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1889B1 -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현상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현상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1889B1
KR100601889B1 KR1020040014535A KR20040014535A KR100601889B1 KR 100601889 B1 KR100601889 B1 KR 100601889B1 KR 1020040014535 A KR1020040014535 A KR 1020040014535A KR 20040014535 A KR20040014535 A KR 20040014535A KR 100601889 B1 KR100601889 B1 KR 100601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developing
developing unit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9224A (ko
Inventor
김영민
노주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4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1889B1/ko
Priority to US11/064,860 priority patent/US7277661B2/en
Publication of KR20050089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8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directed to paper handling or jam trea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유닛으로 이루어진 현상유닛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로서, 상기 현상유닛은 현상제 컨테이너와 현상롤러를 구비하는 제 1 유닛과, 감광드럼을 구비하는 제 2 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유닛에는 제 2 유닛이 먼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 방지 수단이 설치된다. 본 발명은 상기 현상유닛을 본체로부터 분리시 제 1 유닛과 제 2 유닛의 분리순서를 강제하여 현상유닛의 부품을 보호한다.
후크 조작부재, 가이드 부재, 분리 방지 수단, 현상 유닛

Description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현상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eveloping unit composed of plural unit}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도 3의 제 1 유닛과 제 2 유닛이 본체의 장착부에 장착되었을때의 정면도,
도 5는 제 2 유닛의 사시도,
도 6은 제 1 유닛의 사시도,
도 7은 제 1 유닛과 제 2 유닛이 본체의 장착부에 장착되었을때의 전면 부분확대 사시도,
도 8은 제 1 유닛이 본체로부터 먼저 분리되었을때의 전면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20. 제 1 유닛 22. 폐현상제 저장부
24. 현상제 컨테이너 28. 분리 방지 수단
30. 현상롤러 40. 제 2 유닛
41. 전면 프레임 42. 후크 조작부재
45. 가이드 부재 48. 폐현상제 이송부
49. 후크 50. 감광드럼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현상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빔 프린터, LED 프린터, 팩시밀리, 디지탈 복사기, 복합기 등과 같은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 또는 스캐너로부터 입력된 디지탈 신호에 따른 화상신호를 일련의 화상형성 과정을 통해 인쇄매체인 용지에 가시화상의 형태로 인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도어(11)를 구비하는 본체(10)의 전방으로 감광드럼(17)을 가지는 현상유닛(15)이 장착부(10a)를 통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현상유닛(15)을 장착시, 감광드럼(17)은 전사롤러(14)와 접촉회전이 가능하게 위치된다. 상기 전사롤러(14)는 본체(10)의 측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면도어유닛(12)에 지지된다. 상기 측면도어유닛(12)은 용지의 잼(jam) 제거 및 각종 부품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측면을 개폐시키도록 힌지결합된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감광드럼(17)은 현상 롤러(미도시)에 의해 전면이 균일하게 대전되고, 레이저스캐닝유닛(미도시)에서 주사된 광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정전잠상에는 현상제가 부착되어 화상이 가시화된다. 이러한 예비화상은 급지유닛(13)에서 나와 상기 전사롤러(14)와 감광드럼(17) 사이로 통과하는 인쇄용지로 전사된다. 현상제가 전사된 인쇄용지는 정착부(미도시)를 거쳐 스테커에 배지된다.
한편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현상유닛은 본체 내부의 청소나 고장수리를 위해, 또는 감광드럼의 수명이 다한 경우나 현상제가 다 떨어진 경우, 편의상 통상적으로 유닛자체를 새것으로 교환해주도록 일체화 되어 있다. 그리고 이처럼 유닛자체가 일체화된 방식은 보통 두 종류가 있는데, 먼저 상기 감광드럼, 현상롤러 및 현상제 컨테이너가 모두 일체로 되어있는 방식과, 다음은 현상제 컨테이너와 현상롤러를 구비하는 유닛과 감광드럼을 구비하는 유닛의 2개의 유닛으로 되어있는 방식인데, 도 1은 후자와 같이 현상유닛이 2개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화상형성장치이다. 상기 제 1 유닛(16)과 제 2 유닛(18)은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시 상보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본체(10)의 장착부(10a)에 장착되어 화상형성의 기능을 하게 된다.
편의상 현상제 컨테이너와 현상롤러를 구비하는 유닛을 제 1 유닛(16)이라 하고, 감광드럼(17)을 구비하는 유닛을 제 2 유닛(18)이라고 칭한다. 상기 현상롤러 및 현상제 컨테이너를 구비하는 유닛을 제 1 유닛(16)이라고 한 이유는 현상유닛(30)을 상기 본체(10)로 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1 유닛(16)을 먼저 분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대용량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보통 제 2 유닛(18)의 수명이 제 1 유닛(16)의 수명보다 3-4배 되기 때문에 제 1 유닛(16)을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한다.
