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003B1 - 신축 가능한 급지 카세트 - Google Patents

신축 가능한 급지 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003B1
KR100728003B1 KR1020050098725A KR20050098725A KR100728003B1 KR 100728003 B1 KR100728003 B1 KR 100728003B1 KR 1020050098725 A KR1020050098725 A KR 1020050098725A KR 20050098725 A KR20050098725 A KR 20050098725A KR 100728003 B1 KR100728003 B1 KR 100728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frame
fixing
paper
frame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2767A (ko
Inventor
박경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8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003B1/ko
Priority to US11/582,997 priority patent/US7668502B2/en
Priority to CN200610136246A priority patent/CN100581951C/zh
Publication of KR20070042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003B1/ko
Priority to US12/654,716 priority patent/US8170462B2/en
Priority to US13/427,735 priority patent/US2012018333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 B65H1/266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30Supports; Subassemblies; Mountings thereof
    • B65H2402/32Sliding suppor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1Bottom
    • B65H2405/1116Bottom with means for changing geometry
    • B65H2405/11164Rear portion extensible in parallel to transport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1Supports for sheets fu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2Supports for sheets partially insertable - extractable, e.g. upon sliding movement, dra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379Copy medium holder
    • G03G2215/00383Casset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443Copy medium
    • G03G2215/00447Plural types hand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신축 가능한 급지 카세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급지 카세트에 따르면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 프레임을 슬라이딩시킬 수 있으며, 고정 돌기 및 고정 구멍의 체결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이동 프레임의 고정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급지 카세트의 길이가 신축 가능하므로 다양한 크기의 용지를 적재할 수 있으며 급지 카세트의 크기에 구속 받지 않고 화상형성장치 자체 및 그 포장 용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신축 가능한 급지 카세트{Expandable and contractible Paper cassette}
도 1은 본 발명의 급지 카세트가 장착되는 화상형성장치의 측단면도.
도 2는 화상형성장치에 조립된 본 발명의 급지 카세트가 최단 수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화상형성장치에 조립된 본 발명의 급지 카세트가 최장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지 카세트의 조립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이 모두 수축 위치에 고정되는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이동 프레임이 신장 위치에, 제2 이동 프레임은 수축 위치에 각각 고정되는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이동 프레임이 수축 위치에, 제2 이동 프레임은 신장 위치에 각각 고정되는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이 모두 신장 위치에 고정되는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화상형성장치 101...화상형성장치 본체
300...베이스 프레임 310...베이스 프레임 선단부
320...녹업 플레이트 321...중송 방지 부재
322...힌지 323...힌지홈
325...경사 가이드 328...녹업 스프링
330a,330b...측면 가이드 331a,331b...상면 가이드
332,532...폴 해제 손잡이 333a,333b...래크
335...피니언 덮개 338,538...래칫
339...래크 가이드 레일 340a,340b...제1 고정 구멍
350...푸쉬바 351...푸쉬바 단부
355,365,375,465...가이드 레일 358...탄성 스프링
360...제1 슬롯 370...제2 슬롯
390...가이드 보스 레일 399...베이스 프레임의 후단부
400...제1 이동 프레임 440...제1 고정 돌기
450...제2 고정 돌기 460...가이드 레일 플레이트
470...제1 가이드 플레이트 500...제2 이동 프레임
510...프레임 테두리 511...푸쉬바 접점
530...후면 가이드 537...폴
550a,550b...제2 고정 구멍 560...제2 가이드 플레이트
590...가이드 보스
본 발명은 급지 카세트에 대한 것으로, 특히 다수매의 용지를 적재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급지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복합기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및 여기에 용지를 공급하는 용지 급지장치를 구비한다. 이하에서 '용지'란 종이, 인화지, OHP필름 등의 인쇄매체를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한다.
하나의 예로서, 용지 급지장치는 화상형성장치에 서랍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급지 카세트(cassette), 급지 카세트 내부에 마련되어 용지를 적재하는 녹업 플레이트(Knock-up plate), 녹업 플레이트를 픽업롤러(Pick up roller)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켜서 픽업롤러 외주면에 용지의 최상단을 탄력적으로 밀착시키는 녹업스프링(Knock-up spring), 녹업 플레이트의 회동중심이 되는 힌지(Hinge) 및 이를 삽입하는 힌지홈을 구비한다. 녹업 플레이트의 일단부는 힌지 및 힌지홈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그 타단부는 녹업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녹업 플레이트의 용지 적재량에 따라 녹업 플레이트는 힌지 및 힌지홈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화상형성장치 본체 내부의 녹업 플레이트 상측에 픽업롤러가 마련된다. 픽업롤러는 녹업 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의 최상단과 접촉되며 용지를 낱장으로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공급한다. 픽업롤러는 픽업롤러 회전축에 결합되며 픽업롤러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된다.
용지 급지장치에 적재될 용지는 다양한 크기를 가진다. 예를 들면, A6(105×148mm), A5(148×210mm), B5(182×257mm), A4(210×297mm), 레터지(216×279mm), 리갈지(216×356mm) 등이 있다. 다양한 크기의 용지를 안정적으로 적재하려면 급지 카세트의 크기는 적재될 용지의 최대 사이즈보다 커야 한다.
