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583B1 - 보강토 옹벽 축조 방법 - Google Patents

보강토 옹벽 축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583B1
KR100641583B1 KR1020040039391A KR20040039391A KR100641583B1 KR 100641583 B1 KR100641583 B1 KR 100641583B1 KR 1020040039391 A KR1020040039391 A KR 1020040039391A KR 20040039391 A KR20040039391 A KR 20040039391A KR 100641583 B1 KR100641583 B1 KR 100641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reinforcement
soil
arch
arch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4166A (ko
Inventor
김옥민
Original Assignee
(주)그라스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라스본 filed Critical (주)그라스본
Priority to KR1020040039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583B1/ko
Publication of KR20050114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07PV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51Including fibers
    • E02D2300/0053Including fibers made from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토를 이용한 성토부 및 절토부의 보강토 옹벽 전면 녹화 방법 및 그 축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토 및 보강토체 뒤채움흙의 쏘일 아칭(soil arching) 효과를 이용하여 성토부 및 절토부 옹벽에 적용하여 친환경적인 녹화를 통하여 늘푸른옹벽을 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절토부에서는 쏘일네일(soil nail) 및 앵커(anchor)와 결합하여 녹화 및 축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옹벽 전면에 식생이 가능하도록 아치형태의 보강토 옹벽용 블록과 유리섬유(또는 토목섬유) 그리드 보강재, 띠 유리섬유(또는 토목섬유)보강재, 아연도금된 와이어 로프 보강재를 연결 바(bar), 와이어 클립과 결합하고 아치블록과 블록 사이 및 배면 뒤채움 인공토의 아칭 효과(arching effect)를 이용하여 성토부 및 절토부에 녹화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보강토 옹벽 공법으로서, 중장비 다짐(compaction)으로 인한 벽체 수평변형 및 배부름(bulging) 현상이 방지되며, 자갈뒤채움이 필요없으며, 지진 발생 지역에서도 안정성이 확보되며, 호안 및 해안의 수리 구조물 옹벽의 기능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특히 절토부 적용시 쏘일 네일 및 앵커 공법에서 필요한 쇼크리트(shotcrete), 와이어 메쉬(wire mesh), 캡(cap), 라이닝 콘크리트(lining concrete), 지압판을 제외하여 아치블록으로 형성된 보강토 옹벽과 결합하여 시공이 가능한 공법을 특징으로 한다.
보강토 옹벽, 인공토, 녹화, 식생, 절토부, 유리섬유, 토목섬유, 그리드 보강재, 띠보강재, 와이어 로프 보강재, 늘푸른옹벽, 아치블록, 아칭효과

Description

보강토 옹벽 축조 방법 {The method of building the reinforced earth wall }
도 1a는 인공토를 이용하여 녹화 완료된 보강토 옹벽 축조 단면도, 도 1b는 아치블록을 수평 이격거리 없이 축조한 단면도, 도 1c는 인공토체, 보강토체, 배면토체의 구분 평면도,
도 2a는 중간 걸림턱이 있는 아치블록 사시도, 도 2b는 끝 걸림턱이 있는 아치블록 평면도, 도 2c, 도 2d는 중간 걸림턱과 끝 걸림턱이 있는 아치블록과 띠 보강재 연결 평면도, 도 2e는 아치블록과 그리드 보강재 연결 측면도
도 3a, 도3b, 도 3c는 절토부 적용시 와이어 로프 보강재와 쏘일 네일 및 앵커의 연결상세도
도 4a, 도 4b, 도 4c, 도 4d, 도 4e는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 축조 구체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보강토 옹벽 벽체 110 : 아치블록
210 : 와이어 클립 300 : 그리드 보강재
310 : 띠 보강재 400 : 쏘일 네일 및 앵커
410 : 연결 철근 500 : 녹화
