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5205B1 - Device dynamic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network based to universal plug and play - Google Patents

Device dynamic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network based to universal plug and 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5205B1
KR100565205B1 KR1020040009853A KR20040009853A KR100565205B1 KR 100565205 B1 KR100565205 B1 KR 100565205B1 KR 1020040009853 A KR1020040009853 A KR 1020040009853A KR 20040009853 A KR20040009853 A KR 20040009853A KR 100565205 B1 KR100565205 B1 KR 100565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np
server
network
domain name
hom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8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81548A (en
Inventor
최정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9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5205B1/en
Publication of KR20050081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15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2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2Interconnection of the control functionalities between hom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8Distribution of signals with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involving splitting/multiplexing signals to/from different 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5014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using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or bootstrap protocol [BOO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PnP 기반의 분산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 동적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파트 등의 대규모 주거단지에 UPnP 기반의 홈 네트워크를 구축했을 때 IP 세그먼트가 호별로 분리되지 않고 일정 규모의 동 혹은 단지 전체에 걸쳐 구성되는 환경에서 각 호별로 UPnP 디바이스를 발견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소정 규모별로 분할된 단지 서버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아파트단지 서버(120)와 연동하도록 각 호별로 구축한 UPnP 기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비하는 사설 IP 기반 네트워크에서의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있어서, UPnP 디바이스(110)가 명세주소 내의 주소정보(사설주소)를 해당 도메인네임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UPnP 디바이스(120)가 소정 규모의 네트워크에 할당된 아파트단지 서버(120)에 접속하여 상기 명세정보를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아파트단지 서버(120)에 저장된 명세정보에 포함된 디바이스의 도메인네임을 통해 홈 네트워크 내의 해당 디바이스에 직접 연결하여 원격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control of devices in a UPnP-based distributed network. In particular, when a UPnP-based home network is constructed in a large residential complex such as an apartment, IP segments are not separated from call to call.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tilize a server divided by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UPnP devices can be found and controlled for each call in an environment configured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a home network control method in a private IP-based network having a UPnP-based home network system built for each call to interlock with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for providing an external network service, UPnP The device 110 converts the address information (private address) in the specification address into a corresponding domain name, and the UPnP device 120 accesses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assigned to a network of a predetermined size to provide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and storing the remote control unit; and remotely connecting to a corresponding device in a home network through a domain name of a devic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

Description

UPnP 기반의 분산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 동적 제어 방법 및 시스템{DEVICE DYNAMIC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NETWORK BASED TO UNIVERSAL PLUG AND PLAY} DEVICE DYNAMIC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NETWORK BASED TO UNIVERSAL PLUG AND PLAY}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안된 시스템의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propo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홈 디바이스와 서버간 네트워킹 절차를 보인 신호 흐름도. 2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ing procedure between a home device and a serv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도1에서 아파트단지 서버에 보관된 홈넷바인드 테이블의 구조도. Figure 3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home net bind table stored in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in Figure 1;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아파트단지 서버의 분산 형태를 보인 구성도.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istributed form of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세 네트워킹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5 is an operatio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ation networking process in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동적 도메인네임 갱신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updating a dynamic domain nam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UPnP 디바이스 120 : 아파트단지 서버 110: UPnP device 120: apartment complex server

130 : 라우터(router) 130: router

본 발명은 네트워크 망 구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설 IP 기반 네트워크에 있어서 디바이스 동적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network implement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dynamically controlling device in a private IP based network.

가정에 있는 2개 이상의 장치가 서로 통신하는 것을 홈 네트워크라고 한다. The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devices in a home is called a home network.

홈 네트워킹의 확산으로 가정에서 기존의 PC 위주의 네트워크 환경이 점점 다양한 하위 네트워크 기술이 사용되어지는 환경으로 바뀌면서 이들 가전 제품들을 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독립적이며 통일된 방식으로 네트워크화 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으로 UPnPTM 기술이 제안되었다. The proliferation of home networking has transformed the existing PC-oriented network environment from home to the environment where various sub-network technologies are used, and the necessity of a technology that can network these home appliances in an independent and unified manner using IP protocol. UPnP technology has been proposed.

UPnPTM Device Architecture 1.0은 분산 및 개방 네트워킹 구조를 기반으로, 홈 네트워크 내의 각 가전 제품들이 중앙 집중의 관리를 받지 않고 대신 피어투피어(seamless peer-to-peer) 네트워킹이 가능하도록 한다. UPnP TM Device Architecture 1.0 is based on distributed and open networking architectures, enabling each appliance in a home network to be peerless to peer-to-peer networking instead of centrally managed.

