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8467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8467B1
KR100618467B1 KR1020047001741A KR20047001741A KR100618467B1 KR 100618467 B1 KR100618467 B1 KR 100618467B1 KR 1020047001741 A KR1020047001741 A KR 1020047001741A KR 20047001741 A KR20047001741 A KR 20047001741A KR 100618467 B1 KR100618467 B1 KR 100618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counterweight
pulley
hoistway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1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7848A (ko
Inventor
아베시게루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7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1 및 제2카 현수풀리장치가 카에 탑재되어 있다. 평형추에는 제1 및 제2평형추 현수풀리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승강로내의 상부에는 카측 리턴풀리장치 및 평형추측 리턴풀리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카 및 평형추를 현수하는 메인로프보디는 제1 및 제2단부를 가지고 있다. 메인로프보디의 제1카 현수풀리장치에서 제1단부에 연장하는 부분과, 메인로프보디의 제2카 현수풀리장치에서 구동시브에 연장하는 부분은 수직투형면내에서 카의 폭방향 중앙부분에 대하여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카 현수풀리장치, 승강로, 메인로프보디(main rope body), 구동시브(driving sheave), 평형추.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카 및 평형추를 승강하는 구동장치가 전용의 기계실에 아니고, 승강로내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즉 기계실무(machine-less)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도 11은 예로써 일본국 특개(2000-153975호 공보)에 나타낸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구체적으로는 4:1 로핑방식(roping system)의 기계실무 엘리베이터가 나타나 있다.
도에서, 승강로(1)내에는 한쌍의 카 가이드레일(2)과 한쌍의 평형추 가이드레일(3)이 설치되어 있다. 카(4)는 카 가이드레일(2)에 안내되어 승강된다. 평형추(5)는 평형추 가이드레일(3)에 안내되어 승강된다. 승강로(1)내의 상부에는 카 (4) 및 평형추(5)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6)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장치(6)는 구동시브(7)(driving sheave)를 가지고 있다. 또, 승강로(1)내의 상부에는 카측 리턴풀리(8)(car side return pulley) 및 평형추측 리턴풀리(9)가 배치되어 있다.
카(4)의 하부에는 한쌍의 제1카 현수풀리(10,11)와 한쌍의 제2카 현수풀리 (12,13)가 탑재되어 있다. 평형추(5)의 상부에는 제1평형추 현수풀리(14)와 제2 평형추 현수풀리(15)가 탑재되어 있다.
카(4) 및 평형추(4)는 1개 이상의 메인로프를 포함한 메인로프보디(main rope body)(16)에 의해 승강로(1)내에 현수되어 있다. 메인로프보디(16)는 승강로 (1)내의 상부의 고정부(17)에 접속되어 있는 제1 및 제2단부(16a,16b)를 가지고 있다. 또, 메인로프보디(16)는 제1단부(16a)에서 제1카 현수풀리(10), 제1카 현수풀리(11), 카측 리턴풀리(8), 제2카 현수풀리(12), 제2카 현수풀리(13), 구동시브 7), 제1평형추 현수풀리(14), 평형추측 리턴풀리(9) 및 제2평형추 현수풀리(15)의 순으로 감겨져 제2단부(16b)에 도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는 2개의 제1카 현수풀리(10,11) 및 2개의 제2카 현수풀리(12,13)를 카(4)의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메인로프보디(16)가 카(4)의 하부를 2회 통과하고 있다.
이에 따라, 메인로프보디(16)에서 카(4)에 가해지는 힘이 넓은 면적에 분산된다.
또, 상기의 공보에는 제1 및 제2카 현수풀리(10~13)가 카(4)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예도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에는 카를 현수하는 메인로프에서 카에 걸리는 상부방향의 합력이 카의 중앙부의 중심에 가능한 한 가까운 곳을 통과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또, 구동시브와 메인로프간의 마찰력에 문제없는 범위에서 카를 결량화하는 것도 구동장치의 용량 및 축하중을 작게 하는 관점에서 중요하다.
또한, 기계실무 엘리베이터에는 승강로의 평면치수(폭과 깊이)의 최소화 및 상하치수(승강로의 정상부 갭의 높이와 비트(pit)의 깊이)의 최소화도 중요하다.
