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880B1 -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in broadcasting receiver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in broadcasting recei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880B1
KR100866880B1 KR1020060063876A KR20060063876A KR100866880B1 KR 100866880 B1 KR100866880 B1 KR 100866880B1 KR 1020060063876 A KR1020060063876 A KR 1020060063876A KR 20060063876 A KR20060063876 A KR 20060063876A KR 100866880 B1 KR100866880 B1 KR 100866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ub
menu button
key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8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04934A (en
Inventor
김경진
안정희
김주연
이정현
곽창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3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880B1/en
Publication of KR20080004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9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8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화면에 적어도 복수개 이상의 독립된 영상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방송 수신기 및 화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주/부화면의 크기가 동일한 트윈픽쳐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주/부화면의 일부에 적어도 하나의 메뉴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메뉴 버튼이 선택되면 선택된 메뉴 버튼에 해당하는 기능을 바로 실행하도록 한다. 일 예로, 한번의 키나 메뉴 버튼 입력으로 주/부화면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 및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oadcast receiver and a screen control method capable of displaying at least a plurality of independent video images on one screen.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twin picture screen having the same size of the main / sub picture, displays at least one menu button on a part of the main / sub picture, and when the menu button is selected,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button. Run it right away. For example,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main / sub picture with one key or menu button input, convenience and accessibility of the user may be improved.

동시화면, 트윈픽쳐, 메뉴버튼 PIP, Twin Picture, Menu Button

Description

방송 수신기의 화면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in broadcasting receiver}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in broadcasting receiver

도 1a, 도1b는 본 발명에 따른 PIP 기능 수행시 각 화면 구성의 예를 보인 도면1A and 1B show examples of each screen configuration when performing the PIP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내지 도 2l은 본 발명에 따른 트윈픽쳐 기능 수행시 각 화면 구성의 예를 보인 도면2A to 2L illustrate examples of each screen configuration when performing the twin pictur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제어부 111,112 : 튜너100: control unit 111,112: tuner

113 : 외부 입력부 121 : 스위칭부113: external input unit 121: switching unit

131 : 주화면 처리부 132 : 부화면 처리부131: main screen processing unit 132: sub-screen processing unit

141 : 합성부 151 : OSD 처리부141: synthesizer 151: OSD processing unit

161 : 디스플레이부 171 : 리모콘161: display unit 171: remote control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화면에 복수 개 이상의 독립된 영상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방송 수신기에서의 화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oadcast receiv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creen control method in a broadcast receiver capable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video on one screen.

일반적으로 방송 수신기 예를 들면, 티브이에는 동시화면 기능이 있다. 즉, 하나의 화면을 주화면과 하나 이상의 부화면으로 분할하여 각각 독립적인 영상을 보여주는 기능으로서, 일 예로 주 화면을 통해 특정 채널의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부 화면으로 다른 채널 또는 외부 영상기기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며, 채널 탐색 기능으로 다른 채널의 방송 내용을 탐색할 수 있다. In general, a broadcast receiver, for example, a TV has a simultaneous picture function. That is, a screen is divided into a main screen and one or more sub-screens to show independent images. For example, a sub-screen is inputted from another channel or an external video device while watching a program of a specific channel through the main screen. You can watch the video, and the channel search function can search for broadcast contents of other channels.

상기 동시화면 기능으로는 PIP(Picture In Picture), POP(Picture Out Picture), 트윈 픽쳐(또는 더블 윈도우) 등이 있다. 상기 PIP는 주화면 내에 하나 이상의 부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말하고, POP는 주화면의 좌측(또는 우측)에 하나 이상의 부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말한다. The simultaneous picture function includes a picture in picture (PIP), a picture out picture (POP), a twin picture (or a double window). The PIP means that one or more sub-screens are displayed in the main screen, and the POP means that one or more sub-screens are display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main screen.

또한 트윈 픽쳐란 한 화면을 좌,우 화면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좌화면에 주화면 영상을, 우화면에 부화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좌,우화면의 크기는 동일할 수도 있고,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In addition, a twin picture refers to splitting one screen into left and right screens, displaying a main screen image on the divided left screen, and a subscreen image on the right screen.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left and right screens may or may not be the same.

이때 상기 입력 장치에는 주/부 절환키가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주/부 절환키를 입력함에 의해 주화면의 영상과 부화면의 영상을 서로 바꿀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 장치에는 주 화면을 위한 채널 업/다운 키와 부화면을 위한 채널 업/다운 키가 각각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주화면의 채널을 변경하고 싶을 때는 숫자키나 주화면용 채널 업/다운 키를 이용하고, 부화면의 채널을 변경하고 싶을 때는 부화면용 채널 업/다운 키를 이용한다.In this case, a main / sub switching key is assigned to the input device, and an image of a main screen and a sub screen may be interchanged by inputting the main / sub switching key. The input device is assigned with a channel up / down key for the main screen and a channel up / down key for the subscreen, respectively. Therefore, to change the channel of the main screen, use the numeric keys or the channel up / down key for the main screen, and the channel up / down key for the subscreen to change the channel of the subscreen.

그리고 상기 방송 수신기에는 S 비디오, DVI, 콤포넌트, D-SUB 등 각종 외부입력단자를 통해 PC와 DVD등 외부기기와 연결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broadcast receiver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PC and a DVD through various external input terminals such as S-video, DVI, component, and D-SUB.

이때 부화면으로 외부기기의 영상을 보기 위해서는 미리 부화면 입력을 선택해주어야 한다. At this time, in order to view the external device's video on the sub screen, the sub screen input should be selected in advance.

상기 부화면 입력을 선택하는 방법 중의 하나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TV 화면에 메인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다시 여러번의 단계를 통해 상기 부화면을 선택할 수 있는 서브 메뉴를 디스플레이시킨 후, 원하는 부화면 입력을 선택하는 것이다. One of the methods for selecting the sub-screen input is to display a main menu on a TV screen using an input device, display a sub-menu for selecting the sub-screen through several steps, and then input a desired sub-screen input. To choose.