UPnPTM(이하, UPnP라 약칭함) Device Architecture 1.0에 따르면 UPnP 디바이스들의 발견이 홈 네트워크 내의 범위에서 IP 멀티캐스트를 이용하여 분산 및 개방 네트워킹 방식으로 일어난다. According to UPnP (hereinafter abbreviated as UPnP) Device Architecture 1.0, the discovery of UPnP devices takes place in a distributed and open networking fashion using IP multicast within range within the home network.

한편, 대단위 아파트 단지의 경우 아파트 동 또는 단지 전체를 기본 단위로 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large apartment complex, a network is constructed based on the apartment building or the whole apartment as a basic unit.

따라서, 대단위 아파트 단지에 구축된 네트워크에 UPnP 기술을 적용한다면 각 호에 설치된 디바이스를 발견하여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refore, if UPnP technology is applied to a network built in a large apartment complex, devices installed in each arc may be found and controlled.

그러나, 종래에는 UPnP 기술을 적용하여도 대규모의 아파트 단지에서 아파트 동 혹은 단지 전체에 동일한 IP 세그먼트로 망이 구성될 경우 각 호별로 IP 멀티캐스트를 이용한 UPnP 디바이스의 발견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conventionally, even when UPnP technology is applied, when a network is composed of the same IP segment in a large apartment complex or an entire apartment complex, UPnP devices using IP multicast cannot be found for each call.

즉, 종래에는 각 호별로 VLAN(Visual LAN : 가상 LAN)을 구성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IP 멀티캐스트 도메인을 구분할 수 있으나 네트워크 장비 내에서 각 호의 개수만큼 VLAN을 지원하여야 하고 만일, 각 네트워크 장비에서 설정할 수 있다고 하여도 VLAN 설정 및 유지에 따른 전체적인 네트워크 장비의 성능 저하로 인해 현실적으로 VLAN 설정 및 이용에 대한 제약점이 존재하게 된다. That is, in the related art, IP multicast domains can be distinguished by software by configuring VLANs (Visual LAN: Virtual LAN) for each call, but each VLAN must support VLANs as many as the number of calls within a network device. Even if it is, there is a limitation on the VLAN configuration and use due to the degradation of the overall network equipment due to the VLAN configuration and maintenance.

또한, 종래에는 현재 IP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인터넷 범위에서 정상적으로 이루어짐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결과적으로 UPnP 디바이스의 발견을 통하여 얻은 정보를 이용하는 UPnP 디바이스의 제어도 인터넷을 통해 가능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IP multicast service cannot be guaranteed to be normally performed in the Internet range, and as a result, the control of the UPnP device us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discovery of the UPnP device is not possible through the Interne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아파트에 UPnP 기반의 홈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경우, 아파트 각 호별로 UPnP 디바이스를 발견 및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아파트 망 구성 방안이 필요하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hen building a UPnP-based home network in an apartment, a new apartment network configuration method for discovering and controlling UPnP devices for each apartment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아파트 등과 같은 주거 단지에 홈 네트워크를 구축했을 때 각 호별 IP 세그먼트(segment)와 상관없이 각 호별로 UPnP 디바이스의 발견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창안한 UPnP 기반의 분산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 동적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tional problem, when the home network is built in a residential complex such as an apartment, the UPnP-based invention was developed to enable the discovery and control of UPnP devices for each call regardless of the IP segment for each cal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controlling device in a distributed network.

즉, 본 발명은 아파트 등의 대규모 주거 단지에 UPnP 기반의 홈 네트워크를 구축했을 때 IP 세그먼트가 호별로 분리되지 않고 일정 규모의 동 혹은 단지 전체 에 걸쳐 구성되는 환경에서 각 호별로 UPnP 디바이스를 발견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소정 규모별로 분할된 단지 서버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UPnP-based home network is built in a large residential complex such as an apartment, the UPnP device is found for each call in an environment in which IP segments are not separated by calls but are composed of a predetermined size of a building or a whol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tilize a server that is divided by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it can be controlled.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분산 서버와 연동하도록 각 호별로 구축한 UPnP 기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비하는 사설 IP 기반 네트워크에서의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있어서, UPnP 디바이스가 명세주소 내의 주소정보(사설주소)를 해당 도메인네임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UPnP 디바이스가 소정 규모의 네트워크에 할당된 해당 분산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명세정보를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분산서버에 저장된 명세정보에 포함된 디바이스의 도메인네임을 통해 홈 네트워크 내의 해당 디바이스에 직접 연결하여 원격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me network control method in a private IP-based network having a UPnP-based home network system constructed for each call to interwork with a distributed server for providing an external network servic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evice converting address information (private address) in a specification address into a corresponding domain name, a UPnP device accessing a corresponding distributed server assigned to a network of a predetermined size, and transmitting and storing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erform a remote control by connecting directly to the corresponding device in the home network through the domain name of the devic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 호별로 구축한 UPnP 기반의 홈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사설 IP 기반 네트워크의 분산서버에 저장된 명세정보 내의 디바이스 도메인네임을 통해 홈 네트워크 내의 해당 디바이스에 직접 연결하여 원격 제어하는 UPnP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있어서, DHCP 서버로부터 할당받은 공인주소의 변경이 확인되면 해당 UPnP 디바이스가 DNS 서버가 유지하고 있는 공인 주소를 변경하기 위해 새로이 변경된 공인 주소를 상기 DNS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device in the home network through the device domain name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istributed server of the private IP-based network including the UPnP-based home network built for each call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UPnP home network control method for remote control, if the change of the public address assigned from the DHCP server is confirmed, the corresponding UPnP device transmits the newly changed public address to the DNS server to change the public address maintained by the DNS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further comprises the step.

