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1529B1 - 강철재의 장착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립 홈형 강철 및고정 금구 - Google Patents

강철재의 장착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립 홈형 강철 및고정 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1529B1
KR100731529B1 KR20067010586A KR20067010586A KR100731529B1 KR 100731529 B1 KR100731529 B1 KR 100731529B1 KR 20067010586 A KR20067010586 A KR 20067010586A KR 20067010586 A KR20067010586 A KR 20067010586A KR 100731529 B1 KR100731529 B1 KR 100731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lip
fixing bracket
bolt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7010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1506A (ko
Inventor
요시하루 카네다
Original Assignee
에스에스씨 파트너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스씨 파트너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에스씨 파트너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1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 E04C3/07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at least partly of bent or otherwise deformed strip- or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5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in channels, e.g. sliding bolts, channel n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73U- or C-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고정 금구에 큰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상기 고정 금구가 립 홈형 강철에 대하여 위치 어긋남이 생길 우려가 없는 강철재의 장착방법을 제공한다. 립 홈형 강철(10)을 고정 금구(40)를 사용하여 앵글 강철(50)에 장착하는 강철재의 장착방법에 있어서, 립 홈형 강철(10)의 립 끝 가장자리에 거치형 노치를 설치하였다. 또한, 앵글 강철(50)에는 볼트 구멍(53)을 설치하였다. 또, 고정 금구(40)는 거치형 노치에 맞물리기 위한 맞물림부(41)와, 볼트 구멍(53)에 삽입하기 위한 볼트부(42)로 구성하였다. 맞물림부(41)를 립 홈형 강철(10)의 거치형 노치에 맞물림하고, 볼트부(42)를 앵글 강철(50)에 설치된 볼트 구멍에 관통하여 조임으로써, 립 홈형 강철(10)은 앵글 강철(50)에 장착된다.
고정 금구, 립 홈형 강철, 앵글 강철, 거치형 노치, 볼트 구멍, 볼트부

Description

강철재의 장착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립 홈형 강철 및 고정 금구{Steel member installation method, and lip channel steel and metallic fixing member use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주로 바디(body) 가장자리나 안방 등의 하지재에 사용되는 립 홈형 강철과 다른 강철재를 강고하게 연결하는 강철재의 장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강철재의 장착방법에 사용하는 립 홈형 강철과 고정 금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축용 강철제 하지재의 고정 금구로서, 특허문헌 1에는 건축용 강철제 하지재(下地材)에 장착하는 건축용의 면재를 고정하는 고정 금구로, 건축용 강철제 하지재는 고정 금구의 시트면과의 접촉면을 널링(knurling) 가공면으로 하는 스터드(stud)형, 천장 골조형 또는 앵글형 구성으로 하고, 고정 금구는 볼트 본체를 구비하는 두부의 시트면에 상기 널링 가공면과 맞물리는 산형상의 연속 단면의 가공면을 형성한 T자형 볼트 구성으로 하고, 상기 건축용 강철제 하지재에 연속형으로 건축용의 면재를 배치하고, 이 서로 접하는 면재의 단부에 고정 금구의 볼트 본체를 삽입 통과하는 동시에, 상기 접촉면에 고정 금구의 가공면을 맞물리게 하고, 또한 볼트 본체의 나사부에 너트를 나사 장착하여 건축용의 면재를 건축용 강 철제 하지재에 장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금긋기(marking off)나 개공 작업을 생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인한 장착을 저비용으로 하고, 볼트 등의 가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간편한 건축용 강철제 하지재의 고정 금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6-299675호(특허청구의 범위, 발명의 효과, 도 2, 도 7)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특허문헌 1의 고정 금구는 고정 금구나 건축용 강철제 하지재에 널링 가공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것과 비교하여, 립 홈형 강철 등의 강철재를 강고하게 연결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고정 금구에 큰 외력이 가해지면, 건축 강철제 하지재의 널링 가공면에 맞물려 있는 고정 금구가 용이하게 탈락하여, 상기 고정 금구가 건축용 강철제 하지재에 대하여 위치 어긋남이 생길 우려가 있는 것이었다. 