm 30 can be elastically pressed against the bottom of the support frame 20 so as to be elastically pressurized. Is coupled to the support shaft (33).

휠링크연동레버(40)는 휠링크연동부를 구성하고, 좌측 휠링크연동레버(41) 및 우측 휠링크연동레버(42)와 좌측 휠링크연동레버(41)와 우측 휠링크연동레버(42)를 연결하는 "T"자 형상의 결합부재(43)로 구성되어 있다.The wheel link interlock lever 40 constitutes a wheel link interlock part, and includes a left wheel link interlock lever 41 and a right wheel link interlock lever 42, a left wheel link interlock lever 41, and a right wheel link interlock lever 42. Consists of a coupling member 43 of the "T" shape to connect the.

결합부재(43)는 나사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레버연결관부(43a)와, 외표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내표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연결관부(43b)를 갖고 있다.The coupling member 43 has a lever connecting pipe portion 43a formed with a screw hole penetra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rame connecting pipe portion 43b having a male screw port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a female screw portion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레버연결관부(43a)의 나사공에는 좌측 휠링크연동레버(41)와 우측 휠링크연동레버(42)의 일단이 나사 결합된다.One end of the left wheel link interlock lever 41 and the right wheel link interlock lever 42 is screwed into the screw hole of the lever connecting pipe portion 43a.

이러한 구성을 갖는 휠링크연동레버(40)는 프레임연결관부(43b)를 통해 레버지지부(21)에 결합되는 바, 그 결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wheel link interlock lever 4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coupled to the lever support part 21 through the frame connecting pipe part 43b. The coupling method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프레임연결관부(43b)에 지지부시(44)를 장착한다.First, the support bush 44 is mounted on the frame connecting pipe portion 43b.

다음에 프레임연결관부(43b)를 레버지지부(21)의 전방으로부터 레버지지부(21)의 레버결합공(21a)에 삽입한다.Next, the frame connecting pipe portion 43b is inserted into the lever engaging hole 21a of the lever supporting portion 21 from the front of the lever supporting portion 21.

마지막으로 간격유지너트(45)와 풀림방지캡(46)을 순차적으로 프레임연결관부(43b)에 삽입한 후, 나사(47)를 프레임연결관부(43b)에 삽입하여 조인다.Finally, the gap retaining nut 45 and the release preventing cap 46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frame connecting pipe part 43b, and then the screw 47 is inserted into the frame connecting pipe part 43b and tightened.

이와 같이 레버지지부(21)에 결합된 휠링크연동레버(40)는 로우아암(30)의 지지점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지프레임(20)을 지지점으로 하여 시소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wheel linkage lever 40 coupled to the lever support part 21 can perform a seesaw movement with the support frame 20 as a support point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upport point of the low arm 30.

휠링크(50)는 대략 원형단면형상의 바디부(51)와, 바디부(51)의 양단으로부터 상호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측결합플랜지(52) 및 하측결합플랜지(53)와, 바디부(51)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축부(54)를 갖고 있다.The wheel link 50 has a body portion 51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 section, an upper coupling flange 52 and a lower coupling flange 53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51, and a body portion ( It has the support shaft part 54 extended perpendicularly from 51. As shown in FIG.

상측결합플랜지(52)와 하측결합플랜지(53)에는 각각 상측축공(52a)과 하측축 공(53a)이 형성되어 있다.An upper shaft hole 52a and a lower shaft hole 53a are formed in the upper coupling flange 52 and the lower coupling flange 53, respectively.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각 휠링크(50)는 상측결합플랜지(52)와 하측결합플랜지(53)를 통해 로우아암(30)의 링크결합돌부(32)와 휠링크연동레버(40)의 자유단에 축결합된다.Each wheel link 5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provided at the free end of the link coupling protrusion 32 and the wheel link interlocking lever 40 of the lower arm 30 through the upper coupling flange 52 and the lower coupling flange 53. Axially coupled.

휠링크(50)와 로우아암(30)과의 축결합은 하측축공(53a)의 양단에 부시(55)를 하나씩 삽입한 상태로 하측결합플랜지(53)를 통해 이루어진다. 지지축(33)은 멈춤나사(68)에 의해 링크결합돌부(32)에 고정지지된다. 이와 같이 로우아암(30)에 결합된 각 휠링크(50)는 지지프레임(20)의 길이방향을 축선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게 된다.The shaft coupling between the wheel link 50 and the lower arm 30 is made through the lower coupling flange 53 in the state that the bushes 55 are inserted one by one at both ends of the lower shaft hole 53a. The support shaft 33 is fixed to the link engagement protrusion 32 by the stop screw 68. In this way, each wheel link 50 coupled to the lower arm 30 can be rotated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20 as an axis.

