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1233B1 - Hand phone cradle - Google Patents

Hand phone cra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1233B1
KR100701233B1 KR1020050036192A KR20050036192A KR100701233B1 KR 100701233 B1 KR100701233 B1 KR 100701233B1 KR 1020050036192 A KR1020050036192 A KR 1020050036192A KR 20050036192 A KR20050036192 A KR 20050036192A KR 100701233 B1 KR100701233 B1 KR 100701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61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14184A (en
Inventor
박재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에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에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에프.텍
Priority to KR1020050036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1233B1/en
Publication of KR20060114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1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2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2Power-driven machines or devices
    • A47L1/03Power-driven machines or devices cleaning both sides of a window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6Control of the cleaning action for autonomous devices; Automatic detection of the surface condition before, during or after cleaning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전기적인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는 제1 하우징부, 제2 하우징부 및 커넥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부는 거치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용한다. 제2 하우징부는 제1 하우징부와의 결합을 통해 수납공간을 정의한다. 커넥터 어셈블리는 수납공간에 배치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하고, 일정 각도의 탄성을 갖고서 회동한다. 이와 같이, 커넥터 어셈블리가 탄성을 갖으며 회동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와 커넥터 어셈블리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둘 사이의 전기적인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lder having improved electrical contact reliability is disclosed. The mobile terminal holder includes a first housing part, a second housing part, and a connector assembly. The first housing part accommodat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unted thereon. The second housing part defines an accommodation space through engagement with the first housing part. The connector assembly is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exchange signals, and rotates with a certain angle of elasticity. As such, as the connector assembly is elastic and rotate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nnector assembly are electrically connected, electrical contact reliability between the two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HAND PHONE CRADLE}Mobile terminal holder {HAND PHONE CRAD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와 이동통신 단말기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ld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를 분해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lder of FIG. 2.

도 4는 도 3의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중 커넥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lder of FIG.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회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pivoting state of the connector assembly of FIG. 4.

도 6은 도 1에 있어서 신호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signal flow in FIG. 1.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핸드폰 20 : 신호선10: cell phone 20: signal line

30 : 음성입력장치 40 : 음성출력장치30: voice input device 40: voice output device

100 : 핸드폰 거치대 110 : 제1 하우징부100: mobile phone holder 110: first housing portion

112 : 핸드폰 거치부 114 : 커넥터 공간부112: mobile phone holder 114: connector space portion

116 : 커넥터 연결통로 120 : 제2 하우징부116: connector connecting passage 120: second housing portion

122 : 커버 바닥부 124 : 제1 측부122: cover bottom 124: first side

126 : 제2 측부 128 : 제3 측부126: second side 128: third side

130 : 커넥터 어셈블리 132 : 커넥터130: connector assembly 132: connector

134 : 제1 서브 커버 136 : 제2 서브 커버134: first sub cover 136: second sub cover

138 : 스프링 140 : 위치정보 수신부138: spring 140: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42 : 위치정보 신호 연결부142: location information signal connec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전기적인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terminal holder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contact reliability.

21세기에 접어듦에 따라, 하루에도 수많은 정보가 발생되고, 그에 따라 정보를 효과적으로 주고받기 위한 통신수단을 필요로 한다. 상기 통신수단 중 대표적인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hand phone)가 있으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하면서 통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어, 최근에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As the 21st century enters, a lot of information is generated in one day, an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communication means for effectively exchanging information. Representative of the communication means is a mobile phone (hand phon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talk while moving, has been rapidly developed in recent years.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원을 저장하여 공급하는 배터리(battery)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내의 전원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소모되기 때문에, 상기 배터리는 주기적으로 외부의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어져야한다. 또한, 자동차 운전을 하고 있을 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받거나 걸 경우, 안전한 운행을 위해 손을 데지 않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한 통화를 할 필요가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battery for storing and supplying power. Since the power in the battery is gradually consumed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used, the battery must be charged periodically by receiving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In addition, when receiving or hang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driving a car, it is necessary to make a call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raising a hand for safe driving.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손을 데지 않고 전화를 걸기 위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거나 신호를 주고받도록 해주는 커넥터를 포함한다.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generally mounted on a mobile terminal holder to supply pow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o make a phone call without touching the hand. The mobile terminal cradle includes a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supply power or send and receive signals.

그러나, 상기 커넥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내에 고정되어 유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쉽게 연결 및 분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기 커넥터와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해 강제적으로 힘을 가할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커넥터의 일부가 파손될 수도 있다.However, since the connector is fixed in the hol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nnot be mov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ily connected and disconnec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more, if a force is applied to couple and disconnec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connector, so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nnector may be damaged.

