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3621B1 - 세포 개체수 계수용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세포 개체수 계수용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3621B1
KR100573621B1 KR1020030049406A KR20030049406A KR100573621B1 KR 100573621 B1 KR100573621 B1 KR 100573621B1 KR 1020030049406 A KR1020030049406 A KR 1020030049406A KR 20030049406 A KR20030049406 A KR 20030049406A KR 100573621 B1 KR100573621 B1 KR 100573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substrate
pattern
upper substrate
plate
charg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9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9612A (ko
Inventor
장준근
정석
정찬일
방현우
조한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탈바이오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탈바이오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탈바이오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030049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3621B1/ko
Priority to EP04748429A priority patent/EP1664748A4/en
Priority to PCT/KR2004/001735 priority patent/WO2005008225A1/en
Priority to US10/565,079 priority patent/US20060223165A1/en
Publication of KR20050009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4Microscope slides, e.g. mounting specimens on microscope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5/00Nanotechnology for interacting, sensing or actuating, e.g. quantum dots as markers in protein assays or molecular mo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01N15/1456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without spatial resolution of the texture or inner structure of the particle, e.g. processing of pulse sig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01N2015/1486Counting the 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39Surface deformation only of sandwich or lamina [e.g., embossed pan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포의 개체수를 계수하기 위한 장치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상면에 상기 세포를 계수하기 위한 미세격자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투광성 하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 상에 적층하여 설치되는 투광성의 상부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기판은, 그 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기판의 미세격자패턴 상에 상기 세포를 포함하는 시료를 충전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충전실과, 상기 충전실에 연결된 시료용 투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이 접합된 일체형이므로, 종래의 세포 계수용 장치에서와 같이 커버를 덮는 과정이 필요없다. 따라서, 상기 투입구에 시료를 떨어뜨려 상기 충전실에 상기 시료를 충전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종래 장치보다 훨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세포 계수용 장치의 제조 비용이 크게 감소되므로, 1회용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포 개체수 계수용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evice for counting cel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적혈구의 개수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장치 중 측정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중 상부기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상부기판의 단면도이며,
도 5는 상기 상부기판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중 하부기판의 사시도이며,
도 7은 상기 하부기판에 형성되는 미세격자패턴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상기 상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이 접합되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실시예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10a 내지 도 10d는 상기 하부기판 상에 미세격자패턴을 형성시키는 공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고,
도 11a 내지 도 11h는 상기 하부기판 상에 미세격자패턴을 형성시키는 공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상부기판 110 : 충전실
120 : 투입구 130 : 배출구
140 : 지시자 200 : 하부기판
210 : 미세격자패턴
본 발명은 세포의 개체수를 계수하기 위한 장치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상면에 상기 세포를 계수하기 위한 미세격자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투광성 하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 상에 적층하여 설치되는 투광성의 상부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기판은, 그 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기판의 미세격자패턴 상에 상기 세포를 포함하는 시료를 충전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충전실과, 상기 충전실에 연결된 시료용 투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계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질병의 진단 시에는 혈액에 포함된 적혈구, 백혈구 또는 혈소판 등과 같은 대표적인 혈액 세포의 숫자 및 기능을 검사한다. 예를 들어, 적혈구 침강 속도로부터 결핵, 비만 또는 임신 등을 진단할 수 있고, 혈구 용적으로부터는 탈수증 또는 빈혈 등을 진단할 수 있다. 또한, 혈소판의 개수로부터는 만성 백혈병을 진단할 수 있고, 적혈구의 개수로부터는 신장질환, 저산소증, 흡연, 폐질환, 용혈성 빈혈 또는 재생불량성 빈혈 등을 진단할 수 있으며, 백혈구의 개수로부터는 급성 맹장염, 백혈병 또는 재생불량성 빈혈 등은 진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혈구 등의 세포의 개수 측정은 질병의 진단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대표적인 혈액 세포인 적혈구의 크기는 마이크로, 노말, 매크로 및 메가 등과 같이 4가지로 분류되며, 이러한 적혈구의 크기와 개수를 파악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질병에 대한 진단 자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적혈구의 개수는 빈혈 여부 및 그 원인을 알기 위한 필수적인 검사이다. 건강한 일반인이라면, 남성의 경우 약 440만~560만개/㎗의 적혈구가 혈액속에 포함되어 있고, 여성의 경우 약 350만~500만개/㎗의 적혈구가 혈액속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적혈구의 개수 측정을 통하여 기준치보다 적혈구의 개수가 증가하였을 경우 진성 다혈증, 탈수증, 쇼크 부신부전증 또는 심폐질환 등의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적혈구의 개수가 감소하였을 경우에는 각종 빈혈의 유무를 진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적혈구와 같은 혈액 세포의 개수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적혈구의 개수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10)는 통상적으로 유리나 석영 등으로 이루어진 몸체(15), 상기 몸체(15)의 상부에 제공된 격벽들(20, 25), 상기 격벽들(20, 25) 사이에 형성된 측정부(30), 및 상기 측정부(30)의 상부를 덮은 커버(35)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5) 상에 배치되는 격벽들(20, 25)과 상기 격벽들(20, 25) 사이에 위치하는 측정부(30)는, 예를 들어 국내공개특허 제1999-8467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유리 또는 석영으로 이루어진 몸체(15)를 미세기계가공 (micromachining)하여 몸체(15) 상에 형성시킨다.
