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839B1 - 다기능 셀룰로오스 섬유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다기능 셀룰로오스 섬유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839B1
KR100663839B1 KR1020050049849A KR20050049849A KR100663839B1 KR 100663839 B1 KR100663839 B1 KR 100663839B1 KR 1020050049849 A KR1020050049849 A KR 1020050049849A KR 20050049849 A KR20050049849 A KR 20050049849A KR 100663839 B1 KR100663839 B1 KR 100663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functional
processing agent
cellulose fiber
acid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9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8417A (ko
Inventor
이명학
박흥수
오필록
Original Assignee
한국섬유기술연구소
이명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섬유기술연구소, 이명학 filed Critical 한국섬유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050049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839B1/ko
Publication of KR20060128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8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8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5Epoxy resi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02Natural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04Vegetal fibres
    • D06M2101/06Vegetal fibres cellulos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2Physical properties protective against sunlight or UV radi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방취성, 소취성, 흡수성, 속건성, 흡습발열성 및 자외선 차단성 등이 우수한 다기능 셀룰로오스 섬유제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기능성을 발현하는 카르복실계 화합물을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화학적 결합이 가능한 에폭시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피리미딘계 화합물 등과 반응시켜 다기능 가공제를 합성하는 단계, 합성한 다기능 가공제를 섬유, 슬라이버, 조사, 실 및 직·편성물 등에 처리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항균방취성, 소취성, 흡수성, 속건성, 흡습발열성 및 자외선 차단성 등이 우수하고, 이들 기능성의 내세탁성이 영구적인 셀룰로오스 섬유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룰로오스 섬유, 다기능성, 항균방취성, 소취성, 흡수성, 속건성, 흡습발열성, 자외선 차단성

Description

다기능 셀룰로오스 섬유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Multifunctional cellulose textile and preparation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항균방취성, 소취성, 흡수성, 속건성, 흡습발열성 및 자외선 차단성 등이 우수한 다기능 셀룰로오스 섬유제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화학적 결합이 가능한 에폭시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피리미딘계 화합물 등과 항균방취성, 소취성, 흡수성, 속건성, 흡습발열성 및 자외선 차단성 등의 기능성 발현이 가능한 카르복실계 화합물 등을 반응시켜 다기능 가공제를 합성하는 단계, 흡진법 또는 패드 드라이 큐어법을 이용하여 합성 가공제를 섬유, 슬라이버, 조사, 실 및 직·편성물 등에 처리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항균방취성, 소취성, 흡수성, 속건성, 흡습발열성 및 자외선 차단성 등이 우수하고, 이들 기능성의 내세탁성이 영구적인 셀룰로오스 섬유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섬유의 기능성 가공이란 기존 섬유제품이 가지고 있지 않은 기능을 새로이 부여하는 것으로, 대표적인 가공으로는 항균방취가공, 소취가공, 흡한속건가공, 흡 습발열가공, 자외선 차단가공, 형태안정가공, 발수 및 발유가공 등이 있다. 이 중에서 특히 항균방취가공, 소취가공, 흡한속건가공, 자외선 차단가공 등은 사람들의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점차 건강과 쾌적함을 추구하려는 경향이 높아져 다수의 섬유제품에 대해 행해지고 있다.
항균방취가공은 악취의 원인인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구리, 은, 아연 등의 금속 화합물, 제4급 암모늄염계 화합물, 카르복실계 화합물 등이 사용된다. 소취가공은 각종 악취물질을 화학적으로 변화시키거나 흡착하여 냄새를 제거하는 것으로 금속 프탈로시아닌, 광촉매, 카르복실계 화합물, 활성탄 등이 사용된다. 흡한속건가공은 땀 등의 수분을 빠르게 흡수, 확산, 건조되도록 한 것으로 물이 빠르게 확산되도록 섬유의 단면형태를 변화시킨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자외선 차단가공은 자외선을 흡수하거나 산란하는 물질을 섬유에 부여하여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을 차단하는 것으로 방향족 유기화합물, 산화티타늄 등이 사용된다.
