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5705B1 -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5705B1
KR100645705B1 KR1020060008763A KR20060008763A KR100645705B1 KR 100645705 B1 KR100645705 B1 KR 100645705B1 KR 1020060008763 A KR1020060008763 A KR 1020060008763A KR 20060008763 A KR20060008763 A KR 20060008763A KR 100645705 B1 KR100645705 B1 KR 100645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frit
pixel region
organic ligh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원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8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705B1/ko
Priority to JP2006199920A priority patent/JP4800868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705B1/ko
Priority to US11/641,359 priority patent/US7893613B2/en
Priority to TW096100665A priority patent/TWI376977B/zh
Priority to EP07101067A priority patent/EP1814174B1/en
Priority to CNB2007100077821A priority patent/CN100539178C/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24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i.e. for use as seals between dissimilar materials, e.g. glass and metal; Glass s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03C17/4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all coatings being metal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20Materials for coating a single layer on glass
    • C03C2217/25Metals
    • C03C2217/251Al, Cu, Mg or noble metals
    • C03C2217/252A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20Materials for coating a single layer on glass
    • C03C2217/25Metals
    • C03C2217/251Al, Cu, Mg or noble metals
    • C03C2217/253Cu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8/00Methods for coating glass
    • C03C2218/30Aspects of methods for coating glass not covered above
    • C03C2218/34Mask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26Top emiss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프릿으로 밀봉시켜 산소 및 수분 등의 유입을 차단하고, 공정을 단순화하면서 빛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배면발광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로, 다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구비된 화소영역 및 상기 화소영역 주변의 비화소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과, 상기 화소영역 및 상기 비화소영역의 적어도 일영역과 중첩되도록 상기 제1 기판의 상부에 배치된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내측면 전면에 형성된 프릿을 포함하며, 상기 비화소영역의 적어도 일영역과 대응되는 프릿은 상기 화소영역과 중첩되는 프릿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비화소영역과 대응되는 부분의 프릿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이 서로 합착된다.
이에 의하여, 화소영역이 포함된 내부공간으로 산소 및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공정이 단순화되고, 공정시간을 감소시키면서 빛샘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화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소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4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제1 기판 11, 105: 화소영역
12, 12', 120, 120': 주사 구동부 20, 200: 제2 기판
22: 차광막 30: 밀봉재
300: 프릿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프릿으로 밀봉시켜 산소 및 수분 등의 유입을 차단하고, 공정을 단순화하면서 빛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서로 대향하는 두 전극 사이에 유기 발광층을 위치시키고 이들 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각 전극으로부터 유기 발광층으로 주입된 정공 및 전자가 결합하여 발생된 여기분자가 기저상태로 돌아가면서 방출되는 에너지를 빛으로 발광시키는 평판 표시장치의 한 종류이다.
이와 같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뛰어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경량화 및 박막화를 도모할 수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에서는 배면발광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서로 대향되도록 위치된 제1 기판(10) 및 제2 기판(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 및 제2 기판(10, 20) 은 밀봉재(30)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그 내부가 밀봉(encapsulation)된다.
제1 기판(10)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미도시)를 포함한 다수의 화소들이 구비되는 화소영역(11)과, 화소영역(11)을 제외한 비화소영역에 구비되는 주사 구동부(12, 12') 등의 구동회로가 형성된 기판이다.
제2 기판(20)은 제1 기판(10)의 화소영역(11) 및 주사 구동부(12, 12')가 형성된 면에 대향되도록 접착된다. 이와 같은 제2 기판(20)은 제1 기판(10)의 적어도 일영역 특히, 화소영역(11)을 밀봉하도록 제1 기판(10)에 접착된다. 이와 같은 제2 기판(20)의 전면(前面)에는 외광의 투과 및 빛샘을 방지하기 위한 차광막(22)이 구비된다. 여기서, 차광막(22)으로는 검은테이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혹은, 차광막(22)이 구비되지 않을 경우, 제2 기판(20)은 불투명처리된다.
