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546B1 -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546B1
KR100671546B1 KR1020050030973A KR20050030973A KR100671546B1 KR 100671546 B1 KR100671546 B1 KR 100671546B1 KR 1020050030973 A KR1020050030973 A KR 1020050030973A KR 20050030973 A KR20050030973 A KR 20050030973A KR 100671546 B1 KR100671546 B1 KR 100671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m
frame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8806A (ko
Inventor
한민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0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546B1/ko
Publication of KR20060108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28Prevention of damage or soiling, e.g. mechanical abrasion
    • G03G21/1832Shielding members, shutter, e.g. light, heat shielding, prevention of toner scatte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55Materials and manufacturing of the developing device
    • G03G2215/0872Housing of develop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 카트리지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는, 현상 카트리지의 각종 부품들을 수용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이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방향상 전방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는 CRU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에는 CRUM이 장착되는 CRUM 장착부가 형성되며, CRUM이 CRUM 장착부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고정리브가 설치된다.
현상 카트리지, CRUM, 커넥터, 슬라이딩, 메인보드

Description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A develop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현상 카트리지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부분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현상 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된 상태일때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화상형성장치 본체 110. 메인보드
120. 커넥터 130. 접점부
200. 현상 카트리지 210. 프레임
213. 전방 프레임부 216. 가이드 고정리브
220. CRUM 230. CRUM 커버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원하는 화상을 인쇄하기 위해서 현상제와 같은 소모품을 사용한다. 이러한 소모품은 인쇄작업이 진행될 때마다 사용되어, 소정 시간 이상 사용되면 고갈된다. 한편,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서, 대전수단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나, 현상제를 저장하고 상기 감광매체로 공급하는 현상유닛등도 소정 회수 이상 인쇄작업을 수행하면 그 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광매체나 현상유닛뿐만 아니라, 대전수단, 전사수단 및 정착수단 또한 일정 시간이 지나면 그 특성이 변화되므로, 깨끗한 화상으로 인쇄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사용자는 상기 각 부품을 적절한 교체시기마다 교체해 주어야 한다.
최근에는, 사용자 교체 편의를 위해 상기 일정 수명을 가지는 감광매체, 대전수단, 현상유닛 및 클리너를 카트리지 형태(이하 "현상 카트리지")로 일체화하여 제작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화질 향상이나 현상 카트리지의 수명 관리를 위해 반도체 메모리인 CRUM(Customer Replacement Unit Memory)이 설치된 현상 카트리지가 소개된다. 현상 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시 상기 CRUM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설치된 접점부와 접촉하며, 이 접점부는 화상형성장치의 메인보드와 하네스와 같은 커넥터로 연결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는 현상 카트리지의 장착 여부를 인식할 수 있게 되고, CRUM에 저장된 현상 카트리지의 정보를 읽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접촉의 용이 및 동작 안정성을 위하여 상기 CRUM은 현상 카트리 지의 장착방향에 대해 전면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현상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20)는 수지제의 프레임(21) 내부에 미도시된 현상 카트리지의 각종 부품, 즉 현상제, 감광매체, 현상롤러, 대전롤러, 클리닝부재 등이 설치된다.
한편, 프레임(21)의 전방 일측에는 CURM(23)이 설치된다. 프레임(21)에는 일반적으로 폐토너가 저장되는 폐토너통이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21)에는 CRUM(23)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부(24)가 형성되고, 스크류 결합을 위한 스크류 결합홈(25)이 형성된다. CRUM(23)을 프레임(21)에 고정하기 위해서, 먼저 CRUM(23)을 CRUM 커버(26)에 결합시킨다. 그 후, CRUM 커버(26)에 형성된 결합구(27)를 결합홈(25)에 끼워 프레임(21)에 결합시킨 후 스크류(28)를 이용해 고정한다. 이렇게 조립된 CRUM(23)은 현상 카트리지(20)가 화상형성장치 본체(미도시)에 장착될 때,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접점부와 접촉하게 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 본체(미도시)에는 메인보드(미도시)가 설치되며, 상기 접점부는 커넥터에 의해 메인보드와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메인보드는 현상 카트리지(20)의 장착방향에 대해서 측면 또는 배면에 설치된다. 그 이유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상부 및 하부면에는 급지 및 배지 동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해 CRUM이 조립된 현상 카트리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CRUM(23)의 설치위치가 현상 카트리지(20)의 프레임(21)의 끝단이 아닌곳에 위치하여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접점부와 메인보드를 연결하는 커넥터의 길이가 필요 이상으로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전자파나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전자파간섭)가 빈번히 발생할 여지가 있다. 또한, 커넥터의 길이를 길게함으로써, 설계 측면에서 화상형성장치 본체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많게 된다.
