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6241B1 - 고지혈증 및 혈소판 응집에 대해 억제작용을 갖는대두발효 추출물과 이를 이용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지혈증 및 혈소판 응집에 대해 억제작용을 갖는대두발효 추출물과 이를 이용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6241B1
KR100656241B1 KR1020040072604A KR20040072604A KR100656241B1 KR 100656241 B1 KR100656241 B1 KR 100656241B1 KR 1020040072604 A KR1020040072604 A KR 1020040072604A KR 20040072604 A KR20040072604 A KR 20040072604A KR 100656241 B1 KR100656241 B1 KR 100656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composition
cholesterol
soyb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2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3762A (ko
Inventor
설석환
박형환
권익부
Original Assignee
롯데제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제과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제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2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6241B1/ko
Publication of KR20060023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3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지혈증 및 혈소판 응집에 대해 억제작용을 갖는 대두발효 추출물과 이를 이용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실러스 속 씨케이 11-4 (Bacillus sp. CK 11-4)[KCCM 10042]를 대두에 접종하여 일정시간 발효시킨 후 상기 발효균을 제거하고 얻어진 대두발효 추출물이 고지혈증 및 혈소판응집 억제 작용을 가짐을 확인하고, 상기 대두발효 추출물을 주요 성분으로 하여 카카오 추출물, 산사자 추출물, 멜리사엽 추출물, 옥타코사놀 및 은행잎 추출물을 일정성분비로 가미한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각 성분이 가지는 특성이 더욱 증가된 고지혈증 및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이 강한 고지혈증 및 혈소판 응집에 대해 억제작용을 갖는 대두발효 추출물과 이를 이용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두발효 추출물, 카카오 추출물, 고지혈증, 혈소판 응집 억제

Description

고지혈증 및 혈소판 응집에 대해 억제작용을 갖는 대두발효 추출물과 이를 이용한 조성물{The extract of Korean fermented soybean with inhibitory effect on hyperlipemia and platelet aggregation, and their composition}
도 1은 본 발명의 대두발효 추출물의 분말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식이에 적용한 마우스의 혈소판 응집능의 차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혈전용해 효소를 함유하는 대두발효 추출물이 포함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실러스 속 씨케이 11-4 (Bacillus sp. CK 11-4)[KCCM 10042]를 대두에 접종하여 일정시간 발효시킨 후 상기 발효균을 제거하고 얻어진 대두발효 추출물을 주요 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카카오 추출물, 산사자 추출물, 멜리사엽 추출물, 옥타코사놀 및 은행잎 추출물을 특이성 있는 함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각 성분 자체의 혈전용해능 보다 강한 혈전용해능을 나타내어 탁월한 콜레스테롤 저하, 항동맥경화 및 혈소판 응 고 억제 효능을 나타내는 대두발효 추출물이 포함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 성장과 함께 국민소득의 향상으로 우리나라 식생활 양상 및 질병 발생 유형, 사망원인 등이 많이 달라지고 있는데 이에 따라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심근경색증 등 순환기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질환들은 식생활 패턴이 점점 서구화되고 외식의 기회가 잦아짐에 따라 지방 함량이 높고, 채소나 과일 같은 식이섬유 함량이 높은 식품보다는 식이섬유 함량이 적은 가공식품의 섭취가 증가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유전적인 인자, 음주, 고혈압, 당뇨, 비만, 운동부족 및 과도한 스트레스 등도 역시 순환기계 질환 비율을 높이는 요소에 해당한다.
순환기계 질환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동맥경화를 들 수 있으며, 이는 비정상적인 지질대사 및 혈소판 응집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고, 동맥벽 내부에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인지질(phospholipid) 등의 지방성(fatty) 성분들이 단백질 또는 사멸 세포들과 함께 혈반(plaque)을 축적함으로써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동맥경화를 유발하는 1차적인 위험요인으로는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의 상승, 특히 저밀도지단백(low density lipoprotein: LDL)-콜레스테롤의 증가와 고밀도지단백(high density lipoprotein: HDL)-콜레스테롤의 감소, 고혈압, 흡연 등이 있으며, 비만, 당뇨, 성별, 연령 및 성격 등은 2차적인 위험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한편, 지질과잉혈증이라고도 하는 고지혈증은 혈장 중에 지질의 농도가 높아 진 상태에 대한 일반용어로서 과지단백혈증(hyperlipoproteinemia), 과콜레스테롤혈증(hypercholesterolemia) 등이 모두 포함된다. 즉,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cholesterolester), 인지질,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증가된 상태를 의미한다. 혈장 내의 지방은 주로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인단백질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아포단백질(apoprotein)과 함께 결합하여 지단백질(lipoprotein)의 형태로 운반된다. 혈장내 지단백질의 수치가 정상범위보다 높은 상태가 되면 관상동맥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췌장염, 황색종, 신경질환 등을 야기할 수 있고, 특히 관상동맥죽상경화증(coronary artherosclerosis)을 발생시켜 허혈성심장질환(ischemic heart disease)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고지혈과 관련한 질환은 성인병 발생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데, 우리 나라 성인병 발병률이 해가 거듭함에 따라 증가되는 추세가 이를 대변해준다. 현재 우리나라 국민 평균 지방 섭취량은 총 열량의 15 % 정도이나 일부 계층의 지방 섭취가 급격히 증가되고 있고, 2000 년대의 예상 지방 섭취량은 총 열량의 25 % 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또한, 고지혈과 관련한 질병은 많은 합병증을 야기하여 심각한 건강상의 위협을 가져다주지만 근본적인 예방대책이 없는 상황에서 국민건강의 커다란 장애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미래의 시대에서 고지혈과 관련한 질환은 우리나라 국민 건강의 가장 큰 위협요소로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0 ∼ 30 년간 우리나라의 경우 급속한 경제 성장과 함께 식생활의 변 화, 환경오염, 과도한 스트레스 등으로 질병의 발생율 및 사망원인도 크게 달라지고 있다. 심근경색이나 뇌졸중으로 대표되는 심혈관계 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악성종양보다도 높은 제 1위를 나타내고 있다.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심근경색증 및 뇌혈전증 등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원인으로는 식생활 양상의 변화에 따라 높은 지방 함량과 식이섬유 함량이 적은 가공식품의 섭취, 유전적인 인자, 흡연, 음주, 고혈압, 당뇨, 비만, 운동부족, 과도한 스트레스 등이 관여한다고 널리 보고되고 있다.