밀봉재(30)는 에폭시수지(epoxy resin)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 기판(10) 및 제2 기판(20)의 가장자리를 따라 도포되어 자외선 조사 등에 의하여 용융된 후 경화됨으로써, 제1 기판(10) 및 제2 기판(20)을 접착시킨다. 이와 같은 밀봉재(30)는 제1 기판(10) 및 제2 기판(20) 사이의 밀봉된 공간에 위치된 화소영역(11) 등으로 산소 및 수분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밀봉재(30)가 도포되더라도 미세한 틈사이로 산소 및 수분 등이 침투하는 것이 완전히 차단되지는 못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흡습재(미도시) 등을 제2 기판(20)에 코팅하여 소성시킨 후 사용하였다. 하지만, 흡습재가 소성될 때 발생되는 아웃개싱(outgassing)으로 인하여 밀봉재(30)와 기판들(10, 20) 사이의 접착력이 떨어져 오히려 화소영역(11)이 산소 및 수분에 쉽게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또한, 흡습재를 구비하지 않고 유리 기판에 프릿(frit)을 도포하여 제1 기판(10)의 화소영역(11)을 포함한 적어도 일영역을 밀봉하는 구조가 미국특허공개공보의 공개번호 제 20040207314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용융된 프릿을 경화시켜 두 기판 사이를 완전하게 밀봉시키므로, 흡습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더욱 효과적으로 화소영역(11)을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릿은 빛을 흡수하여 차단하는 검은색을 띠므로, 빛샘을 방지하는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 BM)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빛샘은 비화소영역에서의 외광에 의한 빛의 반사로 인해 뿌옇게 보이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빛샘이 발생할 경우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프릿은 밀봉되는 영역의 최외곽 가장자리 즉, 소자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만 도포됨으로써, 블랙 매트릭스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제2 기판(20)의 전면에 차광막(22)을 별도로 형성하거나 제2 기판(20)을 불투명처리 하였으나, 이를 위한 공정이 추가되어 제조공정이 번거로워지고, 공정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따라서, 제1 기판(10) 및 제2 기판(20)을 프릿으로 밀봉하여 두 기판 사이로 산소 및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공정을 단순화하면서 빛샘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발생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프릿으로 밀봉시켜 산소 및 수분 등의 유입을 차단하고, 공정을 단순화하면서 빛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배면발광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구비된 화소영역 및 상기 화소영역 주변의 비화소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과, 상기 화소영역 및 상기 비화소영역의 적어도 일영역과 중첩되도록 상기 제1 기판의 상부에 배치된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내측면 전면에 형성된 프릿을 포함하며, 상기 비화소영역의 적어도 일영역과 대응되는 프릿은 상기 화소영역과 중첩되는 프릿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비화소영역과 대응되는 부분의 프릿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이 서로 합착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릿은 유리재료와,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재와, 열팽창계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필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은 투명하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배면발광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구비된 화소영역 및 상기 화소영역 주변의 비화소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과, 상기 화소영역 및 상기 비화소영역의 적어도 일영역과 중첩되도록 상기 제1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며, 중앙부의 두께가 가장자리의 두께보다 작 도록 에칭된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내측면 전면에 형성된 프릿을 포함하며, 상기 비화소영역과 대응되는 부분의 프릿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이 서로 접착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릿은 상기 제2 기판의 전면에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구비된 화소영역 및 상기 화소영역 주변의 비화소영역이 형성된 제1 기판과, 상기 화소영역 및 상기 비화소영역의 적어도 일영역과 중첩되도록 상기 제1 기판의 상부에 배치된 제2 기판을 포함하는 배면발광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합착될 상기 제2 기판의 전면에 프릿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소성하여 프릿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형성된 프릿의 적어도 일영역에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을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릿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비화소영역의 적어도 일영역과 대응되는 프릿은 상기 화소영역과 대응되는 프릿보다 두껍게 형성한다. 상기 프릿 중 상기 비화소영역과 중첩되는 프릿의 적어도 일영역에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조사한다. 상기 레이저 및 적외선의 파장은 800nm 내지 1200nm로 설정한다. 상기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조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화소영역과 중첩되도록 형성된 프릿을 마스킹한다. 상기 레이저 또는 상기 적외선을 흡수하는 흡수재를 포함한 프릿 페이스트를 도포한다. 상기 프릿은 상기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흡수하여 용융 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기판에 접착된다. 상기 프릿 페이스트의 소성온도는 300℃ 내지 500℃로 설정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 2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소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는 각 화소 내에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구비되며 배면발광하는 능동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제1 기판(100)과, 제1 기판(100)의 적어도 일영역과 중첩되도록 제1 기판(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기판(200)을 포함하며, 제1 기판(100)과 합착되는 제2 기판(200)의 내측면 전면(全面)에는 프릿(300)이 도포된다. 즉,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의 사이에는 프릿(300)이 도포되고, 제1 및 제2 기판(100, 200)은 가장자리에 도포된 프릿(300)에 의하여 서로 접착된다.
