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3795B1 - 안정성이 개선된 라미프릴을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제제 - Google Patents

안정성이 개선된 라미프릴을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3795B1
KR100593795B1 KR1020040081371A KR20040081371A KR100593795B1 KR 100593795 B1 KR100593795 B1 KR 100593795B1 KR 1020040081371 A KR1020040081371 A KR 1020040081371A KR 20040081371 A KR20040081371 A KR 20040081371A KR 100593795 B1 KR100593795 B1 KR 100593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ipril
lactose
weight
formulation
oral admin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2424A (ko
Inventor
송세현
박상근
이문석
김경운
김윤식
조재천
Original Assignee
대원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1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3795B1/ko
Publication of KR20060032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7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성이 개선된 라미프릴을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경구투여용 제제는 다른 부형제를 사용하지 않고 부형제로서 유당만을 사용함으로써 배합 변화없이 라미프릴의 안정성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유당의 함량중 5% 미만을 다른 첨가제로 대체하여도 부형제로 유당만을 사용하였을 때와 동등하게 라미프릴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경구투여용 제제는 기존 시판제제보다 안정성이 우수하며,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경제적으로도 유용하다.

Description

안정성이 개선된 라미프릴을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제제{A preparation comprising ramipril improved stability for oral administration}
본 발명은 안정성이 개선된 라미프릴을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제제에 관한 것이다.
라미프릴[ramipril; 2-(N-((S)-1-에톡시카보닐-3-페닐프로필)-L-알라닌)-(1S,3S,5S)-2-아자비사이클로(3.3.0)-옥탄-3-카복실산]은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의 억제제로서, 고혈압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라미프릴을 포함한 ACE 억제제는 특정 유형의 분해에 민감하다. 구체적으로, (1) 치환된 디케토피페라진을 형성하는, 내부 친핵성 공격에 의한 고리화, (2) 측쇄 에스테르기의 가수분해, 및 (3) 종종 불필요하게 착색된 생성물을 형성하는 산화에 의해 분해될 수 있다. 따라서, 라미프릴을 포함한 ACE 억제제는 약학적 투여 형태에서 쉽게 분해되는 등 안정성에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ACE 억제제의 이러한 불안정성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정화제를 사용하는 등 많은 연구가 진 행되고 있다.
유럽 특허 제 264,888호는 안정화 성분으로서 아스코르브산 단독으로,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푸마르산, 말레산 또는 시트르산의 결합물을 사용하는 ACE 억제제-함유 약학적 조성물의 안정화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 4,743,450호는 안정화 성분으로서 알칼리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바람직하게는, 탄산 마그네슘)과 당류(바람직하게는, 만니톨 또는 유당)의 결합물을 사용하는 ACE 억제제-함유 약학적 조성물의 안정화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 특허에서 사용하는 수산화탄산마그네슘은 유효한 안정화제로서 작용하지만, 수산화탄산마그네슘의 열등한 압축성, 성형성, 및 유동성으로 인해 정제로 제형화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습식 과립화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경우 두드러진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1-52557호는 상기 수산화탄산마그네슘에 의한 습식 과립화 정제방법을 개선시킨 방법으로, 산화마그네슘을 사용한 ACE 억제제 함유 조성물의 안정화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ACE 억제제, 고리화 안정화제로 산화마그네슘, 및 ACE 억제제의 가수분해 최소화제, 예를 들어 당류, 이뇨제, 인산이칼슘 또는 ACE 억제제에 대해 가수분해 최소화 효과를 갖는 공지된 충전제를 배합함으로써 산화, 가수분해 및 고리화에 의한 분해에 내성이 있는 조성물을 제조한다. 