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4165B1 -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전압 이득 제어 회로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전압 이득 제어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165B1
KR100714165B1 KR1020040068141A KR20040068141A KR100714165B1 KR 100714165 B1 KR100714165 B1 KR 100714165B1 KR 1020040068141 A KR1020040068141 A KR 1020040068141A KR 20040068141 A KR20040068141 A KR 20040068141A KR 100714165 B1 KR100714165 B1 KR 100714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driving voltage
power amplifier
controll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9446A (ko
Inventor
서호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8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165B1/ko
Priority to US11/202,572 priority patent/US7706761B2/en
Priority to DE602005013619T priority patent/DE602005013619D1/de
Priority to EP05018624A priority patent/EP1630965B1/en
Publication of KR20060019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22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 H03F1/0227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using suppl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16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having gain 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5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with means for improving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에 있어서 송신단의 전력증폭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정한 전압이득을 가변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에 서의 전압 이득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압 이득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는 송수신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미리 정하여진 전압 이득을 얻기 위한 기준 전압을 발생하는 제 1 구동 전압 제어부; 상기 제 1 구동 전압 제어부의 상기 기준전압에 따라 전원 전압을 제 1 구동 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전압 변환부; 상기 제어부의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제 2 구동 전압을 발생하는 제 2 구동 전압 제어부; 및 상기 직류전압 변환부에 의하여 제공된 제 1 구동 전압과 상기 제 2 구동 전압 제어부에 의하여 제공된 제 2 구동 전압에 따라 미리 정하여진 전압 이득을 발생하는 전력 증폭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 전력 증폭기, 전압이득,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전압 이득 제어 회로{The voltage gain control circuit in mobile-phone}
도 1a 는 종래기술에 의한 전력 증폭회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b 는 종래기술에 의한 전력 증폭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c 는 종래기술에 의한 전력 증폭회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증폭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3a 는 본 발명에 의한 전압 이득 제어 회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및
도 3b 는 본 발명에 의한 전압 이득 제어 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에 있어서 송신단의 전력증폭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정한 전압이득을 가변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에 서의 전압 이득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1 세대 기술인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2 세대 기술인 CDMA(code-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3 세대 기술인 WCDMA(wideband CDMA)로 발전 되어 왔다.
초기 1 세대 AMPS 휴대용 단말기 보다 2 세대 CDMA 나 GSM 휴대용 단말기는 크기, 사용시간 및 통화 품질 등에서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WCDMA 방식에서는 음성 데이터 전송 서비스만이 아닌 영상 정보 전송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데이터 전송 속도도 2세대 CDMA(GSM) 휴대용 단말기 보다 크게 향상되었다. 하지만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는 증가되었고 그 결과 배터리(battery) 사용 시간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과도한 전류 소모로 인하여 휴대 단말기 사용 중 온도가 올라가는 현상이 나타났다.
도 1a 는 종래기술에 의한 전력 증폭회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증폭기(100)는 미리 정하여진 전압이득 값에 따라 전송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전송신호를 에어(air)에 전송하기 위하여 듀플렉스(duplexer)에 보낸다. 전송신호 처리부(120)는 송수신 제어부(110)의 기저대역 처리신호를 수신받아 RF 변환등을 수행하고, 처리된 전송신호를 전력 증폭기(100)에 입력한다.
배터리(130)는 전력 증폭기(100)에 일정한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송수신 제어부(110)는 전력 증폭기 구동신호에 따라 전력 증폭기 구동 스위치(140)의 온/오 프(on/off)를 결정한다. 전력 증폭기 구동 스위치(140)가 온(on)되는 경우, 전력 증폭기 제어 전압인 Vcon 은 항상 일정 전압을 유지하여 전력 증폭기(100)에 공급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도 1a 의 경우 전력 증폭기는 배터리(130)를 통한 일정 전압과 Vcon 에 의하여 결정되는 고정 전압이득을 갖는다.
도 1b 는 종래기술에 의한 전력 증폭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 와는 달리, 도 1b 에서는 전력 증폭기(100)의 Vcon 전압이 송수신 제어부(110)의 전압이득 제어신호에 의해 가변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증폭기(100)는 송수신 제어부(110)의 전압이득 제어신호에 따라 정해지는 전압이득 값에 따라 전송신호를 증폭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압이득 제어신호는 PDM(pulse density modulation) 신호등이 이용될 수 있다.전송신호 처리부(120)는 송수신 제어부(110)의 기저대역 처리신호를 수신받아 RF 변환등을 수행하고, 처리된 전송신호를 전력 증폭기(100)에 입력한다.