제1 기판(100)에는 다수의 화소(110)들이 구비된 화소영역(105)과, 화소(110)들로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주사 구동부(120, 120') 및 데이터 구동부 (130)와, 주사 구동부(120, 120') 및 데이터 구동부(130)로 제어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패드부(102)가 형성된다.
화소영역(105)은 행 방향으로 배열된 주사선들(S1 내지 Sn)과, 열 방향으로 배열된 데이터선들(D1 내지 Dm)과, 주사선들(S1 내지 Sn) 및 데이터선들(D1 내지 Dm)이 교차되는 지점에 위치된 다수의 화소(110)들이 형성된 영역을 의미한다. 각각의 화소(110)들은 주사선(S1 내지 Sn)으로 공급되는 주사신호 및 데이터선(D1 내지 Dm)으로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여 소정 휘도의 빛을 생성한다. 이에 의하여, 화소영역(105)에서는 소정의 영상이 표시된다. 단, 본 발명은 화소영역(105)의 배면(背面)으로 발광하는 배면발광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영상은 화소영역(105)의 배면에서 표시된다. 이를 위해, 제1 기판(10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여기서, 각 화소(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발광 소자인 유기 발광 다이오드(118)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118)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단, 화소(110)의 구조는 능동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나 수동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그 구조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제1 기판(100) 상에 형성된 버퍼층(111)과, 버퍼층(111) 상에 형성되며 채널영역(112a)과 소스 및 드레인 영역(112b)을 포함하는 반도체층(112)과, 반도체층(112)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113)과, 게이트 절연막(113)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114)과, 게이트 전극(114) 상에 형성된 층간 절연막(115)과, 층간 절연막(115) 상에 형성되며 소스 및 드레인 영역(112b)과 접속되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116)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는 드레인 전극의 적어도 일영역을 노출시키는 비아홀(117a)을 가지는 평탄화막(117)이 형성된다.
그리고, 평탄화막(117) 상에는 비아홀(117a)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속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118)가 형성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118)는 제1 전극(118a) 및 제2 전극(118c)과, 이들 사이에 위치된 유기 발광층(118b)을 포함한다. 제1 전극(118a)은 평탄화막(117) 상에 형성되며 비아홀(117a)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1 전극(118a) 상에는 제1 전극(118a)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갖는 화소정의막(119)이 형성되고, 화소정의막(119)의 개구부에 유기 발광층(118b)이 형성된다. 그리고, 유기 발광층(118b) 상에는 제2 전극(118c)이 형성된다. 여기서, 배면발광하는 화소(110)의 광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제2 전극(118c)은 반사막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전극(118c) 상에는 도시되지 않은 보호막(passivation layer) 등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118)는 박막 트랜지스터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대응하여 소정 휘도의 빛을 생성한다.
화소영역(105) 주변의 비화소영역에는 주사 구동부(120, 120') 및 데이터 구동부(130)와, 패드부(102)가 형성된다. 주사 구동부(120, 120')는 패드부(102)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들에 대응하여 주사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주사선들(S1 내지 Sn)로 공급한다. 여기서, 두 개의 주사 구동부(120, 120')가 화소영역(105)의 양측에 형성되어, 각각 홀수 번째 주사선들(S1, S3, ..., Sn-1) 및 짝수 번째 주사선들 (S2, S4, ..., Sn)로 주사신호를 공급한다. 단, 주사 구동부(120, 12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패드부(102)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및 제어신호들에 대응하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선들(D1 내지 Dm)로 공급한다. 패드부(102)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들을 주사 구동부(120, 120') 및 데이터 구동부(130)로 공급한다.
