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5682B1 -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phase-change memory device having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ase-change memory device - Google Patents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phase-change memory device having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ase-change memor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5682B1
KR100695682B1 KR1020040117658A KR20040117658A KR100695682B1 KR 100695682 B1 KR100695682 B1 KR 100695682B1 KR 1020040117658 A KR1020040117658 A KR 1020040117658A KR 20040117658 A KR20040117658 A KR 20040117658A KR 100695682 B1 KR100695682 B1 KR 100695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resistance
resistance member
phase change
lower electrod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76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79455A (en
Inventor
황철성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40117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5682B1/en
Publication of KR20060079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4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6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20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 H10N70/231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based on solid-state phase change, e.g. between amorphous and crystalline phases, Ovshinsky effec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061Shaping switch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21Device geometry
    • H10N70/826Device geometry adapted for essentially vertical current flow, e.g. sandwich or pillar typ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2Compounds of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e.g. chalcogenides
    • H10N70/8825Selenides, e.g. GeS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2Compounds of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e.g. chalcogenides
    • H10N70/8828Tellurides, e.g. GeSb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가변 저항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가 개시된다. 하부 전극을 형성한 후, 하부 전극 상에 하부, 하부 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중앙부 및 하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적을 갖는 상부를 포함하는 가변 저항 부재를 형성한다. 가변 저항 부재 상에는 상부 전극이 형성된다. 중앙부가 상부 및 하부에 비하여 작은 면적을 갖는 가변저항 부재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상변화 영역이 하부 전극으로부터 이격되어 가변 저항 부재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형성된다. 반복적인 상변화 과정에서도 상변화에 기인하는 가변 저항 부재의 부피 변화의 의한 응력이 하부 전극에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가변 저항 구조물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변화에 요구되는 열이 하부 전극과 가변 저항 부재의 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가변 저항 부재의 중앙부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열에 의하여 하부 전극의 구성 원자들이 가변 저항 부재 내로 확산되어 가변 저항 부재의 비저항이 변화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가변 저항 부재의 중앙부에서만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종래의 상변화 메모리 장치가 갖는 높은 상전이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A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and a phase change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are disclosed. After forming the lower electrode, a variable resistance member including a lower portion, a central portion having a smaller area than the lower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having an area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lower portion is formed. An upper electrode is formed o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having a central area smaller than thos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 phase change region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lectrode to form a center portion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Even in the repetitive phase change process, the stress caused by the volume change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due to the phase change is prevented from being concentrated on the lower electrode,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of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In addition, since the heat required for the phase change is generated at the center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interface between the lower electrode and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the constituent atoms of the lower electrode are diffused into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due to this heat, so that the resistivity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is reduced. This changin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Furthermore, since heat is generated only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the high phase transition current of the conventional phase change memory device can be reduced.

Description

가변 저항 구조물,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PHASE-CHANGE MEMORY DEVICE HAVING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ASE-CHANGE MEMORY DEVICE}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PHASE-CHANGE MEMORY DEVICE HAVING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ASE- CHANGE MEMORY DEVICE}

도 1은 종래의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phase change memory device.

도 2a 및 도 2b는 각기 종래의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상변화 영역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2A and 2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phase change regions of a conventional phase change memory device, respectivel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저항 구조물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e는 도 3에 도시한 가변 저항 구조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4A through 4E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illustrated in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저항 구조물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d는 도 5에 도시한 가변 저항 구조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6A through 6D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illustrated in FIG. 5.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저항 구조물의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에 도시한 가변 저항 구조물의 일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8A to 8C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illustrated in FIG. 7.

도 9a 내지 도 9d는 도 7에 도시한 가변 저항 구조물의 다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9A to 9D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oth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illustrated in FIG. 7.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저항 구조물의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hase change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a 내지 도 12e는 도 11에 도시한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12A through 12E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ase change memory device shown in FIG. 11.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이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hase change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a 내지 도 14c는 도 13에 도시한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14A to 14C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ase change memory device shown in FIG. 13.

도 14a 내지 도 14d는 도 12에 도시한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14A to 14D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ase change memory device shown in FIG. 12.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50, 200, 250, 300, 650:가변 저항 구조물 150, 200, 250, 300, 650 :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155, 205, 255, 305, 655:층간 절연막155, 205, 255, 305, 655: interlayer insulation film

160, 210, 260, 310, 660:패드 160, 210, 260, 310, 660: Pad

165, 265, 425, 575, 665:추가 절연 패턴165, 265, 425, 575, 665 : Additional insulation pattern

170, 215, 270, 315, 430, 580, 670:하부 전극170, 215, 270, 315, 430, 580, 670: lower electrode

175, 220, 275, 320, 435, 585, 675:제1 절연 패턴175, 220, 275, 320, 435, 585, 675: First insulation pattern

180, 230, 295, 340, 460, 610, 695:가변 저항 부재180, 230, 295, 340, 460, 610, 695: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a, 230a 295a, 340a, 460a, 610a, 695a:가변 저항 부재의 상부180a, 230a 295a, 340a, 460a, 610a, 695a: upper part of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b, 230b, 295b, 340b, 460b, 610b, 695b:가변 저항 부재의 중앙부180b, 230b, 295b, 340b, 460b, 610b, 695b: center portion of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c, 230c, 295c, 340c, 460c, 610c, 695c:가변 저항 부재의 하부180c, 230c, 295c, 340c, 460c, 610c, 695c: lower part of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5, 235, 280, 325, 440, 590, 680:제2 절연 패턴185, 235, 280, 325, 440, 590, 680: Second insulation pattern

190, 240, 297, 345, 465, 615, 700:상부 전극190, 240, 297, 345, 465, 615, 700: upper electrode

195, 245, 285, 330, 445, 595, 685:제3 절연 패턴195, 245, 285, 330, 445, 595, 685: Third insulation pattern

196, 246, 290, 335, 450, 600, 690:보호 부재196, 246, 290, 335, 450, 600, 690: Protective member

350, 500:반도체 기판 355, 505:소자 분리막350, 500: semiconductor substrate 355, 505: device isolation film

360, 510:게이트 절연막 패턴 365, 515:게이트 전극360, 510: gate insulating film pattern 365, 515: gate electrode

370, 520:게이트 마스크 375, 525:게이트 스페이서370 and 520 gate masks 375 and 525 gate spacers

380, 530:게이트 구조물 385, 535:제1 콘택 영역380 and 530: Gate structure 385 and 535: First contact area

390, 540:제2 콘택 영역 395, 545:제1 층간 절연막390 and 540: second contact regions 395 and 545: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400, 550:제1 패드 405, 555:제2 패드400, 550: 1st pad 405, 555: 2nd pad

410, 560:하부 배선 415, 565:제2 층간 절연막410 and 560: lower wirings 415 and 565: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420, 570:제3 패드 470, 630:제3 층간 절연막420 and 570: third pad 470 and 630: third interlayer insulating film

475, 625:상부 배선475, 625: upper wiring

본 발명은 가변 저항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가변 저항 구조물, 이의 제조 방 법, 이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and a phase change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 phase change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최근 들어 대용량의 정보를 무선으로 처리하는 휴대 정보통신 시스템 및 기기의 개발에 적합한 초고속ㆍ대용량ㆍ저 소비전력 등의 특성을 구비하는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필요성이 크게 요구되고 있다.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종래의 플래시(flash) 메모리 장치의 비휘발성, SRAM 장치의 고속 동작, DRAM 장치의 고집적성 등을 구비하면서도 더 낮은 소비 전력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는 종래의 메모리 장치에 비하여 전력, 데이터의 유지와 기입/독취(writing/reading) 특성이 우수한 FRAM 소자, MRAM 소자, PRAM 소자 또는 NFGM 소자 등이 연구되고 있다. 이들 차세대 메모리 장치 가운데 PRAM 장치(상변화 메모리 장치)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저렴한 비용으로 고집적도로 제조할 수 있으며, 고속 동작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기 때문에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 근래 들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Recently, there is a great demand for a next-generatio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characteristics such as ultra-high speed, large capacity, and low power consumption, which are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s and devices that wirelessly process large amounts of information. Next-generation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should have characteristics such as non-volatileness of conventional flash memory devices, high speed operation of SRAM devices, high integration of DRAM devices, and the like, and lower power consumption. As such next-generation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FRAM devices, MRAM devices, PRAM devices, or NFGM devices, which have superior power, data retention, and writing / reading characteristics, have been studi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mory devices. Among these next-generation memory devices, PRAM devices (phase change memory devices) have a simple structure,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high density, and have high-speed operation, and are being actively researched as next-generation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일반적으로 상변화 메모리 장치는 인가되는 전류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따라 그 결정 상태가 변하는 상변화 물질을 사용한다. 상변화 메모리 장치에 적용되는 상변화 물질로서는 통상적으로 게르마늄(Ge), 안티몬(antimony: Sb) 및 텔루르(tellurium: Te) 등으로 구성된 칼코겐 화합물(Ge-Sb-Te; GST)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GST와 같은 상변화 물질은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 및 공급 시간에 기인하는 열에 의하여 그 결정 상태가 변하게 된다. 대체로 GST는 아몰퍼스 상태에서 높은 비저항을 갖는 반면 결정 상태에서는 낮은 비저항을 가지는 것과 같이 GST는 상태 변화에 따라서 비저항의 크기가 변하기 때문에 이러한 GST의 비저항의 변화를 이용하 여 상변화 메모리 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GST를 이용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는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2003-86820호, 미국특허 제6,531,373호 및 미국특허 제6,569,705호 등에 제시되어 있다.In general, a phase change memory device uses a phase change material whose crystal state changes according to heat generated from an applied current. As a phase change material applied to a phase change memory device, a chalcogen compound (Ge-Sb-Te; GST) composed of germanium (Ge),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the like is commonly used. . A phase change material such as GST changes its crystal state by heat due to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supplied and the supply time. In general, since GST has a high resistivity in an amorphous state and a low resistivity in a crystalline state, since the magnitude of the resistivity changes with a change of state, the change of the resistivity of the GST can be used to store data in a phase change memory device. have. Phase change memory devices using GST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3-86820, US Patent No. 6,531,373, and US Patent No. 6,569,705.

도 1은 상기 대한민국 공개 특허에 개시된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1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hase change memory device disclosed in the Korean Laid-Open Patent.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상변화 메모리 장치는 소자 분리막(10)에 의해 액티브 영역이 정의된 반도체 기판(5)의 상부에 형성된 데이터 저장 요소(8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phase change memory device includes a data storage element 80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semiconductor substrate 5 in which an active region is defined by an isolation layer 10.

반도체 기판(5) 상에는 워드 라인들(15)이 형성되며, 워드 라인들(15) 사이의 반도체 기판(5) 표면에는 제1 및 제2 콘택 영역(20, 25)이 형성된다. 하부 층간 절연막은 반도체 기판(5)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1 층간 절연막(30) 및 제2 층간 절연막(50)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층간 절연막에는 제1 및 제2 층간 절연막(30, 50)을 관통하여 반도체 기판(5)에 마련된 제1 콘택 영역(20)을 노출시키는 제1 콘택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콘택 홀 내에는 제1 콘택 영역(20)에 접촉되는 제1 플러그(35) 및 제1 플러그(35) 상에 형성된 제2 플러그(55)를 구비하는 스토리지 노드 플러그(60)가 제공된다. 제1 층간 절연막(30)을 관통하여 제2 콘택 영역(25)에 접촉되는 비트 라인 패드(40)가 형성되며, 비트 라인 패드(40) 상에는 비트 라인(45)이 형성된다.Word lines 15 are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5, and first and second contact regions 20 and 25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5 between the word lines 15. The lower interlayer insulating film includes a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30 and a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50 sequential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5. A first contact hole is formed in the low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to expose the first contact region 20 provided i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5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s 30 and 50. There is provided a storage node plug 60 having a first plug 35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region 20 and a second plug 55 formed on the first plug 35. The bit line pad 40 penetrating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30 to contact the second contact region 25 is formed, and the bit line 45 is formed on the bit line pad 40.

비트 라인(45) 및 워드 라인(15)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5)의 상부에는 제2 층간 절연막(50)이 형성되며, 데이터 저장 요소(80)는 제2 층간 절연막(50)을 포함 하는 상기 하부 층간 절연막 상에 위치한다.A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50 is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5 on which the bit line 45 and the word line 15 are formed, and the data storage element 80 includes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50. It is located on the lower interlayer insulating film.

데이터 저장 요소(80)는 스토리지 노드 플러그(60) 상에 차례로 형성된 제1 배리어막 패턴(65), 상변화 물질층 패턴(70) 및 산화 보호막 패턴(75)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변화 물질층 패턴(70)은 온도에 따라 2개의 안정한 상(phase)을 갖는 물질, 예를 들면, 게르마늄-안티몬-텔루르(Ge-Sb-Te)로 이루어진다. 제1 배리어막 패턴(65)은 상변화 물질층 패턴(70)과 반응하지 않도록 금속 질화물로 구성된다. 산화 보호막 패턴(75)은 상변화 물질층 패턴(70)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리콘 질화물, 붕소 질화물, 실리콘 탄화물 또는 황화 아연 등으로 구성된다.The data storage element 80 includes a first barrier layer pattern 65, a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70, and an oxide protective layer pattern 75 that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storage node plug 60. Here,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7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two stable phases, for example, germanium-antimony-tellurium (Ge-Sb-Te), depending on temperature. The first barrier layer pattern 65 is made of metal nitride so as not to react with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70. The oxide protective layer pattern 75 is made of silicon nitride, boron nitride, silicon carbide, zinc sulfide, or the like to prevent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70 from being oxidized.

데이터 저장 요소(80)는 상부 층간 절연막(85)으로 덮여지며, 상부 층간 절연막(85)에는 데이터 저장 요소(80)의 상변화 물질층 패턴(70)을 노출시키는 플레이트 전극 콘택 홀이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 전극 콘택 홀의 내벽 상에는 스페이서(90)가 마련된다. 상기 플레이트 전극 콘택 홀을 채우면서 상부 층간 절연막(85) 상에는 금속 질화물로 구성된 제2 배리어막 패턴(95)이 형성되며, 제2 배리어막 패턴(95) 상에는 플레이트 전극(10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데이터 저장 요소(80)에 데이터를 기입하기 위하여 상변화 물질층 패턴(70)에 열을 가하면 제2 배리어막 패턴(95)과 접촉하는 상변화 물질층 패턴(70)의 일부가 결정 상태 또는 비정질 상태로 변하게 된다.The data storage element 80 is covered with an upp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85, and plate electrode contact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85 to expose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70 of the data storage element 80. The spacer 90 is provided on an inner wall of the plate electrode contact hole. The second barrier layer pattern 95 made of metal nitride is formed on the upp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85 while filling the plate electrode contact hole, and the plate electrode 100 is formed on the second barrier layer pattern 95. Part of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70 in contact with the second barrier layer pattern 95 when heat is applied to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70 in order to write data in the data storage element 80 having such a structure. Changes to a crystalline state or an amorphous state.

그러나, 종래의 상변화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변화 물질층 내의 상변화 영역이 도전체와 접촉되는 계면을 중심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변화 물질층이 도전체로부터 이탈되거나 도전체가 손상을 입어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신뢰성을 저하시 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전술한 구조를 갖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에서는 발생되는 열이 하부 전극을 통해 손실되기 때문에, 상변화 물질층 내의 상변화 영역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전류량이 스위치로 사용되는 트랜지스터가 공급할 수 있는 한계를 초과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전술한 종래의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문제점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hase change memory device, since the phase change region in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is formed around the interface in contact with the conductor,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is separated from the conductor or the conductor is damaged to cause the phase change memory. There is a problem that reduces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In addition, in the phase change memory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since the heat generated is lost through the lower electrode, the amount of current required to form the phase change region in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can supply the limit that the transistor used as the switch can supply. Excessive serious problems aris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phase change memory device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a는 종래의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상변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2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hase change area of a conventional phase change memory device.

도 2a를 참조하면, 하부 도전체(105) 상에 상변화 물질층(110)이 형성된 종래의 상변화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변화 물질층(110)의 상변화 영역(115)은 하부 도전체(105)에 접촉되는 부위를 중심으로 극히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즉, 하부 도전체(105)와 상변화 물질층(110) 간의 계면(120)이 열 공급원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변화 물질층(110) 내의 상변화 영역(115)은 이러한 계면(120)으로부터 형성된다. 상변화 물질층(110)이 비정질 상태에서 결정 상태로 변화하거나 결정 상태에서 비정질 상태로 변화할 때는 큰 부피 변화를 수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변화 물질층(110) 내에 여러 차례 상변화 영역(115)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상변화 물질층(110)과 하부 도전체(105) 사이의 계면(120)에 큰 응력(stress)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응력에 기인하여 상변화 물질층(110)과 하부 도전체(105)가 서로 분리되는 문제점이 야기되며, 하부 도전체(105)의 응력에 의한 기계적인 파괴도 유발될 수 있어, 결국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장기 신뢰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하부 전극(105)과 상변화 물질층(110)의 접촉 부위에서 발생하는 열이 도전체로 구성 되어 큰 열전도도를 갖는 하부 전극(105)을 통하여 손실됨으로써, 상변화 영역(115)을 비정질 상태에서 결정 상태로 변화시키거나 결정 상태에서 비정질 상태로 변화시키는 데 요구되는 전류량을 과도하게 증가시키게 된다. Referring to FIG. 2A, in the conventional phase change memory device in which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110 is formed on the lower conductor 105, the phase change region 115 of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110 may be a lower conductor. It is formed at least partially around the portion in contact with 105. That is, since the interface 120 between the lower conductor 105 and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110 serves as a heat source, the phase change region 115 in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110 is formed from the interface 120. do. When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110 changes from an amorphous state to a crystalline state or changes from a crystalline state to an amorphous state, it is accompanied by a large volume change. Accordingly, a large stress at the interface 120 between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110 and the lower conductor 105 dur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phase change region 115 several times in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110. This will occur. Due to such stress,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110 and the lower conductor 105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mechanical breakdown due to the stress of the lower conductor 105 may also be caused, resulting in phase change. The long term reliability of the memory device is adversely affected. In addition, heat generated at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lower electrode 105 and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110 is lost through the lower electrode 105 having a large thermal conductivity, which is composed of a conductor, thereby making the phase change region 115 amorphous. The amount of current required to change from a state to a crystalline state or from a crystalline state to an amorphous state is excessively increas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전극(125)과 상부 전극(135) 사이에 콘택 홀(128)을 갖는 추가 도전층(130)을 형성한 다음, 콘택 홀(128) 내에 상변화 물질층(145)을 매립하여 열 손실을 줄이고 신뢰도를 높이려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는, 일반적으로 전산 모사 결과에 의할 경우에 상변화 물질층(145)의 주 발열 부분이 상부 전극(135)과 추가 도전층(130) 및 하부 전극(125)과 추가 도전층(130) 사이의 계면(140)으로부터 이격되는 콘택 홀(145)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부 전극(135)과 하부 전극(125)의 구조적 열화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s shown in FIG. 2B, an additional conductive layer 130 having a contact hole 128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lectrode 125 and the upper electrode 135. A phase change memory device for embedding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145 in the 128 to reduce heat loss and increase reliability is proposed. In the phase change memory device having such a structure, in general, the main heating portion of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145 may have the upper electrode 135, the additional conductive layer 130, and the lower electrode 125 based on the computer simulation results. Because it is located in the contact hole 145 spaced apart from the interface 140 between the and the additional conductive layer 130, it is expected that the structural degradation of the upper electrode 135 and the lower electrode 125 can be prevented.

