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886B1 - 용기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886B1
KR100728886B1 KR1020060055849A KR20060055849A KR100728886B1 KR 100728886 B1 KR100728886 B1 KR 100728886B1 KR 1020060055849 A KR1020060055849 A KR 1020060055849A KR 20060055849 A KR20060055849 A KR 20060055849A KR 100728886 B1 KR100728886 B1 KR 100728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protrusion
carrier
open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5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60055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8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4Devices for supporting or handling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용기 이송 장치는, 다양한 형상 및 구조의 용기에 대응하여 이 용기를 이송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용기에 대응하는 제1 개구를 구비하고 제1 돌기를 구비하는 홀더, 상기 홀더의 제1 돌기와 서로 엇갈리어 결합되는 제2 돌기를 구비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홀더를 지지/해제하여 상기 홀더와 상기 캐리어를 결합/해제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한다.
용기, 이송, 캐리어, 홀더, 개폐 부재

Description

용기 이송 장치 {RECEPTACLE MOVING DEVIC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이송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Ⅳ-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5는 캐리어와 홀더의 분리 상태 단면도이다.
도6은 캐리어와 홀더의 결합 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용기 10 : 홀더
11 : 제1 개구 12 : 제2 개구
13 : 제1 돌기 13a, 14a, 21a, 33a : 수평면
13b, 14b, 21b, 33b : 경사면 14 : 제3 돌기
20 : 캐리어 30 : 개폐 부재
21 : 제2 돌기 22 : 제1 홈
23 : 제2 홈 24 : 돌출부
25 : 체결 부재 26 : 지지 부재
31 : 가이드 부재 33 : 제4 돌기
본 발명은 용기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 공정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용기에 적용 가능한 용기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 세제 및 모발 용품은 액상 또는 에멀셜 상태(이하 액상으로 통칭한다)로 형성되고, 용기에 담겨진 상태로 보관 및 유통된다. 분체인 제품과 달리 액상 제품은 취급 상의 곤란성으로 인하여, 전체 크기에 비하여 주둥이 부분이 좁은 형상의 용기를 사용한다.
별도의 공정에 의하여 완성된 액상의 제품을 이 용기에 주입하기 위하여, 연속 공정으로 용기들을 공급하는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이 시스템은 컨베이어에 소정의 간격으로 홀더를 구비하고, 이 홀더에 용기를 고정시켜, 컨베이어를 구동함으로써 홀더에 고정된 용기를 이송시킨다.
즉, 용기는 투입되어 홀더에 고정되고, 중간 공정들을 거치면서 제품을 주입한 상태로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그러나, 액상 및 분체의 제품의 종류가 다양하고, 또한 같은 제품도 다양한 용기에 주입되어 보관 유통되고 있다. 따라서 시스템의 컨베이어에 구비된 홀더는 이들 다양한 구조 및 형상의 용기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각각 형성된다.
즉, 한 가지의 홀더는 한가지의 용기를 이송하는 데 적용된다. 따라서 용기의 사양이 변경되는 경우 홀더 또한 변경되어야 하고, 사용되 않는 홀더는 보관하여야 한다.
따라서 용기 변경시 홀더를 다시 설계 및 제작함에 따른 비용 상승 및 생산성 저하가 야기되며, 홀더를 보관하는 데 보관 비용이 유발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양한 형상 및 구조의 용기에 대응하여 이 용기를 이송할 수 있게 하는 용기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이송 장치는, 용기에 대응하는 제1 개구를 구비하고 제1 돌기를 구비하는 홀더, 상기 홀더의 제1 돌기와 서로 엇갈리어 결합되는 제2 돌기를 구비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홀더를 지지/해제하여 상기 홀더와 상기 캐리어를 결합/해제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전방에 형성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는 상하 방향으로 엇갈리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기는 하단의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끝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돌기는 상단의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의 결합 부분 반대측에 상기 개폐 부재와 결합되는 제3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제3 돌기와 서로 엇갈리어 결합되는 제4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돌기와 상기 제4 돌기는 상하 방향으로 엇갈리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 돌기는 하단의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끝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돌기는 상단의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는 상기 제2 돌기에 상기 제1 돌기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홀더의 하단에 마주하여 홀더의 슬라이드 이동 범위를 형성하는 제1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는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제1 홈에 슬라이드 결합하며, 상기 홀더의 반대측 상기 개폐 부재에 마주하여 상기 개폐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 범위를 형성하는 제2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는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 사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개폐 부재를 지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제4 돌기의 하방에 장착되어 상기 캐리어의 상기 제2 홈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는 상기 제2 돌기의 반대측에서 상기 제1 홈을 개폐하도록 체결 부재로 체결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와 상기 캐리어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이송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이 용기 이송 장치는 용기(2)의 형상 및 구조가 다양한 경우에도 저렴한 비용 및 짧은 시간 내에 용기(2)의 이송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1에는 평단면이 사각형 또는 타원의 변형으로 이루어지는 용기(2)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 형상의 용기(2)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의 용기(2)도 적용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용기 이송 장치는 컨베이어(미도시)에 연결되는 부분과 용기(2)를 고정하는 부분을 각각 별도로 형성하여, 상호 결합 및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면, 이 용기 이송 장치는 홀더(10), 캐리어(20) 및 이 홀더(10)와 캐리어(20)를 결합 또는 이 결합을 해제하는 개폐 부재(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먼저, 홀더(10)는 용기(2)를 고정시키는 부분이고, 캐리어(20)는 컨베이어에 설치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개폐 부재(30)는 홀더(10)와 캐리어(20)를 결합시키거나, 홀더(10)의 교체를 위하여 캐리어(20)와 홀더(10)의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용기(2)의 형상이 바뀔 경우, 용기(2)의 형상에 맞는 홀더(10)를 선택하여 캐리어(20)에 설치하면 된다.