특히, 건축용 강철제 하지재를 연직방향으로 배치하는 경우에는 강철재의 연결 강도가 불안하였다. 또한, 고정 금구를 건축용의 면재나 건축용 강철제 하지재에 가고정한 상태로 작업을 하려고 해도, 가공된 고정 금구가 작업중에 용이하게 움직여 버릴 우려가 있는 것이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널링 가공에 의해서 형성하는 홈이나 요철의 치수를 크게 한 것에서는 건축용 강철제 하지재에 필요한 판 두께나 고정 금구의 치수가 커지고, 사용하는 강철재의 중량이 커질 우려가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고정 금구에 형성하는 산형상의 연속 단면(斷面)의 가공면의 요철의 피치와, 건축용 강철제 하지재에 형성하는 널링 가공면의 요철의 피치를 정밀도 좋게 일치시킬 필요가 있어, 건축용 강철제 하지재나 고정 금구의 가공 비용이 비싸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고정 금구에 큰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상기 고정 금구가 립 홈형 강철에 대하여 위치 어긋남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강철재의 장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가고정의 상태이더라도, 고정 금구가 립 홈형 강철에 대하여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강철재의 장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이 강철재의 장착방법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립 홈형 강철과 고정 금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는 립 홈형 강철을 고정 금구를 사용하여 다른 강철재에 장착하는 강철재의 장착방법으로서, 립 홈형 강철은 립 끝 가장자리에 거치형 노치가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다른 강철재는 볼트 구멍을 갖고 이루어지며, 고정 금구는 상기 거치형 노치에 맞물리기 위한 맞물림부와, 상기 볼트 구멍에 관통하기 위한 볼트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맞물림부를 립 홈형 강철의 상기 거치형 노치에 맞물림하며, 상기 볼트부를 상기 볼트 구멍에 관통하여 조이는 강철재의 장착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이것에 의해, 고정 금구에 큰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상기 고정 금구가 립 홈형 강철에 대하여 미끄러져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립 홈형 강철이 장착되는 상기 다른 강철재로서는 앵글 강철 등의 조인트용 강철재나, 홈형 강철 또는 H형 강철 등의 막대형 강철재나, 벽재 등으로서 사용되는 면형 강철재 등이 예시된다.
이 때, 상기 볼트부에 너트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다른 강철재를 립과 너트로 협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립 홈형 강철과 앵글 강철의 연결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때, 너트를 늦춘 상태로 고정 금구를 상기 다른 강철재에 가고정하고, 립 홈형 강철을 원하는 위치에 배치한 후, 너트를 조여 본고정을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과제는 고정 금구를 사용하여 다른 강철재에 장착되는 립 홈형 강철이고, 립이 립 홈형 강철의 양 외측벽의 상단으로부터 내향하여 연장되는 립 기부(基部)와, 상기 립 기부의 선단으로부터 립 홈형 강철의 바닥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립 끝부로 이루어지고, 고정 금구를 맞물리기 위한 거치형 노치가 립 끝부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립 홈형 강철을 제공함으로써도 해결된다. 이 립 홈형 강철은 상기 강철재의 장착방법에 사용되는 립 홈형 강철로서 적합한 것이다.
이 때, 상기 거치형 노치를 구성하는 개개의 노치는 삼각형상이어도 좋지만, 대략 사다리꼴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개의 노치가 삼각형상이면, 고정 금구로부터 받는 가압력이 노치의 정점 주변에 집중하여, 립 홈형 강철이나 고정 금구가 파손될 우려가 있지만, 개개의 노치를 사다리꼴형으로 함으로써, 고정 금구로부터 립 홈형 강철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분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노치의 각부에는 둥그스름하게 하여도 좋다.
이 때 또, 상기 거치형 노치를 구성하는 개개의 노치가 5-50mm 간격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간격이 5mm 미만이면, 개개의 노치의 치수가 작아지고, 고정 금구에 큰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고정 금구가 립 홈형 강철에 대하여 위치 어긋남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 간격은 10mm 이상이면 더 바람직하고, 15mm 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이 간격이 50mm보다도 크면, 립 홈형 강철에 대한 고정 금구의 위치 결정을 조금씩 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 간격은 40mm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고, 30mm 이하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25mm 이하이면 최적이다.
