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436B1 - 아데노실코발라민 함유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데노실코발라민 함유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436B1
KR100658436B1 KR1020050120648A KR20050120648A KR100658436B1 KR 100658436 B1 KR100658436 B1 KR 100658436B1 KR 1020050120648 A KR1020050120648 A KR 1020050120648A KR 20050120648 A KR20050120648 A KR 20050120648A KR 100658436 B1 KR100658436 B1 KR 100658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preparation
skin diseases
cobalamin
treating ski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0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병철
성하수
이애리
천혜경
공재양
전성수
조영관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한올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50120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436B1/ko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한올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AU2006323567A priority patent/AU2006323567B2/en
Priority to EP06799307.1A priority patent/EP1957087B1/en
Priority to RU2008104057/15A priority patent/RU2379039C2/ru
Priority to CA2616449A priority patent/CA2616449C/en
Priority to MX2008007462A priority patent/MX2008007462A/es
Priority to CN200680031564.5A priority patent/CN101252940B/zh
Priority to BRPI0615635-5A priority patent/BRPI0615635A2/pt
Priority to PCT/KR2006/004233 priority patent/WO2007066889A1/en
Priority to JP2008541068A priority patent/JP5134547B2/ja
Priority to US11/996,574 priority patent/US20090137523A1/en
Priority to MYPI20080139A priority patent/MY1435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436B1/ko
Priority to IL189001A priority patent/IL189001A/en
Priority to ZA200800771A priority patent/ZA200800771B/xx
Priority to US13/016,682 priority patent/US20110135714A1/en
Priority to US13/679,029 priority patent/US20130084329A1/en
Priority to US13/679,056 priority patent/US20130071471A1/en
Priority to US14/600,253 priority patent/US9655916B2/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35Compounds containing heavy metals
    • A61K31/714Cobalamins, e.g. cyanocobalamin, i.e. vitamin B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데노실코발라민 함유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속한 약효를 기대하기 어렵고, 분자량이 매우 커서 투여량의 90% 이상이 배설되어 생체이용률이 매우 낮았던 기존 코발라민 및 그의 유도체 함유 제제를 개선한 방법으로서, 세포 흡수시 코발라민의 조효소를 구성하는 아데노실코발라민(coenzyme B12)을 유효성분으로 함유시킨, 피부의 표피장벽 투과를 용이하게 하는 피부 질환 치료용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데노실코발라민,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

Description

아데노실코발라민 함유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 조성물{Compositions for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adenosylcobalamin for improvement of skin diseases}
본 발명은 아데노실코발라민 함유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속한 약효를 기대하기 어렵고, 분자량이 매우 커서 투여량의 90% 이상이 배설되어 생체이용률이 매우 낮았던 기존 코발라민 및 그의 유도체 함유 제제를 개선한 방법으로서, 세포 흡수시 코발라민의 조효소를 구성하는 아데노실코발라민(coenzyme B12)을 유효성분으로 함유시킨, 피부의 표피장벽 투과를 용이하게 하는 피부 질환 치료용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염은 여러 가지 외적 요인, 내적 요인에 대한 피부의 염증반응이고, 보통은 습진과 같은 의미로 쓰이며 대개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및 지루성 피부염 등을 포함한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아토피, 즉 면역글로불린(IgE)이 관계하는 알레르기반응에 의해서 발생한다고 생각되고 있지만, 현재도 확실한 발병 원인은 명확하지 않 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개체가 특정 물질에 대하여 과감작적인 아토피성 기질을 가지므로 외인성 기질, 즉 다양한 항원에 의해 증상이 나타난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상은 유아기에 안면의 발적, 삼출 및 낙설이 생기고 몹시 가렵다. 유아기에는 주로 얼굴에 국한되지만 점차 사지로 확대되고 모공성 구진이 발생(아토피성 피부)하게 된다. 12세경까지 치유되는 일이 많지만 성인으로 이행되면 사지이외에 얼굴이나 가슴, 목덜미 등도 태선화한다. 소아천식을 합병하기도 하고 일단 호전되어도 재발, 악화되는 경우가 많고, 완치까지 장기간을 요하거나, 완치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현재, 아토피성 피부염을 포함하는 피부염의 치료제로서 항히스타민제와 스테로이드제가 사용되고 있다. 항히스타민제로는 주로 가려움증을 억제하는데 사용되며 예로는 프로메타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클로로페닐아민 말리에이트, 디펜히드라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메퀴타진 등이 포함된다. 스테로이드제로는 임상효과가 탁월하나 동시에 다양한 부작용을 수반하는 약제로서 그 예로는 하이드로코르티손 부티레이트, 덱사메타손 발레레이트, 베타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 클로베타솔 프로피오네이트, 프레드니솔론 등이 있다. 치료의 효과에 있어서 상기 약제들의 외용제(연고제 등)를 도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고, 이를 대체할만한 치료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 약제들이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반면, 이들은 유도 감염, 2차 부신피질 부전증, 당뇨병, 소화성 궤양, 다모증, 탈모증, 착색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며, 특히 연고제 등의 외용제에 있어서는 피부의 박화나 위축, 홍조 등의 피부로의 직접적인 유해작용이 중대한 부작용을 일으킨다. 따 라서, 기존의 피부염 치료제보다 부작용이 작고 안정성이 높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코발라민(cobalamin) 또는 비타민 B12는 식품 중에서 발견되는 비타민 B 복합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수용성 비타민으로서 비타민 중 가장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기본적인 화학구조는 두 가지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나는 포르피린(porphyrin) 고리모양구조이고, 다른 하나는 알파-글리코시드(glycoside) 결합을 갖는 뉴클레오티드이다. 포르피린고리모양구조는 4개의 5, 6-디메틸벤즈이미다졸(dimethylbenzimidazole)고리로 이루어지고, 4개의 질소원자자 코발트이온을 중심으로 배위하여 킬레이트화합물을 이루고 있다. 코발트 원자에 시안기가 결합한 것을 시아노코발라민(cyanocobalamin)이라고 하며, 이 시안기를 제거한 구조가 영양학적으로나 생화학적으로 중요하다. 즉, 생체 내에서는 활성형이 되기 전에 시안기는 떨어져 나가고 코발라민은 생체 내에서 보효소 및 코발라민 효소로서 변환된다.
인간은 포르피린고리모양 구조를 합성할 수 없기 때문에 비타민 B12는 음식물섭취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비록 기본적인 코발라민 분자는 미생물에 의해서만 합성되지만, 모든 포유동물의 세포는 코발라민을 코엔자임인 아데노실코발라민과 메틸코발라민으로 전환할 수 있다. 히드록실 코발라민, 메틸코발라민 및 아데노실코발라민은 포유동물의 조직으로부터 가장 빈번하게 분리되는 코발라민의 세 가지 형태이다. 그러나, 메틸코발라민과 아데노실코발라민만이 인체 효소에서 보조 인자로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아데노실코발라민은 세포의 조직을 구성하 며,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고, 메틸코발라민은 주로 혈장과 대뇌 척수 액과 같은 체액에 존재하며 세포에서는 세포질에서 발견된다. 코발라민 및 그 유도체는 피부염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이 말초 혈액이나 피부에 존재하는 T림프구의 활성화에 의해 인터루킨(IL)-1알파, 인터루킨(IL)-2, 인터루킨(IL)-6 및 인터페론 (IFN)-감마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산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알려진 아토피성 습진의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Yamashiki M., Nishimura A., Kosaka Y.; J. Clin. Lab. Immunol.; 1992; 37; 173-182]. 또한, 코발라민과 그 유도체는 아토피성 피부염에서 흔히 발생하는 발적과 가려움증의 원인이 되는 물질로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유도되는 산화질소(NO)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Stucker M., Pieck C., Stoerb C., Niedner R., Hartung J., Altmeyer P.; Br. J. Dermatol.; 2004; 150; 977-983]. 상기한 바와 같이 코발라민 및 그 유도체의 피부염에 대한 치료 효과를 기초로 피부도포용 외용제로서 응용하려는 시도가 있다.