이들을 구체적으로 보면, 홀더(10)는 용기(2)에 대응하는 제1 개구(11)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개구(11)는 용기(20)의 외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제1 개구(11)에 삽입된 용기(20)는 홀더(10) 내면과의 헐거운 끼움 상태를 유지하여,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시 홀더(10)의 제1 개구(11) 내에서 용기(2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하여, 홀더(10)에서 제1 개구(11)는 끼워지는 용기(20)의 상당 부분이 삽입되어 안정적인 이송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깊이를 가져야 한다. 제1 개구(11)의 깊이는 용기(2)의 형상 및 이 용기(2)에 주입되는 내용물의 중량을 감안하여 실험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 사양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홀더(10)는 전방에 제2 개구(12)를 구비한다. 제2 개구(12)는 제1 개구(11)로 삽입되는 용기(2)와 홀더(10)의 마찰을 줄여 용기(2)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제2 개구(12)는 용기(2)가 홀더(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기(2)에 표시되어 있는 제품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2 개구(12)는 용기(2)에 기재된 로트 번호 등과 같은 제품 식별부호에 대하여 외부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코 딩(coding)할 수 있게 한다.
이 홀더(10)는 캐리어(20)와의 안정적인 결합 및 결합 해제를 위하여 제1 돌기(13)를 구비한다. 제1 개구(11)가 홀더(10)의 상방(도면 상에서)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때, 제1 돌기(13)는 홀더(10)의 하단 측방에 형성되어 캐리어(20)에 결합된다.
이 제1 개구(11)의 방향과 제1 돌기(13)의 방향이 서로 다르게, 일례로서 제1 개구(11)의 방향과 제1 돌기(13)의 방향이 직각을 형성하므로 캐리어(20)의 이동으로 용기(2)를 이송할 때, 홀더(10)로부터 용기(2)가 빠지게 될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배제한다.
도2는 도1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홀더(10)의 제1 돌기(13)는 하단의 수평면(13a)과, 이 수평면(13a)의 끝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3b)을 포함한다. 이 수평면(13a)과 경사면(13b)은 제1 돌기(13)를 구비하는 홀더(10)와, 캐리어(20)의 결합 및 결합의 해제를 편리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캐리어(20)는 제1 돌기(13)에 대응하는 제2 돌기(21)를 구비한다. 제2 돌기(21)는 홀더(10)의 제1 돌기(13)와 서로 엇갈리어 결합된다. 이때 제1 돌기(13)와 제2 돌기(21)가 상하 방향으로 엇갈리어 결합되어, 캐리어(20) 상에서 홀더(10)를 상하 방향으로 고정시킨다.
캐리어(20)의 제2 돌기(21)는 상단의 수평면(21a)과, 이 수평면(21a)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21b)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돌기(13)와 제2 돌 기(21)의 결합 상태에서, 제2 돌기(21)의 경사면(21b)은 제1 돌기(13)의 경사면(13b)가 긴밀하게 밀착되어, 홀더(10)와 캐리어(20)의 결합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제1 돌기(13)의 경사면(13b)와 제2 돌기(21)의 경사면(21b)은 홀더(10)를 기울리지 않고 캐리어(20)에 결합하거나, 결합 상태를 해제하여 빼낼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캐리어(20)의 제2 돌기(21)는 캐리어(20)의 상부로 돌출 형성될수도 있으나(미도시), 본 실시예에서는 캐리어(20)의 상면을 오목하게 하고, 그 일측에 볼록하게 형성하고 있다.
