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505B1 - 전력 제어가 가능한 콘센트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제어가 가능한 콘센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505B1
KR101099505B1 KR1020100027545A KR20100027545A KR101099505B1 KR 101099505 B1 KR101099505 B1 KR 101099505B1 KR 1020100027545 A KR1020100027545 A KR 1020100027545A KR 20100027545 A KR20100027545 A KR 20100027545A KR 101099505 B1 KR101099505 B1 KR 101099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signal
control
pow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8184A (ko
Inventor
김진술
김경우
정형태
Original Assignee
제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천시 filed Critical 제천시
Priority to KR1020100027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505B1/ko
Publication of KR20110108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overvolta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magnetically operated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01R13/713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with thermal interrup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주전원 연결부와 주전원 연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원 연결부와 주전원 연결부로부터 전원 연결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칭부와 공급되는 전원이 정격 전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전원 이상 신호를 생성하는 과전류 차단부와 적어도 하나의 전원 연결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시간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제어부와 전력선 모뎀을 통하여 외부 호스트로부터 소정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소정의 범위 내에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화재 발생 신호를 생성하는 화재 감지부와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전원 공급 시간 제어 신호 및 외부 호스트로부터 소정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전원 연결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칭부에 송신하고, 과전류 차단부로부터 전원 이상 신호 및 화재 감지부로부터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전원 연결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칭부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가 가능한 콘센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전력 제어가 가능한 콘센트 장치{Consent apparatus available for power control}
본 발명은 전력 제어가 가능한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감지 센서 및 통신 모뎀을 구비한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란 전기의 옥내배선에서 실내에 사용하는 코드를 접속하기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를 삽입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사무용 및 가정용 전력을 사용하는 전기 제품들은 콘센트를 통하여 전기를 공급받는다. 통상, 가정용 및 사무용으로는 220V의 AC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가정 및 사무실 등에서는 콘센트에 전원 플러그를 삽입한 채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해당하는 전기 제품의 사용 유무와 무관하게 전원 플러그는 콘센트에 항상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는 사용자들이 전기 제품을 사용할 때마다 전원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하거나, 분리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므로, 최근에는 여러 개의 전기 기구를 동시에 사용하기 위하여 멀티탭이 공급되고 있다. 멀티탭이란 여러 개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는 콘센트를 의미하며, 일괄적으로 다수의 콘센트의 전원을 턴 온 또는 턴 오프할 수 있는 제어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을 전기 제품에 공급하여야 하는 경우, 제어 스위치는 턴 온되어 멀티탭 전체의 콘센트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의 사용이 종료되는 경우, 제어 스위치는 턴 오프되어 멀티탭 전체의 콘센트들에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다. 현재, 기존의 콘센트 및 멀티탭은 부하 차단을 위해서 플러그나 스위치를 턴 오프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력 공급의 시간 설정과 통신을 통한 외부 호스트에 의한 제어로 효과적으로 콘센트 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화재 감지로 전기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전력 제어가 가능한 콘센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력 제어가 가능한 콘센트 장치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주전원 연결부; 상기 주전원 연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원 연결부; 상기 주전원 연결부로부터 상기 전원 연결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칭부; 상기 공급되는 전원이 정격 전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전원 이상 신호를 생성하는 과전류 차단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원 연결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시간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제어부; 전력선 모뎀을 통하여 외부 호스트로부터 소정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소정의 범위 내에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화재 발생 신호를 생성하는 화재 감지부; 및 상기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전원 공급 시간 제어 신호 및 외부 호스트로부터 소정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원 연결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부에 송신하고, 상기 과전류 차단부로부터 전원 이상 신호 및 상기 화재 감지부로부터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원 연결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부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연결부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각각 개별적으로 상기 전원 연결부로부터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부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각각의 전원 연결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전원 공급 시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복수의 전원 공급 시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공급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부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호스트는 퍼스널 컴퓨터일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가 가능한 콘센트 장치는 상기 주전원 연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콘센트 장치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부; 상기 콘센트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콘센트 장치에 대한 소정의 제어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한 시간 설정으로 부하에 대하여 불필요한 전력을 차단하는 등 효과적인 전력 관리가 가능하며, 과부하 또는 과전류 등 전원 이상의 경우,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전기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모뎀 등을 이용하여 퍼스널 컴퓨터로 콘센트 장치를 제어할 수 있어 콘센트 제어가 용이하며, 화재감지센서의 설치로 인하여 전기 누전으로 인한 화재 발생시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제어가 가능한 콘센트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제어가 가능한 콘센트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제어가 가능한 콘센트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제어가 가능한 콘센트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콘센트 장치(100)는 주전원 연결부(110), 구동부(120), 스위칭 부(130), 제어부(140), 과전류 차단부(150), 타이밍 제어부(160), 전원 연결부(170), 저장부(180), 표시부(190), 조작부(1100), 통신부(1110), 화재 감지부(1120), 및 대기전력 감지부(1130)를 포함한다.