그러나, 화상형성장치의 크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급지 카세트의 크기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4 용지의 인쇄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화상형성장치의 폭은 A4 이상의 크기라야 하지만 길이는 A4보다 작게 소형화될 수 있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급지 카세트는 그 폭과 길이가 모두 A4 규격의 용지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커야 하므로, 급지 카세트의 일부분이 화상형성장치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는 화상형성장치 외장의 미려한 디자인을 방해하며, 화상형성장치의 설치 면적과 포장 용기의 크기를 불필요하게 증가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크기의 용지를 적재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 자체 및 그 포장 용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급지 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급지 카세트는,
용지의 선단부가 적재되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용지의 후단부가 적재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끼워져 손으로 슬라이 딩되는 이동 프레임;
미리 설정된 다수의 고정 위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상기 이동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에 의하여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의 바닥면에 각각 마련되어 상호 체결되는 고정 구멍 및 고정 돌기를 다수 포함하며, 상기 급지 카세트는 상기 고정 구멍 및 상기 고정 돌기의 체결 위치가 선택적으로 변경됨으로써 신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고정 구멍에 탄력적으로 체결되며 손으로 눌러지면 상기 고정 구멍에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이동 프레임과,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 이동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고정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 돌기는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의 고정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고정 돌기는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에 대한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의 고정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고정 돌기는,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에 좌우 대칭으로 각각 1개씩 마련되어 양손으로 눌러지면서 상기 제1 고정 구멍에서 분리되고, 상기 제2 고정 돌기는,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의 중앙부에 1개가 마련되어 한손으로 눌러지면서 상기 제2 고정 구멍에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 구멍은,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다수 배열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바닥면의 제1 고정 구멍과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의 바닥면의 제2 고정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이 슬라이딩되면 상기 제1 고정 돌기가 옮겨지며 상기 제1 고정 구멍 중 어느 하나에 탄력적으로 체결되고,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이 슬라이딩되면 상기 제2 고정 구멍이 옮겨지며 그 중 하나가 상기 제2 고정 돌기와 탄력적으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고정 구멍은,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을 수축된 상태로 고정하는 위치 및 신장된 상태로 고정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2 고정 구멍은,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을 수축된 상태로 고정하는 위치 및 신장된 상태로 고정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선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용지의 선단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녹업 플레이트와, 상기 녹업 플레이트에 앞서 상기 용지의 양 측면을 지지하며 래크 및 피니언으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한 쌍의 측면 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고정 구멍은,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이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래크 및 피니언에 접촉 간섭되지 않을 정도로 인접되는 위치,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측면 가이드에는 폴이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바닥면에는 상기 폴과 치합되는 래칫이 마련되며, 상기 측면 가이드는, 상기 용지의 양 측면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고 상기 용지의 양 측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자유 이동이 구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에는, 상기 용지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후면 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고정 구멍은, 상기 후면 가이드가 상기 용지의 후단부에서 최대한 멀리 이동되어도 상기 제2 고정 구멍이 가려지지 않는 위치, 및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의 선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후면 가이드에는 폴이 마련되고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의 바닥면에는 상기 폴과 치합되는 래칫이 마련되며, 상기 후면 가이드는, 상기 용지의 후단부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고 상기 용지의 후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자유 이동이 구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에는 상기 용지의 후단부를 감싸는 프레임 테두리가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 측면에는 상기 프레임 테두리의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 보스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 보스 레일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급지 카세트는 상기 이동 프레임을 신장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탄성 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이동 프레임을 신장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미는 푸쉬바와, 상기 푸쉬바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급지 카세트는,
용지의 선단부가 적재되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용지의 후단부가 적재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으로, 다단계의 고정 위치를 가지며 그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끼워지고,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은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에 끼워지며, 상기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의 슬라이딩시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제1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제2 이동 프레임 상호간의 접촉 간섭이 회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의 중앙부에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가 돌출되고,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에는,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레일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 플레이트 및 이에 삽입된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슬롯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 플레이트의 좌우로 제1 가이드 플레이트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제1 슬롯의 좌우로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슬롯이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에는, 상기 용지 후단부를 감싸는 프레임 테두리가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 측면에는, 상기 프레임 테두리의 양 측면에 돌출된 가이드 보스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 보스 레일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에 국한되지 않으며, 동일한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아울러,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급지 카세트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 본체(101), 현상 카트리지(140), 급지 카세트(110)가 도시된다.
광주사 유니트(180)는 화상 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감광체(142)에 주사하여 감광체(142)의 외주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광주사 유니트(180)는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광원과, 광원에서 조사된 레이저빔을 편향시키는 빔편향기를 포함한다.
현상 카트리지(140)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1)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일 실시예로서, 도시된 현상 카트리지(140)는 그 내부에 대전롤러(141), 감광체(142), 현상롤러(143), 공급롤러(144), 교반기(145), 토너 저장부(146)를 구비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감광체(142) 및 대전롤러(141)가 현상 카트리지(140)의 외부에 설치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토너 저장부(146)는 토너를 저장한다. 현상 카트리지(140)는 토너 저장부(146)에 저장된 토너가 모두 소모되면 새 것으로 교체된다. 현상 카트리지(140)는 x축 음의 방향으로 핸들(147)을 밀면 화상형성장치 본 체(101)에 장착되고, x축 양의 방향인 화살표 방향으로 핸들(147)을 당기면 화상형성장치 본체(101)에서 분리된다.
감광체(142)는 그 외주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며, 원통 드럼의 외주 면에 증착 등의 방법으로 광도전성 물질층이 코팅된다. 감광체(142)는 대전롤러(141)에 의하여 소정의 전위로 대전되고, 광주사 유니트(180)에서 조사된 광에 의해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 잠상이 그 외주면에 형성된다.
현상롤러(143)는 그 표면에 고체 분말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으며, 이들 토너를 감광체(142)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부착하여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롤러(143)에는 토너를 감광체(142)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현상롤러(143) 및 감광체(142)의 외주면이 서로 접촉되며 현상닙(Nip)을 형성하거나, 상기 외주면이 서로 이격되며 현상갭(Gap)을 형성한다. 현상닙(Nip) 또는 현상갭(Gap)은 현상롤러(143) 및 감광체(142)의 축방향을 따라 소정의 크기로 균일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현상갭이나 현상닙을 통하여 토너가 이동되며 현상이 이루어진다.
공급롤러(144)는 현상롤러(143)에 토너가 부착되도록 토너를 공급해준다. 교반기(145)는 토너 저장부(146) 내의 토너가 굳지 않도록 토너를 교반시키며 이를 공급롤러(144) 쪽으로 이송한다.
전사롤러(150)는 감광체(142)의 외주면에 대면되며, 감광체(142)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용지(P)로 전사되도록 토너화상과 반대 극성의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감광체(142)와 전사롤러(150)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 및 기구적인 접촉압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용지(P)로 옮겨진다.
정착기(160)는 서로 마주보는 가열롤러와 가압롤러를 구비하며, 용지(P)에 전사된 토너 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 화상을 용지(P)에 정착시킨다.
배지롤러(170)는 정착이 완료된 용지(P)를 화상형성장치(100) 밖으로 배출한다. 화상형성장치(100)에서 배출된 용지(P)는 배지대에 적재된다.
용지(P)의 이동 경로는 다음과 같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용지(P)가 적재되는 급지 카세트(110)를 구비한다. 픽업롤러(120)는 급지 카세트(110)에 적재된 용지(P)를 한 장씩 픽업(pick-up)하여 인출한다. 피드롤러(130)는 픽업된 용지(P)를 현상 카트리지(140) 방향으로 이송한다. 감광체(142)와 전사롤러(150) 사이에 용지(P)가 통과되며 토너화상이 전사된다. 토너화상이 전사된 용지(P)는 정착기(160)의 열과 압력에 의하여 정착된다. 정착이 완료된 용지(P)는 배지롤러(170)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100) 외부로 배출된다.