예를 들면, 캐리어(20)는 홀더(10)의 하단과 마주하도록 그 상면에 제1 홈(22)을 형성한다. 제2 돌기(21)에 제1 돌기(13)를 결합한 상태에서, 제1 홈(22)은 캐리어(20)의 상면에서 홀더(10)의 슬라이드 이동 범위를 형성하고, 홀더(10)의 결합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홀더(10)와 캐리어(20)의 결합 및 결합 상태의 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캐리어(20)는 제1 홈(22)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홀더(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홀더(10)의 반대측에 제2 홈(23)을 형성한다. 즉 제2 홈(23)은 캐리어(20)의 하방에 형성된다.
이 제1 홈(22) 및 제2 홈(23)에 의하여, 캐리어(20)는 제1 홈(22)과 제2 홈(23) 사이에 돌출부(24)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개폐 부재(30)는 캐리어(20)의 제1 홈(22)과 제2 홈(23)에 걸쳐 슬라이드 결합되어, 캐리어(20)에 결합된 홀더(10)를 지지 및 지지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이 개폐 부재(30)는 가이드 부재(31)를 구비한다. 이 가이드 부재(31)는 개폐 부재(30)에 체결 부재(32)로 체결되어 제2 홈(23)에 슬라이드 결합된다.
이 개폐 부재(30)는 홀더(10)와 함께 캐리어(20) 상의 제1 홈(22)에 결합되면서, 또한 가이드 부재(31)를 통하여 제2 홈(23)에 결합된다. 따라서 개폐 부재(30)는 캐리어(20)의 상방으로 분리되지 않고, 돌출부(24)에 걸린 상태를 유지한다.
이 돌출부(24)는 제1 홈(22)과 제2 홈(23)에 걸쳐 결합되는 개폐 부재(30)를 지지하여, 제1 홈(22) 및 제2 홈(23)는 개폐 부재(30)의 슬라이드 이동 범위를 형성한다.
한편, 홀더(10)는 개폐 부재(30) 측에 제3 돌기(14)를 형성한다. 제3 돌기(14)는 제1 돌기(13)와 제2 돌기(21)가 결합된 반대 측의 홀더(10) 하단에 형성되어, 개폐 부재(3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3 돌기(14)에 의하여 홀더(10)가 지지되거나 이 지지 상태가 해제된다. 즉, 제3 돌기(14)는 홀더(10)와 캐리어(20)의 결합력을 강화시킨다.
이를 위하여, 개폐 부재(30)는 홀더(10)의 제3 돌기(14)와 결합되는 제4 돌기(33)를 구비한다. 이 제4 돌기(33)는 제3 돌기(14)와 서로 엇갈리게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서로 고정된다. 이 결합 구조를 형성하는 제3 돌기(14) 및 제4 돌기(33)는 홀더(10)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한다.
도3은 도1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홀더(10)의 제3 돌기(14)는 하단의 수평면(14a)과 이 수평면(14a)의 끝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4b)을 포함한다. 이 수평면(14a)과 경사면(14b)은 제3 돌기(14)를 구비하는 홀더(10)와, 개폐 부재(30)의 결합 및 결합의 해제를 편리하게 한다.
이 개폐 부재(30)의 제4 돌기(33)는 상단의 수평면(33a)과 이 수평면(33a)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33b)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3 돌기(14)와 제4 돌기(33)의 결합 상태에서, 제4 돌기(33)의 경사면(33b)은 제3 돌기(14)의 경사면(14b)과 긴밀하게 밀착되어, 홀더(10)와 개폐 부재(30)의 결합력을 발생시킨다.
결국, 홀더(10)의 제1 돌기(13)는 캐리어(20)의 제2 돌기(21)에 결합되고, 홀더(10)의 제3 돌기(14)는 개폐 부재(30)의 제4 돌기(33)에 결합된다. 따라서 홀더(10)는 캐리어(20) 상에서 그 양측에 견고한 구조로 고정된다.
도4는 도1의 Ⅳ-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캐리어(20)는 제2 돌기(21)의 반대 측에서 제1 홈(22)을 개폐하도록 체결 부재(25)로 체결되어 개폐 부재(3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26)를 포함한다.