그러나,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택 홀(128) 내의 상변화 물질층(145)을 통하여 전류가 흐르는 단면적의 크기가 일정한 구조에서는, 상변화 물질층(145) 전체에서 균일한 발열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주 발열 부분이 콘택 홀(128)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는 이유는 역설적으로 상부 및 하부 전극(135, 125)에 접촉되는 추가 도전층(130)을 통하여 열의 손실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부 전극(135) 및 하부 전극(125)의 열화는 방지할 수 있으나, 상변화 물질층(145) 내에 상변화 영역을 결정 상태에서 비정질 상태로 변화시키거나 비정질 상태에서 결정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전류 소모가 큰 문제는 여전히 해결할 수 없다.However, as shown in FIG. 2B, in a structure in which the size of the cross-sectional area in which current flows through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145 in the contact hole 128 is constant, uniform heat generation may be generated throughout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145. The reason why the main heating portion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ntact hole 128 in spite of being absent is that there is a loss of heat through the additional conductive layer 130 which is paradoxically in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135, 125. Accordingly, deterioration of the upper electrode 135 and the lower electrode 125 may be prevented, but the phase change region in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145 may be changed from a crystalline state to an amorphous state or from an amorphous state to a crystalline stat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urrent consumption is still large.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반복적인 상변화 과정에서도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소모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가변 저항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that can maintain reliability even in a repetitive phase change process and can reduce current consumption.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반복적인 상변화 과정에서도 신뢰성이 유지할 수 있으며, 소모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가변 저항 구조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that can maintain reliability even in a repetitive phase change process and can reduce current consumption.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반복적인 상변화 과정에서도 신뢰성이 유지할 수 있으며, 소모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가변 저항 구조물을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se change memory device including a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that can maintain reliability even in an iterative phase change process and can reduce current consumption.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반복적인 상변화 과정에서도 신뢰성이 유지할 수 있으며, 소모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가변 저항 구조물을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hase change memory device including a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that can maintain reliability even in an iterative phase change process and can reduce current consumption.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저항 구조물은, 하부 전극, 상기 하부 전극 상에 위치하는 하부, 상기 하부 상에 위치하며 양측으로부터 형성된 리세스를 갖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 상에 위치하는 상부를 구비하는 가변 저항 부재, 그리고 상기 가변 저항 부재 상에 형성된 상부 전극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변 저항 부재의 상부 및 하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중앙부의 리세스는 상기 상부 및 하부의 폭의 약 1/4 내지 약 2/5 정도의 폭을 갖는다. 상기 가변 저항 구조물은 상기 가변 저항 저항 부재를 감싸는 보호 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가변 저항 부재의 하부, 중앙부 및 상부를 각기 매립하는 제1 절연 패턴, 제2 절연 패턴 및 제3 절연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절연 패턴은 상기 상부 전극을 더 매립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wer electrode, a lower portion positioned on the lower electrode, a recess formed on both sides and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lectrode It includes a central portion having a variable resistance member having an upper portion positioned on the central portion, and an upper electrode formed o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Her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have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and the recess of the central portion has a width of about 1/4 to about 2/5 of the widt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protection member surrounding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In this case, the protection member includes a first insulating pattern, a second insulating pattern, and a third insulating pattern which respectively fill the lower portion, the cent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The third insulating pattern further fills the upper electrode.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저항 구조물은, 하부 전극, 상기 하부 전극 상에 위치하며 제1 면적을 갖는 하부, 상기 하부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면적 보다 작은 제2 면적을 갖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3 면적을 갖는 상부를 구비하는 가변 저항 부재, 그리고 상기 가변 저항 부재 상에 형성된 상부 전극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가변 저항 부재의 중앙부의 폭은 상기 상부 및 하부의 폭의 약 1/10 내지 약 1/2 정도가 된다. 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lectrode, the lower electrode located on the lower electrode and having a first area, on the lower A variable resistance member having a center portion positioned on the center portion and having a second area smaller than the first area, an upper portion positioned on the center portion and having a third area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area, and formed o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And an upper electrode.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is about 1/10 to about 1/2 of the widt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구조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하부 전극을 형성한 후, 상기 하부 전극 상에 하부, 상기 하부 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중앙부 및 상기 하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적을 갖는 상부를 포함하는 가변 저항 부재를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가변 저항 부재 상에 상부 전극을 형성한다. 여기서, 층간 절연막 상에 하부 개구를 갖는 절연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개구를 채우면서 상가 절연 패턴 상에 제1 도전막을 형성한 후, 상기 제1 도전막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개구에 매립되는 상기 하부 전극을 형성한다. 상기 가변 저항 부재와 함께 또는 상기 가변 저항 부재를 형성하기 전에 상기 가변 저항 부재를 감싸는 보호 부재가 더 형 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forming the lower electrode, the lower area on the lower electrode, smaller than the lower area And a variable resistance member including a central portion having an upper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having an area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lower portion. Subsequently, an upper electrode is formed o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Here, an insulating pattern having a lower opening is form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a first conductive film is formed on the malleable insulating pattern while filling the lower opening, and then the first conductive film is partially removed to fill the opening. The lower electrode is formed. A protective member surrounding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is further formed together with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or before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is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하부 전극 상에 제1 절연막, 제2 절연막 및 제3 절연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상기 제1 절연막, 제2 절연막 및 제3 절연막을 차례로 패터닝하여 전체적으로 상기 하부 전극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갖는 제1 절연 패턴, 제2 절연 패턴 및 제3 절연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부 전극 상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절연 패턴은 상기 제1 및 제3 절연 패턴에 보다 상기 하부 전극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가변 저항 부재는 화학 기상 증착 공정, 플라즈마 증대 화학 기상 증착 공정 또는 원자층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개구를 칼코겐 화합물로 매립하여 형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member sequentially forms a first insulating film, a second insulating film, and a third insulating film on the lower electrode, and then sequentially turns the first insulating film, the second insulating film, and the third insulating film. It is formed on the lower electrode by patterning to form a first insulating pattern, a second insulating pattern and a third insulating pattern having openings that expose the lower electrode as a whole.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may protrude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lower electrode more than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patterns, and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may be formed by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or an atomic layer deposition process. And the opening is embedded with a chalcogenide compoun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전극 상에 제1 개구를 갖는 제1 절연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개구를 매립하는 제1 상변화 물질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1 절연 패턴 및 상기 제1 상변화 물질층 상에 제2 개구를 갖는 제2 절연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개구를 매립하는 제2 상변화 물질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제2 절연 패턴 및 상기 제2 상변화 물질층 상에 제3 상변화 물질층을 형성하여 상기 보호 부재 및 상기 가변 저항 부재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상변화 물질층들은 각기 스퍼터링 공정, 진공 증착 공정 또는 펄스 레이저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상부 전극을 덮는 제3 절연 패턴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insulating pattern having a first opening is formed on the lower electrode, a first phase change material layer filling the first opening is formed, and then the first insulating pattern is formed. And forming a second insulating pattern having a second opening on the first phase change material layer, and forming a secon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filling the second opening. Subsequently, a thir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is formed on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and the secon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to form the protective member and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The first to third phase change material layers may be formed using a sputtering process, a vacuum deposition process, or a pulse laser deposition proces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rotection member further includes a third insulating pattern covering the upper electrode.

상술한 본 발명의 제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는, 콘택 영역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 상기 콘택 영 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부 전극, 상기 하부 전극 상에 위치하며 제1 면적을 갖는 하부, 상기 하부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면적 보다 작은 제2 면적을 갖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3 면적을 갖는 상부를 구비하는 가변 저항 부재, 그리고 상기 가변 저항 부재 상에 형성된 상부 전극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변 저항 부재를 감싸는 보호 부재를 구비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hase change memory devic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miconductor substrate on which a contact region is formed, a lower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region, and the lower electrode. A lower portion having a first area and having a first area, a central portion having a second area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and having a smaller area than the first area, an upper portion having a third area located at the central portion and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area as the first area It includes a variable resistance member having a, and an upper electrode formed o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Here, the protective member surrounding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is provided.

전술한 본 발명의 제4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 상에 콘택 영역을 형성한 후, 상기 콘택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부 전극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하부 전극 상에, 제1 면적을 갖는 하부, 상기 하부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면적 보다 작은 제2 면적을 갖는 중앙부, 상기 중앙부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3 면적을 갖는 상부를 구비하는 가변 저항 부재를 형성한다. 계속하여, 상기 가변 저항 부재 상에 상부 전극을 형성한다. 상기 가변 저항 부재는 상기 가변 저항 부재를 매립하는 보호 부재와 동시에 또는 보호 부재를 먼저 형성한 후에 형성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hase change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forming a contact region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region The lower electrode is formed. Subsequently, on the lower electrode, a lower portion having a first area, a central portion located on the lower portion and having a second area smaller than the first area, a third portion located on the central portion and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area. A variable resistance member having an upper portion having an area is formed. Subsequently, an upper electrode is formed o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is 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protection member for embedding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or after the protection member is first formed.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부가 상부 및 하부에 비하여 작은 면적을 갖는 가변저항 부재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상변화 영역이 하부 전극으로부터 이격되어 가변 저항 부재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반복적인 상변화 과정에서도 상변화에 기인하는 가변 저항 부재의 부피 변화의 의한 응력이 하부 전극에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가변 저항 구조물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변화에 요구되는 열이 하부 전극과 가변 저항 부재의 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가변 저항 부재의 중앙부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열에 의하여 하부 전극의 구성 원자들이 가변 저항 부재 내로 확산되어 가변 저항 부재의 비저항이 감소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변화 영역이 전극에 접촉되지 않고 하부 전극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가변 저항 부재가 하부 전극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이와 같은 가변 저항 구조물을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전기적인 특성 및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열 발생부가 주요한 열 손실의 통로가 되는 상부 및 하부 전극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열 손실이 최소화되어 상변화 영역을 결정 상태에서 비정질 상태로 변화시키거나 비정질 상태에서 결정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요구되는 전류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having a central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 phase change region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lectrode to form the center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Accordingly, even in an iterative phase change process, the stress due to the volume change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due to the phase change is prevented from being concentrated on the lower electrod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In addition, since the heat required for the phase change is generated at the center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interface between the lower electrode and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the constituent atoms of the lower electrode are diffused into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due to this heat, so that the resistivity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is reduced. This decreasin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Furthermore, since the phase change region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lectrode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ower electrode. As a result,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reliability of the phase change memory device including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may be greatly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heat generating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which are the main paths of heat loss, the heat loss is minimized so that the amount of current required to change the phase change region from the crystalline state to the amorphous state or from the amorphous state to the crystalline state Can be reduc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 저항 구조물,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 phase change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ot limited or restricted by.

가변 저항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저항 구조물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3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저항 구조물(150)은 하 부 전극(170), 가변 저항 부재(180), 보호 부재(196) 및 상부 전극(195)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3,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15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lower electrode 170, a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a protection member 196, and an upper electrode 195.

하부 전극(170)은 플러그(160)가 매립된 층간 절연막(155) 상에 형성된다. 플러그(160)는 반도체 기판(도시되지 않음)의 콘택 영역에 접촉되어, 하부 전극(170)과 상기 콘택 영역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The lower electrode 170 is form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55 with the plug 160 embedded therein. The plug 160 contacts the contact region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not shown) to electrically connect the lower electrode 170 and the contact region.

하부 전극(170)은 질소를 함유하는 도전성 물질, 도핑된 폴리실리콘, 금속 실리사이드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질소를 함유하는 도전성 물질은 티타늄 질화물(TiN), 탄탈륨 질화물(TaN), 니오븀 질화물(NbN), 몰리브덴 질화물(MoN), 티타늄-실리콘 질화물(TiSiN), 티타늄-알루미늄 질화물(TiAlN), 티타늄-붕소 질화물(TiBN), 지르코늄-실리콘 질화물(ZrSiN), 텅스텐-실리콘 질화물(WSiN), 텅스텐-붕소 질화물(WBN), 지르코늄-알루미늄 질화물(ZrAlN), 몰리브덴-실리콘 질화물(MoSiN), 몰리브덴-알루미늄 질화물(MoAlN), 탄탈륨-실리콘 질화물(TaSiN), 탄탈륨-알루미늄 질화물(TaAlN), 티타늄 산질화물(TiON), 티타늄-알루미늄 산질화물(TiAlON), 텅스텐 산질화물(WON), 또는 탄탈륨 산질화물(TaON)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는 티타늄 실리사이드(TiXSiY) 또는 탄탈륨 실리사이드(TaXSiY) 등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은 티타늄(Ti), 텅스텐(W), 몰리브덴(Mo) 또는 탄탈륨(Ta) 등을 포함한다. The lower electrode 170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containing nitrogen, doped polysilicon, metal silicide or metal. The conductive material containing nitrogen may include titanium nitride (TiN), tantalum nitride (TaN), niobium nitride (NbN), molybdenum nitride (MoN), titanium-silicon nitride (TiSiN), titanium-aluminum nitride (TiAlN), Titanium-boron nitride (TiBN), zirconium-silicon nitride (ZrSiN), tungsten-silicon nitride (WSiN), tungsten-boron nitride (WBN), zirconium-aluminum nitride (ZrAlN), molybdenum-silicon nitride (MoSiN), molybdenum- Aluminum nitride (MoAlN), tantalum-silicon nitride (TaSiN), tantalum-aluminum nitride (TaAlN), titanium oxynitride (TiON), titanium-aluminum oxynitride (TiAlON), tungsten oxynitride (WON), or tantalum oxynitride ( Ta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metal silicide may include titanium silicide (Ti X Si Y ) or tantalum silicide (Ta X Si Y ), and the metal may include titanium (Ti), tungsten (W), molybdenum (Mo), or tantalum (Ta). And the lik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전극(170)은 플러그(160)를 갖는 층간 절연막(155) 상에 질소를 함유하는 도전성 물질막, 도핑된 폴리실리콘막, 금속 막 또는 금속 실리사이드막이 둘 이상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lectrode 170 may include at least two conductive material films containing nitrogen, a doped polysilicon film, a metal film, or a metal silicide film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155 having the plug 160. It may have a stacked structure.

플러그(160)는 도핑된 폴리실리콘이나 텅스텐, 구리(Cu), 탄탈륨, 알루미늄(Al) 또는 티타늄 등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층간 절연막(155)은 대체로 산화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층간 절연막(155)은 PE-TEOS(Plasma Enhanced-Tetra Ethyl Ortho Silicate), USG(Undoped Silicate Glass), PSG(Phosphor Silicate Glass), BPSG(Boro-Phosphor Silicate Glass), SOG(Spin On Glass) 또는 HDP-CVD(High Density Plasma-Chemical Vapor Deposition) 산화물 등으로 구성된다.The plug 160 is made of a doped polysilicon or a metal such as tungsten, copper (Cu), tantalum, aluminum (Al) or titanium, and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155 is generally composed of an oxide. For example,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55 may be formed of Plasma Enhanced-Tetra Ethyl Ortho Silicate (PE-TEOS), Undoped Silicate Glass (USG), Phosphor Silicate Glass (PSG), Boro-Phosphor Silicate Glass (BPSG), and Spin On. Glass) or HDP-CVD (High Density Plasma-Chemical Vapor Deposition) oxide.

하부 전극(170)은 절연막 패턴(165) 내에 매립된다. 절연막 패턴(165)은 질화물로 구성되거나, 층간 절연막(155)과 동일하게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절연막 패턴(165)은 실리콘 질화물, PE-TEOS, USG, PSG, BPSG, SOG 또는 HDP-CVD 산화물 등으로 구성된다.The lower electrode 170 is embedded in the insulating film pattern 165. The insulating layer pattern 165 may be formed of nitride, or may be formed of oxide in the same manner as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55. For example, the insulating film pattern 165 is made of silicon nitride, PE-TEOS, USG, PSG, BPSG, SOG, or HDP-CVD oxide.

가변 저항 부재(180)는 하부 전극(170) 상에 형성된다. 가변 저항 부재(180)는 칼코겐 화합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가변 저항 부재(180)는 게르마늄-안티몬-텔루르(Ge-Sb-Te), 비소-안티몬-텔루르(As-Sb-Te), 주석-안티몬-텔루르(Sn-Sb-Te), 주석-인듐-안티몬-텔루르(Sn-In-Sb-Te), 비소-게르마늄-안티몬-텔루르(As-Ge-Sb-Te), 또는 비스무스-안티몬-텔루르(Bi-Sb-Te)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가변 저항 부재(180)는 탄탈륨(Ta), 니오브(Nb) 내지 바나듐(V)과 같은 5A족 원소-안티몬-텔루르(Ta, Nb 또는 V-Sb-Te), 텅스텐(W), 몰리브덴(Mo) 내지 크롬(Cr)과 같은 6A족 원소-안티몬-텔루르(W, Mo 또는 Cr-Sb-Te), 5A족 원소-안티몬-셀렌(Ta, Nb 또는 V-Sb-Se), 또는 6A족 원소-안티몬-셀렌(W, Mo 또는 Cr-Sb-Se)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is formed on the lower electrode 170.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is made of a chalcogenide compound. For example,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may include germanium-antimony-tellurium (Ge-Sb-Te), arsenic-antimony-tellurium (As-Sb-Te), tin-antimony-tellurium (Sn-Sb-Te), Consisting of tin-indium-antimony-tellurium (Sn-In-Sb-Te), arsenic-germanium-antimony-tellurium (As-Ge-Sb-Te), or bismuth-antimony-tellurium (Bi-Sb-Te) do. In additio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includes tantalum (Ta), niobium (Nb) to vanadium (V), and 5A element-antimony-tellurium (Ta, Nb or V-Sb-Te), tungsten (W), and molybdenum. Group 6A element-antimony-tellur such as (Mo) to chromium (Cr) (W, Mo or Cr-Sb-Te), group 5A element-antimony-selenium (Ta, Nb or V-Sb-Se), or 6A Group element-antimony-selenium (W, Mo or Cr-Sb-Se) and the like.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변 저항 부재(180)는 제1 면적을 갖는 하부(180a), 제2 면적을 갖는 중앙부(180b), 그리고 제3 면적을 갖는 상부(180c)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 면적과 제3 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제2 면적은 제1 및 제3 면적에 비하여 작은 값을 가진다. 가변 저항 부재(18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적들을 갖는 상부(180c) 및 하부(180a) 사이에 상부(180c)와 하부(180a)에 비하여 작은 면적을 갖는 중앙부(180b)가 개재된 구조를 가진다. 즉, 가변 저항 부재(180)는 중앙부(180b)의 양측으로부터 수평하게 소정의 폭(W2)을 갖는 리세스(recess)들이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 ‘I’의 단면 형상 또는 모래시계의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각 리세스의 폭(W2)은 상부(180c) 및 하부(180a)의 폭(W1)의 약 1/4 내지 약 2/5 정도가 된다. 이에 따라, 중앙부(180b)의 폭은 상부(180c) 및 하부(180a)의 폭의 약 1/10 내지 약 1/2 정도가 된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includes a lower portion 180a having a first area, a central portion 180b having a second area, and an upper portion 180c having a third area. Here, the first area and the third area are substantially the same, and the second area has a smaller value than the first and third areas.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has a structure in which a central portion 180b having a smaller area than the upper 180c and the lower portion 180a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portion 180c and the lower portion 180a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areas. That is,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has recesses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W 2 horizontally from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180b, so that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I” or an hourglass shape as a whole. . Here, the width W 2 of each recess is about 1/4 to about 2/5 of the width W 1 of the upper portion 180c and the lower portion 180a. Accordingly,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180b is about 1/10 to about 1/2 of the width of the upper portion 180c and the lower portion 180a.

가변 저항 구조물(150)에서 상변화 영역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열의 공급원은 하부 전극(170)과 상부 전극(190) 사이에 전류가 흐를 때 가변 저항 부재(180)에서 발생하는 열이 된다. 이러한 전류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은 전류가 일정할 때 저항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저항의 큰 위치에서 보다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변 저항 부재(180)가 상부(180c) 및 하부(180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갖는 중앙부(180b)를 구비하기 때문에, 좁은 단면적을 갖는 중앙부(180b)에서 전류 밀도가 높아지며, 이에 따라 중앙부(180b)에 열이 집중됨으로써 상변화 영역이 중앙부(180b)를 중심으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저항 부재(180)의 상변화 영역은 하부 전극(170)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반복적인 상변화 과정에서도 가변 저항 부재(180)와 하부 전극(170)의 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부 전극(170)에 응력이 집중되어 하부 전극(170)이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 발생부에 해당되는 중앙부(180b)가 주요한 열 손실의 통로가 되는 상부 및 하부 전극(190, 170)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열 손실이 최소화되어 상변화 영역을 결정 상태에서 비정질 상태로 변화시키거나 비정질 상태에서 결정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요구되는 전류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 source of heat required to form the phase change region in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150 is heat generated i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when a current flows between the lower electrode 170 and the upper electrode 190. Since the heat generated by this current is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resistance when the current is constant, more heat is generated at a large position of the resist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includes a central portion 180b having a relatively narrow area compared to the upper portion 180c and the lower portion 180a, the current density is increased at the central portion 180b having a narrow cross-sectional area. As a result, heat is concentrated in the central portion 180b, so that the phase change region is formed around the central portion 180b. That is, since the phase change region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lectrode 170, the phenomenon of separation betwee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and the lower electrode 170 even in a repetitive phase change process. The stress may be concentrated on the lower electrode 170 to prevent the lower electrode 170 from being damaged. In addition, since the central portion 180b corresponding to the heat generating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190 and 170 which serve as the main paths of heat loss, the heat loss is minimized to change the phase change region from the crystal state to the amorphous state. Alternatively, the amount of current required to change from an amorphous state to a crystalline state can be reduced.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보호 부재(196)는 가변 저항 부재(180)를 매립하도록 형성된다. 보호 부재(196)는 가변 저항 부재(180)를 형성하는 몰드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완성된 가변 저항 부재(180)를 지지하는 기능도 수행한다.Referring back to FIG. 3, the protection member 196 is formed to bury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The protective member 196 serves as a mold for forming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and also supports a completed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보호 부재(196)는 하부 전극(170)을 매립하는 추가 절연 패턴(165)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1 절연 패턴(175), 제2 절연 패턴(185) 및 제3 절연 패턴(190)을 포함한다. 제1 절연 패턴(175)은 가변 저항 부재(180)의 하부(180a)를 매립하고, 제2 절연 패턴(185)은 가변 저항 부재(180)의 중앙부(180b)를 매립하며, 제3 절연 패턴(195)은 가변 저항 부재(180)의 상부(180c)를 매립한다. 또한, 제3 절연 패턴(190)은 가변 저항 부재(180) 상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190)도 함께 매립한다. 제3 절연 패턴(195)에는 상부 전극(190)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상부 개구(198)가 형성된다.The protection member 196 includes a first insulating pattern 175, a second insulating pattern 185, and a third insulating pattern 190 sequentially formed on the additional insulating pattern 165 filling the lower electrode 170. do. The first insulation pattern 175 fills the lower portion 180a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the second insulation pattern 185 fills the center portion 180b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and the third insulation pattern. Reference numeral 195 fills an upper portion 180c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In addition, the third insulating pattern 190 also fills the upper electrode 190 formed o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An upper opening 198 is formed in the third insulating pattern 195 to partially expose the upper electrode 190.