또한, 상기 과제는 립 홈형 강철을 다른 강철재에 장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고정 금구이며, 대략 막대형의 맞물림부와, 상기 맞물림부의 중심에 수직 설치된 볼트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맞물림부의 볼트부 수직 설치측에 있어서의 적어도 립 끝부에 접촉하는 부분이 쐐기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고정 금구를 제공함으로써도 해결된다. 이 고정 금구는 상기 강철재의 장착방법에 사용되는 고정 금구로서 적합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해서, 고정 금구에 큰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상기 고정 금구가 립 홈형 강철에 대하여 위치 어긋남이 생길 우려가 없는 강철재의 장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고정의 상태이더라도, 고정 금구가 립 홈형 강철에 대하여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강철재의 장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강철재의 장착방법에 적절한 립 홈형 강철과 고정 금구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도 1은 립 홈형 강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립 홈형 강철을 길이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3은 도 2의 립 홈형의 A-A 단면도.
도 4는 제 1 실시예의 고정 금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제 1 실시예의 고정 금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제 1 실시예의 고정 금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제 1 실시예의 고정 금구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8은 제 1 실시예의 고정 금구를 도시한 저면도.
도 9는 제 2 실시예의 고정 금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제 2 실시예의 고정 금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제 2 실시예의 고정 금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제 2 실시예의 고정 금구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13은 제 2 실시예의 고정 금구를 도시한 저면도.
도 14는 제 2 실시예의 고정 금구를 립 홈형 강철의 홈의 내부에서 회전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제 3 실시예의 고정 금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제 3 실시예의 고정 금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17은 제 3 실시예의 고정 금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 18은 제 3 실시예의 고정 금구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19는 제 3 실시예의 고정 금구를 도시한 저면도.
도 20은 볼트부(42)를 볼트 구멍(53)에 관통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립 홈형 강철(10)을 고정 금구를 사용하여 앵글 강철(50)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강철재의 장착방법을 사용하여, 립 홈형 강철(10)을 지주(70)에 장착한 상태를 립 홈형 강철(10)의 길이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23은 도 22에 있어서의 C-C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립 홈형 강철 11 : 외측벽
12 : 외측벽의 상단 13 : 바닥부
20 : 립 21 : 립 기부
22 : 립 기부의 선단 23 : 립 끝부
24 : 립 끝부의 선단 30 : 거치형 노치
31-33 : 변 34 : 인접하는 노치가 형성하는 각부(角部)
40 : 고정 금구 41 : 맞물림부
42 : 볼트부 43~45 : 면
46 : 립 접촉부 50 : 앵글 강철
51, 52 : 판형부 53 : 볼트 구멍
60 : 너트 61 : 워셔(washer)
70 : 지주(支柱)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의 강철재의 장착방법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립 홈형 강철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립 홈형 강철(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립 홈형 강철을 길이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립 홈형 강철(10)의 A-A 단면도이다.
립 홈형 강철(10)의 립(2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립 홈형 강철(10)의 양 외측벽(11)의 상단(12)으로부터 내향하여 연장되는 립 기부(21)와, 립 기부(21)의 선단(22)으로부터 립 홈형 강철(10)의 바닥부(13)를 향해서 연장되는 립 끝부(23)로 이루어지고 있다. 립 끝부(23)의 선단(24)에는 후술하는 고정 금구를 맞물리기 위한 거치형 노치(3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외측벽(11)과 립 기부(21), 및 립 기부(21)와 립 끝부(23)는 모두 수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거치형 노치(30)를 구성하는 개개의 노치의 간격(L1; 도 3)은 20mm로 되어 있다. 거치형 노치(30)를 구성하는 개개의 노치의 간격(L1)은 통상, 고정 금구의 위치 결정 스케일에 일치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립 홈형 강철(10)은 후술하는 고정 금구를 20mm씩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개개의 노치의 사이에는 일정한 틈을 설치하여도 좋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인접하는 노치가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형태에 따라서는 거치형 노치(30)를 눈으로 볼 수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후술하는 고정 금구의 맞물림부를 손으로 찾아 어떤 노치에 맞물림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인접하는 노치가 형성하는 각부(34)가 둥글게 형성되어 있으면, 립 홈형 강철(10)을 더욱 안전한 것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거치형 노치(30)를 구성하는 개개의 노치는 사다리꼴형으로 되어 있다. 이 때, 개개의 노치가 형성하는 사다리꼴의 평행한 1쌍의 변은 립 홈형 강철(10)의 길이방향과 평행으로 되어 있고, 평행한 1쌍의 변 중 짧은 쪽의 변(31)이 상측(립 기부(21)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다. 