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255B1 -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 Google Patents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255B1
KR100585255B1 KR1020060025282A KR20060025282A KR100585255B1 KR 100585255 B1 KR100585255 B1 KR 100585255B1 KR 1020060025282 A KR1020060025282 A KR 1020060025282A KR 20060025282 A KR20060025282 A KR 20060025282A KR 100585255 B1 KR100585255 B1 KR 100585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vel
jewelry
hole
ornaments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이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호 filed Critical 이준호
Priority to KR1020060025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255B1/ko
Priority to PCT/KR2007/001323 priority patent/WO2007108622A1/en
Priority to CN2007800184094A priority patent/CN101448424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05Jewelry adherable on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10)는, 하부에 흡착판(23)을 구비하여 배꼽(100) 내에 압착이 되고, 내부 중공 구조로 이루어져 다수 개로 형성된 자바라식 주름부(21)에 의해 신축 및 이완이 가능한 유연성 재질의 바디(20); 상기 바디(20)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바디(20)의 공기 유통을 제어하는 통공(32)을 구비한 캡(30); 상기 바디(20)의 상단 일 측벽과 연결된 바디 연결부(43)를 중심점으로 하여 일단에는 상기 통공(32)을 개폐하는 통공 개폐부(42)와, 타단에는 손잡이(41)가 형성된 마개(40); 상기 캡(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장신구(70)를 탈부착 가능하게 수용하는 장신구 수용부(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에 따르면, 피어싱 없이 장신구를 장착할 수가 있어 상당히 위생적으로 활용 가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배꼽에 견고하게 장착되게 하기 위한 다중적인 수단을 겸비하여 피어싱 시술에 필적하는 부착성과 안정성을 가진다.

Description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DEVICE OF ADORNMENT FOR NAVE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가 배꼽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의 장신구 부위를 중심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의 압착판 부위를 중심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의 일 부위의 절개 구성을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장신구 장치 50: 날개
20: 바디 51: 돌기
21: 주름부 52: 스프링
22: 스프링 53: 핀
23: 흡착판 60: 장신구 수용부
24: 통구 62: 지지대
30: 캡 63: 보조 장신구 결합공
32: 통공 70: 장신구
40: 마개 80: 보조 장신구
41: 손잡이 100: 배꼽
42: 통공 개폐부
본 발명은 배꼽에 장착되는 장신구 장치로서, 보다 상세히는 종래의 배꼽 주변을 피어싱하여 배꼽에 장착할 수밖에 없었던 장신구의 위험성을 탈피하고 논 피어싱(non piercing) 방식으로 자유롭고 편리하게 배꼽에 탈부착이 가능한 장신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신구는 귀걸이, 목걸이, 팔찌 등의 악세사리를 총칭하는 명칭으로서, 예로부터 지금까지 다양한 디자인과 용도로서 현대 여성 뿐 아니라 남성에게 각광받으며 사용되는 장치이다.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목걸이의 목걸이 줄, 반지 내지 팔찌의 링 내지 줄에 의하여 목, 손가락, 손목 등의 신체의 타켓 부위에 둘러싸거나 감는 방식으로 장신 구가 신체에 장착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현재에는 기존의 귀걸이 장착을 위해 사용되던 피어싱(piercing) 기술이 다른 신체 부위, 예를 들어 코, 입술, 배꼽 등에까지 확대되어 사용되고 있다.
피어싱 기술은 장신구를 특전 신체 부위에 직접 장착하기 위해 신체 부위를 뚫어 소직경의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을 통해 팬던트와 고정 수단을 상호 결합하는 것을 말하며, 예를 들어 배꼽에 피어싱을 하는 경우 종단에 고리가 있는 팬던트를 배꼽에 밀어 넣고 배꼽 주변 부위를 팬던트의 종단과 연결되도록 뚫어 이 구멍에 고정 수단을 삽입하여 고리와 끼워지게 됨으로 견고하게 배꼽에 팬던트를 장착하는 방식으로 활용이 된다.
