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399B1 - 액정 표시 장치 및 도광판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및 도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399B1
KR100718399B1 KR1020000064695A KR20000064695A KR100718399B1 KR 100718399 B1 KR100718399 B1 KR 100718399B1 KR 1020000064695 A KR1020000064695 A KR 1020000064695A KR 20000064695 A KR20000064695 A KR 20000064695A KR 100718399 B1 KR100718399 B1 KR 100718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plate
reference plane
respect
l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4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1390A (ko
Inventor
우메모토세이지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51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5/00Optical waveguides
    • Y10S385/901Illuminating or display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상면, 상기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 입사측면 및 상기 상면에 형성된 광출사 수단을 포함하는 도광판이 제공되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상면과 하면 사이에 40 nm 이하의 위상차를 갖는다. 또한, 광원은 상기 입사측면에 배치되고, 반사층은 상기 하면상에 배치되며, 액정 셔터는 상면상에 배치되고 액정 셀 및 하나 이상의 편광판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입사측면상의 입사광은 광출사 수단을 통해 상기 하면으로부터 출사하고, 상기 출사광은 이어서 상기 반사층상에서 반사되고, 이어서 상기 반사광이 상기 도광판을 통해 투과되어 최종적으로는 상기 상면으로부터 출사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 및 도광판{LIQUID-CRYSTAL DISPLAY DEVICE AND LIGHT PIPE}
도 1은 액정 표시 장치의 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광판에 있어서 광출사 수단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3은 투과 모드에 있어서의 시인(視認)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반사 모드에 있어서의 시인 상태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광이용 효율이 우수하여 밝기가 우수하고 시인이 용이한 액정 표시 장치, 및 상기 액정 표시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도광판에 관한 것이다.
소비 전력이 작은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이점을 활용하면서, 조명장치를 제공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로서 알아볼 수 있는 반사·투과 양쪽 용도의 액정 표시 장치가 검토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반투과형의 반사층을 사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 또는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서 사용되는 후광(back lighting) 유닛이 액정 셀의 시인측에 배치하여 전광(front lighting) 유닛으로 사용된 액정 표시 장치 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반투과형 반사층을 이용한 시스템에는, 광이 반투과형 반사판의 하프-미러(half-mirror) 효과에 의해 반사광과 투과광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어떤 모드에서도 밝기가 반사 전용 또는 투과 전용보다 열등하다고 하는 난점이 있다. 편광을 선택적으로 반사하여 반사율과 투과율의 합계가 100%를 초과하는 반사 편광판을 사용하여 개선하려는 제안도 있지만, 반사와 투과 모드 사이의 표시의 반전, 흑표시의 부유를 방지하기 위해 배치한 광흡수체에 의한 흡수 때문에 투과 모드에서 광이용 효율이 50% 이하까지 낮아졌다. 미광하에 어떠한 모드에서도 표시가 보기 어려워지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또한 전광 시스템에서도, 투과 모드에서는 광이 액정 셀 등을 왕복하는 통상의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 비해 표시가 어두워지기 쉽고, 도광판의 손상 또는 오염이 밝은 점으로서 눈에 뜨일 뿐만 아니라, 도광판 상면으로부터의 누출 광에 의해 표시 콘트라스트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반사와 투과의 양 모드에 있어서 휘도가 우수함과 동시에 표시의 반전이 발생하지 않고, 누출 광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도 발생하지 않는 양호한 시인성의 액정 표시 장치의 개발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면, 상기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 입사측면 및 상기 상면에 형성된 광출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과 하면 사이에 40 nm 이하의 위상차를 갖는 도광판; 상기 입사측면에 배치된 광원; 상기 하면상에 배치된 반사층; 및 상기 상면상에 배치되고 액정 셀 및 하나 이상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입사측면상의 입사광을 광출사 수단을 통해 상기 하면으로부터 출사하고, 상기 출사광이 상기 반사층상에서 반사되고, 이어서 상기 반사광이 상기 도광판을 통해 투과되어 최종적으로는 상기 상면으로부터 출사되는, 액정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상차를 가급적으로 발생시키지 않는 도광판이 액정 셀과 반사층의 사이에 배치된 구조물이 제공되고, 따라서 편광판을 통한 선형 편광의 상태가 변화하기 어려우므로 휘도의 변화 또는 색 얼룩 등에 의한 표시 얼룩이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반사 모드에서 광이용 효율의 저하는 도광판에 의한 흡수 손실 또는 반사 손실 등의 경미한 것이기 때문에 종래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 그대로 필적하는 휘도를 실현하고, 투과 모드에서도 종래의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와 동일한 휘도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반사와 투과에 기인한 표시의 반전이 발생하지 않고, 도광판으로부터의 누출 광에 기인한 콘트라스트의 저하도 발생하지 않으면서 양호한 시인성의 액정 표시 장치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의 상면에 광출사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투과 모드에서 도광판 내에 있어서 광로를 길게 할 수 있어서 광의 넓이가 커지고 휘선의 세기를 완화할 수 있어서 무아레(moire)의 방지 또는 표시의 균일성의 향상에 유리하게 작용하고, 도광판의 하면에 반사층을 점착층 등을 통해 용이하게 밀착 배치하여 일체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프리즘상 요철 등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광출사 수단을 갖는 도광판의 경우에는, 그의 경사면을 통한 반사광의 지향성이 우수하여 투과 모드에서의 시인에 유리한 광을 효율적으로 형성하여 더욱 밝은 표시를 수득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외광의 입사 효율 및 반사후의 투과 효율에도 우수하여 반사 모드에서도 광이용 효율이 양호하고 균일성이 우수한 발광으로 인해 더욱 밝은 표시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향성에 의한 무아레의 발생도 광출사 수단의 사행 배치로 억제할 수 있어서, 우려할 만한 시인 저해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도광판에 기인한 위상차가 크면, 반사 모드의 경우에, 액정 셔터의 편광판을 통한 선형 편광이 반사층을 통해 도광판을 왕복하는 동안 그의 위상차 때문에 타원형으로 편광되고, 편광판에 재입사한 경우에 흡수 성분이 발생하여 표시의 휘도가 저하되고, 또한 위상차에 기인한 파장 분산에 의해 착색이 발생한다. 또한 위상차의 변화 때문에 광의 투과 위치 또는 투과 방향에 따라 위상차가 변화하면, 그의 위치 또는 방향에 따른 휘도 변화가 발생하여 표시 얼룩의 원인이 되고, 파장 분산에 의한 광의 투과 위치 또는 투과 방향에 따라 무색 또는 감색 또는 청색 등의 상이한 색으로의 착색 때문에 색 얼룩이 발생하여서 이것도 표시 얼룩의 원인이 된다.
