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440B1 - 반도체 패키지, 그 패키지를 이용한 스택 패키지 및 그스택 패키지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패키지, 그 패키지를 이용한 스택 패키지 및 그스택 패키지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440B1
KR100652440B1 KR1020050101755A KR20050101755A KR100652440B1 KR 100652440 B1 KR100652440 B1 KR 100652440B1 KR 1020050101755 A KR1020050101755 A KR 1020050101755A KR 20050101755 A KR20050101755 A KR 20050101755A KR 100652440 B1 KR100652440 B1 KR 100652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adhesive
semiconductor package
package
solder ball
pcb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1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웅
이준영
김중현
김민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1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440B1/ko
Priority to US11/586,615 priority patent/US20070187827A1/en
Priority to US12/091,664 priority patent/US804097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3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 H01L23/3107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the device being completely enclosed
    • H01L23/312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the device being completely enclosed a substrate forming part of the encapsulation
    • H01L23/31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the device being completely enclosed a substrate forming part of the encapsulation the substrate having spherical bumps for external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1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10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10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100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1011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containers being in a stacked arrangement
    • H01L2225/1017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containers being in a stacked arrangement the lowermost container comprising a device support
    • H01L2225/102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containers being in a stacked arrangement the lowermost container comprising a device support the support being an insulating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10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100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1011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containers being in a stacked arrangement
    • H01L2225/1047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containers
    • H01L2225/1058Bump or bump-like electrical connections, e.g. balls, pillars, pos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30Technical effects
    • H01L2924/35Mechanical effects
    • H01L2924/351Thermal stress
    • H01L2924/3511War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Wire Bonding (AREA)
  • Structures Or Materials For Encapsulating Or Coating Semiconductor Device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반도체 패키지의 측면으로 젯팅에 의한 배선을 형성한 반도체 패키지, 그 패키지를 이용한 스택 패키지 및 그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그 반도체 패키지는 PCB 기판; PCB 기판 하부에 형성된 솔더 볼; PCB 기판 상부로 접착된 반도체 칩; PCB 기판 상부로 형성된 반도체 칩을 밀봉하는 밀봉재; 밀봉재 상부로 형성된 제1 전도성 접착제 패턴; 및 PCB 기판 및 밀봉재 측면으로 상기 솔더 볼과 상기 제1 전도성 접착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전도성 접착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패키지, 그 패키지를 이용한 스택 패키지 및 그 스택 패키지 형성 방법{Semiconductor package, stack package using the same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stack package}
도 1은 종래의 칩 스택 패키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a 및 2b는 종래의 단위 반도체 패키지를 적층한 스택 패키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에 대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택 패키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택 패키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6a ~ 6f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스택 패키지의 형성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100a,100b:PCB 기판........300,300a,300b:밀봉재
400,400a,400b:솔더 볼........410,410a,410b:솔더 볼 랜드
500a:제1 전도성 접착제.......500,500a,550:제1 전도성 접착제 패턴
600:제2 전도성 접착제........700:프린팅 마크
710:블레이드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택 패키지가 용이한 반도체 패키지 및 그 패키지를 이용한 스택 패키지와 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패키지는 일반적으로 미세 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 칩을 보호하면서 반도체 칩을 PCB(Printed Circuit Board) 등에 실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EMC(Epoxy Molding Compound) 등으로 몰딩(Molding)한 것을 말한다. 반도체 패키지는 외부 회로와의 연결을 위하여, 반도체 칩의 외부단자와 PCB가 와이어(wire)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최근에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기술이 발전하여 초박형, 초소형의 반도체 패키지를 구현하고자 다양한 기술이 시도되고 있다. 특히, 패키지 구조에 있어서 핀 삽입형에서 표면 실장형(Surface Mounting technology:SMT)으로 급격히 진행되어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실장 밀도를 높여 왔다.
