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761B1 - 치아교정 지지구조물 - Google Patents

치아교정 지지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761B1
KR100671761B1 KR1020000084661A KR20000084661A KR100671761B1 KR 100671761 B1 KR100671761 B1 KR 100671761B1 KR 1020000084661 A KR1020000084661 A KR 1020000084661A KR 20000084661 A KR20000084661 A KR 20000084661A KR 100671761 B1 KR100671761 B1 KR 100671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plant
support structure
orthodontic
impla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4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2832A (ko
Inventor
카노미류조
나카가와가츠유키
신요시하루
Original Assignee
덴츠플라이-산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75204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706517B2/ja
Application filed by 덴츠플라이-산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덴츠플라이-산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62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Prosthese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은 턱뼈내에 이식되는 이식유닛(21), 및 조임부(15)를 갖는 암부(14)를 포함하는 연결유닛(22)을 구비한다. 이식유닛(21)은 그 상부(17)에 협소부(18)를 갖는다. 연결유닛(22)은 일단부에 개구부(16a)를 갖는 맞물림부(26)를 더 포함한다. 맞물림부(26)는 이식유닛(21)의 협소부(18)에 장착될 수 있다. 연결유닛(22)은 협소부(18)를 따라 맞물림부를 슬라이드시킨 다음 맞물림부(26)의 먼 단부를 크림프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이식유닛(21)에 부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치아교정 지지구조물{ORTHODONTIC SUPPORTING STRUCTURE}
도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의 연결유닛의 사시도이다;
도1b는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물의 이식유닛의 사시도이다;
도2a 및 도2b는 제1실시예의 연결유닛이 이식유닛에 장착하는 방법을 예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의 연결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b는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물의 이식유닛의 사시도이다;
도4는 제2실시예의 연결유닛을 이식유닛에 장착하는 방법을 예시한 정면도이다;
도5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의 상면도이다;
도5b는 제3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6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의 연결유닛의 상면도이다;
도6b는 제4실시예에 따른 이식유닛의 상면도이다;
도6c는 제4실시예에 따른 이식유닛의 측면도이다;
도7a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의 연결유닛의 상면도이다;
도7b는 제5실시예에 따른 이식유닛의 상면도이다;
도7c는 제5실시예에 따른 이식유닛의 측면도이다;
도8a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의 상면도이다;
도8b는 도8a의 라인 8B-8B를 따라 취한 제6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의 연결유닛의 상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의 연결유닛의 상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을 사용한 제1치료 실시예를 예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을 사용한 제2치료 실시예를 예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을 사용한 제3치료 실시예를 예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2개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을 사용한 제4치료 실시예를 예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을 사용한 제5치료 실시예를 예시한 다이어그램이다; 그리고
도1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의 이식유닛의 헤드의 수평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치아교정치료에서 부적합하게 위치한 치아의 재배치 또는 이동을 위한 지지점을 제공하는 불규칙한 치아교정 지지물에 관한 것이다.
빽빽한 치아, 역교합 또는 입술쪽으로 앞니의 경사와 같은 치아의 불규칙성을 교정하기 위한 치아교정치료는 대중화되고 있다.
치아교정치료의 가장 대중적인 방법 중 하나는, 교정치아 전체에 걸쳐 달성되도록 치아는 적합한 위치 및 방향을 취하도록 조절되어, 예컨대, 브래킷을 통해 궁상와이어를 통과시켜, 접착제로 개개의 치아의 표면에 브래킷을 고정하는 단계와, 궁상 와이어의 탄성에 의해 야기된 복원력을 사용하여 치아에 누름, 당김, 비틈력과 같은 외부력(이하 이 명세서에서 교정력으로 칭함)을 가하여 개개의 치아가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이하 상대적 이동 치아교정치료로 칭한다.
이런 상대적 이동 치아교정치료에서, 어금니, 특히 첫번째 어금니는 크고 이동이 어려워 대부분의 경우 고정원으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어금니는 조금도 이동하지 않는다는 것은 과언이다. 사실, 치아교정치료의 결과로서 정확한 위치에 위치된 어금니는 어떤 경우에 변경된다. 그와는 반대로, 소망하는 위치로 어금니가 긍정적으로 이동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에 있어서, 치아교정치료는 치아교정을 위해 복잡한 이동과 테크닉을 포함하여 환자에게 심한 고통을 부여하는, 연장된 기간을 요구한다.
상대적 이동 치아교정치료의 다른 방법은 외구강 고정을 사용하는 것으로, 예컨대, 환자의 머리를 고정원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외구강 고정장치의 착용은 환자의 일상 생활에 크게 영향을 미쳐 외구강 고정 교정장치는 환자에게 심각한 정신적 고통과 스트레스를 부여한다.
또한, 상기 상대적 이동 치아교정치료 방법은 1개의 치아의 위치교정에 부적합하다.
상기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미국특허 5,921,774(일본 특허 공개평 10-99347호)는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을 사용하는 치아교정치료를 제안한다.
이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은 턱뼈내의 소망부위에 이식하는 이식부(이식유닛)와 이식부분 헤드에 부착하는 노출부(연결유닛)를 포함한다. 이식부는 그 수평 단면의 직경이 최대 2mm로 측정되며 노출부위는 구강으로 연장되는 후크(조임 부분)를 갖는 암을 포함한다.
