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9915B1 -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 Google Patents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9915B1
KR100729915B1 KR1020050060040A KR20050060040A KR100729915B1 KR 100729915 B1 KR100729915 B1 KR 100729915B1 KR 1020050060040 A KR1020050060040 A KR 1020050060040A KR 20050060040 A KR20050060040 A KR 20050060040A KR 100729915 B1 KR100729915 B1 KR 100729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pin
contact portion
switch
movable
pin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0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9839A (ko
Inventor
타카유키 나가타
토루 이마이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9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4Coaxial connector having circuit-interrupting provision effected by mating or having "dead" contact activated after mat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동접편부의 수명성 및 접촉신뢰성을 향상시켜, 종래보다 더욱더 소형, 저배(低背)이고, 간소한 부품구성에 의해 비용도 염가인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에 있어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는 대좌부(臺座部)(11)를 가지는 절연보디(10)와, 납땜접속부를 각각이 가지는 외부도체 셀(30), 고정접속부재(40), 가동접속부재(50)의 4부품으로 구성한다. 가동접속부재(50)는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는 판스프링 형상의 가동접편부(51)를 가지며, 판폭방향이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과 평행으로 되도록 보디 내부에 캔틸레버(cantilever)상태로 수용되고, 자유측단부(54b)는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일부를 옆쪽으로부터 통과해서 고정접점부(41)로 뻗어 형성하여 가동접점부(56)와 동일평면에 플러그 핀 접촉부(57)를 가진다. 상대쪽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에 의해 플러그 핀(100)이 플러그 핀 접촉부에 탄성 접촉하고, 가동접편부가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에 대해서 대략 수직방향으로 변위하여 고정접점부로부터 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COAXIAL CONNECTOR WITH SWITCH}
도 1은 제 1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제 1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절연보디(10)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절연보디(1O)를 상대쪽 커넥터의 끼워맞춤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b)는 평면도, (c)는 오른쪽 측면도, (d)는 저면도, (e)는 정면도에 있어서의 A-A단면도(절연보디(10)를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과 평행인 평면으로 자른 절단면)
도 3은 제 1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외부도체 셀(30)을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외부도체 셀(30)을 상대쪽 커넥터의 끼워맞춤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b)는 평면도, (c)는 오른쪽 측면도
도 4는 제 1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스위치용의 고정접속부재(4O)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고정접속부재(4O)를 상대쪽 커넥터의 끼워맞춤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b)는 평면도, (c)는 오른쪽 측면도
도 5는 제 1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스위치용의 가동접속부재(50)를 표시하는 도면, (a)는 정면도(가동접속부재(50)를 상대쪽 커넥터의 끼워맞춤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b)는 평면도, (c)는 오른쪽 측면도
도 6은 제 1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를 표시하는 도면이 고, (a)는 정면도(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를 상대쪽 커넥터의 끼워맞춤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b)는 평면도, (c)는 오른쪽 측면도, (d)는 저면도
도 7은 도 6의 (c) 오른쪽 측면도에 있어서의 B-B단면도(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보디 본체(12)부를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절단면)을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플러그 핀(1OO)의 미삽입 시의 단면도, (b)는 플러그 핀(100)의 삽입 시의 단면도
도 8은 제 1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를 표시하는 외관사시도
도 9는 제 1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내부를 표시하는 단면사시도
도 10은 플러그 핀(100)의 삽입상태의 제 1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내부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제 2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제 2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절연보디(10')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절연보디(1O')를 상대쪽 커넥터의 끼워맞춤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b)는 평면도, (c)는 오른쪽 측면도, (d)는 저면도, (e)는 정면도에 있어서의 A-A단면도(절연보디(10')를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과 평행인 평면으로 자른 절단면)
도 13은 제 2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외부도체 셀(30')을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외부도체 셀(30')을 상대쪽 커넥터의 끼 워맞춤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b)는 평면도, (c)는 오른쪽 측면도
도 14는 제 2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고정접속부재(40')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고정접속부재(40')를 상대쪽 커넥터의 끼워맞춤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b)는 평면도, (c)는 오른쪽 측면도
도 15는 제 2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가동접속부재(50')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가동접속부재(50')를 상대쪽 커넥터의 끼워맞춤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b)는 평면도, (c)는 오른쪽 측면도
도 16은 제 2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를 상대쪽 커넥터의 끼워맞춤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b)는 평면도, (c)는 오른쪽 측면도, (d)는 저면도
도 17은 도 1 6의 (c) 오른쪽 측면도에 있어서의 B-B단면도(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보디 본체(12')부를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절단면)을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플러그 핀(1OO')의 미삽입 시의 단면도, (b)는 플러그 핀(100')의 삽입 시의 단면도
도 18은 제 2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를 표시하는 외관사시도
도 19는 제 2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내부를 표시하는 단면사시도
도 20은 플러그 핀(100')의 삽입상태의 제 2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내부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21은 제 2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내부를 표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1':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10, 10': 절연보디
11, 11': 대좌부 14, 14': 플러그 핀 삽입구멍
15, 15': 플러그 핀 삽입영역
17a, 18a, 17a': 플러그 핀 삽입 가이드 벽면
30, 30': 외부도체 셀 31, 31': 셀 본체
32a, 32b, 32': 납땜접속부 4O, 4O':고정접속부재
41, 41': 고정접점부 42, 42': 납땜접속부
50, 50': 가동접속부재 51, 51': 가동접편부
51c': 자유측면부 54: 스프링부
54b: 자유측단부 55, 55': 납땜접속부
56, 56': 가동접점부 57, 57': 플러그 핀 접촉부
59, 59': 플러그 핀 끌어들임부 59a': 플러그 핀 끌어들임면
60, 60': 전환스위치
본 발명은, 전자기기, 예를 들면, 휴대전화 등의 통신기기에 사용되어, 상대 쪽 커넥터(동축 케이블의 말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플러그)와의 끼워맞춤에 의해 접점이 전환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스위치 부착 리셉터클)에 관한 것이다.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에서는, 출하 시에 고주파회로의 전기특성을 체크하는 경우에, 그 측정장치에 접속된 상대쪽 커넥터를 끼워맞춤함으로써, 고주파회로를 안테나에서 측정장치로 전환 접속하고, 상대쪽 커넥터를 떼어냄으로써, 다시 고주파회로를 안테나에 접속하도록, 기판에 표면 실장되어 있으며, 휴대전화 등 사용대상기기를 소형화, 박형화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소형화, 저배(低背)화가 요망되고 있다.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의 소형화, 저배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는 판스프링 형상의 가동접편부재의 설계에서 어떤 방법으로 집중응력이 낮고 반복해서 꽂고 빼는 것에 대한 수명성을 향상시킬 것인지가 중요해진다. 종래, 가동접편부재를 단면 S자형상으로 형성함으로서, 스프링 전체길이를 길게 해서 소형이면서 집중응력을 떨어뜨려 수명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이 있었다. 그러나,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으로 스프링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저배화에는 한계가 있다. 또 플러그 핀의 삽입 스트로크에 의해서, 플러그 핀 접촉부의 접점 하중이 변화하기 때문에, 전기적 접속의 안정성이 부족하여, 고주파특성의 측정 등에는 적합하지 않다라는 등의 문제를 구비하고 있었다. 그래서, 가동접편부재를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에 대해서 대략 수직방향으로 변위시켜서 접점을 전환하도록 구성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가 개발되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 288956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개2003-59597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는, 절연보디, 외부도체 셀, 스위치용의 고정접편부재 및 가동접편부재의 4부품 이외에, 프린트 배선기판에 표면 실장하기 위한 납땜접속부를 가지는 서브기판이나 서브기판의 납땜접속부에 대해서 고정접편부재 및 가동접편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중계용 핀 등이 별도의 부품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부품점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부품비용 및 조립비용이 비싸게 치이는 문제가 있다. 또 가동접편부재의 플러그 핀 접촉부가, 가동접편부재의 자유측단부로부터 플러그 핀 삽입영역의 하부쪽을 통과해서 그 측면부에 우뚝 나오도록 L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대쪽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에 수반해서, 플러그 핀이 플러그 핀 접촉부의 우뚝 나온 부분에 접촉하여, 플러그 핀 접촉부 전체가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에 대해서 대략 수직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가동접편부재의 가동접점부가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고정접점부로부터 해리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 핀 삽입영역의 하부쪽에 또한, 플러그 핀 접촉부의 가로방향 부분의 판두께분과, 그 가로방향 부분의 슬라이딩 틈새를 확보할 필요가 있어서, 저배화에는 불리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접편부의 수명성 및 접촉신뢰성을 향상시켜, 종래보 다 더욱더 소형, 저배이고, 간소한 부품 구성에 의해 비용도 염가인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는, 바닥쪽에 대좌부(臺座部)를 일체로 가지고, 상대쪽 커넥터의 플러그 핀을 원통 내부 중심부분에 원통 축심을 따라서 자유롭게 꽂고 빼도록 하는 플러그 핀 삽입구멍이 천정면 중심부분에 형성되는 천정이 붙은 원통형의 절연보디와, 절연보디의 원통 외부쪽에 끼워맞춤되는 원통형의 셀 본체와, 절연보디의 바닥면을 따르도록 셀 본체로부터 일체로 뻗어 형성되는 납땜접속부를 가지는 외부도체 셀과, 절연보디의 원통 내부에서 플러그 핀 삽입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수용 고정되는 고정접점부와, 절연보디의 바닥면을 따르도록 고정접점부로부터 일체로 뻗어 형성되는 납땜접속부를 가지는 스위치용의 고정접속부재와, 판폭방향이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과 평행으로 되도록 절연보디의 원통 내부에서 플러그 핀 삽입영역의 주위에 캔틸레버상태로 수용되는 동시에, 자유측단부가 플러그 핀 삽입영역의 일부를 옆쪽으로부터 통과해서 고정접점부로 뻗어 형성되고, 스프링력에 의해서 고정접점부에 탄성 접촉하는 가동접점부와 동일평면에 플러그 핀 접촉부를 가지는,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는 판스프링 형상의 가동접편부와, 절연보디의 바닥면을 따르도록 가동접편부에서 일체로 뻗어 형성되는 납땜접속부를 가지는 가동접속부재를 구비하고, 상대쪽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에 수반해서, 플러그 핀이 플러그 핀 접촉부에 탄성 접촉하여, 가동접편부가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가동접점부가 고정접점부로부터 이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가, 절연보디, 외부도체 셀, 스위치용의 고정접속부재 및 가동접속부재만으로 구성되고, 즉 이런 종류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로서는 최소부품점수의 4부품으로 구성되고,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의 부품비용 및 조립비용를 저감할 수 있고, 동시에 구조도 간소화할 수 있다.
가동접편부는,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에 대해서 대략 수직방향으로 변위하고, 그 변위량은, 플러그 핀의 외경치수와 플러그 핀 접촉부(접촉면)의 플러그 핀 축심으로부터의 거리치수만으로 확정되어, 플러그 핀의 삽입 스트로크에 의해서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가동접편부가 받는 응력 및 플러그 핀 접촉부의 접촉 하중이 일정하게 되고, 전기적 접속상태가 안정되어, 접촉신뢰성을 향상시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를, 예를 들면, 휴대전화 등에 사용했을 경우, 양호한 고주파특성의 측정환경을 얻을 수 있다.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는 판스프링 형상의 가동접편부는, 판폭방향이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과 평행으로 되도록 절연보디의 원통 내부에서 수용되기 때문에, 적정한 스프링 특성을 얻기 위해서, 가동접편부의 형상을 변화시켜, 스프링길이를 변경하거나,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부림부분의 추가삭제나 구부림 반경을 변경하는 것은, 공간적으로는, 가동접편부의 단면적을 증감하는 것만으로, 공간의 증감이 적은 범위에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접편부의 수명성 및 접촉신뢰성을 향상시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의 더 한층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가동접편부는, 직사각형의 금속박판을 길이방향으로 구부림가공해서 판스프링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만으로, 자유측단부에 플러그 핀 접촉부 및 가동접점부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접속부재의 형상이 간소화되어서 작은 부품가공이 용이하게 실시되어,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의 더 한층의 부품비용 및 조립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플러그 핀 접촉부는, 플러그 핀 삽입영역의 하부쪽을 통과하는 일없이 플러그 핀 삽입영역으로 뻗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플러그 핀의 삽입 스트로크와 동일한 높이의 공간에서도 가동접편부가 수용 가능해져,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의 더 한층의 저배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에서는, 플러그 핀 접촉부의 플러그 핀 삽입측단부에는, 플러그 핀 삽입영역의 외부쪽을 향해 만곡하는 플러그 핀 끌어들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절연보디에는, 그 원통 내부의 플러그 핀 삽입영역을 사이에 두는 대향위치에, 플러그 핀 삽입구멍의 구멍 벽면에서 연속해서 플러그 핀 삽입방향으로 늘어뜨리는 플러그 핀 삽입 가이드 벽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을 채용했을 경우, 플러그 핀은 원통형의 일부가 D 커트된 플러그 핀 삽입 가이드 벽면에 가이드되어서 삽입되기 때문에, 플러그 핀의 축심이 크게 편심하거나, 비스듬하게 삽입되는 일이 없고, 또한 플러그 핀 끌어들임부에 의해서 플러그 핀 접촉부의 접촉면쪽에 플러그 핀이 확실히 미끄럼 접합 삽입되어, 높은 접촉신뢰성과 동시에, 스위치의 확실한 접점 변환 동작을 얻을 수 있 다.