한편, 반도체 소자의 응용은 필요한 장치를 긴밀하게 또는 무리를 지어 정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몇 개의 반도체 칩이 필요할 때, 소정의 근접성을 달성하고 공간의 축소를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전형적으로 이와 같은 구조를 위해, 다수의 반도체 칩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는 칩 스택 패키지(Chip Stack Package) 또는 둘 이상의 단위 반도체 패키지를 적층하는 스택 패 키지(Stack Package) 기법이 도입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칩 스택 패키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칩 스택 패키지는 솔더 볼(40)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PCB(10) 상부로 몇 개의 반도체 칩(20)이 적층되어 있고, 반도체 칩(20)은 EMC(Epoxy Molding Compound) 등과 같은 밀봉재(30)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칩 스택 패키지는 단위 반도체 패키지를 복수 개로 적층하는 것보다 크기나 무게 및 실장 면적 면에서 소형화와 경량화에 유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칩 스택 패키지 구조는 칩의 스택 과정에서 칩의 수율이 떨어지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베어 칩(bare chip)의 특성을 그대로 패키지 상태에서 유지하면서도 취급이 용이하고 패키지 크기가 크게 줄어든 CSP(Chip Scale Package)형 패키지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CSP형 패키지 가운데 주목받고 있는 것이 FBGA(Fine Ball-Grid Array)형 패키지이다. 최근에 FBGA 패키지를 이용하여 용량과 실장 밀도를 증가시킨 스택 패키지가 주목을 받고 있다.
도 2a는 종래 스택 패키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스택 패키지는 제1 반도체 패키지(A) 및 제2 반도체 패키지(B)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제1 및 제2 반도체 패키지는 PCB(10,10a), 단일 칩(미도시)을 밀봉하는 밀봉재(30,30a) 및 솔더 볼(4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최근에 대부분의 칩이 아주 얇은 형태로 대형화됨에 따라, 특히 DRAM의 경우, 패키지 간에 도면의 점선 모양으로 워프(Warp)가 발생하고 이러한 워프로 인한 솔더 볼 접착 불량(non-wet)의 문제가 발생한다.
도 2b는 종래 다른 스택 패키지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도 2a에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구조이다. 즉, 제1 반도체 패키지(A)와 제2 반도체 패키지 사이(B)에 매개체 기판(80)을 두어 양 패키지를 지지하도록 하여 워프를 방지한다. 한편, 매개체 기판(80)에 비아 홀(via hole)을 형성하고 쓰루 홀 포스트(through hole post)를 박아서 양 패키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 구조는 제조상의 문제점이 많은 단점이 있다.
또한, 도 2a 및 도 2b의 스택 패키지는 밀봉재(30,30a)를 PCB전체로 형성하지 않고 안쪽 일부분에만 형성하고 솔더 볼(40)의 형성 위치도 PCB(10,10a) 외각으로 배치해야 하므로 일반적인 CSP형 패키지 공정과는 다른 공정을 채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CSP형 패키지의 구조의 변경이나 매개체의 사용이 필요 없고, 종래의 패키지 공정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PCB 워프에 의한 솔더 볼 접착 불량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 및 그 패키지를 이용한 스택 패키지와 그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PCB 기판; 상기 PCB 기판 하부에 형성된 솔더 볼; 상기 PCB 기판 상부로 접착된 반도체 칩; 상기 PCB 기판 상부로 형성된 상기 반도체 칩을 밀봉하는 밀봉재; 상기 밀봉재 상부로 형성된 제1 전도성 접착제 패턴; 및 상기 PCB 기판 및 밀봉재 측면으로 상기 솔더 볼과 상기 제1 전도성 접착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전도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전도성 접착제는 스크린 프린트가 가능한 프린터블 