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189B1 -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 및 그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 및 그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189B1
KR100718189B1 KR1020040005848A KR20040005848A KR100718189B1 KR 100718189 B1 KR100718189 B1 KR 100718189B1 KR 1020040005848 A KR1020040005848 A KR 1020040005848A KR 20040005848 A KR20040005848 A KR 20040005848A KR 100718189 B1 KR100718189 B1 KR 100718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acacia
liver function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5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8419A (ko
Inventor
남종현
Original Assignee
남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종현 filed Critical 남종현
Priority to KR1020040005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8189B1/ko
Priority to EP04731506A priority patent/EP1713346B1/en
Priority to CA2552989A priority patent/CA2552989C/en
Priority to PCT/KR2004/001050 priority patent/WO2005072532A1/en
Priority to CN2004800410320A priority patent/CN1905803B/zh
Priority to JP2006550919A priority patent/JP4486096B2/ja
Publication of KR20050078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419A/ko
Priority to US11/494,922 priority patent/US2007012830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189B1/ko
Priority to HK07107490.3A priority patent/HK1099885A1/xx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3Underlays for glasses or drinking-vessels
    • A47G23/0313Underlays for glasses or drinking-vessels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2Antido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4Influencing taste or nutritional proper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식물인 아카시아로부터 최적의 조건에서 그 주요성분을 추출한 후 이를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된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카시아 나무(Robinia pseudo-acacia)의 잎, 줄기, 꽃, 뿌리의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통상의 부가제가 첨가되어 구성될 수 있고, 여기에 부가적으로,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 사인, 감초, 또는 갈화(葛花)와 같은 것을 부원료로 부가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아카시아 나무 추출물을 주원료로 하고 선택적으로 백화사설초, 사인, 감초 추출물과 갈화의 추출물을 선택적 또는 함께 일정한 배합비로 혼합한 분말 또는 액상차 및 그 제조 방법으로써 본 발명의 천연차를 음주 전 또는 후의 복용으로 숙취해소의 효능 뿐 아니라 간장을 보호할 수 있고, 특히 아카시아 나무에서 로비닌을 추출하여 단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숙취해소, 아카시아, 천연차

Description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 및 그 제조 방법{Natural tea having an effect on alcohol dehydrogenase and a producing process thereof}
도 1은 시험기간 중의 체중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장기간 주정 투여가 헤마토크릿치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은 장기간 주정 투여가 헤모글로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천연식물인 아카시아로부터 최적의 조건에서 그 주요성분을 추출한 후 이를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된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술은 그 기원이 인류역사와 거의 함께 시작되어 현재까지 기호식품으로 애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술로 인해서 발생될 수 있는 여러가지 문제 점이 있는데 그 중에 음주에 따른 건강상의 문제가 가장 크게 대두될 수 있다. 즉 음주는 간질환 및 위, 대장, 뇌기능의 저하 등과 같은 문제점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며, 이러한 음주의 피해 역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에 따른 간의 보호, 숙취해소 등을 위한 연구개발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숙취(hangover)란 술에 취한 뒤, 수면에서 깬 후에 발생하는 불쾌감, 두통 또는 심신의 작업능력감퇴 등이 음주 다음날, 길게는 그 다음날까지 지속되는 증상을 말한다. 이러한 숙취의 원인은 알코올을 분해하는 효소인 알코올 분해효소(alcohol dehydrogenase)나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아세트알데히드 분해효소(acetealdehyde dehydrogenase)가 부족하여 알코올이나 아세트알데히드가 인체내에 축적되어 발생한다고 보여진다. 즉, 통상 음주로 인하여 알콜이 체내에 흡수되면 알콜 분해 효소인 알코올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 되면서 먼저 아세트알데히드로 전환되고, 그 다음 대사산물인 아세트산으로 전환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대사가 원활히 일어나지 못하면, 축적된 에틸알콜이나, 알콜의 분해과정에서 전환되는 아세트알데히드에 의해 독작용이 진행되어 간세포와 뇌세포에 손상을 주게 되고, 그에 따라 체내에서는 신진대사 등에 장애가 유발되어 전신권태, 피로감, 복부팽만감, 구토, 두통이 일어나고 심한 경우 오한이나 복통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숙취로 발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숙취는 인간의 일상적인 생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함은 물론 무기력한 활동으로 인하여 본인은 물론 타인에게도 심각한 영향을 주는 등 숙취에 의한 부정적인 결과가 크게 나타나게 된다.
예로부터, 이러한 숙취를 제거하기 위한 민간요법으로 다양한 음식이 이용되어 왔다. 즉, 선지국, 콩나물국, 북어국, 조개국, 굴과 같은 음식이나 산미나리, 무, 오이, 부추, 시금치, 연근, 칡, 솔잎, 인삼 등과 같은 야채즙 및 녹차 등이 숙취 해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녹차잎엔 폴리페놀이란 물질이 있어, 아세트알데히드를 쉽게 분해할 수 있기 때문에 숙취 해소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숙취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드링크 형태의 음료들이 개발 및 시판되고 있다. 예를 들면, 국내특허 제0181168호에는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선행기술에는 오리나무와 마가목의 잎, 줄기 또는 뿌리의 추출물 또는 분말을 주원료로 하여 여정실추출물 및 갈근추출물을 배합비를 달리하여 천연차로 제조한 것이다. 그리고, 다른 예로서 국내 특허공개 제2001-019767호에는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공개에는 한약재를 주재로 한 천연차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갈화, 갈근, 감초, 백출, 진피, 택사, 구기자 및 생강의 효능에 의지하여 천연차를 제조한 것이다.