주전원 연결부(110)는 외부 전원(예를 들어, 220V의 AC 전원)을 전원 플러그(미도시)를 통하여 전원 연결부(170)에 전달하여 각종 부하에 공급하고, 또한 구동부(120)에 공급한다.
구동부(120)는 주전원 연결부(110)로부터 전달받은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한 후, 제어부(140)를 비롯한 구동 전원으로서 DC 전원을 필요로 하는 콘센트 장치(100)의 모든 구성요소에게 전원을 공급한다.
스위칭부(130)는 전원 연결부(170)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ON)하거나 차단(OFF)한다. 스위칭부(130)는 전원 연결부(170)가 복수인 경우에는, 각각의 전원 연결부, 즉, 제 1 전원 연결부(171)부터 제 n 전원 연결부(17n)를 구분하여 개별적으로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부(130)는 주전원 연결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전체적으로 콘센트 장치(100)에 공급되는 전원도 차단할 수가 있다. 스위칭부(130)는 전원 연결부(170) 및 주전원 연결부(110)에 전원을 공급/차단시키는 명령을 제어부(140)로부터 수신한다. 스위칭부(130)는 솔리드 스테이트 릴레이(solid state relay; SSR), 릴레이 및 전자접촉기(마그네트스위치)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전원 연결을 차단할 수 있는 소자이면 그 제한은 없다.
제어부(140)는 콘센트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과전류 차단부(150), 타이밍 제어부(160), 조작부(1100), 통신부(1110) 및 화재 감지부(1120)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여 스위칭부(130)에게 전원 연결부(170)에 공급되는 전원 또는 주전원 연결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차단하는 명령을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전원 연결부(170)가 복수인 경우에는, 각각의 전원 연결부, 즉, 제 1 전원 연결부(171)부터 제 n 전원 연결부(17n)를 구분하여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각각의 전원 연결부(171~17n)에 고유 식별자를 할당한다. 제어부(140)는 고유 식별자를 통하여 전체 전원 연결부(171~17n) 중에서 제어할 각각의 전원 연결부를 결정하여 제어할 수 있다. 고유 식별자는 저장부(180)에 저장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하지 못한 제어부(140)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하겠다.
과전류 차단부(150)는 주전원 연결부(110)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외부 전원(또는 전압)이 정격 전원(또는 전압)이 아닌 경우에는 제어부(140)로 전원(또는 전압) 이상 신호를 송신한다. 전원 이상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40)는 스위칭부(130)에 주전원 연결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라는 명령을 송신하고, 스위칭부(130)는 주전원 연결부(110)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과전류 차단부(150)는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부하와 연결된 전원 연결부(170)를 흐르는 전류가 정격 전류가 아닌 경우에는 제어부(140)로 전류 이상 신호를 송신한다. 전류 이상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40)는 스위칭부(130)에 전원 연결부(17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라는 명령을 송신하고, 스위칭부(130)는 전원 연결부(17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물론, 전원 연결부가 복수 개(171~17n)인 경우에는, 문제가 되는 전원 연결부만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60)는 콘센트 장치(100) 전체뿐만 아니라, 전원 연결부(170) 각각에 대하여 시간을 설정하여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와 같은 상시 전원이 필요한 부하가 연결된 전원 연결부에는 시간 설정을 24시간으로 설정하여, 전원의 차단 없이 전원 공급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컨이나 선풍기와 같은 상시 전원이 필요하지 않은 부하가 연결된 전원 연결부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시간을 설정할 수가 있다. 시간 설정은 요일별, 시간대별 또는 특정 기간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제어부(140) 또는 타이밍 제어부(160)에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미도시)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60)는 조작부(1110)를 통한 사용자의 직접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 시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고, 통신부를 통하여 소정의 통신망으로 연결된 외부 호스트로부터 설정된 제어 시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타이밍 제어부(160)는 수신한 시간 정보에 따른 전원 공급/차단 제어 정보를 제어부(140)로 송신하고, 제어부(140)는 수신한 전원 공급/차단 제어 정보에 따라 소정의 전원 연결부에 대한 전원 공급/차단 명령을 스위칭부(130)로 송신하여 전원을 공급/차단한다.
