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230B1 -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 - Google Patents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230B1
KR100582230B1 KR1020030021989A KR20030021989A KR100582230B1 KR 100582230 B1 KR100582230 B1 KR 100582230B1 KR 1020030021989 A KR1020030021989 A KR 1020030021989A KR 20030021989 A KR20030021989 A KR 20030021989A KR 100582230 B1 KR100582230 B1 KR 100582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quare steel
tension
truss
stee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1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7549A (ko
Inventor
조성식
정상민
강석규
조영태
배규웅
박금성
곽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주식회사 상원구조기술사사무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주식회사 상원구조기술사사무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Priority to KR1020030021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2230B1/ko
Publication of KR20040087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Landscapes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철골 일방향 트러스용 접합부는 크게 고장력 인장 강봉, 핀 플레이트, 상·하현재 각형강관, 경사재 각형강관, 수직재 각형강관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플랫 트러스와 와렌 트러스의 K형과 N형 및 T형의 형태로 되며, 철골 일방향 트러스용 K형 및 N형 접합부는 인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고장력 인장 강봉을 사용하고 압축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과 45도 회전시킨 각형강관을 사용하며, 인장용 핀 플레이트가 1개 또는 2개이고 상·하현재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과 빌트-업(BUILT-UP)한 각형강관으로 구성된 접합부이고, 이와 같은 동일한 단면성능을 갖는 K형 접합부의 설계내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주관 상부면과 주관 측벽에 주관 두께 이상을 갖는 플레이트 두께(tp)로 보강한 접합부이며, 또한 T형 접합부 형태는 경사방향의 웨브재 없이 인장·압축력을 받는 수직방향 웨브재로 구성되어 수직웨브재는 45도 회전시킨 각형강관을 사용하며, 상·하현재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과 빌트-업한 각형강관으로 구성된 접합부이고, 동일한 단면성능을 갖는 T형 접합부의 설계내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주관 측벽과 주관 상부면에 주관 두께 이상을 갖는 플레이트 두께(tp)로 보강한 접합부이다.

Description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THE CONNECTION OF STEEL ONE-DIRECTIONAL TRUSS FOR RECTANGULAR HOLLOW SECTION }
도1은 본 발명의 고장력 인장 강봉과 각 철골부재가 이루는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6 및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8 및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10 및 도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12 및 도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14 및 도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16 및 도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 이다.
도18 및 도1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20 및 도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22 및 도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24 및 도2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26 및 도2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28 및 도2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30 및 도3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32 및 도3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34 및 도3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36 및 도3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38 및 도3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 이다.
도40 및 도4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42 및 도4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44 및 도4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46 및 도4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48 및 도4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50 및 도5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52 및 도5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54 및 도5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장력 인장 강봉
10a : 고장력 강봉의 스페이드 단부 10b : 고장력 강봉의 클레비스 단부
11 : 핀 플레이트
12 : K형의 상·하현재인 냉간 성형 각형강관
12a : K형의 상·하현재인 빌트-업 각형강관
13 : K형의 경사재인 냉간 성형 각형강관
14 : K형의 경사재로 45도 회전시킨 냉간 성형 각형강관
15 : N형의 수직재인 냉간 성형 각형강관
