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2297B1 - 유기 el 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el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2297B1
KR100662297B1 KR1020020063949A KR20020063949A KR100662297B1 KR 100662297 B1 KR100662297 B1 KR 100662297B1 KR 1020020063949 A KR1020020063949 A KR 1020020063949A KR 20020063949 A KR20020063949 A KR 20020063949A KR 100662297 B1 KR100662297 B1 KR 100662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layer
transparent
ito
transparen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5193A (ko
Inventor
김명섭
송원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3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297B1/ko
Priority to CN2003101013960A priority patent/CN1498048B/zh
Priority to US10/686,732 priority patent/US7064484B2/en
Priority to JP2003359760A priority patent/JP4981242B2/ja
Publication of KR20040035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8Transparent cathodes, e.g. comprising thin meta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26Top e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EL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탑 에미션 방식의 유기 EL 소자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소자는 탑 에미션(Top emission) 방식의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투명전극은 다층의 투명 박막층으로 구성된다.
유기 EL 소자, 탑 에미션(Top emission)

Description

유기 EL 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소자의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다운 에미션(down emission) 방식의 유기 EL 소자의 단면도
도 3은 CuPC, TPD, Alq3, NPD, 프탈로시아닌의 화학구조 단면도
도 4는 탑 에미션 방식의 유기 EL 소자 단면도
도 5는 금속물질의 두께에 따른 투과율과 반사율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기판 12 : 애노드
13 : 정공 주입층 14 : 정공 수송층
15 : 발광층 16 : 전자 수송층
17 : 전자 주입층 18 : 투명전극(캐소드)
19 : 보호막 28 : 투명 전극(애노드)
본 발명은 유기 EL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탑 에미션(Top emission) 방식의 유기 EL 소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EL 디스플레이는 전자 주입 전극(음극)과 정공 주입 전극(양극) 사이에 형성된 유기막에 전하를 주입하며 전자와 정공이 쌍을 이룬 후 소멸하면서 빛을 내는 소자로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또한 전력 소모가 적은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유기 EL 소자의 단면도로, 먼저 투명 기판(1) 위에 양극(2)물질을 입힌다. 양극(하부 전극)(2) 물질로는 흔히 ITO(indium tin oxide)가 쓰인다.
그리고, 상기 양극(2) 위에 정공 주입층(HIL : hole injecting layer)(3)을 입히는데, 이 정공 주입층(3)으로는 주로 CuPc(copper phthalocyanine)을 10~30nm 두께로 입힌다. 참고로 CuPc의 구조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정공 주입층(3) 위에 정공 수송층(HTL : hole transport layer)(4)를 형성하는데, 흔히 N,N'-dipheny1-N,N'-bis(3-methylpheny1)-(1-1'-bipheny1)4,4'-diamine(TPD) 또는 4,4'-bis[N-(1-naphthy1)-N-pheny1-amino]bipheny(NPD)를 30~60nm 정도 증착하며, TPD, NPD의 구조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증착된 정공 수송층(4) 위에 유기 발광층(organic emitting layer)(5)을 형성하고, 이때 필요에 따라 불순물(dopant)을 첨가하고, 녹색 발광의 경우 흔히 유기 발광층(5)으로 Alq3(tris(8-hydroxy-quinolate)aluminum)을 30~60nm 정도 증착하여 불순물로 큐머린 6(coumarin 6) 또는 Qd(Quinacridone)를 많이 쓰고 레드 불순물로는 ECM, DCJT, DCJTB 등을 쓴다. 상기 Alq3 의 구조 또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기 발광층(5) 위에 전자 수송층(FTL : electron transport layer)(6)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7)을 연속적으로 형성하거나, 전자주입수송층을 함께 형성하기도 하는데, 전자 주입층(7)으로 LiF나 Li2O를 5Å 정도 얇게 입히거나 또는 Li, CA, Mg, Sm 등 알카리 금속 또는 알카리토 금속을 200Å 이하로 입혀서 전자의 주입을 좋게 한다.
또한, 녹색 발광의 경우 상기 유기 발광층(5)으로 이용되는 Alq3 가 좋은 전자수송 능력을 갖기 때문에 전자 주입/수송층(7/6)을 쓰지 않는 경우도 많다.