이와 같이 숙취해소를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서로 다른 여러 가지 종류의 음료가 개발되어 왔으며, 각각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숙취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숙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음료나 음식의 개발은 그 요구에 비하여 아직까지 미미한 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탁월한 효능을 갖는 천연식물을 알아내고 이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하여 천연차로 제조함으로서, 음용시 혈중알콜농도를 신속히 저하시킴으로써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숙취가 발생되기 전 또는 후에 신체 상태가 정상적인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건강을 유지시켜 주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에 따른 천연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는;
아카시아 나무(Robinia pseudo-acacia)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아카시아 나무(Robinia pseudo-acacia)의 추출물은 아카시아의 잎, 줄기, 꽃, 뿌리 및 열매 등 아카시아 나무의 모든 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아카시아 나무의 잎, 줄기, 꽃, 뿌리의 추출물을 주 원료로 하고, 여기에 부가적으로, 백화사설초(白花 蛇舌草), 사인, 감초, 또는 갈화(葛花)와 같은 것을 부원료로 부가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주원료에 의해 성립하며, 상기한 부원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제한적이지 않으며 선택적인 것이다.
또다른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는 상기 아카시아 나무 추출물 10 내지 80중량%와 백화사설초 20 내지 90 중량%를 혼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아카시아 나무 추출물 10 내지 60 중량%; 백화사설초 추출물 20 내지 80 중량%; 및 사인 추출물, 감초 추출물 및 갈화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추출물 10 내지 70 중량%로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 아카시아 나무 추출물 10~30중량%, 백화사설초 추출물 20~60 중량%, 사인 추출물 10~50중량%, 감초 추출물 10~20중량%, 및 갈화 추출물 10~30중량%으로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의 제조방법은;
아카시아 나무(Robinia pseudo-acacia)의 잎, 줄기, 꽃, 뿌리를 수세한 후 추출용매로 알코올을 사용하여 50 내지 150℃에서 1 내지 10시간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통상의 부형제가 첨가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추출온도가 50℃ 이하이면, 활성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되지 않아 바람직하지 못하고, 추출온도를 150℃ 이상으로 하여도 추출효과가 상승하지 않으며 더욱이 활성성분이 변성을 일으킬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가장 바람직한 추출온도는 50 내지 90℃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분당 2500 내지 7500회전으로 원심분리하여 로비닌 분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각 구성분을 음건 후 50 내지 100 메쉬로 분말로 하여 분말차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주원료인 아카시아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한 속으로 상록수이며 오스트레일리아를 중심으로 열대와 온대 지역에 약 500종이 분포하며, 잎은 짝수 2회 깃꼴겹잎이고 작은잎이 매우 작으며, 잎자루가 편평하여 잎처럼 된 것도 있다. 꽃은 황색 또는 흰색으로 흔히 말하는 아카시아는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아카시아 나무(Robinia pseudo-acacia)를 가리킨다.
백화사설초는 백화사설초는 꼰두서니과에 속하는 일년생초본으로 키는 30㎝정도로 자라며 흰꽃이 핀다하여(白花)를, 대궁의 뱀의 혓 바닥 처럼 생긴 잎이 돋는다해서 사설초(蛇舌草)를 붙여 백화사설초라하며 원래 중국이 원산지 이지만 우리나라에서 제주도 한라산과 전남 백운산 습지에서 자라는 것이 발견되었다하여 일명 백운풀, 이율초라고도 부른다. 본초강목(本草綱目)등 과거의 한방서적에는 나와 있지 않은 신약초라 할 수 있고 해방후 중국 광서중약지(廣西中藥誌)에 처음으로 기재되어 중국에서는 40년 전부터 연구와 임상실험을 통하여 이용되고 있다. 대만의 "중의약 연구센터"에서 출판한 "중의약연구"라는 서적에 백화사설초효능작용 보고 내용이 상세히 나와 있어 그 이후부터 세계각국에 널리 알려졌다.
감초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뿌리는 적갈색으로 땅속 깊이 들어가고 줄기는 모가 지며 1m 정도 곧게 자란다. 또한 흰털이 밀생하여 회백색으로 보이며 선점(腺點)이 흩어져 있다. 잎은 어긋나고 홀수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7∼17개씩이고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작은잎의 길이는 2∼5cm, 나비 l∼3cm로 양면에 흰털과 선점이 있으며 톱니는 없다. 시베리아산(G. glabra var. glandulifera), 에스파냐산(G. glabra) 등이 있고, 비슷한 종으로 개감초(G. pallidiflora)가 있다.
갈화 (葛花)는 한방에서, ‘칡의 꽃’을 이르는 말로 주로 종래로부터 주독을 풀고, 하혈을 멎게 하는 데 약으로 쓰여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천연차는 숙취해소 뿐 아니라 간 기능회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써, 동양에 산재한 아카시아 나무의 잎, 줄기, 꽃, 뿌리 추출물을 주원료로 하거나 또는 아카시아 나무의 각 부분을 분말화 한 것을 주원료로 하고, 여기에 해독 작용을 하는 백화사설초, 사인, 감초, 갈화 추출물을 배합비를 달리 하여 제조한 것으로, 음주 전 또는 음주 후에 복용함으로써 숙취해소기능 뿐만 아니라 간기능 회복에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카시아 추출물의 제조
아카시아 나무(Robinia pseudo-acacia)의 잎, 줄기, 꽃, 뿌리를 선별하고 수세한 후 각각 일정량씩 취하여 알코올을 사용하여 약 70℃에서 5시간 추출하여 아카시아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아카시아 추출물을 주원료로 하여 여기에 통상의 감미제, 향료, 착색제 등을 부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에 의한 방법에 의하되 아카시아 추출물을 80 중량%로 하고 여기에 백화사설초 추출물 20 중량%를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2에 의한 방법에 의하되 아카시아 추출물을 70 중량%로 하고 여기에 백화사설초 추출물 30 중량%를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2에 의한 방법에 의하되 아카시아 추출물을 60 중량%로 하고 여기에 백화사설초 추출물 40 중량%를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2에 의한 방법에 의하되 아카시아 추출물을 50 중량%로 하고 여기에 백화사설초 추출물 50 중량%를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2에 의한 방법에 의하되 아카시아 추출물을 40 중량%로 하고 여기에 백화사설초 추출물 60 중량%를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2에 의한 방법에 의하되 아카시아 추출물을 30 중량%로 하고 여기에 백화사설초 추출물 70 중량%를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2에 의한 방법에 의하되 아카시아 추출물을 20 중량%로 하고 여기에 백화사설초 추출물 80 중량%를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 2에 의한 방법에 의하되 아카시아 추출물을 10 중량%로 하고 여기에 백화사설초 추출물 90 중량%를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36
상기 실시예 2에 의한 방법에 의하되 아카시아 추출물, 백화사설초 추출물, 사인 추출물, 감초 추출물, 갈화 추출물를 다음 표 1의 혼합비율로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를 제조하였다.