이처럼 제 1 유닛(16)과 제 2 유닛(18)의 복수개의 유닛으로 구성된 현상유닛(15)은 정해진 순서대로 분리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그 이유는 현상유닛(15)의 현상롤러(미도시)와 감광드럼(17)은 매우 중요하고 민감한 부품이기 때문에 분리시 정해진 순서를 지키지 않을 경우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현상유닛(15)의 분리을 위해서는 전면도어(11)를 열고, 현상롤러(미도시)를 포함하는 제 1 유닛(16)를 먼저 꺼낸 후, 감광드럼(17)을 포함하는 제 2 유닛(18)를 꺼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조립시 혹은 조립해제시 그 접합면에 해당되는 부품의 손상이 가기 쉽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유닛(15)은 그 길이방향으로 착탈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제 1 유닛(16)과 제 2 유닛(18)의 접촉면적이 길어져 접촉되는 감광드럼 (17)이나 현상롤러(미도시)와 같은 중요부품이 손상되게 된다.
또한, 제 1 유닛(16)이 하부에 위치하고 제 2 유닛(18)이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 1 유닛(16)를 먼저 분리할 경우, 제 2 유닛(18)이 함께 분리되면 제 2 유닛(18)이 제 1 유닛(16)의 위에 얹어지기 때문에 비교적 별 문제가 없다. 그러나, 제 2 유닛(18)이 먼저 분리될 경우 사용자는 제 2 유닛(18)을 잡고 분리하므로 제 1 유닛(16)를 잡지 못하게 된다. 이 경우, 제 1 유닛(16)과 제 2 유닛(18)은 본체(10)에서 분리할 시에는 그 결합력이 없으므로, 제 1 유닛(16)이 그냥 바닥에 떨어져 파손될 가능성이 있으며 또한, 떨어질 때의 충격으로 인해 제 1 유닛(16)의 현상제 컨테이너에 담겨있는 현상제가 외부로 누출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두개 이상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현상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현상유닛의 분리에 일정한 순서를 강제적으로 부여하는 분리 방지 수단이 구비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도어에 의해 열리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전면도어가 열릴시 상기 장착부에 착탈가능하며, 감광드럼 및 상기 감광드럼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는 현상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본체로부터 먼저 분리되는 제 1 유닛과 나중에 분리되는 제 2 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유닛이 제 1 유닛보다 본체로부터 먼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유닛을 본체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제 2 유닛을 본체로부터의 고정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상기 분리 방지 수단은 상기 제 2 유닛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제 2 유닛이 이동하는 공간인 유동갭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유닛은 상기 본체에 상기 제 2 유닛을 고정하고 해제하는 후크를 구비하는 후크 조작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 방지 수단은 상기 제 1 유닛의 일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며, 또한 상부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사각형상의 막대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도어에 의해 열리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전면도어가 열릴시 상기 장착부에 착탈가능하며, 감광드럼 및 상기 감광드럼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는 현상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현상유닛은 세 개 이상의 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세 개 이상의 유닛이 본체로부터 분리될 경우 각각의 유닛의 분리에 일정한 순서를 부여하도록 강제하는 분리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은 감광드럼을 포함한 하나의 유닛와 현상롤러 및 현상제 컨테이너를 포함한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진다. 현상롤러 및 현상제 컨테이너를 포함한 하나의 유닛는 먼저 분리이 되어야 하므로 제 1 유닛이라 하고, 감광드럼을 포함한 하나의 유닛는 이후 분리되므로 제 2 유닛이라 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는 전면으로 개방된 장착부(92)를 구비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면도어유닛(62)과, 상기 본체의 장착부(9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 유닛(20)과 제 2 유닛(40)으로 구성되는 현상유닛(25)을 포함한 다.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장착부(92)를 개폐시키기 위한 전면도어(90)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장착부(92)에는 제 1 유닛(20) 및 제 2 유닛(40)으로 구성된 현상유닛(25)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그리고, 장착부(92)의 하부에는 인쇄용지를 수용하고 상기 현상유닛으로 공급하는 급지유닛(13)이 설치된다.
상기 측면도어유닛(62)은 본체(100)의 측면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단부가 본체에 힌지결합되며, 전사롤러(미도시)와 용지이송롤러(도면 미도시)를 구비한다.상기 전사롤러(미도시)는 현상유닛(25)이 장착부(92)에 장착시 상기 제 2 유닛(40)에 설치된 감광드럼에 접촉되며, 그 사이로 인쇄용지를 통과시킨다.
