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1410B1 - 연성이 높은 박강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성이 높은 박강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1410B1
KR100711410B1 KR1020050115528A KR20050115528A KR100711410B1 KR 100711410 B1 KR100711410 B1 KR 100711410B1 KR 1020050115528 A KR1020050115528 A KR 1020050115528A KR 20050115528 A KR20050115528 A KR 20050115528A KR 100711410 B1 KR100711410 B1 KR 100711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o
less
steel
slag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5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5492A (ko
Inventor
세이 키무라
타카미츠 나카수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060065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4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075Treating in a ladle furnace, e.g. up-/reheating of molten steel within the ladl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64Dephosphorising; Desulfur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76Use of slags or fluxes as treat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10Handling in a vacu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과제)
특히 구멍확대성을 대표하는 연성이 양호한 박강판, 및 이러한 박강판을 얻기 위한 유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박강판은 C: 0.04 ~ 0.25%, Si: 0.05 ~ 3%, Mn: 0.1 ~ 3%, Al: 0.01 ~ 2%, P: 0.02%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를 각각 함유함과 아울러, S: 0.005% 이하(0%를 포함함)로 억제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불순물로 이루어지는 박강판으로서, CaO, Al2O3, SiO2 및 MgO의 산화물의 합계를 100%로 하였을 때, CaO : 5% 이상, SiO2: 0.1% 이상이고, 또한 긴 직경 30㎛ 이상인 CaO-Al2O3계 개재물이 강재 1kg당 70개 이하이다.

Description

연성이 높은 박강판 및 그 제조방법{Highly Ductile Stee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기술분야)
본 발명은 구멍확대성(high bore expandability)으로 대표되는 연성이 높은 박강판(냉연강판) 및 이와 같이 연성이 높은 강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자동차의 차체프레임(body frames of automobiles)용 박강판은 구멍확대성으로 대표되는 높은 고 연성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박강판에 있어 이와 같은 연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서, Al2O3계(산화물계)와 MnS계(황화물계)와 같은 개재물이 있어 악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점에서 박강판에서의 우수한 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이들 개재물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강판의 연성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서 예컨데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 2000-144230호 및 2002-327239호에서는 알루미나 클러스터 개재물(Alumina clusters)의 갯수를 줄이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 2000-1736호에는 소정의 화학성분을 갖고, 입경 1~50㎛의 산화물계 개재물이 TiO2, CaO, 희토류 금속(REM) 산화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 함유하므로써 변형능이 우수한 고장력강판(highly ductile, high-tension steel sheet)으로 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이들 종래 기술은, Ti을 필수성분으로 함유시키므로써 연성을 양호히 하는 강판을 기본으로 하는 것이나, 경질(硬質)의 TiN계 개재물이 생성되는 일이 있고, 이와 같은 개재물 때문에 연성이 대단히 저하하게 된다.
한편, Ti을 필수성분으로 하지 않는 냉연강판으로서, 예컨데 특허 공개공보 제 2002-212674호의 경우가 있는데, 여기에서는 Mg을 첨가하므로써 펀칭한 구멍(punched hole)의 단면에서 발생하는 크랙을 미세균일화시켜, 구멍확대성이 개선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연성이 어느정도 개선되나, 근년 요구되고 있는 정도의 연성은 달성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상황 하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특히 구멍확대성으로 대표되는 연성이 양호한 박강판 및 이 박강판을 제조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발명 박강판은 다음 화학성분 조성을 갖는다.
C : 0.04 ~ 0.25 질량% (이하 모두 질량%)
Si : 0.05 ~ 3%
Mn : 0.1 ~ 3%
Al : 0.01 ~ 2%
P : 0.02%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를 각각 함유함과 아울러,
S : 0.005% 이하(0%를 포함)로 억제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불순물로 이루어지는 박강판으로서, 여기에서 CaO, Al2O3, SiO2 및 MgO 산화물을 포함구성하는 CaO·Al2O3 개재물은 이 산화물의 합계를 100%로 하였을 때, CaO: 5% 이상, SiO2: 0.1% 이상이고, Al2O3: 60% 이상을 포함구성하며, 또한 긴 직경 30㎛ 이상인 상기 CaO-Al2O3계 개재물은 강재 1Kg당 70개 이하인 점을 요지로 한다.