둘째, 일반적으로 CRUM(23)은 프레임(21)의 전방에 위치하는 폐토너통에 조립되는데, 이로 인해 폐토너통을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므로 폐토너통의 활용성을 떨어뜨린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자파나 EMI의 발생을 최소한으로 하고, 또한 내부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하는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는, 현상 카트리지의 각종 부품들을 수용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이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방향상 전방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는 CRU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CRUM이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CRUM이 장착부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고정리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RUM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CRUM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 레임에는 상기 CRUM 커버의 결합시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키는 커버 고정리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메인보드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보드와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는 접점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와,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각종 부품들을 지지하도록 감싸는 프레임과, 상기 부품들의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접점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프레임 전방 일측에 결합되는 CRUM 및 상기 CRUM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CRUM 커버를 포함하는 현상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CRUM은 상기 커넥터의 길이를 최소로 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전방 일측 끝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CRUM이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CRUM이 상기 장착부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고정리브 및 상기 CRUM 커버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키는 커버 고정리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200)는 수지제의 프레임(210) 내부에 현상 카트리지(200)의 미도시된 각종 부품들, 예를 들면 현상제, 감광매체, 현상롤러, 대전롤러 및 클리닝부재 등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210)은 메인 프레임부(211), 상부 프레임부(212) 및 전방 프레임부(213)로 구분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부(211)는 감광매체로서의 감광롤러(미도시) 및 감광매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미도시)를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프레임부(212)는 그 내부에 현상제가 저장되며, 상부 프레임부(212) 상측에는 현상 카트리지(200)를 화상형성장치 본체(100, 도5 참조)에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214)가 설치된다. 상기 전방 프레임부(213)는 감광매체를 일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 및 클리닝부재(미도시)를 지지함과 아울러 폐현상제통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전방 프레임부(213) 상부면에는 CRUM(220)이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CRUM(220)은 일반적으로 반도체 메모리가 적용되며, 상기 현상제, 감광매체 및 현상롤러 등의 수명 정보 및 고유 이력등이 저장된다.
도 4는 CRUM(220)이 상기 전방 프레임부(213)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 3의 B부분의 확대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CRUM(220)은 전방 프레임부(213)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전방 프레임부(213)에는 CRUM(220)이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전방 프레임부(213)를 일부 절개하여 CRUM 장착부(215)를 형성한다. 그리고, 전방 프레임부(213) 상단에는 가이드 고정리브(216)가 전방 프레임부(213)와 연장되도록 일체로 설치된다. 이 가이드 고정리브(216)에는 상기 CRUM(220)이 슬라이딩 결합하도록 결합홈(217)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전방 프레임부(213) 상단에 전방 프레임부(213)를 일부 절개하여 CRUM 장착부(215)를 형성하고, 이 CRUM 장착부(215)에 CRUM(220)을 슬라이딩 결합함으로써, 전방 프레임부(213) 내부의 공간 활 용성을 높이게 된다.
한편, CRUM(220)을 전방 프레임부(213)에 결합한 후, 상기 CRUM(22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CRUM 커버(230)가 설치된다. CRUM 커버(230) 하단에는 상기 전방 프레임부(213)에 고정시키기 위한 스크류 홈(231)이 형성된다.