기존의 기능성 가공제품은 주로 하나의 기능성만을 부여한 단일 가공 제품이었으나 최근에는 2종류 이상의 기능성을 부여한 제품, 즉 항균방취성과 소취성이 동시에 발현되거나 항균방취성과 흡한속건성이 동시에 발현되도록 한 다기능 제품들이 제조되고 있다. 통상 이들 다기능 제품은 2종류 이상의 기능성 가공제를 사용하여 2회 이상 가공을 하거나 여러 종류의 기능성 가공제를 혼합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2회 이상 가공을 행할 경우 생산성 저하 및 제조비용 증가 등의 단점이 있고, 여러 종류의 기능성 가공제를 혼합하여 처리할 경우 가공제간 특성 차이로 응집을 일으켜 가공제가 침전하거나 상호작용에 의해 서로간의 성능을 저하시 키는 등 실제 사용에 있어 많은 제약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기능성 가공제들은 대부분 섬유와 화학적 결합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세탁에 대한 내구성이 매우 약하다. 따라서 내구성 향상을 위해 바인더를 사용하여 직물 또는 편성물에 가공제를 부착시켜주는데, 이 경우에도 반복 세탁에 의해 가공제가 탈락하기 때문에 세탁 내구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가공제들은 주로 바인더를 사용하여 섬유 제품에 부착시켜주기 때문에 흡진법으로는 처리가 곤란하여 패드 드라이 큐어법을 이용하여 처리를 한다. 그러나 패드 드라이 큐어법은 주로 직물 및 편성물에 한해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섬유, 슬라이버, 조사, 실 등에는 적용이 어려워 제품 다양화 측면에서도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항균방취성, 소취성, 흡수성, 속건성, 흡습발열성 및 자외선 차단성 등의 다기능성을 가지며, 섬유와 화학적으로 결합이 가능한 가공제를 합성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합성한 다기능 가공제로 셀룰로오스 섬유, 슬라이버, 조사, 실 및 직·편성물에 처리함으로써 영구적인 내세탁성을 갖는 다기능 셀룰로오스 섬유제품을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은 셀룰로오스 섬유와 공유결합이 가능한 반응성기와 항균방취성, 소취성, 흡수성, 속건성, 흡습발열성 및 자외선 차단성 등의 다기능성을 발 현하는 기능성기로 구성되는 가공제를 합성하고, 합성한 가공제가 포함된 가공제 수용액으로 섬유, 슬라이버, 조사, 실 및 직·편성물 등을 흡진법 또는 패드 드라이 큐어법으로 처리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에폭시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및 피리미딘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과 카르복실계 화합물을 반응시켜 다기능 가공제를 합성하고, 상기 다기능성 가공제를 셀룰로오스 섬유, 슬라이버, 조사, 실 또는 직·편성물에 화학적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기능성 가공제는 히드록시기 또는 아민기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기를 2개 이상 갖는 트리아진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과 히드록시기 또는 아민기를 가지고 있는 카르복실계 화합물을 반응시켜 다기능 가공제를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기능성 가공제는 섬유제품 중량대비 0.1 내지 5% o.w.f.(on the weight of fiber)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 슬라이버, 조사, 실 또는 직·편성물에 은, 아연 및 구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의 금속화합물을 섬유제품 중량대비 20 내지 10,000ppm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르복실계 화합물은 히드록시아세트산, 히드록시벤조산, 히드록시벤젠디카르복실산, 아미노아세트산, 아미노벤조산, 및 아미노벤젠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기능 셀룰로오스 섬유제품은 하기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셀룰로오스 섬유와 화학적 결합이 가능한 에폭시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피리미딘계 화합물 중 한가지와 카르복실계 화합물인 히드록시아세트산, 히드록시벤조산, 히드록시벤젠디카르복실산, 아미노아세트산, 아미노벤조산, 아미노벤젠디카르복실산 등을 반응시켜 다기능 가공제를 합성하는 단계;
(B) 합성한 다기능 가공제를 이용하여 셀룰로오스 섬유, 슬라이버, 조사, 실 및 직·편성물을 가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가공된 셀룰로오스 섬유, 슬라이버, 조사, 실 및 직·편성물에 구리, 은, 아연 등의 금속 성분을 도입하는 단계.
