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299B1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multi pictur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multi pi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299B1
KR100710299B1 KR1020050026042A KR20050026042A KR100710299B1 KR 100710299 B1 KR100710299 B1 KR 100710299B1 KR 1020050026042 A KR1020050026042 A KR 1020050026042A KR 20050026042 A KR20050026042 A KR 20050026042A KR 100710299 B1 KR100710299 B1 KR 100710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ub
area
channel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0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04145A (en
Inventor
이인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6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299B1/en
Publication of KR20060104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1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2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Abstract

본 발명은 타 채널에 따른 영상중 시청자가 원하는 특정 영역의 정보만을 제공함과 동시에 부화면에 의한 주화면의 시청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티브이의 다중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두 개 이상의 튜너,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선택된 영상신호를 편집하여 주/부화면으로 구성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영상처리부의 출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그리고 현재 부화면으로 선택된 채널에 설정된 부화면 지정 영역을 판단하고 부화면 채널에 따른 영상중 상기 판단된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이 부화면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스위칭부 및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티브이의 다중화면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부화면 본연의 기능을 강화하여 사용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고, 시청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화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V multi-screen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for minimizing viewing interference of a main screen by a sub-screen while providing only information of a specific area desired by a viewer among images according to other channe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or more tuners, a switching unit, an image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edit a video signal selected by the switching unit and configured as a main / sub picture, a display unit displaying an output of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a channel selected as the current sub pictur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unit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to determine a sub-screen designation area set in the sub-screen channel and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area of the image according to the sub-screen channel. Provide the device. Therefore, by enhancing the inherent function of the sub-screen can increase the ease of use, minimize the interference of viewing, and can prevent the degradation of the image quality.

부화면/영역/채널/장르 Subscreen / Area / Channel / Genre

Description

티브이의 다중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multi picture}TV multi-screen display and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multi picture}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티브이의 다중화면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multi-screen display example of a TV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의 다중화면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ulti-screen display of the TV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의 다중화면 표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ulti-screen display method of a TV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의 다중화면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4 to 6 is a view showing a multi-screen display example of a TV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

21: 제 1 튜너 22: 제 2 튜너21: first tuner 22: second tuner

23: 스위칭부 24: 영상처리부23: switching unit 24: image processing unit

25: 디스플레이부 26: 제어부25: display unit 26: control unit

본 발명은 티브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티브이의 다중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V,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screen display and a method of a TV.

일반적으로 티브이는 일부 저가형 제품을 제외하고 두 개 이상의 채널에 따른 영상 즉, 다중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In general, TVs have a function of displaying images according to two or more channels, that is, multiple screens, except for some low-cost products.

이때 다중화면은 주화면과 부화면으로 이루어진 PIP(Picture in Picture), POP(Picture out Picture), 더블 윈도우(Double Window) 등으로 불려진다. 여기서 현재 표시된 화면중 큰 화면이 주화면이고, 더블 윈도우와 같이 두 화면의 크기가 동일할 경우 음성과 매칭되는 화면이 주화면이다.In this case, the multi-screen is called a PIP (Picture in Picture), POP (Picture Out Picture), Double Window, etc., which is composed of a main screen and a sub-screen. In this case, the larger screen is the main screen and the screen matching the voice is the main screen when the two screens are the same size as the double window.

그리고 상술한 다중화면의 한 예로서 PIP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PIP is shown in FIG. 1 as an example of the above-described multi-screen.

즉, 사용자가 채널 5를 시청하는 도중, 부화면 표시모드를 '온'시키면 기설정된 채널 10에 따른 영상이 부화면으로 표시된다. 물론 부화면 채널은 사용자가 원할 경우 언제든지 다른 채널로 바꿀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turns on' the sub-screen display mode while watching the channel 5, the image according to the preset channel 10 is displayed as the sub-screen. Of course, the sub picture channel can be changed to another channel whenever the user desires.

이때 PIP, POP 및 더블 윈도우 방식에 따라 표시되는 부화면은 해당 채널의 영상을 부화면 크기에 맞도록 축소하거나 화면비율을 다르게 하여 표시한다.At this time, the sub picture displayed according to the PIP, POP, and double window methods is displayed by reducing the image of the corresponding channel to fit the sub picture size or changing the aspect ratio.