한편, 도광판의 하면에 광출사 수단을 마련한 경우에는, 광출사 수단의 기능 유지 차원에서, 독립 반사판을 분리 배치할 필요가 있고, 부품수의 증가와 함께 반사판의 배치 및 고정으로 인해 구조가 복잡해지고, 주름의 발생에 의한 표시의 흐트러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두꺼운 지지가 필요하게 되어서 도광판이 무거워져서 난점이 있다.
또한, 도트 또는 엠보싱 요철 등의 산란식 출사수단을 갖는 도광판에서는, 출사광이 약 60° 방향의 큰 각도로 광을 출사하기 때문에 정면(수직) 방향에서는 어두워서 보기 어려운 투과 모드가 된다. 광로 제어를 목적으로 프리즘 시이트를 배치하면, 반사 모드에서의 광이 산란되어 거의 광의 대부분이 표시에 기여하지 않아서 매우 어두운 표시가 된다. 또한 도트 등이 명료하게 나타난다. 도트가 분명하게 보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강한 확산 방지성을 갖는 확산층을 배치하면, 반사 모드에서의 입사광과 그의 반사층에 의한 반사광도 산란되어 어두운 표시가 된다.
본 발명의 특성 및 장점은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정 표시 장치는, 상면, 상기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 입사측면 및 상기 상면에 형성된 광출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과 하면 사이에 40 nm 이하의 위상차를 갖는 도광판; 상기 입사측면에 배치된 광원; 상기 하면상에 배치된 반사층; 및 상기 상면상에 배치되고 액정 셀 및 하나 이상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입사측면상의 입사광을 광출사 수단을 통해 상기 하면으로부터 출사하고, 상기 출사광이 상기 반사층상에서 반사되고, 이어서 상기 반사광이 상기 도광판을 통해 투과되어 최종적으로는 상기 상면으로부터 출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반사·투과 양쪽 용도의 액정 표시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의 예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서, 1은 도광판이고, 11은 광출사 수단을 형성한 상면이고, 2는 광원이고, 3은 반사층이고, 4는 액정 셔터이고, 41, 43은 편광판이고, 42는 액정 셀이다.
삭제
삭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광판은 상면(11), 이에 대향하는 하면(12), 및 상하면 사이의 측면으로 이루어진 입사측면(13)을 갖는 판상물로 이루어지고, 광출사 수단은 입사측면으로부터의 입사광을 광출사 수단을 통해 하면으로부터 방출하도록 상면(11)에 형성된다. 사용될 판상물은 위상차가 40 nm 이하인 것이 사용된다.
도광판은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균일한 두께를 갖는 유형일 수도 있고, 입사측면(13)에 대향하는 대향 말단(14)의 두께가 입사측면(13)보다 얇은 유형일 수도 있다. 대향 말단의 두께 감소는, 경량화 또는 상면의 광출사 수단으로의 입사측면상의 입사광의 입사 효율의 향상 등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도광판의 상면에 형성된 광출사 수단은, 상기한 출사 특성을 나타내는 적당한 것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반사층을 통해 정면 방향으로의 지향성이 우수한 조명광을 수득하다는 점으로부터는 입사측면과 대향하는 경사면을 갖는 광출사 수단, 특히 프리즘상 요철로 이루어진 광출사 수단이 바람직하다. 그의 프리즘상 요철은, 동일한 측면으로 이루어진 오목부 또는 볼록부에서도 형성되지만, 광의 이용효율 등의 관점에서는 단측면(short side surface)과 장측면(long side surface)으로 이루어진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프리즘상 요철의 예를 도 2에 나타내었다. 11a가 단측면이고, 11b가 장측면이다.
상기한 정면 방향으로의 지향성 등의 특성을 달성하는 점 등에서 바람직한 광출사 수단은, 하면의 기준 평면에 대한 경사각이 35 내지 45°인 경사면과 10° 이하의 평탄면으로 이루어진 요철의 반복 구조, 특히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은 하면(12)의 기준 평면(12a)에 대한 경사각 35 내지 45°로 입사측면(13)의 측으로부터 그의 대향 말단(14)의 측까지 아래로 경사진 단측면(11a)(θ1)과, 해당 경사각이 0(0은 포함안됨) 내지 10°인 장측면(11b)(θ2)으로 이루어진 프리즘상 요철의 반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입사측면측으로부터 대향 말단측까지 아래로 경사진 경사면으로서 형성된 단측면(11a)은, 측면상의 모든 입사광중 단측면(11a)에 주어진 광을 반사시켜서 하면(반사층)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경우, 단측면의 경사각(θ1)을 35 내지 45°로 함으로써 도 3에 꺾인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전송광을 하면에 대하여 수직성 좋게 반사하여 반사층(3)을 통해 정면으로의 지향성이 우수한 출사광(조명광)을 효율적으로 수득할 수 있다. 정면에의 지향성 등의 점에서 단측면의 바람직한 경사각(θ1)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제조된 도광판 내부를 전송시키는 광의 스넬의 법칙(Snell law)에 의한 굴절에 기초하여 전반사 조건이 일반적으로 ±41.8°인 것 등을 고려하여 38 내지 44° , 특히 40 내지 43°이다.
한편, 장측면은, 도 3에 꺾인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단측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을 반사층(3)을 통해 반전시켜서 투과시키고, 도 4에 꺾인 다각형선의 화살표로 예시한 바와 같이 반사 모드로의 외광을 입수하여 그를 반사층(3)을 통해 반사시켜서 장측면을 투과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하면의 기준 평면(12a)에 대한 장측면의 경사각(θ2)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사각(θ2)이 10°를 넘으면, 굴절에 의한 광로변경이 커지고 정면 방향의 광량이 저하되어 표시가 불리해진다.