산화마그네슘의 사용은 ACE 억제제의 고리화 분해를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습식 과립화 방법에 의해 ACE 억제제를 제약 조성물로 향상시킨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2067호는 라미프릴과 중합체성 보호피막 또는 완 충제를 함유하는 기계적 응력에 대한 안정성이 증진된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분해되기 쉬운 라미프릴에 중합체성 막 형성제를 보호 피복시키거나, 라미프릴을 수분의 존재하에서 제제중의 pH가 약산 내지 약알칼리성의 범위내로 조절될 수 있게 하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완충제와 혼합시킴으로써 기계적 응력으로 인한 불활성화가 억제되고 라미프릴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227156호는 ACE 억제제에 안정화제로 글리신하이드로클로라이드와 같은 산 공여체를 혼입시킴으로써 저장 안정성이 개선된 약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이러한 안정화 방법은 ACE 억제제를 분해로부터 보호하고, 통상의 저장 조건하에서 연장된 저장-수명을 나타내며, 수분에 대해 덜 민감하여 수분의 증가에 대해서 안정성을 개선시킬수 있으며, 유효기간동안 변색을 덜 나타내고, 착색제의 존재하에서 사용시 불안정성을 적게 나타나게 하는 잇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의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를 제조할 시 사용되는 여러 가지 부형제들에 의해 라미프릴이 영향을 받아 안정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로는 유당, 수크로오스, 만니톨 및 솔비톨과 같은 당; 옥수수 전분 및 타피오카 전분과 같은 전분; 나트륨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및 메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 및 그의 유도체; 인산 이칼슘과 같은 인산 칼슘; 황산 나트륨; 및 폴리비닐 알콜이 있다. 또한, 약학적 제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성분을 함유할 수도 있으며, 임의의 성분으로는 윤활제, 예를들면,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스테아르산 칼슘과 같은 알칼리 토금속 스테아레이트, 및 수소화된 면실유와 같은 수소화된 식물성 오일; 결합제, 예를들면 폴리비닐피롤리돈(포비돈) 및 젤라틴; 및 붕해제, 예를들면 미결정 셀룰로오스, 가교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알긴산이 있다. 기타 임의의 성분들로는 충진제, 수 제거제, 완충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착색제 및 풍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를 제조할 시 활성물질과 안정화제 외에 상기에 열거한 여러 가지 부형제 및 임의의 성분을 많이 포함하게 되므로, 본 발명자들은 보다 간편하면서 효과적으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여러 가지 부형제들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간단한 제조공정을 통해 라미프릴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던 중, 라미프릴 활성물질에 부형제로서 유당만 사용한 제제에서 라미프릴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안정성을 우수하게 유지시키고, 또한 유당의 함량중 5% 미만을 다른 첨가제로 대체하여도 부형제로 유당만을 사용하였을 때와 동등하게 라미프릴의 안정성을 유지시킴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안정성이 개선된 라미프릴을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제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안정성이 개선된 라미프릴을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제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경구투여용 제제는 라미프릴 0.5~10 중량%와 유당 90~99.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경구투여용 제제는 라미프릴 0.5~10 중량%, 유당 85~99.49 중량%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 0.0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는 미결정 셀룰로오스, 만니톨, 옥수수 전분, 글리세릴 비히네이트, 라우릴황산나트륨,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및 탈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경구투여용 제제는 라미프릴과 유당을 50호체를 이용하여 사과혼합한 후, 이를 3호 캡슐에 충전하여 제조한다.
상기 제조한 캡슐제를 온도 40℃, 상대습도 75% 조건에서 5개월간 방치한 후 라미프릴의 함량을 관찰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라미프릴과 유당만으로 이루어진 경구투여용 제제의 함량변화는 3.5%로 시판제제보다(4.7~5.8%) 함량변화를 거의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유당의 함량중 5% 미만을 다른 첨가제로 대체한 제제의 경우도 함량이 3.9~5.3%로 시판제제보다 함량변화를 거의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구투여용 제제는 다른 부형제를 사용하지 않고 부형제로서 유당만을 사용함으로써 배합 변화없이 라미프릴의 안정성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유당의 함량중 5% 미만을 다른 첨가제로 대체하여도 부형제로 유당만을 사용하였을 때와 동등하게 라미프릴의 안정성을 유지함으로써, 온도 40℃, 상대습도 75% 조건하에서 안정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경구투여용 제제는 경구용 고체 형태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캡슐제이다.