16 : N형의 수직재로 45도 회전시킨 냉간 성형 각형강관
17 : N형의 상·하현재인 냉간 성형 각형강관
17a : N형의 상·하현재인 빌트-업 각형강관
18 : 고장력 인장강봉과 핀플레이트를 연결하는 핀(pin)
19 : K형 및 N형의 주관 상부면(플랜지면)을 보강한 보강판
20 : K형 및 N형의 주관 측벽면(웨브면)을 보강한 보강판
21 : T형의 주관 측벽면(웨브면)을 보강한 보강판
22 : T형의 주관 상부면(플랜지면)을 보강한 보강판
23 : T형의 수직재로 45도 회전시킨 냉간 성형 각형강관
24 : T형의 상·하현재인 냉간 성형 각형강관
24a : T형의 상·하현재인 빌트-업 각형강관
갭(gap) : K형 및 N형에서 인장지관 끝단(toe)과 압축지관 끝단(toe) 사이의 간격
Bp : K형 및 N형, T형에서 플랜지면을 보강한 보강판의 폭
Hp : K형 및 N형, T형에서 웨브면을 보강한 보강판의 높이
Lp : K형 및 N형, T형에서 플랜지면 또는 웨브면을 보강한 보강판의 길이
tp : K형 및 N형, T형에서 플랜지면 또는 웨브면을 보강한 보강판의 두께
본 발명은 각형강관을 사용한 철골 일방향 트러스용 접합부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장스팬 구조용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장스팬 구조체 공사에서 하중지지용으로 사용되는 기존의 H형강과 강관, 빌트업(BUILT-UP) 부재 등을 웨브재(경사재와 수직재)로 사용하지 않고, 주로 인장을 받는 웨브재에 고장력 인장 강봉으로 대체할 수 있는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 구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무주대공간 구조에서 일방향 트러스 골조의 상·하현재와 웨브재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이음부의 구조적 강도를 확보하여 장스팬 구조물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이 용이하고 안전성이 높으며, 내구성이 뛰어난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경제성이 좋은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장스팬 건축물은 산업사회의 발달에 힘입어 최근에 그 수요가 늘고 있지만, 국내의 장스팬 건축물의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 외국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크고, 특히 장스팬 건축물 중에서 철골 일방향 트러스의 각종 접합부에 대한 성능평가 및 이에 대한 접합부재간의 상세한 내용과 설계가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다.
장스팬 구조체 공사에서 하중지지용으로 사용되는 기존의 H형강과 강관, 빌트-업 부재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현장작업의 증가로 인한 품질관리의 어려움이 있으며, 단면이 커지거나 부재길이를 길게 제작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은 무주대공간 구조에서 철골 일방향 트러스 골조의 상·하현재와 웨브재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이음부의 구조적 강도를 확보하여 장스팬 구조물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이 용이하고 안전성이 높으며, 내구성이 뛰어난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경제성이 양호한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무주대공간 구조에서 철골 일방향 트러스 골조의 상·하현재와 웨브재 중에서 순수 인장재에는 고장력 인장 강봉을 사용함으로써, 접합부에서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접합부의 구조적 강도를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장스팬 구조물의 지붕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이 용이하고 안전성이 높으며, 내구성이 뛰어난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경제성이 양호하고 전체 철골 일방향 트러스 구조체의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철골 일방향 트러스 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철골 일방향 트러스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현재 각형강관(12,12a)과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하현재 각형강관(17,17a) 사이의 다수의 웨브재 중에서 압축을 받는 수직재 및 경사재는 기존의 각형강관(13,15) 및 45도 회전시킨 각형강관(14,16)을 사용하여 접합되며, 또한 주로 인장을 받는 인장재는 고장력 인장강봉(10,10a,10b)으로 구성되는 철골 일방향 트러스 구조체의 접합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 및 도3은 제1 실시예의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를 나타낸다. 철골 일방향 트러스용 접합부 중에서 K형의 형태로서 인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고장력 인장강봉(10)을 사용하고 압축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13)을 사용하며, 인장용 핀 플레이트(11)가 2개이고 수평 경사방향의 상·하현재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12)과 빌트-업한 각형강관(12a)으로 구성된 접합부이다. 도4 및 도5, 도6, 도7은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로서 철골 일방향 트러스용 접합부 중에서 K형의 형태로 주관과 지관의 접합부 설계내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지관과 접합되는 주관 플랜지면과 웨브(측벽)면에 일정한 크기(LP×BP,LP×HP)와 두께(tp)를 갖는 플레이트(19,20)로 보강한 접합부 형상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14 및 도15는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로서 고장력 인장강봉 단부(10b)와 인장용 핀 플레이트(11)가 1개인 형태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16 및 도17, 도18, 도19는 제 1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로서 인장을 받는 핀플레이트가 1개인 K형 접합부에서 접합부의 내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주관 접합면과 측벽면에 플레이트(19,20)를 이용하여 보강한 접합부 형태이다.