(단위:중량%)
구분 아카시아 추출물 백화사설초 추출물 사인 추출물 감초 추출물 갈화 추출물
실시예11 60 20 10 10 0
실시예12 50 30 10 10 0
실시예13 50 20 20 10 0
실시예14 40 40 10 10 0
실시예15 40 30 20 10 0
실시예16 30 50 10 10 0
실시예17 30 40 20 10 0
실시예18 30 40 10 20 0
실시예19 30 30 20 10 10
실시예20 20 40 10 20 10
실시예21 20 40 10 10 20
실시예22 20 50 10 10 10
실시예23 20 40 20 10 10
실시예24 20 30 10 20 20
실시예25 20 20 10 20 30
실시예26 10 80 10 0 0
실시예27 10 70 10 10 0
실시예28 10 60 10 10 10
실시예29 10 50 20 10 10
실시예30 10 40 20 20 10
실시예31 10 30 30 20 10
실시예32 10 20 40 20 10
실시예33 10 20 50 20 10
실시예34 10 20 60 0 10
실시예35 10 20 0 50 20
실시예36 10 20 0 20 50
실험예 1
체중변화
실험은 흰쥐(학명 Rattus norvegicus)를 각각 9 마리를 가지고 A, B, C, D로 4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A는 주정투여군, B는 대조군, C는 시판 제품 투여군(컨디션: 제일제당) 및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2의 천연차 투여군으로 구별하였다. 시판제품의 성분 분석결과 과당/구루매/타우린/벌꿀/구연산/샴피니언엑기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기간 중 체중변화는 도 1과 같다. 시험개시와 함께 7주까지는 대조군(B)을 제외한 다른 세 처리군은 알콜성 간손상을 유발시키기 위하여 에탄올만 투여하였다.
시험개시시 체중은 A, B, C, D 처리군 별로 각각 278.9 ±13.7g, 261.6 ±22.0g, 260.6 ±23.6g, 263.7 ±13.1g으로서 주정 투여군의 체중이 평균 17g 정 도 더 무거웠다.
주정투여군(A), 시판제품투여군(C) 및 실시예 2의 천연차(D)군은 각각 처리군의 평균체중 대비 약 10%의 양의 주정을, 예를 들면 주여투여군은 즉 28g을 10주간에 투여, 즉 1 주간 2.8g이 되도록 매일 주정을 나누어 경구 투여하였고, 본 발명에 따른 천연차(D)군은 27.1g을 10주간, 즉 1주일에 2.71g이 되도록 매일 나누어 주정을 경구 투여하였으며, 시판 음료 투여군(C)은 26.4g을 10주간, 즉 1 주일에 2.64g이 되도록 주정을 매일 나누어 경구 투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차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천연차(D)군 및 시판 음료 투여군(C)은 실험종료 3주 전부터, 즉 주정 투여 7주 후 각각 매일 0.4g을 3주간 경구 투여하였다.
주정과 음료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B)은 10주의 시험기간 중 가장 높은 체중 증가를 보이고 있다.
주정투여군(A)의 경우 장기간 에탄올 투여에도 불구하고 다른 두 음료투여군(C, D)에 비해 오히려 시험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체중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아마도 시험개시시 체중이 다른 두 음료군 보다 높았던 때문으로 생각된다. 음료투여군의 경우 시험개시 후 3주 까지는 비교적 차이가 없이 증가하였으나 3주 이후에는 본 발명의 천연차 투여군(D)이 시판 제품군(C)에 비해 체중 증가가 뚜렷하였다.
실험예 2
헤마토크릿치(Ht)와 헤모글로빈(Hb) 함량
실험종료 후 측정한 헤마토크릿치(Ht)와 헤모글로빈(Hb) 함량은 각각 도 2 및 3에 나타내었다. Ht치는 처리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천연차군(D)이 39.8%로 가장 높았고 대조군(B)과 시판제품 투여군(C)이 각각 38.0%이었고 주정투여군(A)이 37.5%로 다소 낮았다.
Hb 함량은 처리군간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는데(p<0.05) 대조군(B)이 17.36g/dl 으로 가장 높았고 시판제품군(C) 163.41g/dl, 본 발명의 천연차군(D) 15.77g/dl, 주정투여군(A) 14.83g/dl의 순이었다.
실험예 3
혈청지질 함량
실험종료 후 측정한 혈청지질 함량은 다음 표 2와 같다. 중성지방(TG)은 대조군(B)이 76.0mg/dl으로 가장 높았고 시판제품군(C)과 본 발명의 천연차군(D)이 각각 53.6mg/dl, 49.0mg/dl으로 차이가 없었다.