생체 내에서 혈액은 응고와 용해작용이 항상 평형을 이루고 있어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출혈이나 혈전 등에 의해 흐름이 방해받지 않는다. 그러나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이러한 평형상태가 깨지면 혈관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여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한다. 심혈관계질환 중 가장 대표적인 경우가 동맥경화증인데, 심장이나 뇌 등 중요 장기에 허혈성 상태를 초래하여 심근경색이나 뇌경색을 일으키는 매우 위험한 질환이다.
동맥경화증의 발생에 관한 기초연구는 분자생물학적 관점에서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동맥경화증 발생 시 제일 먼저 무슨 원인(예를 들어, 저밀도지단백질 등)이던지 혈관내막의 손상과 기능저하가 일어나고, 혈관내막세포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손상되면 세포부착물질(cell adhesion molecule)이 높게 발현되어 단핵구(monocyte), T-림프구(lymphocyte), 혈소판 등이 혈관벽에 부착하게 되고, 이들이 혈관내막세포 사이를 통하여 혈관벽 속으로 침윤하게 된다. 이때 혈액 속의 지단백질도 함께 침윤하게 된다. 혈관벽 속으로 침윤된 단핵구들은 지단백질을 탐식하여 대식세포(macrophage)로 변형되고, 혈관벽의 평활근 세포의 증식 및 활성화가 일어나 결체조직(extra cellular matrix)을 생성하며, 여기에 지방이 더욱 축적되어 동맥경화증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러한 반응은 20 세 이후 성인에게서 20 년 이상 진행되는 만성적인 반응으로 결국에는 동맥혈관을 협착(stenosis)시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동맥경화가 발생하면 혈관은 기능이 약화되고 유연성도 감소하여 약한 자극에도 쉽게 파열(rupture)될 수 있으며, 이때 혈관 내벽의 콜라겐(collagen)이 노출되면 혈액 중의 혈소판이 점착, 활성화, 응집되고 혈액응고계를 활성화하여 급속한 혈전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심근경색에 의한 돌연사의 경우에 흔히 관찰되며, 사망한 환자의 관상동맥을 현미경 상에서 조사하면 동맥경화에 의한 혈관의 협착과 혈관을 완전히 폐쇄한 혈전을 볼 수 있다. 그 결과 심장에 혈액공급을 순간적으로 막게되므로 허혈성 상태를 지나 조직의 괴사가 발생한다. 따라서, 심혈관계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혈중 콜레스테롤의 저하, 혈소판 활성 및 혈액응고 활성의 억제, 혈관평활근 세포의 증식억제 등이 요구된다.
현재 임상에서는 심혈관계 질환을 나타내는 환자의 경우, 스타틴 계열의 콜레스테롤 저하제, 쿠마딘(coumardin) 등의 항응고제, 아스피린 등의 항혈소판제를 장기 복용하도록 처방하여 혈관협착을 억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약제들의 투여는 어디까지나 이미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2 차 예방을 위한 처방이며, 세계적으로도 근원적으로 예방을 위한 1차 예방제는 개발되지 못한 상황이다.
혈관계 질환의 높은 발생율과 사망률 때문에 의학적으로 많은 관심과 함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혈전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는 혈전용해제, 항혈소판제, 항응고제 등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유로키나제나 t-PA와 같은 혈전용해제는 이미 형성된 혈전을 용해시켜 혈액의 흐름을 돕는 효과적인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항혈소판제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스피린은 혈소판 형성 억제 효능은 우수하지만 위장장애와 같은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고, 항응고제인 쿠마딘은 너무 강한 활성 때문에 출혈의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는 등 모두 장기적인 1 차 예방제로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고지혈증의 치료에 사용되는 스타틴 계열의 약제는 혈중 저밀도지단백질의 함량을 낮추는데 아주 좋은 효과를 보이고 있으나, 가격이 너무 고가인 문제가 있다.