접착제이고 제2 전도성 접착제는 젯팅이 가능한 젯터블 접착제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PCB 기판, 상기 PCB 기판 하부에 형성된 솔더 볼, 상기 PCB 기판 상부로 접착된 반도체 칩, 상기 PCB 기판 상부로 형성된 상기 반도체 칩을 밀봉하는 밀봉재, 상기 밀봉재 상부로 형성된 제1 전도성 접착제 패턴 및 상기 PCB 기판 및 밀봉재 측면으로 상기 솔더 볼과 상기 제1 전도성 접착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전도성 접착제를 구비한 제1 반도체 패키지; 및 상기 제1 반도체 패키지 상부로 접착된 제2 반도체 패키지;를 포함하는 스택 패키지(Stack Package)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반도체 패키지는 하부로 솔더 볼이 형성되어 있는 PCB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솔더 볼이 상기 제1 반도체 패키지의 제1 전도성 접착제 패턴의 솔더 볼 랜드 영역에 접착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몰딩 공정이 완료된 프레임 상태의 패키지 상부로 제1 전도성 접착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턴이 형성된 프레임 상태의 패키지 하부에 솔더 볼을 접착(solder ball attach)하고 싱귤레이션(singulation)하는 단계; 상기 싱귤레이션된 패키지 측면으로 제2 전도성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제1 전도성 접착제와 상기 솔더 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 여 제1 반도체 패키지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택 패키지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반도체 패키지 완성 단계 이후에 제1 반도체 패키지 상부로 다른 일반적인 제2 반도체 패키지를 적층하여 스택 패키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2 반도체 스택 패키지 적층 전에 제1 반도체 패키지와 동일 구조의 반도체 패키지를 적어도 1개 제1 반도체 패키지 상부로 적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상부에 존재한다고 기술될 때, 이는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에 존재할 수도 있고, 그 사이에 제3의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 각 구성 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과장되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제1 실시예>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스택 패키지에 채용되는 반도체 패키지에 대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는 밀봉재(300) 상부로 제1 전도성 접착제 패턴(500)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전도성 접착제 패턴(500)은 스택 공정시 솔더 볼이 접착되는 솔더 볼 랜드 부분(원 모양의 넓은 부분) 및 측면 배선을 위한 부분(원 모양에 연결된 긴 직사각형 부분)을 포함한다. 밀봉재(300) 하부로 칩(미도시) 및 PCB(미도시) 등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전도성 접착제 패턴(500)은 프린터블 접착제를 사용하여 스크린 프린트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b의 경우, 도 3a의 반도체 패키지의 어느 한 측면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반도체 패키지는 PCB(100) 하부로 솔더 볼 랜드(410) 부분에 솔더 볼(400)이 형성되어 있고, PCB(100) 상부로 밀봉재(300) 및 제1 전도성 접착제 패턴(50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PCB(100) 및 밀봉재(300)의 측면을 따라서, 중첩된 조그만 볼 형태의 제2 전도성 접착제(600)가 제1 전도성 접착제와 솔더 볼 랜드(4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제2 전도성 접착제(600)에 의한 전기적 연결은 젯팅이 가능한 젯터블 접착제를 사용하여 도면과 같이 조그만 볼 형태의 중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볼의 사이즈는 지름 50 ㎛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a 또는 3b의 반도체 패키지를 채용한 