상기 격벽들(20, 25)은 측정부(30)의 주변에 몸체(15)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혈액과 같은 시료를 측정부(30)에 주입할 경우 시료가 측정부(30)로부터 흘러나가지 않도록 한다. 또한, 격벽들(20, 25) 상에는 유리로 이루어진 투명한 커버(35)가 배치되어 시료는 격벽들(20, 25)과 커버(35) 사이의 측정부(30)에 위치하여 혈액 중의 혈구 세포와 같이 시료 내에 존재하는 세포의 개수를 측정하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장치 가운데 측정부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측정부(30)는 측정부(30)를 다수의 측정 영역(45)과 각 측정 영역(45)을 구분하기 위한 브라이트 라인(bright line)(40)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브라이트 라인(40)은 십자 형태로 배치되어 측정부(30)를 네 개의 측정 영역(45)으로 구분하며, 각 측정 영역(45)에는 측정되는 세포의 크기에 따라 종횡으로 배치된 다수의 격자선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측정 영역(45)에 혈액 등을 떨어뜨려 각 격자선들 사이에 위치하는 세포의 개수를 측정하게 된다.
그러나, 적혈구와 같은 세포의 개수를 측정하기 위한 상기 장치에 있어서, 유리 또는 석영으로 구성된 몸체 자체의 가격이 비교적 고가이며, 이와 같은 몸체의 미세기계가공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기 때문에, 장치의 제조 시간과 비용이 크게 증가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세포 개수 계수용 측정 장치는 고가이기 때문에, 한번 구입하여 사용한 후, 이를 세척하여 다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 장치를 세척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여야 하고, 이전에 검사한 시료가 세척 후에도 장치에 남아 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석영이나 유리로 된 장치는 충격에 약하기 때문에 사용 도중에 장치가 파손될 우려가 매우 높다.
또한, 상기 장치는 몸체(15)와 커버(35)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몸체 위에 커버를 덮은 후 시료를 떨어뜨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상기 커버와 격벽 사이의 밀착성이 매우 열악하기 때문에, 강한 힘을 커버에 가하거나, 별도의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커버를 격벽 상에 부착시키는 과정이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하더라도, 상기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상기 커버가 파손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면에 상기 세포를 계수하기 위한 미세격자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투광성 하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 상에 적층하여 설치되는 투광성의 상부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기판은, 그 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기판의 미세격자패턴 상에 상기 세포를 포함하는 시료를 충전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충전실과, 상기 충전실에 연결된 시료용 투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을 접합시켜 일체형으로 제조하는 경우, 종래의 세포 계수용 장치에서와 같이 커버를 덮는 과정이 필요없다. 따라서, 상기 투입구에 시료를 떨어뜨려 상기 충전실에 상기 시료를 충전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종래 장치보다 훨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의 제조비용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1회용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포의 개체수를 계수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미세입자, 예를 들어, 세포의 개체수를 계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면에 상기 미세입자를 계수하기 위한 미세격자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투광성 하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 상에 적층하여 설치되는 투광성의 상부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기판은, 그 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기판의 미세격자패턴 상에 상기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시료를 충전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충전실과, 상기 충전실에 연결된 시료용 투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상부기판은 상기 충전실로부터 상기 시료 또는 기포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충전실과 연결된 배출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은 접합되어 일체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가열, 접착제, 코팅, 가압, 또는 진동 방법 등에 의하여 접합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접합법에 의하여 접합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실은 검사할 시료의 부피에 따라 임의의 높이로 형성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 ㎛의 높이로 형성시키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의 높이로 형성시킨다.