거치형 노치(30)는 커터나 펀치를 사용하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개개의 노치가 형성하는 사다리꼴의 평행하지 않은 1쌍의 변(32, 33)이 이루는 각(θ; 도 3)은 10-12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θ)이 10도 미만이면, 후술하는 고정 금구를 립 홈형 강철(10)에 맞물림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각(θ)은 30도 이상이면 더 적절하고, 50도 이상이면 더욱 적절하다. 한편, 각(θ)이 120도보다 크면, 후술하는 고정 금구가 립 홈형 강철(10)로부터 탈락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각(θ)은 90도 이하이면 더 적절하고, 70도 이하이면 더욱 적절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θ)은 60도로 되어 있다. 각(θ)에 관해서는 거치형 노치(30)가 삼각형상인 경우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개개의 노치가 형성하는 사다리꼴의 평행한 1쌍의 변 중 짧은 쪽의 변(31)의 길이(L2; 도 3)는 1-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L2)가 1mm 미만이면, 후술하는 고정 금구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이 변(31)의 주변에 집중하여, 립 홈형 강철(10)이나 고정 금구가 파손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길이(L2)는 2mm 이상이면 더욱 적절하고, 2.5mm 이상이면 더욱 적절하다. 한편, 길이(L2)가 20mm보다도 크면, 개개의 노치의 치수가 지나치게 커질 우려가 있다. 길이(L2)는 10mm 이하이면 더 적절하고, 5mm 이하이면 더욱 적절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길이(L2)는 3mm로 되어 있다.
또, 개개의 노치가 형성하는 사다리꼴의 높이(H; 도 3)는 5-3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H)가 5mm 미만이면, 후술하는 고정 금구가 립 홈형 강철(10)로부터 탈락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높이(H)는 8mm 이상이면 더욱 적절하고, 10mm 이상이면 더욱 적절하다. 한편, 높이(H)가 30mm보다도 크면, 후술하는 고정 금구를 립 홈형 강철(10)에 맞물림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높이(H)는 25mm 이하이면 더 적절하고, 20mm 이하이면 더욱 적절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높이(H)는 약 15mm로 되어 있다. 높이(H)에 대해서는, 거치형 노치(30)가 삼각형상인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강철재의 장착방법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고정 금구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고정 금구(40)의 제 1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제 1 실시예의 고정 금구(4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의 고정 금구(40)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예의 고정 금구(4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예의 고정 금구(40)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예의 고정 금구(40)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제 1 실시예의 고정 금구(40)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대략 막대형의 맞물림부(41)와, 맞물림부(41)의 중심에 수직 설치된 볼트부(42)로 이루어지고, 맞물림부(41)는 볼트부(42)가 수직 설치된 측을 측면에서 보면 쐐기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고정 금구(40)에 있어서는 맞물림부(41)에 면(43 내지 45)을 형성함으로써, 맞물림부(41)를 쐐기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맞물림부(41)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형상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립 홈형 강철(10)의 립(20)에 형성된 거치형 노치(30)에 맞물림하는 것이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면(45)의 짧은 방향의 폭은 변(31)의 길이(L2; 도 3)와 같거나, 길이(L2)보다도 약간 짧은 정도로 되어 있고, 면(43)과 면(44)이 이루는 각은 1쌍의 변(32, 33)이 이루는 각(θ; 도 3)과 같거나, 각(θ)보다도 약간 작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맞물림부(41)의 면(43)을 거치형 노치(30)의 변(32)에 접촉하고, 면(44)을 변(33)에 접촉하고, 면(45)을 변(31)에 접촉함으로써, 맞물림부(41)를 거치형 노치(30)에 맞물림하는 것이 가능해져 있다.
이 때, 맞물림부(41)의 저면에 있어서의 대각선의 길이(L3; 도 8)는 립 홈형 강철이 형성하는 홈의 폭(외측벽(11)의 간격, 도 14의 L5에 상당)과 같거나, 상기 홈의 폭보다도 약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맞물림부(41)를 립 홈형 강철(10)의 홈의 내부에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고정 금구(40)를 립 홈형 강철(10)에 장착하기 쉬운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고정 금구(40)를 립 홈형 강철(10)에 맞물림하여 볼트부를 조이면, 맞물림부(41)의 중앙이 볼트부(42)에 당겨지고, 맞물림부(41)가 만곡되는 것도 생각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립 홈형 강철의 립 끝부(23)의 끝면이 맞물림부(41)의 면(43 내지 45)과 면에서 접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맞물림부(41)의 볼트부 수직 설치측을 중앙으로부터 단부를 향해서 높아지도록(도 5에 있어서, 1쌍의 면(45)이 V자형 또는 U자형이 되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계속해서, 고정 금구(40)의 제 2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제 2 실시예의 고정 금구(4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예의 고정 금구(40)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제 2 실시예의 고정 금구(4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제 2 실시예의 고정 금구(40)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제 2 실시예의 고정 금구(40)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4는 제 2 실시예의 고정 금구(40)를 립 홈형 강철(10)의 홈의 내부에서 회전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 있어서, 립 홈형 강철(10)은 설명의 편의상, 도 2의 B-B 단면으로 절단하여 도시하고 있다.