상·하현재와 접합되는 웨브재 중에서 압축재는 강절점을 통해 형성되고, 고장력 인장강봉을 사용하는 인장 웨브재는 핀절점을 통해 구성되어 있으며 핀 구멍에 고정 핀(18)이 삽입되어 있다.
도8 및 도9는 제2 실시예의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를 나타낸다. 철골 일방향 트러스용 접합부 중에서 K형의 형태로서 인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고장력 인장강봉(10)을 사용하고 압축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13) 대신에 45도 회전시킨 냉간 성형 각형강관(14)을 사용하며, 인장용 핀 플레이트(11)가 2개이고 수평 경사방향의 상·하현재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12)과 빌트-업한 각형강관(12a)으로 구성된 접합부이다. 도11 및 도12, 도13, 도14는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로서 철골 일방향 트러스용 접합부 중에서 K형의 형태로 주관과 지관의 접합부 설계내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주관 상부(플랜지)면과 측벽(웨브)면에 일정한 크기(LP×BP,LP×HP)와 두께(tp)를 갖는 플레이트(19,20)로 보강한 접합부 형상을 나타낸다. 특히, 압축을 받는 웨브재에서 기존 각형강관의 형태에서 벗어나 45도 회전시킨 형상의 접합부는 강도 및 변형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도20 및 도21은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로서 고장력 인장 강봉 단부(10b)와 인장용 핀 플레이트(11)가 1개인 형태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22 및 도23, 도24, 도25는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로 인장을 받는 핀플레이트가 1개인 K형 접합부에서 접합부의 내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주관 상부 접합면과 측벽면에 플레이트(19,20)를 이용하여 보강한 접합부 형태이다.
도26 및 도27은 제3 실시예의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를 나타낸다. 철골 일방향 트러스용 접합부 중에서 N형의 형태로서 인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고장력 인장 강봉(10)을 사용하고 압축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13)을 사용하며, 인장용 핀 플레이트(11)가 2개이고 수평 경사방향의 상·하현재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17)과 빌트-업한 각형강관(17a)으로 구성된 접합부이다. 도28 및 도29, 도30, 도31은 제3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로서 철골 일방향 트러스용 접합부 중에서 N형의 형태로 주관과 지관의 접합부 설계내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주관 상부(플랜지)면과 측벽(웨브)면에 일정한 크기(LP×BP,LP×HP)와 두께(tp)를 갖는 플레이트(19,20)로 보강한 접합부 형상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38 및 도39는 제3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로서 고장력 인장 강봉 단부(10b)와 인장용 핀 플레이트(11)가 1개인 형태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40 및 도41, 도42, 도43은 제3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로서 인장을 받는 핀플레이트가 1개인 N형 접합부에서 접합부의 최대내력 및 변형능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주관 상부 접합면과 측벽면에 플레이트(19,20)를 이용하여 보강한 접합부 형태이다.
