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695B1 - 리어 현가 장치의 차체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리어 현가 장치의 차체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695B1
KR100610695B1 KR1020040059872A KR20040059872A KR100610695B1 KR 100610695 B1 KR100610695 B1 KR 100610695B1 KR 1020040059872 A KR1020040059872 A KR 1020040059872A KR 20040059872 A KR20040059872 A KR 20040059872A KR 100610695 B1 KR100610695 B1 KR 100610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eat
rear suspension
side frame
fram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1173A (ko
Inventor
황광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9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695B1/ko
Publication of KR20060011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1Joinin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44Vibration noise sup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 현가장치의 차체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발명은, 스프링 시트 브라켓을 2중 보강재로 사용함은 물론, 크로스프레임 샤시부재의 장착을 위한 지지부와 스프링 시트 보강용의 격막을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리어 현가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하좌우로 분산시켜 그 리어 현가장치의 차체 하중 지지 및 진동 절연을 위한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여 차체의 내구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리어 현가장치의 차체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측면프레임, 크로스프레임 지지브라켓, 스프링 시트

Description

리어 현가 장치의 차체 고정구조{A car body fixing structure of a rear suspension system}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종래 스프링 시트 보강 브라켓이 적용된 리어 현가장치의 차체 고정 구조도.
도 2는 종래 스프링 시트 보강 브라켓이 적용된 리어 현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차체 고정 구조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리어 현가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리어 현가장치의 차체 고정구조를 보인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리어 현가장치의 차체 고정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리어 현가장치의 차체 고정구조를 보인 측면ㅌ투시.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리어 현가장치 차체 고정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측면프레임 12; 크로스프레임 샤시부재
13; 크로스프레임 14; 스프링 시트
15; 측면프레임 보강부재 21; 지지부
22; 격막 31; 휠하우징 지지브라켓
32; 스프링 시트 지지브라켓
본 발명은 리어 현가장치의 차체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어 스프링 시트 브라켓을 2중 보강재로 사용함은 물론, 크로스프레임 샤시부재의 장착을 위한 지지부와 스프링 시트 보강용 격막을 일체로 구성하여 리어 현가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하좌우로 분산시켜 그 리어 현가장치의 차체 하중 지지 및 진동 절연을 위한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리어 현가장치의 차체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멀티 링크형 리어 서스펜션의 스프링 시트는 서스펜션에서 차체로 전달되는 상하방향의 하중을 지지하고, 진동절연을 위하여 충분한 강성을 확보해야 함은 물론, 리어 서스펜션을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리어 서스펜션 장착부는 핸들링 측면에서 차체에 잘 지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시트(6)가 측면프레임(1)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면 이를 보강하기 위해 차체 마운팅부인 휠하우스(7) 주위에 보강재 즉, 스프링 시트 