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2096B1 -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096B1
KR100712096B1 KR1020040011145A KR20040011145A KR100712096B1 KR 100712096 B1 KR100712096 B1 KR 100712096B1 KR 1020040011145 A KR1020040011145 A KR 1020040011145A KR 20040011145 A KR20040011145 A KR 20040011145A KR 100712096 B1 KR100712096 B1 KR 100712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emitting
pixels
thickness
com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2644A (ko
Inventor
김무현
진병두
이성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1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2096B1/ko
Priority to JP2004363540A priority patent/JP4684640B2/ja
Priority to US11/013,944 priority patent/US7547462B2/en
Priority to CNB2004100104897A priority patent/CN100502088C/zh
Publication of KR20050082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20Changing the shape of the active layer in the devices, e.g. patterning
    • H10K71/231Changing the shape of the active layer in the devices, e.g. patterning by etching of existing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층의 유기막을 열전사방식을 통해 패터닝하여 R, G, B 화소별로 두께를 최적화시키고, B 발광층을 공통층으로 사용하여 소자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판 상에 R, G 및 B 화소의 하부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R, G 및 B 화소의 하부전극 상에 정공주입층을 공통으로 형성하고; 상기 R 및 G 화소의 정공주입층 상에 발광층을 레이저 열전사법을 수행하여 각각 형성하고; 상기 R 및 G 화소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기판 전면에 B 공통층을 형성하고; 상기 B 공통층 상에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 상에 R, G 및 B 화소의 하부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R, G 및 B 화소의 하부전극 상에 정공주입층을 공통으로 형성하고; 상기 R 화소의 정공주입층 상부에 정공수송층 및 발광층을 레이저 열전사법을 수행하여 동시에 형성하고; 상기 G 화소의 정공주입층 상부에 정공수송층 및 발광층을 레이저 열전사법을 수행하여 동시에 형성하고; 상기 R 및 G 화소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기판 전면에 B 공통층을 형성하고; 상기 B 공통층 상에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공통층, 레이저 열전사법

Description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fabricating method of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의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열전사법을 이용하여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400 : 절연기판 211, 11 : R 화소의 애노드전극
213, 413 : G 화소의 애노드전극 215, 415 : B 화소의 애노드전극
220, 420 : 정공주입층 230, 431, 433 : 정공수송층
241, 441 : R 화소의 발광층 243, 443 : G 화소의 발광층
250, 450 : B 화소의 발광층 260, 460 : 전자수송층
270, 470 : 캐소드전극210, 610, 630 : 열전사소자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층의 유기막을 열전사방식을 통해 패터닝하여 R, G, B 화소별로 두께를 최적화시키고, B 발광층을 공통층으로 사용하여 소자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절연기판상에 형성된 하부전극 및 상부전극과, 상기 상하부전극사이에 형성된 다층의 유기막층을 구비한다. 상기 유기막층은 각 층의 기능에 따라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정공억제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상부전극과 하부전극이 투명 또는 불투명전극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유기막층으로부터 절연기판방향 또는 절연기판과 반대방향의 일측면으로 광이 방출되거나 또는 절연기판방향과 절연기판의 반대방향의 양측면으로 방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풀컬러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절연 기판(100) 상에 각 화소에 따라 하부전극으로 애노드 전극(111, 113, 115)이 패터닝되어 형성되고, 정공주입층(120)과 정공수송층(130)이 전면 형성된다. 각 화소의 애노드 전극에 대응하여 유기물의 R, G, B 발광층(141), (143), (145)이 형성되고, 정공억제층(150)과 전자수송층(160)이 전면에 형성된다. 상기 전자수송층(170)상에 상부전극으로 캐소드전극(170)이 형성된다.
상기 R, G, B 화소의 발광층(EML) (141), (143), (145)은 각각의 R, G, B 칼라에 적합한 두께로 R, G, B 화소의 애노드전극(111, 113, 115)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하수송층인 정공주입층(HIL) (120)과 정공수송층(HTL) (130) 그리고 정공억제층(HBL) (150)과 전자수송층(ETL) (160)은 공통층으로 기판 전면에 형성된다.