배터리(130)는 전력 증폭기(100)에 일정한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송수신 제어부(110)는 전력 증폭기 구동신호에 따라 전력 증폭기 구동 스위치(140)의 온/오프(on/off)를 결정한다. 송수신 제어부(110)는 노이즈 제거등을 위한 필터(150)를 통하여 전압이득 제어신호를 전력 증폭기(100)에 공급한다.
전력 증폭기 구동 스위치(140)가 온(on)되는 경우, 전력 증폭기 제어 전압인 Vcon 은 송수신 제어부(110)의 전압이득 제어신호에 의하여 결정되며, 전압이득 제어신호가 가변됨에 따라 전력 증폭기(100)의 전압이득 역시 가변된다.
도 1c 는 종래기술에 의한 전력 증폭회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 도 1b 와는 달리, 도 1c 에서 전력 증폭기(100)의 Vcon 전압은 별도의 전압 스케일링 회로(160)를 통하여 공급된다. 즉, Vcon 전압은 송수신 제어부(110)의 전압이득 제어신호가 변환되어 제공된 값이다. 전송신호 처리부(120)는 송수신 제어부(110)의 기저대역 처리신호 및 전압이득 제어신호를 송신 레벨로 변환하여 전력증폭기(100)에 제공한다.
한편, 전압 스케일링 회로(160)는 상기 전압이득 제어신호를 바람직한 전압이득 값을 얻기 위한 값으로 변환한 다음 전력증폭기(100)에 제공한다. 전력증폭기(100)는 Vcon 전압에 의하여 바람직한 전압이득 값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충전지(130)는 전력증폭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며, 전력 증폭기 구동스위치(140)는 전력증폭기(100)의 단속(on-off)여부를 결정한다. 필터(150)는 불필요한 노이즈 등을 제거하여 전압이득 오류의 발생 가능성을 제거한다.
도 1c 의 경우, 송수신 제어부(110)에 의하여 제공된 전압이득 제어신호는 전송신호 처리부(120)의 출력값과 전압 스케일링 회로(160)의 출력값을 결정하고, 전압이득값은 상기 출력값들에 의하여 가변된다. 결국, 상기 출력값들을 제어함으로써 바람직한 전압이득 값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종래기술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라 배터리 전압이 변함에 따라 전력 증폭기의 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효율의 저하는 배터리 사용시간을 줄이고 휴대용 단말기 사용도중 온도를 상승 시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을 휴대형 단말기에 적용할 경우 배터리 전압에 따른 전력 증폭기의 효율의 변화가 나타난다.
표 1은 입력이 제공되지 않는 상태에서 충전지 전압 V bat 이 외부전원 전압 (Vcc)으로 제공되는 경우 전력 증폭기 구동 전압인 Vcon 과의 관계에 따라 흐르는 전류의 양을 나타낸다.
Vcon(V)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Vcc(V) 3.0 0.014 0.016 0.019 0.021 0.023 0.026 0.028 0.030 0.033 0.035
3.2 0.014 0.017 0.020 0.022 0.025 0.027 0.029 0.031 0.033 0.036
3.4 0.015 0.018 0.021 0.024 0.026 0.028 0.030 0.033 0.035 0.037
3.6 0.017 0.019 0.022 0.025 0.027 0.030 0.032 0.034 0.036 0.038
3.8 0.017 0.020 0.023 0.026 0.029 0.031 0.034 0.036 0.038 0.040
4.0 0.018 0.021 0.025 0.028 0.030 0.033 0.036 0.038 0.040 0.042
4.2 0.018 0.022 0.025 0.029 0.032 0.034 0.037 0.040 0.042 0.044
4.4 0.019 0.022 0.026 0.029 0.033 0.036 0.038 0.041 0.044 0.046

표 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력증폭기에는 입력이 제공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외부전원 전압(Vcc)과 전력 증폭기 구동 전압 Vcon 과의 관계에 따라 일정한 전류가 흐르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때 전력 증폭기의 효율은 외부전원 전압(Vcc)이 3.4(V)에서 4.2(V) 사이인 경우 가장 높다는 사실이 실험적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배터리 전압이 4.2V 일 때와 3.2V 일 때의 효율 차이는 수 % 이상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증폭기의 전압이득을 높이기 위해서는 효율이 가장 높은 전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남게 됨을 알 수 있다. 