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3929B1 -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브록 - Google Patents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브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3929B1
KR100723929B1 KR1020060050409A KR20060050409A KR100723929B1 KR 100723929 B1 KR100723929 B1 KR 100723929B1 KR 1020060050409 A KR1020060050409 A KR 1020060050409A KR 20060050409 A KR20060050409 A KR 20060050409A KR 100723929 B1 KR100723929 B1 KR 100723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ncrete block
concrete
inner space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0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식
Original Assignee
박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문식 filed Critical 박문식
Priority to KR1020060050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3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04B2/44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04B2/46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04B2/44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04B2/4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by filling material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in small channels in, or in grooves between, th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04C1/41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load-bearing 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내벽 및 외벽용에 사용할 수 있고 조적시공이 간편하고 안정성이 있으며 블록 내부공간에 기포콘크리트의 구조체가 충진되어 있어 블록의 강도가 향상되며 단열성 및 방진성(진동흡수성)이 뛰어나며 기포콘크리트 구조체에 일라이트, 전기석, 모나자이트 분말이 분산 고착되어 있으므로 우수한 원적외선 방사기능과 획기적인 음이온 발생기능, 악취흡착기능, 내항균성이 부여된 블록으로 전술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블록 전면 또는 후면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블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브록{CONCRETE BLOCK OF MULTI-FUN CTION FOR STRUCTURE WAL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블록의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블록이 적층된 상태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블록의 적층된 상태 단면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블록의 적층된 상태 측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블록의 적층된 상태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블록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블록의 충전되는 상태의 사시도
본 발명은 기능성을 갖는 건물벽체용 브록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측부에 결합용 돌출대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부에는 결합용 장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결합연결용 수직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브록 내부공간으로 통하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결합연결용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브록 전면과 후면 또는 일측면에만 브록 내부공간과 관통하는 여러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 및 통공에는 다기능성을 갖는 기포콘크리트체가 충진되므로서 방음성이 우수하고 단열성에 의한 보온 특성이 우수하며 원적외선 방사기능과 음이온발생기능이 있어 인체에 유익한 작용을 함과 동시에 흡착성과 항균기능이 있는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블록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구의 도시집중화로 협소하고 고가인 대지의 효율적인 이용과 건축기술의 발달로 아파트나 건물이 날로 고층화되는 추세에 있어 건축자재의 경량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또한 건축물의 공기단축과 높은 이익을 위해 견실하고 친환경적인 건축자재의 선택을 외면하고 있는 실정이라 할 수 있다.
실예로서 아파트와 아파트의 상하층간이나 인접된 층사이에 소음이나 충격 진동에 의한 시비가 발생하고 특히 내장재인 프라스틱시트 및 프라스틱판재의 벽재, 천장재, 페인트, 합성수지 발포벽지, 접착제 등 다양한 건축자재가 사용되므로서 아토피를 비롯한 피부질환 각종 알레르기의 유발, 심지어는 암발생물질까지도 검출되고 있으며 특히 화재시에는 열에 의한 피해도 피해지만 각종 합성수지를 사 용하므로서 대피전에 염소를 비롯한 각종 유해개스에 질식사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정부의 환경차원에서 시책이나, 건축자재의 생산자 및 시공자들의 관심과 노력이 있기는 하지만 아직까지도 미흡하고 요원하다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 해결을 위한 일환으로 건축자재의 각종분야에서 여러형태의 자재들이 소개되고 출시되고 있는 가운데 블록에 관한 종래기술을 소개하건데 국내등록특허공보(등록번호10-0426776호)에 "황토 바이오 벽돌 및 그 제조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우선 제조방법을 보면 분쇄기를 이용하여 황토와 맥반석을 소정 입도 이하로 분쇄하는 제1단계와, 분쇄된 황토와 맥반석을 충분히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제2단계와, 수분이 제거된 황토 60~70중량%, 바람직하게는 65중량%에 맥반석 20~30중량%, 바람직하게는 25중량%를 혼합하는 제3단계와, 상기 황토와 맥반석의 혼합물에 숯 2~4중량%, 바람직하게는 3중량%를 첨가하는 제4단계와, 제4단계에서 만들어진 혼합물에 자연 경화제로서 천연 오렌지나무 수액 3중량%를 섞어서 교반하는 제5단계와, 제5단계에서 얻어진 경화물을 이용하여 소망하는 형상의 벽돌로 성형한 후 건조시키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블록은 황토 맥반석 등에 의하여 원적외선 방사기능과 흡착성 기능은 예측할 수 있으나 강도나 내수성을 전혀 기대할 수 없는 벽돌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조성비에 있어서 황토와 맥반석이 대부분을 차지하므로서 흙벽돌에 가까운 벽돌이라 할 수 있다.