따라서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각도로 회동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과의 전기적인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lder that improves the electrical contact reliability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는 거치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부와, 상기 제1 하우징부와의 결합을 통해 수납공간을 정의하는 제2 하우징부와,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하고, 일정 각도의 탄성을 갖고서 회동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housing part accommod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unted thereon, and a storage space defined by a combination with the first housing part. And a housing assembly and a connector assembly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the connector assemb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exchange signals, and rotate with elasticity of a predetermined angl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는 거치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용하는 단말기 거치부와, 상기 단말기 거치부와 결합을 통해 수납공간을 정의하는 단말기 커버부와,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커버하여 고정시키는 커넥터 커버와, 상기 단말기 커버부에 고정되어 지지되며, 상기 커넥터 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를 일정 각도의 탄성을 갖도록 회동시키는 회동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holder for accommod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terminal cover part for defining an accommodation space through coupling with the terminal holder; A connector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exchange signals; a connector cover to cover and fix the connector; and fixed to and supported by the terminal cover; And a rotating member rotating the connector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of elasticity.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의 내부에 배치된 커넥터 어셈블리가 탄성을 갖으며 회동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때 보다 쉽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고, 그 결과 이동통신 단말기 및 커넥터 어셈블리 사이의 전기적인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bile terminal holder, as the connector assembly disposed inside the mobile terminal holder is elastic and rotated, it can be more easily coupled and separated whe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s a result, the mobile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lectrical contact reliability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onnector assembly.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거치대와 핸드폰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핸드폰 거치대를 분해해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핸드폰 거치대 중 커넥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mobile phone holder and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phon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phone holder,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mobile phone holder of FIG. 2.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핸드폰 거치대(100)는 핸드폰(10)를 거치시키는 제1 하우징부(110), 상기 제1 하우징부(110)와 결합되는 제2 하우징부(120), 상기 핸드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30) 및 외부의 신호를 통해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정보 수신부(140)를 포함한다.1 to 4, the mobile phone holder 100 includes a first housing part 110 for mounting the mobile phone 10, a second housing part 120 coupled with the first housing part 110, and the And a connector assembly 13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to exchange signals and a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40 for tracking a location through an external signal.

상기 제1 하우징부(110)는 핸드폰 거치부(112), 커넥터 공간부(114) 및 커넥터 연결통로(11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하우징부(110)는 상기 핸드폰(10)을 거치시키며, 상기 핸드폰(10)과의 신호교환을 위한 수납공간을 정의한다.The first housing unit 110 includes a mobile phone holder 112, a connector space 114 and a connector connecting passage 116. The first housing unit 110 mounts the mobile phone 10 and defines a storage space for exchanging signals with the mobile phone 10.

상기 핸드폰 거치부(112)는 상기 핸드폰 거치대(100)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상기 핸드폰(10)을 거치하기 위한 홈이다. 이때, 상기 홈의 상부 측벽은 상기 핸드폰(10)과의 결합을 위해 개구되어 있다.The mobile phone holder 112 occupies most of the mobile phone holder 100 and is a groove for mounting the mobile phone 10. At this time, the upper sidewall of the groove is open for coupling with the mobile phone (10).

상기 커넥터 공간부(114)는 상기 핸드폰 거치대(100)의 하단, 즉 상기 핸드폰 거치부(112)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핸드폰 거치부(112)의 홈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 공간부(114)는 상기 핸드폰(10)과의 신호교환을 위한 수납공간을 정의한다. 상기 커넥터 공간부(114)에는 상기 제2 하우징부(120)와 제1 하우징부(110)를 결합시키기 위한 메인 나사홈(114a)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한 쌍이 형성된다.The connector space 114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mobile phone holder 100, that is, the lower part of the mobile phone holder 112, and is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groove direction of the mobile phone holder 112. The connector space 114 defines a storage space for exchanging signals with the mobile phone 10. The connector space portion 114 is formed with a main screw groove 114a for coupling the second housing portion 120 and the first housing portion 110, preferably a pair is formed.

상기 커넥터 연결통로(116)는 상기 핸드폰 거치부(112) 및 커넥터 공간부(114)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연결통로(116)를 통해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는 상기 핸드폰(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넥터 연결통로(116)는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가 소정의 각도로 회동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or connection passage 116 is formed between the mobile phone mounting portion 112 and the connector space portion 114, the connector assembly 1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10 through the connector connection passage 116. Can be connected. At this time, the connector connection passage 116 is preferably formed to a size that the connector assembly 130 can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또한, 상기 제1 하우징부(110)는 음성입력장치(30) 및 음성출력장치(40)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first housing part 110 includes a voice input device 30 and a voice output device 40.