본 발명의 다기능 셀룰로오스 섬유제품 제조에 있어서 (A)단계는 다기능 가공제를 합성하는 단계로, 다기능 가공제는 2개 이상의 화합물을 화학적으로 반응시켜 합성한 화합물(즉, R + F = RF(다기능 가공제))이다. R은 다기능 가공제를 셀룰로오스 섬유에 결합시키기 위한 반응성 그룹이고, F는 기능성을 발현하는 기능성 그룹에 해당된다. 반응성 그룹인 R에 해당되는 화합물로는 에폭시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피리미딘계 화합물 등이 있다. 에폭시계 화합물로는 에피클로로히드린 등이 있으며, 트리아진계 화합물로는 트리클로로트리아진 등이 있고, 피리미딘계 화합물로는 테트라클로로피리미딘 등이 있는데 특별히 이들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기능성 그룹(F)에 해당되는 화합물로는 카르복실계 화합물인 히드록시아세트산, 히드록시벤조산, 히드록시벤젠디카르복실산, 아미노아세트산, 아미노벤조산, 아미노벤젠디카르복실산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 가공제 합성에 있어서, 반응성 그룹(R)에 해당되는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그 합성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반응성 그룹(R)으로 에피클로로히드린을 사용하여 기능성 그룹(F)에 해당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다기능 가공제를 합성하는 경우;
에피클로로히드린 20~200g/l를 물/에탄올(80/20) 혼합액에 10~20분간 교반하여 분산시키고, 50~90℃에서 에피클로로히드린과 같은 몰수에 해당되는 아미노벤젠디카르복실산을 30~60분간에 걸쳐 5~10회 분할 투입한 후 1~4시간 동안 교반하여 다기능 가공제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기능성 그룹(F)으로 아미노벤젠디카르복실산 대신에 히드록시아세트산, 히드록시벤조산, 히드록시벤젠디카르복실산, 아미노아세트산, 아미노벤조산 등을 사용할 수도 있고,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무방하다.
반응성 그룹(R)으로 트리클로로트리아진을 사용하여 기능성 그룹(F)에 해당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다기능 가공제를 합성하는 경우;
트리클로로트리아진 20~300g/l를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1~5g/l를 이용하여 10~20분간 0~5℃의 물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트리클로로트리아진과 같은 몰수에 해당되는 히드록시아세트산, 히드록시벤조산, 히드록시벤젠디카르복실산, 아미노아세트산, 아미노벤조산, 아미노벤젠디카르복실산 중의 한가지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1~2시간에 걸쳐 5~10회 분할 투입한 후 0~60℃에서 30분~3시간 동안 교반하여 다기능 가공제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응성 그룹(R)으로 테트라클로로피리미딘을 사용하여 기능성 그룹(F)에 해 당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다기능 가공제를 합성하는 경우;
테트라클로로피리미딘 20~300g/l를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1~5g/l를 이용하여 10~20분간 20~40℃의 물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테트라클로로피리미딘과 같은 몰수에 해당되는 히드록시아세트산, 히드록시벤조산, 히드록시벤젠디카르복실산, 아미노아세트산, 아미노벤조산, 아미노벤젠디카르복실산 중의 한가지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30~60분간에 걸쳐 5~10회 분할 투입한 후 20~6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여 다기능 가공제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기능 가공제의 합성에 있어서 에피클로로히드린은 부가반응에 의해, 트리아진계 및 피리미딘계 화합물은 치환반응에 의해 F에 해당하는 화합물과 반응한다. 이때 알칼리는 촉매로 작용하므로 반응시 탄산나트륨 등의 알칼리를 첨가함으로써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알칼리로는 가성소다, 탄산나트륨, 과탄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등이 있고, 알칼리를 첨가할 경우에는 기능성 그룹(F)에 해당되는 아미노벤젠디카르복실산 등의 0.5~1몰비에 해당하는 양을 0.5~2시간에 걸쳐 반응성 그룹(R) 분산액에 분할 투입한다.
본 발명의 (A)단계에서 합성한 가공제는 합성액 그대로를 희석하여 섬유처리에 사용하거나 합성액을 침전, 여과, 건조, 분쇄 등의 과정을 거쳐 분말 상태로 만든 후 필요시 물에 다시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A)단계에서 합성된 가공제는 반응성 그룹(R)과 기능성 그룹(F)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기능성 그룹(F)에 의해 항균방취성, 소취성, 흡수성, 속건성, 흡습발열성, 자외선 차단성 등의 기능성이 발현된다. 기능성 그룹(F)은 친수성의 카르복실기와 강한 소수성 부분으로 되어있는데, 항균방취성, 소취성, 흡수성, 흡습발열성은 친수성의 카르복실기에 의해 발현되며, 속건성은 카르복실기에 의해 흡수된 물이 강한 소수성부분에 의해 섬유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고 섬유 표면을 따라 빠르게 확산됨으로써 발현된다. 또한 기능성 그룹(F)에 해당되는 아미노벤젠디카르복실산 등은 자외선 흡수가 가능한 공명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기능 셀룰로오스 섬유제품의 제조에 있어서 (B)단계는 셀룰로오스 섬유, 슬라이버, 조사, 실, 직·편성물을 (A)단계에서 합성한 다기능 가공제로 처리하는 단계로, (A)단계에서 합성한 다기능 가공제 1~10% o.w.f., 탄산나트륨 5~20g/ℓ, 황산나트륨 50~200g/ℓ를 첨가하고, 40~80℃에서 액비 1:5~50으로 20~60분간 셀룰로오스 섬유를 처리한다.