제1 내지 제3 절연 패턴(175, 185, 190)은 산화물,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 중 에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서로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절연 패턴(175)은 산화물로 구성되고, 제2 절연 패턴(185)은 질화물로 이루어지며, 제3 절연 패턴(190)은 산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절연 패턴(175)은 질화물로 이루어지고, 제2 절연 패턴(185)은 산화물로 구성되며, 제3 절연 패턴(190)은 산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3 절연 패턴들(175, 185, 190) 모두 산화물,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 가운데 어느 하나의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제1 및 제3 절연 패턴(175, 190)은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고, 제2 절연 패턴(185)은 제1 및 제3 절연 패턴들(175, 190)과 상이한 물질로 이루질 수도 있다.The first to third insulating patterns 175, 185, and 19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mong oxides, nitrides, or oxynitrides, or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insulating pattern 175 may be formed of an oxide,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185 may be formed of nitride, and the third insulating pattern 190 may include oxynitride. In addition, the first insulating pattern 175 may be formed of nitride,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185 may be formed of oxide, and the third insulating pattern 190 may include oxynitride. Meanwhile, all of the first to third insulating patterns 175, 185, and 190 may be made of any one material of oxide, nitride, or oxynitride. In addition,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patterns 175 and 19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nd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185 may be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patterns 175 and 190. .

가변 저항 부재(180)의 상부(180c) 상에 위치하는 상부 전극(190)은 질소를 함유하는 도전성 물질, 도핑된 폴리실리콘, 금속 실리사이드 또는 금속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질소를 함유하는 도전성 물질은 티타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니오븀 질화물, 몰리브덴 질화물, 티타늄-실리콘 질화물, 티타늄-알루미늄 질화물, 티타늄-붕소 질화물, 지르코늄-실리콘 질화물, 텅스텐-실리콘 질화물, 텅스텐-붕소 질화물, 지르코늄-알루미늄 질화물, 몰리브덴-실리콘 질화물, 몰리브덴-알루미늄 질화물, 탄탈륨-실리콘 질화물, 탄탈륨-알루미늄 질화물, 티타늄 산질화물, 티타늄-알루미늄 산질화물, 텅스텐 산질화물, 또는 탄탈륨 산질화물 등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는 티타늄 실리사이드 또는 탄탈륨 실리사이드 등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은 티타늄, 텅스텐, 몰리브덴 또는 탄탈륨 등을 포함한다. 상부 전극(190)은 하부 전극(17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상부 전극(190)과 하부 전 극(170)은 각기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upper electrode 190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180c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containing nitrogen, doped polysilicon, metal silicide or metal. In this case, the conductive material containing nitrogen includes titanium nitride, tantalum nitride, niobium nitride, molybdenum nitride, titanium-silicon nitride, titanium-aluminum nitride, titanium-boron nitride, zirconium-silicon nitride, tungsten-silicon nitride, tungsten- Boron nitride, zirconium-aluminum nitride, molybdenum-silicon nitride, molybdenum-aluminum nitride, tantalum-silicon nitride, tantalum-aluminum nitride, titanium oxynitride, titanium-aluminum oxynitride, tungsten oxynitride, or tantalum oxynitride . The metal silicide may include titanium silicide or tantalum silicide, and the metal may include titanium, tungsten, molybdenum or tantalum. The upper electrode 190 may include the same material as the lower electrode 170, or the upper electrode 190 and the lower electrode 170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도 4a 내지 도 4e는 도 3에 도시한 가변 저항 구조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e에 있어서, 도 3과 동일한 부재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4A to 4E illustrate cross-sectional views for describ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illustrated in FIG. 3. In Figs. 4A to 4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members as in Fig. 3.

도 4a를 참조하면, 콘택 영역 또는 도전성 구조물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도시되지 않음) 상에 층간 절연막(155)을 형성한다. 층간 절연막(155)은 화학 기상 증착(CVD) 공정, 플라즈마 증대 화학 기상 증착(PE-CVD) 공정, 원자층 증착(ALD) 공정 또는 고밀도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HDP-CVD)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155)은 PE-TEOS, USG, PSG, BPSG, SOG 또는 HDP-CVD 산화물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학 기계적 연마(CMP) 공정, 에치 백(etch-back) 공정 또는 화학 기계적 연마와 에치 백을 조합한 공정을 이용하여 층간 절연막(155)의 상부를 평탄하게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an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55 is formed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not shown) in which a contact region or a conductive structure is formed.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55 is formed using a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process,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process, an atomic layer deposition (ALD) process, or a high density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HDP-CVD) process. .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155 includes PE-TEOS, USG, PSG, BPSG, SOG, or HDP-CVD oxi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155 is formed flat by using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process, an etch-back process, or a combination of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nd etch back. can do.

사진 식각 공정을 통하여 층간 절연막(155)을 부분적으로 식각함으로써, 층간 절연막(155)에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상기 콘택 영역 또는 도전성 구조물을 노출시키는 콘택 홀(158)을 형성한다.By partially etching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55 through a photolithography process, a contact hole 158 is formed i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55 to expose the contact region or the conductive structure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콘택 홀(158)을 매립하면서 층간 절연막(155) 상에 제1 도전막을 형성한 다음, 층간 절연막(155)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1 도전막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콘택 홀(158)에 매립되는 패드(160)를 형성한다. 여기서, 콘택 홀(158)에 형성되는 패드(160)는 콘택 또는 플러그로도 일컬어진다. 상기 제1 도전막은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 에치 백 공정 또는 화학 기계적 연마와 에치 백을 조합한 공정을 이용하 여 부분적으로 제거된다. 패드(160)는 상기 콘택 영역 또는 도전성 구조물에 접촉되게 형성되어 후속하여 형성되는 하부 전극(170)을 상기 콘택 영역이나 도전성 구조물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패드(160)는 도핑된 폴리실리콘이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패드(160)는 텅스텐, 구리, 탄탈륨, 알루미늄 또는 티타늄을 포함한다.A first conductive film is form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155 while filling the contact hole 158, and the first conductive film is partially removed until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155 is exposed to fill the contact hole 158. The pad 160 is formed. Here, the pad 160 formed in the contact hole 158 is also referred to as a contact or a plug. The first conductive film is partially removed using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an etch back process, or a process combining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nd etch back. The pad 160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contact region or the conductive structur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lower electrode 170, which is subsequently formed, to the contact region or the conductive structure. Pad 160 is made of doped polysilicon or metal. For example, pad 160 includes tungsten, copper, tantalum, aluminum or titanium.

패드(160) 및 층간 절연막(155) 상에 추가 절연막을 형성한 후, 사진 식각 공정으로 상기 추가 절연막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패드(160)와 그 주변의 층간 절연막(155)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하부 개구(168)를 갖는 추가 절연막 패턴(165)을 형성한다. 여기서, 추가 절연막 패턴(165)은 산화물,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을 화학 기상 증착 공정, 플라즈마 증대 화학 기상 증착 공정, 원자층 증착 공정, 또는 고밀도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 공정으로 증착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면, 추가 절연막 패턴(165)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또는 실리콘 산질화물을 포함한다.After forming an additional insulating film on the pad 160 and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155, the lower portion which partially exposes the pad 160 and the surrounding interlayer insulating film 155 by partially etching the additional insulating film by a photolithography process. An additional insulating film pattern 165 having an opening 168 is formed. Here, the additional insulating layer pattern 165 is formed by depositing an oxide, nitride, or oxynitride in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n atomic layer deposition process, or a high density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For example, the additional insulating layer pattern 165 includes silicon oxide, silicon nitride, or silicon oxynitrid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층간 절연막(155) 및 패드(160) 상에 추가 절연막 패턴(165)을 먼저 형성한 다음, 추가 절연막 패턴(165)을 부분적으로 식각함으로써, 패드(160)를 노출시키는 하부 개구(168)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d 160 may be formed by first forming the additional insulating layer pattern 165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55 and the pad 160, and then partially etching the additional insulating layer pattern 165. Lower openings 168 may be formed to expose.

화학 기상 증착 공정, 스퍼터링 공정 또는 진공 증착 공정으로 하부 개구(168)를 채우면서 추가 절연막 패턴(165) 상에 제2 도전막을 형성한 다음,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 에치 백 공정 또는 화학 기계적 연마와 에치 백을 조합한 공정으로 추가 절연막 패턴(165)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2 도전막을 제거함으로써, 하부 개구(168)에 매립되는 하부 전극(170)을 형성한다. 따라서, 하부 전극(170)은 패드 (160)에 접촉되어 상기 기판의 콘택 영역 또는 도전성 구조물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부 전극(170)은 질소를 함유하는 도전성 물질, 도핑된 폴리실리콘, 금속 실리사이드 또는 금속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질소를 함유하는 도전성 물질은 티타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니오븀 질화물, 몰리브덴 질화물, 티타늄-실리콘 질화물, 티타늄-알루미늄 질화물, 티타늄-붕소 질화물, 지르코늄-실리콘 질화물, 텅스텐-실리콘 질화물, 텅스텐-붕소 질화물, 지르코늄-알루미늄 질화물, 몰리브덴-실리콘 질화물, 몰리브덴-알루미늄 질화물, 탄탈륨-실리콘 질화물, 탄탈륨-알루미늄 질화물, 티타늄 산질화물, 티타늄-알루미늄 산질화물, 텅스텐 산질화물, 또는 탄탈륨 산질화물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는 티타늄 실리사이드 또는 탄탈륨 실리사이드 등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은 티타늄, 텅스텐, 몰리브덴 또는 탄탈륨 등을 포함한다.A second conductive film is formed on the additional insulating film pattern 165 while filling the lower opening 168 by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 sputtering process, or a vacuum deposition process, and then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an etch back process, or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nd etch process. In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bags,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s removed until the additional insulating layer pattern 165 is exposed, thereby forming the lower electrode 170 embedded in the lower opening 168. Accordingly, the lower electrode 170 is in contact with the pad 16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region or the conductive structure of the substrate. The lower electrode 170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containing nitrogen, doped polysilicon, metal silicide or metal. Here, the nitrogen-containing conductive material is titanium nitride, tantalum nitride, niobium nitride, molybdenum nitride, titanium-silicon nitride, titanium-aluminum nitride, titanium-boron nitride, zirconium-silicon nitride, tungsten-silicon nitride, tungsten-boron Nitrides, zirconium-aluminum nitrides, molybdenum-silicon nitrides, molybdenum-aluminum nitrides, tantalum-silicon nitrides, tantalum-aluminum nitrides, titanium oxynitrides, titanium-aluminum oxynitrides, tungsten oxynitrides, or tantalum oxynitrides. In addition, the metal silicide includes titanium silicide or tantalum silicide, and the like, and the metal includes titanium, tungsten, molybdenum or tantalum.

도 4b를 참조하면, 추가 절연막 패턴(165) 및 하부 전극(170) 상에 제1 절연막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절연막은 산화물,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을 화학 기상 증착 공정, 플라즈마 증대 화학 기상 증착 공정, 원자층 증착 공정 또는 고밀도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 공정으로 증착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절연막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또는 실리콘 산질화물을 사용하여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4B, a first insulating layer is formed on the additional insulating layer pattern 165 and the lower electrode 170. The first insulating layer is formed by depositing an oxide, nitride, or oxynitride in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n atomic layer deposition process, or a high density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For example, the first insulating film is formed using silicon oxide, silicon nitride, or silicon oxynitride.

상기 제1 절연막을 사진 식각 공정으로 식각하여 하부 전극(170) 및 추가 절연막 패턴(165)을 덮는 제1 절연 패턴(175)을 형성한 다음, 제1 절연 패턴(175)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제1 절연 패턴(175)에 하부 전극(170)을 노출시키는 제1 개구(178)를 형성한다. 이 경우, 제1 개구(178)는 실질적으로 하부 전극(170)과 동일한 폭(W3)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절연 패턴(175)은 추가 절연막 패턴(16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insulating layer is etched by a photolithography process to form a first insulating pattern 175 covering the lower electrode 170 and the additional insulating layer pattern 165, and then partially etched the first insulating pattern 175. The first opening 178 exposing the lower electrode 170 is formed in the first insulating pattern 175. In this case, the first opening 178 is form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W 3 as the lower electrode 170. In addition,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175 may have an area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additional insulating layer pattern 165.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절연막을 식각하여 제1 절연 패턴(175)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1 절연 패턴(175) 내에 제1 개구(178)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may be etched to form a first insulating pattern 175 and a first opening 178 may be formed in the first insulating pattern 175.

도 4c를 참조하면, 제1 개구(178)를 채우면서 제1 절연 패턴(175) 상에 스퍼터링 공정, 진공 증착 공정 또는 펄스 레이저 증착(PLD) 공정 등을 이용하여 제1 상변화 물질층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상변화 물질층은 게르마늄-안티몬-텔루르, 비소-안티몬-텔루르, 주석-안티몬-텔루르, 주석-인듐-안티몬-텔루르, 비소-게르마늄-안티몬-텔루르, 비스무스-안티몬-텔루르, 탄탈륨, 니오브 내지 바나듐 등과 같은 5A족 원소-안티몬-텔루르, 텅스텐, 몰리브덴 내지 크롬 등과 같은 6A족 원소-안티몬-텔루르, 5A족 원소-안티몬-셀렌, 또는 6A족 원소-안티몬-셀렌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C, the first phase change material layer is formed on the first insulating pattern 175 by filling the first opening 178 using a sputtering process, a vacuum deposition process, or a pulsed laser deposition (PLD) process. do. The first phase change material layer is germanium-antimony-tellurium, arsenic-antimony-tellurium, tin-antimony-tellurium, tin-indium-antimony-tellurium, arsenic-germanium-antimony-tellurium, bismuth-antimony-tellurium, tantalum, Group 5A elements-antimony-tellurium, such as niobium to vanadium, etc.-Group 6A elements-antimony-tellur, such as group 5A elements-antimony-selen, such as niobium to vanadium, tungsten, molybdenum to chromium, or the like.

제1 절연 패턴(175)이 노출될 때까지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 에치 백 공정 또는 화학 기계적 연마와 에치 백을 조합한 평탄화 공정으로 상기 제1 상변화 물질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제1 개구(178)에 매립되는 제1 상변화 물질층 패턴(180a)을 형성한다. 제1 상변화 물질층 패턴(180a)은 도 3에 도시한 가변 저항 부재(180)의 하부(180a)에 대응된다. 제1 상변화 물질층 패턴(180a)은 제1 개구(178)를 매립하기 때문에 제1 개구(178)의 폭(W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 전극(170)과 제1 상변화 물질층 패턴(180a)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 적을 가진다.The first opening 178 may be partially removed by the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the etch back process, or the planarization process combining the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nd the etch back until the first insulating pattern 175 is exposed. ) To form a first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180a. The first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180a corresponds to the lower portion 180a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illustrated in FIG. 3. Since the first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180a fills the first opening 178, the first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180a may have a width substantially equal to the width W 3 of the first opening 178. Therefore, the lower electrode 170 and the first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180a have substantially the same area.

제1 상변화 물질층 패턴(180a) 및 제1 절연 패턴(175) 상에 제2 절연막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2 절연막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제1 상변화 물질층 패턴(180a)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개구(188)를 갖는 제2 절연 패턴(185)을 형성한다. 상기 제2 절연막은 산화물,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을 화학 기상 증착 공정, 플라즈마 증대 화학 기상 증착 공정, 원자층 증착 공정 또는 고밀도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 공정으로 증착하여 형성한다. 제2 절연 패턴(185)은 제1 절연 패턴(175)과 같은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되거나 제1 절연 패턴(175)과 상이한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절연 패턴들(175, 185)은 각기 산화물,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 가운데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서로 상이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After forming a second insulating film on the first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180a and the first insulating pattern 175, a portion of the first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180a is partially etched by partially etching the second insulating film. A second insulating pattern 185 having a second opening 188 that is exposed is forme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is formed by depositing an oxide, nitride, or oxynitride by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n atomic layer deposition process, or a high density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185 may be formed using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insulating pattern 175 or may be formed using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first insulating pattern 175.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insulating patterns 175 and 185 may each include the same material or different materials from among oxides, nitrides, or oxynitrides.

제1 상변화 물질층 패턴(180a)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제2 개구(188)는 제1 개구(178)의 폭(W3)의 약 1/5 내지 약 1/2 정도의 폭(W4)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 개구(188)의 폭(W4)에 따른 가변 저항 부재(180)(도 4d 참조)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claim 1 of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to partially expose the pattern (180a) 2 opening 188 is the first width of the aperture (178) (W 3) of about 1/5 to about 1/2 of the width of (W 4 Is formed. The structure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see FIG. 4D) corresponding to the width W 4 of the second opening 188 will be described later.

도 4d를 참조하면, 제2 개구(188)를 매립하면서 제2 절연 패턴(185) 상에 제2 상변화 물질층을 형성한 후,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 에치 백 공정 또는 화학 기계적 연마와 에치 백을 조합한 공정으로 제2 절연 패턴(185)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2 상변화 물질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제2 개구(188)를 매립하는 제2 상변화 물질층 패턴(180b)을 형성한다. 제2 상변화 물질층 패턴(180b)은 도 3의 가변 저항 부재(180)의 중앙부(180b)에 대응된다. 제2 상변화 물질층 패턴(180b)은 제1 상변화 물질층 패턴(180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과 동일한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상변화 물질층 패턴(180b)은 제1 상변화 물질층 패턴(180a)과 일체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4D, after forming the secon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on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185 while filling the second opening 188, the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the etch back process, or the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nd etch back By removing the secon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rtially until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185 is exposed in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secon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s 180b filling the second openings 188. Form. The secon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180b corresponds to the central portion 180b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of FIG. 3. The secon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180b is formed using the same process as the material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180a. Thus, the secon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180b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180a.

제2 상변화 물질층 패턴(180b) 및 제2 절연 패턴(185) 상에 제3 상변화 물질층을 형성한 다음, 사진 식각 공정으로 상기 제3 상변화 물질층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제3 상변화 물질층 패턴(180c)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상변화 물질층 패턴들(180a, 180b 180c)을 구비하는 가변 저항 부재(180)가 형성된다. 제3 상변화 물질층 패턴(180c)은 도 3의 가변 저항 부재(180)의 상부(180c)에 대응된다. 제3 상변화 물질층 패턴(180c)도 제1 및 제2 상변화 물질층 패턴들(180a, 180b)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과 동일한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제1 내지 제3 상변화 물질층 패턴들(180a, 180b, 180c)은 전체적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3 상변화 물질층 패턴(180c)은 제1 상변화 물질층 패턴(180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상변화 물질층 패턴(180b)의 폭(W4)은 제1 및 제3 상변화 물질층 패턴들(180a, 180c)의 폭(W3)의 약 1/5 내지 약 1/2 정도가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 저항 부재(180)의 중앙부(180b)에 해당되는 제2 상변화 물질층 패턴(180b)은 제2 절연 패턴(185)에 의하여 제1 및 제3 상변화 물질층 패턴들(180a, 180c) 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가변 저항 부재(180)의 중앙부(180b)에는 양측으로부터 제2 절연 패턴(185)에 의하여 매 립되는 리세스들이 형성된다. 이 경우, 제2 상변화 물질층 패턴(180b)의 폭(W4)이 제1 및 제3 상변화 물질층 패턴들(180a, 180c)의 폭(W3)의 약 1/5 내지 약 1/2 정도이기 때문에, 상기 리세스들은 각기 제1 및 제3 상변화 물질층 패턴들(180a, 180c)의 폭(W3)의 약 1/4 내지 약 2/5 정도의 폭을 갖게 된다. After forming a thir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on the secon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180b and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185, the thir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is partially etched by a photolithography process to form a third phase. Th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180c is formed. Accordingly,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having the first to thir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s 180a and 180b 180c is formed. The thir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180c corresponds to the upper portion 180c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of FIG. 3. Since the thir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180c is also formed using the same process as the material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and secon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s 180a and 180b, the first to third phase change materials The layer patterns 180a, 180b and 180c are integrally formed as a whole. Here, the thir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180c is form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as the first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180a. Accordingly, the width W 4 of the secon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180b is about 1/5 to about 1 of the width W 3 of the first and thir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s 180a and 180c. It will be about / 2. As illustrated in FIG. 3, the secon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180b corresponding to the center portion 180b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may be formed by the first and third phase change materials by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185. It is formed to have a narrower width than the layer patterns 180a and 180c. In other words, recesses ar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180b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by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185 from both sides. In this case, the width W 4 of the secon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180b is about 1/5 to about 1 of the width W 3 of the first and thir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s 180a and 180c. The recesses have a width of about 1/4 to about 2/5 of the width W 3 of the first and thir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s 180a and 180c, respectively.

다시 도 4d를 참조하면, 가변 저항 부재(180) 상에 화학 기상 증착 공정, 스퍼터링 공정 또는 진공 증착 공정으로 제3 도전막을 형성한 후, 사진 식각 공정으로 상기 제3 도전막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제3 상변화 물질층 패턴(180c) 상에 상부 전극(190)을 형성한다. 상부 전극(190)은 질소를 함유하는 도전성 물질, 도핑된 폴리실리콘, 금속 실리사이드 또는 금속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질소를 함유하는 도전성 물질은 티타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니오븀 질화물, 몰리브덴 질화물, 티타늄-실리콘 질화물, 티타늄-알루미늄 질화물, 티타늄-붕소 질화물, 지르코늄-실리콘 질화물, 텅스텐-실리콘 질화물, 텅스텐-붕소 질화물, 지르코늄-알루미늄 질화물, 몰리브덴-실리콘 질화물, 몰리브덴-알루미늄 질화물, 탄탈륨-실리콘 질화물, 탄탈륨-알루미늄 질화물, 티타늄 산질화물, 티타늄-알루미늄 산질화물, 텅스텐 산질화물, 또는 탄탈륨 산질화물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는 티타늄 실리사이드 또는 탄탈륨 실리사이드 등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은 티타늄, 텅스텐, 몰리브덴 또는 탄탈륨 등을 포함한다. 상부 전극(190)은 하부 전극(17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서로 상이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4D, after the third conductive film is formed o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by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 sputtering process, or a vacuum deposition process, the third conductive film is partially etched by a photolithography process to form a third conductive film. An upper electrode 190 is formed on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180c. The upper electrode 190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containing nitrogen, doped polysilicon, metal silicide or metal. In this case, the conductive material containing nitrogen includes titanium nitride, tantalum nitride, niobium nitride, molybdenum nitride, titanium-silicon nitride, titanium-aluminum nitride, titanium-boron nitride, zirconium-silicon nitride, tungsten-silicon nitride, tungsten- Boron nitride, zirconium-aluminum nitride, molybdenum-silicon nitride, molybdenum-aluminum nitride, tantalum-silicon nitride, tantalum-aluminum nitride, titanium oxynitride, titanium-aluminum oxynitride, tungsten oxynitride, or tantalum oxynitride . In addition, the metal silicide includes titanium silicide or tantalum silicide, and the like, and the metal includes titanium, tungsten, molybdenum or tantalum. The upper electrode 190 may include the same material as the lower electrode 170 or may include different materials from each other.