그러나, 코발라민과 그 유도체를 피부염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를 제조하는 기술은 부분적으로 효과를 극대화시키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 첫째, 유효성분으로서 주로 시아노코발라민 유도체를 사용함으로써 생체 내에서 아데노실코발라민으로 변환될 때까지 효력을 발휘할 수 없고, 둘째, 코발라민이 빛과 열에 불안정하여 제제에서의 효력이 감소하며, 셋째, 피부투과율이 낮아 치료효율을 극대화하는데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코발라민의 유도체인 아데노 실코발라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유효성분을 피부로 흡수될 수 있도록 리포솜, 크림 또는 겔 형태의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조성물에 피부흡수성 및 피부친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피부가속제를 추가함으로써 유효성분의 전달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갖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코발라민과 그 유도체를 함유한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나 이를 응용하는 방법에 관한 공지의 기술은 다음과 같다.
크린겔펠러(Kingelholler)의 미국특허 제 5,798,341호(1998.8.25)는 시아노코발라민, 히드록시코발라민 및 메틸코발라민을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로 사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알러지 리미티드(Allergy Limited)사의 미국특허 제 6,255,294호(2001.7.3)는 코발라민 및 그 유도체를 정제, 검, 설하정 및 점액제로서 구강 또는 비강 점막을 통하여 전달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오드리(Audrey)의 미국특허 제 10/782,827호(2004.9.2)는 비타민 B12와 구리, 엽산 및 비타민 C를 혼용하여 정제, 주사제 또는 피부도포용 외용제로 이용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다. 레베카(Rebecca)의 미국특허 제 09/858,038호(2002.11.21)는 비타민 B12를 리포솜에 제형화하여 특이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투여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였다. 또한, 캐나다의 어뎁츠러스 홀딩(Adeptsrus Holding)사는 비타민 B12를 크림형태로 제조하여 피부의 세포성장과 보호, 수분의 유지를 위한 기능성 화장품으로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에 제시된 공지 기술들은 코발라민의 유도체로서 시아노코발라민, 히드록시코발라민 및 메틸코발라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투여된 이후, 체내에서 대사과정을 거쳐 조효소 기능을 갖는 아데노실코발라민으로 전환되어 약효를 발휘하기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되어 신속한 약효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코발라민 또는 그 유도체를 경구용 제제, 주사제제 또는 경점막 제제로 응용하는 기술을 소개하고 있으나, 경구 투여시 코발라민 및 그 유도체의 분자량이 1,300 ~ 1,500 Da으로 매우 커서 투여량의 90% 이상이 48시간이내에 배설되어 생체이용률이 매우 낮고, 시아노코발라민을 리포솜에 봉입하여 주사제로 제형화하여 체내에서 지방이나 비타민을 흡수하지 못하는 특이 환자들에게 투여하는 기술을 공지하고 있으나, 구체적 방법은 제시하고 있지 않고 있다. 특히, 피부질환 치료를 하고자 하는 경우 주사로 투여했을 때 피부에 존재하는 약물의 양이 매우 낮아 원하는 치료효과를 얻기까지 장기간 투여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코발라민 및 그 유도체의 피부흡수율을 증진시킴으로써 치료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은 확립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유효성분으로서 아데노실코발라민을 포함하는 다양한 조성물을 에멀젼 크림, 수화 겔 및 아데노실코발라민 함유 리포솜 입자를 포함시킨 겔 등의 형태 등으로 제조하였고 피부가속제를 첨가하여 제형화한 후, 실험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피부질환 치료 효과를 관찰한 결과, 피부염 치료 효과가 우수함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데노실코발라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투과 효과가 개선된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아데노실코발라민 또는 인지질과 콜레스테롤로 구성된 리포솜에 봉입된 아데노실코발라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를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효성분에 탄소수 8 ~ 16의 알킬그룹을 함유하는 계면활성제를 추가한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신속한 약효를 기대하기 어렵고, 분자량이 매우 커서 투여량의 90% 이상이 배설되어 생체이용률이 매우 낮았던 기존 코발라민 및 그의 유도체 함유 제제를 개선한 방법으로서, 세포 흡수시 코발라민의 조효소를 구성하는 아데노실코발라민(coenzyme B12)을 유효성분으로 함유시킨, 피부의 표피장벽 투과를 용이하게 하는 피부 질환 치료용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피부염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코발라민 또는 그 유도체는 조효소로 전환될 때까지 약효를 기대하기 어려워 신속한 약효의 발현에 한계가 있고, 피부투과율이 낮아 투여약제 대비 치료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아데노실코발라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체내 대사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조효소로서 작용할 수 있어 신속한 약효의 발현이 가능하고, 생체친화적인 피부가속제 성분을 포함하여 유효성분의 피부투과가 효과가 개선되어 아토피성 피부염 외에 습진, 건 선 등에도 치료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임을 밝힌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아데노실코발라민 함유 리포솜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통상의 방법으로 리포솜을 제조한 후, 당류를 첨가하여 동결-건조하여 리포솜 입자를 제조한다.
먼저, 포스포콜린계 화합물(PC)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인지질 및 콜레스테롤을 혼합하여 수화한 후, 동결-건조하여 리포솜 입자를 형성한다.
상기 포스포콜린계 화합물(PC)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인지질과 콜레스테롤은 3 ∼ 5 : 1의 비(w/v)로 혼합 사용한다. 상기 콜레스테롤은 소수성 결합의 강화를 위해 사용하며, 상기 지질의 혼합비(w/v)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리포솜 입자들 사이의 응집과 융합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상기 혼합된 인지질의 농도는 0.1 ∼ 10 mM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농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약물의 봉입율이 떨어지게 되고, 리포솜 입자간의 응집과 융합이 생기는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상기 포스포콜린계 화합물(PC)은 디아실 그룹의 탄소수가 3 ∼ 24인 포스포콜린계 화합물(PC)로서, 바람직하게는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PPC), 1,2-디스테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SPC), L-a-포스파티딜콜린(HSPC), 1-팔미토일-2-글루타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PGPC), 1,2-디라우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LPC), 1,2-디마이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MPC) 및 1,2-디올레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OPC) 중에서 선택된 1종 또 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질에, 클로로포름, 메탄올, 에탄올 등과 같이 지질의 용해가 가능한 용매에 용해시킨 후, 증발응축기를 이용하여 클로로포름을 증류시켜 제거하고 얇은 지질막을 형성한다. 이후에 농도 차이에 의한 약물 로딩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암모늄 설페이트(Ammonium Sulfate) 용액을 첨가하여 지질막을 수화시켜 리포솜을 형성한다. 상기 형성된 리포솜을 감압 압출을 통해 입경 크기가 30 ∼ 400 ㎚, 바람직하기로는 90 ∼ 120 ㎚인 리포솜을 형성한다.