즉, 대부분의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약제는 심각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고, 약제의 섭취를 상당시간 지속해야만 하는 문제점들이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개개인의 주된 식습관을 변화시키지 않고, 약제 섭취에 대한 부작용을 배제하는 효과적인 식이 요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한 약제 사용에 의한 고지혈 관련 질환의 치료를 위한 노력과 병행하여, 약제를 사용하지 않고 질환을 치료하고자 하는 많은 노력이 있었는데, 대부분의 연구들이 적은 포화지방산 섭취와 적은 콜레스테롤 섭취를 통한 치료적 효과를 기대하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식이를 통한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는 매우 적었는데, 이는 콜레스테롤 섭취의 감소로 인하여 내인성 콜레스테롤이 과다하게 생성되어 실제적으로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는 미비함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증가와 식생활과의 연관성이 높다는 가정 하에 일상적으로 섭취하고 있는 식품의 항혈전 및 항동맥경화 활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들이 다양하게 수행되고 있다. 예를들어, 프랑스의 적색포도주와 심혈관 질환의 상관관계, 에스키모인들의 동맥경화와 EPA(Eicosapentaenoic acid), DHA(Docosahexaenoic acid)의 상관관계, 일본의 전통발효식품인 납두와 혈전과의 상관관계, 녹차의 항혈전과 혈중 콜레스테롤 강하작용 및 항암효과, 우리나라에서도 청국장, 된장, 젓갈 및 김치 등과 혈전과의 관계규명 연구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노력은 인체에 안전한 식품소재로부터 심혈관계 질환과 관련한 유효성분들을 밝히고 섭취케 함으로써 이들 질환에 대한 1차 예방 및 치료효과를 기대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미 대두와 혼합 발효 시에 강한 혈전용해능을 가지는 효소를 다량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진 공지 균주[Bacillus sp. CK 11-4 (KCCM 10042)]를 사용하여 대두를 발효시킨 후 그 대두발효 추출물을 주요 성분으로 포함하고, 여기에 혈전용해능이 우수한 식물추출물로서 카카오 추출물, 산사자 추출물, 멜리사엽 추출물, 옥타코사놀 및 은행잎 추출물 등이 일정한 함량비로 구성된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상기 조성성분을 개별적으로 사용 시에 발현하는 혈전용해능 보다 더욱 강한 혈전용해능을 나타냄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약제로서 섭취하지 않고, 식생활의 내용을 변경하 지 않은 채로 식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혈전용해 효소를 함유하는 대두발효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식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대두를 바실러스 속 씨케이 11-4 [Bacillus sp. CK 11-4 (KCCM 10042)] 균주로 발효시켜 얻은 고지혈증 및 혈소판 응집에 대해 억제작용을 갖는 대두발효 추출물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대두발효 추출물의 분말 8.0 ∼ 80.0 중량%, 카카오 추출물의 분말 7.0 ∼ 35.0 중량%, 산사자 추출물의 분말 5.0 ∼ 22.0 중량%, 멜리사엽 추출물의 분말 0.7 ∼ 5.0 중량%, 옥타코사놀 0.4 ∼ 3.0 중량% 및 은행잎 추출물의 분말 0.4 ∼ 3.0 중량%가 유효성분으로 포함되어 있고, 전체 조성물의 합량이 100 중량%가 되도록 하는 양의 첨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지혈증 및 혈소판 응집에 대해 억제작용을 갖는 조성물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을 식품에 첨가하거나,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제조시, 부형제로는 연질 갑셀의 경우 감마리놀렌산, 야자경화유, 밀납, 레시틴, 정제어유 등을 사용하며, 경질 캅셀의 경우 락토스 분말, 옥수수전분, 스테아린산 Mg, 결정셀롤로오스 등을 사용하며, 정제의 경우는 락토스 분말, 결정셀룰로오스,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등을 사용한다. 발효유의 경우 감미료로 DHA, EPA, 정제어유 등을 사용하며, 음료에는 젖산철 및 각 종 비타민 및 향료 등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및 건강식품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혈전용해능이 우수한 효소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진 균주인 바실러스 속 씨케이 11-4 [Bacillus sp. CK 11-4 (KCCM 10042)]를 대두에 접종하여 일전시간 발효시킨 다음 상기 발효균을 제거하고 얻어진 대두발효 추출물을 건조 및 분쇄하여 제조한 대두발효 추출물을 주요 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카카오 추출물, 산사자 추출물, 멜리사엽 추출물, 옥타코사놀 및 은행잎 추출물을 특이성 있는 함량비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각 성분 자체의 혈전용해능 보다 강한 혈전용해능을 나타내어 탁월한 콜레스테롤 저하, 항동맥경화 및 혈소판 응고 억제 효능을 나타내는 대두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을 개별적으로 자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실러스 속 씨케이 11-4 [Bacillus sp. CK 11-4 (KCCM 10042)]는 우리나라의 전통 발효식품인 청국장으로부터 분리된 균주로서, 혈전용해능이 우수한 효소를 생성해내는 균주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균주를 대두에 접종한 다음 일정기간동안 배양시키며 혈전용해능이 우수한 효소가 생성되도록 하고, 충분한 발효가 일어난 후 막여과에 의하여 상기 발효 균주를 제거하여 대두발효 추출물을 얻을 수 있었다. 상기 대두발효 추출물을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한 후 마쇄한 분말은 상기 균주가 생성한 혈전용해능이 우수한 효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대두발효 추출물의 분말은 그 자체로서도 우수한 혈전용해능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대두발효 추출물의 분말을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8.0 ∼ 80.0 중량% 사용하는데, 이때 사용량이 8.0 중량% 미만이면 혈전용해능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고, 80.0 중량% 를 초과하더라도 혈전용해능의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카카오 추출물의 분말을 사용한다. 카카오의 종자에는 알칼로이드로서 테오브로민(theobromin)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중추신경 흥분작용, 골격근 및 심근의 흥분작용, 평활근 및 관상동맥의 이완효과, 위산분비 항진 및 이뇨효과 등의 약리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이다. 본 발명에서는 카카오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카카오 콩껍질의 발효물의 제조방법[대한민국등록특허 제0353886호]'에 따라 제조하여 분말화하여 사용하는데, 이는 상기 대두발효 추출물의 분말과 함께 본 발명의 혈전용해능이 우수한 조성물의 주요한 구성성분이다. 