본 발명은 인공토를 이용한 성토부 및 절토부의 보강토 옹벽 전면 녹화 방법 및 그 축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토 및 보강토체 뒤채움흙의 쏘일 아칭(soil arching) 효과를 이용하여 성토부 및 절토부 옹벽에 적용하여 친환경적인 녹화를 통하여 옹벽을 늘 푸르게 하는 방법 및 그 축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강토 옹벽의 전면 식생 및 녹화 방법으로는 옹벽용 블록을 뒷물림(setback) 적층하여 그 뒷물림 공간에 식생을 하는 화분형 식생 방법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0335073호, 실용신안등록 제 0297571호가 있고, 옹벽용 블록과 블록 사이에 화분형태를 결합하여 식생하는 방법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0341395호, 실용신안등록 제 0324831호가 있다. 상기 이 두 형태의 식생 방법은 연중 수분이 공급되는 물가 지역에서 초기에 다소 식생이 가능하나, 햇볕의 복사열로 인한 블록 자체의 온도 상승으로 식물이 말라 고사하고 뿌리가 충분히 내리기에 블록 화분의 깊이가 얕아 영구적인 식생이 되기에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것과 유사한 식생 방법으로는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그 공간으로 식물의 뿌리가 내리는 식생 방법으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0322869호, 특허등록 제 0322868호, 실용신안등록 제 0304540호가 있으며, 이 다공성 콘크리트(또는 고로슬래그) 블록은 다공질 알갱이로 블록을 형성하므로 재령 28일 압축강도가 150kg/cm2 이하로 발휘되어, 블록의 균열이 발생하므로 높이 2m 이상의 옹벽을 축조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다공질 알갱이 사이로 식물의 뿌리가 통과하여야 하기 때문에 식생에 장애가 발생하며, 강 알칼리성의 콘크리트(또는 고로슬래그)를 중화할 수 있는 혼화재를 첨가하여야 한다. 한편 이러한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식생방법은 계속적으로 수분이 공급되는 지역에서만 영구적으로 식생이 가능하므로, 일반적으로 호안 이외의 보강토 옹벽이 적용되는 지역에서는 식물이 고사하는 식생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 알갱이 사이로 식물의 뿌리가 내리게 하는 방법과 유사하게 블록의 중공을 통하여 식생이 되도록 하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408850호는 블록 배면의 토체와 연속하여 식생이 되도록 고안된 기술인데, 이러한 식생 방법은 의도한 바 대로 식생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이러한 식생 방법과 유사하게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0377449호, 특허 공보 1995-0011723은 철망 벽체 배면에 매트(부직포)를 설치하여 식물성장에 적합한 토양으로 전면 녹화 하는 방법으로, 식물이 뿌리를 내려 매트와 철망을 통과하여 식생되기에 매트(부직포) 자체가 상당한 장애 요소로 실제적으로 식생되기에 어려움 뿐만 아니라, 철망의 낮은 강성(stiffness)으로 인하여 중장비 다짐시 철망이 옹벽 전면방향으로 밀리는 현상과 철망과 철망이 상, 하, 좌, 우로 중첩된 부분에서 특히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어 옹벽 선형을 맞추기가 어려우므로 강관 파이프로 구성된 비계(scaffold)와 같은 지지 장비를 사용하여 선형을 정리하여야 하는 현장 시공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393515호는 콘크리트 빔을 적층하여 그 적층 공간사이로 자연적인 식생이 되도록 고안한 기술인데, 이 기술은 콘크리트 빔의 조적 경사로 인하 여 콘크리트 빔 사이로 수분이 공급되기가 실제로 어렵고 비탈면과 콘크리트 빔 사이의 뒤채움흙 폭이 깊지 않아, 식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절토부 옹벽 적용에 대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372821호, 특허등록 제 062689호는 블록과 콘크리트 패널을 비탈면에 각 각 적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기술인데, 이 기술은 전면벽체에 식생이 불가능하여 절토부 적용시 시각적 안정감 뿐만아니라 환경친화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보강토 옹벽 전면 벽체 식생 방법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인공토를 이용하여 성토부 및 절토부의 보강토 옹벽 전면을 녹화할 수 있는 방법과 축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기중의 햇볕으로 인하여 블록 자체의 온도 상승으로 식물이 고사하는 것을 방지하고, 식물이 뿌리를 잘 내릴 수 있도록 장애가 되는 장애물을 제거하여 벽체 전면으로 녹화가 가능하고, 양분과 수분이 충분히 공급되어 옹벽이 늘 푸르게 녹화될 수 있도록 하는 보강토 옹벽 전면 식생 방법과 그 축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은 상단이 아치형인 전면부; 및 전단은 상기 전면부에 연결되고, 상단과 후면이 트여있는 박스형 공간이 형성된 흙받이부; 로 구성된 