상기 리포솜에 아데노실코발라민을 함유한 용액을 첨가하여 리포솜 내부에 아데노실코발라민을 봉입한다. 리포솜 내부에 함유되지 않은 아데노실코발라민은 막 투석을 실시하여 제거하며, 이때 약물의 리포솜 내 봉입 효율은 70 ∼ 100 % 범위를 갖는다.
다음으로, 상기 공정으로 형성된 리포솜 용액에 1 분 ∼ 30 분 사이에 당류를 0.01 ∼ 80 mM(w/v) 농도로 첨가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화된 아데노실코발라민 함유 리포솜 입자를 제조한다.
상기 당은 단당류, 이당류 및 다당류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만니톨, 포도당, 만노스 및 과당의 단당류, 말토스, 수크로오스 및 트레할로스의 이당류, 소르비톨, 덱스트린 및 글루코사민 등의 다당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당류를 3차 증류수에 녹인 후, 당의 농도를 0.01 ∼ 80 mM로 제조하여 사용한다. 상기 당의 농도가 0.01 mM 미만이면 동결-건조 공정 동안에 리포솜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되어 리포솜 입자간의 응집과 융합이 생기게 되고, 80 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인지질에 비해 상당량 들어가기에 점도가 증가되어 약한 겔의 형태가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때, 동결-건조 공정시 -80 ∼ -70 ℃에서 동결한 후, -50 ∼ -40 ℃에서 건조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아데노실코발라민 함유 리포솜 입자는 재분산시 첨가된 당이 리포솜 형태를 유지하는 지지체의 역할을 수행하고, 당의 빠른 분산력으로 특정의 보관온도와 첨가되는 특정의 당, 농도 및 리포솜과의 농도 혼합비를 조절함으로써 아데노실코발라민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안정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데노실코발라민 함유 수화 겔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용성 피막형성 기제를 전체의 3 ~ 10 중량%의 농도로 3차 증류수에 서서히 가하여 완전히 용해한 후, 아데노실코발라민을 첨가하여 균일한 수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수용액에 유화제를 전체 조성에 0.5 ~ 2중량%, 용제를 전체 조성에 40 ~ 60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여 혼합한 후, 3차 증류수를 제제의 총량에 맞추어 첨가한다. 상기 혼합액을 균질 혼합기(Homomixer)로 3,000 ~ 6,000 rpm으로 균질한 상태가 될 때까지 교반하여 겔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용성 피막형성 기제는 카보폴(Carbopol), 카르보머(Carbomer),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glycol), 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Hydroxymethylcellulos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젤라틴(Gelatine), 알지네이트염(Alginate Salt), 키틴(Chitin) 또는 키토산(Chitosan)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겔 제제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유화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터(Polyoxyethylene fatty acid ester),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Polyoxyethylene glycerine fatty acid ester),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터(Polyoxyethylene sorbitan fatty acid ester),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터(Glyceryl fatty acid ester),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겔 제제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용제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및 에톡시디글리콜 1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아데노실코발라민 함유 에멀젼 크림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체의 0.1 ~ 2.0 중량%의 농도가 되도록 수산화나트륨을 3차 증류수에 가하여 완전히 용해한 후, 아데노실코발라민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혼합하고 60 ~ 90 ℃의 온도에서 아데노실코발라민을 완전히 용해할 때까지 자석식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여 유효성분이 함유된 수상을 제조한다. 오일상을 형성하는 기제를 전체의 5.0 ~ 15.0 중량%의 농도가 되도록 가하고, 유화제를 전체의 2.0 ~ 10.0 중량%의 농도가 되도록 가하여 혼합한 후, 60 ~ 90 ℃의 온도에서 모든 성분이 완전히 용해할 때까지 자석식 교반기를 이용하여 유상을 제조한다.
상기에서 제조한 수상과 유상을 60 ~ 90 ℃의 온도에서 서서히 혼합하고 패들 혼합기(Paddle mixer)로 20분간 교반한 후, 항온조를 이용하여 20 ~ 40 ℃까지 서서히 냉각하면서 균질한 상태에 이를 때까지 균질혼합기(Homomixer)로 3,000 ~ 10,000 rpm으로 교반하여 유화된 크림을 제조하고, 생성된 기포는 진공으로 완전히 제거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일상을 형성하는 기제는 포화 탄화수소계 오일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계 오일의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며 또한 이들의 혼합물도 사용될 수 있고,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오일상의 기제로서 그 사용이 제한되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한 포화 탄화수소계 오일로는 유동파라핀, 파라핀 왁스, 스쿠알렌, 바셀린, 기타 분지형 탄화수소계 오일 등을 들 수 있으며, 불포화 탄화수계 오일로는 동물성 오일, 식물성 오일 등의 천연오일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 모두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를 제조 시 유효성분인 아데노실코발라민을 혼합 시 피부가속제를 유효성분 1 중량부에 대하여 50 ~ 500 중량부로 첨가함으로써 유효성분의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는데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상기 피부가속제가 5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유효성분의 피부흡수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낮은 문제가 있고, 50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제의 상 분리를 일으키거나 피부 적용시 착용감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즉, 피부흡수성과 피부친화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탄소수 8 ~ 16개의 알킬그룹을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중에서 라우릴 에테르(Lauryl ether)계 화합물 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계 화합물을 함유한 것을 피부가속제로 첨가하여 제형을 제조한다. 이러한 피부가속제로 라우릴 에테르계 화합물은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브리지 30(Brij 30),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프로필렌글리콜모노라우레이트(Propyleneglycolmonolaurate), 모노라우린(Monolaurin), 모노스테아린(Monostearin), 모노올레인(Monoolein), 모노미리스틴(Monomyristin), 라우일 알콜(Lauryl alchol)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9 라우릴 에테르(Polyoxyethylene 9 lauryl ether) 등이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화합물은 브리지 90(Brij 90), 플루로닉(Pluronic), 솔비탄 모노팔미테이트(Solbitan monopalmitate) 또는 솔비탄 트리올레이트(Solbitan trioleate)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데노실코발라민 함유 외용제의 경우에는 기존의 코발라민 또는 이의 유도체가 함유된 피부 질환용 약제 보다 피부염 치료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아데노실코발라민을 함유하는 외용제의 경우 상기 유효성분이 전체 외용제 조성에 대하여 0.01 ~ 7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유효성분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피부염 치료효과가 낮은 문제가 있고, 7 중량%를 초과시에는 피부자극(skin irritation)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아데노실코발라민 외에 기존에 알려진 메틸코발라민, 히드록시기코발라민 및 시아노코발라민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추가 함유시켜도 그 효과는 유사하거나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유효성분 외에 덱사메타손, 베타메타손, 하이드로 코르티손, 프레드니솔론, 클로베타솔 등의 스테로이드제, 타크롤리무스, 피메크로리무스, 사이클로스포린 등의 면역 억제제 및 트레티오닌, 비타민 E-아세테이트, 비타민 B5 등의 비타민제 등과 복합 처방하면 그 효과가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에멀젼, 겔 외에도 유효성분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연고제, 액제, 현탁제, 첩부제, 함수성 첩부제 등의 의약품과 에멀젼, 로션, 크림, 팩, 화장수, 비누 등 화장료의 피부외용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의 제조방법은 공지방법을 따른다.