그런데, 이러한 피어싱 방법에 의하여 배꼽에 장신구가 장착이 될 때, 분명 배꼽에 견고하게 장신구가 장착된다는 이점은 있겠으나, 신체를 직접 피어싱 하는 시술로 인하여 피어싱 부위에 외부의 세균이 무방비로 침투하는 등의 위험이 존재하고 있고 실제 피어싱을 시술하는 곳은 악세사리 판매업체와 같은 의료 기관과 상관없는 곳이라 매우 비위생적이고 실제 피어싱을 시술받은 자가 부작용을 호소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더불어, 배꼽에 다양한 디자인을 가진 장신구를 장착하여 자신의 아름다움을 뽐내고 싶은 심리는 있으나 배 주변 부위를 피어싱해야 한다는 부담감 내지 혐오감으로 배꼽에 장신구를 장착하지 못한다는 대중화에 역행하는 저해요인으로도 자리하고 있다.
그렇다고 피어싱 시술 없이 배꼽에 장신구를 장착할 경우, 배꼽 사이즈에 꼭 들어맞는 장신구를 끼워야 하기 때문에 장신구 선택에 상당한 제한을 받게 되고 설사 배꼽 직경에 꼭 맞는 사이즈의 장신구를 장착했다 하더라도 배꼽의 구조 상 사용자가 움직일 때 쉽사리 배꼽에서 장신구가 이탈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위험 부담 내지 혐오감이 있는 피어싱 시술이 없으면서도 효과적으로 배꼽에 안전하고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는 새로운 배꼽 장착용 장신구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꼽에 진공 상태로 흡착이 되는 바디를 통해 피어싱 없이 배꼽에 안전하고 견고하게 장신구를 장착할 수 있는 장신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다양한 움직임에도 쉽사리 탈거되지 않도록 바디에 고정 수단을 제공하여 바디의 부착력과 더불어 이중적인 부착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디 상에 탈부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장신구를 장착하여 다양한 장신구의 교환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배꼽에 사용되는 큐빗과 같은 장신구 이외에 반지 등의 기타 악세사리를 배꼽에 보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10)는, 하부에 흡착판(23)을 구비하여 배꼽(100) 내에 압착이 되고, 내부 중공 구조로 이루어져 다수 개로 형성된 자바라식 주름부(21)에 의해 신축 및 이완이 가능한 유연성 재질의 바디(20); 상기 바디(20)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바디(20)의 공기 유통을 제어하는 통공(32)을 구비한 캡(30); 상기 바디(20)의 상단 일 측벽과 연결된 바디 연결부(43)를 중심점으로 하여 일단에는 상기 통공(32)을 개폐하는 통공 개폐부(42)와, 타단에는 손잡이(41)가 형성된 마개(40); 상기 캡(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장신구(70)를 탈부착 가능하게 수용하는 장신구 수용부(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10)는 상기 바디(20)의 측벽에 적어도 1쌍의 날개(50)를 부착하고 있되, 상기 날개(50)는 복수 개의 돌기(51)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20)와 힌지 결합을 이루어 일정 범위 내에서 접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10)가 배꼽(10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3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10)의 분리된 구성을 결합한 상태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10)는 크게 배꼽(100) 내에 장착되는 바디(body)(20), 바디(20)의 상부에 부착되는 캡(30), 캡(30)과 연결되어 있는 장신구 수용부(60), 장신구 수용부(60)에 수용된 장신구(70)로 구성이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디(20)는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의 일정 탄성을 보유한 신축/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배꼽(100) 내에 장착이 되었을 때 이물감을 주거나 배꼽의 손상을 주는 것을 최소화한다. 바디(20)는 내부가 중공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원통 형상을 취하고 있되,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신축 및 이완이 가능하도록 자바라식으로 다수 개의 주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주름이 형성된 자바라식 측 부위를 주름부(21)라 명명한다.
이러한 주름부(21)에 의하여 몸체가 자바라식으로 형성된 바디(20)는 수직 방향으로 외부 힘의 작용에 따라서 신축 및 이완이 가능하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바디(20) 자체의 탄성을 보유한 유연성 재질에 의하여 신축 및 이완이 가능하나, 보다 강력한 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바디(20) 내에는 스프링(22)이 장착될 수가 있다.