상기 음성입력장치(30)는 상기 핸드폰(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핸드폰(10)으로 음성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음성입력장치(30)는 상기 커넥터 공간부(114)와 마주보는 위치, 즉 메인 나사홈(114a)과 반대방향인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와 다른 위치에도 배치될 수 있다.The voice input device 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10 to apply a voice signal to the mobile phone 10. The voice input device 3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connector space 114, that is,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main screw groove 114a, but may be disposed at a different position.

상기 음성출력장치(40)는 상기 핸드폰(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핸드폰(10)으로부터 다른 음성신호를 인가받아, 외부로 출력시킨다. 상기 음성출력장치(40)는 상기 핸드폰 거치부(112)의 마주보는 양 측벽에 한 쌍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다른 위치 또는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The voice output device 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10, receives another voice signal from the mobile phone 10, and outputs it to the outside. The voice output device 40 is preferably a pair disposed on both side walls of the mobile phone mounting portion 112, it may be arranged in a different position or number.

상기 제2 하우징부(120)는 상기 제1 하우징부(110)와 결합하여 상기 커넥터 공간부(114)에 형성된 수납공간을 커버한다. 상기 제2 하우징부(120)는 바닥부(122)와, 상기 바닥부(122)의 에지로부터 마주보도록 연장된 제1 및 제2 측부(124, 126)와, 상기 바닥부(122)의 에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측부(124, 126)를 연결하는 제3 측부(128)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3 측부(128)는 상기 커넥터 연결통로(116)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second housing part 120 is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part 110 to cover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in the connector space part 114. The second housing portion 120 includes a bottom portion 122, first and second side portions 124 and 126 extending facing from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122, and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122. A third side 128 extending from and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ides 124, 126. In this case, the third side portion 128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connector connection passage 116.

상기 바닥부(122)에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나사 연결 돌기(122a)가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한 쌍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 연결 돌기(122a)의 중심에는 나사홀이 형성되어 메인 나사(30)와 결합되고, 상기 메인 나사(30)는 상기 나사 연결 돌기(122a)와 메인 나사홈(114a)을 결합시켜, 상기 제2 하우징부(120)를 상기 제1 하우징부(110)에 고정시킨다.The bottom portion 122 is formed with a screw connection protrusion 122a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preferably a pair is formed. A screw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crew connection protrusion 122a to be coupled with the main screw 30, and the main screw 30 couples the screw connection protrusion 122a and the main screw groove 114a to each other. The second housing part 120 is fixed to the first housing part 110.

상기 제3 측부(128)에는 신호선 연결통로(128a) 및 스프링 고정부(128b)가 형성된다. 상기 신호선 연결통로(128a)로는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선(20)이 통과된다. 이때, 상기 신호선 연결통로(128a)는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적당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 고정부(128b)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으로 후술될 스프링 지지부(138a)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가 상기 제2 하우징부(120)에 고정된다.The third side portion 128 is provided with a signal line connection passage 128a and a spring fixing portion 128b. The signal line 2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assembly 130 passes through the signal line connection passage 128a. In this case, the signal line connection passage 128a is preferably formed in an appropriate size so that the connector assembly 130 can be rotated. A fixing groove is formed in the spring fixing part 128b, and the connector assembly 130 is fixed to the second housing part 120 by inserting a spring supporting part 138a to be described later into the fixing groove.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는 상기 제1 하우징부(110)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핸드폰(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하고, 소정의 각도로 탄성을 갖으며 회동한다.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는 커넥터(132), 커넥터 커버 및 스프링(138)을 포함한다.The connector assembly 130 is disposed in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in the first housing part 11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10 to exchange signals, and rotates with elasticity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connector assembly 130 includes a connector 132, a connector cover and a spring 138.

상기 커넥터(132)는 상기 휴대폰(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휴대폰(10)과 신호를 교환한다. 상기 커넥터(132)는 커넥터 몸체부(132a) 및 커넥터 삽입부(132b)를 포함한다.The connector 13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10 to exchange signals with the mobile phone 10. The connector 132 includes a connector body portion 132a and a connector insertion portion 132b.

상기 커넥터 몸체부(132a)는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상기 커넥터 커버와의 결합시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결합돌기들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몸체부(132a)의 하단은 상기 신호선(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신호선(20)으로는 상기 핸드폰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이 전송되며, 그에 따라 상기 신호선(20)은 전원잭(22)에 의해 외부의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전원을 전송한다.The connector body portion 132a has, for exampl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ncludes coupling protrusions for increasing coupling force when the connector body portion is coupled to the connector cover. The lower end of the connector body portion 132a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line 20. Power is supplied to drive the cellular phone to the signal line 20. Accordingly, the signal line 2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by the power jack 22 to transmit power.