상기 유효성분의 유효 도포량은 피부염의 정도, 부위, 연령 등에 따라 다양화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1일 2회 또는 수회 0.1 g ~ 5.0 g 범위 내에서 도포된다.
이하,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 시험예 및 제조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아데노실코발라민 함유 리포솜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빛이 차단된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PPC)와 콜레스테롤(CHOL)을 각각 9.58 mg/ml과 3.19 mg/ml의 농도로 클로로포름 5 ml에 용해시킨 후, 회전증발응 축기를 사용하여 상전이온도 41 ℃ 이상을 유지하면서 감압 증류하여 둥근 플라스크 벽에 얇은 지질막을 만들고, 진공 중에서 24시간 건조시켜 둥근 플라스크 내에 잔류하는 클로로포름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250 mM 농도의 암모늄설페이트인 수용액 10 ml를 첨가하여 지질막이 완전히 분산될 때까지 수화시킨 다음, 2분 간격으로 10분간 교반하여 다막 리포솜을 제조하였다. 수화를 마친 후, 가압 압출기를 사용하여 200 nm의 공극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막으로 5회, 100 nm의 공극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막으로 5회 통과시켜 단막 리포솜 입자를 제조하였고, 리포솜 내부에 함유되지 않은 암모늄설페이트를 4 ℃에서 24시간 동안 막 투석을 실시하여 암모늄설페이트 함유 리포솜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암모늄설페이트 함유 리포솜에 10% (w/v) 수크로오스 수용액을 이용하여 1.5 mg/ml의 농도로 용해한 아데노실코발라민 10 ml를 첨가하여 60 ℃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리포좀 내부에 함유되지 않은 아데노실코발라민을 4 ℃에서 48시간 동안 막 투석을 실시하여 아데노실코발라민 함유 리포솜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아데노실코발라민 함유 리포솜 용액에 4 ℃의 온도에서 3차 증류수에 용해시켜 미리 제조한 30 mM 농도의 말토스 수용액 동량을 가하여 반응시키고 심층동결기(deep freezer)에서 -77 ℃의 온도에서 12 시간동안 동결 후, 동결-건조기(freeze-dryer)에서 -45 ℃의 온도에서 24 시간동안 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아데노실코발라민 함유 겔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빛이 차단된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유효성분으로서 70.0 mg의 아데노실코발라민을 정확히 측량하여 30 ml의 3차 증류수에 가한 후, 자석식 교반기로 서서히 교반하여 아데노실코발라민을 완전히 용해하고, 기제로서 2.2 g의 카르보머(Carbomer) 940을 소량씩 첨가하여 서서히 교반하면서 완전히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에 기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PEG) 1000, 유화제로서 디에탄올아민(DEA) 및 용제로서 에탄올을 각각 5.0 g, 1.35 g 및 55.0 ml를 혼합하고 총 제제의 중량이 100 g이 되도록 3차 증류수 적량을 가한 후, 상온에서 균질혼합기(homomixer)로 균질한 상태가 될 때까지 3,000 rpm으로 교반하여 아데노실코발라민이 함유된 겔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아데노실코발라민 함유 크림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빛이 차단된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1.0 g의 수산화나트륨을 70 ml의 3차 증류수에 가하여 완전히 용해한 후, 유효성분으로서 70.0 mg의 아데노실코발라민을 정확히 측량하여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혼합하고 90 ℃의 온도에서 아데노실코발라민을 완전히 용해할 때까지 자석식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여 유효성분이 함유된 수상을 제조하였다. 기제로서 13 g의 스테아릭산(Stearic acid)과 4 g의 라놀린(Lanolin), 유화제로서 2 g의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Sucrose fatty acid ester)와 2 g의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Isopropylmyristate)를 모두 혼합하여 90 ℃의 온도에서 모든 성분이 완전히 용해할 때까지 자석식 교반기를 이용하여 유상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수상과 유상을 90 ℃의 온도에서 서서히 혼합하고 패들 혼합기(Paddle mixer)로 20분간 교반한 후, 항온조를 이용하여 40 ℃까지 서서히 냉각하면서 균질한 상태에 이를 때까지 균질혼합기(Homomixer)로 3,000 rpm으로 교반하여 유화된 크림을 제조하고, 생성된 기포는 진공으로 완전히 제거하였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아데노실코발라민 함유 리포솜을 포함한 겔을 제조하기 위하여 빛이 차단된 조건에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2에서 제시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유효성분으로서 아데노실코발라민 대신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100 mg의 분말화된 아데노실코발라민 함유 리포솜을 첨가하여 겔 제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유효성분으로서 아데노실코발라민을 첨가하지 않고 시아노코발라민을 첨가하여 리포솜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유효성분으로서 아데노실코발라민을 첨가하지 않고 시아노코발라민을 첨가하여 겔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유효성분으로서 아데노실코발라민을 첨가하지 않고 시아노코발라민을 첨가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유효성분으로서 아데노실코발라민을 첨가하지 않고 100 mg의 분말화된 시아노코발라민 함유 리포솜을 첨가하여 겔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아데노실코발라민과 함께 피부가속제로서 1.0 g의 루트롤 75(Lutrol 75)를 추가하여 겔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아데노실코발라민과 함께 피부가속제로서 1.5 g의 브리지 30(Brij 30)을 추가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아데노실코발라민과 함께 피부가속제로서 1.7 g의 솔비탄 트리올레이트(Sorbitan trioleate)를 추가하여 겔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70 mg의 아데노실코발라민과 30 mg의 메틸코발라민을 함유한 겔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70 mg의 아데노실코발라민과 50 mg의 덱사메타손 프로피오네이트를 함유한 크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70 mg의 아데노실코발라민과 15 mg의 타크롤리무스 하이드레이트를 함유한 크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70 mg의 아데노실코발라민과 25 mg의 트레티오닌을 함유한 크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피부외용제의 항염증 효능 측정
상기 실시예 2 ∼ 4에서 제조된 아데노실코발라민 함유 시험약제, 비교예 2 ∼ 4에서 제조된 시아노코발라민 함유 시험약제, 실시예 5 ~ 7에서 제조된 추가성분으로 피부가속제를 함유한 시험약제 및 실시예 8 ~ 11에서 제조된 복합성분 함유 시험약제의 피부염 치료효능을 관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피부염 동물모델을 제작하여 부종 및 발적반응 억제작용을 평가하였다. 또한, 대조 시험제제로서 유효성분을 포함하지 않고 기제성분만으로 제조한 제제를 준비하고 양성대조로서 0.1% 타크로리무스 연고와 0.1% 덱사메타손 크림을 준비하였다.