다음, 음극(8)으로 Al를 1000Å 정도 입힌다.
도 2는 일반적인 다운 에미션 방식의 유기 EL 소자의 단면도로, 음극(cathode) 물질로 쓰이는 물질이 거울 반사면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유기 EL 소자의 발광층(emitting layer)에서 발생한 빛이 절반은 투명 전극(양극)쪽으로 나오고, 나머지 절반은 음극 물질에 반사되어 투명 전극(양극)쪽으로 나오게 된다.
도 4는 일반적인 탑 에미션 방식의 유기 EL 소자를 나타낸 단면도로, 투명 전극을 형성하기 위하여 ITO나 IZO와 같은 산화 박막을 사용한다.
도 5는 금속물질의 두께에 따른 투과율과 반사율을 보여주는 그래프로, 투명 캐소드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사용되는 메탈의 두께가 얇을수록 투과율이 커지고, 이와 동시에 박막의 저항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산화 박막의 광학 전기적 성능은 박막 형성시의 기판의 온도에 따라 매우 민감한데, 기판 온도를 200~300℃를 유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OLED(organic lighting emitting device)에서는 유기물의 Tg가 100℃ 근처이기 때문에 고온에서 소자를 제작할 수 없으므로, 100℃이하에서 투명전극을 형성시 투명전극의 광학 전기적 성능이 크게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기적 성능이 우수한 물질과 광학적 성능이 우수한 산화 박막을 같이 사용하여 전기적 광학 성능을 개선시킨 탑 에미션 방식의 유기 EL 소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탑 에미션(Top emission) 방식의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투명전극은 다층의 투명 박막층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투명전극은 전자 주입층 또는 전자수송층이나 정공 주입층 또는 정공수송층 상에 형성되며, 금속물질과 투명한 박막으로 아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금속물질은 Ag, Al, Cr, Mo, Au, Pt, Sn, Ln, Mg 중 하나이거나, Al:Li, Ag:Mg, Ag:Li 중 하나이며, 상기 투명한 박막은 ITO, IZO, TiO2, SiO2 와 같은 산화막과 Si3N4와 같은 박막이다.
또한, 상기 투명 박막층은 레이어 바이 레이어(layer by layer)로 형성되며, 상기 투명 박막층은 코-데포지션(co-deposition)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투명 박막층을 구성하는 층(layer)의 총 수는 1~100층 정도며, 상기 투명 전극위에 투명한 보호막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소자를 나타낸 도면으로 제 1 전극을 애노드로 제 2 전극을 투명 캐소드로 제작한 방법으로 먼저, 기판(11) 위에 애노드 전극(12) 물질인 ITO를 100nm 정도 입힌다.
그리고, 상기 애노드 전극(12) 위에 정공 주입층(13)으로 CuPc(copper phthalocyanine) 등을 25nm 정도 입히고, 정공 수송층(14)으로 4, 4'-bis[N-(1-naphthy1)-N-pheny1-amino]bipheny1(NPD)을 35am 정도 입힌다.
상기 정공 수송층(14)이 형성되면, 그 위에 발광층(15)을 형성하는데, 녹색의 경우 발광층을 만들기 위해 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에 Co6을 1% 정도 도핑하여 25nm 정도 입힌다.