대기전력 감지부(1130)는 제 1 전원 연결부(171)부터 제 n 전원 연결부(17n)를 구분하여 각 전원 연결부에서 개별적으로 소비되는 전력을 감지하고, 부하전력을 소비하지 않아 대기전력만을 소비하는 전원 연결부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40)로 제공한다.
제어부(140)는 대기전력 감지부(1130)로부터 제공받은 부하전력을 소비하지 않는 전원 연결부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부하전력을 소비하지 않는 전원 연결부에 대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스위칭부(130)로 송신한다. 한편 제어부(140)는 일정 시간 동안 부하전력을 소비하지 않는 전원 연결부에 대해서만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부하전력을 소비하지 않아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일정 시간은 다양한 시간 범위(예를 들어, 5분, 10분, 1시간 등)에서 조작부를 통해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그 일정 시간은 저장부(180)에 저장될 수 있다. 부하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전원 공급이 차단된 전원 연결부는 후술하는 조작부(1100)를 통해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전원 공급이 재개될 수 있다.
전원 연결부(170)는 주전원 연결부(11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전자 기기와 같은 부하에 공급한다. 전원 연결부(170)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다.
저장부(180)는 전술한 각각의 전원 연결부(171~17n)의 고유 식별자를 저장하고 있으며, 콘센트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표시부(190)는 콘센트 장치(100)의 조작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제어부(140)로부터 수신한 콘센트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9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단색 디스플레이, CGA(color graphics adapter) 디스플레이, EGA(enhanced graphics adapter) 디스플레이, VGA(variable-graphics-array) 디스플레이, 수퍼 VGA 디스플레이, CRT(cathode ray tube), 기타 등등의 장치일 수 있다.
조작부(1100)는 콘센트 장치(100)를 제어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 또는 방향키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조작부(1100)를 통해 수작업으로 콘센트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하게 하는 등의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으며, 조작부(1100)는 표시부(190)를 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 메뉴를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조작부(1100)는 하드웨어 적으로 물리적인 버튼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1110)는 외부의 호스트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통신부(1110)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장치인 전력선 모뎀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의 호스트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통신부(1110)는 외부 호스트로부터 시간 설정 등 콘센트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호스트는 퍼스널 컴퓨터이며,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콘센트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이면 그 제한은 없다.
화재 감지부(1120)는 소정의 획득된 화재 정보에 따라 콘센트 장치(100) 또는 콘센트 장치(100)로부터의 일정 거리 내에 화재의 발생 여부를 검출한다. 화재 정보로는 적외선, 온도, 연기 및 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화재 감지부(1120)는 화재로 간주할 수 있는 불꽃에서 방사하는 일정 이상의 적외선, 일정 이상의 온도, 공기 중에서 일정 이상의 연기 입자 및 화재 시 발생하는 특정 가스 등의 화재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여 화재 발생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화재 감지부(1120)는 불꽃에서 4.35um 이상의 파장이 방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거나, 60℃ 이상의 온도를 감지하거나, 공기 중에서 일정 이상의 연기 입자를 감지하거나, 주변의 일산화 탄소(CO), 아황산 가스(SO3), 암모니아(NH3) 등의 유독가스 농도를 감지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화재 발생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송한다.