제2 기판(200)은 제1 기판(100)의 화소영역(105) 및 비화소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제1 기판(1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1 기판(100)에 형성된 화소(110)들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118)의 유기 발광층(118a) 등을 포함하므로, 산소 및 수분이 침투하였을 때 쉽게 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기판(200)은 화소영역(105)으로 산소 및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소영역(105)을 밀봉하도록 접착된다. 그리고, 도 2에서는 제2 기판(200)이 주사 구동부(120, 120')도 포함하여 밀봉하도록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 기판(200)은 화소영역(105)을 포함하여 제1 기판(10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제1 기판(100)의 상부에 배치된 후, 프릿(300)에 의해 제1 기판(100)과 접착된다. 이와 같은 제2 기판(200)은 배면발광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불투명처리되거나 외측면에 차광막 등의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2 기판(200)은 불투명처리되거나 별도의 차광막을 구비하지 않고,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대신, 본 발명에서는 제2 기판(200)의 내측 전면(全面)에 검은색을 띠는 프릿(300)을 도포하여 프릿(300)이 접착재로의 역할은 물론, 블랙 매트릭스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프릿(300)은 제1 및 제 2 기판(100, 200)을 완전히 접착시키기 위하여 제1 및 제2 기판(100, 200)이 합착되는 가장자리에 필수적으로 도포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때 제2 기판(200)의 내측 전면에도 프릿을 도포함으로써 블랙 매트릭스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공정이 단순화되면서 빛샘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프릿(300)은 제2 기판(200)의 내측면(즉, 제1 기판(100)과 합착되는 면) 전면(全面)에 도포되어 화소영역(105)을 밀봉한다. 즉, 프릿(300)은 제1 및 제2 기판(100, 200)이 합착되는 면의 가장자리 뿐만 아니라, 화소영역(105) 및 주사구동부(120, 120')와도 중첩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프릿(300)은 본래적으로 첨가제가 포함된 파우더형태의 유리원료를 의미하나, 유리 기술분야에서는 통상적으로 프릿이 용융되어 형성된 유리를 동시에 의미하기도 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양자를 모두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프릿(300)은 레이저 또는 적외선에 의하여 그 가장자리가 용융되었다가 경화되면서 제1 및 제2 기판(100, 200) 사이를 완전히 밀봉하여 산소 및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프릿(300)은 전이금속을 포함하는 재질로 빛이 투과하지 못하는 검은색을 띠기 때문에, 빛샘을 방지하는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 BM)의 역할도 수행한다. 다시 말하여, 종래에는 프릿(300)을 두 기판이 합착되는 부분의 최외곽 가장자리에만 형성하여 밀봉을 위한 접착재로만 이용하고 추가적인 공정을 거쳐 블랙 매트릭스를 구비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투명한 제2 기판(200)을 사용하되, 제2 기판(200)의 내측 전면(全面)에 프릿(300)을 도포함으로써, 화소영역(105)의 전면(前面)으로 빛샘이 방지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소자가 형성되지 않는 밀봉영역의 최 외곽부에 프릿을 도포하여 두 기판을 접착시키기 위한 밀봉재로써만 프릿을 이용한 종래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화소영역(105)은 물론 제1 및 제2 기판(100, 200) 사이의 전면(全面)에 프릿(300)을 형성함으로써 프릿(300)이 블랙 매트릭스로도 이용되어 빛샘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한다. 단, 본 발명에서와 같이 프릿(300)을 제1 및 제2 기판(100, 200) 사이의 전면(全面)에 형성하는 것은 배면발광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제1 및 제2 기판(100, 200)은 합착된 면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프릿(300)에 의해서만 접착된다. 즉, 화소영역(105) 및 주사구동부(120, 120')와 같이 소자들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비화소영역과 대응되는 프릿(300)만 제1 및 제2 기판(100, 200)에 접착된다. 여기서, 프릿(300)을 도포하여 밀봉하는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기판(100)에 형성된 화소영역(105)은 제2 기판(200) 및 프릿(300)에 의하여 완전히 밀봉된다. 여기서, 프릿(300)은 검은색을 띠는 재질로, 제1 및 제2 기판(100, 200)이 합착된 면의 가장자리 뿐만 아니라, 화소영역(105)을 포함한 제1 및 제2 기판(100, 200) 사이의 영역 모두에 중첩되도록 위치되어 빛샘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단, 이 경우 본 발명은 배면발광 형태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비화소영역의 적어도 일영역과 대응되는 프릿(300) 즉, 제1 및 제2 기판(100, 200)을 합착시키는 프릿(300)은 화소영역 (105)과 중첩되는 프릿(300)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여기서, 프릿(300)은 유리재료와, 레이저를 흡수하기 위한 흡수재와, 열팽창계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필러(filler)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프릿 페이스트 상태로 제2 기판(200)에 도포된 후 경화되어, 제1 및 제2 기판(100, 200) 사이에서 레이저 또는 적외선에 의해 용융된 후 다시 경화되면서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을 접착시킨다. 이때, 레이저 또는 적외선이 화소영역(105) 및 주사 구동부(120, 120') 상에 위치된 프릿(300)에도 조사될 경우, 화소영역(105) 및 주사 구동부(120, 120')의 내부 회로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 또는 적외선은 소자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도포된 프릿(300)에만 조사되도록 한다. 즉, 소자가 형성되지 않은 프릿(3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조사하여,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흡수한 가장자리 부분의 프릿(300)이 용융된 후 다시 경화되면서 제1 및 제2 기판(100, 200)을 접착하여 밀봉하고, 화소영역(105) 및 주사구동부(120, 120')와 같이 소자들이 형성된 영역 상에 도포된 프릿(300)은 제1 기판(100)에 형성된 화소영역(105) 및 주사 구동부(120, 120')와 접착되지 않음으로써 접착재로는 작용하지 않고 빛샘을 방지하는 블랙 매트릭스의 역할만을 한다.