이어서, 전자 수송층(16)인 Alq3(8-hydroxyquinoline aluminum)을 35nm 정도 입히고, 전자 주입층(17)으로 Li2O를 0.5nm 정도 입하고, 다음으로 투명 캐소드(18)를 형성하기 위해 금속 물질인 Ag, Al, Cr, Mo, Au, Pt, Sn, Ln, Mg, Al:Li, Ag:Mg, Ag:Li 중 하나와 산화 물질인 ITO, IZO, TiO2, SiO2, Si3N4를 여러층의 레이어 바이 레이어(layer by layer)로 형성하므로 전기적 성능과 광학적 성능이 우수한 투명 전극(18)을 형성하며, 금속 물질과 산화물질은 코-데포지션(co-deposition)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ITO의 투과율이 90%라고 했을 때,
Ag 10nm 의 투과율은 65%,
Ag 5nm 의 투과율은 95%,로
같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것을 가정했을 때,
[예 1]..../Li2O/ Ag(10nm)/ITO(100nm)→투과율 : 0. 65 X 0.90 = 0.585
[예 2]..../Li2O/ Ag(5nm)/ITO(50nm)/ Ag(5nm)/ ITO(50nm)→투과율 : 0.95 X 0.90 X 0.95 X 0/90 = 0.73 으로,
단순히 산술적으로 계산을 통해 보듯이 두 물질을 레이어 바이 레이어(layer by layer)로 여러 층을 형성했을 때에 전기적, 광학적 성능이 우수한 전극을 만들 수 있는데, 레이어의 총 수는 1~100층 정도까지 형성한다.
또한, 같은 두께, 같은 비저항을 갖더라도 다층박막구조에 따라 투과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Ag의 총 두께는 동일하지만 층(layer)의 수가 많을수록 투과율이 커지고, 층의 수가 같더라도 Ag 두께 분포에 따라 투과율 스펙트럼이 크게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전극(18)은 투명한 전극을 하기와 같은 구조로
../ Li2O/ Ag/ ITO/ Ag/ ITO/ Ag/ ITO/ Ag/ ITO/ Ag/ ITO 의 10층을 사용해서 투과율이 80%가 되도록 하고,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투명전극을 형성한다.
또한, 도 7과 같이 표면 난반사 및 수분 방지를 위한 구조로 ..../ CuPC / ITO/ TiO2/ Ag/ ITO/ TiO2/ Ag/ ITO/ TiO2/ Ag/ ITO 투명전극도 가능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투명 전극(18) 위에 가스에 의한 투과를 막기 위해 투명한 다층 보호막(19)을 형성한다.
제 1 보호막으로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방법을 사용할 경우 사용될 수 있는 재료로는 Fluorine을 함유한 고분자 중에서도 Polychlorotr-ifluoroethylene, Polydichlorotrifluoroethlene 선호 되어지고, chlorotrifluoroethylene(a), dichlorotrifluoroethylene(b) 및 (a)과 (b)의 코폴리머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PVD 방법으로 유기물 증착후 UV-광조사에 의해 성막이 가능하며 이때 사용되어질 수 있는 물질로는 stearyl acrylate, lauryl acrylate, 2-phenoxyethyl acrylate, isodecyl acrylate, isooctyl acrylate, iso bornyl acrylate, 1,3-butylene glycol acrylate, 1,4-butanediol diacrylate, 1,6-hexanediol diacrylate, ethoxylated bisphenol A diacrylate, propoxylated neophentyl glycol diacrylate, tris(2-hydroxylethyl) isocyannurate tri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가 사용된다.
그리고, 제 2 보호막으로 SiC, SiO, SiO2, SixNy 등의 실리콘 화합물의 사용 이 적당하다. 그 중 SiO2, SixNy 의 물질이 선호되어진다.
제 3 보호막으로 제 1, 2 보호막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기계적이 특성과 보호막의 특성을 가지는 필름을 접착하기 위한 것으로 에폭시, 아크릴 계열 및 실리콘 화합물의 실런트가 적당하다.
그 중 에폭시 계열이 선호되어지고 그 중 trimethyl propane triacrylate, Ditrimethylolpropane tetraacrylate와 같은 trimethylacrylate 및 1,6-hexanediol-diacrylate, 1,6-hexanediol dimethacrylate 와 같은 긴체인의 acrylate가 적당하다. 완전히 투명한 한 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Si-화합물의 실런트가 적당하다.
그 중 상온경화제 타입의 RT-글래스, Si-실런트가 선호되어진다. 이 물질은 투과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서 탑 에미션 형태의 실링인 경우 적당하다. 실리콘계의 실링은 스프레이 방법이나 스핀-코팅법, 닥터 블래드(blade)법에 의해 형성되어진다. 그중 상온경화제 타입의 RT-글래스, 실리콘-실런트가 선호되어지며, 이 물질은 투과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서 탑 에미션 형태의 실링의 경우 적당하다. 실리콘계의 실링은 스프레이 방법이나 스핀 코팅법, 닥터 블래드 법에 의해 형성되어진다.