한편, 본 발명 박강판의 소재인 슬라브의 제조방법은, 탈탄로에서 탈탄한 용강을 래들(ladle) 안으로 옮기고, CaO계 플럭스를 여기에 첨가함으로써 슬라그 중의 CaO, Al2O3, SiO2, MgO, MnO 및 전 Fe 량의 합계를 100%로 하였을 때, CaO: 45% 이상, 전 Fe 량: 5% 이하 및 MnO: 3% 이하인 CaO계 슬라그를 래들 내의 용강위에 형성시키고, 용강과 슬라그를 가스 교반해가면서 래들 내 용강의 S 함유량을 0.005% 이하로 탈황(脫黃)하고, 이어서 진공순환 탈가스장치에서 이 탈황된 용강을 10분 이상 순환시키거나 환류시키게 하여 제조되는 강재 슬라브(steel slab)로부터 본 발명 박강판을 제조하게 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적절히 조정된 화학성분조성에서의 CaO 개재물에 의해 탈탄로에서 탈탄된 용강을 효과적으로 탈황시키므로써 연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황화물 개재물(sulfide inclusions)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용강 내의 S 함량을 줄이고, CaO 슬라그로부터의 산화물 개재물(oxide inclusions)을 가능한 한 감소시키는데 그 요지가 있다. 고연성을 가진 강판은 이와 같이 제조되는 용강을 주조하여 만들어지는 강재 슬라브를 가공하므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박강판의 연성을 방해하고, 가공시의 크랙을 유발하는 큰 원인으로서는 각종 개재물에 있는데, 이들 개재물을 적게하는 것이 연성 향상과 깊은 관련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강재 중의 S 농도가 높으면 용강을 주조하는 냉각단계에서 MnS계 개재물이 석출되어 더욱 연성을 저해하게 된다. 그러므로, 먼저 연성이 저해되지 않도록 할 정도로 MnS 석출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자등이 검토한 바, 강중의 S 농도를 질량%로(이하 간단히 %로 표시) 적어도 0.005% 이하(0% 포함)로 하므로써, MnS의 석출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음 이 판명되었다. 연성의 개선이라는 관점에서는 강중의 S 농도는 0.004% 이하로 하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3%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강중의 S 농도를 0.005% 이하로 줄이기 위해서는, 용강 정련단계에서 탈황슬라그를 용강중에 혼입시켜서 용강탈황을 행할 필요가 있다. 탈황슬라그를 용강중에 투입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어 있지 않으나,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방법, 예컨데 내화물제 란스(refractory lance)로 가스를 용강중에 취입하므로써 슬라그와 용강을 교반하는 방법이거나 또는 래들 바닥부에 깔아둔 슬라그로부터 가스를 용강중에 취입하므로써 슬라그와 용강을 교반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때 이용되는 탈황슬라그는, CaO를 포함하는 것이 산업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예컨데, CaO 단체, CaO-CaF2계, CaO-Al2O3계, CaO-Al2O3-CaF2계 CaO-Al2O3-MgO계, CaO-Al2O3-SiO2계 슬라그(이들을 총괄하여 CaO계 슬라그라 부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CaO계 슬라그, 즉 탈황슬라그를 용강표면에 형성하기 위해, 상기 각 계를 가진 CaO계 플럭스를 첨가하게 되나, 이 슬라그 중의 CaO량, 전 Fe량 및 MnO량을 적절히 제어할 필요가 있다. 즉, 슬라그 중의 CaO, SiO2, Al2O3, MgO, MnO 및 전 Fe량(이하 "T.Fe"라 함)의 합계를 100%로 하였을때(CaO + Al2O3 + SiO2 + MgO + MnO + T.Fe = 100%), CaO 함유량을 45% 이상의 슬라그로 할 필요가 있다. 슬라그 중의 CaO 함량이 45% 미만이 되면, 효과적인 용강탈황을 기대할 수 없다. 이 CaO 량은 바람직하게는 48%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슬라그 중의 CaO 함량을 45% 이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첨가되는 CaO계 플럭스(flux)를 CaO 함유량이 적어도 50%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슬라그 중에는 전로, 전기로 등 산화정련로에서 산화정련중에 용강에 FeO와 MnO가 함유되게 되나, 슬라그 중의 T.Fe량과 MnO량이 너무 많아지면, 탈황효과가 줄어들어버리므로 이들 량도 적절히 제어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CaO + Al2O3 + SiO2 + MgO + MnO + T.Fe = 100%)로 했을 때, T.Fe량은 5.0% 이하, MnO량은 3%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슬라그 중의 T.Fe량과 MnO량에 대해서는 T.Fe량: 4% 이하, MnO량: 2%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 T.Fe량: 3% 이하, MnO량: 1% 이하로 하는 것이 권장된다.