즉, 본 발명은 UPnP 디바이스가 분산서버와 필요한 경우에만 연결을 유지하도록 하는 UPnP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있어서, DHCP 서버로부터 할당된 공인주 소가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공인주소가 변경되는 경우 DHCP 서버로부터 새로운 공인주소를 할당받는 과정과, 상기 새로이 할당된 공인 주소를 DNS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해당 디바이스에서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a UPnP home network in which a UPnP device maintains a connection with a distributed server only when necessary, and further comprising: checking whether a public address allocated from a DHCP server is changed, wherein the public address is changed. In this case, the device is configured to perform a process of receiving a new public address from a DHCP server and a process of transmitting the newly assigned public address to a DNS server.

이러한 구성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아파트 등의 대규모 주거단지에 구축된 네트워크 환경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한 UPnP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해당 도메인네임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발견 정보를 제공하는 각각의 UPnP 디바이스와, 상기 각각의 UPnP 디바이스의 주소정보(도메인네임)를 관리하면서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홈 네트워크 내의 UPnP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UPnP 디바이스의 주소정보를 제공하는 분산서버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features a network environment built in a large residential complex such as an apartment, each UPnP device for providing device discovery information including the domain name to provide a UPnP device control service over the Internet; And a distributed server configured to provide address information of the UPnP device so that a user can control the UPnP device in a home network through the Internet while managing address information (domain name) of each UPnP device. do.

즉, 본 발명에서 제안된 UPnP 디바이스는 홈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여 UPnP 디바이스 발견을 위한 디바이스 명세(description)문서를 정정(retrieve)하여 분산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디바이스 본연의 기능 수행을 위한 DCP(Device Control Protocol) 기능과, UPnP 디바이스 아키텍쳐 1.0 기능 외에 도메인네임을 이용하여 디바이스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적 도메인네임 서비스 클라이언트 기능과, 디바이스 명세(description)정보를 분산서버로 제공하는 발견(discovery) 확장 기능을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That is, the UPnP devic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exists in a home network to perform a function of retrieving a device description document for discovery of a UPnP device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a distributed server. In addition to the DCP (Device Control Protocol) function, UPnP device architecture 1.0 function, dynamic domain name service client function that enables device control using domain name, and discovery that provides device description information to distributed servers.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n extension function.

상기 동적 도메인네임 서비스 클라이언트 기능은 UPnP 디바이스가 외부 DNS 기능의 서버에 자신의 도메인네임을 생성하고, IP 주소가 변경되면 DNS 기능의 서버에 해당 정보를 갱신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dynamic domain name service client fun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nP device is configured to generate its own domain name on the server of the external DNS function, and to updat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on the server of the DNS function when the IP address is changed.

상기 분산서버는 홈 네트워크 식별 정보 관리를 위한 HomeNetBind 테이블에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디바이스 명세정보를 구분 보유함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이 성공되면 자신의 홈 네트워크 내의 UPnP 디바이스 명세문서를 조회할 수 있고 명세문서 내의 도메인네임으로 구성된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URL을 통해 홈 네트워크 내의 해당 UPnP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접속 서버로 동작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tributed server classifies and holds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a HomeNetBind table for managing home network identification information. Upon successful user authentication, the distributed server can query UPnP device specification documents in its home network. It functions as an access server to control a corresponding UPnP device in a home network through a presentation URL composed of a domain name within.