또, 플러그 핀 끌어들임부의 플러그 핀 끌어들임면과 선단부면이 만드는 모서리부분에 모떼기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을 채용했을 경우, 플러그 핀 끌어들임부의 플러그 핀 끌어들임면과 선단부면이 만드는 모서리부분(에지부)이 보디 천정면 부분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동접편부의 보디 천정면 부분과의 간섭에 의한 동작불량을 없애, 높은 접촉신뢰성과 동시에, 스위치의 확실한 접점 전환 동작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가동접편부는, 고정측단부에서 자유측단부에 걸친 모든 부위의 둘레방향 위치가 다른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을 채용했을 경우, 가동접편부의 고정측단부에서 자유측단부에 걸친 부위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중복해서 이간거리가 현저히 접근하여 고주파적으로 간섭하기 쉬운 부위를 없앨 수 있다. 또 가동접편부의 고정측단부에서 자유측단부에 걸친 자유측단부를 제외한 부위에서 반경방향으로 중복해서 플러그 핀 삽입영역에 일부가 파고 들어 플러그 핀을 꽂고 뺄 때에 플러그 핀과 간섭하기 쉬운 부위를 없앨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를 도 1~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 1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는, 절연보디(10), 외부도체 셀(30), 스위치용의 고정접속부재(40) 및 가동접속부재(50)의 4부품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각 부품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제 1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절연보디(1O)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절연보디(1O)를 상대쪽 커넥터의 끼워맞춤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b)는 평면도, (c)는 오른쪽 측면도, (d)는 저면도, (e)는 정면도에 있어서의 A-A단면도(절연보디(10')를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과 평행인 평면으로 자른 절단면)이다. 도 3은 제 1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외부도체 셀(30)을 표시하는 도면이고, (a) 정면도(외부도체 셀(30)을 상대쪽 커넥터의 끼워맞춤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b)는 평면도, (c)는 오른쪽 측면도이다. 도 4는 제 1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고정접속부재(4O)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고정접속부재(4O)를 상대쪽 커넥터의 끼워맞춤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b)는 평면도, (c)는 오른쪽 측면도이다. 도 5는 제 1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가동접속부재(50)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가동접속부재(50)를 상대쪽 커넥터의 끼워맞춤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b)는 평면도, (c)는 오른쪽 측면도이다.
절연보디(10)는, 도 1, 도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성을 지니는 수지재료(예를 들면, 「LCP」)로 이루어지고, 바닥쪽에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대좌부(11)를 일체로 가지는 천정이 붙은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대좌부(11)는, 한 변의 길이가, 원통형의 보디 본체(12)의 외경치수에 외부도체 셀(30)을 형성하는 금속박판의 판두께를 더한 치수, 즉, 외부도체 셀(30)의 셀 본체(31)의 외경치수와 대략 동일한 치수의 정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보디 본체(12)를, 대좌부(11)의 상부면 동심(同心) 위치에 수직으로 일체 형성한다. 원판형상의 보디 천정면부(13)의 중심부분에는, 상대쪽 커넥터의 플러그 핀(100)(도 10 참조.)을, 보디 본체(12)의 내부 중심부분에 보디 본체(12)의 축심을 따라서 자유롭게 꽂고 빼도록 하는 원형의 플러그 핀 삽입구멍(14)이 형성된다. 따라서, 보디 본체(12)의 내부에 있어서의 중심부분에서, 그 축심과 동심의 길쭉한 원기둥 공간이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으로 된다. 플러그 핀 삽입구멍(14)은, 구멍지름이, 보디 천정면부(13)의 외부면으로부터 내부면을 향해서, 즉, 플러그 핀 삽입방향을 향해서 순차적으로 지름이 축소되는 테이퍼구멍에 형성되고, 플러그 핀 삽입구멍(14)이, 플러그 핀(1OO)의 핀지름보다 약간 큰 개구지름으로 보디 천정면부(13)의 내부면에 개구된다. 플러그 핀 삽입구멍(14)의 역원추 사다리꼴 형상의 구멍 벽면이, 플러그 핀(1OO)의 삽입 시의 끌어들임면(14a)이 되어 있다.
보디 본체(12)의 내부에는, 도 7에도 표시하는 바와 같이, 사방이, 대좌부(11)의 3측면과 평행인 평평한 3개의 제 1의 내부측벽(12a), 제 2의 내부측벽(12b), 제 3의 내부측벽(12c)과, 보디 본체(12)의 외주면을 따르는 만곡한 제 4의 내부측벽(12d)으로 둘러싸이고, 천정면이, 중심부분에 플러그 핀 삽입구멍(14)이 형성된 보디 천정면부(13)로 덮이는, 스위치수용실(16)이 형성된다. 스위치수용실(16)은, 대좌부(11)를 관통해서 이 하부면, 즉, 절연보디(10)의 바닥면에 개방되어 있다. 스위치수용실(16)에는, 만곡한 제 4의 내부측벽(12d)과 대향하는 평평한 제 3의 내부측벽(12c)의 폭방향 중앙부분과 플러그 핀 삽입영역(15)과의 사이에, 보디 천정면부(13)로부터 일체로 늘어뜨러져, 한 쪽 단부면이 제 3의 내부측벽(12c)의 폭방향 중앙부분에 일체 연결되고, 다른 쪽 단부면을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을 향하게 하는, 단면 I형의 제 1의 칸막이벽(17)과, 서로 대향하는 평평한 제 1의 내부 측벽(12a)과 제 2의 내부측벽(12b) 중 어느 한 쪽(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의 내부측벽(12b))과 제 1의 칸막이벽(17)과의 사이에서 만곡한 제 4의 내부측벽(12d)과 플러그 삽입영역(15)과의 사이에 걸쳐서, 보디 천정면부(13)로부터 일체로 늘어뜨러져, 한 쪽 단부면이 제 2의 내부측벽(12b)과 제 1의 칸막이벽(17)과의 사이의 제 3의 내부측벽(12c)에 소정의 틈새를 형성해서 대향하고, 다른 쪽 단부면을 제 1의 칸막이벽(17)의 다른 쪽 단부면과 반대쪽으로부터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을 향하게 하는, 단면 J형의 제 2의 칸막이벽(18)이 구비된다. 제 1의 칸막이벽(17)과 제 2의 칸막이벽(18)에 의해서, 제 2의 칸막이벽(18)의 구부림부분을 시점으로 하고, 제 1의 내부측벽(12a)과 제 1의 칸막이벽(17)과의 사이의 제 3의 내부측벽(12c)을 종점으로 하는, 단면 대략 「e」자형의 가동접편수용홈(19)을, 스위치수용실(16)에 있어서의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주위에 형성하는 동시에,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 1의 칸막이벽(17)의 다른 쪽 단부면과 제 2의 칸막이벽(18)의 다른 쪽 단부면을,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외부측면(플러그 핀(100)의 외부측면)을 따르는 원기둥면에 형성하고, 제 1의 칸막이벽(17)의 다른 쪽 단부면과 제 2의 칸막이벽(18)의 다른 쪽 단부면에 의해서,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을 사이에 두는 대향위치에, 플러그 핀 삽입구멍(14)의 구멍 벽면, 즉, 끌어들임면(14a)으로부터 연속해서 플러그 핀 삽입방향으로 늘어뜨리는, 원통형의 일부가 D커트된 플러그 핀 삽입 가이드 벽면(17a, 18a)을, 스위치수용실(16)에 형성하고 있다.
가동접편수용홈(19)은, 제 2의 칸막이벽(18)의 구부림부분에서 시작되어, 플 러그 핀 삽입영역(15)의 바로 외부쪽을 접선형상으로 제 2의 내부측벽(12b)을 따르는 방향으로 제 4의 내부측벽(12d)쪽으로부터 제 3의 내부측벽(12c)쪽을 향하도록, 제 2의 칸막이벽(18)과 제 1의 칸막이벽(17)과의 사이에 직선형상으로 형성되는 내부홈부(19d)와, 내부홈부(19a)의 외부쪽으로부터 일련의 제 2의 내부측벽(12b), 제 4의 내부측벽(12d), 제 1의 내부측벽(12a)을 따라서, 내부홈부(19a)와 반대쪽의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외부쪽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제 2의 칸막이벽(18) 및 제 1의 칸막이벽(17)과 일련의 제 2의 내부측벽(12b), 제 4의 내부측벽(12d), 제 1의 내부측벽(12a)과의 사이에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는 외주홈부(19b)와, 내부홈부(19a)의 마지막단부를 외주홈부(19b)의 시작단부에 접속하도록, 제 2의 내부측벽(12b)의 한 쪽 단부면과 제 3의 내부측벽(12c)과의 사이에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는 반환홈부(19c)를 가진다. 내부홈부(19a)와 반대쪽의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외부쪽으로 돌아 들어가는 외주홈부(19b)의 마지막단부는,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일부를 포함시켜서 접선형상으로 제 4의 내부측벽(12d)쪽으로부터 제 3의 내부측벽(12c)을 향하도록, 제 1의 내부측벽(12a)과 그것에 대향하는 제 2의 칸막이벽(18)의 다른 쪽 단부 및 제 1의 칸막이벽(17)과의 사이에 직선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홈부(19b)의 마지막단부 홈 내부측벽이 중단되는 부분에서, 즉, 제 2의 칸막이벽(18)쪽의 플러그 핀 삽입 가이드 벽면(18a)과 제 1의 칸막이벽(17)쪽의 플러그 핀 삽입 가이드 벽면(17a)과의 사이에서,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일부가 비쭉 나와 있다. 가동접편수용홈(19)은, 내부홈부(19a)가, 가동접속부재(50)를 형성하는 박판 금속의 판두께와 대략 동일한 홈폭으로 형성되어 제일 폭이 좁게 형성되고, 반환홈부(19c)를 거쳐서, 제 2의 내부측벽(12b)을 따르는 외주홈부(19b)의 시작단부까지가, 내부홈부(19a)보다 약간 폭이 넓게 형성되고, 제 4의 내부측벽(12d)을 따라서 만곡하는 외주홈부(19b)의 중간부분에서 순차적으로 홈폭이 확장되어, 내부홈부(19a)와 반대쪽의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외부쪽으로 제 1의 내부측벽을 따라서 돌아 들어가는 외주홈부(19b)의 마지막단부에서 홈폭이 제일 넓은 폭이 되도록 형성된다.