또한 다기능제 10~100g/ℓ, 탄산나트륨 50~100g/ℓ, 황산나트륨 10~100g/ℓ로 구성된 패딩욕에서 직물 또는 편성물 등을 패딩하고 100~130℃에서 스팀 또는 건열처리하는 패드 드라이 큐어법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성 가공제는 섬유제품 중량대비 0.1 내지 5% o.w.f.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다기능성 가공제의 함량이 0.1% o.w.f. 미만이면 효과가 미미하고 5% o.w.f. 이상이면 경제적인 측면에서 불리하다.
본 발명의 다기능 셀룰로오스 섬유제품의 제조에 있어서 (C)단계는 다기능 가공제가 처리된 셀룰로오스 섬유에 금속을 도입하는 단계로 금속화합물을 30~60℃에서 처리하는 것에 의해 섬유제품 중량대비 20~10,000ppm의 금속을 다기능 가공제 처리 셀룰로오스 섬유에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금속화합물의 함량이 20ppm 미만이면 효과가 미미하고 10,000ppm 이상이면 색상 및 경제적인 측면에서 불리하다. 금속 화합물로는 질산은, 황산아연, 황산구리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들 금속 화합물은 수용액 중에서 금속 이온으로 해리되어 다기능 셀룰로오스 섬유의 카르복실기에 의해 흡착된다. 흡착된 금속은 다기능 가공제와 착염을 형성하여 불용성이 되기 때문에 세탁 등에 의해서도 쉽게 탈락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기능 셀룰로오스 섬유제품의 제조에 있어서 (C)단계는 항균방취성 및 소취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C)단계를 거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다기능 셀룰로오스 섬유제품은 섬유, 슬라이버, 조사, 실, 직·편성물 등 어떤 형태로든 제조가 가능하며, 타 섬유와 혼용할 경우, 혼용하는 섬유의 종류, 혼용방법, 혼용률에 따라 여러 용도의 제품으로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성 셀룰로오스 섬유제품은 하기 성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균감소율 90~100%
(2) 염기성 취기에 대한 소취율 90~100%
(3) 흡수성 5~30% 향상
(4) 건조 시간 10~40% 단축
(5) 흡습발열성 0.5~2.0℃(RH 90%, 20℃)
(6) 자외선 차단율 80~100%
상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셀룰로오스 섬유제품의 항균성은 포도상구균 등에 대해 90~100%의 균감소율, 암모니아가스 등의 염기성 취기에 대해 90~100%의 소취율을 나타낸다. 흡수성은 미처리 면섬유에 비해 약 5~30% 증가하고 건조시간은 미처리 면섬유가 대략 80분인데 반해 45~70분으로 약 10~40% 정도 빠른 시간에 건조된다. 흡습발열성은 섬유가 수분을 흡수하면서 열을 발생하는 것으로 미처리 시료에 비해 0.5~2.0℃ 더 높다. 자외선 차단율은 미처리 면섬유가 약 60~75%인데 반해 다기능 셀룰로오스 섬유제품은 80~100% 이다. 상기한 다기능성 셀룰로오스 섬유제품의 기능성은 다기능 가공제의 처리 농도에 따라 성능에 차이가 나며 섬유나 슬라이버, 조사 등에 처리할 경우 다른 섬유와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때 혼용율에 따라 성능에 차이가 나므로 최종 용도에 적합하도록 가공제 농도와 혼용률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섬유는 면 섬유 및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레이온 및 라이오셀)등을 포함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가지고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6 및 비교예 1]
비이온 계면활성제(Triton X-100) 0.5g이 들어 있는 5℃의 물 200ml에 트리클로로트리아진 7.38g을 넣고 10분간 교반하여 분산시켰다. 이 분산액에 아미노벤조산 5.49g과 가성소다 1.6g으로 구성된 50ml 수용액을 30분에 걸쳐 투입하고, 20℃로 승온하여 90분간 교반하는 방법으로 다기능 가공제를 합성하였다. 합성액에 염화나트륨 37.5g을 첨가하여 침전을 형성시킨 후 필터링한 다음 아세톤으로 수회 세척하여 미반응물을 제거하고 건조 및 분쇄하여 다기능 가공제 분말을 얻었다.