한편, 도 4에서는 제2 기판(200)을 평판형의 베어기판(bare glass)으로 도시하였으나, 제2 기판(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의 두께가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보다 작도록 에칭된 에지 기판(etched glass)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릿(300)은 제2 기판(200)의 내측 전면에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도 4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편의상, 도 6a 내지 도 6d에서는 개별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제조공정을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복수의 표시장치 셀들이 원장단위로 제작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우선, 제1 기판(100)과 합착될 제2 기판(200)의 전면(全面)에 프릿(300)을 도포한다. 즉, 프릿(300)은 제2 기판(200) 및 프릿(300)에 의하여 밀봉될 제1 기판(100)의 밀봉영역 전체와 중첩되도록 제2 기판(200) 상에 도포된다. 이때, 프릿(300)은 제2 기판(200)의 형상에 따르되, 비화소영역의 적어도 일영역과 대응되는 영역 즉, 소자가 형성되지 않는 가장자리 부분의 프릿(300)은 화소영역(105)과 중첩될 프릿(300)보다 두껍게 도포된다. 이와 같은 프릿(300)은 프릿 페이스트 상태로 제2 기판(200)에 도포된 후 소성되어 페이스트에 포함된 수분이나 유기바인더가 제거된 후 경화된다. 여기서, 프릿 페이스트는 유리 분말에 산화물 분말 및 유기물을 첨가하여 젤 상태로 만든 것이고, 프릿(300)을 소성하는 온도는 300℃ 내지 500℃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프릿(300)의 두께는 10 내지 20㎛가 바람직한데, 이는 프릿(300)의 두께가 20㎛ 이상일 경우에는 레이저 실링시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므로 이를 위해 레이저의 파워를 높이거나 스캔스피드를 낮춰야하는데 이로 인한 열 손상이 발생될 수 있고, 10㎛ 이하의 두께에서는 프릿(300) 도포 상태의 불량이 다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도 6a)
이후, 화소영역(105) 및 주사 구동부(120, 120') 등이 형성된 제1 기판(100) 을 마련하고, 화소영역(105)이 밀봉되도록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을 합착시킨다. 이때, 프릿(300)은 서로 대향되는 제1 및 제2 기판(100, 200)사이의 전면(全面)과 중첩되도록 위치된다.(도 6b)
이후, 소자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 즉, 가장자리 부분의 프릿(300)에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조사한다. 그러면,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조사받은 부분의 프릿(300)은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흡수하여 용융된다. 이때, 조사되는 레이저 또는 적외선의 파장은 800nm 내지 1200nm(보다 바람직하게는 810nm)가, 빔 사이즈(Beam size)는 직경 1.0nm 내지 3.0nm가, 출력전력은 25와트(Watt) 내지 45와트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레이저 또는 적외선이 조사되지 않을 나머지 부분은 마스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주사 구동부(120, 120') 및 화소영역(105)과, 주사 구동부(120, 120')와 화소영역(105) 사이에 위치된 배선들(미도시)에는 레이저 또는 적외선이 조사되지 않도록 마스킹되는데, 이는 배선들 및 소자들이 레이저 또는 적외선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마스크의 재료는 구리, 알루미늄의 이중막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도 6c)
이후, 두 기판이 합착되는 면의 가장자리에 위치되어 레이저 또는 적외선에 의해 용융된 프릿(300)은 다시 경화되면서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을 접착시킨다.(도 6d)
한편, 전술한 제조공정에서는 프릿(300)을 제2 기판(200)에 도포하여 제1 및 제2 기판(200)을 접착시켰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릿(300)은 화소영역(105) 등이 형성된 제1 기판(100)에 먼저 도포될 수도 있고, 제1 및 제2 기판(100, 200) 모두에 도포되어 제1 및 제2 기판(100, 200)을 접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2 기판(20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지 기판으로 설정되는 경우, 프릿(300)은 제2 기판(200)의 전면에 동일한 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전술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프릿(300)으로 제1 및 제2 기판(100, 200)을 접착시킴으로써 화소영역(105)이 포함된 내부공간으로 산소 및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배면발광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 검은색을 띠는 프릿(300)을 제2 기판(200)의 내측면 전면(全面)에 형성하여 블랙 매트릭스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빛샘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화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기판(100, 200)을 밀봉하는 단계에서 블랙 매트릭스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공정을 통해 제2 기판(200)을 불투명처리하거나 차광막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 공정이 단순화되고, 공정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화소영역(105) 및 주사 구동부(120, 120') 등의 소자가 형성된 부분과 중첩되도록 위치된 프릿(300)에는 레이저 또는 적외선이 조사되지 않도록 하고 프릿(300)의 가장자리 