아치블록을 이용하여 녹화(綠化)된 벽면을 갖는 옹벽을 축조하는 방법에서, (a) 상기 아치블록을 옹벽 축조라인에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하여 한층의 아치블록을 쌓는 단계; (b) 마사토, 슬러지, CMC를 배합한 인공토에 꽃씨, 콩과류 등을 혼합하여 상기 아치블록 흙받이부, 아치블록 사이 및 아치블록 배면에 일정한 폭으로 포설한 후 다져 인공토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인공토층의 배면에 보강토를 포설한 후 다져 보강토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아래층의 아치블록 2개에 거치되도록 한 층의 아치블록을 더 쌓아올리는 단계; 및 (e) 상기 (b)단계 내지 (d)단계를 반복하여 성토지반을 형성하며 소요높이까지 옹벽을 쌓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보강토 옹벽의 보강을 위해서는, 상기 아치블록은 상기 흙받이부의 양측면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 및 흙받이부의 상부에 연결홈;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d)단계는, PVC 파이프 또는 유리섬유바(bar)로 이루어진 연결바를 상기 아치블록 걸림턱 사이의 간격 이하의 폭을 갖고, 폭방향을 따라 봉재(sewing)공간이 형성된 띠 보강재의 봉재공간에 끼우고, 상기 연결바를 아치블록의 걸림턱에 걸어 고정시킨 후 상기 띠 보강재를 아치블록의 배면으로 잡아당기며 두는 공정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d)단계에서는, 아치블록을 쌓기 전에, 그리드 보강재를 아래층의 인공토층 및 보강토층 위에 평탄하게 깔아 놓는 공정을 더 포함시키거나 PVC 파이프 또는 유리섬유바로 이루어진 연결바를 그리드 보강재로 감아싸 상기 연결홈에 끼워 넣고 상기 그리드 보강재를 아치블록의 배면으로 잡아당겨 두는 공정을 더 포함시킴으로서 보강토 옹벽을 더욱 강하게 보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토 옹벽 축조방법을 절토면 등의 사면의 전면에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면에는 사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앵커가 박혀있고, 상기 앵커의 두부에는 연결철근이 가로방향으로 결합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는 상기 (d)단계에 PVC 파이프 또는 유리섬유바로 이루어진 연결바를 상기 아치블록의 걸림턱에 걸어 고정시킨 후, 아연도금된 와이어 로프를 상기 연결철근과 연결바에 각각 팽팽하게 결속시키는 공정을 포함시키거나, 상기 와이어 로프를 상기 연결철근과 다수개의 연결바에 지그재그로 걸어 결속시키는 공정을 포함시킴으로서 보강토 옹벽을 보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때, 상기 와이어 로프는 와이어 클립을 이용하여 결속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아치블록(110)을 설치하기 전 아치블록의 유연성과 지반의 연약정도에 따라 기초(150)를 설치하지 않거나, 설치하여 기초(150) 위에 아치블록(110)으로 형성된 보강토 옹벽벽체(100)를 적층하면서 인공토(120) 및 보강토체(130)를 뒤채움한후, 상기 보강토 옹벽 벽체와의 정착수단에 의하여 연결되는 보강재를 아치블록 옹벽 벽체 배면에 설치하는 단계 및 소요높이까지 아치블록으로 구성된 보강토 옹벽 벽체를 설치한 후 마무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보강토 옹벽을 축조해야할 지반에 기초(150) 터파기를 하고, 그 기초 터파기면에 기초를 설치한 후 아치블록(110)으로 이루어진 옹벽 벽체(100)를 차례로 소요의 높이까지 적층한다. 이 때 옹벽 벽체(100) 축조 방법의 경우 본 발명에서는 2가지 형태가 이용될 수 있는데, 도 1a와 같이 아치블록과 아치블록을 뒤채움흙의 종류에 따라 최대 23cm까지 수평으로 이격하여 인공토(120) 및 뒤채움흙의 쏘일 아칭 효과(soil arching effect)가 최대한 발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녹화 축조방법과 도 1b와 같이 아치블록간 수평 이격거리 없이 상호 엇갈려 적층하는 축조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도 1a와 도 1b의 축조 방법 차이는 보강토 옹벽이 설치되는 지역의 물의 유속(water velocity)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유속이 느린 지역에서는 도 1a와 같은 축조 방법을 따르고, 유속이 빠른 지역에서는 도 1b와 같은 축조 방법을 따른다.
도 1a와 같은 축조 방법을 따를 때는 도 1c와 같이 아치블록(110) 배면에 아치블록에 평행하게 인공토(120)와 보강재 길이 방향의 폭까지 보강토체(130), 그 배면으로 배면토체를 다짐(compaction)하여 보강토옹벽 벽체(100)를 축조한다. 또한 도 1b와같은 축조 방법을 따를 때는 인공토 없이 보강토체(130)와 배면토체(140)로 이루어진 성토체로 보강토옹벽 벽체(100)를 축조한다.