제 4 보호막은 대기의 가스 투과를 막으면서 기계적인 특성을 부여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물질로 PET, PMMA, 및 Fluorine 계 고분자를 사용하며 이것의 분자량이 20.000~250.000 정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필름의 두께는 100~1000㎛ 가 적당하다. 또한, 필름 이외에 낮은 용융 온도의 프릿-글래스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소자를 나타낸 도면으로 제 1 전극을 캐소드로 제 2 전극을 투명한 애노드로 제작하는 방법으로 먼저, 기판(21) 위에 캐소드 전극(22) 물질인 Al 또는 Ag를 200nm 정도 입힌다.
그리고, 상기 캐소드 전극(22) 위에 전자 주입층(23)으로 LiF나 Li2O 등을 0,5nm 정도 입히고, 전자 수송층(24)으로 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을 35nm 정도 입힌다.
상기 전자 수송층(24)이 형성되면, 그 위에 발광층(25)을 형성하는데, 녹색의 경우 발광층을 만들기 위해 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에 Co6을 1% 정도 도핑하여 25nm 정도 입힌다.
이어서, 정공 수송층(26)인 4, 4'-bis[N-(1-naphthy1)-N-pheny1-amino]bipheny1(NPD)을 35nm 정도 입히고, 정공 주입층(27)으로 CuPc(copper phthalocyanine) 등을 25nm 정도 입히고, 다음으로 투명 애노드(28)를 형성하기 위해 금속 물질인 Ag와 산화 물질인 ITO를 여러층인 레이어 바이 레이어(layer by layer)로 형성하므로 전기적 성능과 광학적 성능이 우수한 투명 전극(18)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ITO의 투과율이 90%라고 했을 때,
Ag 10nm 의 투과율은 65%,
Ag 5nm 의 투과율은 95%,로
같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것을 가정했을 때,
[예 1]..../Li2O/ Ag(10nm)/ITO(100nm)→투과율 : 0. 65 X 0.90 = 0.585
[예 2]..../Li2O/ Ag(5nm)/ITO(50nm)/ Ag(5nm)/ ITO(50nm)→투과율 : 0.95 X 0.90 X 0.95 X 0/90 = 0.73 으로,
단순히 산술적으로 계산을 통해서 보듯이 두 물질을 레이더 바이 레이어(layer by layer)로 여러 층을 형성했을 때에 전기적, 광학적 성능이 우수한 전극을 만들 수 있다.
또한, 같은 두께, 같은 비저항을 갖더라도 다층박막구조에 따라 투과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Ag의 총 두께는 동일하지만 층(layer)의 수가 많을수록 투과율이 커지고, 층의 수가 같더라도 Ag 두께 분포에 따라 투과율 스펙트럼이 크게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 2 전극(18)은 투명한 전극을 하기와 같은 구조로
../ Li2O/ Ag/ ITO/ Ag/ ITO/ Ag/ ITO/ Ag/ ITO/ Ag/ ITO 의 10층을 사용해서 투과율이 80%가 되도록 하고,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투명전극을 형성한다.
또한, 도 7b와 같이 표면 난반사 및 수분 방지를 위한 구조로 ..../ CuPC / ITO/ TiO2/ Ag/ ITO/ TiO2/ Ag/ ITO/ TiO2/ Ag/ ITO 투명전극도 가능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투명 전극(18) 위에 가스에 의한 투과를 막기 위해 다층 보호막(19)을 형성한다.
제 1 보호막으로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방법을 사용할 경우 사용 될 수 있는 재료로는 Fluorine을 함유한 고분자 중에서도 Polychlorotr-ifluoroethylene, Polydichlorotrifluoroethlene 선호되어지고, chlorotrifluoroethylene(a), dichlorotrifluoroethylene(b) 및 (a)과 (b)의 코폴리머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PVD 방법으로 유기물 증착후 UV-광조사에 의해 성막이 가능하며 이때 사용되어질 수 있는 물질로는 stearyl acrylate, lauryl acrylate, 2-phenoxyethyl acrylate, isodecyl acrylate, isooctyl acrylate, iso bornyl acrylate, 1,3-butylene glycol acrylate, 1,4-butanediol diacrylate, 1,6-hexanediol diacrylate, ethoxylated bisphenol A diacrylate, propoxylated neophentyl glycol diacrylate, tris(2-hydroxylethyl) isocyannurate tri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가 사용된다.