종래에는 상기 전하수송층인 정공주입층(120)과 정공수송층(130)을 기판전면에 형성하며, R, G, B 발광층을 각각 새도우 마스크를 이용하여 형성하고, 다시 전하수송층인 정공주입층(150)과 정공수송층(160)을 기판 전면에 형성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풀칼라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제조하게 되면, 각 R, G, B 화소의 광학적 두께가 달라지게 되어 색좌표와 효율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정을 단순화하고, 소자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레이저 열전사법을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 상에 R, G 및 B 화소의 하부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R, G 및 B 화소의 하부전극 상에 정공주입층을 공통으로 형성하고; 상기 R 및 G 화소의 정공주입층 상에 발광층을 레이저 열전사법을 수행하여 각각 형성하고; 상기 R 및 G 화소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기판 전면에 B 공통층을 형성하고; 상기 B 공통층 상에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R 발광층의 두께는 100~300Å이고, 상기 G 발광층의 두께는 50~250Å이며, 상기 B 공통층의 두께는 100~2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 G 및 B 화소의 정공주입층 상에 정공주입층을 공통으로 더욱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 상에 R, G 및 B 화소의 하부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R, G 및 B 화소의 하부전극 상에 정공주입층을 공통으로 형성하고; 상기 R 화소의 정공주입층 상부에 정공수송층 및 발광층을 레이저 열전사법을 수행하여 동시에 형성하고; 상기 G 화소의 정공주입층 상부에 정공수송층 및 발광층을 레이저 열전사법을 수행하여 동시에 형성하고; 상기 R 및 G 화소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기판 전면에 B 공통층을 형성하고; 상기 B 공통층 상에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R 화소의 정공수송층의 두께는 1000Å이고, 상기 G 화소의 정공수송층의 두께는 350Å이며, 상기 R, G 및 B 화소의 정공주입층의 두께는 1350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박막의 유기막층을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절연기판(200)상에 하부전극으로서 R, G, B 화소의 애노드전극(211), (213), (215)가 각각 분리 형성되고, 상기 절연기판상부에 유기막층이 형성되고, 상기 유기막층 상에 상부전극으로서 캐소드전극(270)이 형성된다. 상부전극(270)은 투명전극 또는 반투과전극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유기막층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상기 절연기판과 반대 방향으로 방출된다. 상기 유기막층은 상기 R, G 화소의 애노드전극(211), (213)에 대응하여 패터닝된 R, G 화소의 발광층(241), (243) 및 공통층으로 형성된 B 화소의 발광층(250)과, 상기 발광층(241), (243) 및 (250)의 상, 하부에 형성된 전하수송층을 포함한다.
상기 전하수송층은 상기 R, G, B 화소의 애노드전극(211), (213), (215)과 R, G, B 화소의 발광층(241), (243), (250) 사이에 형성된 정공주입층(220)과 정공수송층(23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하수송층은 R, G, B 발광층(241), (243), (250)과 캐소드전극(270)사이에 형성된 전자수송층(260)을 포함한다. 상기 R 및 G 발광층(241), (243)은 인광발광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B 발광층(250)은 형광발광물질로 이루어져서 정공억제층으로 작용한다.
제1실시예에 따라 레이저 열전사법을 이용하여 유기막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도 2 및 (표 1) 및 (표 2)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IL과 HTL의 두께의 합 EML 두께 HBL과 ETL의 두께의 합
R 350Å 300-400Å 300Å
G 350Å 250-350Å 300Å
B 350Å 100-200Å 300Å
HIL과 HTL의 두께의 합 EML 두께 B 공통층 두께 HBL과 ETL의 두께의 합
R 350Å 100-300Å 100-200Å 300Å
G 350Å 50-250Å 100-200Å 300Å
B 350Å 100-200Å 300Å
상기 (표 1)과 (표 2)는 상부전극으로 125Å의 두께를 갖는 ITO를 사용하고 유기막층을 박막으로 형성한 경우, R, G, B 화소별로 광학적으로 최적화된 두께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각 층의 두께는 50 내지 200Å의 공정범위(tolerance)를 갖는다. (표 1)은 R, G, B 발광층이 각각 패터닝되어 형성되는 경우 각 층의 광학적으로 최적화된 두께를 나타낸 것이고, (표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R 및 G 발광층(241), (243)은 패터닝하고 B 발광층(250)을 공통층으로 형성하여 정공억제층의 역할을 하는 경우 각 층의 광학적으로 최적화된 두께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절연기판(200)상에 R, G, B 화소의 애노드전극(211), (213), (215)을 서로 분리 형성하고, 기판전면에 전하수송층으로 정공주입층(220)과 정공수송층(230)을 공통층으로 증착한다. 이어서, R 및 G 발광층(241, 243)을 상기 R 및 G 화소의 애노드전극(211), (213)에 대응하는 정공수송층(230)상에 형성한다. 즉, 전사층으로 R 발광층을 위한 유기막층만을 구비한 열전사소자(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한 레이저 열전사법을 통해 R 화소의 애노드전극(211)에 대응하여 R 발광층(241)을 패터닝한다. 이어서, 전사층으로 G 발광층을 위한 유기막층만을 구비한 열전사소자(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한 레이저 열전사법을 통해 G 화소의 애노드전극(213)에 대응하여 G 발광층(243)을 패터닝한다.