그러나 상기된 방법은 부화면 선택을 위한 서브 메뉴에 도달하기까지 사용자가 여러번 키를 입력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번거로움을 줄 수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be cumbersome for the user since the user needs to input a key several times before reaching the sub-menu for selecting the sub-scree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시화면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기의 사용자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improving user convenience of a broadcast receiver having a simultaneous picture fun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화면을 위한 기능 선택을 한번의 키 입력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executing a function selection for a sub-screen by one key inpu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은, 동시 화면이 선택되면 주화면과 적어도 하나의 부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동시 화면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동시 화면의 일부에 적어도 하나의 메뉴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메뉴 버튼의 선택을 통해 동시 화면의 비율 조정, 부화면 입 력 선택, 주/부화면 전환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cree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isplaying a main screen and at least one sub-screen when a simultaneous screen is selected; Displaying at least one menu button on a portion of the simultaneous screen together with the display of the simultaneous screen; And executing at least one of the ratio adjustment of the simultaneous screen, the sub-screen input selection, and the main / sub-screen switching through the selection of the menu button.

본 발명은 동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방향키 중 하나를 이용하여 활성화되어 있는 화면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djusting the size of the activated screen using one of the direction keys of the input device while the simultaneous screen is displayed.

본 발명에서 주화면과 부화면 간의 포커스 이동은 입력 장치의 방향키 중 좌우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cus movement between the main screen and the sub-screen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the left and right keys of the direction keys of the input device.

본 발명에서 부화면과 메뉴 버튼 간의 포커스 이동은 입력 장치의 방향키 중 상하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cus movement between the sub-screen and the menu button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up and down keys among the direction keys of the input device.

본 발명에서 메뉴 버튼 간의 포커스 이동은 입력 장치의 방향키 중 좌우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cus movement between the menu buttons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the left and right keys of the direction keys of the input device.

본 발명에서 주화면과 부화면의 채널 변경은 단일 채널 업/다운키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일 채널 업/다운키는 활성화된 화면의 채널 변경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nnel change of the main screen and the sub-screen is made of a single channel up / down key, and the single channel up / down key is used to change the channel of the activated screen.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 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by it will be described as at least one embodiment, by whic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is not limited. .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됨을 밝혀두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general term that is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but in certain cases, the term i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this case, since the meaning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be understood as the meaning of the term rather than the name.

본 발명의 방송 수신기는 리모콘과 같은 입력 장치에 할당되어 있는 하나의 키를 이용하여 PIP, POP, 트윈 픽쳐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즉, 상기 키를 누를때마다 PIP, POP, 트윈 픽쳐, 정상 화면이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상기 키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시화면 키라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동시화면 키가 입력될 때마다 디스플레이되는 동시화면의 순서는 본 발명의 특징이 아니므로 어떤 순서로 디스플레이되어도 상관없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oadcast receiver performs a PIP, POP, or twin picture function by using one key assigned to an input device such as a remote controller. That is, each time the key is pressed, PIP, POP, twin picture, and normal screen are sequentially performed. The key is defined as a simultaneous screen ke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order of the simultaneous screens displayed each time the simultaneous screen key is input is not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displayed in any order.

그리고 상기 입력 장치에는 하나의 채널 업/다운키가 할당되어 있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channel up / down key is assigned to the input device.

따라서 상기 채널 업/다운키는 주화면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주화면의 채널을 변경하는데 이용되고, 부화면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부화면의 채널을 변경하는데 이용된다. Therefore, the channel up / down key is used to change the channel of the main screen if the main screen is activated, and to change the channel of the sub screen if the sub screen is activated.

즉, 종래에는 주화면용 채널 업/다운 키와 부화면용 채널 업/다운키가 각각 할당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채널 업/다운키를 이용하여 주화면과 부화면의 채널 변경에 이용한다. That is, although the channel up / down key for the main screen and the channel up / down key for the subscreen are assigned, respectively,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channel up / down key is used to change the channel of the main screen and the subscreen. .

이것은 입력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주화면과 부화면의 채널 변경에 하나의 채널 업/다운 키를 이용하므로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This not only simplifies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device but also improves user accessibility by using a single channel up / down key for changing the channel of the main screen and the sub screen.

이때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 간의 포커스 이동은 입력 장치의 네방향 키 중 좌우키를 이용하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예를 들어, 주화면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우키를 누르면 부화면으로 포커스가 이동하면서 부화면이 활성화되고, 부화면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좌키를 누르면 주화면으로 포커스가 이동하면서 주화면이 활성화된다. 이것은 하나의 실시예이며 상하키를 이용할 수도 있고, 하나의 키를 토글식으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다른 기능 키를 공용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focus movement between the main screen and the sub screen uses left and right keys among four direction keys of the input device. For example, if the user presses the right key on the input device while the main screen is activated, the sub screen is activated while the focus moves to the sub screen, and when the left key of the input device is pressed while the sub screen is activated, the focus is returned to the main screen. As you move, the main screen is activated. This is one embodiment and can be used up and down keys, one key can be toggled, another function key can be used in common.

그리고 현재 주화면이 활성화되었는지, 부화면이 활성화되었는지를 표시하는 포커스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콘이나 OSD(On Screen Display) 문자로 표시할 수도 있고, 활성화되는 주화면 또는 부화면의 경계를 다른 색깔로 표현하거나 깜박거리게 하는 등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In addition, there may be various methods of focus indicating whether the main screen is activated or the sub screen is activated. For example, it can be displayed as an icon or on screen display (OSD) character, or any method that the user can recognize, such as displaying or flickering the border of the active main screen or sub screen in another color. .

또한 본 발명은 동시화면 키에 의해 동시화면이 디스플레이될 때 하나 이상의 메뉴 버튼을 함께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to display one or more menu buttons together when the simultaneous screen is displayed by the simultaneous screen key.