상기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에서 상기 충전실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은 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제조한다. 상기 미세격자패턴은 상기 하부기판 상에서 상기 충전실이 형성되는 영역 내의 소정 위치에 형성시킨다. 상기 충전실이 형성되는 영역을 소정 면적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충전실을 소정 높이로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충전실의 부피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상부기판에는 상기 미세격자패턴의 위치를 표시하는 지시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시료 중의 세포수를 현미경으로 계수할 때 상기 미세격자패턴의 위치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상기 상부기판 또는 하부기판의 재질은 투광성인 임의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이 가능한 임의의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스티롤(PS) 등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혈액내의 적혈구, 백혈구 또는 혈소판 등을 용이하게 계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세포 생물인 세균, 박테리아 및 그밖의 임의의 미세 입자도 그 개체수를 용이하게 계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기판 상의 소정 위치에 미세격자패턴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부기판에 미세입자, 예를 들어, 혈액세포 또는 세균을 포함하는 시료를 충전하기 위한 소정 깊이의 충전실과, 상기 충전실에 연결된 투입구 및 배출구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을 접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기 미세입자 개체수 계수용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 개체수 계수용 장치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중 상부 기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상부기판의 단면도이며, 도 5는 상기 상부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기판(100)은 그 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형성되어 시료를 충전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충전실(110), 상기 충전실과 연결되는 시료용 투입구(120), 및 상기 시료 투입시 상기 충전실(110) 내에 있던 공기와 과량의 시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3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상부기판(100) 상에는 하부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미세격 자패턴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지시자(14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투입구(120)와 상기 배출구(130)가 서로 반대편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시료 투입이 용이하다.
상기 상부기판으로는 투광성의 플라스틱을 사용하며, 통상적인 사출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중 하부기판의 사시도이다. 상기 하부기판으로 사출 성형이 가능한 투광성의 플라스틱을 사용한다.
상기 하부기판에는 시료 중의 세포를 계수하기 위한 미세격자패턴(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기판 상에 상기 상부기판이 적층됨으로써 상기 충전실(110)이 형성된다. 상기 미세격자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은 후술한다.
도 7은 상기 하부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미세격자패턴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상기 미세격자패턴의 형상, 높이, 폭 및 간격 등은 필요에 따라 임의로 형성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격자패턴의 높이는 약 1㎛로 형성시키고, 폭은 약 1.5㎛가 되도록 형성시키며, 상기 미세격자 사이의 간격은 10㎛가 되도록 형성시킨다.
도 8은 상기 상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을 초음파 접합법으로 접합시켜 일체형으로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장치에는 격벽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는 2개의 충전실(111, 112)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투입구(121, 122), 배출구(131, 132) 및 지시자(141, 142)가 각 충전실(111, 112) 마다 별도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의 복수의 충전실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하부기판 상에 미세격자패턴을 형성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a 내지 10d는 상기 하부기판 상에 미세격자패턴을 형성시키는 공정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10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리, 실리콘 또는 세라믹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플레이트(310)를 마련한 후, 상기 플레이트 상에 포토 레지스트층(320)을 스핀 코팅 등의 방법으로 적층한다. 상기 플레이트(310)는 하부기판을 몰딩하기 위한 몰드로 사용된다.
이후, 노광 및 현상 공정을 통하여 상기 포토 레지스트층을 패터닝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 상에 미세격자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마스크 패턴(320)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마스크 패턴(320)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플레이트(310)를 식각한 후, 상기 마스크(320)를 스트립 공정 등으로 제거함으로써, 도 10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미세격자패턴이 형성된 몰드(310)를 완성한다.
이후 도 10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용융 상태의 플라스틱(200)을 상기 몰드(310) 상에 부은 후, 용융된 플라스틱(200)을 상기 몰드(310) 상에서 냉각시키면서 경화시킨다.