원래 블록의 강도는 시멘트에서와 같이 수화반응을 거쳐 응결과 경화기구에 의하여 양생되거나 황토 등 세라믹 조성물을 소성반을시키므로서 강도를 발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벽돌은 단순히 황토의 가소성과 점성에 의하여 조성물을 결합시키고 건조에 의하여 생성되어지므로 강도와 내수성을 거의 기대할 수 없어 벽돌이나 블록의 제1 조건인 강도를 외면한 벽돌이라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20-0321064)에 의하면 고안의 명칭을 "황토 콘크리트 벽돌의 형상"의 벽돌로서 구조상으로는 특징이 있다고 할 수 있을지 모르나 황토 첨가로 단열이나 방음효과가 있음이 예측 가능하다고 할 수 있으며 황토와 재생골재를 주재로 하고 시멘트를 경화제로 사용하므로서 비용절감의 효과도 있으나 황토와 재생골재가 주재로 되는 이상 황토와 재생골재는 수화반응이나 응결 경화반응을 거의 하지 않으므로 강도를 저하시킨다.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시멘트의 량을 크게 늘리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시멘트에 소성한 점토나 프라이애쉬를 혼합재로 사용할 경우 중량비로 15% 이상을 첨가하지 않으며 점토의 일종인 황토를 사용할 경우 실리가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된 것을 사용하게 된다. 여기에서 황토를 사용할 경우 황토자체가 경화되지 않지만 석회와 물을 혼합하면 상온에서 경화되는 잠재 수경성을 가지게 되어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와 같은 조성물로서는 블록의 제일 조건이라 할 수 있는 강도를 기대할 수 없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국내 공개특허공보(공개번호10-2006-0020560)에는 단열 방음 등의 기능성을 갖는 벽돌을 소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벽돌은 벽돌 길이방향 으로 상하중심에 상하 깊은 홈(101, 102)이 형성되므로서 구조적으로 적재 또는 하차과정이나 취급과정에서 충격에 의하여 쉽게 파손될 수 있고 또한 제1 동공이나 제2 동공에 스치로폼, 숫가루, 질석 등의 충진재를 접착 충진하는 과정이 지나치게 복잡하여 실용성과 생산성을 기대할 수 없고 테이프, 스치로폼 등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므로서 친환경적이라 할 수 없다.