부분에만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소자의 변형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프릿으로 제1 및 제2 기판을 접착시킴으로써 화소영역이 포함된 내부공간으로 산소 및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배면발광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서 검은색을 띠는 프릿을 제2 기판의 내측면 전면(全面)에 형성하여 블랙 매트릭스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빛샘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화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기판을 밀봉하는 단계에서 블랙 매트릭스도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공정을 통해 제2 기판을 불투명처리하거나 차광막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 공정이 단순화되고, 공정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3)

  1. 배면발광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구비된 화소영역 및 상기 화소영역 주변의 비화소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화소영역 및 상기 비화소영역의 적어도 일영역과 중첩되도록 상기 제1 기판의 상부에 배치된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내측면 전면에 형성된 프릿을 포함하며,
    상기 비화소영역의 적어도 일영역과 대응되는 프릿은 상기 화소영역과 중첩되는 프릿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비화소영역과 대응되는 부분의 프릿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이 서로 합착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릿은 유리재료와,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재와, 열팽창계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필러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은 투명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4. 배면발광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구비된 화소영역 및 상기 화소영역 주변의 비화소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화소영역 및 상기 비화소영역의 적어도 일영역과 중첩되도록 상기 제1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며, 중앙부의 두께가 가장자리의 두께보다 작도록 에칭된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내측면 전면에 형성된 프릿을 포함하며,
    상기 비화소영역과 대응되는 부분의 프릿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이 서로 접착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릿은 상기 제2 기판의 전면에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6.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구비된 화소영역 및 상기 화소영역 주변의 비화소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과, 상기 화소영역 및 상기 비화소영역의 적어도 일영역과 중 첩되도록 상기 제1 기판의 상부에 배치된 제2 기판을 포함하는 배면발광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합착될 상기 제2 기판의 전면에 프릿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소성하여 프릿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형성된 프릿의 적어도 일영역에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을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릿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비화소영역의 적어도 일영역과 대응되는 프릿은 상기 화소영역과 대응되는 프릿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릿 중 상기 비화소영역과 중첩되는 프릿의 적어도 일영역에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조사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및 적외선의 파장은 800nm 내지 1200nm로 설정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조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화소영역과 중첩되도록 형성된 프릿을 마스킹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또는 상기 적외선을 흡수하는 흡수재를 포함한 프릿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릿은 상기 레이저 또는 적외선을 흡수하여 용융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기판에 접착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3.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릿 페이스트의 소성온도는 300℃ 내지 500℃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60008763A 2006-01-27 2006-01-27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45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763A KR100645705B1 (ko) 2006-01-27 2006-01-27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6199920A JP4800868B2 (ja) 2006-01-27 2006-07-21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1/641,359 US7893613B2 (en) 2006-01-27 2006-12-19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frit se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TW096100665A TWI376977B (en) 2006-01-27 2007-01-08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EP07101067A EP1814174B1 (en) 2006-01-27 2007-01-24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B2007100077821A CN100539178C (zh) 2006-01-27 2007-01-26 有机发光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763A KR100645705B1 (ko) 2006-01-27 2006-01-27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5705B1 true KR100645705B1 (ko) 2006-11-15