도 1에는 흑백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가 도시되지만, 본 발명의 급지 카세트는 도시되지 않은 컬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물론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조립된 본 발명의 급지 카세트(110)가 최단으로 수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화상형성장치(100)에 조립된 본 발명의 급지 카세트(110)가 최장으로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외장이 인쇄되는 용지의 크기보다 작게 소형화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 와 같이, 급지 카세트(110)의 길이를 신장시킨 후에 용지를 적재한다. 급지 카세트(110)의 상면은 용지 커버(580)로 보호된다. 급지 카세트(110)는 구김이나 접힘없이 안정적으로 용지를 적재하며 화상형성장치 본체(101) 외측으로 일부 돌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0)를 운반하기 위하여 포장 용기에 넣거나 급지 카세트(110)에 용지가 적재되지 않을 때에는, 급지 카세트(110)를 접어서 그 길이를 수축시킨다. 이에 따라, 포장 용기의 크기나 화상형성장치(100)의 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지 카세트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400,500)이 모두 수축 위치에 고정되는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이동 프레임(400)이 신장 위치에, 제2 이동 프레임(500)은 수축 위치에 각각 고정되는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이동 프레임(400)이 수축 위치에, 제2 이동 프레임(500)은 신장 위치에 각각 고정되는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400,500)이 모두 신장 위치에 고정되는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동시에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300), 이동 프레임(400,500), 고정 수단이 도시된다. 급지 카세트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급지 카세트는 저장된 용지가 소모되면 화상형성장치 본체에서 분리되고, 용지가 새로 보충된 후에 화상형성장치 본체로 다시 장착된다. 급지 카세트는 베이스 프레임(300)과 이동 프레임(400,500)의 조립체이다. 용지의 선단부는 베이스 프레임(300)의 선단부(310)에 적재되며 용지의 후단부는 이동 프레임(400,500)에 적재된다. 베이스 프레임(300)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동 프레임(400,500)은 베이스 프레임(3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동 프레임(400,5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베이스 프레임(300)에 끼워져 손으로 슬라이딩된다. 베이스 프레임(300)의 선단부(310)는 용지가 픽업되는 부분을 지칭한다. 베이스 프레임(300)의 후단부(399)는 이동 프레임(400,500)이 끼워지는 부분을 말하며 x축 양의 방향에 위치한다.
급지 카세트에 적재되는 용지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규격화되어 있다. 이동 프레임(400,500)이 슬라이딩되면서 급지 카세트가 원하는 길이로 조절되면 이동 프레임(400,500)은 고정 수단에 의하여 고정된다. 일 실시예로서, 이동 프레임(400,500)은 다단계의 용지 크기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다수의 고정 위치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다. 용지의 크기 및 기타 조건에 따라 특정의 고정 위치가 선택된다. 급지 카세트는 이동 프레임(400,50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신축된다.
일 실시예로서, 고정 수단은 서로 탄력적으로 체결되는 고정 구멍(340a,340b,550a,550b) 및 고정 돌기(440,450)를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 및 급지 카세트의 소형화를 위하여 고정 구멍(340a,340b,550a,550b) 및 이에 체결되는 고정 돌기(440,450)는 베이스 프레임(300) 또는 이동 프레임(400,500) 중 어느 하나의 바닥면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 프레임(400,500)을 슬라이딩시키면 고정 구멍(340a,340b,550a,550b) 및 고정 돌기(440,450)의 체결 예정 위치가 변경된다. 용지의 크기에 따라 다수의 체결 위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고정 구멍 (340a,340b,550a,550b) 및 고정 돌기(440,450)가 서로 체결된다. 즉, 고정 돌기(440,450)는 고정 구멍(340a,340b,550a,550b)과 맞추어지며 탄력적으로 체결되고, 고정 돌기(440,450)가 손으로 눌러지면 탄성 체결력을 극복하고 고정 구멍(340a,340b,550a,550b)에서 분리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정 수단으로서, 나사 등의 체결부재나, 체결용 액츄에이터(actuator) 등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서, 이동 프레임(400,500)은 제1 이동 프레임(400) 및 제2 이동 프레임(500)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더 많은 수의 이동 프레임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이동 프레임(400)은 베이스 프레임(3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며, 제2 이동 프레임(500)은 제1 이동 프레임(4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 고정 돌기(440,450)는 제1 이동 프레임(400)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돌기(440,450)는 제1 고정 돌기(440)와 제2 고정 돌기(450)를 포함한다. 제1 고정 돌기(440)는 베이스 프레임(300)에 대하여 제1 이동 프레임(400)의 상대적인 고정 위치를 결정한다. 제2 고정 돌기(450)는 제1 이동 프레임(400)에 대하여 제2 이동 프레임(500)의 상대적인 고정 위치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로서, 고정 구멍(340a,340b,550a,550b)은 제1 고정 구멍(340a,340b)과 제2 고정 구멍(550a,550b)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더 많은 수의 고정 구멍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고정 돌기(440)는 제1 고정 구멍(340a,340b)에 탄력적으로 체결되고, 제2 고정 돌기(450)는 제2 고정 구멍(550a,550b)에 탄력적으로 체결된다. 제1 고정 돌기(440)는 제1 이동 프레임(400)에 좌우 대칭으로 한 개씩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응하여 제1 고정 구 멍(340a,340b)도 좌우 대칭으로 1열씩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이동 프레임(400)은 베이스 프레임(300)과 제2 이동 프레임(500)을 연결하는 중간 지지물이 된다. 좌우 대칭으로 마련되는 2개의 제1 고정 돌기(440)는 제1 이동 프레임(400)을 베이스 프레임(300)에 단단히 결합시킨다. 좌우측의 제1 고정 돌기(440)는 양손으로 각각 눌러지면서 제1 고정 구멍(340a,340b)에서 분리된다.
제2 고정 돌기(450)는 제1 이동 프레임(400)의 중앙부에 1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고정 돌기(450)는 한 손으로 눌러지면서 제2 고정 구멍(550a,550b)에서 분리된다. 제1 고정 돌기(440)와 제1 고정 구멍(340a,340b)의 결합 구조가 제1 이동 프레임(400)의 좌우측에 각각 마련되고, 제2 고정 구멍(550a,550b)과 제2 고정 돌기(450)의 결합 구조는 제1 이동 프레임(400)의 중앙부에 마련된다.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300), 제1 이동 프레임(400), 제2 이동 프레임(500)의 상호 접촉 간섭이 회피된다.
다양한 용지 크기에 따라 이동 프레임(400,500)을 다단계의 위치에서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 구멍(340a,340b,550a,550b)은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400,50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다수의 위치에 배열된다. 제1 고정 구멍(340a,340b)은 베이스 프레임(300)에 다수 배열되며 제2 고정 구멍(550a,550b)은 제2 이동 프레임(500)에 다수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프레임(300)에 대하여 제1 이동 프레임(400)이 슬라이딩되면 제1 이동 프레임(400)에 마련된 제1 고정 돌기(440)가 이동되며 베이스 프레임(300)에 마련된 제1 고정 구멍(340a,340b)의 배열 중 어느 하나에 탄력적으로 체결된다. 제1 이동 프레임(400)에 대하여 제2 이동 프레임(500)이 슬라이딩되면 제2 이동 프레임(500)에 마련된 제2 고정 구멍(550a,550b)의 배열이 이동된다. 제2 고정 구멍(550a,550b) 중 하나가 제2 고정 돌기(450)와 탄력적으로 체결된다.