도32 및 도33은 제4 실시예의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를 나타낸다. 철골 일방향 트러스용 접합부 중에서 N형의 형태로서 인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고장력 인장 강봉(10)을 사용하고 압축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13) 대신에 45도 회전시킨 냉간 성형 각형강관(14)을 사용하며, 인장용 핀 플레이트(11)가 2개이고 수평 경사방향의 상·하현재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17)과 빌트-업한 각형강관(17a)으로 구성된 접합부이다. 도34 및 도35, 도36, 도37은 제4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로서 철골 일방향 트러스용 접합부 중에서 N형의 형태로 주관과 지관의 접합부 설계내력과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주관 상부(플랜지)면과 측벽(웨브)면에 일정한 크기(LP×BP,LP×HP)와 두께(tp)를 갖는 플레이트(19,20)로 보강한 접합부 형상을 나타낸다. 특히, 압축을 받는 웨브재에서의 기존 각형강관의 형태에서 벗어나 45도 회전시킨 형상의 접합부는 강도 및 변형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도44 및 도45는 제4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로서 고장력 인장 강봉 단부(10b)와 인장용 핀 플레이트(11)가 1개인 형태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46 및 도47, 도48, 도49는 제4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로서 인장을 받는 핀플레이트가 1개인 N형 접합부에서 접합부의 최대내력 증대 및 철골 일방향 트러스의 변형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주관 상부 접합면과 측벽면에 플레이트(19,20)를 이용하여 보강한 접합부 형태이다.
도50 및 도51은 제5 실시예의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를 나타낸다. 철골 일방향 트러스용 접합부 중에서 T형의 형태로서 인장과 압축력을 받는 수직 웨브재에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 대신에 45도 회전시킨 냉간 성형 각형강관(23)을 사용하며, 상·하현재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24)과 빌트-업한 각형강관(24a)으로 구성된 접합부이다. 도52 및 도53, 도54, 도55는 제5 실시예의 또 다른 정면도와 평면도 및 사시도로서 철골 일방향 트러스용 접합부 중에서 T형의 형태로 주관과 지관의 접합부 설계내력 및 강성을 증대시키고 접합부의 안정된 파괴모드를 확보하기 위하여 주관 상부(플랜지)면과 측벽(웨브)면에 일정한 크기(LP×bP,LP×HP)와 두께(tp)를 갖는 플레이트(21,22)로 보강한 접합부 형상을 나타낸다. 압축을 받는 웨브재에서의 기존 각형강관의 형태에서 벗어나 45도 회전시킨 형상의 접합부는 강도 및 변형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장스팬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용 접합부에 관한 것으로 각종 장스팬 공사에서 하중지지용으로 사용되는 기존의 H형강과, 강관, 빌트-업 등을 웨브재로 사용하지 않고 압축을 받는 웨브재에는 기존의 각형강관을 사용하고 주로 인장을 받는 웨브재에서는 고장력 인장 강봉으로 대체할 수 있는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 구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무주대공간 구조에서 철골 일방향 트러스 골조의 길이방향과 경사지게 배치된 상현재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하현재가 웨브재와의 조립시공 및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접합부의 구조 강도와 강성을 확보하여 지붕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이 용이하고 안전성이 높으며, 내구성이 뛰어난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경제성이 양호한 철골 일방향 트러스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존의 각형강관을 45도 회전시킨 압축재로 구성되는 형태의 접합부에서는 접합부의 강성과 강도 및 변형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9)

  1.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골조에서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현재 각형강관(12,12a)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하현재 각형강관(17,17a) 사이에 다수의 압축을 받는 웨브재와 인장을 받는 웨브재가 강절점 및 핀절점을 통해 형성되는 각형강관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로서,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 중에서 K형의 형태로서 인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고장력 인장 강봉(10)과 스페이드 단부(10a)를 사용하고, 압축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13)을 사용하며, 인장용 핀 플레이트(11)가 2개이고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하현재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12)과 빌트-업한 각형강관(12a)으로 구성되며,