제 2 실시예의 고정 금구(40)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물림부(41)의 일단부(우측면)가 평면(α)과, 평면(α)에 연속하는 곡면(β)으로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좌측면)가 평면(α′)과, 평면(α′)에 연속하는 곡면(β′)으로 형성 되어 있다. 또한, 평면(α)과 평면(α′)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맞물림부(41)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볼트부(42)를 회전축으로 하는 180도의 회전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곡면(β) 및 곡면(β′)은 볼트부(42)를 회전축(도 13에 있어서의 점(Q)과 점(Q′)을 연결하는 선분(QQ′)의 중점을 지나는 지면(紙面)에 수직인 축)으로 하는 원주면으로 되어 있다. 즉, 점(P)과 점(Q)을 연결하는 선, 및 점(P′)과 점(Q′)을 연결하는 선은 각각 직선으로 되어 있고, 점(Q)과 점(R)을 연결하는 선, 및 점(Q′)과 점(R′)을 연결하는 선은 각각 원호형으로 되어 있다(점(P), 점(P′), 점(Q), 점(Q′), 점(R), 점(R′)은 맞물림부(41)의 저면에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이 때, 곡면(β)과 곡면(β′)이 형성하는 원주면의 직경(L4; 도 13)은 립 홈형 강철(10)의 홈의 폭(L5; 도 14)과 일치하거나, 홈의 폭(L5)보다도 약간 짧은 정도로 되어 있고, 각(PQQ′; 도 13)은 90도(또는 90도 이상)로 되어 있다. 이 맞물림부(41)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살표시의 방향으로 파선의 위치까지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고정 금구(40)는 립 홈형 강철(10)에 장착하기 쉬운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4를 보면, 맞물림부(41)가 파선의 위치까지 회전하면, 평면(α)과 평면(α′)이 외측벽(11)에 접촉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맞물림부(41)를 립 홈형 강철(10)의 외측벽(11)의 사이에서 떠받치고 있고, 고정 금구(40)를 립 홈형 강철(10)에 의해 강하게 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곡면(β)과 곡면(β′)은 상기 원주면보다도 내측을 지나는 면 이면, 원주면이 아니어도 좋다.
계속해서, 고정 금구(40)의 제 3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제 3 실시예의 고정 금구(4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 3 실시예의 고정 금구(40)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7은 제 3 실시예의 고정 금구(4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제 3 실시예의 고정 금구(40)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19는 제 3 실시예의 고정 금구(40)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제 3 실시예의 고정 금구(40)는 도 15 내지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트부(42)의 기부 부근에, 립 접촉부(46)가 설치되어 있다. 립 접촉부(46)는 평면(α)에 평행한 평면(γ)을 갖고 있다. 또한, 좌측의 면(γ)과 우측의 면(γ)과의 거리(L6; 도 16)는 좌측의 립 끝부(23)와 우측의 립 끝부(23)의 틈의 폭(L7; 도 2)과 같거나, L7보다도 약간 짧은 정도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맞물림부(41)를 거치형 노치(30)에 맞물림하였을 때에, 평면(γ)이 립 끝부(23)의 외측벽에 접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고정 금구(40)를 립 홈형 강철(10)에 의해 강하게 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강철재의 장착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0은 볼트부(42)를 볼트 구멍(53)에 관통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립 홈형 강철(10)을 고정 금구를 사용하여 앵글 강철(50)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강철재의 장착방법을 사용하여, 립 홈형 강철(10)을 지주(70)에 장착한 상태를 립 홈형 강철(10)의 길이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있어서의 C-C 단면도이다.