또한, 장측면의 해당 경사각(θ2)은 0°(수평면)인 것이 좋지만, 0°를 넘어서 장측면에 입사한 전송광을 반사하여 단측면에 공급한 경우에 전송광을 평행광화할 수 있고, 단측면을 통한 반사광의 지향성을 높일 수 있어서 표시가 유리하게 된다. 상기한 정면 방향의 광량 증가 또는 전송광의 평행광화 등의 점에서 장측면의 바람직한 경사각(θ2)은 8° 이하, 특히 5° 이하이다.
상기한 도광판의 장측면의 기능 등의 점에서, 바람직한 장측면은 그의 경사각(θ2)의 각도차를 도광판의 전체에서 5° 이내, 특히 4° 이내, 특히 3° 이내로 한 것이고, 가장 가까운 장측면 사이에 있는 경사각(θ2)의 차를 1° 이내, 특히 0.3° 이내, 특히 0.1° 이내로 한 것이다. 그의 경사각(θ2)의 각도차는, 장측면의 경사각이 상기한 10° 이하인 것을 전제로 하여, 결정된다. 즉, 이러한 작은 경사각(θ2)으로서 장측면 투과시의 굴절에 의한 표시상의 편향을 억제하여 허용치내로 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고, 이는 관찰점을 수직 방향 근접하게 설정하여 최적화한 액정 표시 장치의 최적 시인 방향을 변화시키지 않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밝은 표시상을 수득하는 점에서는, 외광의 입사 효율이 우수하고, 액정셀에 의한 표시상의 투광 효율 내지 출사 효율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에서, 하면의 기준 평면에 대한 장측면의 투영 면적이 단측면의 8배 이상, 특히 10배 이상, 특히 15배 이상의 프리즘상 요철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액정 셀에 의한 표시상의 대부분을 장측면을 통해 투과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액정 셀에 의한 표시상의 투과의 경우에는, 단측면으로 입사한 표시상은 입사측면측으로 반사되어 상면으로부터 출사하지 않거나, 하면에 대한 법선을 기준으로 장측면 투과의 표시상과 반대측의 크게 상이한 방향으로 편향되어 출사하고, 장측면을 통한 표시상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한 점에서 단측면은, 액정 셀의 화소에 대하여 편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극론적으로 말하면, 화소의 전면에 대하여 단측면이 중첩되면 장측면을 통한 수직방향 근접에서의 표시상의 시인이 거의 가능하지 않다. 이러한 표시광의 투과의 짧음으로 인해 부자연스러운 표시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점 등에서, 화소와 단측면이 중첩되는 면적을 작게하여 장측면을 통한 광 투과율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셀의 화소 피치는 100 내지 300 ㎛가 일반적이고, 상기한 점 또는 프리즘상 요철의 형성성 등도 비추어본 경우, 단측면은 하면의 기준 평면에 대한 투영 폭에 기초하여 40 ㎛ 이하, 특히 1 내지 20 ㎛, 특히 3 내지 15 ㎛로 되는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해당 투영 폭이 작게 되는 만큼 단측면의 형성에 고도의 기술이 필요로 되고, 프리즘상 요철의 정점이 일정 이상의 곡률 반경으로 이루어진 둥근 정도를 갖는 것으로 되면 산란 효과가 나타나서 표시상의 흐트러짐 등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형광관의 간섭 길이가 20 ㎛ 정도로 되어 있는 점 등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단측면의 투영 폭이 작게 되면 회절 등을 발생하기 쉬워져 표시 품질의 저하 원인이 되기 쉽다.
또한, 상기의 점으로부터 단측면의 간격은 큰 것이 바람직하지만, 단측면은 상기한 바와 같이 측면 입사광의 실질적인 출사 기능 부분이기 때문에, 그의 간격이 너무 넓으면, 스위칭-온시의 조도가 너무 희박하게 되어 표시가 부자연스러워 진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볼 때,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프리즘상 요철의 반복되는 피치(P)는, 50 ㎛ 내지 1.5 mm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치는, 예를 들면 랜덤 피치 또는 피치 단위를 랜덤 또는 규칙적으로 조합한 것 등과 같은 불규칙한 것이지만, 일반적으로는 일정 피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프리즘상 요철로 이루어진 광출사 수단의 경우, 액정 셀의 화소와 간섭하여 무아레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무아레의 방지는, 프리즘상 요철의 피치 조절로 수행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프리즘상 요철의 피치가 바람직한 범위이다. 따라서 이의 피치 범위에서 무아레가 발생하는 경우의 해결책이 문제가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화소에 대하여 프리즘상 요철을 교차 상태로 배열하도록, 프리즘상 요철을 입사측면의 기준 평면에 대하여 경사상태로 형성하여 무아레를 방지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경사각이 너무 크면 단측면을 통한 반사에 편향을 생성하여 출사광의 방향에 큰 편중이 발생하고, 도광판의 광전송 방향에서의 발광 강도의 이방성이 크게 되어 광이용 효율도 저하되고, 표시 품질의 저하 원인이 되기 쉽다.