절연보디(10)에는, 고정접속부재(40)의 고정접점수용홈(20)과, 외부도체 셀(30)의 한 쌍의 납땜접속부 수용홈(21a, 21b)과, 고정접속부재(40)의 납땜접속부 수용홈(22)과, 가동접속부재(50)의 납땜접속부 수용홈(23)이 형성된다. 고정접점수용홈(20)은, 외주홈부(19b)의 마지막단부에서, 제 1의 내부측벽(12a)과 대향하고 있는 제 1의 칸막이벽(17)의 벽면에 凹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이외의 납땜접속부 수용홈(21a, 21b, 22, 23)은, 대좌부(11)의 하부면, 즉, 절연보디(10)의 바닥면에 凹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부도체 셀(30)은, 도 1, 도 3, 도 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성의 금속판(예를 들면, 「구리합금」)으로 이루어지고, 보디 본체(12)의 외부쪽에 끼워맞춤되는 원통형의 셀 본체(31)와, 대좌부(11)의 하부면, 즉, 절연보디(10)의 바닥면을 따르도록 셀 본체(31)의 하단부 대칭위치로부터 각각 구부림편부(31a, 31b)를 개재해서 일체로 뻗어 형성되는 한 쌍의 납땜접속부(32a, 32b)를 가지고 있다. 각 납땜접속부(32a, 32b)는, 절연보디(10)에 대한 외부도체 셀(30)의 장착 전은 셀 본체(31)의 하단부 대칭위치로부터 늘어뜨림상태로 뻗어 형성되고, 장착 시에 각각이 내부쪽에 직각으로 절곡되어서, 절연보디(10)의 바닥면에 형성된 각 납땜접속부 수용홈(21a, 21b)에 끼워넣어진다. 각 납땜접속부 수용홈(21a, 21b)은, 깊이가, 각 납땜접속부(32a, 32b)의 판두께보다 약간 얕아서, 각 납땜접속부(32a, 32b)의 하부 표면이, 절연보디(10)의 바닥면으로부터 약간 비쭉 나온 상태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고정접속부재(40)는, 도 1, 도 4, 도 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성의 금속판(예를 들면, 「구리합금」)을 대략 L자형으로 구멍을 뚫은 후, 한 쪽을 다른 쪽에 대해서 직각으로 꺾어 세워(구부림) 가공한 것으로, 절연보디(10)의 고정접점 수용홈(20)에 끼워넣어지고, 스위치수용실(16)에 있어서의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수용 고정되는 고정접점부(41)와, 절연보디(1O)의 바닥면을 따르도록 고정접점부(41)의 하단부로부터 직각으로 일체 뻗어 형성되는 납땜접속부(42)를 가지고 있다. 고정접점 수용홈(20)은, 고정접점부(41)의 금속 표면이, 외주홈부(19b)의 마지막단부에서, 제 1의 내부측벽(12a)과 대향하고 있는 제 1의 칸막이벽(17)의 벽면에 평평한 상태로 노출되도록, 고정접점부(41)를 제 1의 칸막이벽(17)의 벽면에 매입상태로 수용 고정하여, 외주홈부(19b)의 마지막단부 홈 내부측벽을 고정접점부(41)의 금속 표면으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외주홈부(19b)의 마지막단부 홈 내부측벽에 평평한 상태로 노출되는 고정접점부(41)의 금속 표면에는, 고정접점(41a)이 구의 표면 형상으로 부풀어 나와 형성된다. 납땜접속부(42)를 끼워넣는 절연보디(10)의 바닥면의 납땜접속부 수용홈(22)도, 깊이가, 납땜접속부(42)의 판두께보다 약간 얕아서, 납땜접속부(41)의 하부 표면이 절연보디(10)의 바 닥면으로부터 약간 비쭉 나온 상태로, 외부도체 셀(30)의 각 납땜접속부(32a, 32b)의 하부 표면과 동일평면 내에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가동접속부재(50)는, 도 1, 도 5, 도 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성의 금속박판(예를 들면, 「구리합금」)을, 한 쪽의 길이에 비해서 다른 쪽의 길이가 큰폭으로 길어지도록 대략 L자형상으로 구멍을 뚫은 후, 긴 한 쪽을 긴쪽방향을 따라서 구부림가공하는 동시에, 짧은 한 쪽을 긴 한 쪽에 대해서 직각으로 절곡가공한 것으로, 절연보디(10)의 가동접편수용홈(19)에 수용되는 가동접편부(51)와, 절연보디(10)의 바닥면을 따르도록 가동접편부(51)의 고정단부쪽 하단부로부터 직각으로 일체 뻗어 형성되는 납땜접속부(55)를 가지고 있다. 가동접편부(51)는, 길쭉한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박판을 긴쪽방향을 따라서 단면 대략 「e」자형으로 구부림형성한 것으로, 대략 U자형의 외주홈부(19b)에 끼워넣는 대략 U자형의 스프링부(54)와, 스프링부(54)의 일단부로부터 내부쪽으로 접어 구부려진 상태로 연속하여, 내부홈부(19a)에 끼워맞춤 고정되는 고정단부(52)와, 반환홈부(19c)에 끼워넣는 고정단부(52)의 반환부(53)를 가지고, 판폭방향이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과 평행으로 되도록 가동접편수용홈(19)에 의해서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주위에 캔틸레버상태로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고정단부(52)쪽의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외부쪽으로부터 외주홈부(19b)를 통과하여 고정단부(52)와 반대쪽의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외부쪽으로 돌아 들어가는 스프링부(54)는, 자유상태에서, 고정단부(52)에 연속하는 고정측단부(54a)와 그 반대쪽의 자유측단부(54b)와의 간격이, 제 2의 내부측벽(12b)을 따르는 외주홈부(19b)의 시작단부와 제 1의 내주벽(12a)을 따르는 외주홈부(19b)의 마지막단부와의 간격보다,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가동접편수용홈(19)에 가동접편부(51)를 수용했을 때, 외주홈부(19b)의 마지막단부에 끼워넣는 스프링부(54)의 자유측단부(54b)는, 스프링부(54)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일부가 비쭉 나와 있는 외주홈부(19b)의 마지막단부 홈 내부측벽쪽으로 상시 부세되어서,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일부를 옆쪽으로부터 통과해서 고정접점부(41)와 대향하는 위치로 뻗어 형성되는 동시에, 외주홈부(19b)의 마지막단부 중에서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에 대해서 대략 수직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고, 고정접점부(41)의 고정접점(41a)에 탄성 접촉하는 가동접점부(56)와 동일평면에 플러그 핀 접촉부(57)를 가진다. 즉,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일부가 비쭉 나와, 그것으로부터 마지막단부쪽에서 고정접점(41a)이 부풀어 나오는, 외주홈부(19b)의 마지막단부 홈 내부측벽에 대향하여, 그 홈 내부측벽에 대해서 접리(接離) 가능해지는 스프링부(54)의 자유측단부(54b)의 금속 표면에 있어서의, 기초(基)단부에 플러그 핀 접촉부(57)가, 선단부에 가동접점부(56)가 설정된다.
스프링부(54)는, 제 2의 내부측벽(12b)을 따르는 외주홈부(19b)의 시작단부에 끼워넣는 평평한 고정측단부(54a)와, 제 1의 내부측벽(12a)을 따르는 외주홈부(19b)의 마지막단부에 끼워넣는 평평한 자유측단부(54b)와, 만곡한 제 4의 내부측벽(12d)을 따르는 외주홈부(19b)의 중간부분에 끼워넣는 평평한 중간부(51c)와, 고정측단부(54a)와 중간부(54c)를 연결하는 제 1의 구부림부(54d)와, 중간부(54c)와 자유측단부(54b)를 연결하는 제 2의 구부림부(54e)를 가지고, 전체적으로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응력을 2개소의 구부림부(54d, 54e)에 분산시켜서 받도록 스프링 설계되는 동시에, 중간부(54c)에 대한 자유측단부(54b)의 구부림 각도가, 고정측단부(54a)에 대한 중간부(54c)의 구부림 각도보다, 작아지도록(예를 들면, 전자를 예각으로, 후자를 둔각으로 함), 제 1의 구부림부(54d)와 제 2의 구부림부(54e)가 형성되고, 제 1의 구부림부(54d)를 지지점으로 중간부(54c)와 자유측단부(54b)를 일체적으로 탄성 변위시키면서, 자유측단부(54b)를 제 2의 구부림부(54e)를 지지점으로 탄성 변위시키도록 스프링 설계된다.
스프링부(54)에 있어서의 자유측단부(54b)의 기초단부에, 플러그 삽입측단부로 되는 상단부로부터 판폭방향을 따라서 소정 길이의 칼집(58)을 형성하는 동시에, 칼집(58)으로부터 전방의 자유측단부(54b)의 상단부를, 그 전체길이에 걸쳐서, 상단부면이 제 1의 내부측벽(12a)쪽을 향하도록,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외부쪽을 향해 구부림가공하는 것으로, 자유측단부(54b)의 상단부에, 그 전체길이에 걸쳐서, 이 판폭방향을 따라서 외부쪽을 향하여 구부러지는 구부림부를 형성하고, 플러그 핀 접촉부(57)의 플러그 핀 삽입측단부에 연속해서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외부쪽을 향해 만곡하는 구부림부가, 플러그 핀(100)의 삽입 시에,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일부가 비쭉 나와, 그것으로부터 마지막단부쪽에서 고정접점(41a)이 부풀어 나오는, 외주홈부(19b)의 마지막단부 홈 내부측벽에 대향하여, 그 홈 내부측벽에 대해서 접리 가능해지는 자유측단부(54b)의 금속 표면, 즉, 플러그 핀 접촉부(57)의 플러그 핀 접촉면쪽에 플러그 핀(100)을 끌어들이는 플러그 핀 끌어들임부(59)로 되어 있다. 스프링부(54)의 금속박판의 판폭은, 자유측단부(54b)의 판폭이, 플러그 핀 끌어들임부(59)의 구부림을 위해서 필요한 부분, 자유측단부(54b) 이외 의 스프링부(54)의 판폭보다 폭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자유측단부(54b)의 상단부의 높이, 즉, 플러그 핀 끌어들임부(59)의 끌어들임면의 높이가, 자유측단부(54b) 이외의 스프링부(54)의 상단부의 높이보다 내려가는 일없이 고르게 하고 있다.