우선,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립 홈형 강철(10)의 홈에 고정 금구(40)의 맞물림부(41)를 넣은 후, 볼트부(42)를 상기 홈의 개구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시키면서 맞물림부(41)를 거치형 노치(30)에 맞물림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고정 금구(40)를 사용하고 있다. 계속해서, 상기 홈의 개구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 볼트부(42)를 앵글 강철(50)에 설치된 볼트 구멍(53)에 관통한다. 이 순서는 반대이어도 좋고, 앵글 강철(150)을 립 홈형 강철(10)에 댄 상태로 고정 금구(40)를 장착하는 경우도 있다.
립 홈형 강철(10)에 연결하는 앵글 강철(50)은 볼트 구멍(53)이 판형부(51)의 2개소에 설치된 것을 사용하였다. 이것에 의해, 앵글 강철(50)을 립 홈형 강철(10)에 의해 강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길이방향으로 계속된 복수개의 립 홈형 강철(10)에 걸쳐 앵글 강철(50)을 장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볼트 구멍(53)의 치수나 형상은 볼트부(42)가 관통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고정 금구(40)의 장착 용이함 등을 고려하여, 볼트부(42)와의 클리어런스(clearance)를 최저 0.5-3mm 정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볼트 구멍(53)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길고 가는 형상(폭 12mm, 길이 32mm)으로 하고, 앵글 강철(50)의 설치위치를 연속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앵글 강철(50)에 있어서, 판형부(52)에는 홈형 강철이나 H강철 등의 다른 막대형 강철재를 대어 연결하는 것이 통상이지만, 홈형 강철이나 H강철 등의 다른 막대형 강철재를 연결하기 위한 볼트 구멍이 판형부(52)에 설치된 것이어도 좋다.
다음에,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트부(42)에 워셔(61)와 너트(60)를 나사 결합하여 조임으로써, 앵글 강철(50)을 립과 너트로 협지한다. 이 때, 고정 금구(40)의 맞물림부는 거치형 노치(30)에 깊게 맞물려 있어, 고정 금구(40)나 앵글 강철(50)에 큰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고정 금구(40)나 앵글 강철(50)이 립 홈형 강철(10)에 대하여 위치 어긋남이 생기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2와 같이, 립 홈형 강철(10)을 연직방향으로 배치된 지주(70)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너트(60)를 늦춘 상태로 고정 금구(40)를 앵글 강철(50)에 가고정하고, 립 홈형 강철(10)을 원하는 위치에 배치한 후, 너트(60)를 조여 본고정을 하면 립 홈형 강철(10)을 지주(70)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우선, 앵글 강철(50)의 판형부(52)를 지주(70)에 고정한다(제 1 공정). 이 때, 지주(70)는 미리 연직방향에 배치하여 둘 필요는 없고, 작업하기 쉽도록, 받침이나 지면 등의 위에 눕혀 두면 좋다. 또한, 앵글 강철(50)과 지주(70)의 고정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접으로 행하고 있지만, 볼트 등을 사용하여 고정하여도 좋다. 다음에, 앵글 강철(50)의 판형부(51)에 설치된 볼트 구멍에 고정 금구의 볼트부(42)를 관통한다(제 2 공정). 계속해서, 너트(60) 및 워셔(61)를, 도 22의 파선의 위치까지 나사 결합한다(제 3 공정(고정 금구와 앵글 강철의 가고정 공정)). 또, 맞물림부(41)를, 립 홈형 강철(10)의 길이방향에 평행(도 22의 상태보다도, 볼트부(42)를 회전축으로 90도 회전한 방향)이 되도록 회전시킨다(제 4 공정).
계속해서, 립 홈형 강철(10)을 맞물림부(41)에 덮어 씌운다(제 5 공정). 또 계속해서, 볼트부(42)를 립 홈형 강철(10)의 바닥부측(도 22의 상측)에 누르고, 립 홈형 강철(10)의 길이방향에 수직(도 22의 방향)이 되도록 회전시키고, 맞물림부(41)를 립 끝부(23)의 거치형 노치에 맞물림한다(제 6 공정(립 홈형 강철(10)과 고정 금구의 가고정 공정)). 이 때, 너트(60)를 도 22의 파선의 위치보다도 약간 조여도 좋다. 지주(70)를 립 홈형 강철(10)의 다른 개소에도 장착하는 경우에는 그 부분에 관해서도 제 1 공정 내지 제 6 공정과 같게 한다.