상기 커넥터 삽입부(132b)는 상기 커넥터 몸체부(132a)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몸체부(132a)보다 작은 크기의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상 기 커넥터 삽입부(132b)는 상기 휴대폰(10)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132)와 휴대폰(1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커넥터 삽입부(132b)는 또한 상기 제1 하우징부(110)에 형성된 커넥터 연결통로(116)를 통해 소정의 각도로 유동이 가능하다.The connector inserting portion 132b extends to an upper end of the connector body portion 132a and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smaller than the connector body portion 132a. The connector inserting portion 132b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mobile phone 10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nnector 132 and the mobile phone 10. The connector inserting portion 132b may also flow at a predetermined angle through the connector connecting passage 116 formed in the first housing portion 110.

상기 커넥터 커버는 제1 및 제2 서브 커버(134, 136)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커버(134, 136)는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커넥터(132)와 결합된다. The connector cover includes first and second sub covers 134 and 136, and the first and second sub covers 134 and 136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or 132.

상기 제1 서브 커버(134)는 커버 나사홈(134a) 및 회동축 돌기(134b)를 포함하며,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sub-cover 134 includes a cover screw groove 134a and a rotation shaft protrusion 134b, each preferably formed in a pair.

상기 커버 나사홈(134a)으로 커버 나사(40)가 삽입되어, 상기 커버 나사홈(134a)과 후술될 상기 제2 서브 커버(136)의 커버 나사돌기(136a)를 결합시키고, 그 결과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커버(134, 136)는 서로 결합된다.The cover screw 40 is inserted into the cover screw groove 134a, thereby coupling the cover screw groove 134a with the cover screw protrusion 136a of the second sub cover 13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and second sub covers 134 and 136 ar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회동축 돌기(134b)는 상기 제1 서브 커버(134)의 양 측면 상에 서로 대응되도록 한 쌍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축 돌기(134b)는 상기 스프링(138)과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의 회동을 위한 회동축으로 작용한다.The pivot shaft protrusion 134b is formed in a pair to correspond to each other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sub cover 134. The pivot shaft protrusion 134b is coupled to the spring 138 to act as a pivot shaft for pivoting the connector.

상기 제2 서브 커버(136)는 커버 나사돌기(136a), 돌기 연결홈(136b) 및 스프링 고정돌기(136c)를 포함한다.The second sub cover 136 includes a cover screw protrusion 136a, a protrusion connecting groove 136b, and a spring fixing protrusion 136c.

상기 커버 나사돌기(136a)는 상기 커버 나사홈(134a)과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 나사(40)는 상기 커버 나사홈(134a)과 커버 나사돌기(136a)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커버(134, 136)를 서로 결합된다.The cover screw protrusion 136a is formed in a pair corresponding to the cover screw groove 134a, the cover screw 40 by coupling the cover screw groove 134a and the cover screw protrusion 136a, The first and second sub covers 134 and 136 ar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돌기 연결홈(136b)은 상기 제2 서브 커버(136)의 양 측벽에 소정의 깊 이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동축 돌기(134b)와 마주보는 위치에 한 쌍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동축 돌기(134b)의 일부는 상기 돌기 연결홈(136b)으로 삽입되어, 상기 회동축 돌기(134b)와 돌기 연결홈(136b)을 서로 결합시킨다.The protrusion connecting groove 136b is formed by recessing a predetermined depth on both sidewalls of the second sub cover 136, and a pair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pivot shaft protrusion 134b. At this time, a part of the pivot shaft protrusion 134b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connecting groove 136b to couple the pivot shaft protrusion 134b and the protrusion connecting groove 136b to each other.

상기 스프링 고정돌기(136c)는 상기 커버 나사돌기(136a)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서브 커버(136)의 하단에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고정돌기(136c)는 상기 스프링(138)을 고정시키며, 상기 커넥터(132)가 소정의 각도로 회동할 때, 탄성 회동을 가능하도록 한다.The spring fixing protrusion 136c protrud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cover screw protrusion 136a and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sub cover 136. The spring fixing protrusion 136c fixes the spring 138, and when the connector 132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it enables elastic rotation.

상기 스프링(138)은 상기 회동축 돌기(134b)와 결합되어, 상기 회동축 돌기(134b)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탄성을 갖으며 상기 커넥터(132)를 회동시킨다. 상기 스프링(138)은 스프링 코일부(138a), 스프링 지지부(138b) 및 스프링 연결부(138c)를 포함한다.The spring 138 is coupled to the pivot shaft protrusion 134b to have elasticity at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pivot shaft protrusion 134b and to rotate the connector 132. The spring 138 includes a spring coil portion 138a, a spring support 138b and a spring connection portion 138c.

상기 스프링 코일부(138a)는 철심이 원형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적어도 2회 원형으로 구부러져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코일부(138a)는 양쪽으로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동축 돌기(134b)와 결합되어 상기 회동축 돌기(134b)를 중심으로 상기 커넥터(132)를 회동시킨다.The spring coil part 138a is formed by bending an iron core in a circular shape, and preferably is formed by bending at least twice in a circular shape. The spring coil part 138a is formed in a pair on both sides, and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protrusion 134b to rotate the connector 132 about the rotation shaft protrusion 134b.