도 1, 2를 다시 참조하면, 바디(20)의 내부 바닥 면과 후술할 캡(30)의 하단 사이에 장착되어 바디(20) 내에 직립하여 있는 스프링(22)으로 인하여 바디(20)는 외부 힘에 대해 보다 탄력적으로 신축 및 이완이 가능하며, 스프링(22)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만일 바디(20)가 배꼽(100) 내에서 장착될 때 신축된(쭈그러진)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면 쉽사리 펴지지가 않아 자칫 배꼽(100) 내에서 바디(20)를 탈거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바디(20)는 무엇보다 배꼽(100) 내에서 쉽사리 탈거되지 않으면서도 배꼽(100) 부위를 손상하지 않도록 안전하고 적절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바디(20)는 다양하고 다중적인 부착 보조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먼저, 바디(20)의 하단에는 흡착판(23)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바디(20)를 눌렀을 때 배꼽(100)의 바닥 면과 흡착판(23)이 접촉하면서 공기압축으로 흡착판(23)이 배꼽(100) 내에 압착이 된다. 흡착판(23)의 직경은 바디(20)의 직경보다 크도록 하여 흡착판(23)은 배꼽(100)의 측벽과 불필요한 공간 발생을 방지하면서 배꼽(100)의 접촉 부위에 타이트한 밀착관계를 가지도록 하되, 바디(20)는 배꼽(100)의 측벽과 약간 유격되어 있는 상태를 취하여 추후 바디(20)가 배꼽(100)에서 분리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한다.
흡착판(23)과 바디(20)의 연결부위를 통해 적절하게 흡착판(23)의 공기가 빠져나가고 들어감으로 배꼽(100)에서 흡착판(23)의 압착 및 분리가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흡착판(23)과 바디(20)의 내부 바닥 면 사이에는 통구(24)가 형성되어 바디(20) 내부와 흡착판(23)이 서로 내통될 수가 있다.
이러한 공기 압축에 의한 흡착판(23)의 흡착 원리가 제대로 작용을 하려면 흡착판(23)이 배꼽(100)과 압착을 이룬 상태에서는 통구(24)를 통해 흡착판(23) 내의 공기가 바디(20) 배로 유입이 되고 바디(20)자체 내의 공기와 함께 모두 외부로 유출이 되어 흡착판(23)의 압착 후 불필요한 공기의 유통이 이루어지는 것을 막아야 하며, 더불어 바디(20) 자체가 신축을 적절히 이루기 위해서도 바디(20) 내의 공기가 외부로 적절하게 빠져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바디(20)의 상단에는 공기의 유통을 제어하는 캡(30)이 부착되어 있다.
캡(30)은 바디(20)와 후술할 장신구 수용부(60)를 연결하는 연결 매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1차적인 기능을 가지나, 이 외에 바디(20) 내의 공기의 유통을 제어하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먼저 캡(30)의 구성을 설명하면, 캡(30)은 바람직하게는 자석과 같이 자성을 가진 자성체로 이루어져 있고 바디(20)의 상단 직경에 상응하거나 약간 작은 직경을 가져 바디(20) 상단 면 내측으로 고정 부착이 되어 있어, 외부의 힘이 작용하였을 때 바디(20)의 신축과 함께 하부로 이동하면서 캡(30)의 하부 면에 부착되어 바디(20)의 내부에 위치한 스프링(22)을 압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캡(30)의 중앙부에는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후술할 장신구 수용부(60)가 연결될 수 있는 돌출 연결공(31)을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돌출 연결공(31)의 주변 일 측에는 일정 크기의 통공(32)이 형성되어 있다.
캡(30)의 통공(32)은 바디(20) 내의 공기가 유통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바디(20)의 상단 일 측벽에 부착되어 있는 마개(40)에 의하여 개폐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개(40)는 대략 캡(40)의 상면 형성 방향, 즉 횡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있는 형상을 취하고 있는데, 이는 외측부의 손잡이(41)와 내측부의 통공 개폐부(42)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개(40)의 대략 중앙 부위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바디 연결부(43)에 의하여 바디(20)의 상단 측벽과 결합이 되어 있다.