총콜레스테롤(TC)은 처리군간 차이가 없이 평균 121.2-127.6mg/dl 범위이었다.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은 본 발명의 천연차군(D)이 39.6mg/dl로 가장 높았고 시판제품군(C)이 31.3mg/dl으로 가장 낮았다(p<0.05).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은 처리군간 차이는 없었지만 시판제품군(C)이 80.2mg/dl으로 다소 높았다. 성인병 발발의 위험지수로 쓰이는 동맥경화지수(AI)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천연차군(D)이 2.14로 다른 투여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장기간 주정 투여가 혈청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Mean±SD)
처리군 (n=9) 혈청지질 (mg/dl)
TG TC HDL LDL 동맥경화지수
A 58.5±17.0 121.2±7.9 33.3±5.6 76.4±8.9 2.75±0.60
B 76.0±30.0 127.6±11.6 37.2±6.9 75.2±6.1 2.48±0.37
C 53.6±12.3 122.2±7.6 31.3±7.0 80.2±9.4 3.10±10.3
D 49.0±16.7 123.5±7.8 39.6±4.0 74.1±9.9 2.14±0.32
* TG : 중성지방(Triglyceride)
TC :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HDL :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 :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동맥경화 위험지수(Atherogenic index) = (TC-HDL)/HDL
다른 문자로 표시된 어깨글자는 평균값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p<0.05)
실험예 4
간기능 검사
장기간 주정투여가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 표 3과 같다. 빌리루빈, ALP, GOT 및 r-GTP 함량은 처리군간 통계적인 유의차가 있었다(p<0.05). 빌리루빈 함량은 대조군(B)이 3.54mg/dl로 가장 높았고 본 발명의 천연차군(D)이 1.21mg/dl로 가장 낮았다. ALP(Alkaline phosphatase) 활성은 주정투여군(A)이 17.7 K-A unit로 가장 높았고 천연차군(D)이 11.9 K-A unit로 가장 낮았다. GOT(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활성 역시 주정투여군(A)이 77.4 IU/L로 가장 높았고 천연차군(D)이 60.7 IU/L로 가장 낮았다. GPT 활성은 처리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본 발명의 천연차군(D)이 다른 처리군 보다 다소 낮았다. 지방간(fatty liver)수치로서 알콜성 간질환 측정에 쓰이는 r-GTP(r-glutamyl transpeptidase) 함량은 시판제품군(C)이 127.6mU/ml로 가장 높았고 주정투여군(A)이 122.6mU/ml, 천연시판제품군(C)에 비해 통계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한편 혈중 젖산탈수소효소(LDH)의 활성은 처리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대조군(B)이 398.0μ/L로 가장 높았고 본 발명의 천연차군(D)이 339.7/L으로 가장 낮았다.
장기간 주정 투여가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
처리군 (n=9) 빌리루빈 (mg/dl) ALP (K-A unit) GOT GPT r-GTP (mU/ml) LDH (μ/L)
(IU/L)
A 1.42±1.02 17.7±2.01 77.4±16.6 37.4±9.9 122.6±54.7 375.3±62.0
B 3.54±2.01 13.8±4.83 68.8±7.3 34.6±7.3 77.0±34.4 398.0±57.4
C 2.35±1.05 15.4±3.64 74.0±9.8 37.3±6.4 127.6±48.5 353.9±58.4
D 1.21±0.63 11.9±2.59 60.7±10.1 31.8±5.5 115.5±41.7 339.7±76.5
ALP : Alkaline phosphatase (* K-A unit : King-armstrong Unit)
GOT : Glutamic qxaloacetic transaminase
GPT :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r-GTP : r-Glutamyl transpeptidase
LDH : Lactate dehydrogenase
다른 문자로 표시된 어깨글자는 평균값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p<0.05).
실험예 5
혈중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 및 알콜 분해효소(ADH)활성
시험기간 중 총 주정섭취량은 다음 표 4와 같이 주정과 음료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B)은 0으로 표시되었고 주정투여군(A)이 28.4g, 시판제품군(C)이 26.4g, 본 발명의 천연차군(D)이 27.1g으로 에탄올 처리군 간에는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장기간 주정투여 후 측정한 에탄올 농도는 시판제품군(C)이 평균 0.015%, 주정투여군(A)이 0.010%로서 높았고, 대조군(B)과 본 발명의 천연차군(D)이 각각 평 균 0.004%, 0.003%로서 낮았다(p<0.05). 한편,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는 숙취해소 음료군(시판제품 및 본 발명의 천연차)에서 각각 82.6 ±36.2μg/dl, 39.8±44.0μg/dl로서 본 발명의 천연차 투여군이 시판음료에 비해서 낮았으며, 대조군의 32.2 ±35.6μg/dl과 비슷하였다.
주정투여군(A)는 222.3±85.8μg/dl으로써 다른 세 처리군에 비해서 훨씬 높았다.
알콜분해효소인 ADH의 활성은 본 발명의 천연차군(D) 17.98nmol NADH/min/mg 프로테인으로 가장 높았고 시판제품군(C) 16.8, 대조군(B) 15.55, 주정투여군(A) 15.00nmol NADH/min/mg 프로테인 순으로서 본 발명의 천연차군(D)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시험기간 중 총 주정섭취량, 혈중 알콜과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 및 알콜 분해효소 (ADH)활성 (Mean±SD)
처리군 (n=9) 주정섭취량 (g) 알콜농도(%) 아세트알데하이드 (μg/dl) ADH
A 28.1±1.21 0.010±0.010 222.3±85.8 15.00±3.93
B 0 0.004±0.003 32.2±35.6 15.55±3.41
C 26.4±1.56 0.015±0.007 82.6±36.2 16.80±2.40
D 27.1±1.17 0.003±0.003 39.8±44 17.98±2.97
(n=9, Mean±SD)
* ADH : Alcohol dehydrogenase (nmol NADH/min/mg protein)
다른 문자로 표시된 어깨글자는 평균값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p<0.05>
상기 실험예 1 내지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장기간(10주) 흰쥐에게 주정(酒精)을 투여하고, 숙취해소음료로 이미 출시된 제품과 본 발명의 천연차의 알콜 분해효능을 조사한 실험결과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즉,
1) 성장율(growth rate)은 대조군이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헤마토크릿치(Ht)는 천연차투여군이 다른 투여군 보다 높았으나 유의차는 없었고, 헤모글로빈(Hb) 함량은 처리군간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2) 중성지방(TG)과 H이-콜레스테롤 및 동맥경화발생지수(atherogenic index)는 처리군간 유의차가 있었다(p<0.05).