    상·하현재와 접합되는 웨브재 중에서 압축재는 강절점을 통해 형성되고, 고장력 인장 강봉을 사용하는 인장 웨브재는 핀절점을 통해 구성되어 있고 핀 구멍에 고정 핀(18)이 삽입되어 있으며,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 중에서 K형의 형태로 인장과 압축을 받고 있는 접합부에서 설계내력을 증대시키고 전체 철골 일방향 트러스의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관 상부(플랜지)면과 측벽(웨브)면을 일정한 크기와 두께로 보강한 보강판을 갖는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
  2. 제1항에 있어서, 고장력 인장 강봉의 클레비스 단부(10b)와 하나의 핀 플레이트(11)로 구성된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
  3.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 중에서 K형의 형태로서 인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고장력 인장 강봉(10)과 스페이드 단부(10a)를 사용하고, 압축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45도 회전시킨 냉간 성형 각형강관(14)을 사용하며, 인장용 핀 플레이트(11)가 2개이고,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하현재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12)과 빌트-업한 각형강관(12a)으로 구성된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로서,
    상·하현재와 접합되는 웨브재 중에서 압축재는 강절점을 통해 형성되고, 고장력 인장 강봉을 사용하는 인장 웨브재는 핀절점을 통해 구성되어 있으며 핀 구멍에 고정 핀(18)이 삽입되어 있으며,
    철골 일방향 트러스 K형 형상을 갖는 접합부로 인장과 압축을 받고 있는 접합부에서 설계내력을 증대시키고 전체 철골 일방향 트러스의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관 상부(플랜지)면과 측벽(웨브)면을 일정한 크기와 두께로 보강한 보강판을 갖는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
  4. 제3항에 있어서, 고장력 인장 강봉의 클레비스 단부(10b)와 하나의 핀 플레이트(11)로 구성된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
  5.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 중에서 N형의 형태로서 인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고장력 인장 강봉(10)과 스페이드 단부(10a)를 사용하고, 압축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13)을 사용하며, 인장용 핀 플레이트(11)가 2개이고, 길이방향과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하현재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17)과 빌트-업한 각형강관(17a)으로 구성되는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로서,
    상·하현재와 접합되는 웨브재 중에서 압축재는 강절점을 통해 형성되고, 고장력 인장 강봉을 사용하는 인장 웨브재는 핀절점을 통해 구성되어 있으며 핀 구멍에 고정 핀(18)이 삽입되어 있으며,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N형 형상을 갖는 접합부로 인장과 압축을 동시에 받고 있는 접합부에서 설계내력을 증대시키고 전체 철골 일방향 트러스 구조체의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관 상부(플랜지)면과 측벽(웨브)면을 일정한 크기와 두께(tp)로 보강한 보강판을 갖는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
  6. 제5항에 있어서, 고장력 인장 강봉의 클레비스 단부(10b)와 하나의 핀 플레이트(11)로 구성된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
  7.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 중에서 N형의 형태로서 인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고장력 인장 강봉(10)과 스페이드 단부(10a)를 사용하고, 압축력만을 받는 웨브재에는 45도 회전시킨 냉간 성형 각형강관(14)을 사용하며, 인장용 핀 플레이트(11)가 2개이고, 길이방향과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하현재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12)과 빌트-업한 각형강관(12a)으로 구성되는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로서,
    상·하현재와 접합되는 웨브재 중에서 압축재는 강절점을 통해 형성되고, 고장력 인장 강봉을 사용한 인장 웨브재는 핀절점을 통해 구성되어 있으며 핀 구멍에 고정 핀(18)이 삽입되어 있으며,
    철골 일방향 트러스 N형 형상을 갖는 접합부로 인장과 압축을 동시에 받고 있는 접합부에서 설계내력을 증대시키고 전체 철골 일방향 트러스 구조체의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관 상부(플랜지)면과 측벽(웨브)면을 일정한 크기와 두께(tp)로 보강한 보강판을 갖는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
  8. 제7항에 있어서, 고장력 인장 강봉의 클레비스 단부(10b)와 하나의 핀 플레이트(11)로 구성된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