도 4e를 참조하면, 상부 전극(190)을 덮으면서 제2 절연 패턴(185) 상에 제3 절연막을 형성한 다음, 사진 식각 공정으로 상기 제3 절연막을 부분적으로 식각함으로써, 상부 전극(190)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상부 개구(198)를 갖는 제3 절연 패턴(195)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가변 저항 부재(180)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막으로 기능하는 동시에 가변 저항 부재(180)를 보호하는 보호 부재(196)가 완성된다. 제3 절연 패턴(195)은 산화물,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을 화학 기상 증착 공정, 플라즈마 증대 화학 기상 증착 공정, 원자층 증착 공정 또는 고밀도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 공정으로 증착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제3 절연 패턴(195)은 제1 및 제2 절연 패턴들(175, 185)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 절연 패턴들(175, 185, 190)은 각기 서로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4E, the third insul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185 while covering the upper electrode 190, and then partially etched the third insulating layer by a photolithography process, thereby forming the upper electrode 190. A third insulating pattern 195 is formed with an upper opening 198 exposing a portion of the. As a result, a protective member 196 that functions as a mold film for forming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and protects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180 is completed. The third insulating pattern 195 is formed by depositing an oxide, nitride, or oxynitride in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n atomic layer deposition process, or a high density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Herein, the third insulating pattern 195 may include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and second insulating patterns 175 and 185, and the first to third insulating patterns 175, 185 and 19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상부 전극(190)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제3 절연 패턴(195)이 형성되면 반도체 기판 상에는 가변 저항 구조물(150)이 완성된다.When the third insulating pattern 195 partially exposing the upper electrode 190 is formed,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150 is complet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저항 구조물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저항 구조물(200)은 층간 절연막(205)에 매립되는 하부 전극(215)을 제외하면 도 3에 도시한 가변 저항 구조물(15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각 부재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150 illustrated in FIG. 3 except for the lower electrode 215 embedded i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05. Description is omitted.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저항 구조물(200)은, 층간 절연막(205)에 매립되는 하부 전극(215), 하부 전극(215) 상에 형성된 가변 저항 부재(230), 가변 저항 부재(230)를 감싸는 보호 부재(246), 그리고 가변 저항 부재(230) 상에 형성된 상부 전극(24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200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ower electrode 215 embedded in an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05 and a variable resistance member 230 formed on the lower electrode 215. The protection member 246 surrounds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30, and an upper electrode 240 formed o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30.

산화물로 이루어진 층간 절연막(205)에는 반도체 기판(도시되지 않음) 상에 형성된 콘택 영역이나 도전성 구조물에 접촉되는 패드(210)가 형성되며, 하부 전극(215)은 패드(210) 상에 위치한다. 여기서, 패드(210)와 하부 전극(215)은 일체로 형성된다. 하부 전극(215) 및 패드(210)는 질소를 함유하는 도전성 물질, 도핑된 폴리실리콘, 금속 실리사이드 또는 금속을 포함한다. I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05 made of oxide, a pad 210 is formed in contact with a contact region or a conductive structure formed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not shown), and the lower electrode 215 is positioned on the pad 210. Here, the pad 210 and the lower electrode 215 are integrally formed. The lower electrode 215 and the pad 210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containing nitrogen, doped polysilicon, metal silicide or metal.

층간 절연막(205)에 매립되는 하부 전극(215) 상에는 칼코겐 화합물을 포함하는 가변 저항 부재(230)가 형성된다. 가변 저항 부재(230)는 제1 면적을 갖는 하부(230a), 제1 면적에 비하여 작은 제2 면적을 갖는 중앙부(230b), 그리고 제1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3 면적을 갖는 상부(230c)를 구비한다. 이러한 가변 저항 부재(230)의 상부(230c), 중앙부(230b) 및 하부(230a)의 면적의 비율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30 including a chalcogen compound is formed on the lower electrode 215 embedded i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05.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30 includes a lower portion 230a having a first area, a central portion 230b having a second area smaller than the first area, and an upper portion 230c having a third area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area. It is provided. The ratio of the areas of the upper portion 230c, the central portion 230b, and the lower portion 230a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30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보호 부재(246)는 가변 저항 부재(230)의 중앙부(230b)의 양측으로부터 형성된 리세스들을 채우면서 가변 저항 부제(230)를 전체적으로 매립하도록 형성된다. 보호 부재(246)는 하부 전극(215)이 매립된 층간 절연막(205) 상에 차례로 형성된 제1 절연 패턴(220), 제2 절연 패턴(235) 및 제3 절연 패턴(245)을 포함한다. 제1 절연 패턴(220)은 가변 저항 부재(230)의 하부(230a)를 매립하며, 제2 절연 패턴(235)은 가변 저항 부재(230)의 중앙부(230b)를 매립한다. 이 경우, 가변 저항 부재(230)의 중앙부(230b)의 양측으로부터 수평하게 형성된 상기 리세스들은 각기 제2 절연 패턴(235)에 의하여 채워진다. 제3 절연 패턴(245)은 가변 저항 부재(230)의 상부(230c)를 매립한다. 마찬가지로, 제3 절연 패턴(245)은 가변 저항 부재(230) 상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240)도 함께 매립한다. 여기서, 제3 절연 패턴 (245)에는 상부 전극(240)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상부 개구(248)가 형성된다. 보호 부재(246)의 제1 내지 제3 절연 패턴(220, 235, 245)의 구성 물질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The protection member 246 is formed to completely fill the variable resistance subsidiary 230 while filling recesses formed from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230b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30. The protection member 246 includes a first insulating pattern 220, a second insulating pattern 235, and a third insulating pattern 245 which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05 with the lower electrode 215 embedded therein. The first insulating pattern 220 fills the lower portion 230a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30, and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235 fills the center portion 230b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30. In this case, the recesses formed horizontally from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230b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30 are respectively filled by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235. The third insulating pattern 245 fills the upper portion 230c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30. Similarly, the third insulating pattern 245 also fills the upper electrode 240 formed o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30. Here, an upper opening 248 that partially exposes the upper electrode 240 is formed in the third insulating pattern 245. Constituent materials of the first to third insulating patterns 220, 235, and 245 of the protective member 246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가변 저항 부재(230)의 상부(230c) 상에 위치하는 상부 전극(240)은 질소를 함유하는 도전성 물질, 도핑된 폴리실리콘, 금속 실리사이드 또는 금속으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상부 전극(240)은 하부 전극(215)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하부 전극(215)과는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upper electrode 240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230c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30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containing nitrogen, doped polysilicon, metal silicide or metal. Similarly, the upper electrode 240 may include the same material as the lower electrode 215 or may be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lower electrode 215.

도 6a 내지 도 6d는 도 5에 도시한 가변 저항 구조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d에 있어서, 도 5와 동일한 부재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한 가변 저항 구조물의 제조 방법은 하부 전극(215)을 형성하는 공정을 제외하면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공정들에 대해서 상세한 성명은 생략한다.6A through 6D illustrate cross-sectional views for describ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illustrated in FIG. 5. In Figs. 6A to 6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members as in Fig. 5. In addition, sinc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illustrated in FIGS. 6A to 6D is the same as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E except for the process of forming the lower electrode 215, detailed descriptions of overlapping processes will be provided. Is omitted.

도 6a를 참조하면, 콘택 영역이나 도전성 구조물이 마련된 반도체 기판(도시되지 않음) 상에 산화물로 이루어진 층간 절연막(205)을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6A, an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05 made of oxide is formed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not shown) provided with a contact region or a conductive structure.

제1 사진 식각 공정으로 층간 절연막(205)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층간 절연막(205)에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상기 콘택 영역 또는 도전성 구조물을 노출시키는 콘택 홀(208)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2 사진 식각 공정으로 콘택 홀(208)이 위치하는 층간 절연막(205)의 상부를 식각하여 콘택 홀(208)에 연통되는 하부 개구(209)를 형성한다. 이 경우, 하부 개구(209)는 콘택 홀(208)에 비하여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05 is partially etched by the first photolithography process to form a contact hole 208 i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05 exposing the contact region or the conductive structure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Subsequently, an upper portion of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05 on which the contact hole 208 is positioned is etched in the second photolithography process to form a lower opening 209 communicating with the contact hole 208. In this case, the lower opening 209 is form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contact hole 208.

하부 개구(209) 및 콘택 홀(208)을 동시에 매립하면서 층간 절연막(205) 상에 질소를 함유하는 도전성 물질, 도핑된 폴리실리콘, 금속 실리사이드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1 도전막을 형성한 후, 층간 절연막(205)이 노출될 때까지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 에치 백 공정 또는 화학 기계적 연마와 에치 백을 조합한 공정을 통하여 상기 제1 도전막을 부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콘택 홀(208)에 매립되는 패드(210)를 형성하는 동시에 하부 개구(209)에 매립되는 하부 전극(215)을 형성한다. 즉, 패드(210)와 하부 전극(215)은 일체로 형성된다. 패드(210)는 상기 콘택 영역 또는 도전성 구조물에 접촉되며, 패드(210)와 일체로 형성된 하부 전극(215)은 패드(210)를 통하여 상기 콘택 영역이나 도전성 구조물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fter filling the lower opening 209 and the contact hole 208 simultaneously, a first conductive film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containing nitrogen, doped polysilicon, metal silicide or metal is form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205, and then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The pad 210 embedded in the contact hole 208 by partially removing the first conductive film through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an etch back process, or a combination of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nd etch back until 205 is exposed. ) And at the same time form the lower electrode 215 embedded in the lower opening 209. That is, the pad 210 and the lower electrode 215 are integrally formed. The pad 210 contacts the contact region or the conductive structure, and the lower electrode 215 integrally formed with the pad 2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region or the conductive structure through the pad 210.

도 6b를 참조하면, 하부 전극(215) 및 층간 절연막(205) 상에 산화물,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로 구성된 제1 절연막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1 절연막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하부 전극(215)을 노출시키는 제1 개구(218)를 갖는 제1 절연 패턴(220)을 층간 절연막(205) 상에 형성한다. 여기서, 제1 개구(218)는 하부 전극(21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6B, a first insulating film made of an oxide, nitride, or oxynitride is formed on the lower electrode 215 and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205, and then the lower electrode 215 is partially etched by partially etching the first insulating film. A first insulating pattern 220 having a first opening 218 to be exposed is form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205. Here, the first opening 218 is form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as the lower electrode 215.

도 6c를 참조하면, 제1 개구(218)를 채우면서 제1 절연 패턴(220) 상에 제1 상변화 물질층을 형성한 후, 제1 절연 패턴(220)이 노출될 때까지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 에치 백 공정 또는 화학 기계적 연마와 에치 백을 조합한 평탄화 공정으로 상기 제1 상변화 물질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제1 개구(218)에 매립되는 제1 상변화 물질층 패턴(230a)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 상변화 물질층 패턴(230a)은 도 5에 도시한 가변 저항 부재(230)의 하부(230a)에 대응된다. 제1 개구(218)를 매립하는 제1 상변화 물질층 패턴(230a)은 하부 전극(21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적을 가진다.Referring to FIG. 6C, after forming the first phase change material layer on the first insulating pattern 220 while filling the first opening 218,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until the first insulating pattern 220 is exposed. The first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230a embedded in the first opening 218 by partially removing the first phase change material layer by a process, an etch back process, or a planarization process combining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nd etch back. Form. Here, the first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230a corresponds to the lower portion 230a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30 illustrated in FIG. 5. The first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230a filling the first opening 218 has an area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lower electrode 215.

제1 상변화 물질층 패턴(230a) 및 제1 절연 패턴(220) 상에 제2 절연막을 형성한 후, 상기 제2 절연막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제1 상변화 물질층 패턴(230a)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개구(238)를 갖는 제2 절연 패턴(235)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절연 패턴들(220, 235)은 각기 산화물,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 가운데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서로 상이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After forming a second insulating film on the first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230a and the first insulating pattern 220, a portion of the first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230a is partially removed by partially removing the second insulating film. A second insulating pattern 235 having a second opening 238 to be exposed is formed. The first and second insulating patterns 220 and 235 may each include the same material among oxides, nitrides, or oxynitrides, or may include different materials from each other.

제1 상변화 물질층 패턴(230a)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제2 개구(238)는 제1 개구(218)의 폭의 약 1/5 내지 약 1/2 정도의 폭을 가진다. 제2 개구(238)의 폭에 따른 가변 저항 부재(230)(도 6d 참조)의 구조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The second opening 238 partially exposing the first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230a has a width of about 1/5 to about 1/2 of the width of the first opening 218. The structure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30 (see FIG. 6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second opening 238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제2 개구(238)를 매립하면서 제2 절연 패턴(235) 상에 제2 상변화 물질층을 형성한 후,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 에치 백 공정 또는 화학 기계적 연마과 에치 백을 조합한 공정으로 제2 절연 패턴(235)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2 상변화 물질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제2 개구(238)를 매립하는 제2 상변화 물질층 패턴(230b)을 형성한다. 제2 상변화 물질층 패턴(230b)은 도 5의 가변 저항 부재(230)의 중앙부(230b)에 상응한다. 제2 상변화 물질층 패턴(230b)은 제1 상변화 물질층 패턴(230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과 동일한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제2 상변화 물질층 패턴(230b)과 제1 상변화 물질층 패턴(230a)은 서로 일체로 형 성된다.After forming the secon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on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235 while filling the second opening 238, the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the etch back process, or a combination of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nd etch back may be used. By partially removing the secon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until the insulating pattern 235 is exposed, the secon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230b filling the second opening 238 is formed. The secon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230b corresponds to the central portion 230b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30 of FIG. 5. Since the secon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230b is formed using the same process as the material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230a, the secon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230b and the first phase are formed. Th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s 230a ar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제2 상변화 물질층 패턴(230b) 및 제2 절연 패턴(235) 상에 제3 상변화 물질층을 형성한 후, 상기 제3 상변화 물질층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제3 상변화 물질층 패턴(230c)을 형성하여, 제1 내지 제3 상변화 물질층 패턴들(230a, 230b 230c)을 구비하는 가변 저항 부재(230)를 완성한다. 여기서, 제3 상변화 물질층 패턴(230c)은 도 5의 가변 저항 부재(230)의 상부(230c)에 대응된다. 제3 상변화 물질층 패턴(230c)도 제1 및 제2 상변화 물질층 패턴들(230a, 230b)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과 동일한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제1 내지 제3 상변화 물질층 패턴들(230a, 230b, 230c)은 전체적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제3 상변화 물질층 패턴(230c)은 제1 상변화 물질층 패턴(230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으로 형성됨으로써, 제2 상변화 물질층 패턴(230b)의 폭은 제1 및 제3 상변화 물질층 패턴들(230a, 230c)의 폭의 약 1/5 내지 약 1/2 정도가 된다.After the thir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is formed on the secon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230b and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235, the thir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is partially etched to form a thir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230c is formed to complete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30 including the first to thir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s 230a and 230b 230c. Here, the thir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230c corresponds to the upper portion 230c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30 of FIG. 5. Since the thir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230c is also formed using the same process as the material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and secon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s 230a and 230b, the first to third phase change materials The layer patterns 230a, 230b, 230c are integrally formed as a whole. The thir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230c is form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as the first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230a, so that the width of the secon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230b is changed to the first and third phase change. The width of the material layer patterns 230a and 230c may be about 1/5 to about 1/2.

도 6d를 참조하면, 가변 저항 부재(230) 상에 화학 기상 증착 공정, 스퍼터링 공정 또는 진공 증착 공정으로 제3 도전막을 형성한 후, 상기 제3 도전막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제3 상변화 물질층 패턴(230c) 상에 상부 전극(240)을 형성한다. 상부 전극(240)은 질소를 함유하는 도전성 물질, 도핑된 폴리실리콘, 금속 실리사이드 또는 금속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6D, after the third conductive layer is formed o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30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sputtering, or vacuum deposition, the third conductive layer is partially etched to form a thir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The upper electrode 240 is formed on the 230c. The upper electrode 240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containing nitrogen, doped polysilicon, metal silicide or metal.

상부 전극(240)을 덮으면서 제2 절연 패턴(235) 상에 산화물,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로 구성된 제3 절연막을 형성한 후, 상기 제3 절연막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상부 전극(240)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상부 개구(248)를 갖는 제3 절연 패턴 (245)을 형성한다. 따라서, 가변 저항 부재(230)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막의 역할을 하며, 가변 저항 부재(230)를 지지하는 보호 부재(246)가 완성된다. 제3 절연 패턴(245)은 제1 및 제2 절연 패턴들(220, 235)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 절연 패턴들(220, 235, 245)은 각기 서로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부 전극(240)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제3 절연 패턴(245)이 형성되면 층간 절연막(205) 상에는 가변 저항 구조물(200)이 완성된다.After covering the upper electrode 240 and forming a third insulating film made of oxide, nitride, or oxynitride on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235, the third insulating film is partially etched to partially remove the upper electrode 240. A third insulating pattern 245 having an upper opening 248 that is exposed is formed. Thus, a protective member 246 serving as a mold film for forming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30 and supporting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30 is completed. The third insulating pattern 245 may include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and second insulating patterns 220 and 235, and the first to third insulating patterns 220, 235 and 245 may be different materials from each other. It may be made of. When the third insulating pattern 245 which partially exposes the upper electrode 240 is formed,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200 is complet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05.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저항 구조물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7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저항 구조물(250)은 층간 절연막(255) 상에 형성된 하부 전극(270), 하부 전극(270) 상에 형성된 보호 부재(290), 보호 부재(290)에 매립되는 가변 저항 부재(295), 그리고 가변 저항 부재(295) 상에 형성된 상부 전극(297)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25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lower electrode 270 form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55, a protective member 290 formed on the lower electrode 270, and a protective member 290. ) And an upper electrode 297 formed o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95.

산화물을 포함하는 층간 절연막(255)을 관통하여 패드(260)가 형성되며, 패드(260) 상에는 패드(260) 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하부 전극(270)이 형성된다. 패드(260)는 금속 또는 도핑된 폴리실리콘 등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하부 전극(270)은 질소를 함유하는 도전성 물질, 금속, 도핑된 폴리실리콘 또는 금속 실리사이드로 구성된다.The pad 260 is formed through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55 including oxide, and the lower electrode 270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pad 260 is formed on the pad 260. The pad 260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metal or doped polysilicon, and the lower electrode 270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containing nitrogen, metal, doped polysilicon or metal silicide.