계속해서, 지주(70)를, 립 홈형 강철(10)이 가공된 상태로, 원하는 장소에 세운다(제 7 공정). 이 때, 맞물림부(41)는 립 끝부(23)에 설치된 거치형 노치(30)에 어느 정도로 맞물림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금구 등에 상당히 큰 충격을 가하지 않는 한은 고정 금구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는다. 고정 금구의 장착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볼트부(42)를 립 홈형 강철의 바닥부측(도 22의 상측)에 누른 상태로, 립 홈형 강철(10)의 위치를 엇갈리게 하고, 맞물림부(41)를 맞물림시키는 노치를 변경한다(제 8 공정). 마지막으로, 너트(60)를 도 22의 실선의 위치까지 나사 결합하여 조인다(제 9 공정(본고정 공정)).
상기 제 1 공정 내지 제 9 공정의 순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작업형태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5 공정과 제 6 공정을, 제 7 공정의 직후에 배치하여도 좋다.

Claims (7)

  1. 립 홈형 강철을 고정 금구를 사용하여 다른 강철재에 장착하는 강철재의 장착방법으로서,
    립 홈형 강철은 립 끝 가장자리에 거치형 노치가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다른 강철재는 볼트 구멍을 갖고 이루어지며, 고정 금구는 상기 거치형 노치에 맞물리기 위한 맞물림부와, 상기 볼트 구멍에 관통하기 위한 볼트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맞물림부를 립 홈형 강철의 상기 거치형 노치에 맞물림하며, 상기 볼트부를 상기 볼트 구멍에 관통하여 조이는 강철재의 장착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에 너트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다른 강철재를 립과 너트로 협지하는 강철재의 장착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너트를 늦춘 상태로 고정 금구를 상기 다른 강철재에 가고정하고, 립 홈형 강철을 원하는 위치에 배치한 후, 너트를 조여 본고정을 하는 강철재의 장착방법.
  4. 고정 금구를 사용하여 다른 강철재에 장착되는 립 홈형 강철로서,
    립이 립 홈형 강철의 양 외측벽의 상단으로부터 내향하여 연장되는 립 기부와, 상기 립 기부의 선단으로부터 립 홈형 강철의 바닥부를 향해서 연장되는 립 끝 부로 이루어지고, 고정 금구를 맞물리기 위한 거치형 노치가 립 끝부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립 홈형 강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형 노치를 구성하는 개개의 노치가 대략 사다리꼴형인 립 홈형 강철.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형 노치를 구성하는 개개의 노치가 5-50mm 간격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립 홈형 강철.
  7. 립 홈형 강철을 다른 강철재에 장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고정 금구로서,
    대략 막대형의 맞물림부와, 상기 맞물림부의 중심에 수직 설치된 볼트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맞물림부의 볼트부 수직 설치측에 있어서의 적어도 립 끝부에 접촉하는 부분이 쐐기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고정 금구.
KR20067010586A 2003-11-18 2004-11-16 강철재의 장착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립 홈형 강철 및고정 금구 KR1007315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88529 2003-11-18
JPJP-P-2003-00388529 2003-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506A KR20060101506A (ko) 2006-09-25
KR100731529B1 true KR100731529B1 (ko) 2007-06-25

Family

ID=34616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7010586A KR100731529B1 (ko) 2003-11-18 2004-11-16 강철재의 장착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립 홈형 강철 및고정 금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657926B2 (ko)
KR (1) KR100731529B1 (ko)
CN (1) CN100449089C (ko)
WO (1) WO20050499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218B1 (ko) * 2007-08-22 2008-08-13 백종균 건물의 외벽시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0353548B2 (en) * 2010-05-19 2015-05-14 J. Van Walraven Holding B.V. Profile element
KR101137960B1 (ko) * 2011-01-06 2012-04-26 주식회사 공도 트러스 조립체
KR101336668B1 (ko) * 2011-06-08 2013-12-06 주식회사 공도 트러스 조립체
KR101275028B1 (ko) 2011-08-09 2013-06-18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부품 고정부재