상기 몰드(190) 상에서 플라스틱(200)이 경화된 후, 상기 경화된 플라스틱(200)으로부터 상기 몰드(190)를 분리함으로써, 미세격자패턴(210)이 형성 된 하부기판(200)을 도 10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는 플레이트(310) 자체를 몰드로 사용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플레이트(310) 상에 몰드 형성층으로서 산화물, 질화물 또는 금속층을 추가로 증착시킨 후, 상기 몰드 형성층에 미세격자패턴을 형성시켜 이를 몰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1a 내지 11h는 상기 하부기판 상에 미세격자패턴을 형성시키는 공정의 다른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여기에서는, 상기 도 10a 내지 도 10d에 도시되어 있는 공정과는 달리, 몰드를 형성하기 위한 마스터를 별도로 제조한다.
먼저, 도 1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마스터로 사용하기 위한 유리, 실리콘 또는 세라믹 재질의 플레이트(410) 상에 포토 레지스트층(420)을 스핀 코팅 등의 방법으로 적층한다.
이후, 도 1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노광 및 현상 공정을 통하여 상기 포토 레지스트 층을 패터닝(420)한다.
이후, 도 11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포토 레지스트의 패턴(420)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플레이트(410)를 식각한다.
이후, 도 11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420)를 스트립 공정 등으로 제거함으로써, 미세격자패턴이 형성된 마스터(410)를 완성한다.
이후, 도 11e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마스터(410) 상에 무전해 도금 또는 전해 도금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Ni 층(430)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마스터(410)를 제거함으로써, 도 11f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Ni 재질의 몰드(430)를 완성한다. 이 때, 상기 도금 공정 직전에, 상기 마스터(410)에 전기가 통할 수 있도록, 스퍼터링, 진공증착 또는 비전해 도금 등의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터(410)를 표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도 11g 및 도 11h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몰드(430)를 이용하여 몰딩 공정에 의하여, 미세격자패턴(210)이 형성된 하부기판(200)을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상부기판 또는 하부기판은 친수성 처리 또는 반응기 도입 등의 추가 공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친수성을 나타내도록, 산소 플라즈마 등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경우, 혈액과 같은 수성 액체가 표면에서 잘 흐르고, 고르게 퍼질 수 있다. 또한, 원하는 반응기, 예를 들어, 아민기를 도입하기 위하여, 상기 아민 반응기의 플라즈마 또는 기타 화학적 방법 등으로 처리할 수 있다(표면개질).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표면을 처리하는 경우, 그 성능이 더욱 향상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이 접합된 일체형이므로, 종래의 세포 계수용 장치에서와 같이 커버를 덮는 과정이 필요없다. 따라서, 상기 투입구에 시료를 떨어뜨려 상기 충전실에 상기 시료를 충전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종래 장치보다 훨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세포 계수용 장치의 제조 비용이 크게 감소되므로, 1회용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미세입자의 개체수를 계수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면에 상기 미세입자를 계수하기 위한 미세격자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투광성 플라스틱 재질의 하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 상에 적층하여 설치되는 투광성 플라스틱 재질의 상부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기판은, 그 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기판의 미세격자패턴 상에 상기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시료를 충전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충전실과, 상기 충전실에 연결된 시료용 투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에서 상기 충전실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은 투명하며, 상기 미세격자패턴은 상기 하부기판에서 상기 충전실이 형성되는 영역 내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은 상기 충전실로부터 상기 시료 또는 기포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충전실과 연결된 배출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은 접합되어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은 가열, 접착제, 코팅, 가압, 진동 또는 초 음파 접합법에 의하여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실은 50 내지 200 ㎛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삭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에는 상기 미세격자패턴의 위치를 표시하는 지시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 또는 하부기판의 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스티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입자는 혈액세포 또는 세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미세입자의 개체수 계수용 장치의 제조방법으로서,
    투광성 플라스틱 재질의 하부기판 상의 소정 위치에 미세격자패턴을 형성시키는 단계(a);
    투광성 플라스틱 재질의 상부기판에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시료를 충전하기 위한 소정 깊이의 충전실과, 상기 충전실에 연결된 투입구 및 배출구를 형성시키는 단계(b); 및
    상기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a)는
    플레이트 상에 포토레지스트 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포토레지스트 층을 패터닝하여, 미세격자패턴을 갖는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식각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 패턴을 제거하여, 미세격자패턴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얻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를 몰드로 사용하여 상기 플레이트 상에 투광성 플라스틱의 용융물을 붓고, 이후 상기 플라스틱 용융물을 냉각 및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몰드를 분리하여, 미세격자패턴이 형성된 투광성 플라스틱 재질의 하부기판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개체수 계수용 장치의 제조 방법.