정련한 면 편성물(Ne 30, 싱글저지)에 대해, 상기 다기능 가공제 2~5% o.w.f., 탄산나트륨 15g/l, 황산나트륨 50g/l를 첨가하고 40℃에서 액비 1:10으로 30분간 처리하여 실시예 1~5를 제조하였다. 이들 중 실시예 5에 대해서는 질산은 0.03g/l를 40℃에서 30분간 처리하여 은 200ppm을 도입하였다. 이들 시료에 대해 항균성, 소취성, 흡수성, 건조성, 흡습발열성을 시험하였으며 미처리 정련 면 편성물을 비교예로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항균성은 JIS 1902에 따라 포도상구균을 공시균으로 하여 시험하였으며 균감소율(%)로 나타내었다.
소취성은 암모니아 가스에 대해 검지관법으로 시험하였으며 2시간 뒤의 암모니아 가스 소취율(%)로 나타내었다.
흡수성은 JIS L 1907의 바이렉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건조성은 시료에 일정량의 수분을 가한 후 시간에 따른 확산성 잔류수분율(%)을 측정하여 잔류 수분량이 10% 미만일 때의 시간으로 나타내었다.
발열성은 RH 5%, 21℃의 조건하에 시료를 3시간 방치 후 RH 90%, 21℃의 조건에 노출시켜 흡습에 따른 시료 표면의 발열온도를 측정하였으며 미처리 시료와의 온도차로 나타내었다.
자외선 차단성은 AATCC 183에 따라 시험하였으며 자외선 차단율로 나타내었다.
다기능 가공제 농도 (%owf) 균감소율 (%) 소취율 (%) 흡수높이 (cm) 건조시간 (분) 흡습발열성 (℃) 자외선 차단율(%) 은 함량 (ppm)
UV-A UV-B
실시예 1 2 95.1 86.7 8.4 65 0.42 76.0 95.6
실시예 2 3 99.9 93.5 8.7 60 0.58 80.0 96.3
실시예 3 4 99.9 96.1 9.1 55 0.88 82.0 97.8
실시예 4 5 99.9 100 9.3 55 1.20 83.0 98.2
실시예 5 2 99.9 90.7 8.4 65 0.42 76.5 95.2 200
비교예 1 - - - 7.5 70 - 64.3 71.7 -
상기 표 1의 실시예 1~5 및 비교예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다기능 가공제 처리 면 편성물은 다기능 가공제 농도 및 은 함유 여부에 따라 다소 성능에 차이가 있으나, 균감소율 95~99.9%, 소취율 90~100%를 나타내었다. 또한 흡수성은 비교예 1에 비해 10~25% 더 향상되었고, 건조시간은 5~15분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흡습발열성은 0.4~1.2℃, 자외선 차단율은 80~99%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6~10]
상기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한 다기능 가공제를 면섬유에 대해 다기능 가공제 5% o.w.f., 탄산나트륨 15g/l, 황산나트륨 50g/l을 첨가하고, 액비 1:10으로 40℃에서 30분간 처리하여 다기능 면섬유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다기능 면섬유를 미처리 면섬유(정련면)와 혼용하여 다기능 면/미처리면 혼방사(Ne 20)를 제조하였다(실시예 6~10). 이들의 항균성, 소취성, 흡수성, 건조성, 흡습발열성을 시험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미처리면 100% 면사를 비교예 2로 함께 나타내었다.