이와 같은 카카오 추출물의 분말은 본 발명의 혈전용해능이 우수한 조성물에 7.0 ∼ 35.0 중량% 사용하며, 이때 사용량이 7.0 중량% 미만이면 조성물에 대한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35.0 중량% 를 초과면 추가적인 시너지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산사자는 장미과 식물인 산사(Crataegus pinnatifida Bge.)의 과실로서, 위(胃)의 소화액 분비를 촉진시켜서 지방 함량이 높은 음식이 소화를 돕는 건위작용이 있으며, 심근의 수축력과 수출량을 증가시키고, 심장 박동수를 완만하게 낮추며, 관상혈관을 확장시키며, 간맥류량을 증가시키고, 혈압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혈중 지질의 함량을 저하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산사자를 잘게 분쇄한 후, 물(H2O), 에탄올(EtOH) 등의 수용액에 넣고 30 ∼ 70 ℃에서 2 ∼ 3회 용매추출한다. 이때 수용액의 사용량은 산사자 부피의 3 ∼ 5배 정도가 적당하다. 상기에서 분리된 추출액을 30 ∼ 70 ℃의 조건하에서 증발농축한 후, 가열 또는 동결건조하여 추출액을 분말화 한 다음 조성물에 첨가하는데, 사용량은 5.0 ∼ 22.0 중량%이다. 이때 산사자 추출물 분말의 사용량이 5.0 중량% 미만이면 조성물에 대한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22.0 중량% 를 초과하면 추가적인 시너지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멜리사(Melissa officinalis)는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다년생초본(多年生草本)으로, 비혈초 또는 레몬밤(Lemon Balm)이라는 별칭을 갖는다. 멜리사엽을 분쇄한 후, 물(H2O), 에탄올(EtOH) 등의 수용액에 넣고 30 ∼ 70 ℃에서 2 ∼ 3회 용매추출한다. 이때 수용액의 사용량은 멜리사엽 부피의 3 ∼ 5배 정도가 적당하다. 상기에서 분리된 추출액을 30 ∼ 70 ℃의 조건하에서 증발농축한 후, 가열 또는 동결건조하여 추출액을 분말화 한 다음 조성물에 첨가하는데, 이 추출물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와 테르펜산(terpene acid), 휘발성 오일(volatile oil), 알코올 및 페놀 화합물 등의 배당체 및 카페산 유도체를 함유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멜리사에 함유되어 있는 비휘발성 성분의 하나인 로즈마린산(rosmarine acid)은 그 함량이 클뿐만 아니라 소염해열(消炎解熱)의 작용도 강하며, 잎에 포함되어 있는 정유(essential oil)는 약효가 풍부하고, 특히 우울증, 신경성 두통, 기억력 저하, 신경통, 발열 등이 질병의 치료제로서 널리 쓰여왔으며, 그 외에도 진정작용, 항균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항산화작용 및 항호르몬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서 혈액순환 개선제 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멜리사엽을 상기의 추출방법으로 가공한 추출물을 분말화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에 0.7 ∼ 5.0 중량% 사용하며, 이때 사용량이 0.7 중량% 미만이면 조성물에 대한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5.0 중량% 를 초과하면 추가적인 시너지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옥타코사놀(Octacosanol)은 미강(米糠)이나, 알팔파, 사과, 포도의 껍질, 사탕수수, 귤, 소맥배아 등의 식물에서 극미량 발견되는 천연의 포화 고급지방족 알코올의 일종으로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한 미백색 결정상태의 물질이다. 이와 같은 옥타코사놀은 지구력과 체력을 향상시켜주는 생리활성물질로서, 체내 콜레스테롤 저하, 체내 중성지질 조절, 혈전증 예방과 심장기능 강화 등에 의한 성인병 예방 및 개선의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옥타코사놀을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0.4 ∼ 3.0 중량% 포함하며, 이때 사용량이 0.4 중량% 미만이면 조성물에 대한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3.0 중량%를 초과하면 추가적인 시너지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은행잎(白果葉) 추출물은 일반적으로 플라본글리코시드를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작용과 세포보호작용을 나타냄이 보고되어 있으며, 혈소판응집 억제작용, 혈관 확장작용 및 아드레날린에 의한 혈관수축을 억제하는 혈관이완작용 등 심혈관계에 다양한 작용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뇌혈류량을 증가시켜 뇌의 영양상태를 개선하며, 일정수준으로 혈압을 내리는 작용 및 항균작용을 나타내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은행잎을 산사자를 잘게 분쇄한 후, 물(H2O), 에탄올(EtOH) 등의 수용액에 넣고 30 ∼ 70 ℃에서 2 ∼ 3회 용매추출한다. 이때 수용액의 사용량은 은행잎 부피의 3 ∼ 5배 정도가 적당하다. 상기에서 분리된 추출액을 30 ∼ 70 ℃의 조건하에서 증발농축한 후, 가열 또는 동결건조하여 추출액을 분말화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에 0.4 ∼ 3.0 중량% 사용하는데, 이때 그 사용량이 0.4 중량% 미만이면 조성물에 대한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3.0 중량% 를 초과하면 추가적인 시너지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은 그 자체로서도 우수한 혈전용해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체내의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함량을 적당한 수준으로 조절하는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우수한 혈전용해능을 가지는 성분의 함량을 특이성 있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각 성분이 가지는 혈전용해능, 체내 콜레스테롤 저하, 항동맥경화 및 혈소판 응고 억제 효능을 보다 증진하여 발현하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혈전용해능이 우수한 조성물은 다양한 방법으로 식품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혈전용해능이 우수한 조성물은 식품에 적용할 경우 보다 바람직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일반 식품으로는 음료, 발효유, 껌 및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정제, 캅셀, 과립제, 환제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 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혈전용해효소를 포함하는 대두발효 추출물의 제조(G군)
대두발효균인 바실러스 속 씨케이 11-4 (Bacillus sp. CK 11-4)[KCCM 10042]를 대두와 암모늄염을 20 :1 중량비로 포함하는 혼합물에 접종하여 25 ∼ 45 ℃를 유지하는 50 ∼ 100 ℓ 발효조에서 2 ∼ 4 일간 배양한 다음 0.2 ∼ 0.25 ㎛의 필터(filter)를 통과시켜 대두발효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대두발효 추출물을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고 마쇄하여 분말화하였다.