TG함량은 천연차군이 가장 낮았던 반면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본 발명의 천연차군이 가장 높았다.
3)간기능치(빌리루빈, ALP, GOT 및 r-GTP)는 처리군간 유의차가 있었다(p<0.05).
빌리루빈 함량은 대조군이 3.54mg/dl로 가장 높았고 본 발명의 천연차군이 1.21mg/dl로 가장 낮았다. ALP활성은 주정투여군이 17.7 K-A unit로 가장 높았고 본 발명의 천연차군이 11.9 K-A unit로 가장 낮았다. GOT 함량 역시 주정투여군이 77.4 IU/L로 가장 높았고 본 발명의 천연차군이 60.7 IU/L로 가장 낮았다. 지방간(fatty liver) 수치인 r-GTP함량은 시판제품군, 주정투여군, 본 발명의 천연차군 및 대조군의 순으로 높았다.
4)혈중 에탄올 함량은 천연차군이 0.003%으로서 가장 낮았으며(p<0.05), 아 세트알데하이드 농도는 숙취해소 음료군(시판제품, 본 발명의 천연차)에서 각각 82.6±36.2μg/dl, 39.8±44.0μg/dl로서 천연차 투여군이 기존제품군 보다 낮았다. 한편 알콜 디하이드로게나제(ADH)활성은 유의성은 없지만 천연차군이 다른 처리군 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장기간(10주) 동안 알콜성 간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주정량을 흰쥐에게 경구투여(oral administration)하고 실험종료 3주전부터 숙취해소 음료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천연차를 투여했을 때 혈청지질농도와 간기능 검사 항목에서 다른 음료투여군보다 우수하였다. 또한, 천연차 투여군은 다른 음료투여군에 비해 간조직 중의 알콜분해효소(ADH)의 활성이 다소 높았고, 혈중 알콜농도는 유의하게 낮아 천연차가 알콜대사 촉진효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실험예6
혈중 알콜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의 변화
1,2차 임상실험에서 측정된 혈중 알콜농도는 각각 다음 표 5 및 6과 같다.
1차 임상실험은 직장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로서 실험 참가자에게는 소주 1병 이상을 음용토록 하였다. 표 5에는 혈중 알콜농도와 함께 음주 후 다음 날 아침 9:00에 채혈한 12시간 후의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가 제시되어 있다. 알콜메터(Alcolmeter)로 측정한 혈중 알콜 농도는 비록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천연차를 음용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경시적으로 낮았으며 음주 후 12시간이 지났을 때 혈액에서 측정한 알콜농도는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0.006%, 0.030%로 나타났다. 한편 같은 시간의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1/2 이하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차 실험대상자의 설문조사에서 본 발명의 천연차를 음용한 실험군이 이튿날 숙취현상의 완화에 본 발명의 천연차가 도움을 주었다는 응답과 대체로 일치하는 결과로 사료된다.
천연차가 혈중 알콜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에 미치는 영향
지원자 (n=12) 혈중 알콜농도(%), min 아세트알데하이드 (%,X10-4),min
0 60 120 150 720 720
실험군 0.148 ±0.049 0.117 ±0.065 0.098 ±0.051 0.058 ±0.055 0.006 ±0.007 7.72±6.00
대조군 0.173 ±0.065 0.169 ±0.081 0.140 ±0.066 0.082 ±0.034 0.030 ±0.032 15.78±3.94
(1차 임상실험) (Mean±SD)
다음 표 6은 2차 임상실험으로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로서 실험참가자에게는 국산 위스키인 패스포트(Passport)™ 1병을 음용토록하고 추가적인 음주는 제한하였다. 혈중 알콜농도는 1차 실험때의 소주를 1병 이상 먹도록 했을 때보다 낮게 측정되었다. 이는 음주량을 제한한 점과 실험대상자가 1차 때의 직장인들에 비해 년령이 적은 낮은 층이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1차 임상실험과 같이 본 발명의 천연차를 음용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30분을 제외하고는 혈중 알콜 농도가 낮았는데 음주 후 360분이 되었을 때 혈중농도가 0.016%, 0.033%로서 두 집단간에 큰 차이가 있었다.
한편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는 다음 표 7과 같이 음주 후 60, 150, 240 분에 각각 측정한 결과 음주 후 60분에 두 집단간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가 유의성은 없었지만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훨씬 낮았고 이후 150, 240분에는 그 차이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는 혈중 알콜농도와 상관이 있었다.
천연차가 혈중 알콜농도에 미치는 영향
지원자 (n=14) 혈중 알콜농도(%), min
0 30 60 120 180 270 360
실험군 0.107 ±0.020 0.111 ±0.049 0.087 ±0.025 0.058 ±0.037 0.042 ±0.033 0.029 ±0.031 0.016 ±0.024
대조군 0.115 ±0.013 0.107 ±0.029 0.103 ±0.013 0.101 ±0.046 0.080 ±0.042 0.057 ±0.031 0.033 ±0.026
(2차 임상실험) (Mean±SD)
천연차가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에 미치는 영향
지원자 (n=14) 아세트알데하이드(%,X10-4), min
60 150 240
실험군 78.6±33.67 60.35±25.81 33.12±12.70
대조군 104.62±45.93 77.69±39.08 43.03±10.94
(2차 임상실험) (Mean±SD)
실험예 7
간 기능치 활성 변화
2차 임상실험에서 채혈한 혈액의 간기능치 활성변화는 다음 표 8과 같다. GOT와 GPT는 간에 염증이 생겨서 간세포가 파괴되면 세포안에 있던 효소가 혈액속에 유입되는데 이를 수치화 한 것으로서, 간세포의 파괴 정도를 나타내는 GOT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경시적으로 낮았으며 특히 150분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통계 적으로 유의하게 실험군이 낮았다(p<0.05).