상기 인공토(120)는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마사토, 슬러지, CMC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강토 옹벽 시공시 이 배합된 인공토에 지역 및 계절에 따른 꽃씨, 콩과류 등을 혼합하여 아치블록(110) 속, 아치블록 사이 및 아치블록 배면으로부터 아치블록에 평행하게 10cm∼30cm 폭으로 포설, 다짐하고 블록 자체의 온도 상승이나, 장애요소 없이 아치블록 사이로 수분과 영양분이 공급되어 녹화가 되며, 뒤채움흙의 쏘일 아칭 효과로 흙이 옹벽 전면으로 쏟아지지 않도록 아치블록간 수평이격 거리를 최대 23cm 까지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CMC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약어로서, 과립상의 분말로 존재하며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하고 인체에 무해하여 증량제, 유화분산제, 접착제, 현탁제 등 일반 공업용으로 사용됨은 물론, 식품첨가제, 약품첨가물, 사료첨가물 등으로 폭넓게 사용되는 물질이다.
상기 보강토 옹벽벽체는(100)는 크게 옹벽 벽체(100)를 구성하는 아치블록(110)과 정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며, 도 3내지 도4와 같이 그리드 보강재(300), 띠 보강재(310), 와이어 로프 보강재(320)를 이용하여 보강토 옹벽벽체를 축조할 수 있다.
상기 보강토 옹벽 벽체(100)를 이루고 있는 아치블록(110)은 도 2a 및 도2c 같이 수평으로부터 옹벽 경사를 최대 76도까지 적층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옹벽 경사 조절턱(111), 띠 보강재와 결속되는 중간 걸림턱(113), 시공 중간 손잡이(116), 그리드 보강재(300) 연결홈(11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과 유사하게 도 2b 및 도 2d와 같이 띠 보강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끝 걸림턱(114), 끝 걸림턱 주위에 있는 시공 끝 손잡이(115)이가 따로 있는 두 형태가 있다.
상기 그리드 보강재(300)와 띠 보강재(310)는 유리섬유 및 토목섬유가 사용되며, 와이어 로프 보강재(320)는 뒤채움 흙에 의해 포설되므로 수분 등의 원인으로 부식되어 결과적으로 옹벽 벽체에 작용하는 뒤채움에 의한 토압을 지지하지 못 한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아연 도금 또는 에폭시 코팅된것을 이용하거나, 재료적으로 부식되지 않는 복합재료 즉 보강 플라스틱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드 보강재(300)와 보강토 옹벽 벽체(100) 아치블록과의 정착수단에 의하여 옹벽벽체에 정착되며, 상기 정착수단은 도 2e와 같이 아치블록(110)의 상부에 존재하는 그리드 연결홈(112)을 이용하여 PVC 파이프 또는 유리섬유바(bar)로 이루어진 연결바(220)를 그리드 보강재(300)로 감아싸 연결홈에 끼워 넣는 기계적 저항(mechanical resistance) 체결 방식과 그리드 보강재를 아치블록(110) 하부 바닥 및 상부에 올려놓는 마찰 저항(frictional resistance) 체결 방식을 이용한다.
상기 띠 보강재(310)가 아치블록과 연결될 때 도 2c 및 도 2d와 같이 띠 보강재 상부와 하부에 있는 봉재(311, sewing) 공간에 PVC 파이프 또는 유리섬유바(bar)를 삽입하여 아치블록과 중간 걸림턱(113)과 끝 걸림턱(114)에 걸어 정착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로프 보강재(320)가 절토부에 사용될 경우, 도 3과 같이 비탈면에 설치되어 있는 쏘일 네일 및 앵커(400)에서 와이어 메쉬, 쇼크리트, 라이닝 콘크리트, 캡, 지압판 없이 아치블록(110), 와이어 로프 보강재(320), 정착수단을 이용하여 절토부보강토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
상기 정착수단은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쏘일 네일 및 앵커(400) 두부에 연결 철근(410)을 용접하여 와이어 로프 보강재(320)를 단독 또는 지그재그식으로 연속적으로 연결철근과 아치블록에 결속하고, PVC 파이프 또는 유리섬유바(bar)로 이루어진 연결바(220)를 이용하여 양 쪽에 와이어 클립(210)으로 고정시켜 쏘일 네일 및 앵커와 보강토 옹벽벽체(100)를 결속할 수 있다.