상기 스프링 지지부(138b)는 상기 스프링 코일부(138a)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커버(134, 136)의 측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한 쌍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지지부(138b)는 상기 제2 하우징부(120)의 스프링 고정부(128b)에 고정되어 상기 커넥터(132)가 상기 회동축 돌기(134b)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터(132)를 지지한다. The spring support part 138b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b covers 134 and 136 from the spring coil part 138a to form a pair. The spring support part 138b is fixed to the spring fixing part 128b of the second housing part 120 to allow the connector 132 to rotate about the pivot shaft protrusion 134b. I support it.

상기 스프링 연결부(138c)는 상기 한 쌍의 스프링 코일부(138b)들 사이를 상기 스프링 지지부(138b)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하여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연결부(138c)는 상기 제2 서브 커버(136)의 스프링 고정돌기(136c)에 고정되어 상기 커넥터(132)를 탄성을 갖으며 회동시킨다.The spring connection part 138c is formed by connecting the pair of spring coil parts 138b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pring support part 138b. The spring connection part 138c is fixed to the spring fixing protrusion 136c of the second sub cover 136 to rotate the connector 132 with elasticity.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140)는 외부로부터 신호 즉, 전파를 수신하여, 수신자의 현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140)는 예를 들어, 지구의 외각에서 회전하고 있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된 전파를 수신한다.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40 receives a signal, that is, a radio wave from the outside, and receives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receiver.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40 receives a radio wave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for example, a satellite that rotates at an outer surface of the earth.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140) 및 제1 하우징부(110) 사이에는 상기 위치정보 신호 연결부(142)이 배치된다. 상기 위치정보 신호 연결부(142)은 상기 커넥터 공간부(114)와 반대쪽 위치인 상기 제1 하우징부(110)의 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위치정보 신호 연결부(142)은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140)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140)는 상기 연결관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The location information signal connection part 142 is disposed betwee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40 and the first housing part 110. The location information signal connection part 142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rst housing part 110 opposite to the connector space part 114. The location information signal connection unit 142 includes a connection pipe for connecting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4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40 rotates around the connection pipe.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140)는 상기 인공위성에서 발생된 전파의 수신율을 높이기 위해 넓은 수신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140)는 회동을 통해 지표면과 수평하게 위치시킴으로서, 보다 넓은 수신면적을 얻을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40 preferably has a large receiving area in order to increase the reception rate of radio waves generated from the satellite. Therefore,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r 140 can obtain a wider reception area by positioning it horizontally with the ground surface through rotation.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회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a는 커넥터 어셈블리가 회동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커넥터 어셈블리가 소정의 각도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 이다.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pivoting state of the connector assembly of FIG. 4. 5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assembly is not rotated, and FIG. 5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assembly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는 상기 스프링(138)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부(120)의 바닥부(122)와 평행한 방향으로 유지된다.Referring to FIG. 5A, the connector assembly 130 is maintain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part 122 of the second housing part 120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138.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스프링 지지부(138a)가 상기 제2 하우징부(120)의 제3 측부(128)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부(128a)에 고정되어 상기 커넥터(132)를 지지한다. 상기 스프링 코일부(138b)는 상기 제1 서브 커버(134)의 회동축 돌기(134b)에 끼어지고, 그에 따라 상기 커넥터(132)는 상기 회동축 돌기(134b)를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상기 스프링 연결부(138c)는 상기 제2 서브 커버(136)의 스프링 고정돌기(136c)에 고정되며, 상기 커넥터(132)를 상기 바닥부(122)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유지시킨다.Specifically, the spring support part 138a is fixed to the spring fixing part 128a formed on the third side part 128 of the second housing part 120 to support the connector 132. The spring coil part 138b is fitted to the pivot shaft protrusion 134b of the first sub cover 134, and thus the connector 132 is rotatable about the pivot shaft protrusion 134b. The spring connection part 138c is fixed to the spring fixing protrusion 136c of the second sub cover 136 and maintains the connector 132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part 122.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는 상기 스프링(138)에 의해 상기 바닥부(122)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동한다. 이때,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가 회동되는 각도는 20도 내지 40도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5B, the connector assembly 13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portion 122 by the spring 138. In this case, the angle in which the connector assembly 130 is rotated preferably has a range of 20 degrees to 40 degrees.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는 외력에 의해 상기 회동축 돌기(134b)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 예를 들어 30도로 회동한다. 일례로, 상기 휴대폰(10)을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에 결합시킬 때 또는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에는 회동 운동을 위한 상기 외력이 작용한다.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는 상기 스프링(138)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된다. 즉,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는 상기 바닥부(122)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복원된다.Specifically, the connector assembly 13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30 degrees around the pivot shaft protrusion 134b by an external force. For example, when the mobile phone 10 is coupled to the connector assembly 130 or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assembly 130,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nnector assembly 130 for a rotational movement.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connector assembly 13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138. That is, the connector assembly 130 is restor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portion 122.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간의 신호흐름을 도면을 이용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1에 있어서 신호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Hereinafter, the signal flow between the components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signal flow in FIG. 1.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핸드폰 거치대(100)는 커넥터 어셈블리(130), 위치정보 수신부(140), 제어부(150), 음성입력장치(30) 및 음성출력장치(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mobile phone holder 100 includes a connector assembly 130, a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40, a controller 150, a voice input device 30, and a voice output device 40.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는 외부의 신호, 예를 들어 전원을 상기 제어부(150) 및 휴대폰(10)으로 입력시킨다.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는 상기 신호선(20)에 의해 상기 전원잭(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원잭(22)은 외부의 전원공급장치, 예를 들어 자동차 내에 형성된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전원잭(22)으로 인가된 전원은 상기 신호선(20)을 통해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130)로 인가되어, 상기 제어부(150) 및 휴대폰(10)으로 전송된다.The connector assembly 130 inputs an external signal, for example, power to the controller 150 and the mobile phone 10. The connector assembly 1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jack 22 by the signal line 20. The power jack 22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device, for example, a power supply device formed in an automobile to receive power. Power applied to the power jack 22 is applied to the connector assembly 130 through the signal line 20 and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50 and the mobile phone 10.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140)는 외부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가 담긴 전파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140)는 3개 이상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 정보를 포함한 전파를 수신한다.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는 제1 인터페이스(50)를 통해 상기 제어부(150)로 전송된다.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40 receives a radio wave contain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satellite. For example,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40 receives radio waves including accurate time and distance information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50 through the first interface 50.