또한, 적재량이 큰 저속의 승용 및 화물용의 엘리베이터에 무기어형(gear-less-type)의 구동장치를 적용하는 경우는 n:1(n
Figure 112004004606600-pct00001
2) 로핑방식이 채용된다. n:1 로핑방식에는 구동장치의 모터용량 및 브레이크 토크가 1:1 로핑방식에 비하여 1/n로 감소되며, 메인로프에 필요한 강도(로프의 수)도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n:1 로핑방식에는 현수풀리 및 리턴풀리의 수가 증가하여 비용이 높아짐과 동시에 중량도 크게 된다.
도 11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는 4개의 카 현수풀리(10~13)카 사용되고 있다.
그 때문에 부품개수가 많고, 구성이 복잡하여 카(4)의 총중량도 크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부품개수를 삭감하면서 구동장치의 모터용량 및 브레이크 토크를 저감할 수 있는 기계실무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구동시브를 가지며, 승강로내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장치,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로내를 승강시키는 카, 카에 구비되어 있는 제1 및 제2카 현수풀리장치,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로내를 승강시키는 평형추, 평형추에 구비되어 있는 제1 및 제2평형추 현수풀리장치,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카측 리턴풀리장치,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평형추측 리턴풀리장치 및 승강로내의 고정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1 및 제2단부를 가지며, 제1단부에서 제1카 현수풀리장치, 카측 리턴풀리장치, 제2카 현수풀리장치, 구동시브, 제1평형추 현수풀리장치, 평형추측 리턴풀리장치 및 제2평형추 현수풀리장치의 순으로 감겨져 카 및 평형추를 현수하는 메인로프보디를 구비하며, 메인로프보디의 제1카 현수풀리장치에서 제1단부에 연장하는 부분과 메인로프보디의 제2카 현수풀리장치에서 구동시브에 연장하는 부분은 수직투영면내에서 카의 폭방향 중앙부분에 대해서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다.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1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다음,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에서, 승강로(21)내에는 서로 평행인 한쌍의 카 가이드레일(22)과 서로 평행인 한쌍의 평형추 가이드레일(23)이 설치되어 있다. 카(24)는 카 가이드레일 (22)에 안내되어 승강로(21)내를 승강시키며, 평형추(25)는 평형추 가이드레일(23)에 안내되어 승강로(21)내를 승강시킨다.
승강로(21)의 상부에는 복수의 지지빔(블록)(27)을 가진 기계대(26)가 배치되어 있으며, 기계대(26)는 카 가이드레일(22) 및 평형추 가이드레일(2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즉, 기계대(26)는 카 가이드레일(22)만에 고정된 지지빔(27), 평 형추 가이드레일(23)만에 고정된 지지빔(27) 및 양방의 가이드레일(22,23)에 고정된 지지빔(27)을 포함할 수가 있다. 지지빔(27)은 분리하여도 되나 서로 연결된 견고한 기계대(26)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계대(26)에는 카(24) 및 평형추(25)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호이스팅 머신)(28)가 탑재되어 있다. 구동장치(28)는 모터(29)와, 그 모터(29)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시브(driving sheave)(30)를 가지고 있다. 또, 구동장치(28)는 감속장치를 가지지 않으며, 구동시브(30)가 모터(29)에 의해 직접회전되는 무기어형(gear-less-type)(직접구동부)이다.
또, 구동장치(28)는 수직투영면내에서 카(24)와 중첩되도록 카(24)의 후부각부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장치(28)는 수직투영면내에서 카(24)의 중심과 구동시브(30)와를 연결하는 직선이 모터(29)를 가로질러 배치되어 있다. 즉, 수직투영면내에는 모터(29)가 구동시브(30)보다도 카(24)의 중심축에 배치되어 있다.