화재 감지부(1120)는 적외선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및 가스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재 감지부(1120)가 화재를 감지한 경우, 화재 발생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송한다. 그 후, 제어부(140)는 스위칭부(130)로 전원 차단 명령을 송신하고, 스위칭부(130)는 주전원 연결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콘센트 장치(100)는 화재 경보를 빛으로 알리는 발광 수단 및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 발광 수단 및 스피커에게 작동 명령을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는 통신부(1110)를 통하여 외부의 호스트로 화재 발생을 알리는 소정의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으며, 미리 설정된 통신 수단에 화재 발생에 관한 긴급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제어가 가능한 콘센트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콘센트 장치에 현재 설정되어 있는 제어 상태(status)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10)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socket(211)은 도 1의 전원 연결부(170)에서의 각 전원 연결부(171~17n)를 나타내고 있고, ON/OFF(212, 213)는 socket(211)이 현재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지를 나타내고 있고, TIME(214)은 socket(211)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socket 1, 즉 제1 전원 연결부(171)의 경우,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고 있으며, 24시간 동안 계속 공급한다. socket 1(201)을 선택하는 경우, 도 2b와 같은 socket 1의 제어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20)가 나타난다. 도 2b에서 사용자는 부하에 전원을 공급할 지 ON/OFF(221, 222)를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전원 공급을 원하는 시간인 TIME(223)을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b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부하전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일정 시간 동안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 경우 전원 공급이 차단되게 하는 시간 범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제어가 가능한 콘센트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콘센트 장치(300)에 3개의 전원 연결부(310), 표시부(320), 조작부(330) 및 화재 감시부(340)가 도시되어 있다. 전원 연결부(310)의 개수는 예를 나타낼 뿐 그 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구성 요소의 배치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콘센트 장치(300)는 매입 콘센트, 노출 콘센트, 이동 멀티탭, 책상설치 콘센트로 사용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주전원 연결부 : 110, 전원 연결부 : 170,
대기전력 감지부 : 1130, 스위칭부 : 130,
과전류 차단부 : 150, 제어부 : 140,
구동부 : 120, 타이밍 제어부 : 160,
조작부 : 1100, 통신부 : 1110,
화재 감지부 : 1120, 표시부 : 190,
저장부 : 180, 콘센트 장치 : 100

Claims (5)

  1.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주전원 연결부;
    상기 주전원 연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전원 연결부;
    상기 주전원 연결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전원 연결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각각 인가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칭부;
    상기 공급되는 전원이 정격 전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전원 이상 신호를 생성하는 과전류 차단부;
    상기 복수의 전원 연결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시간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제어부;
    전력선 모뎀을 통하여 외부 호스트로부터 소정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소정의 범위 내에 화재를 감지하는 경우 화재 발생 신호를 생성하는 화재 감지부; 및
    상기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전원 공급 시간 제어 신호 및 외부 호스트로부터 소정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원 연결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부에 송신하고, 상기 과전류 차단부로부터 전원 이상 신호 및 상기 화재 감지부로부터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원 연결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부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각각 개별적으로 상기 복수의 전원 연결부로부터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가 가능한 콘센트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원 연결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 시간을 각각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전원 공급 시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복수의 전원 공급 시간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전원 연결부에 공급되는 공급 전원을 각각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위칭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가 가능한 콘센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호스트는 퍼스널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가 가능한 콘센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 연결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콘센트 장치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부;
    상기 콘센트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콘센트 장치에 대한 소정의 제어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가 가능한 콘센트 장치.