또한, 슬라그 중의 T.Fe량과 MnO량을 상기와 같이 제어하기 위해서는, 용강에 탈황플럭스를 첨가하기 전에 산화정련로에서 정련 중 발생되어 갖고 넘어간 슬라그를 제거하거나 또는 용강이나 슬라그중 어느 한쪽 또는 모두에 Al, Si, C 등을 첨가하여 슬라그를 환원하는 방법이 채용 가능하다.
상술한 탈황처리를 행하면, MnS 개재물을 없애주게 되므로써 박강판의 연성을 저해하는 일이 없어지게 된다. 그러나 탈황슬라그에 기인하는 개재물(이하 "슬라그계 개재물"이라 함)과 래들 정련단계에서 용강과 슬라그 교반시 남는 개재물은 주조시까지 용강에, 회수율, 최종제품인 박강판의 결함으로 되어 강판의 연성을 해치는 원인이 된다.
상기와 같은 슬라그계 개재물인지 아닌지는, 다음과 같이 판단할 수 있다. 즉, 래들 슬라그는 CaO 45% 이상 함유하고, 또한 SiO2를 10% 미만을 함유한다. 이와 같은 래들 슬라그와 용강을 혼합교반하면, 래들 슬라그는 용강중에 존재하는 Al과 반응하여 CaO, Al2O3, SiO2 ,MgO 을 갖는 슬라그로, 그리고 개재물 중의 성분으로서, CaO+Al2O3+SiO2+MgO=100%로 하였을 때, CaO를 5% 이상, SiO2를 0.1% 이상 함유한 슬라그로 바꾸어주게 한다. 이와 같은 슬라그는 슬라그계 개재물로 간주된다.
본 발명은 CaO·Al2O3 개재물을 취급한다. 다시말해 이 CaO·Al2O3 개재물은 CaO, Al2O3, SiO2 그리고 MgO를 함유하고, 여기에서 CaO 5% 이상, Al2O3 60% 이상을 갖는다. 따라서, CaO·Al2O3 개재물은 CaO, Al2O3, SiO2 그리고 MgO를 함유하고, CaO 함량은 5% 이상, SiO2 함량은 0.1% 이상, Al2O3 함량은 60% 이상으로 한 것을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본 발명자등이 박강판에 존재하는 슬라그계 CaO·Al2O3 개재물이 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바, 긴 직경이 30㎛ 이상의 슬라그계 CaO·Al2O3 개재물의 존재는 연성에 영향을 미치고, 그 CaO·Al2O3 개재물의 갯수를 강판 1Kg당 70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60개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개 이하로 하면, 연성이 현저히 향상됨이 판명되었다.
슬라그계 개재물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진공순환 탈가스처리(이하 "RH처리"라 부름)를 용강탈황과 조합시키고 이 개재물을 부상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슬라그계 개재물을 부상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진공순환 탈가스장치에서 RH처리하는 시간은 적어도 10분 이상 행할 필요가 있다. 이 RH 처리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5분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분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탈황 및 RH처리한 용강을 주조하여 얻어진 강괴를 열간압연 및 냉간압연하므로써, 연성이 충분한 박강판(예컨데 판두께 1~3㎜ 정도)를 얻을 수가 있으나, 그 화학성분 조성도 적절히 조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 박강판에 있어서의 S 이외의 화학성분 범위와 그 한정이유는 다음과 같다.