휠링크(50)와 휠링크연동레버(40)와의 축결합은 상측축공(52a)의 양단에 한 쌍의 부시(56)를 삽입한 상태로 상측결합플랜지(52)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휠링크연동레버(40)의 양단에는 캡너트(57)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휠링크연동레버(40)에 결합된 각 휠링크(50)는 지지프레임(20)의 길이방향을 축선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게 된다.The shaft link between the wheel link 50 and the wheel link interlock lever 40 is made through the upper coupling flange 52 in a state in which a pair of bushes 56 are inserted into both ends of the upper shaft hole 52a. Cap nuts 57 are mounted at both ends of the wheel link interlock lever 40. As such, each wheel link 50 coupled to the wheel link interlocking lever 40 can be rotated u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20 as an axis.

각 후방휠(60)은 중앙영역에 링크결합공(61)이 형성되어 있으며, 링크결합공(61)의 내표면 중앙영역에는 고리상의 분리턱(61a)이 형성되어 있다.Each of the rear wheels 60 has a link coupling hole 61 formed in the center region, and a ring-shaped separating jaw 61a i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central region of the link coupling hole 61.

각 후방휠(60)은 휠링크(50)의 지지축부(54)가 링크결합공(61)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너트(62)를 통해 각 휠링크(50)에 결합된다. 각 후방휠(60)이 휠링크(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축부(54)의 외표면에는 한 쌍의 베어링(64)이 장착되고, 고정너트(62)의 전단에는 휠캡(66)을 사이에 두고 고정나사(65)가 장착된다. 그리 고 한 쌍의 베어링(64) 사이에는 부시(63)가 개재되어 있다.Each rear wheel 60 is coupled to each wheel link 50 through a fixing nut 62 with the support shaft portion 54 of the wheel link 50 inserted into the link coupling hole 61. In the state in which each rear wheel 60 is coupled to the wheel link 50, a pair of bearings 64 ar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54, and a wheel cap 66 is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fixing nut 62. The fixing screw 65 is mounted in between. In addition, a bush 63 is interposed between the pair of bearings 64.

이와 같이 휠링크(50)에 결합된 각 후방휠(60)은 휠링크(5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된다.As such, each rear wheel 60 coupled to the wheel link 50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wheel link 50.

그리고 한 쌍의 후방휠(60)은 전방휠(12)과 협조하여 이등변삼각형을 이루도록 휠링크(50)에 결합된다.And the pair of rear wheels 60 are coupled to the wheel link 50 to form an isosceles triangle in cooperation with the front wheel 12.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S. 7 and 8, a method of using an outline sk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s follows.

먼저 신발부(11)에 발을 넣는다.First put the foot in the shoe (11).

다음에 지지프레임(20)이 지면을 향해 가압되도록 양발에 힘을 주면서 전진시키면 전방휠(12)과 후방휠(60)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아우트라인스케이트와 함께 착용자는 주행할 수 있게 된다.Next, when the support frame 20 is moved forward while forcing both feet to be pressed toward the ground, the front wheel 12 and the rear wheel 60 rotate, whereby the wearer can travel with the outline skate.

여기서 곡선상으로 주행할 때 로우아암(30)은 지면에 대해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고 한 쌍의 휠링크(50)와 한 쌍의 후방휠(60)은 각각 평행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중심을 향해 경사를 이루게 된다(도8 참조). 그리고 휠링크(50)와 후방휠(60)은 로우아암(30)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게 된다.Here, when driving in a curved direction, the lower arm 30 maintains a parallel state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the pair of wheel links 50 and the pair of rear wheels 60 maintain parallel positions, respectively,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It is inclined (see Fig. 8). The wheel link 50 and the rear wheel 60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w arm 30.