그리고, 제 2 보호막으로 SiC, SiO, SiO2, SixNy 등의 실리콘 화합물의 사용이 적당하다. 그 중 SiO2, SixNy 의 물질이 선호되어진다.
제 3 보호막으로 제 1, 2 보호막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기계적인 특성과 보호막의 특성을 가지는 필름을 접착하기 위한 것으로 에폭시, 아크릴 계열 및 실리콘 화합물의 실런트가 적당하다.
그 중 에폭시 계열이 선호되어지고 그 중 trimethyl propane triacrylate, Ditrimethylolpropane tetraacrylate와 같은 trimethylacrylate 및 1,6-hexanediol-diacrylate, 1,6-hexanediol dimethacrylate 와 같은 긴체인의 acrylate가 적당하다. 완전히 투명한 한 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Si-화합물의 실런트가 적당하다.
그 중 상온경화제 타입의 RT-글래스, Si-실런트가 선호되어진다. 이 물질은 투과율이 매우 높은것으로서 탑 에미션 형태의 실링인 경우 적당하다. 실리콘계의 실링은 스프레이 방법이나 스핀-코팅법, 닥터 블래드(blade)법에 의해 형성되어진다. 그중 상온경화제 타입의 RT-글래스, 실리콘-실런트가 선호되어지며, 이 물질은 투과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서 탑 에미션 형태의 실링인 경우 적당하다. 실리콘계의 실링은 스프레이 방법이나 스핀 코팅법, 닥터 블래드 법에 의해 형성되어진다.
제 4 보호막은 대기의 가스 투과를 막으면서 기계적인 특성을 부여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물질로 PET, PMMA, 및 Fluorine 계 고분자를 사용하며 이것의 분자량이 20.000~250.000 정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필름의 두께는 100~1000㎛가 적당하다. 또한, 필름 이외에 낮은 용융 온도의 프릿-글래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투명 전극을 투명박막층으로 금속 물질과 산화 물질을 레이어 바이 레이어(layer by layer)로 형성하므로 전기적 성능과 광학적 성능이 우수한 투명 전극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탑 에미션(Top emission) 방식의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 EL 소자의 투명 전극을 Ag, Al, Cr, Mo, Au, Pt, Sn, Ln, Mg, Al:Li, Ag:Mg, Ag:Li의 금속 물질 중 하나와 ITO, IZO, TiO2, SiO2, Si3N4의 투명 박막을 사용하여 다층으로 구성하고,
    상기 투명 전극 상에 형성된 다층의 투명 보호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은 전자 주입층 또는 전자수송층이나 정공 주입층 또는 정공수송층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박막층은 코-데포지션(co-deposition)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박막층을 구성하는 층(layer)의 총 수는 1~100층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의 투명 보호막은 제 1 내지 제 4 보호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KR1020020063949A 2002-10-18 2002-10-18 유기 el 소자 KR100662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949A KR100662297B1 (ko) 2002-10-18 2002-10-18 유기 el 소자
CN2003101013960A CN1498048B (zh) 2002-10-18 2003-10-17 有机电致发光装置
US10/686,732 US7064484B2 (en) 2002-10-18 2003-10-17 Organic EL device
JP2003359760A JP4981242B2 (ja) 2002-10-18 2003-10-20 有機el素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949A KR100662297B1 (ko) 2002-10-18 2002-10-18 유기 el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193A KR20040035193A (ko) 2004-04-29
KR100662297B1 true KR100662297B1 (ko) 2007-01-02

Family

ID=32105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949A KR100662297B1 (ko) 2002-10-18 2002-10-18 유기 el 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064484B2 (ko)
JP (1) JP4981242B2 (ko)
KR (1) KR100662297B1 (ko)
CN (1) CN14980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191B1 (ko) * 2003-06-03 2005-11-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저저항 캐소드를 사용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050025509A (ko) * 2003-09-08 2005-03-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투명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를 사용하는 모바일디스플레이 장치
JP2005276739A (ja) * 2004-03-26 2005-10-06 Sanyo Electric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7202504B2 (en) 2004-05-20 2007-04-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KR100651936B1 (ko) * 2004-06-04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탑 에미션 방식의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705345B1 (ko) * 2004-12-31 2007-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EP1701395B1 (de) * 2005-03-11 2012-09-12 Novaled AG Transparentes lichtemittierendes Bauelement
WO2008029060A2 (fr) * 2006-09-07 2008-03-13 Saint-Gobain Glass France Substrat pour dispositif electroluminescent organique, utilisation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e substrat, ainsi que dispositif electroluminescent organique.