  11. 미세입자의 개체수 계수용 장치의 제조방법으로서,
    투광성 플라스틱 재질의 하부기판 상의 소정 위치에 미세격자패턴을 형성시키는 단계(a);
    투광성 플라스틱 재질의 상부기판에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시료를 충전하기 위한 소정 깊이의 충전실과, 상기 충전실에 연결된 투입구 및 배출구를 형성시키는 단계(b); 및
    상기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a)는
    플레이트 상에 포토레지스트 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포토레지스트 층을 패터닝하여, 미세격자패턴을 갖는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식각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 패턴을 제거하여, 미세격자패턴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얻는 단계;
    무전해도금 또는 전해도금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 상에 금속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를 분리하여, 미세격자패턴이 형성된 금속층을 얻는 단계;
    상기 금속층을 몰드로 사용하여 상기 금속층 상에 투광성 플라스틱의 용융물을 붓고, 이후 상기 플라스틱 용융물을 냉각 및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몰드를 분리하여, 미세격자패턴이 형성된 투광성 플라스틱 재질의 하부기판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개체수 계수용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30049406A 2003-07-18 2003-07-18 세포 개체수 계수용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573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406A KR100573621B1 (ko) 2003-07-18 2003-07-18 세포 개체수 계수용 장치 및 그 제조방법
EP04748429A EP1664748A4 (en) 2003-07-18 2004-07-13 CELL COUNTE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CT/KR2004/001735 WO2005008225A1 (en) 2003-07-18 2004-07-13 Device for counting cel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565,079 US20060223165A1 (en) 2003-07-18 2004-07-13 Device for counting cel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406A KR100573621B1 (ko) 2003-07-18 2003-07-18 세포 개체수 계수용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612A KR20050009612A (ko) 2005-01-25
KR100573621B1 true KR100573621B1 (ko) 2006-04-25

Family

ID=36242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406A KR100573621B1 (ko) 2003-07-18 2003-07-18 세포 개체수 계수용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223165A1 (ko)
EP (1) EP1664748A4 (ko)
KR (1) KR100573621B1 (ko)
WO (1) WO2005008225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238B1 (ko) 2006-04-10 2007-05-1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마이크로 입자 계수용 플라스틱 마이크로 칩과 그 제조방법
KR100867851B1 (ko) 2004-04-14 2008-11-10 닛폰 휘루콘 가부시키가이샤 수지제 마이크로 화학 칩의 제조방법
KR101220538B1 (ko) 2006-11-02 2013-01-17 주식회사 나노엔텍 표면 토폴로지를 이용한 미세 입자 분리를 위한 채널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30875B1 (ko) 2012-08-14 2013-11-18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입자 및 미생물 분류를 위한 다단 높이의 몰드 제조방법
KR101353355B1 (ko) 2007-02-12 2014-01-22 인싸이토(주) 면패턴의 마이크로 입자 계수용 플라스틱 마이크로 칩과 그제조방법
KR101432941B1 (ko) 2012-07-02 2014-08-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 계수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64821B2 (en) 2002-02-14 2010-07-27 Veridex, Llc Methods and algorithms for cell enumeration in a low-cost cytometer
KR20040105717A (ko) 2002-02-14 2004-12-16 이뮤니베스트 코포레이션 저비용 세포 분석기에서의 세포 계산 방법 및 알고리즘
US8101431B2 (en) 2004-02-27 2012-01-24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Integration of fluids and reagents into self-contained cartridges containing sensor elements and reagent delivery systems
US8189899B2 (en) 2004-07-30 2012-05-29 Veridex, Llc Methods and algorithms for cell enumeration in a low-cost cytometer
ITBO20070646A1 (it) * 2007-09-24 2009-03-25 Silicon Biosystems Spa Camera di conteggio per l'analisi di campioni
US8570370B2 (en) * 2009-08-31 2013-10-29 Bio-Rad Laboratories, Inc. Compact automated cell counter