가동접속부재(50)의 납땜접속부(55)는, 절연보디(10)의 바닥면을 따르도록 가동접편부(51)의 고정단부(52)의 하단부로부터 직각으로 일체 뻗어 형성되어 있으며, 납땜접속부(55)가 끼워넣어지는 절연보디(10)의 바닥면의 납땜접속부 수용홈(23)도, 깊이가 납땜접속부(55)의 판두께보다 약간 얕아서, 납땜접속부(55)의 하부 표면이 절연보디(10)의 바닥면으로부터 약간 비쭉 나온 상태로, 외부도체 셀(30)의 각 납땜접속부(32a, 32b)와 고정접속부재(40)의 납땜접속부(42)의 하부 표면과 동일평면 내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다음에,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조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는, 상기의 절연보디(10), 외부도체 셀(30), 고정접속부재(40) 및 가동접속부재(50)의 4부품만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절연보디(10)에 대한 외부도체 셀(30)의 장착공정과, 동일한 절연보디(1O)에 대한 고정접속부재(4O)의 장착공정과, 동일한 절연보디(10)에 대한 가동접속부재(50)의 장착공정의, 3공정에 의해, 도 6 내지 도 10에 표시하는 상태로 조립할 수 있다. 도 6은 제 1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를 상대쪽 커넥터의 끼워맞춤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b)는 평면도, (c)는 오른쪽 측면도, (d)는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c) 오른쪽 측면도에 있어서의 B-B단면도(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보디 본체(12) 부분을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절단면)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플러그 핀(1OO)의 미삽입 시의 단면도, (b)는 플러그 핀(1OO)의 삽입 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제 1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를 표시하는 외관사시도이다. 도 9는 제 1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내부를 표시하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10은 플러그 핀(100)의 삽입상태의 제 1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내부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절연보디(10)에 대한 외부도체 셀(30)의 장착은, 한 쌍의 납땜접속부(32a, 32b)가 하단부 대칭위치로부터 늘어뜨림상태로 뻗어 형성되어 있는 상태의 셀 본체(31)를, 보디 본체(12)의 외부쪽에 끼워맞춤한 후, 각 납땜접속부(32a, 32b)를 절연보디(10)의 바닥면을 따르도록 구부림가공하고, 각 납땜접속부(32a, 32b)를 절연보디(10)의 바닥면에 형성된 각 납땜접속부 수용홈(21a, 21b)에 끼워넣음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절연보디(1O)에 대한 고정접속부재(40)의 장착은, 고정접점부(41)를, 절연보디(10)에 있어서의 가동접편수용홈(19)의 외주홈부(19b)의 마지막단부에서, 제 1의 내부측벽(12a)과 대향하고 있는 제 1의 칸막이벽(17)의 벽면에 凹형상으로 형성된 고정접점수용홈(20)에, 절연보디(10)의 바닥쪽으로부터 압입 고정하고, 납땜접속부(42)를 절연보디(10)의 바닥면에 형성된 납땜접속부 수용홈(22)에 끼워넣음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절연보디(10)에 대한 가동접속부재(50)의 장착은, 가동접편부(51)를, 이 판폭방향이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과 평행으로 되도록, 절연보디(10)에 있어서의 가동접편수용홈(19)에, 절연보디(10)의 바닥쪽으로부터 끼워넣고, 납땜접속부(55)를 절연보디(10)의 바닥면에 형성된 납땜접속부 수용홈(23)에 끼워넣음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그런데, 이 공정에서는, 가동접편부(51)의 스프링부(54)에 있어서의 자유측단부(54b)의 상단부분에, 이 전체길이에 걸쳐서, 형성된 구부림부, 즉, 플러그 핀 끌어들임부(59)가, 스프링부(54)의 자유측단부(54b)를, 가동접편수용홈(19)의 외주홈부(19b)에 있어서의 마지막단부에 끼워넣을 때의, 스프링 확장 가이드로서 기능하여, 스프링부(54)를 자유상태로부터 외주홈부(19b)에 끼워넣을 수 있기 때문에, 가동접편부(51)의 가동접편수용홈(19)에의 끼워넣음이, 원활하고 또한,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어서, 가동접속부재(50)의 장착공정을 간이화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조립을 간이화할 수 있다. 또한, 가동접속부재(50)의 장착 시에, 가동접편부(51)의 스프링부(54)를 강제적으로 확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프링부(54)의 강제 확장에 의해 발생하는 가동접편부(51)의 스프링 특성의 변화, 열악화, 소실을 없앨 수 있어서,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3공정의 순서는, 어느 공정이 먼저이든 나중이든,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는 조립할 수 있지만, 절연보디(10)에 대한 가동접속부재(50)의 장착공정보다 나중에, 절연보디(1O)에 대한 고정접속부재(40)의 장착공정을 실시하면, 가동접속부재(50)의 가동접편부(51)가, 고정접속부재(40)의 고정접점부(41)를 고정접점수용홈(20)에 압입할 때의 방해가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절연보디(10)에 대한 가동접속부재(50)의 장착공정보다 전에, 절연보디(1O)에 대한 고정접속부재(40)의 장착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3공정으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를 조립하면, 도 6 내지 도 10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보디(10)의 보디 본체(12) 외부쪽에는 외부도체 셀(30)의 셀 본체(31)가 끼워맞춤되고, 또 절연보디(10)의 천정면부(13) 중심부분에 형성된 플러그 핀 삽입구멍(14)에 의해서 절연보디(10)의 외부쪽에 연통하고 있는 보디 본체(12)의 내부 스위치수용실(16)에는, 고정접점수용홈(20)에 수용된 고정접속부재(40)의 고정접점부(41)와 가동접편수용홈(19)에 수용된 가동접속부재(50)의 가동접편부(51)에 의해서 구성된 정상폐쇄(normally closed)의 전환스위치(60)가 수용되고, 또한 절연보디(10)의 대좌부(11)의 하부면, 즉, 절연보디(10)의 바닥면에는, 외부도체 셀(30)의 각 납땜접속부(32a, 32b)와, 고정접속부재(40)의 납땜접속부(42)와, 가동접속부재(50)의 납땜접속부(55)가, 각각 떼어져 비접촉상태에서, 각각의 하부 표면이 절연보디(10)의 바닥면으로부터 약간 비쭉 나온 상태로, 절연보디(10)의 바닥면과 평행하는 1평면 내에서 노출된다. 이것에 의해, 정상폐쇄의 전환스위치(60)를 내장하는 표면실장타입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를 얻을 수 있다.
전환스위치(60)의 고정접점부(41)는, 고정접점수용홈(20)에 수용됨으로써, 고정접점(41a)이 구면형상으로 부풀어 나와 형성된 고정접점부(41)의 금속 표면이, 가동접편수용홈(19)의 외주홈부(19b)의 마지막단부에서, 제 1의 내부측벽(12a)과 대향하고 있는 제 1의 칸막이벽(17)의 벽면에 평평한 상태로 노출되고, 외주홈부(19b)의 마지막단부 홈 내부측벽을 금속 표면에 구성하는 동시에, 그 금속 표면으로부터 외주홈부(19b)에 고정접점(41a)을 돌출시킨다. 한편, 전환스위치(60)의 가동접편부(51)는, 가동접편수용홈(19)에 수용됨으로써, 가동접편부(1)의 고정단부(52)가 가동접편수용홈(19)의 내부홈부(19a)에 끼워맞춤 고정되어서, 고정단부(52)로부터 반환부(53)를 개재해서 연속하는 가동접편부(51)의 스프링부(54)가, 그 판폭방향이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과 평행으로 되는 상태에서, 가동접편수용홈(19)의 외주홈부(19b)에 끼워넣어,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주위에 캔틸레버상태로 지지되고, 스프링부(54)의 자유측단부(54b)가, 고정단부(52)와 반대쪽의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외부쪽으로 돌아 들어가, 스프링부(54)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일부가 비쭉 나와 있는 외주홈부(19b)의 마지막단부 홈 내부측벽쪽으로 상시 부세되어서,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일부를 옆쪽으로부터 통과해서 고정접점부(41)와 대향하는 위치로 뻗어 형성되고, 자유측단부(54b)의 선단부로 설정된 가동접점부(56)가, 자유측단부(54b)의 기초단부로 설정된 플러그 핀 접촉부(57)를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일부에 비집고 들어가게 한 상태에서, 고정접점부(41)의 고정접점(41a)에 탄성 접촉한다. 이와 같은 고정접점부(41)와 가동접편부(51)에 의해서, 보디 본체(12)의 내부 스위치수용실(16)에, 정상폐쇄의 전환스위치(60)가 구성되어 내장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해서 얻어진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는, 절연보디(10)의 바닥면을 실장대상의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배선기판의 실장면에 접합시키도록, 프린트 배선기판 위에 표면 실장함으로써, 절연보디(10)의 바닥면에 노출된 외부도체 셀(30)의 각 납땜접속부(32a, 32b)와, 고정접속부재(40)의 납땜접속부(42)와, 가동접속부재(50)의 납땜접속부(55)가, 프린트 배선기판의 대응하는 패턴에 납땜접속된 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부도체 셀(30)의 각 납땜접속부(32a, 32b)를 프린트 배선기판의 접지패턴에 전기 접속하고, 고정접속부재(40)의 납땜접속부(42)를 프린트 배선기판의 패턴을 개재해서 휴대전화의 안테나에 전기 접속하며, 가동접속부재(50)의 납땜접속부(55)를 휴대전화의 고주파회로에 전기 접속하고,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를, 그 전환스위치(60)가, 휴대전화의 고주파회로와 안테나와의 사이에 조립되도록, 휴대전화의 프린트 배선기판에 표면 실장하는 것으로 하고, 이어서,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 경우의 상대쪽 커넥터는, 고주파회로의 전기특성을 체크하는 측정장치에 접속된 측정용 프로브이며, 주지와 같이, 플러그 핀(100)을, 도시하지 않은 원통형의 외부도체의 중심에 구비한 것이다.
도 7의 (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는, 상대쪽 커넥터의 끼워맞춤 전에서 플러그 핀(100)의 미삽입 시에는, 가동접속부재(50)의 가동접점부(56)가, 스프링부(54)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고정접점부재(40)의 고정접점(41a)에 탄성 접촉하고, 이들 접속부재(50, 4O)와 프린트 배선기판의 패턴을 개재해서, 고주파회로와 안테나를 전기 접속하고 있다.
상대쪽 커넥터를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에 끼워맞춤하면, 이 끼워맞춤에 수반해서, 도 7의 (b), 도 9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핀(1OO)이, 플러그 삽입구멍(14)으로부터 끌어들임면(14a) 및 플러그 핀 삽입 가이드 벽면(17a, 18a)에 의해 가이드되어서, 보디 본체(12)의 내부 중심부분의 플러그 삽입영역(15)과 보디 본체(12)의 축심을 따라서 삽입된다. 이 삽입과정에서, 플러그 핀(100)의 구형상 선단부면과 플러그 핀 끌어들임부(59)의 롤형상 표면이 미끄럼 접합하여, 플러그 핀 접촉부(57)를 플러그 핀 삽입영역(15)(플러그 핀(100))의 반경방향 외부쪽으로 밀어 젖히도록, 플러그 핀 접촉부(57)를 스프링부(54)의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플러그 핀(100)은, 플러그 핀 접촉부(57)의 플러그 핀 접촉면쪽에 미끄럼 접합 상태로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서, 플러그 핀 접촉부(57)가 플러그 핀(100)의 외부측면에 탄성 접촉하는 동시에, 이 플러그 핀 접촉부(57)와 동일평면 위에 설정되어 있는 가동접점부(56)가 고정접점부(40)의 고정접점(41a)으로부터 이반하고, 고주파회로가 플러그 핀(100)을 개재해서 안테나에서 측정장치로 전환 접속된다.
가동접편부(51)의 스프링부(54)는, 스위치수용실(16)의 가장 외부쪽에 형성되는 외주홈부(19b)를 통과하여, 고정단부(52)쪽의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외부쪽으로부터 고정단부(52)와 반대쪽의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외부쪽으로 돌아 들어가기 때문에, 충분한 스프링길이를 가지며, 또한, 스프링부(54)는, 제 1의 구부림부(54d)와 제 2의 구부림부(54e)를 가지고, 응력을 2개소의 구부림부(54d, 54e)에 분산시켜서 받도록 스프링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큰 구부림 모멘트를 일으키는 일이 없고, 플러그 핀(100)을 반복해서 꽂고 빼는 것에 대한 스프링 특성의 열악화가 일어나기 어려워, 플러그 핀(100)을 반복해서 꽂고 빼는 것에 대한 수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플러그 핀 접촉부(57)와 가동접점부(56)가, 스프링부(54)에 있어서의 판폭방향이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과 평행한 자유측단부(54b)의 동일평면 위에 설정되고, 또한, 플러그 핀 접촉부(57)가 자유측단부(54b)의 기초단부쪽에 설정되고, 가동접점부(56)가 자유측단부(54b)의 선단부쪽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 핀 접촉부(57)와 가동접점부(56)와의 변위량은 1대 1은 아니고, 플러그 핀 접촉부(57)의 변위량에 비해서 가동접점부(56)의 변위량이 커진다. 이 때문에, 전환스위치(60)의 확실한 접점 전환 동작을 얻을 수 있다. 반대로 말하면, 전환스위치(60)의 접점 전환 동작에 필요한 가동접점부(56)의 변위량이, 그 변위량보다도 적은 플러그 핀 접촉부(57)의 변위량에 의해서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프링부(54)의 탄성변위량을 작게 할 수 있어, 가동접편부(51)의 수명성의 향상과 동시에,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소형화에도 유효해진다.
상대쪽 커넥터를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로부터 떼어내면, 플러그 핀(100)이 절연보디(10)의 보디 본체(12)의 내부 스위치수용실(13)로부터 뽑아 제거되어, 플러그 핀 접촉부(57)와 플러그 핀(100)과의 접촉이 끊어지는 동시에, 스프링부(54)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가동접점부(56)가, 다시 고정접점부(41)의 고정접점(41a)에 탄성 접촉하고, 플러그 핀 접촉부(57)가,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일부에 비집고 들어가는 위치에 탄성 복귀하여, 고주파회로가 안테나에 전기 접속된다.
이상과 같이,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는, 바닥쪽에 대좌부(11)를 일체로 가지고, 상대쪽 커넥터의 플러그 핀(100)을 원통 내부 중심부분에 원통 축심을 따라서 자유롭게 꽂고 빼도록 하는 플러그 핀 삽입구멍(14)이 천정면 중심부분에 형성된 천정이 붙은 원통형의 절연보디(1O)와, 절연보디(10)의 원통 외부쪽에 끼워맞춤되는 원통형의 셀 본체(31)와, 절연보디(10)의 바닥면을 따르도록 셀 본체(31)로부터 일체로 뻗어 형성되는 납땜접속부(32a, 32b)를 가지는 외부도체 셀(30)과, 절연보디(10)의 원통 내부에서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수용 고정되는 고정접점부(41)와, 절연보디(1O)의 바닥면을 따르도록 고정접점부(41)로부터 일체로 뻗어 형성되는 납땜접속부(42)를 가지는 스위치용의 고정접속부재(40)와, 판폭방향이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과 평행으로 되도록 절연보디(10)의 원통 내부에서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주위에 캔틸레버상태로 수용되는 동시에, 자유측단부(54b)가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일부를 옆쪽으로부터 통과해서 고정접점부(41)로 뻗어 형성되고, 스프링력에 의해서 고정접점부(41)에 탄성 접촉하는 가동접점부(56)와 동일평면 위에 플러그 핀 접촉부(57)를 가지는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는 판스프링 형상의 가동접편부(51)와, 절연보디(10)의 바닥면을 따르도록 가동접편부(51)로부터 일체로 뻗어 형성되는 납땜접속부(55)를 가지는 가동접속부재(50)를 구비하고, 상대쪽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에 수반해서, 플러그 핀(100)이 플러그 핀 접촉부(57)에 탄성 접촉하고, 가동접편부(51)가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에 대해서 대략 수직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가동접점부(56)가 고정접점부(41)로부터 이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가, 절연보디(10), 외부도체 셀(30), 스위치용의 고정접속부재(40) 및 가동접속부재(50)만으로 구성되고, 즉, 이런 종류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로서는 최소 부품점수의 4부품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부품비용 및 조립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고, 동시에 구조도 간소화할 수 있다.