한편, 사용자가 상술한 다중화면을 이용하는 것은 대부분 주화면과 부화면을 동시에 시청하려는 것이 아니라 부화면을 통해 타 채널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is using the above-mentioned multi-screen is mostly to check the information of the other channel through the sub-screen, rather than simultaneously watching the main screen and the sub-screen.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부화면 표시방식은 부화면이 주화면의 일부 영역을 가리거나(PIP), 주화면과 부화면에 공통적으로 왜곡이 발생하므로(POP 및 더블 윈도우) 티브이 시청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sub-screen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described above prevents the TV viewing because the sub-screen covers a part of the main screen (PIP) or distortion occurs in common in the main screen and the sub-screen (POP and double window).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타 채널에 따른 영상중 시청자가 원하는 특정 영역의 정보만을 제공함과 동시에 부화면에 의한 주화면의 시청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티브이의 다중화면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only th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area desired by the viewer of the image according to the other channel and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of the main screen by the sub-screen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V multi-screen display device and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튜너,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튜너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스위칭시키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선택된 영상신호를 편집하여 주/부화면으로 구성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영상처리부의 출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그리고 현재 부화면으로 선택된 채널에 설정된 부화면 지정 영역을 판단하고 부화면 채널에 따른 영상중 상기 판단된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이 부화면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스위칭부 및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티브이의 다중화면 표시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in / sub picture by editing at least two or more tuners, a switching unit for selectively switching image signals output from the at least two or more tuners, and editing the image signals selected by the switching unit. The image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include the image processing unit, the display unit displaying the output of the image processing unit, and the sub-screen designation area set in the channel selected as the current sub-screen are determined. Provided is a multi-screen display of a TV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unit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화면 표시모드가 '온'되면 부화면 영역이 지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영역이 지정되어 있으면, 영역지정 구분항목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부화면 채널에 따른 영상중 상기 판단된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을 부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티브이의 다중화면 표시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a sub-screen area is designated when the sub-screen display mode is 'on', and if the sub-screen display area is designated, determining an area designation category and determining an area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V multi-screen display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and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region of the image according to the sub-screen channel as a sub-screen.

따라서 원래의 위치에 원래의 크기로 시청자가 원하는 특정 영역의 정보만으로 이루어진 부화면을 제공하므로 부화면 본연의 기능을 강화하여 사용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크기로 특정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므로 주화면의 시청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부화면을 주화면에 중첩시켜 표시하므로 화면왜곡을 방지하여 부화면으로 인한 화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since it provides a sub-screen consisting of information of a specific area desired by the viewer at its original size at the original position, it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by reinforcing the sub-screen's original function. In addition, since the specific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in a desired size at a desired position,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viewing interference of the main screen. In addition, since the sub-screen is superimposed on the main screen, the screen distortion is prevented, thereby reducing the image quality caused by the sub-screen.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의 다중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 and 6, an embodiment of a TV multi-screen display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의 다중화면 표시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튜너(21), 제 2 튜너(22), 스위칭부(23), 영상처리부(24), 디스플레이부(25), 그리고 제어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multi-screen display device of the TV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uner 21, a second tuner 22, a switching unit 23, an image processing unit 24, and a display unit 25. And a control unit 26.

상기 제 1 튜너(21) 및 제 2 튜너(22)는 주화면과 부화면용 채널의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두 개의 튜너를 구성한 것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구현하고자 하는 부화면의 수에 따라 두 개 이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first tuner 21 and the second tuner 22 are configured to receive video signals of a main screen and a sub-screen channel. In this case, two tuners are configured as one embodiment, and two or more tuners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sub-screens to be implemented.

상기 스위칭부(23)는 외부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 튜너(21) 및 제 2 튜너(22)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영상처리부(24)로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switching unit 23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receive image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tuner 21 and the second tuner 22 according to external control, and output the image signals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24.