Family

ID=37654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763A KR100645705B1 (ko) 2006-01-27 2006-01-27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93613B2 (ko)
EP (1) EP1814174B1 (ko)
JP (1) JP4800868B2 (ko)
KR (1) KR100645705B1 (ko)
CN (1) CN100539178C (ko)
TW (1) TWI376977B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55148A1 (en) * 2007-05-22 2009-05-06 Corning Incorporated Llt barrier layer for top emission display device, method and apparatus
EP2102897A1 (en) * 2007-01-12 2009-09-23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sealing glass
KR20140082248A (ko) * 2012-12-24 2014-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101465478B1 (ko) * 2008-02-18 2014-1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3771B1 (ko) * 2010-08-20 2017-07-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57861B1 (ko) * 2012-09-28 2017-07-14 오스람 오엘이디 게엠베하 광전자 컴포넌트 및 광전자 컴포넌트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KR101904467B1 (ko) * 2012-07-25 2018-10-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66101A (ko) * 2017-12-04 2019-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4496A1 (en) * 2007-08-16 2009-02-19 Botelho John W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a glass package
US8063562B2 (en) * 2007-11-19 2011-11-22 Seiko Epson Corporation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9129556A (ja) * 2007-11-20 2009-06-11 Seiko Epson Corp 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320107B1 (ko) * 2007-12-31 2013-10-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EP2139041B1 (en) * 2008-06-24 2015-08-19 LG Display Co., Ltd. Luminescence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10135163A (ja) * 2008-12-04 2010-06-17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の製造方法、製造装置及び表示装置
KR101002659B1 (ko) * 2008-12-23 2010-12-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5853350B2 (ja) * 2010-03-08 2016-02-09 住友化学株式会社 電気装置
KR101233349B1 (ko) * 2010-07-07 2013-0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120044020A (ko) * 2010-10-27 2012-05-0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12097174A1 (en) * 2011-01-13 2012-07-19 Eden Park Illumination, Inc. Method of sealing and spacing planar emissive devices
WO2012159074A1 (en) 2011-05-18 2012-11-22 Eden Park Illumination, Inc. Planar plasma lamp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150012321A (ko) * 2012-05-18 2015-02-04 파나소닉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KR20140061095A (ko) * 2012-11-13 2014-05-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80012B1 (ko) * 2013-07-12 2020-0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5187672A (ja) * 2014-03-27 2015-10-29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CN103936287A (zh) * 2014-03-31 2014-07-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玻璃粉混合物、玻璃粉浆料和光电封装件
CN104934550A (zh) * 2015-05-07 2015-09-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器件的封装结构、封装方法以及电子设备
CN104795433B (zh) 2015-05-08 2016-07-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102511413B1 (ko) 2015-12-15 2023-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9308435B (zh) * 2017-07-27 2023-12-22 固安翌光科技有限公司 用作指纹识别装置光源的oled屏体及光学指纹识别装置
CN107871453A (zh) * 2017-10-31 2018-04-03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模组及其制备方法
TWI666794B (zh) * 2018-08-02 2019-07-21 Southern Taiw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有機光電元件封裝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6395A (en) * 1979-08-10 1981-03-13 Fujitsu Ltd El display unit
KR19990005701A (ko) 1997-06-30 1999-01-25 배순훈 자동제빙기의 급수장치