가동접편부(51)는,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에 대해서 대략 수직방향으로 변위하고, 그 변위량은, 플러그 핀(100)의 외경치수와 플러그 핀 접촉부(57)(접촉면)의 플러그 핀(100) 축심으로부터의 거리치수만으로 확정되어, 플러그 핀(100)의 삽입 스트로크에 의해서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가동접편부(51)가 받는 응력 및 플러그 핀 접촉부(57)의 접촉 하중이 일정하게 되어서, 전기적 접속상태가 안정되고, 접촉신뢰성을 향상시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를, 본 실시형태와 같이 휴대전화 등에 사용했을 경우에, 양호한 고주파특성의 측정환경을 얻을 수 있다.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는 판스프링 형상의 가동접편부(51)는, 판폭방향이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과 평행으로 되도록 절연보디(10)의 원통 내부에서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주위에 캔틸레버상태로 수용되기 때문에, 적정한 스프링 특성을 얻기 위해, 가동접편부(51)의 형상을 변화시켜서, 스프링 길이를 변경하거나,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부림부의 추가삭제나 구부림 반경을 변경하는 것은, 공간적으로는, 가동접편부(51)의 단면적을 증감하는 것만으로, 공간의 증감이 적은 범위에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접편부(51)의 수명성 및 접촉신뢰성을 향상시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더 한층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가동접편부(51)는, 직사각형의 금속박판을 길이방향으로 구부림가공해서 판스프링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만으로, 자유측단부에 플러그 핀 접촉부(57) 및 가동접점부(56)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접속부재(50)의 형상이 간소화되어서 작은 부품가공이 용이하게 실시되어,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더 한층의 부품비용 및 조립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플러그 핀 접촉부(57)는,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하부쪽을 통과하는 일없이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으로 뻗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플러그 핀(100)의 삽입 스트로크와 동일한 높이의 공간에서도 가동접편부(51)가 수용 가능해져,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더 한층의 저배화를 실현할 수 있다.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에 있어서, 플러그 핀 접촉부(57)의 플러그 핀 삽입측단부에는,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외부쪽을 향해 만곡하는 플러그 핀 끌어들임부(59)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절연보디(10)에는, 그 원통 내부의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을 사이에 두는 대향위치에, 플러그 핀 삽입구멍(14)의 구멍 벽면으로부터 연속해서 플러그 핀 삽입방향으로 늘어뜨리는 플러그 핀 삽입 가이드 벽면(17a, 18a)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러그 핀(100)은 원통형의 일부가 D커트된 플러그 핀 삽입 가이드 벽면(17a, 18a)에 가이드되어서 삽입되기 때문에, 플러그 핀(100)의 축심이 크게 편심하거나, 비스듬하게 삽입되는 일이 없고, 또한 플러그 핀 끌어들임부(59)에 의해서 플러그 핀 접촉부(57)의 접촉면쪽에 플러그 핀(100)이 확실히 미끄럼 접합 삽입되어, 높은 접촉신뢰성과 동시에, 전환스위치(60)의 확실한 접점 전환 동작을 얻을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형태를 도 11~도 2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제 2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는, 절연보디(10'), 외부도체 셀(30'), 스위치용의 고정접속부재(40') 및 가동접속부재(50')의 4부품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각 부품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제 2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절연보디(1O')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절연보디(1O')를 상대쪽 커넥터의 끼워맞춤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b)는 평면도, (c)는 오른쪽 측면도, (d)는 저면도, (e)는 정면도에 있어서의 A-A단면도(절연보디(10')를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과 평행인 평면으로 자른 절단면)이다. 도 13은 제 2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외부도체 셀(30')을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외부도체 셀(30')을 상대쪽 커넥터의 끼워맞춤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b)는 평면도, (c)는 오른쪽 측면도이다. 도 14는 제 2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고정접속부재(40')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고정접속부재(4O')를 상대쪽 커넥터의 끼워맞춤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b)는 평면도, (c)는 오른쪽 측면도이다. 도 15는 제 2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가동접속부재(50')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가동접속부재(50')를 상대쪽 커넥터의 끼워맞춤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b)는 평면도, (c)는 오른쪽 측면도이다.
절연보디(10')는, 도 11, 도 1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성을 지니는 수지재료(예를 들면, 「LCP」)로 이루어지고, 바닥쪽에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대좌부(11')를 일체로 가지는 천정이 붙은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대좌부(11')는, 한 변의 길이가, 원통형의 보디 본체(12')의 외경치수에 외부도체 셀(30')을 형성하는 금속박판의 판두께를 더한 치수, 즉, 외부도체 셀(30')의 셀 본체(31')의 외경치수와 대략 동일한 치수의 정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보디 본체(12')를, 대좌부(11')의 상부면 동심위치에 수직으로 일체 형성한다. 보디 본체(12')로부터 크게 비쭉 나온 대좌부(11')의 4개의 모서리부분은 떨어뜨려져 있다(모떼기되어 있음). 원판형상의 보디 천정면부(13')의 중심부분에는, 상대쪽 커넥터의 플러그 핀(100')(도 20 참조)을, 보디 본체(12')의 내부 중심부분에 보디 본체(12')의 축심을 따라서 자유롭게 꽂고 빼도록 하는 원형의 플러그 핀 삽입구멍(14')이 형성된다. 따라서, 보디 본체(12')의 내부에 있어서의 중심부분에서, 그 축심과 동심의 길쭉한 원기둥 공간이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으로 된다. 플러그 핀 삽입구멍(14')은, 구멍지름이, 보디 천정면부(13')의 외부면으로부터 내부면을 향해서, 즉, 플러그 핀 삽입방향을 향해서 순차적으로 지름이 축소되는 테이퍼구멍으로 형성되고, 플러그 핀 삽입구멍(14')이, 플러그 핀(100')의 핀지름보다 약간 큰 개구지름으로 보디 천정면부(13')의 내부면에 개구된다. 플러그 핀 삽입구멍(14')의 역원추 사다리꼴 형상의 구멍 벽면이, 플러그 핀(1OO')의 삽입 시의 끌어들임면(14a')이 되어 있다.
보디 본체(12')의 내부에는, 도 17에도 표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주위에 단면 대략 「c」자형의 스위치수용실(16')을 형성하도록, 보디 본체(12')의 내부측벽(1) 개소로부터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을 포함하는 보디 본체(12)의 내부 중앙부분에 캔틸레버상태로 돌출하는 칸막이벽(17')이, 보디 천정면부(13')로부터 일체로 늘어뜨려진다. 칸막이벽(17')은, 선단부의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에 대응하는 부분을 원기둥면에서 절흔하고, 보디 본체(12')의 내부에 있어서의 중심부분에, 플러그 핀 삽입영역(15'), 즉, 보디 본체(12')의 축심과 동심의 길쭉한 원기둥 공간을 형성한다. 또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을 둘러싸는 칸막이벽 (17') 선단부의 원기둥형상의 절흔면이, 플러그 핀 삽입구멍(14')의 구멍 벽면, 즉, 끌어들임면(14a')으로부터 연속해서 플러그 핀 삽입방향으로 늘어뜨리는, 플러그 핀 삽입 가이드 벽면(17a)이 되어 있다. 그와 동시에, 보디 본체(12')의 내부에는, 칸막이벽(17')을 개재해서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주위에 단면 대략 「c」자형의 스위치수용실(16')이 형성된다. 플러그 핀 삽입영역(15') 및 스위치수용실(16')은, 대좌부(11')를 관통해서 이 하부면, 즉, 절연보디(10')의 바닥면에 개방되어 있다. 스위치수용실(16')은, 그 대략 전역을 차지하는 단면 대략 「c」자형의 가동접편수용홈(19')과, 그 가동접편수용홈(19')의 일단부에 연속 형성하는 고정접점수용홈(20')을 가지고 있다.
가동접편수용홈(19')은, 가동접속부재(50')를 형성하는 박판금속의 판두께와 대략 동일한 홈폭으로 형성되어서 가장 폭이 좁은 시작단부(19a')와, 그 시작단부(19a')에 연속 형성되어, 순차적으로 홈폭이 확장되는 중간부(19b')와, 그 중간부(19b')에 연속 형성되어 홈폭이 가장 폭이 넓어지는 마지막단부(19c')를 가지고, 그 마지막단부(19c')에 고정접점수용홈(20')이 연속 형성된다. 또 가동접편수용홈(19')은, 그 마지막단부(19c')의 일부분이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일부분에 중복되도록,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주위로 편심한 위치에 형성되고, 플러그 핀 삽입영역(15')과 가동접편수용홈(19')과의 중복부분에서 칸막이벽(17')이 부서져 서로 연통하고 있다.
절연보디(10')에는, 외부도체 셀(30')의 납땜접속부 삽입통과구멍(21a') 및 납땜접속부 수용홈(21b')과, 고정접속부재(40')의 납땜접속부 수용홈(22')과, 가동 접속부재(50')의 납땜접속부 수용홈(23')이 형성된다. 외부도체 셀(30')의 납땜접속부 삽입통과구멍(21a')은, 대좌부(11')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이며, 대좌부(11')의 각 각락(角落, stop log) 단부면과 평행으로 보디 본체(12')의 주위 4개소에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그 이외의 납땜접속부 수용홈(21b', 22', 23')은, 대좌부(11')의 하부면, 즉, 절연보디(10')의 바닥면에 凹형상으로 형성한다. 외부도체 셀(30')의 납땜접속부 수용홈(21b')은, 납땜접속부 삽입통과구멍(21a')의 하단부 개구부로부터 대좌부(11')의 각 각락 단부에 걸쳐서 형성하고, 고정접속부재(4O')의 납땜접속부 수용홈(22')은, 가동접편수용홈(19')의 마지막단부(19c')의 하단부 개구부로부터 그 외부쪽의 대좌부(11')의 한 쪽 단부 중간부분에 걸쳐서 형성하고, 가동접속부재(50')의 납땜접속부 수용홈(23')은, 가동접편수용홈(19')의 시작단부(19a')의 하단부 개구부로부터 그 외부쪽의 대좌부(11')의 한 쪽 단부 중간부분에 걸쳐서 형성하고 있다.
외부도체 셀(30')은, 도 11, 도 13, 도 1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성의 금속판(예를 들면, 「구리합금」)으로 이루어지고, 보디 본체(12')의 외부쪽에 끼워맞춤되는 원통형의 셀 본체(31')와, 대좌부(11')의 하부면, 즉, 절연보디(10')의 바닥면을 따르도록 셀 본체(31')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일체로 뻗어 형성되는 4개의 L자형의 납땜접속부(32')를 가지고 있다. 각 납땜접속부(32')는, 절연 보디(10')에 대한 외부도체 셀(30')의 장착 전은 셀 본체(31')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하향으로 뻗어나가는 상태에서 일체로 뻗어 형성되고, 장착 시에 대좌부(11')의 상부면쪽에서 하부면쪽으로 각 납땜접속부 삽입통과구멍(21a')을 개재해서 삽입통 과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삽입통과 후에 대좌부(11')의 하부면쪽으로 돌출하는 각 납땜접속부(32')를 보디 본체(12')의 지름방향 외부쪽으로 구부림가공함으로서, L자형의 각 납땜접속부(32')의 절곡부로부터 전방의 수평부분을, 그 기초부(基部)를 절연보디(10')의 바닥면 각 각락부분에 형성된 각 납땜접속부 수용홈(21b')에 끼워넣는 동시에, 선단부를 절연보디(10')의 바닥면 각 각락영역에 돌출한 상태에서, 절연보디(10')의 바닥면을 따르게 하고 있다. 각 납땜접속부 수용홈(21b')은, 깊이가, 각 납땜접속부(32')의 판두께보다 약간 얕아서, L자형의 각 납땜접속부(32')의 절곡부보다 전방의 수평부분 하부 표면이, 절연보디(10')의 바닥면으로부터 약간 비쭉 나온 상태로 노출하도록 형성된다.