상기 영상처리부(24)는 스위칭부(23)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를 외부 제어에 따라 편집하여 주/부화면으로 구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영상처리부(24)는 스케일러를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부화면 채널에 따른 전체 영상의 일부를 부화면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or 24 is configured to edit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ing unit 23 according to external control and configure the main / sub picture. In this case, the image processor 24 may include a scaler and may configure a part of the entire image according to the sub-screen channel as a sub-screen by using the scaler.

상기 디스플레이부(25)는 상기 영상처리부(24)의 출력을 화면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CRT, LCD 또는 PDP 등이 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5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output of the image processor 24 on the screen, and may be a CRT, LCD, or PDP.

상기 제어부(26)는 현재 부화면으로 선택된 채널에 설정된 부화면 지정 영역을 판단하고 부화면 채널에 따른 영상중 상기 판단된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이 부화면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스위칭부(23) 및 영상처리부(24)를 제어하는 구성이다.The control unit 26 determines the sub-screen designation area set in the channel currently selected as the sub-screen, and the switching unit 23 and the image so that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area among the images according to the sub-screen channel is displayed as the sub-screen. It is a structure which controls the process part 24. FIG.

이때 제어부(26)는 부화면 지정 영역 관련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한다. 또한 부화면 지정 영역 관련정보는 영역지정 구분항목(채널/장르/사용자), 부화면 지정을 위한 사용자 메뉴정보, 그리고 상술한 사용자 메뉴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26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sub-screen designation region related information. In addition, the sub-screen designation area related information includes a region designation division item (channel / genre / user), user menu information for sub-screen designation, and a program for driving the user menu described abov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의 다중화면 표시방법을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본 발명의 방법은 도 1의 장치에 의해 구현가능하므로 도 1의 구성 또한 참조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ulti-screen display method of a TV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At this time,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the apparatus of FIG.

먼저, 제어부(26)는 부화면 표시모드가 '온'되었는지 판단한다(S31).First, the controller 26 determines whether the sub-screen display mode is 'on' (S31).

이때 부화면 표시모드의 '온/오프'는 사용자가 리모컨에 구비된 부화면 키를 누름에 따라 절환시킬 수 있다. 또한 부화면 채널은 티브이 동작초기에는 소정 채널이 기 설정되어 있으며, 추후에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로 변경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on / off' of the sub-screen display mode can be switched as the user presses the sub-screen key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In addition, the sub-screen channel is a predetermined channel at the beginning of the TV operation, it can be changed later to the channel desired by the user.

이어서 제어부(26)는 상기 판단결과(S31), 부화면 표시모드가 '온'되어 있으면, 부화면 영역이 지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32).Subsequently, if the subscreen display mode is 'on', the controller 26 determines whether a subscreen area is designated (S32).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S32), 부화면 영역이 지정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가 부화면 영역을 지정할 수 있도록 도 4와 같이 부화면 예정영역을 표시한다(S33).If the sub-screen area is not designated as the determination result (S32), the sub-screen scheduled area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4 so that the user can designate the sub-screen area (S33).

이때 부화면 예정영역은 화면의 상/하/좌/우에 바(bar) 형태로 표시되며, 사용자가 그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식별기호(예를 들어, 숫자)와 함께 표 시된다. 상기 바 형태는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시청이 가능하도록 OSD를 이용하여 테두리만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ub screen scheduled area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bar at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of the screen, and is displayed with an identifier (for example, a number) so that the user can select one or more of them. In the bar form, it is preferable to display only an edge using an OSD so that an image viewed on a current screen can be viewed.

한편, 상/하/좌/우 모두에 부화면 예정영역을 표시하는 것은 하나의 실시예로, 관련 프로그램 설계에 따라 그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displaying the sub-screen scheduled area on all of the top / bottom / left / right is on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ively display some of them according to the associated program design.

이어서 사용자는 상기 도 4의 화면을 보고, 리모컨의 키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부화면 영역을 선택하고, 영역지정 구분항목을 선택한다(S34).Subsequently, the user views the screen of FIG. 4, selects a desired sub-screen area by using keys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selects an area designation category (S34).