본 발명에서 하나의 캡슐제의 중량은 250㎎ 정도 이고, 라미프릴은 2.5~10㎎ 포함할 수 있다.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라미프릴의 일일 투여량은 약 1.25~10.0㎎/㎏ 이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유당을 사용한 라미프릴 함유 캡슐제의 제조(10,000개)
라미프릴 50g과 유당 1,950g을 50호체를 이용하여 사과혼합하였다. 이를 3호 캡슐에 충전하여 최종 중량이 250㎎이 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2~8 : 유당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 1종을 혼합 사용한 라미프릴 함유 캡슐제의 제조(10,000개)
실시예 2 : 유당 및 미결정셀룰로오스를 사용한 라미프릴 함유 캡슐제의 제조(10,000개)
라미프릴 50g과 유당 1,930g 및 미결정셀룰로오스 20g을 50호체를 이용하여 사과혼합하였다. 이를 3호 캡슐에 충전하여 최종 중량이 250㎎이 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3 : 유당 및 만니톨을 사용한 라미프릴 함유 캡슐제의 제조(10,000개)
라미프릴 50g과 유당 1,930g 및 만니톨 20g을 50호체를 이용하여 사과혼합하였다. 이를 3호 캡슐에 충전하여 최종 중량이 250㎎이 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4 : 유당 및 옥수수전분을 사용한 라미프릴 함유 캡슐제의 제조(10,000개)
라미프릴 50g과 유당 1,930g 및 옥수수전분 20g을 50호체를 이용하여 사과혼합하였다. 이를 3호 캡슐에 충전하여 최종 중량이 250㎎이 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5 : 유당 및 글리세릴 비히네이트를 사용한 라미프릴 함유 캡슐제의 제조(10,000개)
라미프릴 50g과 유당 1,930g 및 글리세릴 비히네이트 20g을 50호체를 이용하 여 사과혼합하였다. 이를 3호 캡슐에 충전하여 최종 중량이 250㎎이 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6 : 유당 및 라우릴황산나트륨을 사용한 라미프릴 함유 캡슐제의 제조(10,000개)
라미프릴 50g과 유당 1,930g 및 라우릴황산나트륨 20g을 50호체를 이용하여 사과혼합하였다. 이를 3호 캡슐에 충전하여 최종 중량이 250㎎이 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7 : 유당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을 사용한 라미프릴 함유 캡슐제의 제조(10,000개)
라미프릴 50g과 유당 1,930g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20g을 50호체를 이용하여 사과혼합하였다. 이를 3호 캡슐에 충전하여 최종 중량이 250㎎이 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8 : 유당 및 탈크를 사용한 라미프릴 함유 캡슐제의 제조(10,000개)
유당과 탈크의 비율을 변화시켜가며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 라미프릴 50g과 유당 1,930g 및 탈크 20g을 50호체를 이용하여 사과혼합하였다. 이를 3호 캡슐에 충전하여 최종 중량이 250㎎이 되도록 하였다.
2. 라미프릴 50g과 유당 1,910g 및 탈크 40g을 50호체를 이용하여 사과혼합하였다. 이를 3호 캡슐에 충전하여 최종 중량이 250㎎이 되도록 하였다.
3. 라미프릴 50g과 유당 1,890g 및 탈크 60g을 50호체를 이용하여 사과혼합하였다. 이를 3호 캡슐에 충전하여 최종 중량이 250㎎이 되도록 하였다.
비교예 1~7 :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 1종을 사용한 라미프릴 함유 캡슐제의 제조
비교예 1 : 미결정셀룰로오스를 사용한 라미프릴 함유 캡슐제의 제조(10,000개)
라미프릴 50g과 미결정셀룰로오스 1,950g을 50호체를 이용하여 사과혼합하였다. 이를 3호 캡슐에 충전하여 최종 중량이 250㎎이 되도록 하였다.
비교예 2 : 만니톨을 사용한 라미프릴 함유 캡슐제의 제조(10,000개)
라미프릴 50g과 만니톨 1,950g을 50호체를 이용하여 사과혼합하였다. 이를 3호 캡슐에 충전하여 최종 중량이 250㎎이 되도록 하였다.
비교예 3 : 옥수수전분을 사용한 라미프릴 함유 캡슐제의 제조(10,000개)
라미프릴 50g과 옥수수전분 1,950g을 50호체를 이용하여 사과혼합하였다. 이를 3호 캡슐에 충전하여 최종 중량이 250㎎이 되도록 하였다.
비교예 4 : 글리세릴비히네이트를 사용한 라미프릴 함유 캡슐제의 제조(10,000개)
라미프릴 50g과 글리세릴비히네이트 1,950g을 50호체를 이용하여 사과혼합하였다. 이를 3호 캡슐에 충전하여 최종 중량이 250㎎이 되도록 하였다.
비교예 5 : 라우릴황산나트륨을 사용한 라미프릴 함유 캡슐제의 제조(10,000개)
라미프릴 50g과 라우릴황산나트륨 1,950g을 50호체를 이용하여 사과혼합하였다. 이를 3호 캡슐에 충전하여 최종 중량이 250㎎이 되도록 하였다.
비교예 6 :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을 사용한 라미프릴 함유 캡슐제의 제조(10,000개)
라미프릴 50g과 스테아린산마그네슘 1,950g을 50호체를 이용하여 사과혼합하였다. 이를 3호 캡슐에 충전하여 최종 중량이 250㎎이 되도록 하였다.
비교예 7 : 탈크를 사용한 라미프릴 함유 캡슐제의 제조(10,000개)
라미프릴 50g과 탈크 1,950g을 50호체를 이용하여 사과혼합하였다. 이를 3호 캡슐에 충전하여 최종 중량이 250㎎이 되도록 하였다.