이상과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블록에 있어서 원적외선 방사기능, 단열기능, 방음기능, 경제성, 구조의 개선, 시공성 등을 추구하고 있으나 미흡한 상태이고 블록의 기본기능인 강도, 내수성 등이 결여되어 블록으로서 만족할만한 기능을 갖추었다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종래 블록의 문제점들은 종합적으로 개량 보완한 블록으로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으로서 소정의 강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조적 시공이 편리하며 조적 후 벽체가 견고하고 안전할 뿐 아니라 블록 내부 공간에 원적외선 방사 및 음이온 발생 등의 광물질을 도입한 기포콘크리트를 충진시키므로서 블록의 경량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구조적으로 블록의 내충격성을 보강하고 단열성, 방음성 및 내항균성이 부여되며 악취흡착성, 음이온 발생 및 원적외선 방사기능으로 쾌적한 생활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블록으로서 요구되는 강도, 내수성 등의 기본물성을 확보하면서 단열성, 방음성이 부여되고 음이온발생, 원적외선 방사기능 항균성 및 개스흡착성 등 친환경적인 기능성을 갖는 콘크리트 블록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과 같이 상하측부에 상하결합용 돌출대(1)와 장홈(2)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부 일측에는 좌우결합용 수직홈(3)이 형성됨과 동시에 브록 내부로 관통하는 입구(4)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좌우결합용 돌출부(5)가 형성되어 있으며 블록 전면 및 후면 또는 일측면에만 브록 내부공간과 관통되는 여러개의 관통공(6)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 및 관통공(6)에는 기능성을 갖는 기포콘크리트(7)가 충진되어 있는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블록(A)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성 콘크리트 블록에 관하여 보다 분명하게 이해하기 위해 그 제조방법을 공정별로 설명하면 외부금형, 내부금형, 관통공형성금형을 조립체결한 후 몰탈을 충진 바이브레이숀 및 가압으로 블록을 성형하는 1단계 공정과, 상압 증기로 증기양생시키는 2단계 공정, 다기능성 기포콘크리트용 몰탈을 조성하는 3단계 공정, 3단계 공정에서 조성된 기포콘크리트용 몰탈을 블록 내부공간에 충전시키는 4단계 공정과 충전된 다기능성 기포콘크리트용 몰탈을 발포와 동시에 상압하에서 증기양생시키는 5단계의 일련의 공정으로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블록을 얻을 수 있다.
이상의 5단계 고정으로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성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서 1단계 공정에서는 다음 2단계 공정의 상압 증기양생을 하기 위해서는 시멘트를 포트란트 시멘트를 사용하여야 한다. 알루미나 시멘트의 경우는 고온 습윤 조건하에서 시멘트 강도에 불리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사용해서는 안된다. 여기에 사용되는 몰탈은 중용열 포트란트 시멘트이고 모래와 물 기타 첨가재는 통상의 배합비이면 가능하다.
증기양생 공정에 있어서는 배합시 발생하는 반응열의 상태로 3~5시간의 전양생시간을 갖고 이후에는 시간당 25~30℃ 속도로 상승시켜 최고온도 80℃까지 상승시킨 다음 15시간 이내로 양생시킨다.
3단계 공정의 다기능성 기포콘크리트용 몰탈 조성물은 포트란트 시멘트 45%, 생석회 18%, 황토 15%, 일라이트(illite) 8%, 전기석(Tourmaline) 3%, 모나자이트 2%, 알루미늄 분말 3%, 물에 용해된 알긴산소다 및 가성소다가 고형분으로서 6%인 수용액이 첨가된다.
상기 수용액은 탄산소다 또는 가성소다 등의 알카리 수용액으로 해초(곰피)로부터 추출한 알킨소다 수용액이 사용된다.