바디 연결부(43)는 시소 내지 지렛대와 같은 중심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바디 연결부(43)의 중심점 역할에 의하여 손잡이(41)를 올리면 통공 개폐부(42)가 하 측으로 내려가 통공(32)을 밀폐하고 손잡이(41)를 내리거나 누르면 통공 개폐부(42)가 상 측으로 올라가 통공(32)에서 분리하여 통공(32)을 개방하도록 한다. 바디 연결부(43)와 바디(20)의 결합 부위에는 스프링을 추가로 구비하여 통공(32)을 막는 쪽으로 스프링의 복원력을 갖도록 스프링을 장착한 힌지 결합을 하게 함으로 손잡이(41)의 불필요하고 잦은 유동을 방지하도록 손잡이(41)에 탄성에 의한 긴장력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마개(40)과 바디(20)의 상호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초기에 마개(40)의 통공 개폐부(42)가 통공(32)을 밀폐한 상태로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바디(20)를 배꼽(100) 내에 위치시킨 다음 캡(30)의 상면 부위를 눌러 바디(20)를 신축시키면 바디(20) 하단에 부착된 압축판(23)이 배꼽(100)에 압착이 되면서 보유 공기를 통구(24)를 통해 바디(20) 내로 방출하고 더불어 바디(20) 내의 공기도 캡(30)을 누르는 힘에 반작용하여 외부로 방출되려는 성질을 가진다. 이러한 성질에 의해, 바디(20) 내의 공기는 통공(32)을 덮고 있는 통공 개폐부(42)를 밖으로 밀어내어 통공(32)을 개방시키며, 결국 통공(32)을 통해 바디(20)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방출 된다.
바디(20)를 끝까지 눌러 바디(20) 내의 공기가 모두 외부로 방출이 되면 바디(20) 내는 진공 상태로 되고, 이러한 진공 상태로 인한 바디(20) 내외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통공 개폐부(42)는 하 측으로 내려와 통공(32)을 밀폐시킨다. 통공 개폐부(42)는 손잡이(41)가 눌러지지 않는 이상, 통공(32) 내에 외부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바디(20) 내의 진공상태를 보장하고 이로 인해 바디(20)는 압착판(23)과 바디(20) 내의 진공 상태의 보장으로 신축되어 있는 상태에서 배꼽과 강인하게 결합이 될 수 있다. 이 때, 바디(20) 내의 스프링(22)은 압축되어 있는 상태를 가지는데 이러한 압축 스프링(22)이 원 상태로 복원되고자 하는 성질과 진공상태로 인한 바디(20)의 수축되고자하는 성질이 서로 대응되며, 결국 바디(20) 내에서는 이러한 상호 힘에 의하여 적절한 긴장 상태 내지 힘의 평형 상태를 이루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바디(20)를 배꼽(100)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마개(40)의 손잡이(41)를 눌러 통공(32)에서 통공 개폐부(42)가 분리되게 함으로 통공(32) 내로 공기를 유입시킨다. 유입된 공기로 인해 바디(20)는 이완을 시작함과 동시에 스프링(22)이 복원됨으로, 스프링(22)의 복원력이 이러한 바디(20)의 적절한 이완을 돕게 된다. 유입된 공기는 통구(24)를 통해 압착판(23)까지 침투되어 결국 압착판(23)과 배꼽(100) 사이에 충진된 공기에 의하여 서로 공간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써 용이하게 배꼽(100)에서 바디(20)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마개(40)의 손잡이(41)는 후술할 장신구(70) 및 장신구 수용부(60)의 외주 면보다 외부로 더욱 연장되어 있는 상태, 즉 제일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를 가져야 사용자가 배꼽(100) 내에 손가락을 밀어 넣어 장신구 수용부(60) 등이 손잡이(41)를 가리지 않는 상태에서 손잡이(41)를 작동시킬 수가 있으며, 배꼽(100) 내의 협소한 공간을 감안하여 손잡이(41)는 마개(40)의 연장부위와 대응하도록 반드시 수평으로 연장될 필요가 없이 바디 연결부(43) 주변 지점에서부터 상 방향으로 다단으로 절곡되어 있거나 단부가 장신구 수용부(60) 외측으로 돌출되어 드러나는 다양한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장신구 수용부(60)에 의하여 손잡이(41)가 가려지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평하지 않고 굴곡 면으로 이루어진 배꼽(100) 내의 벽에 압착판(23)이 효율적으로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바디(20)의 측부에는 적어도 1쌍의 날개(50)가 부착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10)의 일 부위, 날개(50)와 바디(20)의 결합관계를 중심으로 도시하기 위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1, 2, 5를 중점적으로 참조하면, 날개(50)는 바디(20)와 마찬가지로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바디(20)의 측벽 부착부위에서 상부로 갈수록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날개(50) 몸체에는 복수 개의 돌기(51)가 형성되어 있다.