JPH11231121A (ja) * 1998-02-17 1999-08-27 Toppa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ー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103279B2 (ja) * 1999-12-15 2008-06-18 凸版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KR20040002956A (ko) 2001-05-24 2004-01-07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인캡슐레이션 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3724725B2 (ja) * 2001-11-01 2005-12-0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の製造方法
DE10222958B4 (de) * 2002-04-15 2007-08-16 Schot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rganischen elektro-optischen Elements und organisches elektro-optisches Element
US7459220B2 (en) * 2002-05-10 2008-12-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luminescent panel
US7229703B2 (en) 2003-03-31 2007-06-12 Dai Nippon Printing Co. Ltd. Gas barrier substrate
US6998776B2 (en) * 2003-04-16 2006-02-14 Corning Incorporated Glass package that is hermetically sealed with a frit and method of fabrication
US20050238803A1 (en) * 2003-11-12 2005-10-27 Tremel James D Method for adhering getter material to a surface for use in electronic devices
US20050248270A1 (en) * 2004-05-05 2005-11-10 Eastman Kodak Company Encapsulating OLED devices
JP2006012742A (ja) * 2004-06-29 2006-01-12 Tohoku Pioneer Corp 有機el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封止空間充填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371143B2 (en) 2004-10-20 2008-05-13 Corning Incorporated Optimization of parameters for sealing organic emitting light diode (OLED) displays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02897A1 (en) * 2007-01-12 2009-09-23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sealing glass
EP2102897A4 (en) * 2007-01-12 2011-11-02 Corning Inc GLASS SEALING PROCESS
EP2055148A1 (en) * 2007-05-22 2009-05-06 Corning Incorporated Llt barrier layer for top emission display device, method and apparatus
EP2055148A4 (en) * 2007-05-22 2011-11-09 Corning Inc TLIQ BARRIER LAYER FOR TOP EMISSION DISPLAY DEVICE, METHOD AND APPARATUS
KR101465478B1 (ko) * 2008-02-18 2014-1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3771B1 (ko) * 2010-08-20 2017-07-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904467B1 (ko) * 2012-07-25 2018-10-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57861B1 (ko) * 2012-09-28 2017-07-14 오스람 오엘이디 게엠베하 광전자 컴포넌트 및 광전자 컴포넌트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KR20140082248A (ko) * 2012-12-24 2014-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101960388B1 (ko) * 2012-12-24 2019-03-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20190066101A (ko) * 2017-12-04 2019-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491760B1 (ko) * 2017-12-04 2023-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14174B1 (en) 2012-06-27
TW200733790A (en) 2007-09-01
JP2007200848A (ja) 2007-08-09
JP4800868B2 (ja) 2011-10-26
EP1814174A1 (en) 2007-08-01
CN101009317A (zh) 2007-08-01
US7893613B2 (en) 2011-02-22
US20070176553A1 (en) 2007-08-02
TWI376977B (en) 2012-11-11
CN100539178C (zh) 200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705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45706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45707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4554554B2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926580B2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71638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2135882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JP4624309B2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463789B2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890982B2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32808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732817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45328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8066266A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KR100703457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85423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10067366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62156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45330B1 (ko)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