고정접속부재(40')는, 도 11, 도 14, 도 1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성의 금속판(예를 들면, 「구리합금」)을 소정형상으로 구멍을 뚫은 후, 일단부쪽을 직각으로 꺾어 세워(구부림) 가공한 것으로, 절연보디(10')의 고정접점수용홈(20')에 끼워넣어지고, 스위치수용실(16')에 있어서의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수용 고정되는 고정접점부(41')와, 절연보디(1O')의 바닥면을 따르도록 고정접점부(41')의 하단부로부터 직각으로 일체로 뻗어 형성되는 납땜접속부(42')를 가지고 있다. 고정접점수용홈(20')은, 고정접점부(41')의 금속 표면이, 가동접편수용홈(19')의 마지막단부(19c')의 마지막단부 벽면에 평평한 상태로 노출하도록, 그 벽면에 매입상태로 수용 고정하고, 가동접편수용홈(19')의 마지막단부(19c')의 마지막단부 벽면을 고정접점부(41')의 금속 표면으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가동접편수용홈(19')의 마지막단부(19c')의 마지막단부 벽면에 평평한 상태로 노출하는 고정접점부(41')의 금속 표면에는, 고정접점(41a')이 구면형상으로 부풀어 나와 형성된다. 고정접속부재(40')의 납땜접속부(42')를 끼워넣는 절연보디(10')의 바닥면의 납땜접속부 수용홈(22')도, 깊이가, 납땜접속부(42')의 판두께보다 약간 얕아서, 납땜접속부(41')의 하부 표면이 절연보디(1O')의 바닥면으로부터 약간 비쭉 나온 상태로, 외부도체 셀(30')의 각 납땜접속부(32')의 하부 표면과 동일평면 내에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가동접속부재(50')는, 도 11, 도 15, 도 1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성의 금속박판(예를 들면, 「구리합금」)을, 소정형상으로 구멍을 뚫은 후, 구부림가공한 것으로, 절연보디(10')의 가동접편수용홈(19')에 수용되는 판스프링인 가동접편부(51')와, 절연보디(10')의 바닥면을 따르도록 가동접편부(51')의 고정측부(51a') 하단부로부터 직각으로 일체로 뻗어 형성되는 납땜접속부(55')를 가지고 있다. 가동접편부(51')는, 그 고정측단부에서 자유측단부에 걸친 모든 부위의 둘레방향 위치가 다르도록, 길쭉한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박판을 길이방향을 따라서 대략 「c」자형으로 구부림형성한 것으로, 가동접편수용홈(19')의 시작단부(19a')에 끼워맞춤 고정되는 고정측부(51a')와, 가동접편수용홈(19')의 중간부(19b')에 끼워넣는 암부(51b')와, 가동접편수용홈(19')의 마지막단부(19c')에 끼워넣는 자유측부(51c)와, 고정측부(51a')와 암부(51b')를 연결하는 제 1의 구부림부(51d')와, 암부(51b')와 자유측부(51c')를 연결하는 제 2의 구부림부(51e')를 가지고, 판폭방향이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과 평행으로 되도록 가동접편수용홈(19')에 의해서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주위에 캔틸레버상태로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 가동접편부(51')는, 가동접편수용홈(19')에 수용했을 때, 자유측부(51c')의 단부가, 고정측부(51a')로부터 전방의 각 부위(51d', 51b', 51e', 51b')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고정접점부(41')의 고정접점(41a')에 맞닿고, 자유측부(51c')의 중간부분이, 플러그 핀 삽입영역(15')과 가동접편수용홈(19')의 마지막단부(19c')와의 중복부분을 통과하는, 플러그 핀(100')의 미삽입 시의 상태와, 자유측부(51c')의 중간부분이,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외부쪽을 통과하여, 자유측부(51c')의 단부가, 고정접점부(41')의 고정접점(41a')으로부터 이반하는, 플러그 핀(10O')의 삽입 시의 상태에, 고정측부(51a')로부터 전방의 각 부위(51d', 51b', 51e', 51b')가, 가동접편수용홈(19')의 중간부(19b')로부터 마지막단부(19c') 중에서,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에 대해서 대략 수직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해져, 고정접점부(41')의 고정접점(41a')에 탄성 접촉하는 자유측부(51c')의 단부가 가동접점부(56')로 되고, 플러그 핀 삽입영역(15')과 가동접편수용홈(19')의 마지막단부(19c')와의 중복부분을 통과하는 자유측부(51c')의 중간부분이 플러그 핀 접촉부(57')로 된다. 즉, 가동접편부(51')의 자유측부(51c')에 있어서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동일평면 위에, 가동접점부(56')와 플러그 핀 접촉부(57')가 설정된다.
가동접편부(51')는, 응력을 2개소의 제 1의 구부림부(51d')와 제 2의 구부림부(51e')에 분산시켜서 받도록 스프링 설계되는 것으로, 암부(51b')에 대한 자유측부(51c')의 구부림 각도가, 고정측부(51a')에 대한 암부(51b')의 구부림 각도보다, 작아지도록(예를 들면, 전자를 예각에, 후자를 둔각으로 함), 제 1의 구부림부(51d')와 제 2의 구부림부(51e')가 형성되고, 제 1의 구부림부(51d')를 지지점으로 암부(51b')와 자유측부(51c')를 일체적으로 탄성 변위시키면서, 자유측부(51c')를 제 2의 구부림부(51e')를 지지점으로 탄성 변위시키도록 스프링 설계된다.
가동접편부(51')에 있어서의 자유측부(51c')의 중간부분, 즉, 플러그 핀 접촉부(57')의 플러그 삽입측단부가 되는 상단부에는, 플러그 핀(100')을 플러그 핀 접촉부(57')의 플러그 핀 접촉면쪽으로 끌어들이기 위해서,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외부쪽을 향해 만곡하는 플러그 핀 끌어들임부(59')가 연속해서 형성된다. 도 21에도 표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핀 끌어들임부(59')는, 그 플러그 핀 끌어들임면(59a')의 상단부가 보디 천정면부(13')에 미끄럼 접합하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플러그 핀 끌어들임면(59a')과 선단부면이 만드는 모서리부분에 모떼기(59b')를 실시하고 있다.
가동접속부재(50')의 납땜접속부(55')는, 절연보디(10')의 바닥면을 따르도록 가동접편부(51')의 고정측부(51a')의 하단부로부터 직각으로 일체로 뻗어 형성되어 있으며, 납땜접속부(55')가 끼워넣어지는 절연보디(10')의 바닥면의 납땜접속부 수용홈(23')도, 깊이가, 납땜접속부(55')의 판두께보다 약간 얕아서, 납땜접속부(55')의 하부 표면이 절연보디(10')의 바닥면으로부터 약간 비쭉 나온 상태로, 외부도체 셀(30')의 각 납땜접속부(32')와 고정접속부재(40')의 납땜접속부(42')의 하부 표면과 동일평면 내에서 노출하도록 형성된다.
다음에,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조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는, 상기의 절연보디(10'), 외부도체 셀(30'), 고정접속부재(40') 및 가동접속부재(50')의 4부품만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절연보디(10')에 대한 외부도체 셀(30')의 장착공정과, 동일한 절연보디(10')에 대한 고정접속부재(40')의 장착공정과, 동일한 절연보디(10')에 대한 가동접속부재(50')의 장착공정의, 3공정으로, 도 16 내지 도 20에 표시하는 상태로 조립할 수 있다. 도 16은 제 2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를 상대쪽 커넥터의 끼워맞춤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b)는 평면도, (c)는 오른쪽 측면도, (d)는 저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c) 오른쪽 측면도에 있어서의 B-B단면도(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보디 본체(12')부를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절단면)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a)는 플러그 핀(1OO')의 미삽입 시의 단면도, (b)는 플러그 핀(100')의 삽입 시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 2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를 표시하는 외관사시도이다. 도 19는 제 2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내부를 표시하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20은 플러그 핀(100')의 삽입상태의 제 2의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내부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절연보디(10')에 대한 외부도체 셀(30')의 장착은, 뻗어나가는 상태의 각 납땜접속부(32')를 대좌부(11')의 상부쪽으로부터 각 납땜접속부 삽입통과구멍(21a')에 삽입통과시키면서, 셀 본체(31')를 상부쪽으로부터 보디 본체(12')의 외부쪽에 끼워맞춤시킨 후, 대좌부(11')의 하부면쪽으로 돌출하는 각 납땜접속부(32')를 보디 본체(12')의 지름방향 외부쪽으로 구부림가공하고, L자형의 각 납땜접속부(32')의 절곡부로부터 전방의 수평부분을, 그 기초부를 절연보디(10')의 바닥면 각 각락부분에 형성된 각 납땜접속부 수용홈(21b')에 끼워넣는 동시에, 선단부를 절연보디 (10')의 바닥면 각 각락영역으로 돌출한 상태로, 절연보디(10')의 바닥면을 따르게 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절연보디(10')에 대한 고정접속부재(4O')의 장착은, 고정접점부(41')를, 절연보디(10')에 있어서의 가동접편수용홈(19')의 마지막단부(19c')에 연속 형성된 고정접점수용홈(20')에, 절연보디(10')의 바닥쪽으로부터 압입 고정하고, 납땜접속부(42')를 절연보디(10')의 바닥면에 형성된 납땜접속부 수용홈(22')에 끼워넣음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절연보디(10')에 대한 가동접속부재(50')의 장착은, 가동접편부(51')를, 이 판폭방향이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과 평행으로 되도록, 절연보디(10')에 있어서의 가동접편수용홈(19')에, 절연보디(10')의 바닥쪽으로부터 끼워넣고, 납땜접속부(55')를 절연보디(10')의 바닥면에 형성된 납땜접속부 수용홈(23')에 끼워넣음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이상 3공정의 순서는, 절연보디(10')에 대한 가동접속부재(50')의 장착 후에, 고정접속부재(40')의 장착공정을 실시함으로서, 고정접속부재(40')의 납땜접속부(42')가, 가동접속부재(50')의 가동접편부(51')를 가동접편수용홈(19')에 끼워넣을 때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절연보디(10')에 대한 외부도체 셀(30')의 장착은, 가동접속부재(50') 및 고정접속부재(4O')의 장착공정의 전후 어느 경우에서나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외부도체 셀(30')의 절연보디(10')에 대한 장착은, 상기한 끼워넣기 이외에, 인서트성형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이상의 3공정으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를 조립하면, 도 16 내지 도 20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보디(10')의 보디 본체(12') 외부쪽에는 외부도체 셀(30')의 셀 본체(31')가 끼워맞춤되고, 또 절연보디(10')의 천정면부(13') 중심부분에 형성된 플러그 핀 삽입구멍(14')에 의해서 절연보디(10')의 외부쪽에 연통하고 있는 보디 본체(12')의 내부의 스위치수용실(16')에는, 고정접점수용홈(20')에 수용된 고정접속부재(40')의 고정접점부(41')와 가동접편수용홈(19')에 수용된 가동접속부재(50')의 가동접편부(51')에 의해서 구성된 정상폐쇄의 전환스위치(60')가 수용되고, 또한 절연보디(10')의 대좌부(11')의 하부면, 즉, 절연보디(10')의 바닥면에는, 외부도체 셀(30')의 각 납땜접속부(32')와, 고정접속부재(40')의 납땜접속부(42')와, 가동접속부재(50')의 납땜접속부(55')가, 각각 떼어져 비접촉상태에서, 각각의 하부 표면이 절연보디(10')의 바닥면으로부터 약간 비쭉 나온 상태로, 절연보디(10')의 바닥면과 평행하는 1평면 내에서 노출된다. 이것에 의해, 정상폐쇄의 전환스위치(60')를 내장하는 표면실장타입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를 얻을 수 있다.