C : 0.04 ~ 0.25%
연성, 특히 구멍확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C 함유량은 적을수록 좋으나, 0.04% 미만에서는 강도저하가 현저하다. 한편, C 함유량이 0.25%를 넘으면, 후술하는 Mn 함유량으로는 퍼얼라이트량이 과다하게 되고, 또한 퍼얼라이트의 층상(lamella) 간격이 넓어져서, 강도-국부연성 밸런스가 열화된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발명 대상으로 하는 박강판의 C 함유량은 0.04%~0.25%로 해야 한다. 또한 C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치는 0.05% 정도이고, 바람직한 상한치는 0.22% 정도이다.
Si : 0.05 ~ 3%
Si은 고용강화 원소로 유용하다. 이와 같은 Si의 작용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Si 함유량은 0.05%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Si 함유량이 과잉이 되면 그 효과는 과포화되어 버리고, 경제적으로도 쓸데 없는 일이 되며, 과도히 함유시키면 열간취성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에서 Si 함유량은 3%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Si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1%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이상인 것이 좋다. 또한 Si 함유량의 상한치는 2.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Mn : 0.1 ~ 3%
Mn은 오스테나이트상을 안정화시키고, 냉각과정에서 경질상의 생성을 용이하게 하므로 고강도로 하기 위해 함유된다. 그러므로 이 함유량이 너무 적어지면, 고강도를 달성하기 위한 경질상(硬質相)을 얻을 수가 없게 되므로, Mn은 0.1% 이상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Mn 함유량이 과잉으로 되면 밴드 조직이 발달하여 연성이 오히려 저하하게 되므로, 그 상한치를 3%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Mn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치는 0.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Mn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치는 2.8%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Al : 0.01 ~ 2%
Al은 용강의 탈산에 필요한 원소일 뿐 아니라, 용강중의 산소포텐샬(potential of oxygen)을 내리므로써 래들정련의 탈황을 촉진하는데 유효한 원소이다. 이러한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Al 함유량을 0.01%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0.015%,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좋다. 그러나, Al 함유량이 과잉으로 되면 그 효과가 포화하여 경제적으로 손해가 되므로, 2% 이하로 할 필요가 있고, 바람직하게는 1.5%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P : 0.02%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P는 강을 강화하는 작용을 갖지만, 취화(脆化)에 의해 연성을 저하시키므로 그 상한은 0.02%로 할 필요가 있다. 바람직한 상한은 0.015%이다. 또한, P에 의한 작용은 그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대되는데, 상기 작용을 유효히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적어도 0.003%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 기본성분 외에, Fe 및 불가피불순물(예컨데, Cr, Cu, Sn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박강판의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정도의 미량성분(예컨데, 0.01~0.05% 정도의 Mo, V, Nb 등)의 함유도 허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본래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니므로, 전·후기의 취지에 적합한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을 가하여 실시하는 것은 물론 가능하며, 그것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전로에서 탈탄한 250톤의 용강을 래들에 출강(出鋼)하여 래들정련장치에서 각종 합금철을 첨가하므로써 소정의 화학성분으로 조정함과 동시에 탈황을 행한다. 래들정련에서의 탈황슬라그의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 때, 용강의 교반은 Ar가스를 랜스로부터 용강중에 불어넣어 행하였다. 성분조정과 탈황처리를 마친 래들을 진공탈가스장치로 이송하고, 여기에서 용강환류시켜 RH처리를 행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해서 래들정련을 행하지 않은 것(표 1의 No. 3, 4)과 RH처리를 행하지 않은 용강(표 1의 No. 5, 6)에 대해서도 준비하였다.
Figure 112006085017494-pat00003
RH처리를 끝낸 용강은 연속주조에 의해 슬라브(slab)로 주조하고, 얻어진 이 슬라브를 열간압연하여 두께: 3~4mm의 열연강판으로 하였다. 이어서, 열연강판을 냉간압연하여 두께 2~3mm의 냉연강판으로 하였다.