3단계 공정에서 시멘트의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포오트란트 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알루미나 시멘트나 알루미나 함량이 많은 시멘트는 증기 양생의 경우 고온 습윤의 조건에서 강도 발현에 불리하다. 상기 조성물에서 황토 일라이트, 전기석, 모나자이트 등의 광물성 분말은 수첨가시 수화반응을 거의 하지 않으므로 응결경화 반응을 거의 기대할 수 없으나 석회 및 알카리 수용액 첨가로 상온에서 경화되는 잠재 수경성을 갖게 되어 강도를 얻을 수 있으며 견운모의 일종인 일라이트(illite)는 통상 운기석이라고도 불리워지며 화학성분은 Kx(Al, Fe", Fe"', Mg)y(Si, Al)4O10(OH)2ㆍnH2O로서 x≒1~0.5, y≒2인 구성성분을 갖는 복염상태 의 광물로서 원적외선 방사율이 우수하고 다공성이여서 가벼우며 탈취기능과 항균성을 가지며 전기석(Tourmaline)은 기성광성 열수광상의 모암페그마이트 중에 존재하며 화학성분인(Na, Ca), (Mg, Fe+2, Li), (Al, Fe+3, Mn, Cr, Ti)6ㆍ(B3, Si6, O27)ㆍ(O, OH, F)4 광물로서 음이온 발생량이 높고 원적외선 방사율도 0.9에 가깝다. 또한 모나자이트(Monazite)는 화학성분(Le, La, Di)PO4와 같이 희토류 원소를 원료로 하는 광물이며 현재까지 알려진 음이온 발생물질로 가장 많은 음이온을 발생하는 광물로서 광물자체만으로 약 6,000 lon/cc에 해당한다. 황토 또한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갖고 있지만 원적외선 방사율이 일라이트나 전기석에 미치 못하나 이의 첨가는 포졸란 특성을 갖고 우수한 흡착성과 단열성을 얻게 되며 또 조성물의 혼합성을 좋게 하므로서 각각 다른 비중을 갖는 원료들로 몰탈 조성시 침강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몰탈에 균질성을 갖게 하고 포졸란 기능을 가지나 많은 량을 사용할 경우 강도가 약해지므로서 중량비로 15%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기포체로선 통상적으로 기포콘크리트에 사용되는 로진비누, 음이온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 젤라틴 또는 카제인, 아릴슬론산염을 사용하나 본 발명에서는 알카리 수용액으로 해초인 갈조류로부터 추출한 알긴산 수용액으로 대체한다.
이를 사용하므로서 알긴산은 접착성이 있고 믹싱시 전체 원료를 균질화시킬 수 있는 유화성과 분산성이 있고 혼화성을 좋게 하며 방수성도 지니고 있다. 그밖에 과량의 알카리가 존재하므로서 조성물에 함유된 알루미늄성분과 반응하여 발포성을 갖게 하며 통상의 기포콘크리트의 조강제로 사용되는 알카리 등을 첨가할 필 요가 없다. 그밖에도 보호 콜로이드 기능을 갖고 있어 기포를 균일하게 하고 안정화시키는 기포안정제 또한 사용할 필요가 없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알킨산의 추출용해는 갈조류인 곰피, 톳, 태황, 모자반 종류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함유량은 원료에 대하여 증량비로 15~35% 정도로서 알긴산은 물에 쉽게 용출되지 않으므로 알간산을 알긴산소다로 바꾸어 물에 용출시키며 보통 원료의 15~20배량의 1.5% 정도의 Na2CO3, 또는 가성소다 용액을 가하여 60℃에서 2~4시간 처리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1.5% 보다 많은 2~3% 탄산소다 또는 가성소다 용액을 가하여 위와 같이 열처리하므로서 과량의 알카리가 용액 중에 존재하게 하므로서 기포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기포제, 조강제 등을 생략할 수 있다. 원래 알긴산소오다는 증점성, 보호 코로이드성(유화성, 침전방지작용), 포말안정성, 보형성, 피막형성성, 응교성을 가지고 있어 기포콘크리트용 몰탈의 상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고 균질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황토와 함께 기포의 균질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은 기포콘크리트 몰탈을 전단계 공정에서 양생된 블록(A)의 내부공간에 1/3~2/5 정도 충전시킨다.
충전방법은 도 1에서와 같이 블록(A) 전후면에 형성된 여러개의 관통공(6)을 지지판상체(21)가 부착된 저발포 고무판(22)을 전후면에 접합시킨 다음 여러개의 ㄷ자형 탄성크립(23)으로 밀착시킨 다음 입구(4)를 통해 블록 내부공간에 1/3~2/5 범위로 충진시킨 다음 상압 증기양생으로 초기단계에서는 반응열의 온도로 2~3시간 발포와 동시에 양생하게 되며 이후 온도를 시간당 온도를 20~25℃로 상승시켜 80℃ 까지 상승시킨 상태에서 8시간 양생시킨 다음 취출하여 실외에서 건조와 동시에 20일간의 양생기간을 갖게 된다.