기계대(26)에는 카측 리턴풀리장치(31)가 탑재되어 있으며, 카측 리턴풀리장치(31)는 자유자재의 2개의 카측 리턴풀리(32,33)를 가지고 있다. 카측 리턴풀리 (32,33)는 각각의 회전축이 카(24)이 깊이방향(도 2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카(24)의 폭방향(도 2의 좌우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카측 리턴풀리(32,33)는 수직투영면내에서 카(24)와 중첩되도록 카(24)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기계대(26)에는 평형추측 리턴풀리장치(34)가 탑재되어 있으며, 평형추측 리 턴풀리장치(34)는 회전자재의 1개의 평형추측 풀리(35)를 가지고 있다. 평형추측 리턴풀리(35)는 그의 회전축이 카(24)의 깊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평형추(25)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카(24)는 카 가이드레일(22)에 대향하는 제1 및 제2측벽(24a,24b)을 가지고 있다. 카(24)의 카 프레임(도면생략)에 고정된 제1취부부재(도면생략)에는 제1카 현수풀리장치(36)가 탑재되어 있으며, 제1카 현수풀리장치(36)는 제1측벽(24a)과 평행으로 배치된 회전자재의 1개의 제1카 현수풀리(37)를 가지고 있으며, 제1카 현수풀리(37)는 제1측벽(24a)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제1카 현수풀리(37)의 회전축은 제1측벽(24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카(24)의 카 프레임(도면생략)에 고정된 제2취부부재(도면생략)에는 제2카 현수풀리장치(38)에 탑재되어 있으며, 제2카 현수풀리(38)는 제2측벽(24b)와 평행으로 배치된 회전자재의 1개의 제2카 현수풀리(39)를 가지고 있으며, 제2카 현수풀리(39)는 제2측벽(24b)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제2카 현수풀리(39)의 회전축은 제2측벽(24b)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및 제2카 현수풀리(37,39)는 카(24)를 사이에 끼고, 카(24)의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평형추(25)의 상부에는 제1 및 제2평형추 현수풀리장치(40,41)가 탑재되어 있으며, 제1평형추 현수풀리장치(40)는 회전자재의 1개의 제1평형추 현수풀리(42)를 가지고 있으며, 제2평형추 현수풀리장치(41)는 회전자재의 1개의 제2평형추 현수풀리(43)를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평형추 현수풀리(42,43)는 그들의 회전축이 평형추(25)의 두께방향(도 2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평형추(25)의 폭방향(도 2의 좌우방향)으로 서로 간격으로 두고 배치되어 있다.
카(24) 및 평형추(25)는 1개 또는 복수개(통상 3개 이상)의 메이로프를 포함한 메인로프보디(44)에 의해 승강로(21)내에 현수되어 있다. 메인로프보디(44)는 제1 및 제2단부(44a,44b)를 가지고 있으며, 제1 및 제2단부(44a,44b)는 로프단고정장치(45,46)를 통하여 승강로(21)내의 상부의 고정부, 즉 기계대(26)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및 제2단부(44a,44b)는 기계대(26)에 접속되는 대신에 예로써 가이드레일(22,23)에 접속하여도 된다.
메이로프보디(44)는 제1단부(44a)에서 제1카 현수풀리(37), 카측 리턴풀리 (32), 카측 리턴풀리(33), 제2카 현수풀리(39), 구동시브(30), 제1평형추 현수풀리 (42), 평형추측 리턴풀리(35) 및 제2평형추 현수풀리(43)의 순으로 감겨져서 제2단부(44b)에 도달하고 있다. 즉, 카(24) 및 평형추(25)는 4:1 로핑방식에의해 현수되어 있다.
제1카 현수풀리(37), 카측 리턴풀리(32), 카측 리턴풀리(33), 제2카 현수풀리(39), 구동시브(30), 제1평형추 현수풀리(42), 평형추측 리턴풀리(35) 및 제2평형추 현수풀리(43)에는 메인로프보디(44)가 삽입되는 홈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또, 메인로프보디(44)의 제1카 현수풀리장치(36)에서 제1단부(44a)에 연장하는 부분과 메인로프보디(44)의 카 현수풀리장치(38)에서 구동시브(30)에 연장하는 부분과는 수직투형면내에서 카(24)의 폭방향 중앙부에 대하여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2개의 카 가이드레일(22)이 만드는 평면과 2개의 평형추(23)가 만드는 평면으로 서로 평행이다. 따라서, 평형추(25)는 카 (24)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평형추(25)의 배치는 "추(-)후낙하방식"(weight-falling-behind system)이라 불리우며, 폭넓은 카(24)를 사용한 경우에 적합하며, 승강로(21)의 폭이 크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4:1 로핑방식(roping system)의 기계실무-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배정을 채용함으로서 제1 및 제2의 카 현수풀리(36,38)에 사용되는 카 현수풀리 (37,39)를 각각 1개로 할 수가 있어서 부품개수를 삭감하여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카(24)에 탑재되는 카 현수풀리(37,39)의 합계개수를 최소 2개로 할 수 있으므로 카(24)의 총중량을 경감할 수가 있다.