이때 영역지정 구분항목은 채널, 장르(genre) 및 사용자로 구분될 수 있으며, 3가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rea designation category may be classified into a channel, a genre, and a user, and at least one of three types may be selected.

상기 영역지정 구분항목 중 '채널'을 선택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시청자가 특정 채널의 방송을 시청하다가 부화면 표시 모드를 '온'시키고 도 4와 같은 화면에서 ① ~ ④ 중 하나를 선택한 후 영역지정 구분항목으로 '채널', '장르' 또는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다.A case of selecting 'channel' among the area designation division items will be described below. That is, when the viewer watches the broadcasting of a specific channel, the sub-screen display mode is 'on' and the user selects one of ① ~ ④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4 and then selects 'channel', 'genre' or 'user' as the area designation category. Can be selected.

이후 부화면 표시 모드를 '온'시키면 자동으로 영역지정 구분항목을 판단하고 '채널'일 경우 부화면 채널번호에 기억된 영역을 판단하고, '장르'일 경우 부화면 채널에 해당하는 장르에 기억된 영역을 판단하며, '사용자'일 경우 채널 또는 장르와 상관없이 사용자가 지정한 영역을 판단하여, 부화면 채널의 전체 영상중 상기 판단된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이 부화면으로 표시된다.Subsequently, when the sub screen display mode is 'on', the area designation category is automatically determined.In case of 'channel', the area stored in the sub screen channel number is judged.In case of 'genre', the sub screen display mode is memorized. In the case of 'user', the user-specified area is determined regardless of the channel or genre, and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area is displayed as the sub-screen among the entire images of the sub-screen channel.

예를 들면, 'YTN'과 같은 뉴스 전문 채널(예를 들어, 15)의 경우, 영상과 함께 화면의 하단에 뉴스에 관련된 문자정보가 계속 표시된다. 따라서 시청자는 뉴스에 관련된 문자정보의 시청을 원할 경우 도 4와 같은 화면에서 '③'을 선택한 후 영역지정 구분항목 중 하나 즉, '채널', '장르' 또는 '사용자'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다. 이때 영역지정 구분항목 선택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 가능하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news specialty channel (eg, 15) such as 'YTN', text information related to news is continuously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together with an image. Therefore, when the viewer wants to view the text information related to the news, he selects '③'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4 and then selects one of the area designation categories, namely, 'channel', 'genre' or 'user'. . At this time, the area designation can be fre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또 다른 예로서, 쇼핑관련 방송 프로그램의 경우, 제품 홍보영상과 함께 화면의 우측 또는 좌측에 해당 제품에 관한 문자정보가 계속 표시된다. 따라서 시청자는 쇼핑에 관련된 문자정보의 시청을 원할 경우 도 4와 같은 화면에서 ② 또는 ④를 선택한 후 영역지정 구분항목 중 하나 즉, '채널', '장르' 또는 '사용자'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다.As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a shopping-related broadcast program, text information regarding the corresponding product is continuously displayed on the right or left side of the screen together with the product promotion image. Therefore, when the viewer wants to watch the text information related to shopping, he selects ② or ④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4 and then selects one of the area designation categories, namely, 'channel', 'genre' or 'user'. .

그 이외에도 축구, 야구, 농구 등의 스포츠 중계방송의 경우에도, 현재 스코어 등에 관련된 정보를 특정 위치에 계속 표시하므로 자신이 원하는 정보의 시청을 원할 경우, 상술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영역 및 영역지정 구분항목을 선택하면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sports broadcasting such as soccer, baseball, basketball, etc., information related to the current score is continuously displayed at a specific position. Select.

한편, 상술한 부화면 영역 지정은 별도의 사용자 메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 메뉴 중 부화면 관련메뉴에 도 4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그래픽을 구성하고, 영역과 영역지정 구분항목을 입력하거나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ub-screen area designation described above may use a separate user menu. That is, a graphic identical or similar to that of FIG. 4 is configured in the sub-screen related menu among the user menus, and an area and an area designation division item can be input or selected and set.

한편, 상기 판단결과(S32), 영역이 지정되어 있으면, 영역지정 구분항목을 판단한다(S35).On the other hand, if the area is designated in the determination result (S32), the area designation category is determined (S35).