1. 피부염 동물모델 제작
실험동물로 암컷 7주령의 BALB/C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난백 알부민과 수산화알루미늄 겔을 각각 최종농도가 2 mcg/㎖와 100 mg/㎖가 되도록 생리식염수로 현탁한 후, 각각의 현탁액 0.5 ㎖를 취하여 시험 첫째 날에 마우스의 복강에 투여하고, 시험 14일 째에 각각의 현탁액 0.5 ㎖를 추가 투여한 후, 시험 28일 째에 20 mcg/㎖ 농도의 난백알부민 25 ㎖를 마우스의 우측 외이에 피하 투여하여 부종반응을 유발하였다. 유발 후 24시간 이후 발적 반응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2. 부종반응 억제작용 평가
마우스의 부종 유발부위인 우측 외이에 대조 시험제제(기제), 시험약제 및 양성대조 시험 약제를 부종 유발 1시간 전과 4시간 후에 각각 피부면적 10 cm2당 100 ㎕의 용량으로 도포하였다. 유발 후 경시적으로 외이의 두께를 다이얼 두께 게이지(Dial Thickness Gauge)로 측정하였다. 외이의 두께 증가는 부종 유발전 외이 두께를 부종 유발 후 외이 두께에서 뺀 값으로 나타내었다. 억제율은 다음 수학식 1에 의해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72127042-pat00001
구분 시험 동물수 도포 4시간 후 억제율 (%) 도포 24시간 후 억제율 (%) 도포 48시간 후 억제율 (%)
기제 대조 3 0 0 0
양성 대조 (0.1% 타크로리무스 연고) 5 45.0 75.2 100.0
양성대조 (0.1% 덱사메타손 크림) 5 38.4 62.7 93.1
실시예 2 5 27.4 50.5 67.2
실시예 3 5 28.2 49.1 71.6
실시예 4 5 23.6 38.6 60.2
비교예 2 5 19.5 36.7 45.4
비교예 3 5 15.1 32.5 48.8
비교예 4 5 13.3 30.8 42.3
실시예 5 5 43.7 61.4 88.3
실시예 6 5 47.2 66.7 90.6
실시예 7 5 37.5 58.1 78.4
실시예 8 5 46.3 70.6 94.5
실시예 9 5 50.2 82.3 100.0
실시예 10 5 49.6 81.7 100.0
실시예 11 5 38.2 65.6 89.2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 4의 아데노코발라민 함유 제제는 부종 억제 작용을 나타내었으며, 비교예 2 ~ 4의 시아노코발라민 함유 제제에 비해 효과적으로 부종억제 작용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5 ~ 7의 피부가속제 함유 제제는 실시예 2 ~ 4의 제제보다 부종 억제 작용이 우수하였으며 이는 피부가속제의 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실시예 8 ~ 11의 복합성분 함유 제제는 유효성분으로서 아데노실코발라민만을 함유한 실시예 5 ~ 7의 제제보다 부종 억제 작용이 우수하였다.
3. 발적반응 억제작용 평가
마우스의 부종유발 부위인 우측 외이에 대조 시험제제(기제), 시험 약제 및 양성대조 시험 약제를 부종 유발 2시간 전과 4시간 후에 각각 피부면적 10 cm2당 100 ㎕의 용량으로 도포한 후, 외이의 두께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발적의 정도를 발적이 없는 개체는 0점, 진하거나 또는 옅은 적색의 크기가 작은 발적이 있는 개체는 1점, 진한 적색의 크기가 큰 발적이 있는 개체는 3점 및 1점과 3점의 중간정도 발적이 있는 개체는 2점의 평가기준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시험 동물 수 도포 4시간 후 발적 스코어 도포 24시간 후 발적 스코어
기제 대조 3 0.9±0.1 2.6±0.1
양성 대조 (0.1% 타크로리무스 연고) 5 0.5±0.1 1.1±0.2
양성 대조 (0.1% 덱사메타손 크림) 5 0.5±0.2 1.2±0.1
실시예 2 5 0.6±0.2 1.4±0.1
비교예 2 5 0.8±0.2 1.8±0.1
실시예 5 5 0.5±0.2 1.3±0.2
실시예 8 5 0.5±0.1 1.1±0.1
실시예 10 5 0.4±0.2 0.9±0.1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아데노실코발라민 함유 제제는 발적 억제 작용을 나타내었으며, 비교예 2의 시아노코발라민 함유 제제에 비해 발적 억제 작용이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5의 피부가속제 함유제제는 실시예 2의 제제보다 발적 억제 작용이 우수하였고, 실시예 8 및 실시예 10의 복합제제는 실시예 2의 아데노실코발라민 단독 제제에 비해 우수한 발적 억제 작용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2: 피부외용제의 피부 수분 보유 효능 측정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아데노실코발라민 함유 시험약제,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시아노코발라민 함유 시험약제, 실시예 5에서 제조된 아데노실코발라민 및 메틸코발라민 함유 시험약제 및 실시예 10에서 제조된 아데노실코발라민 및 타크롤리무스 하이드레이트 함유 시험약제의 피부 수분 보유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동물모델을 제작하고 피부 수분 보유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대조 시험제제로서 유효성분을 포함하지 않고 기제성분만으로 제조한 제제를 준비하고 양성대조로서 0.1% 타크로리무스 연고와 0.1% 덱사메타손 크림을 준비하였다.
1. 동물모델 제작
실험동물로 수컷 7-8주령의 누드마우스를 사용하였다. 5% 소디움도데실설페이트(SDS)를 1일 2회씩 7일간 처리하여 피부 각질층의 기능을 손상시킨 후, 수분 증발량 측정 장치(Tewameter, 독일)를 이용하여 수분 보유능을 측정하여 다음 표 4의 시험약제 도포전의 측정값으로 하였다.
2. 수분 보유능 평가
시험 약제, 양성대조 시험 약제 및 기제를 피부면적 10 cm2당 100 ㎕의 용량으로 1일 2회씩 2일간 도포하고 경시적으로 상기 수분 증발량 측정 장치로 수분 보유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시험 동물수 도포 전 도포 1일 후 도포 2일 후 도포 3일 후 도포 4일 후
기제 대조 3 67±2 71±1 69±3 69±1 67±2
양성 대조 (0.1% 타크로리무스 연고) 3 68±2 85±1 83±1 80±2 75±2
양성 대조 (0.1% 덱사메타손 크림) 3 70±2 88±2 85±3 79±1 74±1
실시예 2 3 68±1 87±2 85±2 80±2 78±1
비교예 2 3 67±2 75±2 79±1 78±2 76±1
실시예 5 3 71±2 88±2 84±1 83±3 81±1
실시예 8 3 68±2 88±1 86±2 80±1 79±2
실시예 10 3 69±1 87±1 85±2 81±2 80±1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아데노실코발라민 함유 제제는 수분 보유능을 나타내었으며, 비교예 2의 시아노코발라민 함유 제제에 비해 수분 보유능이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5의 피부가속제 함유제제는 실시예 2의 제제보다 수분 보유능이 우수하였고, 실시예 8 및 실시예 10의 복합제제는 실시예 2의 아데노실코발라민 단독 제제에 비해 우수한 수분 보유능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3: 아데노실코발라민의 독성 실험
아데노실코발라민 100 mg에 대한 반복 투여 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16시간 절식시킨 4 ~ 5주령 ICR 마우스(군당 5마리)를 실험 대상 동물로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0.5% 카르복시메틸셀룰로로스(CMC)에 녹인 아데노실코발라민 100 mg을 5일간 경구로 반복 투여한 결과, 폐사 개체가 없었으며, 장기 손상 등의 이상 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제제예 1: 연고제의 제조
아데노실 코발라민을 다음의 처방에 따른 조성 및 함량으로 외용 연고제로 제조하였으며,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처방(전량 100 g 기준): (a) 아데노실 코발라민(0.07 g); (b) 스테아르산(1 g), 모노스테아르산(10 g), 모노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4 g), 폴리옥시에틸렌세토스테아릴 에테르(20 ethylene oxide)(1.5 g), 폴리옥시에틸렌세토스테아릴 에테르(12 ethylene oxide)(1.2 g), 세타놀(3 g), 유동파라핀(10 g); (c) 1,3-부틸렌글리콜(10 g), 글리세린(6 g), 정제수(잔량).