도 1a는 본 발명의 동시화면 키에 의해 PIP 기능이 수행된 경우로서, 부화면이 포커싱됨과 동시에 복수개 이상의 메뉴 버튼이 부화면 하단의 부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여기서 부화면이 포커싱 되었다는 것은 부화면이 활성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FIG. 1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 PIP function is performed by a simultaneous screen key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ub screen is focused and a plurality of menu buttons are displayed at a position where a sub screen below a sub screen is not displayed. In this case, when the subscreen is focused, it means that the subscreen is activated.

그리고 현재 부화면이 활성화되어 있으므로 입력장치에 할당된 채널 업/다운 키는 부화면의 채널을 변경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부화면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우키를 누르면 부화면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즉, 부화면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우키를 누를 때마다 기 설정된 화면 크기로 부화면이 순차적으로 변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주화면의 크기는 원래 화면 크기로 고정된다. Since the subscreen is currently active, the channel up / down keys assigned to the input device are used to change the channel of the subscreen. In addition, when the subscreen is activated, pressing the right key of the input device can adjust the size of the subscreen. That is, each time the user presses the right key of the input device while the sub-screen is activated, the sub-screen may be sequentially changed to the preset screen size.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main screen is fixed to the original screen size.

한편 상기 메뉴 버튼은 예를 들면, 위치 이동, 주부전환, 부화면 입력, 나가기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메뉴 버튼의 수 및 실행되는 기능은 설계자에 의해 달라지므로 본 발명에서는 메뉴 버튼의 수 및 기능을 상기 예로 제시한 것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메뉴 버튼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도 하나의 실시예이며, 메뉴 버튼의 디스플레이 위치도 설계자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 예로 제시한 것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The menu button may be, for example, a position movement, a housewife switching, a sub-screen input, and an exit. Here, the number of menu buttons and the functions to be executed vary by the designer,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limited to the number and function of menu buttons. Likewise, the position at which the menu button is displayed is also an embodiment, and the display position of the menu button may also be changed by a designer,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여기서 상기 부화면과 메뉴 버튼과의 포커스 이동은 입력 장치의 상하키를 이용하고, 메뉴 버튼들끼리의 포커스 이동은 입력 장치의 좌우키를 이용하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이것은 하나의 실시예이며, 상하키와 좌우키를 바꾸어 이용할 수도 있고, 상기 방향키가 아닌 다른 키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메뉴 버튼의 선택은 해당 메뉴 버튼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선택을 위한 키(예를 들면 선택키나 확인키)를 누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Here, the focus movement between the sub-screen and the menu button uses up and down keys of the input device, and the focus movement between the menu buttons uses the left and right keys of the input device. This is one embodiment, and the up and down keys and the left and right keys may be used interchangeably, and keys other than the direction keys may be used. In addition, the selection of each menu button is performed by pressing a key (for example, a selection key or a confirmation key) for selecting an input device while the corresponding menu button is activated.

또한 특정 메뉴 버튼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포커싱 표시는 해당 메뉴 버튼의 하이라이트, 구분되는 다른 색깔, 밑줄 등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은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그리고 각 메뉴 버튼의 형태도 도 1a와 같이 네모 박스 형태로 할 수도 있지만 아이콘 등으로 표시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메뉴 버튼을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focusing display indicating the activation of a particular menu button may be any method that the user can recognize, such as a highlight, a different color, and an underline of the corresponding menu button. In addition, the shape of each menu button may be in the form of a square box as shown in FIG. 1A, but may also be displayed as an icon or the like, and may be any type as long as the user can recognize the menu button.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뉴 버튼들 중 하나의 메뉴 버튼이 포커싱되어 있고, 이때 입력 장치의 선택키나 확인키를 누르면 포커싱되어 있는 메뉴 버튼에 해당하는 기능이 바로 수행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부 전환 메뉴 버튼이 포커싱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선택키나 확인키를 누르면 바로 주화면과 부화면의 영상이 바뀌게 된다. 그리고 위치 이동 메뉴 버튼을 선택할 때마다 부화면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도 1a와 같이 우하측에 부화면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 위치 이동 메뉴 버튼이 선택되면 부화면은 좌하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부화면의 위치는 위치 이동 메뉴 버튼이 선택될 때마다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메뉴 버튼들은 부화면과 함께 이동할 수도 있고, 이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menu button of the menu buttons is focused, and when a selection key or a confirmation key of the input device is pressed,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focused menu button is immediately performed. For example, when a user presses a selection key or a confirmation key of an input device while the housewife switching menu button is focused, the images of the main screen and the subscreen are changed. And whenever the position movement menu button is selected, the display position of the sub screen changes.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 movement menu button is selected while the sub-screen is displayed on the lower right side as shown in FIG. 1A, the sub-screen moves to the lower left side. The position of the sub-screen moves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never the position movement menu button is selected. At this time, the menu buttons may or may not move together with the sub-screen.

또한 부화면 입력 메뉴 버튼이 포커스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선택키나 확인키를 누를때마다 외부입력1, 외부입력2, S-VIDEO, TV 등으로 부화면 입력 신호가 순차적으로 바뀌게 된다. In addition, whenever the selection key or the confirmation key of the input device is pressed while the sub-screen input menu button is in focus, the sub-screen input signals are sequentially changed to external input 1, external input 2, S-video, and TV.

다른 예로, 부화면 입력 메뉴 버튼의 포커싱과 함께 부화면 입력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화면을 바로 디스플레이시키고, 사용자가 이 중 하나를 선택하면 부화면의 영상을 선택된 영상으로 바뀌게 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a selection screen for selecting a sub-screen input may be immediately displayed together with focusing of the sub-screen input menu button, and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sub-screen input menu buttons, the sub-screen image may be changed into the selected image.

이때 상기 메뉴 버튼들 중 어느 것도 일정 시간이 지날때까지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메뉴 버튼들을 화면상에서 자동으로 사라지게 할 수도 있고, 나가기 메뉴 버튼을 선택하여 사라지게 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if none of the menu buttons are selected until a certain time passes, the menu buttons may be automatically disappeared on the screen, or the exit menu button may be selected to disappear.

상기 방송 수신기는 S 비디오, DVI, 콤포넌트, D-SUB 등 각종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PC, DVD 등과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외부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oadcast receiver may receive an external image from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PC or a DVD through various external input terminals such as S-video, DVI, component, and D-SUB.