제1 고정 구멍(340a,340b)은 제1 이동 프레임(400)의 슬라이딩 방향인 x축을 따라 2개의 위치에 일렬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고정 구멍(340a,340b)은 제1 이동 프레임(400)을 베이스 프레임(300)에 대하여 최단 수축된 상태로 고정하는 위치(340a), 및 제1 이동 프레임(400)을 베이스 프레임(300)에 대하여 최장 신장된 상태로 고정하는 위치(340b)에 각각 마련된다.
마찬가지로, 제2 고정 구멍(550a,550b)은 제2 이동 프레임(500)의 슬라이딩 방향인 x축을 따라 2개의 위치에 일렬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고정 구멍(550a,550b)은 제2 이동 프레임(500)을 제1 이동 프레임(400)에 대하여 최단 수축된 상태로 고정하는 위치(550a), 및 제2 이동 프레임(500)을 제1 이동 프레임(400)에 대하여 최대로 신장된 상태로 고정하는 위치(550b)에 각각 마련된다.
베이스 프레임(300)에는 녹업 플레이트(320)와 측면 가이드(330a,330b)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녹업 플레이트(320)는 그 상단에 용지가 적재되도록 용지의 폭에 대응하는 넓은 평판 형상이며, 하단은 녹업 스프링(328)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녹업 플레이트(320)의 일 단부에 형성된 힌지(322)는 베이스 프레임(300)에 마련된 힌지홈(32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녹업 플레이트(320)의 타 단부는 녹업 스프링(328)에 의하여 픽업롤러(120, 도1 참조)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녹업 플레이트(320)는 용지의 적재 매수가 감소되면 픽업롤러 방향으 로 회동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픽업롤러(120)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1)에 마련되며, 픽업롤러 회전축에 결합되고, 픽업롤러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용지(P)를 낱장으로 픽업한다. 픽업롤러(120)는 용지(P)에 접촉되는 장반경부와 용지(P)로부터 도피되는 단반경부를 구비한다. 장반경부의 외주면은 용지(P)의 픽업을 위하여 소정값 이상의 마찰계수를 갖는다. 장반경부 외주면과 용지(P) 사이의 마찰계수는 용지(P) 상호간의 마찰계수보다 큰 값을 가진다. 따라서, 장반경부의 외주면과 용지(P)의 접촉시에 최상단의 용지(P)만이 낱장으로 픽업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용지(P)의 낱장 픽업을 위하여 핑거(Finger)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핑거부재는 용지(P)의 선단부 양측을 잡아주어 용지(P)의 이송을 국부적으로 방해한다. 픽업롤러(120)에 접촉되는 최상단의 용지(P)만이 핑거부재의 방해력을 극복하고 이송방향으로 픽업된다. 최상단의 용지(P)와 그 바로 밑의 용지 (P)사이에 마찰력이 작용되더라도 핑거부재가 이송을 방해하므로 용지(P)의 중송이 방지된다. 핑거부재의 이송 방해 작용으로 인하여, 이송되는 용지(P)의 선단부 양측에 커얼(Curl)이 발생된다. 핑거부재는 용지(P)의 구김이나 잼이 발생하지 않도록 커얼의 발생량을 소정 범위 내로 제한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를 가진다.
픽업롤러(120)가 회전되면서 장반경부가 용지(P)에 접촉되면 녹업 스프링(328)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녹업 플레이트(320) 및 용지(P)가 하방으로 밀리면서 용지(P)가 픽업된다. 픽업롤러(120)가 계속 회전되며 장반경부가 용지(P)로부터 도피되면 용지(P)의 최상단은 단반경부와 대면되고 일정한 높이까지 녹업 플레이트(320) 및 용지(P)가 상승한 다음 대기 상태로 들어간다. 용지(P)가 소모되어도 녹업 플레이트(320)의 상승에 의하여 그 소모된 높이가 상쇄되므로 용지(P)의 최상단 적재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로써, 장반경부 접촉에 의하여 녹업 플레이트(320)가 밀리는 양은 그 상한치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스토퍼나 핑거부재 등이 용지(P)의 최상단 높이를 일정한 값으로 규제한다.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면, 용지가 2매 정도로 소량 적재된 경우에 용지의 중송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송 방지 부재(321)가 마련된다. 중송 방지 부재(321)와 그 위에 적재된 용지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픽업롤러(120, 도1 참조)에 접촉되는 최상단 용지와 그 밑에 적재된 용지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보다 크므로 용지의 중송이 방지된다. 중송 방지 부재(321)의 재질로서 코르크, 고무 등이 사용된다.
용지가 픽업롤러(120, 도1 참조)로 픽업되어 화상형성장치 본체로 이송되는 베이스 프레임(300)의 선단부(310)에는 녹업 플레이트(320), 및 녹업 플레이트(320)에 인접한 위치에 측면 가이드(330a,330b)가 마련된다. 측면 가이드(330a,330b)는 녹업 플레이트(320)에 앞서 용지의 양 측면을 지지한다. 측면 가이드(330a,330b)에는 소정의 치형이 형성된 래크(rack)(333a,333b)가 마련된다. 베이스 프레임(300)의 바닥면에는 래크(333a,333b)와 치합되며 회전하는 피니언(pinion)(미도시)이 마련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피니언은 피니언 덮개(335)로 덮힌다. 래크(333a,333b)는 래크 가이드 레일(339)을 따라 용지의 측면에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인 y축을 따라 이동된다. 측면 가이드(330a,330b)는 베이스 프레임(300)의 좌우로 한 쌍이 마련되며 래크(333a,333b) 및 피니언으로 연결되어 서로 연동된다. 일측의 측면 가이드(330a)를 용지의 일 측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반대측의 측면 가이드(330b)도 용지의 타 측면 방향으로 연동된다. 측면 가이드(330a,330b)에는 용지의 좌우측 상면을 가이드하여 녹업 플레이트(320)로 안내하는 상면 가이드(331a,331b)가 마련된다. 베이스 프레임(300)의 바닥면 중 측면 가이드(330a,330b)와 녹업 플레이트(320) 사이에 경사 가이드(325)가 마련된다. 경사 가이드(325)는 측면 가이드(330a,330b)를 통과한 용지의 하면을 녹업 플레이트(320) 방향으로 경사지게 안내하며 용지 걸림을 방지한다.
일측의 측면 가이드(330b)와 베이스 프레임(300)의 접촉면에는 폴(pawl)(미도시)과 래칫(ratchet)(338)이 마련된다. 폴은 측면 가이드(330b)에 마련되고 래칫(338)은 베이스 프레임(300)의 바닥면에 마련된다. 측면 가이드(330b)의 폴과 베이스 프레임(300)의 래칫(338)에는 치형이 형성되며 서로 맞물린다. 폴과 래칫(338)의 결합에 의하여 측면 가이드(330a,330b)는 용지의 양 측면에 접근되는 방향으로는 자유롭게 슬라이딩 가능하고, 용지의 양 측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는 자유로운 슬라이딩이 구속된다. 폴이 마련된 측면 가이드(330b)에는 폴 해제 손잡이(332)가 마련된다. 폴 해제 손잡이(332)를 손으로 누르면 폴과 래칫(338)의 치형 결합이 해제되므로 측면 가이드(330a,330b)는 용지의 양 측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 가능하다.