상기 현상유닛(25)은 제 1 유닛(20)과 제 2 유닛(40)이 상보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장착부(92)에 장착되는데, 도 4는 이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제 2 유닛(40)의 감광드럼(50)은 미도시된 레이저스캐닝유닛에 주사된 광에 의해 정전잠상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 2 유닛(40)을 장착부(92)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측면도어유닛(62)을 닫으면, 감광드럼(50)과 전사롤러(미도시)가 접촉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5을 참조하면 제 2 유닛(40)은 전면 프레임(41), 감광드럼(50), 폐현상제 이송부(48), 슬라이딩 가이드부재(44), 후크 조작부재(42) 및 가이드 부재(45)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 프레임(41)에는 제 2 유닛(40)의 상기 각 구성요소가 일체로 연결 되어 동작하며, 제 2 유닛(40)의 전면에 형성된다. 전면 프레임(41)의 전면 상부에는 후크 조작부재(42)와 가이드 부재(45)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슬라이딩 가이드부재(44)가 설치되며, 후면으로는 폐현상제 이송부(48)와 감광드럼(50)이 연결된다. 그리고, 전면 프레임(41)의 하부에는 제 1 유닛(20)과 제 2 유닛(40)이 장착부(92)에 장착되어 상보적으로 결합시, 제 1 유닛(20)의 폐현상제 저장부(22)(도 6 참조)의 뒷면에 형성된 돌출부(미도시)와 결합하는 역할을 하는 결합부재(46)가 형성된다.
상기 감광드럼(50)은 제 2 유닛(40)의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이 상기 전면 프레임(41) 후면에 결합한다. 감광드럼(50)은 본체의 장착부(92)에 장착시 측면도어유닛(62)에 형성되어 있는 전사롤러(도면 미도시)와 접촉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폐현상제 이송부(48)는 상기 감광드럼(50) 상부에 위치하며, 일측이 상기 전면 프레임(41) 후면에 결합한다. 폐현상제 이송부(48)는 감광드럼(50)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분리하여 수거한 후, 후술할 제 1 유닛의 폐현상제 저장부(22)(도 6 참조)로 이송시킨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재(44)는 일단이 상기 전면 프레임(41)의 상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 2 유닛(40)을 본체의 장착부(92)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슬라이딩 가이드부재(44)는 상기 제 2 유닛(40)의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본체(100)의 장착부(92)에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홈(도면 미도시)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상기 장차부(92)에 수용되게 된다.
상기 후크 조작부재(42)는 후면이 상기 전면 프레임(41)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며, 사각형의 박스형상이다. 후크 조작부재(42)의 후면 일측에는 후크(49)가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후크(49)는 후술할 본체의 고정홈(94)(도 7 참조)에 고정되어, 상기 제 2 유닛(40)을 본체에 고정하고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후크(49)가 돌출된 방향의 반대편 방향에는 가이드 돌기(43)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45)은 상기 후크 조작부재(42)의 일측으로 후면이 상기 전면 프레임(41)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며, 상단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재 (44)와 연결된다. 가이드 부재(45)는 상기 후크 조작부재(42)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후크 조작부재(42)를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가이드 부재(45)에 형성된 가이드 홈(47)은 상기 후크 조작부재(42)의 가이드 돌기(4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 조작부재(42)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 가이드 돌기(43)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유닛(40)을 본체(100)의 장착부(92)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후크 조작부재(42)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후크(49)를 후술한 본체의 고정홈(94)(도 7 참조)으로부터 분리해야 하는데, 이때 상기 후크 조작부재(42)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돌기(43)는 가이드 부재(45)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홈(47)을 따라 수용된다.
미설명된 유동갭(G)은 제 2 유닛(40)을 본체의 장착부(92)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후크 조작부재(42)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때, 후크 조작부재(42)의 이동범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제 1 유닛(20)은 현상롤러(30), 현상제 컨테이너(24), 폐 현상제 저장부(22) 및 분리 방지 수단(28)을 포함한다.
상기 현상롤러(30)는 제 1 유닛(20)의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제 1 유닛(20)과 제 2 유닛(40)이 장착부(92)에 장착되어 상보적으로 결합시 제 2 유닛(40)의 감광드럼(50)에 현상제를 공급함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현상제 컨테이너(24)는 상기 현상롤러(30)과 접하도록 현상롤러(30)와 대응되게 제 1 유닛(20)의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 현상제가 저장되어 상기 현상롤러(30)에 현상제를 공급한다. 그리고, 현상제 컨테이너(24)는 현상롤러(30)에 있는 현상제를 일정한 현상층으로 이루게 하는 미도시된 현상제층 규제부재(DOCTOR-BLADE)를 포함한다.