이어서 상기 판단결과(S35), 영역지정 구분항목이 '채널'이면 부화면 채널에 따른 영역을 판단한다(S36). 즉, 기설정된 채널번호별 부화면 영역 중에서 현재 채 널번호와 동일한 채널번호에 설정된 부화면 영역을 판단한다.Subsequently, if the region designation category is 'channel', the region according to the sub-screen channel is determined (S36). That is, the subscreen area set to the same channel number as the current channel number is determined from among the preset subscreen areas for each channel number.

한편, 상기 판단결과(S35), 영역지정 구분항목이 '장르'이면 부화면 채널의 장르에 따른 영역을 판단한다(S37). 즉, 기설정된 장르별 부화면 영역 중에서 현재 채널의 장르와 동일한 장르에 설정된 부화면 영역을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S35), if the region designation category is 'genre', the region according to the genre of the sub-screen channel is determined (S37). That is, the sub-screen area set in the same genre of the current channel genre among the preset genre sub-screen areas is determined.

한편, 상기 판단결과(S35), 영역지정 구분항목이 '사용자'이면 사용자에 따른 영역을 판단한다(S38). 즉,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부화면 영역을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S35), the area designation category is 'user', the area according to the user is determined (S38). In other words, the sub-screen area set by the user is determined.

그리고 부화면 채널의 영상 중 상기 단계(S36, S37, S38)에서 판단된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을 부화면으로 표시한다(S39).In operation S39, an image corresponding to an area determined in the steps S36, S37, and S38 of the sub-screen channel is displayed as a sub-screen.

이때 영역지정 구분항목이 '채널'이고, 현재 주화면으로 '10'번 채널을 시청하고, 부화면으로 '15'번이 선택된 상태이며, '15'번 채널에 영역 ③이 지정된 상태에서 상술한 단계(S39)까지의 진행과정의 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t this time, the area designation category is 'channel', the current channel is watched channel '10', '15' is selected as the sub-screen, and the area ③ is assigned to channel '15'. An example of the process up to step S39 is described below.

먼저, 제어부(26)는 제 1 튜너(21)를 통해 '10'번 채널의 영상신호가 수신되도록 하고 스위칭부(23) 및 영상처리부(24)를 제어하여 화면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First, the controller 26 allows the image signal of channel '10' to be received through the first tuner 21 and controls the switching unit 23 and the image processor 24 to display the screen.

한편, 제어부(26)는 사용자의 부화면 표시모드 '온'명령이 인식되면 부화면으로 선택된 채널번호 '15(예를 들어, 뉴스채널)'에 설정된 영역 ③(하단의 뉴스관련 문자정보 표시영역)을 판단하고 제 2 튜너(22)를 통해 '15'번 채널의 영상신호가 수신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26)는 상기 ③번 영역에 해당하는 주사(Scan) 구간에 스위칭부(23)를 제어하여 상기 '15'번 채널의 영상신호가 영상처리부(24)로 입력되도록 한다. 이어서 제어부(26)는 상기 영상처리부(24)로 입력되는 영상신호 중 상기 ③번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신호가 영상처리부(24) 내부의 스케일러를 통해 추출되어 영상이 구성되고 디스플레이부(25)를 통해 도 5와 같이 부화면으로 표시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s sub-screen display mode 'on' command is recognized, the control unit 26 sets the area set to the channel number '15 (for example, the news channel) selected as the sub-screen ③ (the lower news related character information display area). ) And receive the video signal of channel '15' through the second tuner 22. In addition, the controller 26 controls the switching unit 23 in the scan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③ area so that the image signal of the '15' channel is input to the image processor 24. Subsequently, the controller 26 extracts an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rea ③ of the image signals input to the image processor 24 through a scaler inside the image processor 24 to compose an image and to display the display unit 25. Through the sub-screen as shown in FIG.

물론, 상기 단계(S36 ~ S38)에서 부화면 영역이 ②번 영역인 경우에도 도 6과 같은 화면표시가 이루어지며, 그 세부과정은 상술한 설명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Of course, the screen display as shown in FIG. 6 is performed even when the sub-screen area is the area ② in steps S36 to S38, and the detailed process is performed through the same process as described above.