여기에서 주의할 점은 몰탈 조성물의 혼합을 균일하게 하되 혼합시간을 가능한한 단시간에 행해져야 하며 충진과정 또한 신속하게 행하지 않으면 내부공간 충전에 결손공간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기포콘크리트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표(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1) 기포콘크리트 시험물성표
항목\구분 본 발명 기포콘크리트 비고
기건비중 0.5~0.6
압축강도 40~43㎏/㎠ 기건
인장강도 6~7㎏/㎠ 기건
휨강도 12~13㎏/㎠ 기건
전단강도 7~9㎏/㎠ 기건
열전도율 0.11~0.14Kcal/mh℃
흡음율 8~12 500H2시, 100㎜ 두께
그밖에도 본 방법에 의한 기포콘크리트 구조체로부터 발생되는 음이온 발생량을 측정한 결과 1300~1500lon/cc로 나타나며 원적외선 방사율 0.903(5~20㎛), 방사에너지 3.64×102(w/㎡)로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블록의 기능과 작용은 블록으러서의 기본 요건인 강도와 내수성의 손상없이 내벽 및 외벽용에 공히 사용할 수 있고 상방향이나 측방향의 조적 시공이 극히 간편하고 안전성이 있으며 블록 내부공간에 기포콘크리트 구조체가 충전되어 있어 블록의 충격강도가 향상되며 단열성, 방음성 및 방진성(충격 흡수성)이 뛰어나며 기포체에 일라이트(illite), 전기석(Tourmaline), 특히 모나자이트(monazite) 분말이 분산 고착되어 있으므로 우수한 원적외선 방사기능과 획기적인 음이온 발생기능, 그리고 악취흡착기능, 내항균성이 부여된 블록으로 또한 이와 같은 작용이나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블록 전면 또는 후면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블록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블록은 시공이 편리하고 안정성이 있으며 우수한 단열성에 의하여 보온성을 갖게 되므로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고 방음성과 방진성이 있어 소음 또는 진동 공해를 줄일 수 있으며 개스 흡착성이 있어 실내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고 내항균성이 있어 곰팡이 등이 발생하지 않으며 원적외선 방사기능과 음이온 발생기능으로 전술한 기능과 함께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블록이라 할 수 있다.

Claims (2)

  1. 상ㆍ하측부에 상ㆍ하 결합용 돌출대(1)와 장홈(2)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부의 일측에는 좌우결합용 수직홈(3)이 형성됨과 동시에 블록 내부로 관통하는 입구(4)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좌우결합용 돌출부(5)가 형성되어 있으며 블록 전면 및 후면 또는 일측면에만 블록 내부공간과 관통되는 다수개의 관통공(6)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 및 관통공(6)에는 기포콘크리트 구조체가 충전되어 있는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기포콘크리트 구조체는 원적외선 방사물질, 음이온 발생물질이 분산 고착되어 있는 기포콘크리트 구조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블록.
KR1020060050409A 2006-06-05 2006-06-05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브록 KR100723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409A KR100723929B1 (ko) 2006-06-05 2006-06-05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브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409A KR100723929B1 (ko) 2006-06-05 2006-06-05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브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3929B1 true KR100723929B1 (ko) 2007-06-04

Family

ID=38358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409A KR100723929B1 (ko) 2006-06-05 2006-06-05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브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392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528B1 (ko) 2009-03-16 2009-10-20 (주)대양콘크리트 하상보호블록의 제조방법
WO2011016713A1 (en) * 2009-08-03 2011-02-10 Bee Haa Tee Gypsum board for generating negative ions and far infrared radiation and method of producing thereof
CN103243857A (zh) * 2013-05-20 2013-08-14 丹东市兄弟建材有限公司 一种自保温砌块及其构成的自保温墙体
CN103498526A (zh) * 2013-10-21 2014-01-08 马晓彤 一种钢丝网架自保温模块
CN106978876A (zh) * 2017-04-21 2017-07-25 广西晖龙科技有限公司 一种多孔弹性模量的自保温混凝土砌块