다음, 기판전면에 B 발광층(250)을 공통층으로 형성하여 B 화소의 B 발광층(250) 및 정공억제층으로 작용한다. 상기 B 발광층(250)상에 전자수송층(260)을 공통층으로 전면 형성하고, 그위에 상부전극으로 캐소드전극(27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R, G, B 발광층(241), (243)을 형성할 때, (표 1)에 나타낸 바와같이 광학적으로 최적화된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제1실시예에서는 B 발광층(250)이 공통층으로 전면형성되므로, R 및 B 발광층(241), (243)을 레이저 열전사법을 이용하여 패터닝할 때, (표 1)에 제시된 R 및 B 발광층(241), (243)의 두께에서 공통층으로 사용되는 B 발광층(250)의 두께를 뺀 값만큼의 두께를 갖도록 R 및 B 발광층(241), (245)을 패터닝한다.
즉, 제1실시예에서 패터닝되는 R 및 G 발광층(241), (243)의 두께와 공통층으로 형성되는 B 공통층의 두께의 합이 각각 R 및 G 칼라에서 요구되는 (표 1)의 R 및 B 발광층의 두께가 되도록 형성한다. 즉,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B 공통층(250)은 B 칼라에서 요구되는 두께인 100 내지 200Å의 두께로 형성되고, R 및 G 발광층(241), (243)에서 요구되는 두께로부터 B 발광층(250)의 두께를 뺀 값만큼의 두께인 100 내지 300Å와 50 내지 250Å의 두께를 각각 갖도록 R 및 G 발광층(241), (243)을 레이저 열전사법으로 패터닝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후막의 유기막층을 사용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절연기판(400)상에 하부전극으로서 R, G, B 화소의 애노드전극(411), (413), (415)가 각각 분리 형성되고, 상기 절연기판상부에 유기막층이 형성되고, 상기 유기막층 상부에 상부전극으로서 캐소드전극(470)이 형성된다. 상부전극(470)은 투명전극 또는 반투과전극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유기막층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상기 절연기판과 반대 방향으로 방출된다. 상기 유기막층은 상기 R 및 G 화소의 애노드전극(411), (413)에 대응하여 패터닝된 R 및 G 화소의 발광층(441), (443) 및 공통층으로 형성된 B 화소의 발광층(450)과, 상기 발광층(441), (443) 및 (450)의 상, 하부에 형성된 전하수송층을 포함한다.