전환스위치(60')의 고정접점부(41')는, 고정접점수용홈(20')에 수용됨으로써, 고정접점(41a')이 구면형상으로 부풀어 나와 형성된 고정접점부(41')의 금속 표면이, 가동접편수용홈(19')의 마지막단부(19c)의 마지막단부 벽면에 평평한 상태로 노출되고, 그 금속 표면으로부터 가동접편수용홈(19')의 마지막단부(19c)에 고정접점(41a')을 돌출시킨다. 한편, 전환스위치(60')의 가동접편부(51')는, 가동접편수용홈(19')에 수용됨으로써, 가동접편부(51')의 고정측부(51a')가, 가동접편수용홈(19')의 시작단부(19a')에 끼워맞춤 고정되어서, 고정측부(51a')로부터 전방의 각 부위(51d', 51b', 51e', 51b')가, 그 판폭방향이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과 평행으로 되는 상태에서, 가동접편수용홈(19')의 중간부(19b')로부터 마지막단부(19c')에 끼워넣어,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주위에 캔틸레버상태로 지지되고, 가동접편부(51')의 자유측부(51c')의 단부가, 고정측부(51a')로부터 전방의 각 부위(51d', 51b', 51e', 51b')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고정접점부(41')의 고정접점(41a')에 맞닿아, 자유측부(51c')의 중간부분이, 플러그 핀 삽입영역(15')과 가동접편수용홈(19')의 마지막단부(19c')와의 중복부분을 통과한다. 이와 같은 고정접점부(41')와 가동접편부(51')에 의해서, 보디 본체(12')의 내부 스위치수용실(16')에, 정상폐쇄의 전환스위치(60')가 구성되어서 내장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해서 얻어진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는, 절연보디(10')의 바닥면을 실장 대상의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배선기판의 실장면에 접합시키도록, 프린트 배선기판 위에 표면 실장함으로써, 절연보디(10')의 바닥면에 노출된 외부도체 셀(30')의 각 납땜접속부(32')와, 고정접속부재(40')의 납땜접속부(42')와, 가동접속부재(50')의 납땜접속부(55')가, 프린트 배선기판의 대응하는 패턴에 납땜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부도체 셀(30')의 각 납땜접속부(32')를 프린트 배선기판의 접지패턴에 전기 접속하고, 고정접속부재(40')의 납땜접속부(42')를 프린트 배선기판의 패턴을 개재해서 휴대전화의 안테나에 전기 접속하며, 가동접속부재(50')의 납땜접속부(55')를 휴대전화의 고주파회로에 전기 접속하고,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를, 그 전환스위치(60')가, 휴대전화의 고주파회로와 안테나와의 사이에 장착되도록, 휴대전화의 프린트 배선기판에 표면 실장하는 것으로 하고, 이어서, 도 17 및 도 20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 경우의 상대쪽 커넥터는, 고주파회로의 전기특성을 체크하는 측정장치에 접속된 측정용 프로브이며, 주지한 바와 같이, 플러그 핀(100')을, 도시하지 않은 원통형의 외부도체의 중심에 구비한 것이다.
도 17의 (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는, 상대쪽 커넥터의 끼워맞춤 전에서 플러그 핀(100')의 미삽입 시에는, 가동접속부재(50)의 플러그 핀 접촉부(57')가, 가동접편부(51)의 고정측부(51a')로부터 전방의 각 부위(51d', 51b', 51e', 51c')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플러그 핀 삽입영역(15')과 가동접편수용홈(19')의 마지막단부(19c')와의 중복부분에 위치한 상태에서, 가동접속부재(50')의 가동접점부(56')가, 고정접점부재(40')의 고정접점(41a')에 탄성 접촉하고, 이들 접속부재(50', 40')와 프린트 배선기판의 패턴을 개재해서, 고주파회로와 안테나를 전기 접속하고 있다.
상대쪽 커넥터를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에 끼워맞춤하면, 이 끼워맞춤에 수반해서, 도 17의 (b), 도 20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핀(100')이, 플러그 삽입구멍(14')으로부터 플러그 핀 끌어들임면(59a') 및 플러그 핀 삽입 가이드 벽면(17a')에 의해 가이드되어서, 보디 본체(12')의 내부 중심부분의 플러그 삽입영역(15')으로 보디 본체(12')의 축심을 따라서 삽입된다. 이 삽입과정에서, 플러그 핀(100')의 구형상 선단면과 플러그 핀 끌어들임부(59')의 4/1원호형상의 플러그 핀 끌어들임면(59a')이 미끄럼 접합하고, 플러그 핀 접촉부(57')를 플러그 핀 삽입영역(15')(플러그 핀(100'))의 반경방향 외부쪽으로 밀어 젖히도록, 플러그 핀 접촉부(57')를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플러그 핀(100')은, 플러그 핀 접촉부(57')의 플러그 핀 접촉면쪽으로 미끄럼 접합 상태로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서, 플러그 핀 접촉부(57')가 플러그 핀(100')의 외부측면에 탄성 접촉하는 동시에, 이 플러그 핀 접촉부(57')와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동일평면 위에서, 플러그 핀 접촉부(57')로부터 선단부쪽에 설정되어 있는 가동접점부(56')가, 고정접점부(40')의 고정접점(41a')으로부터 이반하고, 고주파회로가 플러그 핀(1OO')을 개재해서 안테나에서 측정장치로 전환 접속된다.
가동접편부(51')는, 대략 「c」자형으로 구부림형성되고, 스위치수용실(16')의 단면 대략 「c」자형의 가동접편수용홈(19')을 통과하여,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한 쪽에서 반대쪽으로 돌아 들어가기 때문에, 충분한 스프링길이를 가지고, 또한, 제 1의 구부림부(54d')와 제 2의 구부림부(54e')를 가지고, 응력을 2개소의 구부림부(51d', 51e')에 분산시켜서 받도록 스프링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큰 구부림 모멘트를 일으키는 일이 없고, 플러그 핀(100')을 반복해서 꽂고 빼는 것에 대한 스프링특성의 열악화가 일어나기 어려워, 플러그 핀(100')을 반복해서 꽂고 빼는것에 대한 수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플러그 핀 접촉부(57')와 가동접점부(56')가, 가동접편부(51')에 있어서의 판폭방향이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과 평행한 자유측부(51c')의 동일평면 위에 설정되고, 또한, 플러그 핀 접촉부(57')가 가동접점부(56')보다 선단부쪽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 핀 접촉부(57')와 가동접점부(56')와의 변위량은 1대 1은 아니고, 플러그 핀 접촉부(57')의 변위량에 비해서 가동접점부(56')의 변위량이 커진다. 이 때문에, 전환스위치(60')의 확실한 접점 전환 동작을 얻을 수 있다. 반대로 말하면, 전환스위치(60')의 접점 전환 동작에 필요한 가동접점부(56')의 변위량이, 그 변위량보다도 적은 플러그 핀 접촉부(57')의 변위량에 의해서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가동접편부(51')의 고정측부(51a')로부터 전방의 각 부위(51d', 51b', 51e', 51c')의 탄성변위량을 작게 할 수 있어서, 가동접편부(51')의 수명성의 향상과 동시에,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소형화에도 유효해진다. 또한 가동접편부(51')는, 대략 「c」자형으로 구부림형성되고, 그 고정측단부에서 자유측단부에 걸친 모든 부위(51a', 51d', 51b', 51e', 51c')의 둘레방향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가동접편부(51')의 고정측단부에서 자유측단부에 걸친 부위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중복해서 이간거리가 현저히 접근하여 고주파적으로 간섭하기 쉬운 부위를 없앨 수 있는 동시에, 가동접편부(51')의 고정측단부에서 자유측단부에 걸친 자유측부(51c')를 제외한 부위에서 반경방향으로 중복해서 플러그 핀 삽입영역에 일부가 파고들어 플러그 핀을 꽂고 뺄 때에 플러그 핀(100')과 간섭하기 쉬운 부위를 없앨 수 있으며, 동시에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소형화에도 유효해진다. 또 플러그 핀 끌어들임부(59')의 플러그 핀 끌어들임면(59a')과 선단부면이 만드는 모서리부분에 모떼기(59b')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플러그 핀 끌어들임부(59')의 플러그 핀 끌어들임면(59a')과 선단부면이 만드는 모서리부분(에지부)이 보디 천정면부(13')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동접편부(51')의 보디 천정면부(13')와의 간섭에 의한 동작불량을 없애, 높은 접촉신뢰성과 동시에, 스위치(60')의 확실한 접점 전환 동작을 얻을 수 있다.
상대쪽 커넥터를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로부터 떼어내면, 플러그 핀 (100')이 절연보디(10')의 보디 본체(12')의 내부 스위치수용실(13')로부터 뽑아 제거되어 플러그 핀 접촉부(57')와 플러그 핀(100')과의 접촉이 끊어지는 동시에, 가동접편부(51)의 고정측부(51a')로부터 전방의 각 부위(51d', 51b', 51e', 51c')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플러그 핀 접촉부(57')가, 플러그 핀 삽입영역(15')과 가동접편수용홈(19')의 마지막단부(19c')와의 중복부분에 탄성 복귀하고, 가동접점부(56')가, 다시 고정접점부(41')의 고정접점(41a')에 탄성 접촉하여, 고주파회로가 안테나에 전기 접속된다.
이상과 같이,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는, 바닥쪽에 대좌부(11')를 일체로 가지고, 상대쪽 커넥터의 플러그 핀(100')을 원통 내부 중심부분에 원통 축심을 따라서 자유롭게 꽂고 빼도록 하는 플러그 핀 삽입구멍(14')이 천정면 중심부분에 형성된 천정이 붙은 원통형의 절연보디(10')와, 절연보디(10')의 원통 외부쪽에 끼워맞춤되는 원통형의 셀 본체(31')와, 절연보디(10')의 바닥면을 따르도록 셀 본체(31')로부터 일체로 뻗어 형성되는 복수의 납땜접속부(32')를 가지는 외부도체 셀(30')과, 절연보디(10')의 원통 내부에서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수용 고정되는 고정접점부(41')와, 절연보디(10')의 바닥면을 따르도록 고정접점부(41')로부터 일체로 뻗어 형성되는 납땜접속부(42')를 가지는 스위치용의 고정접속부재(4O')와, 판폭방향이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과 평행으로 되도록 절연보디(1O')의 원통 내부에서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주위에 캔틸레버상태로 수용되는 동시에, 자유측부(51c')가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일부를 옆쪽으로부터 통과해서 고정접점부(41')로 뻗어 형성되고, 스프링력에 의해서 고정접점부(41')에 탄성 접촉하는 가동접점부(56')와 동일평면 위에 플러그 핀 접촉부(57')를 가지는,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는 판스프링 형상의 가동접편부(51')와, 절연보디(10')의 바닥면을 따르도록 가동접편부(51')로부터 일체로 뻗어 형성되는 납땜접속부(55')를 가지는 가동접속부재(50')를 구비하고, 상대쪽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에 수반해서, 플러그 핀(100')이 플러그 핀 접촉부(57')에 탄성 접촉하여, 가동접편부(51')가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가동접점부(56')가 고정접점부(41')로부터 이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가, 절연보디(10'), 외부도체 셀(30'), 스위치용의 고정접속부재(40') 및 가동접속부재(50')만으로 구성되고, 즉, 이런 종류의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로서는 최소 부품점수의 4부품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부품비용 및 조립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고, 동시에 구조도 간소화할 수 있다.