따라서,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UPnP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UPnP Device Architecture 버전 1.0 사양을 준수하는 범위 내에서 UPnP 디바이스에 동적 도메인네임 서비스 클라이언트 기능과 발견 확장 기능을 추가 구현함으로써 UPnP 서버가 홈 네트워크 내에서 IP 주소가 동적으로 변하는 네트워크 환경에 독립적으로 디바이스 명세정보를 관리하도록 하면서 사용자가 도메인네임을 이용하여 홈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PnP server home network by adding a dynamic domain name service client function and discovery extension function to a UPnP device within the scope of the UPnP Device Architecture version 1.0 specification to provide a UPnP device control service through the Internet. It allows users to control home devices using domain names while maintaining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independently in a network environment where IP addresses change dynamically within the network.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장치의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네트워크 내의 UPnP 디바이스에 대한 명세(description)정보를 보관하며 웹 상에서 사용자가 접속하여 인증된 경우 해당 명세정보를 제공하는 아파트단지 서버(120)와, 명세정보 내의 주소 정보를 도메인네임(domain name)으로 변경하고 상기 아파트단지 서버(120)에 접속하여 인증되면 상기 명세정보를 전송하여 보관시킨 후 상기 아파트단지 서버(120)와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UPnP 디바이스(110)와, 원격의 사용자(140)가 상기 아파트단지 서버(120)로부터 확인한 디바이스의 도메인 네임 기반의 프리젠테이션 URL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경우 홈 네트워크 내의 해당 디바이스로 연결시키는 라우터(router)(130)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Figure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rein, stores description information for UPnP devices in a home network, and provides the corresponding specification information when a user is accessed and authenticated on the web.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and the address information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is changed to a domain name (domain name), and when the access to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is authenticated by transmitting and storing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after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 When the UPnP device 110 that disconnects the connection 120 and the remote user 140 connect by using the domain name based presentation URL of the device checked from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the corresponding device in the home network.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outer (router) 130 to connect to.

상기 UPnP 디바이스(110)는 UPnP 디바이스 아키텍쳐 1.0 표준(114)을 기반으로 디바이스 본연의 기능 수행을 위한 DCP(Device Control Protocol) 기능(113)과, 도메인네임을 이용하여 디바이스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적 도메인네임 서비스 클라이언트 기능(112)과, 디바이스 명세(description)정보를 외부의 아파트단지 서버(120)로 제공하는 발견(discovery) 확장 기능(111)을 구비하여 구성한다. The UPnP device 110 is based on the UPnP device architecture 1.0 standard 114, the DCP (Device Control Protocol) function 113 for performing the device's inherent functions and a dynamic domain to enable device control using a domain name A name service client function 112 and a discovery extension function 111 that provides device description information to an external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우선, UPnP 디바이스(110)는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면서 UPnP 디바이스 아키텍쳐 1.0의 발견 단계에서 자신의 존재를 광고(advertise)하여 아파트단지 서버(120)와의 발견 연동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First, while the UPnP device 110 is present in the home network, the UPnP device 110 advertises its presence in the discovery phase of the UPnP device architecture 1.0 to perform a discovery interworking function with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이때, 명세(description) 정보 내의 URL 기반의 주소 정보가 사설주소 정보일 경우 UPnP 디바이스(110)는 사설주소를 미리 설정된 도메인네임(domain name)으로 변경한다. 여기서, 도메인 네임은 디바이스 모델과 홈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친숙한 이름으로 제공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URL-based address information in the description information is private address information, the UPnP device 110 changes the private address to a predetermined domain name. Here, the domain name may be provided as a user-friendly name by configuring the device model and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home network.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외부 DNS 서버 혹은 아파트단지 서버(120)에 각각의 디바이스에 대한 도메인네임을 미리 생성한다. 즉, UPnP 디바이스(110)에 대한 도메인네임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생성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generates a domain name for each device in advance in the external DNS server or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That is, the domain name for the UPnP device 110 is generated in advance by the user.

만일, IP 주소가 DHCP 서버에 의해 동적으로 변하는 경우 UPnP 디바이스(110)는 동적 도메인네임 서비스 클라이언트 기능(112)을 이용하여 일관성 있는 도메인네임으로 자신을 식별할 수 있게 한다. 즉, UPnP 디바이스(110)는 DHCP 서버에 의해 할당된 IP 주소가 변경되면 동적 도메인네임 서비스 클라이언트 기능(112)을 이용하여 DNS 서버에 해당 정보를 갱신하게 된다. If the IP address is dynamically changed by the DHCP server, the UPnP device 110 may use the dynamic domain name service client function 112 to identify itself with a consistent domain name. That is, when the IP address assigned by the DHCP server is changed, the UPnP device 110 update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 the DNS server by using the dynamic domain name service client function 112.