또는 입력 장치의 좌우키를 이용하여 도 1b와 같이 주화면을 활성화시켜서, 상기 메뉴 버튼들을 사라지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주화면이 활성화되어 있으므로 입력장치에 할당된 채널 업/다운키는 주화면의 채널을 변경하는데 이용된다. Alternatively, the menu buttons may be disappeared by activating the main screen as shown in FIG. 1B using the left and right keys of the input device. In this case, since the main screen is activated, the channel up / down key assigned to the input device is used to change the channel of the main screen.

그리고 상기 도 1b와 같이 PIP 기능이 수행 중이면서 주화면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우키를 이용하여 도 1a와 같이 부화면을 활성화시키면 상기 메뉴 버튼들도 함께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이 경우, 부화면이 활성화되어 있으므로 입력장치에 할당된 채널 업/다운키는 부화면의 채널을 변경하는데 이용된다. In addition, when the PIP function is being performed as shown in FIG. 1B and the main screen is activated, when the subscreen is activated as shown in FIG. 1A using the right key of the input device, the menu buttons are also displayed. In this case, since the subscreen is activated, the channel up / down key assigned to the input device is used to change the channel of the subscreen.

도 2a는 본 발명의 동시화면 키에 의해 트윈 픽쳐 기능이 수행된 경우로서, 주화면이 활성화됨과 동시에 복수개 이상의 메뉴 버튼이 주/부화면의 하단에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2A illustrates a case where a twin picture function is performed by a simultaneous screen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main screen is activated and a plurality of menu buttons are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main / sub screen.

도 2a에서는 주화면이 활성화되어 있으므로 입력장치에 할당된 채널 업/다운키는 주화면의 채널을 변경하는데 이용된다.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트윈 픽쳐가 수행될 때 부화면을 활성화시킬 수도 있으며, 이때는 입력장치에 할당된 채널 업/ 다운키는 부화면의 채널을 변경하는데 이용된다.In FIG. 2A, since the main screen is activated, the channel up / down key assigned to the input device is used to change the channel of the main screen. This is an embodiment, and when the twin picture is performed, the sub picture may be activated. In this case, the channel up / down key assigned to the input device is used to change the channel of the sub picture.

한편 상기 메뉴 버튼은 예를 들면, 화면 비율, 주부전환, 부화면 입력, 나가기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메뉴 버튼의 수 및 실행되는 기능은 상기 PIP에서와 마찬가지로 설계자에 의해 달라지므로 본 발명에서는 메뉴 버튼의 수 및 기능을 상기 예로 제시한 것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메뉴 버튼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도 하나의 실시예이며, 메뉴 버튼의 디스플레이 위치도 설계자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 예로 제시한 것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Meanwhile, the menu button may be, for example, aspect ratio, housewife switching, subscreen input, and exit. Here, the number of menu buttons and the functions to be executed vary by the designer as in the PIP,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limited to the number and functions of menu buttons. Likewise, the position at which the menu button is displayed is also an embodiment, and the display position of the menu button may also be changed by a designer,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상기 도 2a에서 주화면과 부화면 간의 포커스 이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 장치의 좌우키를 이용한다. 즉 상기 좌키를 이용하여 주화면을 활성시키거나 우키를 이용하여 부화면을 활성화시킨다. 이때 주화면이 활성화되면 입력장치에 할당된 채널 업/다운키는 주화면의 채널을 변경하는데 이용되고, 부화면이 활성화되면 입력장치에 할당된 채널 업/다운키는 부화면의 채널을 변경하는데 이용된다.In FIG. 2A, the focus shift between the main screen and the sub screen uses left and right keys of the input device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main screen is activated using the left key or the sub screen is activated using the right key. In this case, when the main screen is activated, the channel up / down key assigned to the input device is used to change the channel of the main screen. When the subscreen is activated, the channel up / down key assigned to the input device is used to change the channel of the subscreen. Is used.

그리고, 주화면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좌키를 누르면 주화면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주화면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좌키를 누를 때마다 기 설정된 화면 크기로 주화면이 순차적으로 변한다. 이때 상기 주화면의 크기에 따라 부화면의 크기도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와 같이 주화면의 크기가 확대되면 상대적으로 부화면의 크기는 축소된다. In addition, when the main screen is activated, pressing the left key of the input device may adjust the size of the main screen. That is, each time the left key of the input device is pressed while the main screen is activated, the main screen is sequentially changed to the preset screen size.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sub-screen may var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ain scree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A, when the size of the main screen is enlarged, the size of the subscreen is relatively reduced.

도 2b와 같이 주화면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우키를 선택하면 도 2c와 같이 포커스가 주화면에서 부화면으로 이동하면서 부화면이 활성화된다. 이때 주/부화면의 크기는 조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그리고 입력장치에 할당된 채널 업/다운키는 부화면의 채널을 변경하는데 이용된다. 만일 도 2a와 같은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우키를 선택하면 주/부화면의 크기는 이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포커스만 부화면으로 이동하여 부화면을 활성화시킨다. If the user selects the right key of the input device while the main screen is activated as shown in FIG. 2B, the focus moves from the main screen to the sub screen as shown in FIG. 2C, and the sub screen is activated. At this time, the main / sub screen size is maintained in the adjusted state. The channel up / down keys assigned to the input device are used to change the channel of the sub picture. If the right key of the input device is selected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2A, the focus of the main / sub-screen remains in the previous state while moving only the focus to the sub-screen to activate the sub-screen.

그리고 상기 도 2b와 같이 부화면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우키를 누르면 부화면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입력 장치의 우키를 누를 때마다 기 설정된 화면 크기로 부화면이 순차적으로 변한다. 이때 상기 부화면의 크기에 따라 주화면의 크기도 달라진다. 예를 들어, 부화면의 크기가 확대되면 상대적으로 주화면의 크기는 축소된다.As shown in FIG. 2B, when the right screen of the input device is pressed while the sub screen is activated, the size of the sub screen may be adjusted. That is, each time the right key of the input device is pressed, the subscreen is sequentially changed to the preset screen size.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main screen also vari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ubscreen. For example, when the size of the sub-screen is enlarged, the size of the main screen is relatively reduced.