스택 패키지의 어느 한 측면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택 패키지는 도 3a의 반도체 패키지(NEW,이하, '제1 반도체 패키지'라 한다) 상부로 종래의 일반적인 제2 반도체 패키지(OLD)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제2 반도체 패키지(OLD)는 제2 PCB(100a) 하부로 제2 솔더 볼 랜드(410a) 및 제2 솔더 볼(400a) 및 상부로 칩(미도시)을 밀봉하는 제2 밀봉재(300a)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택 패키지는 제1 반도체 패키지(NEW)의 제1 전도성 접착제 패턴(500)의 솔더 볼 랜드 영역에 제2 반도체 패키지(OLD)의 제2 솔더 볼(400a)이 접착하여 적층 된다. 한편, 제2 반도체 패키지(OLD)의 제2 밀봉재(300a) 상부에는 패키지 정보를 위한 마킹(Marking)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스택 패키지는 제1 반도체 패키지(NEW)의 측면을 통해서 제2 반도체 패키지(OLD)와 배선을 형성함으로써, 패키지 구조의 변화나 매개체의 사용이 불필요하다. 또한, 밀봉재(300,300a)가 PCB(100,100a) 전체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일반적인 패키지 공정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고 얇은 PCB 워프에 의한 솔더 볼 접촉 불량 문제도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a의 반도체 패키지를 두 개 채용한 스택 패키지의 어느 한 측면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반도체 패키지(NEW) 상부로 제1 반도체 패키지(NEW)와 동일 구조의 반도체 패키지(NEW1,이하, '제3 반도체 패키지'라 한다)가 제1 반도체 패키지(NEW) 상부로 적층 되고, 제3 반도체 패키지(NEW1) 상부로 제2 반도체 패키지(OLD)가 적층 된다. 제3 반도체 패키지(NEW1)는 제1 반도체 패키지(NEW)와 동일하게 하부로 솔더 볼(400b) 및 솔더 볼 랜드(410b)가 형성된 PCB(100b), PCB(100b) 상부로 밀봉재(300b), 밀봉재(300b) 상부로 형성된 제1 전도성 접착제 패턴(500b) 및 PCB(100b)와 밀봉재(300b) 측면으로 형성된 제2 전도성 접착제(600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의 반도체 패키지 2개를 채용하여 3층 구조의 스택 패키지를 형성하고 있지만, 그 이상의 반도체 패키지를 채용하여 스택 패키지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4 실시예>
도 6a ~ 6f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택 패키지를 형성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PCB(150) 상부로 밀봉재(350)의 형성까지 끝낸 프레임(Frame) 상태의 패키지가 보여지고, 밀봉재(350) 상부로 프린팅 마크(700)를 덮어 블레이드(710)를 이용하여 제1 전도성 접착제(500a)를 화살표 방향으로 스크린 프린팅한다. 따라서, 제1 전도성 접착제(500a)는 스크린 프린팅이 가능한 프린터블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스크린 프린팅이 끝나면 각 밀봉재(350) 상부로는 프린팅 마크(700)에 따른 제1 전도성 접착제 패턴(550, 도 6b)이 형성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패키지 공정인 마킹(Marking) 공정을 생략하고 PCB(150) 하부의 솔더 볼 랜드(미도시) 부분에 솔더 볼(400)을 형성한다. 이때 PCB(150) 상부로는 프린팅 마크(700)가 제거되어 밀봉재(350) 상부로 패터닝된 제1 전도성 접착제 패턴(550)을 볼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PCB(150) 상부로 각각 다수의 칩(미도시)을 밀봉하는 3 개의 밀봉재(350) 및 각 밀봉재(350) 상부로는 패터닝된 제1 전도성 접착제 패턴(550)이 보여진다. 이러한 프레임 상태의 패키지를 도면의 점선 부분으로 소잉(sawing)하는 싱귤레이션(singulation)이 수행하여 단위 반도체 패키지로 분리한다. 각각의 분리된 반도체 패키지는 테스트를 거쳐 정상인 패키지들만이 선택된다.
도 6d는 단위 반도체 패키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PCB(100) 하부로 솔더 볼 랜드(410) 및 솔더 볼(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로 칩(미도시)을 밀봉하는 밀봉재(300)가 형성되어 있다. 밀봉재(300) 상부에는 도 3a와 같은 제1 전도성 접 착제 패턴(500)이 형성되어 있다.