그런데, 아파트 네트워크 환경이 각 호별로 별도의 IP 세그먼트(segment)로 구성됨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IP 멀티캐스트를 이용하는 UPnP 디바이스들의 발견이 IP 세그먼트 구성과는 독립적으로 각 호별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UPnP 디바이스(110)에 발견(Discovery) 확장 기능(111)을 구비하여 상기 UPnP 디바이스(110)와 아파트단지 서버(120)간에 디바이스 발견 연동 기능이 수행되게 한다. However, since the apartment network environment cannot be guaranteed to be composed of separate IP segments for each call, the UPnP device 110 can be used to detect UPnP devices using IP multicast for each call independently of the IP segment configuration. In this case, a discovery extension function 111 is provided to allow a device discovery interworking function to be performed between the UPnP device 110 and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이후, UPnP 디바이스(110)는 아파트단지 서버(120)로의 연결을 설정하여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인증한 후 자신의 명세 정보를 상기 아파트단지 서버(120)로 전송하고 그 아파트단지 서버(120)와의 연결을 해제시킨다. 즉, UPnP 디바이스(110)는 발견 확장 기능(111)을 이용하여 디바이스 명세문서 내의 주소를 미리 생성한 도메인네임으로 변환하고 아파트단지 서버(120)에 연결하여 인증 단계를 거쳐 상기 디바이스 명세문서를 전송한 후 연결을 해제한다. Then, the UPnP device 110 establishes a connection to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and authenticates based o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n transmits its specification information to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and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Disconnect the connection. That is, the UPnP device 110 converts the address in the device specification document into a pre-generated domain name using the discovery extension function 111, connects to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and transmits the device specification document through an authentication step. And disconnect.

이에 따라, 아파트단지 서버(120)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검색 키로 하는 홈넷바인드(HomeNetBind) 테이블 정보를 기반으로 UPnP 디바이스(110)로부터 전송된 디바이스 명세 정보를 구분하여 관리하게 된다. 여기서, 홈넷바인드 테이블은 도3의 예시도와 같이, 서버로의 사용자 인증 정보(ID), 인증암호(PW : password), 디 바이스 명세 정보를 포함하며, 삽입(Insert), 삭제(Delete), 조회(Retrieve) 기능에 의해 관리된다. 이는 각 아파트 단지에서 IP 세그먼트가 각 호별로 구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아파트단지 서버(120)내의 홈넷바인드 테이블 내의 기록정보에 기반하여 IP 세그먼트 망 구성과는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각 호별로 디바이스를 구분하여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Accordingly,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classifies and manages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PnP device 110 based on HomeNetBind table information using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as a search key. Here, the homenet bind table includes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D), authentication password (PW: password), and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3, and includes Insert, Delete, and Inquiry. Managed by the Retrieve function. Even though the IP segment is not configured for each call in each apartment complex, devices can be found separately by each call independently of the IP segment network configuration based on the record information in the homenet bind table in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It means to be able to.

이후, 사용자(140)는 데스크탑 피씨, 노트북 피씨, PDA, 이동 통신단말기 등과 같은 정보단말기를 이용하여 라우터(130)를 통해 아파트단지 서버(120)에 접속하고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이때, 아파트단지 서버(120)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사용자 인증정보(예를 들어, username)는 상기 아파트단지 서버(120) 내의 홈넷바인드 테이블의 검색키로 사용되어 UPnP 디바이스(110)가 상기 아파트단지 서버(120)로 인증 단계를 거칠 때 전송하는 인증 정보와 함께 디바이스 명세정보를 검색하는데 이용된다. Thereafter, the user 140 accesses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through the router 130 using an information terminal such as a desktop PC, a notebook PC, a PDA,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In this case,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username) used when accessing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is used as a search key of the homenet bind table in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so that the UPnP device 110 is connected to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It is used to retrieve the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along wit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when passing through the authentication step (120).

이후,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사용자는 명세 정보 내의 도메인 네임 기반의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URL을 확인하고 현재 제어하려는 디바이스의 해당 도메인 네임을 통해 홈 네트워크 내의 해당 UPnP 디바이스에 연결하여 해당 디바이스를 제어하게 된다. Subsequently, if the us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user checks the presentation URL based on the domain name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device by connecting to the corresponding UPnP device in the home network through the corresponding domain name of the device to be controlled currently. .

한편, 상기에서 UPnP 디바이스(110)는 동적 도메인 네임 서비스 클라이언트 기능(112)을 구비하여 도메인 네임을 미리 생성하며, 아파트단지 서버(120)는 상기 UPnP 디바이스(110)의 동적 도메인 네임 서비스 클라이언트 기능(112)을 처리하기 위해 도메인 네임 생성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구현에 따라 서는 아파트단지 서버(120)가 DNS 서버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UPnP device 110 includes a dynamic domain name service client function 112 to generate a domain name in advance, and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performs the dynamic domain name service client function of the UPnP device 110. Although the case of providing a domain name generation interface for processing 112 has been described,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may provide a DNS server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UPnP 디바이스(110)와 아파트단지 서버(120) 간의 네트워킹 과정은 도2의 신호 흐름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명세(Description), 홈 네트워크 연결(HomeNetworkBind), 원격제어(RemoteControl)의 3단계로 동작되는데, 이를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n addition, the networking process between the UPnP device 110 and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signal flow diagram of Figure 2, description, home network connection (HomeNetworkBind), remote control ( RemoteControl) is operated in three stages, which are described in detail for each stage as follows.