상기한 점에서, 입사측면의 기준 평면에 대한 프리즘상 요철의 배열 방향, 즉, 프리즘상 요철의 능선 방향의 경사각은 ±35° 이내, 특히 ±30 ° 이내, 특히 ±25°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의 부호는 입사측면을 기준으로 한 경사의 방향을 의미한다. 액정 셀의 해상도가 저하되어 무아레를 발생하지 않는 경우 또는 무아레를 무시하는 경우에는, 프리즘상 요철의 배열 방향은 입사측면에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광판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적당한 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쐐기형 등으로 하는 경우에도 그의 형상은 적당하게 결정될 수 있고, 직선면 또는 곡면 등의 적당한 면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광출사 수단을 형성하는 경사면 또는 프리즘상 요철도 직선면 또는 굴절면(folded surface) 또는 곡면 등의 적당한 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리즘상 요철은, 피치와 더불어 형상 등도 상이한 요철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리즘상 요철은, 능선이 연속한 일련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능선 방향의 소정의 거리 간격을 가져서 능선 방향으로 불연속으로 배열한 단속적인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광판에 있어서 하면 또는 입사측면의 형상에 있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적당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평탄면은 하면 및 그의 하면에 대하여 수직인 입사측면으로 형성된다. 입사측면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오목한 곡선형 등의 광원의 외주 등에 따른 형상으로서, 입사광 효율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광원과의 사이에 개재된 도입부를 갖는 입사측면 구조 등이 가능하다. 그의 도입부는, 광원 등에 따라서 적당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광판은, 광원의 파장영역에 따라서 투명성을 나타내는 적당한 재료로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가시광 영역에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과 같은 투명 수지 또는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상하면 방향의 위상차가 40 nm인 도광판을 형성하는 점에서, 볼굴절을 나타내지 않거나 복굴절이 작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도광판은, 컷팅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적당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량 생산성 등의 점에서 바람직한 제조방법으로서는, 열가소성 수지를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금형에 가열하에 가압하여 형상을 부여하는 방법, 가열용융시킨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 또는 용매를 통하여 유동화시킨 수지를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한 금형에 충전하는 방법, 열 또는 자외선 내지 방사선 등에서 중합처리한 액상 수지를 소정의 형상을 형성하는 다이에 충전 내지 캐스팅하여 중합처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도광판의 두께는 사용 목적에 따른 도광판의 크기 또는 선형 광원의 크기 등에 따라 적당히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형성에 사용되는 경우의 일반적인 두께는, 그의 입사측면의 두께에 기초하여 5 mm 이하, 특히 0.1 내지 3 mm, 특히 0.3 내지 2 mm이다. 또한, 도광판은, 예를 들면 광의 전송을 수행하는 도광부에 프리즘상 요철 등의 광출사 수단(상면)을 형성한 시이트를 접착한 것과 같고, 동종 또는 이종의 재료로 이루어진 부품의 적층체 등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1종의 재료에 의한 일체적 단층물로서 형성될 필요는 없다.
표시 얼룩을 방지하는 점에서 도광판에 있어서 상하면 방향의 바람직한 위상차는 35 nm 이하, 특히 30 nm 이하, 특히 25 nm 이하이고, 그의 위상차의 장소마다의 변화가 가급적 작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위상차의 감소는 적절한 방법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도광판을 어닐링처리하는 방식 등으로 내부 왜곡을 제거하는 방식 등으로도 수행할 수 있고, 적당한 방식으로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위상차 조건은, 도광판의 표시에 이용하는 범위를 만족시키면 좋고, 도광판의 전면에서 만족시킬 필요는 없지만, 표시에 이용하는 범위에서는 그의 전범위에서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해당 위상차는 가시영역의 광, 특히 파장 550 nm의 광에 기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밝은 표시를 달성하는 점 등에서 보다 바람직한 반사층 부설 전의 도광판은, 상기 면 방향의 입사광, 특히 하면으로부터 상면으로의 수직 입사광의 전광선 투과율이 90% 이상, 특히 92% 이상, 특히 95% 이상이고, 헤이즈(haze)가 30% 이하, 특히 15% 이하, 특히 10% 이하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에 따르면,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의 입사광이 잘 투과되어 하면 또는 상면으로부터 방출하고, 이를 사용하여 적당하게 평행화시킨 광을 도광판을 사용하여 시인에 유리한 수직성이 우수한 방향으로 출사하고,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또한 편광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켜 밝게 보기 쉬운 저소비 전력성이 우수한 반사·투과 양용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각각의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반사·투과 양용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반사 모드에 의한 표시를 달성하기 위해서 반사층의 배치가 필수적이고, 본 발명에 있어서 그의 반사층은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도광판(1)의 하면(12)의 측에 배치된다. 반사층(3)은, 도광판의 하면에 분리 배치될 수 있으나, 도면과 같은 해당 하면에 밀착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층은 종래기술에 기초한 적당한 물질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은, 금 또는 동 또는 크롬 등의 고반사율의 금속 내지 그의 합금의 분말을 결합제 수지중에 함유시킨 코팅층, 상기의 금속 등 유전체 다층막을 진공증착 방식 또는 스퍼터링 방식 등의 적당한 박막 형성 방식으로 부설하여 이루어진 층, 상기 코팅층 또는 부설층을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기재에서 지지한 반사 시이트, 금속 호일 등으로 이루어진 반사 층이 바람직하다.
방출선 강도의 완화에 따른 무아레의 방지 또는 표시의 균일성의 향상 등의 점에서 바람직한 반사층은, 확산 반사를 발생시키는 바와 같은 것이다. 그의 확산 강도는 상기한 광의 지향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것은 불리하기 때문에, 평균 확산 각도에 기초하여 5 내지 15° 정도가 바람직하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확산형의 반사층은 반사면을 조면화하는 방식 등의 종래에 준한 적당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반사층의 도광판 하면으로의 밀착 일체화 처리는, 점착층 또는 그밖의 접착층 등의 접착 수단을 통한 방식, 또는 도광판의 하면에 상기한 코팅층 또는 부설층을 직접 형성하는 방식 등의 적당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반사면의 손상 또는 산화 열화 등을 방지하는 반사층은, 그 외부 표면이 피복 보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한 반사 시이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반사 시이트에 따르면 이의 필름 기재 등의 표면의 조면화를 통해 상기한 확산형의 반사층도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반사층 또는 그의 지지 기재의 조면화 처리는, 예를 들면 엠보싱 가공 또는 버핑(buffing) 처리, 금형 등의 조면 형상을 전사하는 방식 등의 기계적 방식 또는 화학적 처리 방식,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 티타니아 또는 지르코니아, 산화 주석 또는 산화 인듐, 산화 카드뮴 또는 산화 안티몬 등의 도전성 있는 무기계 입자, 또는 가교 또는 미가교 중합체 등의 유기계 입자 등의 적당한 입자를 함유시킨 방식 또는 그의 함유층을 도공하는 방식 등의 적당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에 있어서는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은 도광판(1)의 입사측면(13)에 광원(2)이 배치되어 측광형(side lighting type)의 후광 유닛을 형성한다. 이러한 광원으로서는 적당한 것을 사용한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냉, 열)음극관 등의 선상 광원, 발광 다이오드 등의 점광원 또는 그의 선상 또는 면상 등에 배열한 어레이체, 또는 점광원을 일정 또는 부정 간격의 선상 발광상태로 변환하는 장치를 사용한 광원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원은 투과 모드에 의한 시인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반사 모드에서 시인하는 경우, 광원을 스위칭-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광원은 그의 스위칭-온·스위칭-오프가 가능한 것으로 제공된다. 그의 반복 방식으로는 임의의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고, 종래 방식중 어느 것이라도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광원은 미리 도광판에 부설하여 광원을 갖는 도광판으로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을 위해서, 필요에 따라 광원(2)으로부터의 발산광을 도광판(1)의 입사측면(13)에 도입하기 위해서 광원을 포위하는 광원 홀더 등의 적당한 보조수단을 배치한 조합체가 가능하다. 광원 홀더로서는 고반사율 금속 박막을 부설한 수지 시이트 또는 금속 호일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광원 폴더를 도광판의 단부에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접착하는 경우에는, 그의 접착 부분에 광출사 수단의 형성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은 액정 셔터로서 기능하는 투명 전극(도시되지 않음)을 갖는 액정 셀(42)과 이에 수반되는 구동 장치, 편광판(41), 후광 유닛(1,2), 반사층(3) 및 필요에 따라 보상용 위상차판 등의 구성부품을 적당히 조립하는 것 등에 의해 형성된다.