US9075225B2 (en) 2009-10-28 2015-07-07 Alentic Microscience Inc. Microscopy imaging
CN102713720B (zh) 2009-10-28 2016-05-11 阿兰蒂克微科学股份有限公司 显微成像装置和显微成像方法
DE102009047105B4 (de) * 2009-11-25 2015-02-05 Trumpf Laser Gmbh Abbildungsvorrichtung mit reflektiver Fokussieroptik, Laserbearbeitungseinheit und reflektives Fokussierspiegelelement
WO2011099809A2 (ko) * 2010-02-12 2011-08-18 (주)로고스바이오시스템스 정량 미세입자 계수 챔버 및 이를 이용한 시료 이미지 분석장치
US8609363B2 (en) 2010-11-18 2013-12-17 Bio-Rad Laboratories, Inc. Viability cell counting by differential light absorption
US9522396B2 (en) 2010-12-29 2016-12-20 S.D. Sight Diagnostic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detection of pathogens
KR101266652B1 (ko) 2011-10-19 2013-05-22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드로젤을 이용한 세포 패터닝 및 전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포 기반 바이오센서
US10640807B2 (en) 2011-12-29 2020-05-05 S.D. Sight Diagnostics Ltd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a pathogen in a biological sample
CN103013823B (zh) * 2012-12-26 2014-05-07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第三附属医院 多功能组织细胞体视学定量分析玻片***
US10502666B2 (en) 2013-02-06 2019-12-10 Alentic Microscience Inc. Sample processing improvements for quantitative microscopy
EP2999988A4 (en) 2013-05-23 2017-01-11 S.D. Sight Diagnostics Ltd. Method and system for imaging a cell sample
CN110058005A (zh) 2013-06-26 2019-07-26 阿兰蒂克微科学股份有限公司 用于显微的样品处理改进
IL227276A0 (en) 2013-07-01 2014-03-06 Parasight Ltd A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a monolayer of cells, for use specifically for diagnosis
EP3955042A1 (en) 2013-08-26 2022-02-16 S.D. Sight Diagnostics Ltd. Digital microscopy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US10482595B2 (en) 2014-08-27 2019-11-19 S.D. Sight Diagnostics Ltd.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focus variation for a digital microscope
EP3350644B1 (en) 2015-09-17 2021-04-28 S.D. Sight Diagnostics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 entity in a bodily sample
US11733150B2 (en) 2016-03-30 2023-08-22 S.D. Sight Diagnostics Ltd. Distinguishing between blood sample components
CN109564209B (zh) 2016-05-11 2022-05-31 思迪赛特诊断有限公司 对样品实施的光学测量
EP4177593A1 (en) 2016-05-11 2023-05-10 S.D. Sight Diagnostics Ltd. Sample carrier for optical measurements
WO2019097387A1 (en) 2017-11-14 2019-05-23 S.D. Sight Diagnostics Ltd Sample carrier for optical measurements
KR102130960B1 (ko) 2019-05-07 2020-07-08 (주) 솔 가상의 그리드 선을 이용한 미세 입자 계수용 이미지 센서 패키지, 미세 입자 계수 시스템 및 방법
CN111979112A (zh) * 2020-08-25 2020-11-24 郑州金域临床检验中心有限公司 一种细胞计数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499052A (zh) * 2021-07-08 2021-10-15 中国科学院自动化研究所 磁纳米粒子成像***矩阵测量的栅格状探测板及测量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93961A (en) * 1928-12-04 Hzemacytometeb
US5182200A (en) * 1985-04-22 1993-01-26 Lubrizol Genetics, Inc. T-dna promoters
US4963498A (en) * 1985-08-05 1990-10-16 Biotrack Capillary flow device
US4761381A (en) * 1985-09-18 1988-08-02 Miles Inc. Volume metering capillary gap device for applying a liquid sample onto a reactive surface
US4997266A (en) * 1988-01-27 1991-03-05 Hycor Biomedical, Inc. Examination slide grid system
WO1992014838A1 (en) * 1991-02-13 1992-09-03 Nihon Millipore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of determining viable count
US5336614A (en) * 1991-08-14 1994-08-09 Quality Biological, Inc. Soft agar assay and kit
DE563858T1 (de) * 1992-04-01 1994-03-03 Nihon Millipore Kogyo K K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Anzahl lebender Mikroorganismen.