흔히 지방간수치, 알콜성 간질환 측정에 쓰이는 γ-GTP는 채혈 0분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오히려 높았으나 그 후 감소경향을 보였으며 240분에서는 대조군과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천연차가 간 기능치에 미치는 영향 (Mean±SD)
측정항목 간 기능 활성(min)
0 60 150 240
GOT 실험군 대조군 63.4±12.4 62.0±7.5 68.2±12.6 89.4±16.4 41.8±7.00°° 89.0±9.4 31.2±7.3 40.1±4.8
GPT 실험군 대조군 36.8±5.9 45.6±6.0 49.6±10.6 57.3±11.6 41.4±12.4 56.7±9.4 24.1±7.5 33.1±4.5
γ-GTP 실험군 대조군 45.9±10.2 34.7±3.0 35.9±3.1 60.6±16.6 32.4±3.2 58.4±12.7 27.4±8.5 28.6±1.9
°° (p<0.05)
GOT & GPT(kamen의 단위)
γ-GTP(mU/㎖)
실험예 8
혈청지질의 변화
혈청 중 중성지방(triglyceride, TG)과 총 콜레스테롤(total-cholesterol, TC)함량은 다음 표 9와 같다.
혈중 TG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이 측정시점에서 모두 낮았는데 이는 측정개시시 함량차이에 기인된 것으로 보이지만 대조군에서 150분의 함량은 354.3㎎/ ㎗로 최고치를 보인 후 240분에 약 100㎎/㎗정도 감소하였는데 두 처리군은 모두 240분의 TG함량이 0분에서 보다 증가되었다. 혈중 TC함량은 실험군 뿐 아니라 대조군에서도 음주 후 경시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천연차가 혈청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Mean±SD)
측정항목 혈청지질(㎎/㎗),min
0 60 150 240
TG 실험군 대조군 204.4±42.8 233.8±49.1 229.0±34.0 261.8±55.3 226.2±32.5 354.3±56.2 224.8±57.0 255.2±33.7
TC 실험군 대조군 162.5±6.7 188.5±12.6 166.3±8.8 177.2±13.0 160.1±9.8 183.8±14.3 142.2±10.0 134.5±8.3
TG : 중성지방(Triglyceride)
TC : 총 콜레스테롤(Total-cholesterol)
실험예 9
혈청 ADH 활성변화
알콜의 분해과정을 결정하는 ADH(alcohol dehydrogenase) 활성은 세포내의 알콜농도에 관계없이 단위 시간당 일정량만 대사되는 영차반응을 따르므로 이 효소의 활성은 음주 정도에 관계없이 일정하다(Takagi 등, 1985 : Oshii 등, 1973).
혈청 중 ADH 활성의 경시적인 변화는 다음 표 10과 같다.
음주종료 후 (0분) 측정한 ADH활성은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2.63, 3.53 U/L로서 대조군이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실험군에 비해 활성이 높았다. 그러나 음주 후 경시적인 활성변화를 보면 실험군은 음주 후 60분에 4.12 U/L로서 음주 후 0분의 2.63 U/L에 비해 50%이상 활성이 증가되었고 그 후 150분에 3.76 U/L이었고 음주 후 240분에 3.09 U/L로서 음주 후 0분에 비해 17% 정도 높았다. 반면 대조군에서는 음주 후 150분과 240분의 측정치가 다소 일정하지 않지만 전체적으로 음주 후 0분의 활성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감소하여 240분에서는 20%이상 활성이 감소되었다.
천연차가 ADH활성에 미치는 영향 (Mean±SD)
측정항목 (n=14) ADH 활성 (U/L), min
0 60 150 240
실험군 2.63±0.42 4.12±1.43 3.76±0.83 3.09±0.89
대조군 3.53±0.83 3.49±0.77 2.67±0.63 2.76±0.64
이상의 결과에서 두 처리군간 비록 통계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지만 대조군에 비해 본 발명의 천연차를 음용한 실험군의 혈청 ADH 활성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본 발명의 천연차가 혈중 알콜대사를 촉진시킨 결과로 사료된다.
상기 실험예 6 내지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주전,후 실험대상자에게 본 발명의 천연차를 복용시키고 알콜 분해능력을 교체, 반복실험(cross-over experimental design)으로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1) 혈중 알콜농도는 본 발명의 천연차를 복용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비록 통계적인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모든 측정 시점에서 낮았으며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 역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은 경향이었다.
2) 간 기능치 활성을 보면 GOT 농도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경시적으로 감소경향이었으며 특히 음주종료 후 150분에 실험군에 대조군 간의 통계적인 유의성의 있었다(p<0.05).
GPT와 γ-GTP농도는 음주종료 후 60분에 최고치에 도달했다가 그 후 감소경향을 보였으며 천연차를 복용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다소 낮았다.
3) 혈청지질의 경우 중성지방(TG) 함량은 실험군에 비해 대조군이 높은 경향이었으며 특히 대조군의 경우 150분에 최고치를 보인 후 240분에 약 100㎎/㎗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처리군에서는 240분의 TG함량이 0분에서 보다 증가되었다.