제2 이동 프레임(500)에는 용지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후면 가이드(530)가 마련된다. 후면 가이드(530)의 하면에는 폴(537)이 마련되고 후면 가이드(530)의 하면이 접촉되는 제2 이동 프레임(500)의 바닥면에는 래칫(538)이 마련된다. 폴(537)과 래칫(538)의 결합에 의하여 후면 가이드(530)는 용지의 후단부에 접근되는 방향으로는 자유롭게 슬라이딩 가능하고, 용지의 후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는 자유로운 슬라이딩이 구속된다. 폴 해제 손잡이(532)의 조작에 의하여 폴(537)과 래칫(538)이 결합 또는 해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고정 구멍(340a,340b)은 제1 이동 프레임(400)의 슬라이딩 방향인 x축을 따라 2개의 위치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고정 구멍 중 하나(340a)는, 제1 이동 프레임(400)을 측면 가이드(330a,330b)의 래크(333a,333b) 및 피니언에 접촉 간섭되지 않을 정도로 인접되게 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따라서, 제1 이동 프레임(400)의 수축 위치를 베이스 프레임(300)의 선단부(310) 방향인 x축 음의 방향으로 최대한 근접시킬 수 있다.
제1 고정 구멍 중 나머지 하나(340b)는, 베이스 프레임(300)의 후단부(399)에 위치한다. 제1 이동 프레임(400)의 신장 위치를 베이스 프레임(300)의 후단부(399) 방향인 x축 양의 방향으로 최대한 이격시키기 위함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고정 구멍은 제1 이동 프레임(40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3개 이상의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이동 프레임(400)은 최단 수축 및 최장 신장 위치는 물론, 소정의 중간 위치에 고정 가능하다.
제2 고정 구멍(550a,550b)은 제2 이동 프레임(500)의 슬라이딩 방향인 x축을 따라 2개의 위치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고정 구멍 중 하나(550b)는, 제2 이동 프레임(500)의 선단부에 위치한다. 제2 이동 프레임(500)을 베이스 프레임(300) 및 제1 이동 프레임(400)의 후단부 방향인 x축 양의 방향으로 최장 신장시키기 위함이다. 제2 이동 프레임(500)의 선단부에 위치한 제2 고정 구멍(550b)이 제2 고정 돌기(450)와 체결되면, 제2 이동 프레임(500)은 제1 이동 프레임(400)에 대하여 최장으로 신장된 위치에 고정된다.
제2 고정 구멍 중 나머지 하나(550a)는 x축 양의 방향을 따라 제2 이동 프레임(500)의 후단부에 위치한다. 제2 이동 프레임(500)을 x축 음의 방향으로 최단 수축시키기 위함이다. 제2 이동 프레임(500)의 후단부에 위치한 제2 고정 구멍(550a)이 제2 고정 돌기(450)와 체결되면, 제2 이동 프레임(500)은 제1 이동 프레임(400)에 대하여 최단 수축된 위치에 고정된다. 그러나, 제2 고정 구멍(550a)이 제2 이동 프레임(500)의 후단부 방향인 x축 양의 방향으로 지나치게 멀어지면, 후면 가이드(530)에 의하여 제2 고정 구멍(550a)이 가려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고정 구멍 중 나머지 하나(550a)는 후면 가이드(530)가 용지의 후단부에서 최대한 멀어지도록 슬라이딩되었을 때 제2 고정 구멍(550a)이 후면 가이드(530)에 의하여 가려지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고정 구멍은 제2 이동 프레임(50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3개 이상의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2 이동 프레임(500)은 제1 이동 프레임(400)에 대하여 최단 수축 및 최장 신장 위치는 물론, 소정의 중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이동 프레임(500)에는 용지의 후단부를 감싸는 프레임 테두리(510)가 마련된다. 프레임 테두리(510)의 양 측면에는 가이드 보스(590)가 마련되며 베이스 프레임(300)의 양 측면에는 가이드 보스(590)가 삽입되는 가이드 보스 레일(390)이 마련된다. 가이드 보스(590)와 가이드 보스 레일(390)의 결합에 의하여 제2 이동 프레임(500)은 좌우 흔들림이 방지되며 베이스 프레임(300)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고정 돌기(440,450)가 손으로 눌러져 고정 구멍(340a,340b,550a,550b)에서 분리된 다음, 이동 프레임(400,500)을 x축 양의 방향으로 잡아 당겨서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400,500)을 신장시킨다. 탄성 수단은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400,500)을 x축 양의 방향인 신장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킨다. 탄성 수단에 의하여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400,500)은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신장된다. 일 실시예로서, 탄성 수단은 푸쉬바(350)(push bar)와 탄성 스프링(358)을 포함한다. 푸쉬바(350)는 베이스 프레임(300)에 마련되며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400,500)을 신장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민다. 탄성 스프링(358)은 푸쉬바(350)와 베이스 프레임(300) 사이에 마련되며 푸쉬바(350)에 x축 양의 방향의 탄성력을 부여한다. 푸쉬바 단부(351)는 제2 이동 프레임(500)에 마련된 푸쉬바 접점(511)에 접촉된다. 푸쉬바 접점(511)은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400,500)의 슬라이딩시에 가이드 레일(355)을 따라 이동된다. 푸쉬바(350)는 푸쉬바 접점(511)을 탄력적으로 민다. 푸쉬바(350)는 제2 이동 프레임(500) 및 이와 결합된 제1 이동 프레임(400)을 신장 방향인 x축 양의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이동 프레임(400,500)은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400,500)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400,500)은 베이스 프레임(3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적재되는 용지의 규격에 따라,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400,500)이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딩되면 고정 수단에 의하여 고정된다.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400,500)은 다단계의 고정 위치를 가지며 그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고정된다. 제1 이동 프레임(400)은 베이스 프레임(300) 에 대한 상대이동이 가능하도록 베이스 프레임(300)에 끼워지고, 제2 이동 프레임(500)은 제1 이동 프레임(400)에 대한 상대이동이 가능하도록 제1 이동 프레임(400)에 끼워진다. 베이스 프레임(300), 제1 이동 프레임(400), 제2 이동 프레임(500)은 상호간의 접촉 간섭이 회피되도록 조립된다.
일 실시예로서, 제2 이동 프레임(500)의 중앙부에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560)가 x축 음의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1 이동 프레임(400)의 중앙부에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56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레일 플레이트(460)가 마련된다. 제2 가이드 플레이트(560)가 가이드 레일 플레이트(460)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465)을 따라 슬라이딩되면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400,500) 상호간의 상대 운동이 가능하다.