가동접편부(51')는,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에 대해서 대략 수직방향으로 변위하고, 그 변위량은 플러그 핀(100')의 외경치수와 플러그 핀 접촉부(57')(접촉면)의 플러그 핀(100') 축심으로부터의 거리치수만으로 확정되고, 플러그 핀(100')의 삽입 스트로크에 의해서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가동접편부(51')가 받는 응력 및 플러그 핀 접촉부(57')의 접촉하중이 일정하게 되어, 전기적 접속상태가 안정되고, 접촉신뢰성을 향상시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를, 본 실시형태와 같이 휴대전화 등에 사용했을 경우에, 양호한 고주파특성의 측정환경을 얻을 수 있다.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는 판스프링 형상의 가동접편부(51')는, 판폭방향이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과 평행으로 되도록 절연보디(10')의 원통 내부에서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주위에 캔틸레버상태로 수용되기 때문에, 적정한 스프링특성을 얻기 위해, 가동접편부(51')의 형상을 변화시켜서, 스프링길이를 변경하거나,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부림부의 추가삭제나 구부림 반경을 변경하는 것은, 공간적으로는, 가동접편부(51')의 단면적을 증감하는 것만으로, 공간의 증감이 적은 범위에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접편부(51')의 수명성 및 접촉신뢰성을 향상시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더 한층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가동접편부(51')는, 직사각형의 금속박판을 길이방향으로 구부림가공해서 판스프링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만으로, 자유측부(51c')에 플러그 핀 접촉부(57') 및 가동접점부(56')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접속부재(50')의 형상이 간소화되어서 작은 부품 가공이 용이하게 실시되어,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더 한층의 부품비용 및 조립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플러그 핀 접촉부(57')는,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하부쪽을 통과하는 일없이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으로 뻗어나올 수 있기 때문에, 플러그 핀(100')의 삽입 스트로크와 동일한 높이의 공간에서도 가동접편부(51')가 수용 가능해져,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의 더 한층의 저배화를 실현할 수 있다.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에 있어서, 플러그 핀 접촉부(57')의 플러그 핀 삽입측단부에는,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외부쪽을 향해 만곡하는 플러그 핀 끌어들임부(59')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절연보디(10')에는, 그 원통 내부의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의 외주쪽에, 플러그 핀 삽입구멍(14)의 구멍 벽면으로부터 연속해서 플러그 핀 삽입방향으로 늘어뜨리는 플러그 핀 삽입 가이드 벽면(17a)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러그 핀(100')은 플러그 핀 삽입 가이드 벽면(17a)에 가이드되어서 삽입되기 때문에, 플러그 핀(100')의 축심이 크게 편심하거나, 비스듬하게 삽입되는 일이 없고, 또한 플러그 핀 끌어들임부(59')에 의해서 플러그 핀 접촉부(57')의 접촉면쪽에 플러그 핀(100')이 확실히 미끄럼 접합 삽입되어, 높은 접촉신뢰성과 동시에, 전환스위치(60')의 확실한 접점 전환 동작을 얻을 수 있다.
또, 플러그 핀 끌어들임부(59')의 플러그 핀 끌어들임면(59a')과 선단부면이 만드는 모서리부분에 모떼기(59b')를 실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플러그 핀 끌어들임부(59')의 플러그 핀 끌어들임면(59a')과 선단부면이 만드는 모서리부분(에지부)이 보디 천정면부(13')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동접편부(51')의 보디 천정면부(13')와의 간섭에 의한 동작불량을 없애, 높은 접촉신뢰성과 동시에, 스위치(60')의 확실한 접점 전환 동작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가동접편부(51')는, 고정측단부에서 자유측단부에 걸친 모든 부위(51d', 51d', 51b', 51e', 51c')의 둘레방향 위치가 다른 형태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가동접편부(51')의 고정측단부에서 자유측단부에 걸친 부위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중복해서 이간거리가 현저히 접근하여 고주파적으로 간섭하기 쉬운 부위를 없앨 수 있다. 또 가동접편부(51')의 고정측단부에서 자유측단부에 걸친 자유측부(51c')를 제외한 부위에서 반경방향으로 중복해서 플러그 핀 삽입영역(15')에 일부가 파고들어 플러그 핀을 꽂고 뺄 때에 플러그 핀(100')과 간섭하기 쉬운 부위를 없앨 수 있다.
이상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 및 제 2의 실시형태에서는, 가동접편부(51)의 수명성 및 접촉신뢰성을 향상시켜, 더 한층의 소형화, 저배화를 실현할 수 있고, 간소한 부품구성에 의해 비용절감도 실현할 수 있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1, 1')를 얻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접편부의 수명성 및 접촉신뢰성을 향상시켜,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의 더 한층의 소형화, 저배화를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소한 부품구성에 의해 비용절감도 실현할 수 있다는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5)

  1. 바닥쪽에 대좌부를 일체로 가지고, 상대쪽 커넥터의 플러그 핀을 원통 내부 중심부분에 원통 축심을 따라서 자유롭게 꽂고 빼도록 하는 플러그 핀 삽입구멍이 천정면 중심부분에 형성되는 천정이 붙은 원통형의 절연보디와,
    절연보디의 원통 외부쪽에 끼워맞춤되는 원통형의 셀 본체와, 절연보디의 바닥면을 따르도록 셀 본체로부터 일체로 뻗어 형성되는 납땜접속부를 가지는 외부도체 셀과,
    절연보디의 원통 내부에서 플러그 핀 삽입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수용 고정되는 고정접점부와, 절연보디의 바닥면을 따르도록 고정접점부로부터 일체로 뻗어 형성되는 납땜접속부를 가지는 스위치용의 고정접속부재와,
    판폭방향이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과 평행으로 되도록 절연보디의 원통 내부에서 플러그 핀 삽입영역의 주위에 캔틸레버상태로 수용되는 동시에, 자유측단부가 플러그 핀 삽입영역의 일부를 옆쪽으로부터 통과해서 고정접점부로 뻗어 형성되고, 스프링력에 의해서 고정접점부에 탄성 접촉하는 가동접점부와 동일평면에 플러그 핀 접촉부를 가지는,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는 판스프링 형상의 가동접편부와, 절연보디의 바닥면을 따르도록 가동접편부로부터 일체로 뻗어 형성되는 납땜접속부를 가지는 가동접속부재를 구비하고,
    상대쪽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에 수반해서, 플러그 핀이 플러그 핀 접촉부에 탄성 접촉하고, 가동접편부가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플러그 핀의 꽂고 빼는 방향에 대해서 대략 수직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가동접점부가 고정접점부로부터 이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플러그 핀 접촉부의 플러그 핀 삽입측단부에는, 플러그 핀 삽입영역의 외부쪽을 향해 만곡하는 플러그 핀 끌어들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절연보디에는, 그 원통 내부의 플러그 핀 삽입영역을 사이에 두는 대향위치에, 플러그 핀 삽입구멍의 구멍 벽면으로부터 연속해서 플러그 핀 삽입방향으로 늘어뜨리는 플러그 핀 삽입 가이드 벽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4. 제 2항에 있어서,
    플러그 핀 끌어들임부의 플러그 핀 끌어들임면과 선단부면이 만드는 모서리부분(角部)에 모떼기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동접편부는, 고정측단부에서 자유측단부에 걸친 모든 부위의 둘레방향 위 치가 다른 형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KR1020050060040A 2004-07-06 2005-07-05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KR1007299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98834 2004-07-06
JP2004198834 2004-07-06
JP2005119286A JP2006049276A (ja) 2004-07-06 2005-04-18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JPJP-P-2005-00119286 2005-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839A KR20060049839A (ko) 2006-05-19
KR100729915B1 true KR100729915B1 (ko) 2007-06-18

Family

ID=34940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0040A KR100729915B1 (ko) 2004-07-06 2005-07-05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56675B2 (ko)
EP (1) EP1615301B1 (ko)
JP (1) JP2006049276A (ko)
KR (1) KR100729915B1 (ko)
TW (1) TWI2601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6000720U1 (de) * 2006-01-17 2006-04-20 Receptec Gmbh HF-Stecker-Befestigungsmittel
JP4382834B2 (ja) * 2007-04-25 2009-12-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同軸電気コネクタ
WO2008144493A1 (en) * 2007-05-17 2008-11-27 Raytheon Company Connector for an electrical circuit embedded in a composite structure
TWM327109U (en) * 2007-09-07 2008-02-11 Insert Entpr Co Ltd Microwave connector socket used in RF communication
US8127991B2 (en) * 2007-08-03 2012-03-06 Brady Worldwide, Inc. Removable media spindle and antenna assembly for printer
JP2009238401A (ja) * 2008-03-26 2009-10-15 I-Pex Co Ltd 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及び回路検査スイッチ
EP2175531B1 (en) * 2008-06-25 2012-05-09 Murata Manufacturing Co. Ltd. Coaxial connector
JP5720408B2 (ja) * 2011-05-11 2015-05-20 第一精工株式会社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JP5720409B2 (ja) 2011-05-11 2015-05-20 第一精工株式会社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JP5790245B2 (ja) * 2011-07-26 2015-10-07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型電気コネクタおよび同軸型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533838B2 (ja) 2011-11-04 2014-06-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プラグ
CN202759104U (zh) * 2012-07-18 2013-02-27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TWM455285U (zh) * 2013-01-21 2013-06-11 Insert Entpr Co Ltd 超小型同軸微開關連接器
JP5477604B2 (ja) * 2013-03-25 2014-04-23 第一精工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及び回路検査スイッチ
JP5605455B1 (ja) * 2013-04-22 2014-10-15 Smk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JP6247592B2 (ja) * 2014-05-12 2017-12-13 ホシデン株式会社 雄コネクタ、雌コネクタ及び雄コネクタと雌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US9825395B2 (en) * 2015-05-14 2017-11-21 Te Connectivity Corporation Protective cover for a connector
KR102325309B1 (ko) * 2015-05-22 2021-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992258B1 (ko) * 2017-10-13 2019-06-25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동축 커넥터
CN107978938B (zh) * 2017-11-22 2023-01-17 启东乾朔电子有限公司 同轴连接器
CN108879149B (zh) * 2018-08-08 2023-10-10 四川华丰科技股份有限公司 易于装配的电连接器
JP6780689B2 (ja) 2018-11-21 2020-11-04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7151744B2 (ja) * 2020-07-01 2022-10-12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TWI750868B (zh) * 2020-10-23 2021-12-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環形連接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4964A (ko) * 1998-10-05 2000-06-26 사까이 히데끼 스위치 부착 동축커넥터
KR20030033110A (ko) * 2001-10-18 2003-04-30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KR20040090449A (ko) * 2003-04-15 2004-10-25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KR20060050338A (ko) * 2004-08-27 2006-05-19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5904Y2 (ko) * 1975-04-12 1981-12-26
JPS5920581U (ja) * 1982-07-30 1984-02-08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ピンジヤツク
JP2889562B1 (ja) * 1998-04-21 1999-05-10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JP2000340311A (ja) * 1999-05-31 2000-12-08 Mitsumi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DE19962437A1 (de) * 1999-12-22 2001-07-05 Ims Connector Systems Gmbh Buchsenteil, Steckerteil und elektrische Steckverbindung mit einem solchen Buchsenteil und/oder Steckerteil
JP4586315B2 (ja) * 2001-08-17 2010-11-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及び通信装置
JP2003056597A (ja) 2001-08-22 2003-02-26 Nsk Warner Kk 多板クラッ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4964A (ko) * 1998-10-05 2000-06-26 사까이 히데끼 스위치 부착 동축커넥터
KR20030033110A (ko) * 2001-10-18 2003-04-30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KR20040090449A (ko) * 2003-04-15 2004-10-25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KR20060050338A (ko) * 2004-08-27 2006-05-19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스위치가 부착된 동축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49276A (ja) 2006-02-16
EP1615301A2 (en) 2006-01-11
TWI260115B (en) 2006-08-11
US7156675B2 (en) 2007-01-02
EP1615301A3 (en) 2012-09-05
KR20060049839A (ko) 2006-05-19
TW200614604A (en) 2006-05-01
US20060009075A1 (en) 2006-01-12
EP1615301B1 (en)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9915B1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FI116705B (fi) Kytkimellä varustettu koaksiaalinen liitin
KR100658884B1 (ko) 동축 커넥터 일체형 기판접속용 커넥터
KR100984899B1 (ko) 동축 커넥터
US6758680B2 (en) Coaxial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printed circuit boards
JP3251801B2 (ja) 基板実装用高周波切換器
EP2523272B1 (en)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US7819680B2 (en) Surface mount coaxial connector with switching function
JP3027570B1 (ja) コネクタ構造
KR101802731B1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KR20020000213A (ko) 접촉 신뢰성을 갖는 커넥터
CN101971431B (zh) 同轴连接器
EP2584658A1 (en)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JP2006066384A (ja) 基板対基板接続用同軸コネクタ
EP3082197A1 (en) Connector
US6473045B1 (en) Coaxial connector assembly and antenna assembly having a switching function
US6030240A (en) Coaxial connectors
EP3783743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210113076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회로 기판이 부착된 전기 커넥터
CN111162419B (zh) 射频连接器及两电路板间的射频连接结构
JP3859907B2 (ja) 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CN100521399C (zh) 带开关的同轴连接器
JP3079466B2 (ja) スイッチ付コネクタ
JP2009295432A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JP2002359032A (ja) 同軸コネクタ、コンタクトプローブ及び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