상기 전방 프레임부(213)에는 상기 CRUM 커버(230)의 결합을 용이하도록 커버 고정리브(218)가 설치된다. 그리고, CRUM 커버(230)에는 상기 커버 고정리브(218)가 수용되는 고정리브 수용홈(23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CRUM 커버(230)은 스크류(240)에 의해 전방 프레임부(213)에 고정하기 전에, 상기 커버 고정리브(218)에 먼저 결합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기존에 CRUM 커버(230)를 전방 프레임부(213)에 스크류 결합하기 위해 한 손으로 CRUM 커버(230)를 지지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RUM 커버(230)에는 전방 프레임부(213)에 삽입된 CRUM(220)을 장착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가압리브(233)가 설치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200)에서 상기 CRUM(220)은 전방 프레임부(213)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현상 카트리지(200)가 화상형성장치 본체(100)에 장착되면, CRUM(220)은 화상형성장치 본체(100)에 설치된 접점부(130)와 접촉한다. 콘트롤러의 기능을 하는 메인보드(110)는 현상 카트리지(200)의 장착 방향에 대해 화상형성장치 본체(100)의 일측부에 설치된다. 또한, 메인보드(110)는 현상 카트리지(200)가 화상형성장치 본체(100)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CRUM(220)이 설치되는 전 방 프레임부(213)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접점부(130)는 커넥터(120)에 의해 화상형성장치의 메인보드(110)에 연결되며, 따라서 화상형성장치는 커넥터(120) 및 접점부(130)를 통하여 현상 카트리지(200)의 장착을 인식할 수 있게 되고, CRUM(220)에 저장된 정보를 읽을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CRUM(220)이 현상 카트리지(200)의 전방 프레임부(213) 끝단에 위치하므로, 상기 커넥터(120)의 길이는 최소한으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보드(110)는 현상 카트리지(200)의 장착방향에 대해서 화상형성장치 본체(100)의 상하면보다는 측면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기존에 CRUM(220)이 현상 카트리지(200)의 전방 프레임부(213)의 중간 또는 측부에 설치된 것에 비교하여 본 발명은 전방 프레임부(213)의 일측 끝단에 설치함으로 인해, 접점부(130)와 메인보드(110)를 연결하는 커넥터(120)의 길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노이즈 개선 및 전자파나 EMI에 의한 문제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CRUM을 현상 카트리지의 전방 프레임부의 일측 끝단에 설치함으로 인해, 접점부와 메인보드를 연결하는 커넥터의 길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노이즈 개선 및 전자파나 EMI에 의한 문제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CRUM을 전방 프레임부 상단에 슬라이딩 결합함으로써 프레임의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현상 카트리지의 각종 부품들을 수용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이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방향상 전방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는 CRUM;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CRUM이 장착되는 CRUM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CRUM이 상기 CRUM 장착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카트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RUM 장착부에는 CRUM의 슬라이딩 결합을 가이드하는 결합홈을 가진 가이드 고정리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카트리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RUM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CRUM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CRUM 커버의 결합시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키는 커버 고정리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카트리지.
  4. 메인보드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보드와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는 접점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각종 부품들을 지지하도록 감싸는 프레임과 상기 부품들의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접점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프레임 전방에 결합되는 CRUM과 상기 CRUM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CRUM 커버를 포함하는 현상 카트리지;를 구비하며,
    상기 CRUM은 상기 커넥터의 길이를 최소로 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전방 일측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CRUM이 장착되는 CRUM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CRUM이 상기 CRUM 장착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CRUM의 슬라이딩 결합을 가이드하는 결합홈을 가진 가이드 고정리브 및 상기 CRUM 커버의 결합시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키는 커버 고정리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50030973A 2005-04-14 2005-04-14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0671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973A KR100671546B1 (ko) 2005-04-14 2005-04-14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973A KR100671546B1 (ko) 2005-04-14 2005-04-14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806A KR20060108806A (ko) 2006-10-18
KR100671546B1 true KR100671546B1 (ko) 2007-01-19

Family

ID=37628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973A KR100671546B1 (ko) 2005-04-14 2005-04-14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54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806A (ko) 200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3355B2 (en) Memory, toner cartridg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EP2762982B1 (en) Replaceable unit,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incorporates the replaceable unit and method for attaching a part to the replaceable unit
EP3540519B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277655B2 (en) Optical writ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optical system casing and a cleaning tool
JP2007199505A (ja) 現像剤補給装置
WO2017114140A1 (zh) 图像形成设备用粉盒、显影盒以及图像形成设备
JP7305417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1103617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N107526263B (zh) 影像形成设备
KR100671546B1 (ko)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20070047177A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카트리지
CN209765270U (zh) 一种碳粉盒
JP2020183983A (ja)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91542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34044A (ja) コネクタ、現像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30118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05082A (ja) イメージング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7013724B2 (ja) 画像形成装置
CN209992808U (zh) 感光鼓支架
JP4432521B2 (ja) 画像形成装置
CN210666365U (zh) 一种处理盒
KR100571780B1 (ko) 감광유닛의 하우징조립체
KR940006005A (ko) 프로세스카트리지, 이를 장착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클리닝장치의 조립방법
CN219927282U (zh) 一种回收再制造墨盒
KR101632885B1 (ko)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