제1 단계의 명세(Description) 단계는 UPnP 디바이스(110)가 디바이스 명세정보를 아파트단지 서버(120)에게 알려주는 단계로서, 도5 및 도6의 동작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description step of the first step is a step in which the UPnP device 110 notifies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of the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operation flowcharts of FIGS. 5 and 6.

UPnP 디바이스(110)는 명세문서 내의 주소를 사용자가 미리 생성한 도메인네임으로 변환하고 이후, 아파트단지 서버(120)로 연결을 설정하여 인증 단계를 거쳐 상기 디바이스 명세정보를 상기 아파트단지 서버(120)로 전송한다.(S501~S504) The UPnP device 110 converts the address in the specification document into a domain name previously created by the user, and then establishes a connection to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and performs the authentication step to convert the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into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S501 ~ S504).

이후, UPnP 디바이스(110)는 아파트단지 서버(120)와의 연결을 해제한다.(S505) Thereafter, the UPnP device 110 releases the connection with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S505).

만일, DHCP 서버로부터 할당받은 주소가 변경될 경우 UPnP 디바이스(110)는 동적 도메인네임 서비스 클라이언트 기능(112)을 이용하여 DNS 서버로 새로 할당받은 공인주소 정보를 전송한다.(S601,S602) If the address allocated from the DHCP server is changed, the UPnP device 110 transmits the newly assigned public address information to the DNS server using the dynamic domain name service client function 112 (S601, S602).

마지막으로 UPnP 디바이스(110)가 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마칠 때 발견(Discovery) 확장 기능(111)을 이용하여 아파트단지 서버(120)로 디바이스 해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아파트단지 서버(120)가 유지하고 있던 해당 디바이스 명세정보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Finally, when the UPnP device 110 finishes the service in the network,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maintains the device release information by transmitting the device release information to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by using the discovery extension function 111. Allows the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to be released.

제2 단계의 홈 네트워크 연결(HomeNetworkBind) 단계는 홈넷바인드(HomeNetBind) 테이블에서 사용자 인증 정보를 검색키로 하여 UPnP 디바이스(110)가 알려준 디바이스 명세정보 중 사용자가 속한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해당 디바이스의 명세정보를 구분, 발견하는 단계이다. The HomeNetworkBind step of the second step is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evice existing in the home network to which the user belongs among the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UPnP device 110 using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as a search key in the HomeNetBind table. It is a step to discover and distinguish.

이로써 사용자는 인터넷 상의 어느 지점에서도 아파트단지 서버(120)를 통해 UPnP 디바이스가 속한 IP 세그먼트 망 구성에 독립적으로 가정 내의 해당 UPnP 디바이스를 발견/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discover / control the corresponding UPnP device in the home independently of the IP segment network configuration to which the UPnP device belongs through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at any point on the Internet.

제3 단계의 원격제어(RemoteControl) 단계는 디바이스 명세정보 내의 도메인네임 기반의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URL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내의 UPnP 디바이스를 직접 제어하는 과정이다. The remote control step of the third step is a process of directly controlling a UPnP device in a home network using a domain name based presentation URL in the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즉, 원격의 사용자(140)가 노트북 피씨 등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라우터(130)를 통해 아파트단지 서버(120)에 접속하고 사용자 인증이 성공되면 상기 아파트단지 서버(120)에 보관된 명세정보 내의 도메인네임 기반의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URL을 확인한 후 현재 제어하려는 디바이스의 해당 도메인네임을 통해 홈 네트워크 내의 해당 UPnP 디바이스에 연결하여 해당 디바이스를 제어하게 된다. That is, the remote user 140 accesses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through the router 130 using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notebook PC, and if the us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detailed information stored in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120. After checking the presentation URL based on the domain name in the network, the corresponding device is controlled by connecting to the corresponding UPnP device in the home network through the corresponding domain name of the device to be controll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4의 구성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생산업체의 중앙관리서버(410)에 단지서버관리채널을 통해 단지서버(421~424)를 연결하고 각 단지의 사용자는 사용자 접속채널을 통해 상기 단지서버(421~424)에 접속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configuration of Figure 4, connected to the server (421 ~ 424) of the complex through the server management channel to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410 of the device manufacturer and users of each complex Is connected to the complex servers 421 to 424 through a user access channel.

즉, 상기 아파트단지 서버(421~424)는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게 서버 내에 유지하고 있는 각 호별 디바이스 명세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인터넷을 통해 가정 내의 UPnP 디바이스를 발견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the apartment complex servers 421 to 424 provide device access information for each door maintained in the server to users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so that UPnP devices in the home can be found and controlled through the Internet.