보강 브라켓(2)을 사용하여 일정 강성을 획득하거나, 도 3에서와 같이 사이드멤버(1)의 내부에 격막(5)을 설치하여 스프링 시트의 강성을 획득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도 1의 경우에는 스프링 시트가 측면프레임(1)의 바깥쪽에 위치하여 그 겹치는 양이 50% 미만인 경우에만 스프링 시트 보강 브라켓(2)을 추가해야 하고, 상기 스프링 시트 보강 브라켓(2)을 추가할 경우, 상기 스프링 시트 보강 브라켓(2)과 크로스프레임(3)의 장착을 위해 별도의 크로스프레임 지지브라켓(4)을 측면프레임(1) 내부에 설치해야 하는 등 부품 수가 증가됨은 물론, 차체의 하중 분산이 상하방향으로만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도 2와 같이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크로스프레임 지지브라켓(4)에 격막(5)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크로스프레임 지지브라켓(4)의 상부를 2조각으로 분리시켜야 하는 관계로 부품 수가 증가됨은 물론, 차체의 하중 분산이 상하방향으로만 진행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링 시트 브라켓을 2중 보강재로 사용함은 물론, 크로스프레임 샤시부재의 장착을 위한 지지부와 스프링 시트 보강용의 격막을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리어 현가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하좌우로 분산시켜 그 리어 현가장치의 차체 하중 지지 및 진동 절연을 위한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여 차체의 내구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리어 현가장치의 차체 고정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리어 현가장치의 차체 고정구조를 보인 분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리어 현가장치의 차체 고정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리어 현가장치의 차체 고정구조를 보인 측면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리어 현가장치 차체 고정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프레임(11)에 크로스프레임 샤시부재(12)와 크로스프레임(13)을 결합하고, 상기 측면프레임(11)의 하단에는 스프링시트(14)가 50%이하의 겹칩량으로 부착되며, 측면프레임 보강부재(15)를 포함하는 리어 현가장치의 차체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 보강부재(15)에는 측면프레임(11)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크로스프레임 샤시부재(12)를 지지하는 크로스프레임 지지브라켓(20)을 고정하고,
상기 스프링 시트(14)에는 그 스프링 시트(14)로 전달되는 하중을 휠하우징(7)과 측면프레임(11)으로 분산시키는 이중 구조의 스프링시트 보강브라켓(30)을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크로스프레임 지지브라켓(20)은,
크로스프레임 샤시부재(12)의 장착을 위한 지지부(21)와 스프링 시트 보강용의 격막(22)이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다라, 상기 이중 구조의 스프링시트 보강 브라켓(30)은,
휠하우징(7)에 전기 용접되면서 스프링 시트(14)로 전달되는 상하 하중을 휠하우징(7)으로 분산시키는 휠하우징 지지브라켓(31)과,
크로스프레임 지지브라켓(20)과 측면프레임(11) 및 측면프레임 보강부재(15)에 용접으로 고정되면서 스프링 시트(14)로 전달되는 좌우 하중을 측면프레임(11)으로 분산시키는 스프링 시트 지지브라켓(32)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측면프레임(11)에 크로스프레임 샤시부재(12)와 크로스프레임(13)을 결합한 후, 상기 측면프레임(11)의 하단에는 스프링시트(14)를 50%이하의 겹칩량으로 부착한다.
그리고, 측면프레임(11)의 내측에는 측면프레임 보강부재(15)를 장착한다.
이후, 상기 측면프레임 보강부재(15)에는 크로스프레임 샤시부재(12)의 장착을 위한 지지부(21)와 스프링 시트 보강용의 격막(22)이 일체로 구성된 크로스프레임 지지브라켓(20)을 고정하여 둔다.
이때, 상기 격막(22) 양측으로 형성된 좌우 지지부(21)에는 파이프너트(23a)(23b)를 설치하고, 상기 파이프너트(23a)(23b) 상부에는 측면프레임 보강부재(15)에 측면이 밀착하여 지지되고, 내부에는 상기 파이프너트(23a)(23b)의 단부가 관통 결합되도록 결합공(25a)(25b)을 갖는 상부브라켓(24a)(24b)이 각각 설치된다.
그러면, 상기 크로스프레임 지지브라켓(20)은 측면프레임(11)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크로스프레임 샤시부재(12) 및 크로스프레임(13)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프링 시트(14)에는 상기 스프링 시트(14)로 전달되는 하중을 휠하우징(7)과 측면프레임(11)을 통해 분산시키기 위한 이중 구조의 스프링시트 보강브라켓(30)을 연결하여 둔다.