이와 같이 곡선상으로 주행할 때 로우아암(30)이 지면에 대해 평행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착용자의 무게중심이 회전중심을 향해 이동하여 한 쌍의 후방휠(60) 중 내측(회전중심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후방휠이 지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게 되더라도 외측(회전중심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후방휠이 지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측에 위치하는 후방휠을 통해 지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여기서 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지면에 대해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는 로우아암을 통해 착용자로부터 후방휠에 압력이 전달됨으로써 지면에 수직인 방향의 압력성분의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As the lower arm 30 maintains a parallel state with respect to the ground when driving in a curved manne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wearer moves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so that the inner side of the pair of rear wheels 60 is close to the center of rotation. Even if the rear wheels inclined to the ground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 rear wheels located outside (distant from the center of rota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ground, and applied to the ground through the rear wheels located outsid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pressure (where a stable pressure can be obtained by applying pressure from the wearer to the rear wheels through the lower arm, which is parallel to the ground, to the pressure component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Little chang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우아암(30)을 한 쌍의 후방휠(60)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지지프레임(20)의 저면에 결합하고 휠링크(50)를 지지프레임(20)의 길이방향을 축선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로우아암(30)에 결합함으로써, 곡선주행 중 또는 자세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상황에서 외측(회전중심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후방휠(60)이 지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후방휠(60)을 통해 지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arm 30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frame 20 in the direction of connecting the pair of rear wheels 60 and the wheel link 50 By connecting to the lower arm 30 so that the support frame 20 can be rot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20, the rear wheel located outside (distant from the center of rotation) during curve driving or in a situation where the posture is inclined left and right. The 60 can be prevented from escaping from the ground and the pressure applied to the ground through the rear wheel 60 can be stably maintained.

이에 따라 착용자가 무게중심을 잃고 미끌어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후방휠이 지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발목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earer from losing the center of gravity and to slip or fall, and to prevent ankle injuries occurring when the rear wheel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그리고 평행유지스프링(13)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면으로 이탈된 상태(요철면을 주행할 때 튀어 오르는 경우 포함)에서 로우아암(30)과 지지프레임(20)을 평행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발이 지면으로 이탈한 후 착지될 때 후방휠(60)이 지지프레임(20)에 대하여 수직상태를 상시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안정된 자세로 착지할 수 있게 되어 발목이 접질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nd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arallel retaining spring 13, so that the lower arm 30 and the support frame 20 can be maintained in parallel in the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ground (including jumping when driving the uneven surface) do. Accordingly, when the foot lands after landing on the ground, the rear wheel 60 can maintain the vertical stat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frame 20 at all times, thereby landing in a stable posture, thereby preventing the ankle from being folded. .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휠링크연동레버(40)를 지지프레임(20)의 후단에 형성된 레버지지부(21)에 결합하고 있으나,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의 전단에 형성된 레버지지부(21')에 결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wheel linkage lever 40 is coupled to the lever support 21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upport frame 20.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support frame 20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coupling to the lever support 21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요부평면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요부측면도이다.9 is a plan view of main parts of an outline sk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side view of main parts of an outline sk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지지부(21')가 지지프레임(20')의 전단으로부터 신발부(도시되지 않음)의 발등영역을 향해 곡선을 그리며 상승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휠링크연동레버(40')는 신발부의 발등영역을 둘러싸도록 레버지지부(21')에 결합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고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outlined in the drawings, the lever support portion 21 'curves from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frame 20' toward the instep area of the shoe portion (not shown). And the wheel link interlock lever 40 'is coupled to the lever support 21' to surround the instep area of the shoe, and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outline sk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a function.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휠링크연동부로서 휠링크연동레버(40, 40')를 채용하고 있으나, 지지프레임의 양 측면에 하나씩 결합되는 한 쌍의 휠링크연동레일부(70')를 포함하도록 휠링크연동부를 구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wheel link interlocking levers 40 and 40 'are used as the wheel link interlocking portions, but include a pair of wheel link interlocking rail portions 70'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configuring a wheel link interlocking portion.

도11 및 도12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요부사시도이다.11 and 12 are each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line fig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링크연동부로서 한 쌍의 휠링크연동레일부(70')가 채용되고 휠링크(50')의 구조가 변경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고 있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outline sk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mploys a pair of wheel link interlocking rail portions 70 'as the wheel link interlocking portion, and has a structure of the wheel link 50'. It has the same structure and function as the outlined sk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that it has been chang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각 휠링크연동레일부(70')는 사다리꼴 단면형상을 갖는 슬라이딩레일(70'a)을 가지고, 슬라이딩레일(70'a)이 휠링크(50')의 전방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지지프레임(20')의 양 측면에 하나씩 결합된다.Each wheel link interlocking rail portion 70 'of the outline sk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liding rail 70'a having a trapezoidal cross-sectional shape, the sliding rail 70'a is a wheel link 50 ') Are coupled one by one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20' to be dispos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 front of the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휠링크(50')는 대략 원형단면형상의 바디부(51')와, 바디부(51')의 하단에 형성된 하측결합플랜지(53')와, 바디부(51')의 내측면에 형성된 지지축부(도시되지 않음)와, 바디부(51')의 외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홈부(52')를 갖고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heel link 50 'of the outline skate has a body portion 51'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a lower coupling flange 53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51'. And a support shaft portion (not show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51 'and a sliding groove portion 52'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51 '.