이로써 UPnP 디바이스를 생산하는 업체(vendor)는 인터넷을 통한 사용자 접속을 생산업체의 중앙관리서버(410)에서 각 아파트단지 서버(421~424)로 분산시켜 처리하고 상기 중앙관리서버(410)는 각 아파트단지 서버(421~424) 내의 정보를 갱신시키는 등 필요한 관리기능을 수행한다. As a result, a vendor producing UPnP devices distributes user access through the Internet to each apartment complex server 421 to 424 from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410 of the manufacturer, and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410 It performs necessary management functions such as updating the information in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421 to 424.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아파트단지 서버를 활용하여 아파트 네트워크에 적합한 새로운 UPnP 디바이스 발견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UPnP 디바이스 발견이 IP 세그먼트 구성에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new UPnP device discovery structure suitable for an apartment network by utilizing an apartment complex server, thereby enabling UPnP device discovery to be independently performed regardless of IP segment configuration.

또한, 본 발명은 각 호의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아파트 단지 서버에 인증/접속한 후 인터넷을 통해 가정 내의 UPnP 디바이스를 발견 및 제어할 수 있으므로 인터넷을 통한 사용자 접속 서비스를 디바이스 생산업체가 운영하는 중앙관리 서버에서 각 단지 서버로 분산시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대형 아파트에 UPnP 디바이스를 공급하는 생산업체는 중앙관리 서버에서 개별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부담을 각 아파트단지 서버로 분산시킬 수 있고 중앙관리 서버는 각 아파트단지 서버로 최신 관리 정보를 갱신시키는 등 필요한 관리 기능만을 수행함으로써 중앙관리 서버의 처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entral management that the device manufacturer operates the user access service through the Internet because the user of each call can find and control UPnP devices in the home via the Internet after authentication / access to the apartment complex server via the Interne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erver can be distributed to each complex server for processing. Therefore, a manufacturer supplying UPnP devices to a large apartment can distribute the burden of managing individual user information in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to each apartment complex server, and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updates the latest management information to each apartment complex server. By performing only necessary management functions, the processing power of the central management server can be improved.

Claims (10)