총 콜레스테롤(TC)함량은 실험군 뿐 아니라 대조군에서도 음주 후 경시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4) 한편 본 임상실험에 참여한 지원자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숙취해소음료(hangover-relieving drink)로서 본 발명의 천연차를 복용한 후 평상시 음주 이튿날 경험하게 되는 두통, 속쓰림, 무기력 등의 숙취현상(hang-over syndrome)이 완화됨을 경험한 것으로 응답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아카시아 나무 추출물을 주원료로 하고 선택적으로 백화사설초, 사인, 감초 추출물과 갈화의 추출물을 선택적 또는 함께 일정한 배합비로 혼합한 분말 또는 액상차 및 그 제조 방법으로써 본 발명의 천연차를 음주 전 또는 후의 복용으로 숙취해소의 효능 뿐 아니라 간장을 보호할 수 있고, 특히 아카시아 나무에서 로비닌을 추출하여 단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6)

  1. 삭제
  2. 아카시아 나무(Robinia pseudo-acacia)의 추출물에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 사인, 감초, 또는 갈화(葛花)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부가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카시아 추출물 10 내지 80중량%와 백화사설초 20 내지 90 중량%를 혼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카시아 나무 추출물 10 내지 60 중량%; 백화사설초 추출물 20 내지 80 중량%; 및 사인 추출물, 감초 추출물 및 갈화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추출물 10 내지 70 중량%로 혼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카시아 10 내지 30 중량%, 백화사설초 20 내지 60 중량%, 사인 추출물 10 내지 50 중량%, 감초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 및 갈화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를 혼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
  6. 아카시아 나무(Robinia pseudo-acacia)의 잎, 줄기, 꽃, 뿌리를 수세하여 음건한 후 50 내지 100 메쉬로 분쇄하여 얻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분말차.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아카시아 분말에 부가적으로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 사인, 감초, 또는 갈화(葛花)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50 내지 100 메쉬로 분쇄한 분말을 부가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분말차.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아카시아 나무 10 내지 60 중량%; 백화사설초 20 내지 80 중량%; 및 사인, 감초 및 갈화로 이루어진 군에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 10 내지 70 중량%를 50 내지 100 메쉬로 균일하게 분말화하여 얻음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분말차.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아카시아 10 내지 30 중량%, 백화사설초 20 내지 60 중량%, 사인 10 내지 50 중량%, 감초 10 내지 20 중량% 및 갈화 10 내지 30 중량%를 50 내지 100 메쉬로 균일하게 분말화하여 얻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분말차.
  10. 아카시아 나무(Robinia pseudo-acacia)의 잎, 줄기, 꽃, 뿌리를 수세하는 단계; 수세된 아카시아 나무의 잎, 줄기, 꽃, 뿌리를 추출용매로 알코올을 사용하여 50 내지 150℃에서 1 내지 10시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의 제조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아카시아 추출물에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 사인, 감초, 또는 갈화(葛花)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부원료로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의 제조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카시아 추출물이 10 내지 80중량%와 상기 백화사설초이 추출물 20 내지 9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의 제조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카시아 추출물이 10 내지 60 중량%; 상기 백화사설초 추출물이 20 내지 80 중량%; 상기 사인 추출물, 상기 감초 추출물 및 갈화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 추출물 10~7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의 제조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카시아 추출물이 10 내지 30 중량%, 상기 백화사설초 추출물이 20 내지 60 중량%, 상기 사인 추출물이 10 내지 50 중량%, 상기 감초 추출물이 10 내지 20 중량% 및 상기 갈화 추출물이 10 내지 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의 제조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카시아 추출물의 추출 단계 후 분당 2,500 내지 7,500 회전으로 원심분리하여 로비닌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의 제조 방법.
  16. 삭제
KR1020040005848A 2004-01-29 2004-01-29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 및 그제조 방법 KR100718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848A KR100718189B1 (ko) 2004-01-29 2004-01-29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 및 그제조 방법
EP04731506A EP1713346B1 (en) 2004-01-29 2004-05-06 Natural tea having effect of liver function recov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A2552989A CA2552989C (en) 2004-01-29 2004-05-06 Natural tea having effects of hangover relief and liver function recov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PCT/KR2004/001050 WO2005072532A1 (en) 2004-01-29 2004-05-06 Natural tea having effects of hangover relief and liver function recov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2004800410320A CN1905803B (zh) 2004-01-29 2004-05-06 具有减轻宿醉和恢复肝脏功能作用的天然茶及其制备方法
JP2006550919A JP4486096B2 (ja) 2004-01-29 2004-05-06 宿酔解消及び肝機能回復に効果がある天然茶及びその製造方法
US11/494,922 US20070128300A1 (en) 2004-01-29 2006-07-28 Natural tea having effects of hangover relief and liver function recov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HK07107490.3A HK1099885A1 (en) 2004-01-29 2007-07-12 Natural tea having effects of hangover relief and liver function recov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848A KR100718189B1 (ko) 2004-01-29 2004-01-29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 및 그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419A KR20050078419A (ko) 2005-08-05
KR100718189B1 true KR100718189B1 (ko) 2007-05-16

Family

ID=34825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5848A KR100718189B1 (ko) 2004-01-29 2004-01-29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 및 그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70128300A1 (ko)
EP (1) EP1713346B1 (ko)
JP (1) JP4486096B2 (ko)
KR (1) KR100718189B1 (ko)
CN (1) CN1905803B (ko)
CA (1) CA2552989C (ko)
HK (1) HK1099885A1 (ko)