KR1020100027545A 2010-03-26 2010-03-26 전력 제어가 가능한 콘센트 장치 KR101099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545A KR101099505B1 (ko) 2010-03-26 2010-03-26 전력 제어가 가능한 콘센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545A KR101099505B1 (ko) 2010-03-26 2010-03-26 전력 제어가 가능한 콘센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184A KR20110108184A (ko) 2011-10-05
KR101099505B1 true KR101099505B1 (ko) 2011-12-27

Family

ID=45025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545A KR101099505B1 (ko) 2010-03-26 2010-03-26 전력 제어가 가능한 콘센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50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662B1 (ko) * 2012-08-20 2015-06-19 기산전자 주식회사 실내 전원 관리를 위한 컨트롤 박스
KR20180040976A (ko) * 2016-10-13 2018-04-23 윤동구 멀티탭 시스템 및 이에 기반한 전자기기 제어시스템
KR101932606B1 (ko) * 2018-01-26 2018-12-27 주식회사 제이에스전열 원격제어형 멀티탭을 이용한 사출성형기 제어방법
KR102539611B1 (ko) * 2022-03-11 2023-06-05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통합 관리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96539A (zh) * 2012-02-24 2013-09-11 陈正裕 由外部程序设定的定时延长线
CN104238415A (zh) * 2014-09-09 2014-12-24 上海路美思电气有限公司 带漏电及过流保护的Wi-Fi插头及应用其的家电智能控制***
CN104678858A (zh) * 2015-02-11 2015-06-03 上海路美思电气有限公司 带过流保护和能量统计的Wi-Fi转换插座及家电智能控制***
KR101710917B1 (ko) * 2016-02-22 2017-03-02 주식회사 지에프아이 성능기반 안전콘센트
KR102236763B1 (ko) * 2019-02-21 2021-04-06 (주)미도아트웍스 화재감응형 복합제어 전류공급기
KR102476696B1 (ko) * 2019-11-01 2022-12-14 주식회사 네트워크코리아 콘센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373Y1 (ko) 2002-12-20 2003-03-07 정동우 전원 제어가 가능한 매입형 콘센트
KR200379787Y1 (ko) 2004-12-30 2005-03-24 최재민 사용시간을 설정하는 멀티콘센트
KR100929818B1 (ko) * 2009-10-17 2009-12-07 주식회사 중원파워컨트롤스 화재 방지용 절전 지능 매입 콘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373Y1 (ko) 2002-12-20 2003-03-07 정동우 전원 제어가 가능한 매입형 콘센트
KR200379787Y1 (ko) 2004-12-30 2005-03-24 최재민 사용시간을 설정하는 멀티콘센트
KR100929818B1 (ko) * 2009-10-17 2009-12-07 주식회사 중원파워컨트롤스 화재 방지용 절전 지능 매입 콘센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662B1 (ko) * 2012-08-20 2015-06-19 기산전자 주식회사 실내 전원 관리를 위한 컨트롤 박스
KR20180040976A (ko) * 2016-10-13 2018-04-23 윤동구 멀티탭 시스템 및 이에 기반한 전자기기 제어시스템
KR101932606B1 (ko) * 2018-01-26 2018-12-27 주식회사 제이에스전열 원격제어형 멀티탭을 이용한 사출성형기 제어방법
KR102539611B1 (ko) * 2022-03-11 2023-06-05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통합 관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184A (ko)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9505B1 (ko) 전력 제어가 가능한 콘센트 장치
JP5791596B2 (ja) 電力監視システム
US20080218000A1 (en) Power-Off System and Method
US200702138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providing local power line communication
AU2012100135A4 (en) Power sensor
JP2015519859A (ja) エネルギー節約および/または安全装置
JP5134359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機器、アウトレット
JP2011055643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CN202601991U (zh) 一种无线控制的多功能电源插线板
EP1784696A2 (en) A control apparatus
AU2012100197A4 (en) Power sensor
JP5796212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
KR100970843B1 (ko) 적응형 그린 콘센트
US20130021155A1 (en) Detection circui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a detection system
KR101708762B1 (ko) 파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치
KR20140118250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기전력 및 전력 제어시스템
KR20180024449A (ko)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누전차단 시스템
JP4191983B2 (ja) 電流表示装置
JP2017011542A (ja) 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211607U (ja) 待機回路、該待機回路を有するソケット、プラグ及び装置
JP2009158112A (ja) スイッチ装置
KR20120137125A (ko) 통합 분전반을 기반으로 하는 대기전력 통합차단 제어 시스템
CN204144909U (zh) 一种具有保护功能的排烟风机控制电路
JP2009177924A (ja) 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アウトレット
KR100967209B1 (ko) 대기전력 차단 및 차단해제 시스템, 그리고 대기전력 차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