상기 아치블록(110), 그리드 보강재(300), 띠 보강재(310), 와이어 로프 보강재(320), 여러 정착수단을 이용하여 성토부 및 절토부에 적용하여 보강토 옹벽 전면벽체를 녹화 및 축조가 가능하며, 그 구체적 예는;
도 4a와 같이 그리드 보강재(300)를 이용한 성토부 적용, 도 4b와 같이 띠 보강재(310)를 이용한 성토부 적용, 도 4c와 같이 그리드 보강재와 띠 보강재를 혼합한 성토부 적용, 도 4d와 같이 와이어 로프 보강재(320)와 와이어 클립(210)를 이용하여 쏘일 네일 및 앵커(400)에 연결하여 축조된 절토부 적용, 도 4e는 하안 에 적용한 구체적 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보강토 옹벽 축조방법을 하안(河岸)岸)에 적용할 때는, 보강토 옹벽 중 수면의 아래부분은 아치블록간에 간격을 두거나 간격을 두지 않고 배치하며, 수면 위에서 인공토층이 형성되는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는 자갈로 뒤채움하여 적층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아치 형태의 블록을 이용하여 블록 배면에 10∼30cm 폭으로 포설되는 마사토, CMC, 슬러지, 계절별 꽃씨, 콩과류 등을 지역에 따라 식생이 가능하도록 적합하게 배합된 인공토와 그 배면 보강토체 뒤채움흙의 아칭 효과(arching effect)를 이용하여 아치블록과 아치블록 사이를 일정한 간격의 거리를 두고 상호 엇갈려 쌓아 축조함으로써 성토체의 자갈 사용 없이도 블록 배면에 바로 접근하여 중장비 다짐이 가능하고, 기존의 블록식 보강토 옹벽에서 발생하는 벽체 배부름(bulg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성토부 및 절토부에서 보강토 옹벽 시공시 그리드(grid) 보강재, 띠(strip) 보강재, 와이어 로프 보강재 등의 다양한 보강재를 옹벽 높이와 적용 지역 및 환경에 따라 선택, 또는 조합하여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인공토로 인하여 영구적으로 유지관리가 필요없이 보강토 옹벽 전면이 자연적으로 녹화가 가능하다.

Claims (8)

  1. 상단이 아치형인 전면부; 및 전단은 상기 전면부에 연결되고, 상단과 후면이 트여있는 박스형 공간이 형성된 흙받이부; 로 구성된 아치블록을 이용하여 녹화(綠化)된 벽면을 갖는 옹벽을 축조하는 방법에서,
    (a) 상기 아치블록을 옹벽 축조라인에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하여 한층의 아치블록을 쌓는 단계;
    (b) 마사토, 슬러지, CMC를 배합한 인공토에 꽃씨, 콩과류 등을 혼합하여 상기 아치블록 흙받이부, 아치블록 사이 및 아치블록 배면에 일정한 폭으로 포설한 후 다져 인공토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인공토층의 배면에 보강토를 포설한 후 다져 보강토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아래층의 아치블록 2개에 거치되도록 한 층의 아치블록을 더 쌓아올리는 단계; 및
    (e) 상기 (b)단계 내지 (d)단계를 반복하여 성토지반을 형성하며 소요높이까지 옹벽을 쌓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아치블록은 상기 흙받이부의 양측면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 및 흙받이부의 상부에 연결홈;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d)단계는, PVC 파이프 또는 유리섬유바(bar)로 이루어진 연결바를 상기 아치블록 걸림턱 사이의 간격 이하의 폭을 갖고, 폭방향을 따라 봉재(sewing)공간이 형성된 띠 보강재의 봉재공간에 끼우고, 상기 연결바를 아치블록의 걸림턱에 걸어 고정시킨 후 상기 띠 보강재를 아치블록의 배면으로 잡아당기며 두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d)단계는,
    아치블록을 쌓기 전에, 그리드 보강재를 아래층의 인공토층 및 보강토층 위에 평탄하게 깔아 놓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 방법.
  4. 제2항에서,
    상기 (d)단계는, PVC 파이프 또는 유리섬유바로 이루어진 연결바를 그리드 보강재로 감아싸 상기 연결홈에 끼워 넣고 상기 그리드 보강재를 아치블록의 배면으로 잡아당겨 두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 방법.
  5. 제2항에서, 상기 보강토 옹벽 축조방법은 절토면 등의 사면의 전면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사면은 일정간격으로 앵커가 박혀있고, 상기 앵커의 두부에는 연결철근이 가로방향으로 결합되어 있어,
    상기 (d)단계는, PVC 파이프 또는 유리섬유바로 이루어진 연결바를 상기 아치블록의 걸림턱에 걸어 고정시킨 후, 아연도금된 와이어 로프를 상기 연결철근과 연결바에 각각 팽팽하게 결속시키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 방법.