하부 전극(270)은 추가 절연막 패턴(265)에 매립되며, 추가 절연막 패턴(265) 상에는 보호 부재(290)가 형성된다. 보호 부재(290)는 산화물을 식각하기 위한 식각 가스나 식각 용액 또는 질화물을 식각하기 위한 식각 가스나 식각 용액에 대하여 상이한 식각율을 갖는 물질들로 이루어진 절연 패턴들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 부재(290)는 각기 산화물 또는 질화물로 구성된 제1 절연 패턴(275), 제2 절연 패턴(280) 및 제3 절연 패턴(285)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 및 제3 절연 패턴들(275, 285)은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되며, 제2 절연 패턴(280)은 제1 및 제3 절연 패턴들(275, 285)과 상이한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3 절연 패턴들(275, 285)은 질화물을 포함하며, 제2 절연 패턴(280)은 산화물을 포함한다. 또한, 제1 및 제3 절연 패턴들(275, 280)은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절연 패턴(280)은 질화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산화물이나 질화물을 식각하는 식각 가스나 식각 용액에 대하여 제1 및 제3 절연 패턴들(275, 285)을 제2 절연 패턴(280)에 비하여 빠르게 식각되기 때문에, 제2 절연 패턴(280)이 내측으로 수평하게 돌출된다.The lower electrode 270 is embedded in the additional insulating layer pattern 265, and a protection member 290 is formed on the additional insulating layer pattern 265. The protection member 290 includes insulating patterns made of materials having different etching rates with respect to the etching gas or the etching solution for etching the oxide or the etching solution or the nitride for etching the oxide. In more detail, the protection member 290 includes a first insulating pattern 275, a second insulating pattern 280, and a third insulating pattern 285 each formed of an oxide or nitride. Here,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patterns 275 and 285 are formed using the same material, and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280 uses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patterns 275 and 285. Is formed. For example,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patterns 275 and 285 include nitride, and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280 includes oxide. In addition,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patterns 275 and 280 may be formed of an oxide, and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280 may be formed of nitride. Accordingly, since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patterns 275 and 285 are etched faster than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280 with respect to the etching gas or the etching solution for etching the oxide or nitride,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280 ) Projects horizontally inwar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절연 패턴들(275, 280, 285)은 각기 서로 다른 불순물 농도를 갖는 PSG, BSG 또는 BPSG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3 절연 패턴들(275, 285)은 제1 불순물 농도를 갖는 PSG, BSG 또는 BPSG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제2 절연 패턴(280)은 상기 제1 불순물 농도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제2 불순물 농도를 갖는 PSG, BSG 또는 BPSG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불순물 농도가 상기 제2 불순물 농도에 비하여 낮기 때문에, 불화수소를 포함하는 식각 용액 또는 수산화암모늄, 과산화수소 및 탈이온수를 포함하는 식각 용액을 사용하여 식각 공정을 수행할 때, 제1 및 제3 절연 패턴들(275, 285)이 제2 절연 패턴(280)에 비하여 빠른 속도로 식각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third insulating patterns 275, 280, and 285 may be formed using PSG, BSG, or BPSG having different impurity concentrations. For example,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patterns 275 and 285 are formed using PSG, BSG, or BPSG having a first impurity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280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first impurity concentration. And PSG, BSG or BPSG having a high second impurity concentration. Here, since the first impurity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second impurity concentration, when performing the etching process using an etching solution containing hydrogen fluoride or an etching solution containing ammonium hydroxide, hydrogen peroxide and deionized water, And the third insulating patterns 275 and 285 are etched at a higher speed than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28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불순물 농도를 갖는 BSG, PSG 또는 BPSG를 사용하여 제1 및 제3 절연 패턴들(275, 285)과 제2 절연 패턴(280)을 형성할 경우, 불화수소 가스 및 수증기를 함유하는 제1 식각 가스와 사불화탄소 및 산소를 함유하는 제2 식각 가스를 순차적으로 사용하는 건식 식각 공정을 통하여 제1 및 제3 절연 패턴들(275, 285)을 제2 절연 패턴(280)에 비하여 빠른 속도로 식각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patterns 275 and 285 and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280 are formed using BSG, PSG, or BPSG having different impurity concentrations,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patterns 275 and 285 are formed as a second through a dry etching process using a first etching gas containing hydrogen fluoride gas and water vapor and a second etching gas containing carbon tetrafluoride and oxygen in sequence. Etching may be performed at a higher speed than the insulating pattern 28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3 절연 패턴(275, 285)을 불순물이 도핑된 산화물인 BSG, PSG 또는 BPSG를 사용하여 형성하고, 제2 절연 패턴(280)을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산화물인 USG, SOG, PE-TEOS 또는 HDP-CVD 산화물을 사용하여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식각 용액 또는 식각 가스에 대하여 제1 및 제3 절연 패턴들(275, 285)을 제2 절연 패턴(280) 보다 빠르게 식각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patterns 275 and 285 are formed using BSG, PSG, or BPSG, which is an oxide doped with impurities, and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280 is formed of impurities. By forming using USG, SOG, PE-TEOS, or HDP-CVD oxide, which is an undoped oxide,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patterns 275 and 285 may be formed in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for the above-described etching solution or etching gas. Can be etched faster than (280).

가변 저항 부재(295)의 하부(295a), 중앙부(295b) 및 상부(295c)는 각기 보호 부재(290)의 제1 절연 패턴(275), 제2 절연 패턴(280) 및 제3 절연 패턴(285)에 매립된다. 가변 저항 부재(295)는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보호 부재(290) 내에 매립되기 때문에 가변 저항 부재(295)의 중앙부(295b)의 폭(W6)은 상부(295c) 및 하부(295a)의 폭(W5)의 약 1/5 내지 약 1/2 정도가 된다. 즉, 제1 및 제3 절연 패턴들(275, 285)에 비하여 제2 절연 패턴(280)이 돌출한 구조를 갖는 보호 부재(290) 내에 가변 저항 부재(295)가 형성되기 때문에, 가변 저항 부재(295)는 대체로 'I'자의 단면 형상 또는 모래시계의 형상을 갖게 된다. 가변 저항 부재(295)는 칼코겐 화합물, 예를 들면, 게르마늄-안티몬-텔루르, 비소-안티몬-텔루르, 주석-안티몬-텔루르, 주석-인듐-안티몬-텔루르, 비소-게르마늄-안티몬-텔루르, 비스무스-안티몬-텔루르, 탄탈륨, 니오븀 내지 바나듐 등과 같은 5A족 원소-안티몬-텔루르, 텅스텐, 몰리브덴 내지 크롬 등과 같은 6A족 원소-안티몬-텔루르, 5A족 원소-안티몬-셀렌, 또는 6A족 원소-안티몬-셀렌 등을 포함한다.The lower portion 295a, the center portion 295b, and the upper portion 295c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95 may each have a first insulation pattern 275, a second insulation pattern 280, and a third insulation pattern () of the protection member 290. 285). Since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95 is embedded in the protection member 29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width W 6 of the center portion 295b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95 is the width of the upper portion 295c and the lower portion 295a. From about 1/5 to about 1/2 of (W 5 ). That is, since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95 is formed in the protective member 290 hav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280 protrudes compared to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patterns 275 and 285,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95 generally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I' or an hourglass shape.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95 may be a chalcogen compound, for example, germanium-antimony-tellurium, arsenic-antimony-tellurium, tin-antimony-tellurium, tin-indium-antimony-tellurium, arsenic-germanium-antimony-tellurium, bismus -Group 5A elements, such as antimony-tellurium, tantalum, niobium to vanadium, etc.-Group 6A elements, such as antimony-tellur, tungsten, molybdenum to chromium, etc.-antimony-tellurium, group 5A elements-antimony-selen, or group 6A elements-antimony- Selenium and the like.

질소를 함유하는 도전성 물질, 도핑된 폴리실리콘, 금속 또는 금속 실리사이드로 구성된 상부 전극(297)은 가변 저항 부재(295)의 상부(295c) 상에 위치한다. 상부 전극(297)은 가변 저항 부재(295)의 상부(295c) 및 하부(295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진다.An upper electrode 297 consisting of a conductive material containing nitrogen, doped polysilicon, metal or metal silicide is located on top 295c of variable resistance member 295. The upper electrode 297 has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as the upper portion 295c and the lower portion 295a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95.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에 도시한 가변 저항 구조물의 일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c에 있어서, 도 7과 동일한 부재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8A to 8C illustrate cross-sectional views for describ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illustrated in FIG. 7. 8A to 8C,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members as in FIG.

도 8a를 참조하면, 콘택 영역 또는 도전성 구조물을 갖는 반도체 기판(도시되지 않음) 상에 화학 기상 증착(CVD) 공정, 플라즈마 증대 화학 기상 증착(PE-CVD) 공정, 원자층 증착(ALD) 공정 또는 고밀도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HDP-CVD) 공정을 이용하여 층간 절연막(255)을 형성한다. 층간 절연막(255)은 산화물, 예를 들면, PE-TEOS, USG, PSG, BPSG, SOG 또는 HDP-CVD 산화물 등을 사용하여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8A, a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process,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process, an atomic layer deposition (ALD) process, or a semiconductor substrate (not shown) having a contact region or a conductive structure is provided.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255 is formed using a high density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HDP-CVD) process.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255 is formed using an oxide, for example, PE-TEOS, USG, PSG, BPSG, SOG, or HDP-CVD oxide.

층간 절연막(255)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층간 절연막(255)에 상기 콘택 영역 또는 도전성 구조물을 노출시키는 콘택 홀(258)을 형성한 후, 콘택 홀(258)을 채우면서 층간 절연막(255) 상에 화학 기상 증착 공정, 스퍼터링 공정, 진공 증착 공정 또는 펄스 레이저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제1 도전막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도전막은 도핑된 폴리실리콘, 텅스텐, 구리, 탄탈륨, 알루미늄 또는 티타늄을 사용하여 형성된다.After partially etching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55 to form a contact hole 258 exposing the contact region or the conductive structure i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55, and filling the contact hole 258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55. The first conductive film is formed using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 sputtering process, a vacuum deposition process, or a pulse laser deposition process. The first conductive film is formed using doped polysilicon, tungsten, copper, tantalum, aluminum or titanium.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 에치 백 공정 또는 화학 기계적 연마와 에치 백을 조합한 공정을 통하여 층간 절연막(255)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1 도전막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콘택 홀(258)을 채우는 패드(260)를 형성한다. 패드(260)는 상기 콘택 영역 또는 도전성 구조물에 접촉되어 후속하여 형성되는 하부 전극(270)을 상기 콘택 영역이나 도전성 구조물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The pad 260 filling the contact hole 258 by partially removing the first conductive layer until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55 is exposed through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an etch back process, or a combination process of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nd etch back. ). The pad 260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region or the conductive structur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lower electrode 270 formed subsequently to the contact region or the conductive structure.

패드(260)가 형성된 층간 절연막(255) 상에 산화물,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을 화학 기상 증착 공정, 플라즈마 증대 화학 기상 증착 공정, 원자층 증착 공정, 또는 고밀도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 공정으로 증착하여 추가 절연막을 형성한 다음, 상기 추가 절연막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패드(260)와 그 주변의 층간 절연막(255)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하부 개구(268)를 갖는 추가 절연막 패턴(265)을 형성한다.The oxide, nitride, or oxynitride is deposit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55 on which the pad 260 is formed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atomic layer deposition, or high density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After forming, the additional insulating layer is partially etched to form an additional insulating layer pattern 265 having a lower opening 268 exposing the pad 260 and a portion of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55 around the additional insulating layer.

화학 기상 증착 공정, 펄스 레이저 증착 공정, 스퍼터링 공정 또는 진공 증착 공정으로 하부 개구(268)를 채우면서 추가 절연막 패턴(265) 상에 제2 도전막을 형성한 다음,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 에치 백 공정 또는 화학 기계적 연마와 에치 백을 조합한 공정으로 추가 절연막 패턴(265)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2 도전막을 제거함으로써, 하부 개구(268)에 매립되는 하부 전극(270)을 형성한다. 하부 전극 (270)은 패드(260)에 접촉되어 상기 기판의 콘택 영역 또는 도전성 구조물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부 전극(270)은 질소를 함유하는 도전성 물질, 도핑된 폴리실리콘, 금속 실리사이드 또는 금속으로 구성된다.A second conductive film is formed on the additional insulating film pattern 265 while filling the lower opening 268 by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 pulse laser deposition process, a sputtering process, or a vacuum deposition process, and then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an etch back process, or the like. In the process combining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nd an etch back,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s removed until the additional insulating layer pattern 265 is exposed, thereby forming a lower electrode 270 embedded in the lower opening 268. The lower electrode 270 is in contact with the pad 26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region or the conductive structure of the substrate. The lower electrode 270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containing nitrogen, doped polysilicon, metal silicide or metal.

도 8b를 참조하면, 추가 절연막 패턴(265) 및 하부 전극(270) 상에 화학 기상 증착 공정, 플라즈마 증대 화학 기상 증착 공정, 원자층 증착 공정 또는 고밀도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 공정으로 제1 절연막, 제2 절연막 및 제3 절연막을 차례로 형성한 후, 상기 제3 절연막, 제2 절연막 및 제1 절연막을 순차적으로 패터닝하여, 추가 절연막 패턴(265) 및 하부 전극(270) 상에 제1 절연막 패턴(275), 제2 절연막 패턴(280) 및 제3 절연막 패턴(285)을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3 절연막 패턴들(275, 285)과 제2 절연막 패턴(280)은 각기 산화물이나 질화물을 식각하는 식각 가스 또는 식각 용액에 대하여 상이한 식각율을 갖는 물질들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3 절연막 패턴들(275, 285)은 산화물을 사용하여 형성되고, 제2 절연막 패턴(275)은 질화물을 사용하여 형성되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제1 및 제3 절연막 패턴들(275, 285)은 불순물이 도핑된 산화물을 포함하고, 제2 절연막 패턴(275)은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산화물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B,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65 and the lower electrode 270 may be formed by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n atomic layer deposition process, or a high density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fter the insulating film and the third insulating film are sequentially formed, the third insulating film, the second insulating film, and the first insulating film are sequentially patterned to form the first insulating film pattern 275 on the additional insulating film pattern 265 and the lower electrode 270. The second insulating film pattern 280 and the third insulating film pattern 285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layer patterns 275 and 285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pattern 280 may be formed using materials having different etching rates with respect to the etching gas or etching solution for etching the oxide or nitride, respectively. Form. For example,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layer patterns 275 and 285 may be formed using an oxide,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pattern 275 may be formed using nitride or vice versa. In addition,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layer patterns 275 and 285 may include an oxide doped with an impurity,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pattern 275 may be formed using an oxide that is not doped with an impurity.

제1 내지 제3 절연막 패턴들(275, 280, 285)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하부 전극(270)을 노출시키는 개구(293)를 형성하여 보호 부재(290)를 완성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에 따라 제1 및 제3 절연막 패턴들(275, 285)이 제2 절연막 패턴(280)에 비하여 빠른 속도로 식각되기 때문에 제2 절연막 패턴(280)은 하부 전극(270)의 내 측을 향하여 수평하게 돌출된다. 이에 따라, 개구(293)는 중앙부의 폭(W8)이 상부 및 하부의 폭(W7)의 약 1/5 내지 약 1/2 정도가 되며, 개구(293)의 상부 및 하부의 폭(W7)은 실질적으로 하부 전극(270)과 동일하게 형성된다.The protective member 290 is completed by partially etching the first to third insulating layer patterns 275, 280, and 285 to form an opening 293 exposing the lower electrode 270.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film patterns 275 and 285 are etched at a higher speed than the second insulating film pattern 280, the second insulating film pattern 280 may be formed in the lower electrode 270. It protrudes horizontally toward the side. Accordingly, the opening 293 has a width W 8 of the center portion of about 1/5 to about 1/2 of the width W 7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the widths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pening 293 ( W 7 ) is formed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lower electrode 270.

도 8c를 참조하면, 화학 기상 증착 공정, 플라즈마 증대 화학 기상 증착 공정 또는 원자층 증착 공정을 통하여 보호 부재(290)의 개구(293)를 채우면서 보호 부재(290) 상에 상변화 물질층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상변화 물질층은 게르마늄-안티몬-텔루르, 비소-안티몬-텔루르, 주석-안티몬-텔루르, 주석-인듐-안티몬-텔루르, 비소-게르마늄-안티몬-텔루르, 비스무스-안티몬-텔루르, 탄탈륨, 니오븀 내지 바나듐 등과 같은 5A족 원소-안티몬-텔루르, 텅스텐, 몰리브덴 내지 크롬 등과 같은 6A족 원소-안티몬-텔루르, 5A족 원소-안티몬-셀렌, 또는 6A족 원소-안티몬-셀렌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C, a phase change material layer is formed on the protection member 290 while filling the opening 293 of the protection member 290 through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or an atomic layer deposition process. do. Here,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may be germanium-antimony-tellurium, arsenic-antimony-tellurium, tin-antimony-tellurium, tin-indium-antimony-tellurium, arsenic-germanium-antimony-tellurium, bismuth-antimony-tellurium, tantalum, Group 5A elements-antimony-tellurium, such as niobium to vanadium, and the like, Group 6A elements-antimony-tellur, such as group 5A elements-antimony-selen, or group 6A elements-antimony-selen, and the like.

보호 부재(290)의 제3 절연 패턴(285)이 노출될 때까지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 에치 백 공정 또는 화학 기계적 연마와 에치 백을 조합한 평탄화 공정으로 상기 상변화 물질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개구(293)에 매립되는 가변 저항 부재(295)를 형성한다. 보호 부재(290)의 개구(293)가 상부 및 하부에 비하여 좁은 폭을 갖는 중앙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이러한 개구(293)를 채우는 가변 저항 부재(295)도 상부(295c) 및 하부(295a)에 비하여 중앙부(295b)가 좁은 폭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보호 부재(290)는 가변 저항 부재(295)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의 역할을 하면서, 가변 저항 부재(295)가 완성된 후에는 가변 저항 부재(295)의 구조를 유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 경우, 가변 저항 부재(295)의 상부(295c) 및 하부(295a)는 하부 전극(27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된다.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is partially removed by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an etch back process, or a planarization process combining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nd etch back until the third insulating pattern 285 of the protective member 290 is exposed.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95 embedded in 293 is formed. Since the opening 293 of the protection member 290 has a central portion having a narrower width tha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95 filling the opening 293 is also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295c and 295a. In comparison, the central portion 295b has a narrow width. Accordingly, the protection member 290 serves as a mold for forming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95, and also maintains the structure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95 after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95 is completed. . In this case, the upper portion 295c and the lower portion 295a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95 are formed with substantially the same area as the lower electrode 270.

가변 저항 부재(295) 상에 화학 기상 증착 공정, 스퍼터링 공정 또는 진공 증착 공정으로 제3 도전막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3 도전막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가변 저항 부재(295) 상에 상부 전극(297)을 형성하여 반도체 기판 상에 가변 저항 구조물(250)을 완성한다. 상부 전극(297)은 질소를 함유하는 도전성 물질, 도핑된 폴리실리콘, 금속 실리사이드 또는 금속을 사용하여 형성된다.After forming a third conductive layer o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95 by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 sputtering process, or a vacuum deposition process, the third conductive layer is partially etched to form an upper electrode 297 o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95. To form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250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The upper electrode 297 is formed using a conductive material containing nitrogen, doped polysilicon, metal silicide or metal.

도 9a 내지 도 9d는 도 7에 도시한 가변 저항 구조물의 다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을 도시한 것이다.9A to 9D illustrate cross-sectional views for describing anoth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illustrated in FIG. 7.

도 9a를 참조하면, 콘택 영역 또는 도전성 구조물을 갖는 반도체 기판(도시되지 않음) 상에 화학 기상 증착 공정, 플라즈마 증대 화학 기상 증착 공정, 원자층 증착 공정 또는 고밀도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층간 절연막(655)을 형성한다. 층간 절연막(655)은 산화물을 사용하여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9A,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is formed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not shown) having a contact region or a conductive structure by using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n atomic layer deposition process, or a high density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Form 655.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655 is formed using an oxide.

층간 절연막(655)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층간 절연막(655)에 상기 콘택 영역 또는 도전성 구조물을 노출시키는 콘택 홀(658)을 형성한 후, 콘택 홀(658)을 채우면서 층간 절연막(655) 상에 화학 기상 증착 공정, 스퍼터링 공정, 진공 증착 공정 또는 펄스 레이저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제1 도전막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도전막은 도핑된 폴리실리콘, 텅스텐, 구리, 탄탈륨, 알루미늄 또는 티타늄을 사용하여 형성된다.After partially etching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655 to form a contact hole 658 exposing the contact region or the conductive structure in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655, and filling the contact hole 658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655. The first conductive film is formed using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 sputtering process, a vacuum deposition process, or a pulse laser deposition process. The first conductive film is formed using doped polysilicon, tungsten, copper, tantalum, aluminum or titanium.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 에치 백 공정 또는 화학 기계적 연마와 에치 백을 조합한 공정을 통하여 층간 절연막(655)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1 도전막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콘택 홀(658)을 채우는 패드(660)를 형성한다. 패드(660)는 상기 콘택 영역 또는 도전성 구조물에 접촉되어 후속하여 형성되는 하부 전극(670)을 상기 콘택 영역이나 도전성 구조물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The pad 660 filling the contact hole 658 by partially removing the first conductive layer until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655 is exposed through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an etch back process, or a combination process of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nd etch back. ). The pad 660 electrically connects the lower electrode 670 formed in contact with the contact region or the conductive structure to the contact region or the conductive structure.

패드(660)가 형성된 층간 절연막(655) 상에 산화물,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을 화학 기상 증착 공정, 플라즈마 증대 화학 기상 증착 공정, 원자층 증착 공정, 또는 고밀도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 공정으로 증착하여 추가 절연막을 형성한 다음, 상기 추가 절연막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패드(660)와 그 주변의 층간 절연막(655)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하부 개구(668)를 갖는 추가 절연막 패턴(665)을 형성한다.The oxide, nitride, or oxynitride is deposit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655 having the pad 660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atomic layer deposition, or high density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After forming, the additional insulating layer is partially etched to form an additional insulating layer pattern 665 having a lower opening 668 that exposes the pad 660 and a portion of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655 therebetween.

화학 기상 증착 공정, 펄스 레이저 증착 공정, 스퍼터링 공정 또는 진공 증착 공정으로 하부 개구(668)를 채우면서 추가 절연막 패턴(665) 상에 제2 도전막을 형성한 다음,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 에치 백 공정 또는 화학 기계적 연마와 에치 백을 조합한 공정으로 추가 절연막 패턴(665)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2 도전막을 제거함으로써, 하부 개구(668)에 매립되는 하부 전극(670)을 형성한다. 하부 전극(670)은 패드(660)에 접촉되어 상기 기판의 콘택 영역 또는 도전성 구조물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부 전극(670)은 질소를 함유하는 도전성 물질, 도핑된 폴리실리콘, 금속 실리사이드 또는 금속으로 구성된다.A second conductive film is formed on the additional insulating film pattern 665 while filling the lower opening 668 by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 pulsed laser deposition process, a sputtering process, or a vacuum deposition process, and then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an etch back process, or the like. By combining the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nd the etch back,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s removed until the additional insulating layer pattern 665 is exposed, thereby forming the lower electrode 670 embedded in the lower opening 668. The lower electrode 670 is in contact with the pad 66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region or the conductive structure of the substrate. Lower electrode 670 is comprised of a conductive material containing nitrogen, doped polysilicon, metal silicide or metal.

도 9b를 참조하면, 추가 절연막 패턴(665) 및 하부 전극(670) 상에 화학 기상 증착 공정, 플라즈마 증대 화학 기상 증착 공정, 원자층 증착 공정 또는 고밀도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 공정으로 제1 절연막, 제2 절연막 및 제3 절연막을 차례로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9B, the first insulating film and the second insulating film may be formed on the additional insulating film pattern 665 and the lower electrode 670 by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n atomic layer deposition process, or a high density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The insulating film and the third insulating film are formed in sequence.