즉, 본 발명은 부화면 채널의 전체 영상을 축소하여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영상중 일부 영역의 영상만을 원래의 크기 그대로 원래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duce and display the entire image of the sub-screen channel, but may display only the image of a part of the entire image at the same position as the original position in its original size.

한편, 제어부(26)는 부화면이 선택된 상태에서 방향키(△▽◁▷)가 입력되는지 판단하고(S40), 방향키가 입력되면 그 키 입력에 맞도록 도 5 또는 도 6과 같이, 부화면의 크기를 조정한다(S41).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26 determines whether the direction key (△ ▽ 입력 ▷) is input in the state that the sub-screen is selected (S40), and when the direction key is input, as shown in Fig. 5 or 6 to match the key input, Adjust the size (S41).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s can be seen in the appended claim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의 다중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s of the multi-screen display and method of the TV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첫째, 원래의 위치에 원래의 크기로 시청자가 원하는 특정 영역의 정보만으 로 이루어진 부화면을 제공하므로 부화면 본연의 기능을 강화하여 사용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First, since it provides a sub-screen consisting of only the information of a specific area desired by the viewer in its original size at the original pos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sub-screen by enhancing its original function.

둘째,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크기로 특정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므로 주화면의 시청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Second, since the specific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in a desired size at a desired position, the interference of the main screen can be minimized.

셋째, 부화면을 주화면에 중첩시켜 표시하므로 화면왜곡을 방지하여 부화면으로 인한 화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Third, because the sub-screen is superimposed and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the screen distortion can be prevented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due to the sub-screen.

Claims (15)

두 개 이상의 튜너와;Two or more tuners; 상기 튜너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스위칭시키는 스위칭부와;A switching unit for selectively switching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상기 영상신호의 부화면 제공에 따른 부화면 지정 영역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A memory unit for storing sub-screen designation area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sub-screens of the video signal;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선택된 영상신호를 편집하여 주/부화면으로 구성하는 영상처리부와;An image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edit a video signal selected by the switching unit and configure a main / sub picture;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제공된 영상신호를 주/부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 video signal provided by the image processor as a main / sub picture; And 상기 영상신호 중 상기 부화면으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상기 메모리부에 설정된 부화면 지정 영역 정보에 따라 해당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티브이의 다중화면 표시장치.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video signal output to the sub screen among the video signals to be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area according to the sub screen designation area information set in the memory uni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부화면 지정 영역 정보는 채널별, 장르별, 사용자별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다중화면 표시장치.The sub-screen designation area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is divided into channels, genres, and users. 삭제delete 티브이의 다중화면 표시방법에 있어서,In the multi-screen display method of the TV, 상기 티브이로 입력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Receiving the video signal input through the TV; 상기 영상신호에 따른 부화면 표시 모드가 '온'되면, 부화면 영역이 지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Determining whether a sub-screen area is designated when the sub-screen display mode according to the video signal is 'on'; 상기 부화면 영역이 지정되어 있으면, 그에 따른 영역지정 구분항목을 판단하여 상기 영상신호를 해당 영역에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If the sub-screen area is designated, determining a corresponding region designation category and displaying the video signal as a sub-screen in the corresponding area; And 상기 부화면 영역이 지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부화면 영역을 지정할 수 있도록 부화면 예정 영역을 식별기호와 대응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티브이 다중화면 표시 방법If the sub-screen area is not specified, TV multi-screen display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sub-screen scheduled area to match the identification code so that the user can specify the sub-screen area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영역지정 구분항목은 채널, 장르(genre) 및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다중화면 표시방법.The region designation division item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f a channel, a genre, and a user.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영역지정 구분항목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는Determining the area designation category and determining the area accordingly 기설정된 채널별 영역정보에서 현재 부화면 채널번호에 해당하는 영역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다중화면 표시방법.And reading are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ubscreen channel number from preset area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영역지정 구분항목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는Determining the area designation category and determining the area accordingly 기설정된 장르별 영역정보에서 현재 부화면 채널의 장르에 해당하는 영역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다중화면 표시방법.And reading are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enre of the current sub-screen channel from the preset genre area information.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영역지정 구분항목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는Determining the area designation category and determining the area accordingly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영역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다중화면 표시방법.And displaying the area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user.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영상신호를 해당 영역에 부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The step of displaying the video signal in the sub-screen in the corresponding area 상기 영상신호의 전체 영상 중 상기 부화면 영역과 대응되는 일부 영역의 영상만 원래의 크기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다중화면 표시 방법.And displaying only an image of a partia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ub-screen region of the entire image of the video signal in its original size.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부화면 예정 영역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하나의 식별기호가 선택되면, 선택된 식별기호에 대응하는 해당 영역에 상기 영상신호를 부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티브이의 다중화면 표시 방법.And displaying the video signal as a sub-screen in a correspond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dentifier when the one identifier is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sub-screen scheduled areas.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상기 부화면 예정 영역은 전체 화면의 상/하/좌/우 측면 중 적어도 한 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다중화면 표시방법.The sub screen planning area is a multi-screen display method of a TV,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ntire screen.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부화면 예정영역은 바(bar) 형태로 표시되며 OSD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다중화면 표시방법.The sub screen scheduled area is displayed in a bar shape and implemented as an OS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50026042A 2005-03-29 2005-03-29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multi picture KR1007102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042A KR100710299B1 (en) 2005-03-29 2005-03-29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multi pi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042A KR100710299B1 (en) 2005-03-29 2005-03-29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multi pi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145A KR20060104145A (en) 2006-10-09
KR100710299B1 true KR100710299B1 (en) 2007-04-23