실시예 2 : 혈전용해능이 우수한 조성물의 제조(L군)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대두발효 추출물의 분말 58.0 중량%, 카카오 추출물의 분말 23.0 중량%, 산사자 추출물의 분말 15.0 중량%, 멜리사엽 추출물의 분말 3.0 중량%, 옥타코사놀 0.5 중량%, 은행잎 추출물의 분말 0.5 중량% 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하의 실험예에는 상기 실시 예1에서 제조한 대두발효 추출물과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동물(쥐)실험을 행하였다.
실험예 1 : 고지혈증 유발 모델을 이용한 동물실험
실험동물은 생후 3 주령의 흰쥐[Sprague Dawley male, 약 70 g, (주) 대한바이오링크]를 사용하였다. 각 실험동물은 5 일동안 시판사료(상품명:실험동물 쥐 사료용 5057, 제조사명: 퓨리나코리아)를 급여하여 환경에 적응시킨 후 정상군 8마리, 고지혈군(비처리군 및 처리군)군 10마리로 분류하였다.
정상군은 상기한 분말상의 시판사료를 급여하였으며 비처리군 및 처리군은 고지혈 식이를 급여하였는데, 비처리군은 상기 고지혈 식이만을 급여하고, 처리군에는 대두발효추출물군에서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대두발효 추출물 분말을 경구투여하였으며, 조성물군에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경구투여하면서 7주 동안 사육하였다.
사육환경으로서 온도는 22 ± 2.0 ℃, 습도 55 ± 5.0 %를 유지하였고, 조명주기는 12 시간으로 조절하였다. 식이는 매일 오전 10 ∼ 11 시 사이에 물과 함께 공급하였고, 각 군의 식이 조성은 다음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식이량은 식이를 공급할 때마다 측정하였다.
실험동물은 희생시키기 전 12시간 절식시킨 후 디에틸에테르로 마취시켜 혈액 및 조직, 분변 시료를 채취하였다.
실험 개시일을 0 일로 하여 1주마다 동물의 체중 변화상태를 측정하였으며, 체중 측정은 측정전 12 시간 절식 후 수행하였다. 전 실험 기간 동안의 사료섭취량과 체중 증가량으로부터 사료 효율[feed efficiency ratio, 체중증가량(g)/ 사료섭취량(g)]을 구하였다.
구분 (중량%) 대조군 처리군
대두발효추출물군 조성물군
수크로스 65 65 65
카제인 15 15 15
라드 8 8 8
옥수수유 2 2 2
콜레스테롤 1 1 1
비타민 혼합물 1 1 1
미네랄 혼합물 3.5 3.5 3.5
비 영양성 섬유 4.45 4.45 4.45
염화 콜린 0.05 0.05 0.05
합계 100.0 100.0 100.0
처리(경구투여량) 25 mg/kg1) 55 mg/kg2)
1)동물 체중 1 ㎏ 당 실시예 1 에 따라 제조된 대두발효 추출물의 분말 25 ㎎ 2)동물 체중 1 ㎏ 당 실시예 2 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 55 ㎎
원심 분리하여 얻어진 혈청 중의 총 중성지방은 부콜로(Bocolo)방법에 준한 효소 키트(아산제약 제품)를 사용하여 550 ㎚에서 흡광도의 변화로 측정하였으며, 혈중 충 콜레스테롤은 효소법에 의한 키트(아산제약 제품)를 사용하여 50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비생정량하였다. HDL-콜레스테롤은 혈청내 HDL-콜레스테롤을 제외한 콜레스테롤을 침전시켜 제거한 후 상층액을 검체로 하여 혈중 총콜레스테롤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LDL-콜레스테롤은 분리시액으로 혈청내 LDL-콜레스테롤만을 침전시켜 역시 총콜레스테롤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혈중 유리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및 혈중 인지질의 측정은 효소 키트(아산제약 제품)를 사용하여 비색정량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식이 급여 후 7주 동안 측정된 사료 섭취량, 체중 증가량 및 식이 효율은 다음 표 2와 같다.
사료 섭취량 (g/7주) 체중 증가량 (g/7주) 식이효율
정상군 490.3 ± 41.3 193.8 ± 3.9 0.401 ± 0.056
비처리군 337.8 ± 33.1 126.9 ±13.7 0.376 ± 0.039
처리군 (대두발효추출물군) 325.1 ± 31.5 124.0 ±13.8 0.381 ± 0.043
처리군 (조성물군) 278.8 ±26.7 140.1 ±8.21 0.507 ± 0.063
식이효율 = 7주 동안의 체중 증가량 / 7주 동안의 사료섭취량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이효율을 측정한 결과 정상군보다 비처리군 및 대두발효추출물군이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이는 콜레스테롤이 합성 식이에 혼합된 결과로 보여지며, 조성물군에서의 식이 효율이 상당히 정상군보다 좋게 나타났다.