베이스 프레임(300)의 중앙부에는 제1 슬롯(360)이 마련된다. 가이드 레일 플레이트(460) 및 이에 삽입되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560)의 조립체는 제1 슬롯(360)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36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1 슬롯(360)은 제2 가이드 플레이트(560) 및 가이드 레일 플레이트(460) 조립체의 슬라이딩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300)에 대한 제1 이동 프레임(400)의 상대 운동시에 베이스 프레임(300), 제1 이동 프레임(400), 제2 이동 프레임(500) 상호간의 접촉 간섭이 방지된다.
제1 이동 프레임(400)에는 가이드 레일 플레이트(460)의 좌우로 각각 1개씩의 제1 가이드 플레이트(470)가 마련된다. 베이스 프레임(300)에는 제1 슬롯(360)의 좌우로 각각 1개씩의 제2 슬롯(370)이 마련된다. 제1 가이드 플레이트(470)는 제2 슬롯(370)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37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2 슬롯(370)은 제1 가이드 플레이트(470)의 슬라이딩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300)에 대하여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400,500)이 함께 상대 운동할 때, 베이스 프레임(300), 제1 이동 프레임(400), 제2 이동 프레임(500) 상호간의 접촉 간섭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400,500)이 좌우 흔들림 없이 베이스 프레임(300)에 결합되도록 가이드 보스(590)와 가이드 보스 레일(390)이 제2 이동 프레임(500)과 베이스 프레임(300)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며 급지 카세트의 신축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따르면, 급지 카세트의 길이가 최단으로 수축된 상태가 도시된다. 제1 이동 프레임(400)이 수축된 위치에 고정되므로, 제1 고정 돌기(440)는 래크(333a,333b) 및 피니언에 인접한 제1 고정 구멍(340a)에 체결된다. 제2 이동 프레임(500)도 수축된 위치에 고정되므로,제2 고정 돌기(450)는 제2 이동 프레임(500)의 후단부에 위치한 제2 고정 구멍(550a)에 체결된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300)의 선단부(310)로부터 베이스 프레임(300)의 후단부(399)에 이르는 거리(Lb)는, 베이스 프레임(300)의 선단부(310)로부터 제1 이동 프레임(400)의 후단부에 이르는 거리(L1), 및 베이스 프레임(300)의 선단부(310)로부터 제2 이동 프레임(500)의 후단부에 이르는 거리(L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예를 들어, A4 보다 작은 A6, A5, B5규격의 용지가 적재되며 측면 가이드(330a,330b)와 후면 가이드(530)를 조절하여 적재된 용지의 양 측면과 후면이 단단히 지지된다.
도 6에 따르면, 제2 이동 프레임(500)은 수축 위치에 고정되고, 베이스 프레임(300)에 대하여 제1 이동 프레임(400)만 신장된 상태가 도시된다. 제1 이동 프레임(400)이 x축의 양의 방향인 신장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제1 고정 돌기(440)는 베이스 프레임 후단부(399)에 위치한 제1 고정 구멍(340b)에 체결된다. 제2 이동 프레임(500)은 수축 위치에 고정되므로, 제2 고정 돌기(450)는 제2 이동 프레임(500)의 후단부에 위치한 제2 고정 구멍(550a)에 여전히 체결된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300)의 선단부(310)로부터 제1 이동 프레임(400)의 후단부에 이르는 거리(L1), 및 베이스 프레임(300)의 선단부(310)로부터 제2 이동 프레임(500)의 후단부에 이르는 거리(L2)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거리(L1, L2)는 베이스 프레임(300)의 선단부(310)로부터 베이스 프레임(300)의 후단부(399)에 이르는 거리(Lb)보다 크다. 예를 들어, A4규격의 용지가 적재되며 측면 가이드(330a,330b)와 후면 가이드(530)를 조절하여 적재된 용지의 양 측면과 후면이 단단히 지지된다.
도 7에 따르면, 제1 이동 프레임(400)은 수축 위치에 고정되고, 제2 이동 프레임(500)만 신장 위치에 고정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 제1 이동 프레임(400)은 수축 위치에 고정되므로, 제1 고정 돌기(440)는 래크(333a,333b) 및 피니언에 인접한 제1 고정 구멍(340a)에 체결된다. 제2 이동 프레임(500)만 신장 위치에 고정되므로, 제2 고정 돌기(450)는 제2 이동 프레임(500) 선단부에 위치한 제2 고정 구멍(550b)에 체결된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300)의 선단부(310)로부터 제1 이동 프레임(400)의 후단부에 이르는 거리(L1), 및 베이스 프레임(300)의 선단부(310)로부터 베이스 프레임(300)의 후단부(399)에 이르는 거리(Lb)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베 이스 프레임(300)의 선단부(310)로부터 제2 이동 프레임(500)의 후단부에 이르는 거리(L2)는 이 거리(L1, Lb)보다 크다. 예를 들어, A4와 B5의 중간 크기인 레터지가 적재되며 측면 가이드(330a,330b)와 후면 가이드(530)를 조절하여 적재된 용지의 양 측면과 후면이 단단히 지지된다.