얻어진 각 냉연강판에 대하여 구멍확대 시험편을 채취하고, 하기의 방법에 따라 구멍확대성을 평가함과 아울러, 강판중의 CaO-Al2O3계 개재물의 갯수를 하기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구멍확대성]
구멍확대 시험편에 타발가공을 행하여 얻어진 펀칭구멍에 대하여 구멍확대 시험을 행하고, 얻어진 펀칭구멍(직경 D0=10mmΦ)에 정각 60°의 원추펀치를 끼워넣어 구멍을 눌러 넓히고, 구멍 주위에 생긴 크랙이 판두께를 관통했을 때의 직경 D1을 측정하고, 하기식에 따라 한계구멍확대율 λ(%)를 구하였다. 이 한계구멍확대율 λ(%)가 큰 값을 나타낼수록 연성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λ(%) = [ (D1-D0) / D0 ] × 100
여기에서 D0는 구멍의 최초직경, D1은 확대된 구멍직경.
[CaO-Al2O3계 개재물의 갯수]
냉연강판중의 개재물은 특개평 2002-340885 에 개시된 방법으로 추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냉연강판에 강판중의 탄화물을 소실시키기 위해 1000℃, 30분간 유지한 후 수냉을 행하는 용체화처리를 행하고, 이 냉연강판에서 각각의 시료 1kg(3.2mm×100mm×50mm의 시료 8매)를 채취하였다. 이 시료를 pH 6.0으로 조정한 전해액으로서 염화 제 1 철수용액에 침지시켜서 정전류전해법으로 철 마트릭스 1kg분을 용해한 후, 구멍경 27㎛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CaO 함유개재물을 함유한 잔사(殘渣)를 얻었다. 얻은 잔사를 이용하여 피장분산형 X선 스펙트로미터(SEM·WDS) 장치로 CaO + SiO2 + Al2O3 + MgO = 100% 로 하였을 때, CaO: 5% 이상, SiO2: 0.1% 이상, Al2O3 60% 이상을 함유하고, 또한 직경: 30㎛ 이상의 CaO-Al2O3계 개재물의 갯수를 구하였다.
그 결과를 강판의 화학성분조성과 함께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69916303-pat00002
표 2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이 고찰할 수 있다. 우선, 시험편 No. 9~12의 것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요건 전체를 만족하는 것으로, 이 시험편 시험번호 No. 9 ~ No. 12의 경우에는 CaO-Al2O3계 개재물의 갯수가 비교적 적고, 뛰어난 구멍확대성을 달성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시험편 No. 1~8의 것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요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빠져 있는 것으로, 양호한 구멍확대성을 얻을 수 없었다. 시험편 No.1~5의 것은 RH처리시간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내에 있고, CaO-Al2O3계 개재물 갯수도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내로 되어 있지만, 래들정련에서의 탈황슬라그 조성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요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던가(시험편 No. 1~3), 혹은 래들정련을 실시하지 않아서(시험편 No. 4, 5), 강판중의 S 함유량이 많아져서 양호한 연성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시험편 No. 6~8의 것은 래들정련에서의 탈황슬라그 조성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요건을 만족하고, 강판중의 S 함유량은 0.005% 이하로 되어 있지만, 래들정련에 이은 RH처리를 실시하지 않았던가(시험편 No. 6, 7), 혹은 RH처리에서의 처리시간이 10분을 채우지 못해서(시험편 No. 8) CaO-Al2O3계 개재물의 갯수가 70개/kg을 넘어버려, 구멍확대성이 열화되었다.
본 발명을 어떠한 수치를 예로 들어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였는데, 분명한 것은 여기에 여러가지 가능한 변화를 가하여 변형시킬 수 있겠지만, 그러나 이러한 가능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범위와 본 발명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음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탈탄로에서 탈탄한 용강을 성분을 적절히 조정한 CaO계 슬라그로 효과적으로 탈황하므로써, S 농도를 유효히 감소시켜 황화물계 개재물의 생성을 억제함과 아울러, 진공순환 탈가스장치와의 조합으로, 연성을 저해하는 CaO계 슬라그로 인한 산화물계 개재물을 극력 감소시킨 용강이 제조 가능하므로, 이와 같이 한 용강으로부터 주조할 수 있게 된 강괴로부터 연성이 충분한 박강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C : 0.04 ~ 0.25% (질량%, 이하 동일),
    Si : 0.05 ~ 3%,
    Mn : 0.1 ~ 3%,
    Al : 0.01 ~ 2%,
    P : 0.02% 이하 (0%를 포함하지 않음)
    를 각각 함유하고, 아울러 S : 0.005% 이하(0%를 포함)로 억제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불순물로 되는 박강판으로서,
    CaO, Al2O3, SiO2 및 MgO의 산화물 개재물을 함유하고, 또한 이들 산화물의 합계를 100%로 하였을 때, CaO : 5% 이상, SiO2: 0.1% 이상, Al2O3: 60% 이상이고, 또한 긴 직경 30㎛ 이상인 상기 CaO-Al2O3계 개재물이 강재 1kg당 70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이 충분한 박강판(A steel sheet).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의 함량은 0.003% 이하(0% 포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강판.