턱뼈내에 이식된 지지물에 있어서, 수지 체인 또는 금속 코일 스프링등의 일단부는 지지물의 조임부와 접합되고 다른 단부는 브래킷 또는 설측 버튼에 접합되는데, 예컨대, 이 지지물은 치아에 누름 또는 당김력과 같은 교정력을 가하기 위해 치아에 고정된다.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의 암은 교정력을 위한 지지점으로 제공하는 조임부를 턱뼈내의 이식 부위로부터 떨어져 위치시킴으로서, 신경 또는 치아 뿌리를 손상시키지 않는 위치에 지지물이 이식되었을 때에도 교정력을 가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위치에 조임부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공개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은 각 개개의 치아에 직접 교정력을 가할 수 있어 1개의 치아의 위치를 교정하기에 적합하다. 더욱이, 이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은 정확히 위치한 치아에 불리한 영향없이 교정하기 위해 치아에 가장 적합한 지지점으로부터 교정력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물은 복잡한 치아교정치료를 할 필요없이 부적합하게 위치한 치아들을 교정할 수 있어 치료를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은 턱뼈내의 소망부위에 이식되는 이식유닛 및 이식유닛의 상부에 부착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데, 그 연결유닛은 구강으로 연장되는 조임부를 갖는 암부 및 이식유닛의 세로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그 연결유닛이 이식유닛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형성된 개구부를 일단부에 갖는 맞물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이점은 첨부도면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치아교정치료는 제한된 치료공간을 제공하며 극히 작은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예컨대,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의 이식 유닛은 수평 단면의 직경은 1.2 mm로 측정된다)과 같은 치료장치의 사용을 요하는 구강에서 수행된다. 그러므로 본 치료는 수행이 어렵고 높은 수준의 치료 기술을 보유한 치과교정전문의를 요한다. 이러한 이유로,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치료 장치가 필요해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용이하게 취급 및 조작되는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은 턱뼈내의 소망 부위내로 이식된 이식유닛 및 이식유닛의 상부에 부착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데, 상기 연결유닛은 구강으로 연장되는 조임부를 갖는 암부 및 이식유닛 세로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유닛이 이식유닛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형성된 개구부를 일단부에 갖는 맞물림부를 포함한다.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이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는 이식유닛 및 연결유닛의 유형이라면, 필연적으로 스크류는 구강의 협소공간내에서 취급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극히 작은 스크류일 것이다. 스크류의 회전을 위해 사용된 스크류드라이버가 예컨대, 뺨을 향하게 된다면, 스크류를 회전시키기가 매우 어렵다.
반대로, 본 발명에서 연결유닛은 이식유닛의 상부로 향한 수평 방향으로 연결유닛이 슬라이드함으로써 쉽게 이식유닛에 부착된다.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유닛이 이식유닛의 세로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이식유닛상에 장착되도록 본 발명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을 조립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평방향(또는 이식유닛의 세로축과 교차하는 방향)은 이 식유닛의 세로축에 대해 대략 수직한 방향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식유닛이 치은면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이식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이식유닛의 세로축에 대해 대략 수직한 방향은 치은면에 대해 거의 평행하다. 그러므로, 연결유닛이 치은면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슬라이드되면, 볼 또는 입술의 방해를 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은 이식유닛이 상부에 협소부를 갖고 연결유닛의 맞물림부가 이식유닛의 협소부 상에 장착하는 U자형 내부표면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이식유닛의 협소부는 연결유닛과 이식유닛이 결합될 때 맞물림부의 U자형 내부 표면 구조의 개구부에 장착된다. 또한, 이 구성은 이식유닛의 헤드가 협소부보다 더 두껍기 때문에 연결유닛이 이식유닛의 윗쪽에서 이탈되는 것을 제지한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이식유닛이 이식되는 방향이 아래방향으로 간주되며 그 역방향이 윗방향으로 간주되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로킹 메카니즘이 이식유닛과 연결유닛 사이의 밀착점에 제공되어 연결유닛이 이식유닛 주위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유닛이 이식유닛과 연결될 때, 로킹 메카니즘에 의해 암의 연장방향은 연결유닛이 이식유닛의 주위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암의 연장방향은 고정된다. 그러므로, 소망위치에 조임부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상기 연결유닛의 암 및 암보다 짧은 맞물림부는 중간부에 의해 연결되어, 연속적인 J자형 구조를 형성하며 그 중간부는 적어도 그 내부표면의 일부에 평평한 영역을 가지고 있다. 협소부 바로 위의 이식유닛의 헤드는 그 다각형의 단면 또는 측면이 절단되어 평면을 형성한 대략 원형의 또는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중간부의 내부 표면상의 평평한 영역은 연결유닛과 이식유닛이 맞춰질 때 헤드의 평면과 접촉한다.
상술한 로킹 메카니즘은 접속유닛의 중간부의 내부표면 및 이식유닛의 헤드의 평면상의 평평한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연결유닛이 이식유닛에 접합될 때 연결유닛의 중간부의 내부 표면상에 평평한 영역이 헤드(헤드가 다각형의 형상을 가진다면 헤드의 임의의 한 측면)의 평면과 접촉되기 때문에, 연결유닛이 이식유닛 주위를 회전하는 것이 제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이식유닛의 협소부는 다각형의 단면, 타원형의 단면 또는 측면이 절단되어 평면을 형성한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갖고, 연결유닛의 맞물림부는 맞물림부가 협소부에 장착되도록, 다각형의 내부 표면구조, 타원형의 내부 표면구조 또는 측면이 절단되어 평면을 형성한 대략 원형의 내부 표면구조를 갖는다. 다시 말하면, 협소부와 맞물림부 모두 다각형의 표면구조, 타원형의 표면구조 또는 측면이 절단되어 평면을 형성한 대략 원형의 표면구조를 갖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맞물림부는 협소부에 장착된다. 상기 로킹 메카니즘은 협소부의 단면형상 및 맞물림부의 내부 표면구조에 형성된다. 상기 코스의 내부 표면구조를 갖는 맞물림구조는 일단부에 개구부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서, 이식유닛의 협소부가 맞물림부에 적합하게 장착되므로, 연결유닛이 이식유닛에 단단히 고정되어, 연결유닛이 확실한 방식으로 회전하는 것이 제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연결유닛의 맞물림부는 소성변형 재료로 제조되고 맞물림부의 크림프에 의해 이식유닛의 협소부에 고정된다. 이런 소성변형 재료의 전형적인 예는 스테인레스 스틸, 티타늄, 티타늄 합금 또는 코발트와 티타튬 합금과 같은 금속이다.