한편 트윈 픽쳐가 수행중 일 때 상기 메뉴 버튼으로의 포커스 이동은 주화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부화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Meanwhile, when the twin picture is being executed, the focus movement to the menu button may be performed on the main screen or the sub screen.

이때 상기 주화면 또는 부화면과 메뉴 버튼과의 포커스 이동은 입력 장치의 상하키를 이용하고, 메뉴 버튼들끼리의 포커스 이동은 입력 장치의 좌우키를 이용하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이것은 하나의 실시예이며, 상하키와 좌우키를 바꾸어 이용할 수도 있고, 상기 방향키가 아닌 다른 키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메뉴 버튼의 선택은 해당 메뉴 버튼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선택을 위한 선택키나 확인키를 누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상기 트윈 픽쳐 화면에서 특정 메뉴 버튼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포커싱 표시는 해당 메뉴 버튼의 하이라이트, 구분되는 다른 색깔, 밑줄 등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은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그리고 각 메뉴 버튼의 형태도 도 2a와 같이 네모 박스 형태로 할 수도 있지만 아이콘 등으로 표시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메뉴 버튼을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focus movement between the main screen or the sub-screen and the menu button uses the up and down keys of the input device, and the focus movement between the menu buttons uses the left and right keys of the input device. This is one embodiment, and the up and down keys and the left and right keys may be used interchangeably, and keys other than the direction keys may be used. In addition, the selection of each menu button is performed by pressing a selection key or an identification key for selecting an input device while the corresponding menu button is activated. The focusing display indicating the activation of a particular menu button on the twin picture screen may be any method that a user can recognize, such as a highlight, a different color, and an underline of the corresponding menu button. In addition, the shape of each menu button may be in the form of a square box as shown in FIG. 2A, but may be displayed as an icon or the like, and may be any type in which the user can recognize the menu button.

도 2d는 도 2c와 같이 부화면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하키를 선택하여 메뉴 버튼 예를 들어, 화면 비율 메뉴 버튼을 활성화시킨 예이다. FIG. 2D illustrates an example of activating a menu button, for example, an aspect ratio menu button by selecting a hockey of an input device while a sub-screen is activated as shown in FIG. 2C.

여기서 메뉴 버튼들끼리의 포커스 이동은 좌우 버튼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도 2d와 같이 화면 비율 메뉴 버튼이 포커스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좌키를 선택하면 도 2e와 같이 주부 전환 메뉴 버튼이 포커스된다. 이때 입력 장치의 선택키나 확인키를 누르면 도 2e와 같이 부화면에서 주화면으로 포커스가 이동하면서 주화면이 활성화된다. Here, the left and right buttons are used to move the focus between menu buttons. For example, if the left key of the input device is selected while the aspect ratio menu button is in focus as shown in FIG. 2D, the housewife switch menu button is focused as in FIG. 2E. At this time, when the selection key or the confirmation key of the input device is pressed, the main screen is activated while the focus moves from the sub screen to the main screen as shown in FIG. 2E.

도 2e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입력 장치의 좌키를 선택하면 도 2f와 같이 부화면 입력 메뉴 버튼이 포커스된다. 그리고 상기 부화면 입력 메뉴 버튼이 포커스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선택키나 확인키를 누를 때마다 부화면의 입력 영상이 바뀐다. 일 예로, 부화면 입력 메뉴 버튼이 포커스되어 있는 상태에서 선택키나 확인키를 누를 때마다 도 2g에서와 같이 외부입력1, 외부입력2, S-VIDEO, TV 등으로 부화면 입력 신호가 순차적으로 바뀌게 된다. If the left key of the input device is selected again in the same state as in FIG. 2E, the sub-screen input menu button is focused as shown in FIG. 2F. Each time the selection key or the confirmation key of the input device is pressed while the subscreen input menu button is in focus, the input image of the subscreen is changed. For example, whenever the selection key or the confirmation key is pressed while the sub screen input menu button is in focus, the sub screen input signals are sequentially changed to the external input 1, the external input 2, the S-video, and the TV as shown in FIG. 2G. do.

다른 예로, 부화면 입력 메뉴 버튼의 포커싱과 함께 부화면 입력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화면을 바로 디스플레이시키고, 사용자가 이 중 하나를 선택하면 부화면의 영상을 선택된 영상으로 바뀌게 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a selection screen for selecting a sub-screen input may be immediately displayed together with focusing of the sub-screen input menu button, and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sub-screen input menu buttons, the sub-screen image may be changed into the selected image.

한편 상기 부화면 입력 메뉴 버튼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시 입력 장치의 좌키를 선택하면 나가기 메뉴 버튼이 포커스되고, 다시 입력 장치의 좌키를 선택하면 도 2h와 같이 화면 비율 메뉴 버튼이 포커스된다. Meanwhile, when the left key of the input device is selected again while the subscreen input menu button is activated, the exit menu button is focused, and when the left key of the input device is selected, the aspect ratio menu button is focused as shown in FIG. 2H.

상기 도 2h와 같이 화면 비율 메뉴 버튼이 포커스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선택키가 확인키를 누를 때마다 도 2h 내지 도 2k와 같이 주/부화면의 화면 크기가 달라진다. When the selection key of the input device presses the confirmation key while the aspect ratio menu button is in focus as shown in FIG. 2H, the screen size of the main / sub screen is changed as shown in FIGS. 2H to 2K.