사용하는 액정 셀에 있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면 액정의 배향 형태에 기초하는 경우, TN 액정 셀 또는 STN 액정 셀, 수직 배향 셀 또는 HAN 셀, OCB 셀과 같은 트위스트계 또는 비트위스트계, 게스트-호스트계 또는 강유전성 액정계의 액정 셀 등을 사용한다. 또한 액정의 구동 방식에 있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면,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방식 또는 패시브 매트릭스(passive matrix) 방식 등의 적당한 구동 방식이 좋다.
한편, 편광판으로서도 적당한 물질을 사용하지만, 고도의 선형 편광의 입사에 의한 양호한 콘트라스트비의 표시를 수득한다는 점 등에서는 예를 들면 요오드계 또는 염료계의 흡수형 선형 편광자 등의 편광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편광판은, 도 1의 예의 액정 셀(42)의 양측에 마련되거나, 액정 셀의 한 측에만 마련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시에는, 예를 들면 시인측에 마련된 확산판 또는 안티글레아 층(anti-glare layer) 또는 보호층, 또는 액정 셀과 편광판의 사이에 마련한 보상용 위상차판 등의 적당한 광학 소자를 적당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보상용 위상차는, 복굴절의 파장 의존성 등을 보상하여 시인성의 향상 등을 수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상용 위상차판은 시인측 및/또는 배면측의 편광판과 액정 셀의 사이 등에 필요에 따라서 배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도광판의 광출사 특성을 가급적 충분하게 유지한다는 점에서, 액정 셀과 도광판의 사이에 배치한 광학층은 가급적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상용 위상차판으로서는 파장영역 등에 따라서 적당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1층 또는 2층 이상의 위상차판의 중첩층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시인은, 상기한 바와 같이 도광판의 장측면의 투과광을 통해 수행된다. 이와 관련하여 투과 모드에서, 도 3에 화살표에 의해 예시한 바와 같은 광원의 스위칭-온 상태로, 도광판(1)의 하면으로부터 출사한 광(α)이 반사층(3)을 통해 반사되어 도광판(1)의 장측면(11b)을 투과하고, 편광판(43,41)과 액정 셀(42)을 경유하여 표시상(α)이 시인된다.
한편, 반사 모드에서 광원을 스위칭-오프한 상태로, 도 4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은 외광(γ)이 편광판(41,43)과 액정 셀(42)을 경유하고 편광판(43)에서 선형 편광으로 되어 도광판(1)의 상면의 장측면(11b)을 투과한 후, 상기한 투과 모드의 경우와 동일하게 반사층(3)을 통해 반사되어 도광판(1)의 장측면(11b)을 투과하고 그 사이에, 상기 편광판(43)에 의한 편광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여 반대로 진행되고, 다시 편광판(43,41)과 액정 셀(42)을 경유하여 표시상(γ)이 시인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액정 표시 장치를 형성하는 도광판 또는 액정 셀 또는 편광판 등의 광학 소자 내지 부품은,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적층 일체화되어 고착되어 있어도 좋고, 분리 용이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계면 반사의 억제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 방지 등의 점에서는, 고착 상태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착 밀도 처리에는, 점착제 등의 적당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투명 접착층에 상기한 미립자 등을 함유시켜서 확산 기능을 나타내는 접착층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미리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판의 표면을 다이아몬드 날로 절단하여 상면에 광출사 수단을 갖는 위상차의 평균이 4.1 nm에서 최대치가 8 nm, 최소치가 0 nm인 도광판을 수득하였다. 이는 폭 40 nm, 깊이 25 nm, 입사측면의 두께 1 mm, 대향 말단의 두께 0.6 mm이고, 상하면은 평면에서 상면에 입사측면에 평행한 프리즘상 요철을 210 ㎛의 피치로 갖고, 단측면의 경사각은 42.5 내지 43°의 범위이고, 장측면의 경사각은 1.8 내지 3.5°의 범위에서 변화하고, 가장 가까운 장측면의 경사각 변화는 0.1° 이내이고, 단측면의 하면에 대한 투영 폭이 10 내지 16 ㎛, 장측면/단측면의 하면에 대한 투영 면적에 대한 투영 면적비가 12배 이상인 것이다. 또한 광출사 수단은, 입사측면에서 2 mm 떨어진 위치에서 형성하였다.
상기 도광판의 입사측면에 직경 2.0 mm의 냉음극관(해리슨 전기사제; Harison Electric Co.,Ltd.)을 배치하여 백색의 램프 반사 시이트로 이루어진 광원 홀더에 그 가장자리를 도광판의 상하 단면에 밀착시켜서 포위하고 냉음극관에 인버터와 직류 전원을 접속하고, 도광판의 하면에 아크릴 판에 접착한 은 반사판을 설치하고, 도광판의 상면측에 통상적인 흑백 TN형 액정 셀을 배치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수득하였다. 또한 상기의 광원은 직류 전원의 온/오프에서 스위치-온/스위치-오프의 반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은 반사면은, 매트 처리한 필름 기재상에 은의 증착층을 형성한 확산형, 및 증착층의 표면을 투명 수지층으로 피복 보호한 것이다.