상기 제3 절연막, 제2 절연막 및 제1 절연막을 순차적으로 패터닝하여, 추가 절연막 패턴(665) 및 하부 전극(670) 상에 제1 절연막 패턴(675), 제2 절연막 패턴(680) 및 제3 절연막 패턴(685)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3 절연막 패턴들(675, 685)과 제2 절연막 패턴(680)은 각기 산화물이나 질화물을 식각하는 식각 가스 또는 식각 용액에 대하여 상이한 식각율을 갖는 물질들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3 절연막 패턴들(275, 285)은 산화물을 사용하여 형성되고, 제2 절연막 패턴(275)은 질화물을 사용하여 형성되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제1 및 제3 절연막 패턴들(275, 285)은 불순물이 도핑된 산화물을 포함하고, 제2 절연막 패턴(275)은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산화물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third insulating film, the second insulating film, and the first insulating film are sequentially patterned to form the first insulating film pattern 675, the second insulating film pattern 680, and the third insulating film on the additional insulating film pattern 665 and the lower electrode 670. An insulating film pattern 685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film patterns 675 and 685 and the second insulating film pattern 680 may be formed using materials having different etching rates with respect to an etching gas or an etching solution for etching oxides or nitrides, respectively. Form. For example,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layer patterns 275 and 285 may be formed using an oxide,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pattern 275 may be formed using nitride or vice versa. In addition,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layer patterns 275 and 285 may include an oxide doped with an impurity,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pattern 275 may be formed using an oxide that is not doped with an impurity.

제3 내지 제1 절연막 패턴들(685, 680, 675)을 차례로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하부 전극(670)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개구(688)를 형성한다. 이 경우, 제1 개구(688)의 폭(W9)은 하부 전극(670)의 폭의 약 1/10 내지 약 1/2 정도가 된다. 제1 개구(688)는 건식 식각 공정으로 형성된다.The third to first insulating layer patterns 685, 680, and 675 are partially etched in order to form a first opening 688 exposing a portion of the lower electrode 670. In this case, the width W 9 of the first opening 688 is about 1/10 to about 1/2 of the width of the lower electrode 670. The first opening 688 is formed by a dry etching process.

도 9c를 참조하면, 습식 식각 공정으로 제1 개구(688)를 확장하여 제2 개구(693)를 형성함으로써, 추가 절연 패턴(665) 상에 보호 부재(690)를 완성한다. 이 경우, 제1 개구(688)의 폭(W9)은 제2 개구(693)의 폭(W10)의 약 1/4 내지 약 2/5 정 도가 된다. 제2 개구(693)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습식 식각 공정에 있어서, 제1 및 제3 절연 패턴들(675, 685)이 산화물로 구성되고 제2 절연 패턴(680)이 질화물로 이루어질 경우, 불화수소를 포함하는 식각 용액 또는 수산화암모늄, 과산화수소 및 탈이온수를 포함하는 식각 용액을 사용하여 식각 공정을 수행할 때, 제1 및 제3 절연 패턴들(675, 685)이 제2 절연 패턴(680)에 비하여 빠른 속도로 식각된다. 이에 따라, 제2 절연 패턴(680)이 제2 개구(693) 내부로 수평하게 돌출된다. 또한, 제1 및 제3 절연 패턴들(675, 685)이 제1 불순물 농도로 도핑된 산화물로 이루어지고, 제2 절연 패턴(680)이 상기 제1 불순물 농도 보다 높은 제2 불순물 농도로 도핑된 산화물로 이루어질 경우, 제1 및 제3 절연 패턴들(275, 285)이 제2 절연 패턴(280)에 비하여 빠른 속도로 식각됨으로써, 중앙부의 폭이 상부 및 하부의 폭에 비하여 좁은 제2 개구(693)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3 절연막 패턴들(675, 685)이 제2 절연막 패턴(680)에 비하여 빠른 속도로 식각되기 때문에 제2 절연막 패턴(680)은 하부 전극(670)의 내측을 향하여 수평하게 돌출된다.Referring to FIG. 9C, the protective member 690 is completed on the additional insulating pattern 665 by expanding the first opening 688 to form the second opening 693 by a wet etching process. In this case, the width W 9 of the first opening 688 is about 1/4 to about 2/5 of the width W 10 of the second opening 693. In the wet etching process for forming the second opening 693, when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patterns 675 and 685 are made of oxide and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680 is made of nitride, hydrogen fluoride When the etching process is performed using an etching solution including or an etching solution including ammonium hydroxide, hydrogen peroxide and deionized water,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patterns 675 and 685 may be formed on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680. It is etched at a high speed. Accordingly,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680 protrudes horizontally into the second opening 693. In addition,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patterns 675 and 685 are formed of an oxide doped with a first impurity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680 is doped with a second impurity concentration higher than the first impurity concentration. In the case of the oxide,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patterns 275 and 285 are etched at a higher speed than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280, so that the width of the center portion is narrower than that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693).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film patterns 675 and 685 are etched at a higher speed than the second insulating film pattern 680, the second insulating film pattern 680 may be formed inside the lower electrode 670. Protrude horizontally towards the surface.

도 9d를 참조하면, 화학 기상 증착 공정, 플라즈마 증대 화학 기상 증착 공정 또는 원자층 증착 공정을 통하여 보호 부재(690)의 제2 개구(693)를 채우면서 보호 부재(690) 상에 상변화 물질층을 형성한다. 상기 상변화 물질층은 게르마늄-안티몬-텔루르, 비소-안티몬-텔루르, 주석-안티몬-텔루르, 주석-인듐-안티몬-텔루르, 비소-게르마늄-안티몬-텔루르, 비스무스-안티몬-텔루르, 탄탈륨, 니오븀 내지 바나듐 등과 같은 5A족 원소-안티몬-텔루르, 텅스텐, 몰리브덴 내지 크롬 등과 같은 6A족 원소-안티몬-텔루르, 5A족 원소-안티몬-셀렌, 또는 6A족 원소-안티몬-셀렌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D, a phase change material layer on the protective member 690 while filling the second opening 693 of the protective member 690 through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or an atomic layer deposition process. To form.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is germanium-antimony-tellurium, arsenic-antimony-tellurium, tin-antimony-tellurium, tin-indium-antimony-tellurium, arsenic-germanium-antimony-tellurium, bismuth-antimony-tellurium, tantalum, niobium to Group 5A elements-antimony-tellurium, such as vanadium, etc., Group 6A elements-antimony-tellur, such as tungsten, molybdenum to chromium, etc., Group 5A elements-antimony-selen, or Group 6A elements-antimony-selen, and the like.

보호 부재(690)의 제3 절연 패턴(685)이 노출될 때까지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 에치 백 공정 또는 화학 기계적 연마와 에치 백을 조합한 평탄화 공정으로 상기 상변화 물질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제2 개구(693)에 매립되는 가변 저항 부재(695)를 형성한다. 보호 부재(690)의 제2 개구(693)가 상부 및 하부에 비하여 좁은 폭을 갖는 중앙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이러한 제2 개구(693)를 채우는 가변 저항 부재(695)도 상부(695c) 및 하부(695a)에 비하여 중앙부(695b)가 좁은 폭을 가지게 된다. 보호 부재(690)는 가변 저항 부재(695)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의 역할을 하면서, 가변 저항 부재(695)가 완성된 후에는 가변 저항 부재(695)의 구조를 유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 경우, 가변 저항 부재(695)의 상부(695c) 및 하부(695a)는 하부 전극(67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된다.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may be partially removed by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an etch back process, or a planarization process combining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nd etch back until the third insulating pattern 685 of the protective member 690 is exposed.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695 is formed in the two openings 693. Since the second opening 693 of the protective member 690 has a central portion having a narrower width tha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695 filling the second opening 693 also has an upper portion 695c and a lower portion. Compared to 695a, the central portion 695b has a narrow width. The protective member 690 serves as a mold for forming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695, and also maintains the structure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695 after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695 is completed. In this case, the upper part 695c and the lower part 695a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695 are formed with substantially the same area as the lower electrode 670.

가변 저항 부재(695) 상에 화학 기상 증착 공정, 스퍼터링 공정 또는 진공 증착 공정으로 제3 도전막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3 도전막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가변 저항 부재(695) 상에 상부 전극(700)을 형성하여 반도체 기판 상에 가변 저항 구조물(650)을 완성한다. 상부 전극(700)은 질소를 함유하는 도전성 물질, 도핑된 폴리실리콘, 금속 실리사이드 또는 금속을 사용하여 형성된다.After forming a third conductive layer o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695 by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 sputtering process, or a vacuum deposition process, the third conductive layer is partially etched to form an upper electrode 700 o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695. To form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650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The upper electrode 700 is formed using a conductive material containing nitrogen, doped polysilicon, metal silicide or metal.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저항 구조물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저항 구조물(300)에 있어서, 하부 전극(315)이 층간 절연막(305)에 매립되는 점을 제외하면 도 7에 도시한 가변 저항 구조물(250)과 동일하다.10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lower electrode 315 is the same as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250 illustrated in FIG. 7 except that the lower electrode 315 is embedded i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305.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저항 구조물(300)은 패드(315)와 일체로 형성되어 층간 절연막(305)에 매립되는 하부 전극(315), 층간 절연막(305) 상에 형성되어 하부 전극(3150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포함하는 보호 부재(335), 보호 부재(335)의 개구를 채우는 가변 저항 부재(340), 그리고 가변 저항 부재(340) 상에 형성된 상부 전극(345)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 10,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formed on the lower electrode 315 and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305 integrally formed with the pad 315 and embedded i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305. A protection member 335 including an opening formed to expose the lower electrode 3150, a variable resistance member 340 filling the opening of the protection member 335, and an upper electrode 345 formed o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340. It is provided.

추가 절연 패턴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보호 부재(335)의 제1 절연 패턴(320)은 층간 절연막(305) 상에 직접 형성되며, 제1 절연 패턴(320) 상에는 제2 절연 패턴(325) 및 제3 절연 패턴(330)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Since the additional insulating pattern is not formed, the first insulating pattern 320 of the protective member 335 is directly form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305, and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325 and the first insulating pattern 320 are formed on the first insulating pattern 320. The third insulating pattern 330 is sequentially formed.

보호 부재(335)의 제2 절연 패턴(325)이 수평하게 돌출되기 때문에 보호 부재(335)에 매립되는 가변 저항 부재(340)도 보호 부재(3350의 구조에 상응하여 하부(340a) 및 상부(340c)에 비하여 중앙부(340b)가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부 전극(345)은 가변 저항 부재(340)의 상부(340c)와 동일한 면적으로 가변 저항 부재(340) 상에 형성된다.Since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325 of the protective member 335 protrudes horizontally,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340 embedded in the protective member 335 also has a lower portion 340a and an upper portion (3)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rotective member 3350. The central portion 340b is formed with a relatively small area as compared to the 340c.The upper electrode 345 is formed o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340 with the same area as the upper portion 340c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340.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저항 부재(300)의 제조 방법은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층간 절연막(305)에 패드(310)와 하부 전극(315)을 일체로 형성하는 점을 제외하면 도 8a 내지 도 8c 또는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한 가변 저항 부재(250)의 제조 공정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illustrated in FIG. 6A except that the pad 310 and the lower electrode 315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305. Since the manufacturing processes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250 illustrated in FIG. 8C or FIGS. 9A to 9D are substantially the same,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Phase change memor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는 도 7에 도시한 가변 저항 구조물(250)을 구비하지만, 도 10에 도시한 가변 저항 구조물(300)을 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hase change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phase change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250 illustrated in FIG. 7,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300 illustrated in FIG. 10 may be applied to the phase change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have.

도 11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350) 상에는 소자 분리막(355)이 형성되어 반도체 기판(350)에 액티브 영역을 정의한다. 게이트 구조물들(380)과 같은 도전성 구조물들은 상기 액티브 영역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콘택 영역(385, 390)은 각기 게이트 구조물들(380) 사이로 노출되는 반도체 기판(350)에 형성된다. 각 게이트 구조물(380)은 반도체 기판(350)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 패턴(360), 게이트 전극(365), 게이트 마스크(370) 및 게이트 스페이서(375)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1, an isolation layer 355 is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350 to define an active region i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350. Conductive structures, such as gate structures 380, are formed in the active region, and first and second contact regions 385 and 390 are formed i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350, which are exposed between the gate structures 380, respectively. Each gate structure 380 includes a gate insulating layer pattern 360, a gate electrode 365, a gate mask 370, and a gate spacer 375 sequential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350.

산화물로 이루어진 제1 층간 절연막(395)은 반도체 기판(350)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구조물들(380)을 덮으면서 형성되며, 제1 및 제2 패드들(400, 405)은 각기 제1 층간 절연막(395)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제1 패드(400)는 제1 콘택 영역(385)에 접촉되며, 제2 패드(405)는 제2 콘택 영역(390)에 접촉된다. 예를 들면, 제1 층간 절연막(395)은 PE-TEOS, USG, SOG 또는 HDP-CVD 산화물로 이루어지며, 제1 및 제2 패드들(400, 405)은 각기 도핑된 폴리실리콘이나 텅스텐, 알루미늄, 탄탈륨 또는 구리 등과 같은 금속으로 구성된다.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395 made of oxide is formed to cover the gate structures 380 position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350, and the first and second pads 400 and 405 are formed of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respectively. It is formed through (395). In this case, the first pad 40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region 385, and the second pad 405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region 390. For example,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395 may be formed of PE-TEOS, USG, SOG, or HDP-CVD oxide, and the first and second pads 400 and 405 may be doped with polysilicon, tungsten, or aluminum, respectively. , Metal such as tantalum or copper.

제2 패드(405) 상에는 비트 라인(410)과 같은 도전성 구조물이 형성된다. 이 경우, 비트 라인(410)은 도핑된 폴리실리콘, 금속 또는 금속 질화물로 이루어진다.A conductive structure such as a bit line 410 is formed on the second pad 405. In this case, the bit line 410 is made of doped polysilicon, metal or metal nitride.

비트 라인(410)을 덮으면서 제1 및 제2 패드(400, 405)가 형성된 제1 층간 절연막(395) 상에는 제2 층간 절연막(415)이 형성된다. 제3 패드(420)는 제2 층간 절연막(415)을 관통하여 제1 패드(400)에 접촉되게 형성된다. 제2 층간 절연막(415)은 PE-TEOS, USG, SOG 또는 HDP-CVD 산화물로 이루어지며, 제3 패드(420)는 도핑된 폴리실리콘, 텅스텐, 알루미늄, 탄탈륨 또는 구리 등으로 구성된다.A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415 is formed o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395 covering the bit line 410 and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pads 400 and 405 are formed. The third pad 420 is formed to contact the first pad 400 through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415.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415 is made of PE-TEOS, USG, SOG, or HDP-CVD oxide, and the third pad 420 is made of doped polysilicon, tungsten, aluminum, tantalum, copper, or the like.

제3 패드(420) 및 제2 층간 절연막(415) 상에는 제3 패드(420)를 노출시키는 하부 개구를 구비하는 추가 절연 패턴(425)이 형성된다. 이 경우, 추가 절연 패턴(425)은 산화물,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추가 절연 패턴(425)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또는 실리콘 산질화물로 이루어진다.An additional insulating pattern 425 having a lower opening exposing the third pad 420 is formed on the third pad 420 and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415. In this case, the additional insulating pattern 425 includes an oxide, nitride or oxynitride. For example, the additional insulating pattern 425 is made of silicon oxide, silicon nitride, or silicon oxynitride.

추가 절연 패턴(425)의 개구를 채우면서 제3 패드(420) 상에는 하부 전극(430)이 형성된다. 하부 전극(430)은 질소를 함유하는 도전성 물질, 금속, 도핑된 폴리실리콘 또는 금속 실리사이드를 포함한다.The lower electrode 430 is formed on the third pad 420 while filling the opening of the additional insulating pattern 425. The lower electrode 430 includes a conductive material containing metal, metal, doped polysilicon or metal silicide.

추가 절연 패턴(425) 상에는 하부 전극(430)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갖는 보호 부재(450)가 형성된다. 보호 부재(4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식각율을 갖는 산화물 및/또는 질화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제1 내지 제3 절연 패턴들(435, 440, 445)을 포함한다.A protective member 450 having an opening exposing the lower electrode 430 is formed on the additional insulating pattern 425. The protection member 450 includes first to third insulating patterns 435, 440, and 445 formed using oxides and / or nitrides having different etching rates as described above.

칼코겐 화합물로 이루어진 가변 저항 부재(460)는 보호 부재(450)의 개구에 매립된다. 보호 부재(450)의 형상에 따라 가변 저항 부재(460)는 상부(460c) 및 하부(460a)에 비하여 작은 면적을 갖는 중앙부(460b)를 구비한다.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460 made of a chalcogen compound is embedded in the opening of the protective member 45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rotective member 450,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460 includes a central portion 460b having a smaller area than the upper portion 460c and the lower portion 460a.

질소를 함유하는 도전성 물질, 도핑된 폴리실리콘, 금속 또는 금속 실리사이드로 이루어진 상부 전극(465)은 가변 저항 부재(460)의 상부(460c) 상에 형성된 다.An upper electrode 465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containing nitrogen, doped polysilicon, metal or metal silicide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460c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460.

제3 층간 절연막(470)은 보호 부재(450) 및 상부 전극(465)을 덮으면서 추가 절연 패턴(425) 상에 형성된다. 제3 층간 절연막(470)은 PE-TEOS, USG, SOG 또는 HDP-CVD 산화물을 포함한다.The thir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470 is formed on the additional insulating pattern 425 while covering the protective member 450 and the upper electrode 465. The third interlayer insulating film 470 includes PE-TEOS, USG, SOG, or HDP-CVD oxide.

제3 층간 절연막(470)에는 상부 전극(465)을 노출시키는 상부 개구가 형성된다. 상부 배선(475)과 같은 상부 도전성 구조물은 상기 상부 개구를 채우면서 제3 층간 절연막(470) 상에 형성되어 상부 전극(465)에 연결된다. 상부 배선(475)은 도핑된 폴리실리콘, 금속 또는 금속 질화물 등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구성된다.An upper opening is formed in the thir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470 to expose the upper electrode 465. An upper conductive structure such as the upper wiring 475 is formed on the thir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470 while filling the upper opening and connected to the upper electrode 465. The upper wiring 475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doped polysilicon, metal or metal nitride.

도 12a 내지 도 12e는 도 11에 도시한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a 내지 도 12e에 있어서, 도 11과 동일한 부재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12A to 12E illustrate cross-sectional views for describ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ase change memory device shown in FIG. 11. 12A to 12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members as in FIG.

도 12a를 참조하면, 쉘로우 트렌치 소자 분리(STI) 공정 또는 실리콘 부분 산화(LOCOS) 공정 등과 같은 소자 분리 공정을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350)에 소자 분리막(355)을 형성함으로써, 반도체 기판(350)을 액티브 영역 및 필드 영역으로 구분한다.Referring to FIG. 12A, the semiconductor substrate 350 may be formed by forming an isolation layer 355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350 using an isolation process such as a shallow trench isolation (STI) process or a silicon partial oxidation (LOCOS) process. Is divided into an active region and a field region.

반도체 기판(350)의 액티브 영역 상에 게이트 절연막, 게이트 도전막 및 게이트 마스크층을 차례로 형성한 다음, 사진 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마스크층, 게이트 도전막 및 게이트 절연막을 순차적으로 패터닝하여 상기 액티브 영역에 게이트 절연막 패턴(360), 게이트 전극(365) 및 게이트 마스크(370)를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도전막은 도핑된 폴리실리콘막이나 금속막 등의 단일층 또는 도핑 된 폴리실리콘막 및 금속막을 포함하는 이중층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게이트 마스크층은 산화물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는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게이트 마스크층은 실리콘 질화물과 같은 질화물로 이루어진다. A gate insulating layer, a gate conductive layer, and a gate mask layer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active region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350, and then the gate mask layer, the gate conductive layer, and the gate insulating layer are sequentially patterned by using a photolithography process. The gate insulating layer pattern 360, the gate electrode 365, and the gate mask 370 are formed in the region. The gate conductive layer is formed in a single layer such as a doped polysilicon layer or a metal layer or a double layer structure including a doped polysilicon layer and a metal layer. In addition, the gate mask layer is formed using a material having an etch selectivity with respect to oxides. For example, the gate mask layer is made of nitride such as silicon nitrid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진 식각 공정으로 상기 게이트 마스크층을 먼저 식각하여 상기 게이트 도전막 상에 게이트 마스크(370)를 형성한 후, 게이트 마스크(370)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도전막 및 게이트 절연막을 식각하여, 게이트 전극(365) 및 게이트 절연막 패턴(360)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te mask layer is first etched by a photolithography process to form a gate mask 370 on the gate conductive layer, and then the gate using the gate mask 370 as an etching mask. The conductive layer and the gate insulating layer may be etched to form the gate electrode 365 and the gate insulating layer pattern 360.