도 8에 따르면,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400,500)이 모두 신장 위치에 고정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 제1 이동 프레임(400)이 x축의 양의 방향인 신장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제1 고정 돌기(440)는 베이스 프레임(300)의 후단부(399)에 위치한 제1 고정 구멍(340b)에 체결된다. 제1 이동 프레임(400)에 대하여 제2 이동 프레임(500)이 x축의 양의 방향인 신장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제2 고정 돌기(450)는 제2 이동 프레임(500) 선단부에 위치한 제2 고정 구멍(550b)에 체결된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300)의 선단부(310)로부터 제1 이동 프레임(400)의 후단부에 이르는 거리(L1)는 베이스 프레임(300)의 선단부(310)로부터 베이스 프레임(300)의 후단부(399)에 이르는 거리(Lb)보다 크다. 베이스 프레임(300)의 선단부(310)로부터 제2 이동 프레임(500)의 후단부에 이르는 거리(L2)는 베이스 프레임(300)의 선단부(310)로부터 제1 이동 프레임(400)의 후단부에 이르는 거리(L1)보다 크다. 예를 들어, A4 보다 큰 규격인 리갈지가 적재되며 측면 가이드(330a,330b)와 후면 가이드(530)를 조절하여 적재된 용지의 양 측면과 후면이 단단히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급지 카세트에 따르면,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 프레임을 슬라이딩시키면서 고정 돌기 및 고정 구멍의 체결 위치를 선택적으 로 변경할 수 있고 급지 카세트의 길이가 신축 가능하므로 다양한 크기의 용지를 적재할 수 있으며 급지 카세트의 크기에 구속 받지 않고 화상형성장치 자체 및 그 포장 용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37)

  1. 용지의 선단부가 적재되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용지의 후단부가 적재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이동 프레임;
    미리 설정된 다수의 고정 위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상기 이동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용지를 올려놓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및 이동 프레임 상호 간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전체 크기가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카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의 바닥면에 각각 마련되어 상호 체결되는 고정 구멍 및 고정 돌기를 다수 포함하며,
    상기 고정 구멍 및 상기 고정 돌기의 체결 위치가 선택적으로 변경됨으로써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카세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고정 구멍에 탄력적으로 체결되며 손으로 눌러지면 상기 고정 구멍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카세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이동 프레임과,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 이동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카세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고정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 돌기는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의 고정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고정 돌기는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에 대한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의 고정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카세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돌기는,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에 좌우 대칭으로 각각 1개씩 마련되어 양손으로 눌러지면서 상기 제1 고정 구멍에서 분리되고,
    상기 제2 고정 돌기는,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의 중앙부에 1개가 마련되어 한손으로 눌러지면서 상기 제2 고정 구멍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카세트.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멍은,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다수 배열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바닥면의 제1 고정 구멍과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의 바닥면의 제2 고정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이 슬라이딩되면 상기 제1 고정 돌기가 옮겨지며 상기 제1 고정 구멍 중 어느 하나에 탄력적으로 체결되고,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이 슬라이딩되면 상기 제2 고정 구멍이 옮겨지며 그 중 하나가 상기 제2 고정 돌기와 탄력적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카세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구멍은,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을 수축된 상태로 고정하는 위치 및 신장된 상태로 고정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2 고정 구멍은,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을 수축된 상태로 고정하는 위치 및 신장된 상태로 고정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카세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선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용지의 선단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녹업 플레이트와,
    상기 녹업 플레이트에 앞서 상기 용지의 양 측면을 지지하며 래크 및 피니언으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한 쌍의 측면 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고정 구멍은,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이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래크 및 피니언에 접촉 간섭되지 않을 정도로 인접되는 위치,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카세트.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가이드에는 폴이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바닥면에는 상기 폴과 치합되는 래칫이 마련되며,
    상기 측면 가이드는, 상기 용지의 양 측면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고 상기 용지의 양 측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자유 이동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카세트.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에는, 상기 용지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후면 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고정 구멍은, 상기 후면 가이드가 상기 용지의 후단부에서 최대한 멀리 이동되어도 상기 제2 고정 구멍이 가려지지 않는 위치, 및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의 선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카세트.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가이드에는 폴이 마련되고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의 바닥면에는 상기 폴과 치합되는 래칫이 마련되며,
    상기 후면 가이드는, 상기 용지의 후단부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고 상기 용지의 후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자유 이동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카세트.
  1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에는 상기 용지의 후단부를 감싸는 프레임 테두리가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 측면에는 상기 프레임 테두리의 양 측면에 돌출된 가이드 보스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 보스 레일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카세트.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을 신장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카세트.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이동 프레임을 신장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미는 푸쉬바와, 상기 푸쉬바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카세트.
  16. 용지의 선단부가 적재되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용지의 후단부가 적재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으로, 다단계의 고정 위치를 가지며 그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끼워지고,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은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에 끼워지며, 상기 용지를 올려놓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및 제1 및 제2 이동 프레임 상호 간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전체 크기가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카세트.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의 중앙부에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가 돌출되고,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에는,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레일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 플레이트 및 이에 삽입된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슬롯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카세트.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 플레이트의 좌우로 제1 가이드 플레이트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제1 슬롯의 좌우로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슬롯이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카세트.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에는, 상기 용지 후단부를 감싸는 프레임 테두리가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 측면에는, 상기 프레임 테두리의 양 측면에 돌출된 가이드 보스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 보스 레일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 카세트.
  20. 화상형성장치 본체 및 용지를 수납하는 급지 카세트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지 카세트는,
    용지의 선단부가 적재되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용지의 후단부가 적재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이동 프레임;
    미리 설정된 다수의 고정 위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상기 이동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용지를 올려놓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및 이동 프레임 상호 간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상기 급지 카세트의 전체 크기가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의 바닥면에 각각 마련되어 상호 체결되는 고정 구멍 및 고정 돌기를 다수 포함하며,
    상기 급지 카세트는 상기 고정 구멍 및 상기 고정 돌기의 체결 위치가 선택적으로 변경됨으로써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고정 구멍에 탄력적으로 체결되고, 눌러지면 상기 고정 구멍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는 손으로 눌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이동 프레임과,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 이동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고정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 돌기는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의 고정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고정 돌기는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에 대한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의 고정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돌기는,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에 좌우 대칭으로 각각 1개씩 마련되어 눌러지면서 상기 제1 고정 구멍에서 분리되고,
    상기 제2 고정 돌기는,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의 중앙부에 1개가 마련되어 눌러지면서 상기 제2 고정 구멍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멍은,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다수 배열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바닥면의 제1 고정 구멍과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의 바닥면의 제2 고정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이 슬라이딩되면 상기 제1 고정 돌기가 옮겨지며 상기 제1 고정 구멍 중 어느 하나에 탄력적으로 체결되고,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이 슬라이딩되면 상기 제2 고정 구멍이 옮겨지며 그 중 하나가 상기 제2 고정 돌기와 탄력적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구멍은,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을 수축된 상태로 고정하는 위치 및 신장된 상태로 고정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제2 고정 구멍은,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을 수축된 상태로 고정하는 위치 및 신장된 상태로 고정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선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용지의 선단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녹업 플레이트와,