상기 전하수송층은 상기 R, G, B 화소의 애노드전극(411), (413), (415)과 R, G, B 화소의 발광층(441), (443), (450) 사이에 형성된 정공주입층(420)과 정공수송층을 포함한다. 상기 정공주입층(220)은 기판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정공수송층은 R, G 화소별로 서로 다른 두께를 갖으며, R, G, B 애노드전극(411), (413)에 대응하여 패터닝된다. 또한, 상기 전하수송층은 R, G, B 발광층(441), (443), (450)과 캐소드전극(470)사이에 형성된 전자수송층(260)을 포함한다. 상기 R 및 G 발광층은 인광발광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B 발광층은 형광발광물질로 이루어져 정공억제층으로 작용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막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표 3) 및 (표 4)과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IL과 HTL의 두께의 합 EML 두께 HBL과 ETL의 두께의 합
R 2350Å 300-400Å 350Å
G 1700Å 250-350Å 350Å
B 1350Å 100-200Å 350Å
HIL의 두께 HTL 두께 EML 두께 B 공통층 두께 HBL과 ETL의 두께의 합
R 1350Å 1000Å 100-300Å 100-200Å 350Å
G 1350Å 350Å 50-250Å 100-200Å 350Å
B 1350Å 0 100-200Å 350Å
상기 (표 3)과 (표 4)는 상부전극으로 125Å의 두께를 갖는 ITO를 사용하고 유기막층을 후막으로 형성한 경우, R, G, B 화소별로 광학적으로 최적화된 두께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각 층의 두께는 50 내지 200Å의 공정범위(tolerance)를 갖는다. (표 3)은 정공수송층과 정공주입층이 공통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각 층의 광학적으로 최적화된 두께를 나나탠 것이고, (표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정공수송층을 레이저 열전사법을 이용하여 발광층과 동시에 패터닝하여 형성하는 경우 각 층의 광학적으로 최적화된 두께를 나타낸 것이다.
절연기판(400)상에 R, G, B 화소의 애노드전극(411), (413), (415)을 분리 형성하고, 기판전면에 전하수송층으로 정공주입층(420)을 공통층으로 형성한다. 이때, 정공주입층(420)의 두께는 R, G, B 화소의 정공수송층과 정공주입층의 두께의 합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갖는 화소의 정공수송층과 정공주입층의 두께로 형성한다. 즉, (표 3)에서 보는 바와같이 B 화소의 정공수송층과 정공주입층의 두께가 1350Å으로 가장 작으므로, 공통층으로 형성되는 정공주입층(420)을 B 화소의 정공수송층과 정공주입층의 두께의 합과 같도록 1350Å의 두께로 형성한다.
이어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R 정공수송층(431)과 R 발광층(441)을 패터닝하기 위한 열전사소자(610)를 준비한다. 상기 열전사소자(610)는 베이스기판(611)상에 광변환층(621)과 전사층으로 R 정공수송층을 위한 유기막(631)과 R 발광층을 위한 유기막(641)을 구비한다. 상기 열전사소자(610)에 레이저(500)를 조사하여 상기 R 애노드전극(411)상부의 정공주입층(420)상에 R 정공수송층(431)과 R 발광층(441)을 동시에 패터닝하여 형성한다.
다음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G 정공수송층(433)과 G 발광층(243)을 패터닝하기 위한 열전사소자(630)를 준비한다. 상기 열전사소자(630)는 베이스기판(613)상에 광변환층(623)과 전사층으로 G 정공수송층을 위한 유기막(633)과 G 발광층을 위한 유기막(643)을 구비한다. 상기 열전사소자(630)에 레이저(500)를 조사하여 상기 G 애노드전극(513)상부의 정공주입층(520)상에 G 정공수송층(433)과 G 발광층(443)을 동시에 패터닝하여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B 화소의 발광층(450)은 공통층으로 R 및 G 발광층(431), (433) 상부를 포함하여 전면에 형성한다. 이때, (표 3) 및 (표 4)로부터 R, G, B 화소의 정공주입층과 정공수송층의 두께의 합이 서로 상이하므로, R, G 화소의 패터닝된 정공수송층(431), (433)의 두께는 서로 상이하다.