게이트 마스크(375)를 덮으면서 반도체 기판(350) 상에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진 질화막을 형성한다. 상기 질화막을 식각하여 게이트 마스크(370), 게이트 전극(370) 및 게이트 절연막 패턴(360)의 측벽에 게이트 스페이서(375)를 형성함으로써, 반도체 기판(350) 상에 게이트 절연막 패턴(360), 게이트 전극(365), 게이트 마스크(370) 및 게이트 스페이서(375)를 포함하는 게이트 구조물(380)을 형성한다. 게이트 스페이서(375)는 상기 질화막을 이방성 식각 공정으로 식각하여 형성된다.A nitride film made of silicon nitride is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350 while covering the gate mask 375. The nitride layer is etched to form gate spacers 375 on sidewalls of the gate mask 370, the gate electrode 370, and the gate insulating layer pattern 360, thereby forming the gate insulating layer pattern 360 and the gate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350. A gate structure 380 including an electrode 365, a gate mask 370, and a gate spacer 375 is formed. The gate spacer 375 is formed by etching the nitride film by an anisotropic etching process.

게이트 구조물들(380)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게이트 구조물들(380) 사이로 노출되는 반도체 기판(350)에 제1 및 제2 콘택 영역(385, 390)을 형성한다. 소오스/드레인 영역에 해당되는 제1 및 제2 콘택 영역(385, 390)은 이온 주입 공정 및 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반도체 기판(350)에 불순물을 이온 주입하고 열처리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게이트 구조물들(380)과 제1 및 제2 콘택 영역(385, 390)을 포함하는 MOS 트랜지스터들이 반도체 기판(350) 상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콘택 영역(385)은 가변 저항 구조물의 콘택 영역에 해당되며, 제2 콘택 영역(390)은 비트 라 인(410)의 콘택 영역에 해당된다. First and second contact regions 385 and 390 are formed i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350 exposed between the gate structures 380 using the gate structures 380 as a mask.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regions 385 and 390 corresponding to the source / drain regions are formed by ion implanting and heat treating the semiconductor substrate 350 through an ion implantation process and a heat treatment process. Accordingly, MOS transistors including the gate structures 380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regions 385 and 390 are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350. Here, the first contact region 385 corresponds to the contact region of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and the second contact region 390 corresponds to the contact region of the bit line 410.

상기 트랜지스터들을 덮으면서 반도체 기판(350) 상에 제1 층간 절연막(395)을 형성한다. 제1 층간 절연막(395)은 PE-TEOS, USG, SOG 또는 HDP-CVD 등과 같은 산화물을 화학 기상 증착 공정, 플라즈마 증대 화학 기상 증착 공정, 원자층 증착 공정 또는 고밀도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 공정으로 증착하여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 에치 백 공정 또는 화학 기계적 연마와 에치 백을 조합한 공정을 이용하여 제1 층간 절연막(395)의 상면을 평탄화시킬 수 있다.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395 is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350 while covering the transistors.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395 is formed by depositing an oxide such as PE-TEOS, USG, SOG, or HDP-CVD by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n atomic layer deposition process, or a high density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d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395 may be planarized by using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an etch back process, or a process combining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nd etch back.

사진 식각 공정을 통하여 제1 층간 절연막(395)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제1 층간 절연막(395) 중 아래에 제1 및 제2 콘택 영역(385, 390)이 위치하는 부분들에 각기 제1 및 제2 콘택 영역(385, 390)을 노출시키는 제1 및 제2 콘택 홀들(397, 398)을 형성한다.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395 is partially etched through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regions 385 and 390 are positioned below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395,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holes 397 and 398 are formed to expose the second contact regions 385 and 390.

제1 및 제2 콘택 홀(397, 398)을 채우면서 제1 층간 절연막(395) 상에 제1 도전막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도전막은 도핑된 폴리실리콘이나 구리, 탄탈륨, 텅스텐,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 에치 백 공정 또는 이들을 조합한 공정으로 제1 층간 절연막(395)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1 도전막을 제거하여, 제1 콘택 홀(397) 내에 제1 패드(400)를 형성하는 동시에 제2 콘택 홀(398) 내에 제2 패드(405)를 형성한다. 후속하여 형성되는 하부 전극(430)은 제1 패드(400)를 통하여 제1 콘택 영역(38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 first conductive layer is formed o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395 while filling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holes 397 and 398. The first conductive layer is formed using a metal such as doped polysilicon, copper, tantalum, tungsten, aluminum, or the like. The first pad 400 is formed in the first contact hole 397 by removing the first conductive layer until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395 is exposed by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an etch back process, or a combination thereof. At the same time, a second pad 405 is formed in the second contact hole 398. The subsequently formed lower electrode 4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region 385 through the first pad 400.

도 12b를 참조하면, 제2 패드(405) 상에 도핑된 폴리실리콘, 금속 또는 금속 질화물을 사용하여 비트 라인(410)과 같은 도전성 구조물을 형성한다. 비트 라인(410)은 화학 기상 증착 공정, 스퍼터링 공정, 펄스 레이저 증착 공정 또는 진공 증착 공정 등을 이용하여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2B, a conductive structure, such as bit line 410, is formed using doped polysilicon, metal, or metal nitride on second pad 405. The bit line 410 is formed using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 sputtering process, a pulsed laser deposition process or a vacuum deposition process.

비트 라인(410), 제1 패드(400) 및 제2 패드(405)를 덮으면서 제1 층간 절연막(395) 상에 제2 층간 절연막(415)을 형성한다. 제2 층간 절연막(415)은 PE-TEOS, USG, SOG 또는 HDP-CVD 산화물을 화학 기상 증착 공정, 플라즈마 증대 화학 기상 증착 공정, 원자층 증착 공정, 고밀도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 공정으로 증착하여 형성한다. 제2 층간 절연막(415)은 제1 층간 절연막(395)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A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415 is formed o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395 while covering the bit line 410, the first pad 400, and the second pad 405.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415 is formed by depositing PE-TEOS, USG, SOG, or HDP-CVD oxide by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n atomic layer deposition process, and a high density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415 may be formed using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as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395.

사진 식각 공정으로 제2 층간 절연막(415)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제2 층간 절연막(415)에 제1 패드(400)를 노출시키는 제3 콘택 홀(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한다. 상기 제3 콘택 홀을 채우면서 제2 층간 절연막(415) 상에 제2 도전막을 형성한다. 상기 제2 도전막은 도핑된 폴리실리콘이나 탄탈륨, 구리, 텅스텐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층간 절연막(415)의 상부를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 에치 백 공정 또는 이들을 조합한 공정을 이용하여 평탄화시킨 다음, 평탄화된 제2 층간 절연막(415) 상에 상기 제2 도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415)의 상면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2 도전막을 제거하여 상기 제3 콘택 홀에 매립되는 제3 패드(420)를 형성한다. 제3 패드(420)는 후속하여 형성되는 하부 전극(430)을 제1 패드(4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415 is partially etched by a photolithography process to form a third contact hole (not shown) exposing the first pad 400 in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415. A second conductive layer is formed on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415 while filling the third contact hole. The second conductive film is formed using a metal such as doped polysilicon or tantalum, copper, tungsten or aluminu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415 is planarized using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an etch back process,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n on the planarized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415. The second conductive film may be forme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s removed until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415 is exposed to form a third pad 420 embedded in the third contact hole. The third pad 420 serve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lower electrode 430 formed subsequently to the first pad 400.

제3 패드(420) 및 제2 층간 절연막(415) 상에 추가 절연막을 형성한 다음, 상기 추가 절연막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제3 패드(420)를 노출시키는 하부 개구를 갖는 추가 절연 패턴(425)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추가 절연막은 산화물,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을 화학 기상 증착 공정, 플라즈마 증대 화학 기상 증착 공정, 원자층 증착 공정 또는 고밀도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 공정으로 증착하여 형성한다.After forming an additional insulating film on the third pad 420 and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415, the additional insulating pattern 425 having a lower opening exposing the third pad 420 by partially etching the additional insulating film. To form. In this case, the additional insulating film is formed by depositing an oxide, nitride, or oxynitride by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n atomic layer deposition process, or a high density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상기 하부 개구를 채우면서 추가 절연 패턴(425) 상에 제3 도전막을 형성한 다음,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 에치 백 공정 또는 이들을 조합한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제3 도전막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하부 개구에 매립되는 하부 전극(43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3 도전막은 질소를 함유하는 도전성 물질, 금속 도핑된 폴리실리콘, 또는 금속 실리사이드를 화학 기상 증착 공정, 스퍼터링 공정, 진공 증착 공정 또는 펄스 레이저 증착 공정으로 적층하여 형성된다.Forming a third conductive film on the additional insulating pattern 425 while filling the lower opening, and then partially removing the third conductive film using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an etch back process, or a combination thereof to remove the lower opening. A lower electrode 430 is formed to be embedded therein. The third conductive layer may be formed by stacking a nitrogen-containing conductive material, a metal doped polysilicon, or a metal silicide by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 sputtering process, a vacuum deposition process, or a pulse laser deposition process.

도 12c를 참조하면, 하부 전극(430) 및 추가 절연 패턴(425) 상에 제1 절연막, 제2 절연막 및 제3 절연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다음, 사진 식각 공정으로 상기 제3 내지 제1 절연막들을 차례로 패터닝하여 하부 전극(430) 및 추가 절연 패턴(425) 상에 제1 내지 제3 절연 패턴들(435, 440, 445)을 형성한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3 절연 패턴들(435, 440, 445)을 형성하는 공정 및 구성 물질들은 도 7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12C, the first insulating layer, the second insulating layer, and the third insulating layer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lower electrode 430 and the additional insulating pattern 425, and then the third to first insulating layers are formed by a photolithography process. The patterns are sequentially patterned to form first to third insulating patterns 435, 440, and 445 on the lower electrode 430 and the additional insulating pattern 425. In this case, the process and constituent materials for forming the first to third insulating patterns 435, 440, and 445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B,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2d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절연 패턴들(435, 440, 445)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하부 전극(430)을 노출시키는 개구(453)를 형성함으로써, 추가 절연 패턴 (425) 상에 보호 부재(450)를 완성한다. 상기 개구(453)를 형성하는 공정도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Referring to FIG. 12D, the first to third insulating patterns 435, 440, and 445 are partially etched to form an opening 453 exposing the lower electrode 430, thereby forming an opening 443 on the additional insulating pattern 425. The protective member 450 is completed. The process of forming the opening 453 is also substantially the sa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B.

도 12e를 참조하면, 화학 기상 증착 공정, 플라즈마 증대 화학 기상 증착 공정 또는 원자층 증착 공정을 통하여 보호 부재(450)의 개구(453)를 채우면서 보호 부재(450) 상에 칼코겐 화합물을 포함하는 상변화 물질층을 형성한다. 보호 부재(450)의 제3 절연 패턴(445)이 노출될 때까지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 에치 백 공정 또는 화학 기계적 연마와 에치 백을 조합한 평탄화 공정으로 상기 상변화 물질층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개구(453)에 매립되는 가변 저항 부재(460)를 형성한다. 보호 부재(450)의 개구(453)가 상부 및 하부에 비하여 좁은 폭을 갖는 중앙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이러한 개구(453)를 채우는 가변 저항 부재(460)도 상부(460c) 및 하부(460a)에 비하여 중앙부(460b)가 좁은 폭을 가지게 된다. 보호 부재(450)는 가변 저항 부재(460)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의 역할을 하면서, 가변 저항 부재(460)가 완성된 후에는 가변 저항 부재(460)의 구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 12E, a chalcogenide compound is included on the protective member 450 while filling the opening 453 of the protective member 450 through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or an atomic layer deposition process. Form a phase change material layer. The phase change material layer is partially removed by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an etch back process, or a planarization process combining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nd etch back until the third insulating pattern 445 of the protective member 450 is exposed.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460 embedded in the 453 is formed. Since the opening 453 of the protective member 450 has a central portion having a narrower width tha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460 filling the opening 453 is also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460c and the lower portion 460a. In comparison, the central portion 460b has a narrow width. The protective member 450 serves as a mold for forming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460, and supports the structure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460 after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460 is completed.

가변 저항 부재(460) 상에 화학 기상 증착 공정, 펄스 레이저 증착 공정, 스퍼터링 공정 또는 진공 증착 공정으로 제4 도전막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4 도전막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가변 저항 부재(460) 상에 상부 전극(465)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반도체 기판(350)의 상부에는 가변 저항 구조물이 형성된다. 상기 제4 도전막은 질소를 함유하는 도전성 물질, 도핑된 폴리실리콘, 금속 실리사이드 또는 금속을 사용하여 형성된다.After the fourth conductive film is formed o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460 by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 pulse laser deposition process, a sputtering process, or a vacuum deposition process, the fourth conductive film is partially etched to form the fourth conductive film o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460. The upper electrode 465 is formed. Accordingly,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is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350. The fourth conductive film is formed using a conductive material containing nitrogen, doped polysilicon, metal silicide or metal.

상부 전극(465)을 덮으면서 추가 절연 패턴(425) 상에 제3 층간 절연막(470) 을 형성한다. 제3 층간 절연막(470)은 PE-TEOS, USG, SOG 또는 HDP-CVD 산화물을 화학 기상 증착 공정, 플라즈마 증대 화학 기상 증착 공정, 원자층 증착 공정, 고밀도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 공정으로 증착하여 형성한다.The thir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470 is formed on the additional insulating pattern 425 while covering the upper electrode 465. The thir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470 is formed by depositing PE-TEOS, USG, SOG, or HDP-CVD oxide by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n atomic layer deposition process, and a high density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사진 식각 공정으로 제3 층간 절연막(470)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제3 층간 절연막(470)에 상부 전극(465)을 노출시키는 상부 개구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층간 절연막(470)의 상부를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 에치 백 공정 또는 화학 기계적 연마와 에치 백을 조합한 공정을 이용하여 평탄화시킨 후, 상기 상부 개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The thir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470 is partially etched by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to form an upper opening exposing the upper electrode 465 in the thir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47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interlayer insulating film 470 is planarized using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an etch back process, or a combination of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nd etch back, and then the upper opening is formed. You may.

상기 상부 개구를 채우면서 제3 층간 절연막(470) 상에 도핑된 폴리실리콘이나 텅스텐, 구리, 알루미늄 또는 탄탈륨 등과 같은 금속을 사용하여 제5 도전막을 형성한다. 그 결과, 상부 전극(465)에 접촉되는 상부 배선(475)이 형성됨으로써, 가변 저항 구조물을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가 완성된다.The fifth conductive layer is formed using a metal such as tungsten, copper, aluminum, or tantalum, which is doped on the thir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470 while filling the upper opening. As a result, the upper wiring 475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upper electrode 465, thereby completing a phase change memory device including a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는 도 3에 도시한 가변 저항 구조물(150)을 구비하지만, 도 5에 도시한 가변 저항 구조물(200)을 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hase change memor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ase change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150 shown in FIG. 3, but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200 shown in FIG. 5 may be applied to the phase change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e.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는, 반도체 기판(500)의 제1 및 제2 콘택 영역(535, 540)에 각기 접촉되는 제1 및 제2 패드(550, 555), 제1 패드(550)에 접촉되는 연결되는 제3 패드(570), 제3 패드(570)에 접촉되는 하부 전극(580), 하부 전극(580) 상에 형성된 가변 저항 부재(610), 가변 저항 부재(610) 상에 형성된 상부 전극(615), 그리고 가변 저항 부재(610) 및 상부 전극(615)을 감싸는 보호 부재(60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3, the phase change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pads 550 and 555 contacting first and second contact regions 535 and 540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500, respectively. , A third pad 570 connected to the first pad 550, a lower electrode 580 contacting the third pad 570, a variable resistance member 610 formed on the lower electrode 580, and variable An upper electrode 615 formed on the resistance member 610 and a protective member 600 surrounding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610 and the upper electrode 615 are provided.

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가변 저항 부재(610) 및 보호 부재(600)를 제외하면 도 12에 도시한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각 부재들과 그 구조 및 기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재들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phase change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except for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610 and the protection member 600, each member of the phase change memory device illustrated in FIG. 12 is substantially the same in structure and function. Description of the same members is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가변 저항 구조물은 하부 전극(580), 가변 저항 부재(610), 보호 부재(600) 및 상부 전극(615)을 구비한다.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of the phase change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lower electrode 580, a variable resistance member 610, a protection member 600, and an upper electrode 615.

하부 전극(580)은 제3 패드(570)가 매립된 제2 층간 절연막(565) 상에 형성되며, 제3 패드(570)는 제1 층간 절연막(545)에 매립되는 제1 패드(550) 상에 위치한다. 제1 패드(550)는 반도체 기판(500)의 제1 콘택 영역(535)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하부 전극(580)은 제1 및 제3 패드들(550, 570)을 통하여 제1 콘택 영역(5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lower electrode 580 is formed on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565 in which the third pad 570 is embedded, and the third pad 570 is buried i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545. Located in the phase. The first pad 55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region 535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500. Accordingly, the lower electrode 58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region 535 through the first and third pads 550 and 570.

한편, 제2 층간 절연막(565)에 매립되는 비트 라인(560)은 제1 층간 절연막(545)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2 패드(555)를 통하여 제2 콘택 영역(5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및 제2 콘택 영역들(535, 540) 사이의 반도체 기판(500) 상에는 게이트 구조물들(530)이 위치한다. 각 게이트 구조물(530)은 게이트 절연막 패턴(510), 게이트 전극(515), 게이트 마스크(520) 및 게이트 스페이서(525)를 구비한다.Meanwhile, the bit line 560 buried in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6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region 540 through a second pad 555 formed through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45. Gate structures 530 are position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50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regions 535 and 540. Each gate structure 530 includes a gate insulating layer pattern 510, a gate electrode 515, a gate mask 520, and a gate spacer 525.

하부 전극(580)은 추가 절연 패턴(575) 내에 매립되며, 가변 저항 부재(610)는 하부 전극(580) 상에 형성된다. 가변 저항 부재(610)는 제1 면적을 갖는 하부 (610a), 제2 면적을 갖는 중앙부(610b), 그리고 제3 면적을 갖는 상부(610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면적과 제3 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제2 면적은 제1 및 제3 면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다. 도 3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 저항 부재(610)는 중앙부(610b)의 양측으로부터 수평하게 소정의 폭을 갖는 리세스들이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 ‘I’의 단면 형상 또는 모래시계의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각 리세스의 폭은 상부(620c) 및 하부(610a)의 폭의 약 1/4 내지 약 2/5 정도가 된다. 따라서, 중앙부(610b)의 폭은 상부(610c) 및 하부(610a)의 폭의 약 1/10 내지 약 1/2 정도가 된다.The lower electrode 580 is embedded in the additional insulating pattern 575, and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610 is formed on the lower electrode 580.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610 includes a lower portion 610a having a first area, a central portion 610b having a second area, and an upper portion 610c having a third area. The first area and the third area are substantially the same, and the second area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first and third areas. As shown in detail in FIG. 3,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610 has recesses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horizontally from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610b,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cross-sectional shape of 'I' or the shape of the hourglass. Have In addition, the width of each recess is about 1/4 to about 2/5 of the width of the upper portion 620c and the lower portion 610a. Therefore,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610b is about 1/10 to about 1/2 of the width of the upper portion 610c and the lower portion 610a.

가변 저항 부재(610)를 매립하도록 형성되는 보호 부재(600)는 하부 전극(580)을 매립하는 추가 절연 패턴(575)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1 절연 패턴(585), 제2 절연 패턴(590) 및 제3 절연 패턴(595)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절연 패턴들(585, 590, 595)은 각기 가변 저항 부재(618)의 하부(610a), 중앙부(610b) 및 상부(610c)를 매립한다. 또한, 제3 절연 패턴(595)은 가변 저항 부재(610) 상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615)도 함께 매립한다. 이러한 제3 절연 패턴(595)에는 상부 전극(615)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상부 개구가 마련된다.The protection member 600 formed to fill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610 may include a first insulating pattern 585 and a second insulating pattern 590 sequentially formed on the additional insulating pattern 575 to fill the lower electrode 580. ) And a third insulating pattern 595. The first to third insulating patterns 585, 590, and 595 respectively fill the lower portion 610a, the central portion 610b, and the upper portion 610c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618. In addition, the third insulating pattern 595 also fills the upper electrode 615 formed o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610. The third insulating pattern 595 is provided with an upper opening that partially exposes the upper electrode 615.

가변 저항 부재(610)의 상부(610c) 상에 위치하는 상부 전극(615)은 질소를 함유하는 도전성 물질, 도핑된 폴리실리콘, 금속 실리사이드 또는 금속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 전극(615)은 하부 전극(58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하부 전극(580)과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upper electrode 615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610c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610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containing nitrogen, doped polysilicon, metal silicide or metal. Here, the upper electrode 615 may include the same material as the lower electrode 580 or may be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lower electrode 580.

제3 층간 절연막(620)은 상부 전극(615) 및 보호 부재(600)를 덮으면서 제2 층간 절연막(565) 상에 형성된다. 상기 상부 개구는 제3 층간 절연막(620)을 관통하여 상부 전극(615)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며, 상부 배선(625)은 상기 상부 개구를 채우면서 제3 층간 절연막(620) 상에 형성된다. The thir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620 is formed on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65 while covering the upper electrode 615 and the protection member 600. The upper opening partially penetrates through the thir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620 to expose the upper electrode 615, and an upper wiring 625 is formed on the thir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620 while filling the upper opening.

도 14a 내지 도 14c는 도 13에 도시한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a 내지 도 14c에 있어서, 도 13과 동일한 부재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14A to 14C illustrate cross-sectional views for describ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ase change memory device shown in FIG. 13. In Figs. 14A to 14C,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members as in Fig. 13.

도 14a를 참조하면, 소자 분리 공정을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500)에 소자 분리막(505)을 형성하여 반도체 기판(500)을 액티브 영역을 정의한다.Referring to FIG. 14A, an isolation region 505 is formed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500 using an isolation process to define an active region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500.