또한 4:1 로핑방식에서는 카(24) 및 평형추(25)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일속도로 승강된다. 그리고, 구동시브(30)를 통과하는 메인로프보디(44)의 속도는 카 (24)의 속도의 4배로 된다. 그 결과, 1:1 로핑방식에서 비하여 구동시브(30)의 회전속도는 4배로 되나, 구동장치(28)에 요구되는 구동토크와 브레이크토크는 1/4이 된다. 따라서, 구동장치(28)의 용량은 1/4로 되어 비교적 염가의 구동장치(28)를 사용할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기계실무-엘리베이터에서는 구동장치(28)의 소음이 카(24)내로 전달되기 용이함으로 저소음의 무기어형(gear-less type)의 구동장치(28)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무기어형은 기어형에 비하여 고가이다.
이에 대해, 실시의 형태 1에서는 구동장치(28)의 용량을 1/4로 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비용을 저감하여 저소음의 무기어형의 구동장치(28)를 비교적 염가로 사용할 수가 있다. 그러나, 저소음의 기어형의 구동장치가 실현되면 구동장치는 무기어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구동장치(28)는 수직투형면내에서 카(24)와 중복되도록 카(24)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21)의 면적을 작게 할 수가 있다.
또한, 구동장치(28)는 수직투형면내에서 카(24)의 중심과 구동시브(30)을 연결하는 선분이 모터(29)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카(24)위에 있는 작업원에 의해 구동장치(28)의 브레이크장치(도면생략) 등의 보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단, 구동장치(28)의 적용은 실시의 형태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보수작업성에 문제가 없으면 구동시브(30)를 카(24)위에 가까운측에 배치하고, 모터 (29)를 외측에 배치하여도 된다.
또한, 제1 및 제2카 현수풀리(37,39)는 카(24)의 제1 및 제2의 측벽(24a, 24b)에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음으로 승강로(21)의 폭방향(도 2의 좌우방향)의 크기를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제1 및 제2카 형수풀리(37,39)는 카(24)의 제1 및 제2측벽(24a,24b)에 대향하고 있으므로 승강로(21)의 상하치수를 작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카측 리턴풀리(32,33) 및 평형추측 리턴풀리(35)는 구동장치(28)의 상하방향의 설치공간을 이용하여 배치할 수가 있어서 리턴풀리(32,33,35) 때문에 승강로(21)의 상하치수를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또, 기계대(26)는 가이드레일(22,23)에 의해 지시되어 있어, 가이드레일 (22,23)에 걸리는 하중은 승강로(21)의 저부(bottom portion)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예로써 승강로(21)의 벽부 등, 건물측에의 하중의 부담을 경감할 수가 있다.
그러나, 기계대(26)의 하중의 전부 또는 일부를 승강로(21) 상부의 건물측에 걸리도록 기계대(26)를 건물에 고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건물측에 요구되는 강도가 높게 되나, 가이드레일(22,23)의 부담은 경감되어 가이드레일(22,23)의 크기를 작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및 제2평형추 현수풀리(42,43)는 평형추(25)의 폭방향에 일직선상에 정열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평형추(25)의 두께를 얇게 하여 승강로(21)의 깊이치수를 작게 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2.