CN104563334B (zh) * 2014-12-19 2017-03-15 徐州飞虹网架建设有限公司 一种装配式钢结构体系中内嵌墙板连接组件
JP6230555B2 (ja) * 2015-02-06 2017-11-15 株式会社ベルテック 他物固定具
KR101603905B1 (ko) * 2015-08-10 2016-03-16 썬파크 주식회사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
CN105134734A (zh) * 2015-09-28 2015-12-09 眉山南车紧固件科技有限公司 哈芬槽道用压紧槽钉、支撑结构及安装方法
CN105387041A (zh) * 2015-12-15 2016-03-09 河南奥斯派克科技有限公司 高强度凹凸槽方矩管或圆矩管连接结构
CN107237927A (zh) * 2017-07-26 2017-10-10 湖北省城建设计院股份有限公司 倾角可调节的电缆支架
KR101974551B1 (ko) * 2018-04-06 2019-05-0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피아식별기용 체결장치 및 체결방법
DE202024102158U1 (de) 2024-04-28 2024-05-22 Maharishi University Of Information Technology Metallische C-Kanal-Einbauvor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9675A (ja) * 1993-04-16 1994-10-25 Nippon Metal Ind Co Ltd 建築用鋼製下地材およびその固定金具
KR20020096811A (ko) * 2001-06-21 2002-12-31 카쓰야 히라오카 패널 설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4191Y2 (ko) * 1974-01-17 1979-08-16
DE2736926A1 (de) * 1976-08-18 1978-02-23 Beachley Machinery Schalungstraeger
US4370838A (en) * 1980-08-14 1983-02-01 The Columbus Show Case Company Curtain wall
JPS604109U (ja) * 1983-06-22 1985-01-12 積水ハウス株式会社 中空状外壁パネルの下端取付構造
CN2148241Y (zh) * 1993-01-20 1993-12-01 张立奇 改进的轻量唇槽形钢
AUPN088395A0 (en) * 1995-02-02 1995-02-23 Broken Hill Proprietary Company Limited, The Structural member
JP2700877B2 (ja) * 1995-10-03 1998-01-21 新治 西片 自動販売機固定装置
WO2001086088A1 (en) * 2000-05-09 2001-11-15 AL KARIM CONTRACTING (Australia) PTY LTD A method of forming a web for a structural member
DE60019095D1 (de) * 2000-07-14 2005-05-04 Eurogramco S L Vorrichtung zur Verkleid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9675A (ja) * 1993-04-16 1994-10-25 Nippon Metal Ind Co Ltd 建築用鋼製下地材およびその固定金具
KR20020096811A (ko) * 2001-06-21 2002-12-31 카쓰야 히라오카 패널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218B1 (ko) * 2007-08-22 2008-08-13 백종균 건물의 외벽시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506A (ko) 2006-09-25
WO2005049936A1 (ja) 2005-06-02
CN1882753A (zh) 2006-12-20
JPWO2005049936A1 (ja) 2007-06-07
CN100449089C (zh) 2009-01-07
JP4657926B2 (ja)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1529B1 (ko) 강철재의 장착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립 홈형 강철 및고정 금구
JP5060278B2 (ja) 新設下地材及びその取付構造
JP2013174054A (ja) 屋根上取付具
JP2566470Y2 (ja) 構築用アンカーボルトの固定装置
JPH0849406A (ja) 建築用仮設材支持金具
JP2023101225A (ja) 胴縁固定構造
JP2001317522A (ja) 長孔用ボルト・ナット
JP2000192550A (ja) 軸組部材の接合金物及び接合部構造
JP4494839B2 (ja) 鉄筋又はアンカーボルト固定用のテンプレート
JP2868504B1 (ja) コンクリート壁構造
JPH05179778A (ja) 外装パネル類取付部の平坦面形成方法
JP4218891B2 (ja) Alcパネル取付金具及び該取付金具を用いたalcパネル取付構造
GB2292398A (en) Brickwork cladding support member; adjustable mounting
JP2005068682A (ja) 覆工板の締結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使用方法
JPH06173415A (ja) 外壁用パネル取付金具及びその取付構造
JPH045657Y2 (ko)
JPH0747503Y2 (ja) セグメントの継手構造
JP3044896U (ja) C形鋼材の連結構造
JP2004218323A (ja) バルコニー
JPH0234346Y2 (ko)
GB2289906A (en) Connecting posts (e.g.windposts) to walls
JPS6255318A (ja) H形鋼に板体を取付ける方法
JPH0734976Y2 (ja) 壁パネルの取付金物
JPH1130012A (ja) 雪止め金具の締付固定部
JPH04120880U (ja) 戸または窓のための枠の取付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