상기 제어부(150)는 핸드폰(10), 커넥터 어셈블리(130), 위치정보 수신부(140), 음성입력장치(30) 및 음성출력장치(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신호의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140)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입력받고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핸드폰(10) 또는 음성출력장치(40)로 인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정보는 제2 인터페이스(60)를 통해 상기 휴대폰(10)으로 전송되며, 상기 휴대폰(10)의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영상신호 및 음성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영상신호는 상기 휴대폰(10)의 표시장치에 의해 외부로 표시되며, 상기 음성신호는 상기 휴대폰(10)의 스피커 또는 상기 음성출력장치(40)에 의해 음성으로 출력된다.The controller 1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10, the connector assembly 130,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40, the voice input device 30 and the voice output device 40, and controls the flow of signals. The controller 150 receives and controls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140, and applies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phone 10 or the voice output device 40. For example, the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phone 10 through the second interface 60, and is converted into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mobile phone 10. The video signal is displayed to the outside by the display device of the mobile phone 10, and the audio signal is output as voice by the speaker of the mobile phone 10 or the audio output device 40.

상기 음성입력장치(30)는 외부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150)로 전송되며, 상기 제어부(150)로 인가된 음성신호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60)를 통해 상기 휴대폰(10)으로 인가된다. 상기 휴대폰(10)은 상기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전파로 변환하여 외부의 다른 휴대폰으로 전송시킨다.The voice input device 30 receives an external voice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150, and the voice signal applied to the controller 150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phone 10 through the second interface 60. Is approved. The mobile phone 10 receives the voice signal, converts it into radio waves and transmits it to another mobile phone outside.

상기 음성출력장치(40)는 상기 제어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50)로부터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외부로 출력시킨다. 예를 들어, 통화시 외부로부터 음성신호가 상기 휴대폰(10)으로 입력되고, 상기 음성신호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60)를 통해 상기 제어부(150)로 인가되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음성출력장치(40)로 인가하여 외부로 출력시킨다.The voice output device 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50 and receives the voice signal from the controller 150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to the outside. For example, during a call, a voice signal is input from the outside to the mobile phone 10, the voice signal is applied to the controller 150 through the second interface 60, and the controller 150 is the voice. The signal is applied to the voice output device 40 and output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상기 핸드폰 거치대(10)의 내부에 배치된 커넥터 어셈블리(130)가 탄성을 갖으며 회동함에 따라, 상기 핸드폰(10)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때 보다 쉽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핸드폰(10) 및 커넥터 어셈블리(130)의 파손을 방지하며, 상기 핸드폰(10) 및 커넥터 어셈블리(130) 사이의 전기적인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such, as the connector assembly 130 disposed inside the mobile phone holder 10 has elasticity and rotates, the mobile phone holder 10 can be easily coupled and separated whe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mobile phone 10 and the connector assembly 130, and improve the electrical contact reliability between the mobile phone 10 and the connector assembly 130.