예를 들어, 도 2g와 같이 주화면과 부화면의 화면 비율이 다른 상태에서 화면 비율 메뉴 버튼을 포커스시키고, 이어 선택키나 확인키를 누르면 도 2h와 같이 4:3 화면비를 갖는 트윈 픽쳐로 돌아온다. 다시 선택키나 확인키를 누르면 도 2i와 같이 풀 화면비를 갖는 트윈 픽쳐로 전환되고, 다시 선택키나 확인키를 누르면 도 2j와 같이 16:9 화면비를 갖는 트윈 픽쳐로 전환된다. 다시 선택키나 확인키를 누르면 도 2k와 같이 4:3 화면비를 갖는 트윈 픽쳐로 돌아온다. For example, when the aspect ratio menu button is focused while the main screen and the sub screen ratio are different as shown in FIG. 2G, pressing the select key or the confirmation key returns to the twin picture having the 4: 3 aspect ratio as shown in FIG. 2H. Pressing the select key or the confirm key again switches to the twin picture having the full aspect ratio as shown in FIG. 2I, and pressing the select key or the confirm key switches to the twin picture having the 16: 9 aspect ratio as shown in FIG. 2J. Pressing the select key or the confirm key again returns to the twin picture having the 4: 3 aspect ratio as shown in FIG. 2K.

상기 화면 비율 메뉴 버튼이 포커스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선택키나 확인키를 누를 때마다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크기의 순서는 본 발명의 특징이 아니므로 어떤 순서로 디스플레이되어도 상관없다.The order of the screen sizes displayed each time the selection key or the confirmation key of the input device is pressed while the aspect ratio menu button is in focus is not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displayed in any order.

여기서 상기 화면 비율 메뉴 버튼에 의한 화면 크기 조정과 주화면 또는 부화면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좌우키를 이용한 화면 크기 조정 방법은 다르다. 전자의 방법은 주/부화면의 크기가 동시에 같은 크기로 변하는 것이고, 후자의 방법은 하나의 화면이 확대되면 다른 하나의 화면은 축소된다.Here, the screen size adjustment by the aspect ratio menu button is different from the screen size adjustment method using the left and right keys of the input device while the main screen or the sub-screen is activated. In the former method, the size of the main / sub picture is simultaneously changed to the same size. In the latter method, when one screen is enlarged, the other is reduced.

그리고 메뉴 버튼들 중 하나가 포커스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상키를 선택하면 도 2l과 같이 포커스가 메뉴 버튼에서 주화면으로 이동하면서 주화면이 활성화된다. 그리고 입력장치에 할당된 채널 업/다운키는 주화면의 채널을 변경하는데 이용된다.In addition, when one of the menu buttons is in focus and the up key of the input device is selected, the main screen is activated while the focus moves from the menu button to the main screen as shown in FIG. 2L. The channel up / down keys assigned to the input device are used to change the channel of the main screen.

도 2a 내지 도 2l와 같은 트윈 픽쳐 화면에서도 상기 메뉴 버튼들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사라지게 할 수도 있고, 나가기 메뉴 버튼을 선택하여 사라지게 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트윈 픽쳐 화면에서는 상기 메뉴 버튼들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도 있다. In the twin picture screen as shown in FIGS. 2A to 2L, the menu buttons may automatically disappear after a predetermined time, or may be selected by disappearing by selecting the exit menu button. Alternatively, the menu buttons may be maintained in the twin picture scree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 버튼을 동시화면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표시하고, 상기 메뉴 버튼을 선택함에 의해 바로 해당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고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메뉴 버튼을 이용하여 설정과 기능 동작이 한번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접근성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종래에는 메인 메뉴를 디스플레이한 후 여러번의 서브 메뉴 선택 과정을 거쳐 해당 기능을 실행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menu button for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together with a display of a simultaneous screen, and immediately executes the corresponding function by selecting the menu button.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maximizes the accessibility of the user by allowing the setting and the function operation to be performed at one time by using the menu button. Conventionally, the main menu has been displayed, and there has been a hassle of executing a corresponding function through several sub-menu selection processes.

또한 한번의 키 입력이나 메뉴 버튼의 선택에 의해 주/부화면의 화면 비율을 조정하거나, 주/부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만을 확대하거나 축소시킴으로써,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접근성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In addition, the user's accessibility is similarly maximized by adjusting the aspect ratio of the main / sub picture by only one key input or selecting a menu button, or by enlarging or reducing only one screen of the main / sub picture.

도 3은 이러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방송 수신기의 일 예를 보인 것으로서, 제어부(100), 제1,제2 튜너(111,112), 외부 입력부(113), 스위칭부(121), 주화면 처리부(131), 부화면 처리부(132), 합성부(141), OSD 처리부(151), 화면 표시부(161), 및 입력 장치로서 리모콘(17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3 illustrates an example of a broadcast receiver for perform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control unit 100, first and second tuners 111 and 112, an external input unit 113, a switching unit 121, and a main screen processing unit ( 131, the sub-screen processing unit 132, the synthesizing unit 141, the OSD processing unit 151, the screen display unit 161, and the remote controller 171 as an input device.

즉, 제1, 제2 튜너(111,112)는 각각 아날로그 튜너와 디지털 튜너일 수도 있고, 둘 다 아날로그 튜너이거나 둘 다 디지털 튜너일 수도 있으며, 아날로그/디지탈 겸용 튜너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제2 튜너(111,112)는 서로 다른 채널을 수신 하거나 같은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tuners 111 and 112 may be analog tuners and digital tuners, respectively, both may be analog tuners, both may be digital tuners, or may be analog / digital tuners.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tuners 111 and 112 may receive different channels or receive the same channel.

상기 제1,제2 튜너(111,112)는 튜닝 및 복조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제2 튜너(111,112)에서 튜닝되어 복조된 채널의 신호는 스위칭부(121)로 출력된다. 이때 제1 튜너(111)로 주화면 영상의 채널을, 제2 튜너(112)로 부화면 영상의 채널을 선국 및 복조하여 스위칭부(121)로 출력할 수도 있고, 반대로 제1 튜너(111)로 부화면 영상의 채널을, 제2 튜너(112)로 주화면 영상의 채널을 선국 및 복조하여 스위칭부(121)로 출력할 수도 있다.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and second tuners 111 and 112 have tuning and demodulation functions. Accordingly, the signals of the channels tuned and demodulated by the first and second tuners 111 and 112 are output to the switching unit 121. At this time, the channel of the main screen image can be tuned and demodulated by the first tuner 111, and the channel of the sub screen image can be output to the switching unit 121 by the second tuner 112. On the contrary, the first tuner 111 The channel of the sub-screen video may be tuned and demodulated by the second tuner 112 and output to the switching unit 121.