다음,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예에서는 2개의 카 가이드레일(22)이 만드는 평면과 2개의 평형추 가이드레일(23)이 만드는 평면이 서로 직교하고 있다. 따라서, 평형추(25)는 카(24)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평형추(25)의 배치는 "추-측면낙하방식" (weight-falling-sidewise system)으로 불리우며, 깊이의 길이가 카(24)에 적합하여 승강로(21)의 깊이의 크기 전체에 걸쳐서 카(24)를 배설할 수가 있어, 따라서 승강로(21)의 깊이방향의 크기를 필요최소한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카(24)의 전후에 출입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 "추-측면낙하방식"으로 함으로써 구동시브(30)와 제1 및 제2평형추 현수풀리(42,43)는 이들의 회전축이 카(24)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평형추측 리턴현수풀리(35)는 그 회전축이 카(24)의 폭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평형추 현수풀리(42,43)는 서로 동일축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평형추 현수풀리(42,43)는 평형추(25)의 두께방향(도 4의 좌우방향)으로 중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평형추(25)의 폭방향(도 4의 상하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추-측면낙하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적용할 수가 있어 부품개수를 삭감하면서 구동장치(28)를 소형화한 4:1 로핑방식의 기계실무 -엘리베이터를 실현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3.
다음,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5의 카(24)의 우측면, 저면 및 상면을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예에서는 카 현수풀리(37,39)가 카(24)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카 현수풀리(37,39)는 수직투형면내에서 제1 및 제2측벽(24a,24b)과 승강로벽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카 현수풀리(37,39)의 회전축은 제1 및 제2측벽(24a,24b)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실시의 형태 1의 카 현수풀리(37,39)의 위치가 하방으로 옮겨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카 현수풀리(37,39)는 카프레임(24c)의 하부임(하부 수평부)(24c)에 설치되어 있다. 그외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카 현수풀리(37,39)가 카(24)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카 현수풀리(37,39)의 축수부는 카(24)의 하부에 배치할 수가 있어서 승강로(21)의 폭치수가 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이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카 현수풀리(37,39)의 회전축방향이 카측 리턴풀리(32,33)의 회전축 방향이 직교되어 있으므로 카(24)가 승강로내의 상부로 이동하면 메인로프보디(44)의 로프에 비틀림이 발생한다. 이에 대하여,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카 현수풀리(37,39)가 카(24)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카(24)가 승강로(21)내의 상부로 이동했을 때 카 현수풀리(37,39)로부터 카측 리턴풀리(32,33)까지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메인로프보디(44)의 로프에 발생하는 비틀림을 억제할 수가 있어서 메인로프보디(44)의 마모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제1 및 제2카 현수풀리(37,39)는 카프레임(24c)의 하부빔(24c)에 설치 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카 현수풀리(37,39)의 설치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으며, 또 구조적으로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제1 및 제2카 현수풀리(37,39)가 카프레임의 하부빔(24c)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카프레임의 수직프레임(24d)에 설치된 경우에 비하여 수직프레임(24d)의 강도를 약하게 할 수 있어서, 카 프레임을 경량화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4.
다음,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에서는 가이드레일(22,23)을 생략하고 있다.
도에서 카(24)는 실시의 형태 1, 2에서는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카 프레임 (51)과 그 카 프레임(51)에 지지된 카 방(52)을 가지고 있다. 카 프레임(51)은 서로 평행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카 가이드레일(22)에 대향하는 제1 및 제2수직프레임(51a,51b)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측벽(24a,24b)의 상단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오목부(52a,52b)가 구비되어 있다. 제1카 현수풀리(37)는 제1수직프레임(51a)에 탑재되어 제1오목부 (52a)내에 배치되어 있다. 카2카 현수풀리(39)는 제2수직프레임(51a)에 탑재되어 제2오목부(52b)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1카 현수풀리(37)에서 상방으로 연장한 메인로프보디(44)의 2개 부분은 한쌍의 카 가이드레일(22)이 만드는 평면의 양면측에 나누어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카 현수풀리(39)에서 상방으로 뻗은 메인로프보디(44)의 2개 부분은 한쌍의 카 가이드레일(22)이 만드는 평면의 양면측에 나누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1 및 제2카 현수풀리(37,39)가 제1 및 제2오목부(52a,52b)내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승강로(21)의 폭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가 있다. 통상, 카룸(car room)(52)의 정상부에는 조명장치 등을 수용하는 공간이 있으므로 그 공간의 일부를 이용함으로써 카룸(52)내의 공간을 작게 할 필요없이 오목부(52a,52b)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 오목부(52a,52b)를 구비함으로써 카 현수풀리(37,39)를 수지프레임(51a ,51b)에 탑재할 수가 있어, 카 현수풀리(37,39)에서 상방으로 연장하는 메인로프보디(44)의 부분을 카 프레임(51)이 만드는 평면의 양면측에 균등하게 분배할 수가 있다. 따라서, 카(24)의 중심부근을 통과하도록 카 프레임(51)을 배치하면 카(24)의 중심에 대하여 메인로프보디(44)를 균형좋게 배치할 수가 있어 카(24)에 작용하는 상방향의 힘의 합력이 카(24)의 중심부근을 통과하도록 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슈(guide shoe) 및 가이드롤러(모두 도면생략)에 편하중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정상적인 응력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또, 카(24)의 중심부근을 통과하도록 카 프레임(51)을 배치할 수 있으므로 비상정지시에도 카 프레임 (51)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기 어려운 구조가 실현된다.