도 6e를 참조하면, 도 6d의 단위 반도체 패키지의 측면으로 제1 전도성 접착제 패턴(500)과 솔더 볼 랜드(4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전도성 접착제(600)를 형성한다. 제2 전도성 접착제(600)는 젯팅(jetting)에 의하여 지름 50㎛ 볼 형태로 중첩되게 형성한다. 따라서, 제2 전도성 접착제(600)는 젯팅이 가능한 젯터블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도 6f를 참조하면, 제1 전도성 접착제 패턴(500)의 솔더 볼 랜드 영역에 이물질 제거 등을 위해 플럭스 돗팅(Flux dotting) 처리를 하고 종래의 제2 반도체 패키지(OLD)를 적층 한다. 이때, 제1 전도성 접착제 패턴(500)의 솔더 볼 랜드 영역에 제2 솔더 볼(400a)이 접착된다. 접착은 제2 반도체 패키지(OLD)를 적층한 후 적외선 리-플로우(IR re-flow)를 통해 제2 솔더 볼(400a)을 용융 접착시킨다. 이때, 제2 반도체 패키지(OLD)의 제2 밀봉재(300a) 상부로는 제1 반도체 패키징 공정에서 생략했던 패키지 정보를 위한 마킹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반도체 패키지(NEW) 상부로 제2 반도체 패키지(OLD)를 스택 하여 2층 구조의 스택 패키지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제1 반도체 패키지(NEW)와 동일 구조를 가진 반도체 패키지를 2개 이상 적층하여 3층 이상의 스택 패키지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의 측면으로 젯팅에 의한 배선을 형성함으로써, CSP형 패키지의 구조의 변경이나 매개체의 사용이 필요 없다.
또한, 밀봉재가 PCB 전체로 형성되므로 종래의 패키지 공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PCB 워프에 의한 솔더 볼 접촉 불량의 문제도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를 여러 개 채용함으로써, 3층 이상의 스택 패키지 구조의 구현도 충분히 가능하다.

Claims (22)

  1. PCB 기판;
    상기 PCB 기판 하부에 형성된 솔더 볼;
    상기 PCB 기판 상부로 접착된 반도체 칩;
    상기 PCB 기판 상부로 형성된 상기 반도체 칩을 밀봉하는 밀봉재;
    상기 밀봉재 상부로 형성된 제1 전도성 접착제 패턴; 및
    상기 PCB 기판 및 밀봉재 측면으로 상기 솔더 볼과 상기 제1 전도성 접착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전도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접착제는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이 가능한 프린터블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도성 접착제는 젯팅(Jetting)이 가능한 젯터블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연결은 상기 제2 전도성 접착제가 상기 PCB 기판 및 밀봉재 측 면으로 젯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도성 접착제는 상기 젯팅에 의해 지름 50㎛의 볼 형태로 연속적으로 중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접착제 패턴은 상부로 다른 반도체 패키지 접착을 위한 솔더 볼 랜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7. PCB 기판,
    상기 PCB 기판 하부에 형성된 솔더 볼,
    상기 PCB 기판 상부로 접착된 반도체 칩,
    상기 PCB 기판 상부로 형성된 상기 반도체 칩을 밀봉하는 밀봉재,
    상기 밀봉재 상부로 형성된 제1 전도성 접착제 패턴, 및
    상기 PCB 기판 및 밀봉재 측면으로 상기 솔더 볼과 상기 제1 전도성 접착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전도성 접착제를 구비한 제1 반도체 패키지; 및
    상기 제1 반도체 패키지 상부로 접착된 제2 반도체 패키지;를 포함하는 스택 패키지(Stack Package).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접착제는 스크린 프린팅이 가능한 프린터블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 패키지.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도성 접착제는 젯팅이 가능한 젯터블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 패키지.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연결은 상기 제2 전도성 접착제가 상기 PCB 기판 및 밀봉재 측면으로 젯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 패키지.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도성 접착제는 상기 젯팅에 의해 지름 50㎛의 볼 형태로 연속적으로 중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 패키지.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접착제 패턴은 상기 제2 반도체 패키지와의 접착을 위한 솔더 볼 랜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 패키지.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도체 패키지는 하부로 제2 솔더 볼이 형성된 제2 PCB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반도체 패키지와 상기 제2 반도체 패키지의 접착은 상기 제2 솔더 볼 및 상기 솔더 볼 랜드 영역과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 패키지.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도체 패키지는 상기 제2 PCB 기판 상부로 칩을 밀봉하는 제2 밀봉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밀봉재 상부로는 패키지 정보에 대한 마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 패키지.
  15.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 패키지 및 제2 반도체 패키지 사이에 상기 제1 반도체 패키지와 동일한 구조의 반도체 패키지를 적어도 1 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 패키지.