Family

ID=37634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042A KR100710299B1 (en) 2005-03-29 2005-03-29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multi pi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29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2980A (en) * 2009-12-23 201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7526A (en) * 1993-05-08 1994-12-10 이헌조 Main screen position compensation device and method
KR19980040488A (en) * 1996-11-29 1998-08-17 배순훈 Sub picture playback controller of multi-screen television
KR20000055573A (en) * 1999-02-08 2000-09-05 구자홍 Apparatus for sub-picture processing in television receiver
KR20030054017A (en) * 2001-12-24 2003-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Multi picture of TV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7526A (en) * 1993-05-08 1994-12-10 이헌조 Main screen position compensation device and method
KR19980040488A (en) * 1996-11-29 1998-08-17 배순훈 Sub picture playback controller of multi-screen television
KR20000055573A (en) * 1999-02-08 2000-09-05 구자홍 Apparatus for sub-picture processing in television receiver
KR20030054017A (en) * 2001-12-24 2003-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Multi picture of TV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2980A (en) * 2009-12-23 201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38537B1 (en) 2009-12-23 2016-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145A (en) 2006-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7122B1 (en) Method for displaying menu screen of video apparatus
KR1004781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elevision programs and associated text
KR100518874B1 (en) A digital tv and method for editing channel of the same
US5929932A (en) Program guide display controller at user terminal of television broadcasting system
US8869206B2 (en) Digital television and channel editing method thereof
US74127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hannel information and selecting channel on digital television
US7929056B2 (en) User interface with tiling of video sources, widescreen modes or calibration settings
KR2004006280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ituting mode of screen change function
US20030126602A1 (en) Method for selecting channel in digital television
GB2403369A (en) Modifying an EPG frame
KR10071029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multi picture
US200400082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obscuring a portion of a displayed image
KR101265609B1 (en)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for screen control thereof
KR10086688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in broadcasting receiver
JPH10145689A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channel
JP3966339B2 (en) Receiver
JP3686523B2 (en) Receiver
KR20100059639A (en) Method for displaying a widget and a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thereof
KR100710265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broadcast information thereof
US20090031349A1 (en) Method for selecting channels of main screen/sub-screen,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3981046B2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JP3389447B2 (en) Television receiver
KR100672435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menu thereof
KR20060080654A (en) Pip display apparatus and pip displaying method
KR100652953B1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a method for setting program looking and listening cond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