도 4b 및 도 5b에서는 상기 스프링 지지부(138a)가 상기 스프링 고정부(128b)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상기 스프링 지지부(138a)는 상기 고정홈에 고정되는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스프링 고정부(138a)의 위치도 상기 제2 하우징부(120)의 바닥부(122) 및 제3 측부(128)에 변경되거나 상기 제1 하우징부(110)로 변경될 수 있다.In FIGS. 4B and 5B, the spring support part 138a is fixed to the fixing groove formed in the spring fixing part 128b. Alternatively, the spring support part 138a is not fixed to the fixing groove. Can be fixed in other ways, and the position of the spring fixing part 138a is also changed in the bottom part 122 and the third side part 128 of the second housing part 120 or the first housing part 110. Can be changed to).

도 1에서 도시된 상기 핸드폰 거치대(100)는 핸드폰(10)을 거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와 다르게 상기 핸드폰 거치대(100)는 핸드폰(10) 이외의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 예를 들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단말기 또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ong)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Although the mobile phone holder 100 illustrated in FIG. 1 is illustrated as mounting the mobile phone 10, the mobile phone holder 100 is differen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ther than the mobile phone 10, for example, a PDA (Personal). It can also be applied to Digital Assistants (DMB) terminals or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ong) terminals.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상기 커넥터(132)에는 핀(pin)들이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커넥터(132)는 상기 핸드폰(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핀들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상기 커넥터(132)에는 24핀 커넥터 또는 42핀 커넥터 등이 있다.Although pins are not shown in the connector 132 illustrated in FIGS. 3 and 4, the connector 132 includes pin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ellular phone 10 to exchange signals. For example, the connector 132 includes a 24-pin connector or a 42-pin connecto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드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 교환 및 전원 공급을 수행하는 커넥터 어셈블리가 탄성을 갖으며 회동함에 따라, 핸드폰와 커넥터 어셈블리는 전기적으로 보다 쉽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즉, 두 손을 사용하지 않고, 한 손만으로도 핸드폰을 보다 쉽게 핸드폰 거치대에 결합 및 핸드폰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onnector assemb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to perform signal exchange and power supply is elastic and rotated, the mobile phone and the connector assembly can be electrically coupled and separated more easily. That is, without using two hands, one hand can easily combine the mobile phone with the mobile phone holder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mobile phone.

또한, 커넥터 어셈블리가 회동함에 따라, 핸드폰을 핸드폰 거치대로부터 분리시킬 때 핸드폰 또는 커넥터 어셈블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connector assembly rotat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ellular phone or the connector assembly from being damaged when the mobile phone is separated from the mobile phone holder.

또한, 커넥터 어셈블리가 회동함에 따라, 핸드폰을 핸드폰 거치대에 결합시 킬 때 핸드폰 및 커넥터 어셈블리 사이의 전기적인 접촉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connector assembly is rotated, when the mobile phone is coupled to the mobile phone holder,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electrical contact reliability between the mobile phone and the connector assembly.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등록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Claims (15)