즉, 상기 정공수송층은 R 및 G 화소별로 R 및 G 애노드전극(411), (413)에 대응하여 형성되므로, 정공주입층(420)은 R, G, B 화소중 가장 작은 두께를 갖는 B 화소의 정공수송층의 두께로 형성된다. 따라서, (표 4)에서 보는 바와같이, R 화소의 정공수송층(431)은 (표 3)의 R 화소의 정공수송층과 정공주입층의 두께의 합에서 B화소의 정공주입층과 정공수송층의 두께의 합을 뺀 값, 즉 1000Å의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G 화소의 정공수송층(433)은 G 화소의 정공수송층과 정공주입층의 두께의 합에서 B 화소의 정공주입층과 정공수송층의 두게의 합을 뺀 값 즉, 350Å의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도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R, G, B 발광층(441), (443)을 형성할 때, (표 3)에 나타낸 바와같이 광학적으로 최적화된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제2실시예에서는 B 발광층(450)이 공통층으로 전면형성되므로, R 및 B 발광층(441), (443)을 레이저 열전사법을 이용하여 패터닝할 때, (표 3)에 제시된 R 및 B 발광층(441), (443)의 두께에서 공통층으로 사용되는 B 발광층(350)의 두께를 뺀 값만큼의 두께를 갖도록 R 및 G 발광층(441), (443)을 상기 R 및 G 정공수송층(431), (433)을 패터닝할 때 동시에 형성한다.
즉, 제2실시예에서 패터닝되는 R 및 G 발광층(441), (443)의 두께와 공통층으로 형성되는 B 공통층(450)의 두께의 합이 각각 R 및 G 칼라에서 요구되는 (표 3)의 R 및 B 발광층의 두께가 되도록 형성한다. 즉, (표 3) 및 (표 4)를 참조하면, B 공통층(450)은 B 칼라에서 요구되는 두께인 100 내지 200Å의 두께로 형성되고, R 및 G 발광층(441), (443)에서 요구되는 두께로부터 B 발광층(450)의 두께를 뺀 값만큼의 두께인 100 내지 300Å와 50 내지 250Å의 두께를 각각 갖도록 R 및 G 발광층(441), (443)을 레이저 열전사법으로 패터닝한다.
상기한 바와같은 방법으로 발광층과 정공주입층을 동시에 레이저 열전사법을 이용하여 동시에 패터닝하면,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R, G, B 화소별 유기막의 두께를 최적화시켜 형성하여 줌으로써 소자의 특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열전사소자가 베이스 기판상에 광변환층과 전사층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열전사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층, 예를 들어 중간층 등이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표 1) 내지 (표 4)에 나타낸 각 층의 두께는 공정조건과 소자의 특성조건이 가변됨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B 발광층을 공통층으로 형성하여 정공억제층으로 사용하므로써, 공정을 단순화하여 수율을 향상시키고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정 수를 감소시켜 제조 비용을 절감시키고, 패턴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열전사법을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최적화된 두께를 갖는 발광층과 전하수송층을 동시에 형성하여 형성함으로써, 색좌표 및 효율특성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해상도의 유기전 계 발광표시장치에 적용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기판 상에 R, G 및 B 화소의 하부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R, G 및 B 화소의 하부전극 상에 정공주입층을 공통으로 형성하고;
    상기 R 및 G 화소의 정공주입층 상에 발광층을 레이저 열전사법을 수행하여 각각 형성하고;
    상기 R 및 G 화소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기판 전면에 B 공통층을 형성하고;
    상기 B 공통층 상에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 발광층의 두께는 100~300Å이고, 상기 G 발광층의 두께는 50~250Å이며, 상기 B 공통층의 두께는 100~2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 G 및 B 화소의 정공주입층 상에 정공수송층을 공통으로 더욱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4. 기판 상에 R, G 및 B 화소의 하부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R, G 및 B 화소의 하부전극 상에 정공주입층을 공통으로 형성하고;
    상기 R 화소의 정공주입층 상부에 정공수송층 및 발광층을 레이저 열전사법을 수행하여 동시에 형성하고;
    상기 G 화소의 정공주입층 상부에 정공수송층 및 발광층을 레이저 열전사법을 수행하여 동시에 형성하고;
    상기 R 및 G 화소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기판 전면에 B 공통층을 형성하고;
    상기 B 공통층 상에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R 화소의 정공수송층의 두께는 1000Å이고, 상기 G 화소의 정공수송층의 두께는 350Å이며, 상기 R, G 및 B 화소의 정공주입층의 두께는 135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R 발광층의 두께는 100~300Å이고, 상기 G 발광층의 두께는 50~250Åㅇ이며, 상기 B 공통층의 두께는 100~2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40011145A 2004-02-19 2004-02-19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712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145A KR100712096B1 (ko) 2004-02-19 2004-02-19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2004363540A JP4684640B2 (ja) 2004-02-19 2004-12-15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11/013,944 US7547462B2 (en) 2004-02-19 2004-12-17 Method of fabricat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NB2004100104897A CN100502088C (zh) 2004-02-19 2004-12-31 制造有机发光显示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145A KR100712096B1 (ko) 2004-02-19 2004-02-19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644A KR20050082644A (ko) 2005-08-24
KR100712096B1 true KR100712096B1 (ko) 2007-04-27

Family

ID=34858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145A KR100712096B1 (ko) 2004-02-19 2004-02-19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47462B2 (ko)
JP (1) JP4684640B2 (ko)
KR (1) KR100712096B1 (ko)
CN (1) CN100502088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0683B2 (en) 2008-12-02 2013-04-0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142795B2 (en) 2013-05-29 2015-09-2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88315B2 (en) 2004-04-02 2012-05-29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0846586B1 (ko) * 2006-05-29 2008-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KR100699997B1 (ko) * 2004-09-21 2007-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다수개의 구동 트랜지스터와 다수개의 애노드 또는캐소드전극을 갖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EP1854129A1 (en) * 2005-02-17 2007-11-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led-device with patterned layer thickness