혈장내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및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등 각종 생화학 항목들을 상업용 지질 분석 키트(아산제약 제품)로 측정한 것을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 대조군 비처리군 처리군
대두발효추출물군 조성물군
총콜레스테롤 73.0 ±1.6 212.6±22.4 190.4±11.7 165.1±16.1
HDL-콜레스테롤 53.2 ±1.1 22.4±2.7 27.9±2.3 32.6±4.0
LDL-콜레스테롤 12.0 ±0.5 67.1±6.4 61±5.8 47±6.3
HDL/LDL 비 4.46 ±0.2 0.4±0.1 0.5±0.1 0.79±0.1
콜레스테롤에스테르 69.0 ±1.3 195.9±20.0 175.3±10.1 153±14.0
유리콜레스테롤 4.0 ±0.3 16.7±2.5 15.1±1.7 12.1±1.9
동맥경화지수 0.37±0.05 9.8±1.8 6.3 ±0.9 4.68±1.1
상기 수치는 평균±표준편차를 나타낸 것이다 동맥경화지수 = (총콜레스테롤 - HDL-콜레스테롤) / HDL-콜레스테롤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액의 총 콜레스테롤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보다 비처리군이 2.9 배 증가한 수치를 나타내 적절한 고지혈 유도가 이루어진 것 으로 관찰되었다. 여기에,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대두발효 추출물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수치가 별 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에선 미비한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조성물군은 23.7 % 정도의 콜레스테롤 수치 저하 효과가 관찰되어 각 조성물을 조합하여 사용할 경우 콜레스테롤 저하에 보다 강한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혈장의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그 수치가 높을수록 바람직한 혈액 조성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보다 비처리군에 있어서 수치가 약 57 % 정도 감소된 것으로 나타나, 비처리군의 경우 고지혈 동물의 특성을 잘 보여주었다. 대두발효 추출물군은 상기한 총콜레스테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다지 개선된 효과를 보여주지 못하였으나, 조성물군은 비처리군보다 혈장 HDL-콜레스테롤 농도가 1.45 배 증가한 결과를 얻어 고지혈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혈장의 HDL-콜레스테롤 농도에 대한 변화는 대조군보다 비처리군에서 약 5.6 배 증가한 농도변화를 나타내 역시 고지혈 동물의 특징으로 잘 나타냈고, 먼저 나타난 총콜레스테롤 및 HDL-콜레스테롤과 마찬가지로 대두발효추출물군보다는 조성물군에서 농도의 저하가 크게 관찰되어 고지혈 증상의 개선의 측면에서 우수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LDL-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의 비를 산출한 결과, 대조군과 비처리군의 차는 10 배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 적절한 고지혈 유도가 일어난 것으로 확인되었고, 대두발효추출물군 보다는 조성물군에서 고지혈 개선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난 것으로 관찰되었다.
동맥경화지수는 총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의 상관관계로 지수가 높으면 동맥경화에 걸릴 확률이 큰 것으로 통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경우 7 주간 고지혈 동물실험에서 동맥경화지수는 대조군보다 비처리군에서 약 26 배 증가한 수치를 나타내 고지혈 동물과 동맥경화 지수 증가의 양적인 관계를 잘 보여주었고, 역시 대두발효추출물군 보다는 조성물군에서 현저한 동맥경화지수의 저하를 보여주어 고지혈 개선에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유리 콜레스테롤과 콜레스테롤 에스테르의 농도변화를 살펴본 결과 대조군보다는 비처리군에서 농도의 증가가 관찰되어 고지혈 동물의 특징이 확인되었고, 역시 앞선 실험 항목과 마찬가지로 대두발효추출물군 보다는 조성물군에서 수치 저하 효과가 크게 나타나 고지혈 개선에 유효성이 있다는 것이 다시 확인되었다.
상기한 결과에서 볼 때, 대조군보다 비처리군은 총콜레스테롤 수치가 약 2.9 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고콜레스테롤 유도가 올바르게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맥경화지수 역시 대조군보다 비처리군의 경우 약 26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혈관의 동맥경화 가능성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대두발효추출물군에서는 총콜레스테롤 수치에서 비처리군보다 현저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은 반면, 조성물군에서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맥경화 지수 측면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고콜레스테롤을 유도한 동물 모델에서는 대두발효추출물군의 고콜레스테롤 억제 효과는 현저하지 않지만 어느 정도 콜레스테롤 증가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조성물군의 경우는 혈액내 콜레스테롤 구성의 측면에서 월등한 개선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혈소판 응집 개선 모델을 이용한 동물실험
실험동물은 200 g 정도의 흰쥐[Sprague Dawley male, (주)대한바이오링크] 를 사용하였으며, 각 실험동물은 5일 동안 시판 사료(상품명:실험동물 쥐 사료용 5057, 제조사명: 퓨리나코리아)를 급여하여 환경에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4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상기 흰쥐 10 마리에게 상기한 일반 고형사료를 곱게 간 정상식이를 급여하며 이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다른 마우스 10 마리에게는 상기 정상식이에 아스피린을 경구투여하였으며(양성대조군), 다른 마우스 10마리에게는 상기 정상식이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대두발효 추출물 분말을 경구투여하였고(대두발효추출물군), 나머지 10 마리에게는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경구투여하여(조성물군) 2 주간 실험을 수행하였다. 사육환경으로서 온도 22 ± 2.0 ℃, 습도 55 ± 5.0 %를 유지하였고, 조명주기는 12 시간으로 조절하였으며, 식이는 매일 오전 10 ∼ 11 시사이에 물과 함께 공급하였고, 식이량은 식이를 공급할 때마다 측정하였다. 각 4 군의 식이 조성은 다음 표 4와 같다.
구분(중량%) 대조군 양성대조군 (아스피린군) 대두발효추출물군 조성물군
옥수수 14 14 14 14
알팔파 2 2 2 2
소액피 15 15 15 15
밀가루 30 30 30 30
대두박 25 25 25 25
대용유 2 2 2 2
옥글루텐밀 2 2 2 2
어분 4.41 4.41 4.41 4.41
인산칼슘 1.91 1.91 1.91 1.91
소금 0.5 0.5 0.5 0.5
비타민제 0.495 0.495 0.495 0.495
미네랄제 0.704 0.704 0.704 0.704
아미노산제 0.181 0.181 0.181 0.181
1.8 1.8 1.8 1.8
합계 100 100 100 100
처리(경구투여량) 100 mg/kg1) 25 mg/kg2) 55 mg/kg3)
1)동물 체중 1 ㎏ 당 100 ㎎ 2)동물 체중 1 ㎏ 당 실시예 1 에 따라 제조된 대두발효 추출물의 분말 25 ㎎ 3)동물 체중 1 ㎏ 당 실시예 2 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 55 ㎎
실험동물은 희생시키기 전 12 시간동안 절식시킨 후 디에틸에테르로 마취시켜 복부대동맥으로 부터 신선한 혈액을 채취하여 전혈 혈소판 응집능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항응고제로는 시트르산 염(sodium citrate)을 사용하였다. 전혈을 채취하고 남은 혈액은 4,500 rpm에서 10 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얻었으며, 이는 나머지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혈소판 응집 활성은 혈소판 응집계(platelet aggegometer, Chrono-log Co.,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는데, 전혈을 이용한 전기전도도 측정방법(impedance method)을 적용하였다. 총 40 마리 실험동물의 복부대동맥으로부터 조심스럽게 신선한 혈액을 채취하여 콜라겐으로 유도된 혈소판 응집 테스트(collagen-induced platelet aggegation test)를 수행하였다.