    상기 녹업 플레이트에 앞서 상기 용지의 양 측면을 지지하며 래크 및 피니언으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한 쌍의 측면 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고정 구멍은,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이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래크 및 피니언에 접촉 간섭되지 않을 정도로 인접되는 위치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가이드에는 폴이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바닥면에는 상기 폴과 치합되는 래칫이 마련되며,
    상기 측면 가이드는, 상기 용지의 양 측면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고 상기 용지의 양 측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1.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에는 상기 용지의 후단부를 감싸는 프레임 테두리가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 측면에는 상기 프레임 테두리의 양 측면에 돌출된 가이드 보스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 보스 레일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가이드는 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은 상기 폴과 치합되도록 그 바닥면에 래칫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후면 가이드는 상기 용지의 후단부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되고 상기 용지의 후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3.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은 상기 용지의 후단부를 감싸는 프레임 테두리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 측면에는 상기 프레임 테두리의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 보스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 보스 레일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4.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을 신장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이동 프레임을 신장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미는 푸쉬바와, 상기 푸쉬바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6.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수동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돌기는 및 제2 고정 돌기는 손으로 눌러지면 상기 제1 고정 구멍 및 제2 고정 구멍에서 각각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50098725A 2005-10-19 2005-10-19 신축 가능한 급지 카세트 KR100728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725A KR100728003B1 (ko) 2005-10-19 2005-10-19 신축 가능한 급지 카세트
US11/582,997 US7668502B2 (en) 2005-10-19 2006-10-19 Adjustable paper cassette
CN200610136246A CN100581951C (zh) 2005-10-19 2006-10-19 可调整的纸盒和成像装置
US12/654,716 US8170462B2 (en) 2005-10-19 2009-12-30 Adjustable paper cassette
US13/427,735 US20120183339A1 (en) 2005-10-19 2012-03-22 Adjustable paper casset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725A KR100728003B1 (ko) 2005-10-19 2005-10-19 신축 가능한 급지 카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767A KR20070042767A (ko) 2007-04-24
KR100728003B1 true KR100728003B1 (ko) 2007-06-14

Family

ID=37948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725A KR100728003B1 (ko) 2005-10-19 2005-10-19 신축 가능한 급지 카세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7668502B2 (ko)
KR (1) KR100728003B1 (ko)
CN (1) CN10058195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44203A1 (en) * 2005-04-28 2006-11-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tray
KR100728003B1 (ko) * 2005-10-19 200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신축 가능한 급지 카세트
US7922171B2 (en) * 2007-01-31 2011-04-12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564899B2 (ja) * 2009-11-09 2014-08-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KR101602429B1 (ko) * 2009-11-27 2016-03-10 삼성전자 주식회사 급지카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JP5154620B2 (ja) * 2010-09-06 2013-02-27 株式会社沖データ 媒体収納装置、防塵カバー及び画像形成装置
CN102530604A (zh) * 2010-12-29 2012-07-04 刘安成 进纸弧
CN102514978A (zh) * 2011-10-21 2012-06-27 天津长荣印刷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抽屉式铺纸装置及其工作方法
JP5906858B2 (ja) * 2012-03-21 2016-04-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案内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338081B2 (ja) * 2013-10-16 2018-06-06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積載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WO2015115169A1 (ja) * 2014-01-31 2015-08-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カセッ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137022B2 (ja) * 2014-03-31 2017-05-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トレイ及びシート搬送装置
JP6387881B2 (ja) * 2015-03-31 2018-09-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トレイ、搬送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CN108349670B (zh) 2015-09-30 2019-10-29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介质托盘组件
JP6387956B2 (ja) * 2015-12-25 2018-09-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給紙カセ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800619B2 (ja) * 2016-06-03 2020-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790512B2 (ja) * 2016-07-04 2020-11-25 株式会社リコー 給送トレイ、給送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CN107642521B (zh) * 2016-07-20 2020-02-07 鸿富锦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联锁式组装机构
US11097912B2 (en) 2019-06-20 2021-08-24 Xerox Corporation Tethered trailing edge media guide
JP2021017335A (ja) * 2019-07-19 2021-02-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トレイ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220371837A1 (en) * 2021-05-21 2022-11-24 Runbeck Election Services Inc. Printer feeding system for elections documents
US20230051596A1 (en) * 2021-08-12 2023-02-16 Runbeck Election Services, Inc. Printer modification system for elections documents
US20230059949A1 (en) * 2021-08-23 2023-02-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aper cassettes to adjust between different positions
JP2023075812A (ja) * 2021-11-19 2023-05-31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収容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0858A (ko) * 2002-04-11 2003-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무기기용 용지 가이드 장치
KR20030093874A (ko) * 2002-06-05 2003-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 적재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는 급지 카세트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6406A (en) * 1967-05-01 1968-01-30 Morris Mfg Company Adjustable telescopic bar unit
JPH0664762A (ja) 1992-08-17 1994-03-08 Ricoh Co Ltd 給紙カセット
US5264506A (en) 1992-12-30 1993-11-23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sticky polymers
JPH08119469A (ja) * 1994-10-25 1996-05-14 Ricoh Co Ltd 給紙カセット
KR0183760B1 (ko) * 1995-11-25 1999-04-15 김광호 용지 급지 장치
JPH09175662A (ja) 1995-12-28 1997-07-08 Tohoku Ricoh Co Ltd 給紙トレイ
JPH09309626A (ja) 1996-05-20 1997-12-0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給紙トレイ
JP3491725B2 (ja) * 1997-03-18 2004-01-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給紙カセット
US6106178A (en) * 1999-04-12 2000-08-22 Hewlett-Packard Company Printer and printer paper tray
JP2000313533A (ja) * 1999-04-28 2000-11-14 Seiko Epson Corp 給紙カセットを備えた記録装置
JP3646247B2 (ja) 1999-09-20 2005-05-11 京セラ株式会社 給紙カセット
JP2002167083A (ja) 2000-12-04 2002-06-11 Ricoh Co Ltd 手差し給紙装置
JP2003312904A (ja) 2002-04-26 2003-11-06 Funai Electric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手差しトレイ
JP2003176039A (ja) * 2002-11-01 2003-06-24 Fuji Xerox Co Ltd 給紙カセット
US7070350B2 (en) * 2003-05-15 2006-07-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recording device
JP3656850B2 (ja) * 2003-10-27 2005-06-08 株式会社リコー 給紙カセット
JP2005132513A (ja) * 2003-10-28 2005-05-26 Seiko Epson Corp 給紙カセット
JP4677749B2 (ja) * 2004-09-21 2011-04-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磁性素子を有する情報媒体の情報検知装置
KR100728003B1 (ko) 2005-10-19 200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신축 가능한 급지 카세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0858A (ko) * 2002-04-11 2003-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무기기용 용지 가이드 장치
KR20030093874A (ko) * 2002-06-05 2003-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 적재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는 급지 카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83339A1 (en) 2012-07-19
KR20070042767A (ko) 2007-04-24
US7668502B2 (en) 2010-02-23
CN100581951C (zh) 2010-01-20
CN1951785A (zh) 2007-04-25
US20070086819A1 (en) 2007-04-19
US8170462B2 (en) 2012-05-01
US20100109231A1 (en) 201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8003B1 (ko) 신축 가능한 급지 카세트
US772042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hutter arm unit
US8702093B2 (en) Sheet loading device and image reading apparatus having auxiliary restricting member
JP5154620B2 (ja) 媒体収納装置、防塵カバー及び画像形成装置
US7869104B2 (en) Medium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061297B1 (ko)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5948298B2 (ja) 記録媒体収納カセ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100080714A (ko) 화상형성장치
US7424243B2 (en) Structure for installing developing uni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US8162310B2 (en) Medium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JP5303484B2 (ja) カセット及び処理装置
JP5386524B2 (ja) シート収納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298036B2 (ja) 処理装置
JP4100395B2 (ja) レーザビームプリンタ及びプリンタ
JP6394523B2 (ja) 手差しシート給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328692B2 (ja) 画像形成装置
JP5198415B2 (ja) 排出構造及び排出構造が組み込まれた画像形成装置
JP2011173722A (ja) 搬送機構及び搬送機構が組み込まれた画像形成装置
JP565707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05819A (ja) 用紙位置規制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用紙収納装置
JP2002154668A (ja) 給紙カセ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6685679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315595A (ja) 給紙機構
JP2004238150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1020768A (ja) 給紙カセ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