상기 연결유닛은 맞물림부를 크림프함으로써 이식유닛에 고정된다.
맞물림부가 크림프되지 않으면, 이식유닛에 연결유닛을 장착할 때 연결유닛이 슬라이드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연결유닛에 힘이 가해져 연결유닛은 이식유닛을 이탈할 것이다. 상기 맞물림부가 크림프되면, 상기 힘이 가해져도 연결유닛은 이탈되지 않는다. 그러나, 맞물림부가 크림프되지 않아도, 이식유닛에 연결유닛을 장착할 때 연결유닛은 연결유닛이 슬라이드되는 방향의 양쪽(전체적으로 180°섹터영역)의 약 90°범위내의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이탈하지 않는다. 상기 맞물림부가 크림프되지 않으면, 연결유닛은 이식유닛으로부터 쉽게 제거된다. 이것은 교정 치료동안 조임부에 부착된 와이어등을 교체하거나 치아 중간에 가해진 견인방향의 변경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적어도 연결유닛의 맞물림부는 소성변형재료로 제조되고 맞물림부내의 개구부의 폭은 맞물림부가 끼워 맞춰진 이식유닛 일부의 최대 두께보다 작다.
맞물림부내의 개구부가 맞물림부가 끼워 맞춰진 이식유닛부(예컨대, 상기한 협소부)보다 약간 작다면, 연결유닛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될 때 맞물림부내의 개구부의 가장자리는 이식유닛부와 접촉하여 저항을 발생시킨다. 더욱이 연결유닛을 수평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누르면, 연결유닛이 적합한 위치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소성변형되는 맞물림부는 쉽게 변형한다. 맞물림부는 이 점에서 맞물림부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며 이식유닛과 연결유닛은 접합된다. 이 구성에서, 힘이 연결유닛이 슬라이드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결유닛에 가해진 때에도 맞물림부는 쉽게 이탈하지 않는다.
치아에 가해진 교정력은 보통 100∼300g(980∼2940mN)이고 최대 1Kg이기 때문에 맞물림부는 연결유닛이 슬라이드되는 방향의 역방향에 가해진 교정력을 견딜수 있는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작하다. 상기 소성변형재료의 전형적인 예는 스테인레스 스틸, 티타늄, 티타늄합금, 또는 코발트와 티타늄 합금과 같은 금속이다.
이식유닛으로부터 연결유닛을 제거하기를 소망한다면, 연결유닛을 연결유닛이 슬라이드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당긴다. 당김력은 맞물림부로부터 이식유닛이 이탈되도록 맞물림부를 변형시킨다. 당김력은 상기 교정력을 압도하여 맞물림부를 변형시킬 정도이다.
이 바람직한 형태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에서 연결유닛은 이식유닛에 쉽게 부착되고 제거된다. 이것은 조임부를 한번에 제거함으로서 치아교정 치료동안 조임부에 부착된 와이어등을 교체하거나 치아 중간에 가해진 견인방향의 변경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돌출부는 연결유닛의 맞물림부의 내부표면내에 형성되고 돌출부를 장착하는 오목부는 이식유닛상에 형성된다. 이 구성에서, 맞물림부상의 돌출부는 연결유닛과 이식유닛이 접합될 때 협소부내의 오목부에 장착된다. 결과적으로, 연결유닛과 이식유닛은 더욱 단단히 고정되므로, 연결유닛은 이식유닛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 연결유닛의 암은 소성변형 재료로 제조된다.
상기 암은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소망의 각도로 굴곡되거나 만곡될 수 있으므로, 연결유닛이 이식유닛에 단단히 부착된 후에도 소망의 위치에 조임부를 위치시키도록 암의 굴곡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은 암이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이식유닛의 세로축에 평행한)으로 굴곡될 수 있도록 조립된다.
상기 치아에 가해진 교정력은 상술한 바와 같이 최대 1Kg이기 때문에, 맞물림부는 소성변형 이후에도 교정력을 견딜수 있는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이식유닛의 매립부는 직경이 2mm보다 크지 않고 외부로 스레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실시예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을 예시한 것으로, 도1a는 지지물(10)의 연결유닛(1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1b는 지지물 (10)의 이식유닛 (1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a와 2b를 연결유닛(12)이 이식유닛(11)에 고정되는 방법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으로, 도2a는 연결유닛(12)이 이식유닛(11)에 고정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2b는 그들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식유닛(11)은 구강에 노출된 상부(17)와 턱뼈내에 매립된 매립부(13)를 포함하며, 상기 협소부(18)는 상부(17)에 형성된다. 상면도에서 협소부(18)의 상부(17)의 헤드(19)는 정팔각형으로 형성된다.