실시예 2
은 반사판을 그의 반사면을 통해 도광판의 하면에 접착층에서 접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에 준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은 반사판에 대하여, 거울 은 반사면을 갖는 반사 시이트를 사용하고, 그의 반사면을 통한 도광판의 하면에 실리콘계 수지를 배합한 점착층에 접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에 준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4
소정 형태의 금형을 사용하여 이것을 78℃로 가온하고, 여기에 269℃로 가열 용융시킨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충전하고 냉각하에 성형하여 실시예 1에 준한 형태의 위상차의 평균이 13.0 nm에서 최대치가 25 nm, 최소치가 5 nm인 도광판을 수득하고, 이를 사용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수득하였다. 또한 상기의 금형에서는, 런너(runner)로부터 게이트(gate)까지의 거리를 40 nm로 하고, 폭 15 mm, 두께 0.6 mm의 수지 주입 게이트가 도광판의 해당 대향 말단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형성하였다.
비교예 1
프리즘상 요철의 피치를 2 mm, 단측면의 경사각을 42.6 내지 42.8°, 장측면의 경사각을 1.9 내지 3.6°, 단측면의 하면에 대한 투영 폭을 100 내지 150 ㎛, 장측면/단측면에 대한 투영 면적비를 11배 이상으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에 준한 형태의 위상차의 평균이 65.6 nm에서 최대치가 70 nm, 최소치가 60 nm인 도광판을 수득하고, 이를 사용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2
런너로부터 게이트까지의 거리를 7 mm로 하고, 수지 주입 게이트의 폭을 5 mm, 두께를 0.3 mm로 한 금형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4에 준하여 위상차가 평균이 37.2 nm에서 최대치가 85 nm, 최소치가 20 nm인 도광판을 수득하고, 이를 사용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수득하였다.
평가시험
위상차
실시예 1 및 4, 비교예 1 및 2에서 수득한 도광판에 있어서 상하면 방향의 위상차를 조절하였다. 상측이 입사측면에 상당한다. 측정은, 광출사 수단을 통한 광로의 편향을 고려하고, 광원, 샘플, 광학소자 및 디텍터를 광로상에 배치한 세나몬트(Senarmont) 법에 기초하고, 광원에 헬륨·네온 레이저에 의한 파장 632.8 nm의 광을 사용하여, 도광판 주위 측면의 내측 5 mm의 위치에 따라 4측의 양단과 이의 중앙부, 및 전체의 중앙부의 총 9개 지점에서 수행하였다. 또한, 상기한 평균, 최대최소값은, 그의 측정결과에 기초한다.
상기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위상차(nm)
실시예 1 좌측 중앙 우측
상측 5 3 5
중앙 5 5 8
하측 3 0 3
실시예 4 상측 8 10 12
중앙 10 12 10
하측 15 25 15
비교예 1 상측 65 70 65
중앙 65 65 60
하측 65 65 70
비교예 2 상측 20 30 25
중앙 35 45 30
하측 35 85 30
상기 표 1에서, 실시예 1 및 4에서는 표시하기에 유리한 전범위에서 위상차 40 nm 이하의 조건이 만족되지만, 비교예 1 및 2, 특히 비교예 2에서는 해당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착색성
실시예 1 및 4, 비교예 1 및 2에서 수득한 도광판을 광확산성의 반사판과 편광판의 사이에 배치하고, 착색성을 조절하였다. 이러한 시험에 따르면 편광판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위상차는 영향이 없지만, 이와 상이한 방향의 위상차가 작용하여 반사광이 착색된다. 다른 방향의 위상차에 의한 착색은, 위상차의 크기에 따라 극히 희박한 갈색(반사율은 높다)으로부터 어두워져서 그의 색이 진해져 감색으로부터 청색으로 변화한다.
상기의 결과, 실시예 1에서는 그대로 무색 투명으로 착색은 나타나지 않는데, 실시예 4에서는 게이트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위상차의 발생이 인정되지만, 그의 색은 위상차가 작은 것을 표시하는 거의 무색에 가까운 갈색이었다. 한편, 비교예 1에서는 전면이 갈색으로 착색되고, 비교예 2에서는 게이트부에서 명료한 갈색으로 착색되어 편광판이 회전할 때 색이 방사상으로 변화하고, 게이트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위상차가 발생하는 동시에 게이트의 가까운 근방에서는 140 nm 정도의 위상차를 표시하는 감색의 착색이 나타난다.
휘도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수득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투과 모드 및 반사 모드에서의 백색 표시 상태에서는 정면 휘도를 휘도계(톱콘 사제, TOPCON Corp. BM7)로 조정하였다. 또한 투과 모드는, 암실중에서 광원을 스위칭-온하는 것이고 반사 모드는 암실중에서 광원을 스위칭-오프하는 것이고, 장치 중앙부의 상부방향 10 cm의 위치에 링 형상 조명장치를 배치하여 여기서도 조명함으로써 평가하였다.
하기 상기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정면 휘도(cd/㎡)
투과 모드 반사 모드
실시예 1 377 860
실시예 2 361 845
실시예 3 356 853
실시예 4 326 801
비교예 1 355 594
비교예 2 322 662
상기 표 2에서, 반사 모드에 있어서 비교예 1, 2에서는 실시예에 비해 휘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스위칭-오프 및 액정의 비동작상태에서 실내조명하에 관찰하면, 실시예 각각에서 균일한 표시가 수득되지만, 비교예 2에서는 게이트부의 주변에서 어두웠고, 따라서 착색 때문에 불균일한 표시이었다. 또한 비교예 1에서는 화면전체가 어두워서 실시예의 비교에서 약한 갈색의 착색이 확인되었다.
한편, 실시예 1에 있어서 아크릴판으로 보강시키지 않은 반사판을 고의로 주름지거나 국부적으로 굽은 상태로 배치한 경우, 반사 및 투과의 양 모드로 그의 주름 등이 명료하게 확인되는 시인성을 저하시켰다. 실시예 2 내지 4의 반사판을 도광판 접착한 경우에는 주름 또는 국소 굽은 등의 발생이 없고, 일반적으로 양호한 표시를 수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에서는 전원의 온/오프에 의해 광원의 스위치-온/스위치-오프를 반복할 수 있어서, 투과 및 반사의 양 모드에 있어서 양호한 표시 특성을 나타내는 액정 표시 장치를 수득할 수 있으며, 반사 모드의 병용으로 소비 전력을 절감하여 휴대형 표시장치 등에 배터리의 수명을 크게 연장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양태에 대해서 기술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세한 구성 및 그 일부의 조합과 배열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이용 효율이 우수하고 밝기가 우수하고 시인이 용이한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도광판을 수득할 수 있다.