다기능 면섬유 혼용률(%) 균감소율 (%) 소취율 (%) 흡수높이 (cm) 건조시간 (분) 흡습발열성 (℃)
실시예 6 20 85.7 83.1 7.8 70 0.2
실시예 7 40 95.7 90.1 8.1 65 0.5
실시예 8 60 99.9 95.3 8.4 60 0.6
실시예 9 80 99.9 97.1 8.8 55 0.9
실시예 10 100 99.9 100 9.3 55 1.20
비교예 2 미처리면 100% - - 7.3 75 -
상기 표 2의 실시예 6~10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다기능 면/미처리면 혼방사는 다기능 면섬유의 혼용률이 증가할 수록 기능성이 향상되었으며, 다기능면 함유율 40%에서 균감소율 95% 이상, 소취율 90% 이상, 흡수성 10% 이상 향상, 건조시간 10분 이상 단축, 흡습발열성 0.5 이상의 기능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셀룰로오스 섬유와 화학적 결합이 가능하며 항균방취성, 소취성, 흡수성, 속건성, 흡습발열성 및 자외선 차단성 등의 기능성이 우수한 다기능 가공제를 합성할 수 있고, 이 가공제를 흡진법 또는 패드 드라이 큐어법으로 처리하여 영구적인 내세탁성을 갖는 다기능 셀룰로오스 섬유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가공제는 섬유, 슬라이버, 조사, 실, 직·편성물 등 모든 형태의 셀룰로로스 섬유에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다기능 셀룰로오스 섬유제품의 응용범위가 매우 넓다.
위에서 본 발명이 실시 예로 상세하게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변형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5)

  1. 히드록시기 또는 아민기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기를 2개 이상 갖는 트리아진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과 히드록시기 또는 아민기를 가지고 있는 카르복실계 화합물을 반응시켜 다기능 가공제를 합성하고, 상기 다기능 가공제를 셀룰로오스 섬유, 슬라이버, 조사, 실 또는 직·편성물에 화학적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세탁성을 갖는 셀룰로오스 섬유제품의 가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가공제는 섬유제품 중량대비 0.1 내지 5% o.w.f.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세탁성을 갖는 셀룰로오스 섬유제품의 가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 슬라이버, 조사, 실 또는 직·편성물에 은, 아연 및 구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의 금속화합물을 섬유제품 중량대비 20 내지 10,000ppm 더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세탁성을 갖는 셀룰로오스 섬유제품의 가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계 화합물은 히드록시아세트산, 히드록시벤조산, 히드록시벤젠디카르복실산, 아미노아세트산, 아미노벤조산, 및 아미노벤젠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세탁성을 갖는 셀룰로오스 섬유제품의 가공방법.
  5. 다기능 셀룰로오스 섬유의 가공방법에 있어서,
    트리클로로트리아진 및 아미노벤조산을 반응시켜 다기능 가공제를 합성하고, 셀룰로오스 섬유에 상기 다기능 가공제 및 질산은을 연속적으로 화학적 결합시키며, 상기 흡착된 은 금속은 다기능 가공제와 금속 착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세탁성을 갖는 다기능 셀룰로오스 섬유의 가공방법.
KR1020050049849A 2005-06-10 2005-06-10 다기능 셀룰로오스 섬유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63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849A KR100663839B1 (ko) 2005-06-10 2005-06-10 다기능 셀룰로오스 섬유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849A KR100663839B1 (ko) 2005-06-10 2005-06-10 다기능 셀룰로오스 섬유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417A KR20060128417A (ko) 2006-12-14
KR100663839B1 true KR100663839B1 (ko) 2007-01-02

Family

ID=37731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9849A KR100663839B1 (ko) 2005-06-10 2005-06-10 다기능 셀룰로오스 섬유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8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889B1 (ko) 2012-06-14 2012-09-26 한국섬유기술연구소 화학적 탄화법을 이용한 셀룰로스계 섬유 혼용제품의 혼용률 측정방법
KR20210017819A (ko) 2019-08-09 2021-02-17 영진산업 주식회사 면 니트 섬유용 일액형 다기능 가공제
KR20230015677A (ko) 2021-07-23 2023-01-31 영진산업 주식회사 다기능성 니트 섬유용 일액형 견뢰도증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479Y1 (ko) * 2009-07-27 2012-05-29 주식회사 케이피엠테크 항균 및 항바이러스 기능을 갖는 마스크
KR101403527B1 (ko) * 2012-09-24 2014-06-09 주식회사 지클로 항균성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섬유