TWI361018B (en) 2005-04-18 2012-03-21 Sony Corp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
KR100729077B1 (ko) * 2005-11-14 2007-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US20070176539A1 (en) * 2006-02-01 2007-08-0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LED with area defined multicolor emission within a single lighting element
JP2007273704A (ja) * 2006-03-31 2007-10-18 Canon Inc 有機el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5013048B2 (ja) 2006-04-06 2012-08-29 ソニー株式会社 赤色有機発光素子およ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2008027722A (ja) * 2006-07-21 2008-02-07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829761B1 (ko) 2007-05-16 2008-05-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GB2454890B (en) * 2007-11-21 2010-08-25 Limited Cambridge Display Technology Light-emitting device and materials therefor
JP4807366B2 (ja) * 2008-03-11 2011-11-0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509112B1 (ko) 2008-04-18 2015-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53540B1 (ko) * 2008-06-11 2010-04-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53539B1 (ko) * 2008-06-11 2010-04-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75867B1 (ko) * 2008-06-19 2010-08-1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JP5019638B2 (ja) * 2008-08-22 2012-09-0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セントラル 有機el表示装置
JP2010114425A (ja) * 2008-10-10 2010-05-20 Canon Inc 有機el表示装置
JP5328726B2 (ja) 2009-08-25 2013-10-30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薄膜蒸着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有機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の製造方法
JP5677785B2 (ja) 2009-08-27 2015-02-25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薄膜蒸着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有機発光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8876975B2 (en) 2009-10-19 2014-11-04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KR101084184B1 (ko) 2010-01-11 2011-11-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박막 증착 장치
KR101174875B1 (ko) 2010-01-14 2012-08-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증착 장치,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93186B1 (ko) 2010-02-01 2012-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증착 장치,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56441B1 (ko) 2010-03-11 2012-06-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박막 증착 장치
KR101137392B1 (ko) 2010-03-31 2012-04-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202348B1 (ko) 2010-04-06 2012-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8894458B2 (en) 2010-04-28 2014-11-25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by using the apparatus,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using the method
JP5783780B2 (ja) * 2010-06-03 2015-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223723B1 (ko) 2010-07-07 2013-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증착 장치,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23506B1 (ko) 2010-10-22 2017-04-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층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738531B1 (ko) 2010-10-22 2017-05-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45865A (ko) 2010-11-01 2012-05-0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층 증착 장치
KR20120065789A (ko) 2010-12-13 2012-06-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층 증착 장치
KR101760897B1 (ko) 2011-01-12 2017-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착원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막 증착 장치
KR101852517B1 (ko) 2011-05-25 2018-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층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840654B1 (ko) 2011-05-25 2018-03-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층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857249B1 (ko) 2011-05-27 2018-05-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터닝 슬릿 시트 어셈블리, 유기막 증착 장치, 유기 발광 표시장치제조 방법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30007307A (ko) 2011-06-30 2013-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826068B1 (ko) 2011-07-04 2018-0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층 증착 장치
JP5093392B2 (ja) * 2011-09-08 2012-12-12 ソニー株式会社 ドナー基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転写方法、表示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表示装置の製造システム
TWI508279B (zh) * 2012-01-19 2015-11-11 Joled Inc 顯示器及其製造方法,單元,轉印方法,有機電致發光單元及其製造方法,以及電子裝置
JP5974354B2 (ja) * 2012-02-06 2016-08-23 株式会社Joled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電子機器、装置ならびに転写印刷方法