여기서, 실시의 형태 1, 2에서도 카(24)를 중심위치에서 현수되도록 카 현수풀리(37,39)를 배치하면, 통상 운전시에 가이드슈 및 가이드롤러에 작용하는 편하 중을 저감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카프레임이 카(24)의 중심을 통과하지 않으므로 카 프레임에서 부착부재를 연장하여 카 현수풀리(37,39)를 지지할 필요가 있다.
실시의 형태 5.
다음,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0에서는 가이드레일(22,23)을 생략하고 있다.
도에서 제1 및 제2카 현수풀리(37,39)는 카(24)의 상부에 배치되며, 또 수직투형면에서 카(24)의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카 현수풀리 (37,39)는 이들의 회전축이 카(24)의 깊이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카측 리턴풀리장치(31)는 카측 리턴풀리(53)를 1개만 가지고 있으며, 카측 리턴풀리(53)는 카(24)의 상부에서 기계대(26)에 탑재되어 있다. 또, 카측 리턴풀리(53)는 그 회전축이 카(24)의 깊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실시의 형태 2에 비하여 승강로(21)의 정상부에 필요한 갭의 높이치수가 크게 되나, 카측 리턴풀리(53)이 1개면 족함으로 부품개수를 더욱 삭감하여 구조를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즉, 풀리의 총수는 최소 7개까지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메인로프보디(44)에 포함되는 메인로프로서는 강철제로프를 사용할 수가 있다. 그러나, 높은 마찰계수를 가지고 가요성이 뛰어난 로프를 사용함으로써 구동시브(30) 및 기타 풀리의 직경을 작게 할 수가 있으며, 이들의 설치공간을 작게 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승강로(21)내의 공간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승강로(21)의 높이치수를 작게 억제할 수가 있다.
또, 구동시브 및 그외의 풀리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카룸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 구동시브, 카측 리턴풀리, 평형추측 리턴풀리, 카측 리턴풀리, 평형추 현수풀리의 최수 일부에 방음커버에 덮어도 된다.