Claims (20)

  1. 상면, 상기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 입사측면 및 상기 상면에 형성된 광출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과 하면 사이에 40 nm 이하의 위상차를 갖는 도광판;
    상기 입사측면에 배치된 광원;
    상기 하면상에 배치된 반사층; 및
    상기 상면상에 배치되고 액정 셀 및 하나 이상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입사측면상에 입사하는 입사광을 상기 광출사 수단을 통해 상기 하면으로부터 출사하고, 상기 출사광이 상기 반사층상에서 반사되고, 이어서 상기 반사광이 상기 도광판을 통해 투과되어 최종적으로는 상기 상면으로부터 출사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광이 스위칭-온 및 스위칭-오프가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광출사 수단이,
    입사측면과 대면하며 하면의 기준 평면에 대하여 35 내지 45°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 및
    상기 기준 평면과 10° 이하의 교차각으로 교차해서 상기 기준 평면에 대한 투영 면적이 기준 평면에 대한 상기 경사면의 투영 면적의 8배 이상인 평탄면
    을 적어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광출사 수단이 단측면(short side surface) 및 장측면(long side surface)의 조합을 갖는 연속 또는 불연속 프리즘상 요철의 50 ㎛ 내지 1.5 mm 피치의 반복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측면이 기준 평면에 대하여 경사각 35 내지 45°로 입사측면으로부터 그의 대향측면까지 아래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측면이 상기 기준 평면에 대하여 0(0은 포함안됨) 내지 10°의 경사각 범위로 경사져서 그의 전체의 경사각차가 5° 이내이고, 가장 가까운 장측면 사이의 경사각차가 1° 이내이고, 상기 기준 평면에 대한 투영 면적이 기준 평면에 대한 상기 단측면의 투영 면적의 8배 이상인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광출사 수단을 형성하는 프리즘상 요철의 반복 피치가 일정한 액정 표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광출사 수단을 형성하는 프리즘상 요철에 있어서의 단측면이, 해당 기준 평면에 대한 투영 폭이 40 ㎛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광출사 수단을 형성하는 프리즘상 요철의 능선 방향이 입사측면의 기준 평면에 대하여 ±35°인 액정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도광판이, 하면상의 입사광이 상기 도광판을 통해 투과하여 총 투과율 90% 이상으로 상면으로부터 방출하도록 제공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도광판의 하면측에 배치된 반사층이 금, 은, 알루미늄 또는 유전체 다층막으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반사층이 도광판의 하면에 밀착되어 도광판에 일체화된 액정 표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반사층이 광을 확산 반사하기 위해 제공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상면;
    상기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
    입사측면;
    상기 상면에 형성된 광출사 수단; 및
    상기 하면에 일체화된 반사층을 포함하고,
    상기 상하면의 위상차가 40 nm 이하이고, 상기 입사측면상의 입사광을 광출사 수단을 통해 상기 하면으로부터 출사하고, 상기 출사광이 상기 반사층에 의해 반사되고, 이어서 상기 반사광이 상기 도광판을 통해 투과되어 최종적으로는 상기 상면으로부터 출사되는 도광판으로서,
    상기 광출사 수단이,
    입사측면과 대면하며 하면의 기준 평면에 대하여 35 내지 45°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 및
    상기 기준 평면과 10° 이하의 교차각으로 교차해서 상기 기준 평면에 대한 투영 면적이 기준 평면에 대한 상기 경사면의 투영 면적의 8배 이상인 평탄면을 포함하는 도광판.
  13. 제 12 항에 있어서,
    광출사 수단이 단측면 및 장측면의 조합을 갖는 연속 또는 불연속 프리즘상 요철의 50 ㎛ 내지 1.5 mm 피치의 반복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측면이 기준 평면에 대하여 경사각 35 내지 45°로 입사측면으로부터 그의 대향측면까지 아래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측면이 상기 기준 평면에 대하여 0(0은 포함안됨) 내지 10°의 경사각 범위로 경사져서 그의 전체적으로 그의 전체의 경사각차가 5° 이내이고, 가장 가까운 장측면 사이의 경사각차가 1° 이내이고, 상기 기준 평면에 대한 투영 면적이 기준 평면에 대한 상기 단측면의 투영 면적의 8배 이상인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도광판.
  14. 제 13 항에 있어서,
    광출사 수단을 형성하는 프리즘상 요철의 반복 피치가 일정한 도광판.
  15. 제 13 항에 있어서,
    광출사 수단을 형성하는 프리즘상 요철에 있어서의 단측면이, 해당 기준 평면에 대한 투영 폭이 40 ㎛ 이하인 도광판.
  16. 제 13 항에 있어서,
    광출사 수단을 형성하는 프리즘상 요철의 능선 방향이 입사측면의 기준 평면에 대하여 ± 35° 이내인 도광판.
  17. 제 12 항에 있어서,
    반사층을 갖지 않는 상태로 하면상에 광을 입사시킨 경우에, 광이 도광판을 통해 투과되어 상면으로부터 90% 이상의 총 투과율로 출사되는 도광판.
  18. 제 12 항에 있어서,
    하면에 일체화된 반사층이 금, 은, 알루미늄 또는 유전체 다층막으로 이루어진 도광판.
  19. 제 12 항에 있어서,
    하면에 일체화된 반사층이, 필름 기재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접착층을 통해 상기 하면에 접착된 것인 도광판.
  20. 제 12 항에 있어서,
    반사층이 광을 확산 반사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광판.