제조방법: 유상(Oil Phase) 원료(조성 (b))를 정확히 칭량하여 유상보조 탱크에 넣고 75 ℃로 가열 용해하였다. 수상(Water Phase)의 원료(조성 (c))를 칭량하여 유화탱크에 주입한 후 75 ℃로 가열 용해한 후, 이어서 조성 (a)를 첨가하였다. 유화탱크에 유상원료를 진공감압 하에 주입한 후 유화기(Homogenizer) 3500 rpm, 페달믹서(Pedal Mixer) 100 rpm으로 교반하면서 약 25 ℃의 온도로 냉각하여 작업종료하고 숙성시켜 외용 연고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외용 액제의 제조
아데노실 코발라민을 다음의 처방에 따른 조성 및 함량으로 외용 액제로 제조하였으며,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처방(전량 100 g 기준): 아데노실 코발라민(0.1 g), 이소프로판올(0.5 g), 세타놀(0.5 g), 1,3-부틸렌글리콜(0.2 g),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나트륨(0.5 g), 정제수(잔량).
제조방법: 세타놀을 정확히 칭량하여 보조 탱크에 넣고 70 ℃의 온도로 가열 용해하였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나트륨, 1,3부틸렌글리콜 및 아데노실 코발라민을 증류수에 교반 습윤시킨 후 주 탱크에 주입하고 70 ℃의 온도로 가열 용해하였다. 보조 탱크의 액을 주 탱크에 서서히 첨가한 후 40 ℃의 온도로 냉각하고, 이소프로판올을 첨가하여 페달믹서(Pedal Mixer) 50 rpm으로 교반하면서 약 25 ℃의 온도로 냉각하여 작업종료하고 숙성시켜 외용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외용 현탁제의 제조
아데노실코발라민 및 메틸코발라민을 함유한 외용현탁제를 다음의 처방에 따른 조성 및 함량으로 제조하였으며,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처방(전량 100 g 기준): (a) 아데노실코발라민(0.1 g), 메틸코발라민(0.05 g); (b) 스테아르산(1.5 g), 세타놀(1 g), 백색바셀린(3 g), 스쿠알렌(3 g), 트리(카프릴산/카프론산)글리세린(1.5 g), 모노올레핀산솔비탄(1.7 g), 폴리에틸렌글리콜(4 g); (c)디프로필렌글리콜(4 g), 트리에탄올아민(0.5 g), 정제수(50 g); (d) 이소프로판올(8.5 g), 정제수(잔량).
제조방법: 조성 (c)의 원료를 정확히 칭량하여 주 탱크에 주입하고 70 ℃의 온도로 가열 용해하였다. 조성 (b)의 원료를 정확히 칭량하여 보조 탱크에 주입하고 70 ℃온도로 가열 용해하고 유화기(Homogenizer) 2000 rpm으로 교반하면서 보조 탱크의 액을 서서히 주입하였다. 이어서 (c)를 주 탱크에 주입하고 페달믹서(Pedal Mixer) 100 rpm으로 교반하면서 40 ℃의 온도로 냉각한 후, (d)를 첨가하고 페달믹서(Pedal Mixer) 50 rpm으로 교반하면서 25 ℃의 온도로 냉각하여 작업종료하고 숙성시켜 외용 현탁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첩부제(플라스타제)의 제조
아데노실코발라민 및 타크롤리무스 하이드레이트를 함유한 첩부제(플라스타제)를 다음의 처방에 따른 조성 및 함량으로 제조하였으며,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처방: (a) 아데노실코발라민(2.0 g), 타크롤리무스 하이드레이트(1 g); (b)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3 g), 유동파라핀(5 g), 폴리부덴(20 g), 1,3펜타디엔 공중합수지(25 g); (c) 산화티탄(2 g),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0.1 g), 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1 g), 산화아연(2 g); (d) 카올린(7 g); (e)고형 천연고무 라텍스(18 g), 고형 SBR 합성고무(15 g); (f) 폴리아크릴산나트륨(0.07 g), 정제수(1 g), 글리세린(0.5g).
제조방법: 조성 (b)의 원료를 정확히 칭량하여 주 탱크에 주입하고 115 ℃의 온도로 가열 용해한 후 90 ℃의 온도로 조정하고, 조성 (a)의 원료를 주입하여 70 ℃의 온도로 조정하였다. 조성 (c) 및 (d)의 원료를 보조 탱크에서 혼합한 후 주 탱크에 주입하였다. 또한, 조성 (f)의 원료를 주 탱크에 주입한 후 70 ℃의 온도에서 조성 (e)의 원료를 주입하여 연고체를 생성시켰다. 생성된 연고체를 부직포 또는 직포 등에 1 m2당 100 g으로 전연하고, 10cm x 14cm의 크기로 절단하여 첩부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5: 함수성 첩부제의 제조
아데노실코발라민 및 덱사메타손 프로피오네이트를 함유한 함수성 첩부제를 다음의 처방에 따른 조성 및 함량으로 제조하였으며,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처방: (a) 아데노실코발라민(1.0 g), 덱사메타손 프로피오네이트(0.4 g); (b) D-솔비톨(25 g), 정제수(10 g), 카올린(15 g), 산화티탄(1 g); (c) 젤라틴(1 g), 정제수(5 g); (d) 메타인산나트륨(0.2 g), 정제수(1 g); (e) 수산화알루미나마그네슘(0.2 g), 폴리아크릴산나트륨(6 g), 프로필렌글리콜(4 g), 아크릴산 전분(0.5 g), 피마자유(1 g), 모노올레핀산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0.5 g), 모노올레핀산 솔비탄(0.5 g); (f) D-솔비톨(15 g),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0.1 g); (g) 메타크릴산/아크릴산 n-부틸 공중합체(3 g); (h) D-솔비톨(5 g), 주석산(1.2 g).
제조방법: 조성 (b)의 원료를 정확히 칭량하여 주 탱크에 주입하고 40 ℃의 온도로 가열 용해하였다. 또한, 주 탱크의 조성물을 페달믹서(Pedal Mixer) 100 rpm으로 교반하면서 보조 탱크에서 조성 (d)의 원료를 40 ℃의 온도로 가열 용해한 것을 주입하고 조성 (c) 및 (g)를 순차적으로 주입하였다. 조성 (a) 및 (e)의 원료를 혼합한 후 탱크에 주입하고, 이어서 조성 (f)의 원료를 주입한 후, 조성 (h)의 원료를 소량씩 주입하여 연고체를 생성시켰다. 생성된 연고체 12 g을 10cm x 14cm의 부직포에 균일하게 도포하여 첩부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6: 화장수의 제조
아데노실코발라민을 다음의 처방에 따른 조성 및 함량으로 화장수로 제조하였으며,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처방(전량 100 g 기준): (a) 아데노실코발라민(0.2 g); (b)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나트륨(0.5 g), 폴리에틸렌글리콜(6 g), 프로필렌글리콜(4 g); (c)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인세틸 에테르(1 g), 호호바오일(0.5 g); (d) 향료(적량), 에탄올(10 g); (e) 정제수(잔량).