연결유닛(12)은 암(14)의 먼 단부에 제공된 고리형 조임부(15)와 구강으로 연장되는 암(14)을 포함한다. 연결유닛(12)은 상부(17)의 협소부(18)에 장착하기 적합한 크기의 U자형 내부 표면구조를 갖는 맞물림부(16)를 더 포함한다. 평평한 내부표면을 갖는 중간부(92)에 의해 연결된 암(14)과 맞물림부(16)는 연속적인 J자형 구조를 함께 형성한다. 연결유닛(12)은 스테인레스 스틸, 티타늄, 티타늄합금, 또는 코발트와 티타늄 합금과 같은 소성변형재료로 제조된다.
이식유닛(11)에 연결유닛(12)을 부착하기 위해, 맞물림부(16)내의 개구부(16a)는 이식유닛(11)의 협소부(18)에 정렬되고 연결유닛(12)은 이식유닛(11)의 헤드(19)의 한 측면이 중간부(92)의 평평한 내부표면과 접촉할 때까지 도2a에 나타낸 화살표A의 방향으로 눌려진다. 맞물림부(16)의 먼 단부(16b)는 이 때 이식유닛(11)과 연결유닛(12)의 조립을 완료하기 위하여 도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크림프된다.
상기 중간부(92)의 평평한 내부표면과 헤드(19)의 한 평평한 측면은 밀하게 접촉되므로, 연결유닛(12)이 이식유닛(11)의 주위를 회전하는 것을 제지한다. 더욱이, 상기 맞물림부(16)의 먼 단부(16b)는 크림프되므로, 힘이 화살표A 방향의 역방향으로 연결유닛(12)에 가해진 때에도 연결유닛(12)은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더욱이, 연결유닛(12)은 협소부(18)보다 더 두껍거나 협소부보다 더 수평으로 연장되는 헤드(19)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연결유닛(12)이 위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치아교정 지지구조물(10)은 간단한 조작에 의해 조립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화살표A로 나타낸 수평방향으로 연결유닛(12)이 슬라이드하는 단계와 그때 이식유닛 (11)에 연결유닛(12)을 고정하기 위해 맞물림부(16)의 먼 단부(16b)를 크림프(또는 기계적 굽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립 조작은 구강과 같은 제한된 공간에서도 쉽게 수행되어 본 실시예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물(10)은 취급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결유닛(12)는 이식유닛(11)에 단단히 고정된다.
치아교정 지지구조물(10)을 사용하여 치아교정치료를 수행하기 위한 조작공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치과교정전문의는 이식유닛(11)을 턱뼈내의 소망부위에 이식하고, 이식유닛(11)의 매립부(13)가 턱뼈내에 단단히 고정될 때까지 대기한다. 그 다음, 상기 방법으로 연결유닛(12)을 이식유닛에 장착하여 고정한다. 이식유닛(11)에 연결유닛(12)이 장착될 때, 암(14)의 연장방향은 이식유닛의 중심에 대해 45°의 스텝으로 변경되는데, 이는 이식유닛(11)의 헤드(19)가 정팔각형의 단면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어서, 고무링, 수지체인, 금속 코일스프링 등의 일단부는 조임부(15)에 후크되고 다른 단부는, 예컨대, 치아에 교정력을 가하기 위해 전형적 방식으로 치아에 고정된 브래킷 또는 설측버튼에 연결된다.
치료동안 치아에 가한 견인방향을 변경하기를 소망하면, 맞물림부(16)의 크림프된 먼 단부(16b)를 본래의 상태로 돌리는 것이 필요한데, 이식유닛(11)으로부터 연결유닛(12)을 분리하고 적합한 위치에 다시 연결유닛을 이식유닛에 부착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실제로 이식유닛(11)을 이탈하는 연결유닛(12)를 새로운 위치에 둠으로서 견인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치아교정치료의 방법은 외과적 손상이 턱뼈에 야기되는 것 없이, 조절이 필요할 때에는 언제든지, 치아교정 지지구조물(10)의 조절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제2실시예
도3a-3b 및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을 예시한 것으로, 도3a는 지지물(20)의 연결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3b는 지지물(20)의 이식유닛(21)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4는 연결유닛(22)을 이식유닛(21)에 장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식유닛(21)의 협소부(28)는 이식유닛(21)의 상부(17)의 헤드(29)처럼 상면도에서 정팔각형으로 형성된다.
연결유닛(22)의 맞물림부(26)는 일단부에 개구부(16a)를 가진다.
상기 개구부(16a)는 개구부(16a)의 내부 형상이 이식유닛(21)의 협소부(28)에 장착하기에 적합하도록, 일단부에 4개의 면과 개구부를 갖는 대략 육방의 내부 표면구조를 가진다. 연결유닛(22)이 이식유닛(21)에 장착될 때 측면 플랩(24)의 내부표면이 헤드(29)의 측면표면에 접촉되도록, 연결유닛(22)은 이식유닛(21)의 헤드(29)와 접촉하는 상판부(23)의 양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한쌍의 측면 플랩(24)을 가진다. 중간부(25)에 의해 연결된 연결유닛(22)의 암(14)과 맞물림부(26)는 연속적인 J자형 구조를 함께 형성한다. 연결유닛(22)은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티타늄과 같은, 소성변형재료로 제조된다. 도3a,도3b 및 도4에서, 도1a-1b 및 도2에 나타낸 것과 유사 또는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지시되고 그 요소의 설명은 생략된다.