  16. 몰딩 공정이 완료된 프레임 상태의 패키지 상부로 제1 전도성 접착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턴이 형성된 프레임 상태의 패키지 하부에 솔더 볼을 접착(solder ball attach)하고 싱귤레이션(singulation)하는 단계;
    상기 싱귤레이션된 패키지 측면으로 제2 전도성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제1 전도성 접착제와 상기 솔더 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1 반도체 패키지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택 패키지 형성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접착제는 스크린 프린팅이 가능한 프린터블 접착제이고,
    상기 패턴은 상기 전도성 접착제를 스크린 프린트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 패키지 형성 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도성 접착제는 젯팅이 가능한 젯터블 접착제이고,
    상기 전기적 연결은 상기 제2 전도성 접착제를 상기 싱귤레이션된 패키지 측면으로 젯팅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 패키지 형성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도성 접착제를 상기 젯팅에 의해 지름 50㎛의 볼 형태로 연속적으로 중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 패키지 형성 방법.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접착제 패턴은 상부로 제2 반도체 패키지를 접착하기 위한 솔더 볼 랜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반도체 패키지 완성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전도성 접착제 패턴 상부로 상기 제2 반도체 패키지를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 패키지 형성 방법.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도체 패키지는 하부로 제2 솔더 볼이 형성된 제2 PCB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반도체 패키지를 접착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솔더 볼이 접착되는 상기 솔더 볼 랜드 영역을 플럭스 돗팅하는 단계;
    상기 플럭스 돗팅 후에 제2 반도체 패키지를 적층하는 단계; 및
    적외선 리-플로우(IR re-flow)하여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스택 패키지 형성 방법.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도체 패키지 접착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반도체 패키지와 동일한 구조의 반도체 패키지를 적어도 1개 상기 제1 반도체 패키지 상부로 접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 패키지 형성 방법.
KR1020050101755A 2005-10-27 2005-10-27 반도체 패키지, 그 패키지를 이용한 스택 패키지 및 그스택 패키지 형성 방법 KR100652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755A KR100652440B1 (ko) 2005-10-27 2005-10-27 반도체 패키지, 그 패키지를 이용한 스택 패키지 및 그스택 패키지 형성 방법
US11/586,615 US20070187827A1 (en) 2005-10-27 2006-10-26 Semiconductor package, stack package using the same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2/091,664 US8040975B2 (en) 2005-10-27 2006-10-27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with multiple antenna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755A KR100652440B1 (ko) 2005-10-27 2005-10-27 반도체 패키지, 그 패키지를 이용한 스택 패키지 및 그스택 패키지 형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2440B1 true KR100652440B1 (ko) 2006-12-01

Family

ID=37731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1755A KR100652440B1 (ko) 2005-10-27 2005-10-27 반도체 패키지, 그 패키지를 이용한 스택 패키지 및 그스택 패키지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20070187827A1 (ko)
KR (1) KR1006524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0978A1 (ko) * 2019-11-20 2021-05-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사이드 배선 제조 장치, 사이드 배선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497B1 (ko) * 2006-03-10 2008-03-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안테나를 위한 심볼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507834B1 (ko) * 2008-04-17 2015-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동기 채널 전송 방법
KR101498297B1 (ko) * 2008-11-23 2015-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JP5183798B2 (ja) * 2009-03-05 2013-04-17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087A (ko) * 1996-10-21 1998-07-15 문정환 3차원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67501A (ko) * 2002-02-06 2003-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칩과 적층 칩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95459A (ko) * 2002-06-10 2003-12-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칩 스택 패키지
US20050194677A1 (en) 2004-03-03 2005-09-08 Matthias Heschel Hermetically sealed package for optical, electronic, opto-electronic and other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5587T1 (de) * 1997-07-21 2001-02-08 Aguila Technologies Inc Halbleiter-flipchippackung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US6787389B1 (en) * 1997-10-09 2004-09-0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pads for connecting a semiconducting element to a mother board
JP2001077301A (ja) * 1999-08-24 2001-03-23 Amkor Technology Korea Inc 半導体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US6542556B1 (en) * 2000-03-31 2003-04-01 Nokia Mobile Phones Ltd. Space-time code for multiple antenna transmission