제조방법: 조성 (e) 및 (b)의 원료를 정확히 칭량하여 혼합한 후, 주 탱크에 주입하고 45 ℃의 온도로 가열 용해하였다. 또한, 주 탱크의 조성물을 페달믹서(Pedal Mixer) 100 rpm으로 교반하면서 조성 (a)의 원료를 주입하여 용해하고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조성 (d)의 원료를 보조탱크에 주입하고 조성 (c)의 원료를 추가로 주입하여 분산시킨 후, 주 탱크에 주입하고 페달 믹서(Pedal Mixer) 300 rpm으로 교반하면서 균일화하여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7: 로션제의 제조
아데노실코발라민을 다음의 처방에 따른 조성 및 함량으로 로션제로 제조하였으며,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처방(전량 100 g 기준): 아데노실코발라민(0.4 g), 글리세린(5 g), 이소프로판올(10 g), 세타놀(1 g), 폴리옥시에틸렌세토스테아릴 에테르(0.5 g), 트리에탄올아민(0.5 g), 스테아르산(3 g), 정제수(잔량).
제조방법: 세타놀, 폴리옥시에틸렌세토스테아릴 에테르 및 스테아르산을 정확히 칭량하여 주 탱크에 주입하고 유화기(Homogenizer) 2000 rpm으로 교반하면서 70 ℃의 온도로 가열 용해하였다. 또한, 트리에탄올아민, 증류수, 아데노실 코발라민 및 글리세린을 보조 탱크에 주입하고 페달믹서(Pedal mixer) 50 rpm으로 교반하면서 70 ℃의 온도로 가열 용해하였다. 보조 탱크의 조성물을 주 탱크에 서서히 주입하고 40 ℃의 온도로 냉각한 후 이소프로필알콜을 첨가하여 연속적으로 교반하면서 25 ℃의 온도로 급냉하고 숙성시켜 로션제를 제조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데노실코발라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 실험동물모델에서 부종 및 발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을 뿐만 아니라 피부가속제를 함유하여 유효성분의 피부흡수를 촉진할 수 있어 아토피 성 피부염 치료에 효과적인 피부 도포형 외용제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유효성분으로서 아데노실코발라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데노실코발라민은 0.01 ~ 7 중량%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으로 메틸코발라민, 하이드록시코발라민 및 시아노코발라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 외에 스테로이드제, 비타민제 또는 면역억제제를 함께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데노실코발라민은 인지질과 콜레스테롤로 구성된 리포솜에 봉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과 콜레스테롤의 구성비율은 3 ~ 5 : 1 의 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은 디아실 그룹의 탄소수가 3 ∼ 24인 포스포콜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은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PPC), 1,2-디스테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SPC), L-a-포스파티딜콜린(HSPC), 1-팔미토일-2-글루타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PGPC), 1,2-디라우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LPC), 1,2-디마이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MPC) 및 1,2-디올레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OPC)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제에 탄소수 8 ~ 16의 알킬그룹을 함유하는 계 면활성제를 유효성분 1 중량부에 대하여 50 ~ 500 중량부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라우릴에테르계 화합물 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릴에테르계 화합물은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브리지 30(Brij 30),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프로필렌글리콜모노라우레이트(Propyleneglycolmonolaurate), 모노라우린(Monolaurin), 모노스테아린(Monostearin), 모노올레인(Monoolein), 모노미리스틴(Monomyristin), 라우일 알콜(Lauryl alchol) 및 폴리옥시에틸렌 9 라우릴 에테르(Polyoxyethylene 9 lauryl ether)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화합물은 브리지 90(Brij 90), 플루로닉(Pluronic), 솔비탄 모노팔미테이트(Solbitan monopalmitate) 및 솔비탄 트리올레이트(Solbitan trioleate)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제는 수화 겔, 에멀전 크림, 리포솜 함유 수화 겔, 연고, 액제, 현탁제, 첩부제, 함수성 첩부제, 화장수 및 로션제로 제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질환이 아토피성 피부염, 습진 또는 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
KR1020050120648A 2005-12-09 2005-12-09 아데노실코발라민 함유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 조성물 KR100658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648A KR100658436B1 (ko) 2005-12-09 2005-12-09 아데노실코발라민 함유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 조성물
US11/996,574 US20090137523A1 (en) 2005-12-09 2006-10-18 Compositions for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Adenosyl Cobalamin for Improvement of Skin Diseases
RU2008104057/15A RU2379039C2 (ru) 2005-12-09 2006-10-18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наруж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содержащие аденозилкобаламин, для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кожи
CA2616449A CA2616449C (en) 2005-12-09 2006-10-18 Compositions for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adenosyl cobalamin for improvement of skin diseases
MX2008007462A MX2008007462A (es) 2005-12-09 2006-10-18 Composiciones para aplicaciones externas que contienen adenosil cobalamina para mejorar enfermedades de la piel.
CN200680031564.5A CN101252940B (zh) 2005-12-09 2006-10-18 用于改善皮肤疾病的包含腺苷钴胺素的外用组合物
BRPI0615635-5A BRPI0615635A2 (pt) 2005-12-09 2006-10-18 composição para aplicação externa para tratamento de doenças de pele
PCT/KR2006/004233 WO2007066889A1 (en) 2005-12-09 2006-10-18 Compositions for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adenosyl cobalamin for improvement of skin diseases
AU2006323567A AU2006323567B2 (en) 2005-12-09 2006-10-18 Compositions for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adenosyl cobalamin for improvement of skin diseases
EP06799307.1A EP1957087B1 (en) 2005-12-09 2006-10-18 Compositions for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adenosyl cobalami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MYPI20080139A MY143549A (en) 2005-12-09 2006-10-18 Compositions for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adenosyl cobalamin for improvement of skin diseases
JP2008541068A JP5134547B2 (ja) 2005-12-09 2006-10-18 アデノシルコバラミン含有の皮膚疾患改善用外用剤組成物
IL189001A IL189001A (en) 2005-12-09 2008-01-24 Compositions for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adenosyl cobalamin for improvement of skin diseases
ZA200800771A ZA200800771B (en) 2005-12-09 2008-01-25 Compositions for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adenosyl cobalamin for improvement of skin deseases
US13/016,682 US20110135714A1 (en) 2005-12-09 2011-01-28 Compositions for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adenosyl cobalamin for improvement of skin diseases
US13/679,029 US20130084329A1 (en) 2005-12-09 2012-11-16 Compositions for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adenosylcobalamin for improvement of skin diseases
US13/679,056 US20130071471A1 (en) 2005-12-09 2012-11-16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US14/600,253 US9655916B2 (en) 2005-12-09 2015-01-20 Compositions for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adenosylcobalamin for improvement of skin disea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648A KR100658436B1 (ko) 2005-12-09 2005-12-09 아데노실코발라민 함유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8436B1 true KR100658436B1 (ko) 2006-12-27

Family

ID=37814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0648A KR100658436B1 (ko) 2005-12-09 2005-12-09 아데노실코발라민 함유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20090137523A1 (ko)