날개(50)와 바디(20)는 스프링(52)을 보유한 핀(53)에 의하여 힌지 결합을 하며, 핀(53)의 단부에는 스프링(52)의 이탈을 막도록 핀 캡(54)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핀(53)에 의한 힌지 결합에 의하여 날개(50)는 바디(20)에서의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접히고 펴지는 방식으로 선회가 가능하고 핀(53)에 구비된 스프링(52)은 날개(50)가 펴지도록 하는 복원력을 가지고 있도록 핀(53) 및 바디(20)에 부착이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바디(20)가 배꼽(100) 내에 장착이 되는 과정에서 배꼽(100)의 측벽에 날개(50)가 접촉하면서 내측 방향으로 접히게 되고 바디(20)가 배꼽(100) 내에 장착이 된 상태에서는 스프링(52)의 복원력으로 날개(50)가 다시 펴져 배꼽(100)의 측벽과 밀착된다.
또한, 날개(50)가 상부로 갈수록 바디(20)와 간극이 벌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결국 바디(20)가 배꼽(100)에 들어 갈 때에는 날개(50)가 배꼽(100)과의 별다른 접촉 없이 용이하게 접혀있지만 바디(20)를 배꼽(100)에서 빼어낼 때에는 날개(50)가 배꼽(100)의 측벽과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 배꼽(100)의 형상에 상관없이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쉽사리 바디(20)가 배꼽(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만일 사용자가 배꼽(100)에서 바디(20)를 빼어내고자 할 때에는 날개(50)의 단부를 누르거나 배꼽(100)의 측벽을 가볍게 눌러 날개(50)와 배꼽(100) 측벽 사이에 틈이 생기게 함으로써 바디(20)를 용이하게 외부로 빼어낼 수가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바디(10)는 흡착판(23)의 1차적 기능, 마개(40)를 통한 바디(20) 내 진공상태 보장의 2차적 기능, 날개(50)의 3차적 기능에 의한 복합적이고 다중적인 배꼽(100) 내 바디(20)의 강한 부착력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여 기존의 피어싱 시술에 필적하는 배꼽(100) 내 결합력을 발휘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수용부(60)는 캡(30)의 상단에 결합이 되어 있는 것으로, 장신구(70)를 수용하는 기본적인 역할을 제공한다.
장신구 수용부(60)는 자성체로 이루어져 역시 자성체로 이루어진 캡(30)과 자력 결합을 이루게 할 수 있는 것이 기본이나, 상술한 마개(40)의 작동공간을 보장하고 보다 밀접한 결합을 위하여 장신구 수용부(60)의 하부 면의 중앙 부위에는 일정 길이로 수직 연장되어 캡(30)의 돌출 연결공(31) 내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6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이러한 캡(30)의 돌출 연결공(31)의 내측 벽과 장신구 수용부(60)의 결합부(61) 외측 벽에는 추가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을 할 수도 있다.
장신구 수용부(60)의 상부 면에는 다양한 디자인과 색상을 가지는 큐빅과 같은 장신구(70)가 결합된다. 장신구(70)의 하부 면에는 자성 층이 형성되어 장신구 수용부(60)의 상부 면과 역시 자력 결합을 이루도록 한다.