또한 외부 입력부(113)는 S 비디오, DVI, 콤포넌트, D-SUB 등의 외부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영상을 입력받아 스위칭부(121)로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external input unit 113 receives an external image input through an external input terminal such as S-video, DVI, component, D-SUB, etc. and outputs it to the switching unit 121.

즉, 상기 스위칭부(121)는 동시 화면이 선택된 경우에는 제1,제2 튜너(111,112), 및 외부 입력부(113)를 통해 복수개 이상의 영상을 입력받는다. 그러면 상기 스위칭부(121)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주화면용 영상을 선택하여 주화면 처리부(131)로 출력하고, 부화면용 영상을 선택하여 부화면 처리부(132)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화면 영상으로 채널 11을 선택하고, 부화면 영상으로 DVD 입력을 선택하였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제1 튜너(111)는 채널 11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선국하여 복조한 후 스위칭부(121)로 출력하고, 상기 스위칭부(121)는 제1 튜너(111)의 출력을 주화면 처리부(131)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121)는 외부 입력부(113)를 통해 출력되는 DVD 영상을 선택하여 부화면 처리부(132)로 출력한다. That is, when the simultaneous screen is selected, the switching unit 121 receives a plurality of imag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uners 111 and 112 and the external input unit 113. Then, the switching unit 121 selects the main screen image and outputs the main screen image to the main screen processing unit 13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and selects the sub screen image and outputs the sub screen image to the subscreen processing unit 132. For example, assume that the user selects channel 11 as the main screen image and DVD input as the sub-screen image. Then, the first tuner 111 tunes and demodulates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channel 11 and outputs the demodulated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121. The switching unit 121 outputs the output of the first tuner 111 to the main screen processor 131. ) In addition, the switching unit 121 selects a DVD image output through the external input unit 113 and outputs it to the sub-screen processing unit 132.

상기 주화면 처리부(131)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주화면 크기에 맞게 처리 하여 합성부(141)로 출력하고, 부화면 처리부(132)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부화면 크기에 맞게 처리하여 합성부(141)로 출력한다. 만일 선택된 동시화면 기능이 PIP라면 주화면은 크게, 부화면은 작게 포맷 변환되고, 트윈 픽쳐라면 주/부화면의 크기가 같게 포맷 변환된다. The main screen processing unit 131 processes the input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main screen size and outputs it to the synthesis unit 141, and the sub-screen processing unit 132 processes the input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sub-screen size and synthesizes it. Output to (141). If the selected simultaneous picture function is PIP, the main picture is made larger and the sub picture is made smaller. If the twin picture is the same, the size of the main / sub picture is the same.

상기 합성부(141)는 디스플레이부(161)의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주화면 영상 신호와 부화면 영상 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한다.The synthesizing unit 141 synthesizes and outputs the main screen image signal and the sub-screen image signal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1.

상기 제어부(100)는 입력 장치 예를 들어, 리모콘(171)의 키 입력에 따라 각 부를 제어하는데, 제어 라인의 일부는 생략하였다. The controller 100 controls each unit according to a key input of an input device, for example, the remote controller 171, but a part of the control line is omitted.

예를 들어, 상기 리모콘(171)에 의해 동시 화면이 선택되면 제1,제2 튜너(111,112)의 선국을 제어하고, 주화면 영상과 부화면 영상을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스위칭부(121)를 제어한다.For example, when the simultaneous screen is selected by the remote controller 171, the first and second tuners 111 and 112 are tuned, and the switching unit 121 is controlled to select and output the main screen image and the sub-screen image. do.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동시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리모콘(171)의 방향키 및 선택키에 따른 동작을 제어한다. 즉, 동시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좌우키가 입력되면 주화면과 부화면 간의 포커스 이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부화면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하키가 입력되면 부화면과 메뉴 버튼 간의 포커스 이동을 제어하고, 좌우키가 입력되면 메뉴 버튼간의 포커스 이동을 제어한다. 또한 특정 메뉴 버튼을 선택하면 그 메뉴 버튼에 해당되는 기능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PIP 기능이 수행된 상태에서 위치 이동 메뉴 버튼을 선택하면 기 설정된 다음 위치로 부화면을 이동시킨다. 또 다른 예로, 트윈 픽쳐 기능이 수행된 상태에서 화면 비율 메뉴 버튼이 선택되면 기 설정된 다음 화면 비율 예컨대, 4:3, 풀 화면, 16:9 화면비 중 어느 하나로 주/부화면의 비율이 조정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key and the selection key of the remote controller 171 while the simultaneous screen is displayed. That is, when the left and right keys are input while the simultaneous screen is displayed, the focus movement between the main screen and the sub screen is controlled. When the up and down keys are input while the sub screen is activated, the focus movement is controlled between the sub screen and the menu button. When the left and right keys are input, the focus movement is controlled between the menu buttons. In addition, selecting a particular menu button executes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at menu button. For example, if the position movement menu button is selected while the PIP function is performed, the sub screen is moved to the next preset position. As another example, when the aspect ratio menu button is selected while the twin picture function is performed, the ratio of the main / sub picture is adjusted to any one of a preset next aspect ratio, for example, 4: 3, full screen, and 16: 9 aspect ratio.

상기 제어부(100)의 동작은 하드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그러한 것 중 적어도 두개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00 may be performed by hardware, firmware, middle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of them.

한편 OSD 처리부(151)는 활성화된 주화면 또는 부화면의 표시, 활성화된 메뉴 버튼의 표시, 선택된 메뉴 버튼에 따른 선택 화면 표시 등을 OSD 형태로 처리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해당 그래픽이나 OSD 문자를 합성부(141)로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the OSD processing unit 151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to process the display of the activated main screen or sub-screen, the display of the activated menu button, the display of the selection screen according to the selected menu button in the form of OSD. The graphic or OSD character is output to the synthesis unit 141.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s can be seen in the appended claim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화면 제어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effects of the screen control method of the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첫째, 부화면의 위치 이동, 주/부화면의 크기나 화면 비율 조정과 같은 기능 선택 및 실행이 한번의 키 입력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키 입력 횟수를 줄임에 의해 사용자의 편리성 및 접근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First, by selecting and executing functions such as moving the position of sub-screen, adjusting main / sub-screen size or aspect ratio by one key input, user's convenience and accessibility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number of key input. The height is effective.