  3. 상기 청구항 1항에 기재된 박강판을 얻기 위한 강재 슬라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탈탄로에서 탈탄한 용강을 래들 내로 옮긴 후, CaO계 플럭스를 첨가함으로써 슬라그 중의 CaO, Al2O3, SiO2, MgO, MnO 및 전 Fe(T·Fe) 량의 합계를 100%로 하였을 때, CaO: 45% 이상이고, 전 Fe 량: 5% 이하 및 MnO: 3% 이하인 CaO계 슬라그를 래들내 용강위에 형성시키는 단계와;
    용강과 슬라그를 가스교반해가면서 래들내 용강의 S 함유량을 0.005% 이하로 탈황하는 단계와;
    이어서 진공순환 탈가스장치에서 용강을 10분 이상 환류하는 단계와;
    진공순환 탈가스장치에서 교반된 용강으로 강재 슬라브(steel slab)를 주조하는 단계;
    의 제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이 충분한 박강판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CaO계 슬라그는 CaO를 50%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이 충분한 박강판의 제조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CaO계 슬라그는 2% 이하의 MnO와, 3% 이하의 총 Fe(T·Fe)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이 충분한 박강판의 제조방법.
KR1020050115528A 2004-12-09 2005-11-30 연성이 높은 박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711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57161 2004-12-09
JPJP-P-2004-00357161 2004-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492A KR20060065492A (ko) 2006-06-14
KR100711410B1 true KR100711410B1 (ko) 2007-04-30

Family

ID=35521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528A KR100711410B1 (ko) 2004-12-09 2005-11-30 연성이 높은 박강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123949A1 (ko)
EP (1) EP1669471B1 (ko)
KR (1) KR100711410B1 (ko)
CN (1) CN100378242C (ko)
DE (1) DE602005003430T2 (ko)
TW (1) TWI2740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3977B2 (en) * 2011-01-14 2013-09-03 Nucor Corporation Method of desulfurizing steel
EP2695953B1 (en) * 2011-03-31 2019-08-14 Hitachi Metals, Ltd. Method for adding zinc to molten steel and process for producing zinc-containing steel
US9708676B2 (en) * 2012-03-13 2017-07-18 Fuping Tang Method for preparing low-cost clean steel
CN103725963B (zh) * 2014-01-29 2017-07-11 中车齐齐哈尔车辆有限公司 一种用于铸造焊接型转向架中铸钢件的金属合金及钢铸件
CN109554605B (zh) * 2017-09-27 2021-06-15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ld-rh工艺生产超低碳钢的氧化物夹杂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8136A (ja) * 1998-06-19 2000-01-11 Kawasaki Steel Corp 伸びフランジ性、耐遅れ破壊特性に優れる高強度鋼板
JP2002212674A (ja) * 2001-01-19 2002-07-31 Nippon Steel Corp 穴拡げ性と延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7110A (ja) * 1996-02-14 1997-08-19 Sumitomo Metal Ind Ltd 超低硫鋼の溶製方法
US6100971A (en) * 1997-04-28 2000-08-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urface inspection tool
JP2000034542A (ja) * 1998-07-16 2000-02-02 Sumitomo Metal Ind Ltd 冷間加工性と熱処理後の疲労寿命に優れた高炭素鋼帯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92797B2 (ja) * 1998-10-01 2005-09-0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表面性状が良好で製缶の安定性に優れる缶用鋼板
JP3896709B2 (ja) * 1998-10-30 2007-03-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清浄度鋼の溶製方法