이 지지 부재(26)는 캐리어(20)와 분리 형성되어, 캐리어(20)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캐리어(20)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개폐 부재(30)의 장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캐리어(2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홀더(1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홀더(10)와 캐리어(20) 사이에 탄성부재(27)가 구비된다. 예를 들면, 탄성부재(27)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개폐 부재(30)와 지지 부재(26) 사이에 개재된다. 이 탄성부재(27)는 개폐 부재(30)를 통하여 홀더(10)로 전달되는 탄성력을 가진다.
도5는 캐리어와 홀더의 분리 상태 단면도이고, 도6은 캐리어와 홀더의 결합 상태 단면도이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면, 홀더(10)는 탄성부재(27)의 탄성력 반대 방향의 조작력(F1)에 의하여 캐리어(20)의 제1 홈(22)에 놓여진다(도5 상태). 이때 탄성부재(27)는 압축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조작력(F1)을 제거하게 되면, 탄성부재(27)의 탄성력(F2)은 개폐 부재(30) 및 제4 돌기(33)에 작용한다. 이 탄성력(F2)에 의하여, 홀더(10)의 제3 돌기(14)와 개폐 부재(30)의 제4 돌기(33)에가 결합되고, 또한 개폐 부재(30) 및 홀더(10)가 이동되어, 홀더(10)의 제1 돌기(13)와 캐리어(20)의 제2 돌기(21)가 서로 결합된다(도6 상태).
또한, 탄성부재(27)의 탄성력(F2)에 의하여 제1 돌기(12)와 제2 돌기(21)의 결합 구조 및 제3 돌기(14)와 제4 돌기(33)의 결합 구조가 각각 유지될 수 있다(도6의 상태).
따라서, 작업자는 용기(2)를 바꾸고자 할 때, 도5의 상태로 용기(20)를 제거하고, 바뀐 용기(2)에 맞는 홀더(10)를 선택하여 캐리어(20)에 고정 장착하여 도6 의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20)는 양측에 홈(28)을 구비하고, 이 홈(28)에 체결 부재(28a)로 우레탄 패드(28b)를 장착하고 있다.
이 홈(28)은 캐리어(20)에 우레탄 패드(28b)를 장착할 수 있게 하고, 또는 컨베이어에 캐리어(20)를 장착할 수 있게 한다. 즉 체결 부재(28a)를 풀어서 우레탄 패드(28b)를 개재한 상태로 캐리어(20)를 컨베이어에 장착할 수 있고, 우래탄 패드(28b)를 개재한 상태로 캐리어(20)를 컨베이어에 장착할 수 있다.
우레탄 패드(28b)는 컨베이어에서 캐리어(20)의 이동 및 충돌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용기 이송 장치는 캐리어(20)를 컨베이어에 장착한 상태로 홀더(10)만을 교체하여 다양한 형상의 용기(20)에 적용할 수 있게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이송 장치에 의하면, 용기를 고정시키는 홀더에 제1 돌기를 구비하고, 홀더를 결합하는 캐리어에 제2 돌기를 구비하며, 캐리어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홀더를 지지하는 개폐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이 개폐 부재로 제1 돌기와 제2 돌기를 결합 및 결합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 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이송 장치는 홀더를 다양하게 제작하고 용기의 형상에 상응하는 홀더를 선택하여 캐리어에 결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이송 장치는 용기 변경시에도 캐리어를 제외한 홀더만 다시 설계 및 제작케 함으로써 비용 저감 및 생산성 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Claims (16)

  1. 용기에 대응하는 제1 개구를 구비하고 제1 돌기를 구비하는 홀더,
    상기 홀더의 제1 돌기와 서로 엇갈리어 결합되는 제2 돌기를 구비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홀더를 지지/해제하여 상기 홀더와 상기 캐리어를 결합/해제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하는 용기 이송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전방에 형성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용기 이송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는 상하 방향으로 엇갈리어 결합되는 용기 이송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하단의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끝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용기 이송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기는,
    상단의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용기 이송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의 결합 부분 반대측에 상기 개폐 부재와 결합되는 제3 돌기를 포함하는 용기 이송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제3 돌기와 서로 엇갈리어 결합되는 제4 돌기를 포함하는 용기 이송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돌기와 상기 제4 돌기는 상하 방향으로 엇갈리어 결합되는 용기 이송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돌기는,
    하단의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끝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용기 이송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돌기는,
    상단의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용기 이송 장치.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제2 돌기에 상기 제1 돌기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홀더의 하단에 마주하여 홀더의 슬라이드 이동 범위를 형성하는 제1 홈을 포함하는 용기 이송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제1 홈에 슬라이드 결합하며,
    상기 홀더의 반대측 상기 개폐 부재에 마주하여 상기 개폐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 범위를 형성하는 제2 홈을 포함하는 용기 이송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 사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개폐 부재를 지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용기 이송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제4 돌기의 하방에 장착되어 상기 캐리어의 상기 제2 홈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용기 이송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제2 돌기의 반대측에서 상기 제1 홈을 개폐하도록 체결 부재로 체결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용기 이송 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와 상기 캐리어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용기 이송 장치.