또한, 카측 리턴풀리장치 및 평형추측 리턴풀리장치에서 사용되는 리턴풀리의 개수와 카 현수풀리장치 및 평형추 현수풀리장치에서 사용되는 현수풀리의 개수는 각각 최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3)

  1. 승강로,
    구동시브를 가지며, 상기 승강로내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
    상기 카에 구비되어 있는 제1 및 제2카 현수풀리장치;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평형추;
    상기 평형추에 구비되어 있는 제1 및 제2평형추 현수풀리장치;
    상기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카측 리턴풀리장치;
    상기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평형추측 리턴풀리장치; 및
    상기 승강로내의 고정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1 및 제2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1단부에서 상기 제1카 현수장치, 상기 카측 리턴풀리장치, 상기 제2카 현수풀리장치, 상기 구동시브, 상기 제1평형추 현수풀리장치, 상기 평형추측 리턴풀리장치 및 상기 제2평형추 현수풀리장치에 순으로 감겨져 상기 제2단부에 도달하고, 상기 카 및 상기 평형추를 현수하는 메인로프보디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로프보디의 상기 제1카 현수풀리장치에서 상기 제1단부에 연장하는 부분과, 상기 메인로프보디의 상기 제2카 현수풀리장치에서 상기 구동시브에 연장하는 부분이 수직투형면내에서 상기 카폭방향 중앙부분에 대하여 서로 반대측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구동시브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수직투영면 내에서 상기 카의 중심과 상기 구동시브를 연결하는 직선이 상기 모터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측 리턴풀리장치는 수직투형면내에서 상기 카와 중첩되도록 상기 카 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수직투형면내에서 상기 카와 중첩되도록 상기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47001741A 2002-01-30 2003-01-29 엘리베이터 장치 KR1006184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200722 2002-01-30
WOPCT/JP02/00722 2002-01-30
JPJP-P-2002-00000722 2002-01-30
PCT/JP2003/000846 WO2003064309A1 (fr) 2002-01-30 2003-01-29 Dispositif d'ascenseu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749A Division KR20060058148A (ko) 2002-01-30 2003-01-29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848A KR20040017848A (ko) 2004-02-27
KR100618467B1 true KR100618467B1 (ko) 2006-08-31

Family

ID=276392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749A KR20060058148A (ko) 2002-01-30 2003-01-29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47001741A KR100618467B1 (ko) 2002-01-30 2003-01-29 엘리베이터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749A KR20060058148A (ko) 2002-01-30 2003-01-29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17977B2 (ko)
EP (1) EP1471026B1 (ko)
JP (1) JP4312604B2 (ko)
KR (2) KR20060058148A (ko)
CN (1) CN1289379C (ko)
DE (1) DE60336301D1 (ko)
WO (1) WO20030643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93328B1 (en) * 2003-12-09 2013-04-2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apparatus
EP1588976A1 (de) * 2004-03-15 2005-10-26 Inventio Ag Aufzug für grosse Laten
JP2005263490A (ja) * 2004-03-15 2005-09-29 Inventio Ag 大荷重用エレベータ
EP1736431B1 (en) * 2004-04-14 2011-03-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apparatus
US7156209B2 (en) * 2004-05-28 2007-01-02 Inventio Ag Elevator roping arrangement
CN1802308A (zh) * 2004-06-08 2006-07-12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ATE411966T1 (de) * 2004-07-12 2008-11-15 Inventio Ag Aufzug und rollenanordnung zur verwendung in einem aufzug
EP1792868A4 (en) * 2004-09-24 2012-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MACHINE ROOMLESS ELEVATOR
FI118383B (fi) * 2004-11-16 2007-10-31 Kone Corp Hissin köysijärjestely
JP4861676B2 (ja) * 2005-10-24 2012-01-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0417583C (zh) * 2006-08-11 2008-09-10 西子奥的斯电梯有限公司 无机房电梯
US20080099283A1 (en) * 2006-10-25 2008-05-01 Robert Jacobus Reigwein Lift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Same
JP4656107B2 (ja) * 2007-08-16 2011-03-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JP4900971B2 (ja) * 2008-11-05 2012-03-2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8714524B2 (en) * 2009-12-16 2014-05-06 Herkules Equipment Corporation Belt-driven transportation system
US8662477B2 (en) * 2009-12-16 2014-03-04 Herkules Equipment Corporation Belt-driven transportation system
US8733508B2 (en) 2010-04-02 2014-05-27 Herkules Equipment Corporation Scissor lift assembly
US20120085594A1 (en) * 2010-10-11 2012-04-12 Tim Wright Drive Arrangement for Machine Roomless Elevator
RU2568238C2 (ru) 2011-04-06 2015-11-10 Отис Элевэйтор Компани Подъемная система с конфигурацией размещения канатов или ремней по типу 4:1