치아교정 지지구조물(20)을 조립하기 위해, 연결유닛(22)의 맞물림부(26)내의 개구부(16a)는 이식유닛(21)의 협소부(28)에 정렬되고 연결유닛(22)은 그 맞물림부(26)가 협소부(28)에 장착될 때까지 늘려진다. 이점에서, 연결유닛(22)의 두 측면 플랩(24)은 헤드(29)의 두 측면상에 장착된다. 협소부(28)는 헤드(29)와 같은 정육방의 단면을 가지며 연결유닛(22)의 맞물림부(26)는 본 실시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암(14)의 연장방향은 이식유닛(21)에 연결유닛(22)을 장착할 때 60°의 스텝으로 조절된다. 맞물림부(26)의 먼 단부(26b)는 이 때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체를 완성하기 위해 크림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맞물림부(26)가 이식유닛(21)의 협소부(28)에 장착되고 측면 플랩(24)이 헤드(29)에 장착되기 때문에, 연결유닛(22)이 이식유닛(21)의 주위를 회전하는 것을 제지한다. 더욱이, 상기 맞물림부(26)의 먼 단부(26b)는 크림프되므로, 연결유닛(22)은 이식유닛(21)을 쉽게 이탈하지 않는다. 더욱이, 연결유닛(22)이 이식유닛(21)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연결유닛은 협소부(28)보다 더 두껍거나 협소부보다 더 수평으로 연장되는 헤드(29)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연결유닛(12)이 위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3실시예
도5a-5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으로, 도5a는 상면도이고 도5b는 측면도이다. 도5a-5b에 있어서, 도1a-1b및 도2에 나타낸 유사 또는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지시되고 그 요소의 설명은 생략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식유닛의 매립부(33)는 외부로 스레드된다. 이식유닛(31)의 헤드(39)의 중간부는 예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로부터 테이퍼지는 헤드(39)의 상부 및 하부와 상면도에서 육방의 단면을 가진다. 이식유닛(31)의 협소부(38)는 상면도에서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연결유닛(12)의 맞물림부(16)는 일단부에 개구부(16a)를 가지며 이 개구부(16a)는 이식유닛(31)의 협소부(38)에 장착되는 반원형 내부 표면구조를 가진다.
제3실시예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물(30)은 턱뼈내부로 치아교정 지지구조물(30)을 스크류함으로서 치과교정전문의가 이식유닛을 쉽게 이식할 수 있게 한다. 헤드(39)의 중간부가 육방의 단면을 가지므로, 렌치가 이식유닛(31)를 이식할 때 사용되어 이식조작으로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이식유닛(31)의 헤드(39)는 아래로 테이퍼지므로, 연결유닛(12)의 맞물림부(16)는 이식유닛(31)의 협소부(38)상에 매끄럽게 장착될 수 있다.
제1실시예처럼, 본 실시예에서 연결유닛(12)의 중간부(92)와 헤드(39)의 평평한 측면이 서로 밀하게 접촉되므로, 연결유닛(12)이 이식유닛(31) 주위를 회전하는 것을 제지한다.
도5a-5b에서 맞물림부(16)의 먼 단부(16b)는 크림프되지 않을지라도, 먼 단부(16b)는 이식유닛(31)에 연결유닛(12)을 보다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크림프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는 예컨대, 도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이 카운터싱크되기 때문에 암(14)의 조임부내의 홀을 통하여 수지체인의 통과를 더 용이하게 한다.
제4실시예
도6a-6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40)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으로, 도6a는 지지물(40)의 연결유닛(42)의 상면도이고, 도6b는 지지물(40)의 이식유닛(31)의 상면도이며, 도6c는 이식유닛(31)의 측면도이다. 도6a-6c에 있어서, 도1a-1b, 도2, 도5a-5b에 나타낸 것과 유사 또는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고번호로 지시되고 그 요소의 설명은 생략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식유닛(31)는 상면도에 원형 단면을 갖는 협소부(38) 뿐만 아니라 상면도에 육방의 단면을 갖는 헤드(39)를 가진다. 중간부(92)에 의해 연결된 연결유닛(42)의 맞물림부(46)와 암(14)은 연속적인 J자형 구조를 함께 형성한다. 그 중간부(92)는 헤드(39)의 한 측면과 접촉하는 평평한 내부표면을 갖는다.
맞물림부(46)는 이식유닛(31)의 협소부에 장착되는 C자형 원형 아크를 형성한다. 맞물림부(46)내에 개구부(46a)의 교착부의 폭(B)은 협소부(38)의 직경(C)보다 작게 제조된다. 개구부(46a)의 교착부는 맞물림부(46)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부(46c)에 의해 형성된다. 교착부보다 더 연장되는 맞물림부(46)의 두 먼 단부(46b)는 도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펼쳐진다.
연결유닛(42)은 스테인레스 스틸,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과 같은 소성변형재료로 제조된다.
이식유닛(31)에 연결유닛(42)을 부착하기 위해, 상기 연결유닛(42)의 맞물림부(46)는 이식유닛(31)의 협소부(38)에 정렬되고 연결유닛(42)은 화살표A의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상기 맞물림부(46)의 먼 단부(46b)는 펼쳐지므로, 협소부(38)가 돌출부(46c)와 접촉할 때까지 협소부(38)는 맞물림부(46) 내부로 매끄럽게 안내된다. 더욱이, 연결유닛(42)가 화살표A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누르면, 맞물림부(46)는 변형, 또는 외부로 확산되어, 협소부(38)는 돌출부(46c)들 사이를 통과하여 맞물림부(46)에 완전히 장착된다. 상기 맞물림부(46)는 이 점에서 본래의 형상을 복원하므로, 이식유닛의 협소부(38)가 맞물림부(46)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제지한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들에서 헤드(39)의 한 측면은 중간부(92)의 내부표면과 밀하게 접촉하여 고정되므로, 연결유닛(42)이 이식유닛(31)의 주위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유닛(42)은 이러한 방식으로 이식유닛(31)에 단단히 고정된다.