KR101465195B1 (ko) * 2013-11-27 2014-11-26 사단법인 코티티시험연구원 셀룰로스계 섬유소재의 자외선 차단 가공방법
CN109736082B (zh) * 2019-01-21 2021-03-05 南通纺织丝绸产业技术研究院 一种超疏水抗紫外阻燃蚕丝织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7966A (ja) * 1995-04-10 1996-12-24 Nippon Sanmou Senshoku Kk 耐久性の向上した金属イオン含有有機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101788A (ko) * 1999-02-08 2001-11-14 나가오카 마사시 소취 섬유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55236A (ko) * 2003-06-11 2003-07-02 삼영플랜트주식회사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습식 재생 조골재 및 부순모래제조장치
KR20050018951A (ko) * 2002-07-05 2005-02-28 이데미쓰 테크노파인 가부시키가이샤 섬유 처리제 및 이 섬유 처리제에 의해 처리된 섬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7966A (ja) * 1995-04-10 1996-12-24 Nippon Sanmou Senshoku Kk 耐久性の向上した金属イオン含有有機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101788A (ko) * 1999-02-08 2001-11-14 나가오카 마사시 소취 섬유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18951A (ko) * 2002-07-05 2005-02-28 이데미쓰 테크노파인 가부시키가이샤 섬유 처리제 및 이 섬유 처리제에 의해 처리된 섬유
KR20030055236A (ko) * 2003-06-11 2003-07-02 삼영플랜트주식회사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습식 재생 조골재 및 부순모래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889B1 (ko) 2012-06-14 2012-09-26 한국섬유기술연구소 화학적 탄화법을 이용한 셀룰로스계 섬유 혼용제품의 혼용률 측정방법
WO2013187549A1 (ko) * 2012-06-14 2013-12-19 한국섬유기술연구소 화학적 탄화법을 이용한 셀룰로스계 섬유 혼용제품의 혼용률 측정방법
KR20210017819A (ko) 2019-08-09 2021-02-17 영진산업 주식회사 면 니트 섬유용 일액형 다기능 가공제
KR20230015677A (ko) 2021-07-23 2023-01-31 영진산업 주식회사 다기능성 니트 섬유용 일액형 견뢰도증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417A (ko)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839B1 (ko) 다기능 셀룰로오스 섬유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US10550511B2 (en) Antimicrobial cellulose fiber and fabric comprising multiple antimicrobial cellulose fibers
KR20100130225A (ko) 항균성 및 소취성 텍스타일
Haji Functional Finishing of Textiles with β‐Cyclodextrin
CN111535033A (zh) 碘系抗微生物微孔纤维材料的制备方法及其应用
EP0997575B1 (en) Natural organic fiber containing titanium oxid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N112680954A (zh) 一种除臭吸湿纺织布料及其制备方法
EP0522304B1 (en) Natural cellulosic fibers treated with inorganic metal compounds and polycarboxylic acids
CN110725128B (zh) 一种防紫外、抗菌生物质纤维pa56面料的制备方法及其应用
JP2005213686A (ja) 再生セルロース繊維を含む繊維材料
KR100945425B1 (ko) 수산화 아파타이트가 표면에 결합된 이산화티탄 광촉매 및이의 제조방법, 이를 함유하는 항균성 코팅 조성물 및항균성 코팅 조성물이 적용된 의류용 원단
JPH07229063A (ja) 抗菌性繊維製品及びその製造法
CN107964785B (zh) 一种装载纳米铜抗菌蚕丝制品及其制备方法
KR20220154144A (ko) 인산 지르코늄 입자, 및 이것을 사용한 염기성 가스 소취제, 및 그것들의 제조 방법
KR960013471B1 (ko) 내세탁성이 우수한 항균섬유의 제조방법
KR102500444B1 (ko) 세탁 내구성이 우수한 항균 섬유 가공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상기 항균 섬유 가공조성물로 가공처리된 항균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항균원단
CN111809263A (zh) 一种抗菌除臭茶纤维素纤维及其制备方法
KR20220156252A (ko) 섬유용 무기계 항균소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무기계 항균소취제
JP2001329463A (ja) 繊維製品類の抗菌加工方法
KR20060020549A (ko) 나노 백금 콜로이드 용액으로 처리된 항균 섬유및 그제조방법
JP7284588B2 (ja) 下着用布帛
CN114657763B (zh) 无机抗菌耦合棉纤维及其应用
JP2946339B2 (ja) 繊維に耐久的消臭性を付与する方法
KR20240032200A (ko)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항균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원단
RU2659267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еребросодержащей ткани растительного происхожд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