상기 폐현상제 저장부(22)는 제 2 유닛(40)의 전면에 형성되며, 앞서 설명한 제 2 유닛(40)의 폐현상제 이동부(48)(도 5 참조)에 의해 이동된 페현상제가 저장된다. 그리고 폐현상제 저장부(22)는 제 1 유닛(20)과 제 2 유닛(40)이 장착부(92)에 장착되어 상보적으로 결합시 현상롤러(30)과 감광드럼(50) 전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전면 도어(90) 개방시 감광드럼(50)의 표면이 직사광선에 노출되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 분리 방지 수단(28)은 상기 폐현상제 저장부(22)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유닛(20)과 제 2 유닛(40)이 장착부(92)에 장착되어 상보적으로 결합시제 2 유닛(40)이 제 1 유닛(20)보다 먼저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5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 2 유닛(40)을 본체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후크 조작부재(42)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상기 분리 방지 수단(28)는 상기 후크 조작부재(42)가 상기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 방지 수단(28)은 상기 제 2 유닛(40)이 본체로부터 고정이 해제되는 화살표 방향으로 제 2 유닛(40)의 이동을 규제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 제 2 유닛(40)을 본체로부터 고정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후크 조작부재(42)를 화살표 방향으로 조작하여 이동시켜야 하므로, 결국 분리 방지 수단(28)은 상기 후크 조작부재(42)를 조작하여 이동할 수 없도록 상기 후크 조작부재(42)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간인 유동갭(G)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분리 방지 수단(28)은 상기 후크 조작부재(42)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면 되므로 그 형상이나 크기가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유닛(20)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사각형의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는 제 1 유닛(20) 및 제 2 유닛(40)이 장착부(92)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방지 수단(28)에 의해 제 2 유닛(40)은 제 1 유닛(20)이 본체로부터 먼저 분리되지 않고는 분리가 되지 않는다.
미설명된 고정홈(94)은 화상형성장치의 장착부(92) 내부에 형성되는데, 제 2 유닛(40)이 장착부(92)에 장착시 제 2 유닛(40)의 후크 조작부재(42)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49)는 상기 고정홈(94) 걸리게 되므로, 결국은 제 2 유닛(40)은 본체에 고정된다.
상기 분리 방지 수단(28)은 제 2 유닛(40)의 후크 조작부재(42)가 본체로부터 분리를 하기 위해 움직이게 되는 공간인 유동갭(G)(도 5 참조) 사이에 설치되는데, 이 분리 방지 수단(28)으로 인해 후크 조작부재(42)는 조작을 할 수 없게된다. 즉, 분리 방지 수단(28)으로 인해 상기 후크 조작부재(42)는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을 할 수 없게 되며, 후크 조작부재(42)의 후크(49)는 본체의 고정홈(94)으로부터 고정이 해제되지 않아, 결국 제 2 유닛(40)은 본체로부터 분리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유닛(20) 및 제 2 유닛(40)으로 이루어지는 현상유닛(25)을 본체로부터 분리을 하기 위해서는 전면커버(90)(도 2 참조)를 열고, 제 1 유닛(20)을 먼저 분리한 후에 제 2 유닛(40)을 분리해야 하는데, 이 분리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제 1 유닛(20)을 본체로부터 먼저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유닛(40)의 후크 조작부재(42)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제 1 유닛(20)의 분리 방지 수단(28)이 없는 상태이므로 제 2 유닛(40)은 본체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즉, 제 2 유닛(40)을 본체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후크 조작부재(42)를 눌러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후크 조작부재(42)에 형성된 후크(49)는 후크 조작부재(42)가 이동한 방향과 같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후크(49)는 본체의 고정홈(94)으로부터 고정이 해제되어, 제 2 유닛(40)은 본체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 조작부재(42)의 이동에 의해 후크 조작부재(42)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돌기(43)는 가이드 부재(45)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홈(47)을 따라 이동되며, 후크 조작부재(42)가 이동하는 범위는 도시된 유동갭(G)만큼 이동하게 된다.