  9.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 중에서 T형의 형태로서 인장 또는 압축을 받는 수직 웨브재(23)에는 45도 회전시킨 냉간 성형 각형강관(23)을 사용하며,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하현재는 기존 냉간 성형 각형강관(24)과 빌트-업한 각형강관(24a)으로 구성되는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로서,
    상·하현재와 접합되는 수직 웨브재 중에서 압축 및 인장재는 강절점을 통해 형성되며,
    각형강관철골 일방향 트러스용 접합부 중에서 T형의 형태로 인장 또는 압축을 받고 있는 접합부에서 설계내력을 증대시키고 전체 철골 일방향 트러스의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관 상부(플랜지)면과 측벽(웨브)면을 일정한 크기와 두께(21,22)로 보강한 보강판을 갖는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
KR1020030021989A 2003-04-08 2003-04-08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 KR100582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989A KR100582230B1 (ko) 2003-04-08 2003-04-08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989A KR100582230B1 (ko) 2003-04-08 2003-04-08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657U Division KR200317385Y1 (ko) 2003-04-08 2003-04-08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 접합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549A KR20040087549A (ko) 2004-10-14
KR100582230B1 true KR100582230B1 (ko) 2006-05-23

Family

ID=37369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1989A KR100582230B1 (ko) 2003-04-08 2003-04-08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2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0340B2 (en) 2011-10-25 2016-11-22 A-Dec, Inc. Dental light using LEDs
KR102013585B1 (ko) 2019-03-26 2019-08-23 주식회사 아이에스중공업 멀티브라켓 일체형 건축용 사각관 및 이를 롤포밍으로 제작하는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0340B2 (en) 2011-10-25 2016-11-22 A-Dec, Inc. Dental light using LEDs
US10390690B2 (en) 2011-10-25 2019-08-27 A-Dec, Inc. Dental light using LEDs
US11092310B2 (en) 2011-10-25 2021-08-17 A-Dec, Inc. Dental light using LEDs
US11725799B2 (en) 2011-10-25 2023-08-15 A-Dec, Inc. Dental light using LEDs
KR102013585B1 (ko) 2019-03-26 2019-08-23 주식회사 아이에스중공업 멀티브라켓 일체형 건축용 사각관 및 이를 롤포밍으로 제작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549A (ko) 200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608B1 (ko) 파이 트러스 구조
CN110067185B (zh) 一种钢管-钢板组合腹板钢混组合箱梁
CA2214598C (en) Truss arch for fabric covered buildings and the like
CA2366099C (en) Interlocking truss system
KR20100108930A (ko) 조립식 트러스 구조로 된 가설교량용 주거더의 제작방법및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US6085468A (en) Truss for fabric covered buildings and the like
KR20180043127A (ko) 상현재 보강 트러스거더 일체형 데크
CN210596977U (zh) 一种钢管-钢板组合腹板钢混组合箱梁
JP2003119718A (ja) 橋 梁
KR101347939B1 (ko) 횡방향 부재를 이용한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거더의 복부파형강판과 콘크리트의 합성구조
KR200383847Y1 (ko) 철근 연결구
KR100582230B1 (ko) 각형강관 철골 일방향 트러스 접합부
KR200317385Y1 (ko) 각형강관 철골 트러스 접합부
CN111119405A (zh) 一种装配式钢木组合桁架
US20020020134A1 (en) Building truss structure
CN114704029A (zh) 一种钢木组合屋架结构
US20020124521A1 (en) Wooden trussed structural systems, such as frameworks, bridges, floors
CN107654010B (zh) 一种圆竹空间三铰拱结构单元及圆竹空间三铰拱结构***
CN111749114A (zh) 钢桁-uhpc组合梁桥负弯矩区结构及施工方法
KR200386308Y1 (ko) 철근 연결구
KR100664874B1 (ko) 웨브를 파이프로 구성한 트러스
CN212714472U (zh) 钢桁-uhpc组合梁桥负弯矩区结构
CN210288076U (zh) 一种预制拼装钢桁组合梁桥
KR200398356Y1 (ko) 절곡 성형 박판재를 이용한 스틸 조이스트
CN115807486B (zh) 一种复杂管桁架的节点连接结构及管桁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