  6. 제2항에서, 상기 보강토 옹벽 축조방법은 절토면 등의 사면의 전면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사면은 일정간격으로 앵커가 박혀있고, 상기 앵커의 두부에는 연결철근이 가로방향으로 결합되어 있어,
    상기 (d)단계는, PVC 파이프 또는 유리섬유바로 이루어진 연결바를 상기 아치블록의 걸림턱에 걸어 고정시킨 후, 아연도금된 와이어 로프를 상기 연결철근과 다수개의 연결바에 지그재그로 걸어 결속시키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보강토 옹벽 축조방법은 하안(河岸) 또는 해안(海岸)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보강토 옹벽 중 수면의 아래부분은 아치블록간에 간격을 두거나 간격을 두지 않고 배치하며, 수면 위에서 인공토층이 형성되는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는 자갈로 뒤채움하여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 방법.
  8. 제5항 또는 제6항에서,
    상기 와이어 로프는 와이어 클립을 이용하여 결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 방법.
KR1020040039391A 2004-05-31 2004-05-31 보강토 옹벽 축조 방법 KR100641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391A KR100641583B1 (ko) 2004-05-31 2004-05-31 보강토 옹벽 축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391A KR100641583B1 (ko) 2004-05-31 2004-05-31 보강토 옹벽 축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166A KR20050114166A (ko) 2005-12-05
KR100641583B1 true KR100641583B1 (ko) 2006-11-02

Family

ID=37288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391A KR100641583B1 (ko) 2004-05-31 2004-05-31 보강토 옹벽 축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5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30908A (zh) * 2017-01-18 2018-07-27 吴金栋 一种层叠式护岸护坡构造方法和实施工艺
CN111719587B (zh) * 2020-07-20 2023-10-20 浙江绿艺建设有限公司 生态挡土墙及施工方法
CN112031020A (zh) * 2020-09-25 2020-12-04 沈阳建筑大学 加强内拱混凝土砌块挡土墙
KR102294088B1 (ko) * 2021-06-28 2021-08-27 다성기업(주) 현장의 조건에 맞게 따로 또는 합쳐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옹벽블록 및 이들로 이루어진 중력식 옹벽블록유닛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9659A (en) 1980-09-05 1983-04-12 Steiner Silidur A.G. Building block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9659A (en) 1980-09-05 1983-04-12 Steiner Silidur A.G. Building bloc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166A (ko) 2005-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18499B (zh) 高陡岩质边坡植被重建***及该***的实施方法
KR100920027B1 (ko)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CN105113518B (zh) 一种坡面设有槽坑的边坡生态防护基材构筑方法
GB2185769A (en) Flexible ground cover structure
KR101162547B1 (ko) 녹화용 식생 보강 매트리스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CN107893422A (zh) 一种加固型生态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CN112075249A (zh) 一种边坡绿化种植v型槽及其施工方法
CN110839368A (zh) 一种边坡生态修复的植生袋装置、防护结构和施工方法
KR100860748B1 (ko) 허니셀 녹화공법
JP3083250B2 (ja) 法面の補強・緑化工法
CN114182745A (zh) 高液限土生态挡墙生态护坡路基及施工方法
CN104164854A (zh) 一种硬质坡体生态复绿的方法
KR100972549B1 (ko) 호안방틀
CN211621621U (zh) 一种高陡岩质边坡的植生袋防护装置
KR20090065039A (ko) 이중 스틸케이지로 성토부와 식생부를 분리 시공하여전체사면에 식물이 지속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식생 사면 조성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식생사면구조체
KR100641583B1 (ko) 보강토 옹벽 축조 방법
JP2008038369A (ja) 植生ネットおよび柔性枠組の結合による土地改良措置工法
CN105756015B (zh) 一种生物多样性动态景观生态复合***修复的方法
CN212324853U (zh) 一种边坡绿化种植v型槽
CN114635432A (zh) 基坑复合生态护坡的施工方法
CN212405193U (zh) 适用于寒冷地区高陡边坡的生态防护结构
CN212316949U (zh) 边坡的支护结构
CN110663397B (zh) 一种高陡边坡基质蒙皮束缚植生结构
CN112931075A (zh) 一种矿区客土挂网喷播绿化结构的施工工艺
CN110939141A (zh) 边坡的支护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