결국, 분리 방지 구조(28)가 설치된 제 1 유닛(20)을 본체로부터 먼저 분리하면, 제 2 유닛(40)은 본체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본 분리 방지 수단(28)은 제 1 유닛(20)과 제 2 유닛(40)이 본체의 장착부(92)에 장착시, 제 2 유닛(40)이 먼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2 유닛(40)의 후크 조작부재(42)가 움직이는 공간인 유동갭(G) 사이에 위치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분리 방지 수단(28)이 상기 제 2 유닛(40)의 분리을 위한 움직임 및 진행을 막는 위치에 있으면 되고 특정부위에 있을 것이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1 유닛(20)에 설치된 분리 방지 수단(28)이 제 2 유닛(40)를 먼저 분리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하였으나, 그 적용에 있어 당업자가 판단하여 유용할 경우 다른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다. 즉, 현상유닛이 3개 이상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경우도 먼저 분리되어야 하는 유닛과 이후 분리되어야 하는 유닛 간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앞선 실시예와 같이 제 2 유닛의 후크 조작부재의 유동을 방해하는 분리 방지 수단 뿐만 아니라, 먼저 분리되는 유닛에 설치가 되어, 이후 분리되는 유닛의 움직임 및 분리을 막는 구조일 경우 모두 변경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두 개 이상의 유닛으로 이루어지 는 현상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상기 두 개 이상의 유닛의 분리에 일정한 순서를 부여하고 강제함으로써, 장착 및 분리시 현상유닛의 부품을 보호하여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유닛간의 접합부가 감광드럼이나 현상롤러와 같이 민감하고 중요한 부품일 경우에는 상기 유닛의 장착과 분리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가 가능하며, 이로 인해 현상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어 동작시 화상이미지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도어에 의해 열리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전면도어가 열릴시 상기 장착부에 착탈가능하며, 감광드럼 및 상기 감광드럼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는 현상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본체로부터 먼저 분리되는 제 1 유닛과 나중에 분리되는 제 2 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유닛이 제 1 유닛보다 본체로부터 먼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 방지 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현상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방지 수단은,
    상기 제 2 유닛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유동갭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현상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닛은,
    상기 본체에 상기 제 2 유닛을 고정하고 해제하는 후크를 구비하는 후크 조작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현상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방지 수단은,
    상기 제 1 유닛의 일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현상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방지 수단은,
    상부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현상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방지 수단은,
    사각형상의 막대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현상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7. 삭제
KR1020040014535A 2004-03-04 2004-03-04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현상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601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535A KR100601889B1 (ko) 2004-03-04 2004-03-04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현상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11/064,860 US7277661B2 (en) 2004-03-04 2005-02-25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a developing unit comprising plural uni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535A KR100601889B1 (ko) 2004-03-04 2004-03-04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현상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224A KR20050089224A (ko) 2005-09-08
KR100601889B1 true KR100601889B1 (ko) 2006-07-19

Family

ID=34910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535A KR100601889B1 (ko) 2004-03-04 2004-03-04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현상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277661B2 (ko)
KR (1) KR1006018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1709B2 (ja) * 2005-08-25 2009-09-1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5449298B2 (ja) 2011-11-25 2014-03-1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6490A (en) * 1984-12-01 1990-04-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developing devices
US5367363A (en) * 1990-11-30 1994-11-22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rotatable electrophotographic process unit
JPH05265264A (ja) 1992-03-18 1993-10-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484003B2 (en) * 2000-06-21 2002-11-19 Konica Corporatio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ack having detachable units
KR100395522B1 (ko) * 2000-08-25 2003-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 프린터
EP1752837B1 (en) * 2000-09-26 2015-03-1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395523B1 (ko) 2001-01-19 2003-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 프린터
JP4605731B2 (ja) 2001-05-10 2011-01-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6785492B2 (en) * 2001-09-28 2004-08-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lor image formation apparatus
JP3880429B2 (ja) * 2002-04-01 2007-02-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073748B2 (ja) * 2002-09-27 2008-04-0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814425B1 (ko) * 2003-02-20 2008-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77661B2 (en) 2007-10-02
US20050196195A1 (en) 2005-09-08
KR20050089224A (ko) 2005-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5423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552535B2 (ja) 電子写真方式印刷機
US2012011437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utilizing interior space
JP2009282352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860530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urnable image reading part and suspending mechanism
JP5067913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10122661A (ja) 画像形成装置
JP5106213B2 (ja) 画像形成装置
JP6590577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40003379A (ko) 프린터의 감광체 유닛 착탈장치
JP2006171397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203264B2 (ja) カラー記録装置
JP4310097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601889B1 (ko)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현상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510621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0227688A (ja) 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そのプロセスユニット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2009288310A (ja) 画像形成装置
JP4134955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611990B1 (ko)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JPH1011596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004986A (ja) 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そのプロセスユニット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412501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5062493B2 (ja) 画像形成装置
JP6520116B2 (ja) 画像形成装置
JP7363262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