하측결합플랜지(53')에는 하측축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A lower shaft hole (not shown) is formed in the lower coupling flange 53 '.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각 휠링크(50')는 하측결합플랜지(53')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의 경우와 같이 로우아암(30')에 축결합된다.Each wheel link 50 ′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xially coupled to the lower arm 30 ′ as in the case of the outline sk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lower coupling flange 53 ′.

슬라이딩홈부(52')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52'a)이 슬라이딩레일(70'a)에 형상 맞춤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sliding groove 52 'is formed such that the sliding groove 52'a is shaped to fit the sliding rail 70'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트라인스케이트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곡선주행 중 또는 자세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상황에서 한 쌍의 휠링크(50')의 회동각도는 휠링크연동레일부(70')의 슬라이딩레일(70'a)이 슬라이딩홈부(52')의 슬라이딩홈(52'a)에 맞물리면서 슬라이딩이동함에 따라 동일하게 유지된다(도13 및 도14 참조).The outline sk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same way as the outline sk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wheel links 50 ' Rotation angle of the wheel link is maintained the same as the sliding rail 70'a of the wheel link interlocking rail portion 70 'is slidingly engaged with the sliding groove 52'a of the sliding groove 52' (Fig. 13). And FIG. 14).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신발부(11)를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종래의 경우와 같이 신발부를 생략하는 한편 다수의 고정띠를 마련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configured to include a shoe portion 11,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fixing straps while omitting the shoe portion as in the conventional cas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곡선주행 중 또는 자세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상황에서 후방휠이 지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후방휠을 통해 지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착용자가 무게중심을 잃고 미끌어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후방휠이 지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발목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ar wheel from escaping from the ground and to stably maintai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ground through the rear wheel during the curved driving or in a situation where the posture is inclined left and right, thereby allowing the wearer to maintain the center of gravity. It can prevent loss, slipping and falling, and prevent ankle injuries that occur when the rear wheel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Claims (4)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지지프레임(20)과 협조하여 에이치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양 측에 하나씩 배치되는 한 쌍의 후방휠(60)을 갖는 아우트라인스케이트에 있어서,In the outline skate having a support frame 20 and a pair of rear wheels 60 arranged on each side of the support frame 20 to form an H shape in cooperation with the support frame 20,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저면 중앙을 지지점으로 하여 시소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후방휠(60)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저면에 결합된 로우아암(30)과, 상기 지지프레임(20)의 길이방향을 축선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로우아암(30)의 양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휠링크(50)와, 상기 각 휠링크(50)가 상기 로우아암(30)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휠링크(50)를 연동시키는 휠링크연동부를 포함하고;The lower arm 30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frame 20 along a direction of connecting the pair of rear wheels 60 to perform a seesaw movement with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support frame 20 as a support point. And a pair of wheel links 50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ow arm 30 so that the support frame 20 can rot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wheel links 50 are connected to the row. A wheel link interlocking portion for interlocking the pair of wheel links 50 so as to rotate at the same angle with respect to the arm 30; 상기 각 후방휠(60)은 상기 휠링크(50)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트라인스케이트.Each of the rear wheels 60 i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wheel link 50 to rot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휠링크연동부는 상기 로우아암(30)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휠링크(50)의 상단영역을 연결하고 상기 휠링크(50)가 회동할 때 상기 지지프레임(20)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결합되는 휠링크연동레버(40)를 포함하고;The wheel link linkage unit connects an upper region of the wheel link 50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w arm 30 and rotate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frame 20 when the wheel link 50 rotates. A wheel link interlock lever (40)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20); 상기 각 휠링크(50)는 상단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길이방향을 축선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휠링크연동레버(40)의 양단에 각각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트라인스케이트.The wheel link 50 is an outer sk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wheel link interlock lever 40 so as to rot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20 as an axi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휠링크연동부는 맞물릴 수 있는 단면형상을 갖는 슬라이딩레일(70'a)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딩레일(70'a)이 상기 휠링크(50')에 대향하고 상기 휠링크(5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양 측면에 하나씩 결합되는 한 쌍의 휠링크연동레일부(70')를 포함하고;The wheel link linkage has a sliding rail 70'a having an interlockable cross-sectional shape, the sliding rail 70'a facing the wheel link 50 'and the length of the wheel link 50'. A pair of wheel link interlocking rail portions 70 'coupled to each side of the support frame 20' so as to be disposed along a direction; 상기 각 휠링크(50')는 상기 로우아암(30')에 대하여 회동할 때 상기 슬라이딩레일(70'a)이 맞물린 상태로 슬라이딩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5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트라인스케이트.Each wheel link 50 'is formed with a sliding groove 52'a so that the sliding rail 70'a can slide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low arm 30'. Outline skate to assum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로우아암(30, 30')과 상기 지지프레임(20, 20')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로우아암(30, 30')이 상기 지지프레임(20, 20')에 나란하도록 상기 로우아암(30, 30')을 상기 지지프레임(20, 20')에 대하여 탄성 가압하는 평행유지스프링(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트라인스케이트.The low arm 30 is disposed between the low arms 30 and 30 'and the support frames 20 and 20' so that the low arms 30 and 30 'are parallel to the support frames 20 and 20'. , 30 ') further includes a parallel holding spring (13)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support frame (20, 20').
KR1020050101058A 2005-10-26 2005-10-26 Outline Skate KR1007329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058A KR100732956B1 (en) 2005-10-26 2005-10-26 Outline Sk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058A KR100732956B1 (en) 2005-10-26 2005-10-26 Outline Skat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371U Division KR200405988Y1 (en) 2005-10-26 2005-10-26 Outline Sk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859A KR20070044859A (en) 2007-05-02
KR100732956B1 true KR100732956B1 (en) 2007-06-29