결국 종래기술에서 전력 증폭기 효율의 저하는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단축시키고, 단말기 사용중 온도를 상승시켜 사용자에게 심리적 불안감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의 전력 증폭 회로에서의 전압이득을 조절하여 배터리(battery)사용 시간을 향상시키고 휴대 단말기의 사용중 온도 상승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압 이득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는 송수신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미리 정하여진 전압 이득을 얻기 위한 기준 전압을 발생하는 제 1 구동 전압 제어부; 상기 제 1 구동 전압 제어부의 상기 기준전압에 따라 전원 전압을 제 1 구동 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전압 변환부; 상기 제어부의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제 2 구동 전압을 발생하는 제 2 구동 전압 제어부; 및 상기 직류전압 변환부에 의하여 제공된 제 1 구동 전압과 상기 제 2 구동 전압 제어부에 의하여 제공된 제 2 구동 전압에 따라 미리 정하여진 전압 이득을 발생하는 전력 증폭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 간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직류전압 변환부는 전원전압의 출력값과 무관하게 상기 기준전압에 따라 제 1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 전압 제어부는 저항수단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 전압 제어부는 전압이득 제어신호와 직렬로 연결되는 제 1 저항 수단과 전압이득 제어신호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 2 저항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 전압 제어부는 전력증폭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 전압 제어부는 복수개의 전력증폭기와 복수개의 저항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력 증폭기의 전압이득을 제어하는 전압이득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외부 전원전압과 전력 증폭기 구동 전압을 함께 제어함으로써 배터리 사용시간을 증가시키고 발생되는 열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증폭 회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 증폭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송수신 제어부(210)에서 출력되는 동일한 전압이득 제어신호에 따라 제 1 구동전압인 DC/DC 컨버터 출력전압 및 제 2 구동 전압인 Vcon 전압이 동시에 제어된다.
특히, 본 발명은 송수신 제어부(2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변 기준 전압을 발생하는 제 1 구동전압 제어부인 전압이득 제어회로(270)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직류전압 변환부인 DC/DC 컨버터는 전압이득 제어회로(270)의 가변 기준 전압에 따라 전원 전압을 제 1 구동전압으로 변환한다. 제 2 구동전압 제어부인 전압 스케일링 회로(260)는 송수신 제어부(2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변하는 제 2 구동 전압을 발생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압이득 제어회로(270)는 전압 스케일링 회로(260)와 마찬가지로 전압이득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어된다. 또한 전압이득 제어회로(270)의 출력값은 전압 스케일링 회로(260)의 출력값과 함께 전력 증폭기(200)의 전압 이득을 결정한다.
다시 말하면, 전압이득 제어회로(270)의 출력값은 DC/DC 컨버터(280)의 기준 전압값(Vref)으로 적용되고, DC/DC 컨버터(280)는 충전지(230)로부터 제공된 전압 값을 바람직한 전압이득을 얻을 수 있는 값으로 변환한다.
한편, 전력 증폭기(200)의 Vcon 전압은 전압 스케일링 회로(260)를 통하여 공급된다. 즉, Vcon 전압은 송수신 제어부(210)의 전압이득 제어신호가 변환되어 제공된 값이 된다.
전송신호 처리부(220)는 송수신 제어부(210)의 기저대역 처리신호 및 전압이득 제어신호를 송신 레벨로 변환하여 전력증폭기(200)에 제공한다. 이때, 전압 스케일링 회로(260)는 상기 전압이득 제어신호를 바람직한 전압이득 값을 얻기 위한 값으로 변환한 다음 전력증폭기(200)에 제공한다. 따라서, 전력증폭기(200)는 Vcon 전압 및 DC/DC 컨버터(280)에 의하여 제공된 전원 전압 V bat 에 의하여 바람직한 전압이득 값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충전지(230)는 전력증폭기(200)에 전원을 공급하며, 전력 증폭기 구동스위치(240)는 전력증폭기(200)의 단속(on-off)여부를 결정한다. 필터(250)는 불필요한 노이즈 등을 제거하여 전압이득 오류의 발생 가능성을 제거한다.