둘째, 단일 채널 업/다운키를 이용하여 주화면 및 부화면의 채널 변경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접근성 및 편리성을 더욱 높이는 효과가 있다. Second, by changing the channel of the main screen and the sub-screen using a single channel up / down key, there is an effect to further increase the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of the user.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11)

동시 화면이 선택되면 주화면과 적어도 하나의 부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Displaying a main screen and at least one sub-screen when a simultaneous screen is selected; 상기 동시 화면의 디스플레이와 함께 동시 화면의 일부에 적어도 하나의 메뉴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Displaying at least one menu button on a portion of the simultaneous screen together with the display of the simultaneous screen; 상기 메뉴 버튼의 선택을 통해 동시 화면의 비율 조정, 부화면 입력 선택, 주/부화면 전환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단계; Executing at least one of adjusting a ratio of a simultaneous screen, selecting a sub-screen input, and switching between main / sub-screens by selecting the menu button; 상기 동시 화면 중 어느 한 화면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활성화되어 있는 화면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 및 Adjusting a size of an activated screen by using an arrow key of an input device while one of the simultaneous screens is activated; And 상기 동시 화면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동시 화면이 트윈 픽쳐이면 상기 입력 장치의 방향키에 의해 조정되는 화면의 크기에 따라 활성화되지 않은 화면 크기가 반대로 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And if the simultaneous screen displayed in the simultaneous screen display step is a twin picture, inactivating the screen size which is not activa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creen adjusted by the direction key of the input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동시 화면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동시 화면이 PIP이면 상기 입력 장치의 방향키에 의해 활성화된 부화면의 크기만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If the simultaneous screen displayed in the simultaneous screen display step is a PIP, only the size of the sub-screen activated by the direction key of the input device is adjust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동시 화면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동시 화면이 PIP이면 상기 메뉴 버튼은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And the menu button automatically disappears after a preset time if the simultaneous screen displayed in the simultaneous screen display step is a PIP.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동시 화면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동시 화면이 트윈 픽쳐이고, 선택된 메뉴 버튼이 화면 비율 메뉴 버튼이면 4:3 화면비, 풀 화면비, 16:9 화면비 중 어느 하나로 주/부화면의 화면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If the simultaneous screen displayed in the simultaneous screen display step is a twin picture and the selected menu button is the aspect ratio menu button, the aspect ratio of the main / subscreen is changed to one of 4: 3 aspect ratio, full aspect ratio, and 16: 9 aspect ratio. Screen control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60063876A 2006-07-07 2006-07-07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in broadcasting receiver KR1008668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876A KR100866880B1 (en) 2006-07-07 2006-07-07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in broadcasting re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876A KR100866880B1 (en) 2006-07-07 2006-07-07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in broadcasting recei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934A KR20080004934A (en) 2008-01-10
KR100866880B1 true KR100866880B1 (en) 2008-11-04

Family

ID=39215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876A KR100866880B1 (en) 2006-07-07 2006-07-07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in broadcasting recei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88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802B1 (en) * 2011-06-28 2012-04-18 주식회사 엔트로피테크 Set-top box and method for controlling picture in pictures on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CN103491405B (en) * 2013-08-30 2018-06-0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Remote control system, remote controler, display device and remote control thereof
KR101517837B1 (en) * 2013-11-29 2015-05-06 브릴리언츠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of Smart-TV
KR102124916B1 (en) * 2014-04-18 2020-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5315B1 (en) * 1995-12-11 1999-05-01 배순훈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osd manu picture an adjust function in television possibility at the same time output 2 picture
JP2003515287A (en) 1999-11-17 2003-04-22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ソシエテ アノニム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eedback during programming of a television device
US20040075770A1 (en) * 2001-02-20 2004-04-22 Seung-Jin Lee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pip on tv
KR20060031959A (en) * 2004-10-11 2006-04-14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Method for changing channel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5315B1 (en) * 1995-12-11 1999-05-01 배순훈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osd manu picture an adjust function in television possibility at the same time output 2 picture
JP2003515287A (en) 1999-11-17 2003-04-22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ソシエテ アノニム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eedback during programming of a television device
US20040075770A1 (en) * 2001-02-20 2004-04-22 Seung-Jin Lee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pip on tv
KR20060031959A (en) * 2004-10-11 2006-04-14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Method for changing channel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934A (en) 200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98871B2 (en) Television function selection method, television receiver, and remote commander for television receiver
JP4814934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US200600370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iewing and switching to favorite channels
KR100457516B1 (en) App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d/or processing broadcast signals
KR100661649B1 (en) Control method for television
KR10086688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in broadcasting receiver
KR10075285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interface of TV
JP4473739B2 (en) Video apparatus and menu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265609B1 (en)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for screen control thereof
JP2002077834A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JP2008028602A (en) Receiver and program selection method in receiver
JPH1051709A (en) Television receiver
US200701395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rol signals in a television apparatus supporting multi-window capabilities
KR100686176B1 (en)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for screen control
US20090031349A1 (en) Method for selecting channels of main screen/sub-screen,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6009440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displaying
EP17097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rol signals in a television apparatus supporting multi-window capabilities
KR20060031959A (en) Method for changing channel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100665058B1 (en) Television Channel Selection Method
KR100456018B1 (en) Television having a function PIP and channel tunning method thereof
KR20070038811A (en) Method for changing subscreen channel
KR19990069916A (en) How to switch the sub / main screen of TV
KR100720704B1 (en) Broadcasting receiver for displaying analog and digital broadcast images and method thereof
KR2000007483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izing puzzle game in a TV
KR2006010414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multi pi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