DE112011105384T5 (de) * 2011-06-27 2014-03-20 Mitsubishi Electric Corp. Doppeldeckeraufzug
CN102674111B (zh) * 2012-06-04 2015-06-17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电梯钢丝绳的绕绳结构
CN102976188B (zh) * 2012-11-26 2016-01-27 宁波申菱电梯配件有限公司 一种曳引比为4:1的电梯对重***
US9422142B2 (en) 2013-08-01 2016-08-23 Herkules Equipment Corporation Scissor-type lift assembly
EP2921446A1 (en) * 2014-03-18 2015-09-23 Kone Corporation An elevator
WO2016162084A1 (en) 2015-04-10 2016-10-1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afety gear alignment system and method
CN109720964A (zh) 2017-10-27 2019-05-07 奥的斯电梯公司 电梯牵引***以及电梯***
CN111762664A (zh) * 2020-07-30 2020-10-13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4比1对重侧中置无机房电梯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A (en) * 1837-08-08 Commo
JPS5724313B2 (ko) 1974-04-26 1982-05-24
JPS63154578A (ja) 1986-12-16 1988-06-27 Canon Inc シ−ト整合装置
JPH0466493A (ja) * 1990-07-09 1992-03-0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乗かごの天井装置
FI92043C (fi) * 1992-09-18 1994-09-26 Kone Oy Hissin köysijärjestely
JPH06263369A (ja) 1993-03-12 1994-09-20 Daiichi Shisetsu Kogyo Kk 昇降機
DE29704886U1 (de) 1997-03-20 1997-05-15 Boll, Rainer, 79541 Lörrach Aufzug
DE69908908T2 (de) * 1998-02-26 2004-05-19 Otis Elevator Co., Farmington Maschinenraumloses aufzugssystem mit aufzugsantrieb im aufzugskabine
DE29924745U1 (de) * 1998-02-26 2005-06-09 Otis Elevator Co., Farmington Richtungsübereinstimmung von Flachseilen für Aufzüge
JP4262805B2 (ja) * 1998-09-03 2009-05-1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MY121775A (en) * 1998-04-28 2006-02-28 Toshiba Kk Traction type elevator apparatus
JP2000063057A (ja) 1998-06-08 2000-02-29 Meidensha Corp エレベータ
US6290026B1 (en) * 1998-07-06 2001-09-1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Hydraulic elevator
FI109468B (fi) 1998-11-05 2002-08-15 Kone Corp Vetopyörähissi
US6202793B1 (en) * 1998-12-22 2001-03-20 Richard N. Fargo Elevator machine with counter-rotating rotors
JP2001192190A (ja) * 2000-01-12 2001-07-1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AU2001285634B2 (en) * 2000-09-27 2006-09-14 Inventio Ag Elevator with drive unit mounted in a superior lateral section of the elevator hoistway
JP2002167137A (ja) * 2000-11-29 2002-06-11 Toshiba Corp エレベータ
JP2002179354A (ja) * 2000-12-14 2002-06-26 Nippon Unpan Kikai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FI4928U1 (fi) * 2001-01-25 2001-05-23 Kone Corp Hiss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71026A4 (en) 2009-03-18
JP4312604B2 (ja) 2009-08-12
US20040168861A1 (en) 2004-09-02
WO2003064309A1 (fr) 2003-08-07
CN1289379C (zh) 2006-12-13
KR20060058148A (ko) 2006-05-29
DE60336301D1 (de) 2011-04-21
EP1471026A9 (en) 2005-01-19
JPWO2003064309A1 (ja) 2005-05-26
EP1471026B1 (en) 2011-03-09
CN1533356A (zh) 2004-09-29
US7117977B2 (en) 2006-10-10
KR20040017848A (ko) 2004-02-27
EP1471026A1 (en) 200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846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2167137A (ja) エレベータ
KR100444936B1 (ko) 엘리베이터장치
JP2002080178A (ja) エレベータ装置
US6619433B1 (en) Elevator system using minimal building space
JP4255523B2 (ja) エレベーター
EP1481935A1 (en) Elevaltor apparatus
JP454961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145977B2 (ja) エレベータ
KR10095620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93494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2056773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KR10068550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09132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18198232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597941B1 (ko)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JP4195044B2 (ja) エレベーター
JPWO2005082767A1 (ja) エレベータ装置
EP1736431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84005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80488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120096801A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07039926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60036042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70065322A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