도 2 의 경우, 송수신 제어부(210)에 의하여 제공된 전압이득 제어신호는 전압 스케일링 회로(260)의 출력값과 전송신호 처리부(220)의 출력값을 결정할 뿐만 아니라 전압이득 제어회로(270)의 출력값을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전력증폭기(200)의 전압이득값은 전압이득 제어회로(270)에 의하여 결정되는 DC/DC 컨버터(280)의 출력값(V bat)과 전압이득 제어신호에 의하여 결정되는 전압 스케일링 회로(260)의 출력값(Vcon)에 의하여 가변된다. 결국, 상기 출력값들(V bat, Vcon)을 제어함으로써 바람직한 전압이득 값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충전지(230)는 전원 전압을 전력증폭기(200)에 제공하며, 충전지(230)에 의한 전원 전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전원 전압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최적의 전압이득을 얻기 위해서는 일정한 전압이 전력증폭기(200)에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DC/DC 컨버터(280)는 전원 전압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전압을 전력증폭기(200)에 공급함으로써 바람직한 전압이득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전압이득 제어회로(270)를 구비함으로써 전압 스케일링 회로(260)의 출력값(Vcon)만에 의존하여 전압이득을 얻는 것이 아니라 전압이득 제어회로(270)의 출력값과 연동하여 전압이득을 얻도록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은 동일한 제어신호가 전원 전압(V bat)과 전력증폭기 제어전압(Vcon)을 동시에 제어하도록 하여 전력증폭기(200)가 적정한 전압이득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전력증폭기(200)는 전압 스케일링 회로(260)를 통하여 제어전압을 가변시킬 뿐만 아니라, 전압이득 제어회로(270)의 제어전압을 함께 가변시킴으로써 바람직한 전압이득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도 3a 는 본 발명에 의한 전압 이득 제어 회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 는 본 발명에 의한 전압 이득 제어 회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압 이득 제어 회로는 송수신 제어부에 의하여 제공된 전압이득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도 3a, 도 3b 에 구현된 회로에 의하여 변환된 값을 DC/DC 컨버터(ref)에 전송한다. 이때 외부에서 전압 스케일링을 위한 별도의 전압 인 Vscale 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압 이득 제어 회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수단만으로 구현되거나,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증폭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3a 에 있어서 전압 이득 제어 회로는 전압이득 제어신호와 직렬로 연결되는 제 1 저항 수단과 전압이득 제어신호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 2 저항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b 에 있어서 전압 이득 제어 회로는 복수개의 전력증폭기와 복수개의 저항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한 바에 따라 변환된 전압 이득 제어 회로의 출력값은 DC/DC 컨버터(ref)에 전송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증폭기는 바람직한 전압이득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3a 와 도 3b 에 구현된 전압 이득 제어 회로의 출력값은 각각의 회로구성에 따라 달리 결정되며, 상기 출력값은 전술한 바와 같이 DC/DC 컨버터의 기준전압(Vref)으로 적용된다.
상기 기준전압에 따라 DC/DC 컨버터는 전원전압을 변환하여 전력증폭기에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제어신호가 상기 전원 전압과 전력증폭기 제어전압을 동시에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필요한 전압이득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 증폭 회로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에 있어서, 전압이득을 조절하여 배터리(battery)사용 시간을 향상시키고 휴대 단말기의 사용중 온도 상승을 최소화하는 전압이득의 실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 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의 전력 증폭 회로에서의 전압이득을 조절하여 배터리(battery)사용 시간을 향상시키고 휴대 단말기의 사용중 온도 상승을 최소화하는 전압이득의 실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Claims (10)

  1.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전력 증폭 회로에 있어서,
    전압 이득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송수신 제어부와;
    상기 송수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변하는 전압을 발생하는 제 1 구동 전압 제어부와;
    상기 제 1 구동 전압 제어부의 전압에 따라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전압을 제 1 구동 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전압 변환부와;
    상기 송수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변하는 제 2 구동 전압을 발생하는 제 2 구동 전압 제어부와;
    상기 제 1 구동 전압과 상기 제 2 구동 전압에 따라 전압 이득이 결정되는 전력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 간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전압 변환부는 상기 배터리 전원전압 출력값과 무관하게 상기 제 1 구동전압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전압에 따라 제 1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 전압 제어부는 저항수단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 전압 제어부는 전압이득 제어신호와 직렬로 연결되는 제 1 저항 수단과 전압이득 제어신호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 2 저항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 전압 제어부는 전력증폭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 전압 제어부는 복수개의 전력증폭기와 복수개의 저항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 회로.