비교예 8 ~ 9 : 프리젤라티나이즈드스타치를 사용한 라미프릴 함유 캡슐제의 제조
비교예 8 : 미국내 시판 제제(10,000개)
라미프릴 50g과 프리젤라티나이즈드스타치 1,950g을 50호체를 이용하여 사과혼합하였다. 이를 3호 캡슐에 충전하여 최종 중량이 250㎎이 되도록 하였다.
비교예 9 : 국내 시판 제제(트리테이스 정)(10,000개)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HPMC) 9g을 정제수 180g에 녹여 5% 수용액을 제조한 후 유동층(fluidized bed) 내에서 라미프릴 50g에 분무하여 과립한 후 50℃로 건조하였다. 이 건조물에 프리젤라티나이즈드스타치 465.5g, 미결정셀룰로오스 470g, 스테아린푸마르산나트륨 5g 및 산화제이철 0.5g을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최종 중량이 100㎎으로 직접 타정하였다.
실험예 1 : 캡슐제의 함량변화 실험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7에서 제조한 캡슐제를 온도 50℃, 상대습도 75% 조건에서 15일간 방치하고, 라미프릴의 함량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초기 함량(%) 15일 경과후 함량(%) 함량 변화(%)
실시예 1 99.5 95.9 3.6
비교예 1 98.1 89.4 8.7
비교예 2 97.3 87.0 10.3
비교예 3 97.9 87.7 10.2
비교예 4 98.2 71.4 26.8
비교예 5 96.6 83.8 12.8
비교예 6 97.5 75.0 22.5
비교예 7 98.5 90.0 8.5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라미프릴과 유당으로 이루어진 경구투여용 제제는 함량 변화가 3.6%이었으나, 라미프릴과 다른 첨가제로 이루어진 비교예 1~7의 함량 변화는 8.5~26.8%로 함량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실험예 2 : 본 발명에 따른 캡슐제의 함량변화 실험
상기 실시예 1~8에서 제조한 캡슐제를 온도 40℃, 상대습도 75% 조건에서 5개월간 방치하고, 라미프릴의 함량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초기 함량(%) 5개월 경과후 함량(%) 함량 변화(%)
실시예 1 [라미프릴(2.5 중량%)+유당(97.5중량%)] 99.5 96.0 3.5
실시예 2 [라미프릴(2.5 중량%)+유당(96.5 중량%) +미세결정셀룰로오스(1 중량%)] 98.7 93.8 4.9
실시예 3 [라미프릴(2.5 중량%)+유당(96.5 중량%) +만니톨(1 중량%)] 97.5 92.4 5.1
실시예 4 [라미프릴(2.5 중량%)+유당(96.5 중량%) +옥수수전분(1 중량%)] 98.1 93.6 4.5
실시예 5 [라미프릴(2.5 중량%)+유당(96.5 중량%) +글리세릴 비히네이트(1 중량%)] 98.5 93.2 5.3
실시예 6 [라미프릴(2.5 중량%)+유당(96.5 중량%) +라우릴황산나트륨(1 중량%)] 97.2 92.9 4.3
실시예 7 [라미프릴(2.5 중량%)+유당(96.5 중량%) +스테아린산마그네슘(1 중량%)] 97.9 92.7 5.2
실시예 8 라미프릴(2.5 중량%)+유당(96.5 중량%)+ 탈크(1 중량%) 97.3 93.4 3.9
라미프릴(2.5 중량%)+유당(95.5 중량%)+ 탈크(2 중량%) 97.2 92.8 4.4
라미프릴(2.5 중량%)+유당(94.5 중량%)+ 탈크(3 중량%) 97.0 92.1 4.9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라미프릴과 유당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제는 함량 변화가 3.5%이었으나, 라미프릴과 유당 및 다른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혼합 사용한 실시예 2~8의 함량 변화는 3.9~5.3%로 약간의 함량 변화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라미프릴을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제제는 온도 40℃, 상대습도 75% 조건에서 안정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본 발명에 따른 캡슐제와 기존 시판 제제의 함량변화 실험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8~9에서 제조한 캡슐제를 온도 40℃, 상대습도 75% 조건에서 5개월간 방치하고, 라미프릴의 함량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초기 함량(%) 5개월 경과후 함량(%) 함량 변화(%)
실시예 1 99.5 96.0 3.5
비교예 8 99.4 93.6 5.8
비교예 9 97.5 92.8 4.7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라미프릴과 유당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제는 함량 변화가 3.5%이었으나, 라미프릴과 프리젤라티나이즈드스타치로 이루어진 기존 시판 제제인 비교예 8~9의 함량 변화는 4.7~5.8%로 약간의 함량 변화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라미프릴을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제제는 시판제제보다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경구투여용 제제는 다른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 부형제로서 유당만을 사용함으로써 배합 변화없이 라미프릴의 안정성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유당의 함량중 5% 미만을 다른 첨가제로 대체하여도 부형제로 유당만을 사용하였을 때와 동등하게 라미프릴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 른 경구투여용 제제는 기존 시판제제보다 안정성이 우수하며,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경제적으로도 유용하다.