상기 액티브 영역 상에 게이트 절연막, 게이트 도전막 및 게이트 마스크층을 차례로 형성한 후, 상기 게이트 마스크층, 게이트 도전막 및 게이트 절연막을 순차적으로 패터닝하여 상기 액티브 영역에 게이트 절연막 패턴(510), 게이트 전극(515) 및 게이트 마스크(520)를 형성한다.After the gate insulating layer, the gate conductive layer, and the gate mask layer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active region, the gate mask layer, the gate conductive layer, and the gate insulating layer are sequentially patterned to form a gate insulating layer pattern 510 and a gate electrode in the active region. 515 and a gate mask 520 are formed.

게이트 마스크(520)를 덮으면서 반도체 기판(500) 상에 질화막을 형성한 다음, 상기 질화막을 식각하여 게이트 마스크(520), 게이트 전극(515) 및 게이트 절연막 패턴(510)의 측벽에 게이트 스페이서(525)를 형성함으로써, 게이트 절연막 패턴(510), 게이트 전극(515), 게이트 마스크(520) 및 게이트 스페이서(525)를 포함하는 게이트 구조물들(530)을 형성한다.After forming a nitride film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500 while covering the gate mask 520, the nitride film is etched to form gate spacers on sidewalls of the gate mask 520, the gate electrode 515, and the gate insulating layer pattern 510. By forming the 525, the gate structures 530 including the gate insulating layer pattern 510, the gate electrode 515, the gate mask 520, and the gate spacer 525 are formed.

게이트 구조물들(530)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게이트 구조물들(530) 사이로 노출되는 반도체 기판(500)에 이온 주입 공정으로 제1 및 제2 콘택 영역(535, 540)을 형성한다. 제1 콘택 영역(535)은 가변 저항 구조물의 콘택 영역에 해당되며, 제2 콘택 영역(540)은 비트 라인(560)의 콘택 영역에 해당된다. First and second contact regions 535 and 540 are formed i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500 exposed between the gate structures 530 using the gate structures 530 as a mask by an ion implantation process. The first contact region 535 corresponds to the contact region of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and the second contact region 540 corresponds to the contact region of the bit line 560.

상기 게이트 구조물들(530)을 덮으면서 반도체 기판(500) 상에 제1 층간 절연막(545)을 형성한 후, 제1 층간 절연막(545)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제1 층간 절연막(545)에 각기 제1 및 제2 콘택 영역(535, 540)을 노출시키는 제1 및 제2 콘택 홀들을 형성한다. After forming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45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500 while covering the gate structures 530,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45 is partially etched to form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45. First and second contact holes are formed to expose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regions 535 and 540.

상기 제1 및 제2 콘택 홀들을 채우면서 제1 층간 절연막(545) 상에 제1 도전막을 형성한 다음, 제1 층간 절연막(545)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1 도전막을 제거하여, 상기 제1 콘택 홀 내에 제1 패드(550)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콘택 홀 내에 제2 패드(555)를 형성한다.The first conductive layer is formed o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45 while filling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holes, and then the first conductive layer is removed until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45 is exposed. A first pad 550 is formed in the first contact hole and a second pad 555 is formed in the second contact hole.

제2 패드(555) 상에 비트 라인(560)과 같은 도전성 구조물을 형성한 후, 비트 라인(560), 제1 패드(550) 및 제2 패드(555)를 덮으면서 제1 층간 절연막(545) 상에 제2 층간 절연막(565)을 형성한다. 제2 층간 절연막(565)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제2 층간 절연막(565)에 제1 패드(550)를 노출시키는 제3 콘택 홀을 형성한 후, 상기 제3 콘택 홀을 채우면서 제2 층간 절연막(565) 상에 제2 도전막을 형성한다. 제2 층간 절연막(565)의 상면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2 도전막을 제거하여 상기 제3 콘택 홀에 매립되는 제3 패드(570)를 형성한다.After forming a conductive structure such as a bit line 560 on the second pad 555,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45 covering the bit line 560, the first pad 550, and the second pad 555. ) A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565 is formed. After partially etching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565 to form a third contact hole exposing the first pad 550 in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565,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is filled while filling the third contact hole. A second conductive film is formed on 565. The second conductive layer is removed until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65 is exposed to form a third pad 570 buried in the third contact hole.

도 14b를 참조하면, 제3 패드(570) 및 제2 층간 절연막(565) 상에 추가 절연막을 형성한 다음, 상기 추가 절연막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제3 패드(570)를 노출시키는 하부 개구를 갖는 추가 절연 패턴(575)을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14B, an additional insulating layer is formed on the third pad 570 and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65, and the lower insulating layer partially exposes the additional insulating layer to expose the third pad 570. Further insulating pattern 575 is formed.

상기 하부 개구를 채우면서 추가 절연 패턴(575) 상에 제3 도전막을 형성한 후, 상기 제3 도전막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하부 개구에 매립되는 하부 전극(580)을 형성한다.After forming a third conductive layer on the additional insulating pattern 575 while filling the lower opening, the third conductive layer is partially removed to form a lower electrode 580 embedded in the lower opening.

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추가 절연 패턴(575) 상에 제1 및 제2 절연 패턴들(585, 590)을 형성하는 공정 및 하부 전극(580) 상에 제1 내지 제3 상변화 물질층 패턴들(610a, 610b, 610c)을 갖는 가변 저항 부재(610)를 형성하는 공정은 도 4b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ase change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rocess of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insulating patterns 585 and 590 on the additional insulating pattern 575 and the first on the lower electrode 580 are performed. Since the process of forming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610 having the third to thir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s 610a, 610b, and 610c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B to 4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4c를 참조하면, 가변 저항 부재(610) 제4 도전막을 형성한 후, 상기 제4 도전막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제3 상변화 물질층 패턴(610c) 상에 상부 전극(615)을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14C, after forming the fourth conductive layer o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610, the fourth conductive layer is partially etched to form an upper electrode 615 on the thir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pattern 610c.

상부 전극(615)을 덮으면서 제2 절연 패턴(590) 상에 제3 절연막을 형성한 후, 상기 제3 절연막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상부 전극(615)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상부 개구를 갖는 제3 절연 패턴(595)을 형성한다. 따라서, 가변 저항 부재(610)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막으로 기능하는 동시에 가변 저항 부재(610)를 보호하는 보호 부재(600)가 형성된다. After forming a third insulating film on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590 while covering the upper electrode 615, a third having a top opening for partially etching the third insulating film to expose a portion of the upper electrode 615 An insulating pattern 595 is formed. Therefore, the protection member 600 which functions as a mold film for forming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610 and protects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610 is formed.

상부 전극(615)을 덮으면서 제2 층간 절연막(565) 상에 제3 층간 절연막(620)을 형성한 다음, 제3 층간 절연막(620)을 부분적으로 식각하여 제3 층간 절연막(620)을 관통하여 상부 전극(615)을 노출시키는 상기 상부 개구를 완성한다.After forming the third interlayer insulating film 620 on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565 while covering the upper electrode 615, the third interlayer insulating film 620 is partially etched to penetrate the third interlayer insulating film 620. The upper opening for exposing the upper electrode 615 is completed.

상기 상부 개구를 채우면서 제3 층간 절연막(620) 상에 제5 도전막을 형성하여 상부 전극(615)에 접촉되는 상부 배선(625)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가변 저항 구조물을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가 완성된다.While filling the upper opening, a fifth conductive layer is formed on the thir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620 to form an upper wiring 625 in contact with the upper electrode 615. Accordingly, a phase change memory including a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is formed. The device is complete.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부가 상부 및 하부에 비하여 작은 면적을 갖는 가변저항 부재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상변화 영역이 하부 전극으로부터 이격되어 가변 저항 부재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반복적인 상변화 과정에서도 상변화에 기인하는 가변 저항 부재의 부피 변화의 의한 응력이 하부 전극에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가변 저항 구조물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변화에 요구되는 열이 하부 전극과 가변 저항 부재의 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가변 저항 부재의 중앙부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열에 의하여 하부 전극의 구성 원자들이 가변 저항 부재 내로 확산되어 가변 저항 부재의 비저항이 감소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변화 영역이 전극에 접촉되지 않고 하부 전극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가변 저항 부재가 하부 전극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이와 같은 가변 저항 구조물을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전기적인 특성 및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열 발생부가 주요한 열 손실의 통로가 되는 상부 및 하부 전극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열 손실이 최소화되어 상변화 영역을 결정 상태에서 비정질 상태로 변화시키거나 비정질 상태에서 결정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요구되는 전류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having a central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 phase change region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lectrode to form the center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Accordingly, even in an iterative phase change process, the stress due to the volume change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due to the phase change is prevented from being concentrated on the lower electrod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In addition, since the heat required for the phase change is generated at the center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interface between the lower electrode and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the constituent atoms of the lower electrode are diffused into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due to this heat, so that the resistivity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is reduced. This decreasin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Furthermore, since the phase change region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lectrode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ower electrode. As a result,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reliability of the phase change memory device including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may be greatly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heat generating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which are the main paths of heat loss, the heat loss is minimized so that the amount of current required to change the phase change region from the crystalline state to the amorphous state or from the amorphous state to the crystalline state Can be reduc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And can be changed.

Claims (26)

하부 전극;Lower electrode; 상기 하부 전극 상에 위치하는 하부, 상기 하부 상에 위치하며 양측으로부터 리세스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보다 좁은 폭을 갖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 상에 위치하는 상부를 구비하는 가변 저항 부재; 및A variable resistance member having a lower portion disposed on the lower electrode, a central portion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and having a recess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the central portion having a narrower width than the lower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disposed on the central portion; And 상기 가변 저항 부재 상에 형성된 상부 전극을 포함하는 가변 저항 구조물.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comprising an upper electrode formed o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을 매립하는 절연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 구조물.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sulating pattern filling the lower electr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부재의 상부 및 하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중앙부의 리세스는 상기 상부 및 하부의 폭의 1/4 내지 2/5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 구조물.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have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and the recess of the center portion has a width of 1/4 to 2/5 of the widt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부재의 하부와 상기 하부 전극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가변 저항 부재의 상부와 상기 상부 전극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 구조물.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of claim 3, wherein the lower portion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and the lower electrode have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and the upper portion and the upper electrode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have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부재를 감싸는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 구조물.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on member surrounding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가변 저항 부재의 하부, 중앙부 및 상부를 각기 매립하는 제1 절연 패턴, 제2 절연 패턴 및 제3 절연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 구조물.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of claim 5, wherein the protection member comprises a first insulating pattern, a second insulating pattern, and a third insulating pattern which respectively fill the lower, middle, and upper portions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절연 패턴은 상기 상부 전극을 매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 구조물.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of claim 6, wherein the third insulating pattern fills the upper electrod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절연 패턴들은 각기 산화물, 질화물 및 산질화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동일하거나 상이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 구조물.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to third insulating patterns each include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xides, nitrides, and oxynitrid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절연 패턴들과 상기 제2 절연 패턴은 각기 산화물 또는 질화물을 식각하는 식각 가스 또는 식각 용액에 대하여 서로 상이한 식각율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 구조물.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patterns and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each include a material having different etching rates with respect to an etching gas or an etching solution for etching oxides or nitrides, respectively.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절연 패턴들은 불순물이 제1 농도로 도핑된 산화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절연 패턴은 불순물이 제2 농도로 도핑된 산화물 또는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 구조물.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patterns include an oxide doped with an impurity at a first concentration, and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includes an oxide doped with a second concentration or an oxide not doped with an impurity.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comprising a. 하부 전극;Lower electrode; 상기 하부 전극 상에 위치하며 제1 면적을 갖는 하부, 상기 하부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면적보다 작은 제2 면적을 갖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3 면적을 갖는 상부를 구비하는 가변 저항 부재; 및A lower portion located on the lower electrode and having a first area, a central portion located on the lower portion and having a second area smaller than the first area, and a third area positioned on the central portion and substantially equal to the first area Variable resistance member having an upper portion having a; And 상기 가변 저항 부재 상에 형성된 상부 전극을 포함하는 가변 저항 구조물.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comprising an upper electrode formed o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부재의 중앙부의 폭은 상기 상부 및 하부의 폭의 1/5 내지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 구조물.12.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of claim 11, wherein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is 1/5 to 1/2 of the widt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Forming a lower electrode; 상기 하부 전극 상에 하부, 상기 하부 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중앙부 및 상기 하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적을 갖는 상부를 포함하는 가변 저항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Forming a variable resistance member on the lower electrode,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including a central portion having an area smaller than the lower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having an area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lower portion; And 상기 가변 저항 부재 상에 상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변 저항 구조물의 제조 방법.And forming an upper electrode o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orming of the lower electrode comprises: 층간 절연막 상에 하부 개구를 갖는 절연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Forming an insulating pattern having a lower opening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상기 하부 개구를 채우면서 상가 절연 패턴 상에 제1 도전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Forming a first conductive layer on an upper insulating pattern while filling the lower opening; And 상기 제1 도전막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개구에 매립되는 상기 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 구조물의 제조 방법.And partially removing the first conductive layer to form the lower electrode embedded in the opening.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부재를 매립하는 보호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 구조물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3, further comprising forming a protective member to bury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forming the protective member, 상기 하부 전극 상에 제1 절연막, 제2 절연막 및 제3 절연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Sequentially forming a first insulating film, a second insulating film, and a third insulating film on the lower electrode; And 상기 제1 절연막, 제2 절연막 및 제3 절연막을 차례로 패터닝하여 전체적으로 상기 하부 전극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갖는 제1 절연 패턴, 제2 절연 패턴 및 제3 절연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 구조물의 제조 방법.Patterning the first insulating film, the second insulating film, and the third insulating film in sequence to form a first insulating pattern, a second insulating pattern, and a third insulating pattern having openings that expose the lower electrode as a whole. Method of manufacturing a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를 갖는 제1 절연 패턴, 제2 절연 패턴 및 제3 절연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forming of the first insulating pattern,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and the third insulating pattern having the opening comprises: 상기 제1 내지 제3 절연 패턴들을 건식 식각하여 상기 하부 전극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제1 개구를 형성하는 단계; 및Dry etching the first to third insulating patterns to form a first opening partially exposing the lower electrode; And 상기 제1 및 제3 절연 패턴들을 습식 식각하여 상기 하부 전극을 노출시키는 제2 개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 구조물의 제조 방법.And wet-etching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patterns to form a second opening exposing the lower electrod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 패턴은 상기 제1 및 제3 절연 패턴에 보다 상기 하부 전극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 구조물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protrudes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lower electrode more than the first and third insulating patterns.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는 화학 기상 증착 공정, 플라즈마 증대 화학 기상 증착 공정 또는 원자층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개구를 칼코겐 화합물로 매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 구조물의 제조 방법.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forming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further comprises filling the opening with a chalcogen compound using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a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or an atomic layer deposition proces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 및 상기 가변 저항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forming of the protective member and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comprises: 상기 하부 전극 상에 제1 개구를 갖는 제1 절연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Forming a first insulating pattern having a first opening on the lower electrode; 상기 제1 개구를 매립하는 제1 상변화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Forming a first phase change material layer filling the first opening; 상기 제1 절연 패턴 및 상기 제1 상변화 물질층 상에 제2 개구를 갖는 제2 절연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Forming a second insulating pattern having a second opening on the first insulating pattern and the first phase change material layer; 상기 제2 개구를 매립하는 제2 상변화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Forming a secon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filling the second opening; And 상기 제2 절연 패턴 및 상기 제2 상변화 물질층 상에 제3 상변화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 구조물의 제조 방법.And forming a thir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on the second insulating pattern and the second phase change material layer.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상변화 물질층들은 각기 스퍼터링 공정, 진공 증착 공정 또는 펄스 레이저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 구조물의 제조 방법.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first to third phase change material layers are formed using a sputtering process, a vacuum deposition process, or a pulsed laser deposition process.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부 전극을 덮는 제3 절연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저항 구조물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forming of the protective member further comprises forming a third insulating pattern covering the upper electrode. 콘택 영역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A semiconductor substrate on which contact regions are formed; 상기 콘택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부 전극;A lower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region; 상기 하부 전극 상에 위치하며 제1 면적을 갖는 하부, 상기 하부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면적보다 작은 제2 면적을 갖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3 면적을 갖는 상부를 구비하는 가변 저항 부재; 및A lower portion located on the lower electrode and having a first area, a central portion located on the lower portion and having a second area smaller than the first area, and a third area positioned on the central portion and substantially equal to the first area Variable resistance member having an upper portion having a; And 상기 가변 저항 부재 상에 형성된 상부 전극을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And a top electrode formed o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부재를 감싸는 보호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24. The phase change memory device as claimed in claim 23,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on member surrounding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반도체 기판 상에 콘택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Forming a contact region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상기 콘택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Forming a bottom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region; 상기 하부 전극 상에, 제1 면적을 갖는 하부, 상기 하부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면적보다 작은 제2 면적을 갖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3 면적을 갖는 상부를 구비하는 가변 저항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On the lower electrode, a lower portion having a first area, a central portion positioned on the lower portion and having a second area smaller than the first area, and a third area disposed on the central portion and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area. Forming a variable resistance member having an upper portion having; And 상기 가변 저항 부재 상에 상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And forming an upper electrode on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저항 부재를 매립하는 보호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26. The method of claim 25, further comprising forming a protection member to bury the variable resistance member.
KR1020040117658A 2004-12-31 2004-12-31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phase-change memory device having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ase-change memory device KR1006956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658A KR100695682B1 (en) 2004-12-31 2004-12-31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phase-change memory device having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ase-change memo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658A KR100695682B1 (en) 2004-12-31 2004-12-31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phase-change memory device having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ase-change memor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455A KR20060079455A (en) 2006-07-06
KR100695682B1 true KR100695682B1 (en) 2007-03-15

Family

ID=37171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7658A KR100695682B1 (en) 2004-12-31 2004-12-31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phase-change memory device having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ase-change memor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568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603B1 (en) * 2008-09-18 2011-04-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Method of manufaturing Phase Change RAM
KR101326077B1 (en) 2007-08-24 2013-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device
KR101515754B1 (en) * 2014-04-18 2015-04-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Bi-Sb based resistive switching memor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3301B2 (en) * 2005-05-20 2011-07-05 Qimonda Ag Low power phase change memory cell with large read signal
US7943921B2 (en) * 2005-12-16 2011-05-17 Micron Technology, Inc. Phase change current density control structure
US7663909B2 (en) * 2006-07-10 2010-02-16 Qimonda North America Corp. Integrated circuit having a phase change memory cell including a narrow active region width
KR100795350B1 (en) * 2006-11-24 2008-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Non-volatile memory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0801084B1 (en) * 2007-01-08 2008-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Nonvolatile memory device using variable resistive element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1177284B1 (en) * 2007-01-18 2012-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Phase change material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hase change memory device comprising phase change material layer formed using the sam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operating phase change memory device
KR100855975B1 (en) 2007-01-30 2008-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786461B2 (en) * 2007-04-03 2010-08-31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emory structure with reduced-size memory element between memory material portions
KR101445333B1 (en) * 2008-08-29 2014-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s for forming resistance changeable memory devices
US8158445B2 (en) 2009-11-11 2012-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forming pattern structur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he same
US8334148B2 (en) 2009-11-11 2012-1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forming pattern structures
US8735862B2 (en) 2011-04-11 2014-05-27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cells, methods of forming memory cells and methods of forming memory arrays
KR102259189B1 (en) * 2014-11-27 2021-06-0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2549543B1 (en) 2017-11-09 2023-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2351A1 (en) 2001-09-17 2003-03-20 Daniel Xu Reducing shunts in memories with phase-change material
KR20040017694A (en) * 2002-08-23 200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Phase-changeab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040047272A (en) * 2002-11-29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Phase changing typ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20040183107A1 (en) 2003-03-21 2004-09-23 Hideki Horii Phase changable memory device structures and rel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2351A1 (en) 2001-09-17 2003-03-20 Daniel Xu Reducing shunts in memories with phase-change material
KR20040017694A (en) * 2002-08-23 200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Phase-changeab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040047272A (en) * 2002-11-29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Phase changing typ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20040183107A1 (en) 2003-03-21 2004-09-23 Hideki Horii Phase changable memory device structures and related method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077B1 (en) 2007-08-24 2013-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device
KR101026603B1 (en) * 2008-09-18 2011-04-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Method of manufaturing Phase Change RAM
KR101515754B1 (en) * 2014-04-18 2015-04-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Bi-Sb based resistive switching memor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455A (en) 200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3958B1 (en) Phase-chang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71423B1 (en) Phase chang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66504B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7038261B2 (en)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s having memory cells therein that utilize phase-change materials to support non-volatile data retention
KR100695682B1 (en)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phase-change memory device having the variable resistanc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ase-change memory device
US7067837B2 (en) Phase-change memory devices
KR100883412B1 (en) Method of fabricating phase change memory device having self-aligned electrode, related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US8871559B2 (en) Methods for fabricating phase change memory devices
KR101994449B1 (en) Phase change memory device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625170B1 (en) Electrode structur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de structure, phase changeable memory device having the electrod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hase changeable memory device
US7485559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904418B1 (en) Memory devic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10090583A (en) Phase changeable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KR100669851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phase-changeable memory device
US20100072453A1 (en) Phase-Changeable Fuse Elements and Memory Devices Containing Phase-Changeable Fuse Elements and Memory Cells Therein
US20060076641A1 (en) Methods of fabricating phase changeab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including multi-plug conductive structures and related devices
KR20110076394A (en) Phase changeable memory device
KR20030081900A (en) Method of fabricating Phase change Memory device
US767864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hase change memory device using a patterning process
KR10129825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phase-change memory device
KR20200093743A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data storage patter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80114024A (en) Phase change ram device us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80062076A (en) Method of forming a phase change memo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