혈소판 응집 활성은 실리콘 코팅된 큐벳(silicon-coatted coagulated cuvett)을 미리 예열시켜 생리식염수 0.45 ㎖ 를 교반 막대(stirrer bar)와 함께 잘 섞은 후 37 ℃에서 3 분간 가온시켰다. 여기에 콜라겐(1 ㎎/ ㎖)를 첨가한 후 혈소판 응집계를 이용한 전기유도법(impedance)으로 혈소판 응집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5에 나타내었다.
대조군 아스피린군 대두발효추출물군 조성물군
혈소판 응집능(Ω) 88.83±6.4 65.17±2.8 70.33±4.6 68.86±5.1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적인 식이만을 섭취하는 대조군에 비해 각 군의 처치군들은 혈소판 응집에 있어서 개선적인 변화를 보여주었는데, 항혈소판제로 상용되는 대표적인 약물인 아스피린을 투여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혈소판 응집능이 23.66 % 정도의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대두발효추출물군의 경우는 대조군에 비해 혈소판 응집능이 18.50 % 정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아스피린 군보다 낮은 혈소판 응집개선효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조성물군은 대조군에 비해 혈소판 응집능이 19.97 % 정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상기와 같은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대두발효 추출물의 분말 또는 혈전용해능이 우수한 조성물은 식품에 적용하였을 경우 우수한 콜레스테롤 증가 억제와 혈소판의 응집을 저해하여 혈전의 혈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할 수 있으며, 또한 생성된 혈전을 용해하는 능력이 우수할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3 : 흰쥐에 대한 경구투여 급성 독성실험
5주령의 특정병원체부재(SPF) SD계 흰쥐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군당 3 마리씩의 동물에 상기 실시예 1과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각각 0.5% 메틸셀룰로즈 용액에 현탁하여 2 g/kg/1.2 ㎖의 용량으로 단회 경구 투여하였다. 시험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시험결과, 시험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실험에 이용된 조성물은 모두 흰쥐에서 조성물 2g/kg까지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제조예 1 : 혈전 용해능이 우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껌)의 제조
대두발효 추출물 분말 10 중량%, 껌베이스 20 중량%, 당 67.0 중량%, 향료 1중량%, 물 2 중량% 을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츄잉껌을 제조한다.
제조예 2 : 혈전 용해능이 우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발효유)의 제조
대두발효 추출물 분말 10 중량%, 발효두유 32.5 중량%, 당 EPA.DHA함유 정제 유지 2.6 중량%, 그 외 감미료 및 향료 4.4 중량%, 물 50.5 중량% 을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츄잉껌을 제조한다.
제조예 3 : 혈전 용해능이 우수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음료)의 제조
대두발효 추출물 분말 9.0 중량%, 카카오추출물의 분말 8.0 중량%, 산사자추출물의 분말 5.0 중량%, 멜리사엽 추출물의 분말 0.8 중량%, 은행잎 추출물의 분말 0.5 중량%, 옥타코사놀 0.5 중량%, 비타민 C 0.5 중량%, 젖산철 0.1 중량%, 비타민 A 0.2 중량%, 비타민 B1 0.2 중량%, 비타민 B2 0.2 중량%, 향료 0.1%, 물 74.9 중량% 을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음료를 제조한다.
제조예 4 : 혈전 용해능이 우수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연질 캅셀제의 제조
대두발효 추출물 분말 14.0 중량%, 카카오 추출물의 분말 8.0 중량%, 산사자 추출물의 분말 6.0 중량%, 멜리사엽 추출물의 분말 0.8 중량%, 옥타코사놀 0.5 중량%, 은행잎 추출물의 분말 0.5 중량%, 레시틴 2.5 중량%, 야자경화유 10.0 중량%, 밀납 4.0 중량%, 감마리놀렌산 53.7 중량% 을 혼합하여 젤라틴 연질 캅셀로 제조한다.
제조예 5 : 혈전 용해능이 우수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질 캅셀제의 제조
대두발효 추출물 분말 48.0 중량%, 카카오 추출물의 분말 8.0 중량%, 산사자 추출물의 분말 6.0 중량%, 멜리사엽 추출물의 분말 0.75 중량%, 옥타코사놀 0.5 중량%, 은행잎 추출물의 분말 0.5 중량%, 락토스 분말 20.0%, 옥수수전분 14.75 중량%, 스테아린산 Mg 1.0 중량%, 결정셀롤로스 0.5 중량% 을 혼합하여 젤라틴 경질 캅 셀로 제조한다.