Claims (5)

  1. 삭제
  2. 라미프릴 0.5~10 중량%, 유당 85~99.49 중량%, 및 탈크 및 라우릴황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 0.01~5 중량%을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제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탈크는 1~3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투여용 제제.
  4. 제 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캡슐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투여용 제제.
  5. 제 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제는 한 캡슐당 라미프릴 2.5~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투여용 제제.
KR1020040081371A 2004-10-12 2004-10-12 안정성이 개선된 라미프릴을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제제 KR100593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371A KR100593795B1 (ko) 2004-10-12 2004-10-12 안정성이 개선된 라미프릴을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371A KR100593795B1 (ko) 2004-10-12 2004-10-12 안정성이 개선된 라미프릴을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424A KR20060032424A (ko) 2006-04-17
KR100593795B1 true KR100593795B1 (ko) 2006-06-30

Family

ID=37141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371A KR100593795B1 (ko) 2004-10-12 2004-10-12 안정성이 개선된 라미프릴을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37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6919A (en) 1994-09-02 2000-07-11 Astra Aktiebolag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ace inhibitor ramipril and a dihydropyridine compound
US6267990B1 (en) 1997-06-12 2001-07-31 Hexal Ag Controlled-release pharmaceutical preparation comprising an ACE inhibitor as active ingredient
WO2003028707A1 (en) * 2001-09-28 2003-04-10 Bernard Charles Sherman Solid compositions comprising ramipril
US20030215526A1 (en) 2002-03-08 2003-11-20 Scott Stofik Stable formulations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6919A (en) 1994-09-02 2000-07-11 Astra Aktiebolag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ace inhibitor ramipril and a dihydropyridine compound
US6267990B1 (en) 1997-06-12 2001-07-31 Hexal Ag Controlled-release pharmaceutical preparation comprising an ACE inhibitor as active ingredient
WO2003028707A1 (en) * 2001-09-28 2003-04-10 Bernard Charles Sherman Solid compositions comprising ramipril
US20030215526A1 (en) 2002-03-08 2003-11-20 Scott Stofik Stable formulations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81371 - 61246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424A (ko) 2006-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6507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JAK kinase inhibitor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RU2401109C2 (ru) Таблетированный препарат с замедленным высвобождением для вертиго
IE60725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7794748B2 (en) Stable oral solid drug composition
SK7899A3 (en) Antithrombotic and antiatherogen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cluding a thienopyridine derivative and an hmg-coa-reductase inhibitor
EP1429748B1 (en) Solid compositions comprising ramipril
KR100227156B1 (ko) 저장 안정성이 개선된 약학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7522202A (ja) 制吐剤及びエンケファリナーゼ阻害物質の新規組み合わせ
SK279591B6 (sk) Farmaceutický prostriedok
KR100593795B1 (ko) 안정성이 개선된 라미프릴을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제제
HU222497B1 (hu) Enalapril-maleátot tartalmazó stabilizált gyógyszerkészítmény és eljárás előállítására
CZ138198A3 (cs) Spojení fixní dávky inhibitoru angiotensin konvertujícího enzymu a antagonisty vápníkového kanálu, způsob pro jejich přípravu a použití v léčbě kardiovaskulárních onemocnění
KR100990223B1 (ko) 세프디니르의 용출속도를 개선한 약제학적 조성물
BG61242B2 (bg) Твърд фармацевтичен състав за орална употреба набаза дапипразол
JP2009091292A (ja) 保存安定性に優れた塩酸テモカプリルの錠剤
US6296871B1 (en) Stable soli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enalapril maleate
KR100825039B1 (ko) 안정성이 개선된 암로디핀 말레이트염 정제
JP2005060294A (ja) 医薬組成物
RU2008113043A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 противомигреневым действием
AU2002325125A1 (en) Solid compositions comprising ramipril
JP2002322064A (ja) 安定な塩酸ベナゼプリル錠
CZ281514B6 (cs) Farmaceutický prostřede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