제5실시예
도7a-7c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을 나타낸 다이어그램으로, 도7a는 지지물(50)의 연결유닛(52)의 상면도이며, 도7b는 지지물(50)의 이식유닛(51)의 상면도이며, 도7c는 이식유닛(51)의 측면도이다. 도7a-7c에서, 도1a-1b,도2, 도5a-5b 및 도6a-6b에 나타낸 것과 유사 또는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고번호로 지시되고 그 요소의 설명은 생략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식유닛(51)의 헤드(59)는 상면도에서 원형의 단면을 갖는 반면 이식유닛(51)의 협소부(58)는 상면도에서 육방부의 단면을 갖는다. 도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십자형 홈(59a)(교차 슬롯)은 헤드(59)의 상면에 형성된다.
연결유닛(52)의 맞물림부(56)는 일단부에 개구부(56a)를 가진다. 이 개구부(56a)는 개구부(56a)의 내부 형상이 이식유닛(51)의 협소부(58)에 장착하기에 적합하도록, 일반적으로 일단부에 4개의 면과 개구부를 갖는 대략 육방의 내부표면 구조를 갖는다.
이식유닛(51)에 연결유닛(52)을 부착하기 위해서, 상기한 실시예들처럼 이식유닛(51)의 협소부(58)가 맞물림부(56)내의 개구부(56a)로 미끄러져 들어가도록 연결유닛(52)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이식유닛(51)의 협소부(58)에 맞물림부(56)를 장착한 후, 그 맞물림부(56)의 먼 단부(56b)는 적절한 위치에 연결유닛(52)을 고정하도록 크림프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 헤드(59)의 상면에 십자형 홈(59a)이 형성되므로, 치과교정전문의는 예컨대, 스크류드라이버로 이식유닛을 스크류함으로써 턱뼈내에 이식유닛(51)을 이식할 수 있다.
제6실시예
도8a-8b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60)을 나타낸 다이어그램으로, 도8a는 상면도이며 도8b는 도8a의 라인 8A-8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8a-8b에 있어서, 도1a-1b, 도2, 도5a-5b, 및 도7a-7b에 나타낸 것과 유사 또는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고번호로 지시되고 그 요소의 설명은 생략된다.
본 실시예의 지지물(60)의 연결유닛(62)는 먼 단부에 고리형 조임부(15)를 각각 갖는 2개의 암(63, 64)을 갖는다.
상기한 제5실시예에서처럼 맞물림부(56)가 협소부(58)에 장착되도록 연결유닛(62)의 맞물림부(56)는 일단부에 대략 육방의 내부표면구조 개구부를 가지며 이식유닛(61)의 협소부(58)는 상면도에서 육방의 단면도를 갖는다.
이식유닛(61)에 연결유닛(62)를 부착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에서처럼 맞물림부(56)는 협소부(58)에 장착되고 맞물림부(56)의 먼 단부(56b)는 적절한 위치에 연결유닛(62)을 고정하도록 크림프된다.
이 실시예는 부적절하게 위치된 치아를 이동시키는 2개의 지지점을 하나의 지지물(60)에 제공할 수 있다. 도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지지물(60)의 2개의 암(63, 64)은 반드시 일직선(180˚)으로 배치될 필요는 없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7실시예
도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70)의 연결유닛(72)의 상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연결유닛(72)은 먼 단부에 각각 고리형 조임부(15)를 갖는 4개의 암(73, 74, 75, 76)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유닛은 이것처럼 3개이상의 암을 갖는다.
제6 및 제7실시예에서처럼 다수의 조임부를 갖는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에 있어서, 1개의 지지물을 이식함으로써 복수의 지지점(조임부(15))으로부터 치아에 교정력을 가할 수 있다.
제8실시예
도1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80)의 연결유닛(12)의 상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연결유닛(82)는 암의 먼 단부에 형성된 후크와 같은 조임부(85)를 갖는다. 조임부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후크형이거나 팽창 또는 확장한 암의 먼 단부에 의해 형성된 버튼과 같은 모양이다.
치아교정 치료의 실시예
본 발명의 치아교정치료물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치아교정치료의 실제적인 실시예가 이하에 설명된다.
제1치료 실시예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치료 실시예를 예시한 다이어그램으로, 치아교정 지지구조물(30)은 치은점막층으로 덮힌 턱뼈내에 이식된다. 도11에서, 도1a-1b, 도2, 및 도5a-5b에 나타낸 것과 유사 또는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지시되고 그 요소의 설명은 생략된다.