EP (1) EP1957087B1 (ko)
JP (1) JP5134547B2 (ko)
KR (1) KR100658436B1 (ko)
CN (1) CN101252940B (ko)
AU (1) AU2006323567B2 (ko)
BR (1) BRPI0615635A2 (ko)
CA (1) CA2616449C (ko)
IL (1) IL189001A (ko)
MX (1) MX2008007462A (ko)
MY (1) MY143549A (ko)
RU (1) RU2379039C2 (ko)
WO (1) WO2007066889A1 (ko)
ZA (1) ZA20080077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5634A3 (en) * 2011-07-26 2013-04-04 Hanall Biopharma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5265B2 (en) 2007-03-15 2019-04-23 Drug Delivery Solutions Limited Topical composition
HU227970B1 (en) 2007-07-10 2012-07-30 Egis Gyogyszergyar Nyrt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ones of high volatility
DE102010023626A1 (de) * 2010-06-14 2011-12-15 Thomas Schütz Verwendung von Corrinoiden zur arzneilichen Anwendung bei Fell- und Hauterkrankungen bei Klein- und Groß-Tieren (warm- und kaltblütig), (z.B. bei Fischen, Vögeln, Pferden, Rindern, Kamelen, Hunden, Katzen, Reptilien)
DE102012014581A1 (de) * 2012-07-24 2014-01-30 Azoba Health Care Ag Vitaminzubereitung
US11154535B2 (en) 2012-07-31 2021-10-26 Egis Pharmaceuticals Plc Transdermal formulation containing COX inhibitors
US10045935B2 (en) 2012-07-31 2018-08-14 Egis Pharmaceuticals Plc Transdermal formulation containing COX inhibitors
EP2939650A1 (de) * 2014-04-29 2015-11-04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Pflaster zur Behandlung von Dermatitis
EA035087B1 (ru) * 2014-12-23 2020-04-27 Стивен Хоффман Лекарственные формы для трансдермального введения
JP6932180B2 (ja) * 2016-04-04 2021-09-08 エムシー2・セラピューティクス・リミテッドMC2 Therapeutics Limited タクロリムスを含む局所組成物
PL423135A1 (pl) * 2017-10-11 2019-04-23 Axxon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Preparat liposomowy zawierający witaminę B12 jako substancję aktywną zawierająca go kompozycja farmaceutyczna oraz sposób wytwarzania preparatu liposomowego
EP3542788A1 (en) 2018-03-19 2019-09-25 MC2 Therapeutics Limited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calcipotriol and betamethasone dipropionate
CN110664642A (zh) * 2019-10-24 2020-01-10 吉开平 一种消炎祛痘美妍霜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0585057B (zh) * 2019-10-24 2022-07-12 吉开平 一种抗炎清洁油脂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5294B1 (en) 1998-12-28 2001-07-03 Allergy Limited Cyanocobalamin (vitamin B12) treatment in allergic diseas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17821A (en) * 1985-10-10 1989-07-27 Biotech Australia Pty Ltd Oral delivery system; complex of active agent and vitamin b12 or analogue thereof
EP0256472A3 (en) * 1986-08-11 1988-09-07 Lion Corporation Cosmetic agent for application to skin
JPS63152309A (ja) * 1986-08-11 1988-06-24 Lion Corp 皮膚外用剤
GB9208339D0 (en) * 1992-04-15 1992-06-03 Unilever Plc Treatment composition
DE4319629A1 (de) * 1993-06-15 1994-12-22 Karsten Klingelhoeller Verwendung von Corrinoiden zur topischen Anwendung bei Hauterkrankungen
WO1998011900A2 (en) * 1996-09-18 1998-03-26 Sarill William J Compositions containing cobalamin and amino acids
EP1009383A1 (en) * 1997-09-04 2000-06-21 Biozone Laboratories, Inc. Oral liposomal delivery system
PE20001566A1 (es) * 1999-03-26 2001-02-05 Ucb Sa Piperazinas 1,4-sustituidas, piperidinas 1,4-sustituidas y 4-alquilidenilpiperidinas 1-sustituidas
JP2002234845A (ja) * 2001-02-09 2002-08-23 Naris Cosmetics Co Ltd 皮膚外用剤
US20020172710A1 (en) * 2001-05-16 2002-11-21 Twine Rebecca Wright Clinical use of liposome technology for the delivery of nutrients to patients with the short bowel syndrome
AU2002322275A1 (en) * 2001-06-20 2003-01-08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Adenosyl-cobalamin fortified compositions
US6696082B2 (en) * 2002-01-08 2004-02-24 Mccully Kilmer S. Enhanced liposomal thioretinaco ozonide compositions and liposomal carrier
US7368131B2 (en) * 2003-02-27 2008-05-06 Supernatural Health, Inc.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hypopigmentation of the hair and skin
US20080063699A1 (en) * 2003-10-15 2008-03-13 Michael Teifel Method of Administering Cationic Liposomes Comprising an Active Drug
WO2005094842A1 (en) * 2004-03-30 2005-10-13 Transition Therapeutics Inc. Vitamin b12-contai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5294B1 (en) 1998-12-28 2001-07-03 Allergy Limited Cyanocobalamin (vitamin B12) treatment in allergic disea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5634A3 (en) * 2011-07-26 2013-04-04 Hanall Biopharma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379039C2 (ru) 2010-01-20
IL189001A0 (en) 2008-08-07
US20090137523A1 (en) 2009-05-28
CA2616449A1 (en) 2007-06-14
EP1957087A4 (en) 2012-07-11
MY143549A (en) 2011-05-31
BRPI0615635A2 (pt) 2011-05-24
CA2616449C (en) 2010-12-07
JP2009516679A (ja) 2009-04-23
JP5134547B2 (ja) 2013-01-30
RU2008104057A (ru) 2009-09-20
CN101252940A (zh) 2008-08-27
CN101252940B (zh) 2014-03-19
MX2008007462A (es) 2008-09-11
ZA200800771B (en) 2008-12-31
EP1957087A1 (en) 2008-08-20
AU2006323567A1 (en) 2007-06-14
IL189001A (en) 2012-10-31
WO2007066889A1 (en) 2007-06-14
AU2006323567B2 (en) 2010-02-18
US20110135714A1 (en) 2011-06-09
EP1957087B1 (en)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8436B1 (ko) 아데노실코발라민 함유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 조성물
EP0317120B1 (en) Improved amphotericin b liposome preparation
Borelli et al. Tinea versicolor: epidemiologic, clinical, and therapeutic aspects
CN106580869A (zh) 硝酸异康唑脂质纳米粒乳膏及其制备方法
JPH11504313A (ja) 新規な医薬組成物
EP0535237A1 (en) Composition for relieving skin irritation and external preparation for percutaneous adminstration containing the same
CN108743534B (zh) 一种雷公藤红素或雷公藤红素衍生物囊泡及其制备方法
KR19980701958A (ko) 신규 제약 제형
KR101147600B1 (ko) 콜레칼시페롤 또는 이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 조성물
US11065206B2 (en) Topical formulations including lipid microcapsule delivery vehicles and their uses
CN113713000B (zh) 用于治疗疮痈、烧烫伤和痤疮的主药成分组合物、缓控释药物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040175417A1 (en) Amphotericin B liposome preparation
US9655916B2 (en) Compositions for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adenosylcobalamin for improvement of skin diseases
TWI815349B (zh) 山竹果殼萃取物用於製備促進糖尿病傷口癒合的藥物的用途
CN115554243B (zh) 一种治疗玫瑰痤疮的米诺环素泡沫剂
TWI788228B (zh) 山竹果殼萃取物用於製備治療褥瘡的藥物的用途
Griffith et al. Superficial mycoses: Therapeutic agents and clinical applications
Pasyk et al.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Pimaricin (Natamycin) preparations in the local treatment of mycotic infe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