JP3462779B2 (ja) * 1999-02-18 2003-11-0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介在物性欠陥が少ない圧延鋼材
EP1029938A3 (en) * 1999-02-18 2003-10-15 Nippon Steel Corporation Rolled steel having few inclusion defects
JP2001279373A (ja) * 2000-03-30 2001-10-10 Nippon Steel Corp 介在物性欠陥の少ない缶用冷延鋼板
JP3640167B2 (ja) * 2000-12-07 2005-04-2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清浄度鋼の製造方法
JP2002340885A (ja) * 2001-05-16 2002-11-27 Kobe Steel Ltd 鋼中のCaO含有介在物の分析方法
CN1151287C (zh) * 2001-07-05 2004-05-26 北京科技大学 钢桶精炼炉深脱硫渣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8136A (ja) * 1998-06-19 2000-01-11 Kawasaki Steel Corp 伸びフランジ性、耐遅れ破壊特性に優れる高強度鋼板
JP2002212674A (ja) * 2001-01-19 2002-07-31 Nippon Steel Corp 穴拡げ性と延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86244A (zh) 2006-06-14
TWI274077B (en) 2007-02-21
DE602005003430T2 (de) 2008-09-25
DE602005003430D1 (de) 2008-01-03
KR20060065492A (ko) 2006-06-14
TW200632103A (en) 2006-09-16
EP1669471A1 (en) 2006-06-14
US20060123949A1 (en) 2006-06-15
CN100378242C (zh) 2008-04-02
EP1669471B1 (en) 200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515541A (ja) 磁気特性に優れた無方向性電磁鋼板及びそのカルシウム処理方法
KR100711410B1 (ko) 연성이 높은 박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15917013A (zh) 金属箔用不锈钢、不锈钢箔及其制造方法
KR100675709B1 (ko) 미세하게 분산된 개재물을 갖는 강
CN115244199B (zh) 不锈钢、不锈钢钢材及不锈钢的制造方法
US20120261085A1 (en) Extremely low carbon steel plate excellent in surface characteristics, workability, and formability and a method of producing extremely low carbon cast slab
JP2021123773A (ja) 表面性状に優れたNi−Cr−Al−Fe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10787B2 (ja) 磁気特性に優れたFe−Ni系パーマロイ合金の製造方法
JP4593313B2 (ja) 熱間加工性に優れるFe−Ni系磁性合金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02944B2 (ja) 延性に富む薄鋼板および該鋼板を得るための鋼塊の製造方法
JP4107801B2 (ja) 磁気特性に優れたFe−Ni系パーマロイ合金の製造方法
JP2008266706A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連続鋳造スラブの製造法
JP3825570B2 (ja) 加工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鋳片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26445B2 (ja) 表面性状およびエッチング加工性に優れた低熱膨張高剛性シャドウマスク用Fe−Ni系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179710A (ja) 歪取焼鈍後の磁気特性に優れた無方向性電磁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6989000B2 (ja) 無方向性電磁鋼板の素材となるスラブ鋳片の製造方法
JP5215327B2 (ja) 磁気特性に優れたFe−Ni系パーマロイ合金の製造方法
JP7047818B2 (ja) 溶鋼の精錬方法
JP2001011528A (ja) 耐水素誘起割れ性に優れた鋼の溶製法
JP2006097110A (ja) 表面性状および内質に優れる薄鋼板および鋳片とその製造方法
JP3247154B2 (ja) 磁気特性に優れた無方向性電磁鋼板の溶製方法
JP3840096B2 (ja) 耐錆性に優れた低熱膨張性シャドウマスク用Fe−Ni系合金の製造方法
JP2006137975A (ja) 鉄損に優れた無方向性電磁鋼板ならびに無方向性電磁鋼板用溶鋼の取鍋精錬方法
JPH10212555A (ja) 磁気特性に優れた無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00158746A1 (en) Extremely Low Carbon Steel Plate Excellent in Surface Characteristics, Workability, and Formability and a Method of Producing Extremely Low Carbon Cast Sla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