KR1020060055849A 2006-06-21 2006-06-21 용기 이송 장치 KR100728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849A KR100728886B1 (ko) 2006-06-21 2006-06-21 용기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849A KR100728886B1 (ko) 2006-06-21 2006-06-21 용기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8886B1 true KR100728886B1 (ko) 2007-06-15

Family

ID=38359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849A KR100728886B1 (ko) 2006-06-21 2006-06-21 용기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8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797Y1 (ko) 2009-05-12 2010-02-22 김희남 튜브용기 운반용 홀더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599U (ja) 1982-07-30 1984-02-06 東洋食品機械株式会社 液体充填バルブにおける容器保持装置
JPH0661830U (ja) * 1993-02-02 1994-09-02 鐘紡株式会社 ホルダ支持具
JPH08282633A (ja) * 1995-02-14 1996-10-29 Kao Corp 物品保持装置
JPH11321990A (ja) 1998-05-13 1999-11-24 Lion Corp 容器搬送用ホルダ
KR200404037Y1 (ko) 2005-07-26 2005-12-16 주식회사 태평양 화장품 생산라인의 용기 운반용 홀더
KR200405338Y1 (ko) 2005-10-04 2006-01-11 주식회사 태평양 화장품 생산라인의 용기 운반용 홀더
KR200407151Y1 (ko) 2005-10-21 2006-01-25 주식회사 태평양 화장품 용기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599U (ja) 1982-07-30 1984-02-06 東洋食品機械株式会社 液体充填バルブにおける容器保持装置
JPH0661830U (ja) * 1993-02-02 1994-09-02 鐘紡株式会社 ホルダ支持具
JPH08282633A (ja) * 1995-02-14 1996-10-29 Kao Corp 物品保持装置
JPH11321990A (ja) 1998-05-13 1999-11-24 Lion Corp 容器搬送用ホルダ
KR200404037Y1 (ko) 2005-07-26 2005-12-16 주식회사 태평양 화장품 생산라인의 용기 운반용 홀더
KR200405338Y1 (ko) 2005-10-04 2006-01-11 주식회사 태평양 화장품 생산라인의 용기 운반용 홀더
KR200407151Y1 (ko) 2005-10-21 2006-01-25 주식회사 태평양 화장품 용기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797Y1 (ko) 2009-05-12 2010-02-22 김희남 튜브용기 운반용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49378B (zh) 箱子
CN103204381A (zh) 用于物品或容器的承载元件
MXPA01011458A (es) Caja para botellas y otros recipientes.
CN104891198B (zh) 使用机械手的集装箱搬送装置
EP3219642B1 (en) Containment basket adapted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in particular for washing operations
KR100728886B1 (ko) 용기 이송 장치
CN105339268B (zh) 用于自动化的配药装置的运输装置
EP1810938A4 (en) DEVICE FOR CONNECTING CONTAINERS
US10252866B2 (en) Conveyor system
KR20080082619A (ko) 박판수납용기용 훅 및 박판수납용기
KR20130118323A (ko) 자동식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분석 기구용 반응 용기
CN105480646B (zh) 输送装置以及输送***和分配***
KR101011520B1 (ko) 슬라이딩 받침대가 구비된 납골함 안치단
CN206361351U (zh) 支撑装置
US11317741B2 (en) Accommodation device for accommodating storage containers
KR20130016722A (ko) 이동 재치 장치
KR102056451B1 (ko) 포장장치
KR101595940B1 (ko) 반도체 관련 부품을 테스트하는 다양한 사이즈의 프루브카드를 운반하는 안전 케이스
JP6325383B2 (ja) カードホルダ付き容器,およびそのカードホルダ
JP6004564B2 (ja) 運搬用容器
JP6095977B2 (ja) 無線タグ・カードが共に装着可能なホルダー付きコンテナー
KR102650873B1 (ko) 자동 충진 및 실링 시스템
KR102528576B1 (ko) 페트병 수거 장치
KR20240050727A (ko) 용기 홀더
TW201236953A (en) Transportation palet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