JPH09159612A (ja) * 1995-12-06 1997-06-20 Konica Corp 微生物数の測定方法、微生物数の測定用画像解析装置及び培養具
WO1999024831A1 (fr) * 1997-11-11 1999-05-20 Kowa Company, Ltd. Procede et dispositif de numeration de globules blancs
US20020028471A1 (en) * 1998-02-20 2002-03-07 Oberhardt Bruce J. Cell analysis methods and apparatus
US6100541A (en) * 1998-02-24 2000-08-08 Caliper Technologies Corporation Microfluidic devices and systems incorporating integrated optical elements
FR2777903B1 (fr) * 1998-04-24 2000-12-29 Millipore Sa Procede de detection de micro-organismes et cassette convenant a sa mise en oeuvre
US7195670B2 (en) * 2000-06-27 2007-03-27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High throughput screening of crystallization of materials
US6610499B1 (en) * 2000-08-31 2003-08-2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apillary array and related methods
TWI241343B (en) * 2000-12-07 2005-10-11 Effector Cell Inst Inc Well unit for detecting cell chemotaxis and separating chemotactic cells
KR100407817B1 (ko) * 2001-08-30 2003-11-28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세포 계수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479848B1 (ko) * 2002-12-17 2005-03-31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격자가 형성된 세포 배양용 용기
US20040145805A1 (en) * 2003-01-16 2004-07-29 Jean Qiu Unitary device with internal microscopic counting grid used for analysis of microscopic particles contained in liquid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851B1 (ko) 2004-04-14 2008-11-10 닛폰 휘루콘 가부시키가이샤 수지제 마이크로 화학 칩의 제조방법
KR100719238B1 (ko) 2006-04-10 2007-05-1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마이크로 입자 계수용 플라스틱 마이크로 칩과 그 제조방법
KR101220538B1 (ko) 2006-11-02 2013-01-17 주식회사 나노엔텍 표면 토폴로지를 이용한 미세 입자 분리를 위한 채널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53355B1 (ko) 2007-02-12 2014-01-22 인싸이토(주) 면패턴의 마이크로 입자 계수용 플라스틱 마이크로 칩과 그제조방법
KR101432941B1 (ko) 2012-07-02 2014-08-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포 계수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30875B1 (ko) 2012-08-14 2013-11-18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입자 및 미생물 분류를 위한 다단 높이의 몰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23165A1 (en) 2006-10-05
EP1664748A4 (en) 2010-04-21
WO2005008225A1 (en) 2005-01-27
KR20050009612A (ko) 2005-01-25
WO2005008225B1 (en) 2005-04-14
EP1664748A1 (en) 200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3621B1 (ko) 세포 개체수 계수용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7718420B2 (en) Microfluidic biochip for blood typing based on agglutination reaction
JP2021041217A (ja) 高分子精密濾過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精密濾過装置の使用
KR20080051516A (ko) 방향표식이 부가된 마이크로 입자 계수용 플라스틱마이크로 칩과 그 제조방법
CN102513169B (zh) 一种微米级粒子高通量分选的微流控器件及其制作方法
CN107338184A (zh) 一种用于捕获细胞或溶液中生物分子的捕获筛及装置
KR101712940B1 (ko) 미세 유체칩을 이용한 나노입자 분리 및 이를 이용한 생체물질분석방법
JP2008039541A (ja) マイクロ流路チップ及びそれを用いた生体高分子の処理方法
CN207276609U (zh) 一种用于捕获细胞或溶液中生物分子的装置
US4299441A (en) Transparent laboratory slide for examination of liquid specimens
CN106179545B (zh) 用于生物分析的微流控芯片设备及其制备方法
KR101272261B1 (ko) 시료보관기구의 제조방법 및 시료보관기구
EP1591223A2 (en) A manufacturing method of a microchemical chip made of a resin and a microchemical chip made of a resin by the method
KR102103084B1 (ko) 박막을 이용하여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는 마이크로 플루이딕 디바이스
US20190310225A1 (en) Microfluidic organic electrochemical transistor sensors for real time nitric oxide detection
KR20170022687A (ko) 세포의 분리 검출이 가능한 바이오 칩
CN110938523A (zh) 用于sat的离心式微流控芯片、***及检测方法
KR101353355B1 (ko) 면패턴의 마이크로 입자 계수용 플라스틱 마이크로 칩과 그제조방법
KR20050009928A (ko) 미세 눈금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글라스 및 그 제조방법
JP4762521B2 (ja) バイオセパレーション用キット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040012010A (ko) 세포 개수 측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4257766A (ja) マイクロ血球カウンタ
KR101048858B1 (ko) 개방형 그루브 채널 칩
CN115166224B (zh) 微流控芯片、血小板功能检测装置及方法
KR20140020704A (ko) 시료보관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22 Withdrawal of opposi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