거치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부;A first housing part accommodating the moun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제1 하우징부와의 결합을 통해 수납공간을 정의하는 제2 하우징부; 및A second housing part defining an accommodation space through coupling with the first housing part; And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하고, 일정 각도의 탄성을 갖고서 회동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And a connector assembly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the connector assembl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exchange signals and rotating with a certain angle of elastic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or assembly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신호를 교환하는 커넥터;A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exchange signals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어 커버하며, 양 측면으로 형성된 돌기들을 갖는 커넥터 커버; 및A connector cover coupled to the connector and having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And 상기 돌기들과 결합되어, 상기 돌기들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의 탄성을 갖고서 상기 커넥터를 회동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And a spring coupled to the protrusions to rotate the connector with a certain angle of elasticity around the protrusion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pring 상기 돌기들과 결합되어 상기 돌기들을 중심으로 상기 커넥터를 회동시키는 한 쌍의 스프링 코일부들;A pair of spring coil parts coupled to the protrusions to rotate the connector around the protrusions; 상기 스프링 코일부들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 하우징부와 결합하여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는 한 쌍의 스프링 지지부들; 및A pair of spring supports extending from the spring coil parts and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part to support the connector; And 상기 스프링 코일부들 사이를 연결하여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커버의 일부에 고정되어 상기 커넥터를 탄성을 갖으며 회동시키는 스프링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And a spring connection part formed by connecting between the spring coil parts and fixed to a part of the connector cover to rotate the connector with elasticit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커버는 상기 스프링 연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스프링 고정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The mobile terminal holder of claim 3, wherein the connector cover includes a spring fix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spring connecting part to fix the connecting pa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부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에지로부터 마주보도록 연장된 제1 및 제2 측부와, 상기 바닥부의 에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측부를 연결하는 제3 측부를 포함하며,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housing portion comprises a bottom portion, first and second sides extending from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and extending from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and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ides. Includes 3 sides, 상기 제3 측부는 상기 스프링 지지부들과 결합되기 위한 한 쌍의 스프링 고정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And the third side portion comprises a pair of spring fixing portions for engaging with the spring suppor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커버는 제1 및 제2 서브 커버를 포함하고,3. The connector of claim 2, wherein the connector cover comprises first and second sub covers,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커버는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And the first and second sub-cov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being coupled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부에는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lder of claim 1, wherein a connection passage is formed in the first housing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nnector assembly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외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제공받는 위치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The mobile terminal holde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receiving location signals and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The mobile terminal of claim 8, 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receives the signal from a satelli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 및 제1 하우징부 사이에는 위치정보 신호 연결부가 배치되며,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는 상기 위치정보 신호 연결부를 중심을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The mobile terminal holder of claim 8, wherein a location information signal connection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and the first housing uni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rotates around the location information signal connec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부에는 외부의 음성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인가시키는 음성입력장치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lder of claim 1, wherein a voice input device for applying an external voice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posed in the first hous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부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음성신호를 인가받아 외부로 출력시키는 음성출력장치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거치대.The mobi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a voice output device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utputting the voice signal to the outside is disposed in the first housing unit. 거치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용하는 단말기 거치부;A terminal holder for accommod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단말기 거치부와 결합을 통해 수납공간을 정의하는 단말기 커버부;A terminal cover unit defining an accommodation space through coupling with the terminal holder;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하는 커넥터;A connector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exchange signals; 상기 커넥터를 커버하여 고정시키는 커넥터 커버; 및A connector cover to cover and fix the connector; And 상기 단말기 커버부에 고정되어 지지되며, 상기 커넥터 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를 일정 각도의 탄성을 갖도록 회동시키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And a rotating member fixed to the terminal cover and coupled to the connector cover to rotate the connector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of elasticity.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The mobile terminal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 signal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to transmit the signal. 제13항에 있어서, 외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제공받는 위치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The mobile terminal holder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and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KR1020050036192A 2005-04-29 2005-04-29 Hand phone cradle KR1007012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192A KR100701233B1 (en) 2005-04-29 2005-04-29 Hand phone cra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192A KR100701233B1 (en) 2005-04-29 2005-04-29 Hand phone crad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184A KR20060114184A (en) 2006-11-06
KR100701233B1 true KR100701233B1 (en) 2007-03-29

Family

ID=37651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6192A KR100701233B1 (en) 2005-04-29 2005-04-29 Hand phone cra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123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055B1 (en) 2009-03-17 2011-03-24 (주)상영이텍 Gender Changer for Handphone
KR101159443B1 (en) 2010-04-28 2012-06-22 주인선 A mobile phone charg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880B1 (en) * 2006-09-08 2007-07-30 주식회사대성엘텍 Portable terminal stand for vehicl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840A (en) * 2004-12-06 2006-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Horizontal/longitudinal combination type charging crad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840A (en) * 2004-12-06 2006-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Horizontal/longitudinal combination type charging cradl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6006284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055B1 (en) 2009-03-17 2011-03-24 (주)상영이텍 Gender Changer for Handphone
KR101159443B1 (en) 2010-04-28 2012-06-22 주인선 A mobile phone char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184A (en) 2006-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1563B2 (en) Docking station for electronic device
CN101425647B (en)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with antenna capabilities
CN101174163B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P2722936B1 (en) Plug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KR100617737B1 (en) Portable terminal for gmpcs
KR20130079978A (en) Mobile apparatus
KR20080089214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bettery charger and adaptor to set portable terminal device thereon
CN113891590B (en) Middle frame and mobile terminal
KR100701233B1 (en) Hand phone cradle
JP4350699B2 (en) Mobile phone charger and electronic device charger
US6424842B1 (en) Dual function connector for cellular phones
KR100752727B1 (en) Cellular phone case have a mobile phone function
US11635788B2 (en) Mobile terminal and host device thereof
KR100800713B1 (en) Portable terminal
US20090124307A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20090003921U (en) Portablecommunication terminal charger
JP312242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attery pack and connector
CN112737029B (en) Charging seat of electronic equipment
JPH113139A (en) Terminal information processor and supporting stand device therefor
KR200423544Y1 (en) Multifunction DMB cellular phone supporter
WO2009045033A2 (en) Swing hinge for use in radio telephone
CN210780916U (en) Mobile terminal
US20030073346A1 (en) Charge adapter
KR100664252B1 (en) Support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219578420U (en) Earphone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