CN102941711B (zh) * 2006-11-17 2016-08-24 法国圣-戈班玻璃公司 用于有机发光装置的电极、其酸蚀刻以及包括它的有机发光装置
FR2913146B1 (fr) * 2007-02-23 2009-05-01 Saint Gobain Electrode discontinue, dispositif electroluminescent organique l'incorporant, et leurs fabrications
DE102007024152A1 (de) * 2007-04-18 2008-10-23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rganisches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FR2924274B1 (fr) 2007-11-22 2012-11-30 Saint Gobain Substrat porteur d'une electrode, dispositif electroluminescent organique l'incorporant, et sa fabrication
FR2925981B1 (fr) * 2007-12-27 2010-02-19 Saint Gobain Substrat porteur d'une electrode, dispositif electroluminescent organique l'incorporant.
KR100931060B1 (ko) * 2008-04-02 2009-12-10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952425B1 (ko) * 2008-04-11 2010-04-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미세 패터닝 가능한 다층 투명 전도막
FR2936358B1 (fr) 2008-09-24 2011-01-21 Saint Gobain Procede de fabrication d'un masque a ouvertures submillimetriques pour grille electroconductrice submillimetrique, masque a ouverture submillimetriques, grille electroconductrice submillimetrique.
FR2936362B1 (fr) 2008-09-25 2010-09-10 Saint Gobain Procede de fabrication d'une grille submillimetrique electroconductrice revetue d'une grille surgrille, grille submillimetrique electroconductrice revetue d'une surgrille
EP2172991A1 (en) * 2008-10-03 2010-04-07 Thomson Licensing, Inc. OLED with a composite semi-transparent electrode to enhance light-extraction over a large range of wavelengths
FR2944145B1 (fr) 2009-04-02 2011-08-26 Saint Gobain Procede de fabrication d'une structure a surface texturee pour dispositif a diode electroluminescente organique et structure a surface texturee
KR101148886B1 (ko) * 2009-05-13 2012-05-29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DE102009034822A1 (de) * 2009-07-27 2011-02-03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Elektronisches Bauelement sowie elektischer Kontakt
JP2011141981A (ja) * 2010-01-06 2011-07-21 Toppan Printing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FR2955575B1 (fr) 2010-01-22 2012-02-24 Saint Gobain Substrat verrier revetu d'une couche haut indice sous un revetement electrode et dispositif electroluminescent organique comportant un tel substrat.