제조예 6 : 혈전 용해능이 우수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정제 및 환제의 제조
대두발효 추출물 분말 14.0 중량%, 카카오 추출물의 분말 8.0 중량%, 산사자 추출물의 분말 6.0 중량%, 멜리사엽 추출물의 분말 0.8 중량%, 옥타코사놀 0.5 중량%, 은행잎 추출물의 분말 0.5 중량%, 락토스 분말 51.2 중량%, 결정셀룰로오스 14.0 중량%,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5.0 중량% 을 혼합 후 직타법(direct tableting method)을 이용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혈전용해효소를 다량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진 바실러스 속 씨케이 11-4 [Bacillus sp. CK 11-4 (KCCM 10042)]를 이용하여 대두를 발효시킨 후 대두발효 추출물을 얻고, 이를 주성분으로 하여 단독 또는 카카오 추출물, 산사자 추출물, 멜리사엽 추출물, 옥타코사놀 및 은행잎 추출물 등 인체에 안전한 식품소재를 특이성 있는 함량으로 사용하여 제조한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 자체의 콜레스테롤 저하, 항동맥경화 및 혈소판 응고억제 효능보다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며, 이를 식품에 적용하여 섭취함으로써, 최근 증가되는 추세에 있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및 심근경색증 등의 순환기계 질환에 대한 1차 예방을 약제가 아닌 식생활로서 가능하게 하며, 다소의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대두를 바실러스 속 씨케이 11-4[Bacillus sp. CK 11-4(KCCM 10042)] 균주로 발효시켜 얻은 대두발효 추출물의 분말 8.0 ∼ 80.0 중량%, 카카오 추출물의 분말 7.0 ∼ 35.0 중량%, 산사자 추출물의 분말 5.0 ∼ 22.0 중량%, 멜리사엽 추출물의 분말 0.7 ∼ 5.0 중량%, 옥타코사놀 0.4 ∼ 3.0 중량% 및 은행잎 추출물의 분말 0.4 ∼ 3.0 중량%가 유효성분으로 포함되어 있고, 전체 조성물의 합량이 100 중량%가 되도록 하는 양의 첨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혈증 및 혈소판 응집에 대해 억제작용을 갖는 조성물.
  3. 청구항 2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 혈소판 응집 억제용 식품.
KR1020040072604A 2004-09-10 2004-09-10 고지혈증 및 혈소판 응집에 대해 억제작용을 갖는대두발효 추출물과 이를 이용한 조성물 KR100656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604A KR100656241B1 (ko) 2004-09-10 2004-09-10 고지혈증 및 혈소판 응집에 대해 억제작용을 갖는대두발효 추출물과 이를 이용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604A KR100656241B1 (ko) 2004-09-10 2004-09-10 고지혈증 및 혈소판 응집에 대해 억제작용을 갖는대두발효 추출물과 이를 이용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762A KR20060023762A (ko) 2006-03-15
KR100656241B1 true KR100656241B1 (ko) 2006-12-11

Family

ID=37129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604A KR100656241B1 (ko) 2004-09-10 2004-09-10 고지혈증 및 혈소판 응집에 대해 억제작용을 갖는대두발효 추출물과 이를 이용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62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712A (ko) 2018-12-28 2020-07-09 주식회사 이앤코리아 복분자, 대두 및 산초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36596A (zh) * 2013-08-01 2015-02-11 陕西百年健康药业有限公司 一种降血脂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341581A (zh) * 2015-11-19 2016-02-24 黄海娟 一种含山楂的辅助降脂饮料及其制作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593A (ko) * 1995-06-29 1997-01-21 공판식 제판인쇄장치의 프레스 롤러 구동장치 및 방법
KR20010009590A (ko) * 1999-07-12 2001-02-05 남승우 천연식물소재 추출물을 이용한 항혈전 및 고지혈증 억제 조성물
US6610320B2 (en) 2000-04-14 2003-08-26 Mars, Incorporat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vascular healt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593A (ko) * 1995-06-29 1997-01-21 공판식 제판인쇄장치의 프레스 롤러 구동장치 및 방법
KR20010009590A (ko) * 1999-07-12 2001-02-05 남승우 천연식물소재 추출물을 이용한 항혈전 및 고지혈증 억제 조성물
US6610320B2 (en) 2000-04-14 2003-08-26 Mars, Incorporat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vascular health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70000593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712A (ko) 2018-12-28 2020-07-09 주식회사 이앤코리아 복분자, 대두 및 산초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762A (ko) 200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06014028A1 (ja) サツマイモ茎葉抽出物およびその用途
AU2011338643B2 (en) Cardio-protective agents from kiwifruits
CN101766274B (zh) 含竹叶黄酮的抗氧化功能食品组合物
KR101934079B1 (ko) 대추를 포함하는 김 스낵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김 스낵
KR101369060B1 (ko)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을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672274B1 (ko) 자화지정 추출물 또는 자화지정, 도인, 계지, 및 감초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및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00109697A (ko) 체중감량 및 고지혈증 개선 효과가 있는 기능성 조성물
KR101686777B1 (ko) 감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장애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0656241B1 (ko) 고지혈증 및 혈소판 응집에 대해 억제작용을 갖는대두발효 추출물과 이를 이용한 조성물
KR101728629B1 (ko) 흑마늘 조성물을 이용한 타블릿 제조 방법
KR101152479B1 (ko) 탈지된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또는 항암 조성물
KR20090007512A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블루베리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9980085889A (ko) 동과, 팥, 다엽 및 상지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조절용 건강식품
KR100293890B1 (ko) 동아녹즙및그잔사를사용하여제조된체중및혈당조절용식품조성물및그제조방법
KR100496622B1 (ko) 비만 억제를 위한 알콜 발효 식품 또는 약학적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KR101344564B1 (ko) 마라소스의 주성분인 고추 및 화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10030192A (ko) 산딸기 미숙과, 산사, 계피 추출물의 복합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145745A (ko)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47913B1 (ko) 혈당 조절용 조성물
EP1433500B1 (en) Blood fluidity-improving health foods
KR20070002445A (ko) Hgd­sj­201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20030687A (ko) 둥굴레 추출물과 그를 함유한 혈장 지질 및 혈당 강하용조성물
JP5706142B2 (ja) フユボダイジュ花のエタノール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血中グルコース低下剤、内臓脂肪蓄積抑制剤、tg低下剤、糞中脂肪***促進剤
JP2002255839A (ja) 抗肥満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