US6842487B1 (en) 2000-09-22 2005-01-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yclic delay diversity for mitigating intersymbol interference in OFDM systems
JP2002344415A (ja) 2001-05-14 2002-1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キャリア通信方法及びマルチキャリア通信装置
KR100416494B1 (ko) 2001-05-31 2004-01-31 한국과학기술원 반송파 주파수 오차 추정을 위한 부호화 방법
KR100552669B1 (ko) * 2002-12-26 2006-0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층적 공간-시간 구조의 검파기를 갖는 다중 입출력시스템에 적용되는 적응 변복조 장치 및 그 방법
KR100497111B1 (ko) * 2003-03-25 2005-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이퍼 레벨 칩 스케일 패키지, 그를 적층한 적층 패키지및 그 제조 방법
TWI313048B (en) * 2003-07-24 2009-08-01 Via Tech Inc Multi-chip package
KR100617751B1 (ko) * 2003-12-24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장치 및 방법
JP4204989B2 (ja) * 2004-01-30 2009-01-07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70514B1 (ko) * 2004-06-18 2006-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이퍼 레벨 칩 스택 패키지 제조 방법
US7894548B2 (en) * 2004-09-03 2011-02-22 Qualcomm Incorporated Spatial spreading with space-time and space-frequency transmit diversity scheme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6114604A (ja) * 2004-10-13 2006-04-27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KR100938091B1 (ko) * 2004-10-13 2010-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다중분할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블록 부호화기법과 순환 지연 다이버시티 기법을 사용하는 기지국송신 장치 및 방법
US7919844B2 (en) * 2005-05-26 2011-04-05 Aprolase Development Co., Llc Tier structure with tier frame having a feedthrough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087A (ko) * 1996-10-21 1998-07-15 문정환 3차원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67501A (ko) * 2002-02-06 2003-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칩과 적층 칩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95459A (ko) * 2002-06-10 2003-12-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칩 스택 패키지
US20050194677A1 (en) 2004-03-03 2005-09-08 Matthias Heschel Hermetically sealed package for optical, electronic, opto-electronic and other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0978A1 (ko) * 2019-11-20 2021-05-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사이드 배선 제조 장치, 사이드 배선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40975B2 (en) 2011-10-18
US20070187827A1 (en) 2007-08-16
US20080285677A1 (en) 200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9425B2 (en) Stacked multi-chip semiconductor package improving connection reliability of stacked chips
US6876074B2 (en) Stack package using flexible double wiring substrate
JP4703980B2 (ja) 積層型ボールグリッドアレイ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46374B1 (ko) 센터 패드를 갖는 적층형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US6818998B2 (en) Stacked chip package having upper chip provided with trench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70158799A1 (en) Interconnected IC packages with vertical SMT pads
US20140061951A1 (en) Package on packag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9990086916A (ko) 적층가능한 비지에이 반도체 칩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EP1929540B1 (en) Land grid array semiconductor device packag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7465607B2 (en) Methods of fabrication of lead frame-based semiconductor device packages incorporating at least one land grid array package
JP4635202B2 (ja) 両面電極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KR19980028019A (ko) 인쇄회로기판 스트립 구조와 이를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
US6408510B1 (en) Method for making chip scale packages
US7642662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52440B1 (ko) 반도체 패키지, 그 패키지를 이용한 스택 패키지 및 그스택 패키지 형성 방법
JP2005332965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EP1301945A1 (en) Multi-metal layer circuit
KR100618542B1 (ko) 적층 패키지의 제조 방법
US6455941B1 (en) Chip scale package
JP2000040676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384336B1 (ko) 반도체패키지용 인쇄회로기판 스트립의 구조 및 불량 유닛이 제거된 양호한 인쇄회로기판 스트립의 제조방법
KR100592785B1 (ko) 칩 스케일 패키지를 적층한 적층 패키지
KR100537835B1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
JP2008141200A (ja) 半導体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28473A (ko) 적층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