CN107139319A (zh) * 2017-04-21 2017-09-08 广西晖龙科技有限公司 一种内部带有相对独立气泡的混凝土砌块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531U (ko) * 1998-02-24 1999-09-27 김경민 폴리우레탄 블록
KR200321001Y1 (ko) * 2003-04-23 2003-07-23 백래현 바닥 시공용 블록
KR20190000990A (ko) * 2017-06-26 2019-01-04 정재하 운전석 수동식 음료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531U (ko) * 1998-02-24 1999-09-27 김경민 폴리우레탄 블록
KR200321001Y1 (ko) * 2003-04-23 2003-07-23 백래현 바닥 시공용 블록
KR20190000990A (ko) * 2017-06-26 2019-01-04 정재하 운전석 수동식 음료거치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528B1 (ko) 2009-03-16 2009-10-20 (주)대양콘크리트 하상보호블록의 제조방법
WO2011016713A1 (en) * 2009-08-03 2011-02-10 Bee Haa Tee Gypsum board for generating negative ions and far infrared radiation and method of producing thereof
CN102575467A (zh) * 2009-08-03 2012-07-11 郑美霞 用以产生负离子及远红外线的石膏板及其生产方法
AU2010279793B2 (en) * 2009-08-03 2014-01-16 Bee Haa Tee Gypsum board for generating negative ions and far infrared radiation and method of producing thereof
CN103243857A (zh) * 2013-05-20 2013-08-14 丹东市兄弟建材有限公司 一种自保温砌块及其构成的自保温墙体
CN103498526A (zh) * 2013-10-21 2014-01-08 马晓彤 一种钢丝网架自保温模块
CN106978876A (zh) * 2017-04-21 2017-07-25 广西晖龙科技有限公司 一种多孔弹性模量的自保温混凝土砌块
CN107139319A (zh) * 2017-04-21 2017-09-08 广西晖龙科技有限公司 一种内部带有相对独立气泡的混凝土砌块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2076B2 (en) Methods for making aerogel composites
KR100723929B1 (ko)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브록
KR101737811B1 (ko) 내화성 및 우수한 단열 성능을 가진 무기질 발포 모르타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기질 발포 모르타르의 보수공법
US20020128142A1 (en) Lightweight substance molded body, method for the production and use thereof
KR20180114679A (ko) 단열성 및 휨강도가 향상된 경량콘크리트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877528B1 (ko) 보온성, 차음성을 향상한 드라이 모르타르 및 상기 드라이모르타르로 제조된 불연성 보드 및 상기 드라이 모르타르로제조된 경량 벽돌
KR101137176B1 (ko) 친환경 화산석을 이용한 건축용 판재 제조방법 및 그 판재
KR102228810B1 (ko)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US7097706B2 (en) Non-heating clay composites for building materials
CN107188511A (zh) 一种建筑保温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585663B (zh) 一种发泡水泥及其制备方法
WO2008020561A1 (fr) Procédé destiné à produire de la mousse de ciment magnésien durcie, mousse durcie obtenue par ce procédé, et objet moulé comprenant l'objet durci
KR101164580B1 (ko) 단열, 내수성, 내화성을 가지는 초경량 실리카 에어로겔 시멘트 몰탈의 제조방법
KR101360261B1 (ko) 경량기포시멘트 조성물을 이용한 경량기포시멘트 발포체 제조방법
KR20170066947A (ko) 불연성 경량 건축 내·외장재 제조용 다공성 세라믹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26292A (ko) 다층구조 세라믹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814740B1 (ko) 차음 효과를 갖는 단열재의 제조방법
KR101642070B1 (ko) 단열 성능이 향상된 토양 조성물
KR101154427B1 (ko) 불연성 경량 패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불연성 경량 패널
KR100798096B1 (ko) 건축자재용 모르타르 및 그 제조방법
KR100857594B1 (ko) 물유리를 소재로 한 다공성 경량보드
KR100748622B1 (ko) 물유리를 이용한 경량 다공성 단열보드의 제조방법
KR101815649B1 (ko) 건축용 실내 내장재의 제조방법
KR101019980B1 (ko) 내화 불연성 스티로폼의 제조방법
CN117229038B (zh) 一种发泡陶瓷保温材料及其制备方法与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