KR102013315B1 (ko) 2012-07-10 2019-08-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32298B1 (ko) 2012-07-16 2016-06-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24977A (ko) 2012-08-17 2014-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464270B1 (ko) 2012-08-24 2014-11-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JP6182838B2 (ja) * 2012-08-28 2017-08-2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TW201412190A (zh) * 2012-09-03 2014-03-16 Ultimate Image Corp 光源模組
KR101923175B1 (ko) 2013-01-04 2018-1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02352B1 (ko) * 2013-01-30 2020-06-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072801B1 (ko) * 2013-02-04 2020-03-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075524B1 (ko) * 2013-03-21 2020-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113034B1 (ko) * 2013-05-29 2020-05-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98139B1 (ko) * 2013-12-31 2020-04-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125881B1 (ko) * 2014-04-29 2020-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393046B1 (ko) * 2015-01-23 2022-05-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2424966B1 (ko) * 2015-02-13 2022-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05633290A (zh) * 2015-12-31 2016-06-0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oled器件及其制造方法
KR102602193B1 (ko) * 2016-08-12 2023-11-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10034148A (zh) * 2018-01-12 2019-07-19 超微晶科技(深圳)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面板制作方法
KR102597673B1 (ko) * 2018-05-16 2023-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128A (ko) * 2000-08-24 2002-03-04 김순택 유기 전계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4278A (ja) * 1993-09-21 1995-04-07 Fuji Electric Co Ltd 有機薄膜発光素子
US5424560A (en) * 1994-05-31 1995-06-13 Motorola, Inc. Integrated multicolor organic led array
JP3508805B2 (ja) * 1996-06-06 2004-03-22 出光興産株式会社 多色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99566B2 (ja) * 1996-11-25 2007-03-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918037B1 (ja) * 1998-06-18 1999-07-12 日本電気株式会社 カラー有機elディスプレイとその製造方法
ATE286346T1 (de) * 1998-09-17 2005-01-15 Seiko Epson Corp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olumineszensvorrichtung
US6114088A (en) * 1999-01-15 2000-09-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hermal transfer element for forming multilayer devices
JP4136185B2 (ja) * 1999-05-12 2008-08-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多色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US6841267B2 (en) * 2002-04-24 2005-01-11 Eastman Kodak Company Efficient electroluminescent device
TW556446B (en) * 2002-09-11 2003-10-01 Opto Tech Corp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128A (ko) * 2000-08-24 2002-03-04 김순택 유기 전계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0683B2 (en) 2008-12-02 2013-04-0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142795B2 (en) 2013-05-29 2015-09-2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84640B2 (ja) 2011-05-18
KR20050082644A (ko) 2005-08-24
US7547462B2 (en) 2009-06-16
CN100502088C (zh) 2009-06-17
US20050186330A1 (en) 2005-08-25
JP2005235741A (ja) 2005-09-02
CN1658717A (zh) 200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096B1 (ko)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635056B1 (ko)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113946B1 (ko) 유기 디바이스 상의 비공통 캡핑 층
KR10082351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527187B1 (ko) 고효율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7538485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0875097B1 (ko) 광학 공진 효과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CN100565970C (zh) 有机电致发光装置制造方法及有机电致发光装置
KR20050052648A (ko)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레이저 열전사용 도너 필름
KR20060109840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7327081B2 (en) Stacke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N112909196B (zh)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US11264582B2 (en) Light emitting device
KR100762686B1 (ko)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87452B1 (ko) 유기 발광 표시소자
KR10139426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7303850B2 (en) Method of fabricat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WO2023012877A1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523538B1 (ko) 유기 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955690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유기 발광층 형성방법
CN115207241A (zh) 封装结构及显示面板
KR20010029056A (ko) 풀칼라 유기 전기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JPH11202794A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