턱뼈(90)내에 이식유닛(31)을 이식한 후, 조임부(15)가 소망위치에 위치하도록 상술한 방법으로 연결유닛(12)을 이식유닛(31)에 고정한다. 그 다음, 치과교정전문의는 조임부(15)에 와이어(93)의 일단부를 부착하고 예컨대, 치아에 고정된, 브래킷에는 다른 단부를 부착한다. 결과적으로, 교정력은 적합한 방향으로부터 치아에 가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아교정 지지구조물(30)은 그 상부가 구강에 노출되도록 위치되고 이식유닛(31)와 연결유닛(12) 사이의 조인트는 지지물(30)이 턱뼈(90)내에 이식될 때 치은점막층(91)에서 떨어져 위치된다. 그러므로, 칫솔로 조인트를 클리닝하고, 예컨대 최상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이식유닛(31)의 상부가 구강에 노출되므로 치아교정치료의 완료에 따라 쉽고 빠른 방법으로 턱뼈(90)로부터 지지물(30)을 제거할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플라이어로 이식유닛(31)의 상부를 고정하여 이식유닛(31)를 뽑아냄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구강에 노출된 이식유닛(31)의 상부가 정육각형으로 형성되면, 이식유닛(31)은 이식유닛(31)의 외부 스레드 매립부(33)를 원상태로 돌리기 위해 렌치로 그것을 회전시킴으로써 제거된다. 지지물(30)은 상기 경우에서 또한 쉽게 및 신속하게 제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식유닛(31)의 협소부(18) 아래의 만곡면(37)은 미러면을 형성하도록 팔리시(polish)되어야 한다. 이것은 거울표면이 만곡면(37)을 통과하는 치은 점막층(91)의 점막조직에 좋은 친화력과 유착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치료동안 연결유닛(12)이 파괴되거나 지지점(조임부(15)의 위치)을 변경할 필요가 발생되면, 연결유닛(12)은 새로운 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 더욱이, 와이어(93) 또는 설측체인은 소망하는 경우 직접 이식유닛에 부착된다.
제2치료 실시예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치료 실시예를 예시한 다이어그램으로, 치아교정 지지구조물(30)은 턱뼈(90)내에 이식된다. 도12에 있어서, 도1a-1b, 도2, 도5a~5b 및 도11에 나타낸 것과 유사 또는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지시되고 그 요소의 설명은 생략된다.
도11의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유닛(12)의 암(14)은 직선으로 수평적으로 연장되는데, 그 암(14)은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지게 굴곡되거나 만곡될 수 있다. 상기 암(14)의 그러한 굴곡은 소성변형재료로 제조된다면, 가능하다.
상기 암(14) 또는 조임부(15)에 부착된 와이어(93) 등은 치은 점막층과 접촉하여 불편함이나 인플러메이션(inflammation)을 유발하거나, 조임부(15)(지지점)의 위치를 약간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그것은 치은 점막층(91)과 분리하여 설정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상기 암(14)의 굴곡을 조정하여 재배치된다. 상기 암이 수직면(상기 이식유닛의 세로방향축에 평행함)으로만 굴곡되고 교정력의 방향이 교정될 치아와 그 이식유닛을 연결하는 라인상에 놓여 있는 경우, 상기 암은 특정한 수평방향으로 고정적으로 연장될 필요는 없다. 이 경우에, 상기 접합부의 매립부 및 이식유닛의 협소부는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3치료 실시예
도13은 송곳니(96)를 낮추기 위해 실시되는 치열교정 치료의 보다 실용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그 치아교정 지지구조물(30)의 이식유닛(31)은 그 이식유닛(31)이 송곳니(96)의 신경이나 뿌리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턱뼈(90)내에 이식된다. 그 다음, 연결유닛(12)은 지지점이 위치한 위치에서 조임부(15)를 고정하면서 이식유닛(31)에 고정된다. 이어서, 고무체인(94)의 일단부가 연결유닛(12)의 조임부(15)에 부착되고 그 고무체인(94)의 다른 단부가 송곳니(96)에 고정된 브래킷(95)에 장착되어, 아래로의 당김력이 그 송곳니(96)에 가해진다.
제4치료 실시예
도14는 본 발명의 제4치료 실시예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으로, 상부 턱에 있는 치아(99)의 두쌍은 두개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를 사용하여 교정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각각 2개의 암(63, 64)을 갖는 제6실시예에 기재된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이 사용된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5 치료실시예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으로, 상부 턱에 있는 치아(99)의 두쌍은 1개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물을 사용하여 교정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4개의 암(73~76)을 갖는 제7실시예(도9)에 기재된 치아교정 지지구조가 사용된다.
도15에 있어서, 리프 스프링(98)은 상부턱내에 이식된 치아교정 지지구조의 각 암(73~76)의 조임부(15)에 장착되고, 각 리프 스프링(98)의 먼 단부는 치아(99)에 고정되어 있는 설측 버튼(97)에 부착된다. 교정력은 위치를 교정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치아(99)에 가해진다.
본 발명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는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특정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화와 수정이 실제 적용에서 가능하고 이러한 모든 변화와 수정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성 내에 포함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연결유닛의 맞물림부의 내주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그 돌출부와 일체화될 수 있는 오목부가 상기 이식유닛의 협소부 상에 형성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부상의 돌출부가 협소부내의 오목부에 끼워져서 상기 연결유닛 및 이식유닛은 보다 확실하게 고정된다.
또한, 제4실시예의 맞물림부(46)상의 돌출부(46c)가 원만한 언덕형상으로 융기될 지라도, 상기 돌출부(46c)는 보다 급격히 내부로 만곡되는 후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후크 형상의 돌출부는 도6A에 표시된 화살표A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결유닛에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보다 큰 저항을 갖게되어, 상기 맞물림부가 이식유닛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제지한다.