더불어, 장신구(70)가 보다 안전하고 견고하게 장신구 수용부(60)에 수용되도록 장신구 수용부(60)의 상부 외주 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62)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대(62)는 상부로 돌출 구성되어 있되 상단부가 내측으로 굽어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 장신구(70)를 맞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62)는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장신구(70)가 장신구 수용부(60)와 결합 및 분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바람직하게는 지지대(62)와 장신구 수용부(60)의 결합부위에는 핀과 스프링에 의한 힌지 결합 방식을 가진 바디(20)와 날개(50)의 결합 원리와 유사 하게 핀과 스프링을 보유하여 지지대(62)가 장신구 수용부(60)에서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 경우 스프링은 지지대(62)가 장신구 수용부(60)의 내측 방향을 향하는 복원력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지지대(6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횡 방향으로 관통된 보조 장신구 결합공(6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조 장신구 결합공(63)에는 고리 형상을 가지되 일 측이 일정 부위 개방된 상태를 가지는 보조 장신구(80)가 결합된다. 이러한 보조 장신구(80)는 지지대(62)의 보조 장신구 결합공(63)에 결합되어 큐빅 등의 형상을 가지는 장신구(70)의 장신 기능이 더욱 효과적으로 부각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적인 치장 기능을 수행하여 보다 다양하고 개성 있는 장신 디자인 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보조 장신구 결합공(63)에서 분리하여 귀걸이로도 사용할 수 있다. 결국, 보조 장신구 결합공(63)은 배꼽(100) 이외의 다른 부위에 사용되는 보조 장신구(80)까지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장치(10)가 보다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 것을 돕는다. 이러한 보조 장신구(80)는 특히 귀걸이로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보조 장신구(80)의 형상이 일 측이 개방된 고리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피어싱 없이 귀걸이로 사용할 수 있어 주로 귀를 뚫어야 장착이 가능한 귀걸이의 기존 사용방식을 안정적이고 위생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바꿀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의 구 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에 따르면,
1) 피어싱 없이 장신구를 장착할 수가 있어 상당히 위생적으로 활용 가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2) 배꼽에 견고하게 장착되게 하기 위한 다중적인 수단을 겸비하여 피어싱 시술에 필적하는 부착성과 안정성을 가지며,
3) 배꼽을 뚫는 것을 싫어하나 보다 멋있게 자신을 치장하고자 하는 이에게 적합하게 활용될 수 있어 탁월한 대중성을 가질 수가 있고,
4) 신체의 피해 내지 손상 없이 장신구의 교체 및 분리가 자유로워 뛰어난 응용성을 가질 수가 있음과 동시에,
5) 귀걸이와 같은 배꼽 이외의 다른 부위에 장착되는 악세사리도 장식미를 겸비하면서 보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로서,
    하부에 흡착판(23)을 구비하여 배꼽(100) 내에 압착이 되고, 내부 중공 구조로 이루어져 다수 개로 형성된 자바라식 주름부(21)에 의해 신축 및 이완이 가능한 유연성 재질의 바디(20);
    상기 바디(20)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바디(20)의 공기 유통을 제어하는 통공(32)을 구비한 캡(30);
    상기 바디(20)의 상단 일 측벽과 연결된 바디 연결부(43)를 중심점으로 하여 일단에는 상기 통공(32)을 개폐하는 통공 개폐부(42)와, 타단에는 손잡이(41)가 형성된 마개(40);
    상기 캡(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장신구(70)를 탈부착 가능하게 수용하는 장신구 수용부(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20)와 캡(30) 사이에는 스프링(2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23)과 상기 바디(20)의 내부 바닥 면 사이에는 통구(24)가 형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20)의 측벽에는 적어도 1쌍의 날개(50)가 부착되어 있되, 상기 날개(50)는 복수 개의 돌기(51)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20)와 힌지 결합을 이루어 일정 범위 내에서 접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 수용부(60)의 상부 면에는 외주 면을 따라 상기 장신구(70)를 지지하도록 복수 개의 지지대(6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6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별도의 보조 장신구(80)를 탈부착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보조 장신구 결합공(6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KR1020060025282A 2006-03-20 2006-03-20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KR100585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282A KR100585255B1 (ko) 2006-03-20 2006-03-20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PCT/KR2007/001323 WO2007108622A1 (en) 2006-03-20 2007-03-19 Device of adornment for navel