  8. 전력 증폭 회로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에 있어서,
    전압 이득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송수신 제어부와;
    상기 송수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변하는 전압을 발생하는 제 1 구동 전압 제어부와;
    상기 제 1 구동 전압 제어부의 전압에 따라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전압을 제 1 구동 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전압 변환부와;
    상기 송수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변하는 제 2 구동 전압을 발생하는 제 2 구동 전압 제어부와;
    상기 제 1 구동 전압과 상기 제 2 구동 전압에 따라 전압 이득이 결정되는 전력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제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 간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전압 변환부는 상기 배터리 전원전압 출력값과 무관하게 상기 제 1 구동전압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전압에 따라 제 1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KR1020040068141A 2004-08-27 2004-08-27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전압 이득 제어 회로 KR100714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141A KR100714165B1 (ko) 2004-08-27 2004-08-27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전압 이득 제어 회로
US11/202,572 US7706761B2 (en) 2004-08-27 2005-08-12 Power amplifying circuit in mobile terminal
DE602005013619T DE602005013619D1 (de) 2004-08-27 2005-08-26 Leistungsvestärkerschaltung in einem mobilen Endgerät
EP05018624A EP1630965B1 (en) 2004-08-27 2005-08-26 Power amplifying circuit in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141A KR100714165B1 (ko) 2004-08-27 2004-08-27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전압 이득 제어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446A KR20060019446A (ko) 2006-03-03
KR100714165B1 true KR100714165B1 (ko) 2007-05-02

Family

ID=35169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141A KR100714165B1 (ko) 2004-08-27 2004-08-27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전압 이득 제어 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06761B2 (ko)
EP (1) EP1630965B1 (ko)
KR (1) KR100714165B1 (ko)
DE (1) DE60200501361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0874A (ko) 2007-03-02 2008-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접지를 이용한 오디오 파워 앰프 및 그 신호 처리방법
TW201310894A (zh) * 2011-08-19 2013-03-01 Chief Land Electronic Co Ltd 電源產生系統
US9100079B2 (en) * 2013-03-29 2015-08-04 Mediatek Inc. Wireless transcei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wireless transceiv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111A (ko) * 1999-10-22 2001-05-15 서평원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증폭기 제어 회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0202A (ja) * 1993-12-15 1995-07-04 Hitachi Ltd 送信回路
US6148220A (en) * 1997-04-25 2000-11-14 Triquint Semiconductor, Inc. Battery life extending technique for mobile wireless applications
KR20020094628A (ko) * 2001-06-12 2002-12-18 (주)유피텍 가변 동작점 전력 증폭기
US6624702B1 (en) * 2002-04-05 2003-09-23 Rf Micro Devices, Inc. Automatic Vcc control for optimum power amplifier efficiency
KR100663450B1 (ko) * 2003-05-19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집적 가능한 전압조정 초고주파 전력 증폭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111A (ko) * 1999-10-22 2001-05-15 서평원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증폭기 제어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46667A1 (en) 2006-03-02
EP1630965B1 (en) 2009-04-01
EP1630965A1 (en) 2006-03-01
DE602005013619D1 (de) 2009-05-14
KR20060019446A (ko) 2006-03-03
US7706761B2 (en) 2010-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8313B1 (en) Control of gain and power consumption in a power amplifier
JP3079095B2 (ja) 移動通信端末機の電源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JP3942637B2 (ja) 効率的な並列段電力増幅器
RU225248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усиления мощности передачи беспроводного телефона при пониженном энергопотреблении
AU724403B2 (en) Efficient parallel-stage power amplifier
KR101186028B1 (ko) 데이터 레이트 의존형 전력 증폭기 바이어스를 갖는 전자 장치
US8774739B2 (en) Multi-mode power supply regulator for power amplifier control
US8072266B1 (en) Class G amplifier with improved supply rail transition control
JP2007116694A (ja) 高効率混合モード電力増幅器
WO2011003341A1 (zh) 一种降低手机射频功耗的电路及方法
JP2006512847A (ja) 高効率多重モード電力増幅装置
EP1501189A3 (en) High frequency variable gain amplification device, control device, high frequency variable gain frequency-conversion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060208796A1 (en) Bias control for reducing amplifier power consumption and maintaining linearity
JP3907052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増幅回路
US767623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ower controller with flat amplitude and phase response
KR100714165B1 (ko)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전압 이득 제어 회로
US7545217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power efficiency in GSM power amplifiers
US6518840B1 (en) Circuit for linearizing the power control profile of a BiCMOS power amplifier
JP2006140911A (ja) Eerシステム及びeerシステムにおける高周波飽和増幅器の効率最適化調整方法
JP3854832B2 (ja) 高周波電力増幅装置と通信端末
JP2000295046A (ja) 電力増幅器を有する電子機器
JPH0693631B2 (ja) 送信電力制御回路
KR101180108B1 (ko) 직류 전원 공급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CN210927144U (zh) 一种电源管理电路
JP2005110041A (ja) 光信号受信装置及びdcオフセット調整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