KR1020000064695A 1999-11-02 2000-11-01 액정 표시 장치 및 도광판 KR1007183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11916 1999-11-02
JP31191699A JP4197813B2 (ja) 1999-11-02 1999-11-02 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390A KR20010051390A (ko) 2001-06-25
KR100718399B1 true KR100718399B1 (ko) 2007-05-14

Family

ID=18022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695A KR100718399B1 (ko) 1999-11-02 2000-11-01 액정 표시 장치 및 도광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69950B1 (ko)
JP (1) JP4197813B2 (ko)
KR (1) KR100718399B1 (ko)
TW (1) TWI2866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43269B1 (en) * 2000-01-13 2007-03-14 Nitto Denko Corporation Optical path changing polarizer
EP1420272A3 (en) 2000-01-13 2004-06-23 Nitto Denko Corporation Optical film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JP2001194534A (ja) 2000-01-13 2001-07-19 Nitto Denko Corp 導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609962B2 (ja) * 2000-02-02 2011-01-12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
JP4442836B2 (ja) 2000-02-02 2010-03-31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
JP2001228315A (ja) * 2000-02-14 2001-08-24 Nitto Denko Corp 反射板及び液晶表示装置
US7023418B2 (en) * 2000-07-18 2006-04-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lay device, electronic paper and electronic paper file
JP2002131552A (ja) 2000-10-24 2002-05-09 Nitto Denko Corp 導光板、面光源装置及び反射型液晶表示装置
CN1181360C (zh) * 2000-12-28 2004-12-22 王子油化合成纸株式会社 光半透过反射体
JP4662402B2 (ja) 2001-03-12 2011-03-30 日東電工株式会社 外光及び照明両モード用のフロントライト用の導光板、外光及び照明両モード用のフロントライト用の面光源装置並びに外光及び照明両モード用のフロントライト式の反射型液晶表示装置
KR100783619B1 (ko) * 2002-06-29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명장치와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장치
KR100828517B1 (ko) * 2002-09-24 2008-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TWI461758B (zh) * 2003-08-13 2014-11-21 Sumitomo Chemical Co 製備抗眩光學膜的方法
US20050147831A1 (en) * 2003-12-15 2005-07-07 Jan-Ann Co., Ltd. Reflective sheet
KR20040039222A (ko) * 2004-04-06 2004-05-10 서대식 유연한 도광판을 사용한 플라스틱 lcd 용 백라이트
CN100376970C (zh) * 2005-07-20 2008-03-26 清华大学 导光板与背光模组
TWI276894B (en) * 2005-08-17 2007-03-2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unit and light guide plate within and method for diminishing corner shadow area
KR101265393B1 (ko) 2007-07-11 2013-05-20 라벤브릭 엘엘씨 열적 절환식 반사형 광학 셔터
KR20100090914A (ko) * 2009-02-09 2010-08-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도광필름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TW201248221A (en) * 2011-05-16 2012-12-01 Chimei Innolux Corp Display and light guide thereof
WO2013012066A1 (ja) * 2011-07-21 2013-01-24 京セラ株式会社 照明装置、イメージセンサヘッドおよびこれを備える読取装置
JP6203513B2 (ja) 2013-03-28 2017-09-27 恵和株式会社 ライトガイドフィルム、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携帯型コンピュータ及びライトガイド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20160147002A1 (en) * 2014-11-26 2016-05-26 Lightmed Dental Technology Corp. Light Field-Modulable Optical Needle Assembly
CN110320588A (zh) * 2018-03-30 2019-10-11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光波导装置及显示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4205A (ja) * 1993-03-23 1994-11-25 Dainippon Printing Co Ltd レンズシート及び該レンズシートを用いた面光源
JPH0894844A (ja) * 1994-09-26 1996-04-12 Fujitsu Ltd 導光板並びにこれを用いた面光源及び非発光型表示装置
KR19980029982A (ko) * 1996-10-28 1998-07-25 손욱 액정표시소자
KR19980079276A (ko) * 1996-06-21 1998-11-25 가시오가즈오 면광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JPH1152370A (ja) * 1997-07-31 1999-02-26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KR19990077709A (ko) * 1998-03-10 1999-10-25 이데이 노부유끼 반사형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9552A (en) * 1993-11-11 1999-05-04 Enplas Corporatio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JP3187714B2 (ja) 1996-04-01 2001-07-11 日東電工株式会社 導光板、偏光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3321534B2 (ja) 1996-09-27 2002-09-03 日東電工株式会社 面光源装置及び反射・透過両用液晶表示装置
WO1998054606A1 (fr) * 1997-05-29 1998-12-03 Kuraray Co., Ltd. Guide de lumiere
JPH11133412A (ja) * 1997-10-29 1999-05-21 Nitto Denko Corp 液晶素子、光学素子及び偏光素子
US6224223B1 (en) * 1997-12-22 2001-05-01 Casio Computer Co., Ltd. Illumination panel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00111900A (ja) * 1998-10-02 2000-04-21 Sony Corp 反射型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4205A (ja) * 1993-03-23 1994-11-25 Dainippon Printing Co Ltd レンズシート及び該レンズシートを用いた面光源
JPH0894844A (ja) * 1994-09-26 1996-04-12 Fujitsu Ltd 導光板並びにこれを用いた面光源及び非発光型表示装置
KR19980079276A (ko) * 1996-06-21 1998-11-25 가시오가즈오 면광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9980029982A (ko) * 1996-10-28 1998-07-25 손욱 액정표시소자
JPH1152370A (ja) * 1997-07-31 1999-02-26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KR19990077709A (ko) * 1998-03-10 1999-10-25 이데이 노부유끼 반사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33773A (ja) 2001-05-18
TWI286646B (en) 2007-09-11
JP4197813B2 (ja) 2008-12-17
US6369950B1 (en) 2002-04-09
KR20010051390A (ko) 200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399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도광판
KR100711011B1 (ko) 도광판, 면광원 장치 및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
KR100649846B1 (ko)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4609962B2 (ja) 光学フィルム
KR100634712B1 (ko) 도광판, 표면 광원 장치 및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JP4197572B2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
KR100681095B1 (ko) 도광판, 면광원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0802743B1 (ko) 광학 필름 및 액정 표시장치
JP2001166299A (ja) 導光板、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657089B1 (ko) 반사형-투과형 겸용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010051391A (ko) 도광판, 면광원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JP4251592B2 (ja) 面光源装置及び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4231607B2 (ja) 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4113633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1147329A (ja) 導光板、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EP1072929B1 (en) Light guide plat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reflection liquid crystal display
JPH11306829A (ja) 導光板、面光源装置及び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2002006143A (ja) 導光板、面光源装置及び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2000048617A (ja) 導光板、面光源装置及び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4548628B2 (ja) 光学フィルム
JP2008257259A (ja) 液晶表示装置及び導光板
JP4462512B2 (ja) 液晶表示装置
JP3637555B2 (ja) 導光板、面光源装置及び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2004258358A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4462517B2 (ja) 光学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