CN2007800184094A CN101448424B (zh) 2006-03-20 2007-03-19 肚脐装饰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282A KR100585255B1 (ko) 2006-03-20 2006-03-20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5255B1 true KR100585255B1 (ko) 2006-05-30

Family

ID=37182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282A KR100585255B1 (ko) 2006-03-20 2006-03-20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85255B1 (ko)
CN (1) CN101448424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671B1 (ko) * 2006-05-17 2007-01-30 이준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KR100675672B1 (ko) * 2006-05-17 2007-01-30 이준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KR100675670B1 (ko) 2006-04-28 2007-01-30 이준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KR100675674B1 (ko) * 2006-05-17 2007-01-30 이준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CN100453004C (zh) * 2007-03-31 2009-01-21 成都市宇中梅科技有限责任公司 免穿稳固型脐戒
WO2011137081A2 (en) * 2010-04-30 2011-11-03 Jacqueline Baer A decorative body jewelry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1710U (ko) * 1988-10-05 1990-04-12
JPH0324312A (ja) * 1989-06-20 1991-02-01 Tsudakoma Corp 定盤上固定装置
KR200193496Y1 (ko) 2000-03-14 2000-08-16 전철수 손발톱용 장신구
KR200351317Y1 (ko) 2004-02-25 2004-05-22 김종심 자석 및 빨판을 구비한 장식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4312B2 (ja) * 1991-10-04 2000-03-21 横河電機株式会社 渦流量計
CN2527133Y (zh) * 2002-01-10 2002-12-25 蒋圣为 脐戒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1710U (ko) * 1988-10-05 1990-04-12
JPH0324312A (ja) * 1989-06-20 1991-02-01 Tsudakoma Corp 定盤上固定装置
KR200193496Y1 (ko) 2000-03-14 2000-08-16 전철수 손발톱용 장신구
KR200351317Y1 (ko) 2004-02-25 2004-05-22 김종심 자석 및 빨판을 구비한 장식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670B1 (ko) 2006-04-28 2007-01-30 이준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KR100675671B1 (ko) * 2006-05-17 2007-01-30 이준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KR100675672B1 (ko) * 2006-05-17 2007-01-30 이준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KR100675674B1 (ko) * 2006-05-17 2007-01-30 이준호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CN100453004C (zh) * 2007-03-31 2009-01-21 成都市宇中梅科技有限责任公司 免穿稳固型脐戒
WO2011137081A2 (en) * 2010-04-30 2011-11-03 Jacqueline Baer A decorative body jewelry system
WO2011137081A3 (en) * 2010-04-30 2012-04-05 Jacqueline Baer A decorative body jewelr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48424A (zh) 2009-06-03
CN101448424B (zh)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5255B1 (ko)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KR980006333U (ko) 벨트걸이와 열쇠걸이
US20110000052A1 (en) Elasticized Button Cover for Children
KR101785973B1 (ko) 팬던트 기능을 겸한 단추커버
US20170143081A1 (en) Cufflink Device
KR100675670B1 (ko)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KR100625331B1 (ko)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KR100970702B1 (ko) 고리형 음료용기
CN205931651U (zh) 用于保持化妆品瓶的套筒
CN108820431A (zh) 一种具有标记功能的水杯
US8245323B2 (en) Head-worn liquid shield
KR20090006171U (ko) 장신구용 연결구
KR100675671B1 (ko)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KR100675672B1 (ko) 배꼽 장착 장신구 장치
KR200322802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장신구
WO2007108622A1 (en) Device of adornment for navel
CN205866230U (zh) 自动伞
KR200480722Y1 (ko) 모자용 꼭지단추의 장식품 착탈장치
CN219845324U (zh) 一种具备驱蚊提神功能的拉链挂件
KR20080094168A (ko) 기능성 화장품 케이스
KR200495802Y1 (ko) 장식고리를 구비한 우산
KR101146247B1 (ko) 커버가 구비된 마네킹
KR200496815Y1 (ko) 휴대가 용이한 마스크
KR200293967Y1 (ko) 팔에 착용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CN217547700U (zh) 杯盖及其水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