이때, 상기 이중 구조의 스프링시트 보강브라켓(30)은 스프링 시트 지지브라켓(31)과 휠하우징 지지브라켓(32)으로 이루어져 있는바,
상기 휠하우징 지지브라켓(31)을 휠하우징(7)에 전기 용접하면, 상기 휠하우징 지지브라켓(31)은 스프링 시트(14)로 전달되는 상하 하중을 휠하우징(7)으로 분산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시트 지지브라켓(32)을 크로스프레임 지지브라켓(20)과 측면프레임(11)에 용접으로 고정하면, 상기 스프링 시트 지지브라켓(32)은 스프링 시트(14)로 전달되는 좌우 하중을 측면프레임(11)으로 분산 전달하면서 차체의 리어 현가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을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리어 스프링 시트 브라켓을 2중 보강재로 사용함은 물론, 크로스프레임 샤시부재의 장착을 위한 지지부와 스프링 시트 보강용의 격막을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리어 현가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하좌우로 분산시켜 그 리어 현가장치의 차체 하중 지지 및 진동 절연을 위한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여 차체의 내구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측면프레임에 크로스프레임 샤시부재와 크로스프레임을 결합하고, 상기 측면프레임의 하단에는 스프링시트가 부착되며, 측면프레임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리어 현가장치의 차체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 보강부재에는 측면프레임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크로스프레임 샤시부재를 지지하는 크로스프레임 지지브라켓을 고정하고,
    상기 스프링 시트에는 그 스프링 시트로 전달되는 하중을 휠하우징과 측면프레임으로 분산시키는 이중 구조의 스프링시트 보강브라켓을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현가 장치의 차체 고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프레임 지지브라켓은,
    크로스프레임 샤시부재의 장착을 위한 지지부와 스프링 시트 보강용의 격막이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현가 장치의 차체 고정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구조의 스프링시트 보강 브라켓은,
    휠하우징에 전기 용접되면서 스프링 시트로 전달되는 상하 하중을 휠하우징으로 분산시키는 휠하우징 지지브라켓과,
    크로스프레임 지지브라켓과 측면프레임 및 측면프레임 보강부재에 용접으로 고정되면서 스프링 시트로 전달되는 좌우 하중을 측면프레임으로 분산시키는 스프링 시트 레인포스 브라켓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현가 장치의 차체 고정구조.
KR1020040059872A 2004-07-29 2004-07-29 리어 현가 장치의 차체 고정구조 KR100610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872A KR100610695B1 (ko) 2004-07-29 2004-07-29 리어 현가 장치의 차체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872A KR100610695B1 (ko) 2004-07-29 2004-07-29 리어 현가 장치의 차체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173A KR20060011173A (ko) 2006-02-03
KR100610695B1 true KR100610695B1 (ko) 2006-08-10

Family

ID=37121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872A KR100610695B1 (ko) 2004-07-29 2004-07-29 리어 현가 장치의 차체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6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759B1 (ko) * 2009-11-24 2012-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브 프레임이 없는 차량의 충돌대응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12447A1 (de) 2013-02-18 2014-08-21 Hyundai Motor Company Verstärkungsstruktur eines hinteren Federtellers
KR101575456B1 (ko) 2014-03-04 201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언더플로어 프레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759B1 (ko) * 2009-11-24 2012-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브 프레임이 없는 차량의 충돌대응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173A (ko) 200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5076B2 (en) Drive motor mounting structure
JP4774976B2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KR20070008850A (ko) 멀티링크식 후륜 현가장치
KR100844723B1 (ko) 차량용 리어휠하우스패널의 하중분산 및 강성 보강장치
KR100448791B1 (ko) 자동차 플로어의 리어 서스펜션 연결부 구조
JP5353372B2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KR100579258B1 (ko) 후륜 서스펜션 장치
KR100610695B1 (ko) 리어 현가 장치의 차체 고정구조
KR100911406B1 (ko)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KR100643961B1 (ko) 차량의 쇽업소버 장착브라켓의 보강구조
KR101509688B1 (ko)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JP3605847B2 (ja) 車体へのサスペンションの取付構造
KR101114207B1 (ko) 차체 장착점과 로어암 장착점을 공유하는 프론트 서브프레임
KR200228192Y1 (ko) 자동차의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
JP2009090714A (ja) 車体の下部構造
KR102371243B1 (ko) 후방 차체 보강 구조
KR20110058465A (ko)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KR100348045B1 (ko) 자동차용 섀시리어크로스멤버의 보강구조
KR100992815B1 (ko) 차량용 트레일링 암 마운팅 유닛
KR101189353B1 (ko) 리어 서스펜션 암 장착부 구조
CN100577495C (zh) 平头型车及其驾驶室安装方法
JP3687333B2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の補剛構造
KR19990060684A (ko) 자동차의 서브 프레임 마운팅구조
KR200251526Y1 (ko) 프레임 장착 자동차용 바디 마운팅 구조
JP3969160B2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の取付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