Family

ID=38270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1058A KR100732956B1 (en) 2005-10-26 2005-10-26 Outline Sk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956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0677A (en) * 1989-02-23 1990-09-03 Katsumi Kimura Running athletic kit
WO1992019337A1 (en) * 1991-04-24 1992-11-12 Cartier Millon Guy Small, all-terrain recreational vehicle
US5474314A (en) * 1994-07-07 1995-12-12 Lehman; James Coaster board
KR20040111400A (en) * 2002-03-11 2004-12-31 레지날드 라이올 레이드 Personal conveyance for recreational use
US6874795B2 (en) * 1999-04-07 2005-04-05 Chien-Min Sung Wheeled skate device
KR200405988Y1 (en) * 2005-10-26 2006-01-11 김선기 Outline Skat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0677A (en) * 1989-02-23 1990-09-03 Katsumi Kimura Running athletic kit
WO1992019337A1 (en) * 1991-04-24 1992-11-12 Cartier Millon Guy Small, all-terrain recreational vehicle
US5474314A (en) * 1994-07-07 1995-12-12 Lehman; James Coaster board
US6874795B2 (en) * 1999-04-07 2005-04-05 Chien-Min Sung Wheeled skate device
KR20040111400A (en) * 2002-03-11 2004-12-31 레지날드 라이올 레이드 Personal conveyance for recreational use
KR200405988Y1 (en) * 2005-10-26 2006-01-11 김선기 Outline Sk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859A (en) 200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65834B (en) Roller skate and wheel trucks therefor
US7464944B2 (en) Wheeled skate
US7618046B2 (en) Roller skate and wheel trucks therefor
US8292308B2 (en) Roller skate
US7341261B2 (en) Skate
US5382052A (en) In-line roller blade figure skate
PT999882E (en) Roller skate
US7926824B2 (en) Roller skate braking system
KR100933532B1 (en) The street board
US7000930B2 (en) Tandem-wheeled riding device
RU2359729C2 (en) Individual transportation unit intended for outdoor activity
KR200405988Y1 (en) Outline Skate
US6382640B1 (en) Latitudinal aligned mono-wheel skate device
KR100732956B1 (en) Outline Skate
GB2556961B (en) Adjustable roller skates
FR2614547A1 (en) Lightweight multi-size linear roller skate
KR200318073Y1 (en) roller skate
KR200336022Y1 (en) A roller skate
WO2021101421A1 (en) Roller skis
KR200371542Y1 (en) Roller skates being combinable and separable on shoes
KR20060016160A (en) Skate board for easy handling
KR200381602Y1 (en) shoes removable for roller skate
KR200395815Y1 (en) Zigzag skate
DK2152375T3 (en) rollerskate
WO2004089482A1 (en) Foot movable mechanism and brake in sk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