WO2011093146A1 (ja) * 2010-01-29 2011-08-04 株式会社アルバック 有機el装置
JP2013149533A (ja) * 2012-01-20 2013-08-01 Ulvac Japan Ltd 有機膜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JPWO2013168516A1 (ja) * 2012-05-08 2016-01-0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透明導電膜
CN103904231B (zh) * 2012-12-25 2016-03-30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104124375A (zh) * 2013-04-24 2014-10-29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104124378A (zh) * 2013-04-24 2014-10-29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103500801B (zh) * 2013-10-12 2016-08-24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顶发光蓝光有机发光二极管及其制造方法
CN106784389A (zh) * 2017-02-17 2017-05-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透明电极、有机发光二极管及其制备方法
US20180301288A1 (en) * 2017-04-14 2018-10-18 Hunt Energy Enterprises, L.L.C. Photovoltaic Device Encapsul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1517A (ja) * 1996-04-17 1997-10-31 Hitachi Ltd 透明導電膜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H1170610A (ja) * 1996-07-26 1999-03-16 Asahi Glass Co Ltd 透明導電膜、および透明電極の形成方法
JPH11307987A (ja) * 1998-04-16 1999-11-05 Nippon Sheet Glass Co Ltd 電磁波フィルタ
KR20020088488A (ko) * 2001-05-17 2002-11-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다층 구조의 투명 도전막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8956B2 (en) * 1994-12-13 2003-04-15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Transparent contacts for organic devices
US5912061A (en) * 1995-08-03 1999-06-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UV-ray setting resi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agneto-optical disk by the use of the UV-ray setting resin
US5686360A (en) * 1995-11-30 1997-11-11 Motorola Passivation of organic devices
WO2000036665A1 (en) * 1998-12-16 2000-06-22 Battelle Memorial Institute Environmental barrier material f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US6268695B1 (en) * 1998-12-16 2001-07-31 Battelle Memorial Institute Environmental barrier material f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JP3817081B2 (ja) * 1999-01-29 2006-08-3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有機el素子の製造方法
JP2001176660A (ja) * 1999-12-20 2001-06-29 Sony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製造方法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20010048982A1 (en) * 2000-04-28 2001-12-06 Tohoku Pioneer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chemical compounds for liquid crystals
WO2002009478A1 (fr) * 2000-07-24 2002-01-31 Tdk Corporation Dispositif luminescent
JP4116764B2 (ja) * 2000-10-27 2008-07-09 松下電工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の作製方法
JP2002231443A (ja) * 2001-02-06 2002-08-16 Sony Corp 表示装置
JP2003017264A (ja) * 2001-04-27 2003-01-17 Canon Inc 電界発光素子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3017274A (ja) * 2001-06-27 2003-01-17 Sony Corp 有機el素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1517A (ja) * 1996-04-17 1997-10-31 Hitachi Ltd 透明導電膜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H1170610A (ja) * 1996-07-26 1999-03-16 Asahi Glass Co Ltd 透明導電膜、および透明電極の形成方法
JPH11307987A (ja) * 1998-04-16 1999-11-05 Nippon Sheet Glass Co Ltd 電磁波フィルタ
KR20020088488A (ko) * 2001-05-17 2002-11-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다층 구조의 투명 도전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64484B2 (en) 2006-06-20
US20040081855A1 (en) 2004-04-29
CN1498048A (zh) 2004-05-19
JP4981242B2 (ja) 2012-07-18
JP2004139991A (ja) 2004-05-13
KR20040035193A (ko) 2004-04-29
CN1498048B (zh) 201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297B1 (ko) 유기 el 소자
US7002294B2 (en) Method of protecting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s
JP4226835B2 (ja) 発光素子、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6345244B2 (ja) 有機電子装置
KR101707254B1 (ko)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유기 발광 소자, 발광 장치,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US732119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ith transparent electrode structure having dielectric layer
Li et al. An effici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 with silver electrodes
US20050023974A1 (en) Protected organic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20070222370A1 (en) Flexible Electroluminescent Devices
KR20160091445A (ko) 유기 광학-전자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JP6453871B2 (ja) 有機電子装置の製造方法
JP4255250B2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KR20130111481A (ko) 유기전자소자용 기판
KR20130111484A (ko) 유기전자소자용 기판
US7564181B2 (en) Performance enhancement layer for OLED devices
JP2004104064A (ja) 発光素子
KR20050053210A (ko) 유기 el 소자
KR20130111154A (ko) 유기전자소자용 기판
JP2015511759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60973A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및 다층구조의 유기발광소자보호막
KR20080104324A (ko) 가요성 전기발광 소자
WO2023053450A1 (ja) 発光素子、表示装置、および発光素子の製造方法
KR100556374B1 (ko) 유기 el 소자
WO2023053451A1 (ja) 発光素子、表示装置、および発光素子の製造方法
KR100863910B1 (ko) 유기 발광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