WO (1) WO20050725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273A (ko) 2020-12-17 2022-06-2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콩나물 추출물을 함유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 효능을 갖는 육수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2533B2 (ja) * 2007-05-29 2013-07-10 英 三 張 自然健康茶の製造方法
EA016555B1 (ru) * 2007-11-05 2012-05-30 Унилевер Н.В.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зеленого листового чая
PL2211630T3 (pl) 2007-11-05 2012-12-31 Unilever Nv Sposób wytwarzania herbacianych produktów
KR20110022882A (ko) * 2009-08-28 2011-03-08 남종현 온천수를 이용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간 기능 회복용 조성물
KR101199113B1 (ko) * 2009-11-09 2012-11-09 (주)아모레퍼시픽 목재를 이용한 착향차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착향차
CN102580046B (zh) * 2012-03-23 2014-09-10 南宁市品迪生物工程有限公司 壮医药解酒醒酒配方
CN108524678A (zh) * 2018-07-13 2018-09-14 河南中医药大学 一种茶粕用作角鲨烯合成酶抑制剂及用于降脂的用途
CN111096344A (zh) * 2019-12-30 2020-05-05 北京康比特体育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缓解酒精性肝损伤功能的夹心饼干及其制备方法
CN111685245A (zh) * 2020-06-27 2020-09-22 北京醒舒饮料销售有限公司 一种能够有效缓解酒后身体不适的软饮料及其制作方法
CN115161149A (zh) * 2022-07-21 2022-10-11 贵州九龙天麻有限公司 一种天麻配制酒及其制备工艺与应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7406A (ja) * 1992-07-09 1994-11-29 Hokushin:Kk アカシヤの花茶製造法
KR950016538A (ko) * 1993-12-02 1995-07-20 추도엽 백화사설초 차의 제조방법
JPH0873369A (ja) * 1994-09-01 1996-03-19 Fuairudo:Kk 健康茶
WO2000069452A1 (fr) 1999-05-17 2000-11-23 Yoshio Takeda Remedes contre le cancer et l'infection a helicobacter pylori et leur procede de production
KR20010069898A (ko) * 2001-05-17 2001-07-25 구성자 보이차를 이용한 숙취해소음료
KR100388080B1 (ko) 2000-06-02 2003-06-18 남종현 고지혈증, 간기능 조절효과가 있는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79289A (ko) * 2002-04-03 2003-10-10 최동식 숙취해소용 탄산음료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2028A (ko) * 1991-12-19 1993-07-20 박용성 생약제제
RO114297B1 (ro) * 1996-03-27 1999-03-30 Alexandru Dobos Compoziție fitoterapeutică pentru tratamentul tulburărilor gastro-intestinale
US6455078B1 (en) * 2000-10-18 2002-09-24 Tzu-Sheng Wu Medicinal herbal composition for treating liver diseases and HIV
US20020110605A1 (en) * 2000-12-11 2002-08-15 Ryusuke Nakagiri Liver function protecting or improving agent
CN1325652A (zh) * 2001-06-08 2001-12-12 吴德印 槐花饮料及其制作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7406A (ja) * 1992-07-09 1994-11-29 Hokushin:Kk アカシヤの花茶製造法
KR950016538A (ko) * 1993-12-02 1995-07-20 추도엽 백화사설초 차의 제조방법
JPH0873369A (ja) * 1994-09-01 1996-03-19 Fuairudo:Kk 健康茶
WO2000069452A1 (fr) 1999-05-17 2000-11-23 Yoshio Takeda Remedes contre le cancer et l'infection a helicobacter pylori et leur procede de production
KR100388080B1 (ko) 2000-06-02 2003-06-18 남종현 고지혈증, 간기능 조절효과가 있는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69898A (ko) * 2001-05-17 2001-07-25 구성자 보이차를 이용한 숙취해소음료
KR20030079289A (ko) * 2002-04-03 2003-10-10 최동식 숙취해소용 탄산음료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273A (ko) 2020-12-17 2022-06-2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콩나물 추출물을 함유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 효능을 갖는 육수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20240018541A (ko) 2020-12-17 2024-02-1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콩나물 추출물을 함유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 효능을 갖는 육수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52989A1 (en) 2005-08-11
JP2007518418A (ja) 2007-07-12
CN1905803A (zh) 2007-01-31
WO2005072532A1 (en) 2005-08-11
JP4486096B2 (ja) 2010-06-23
HK1099885A1 (en) 2007-08-24
EP1713346A1 (en) 2006-10-25
US20070128300A1 (en) 2007-06-07
EP1713346A4 (en) 2010-02-17
EP1713346B1 (en) 2012-12-26
KR20050078419A (ko) 2005-08-05
CA2552989C (en) 2012-03-06
CN1905803B (zh)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5822B1 (ko) 고지혈증 및 뇌졸중 회복 및 예방에 효과가 있는 천연 식물추출물 조성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천연차 및 이의제조방법
KR100718189B1 (ko)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 및 그제조 방법
Akintola et al. Nutritional and medicinal importance of Tetrapleura tetraptera fruits (Aridan)
KR101784870B1 (ko)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2697129A (zh) 一种枳椇子植物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768184B1 (ko)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0048212A (ko)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894636B1 (ko) 둥근마추출액을 함유한 음료의 제조방법
KR100969460B1 (ko) 산겨릅나무를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용 음료의 제조방법
CN1175749C (zh) 油橄榄叶食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810693A (zh) 一种含有显齿蛇葡萄的饮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20078467A (ko) 간기능 회복을 위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553643B1 (ko) 니코틴제거 효과가 있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7384680A (zh) 一种百香果龙眼果酒及其酿造方法
CN103272196B (zh) 解毒的药物组合物和药物制剂及其制备方法
KR20110128676A (ko) 다이어트용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Morton The potential carcinogenicity of herbal tea
KR20140100336A (ko) 헛개나무 목질부로부터 분리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KR100496119B1 (ko) 돼지감자 및 생약제를 함유한 드링크 제조방법
KR20200142768A (ko)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2428523B1 (ko) 삼지구엽초, 야관문 및 홍삼을 이용한 리큐르주의 제조방법
KR102428520B1 (ko) 홍삼농축액, 당귀추출물, 클로렐라 및 소엽추출물을 이용한 리큐르주의 제조방법
KR20040094961A (ko) 항비만용 허브차 분말 조성물, 항비만용 커피 분말조성물, 항비만용 녹차 분말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음료
KR20240106089A (ko) 벌나무와 다시마를 이용한 숙취해소용 음료수 제조방법
KR20230055421A (ko) 혼합 생약제 추출물, 아카시아꿀 및 로스팅 인삼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피로회복 및 면역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