도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 지지구조의 이식유닛의 머리부의 가로방향 단면이다. 이 실시예에서, 연결유닛의 중간부(92)는 도1a에 나타낸 것과 같은 평평한 내부표면을 갖고, 그 이식유닛의 머리부는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이 절단되어 평면을 형성한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상기 연결유닛이 이식유닛에 장착되는 경우, 그 이식유닛의 평면이 중간부(92)의 평평한 내주면과 밀하게 접촉되어, 그 연결유닛이 이식유닛 주위를 회전하는 것을 제지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아교정 구조는 다루기가 용이하고, 심지어 한정된 치료공간을 제공하는 구강에서도 간단하지만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상기 연결유닛을 이식유닛에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아교정 지지구조는 치아교정 치료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치아교정기술자의 과중한 업무를 경감시킨다.

Claims (10)

  1. 턱뼈내의 소망부위에 이식되는 이식유닛; 및
    상기 이식유닛의 상부에 부착가능한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구강공내로 연장되는 조임부를 갖는 암부; 및
    개구부를 일단부에 갖고 상기 연결유닛이 상기 이식유닛의 세로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식유닛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형성된 맞물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 지지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유닛은 상부에 협소부를 가지며, 상기 연결유닛의 맞물림부는 이식유닛의 협소부에 장착될 수 있는 U자형 내부표면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 지지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이 상기 이식유닛 주위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식유닛과 상기 연결유닛사이의 접촉점에 로킹 메카니즘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치아교정 지지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의 암부와 이 암부보다 짧은 그 맞물림부는 중간부에 의해 연결되어 연속적인 J자형 구조를 함께 형성하고, 상기 중간부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는 평평한 영역을 가지며, 상기 이식유닛의 협소부 바로 위에 제공된 이식유닛의 헤드는 다각형의 단면 또는 측면이 절단되어 평면을 형성한 대략 원형의 또는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로킹 메카니즘은 연결유닛의 중간부의 내부표면상의 평평한 영역과 이식유닛의 헤드의 평면에 형성되며, 상기 중간부의 내부표면상의 평평한 영역은 상기 연결유닛이 이식유닛과 맞춰질때 헤드의 평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치아교정 지지구조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유닛의 협소부는 다각형의 단면, 타원형의 단면, 또는 측면이 절단되어 평면을 형성한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연결유닛의 맞물림부는 맞물림부가 협소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다각형의 내부표면구조, 타원형의 내부표면구조, 또는 측면이 절단되어 평면을 형성한 대략 원형의 내부표면구조를 갖고, 상기 로킹 메카니즘은 상기 맞물림부의 내부표면구조와 상기 협소부의 단면형상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 지지구조물.
  6.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연결유닛의 맞물림부는 소성변형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맞물림부는 이 맞물림부를 크림프함으로써 이식유닛의 협소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 지지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연결유닛의 맞물림부는 소성변형 재료로 제조되고, 맞물림부내의 개구부의 폭은 맞물림부가 장착되는 이식유닛 부분의 최대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 지지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소성변형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 지지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유닛의 세로축에 교차하는 방향은 이식유닛의 세로축에 대략 수직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 지지구조물.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협소부 바로 위의 이식유닛의 헤드는 이식유닛의 세로축쪽으로 테이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 지지구조물.
KR1020000084661A 1999-12-28 2000-12-28 치아교정 지지구조물 KR1006717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75204 1999-12-28
JP37520499A JP3706517B2 (ja) 1999-12-28 1999-12-28 歯列矯正用支持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832A KR20010062832A (ko) 2001-07-07
KR100671761B1 true KR100671761B1 (ko) 2007-01-19

Family

ID=35406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4661A KR100671761B1 (ko) 1999-12-28 2000-12-28 치아교정 지지구조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671761B1 (ko)
AT (1) ATE306866T1 (ko)
DE (1) DE6002325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58108A1 (de) 2007-12-03 2009-06-04 Mondeal Medical Systems Gmbh Verankerungsvorrichtung für die Zahn- und/oder Kieferregulierung
KR100931257B1 (ko) * 2008-01-22 2009-12-11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치열교정 스크류용 와이어 고정클립
KR101147810B1 (ko) * 2010-06-29 2012-05-1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고정 클립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06866T1 (de) 2005-11-15
DE60023253T2 (de) 2006-07-13
DE60023253D1 (de) 2006-03-02
KR20010062832A (ko) 200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12723B1 (en) Orthodontic supporting structure
US6435871B1 (en)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JP4903502B2 (ja) 改良型矯正用ブラケット
US6435870B1 (en) Orthodontic distalizing appliance
US8371846B2 (en) Self-adjustable,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9498304B2 (en) Orthodontic attachment module for intra-oral bite correctors
US4618324A (en) Centri-lever orthodontic appliance
US8235714B2 (en) Convertible buccal tube orthodontic bracket
US20050244781A1 (en) Orthodontic treatment method for concurrent correction of multiple conditions
EP0225794B1 (en) Orthodontic apparatus
AU2002212983A1 (en) Orthodontic distallizing appliance
US11654000B2 (en) Anteroposterior correction devices
US9987104B2 (en) Orthodontic lingual device
JP2002538935A (ja) 歯列弓間器具用の歯列矯正取付け装置
US6135767A (en) Spring loop retai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671761B1 (ko) 치아교정 지지구조물
JP3651640B2 (ja) 歯列矯正用支持体
US11246683B1 (en) Orthodontic band attachment device
US20040197726A1 (en) Clip type orthodontic anchor
KR101156864B1 (ko) 교합평면의 기울어짐을 교정하는 치열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과교정장치
JP7317711B2 (j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のための調整可能なフック
KR102297927B1 (ko)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JPH038002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