대규모 주거단지를 소정 단위로 분할하여 각각 분산서버를 설치하고 각기 분할된 단지의 각 호별로 존재하는 UPnP 디바이스를 발견하여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In a method of dividing a large residential complex into predetermined units to install distributed servers and discovering and controlling UPnP devices existing in each arc of each divided complex, 홈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UPnP 디바이스가 자신의 명세 정보 내의 주소 정보를 도메인네임으로 변경하여 해당 분산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UPnP 기반의 분산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 동적 제어 방법. Each UPnP device in the home network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step of changing the address information in its specification information to a domain name to transmit to the corresponding distributed server. Device dynamic control method in a UPnP-based distributed network. 제1항에 있어서, 분산서버에 저장된 명세 정보에 포함된 디바이스의 도메인 네임 기반의 프리젠테이션 URL을 통해 홈 네트워크 내의 해당 디바이스에 직접 연결하여 원격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UPnP 기반의 분산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 동적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remotely connecting to a corresponding device in a home network through a domain name-based presentation URL of a device included in spec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 distributed server. Device dynamic control method in UPnP based distributed network. 외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분산 서버와 연동하도록 각 호별로 구축한 UPnP 기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비하는 사설 IP 기반 네트워크에서의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home network control method in a private IP based network having a UPnP based home network system constructed for each call so as to interwork with a distributed server for providing an external network service, UPnP 디바이스가 명세주소 내의 주소정보(사설주소)를 해당 도메인네임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Converting, by the UPnP device, address information (private address) in the specification address into a corresponding domain name; UPnP 디바이스가 소정 규모의 네트워크에 할당된 해당 분산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명세정보를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단계와, Transmitting and storing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by a UPnP device accessing a corresponding distributed server allocated to a network of a predetermined size; 상기 분산서버에 저장된 명세정보에 포함된 디바이스의 도메인네임을 통해 홈 네트워크 내의 해당 디바이스에 직접 연결하여 원격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UPnP 기반의 분산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 동적 제어 방법. And remotely connecting to a corresponding device in a home network through a domain name of a devic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istributed server, to remotely control the device in a UPnP-based distributed network.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도메인 네임은 사용자의 친숙도를 고려하여 디바이스 모델과 홈 네트워크 식별자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UPnP 기반의 분산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 동적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or 3, wherein the domain name includes a device model and a home network identifier in consideration of user familiarity. 각 호별로 구축한 UPnP 기반의 홈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사설 IP 기반 네트워크의 분산서버에 저장된 명세정보 내의 디바이스 도메인네임을 통해 홈 네트워크 내의 해당 디바이스에 직접 연결하여 원격 제어하는 UPnP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있어서, In the UPnP home network control method for remote control by directly connecting to the corresponding device in the home network through the device domain name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istributed server of the private IP-based network including the UPnP-based home network built for each call, DHCP 서버로부터 할당받은 공인주소의 변경이 확인되면 해당 UPnP 디바이스가 DNS 서버가 유지하고 있는 공인 주소를 변경하기 위해 새로이 변경된 공인 주소를 상기 DNS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UPnP 기반의 분산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 동적 제어 방법. If the change of the public address assigned from the DHCP server is confirmed, the UPnP device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a newly changed public address to the DNS server to change the public address maintained by the DNS server Device dynamic control method in UPnP based distributed network. 아파트 등의 대규모 주거단지에 구축된 네트워크 환경에 있어서, In a network environment built in a large residential complex such as an apartment, 각 호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하며 인터넷을 통한 UPnP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해당 도메인네임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발견 정보를 제공하는 각각의 UPnP 디바이스와, At least one UPnP device for each device and providing device discovery information including a corresponding domain name in order to provide a UPnP device control service through the Internet; 상기 각각의 UPnP 디바이스의 주소정보(도메인네임)를 관리하면서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홈 네트워크 내의 UPnP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UPnP 디바이스의 주소정보를 제공하는 다수의 분산서버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UPnP 기반의 분산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 동적 제어 시스템. And a plurality of distributed servers providing address information of the UPnP device so that a user can control the UPnP device in a home network through the Internet while managing address information (domain name) of each UPnP device. Device dynamic control system in UPnP based distributed network. 제6항에 있어서, UPnP 디바이스는 The device of claim 6, wherein the UPnP device is 디바이스 본연의 기능 수행을 위한 DCP(Device Control Protocol) 기능과, Device Control Protocol (DCP) function to perform the device's original function, UPnP 디바이스 아키텍쳐 1.0 기능 외에 도메인네임을 이용하여 디바이스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적 도메인네임 서비스 클라이언트 기능과, In addition to the UPnP device architecture 1.0 function, a dynamic domain name service client function that enables device control using a domain name, 디바이스 명세(description) 정보를 외부의 UPnP 서버로 제공하는 발견(discovery) 확장 기능을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UPnP 기반의 분산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 동적 제어 시스템. A device dynamic control system in a UPnP-based distributed network, comprising a discovery extension function for providing device description information to an external UPnP server. 제7항에 있어서, 동적 도메인네임 서비스 클라이언트 기능은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ynamic domain name service client function 외부 DNS 기능의 서버에 자신의 도메인네임을 생성하고, DHCP 서버에서 할당된 IP 주소가 변경되면 새로운 IP 주소를 할당받아 DNS 기능의 서버에 갱신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UPnP 기반의 분산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 동적 제어 시스템. In a UPnP-based distributed network, a domain name is created in an external DNS function server and a new IP address is assigned and updated in a DNS function server when an IP address assigned by a DHCP server is changed. Device dynamic control system. 제7항에 있어서, 발견 확장 기능은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iscovery extension is 홈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UPnP 디바이스 발견을 위한 디바이스 명세(description) 문서를 정정(retrieve)하여 분산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UPnP 기반의 분산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 동적 제어 시스템. A device dynamic control system in a UPnP-based distributed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retrieve a device description document for discovering UPnP devices existing in a home network and to transmit it to a distributed server. 제6항에 있어서, 분산서버는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istributed server 홈 네트워크 식별 정보 관리를 위한 HomeNetBind 테이블에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디바이스 명세정보를 구분 보유함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이 성공되면 자신의 홈 네트워크 내의 UPnP 디바이스 명세문서를 조회할 수 있고 명세문서 내의 도메인네임으로 구성된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URL을 통해 홈 네트워크 내의 해당 UPnP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 서버로 동작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UPnP 기반의 분산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 동적 제어 시스템. In classifying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HomeNetBind table for home network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if us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UPnP device specification document in own home network can be inquired and domain name in specification document. A device dynamic control system in a UPnP-based distributed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operate as an access server to control a corresponding UPnP device in a home network through a configured presentation URL.
KR1020040009853A 2004-02-14 2004-02-14 Device dynamic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network based to universal plug and play KR1005652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853A KR100565205B1 (en) 2004-02-14 2004-02-14 Device dynamic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network based to universal plug and 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853A KR100565205B1 (en) 2004-02-14 2004-02-14 Device dynamic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network based to universal plug and 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548A KR20050081548A (en) 2005-08-19
KR100565205B1 true KR100565205B1 (en) 2006-03-30

Family

ID=37268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853A KR100565205B1 (en) 2004-02-14 2004-02-14 Device dynamic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network based to universal plug and 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520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8509A (en) * 2004-04-07 2005-10-12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of controlling home device using outdoor center sever
KR100664921B1 (en) * 2004-09-01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ed middleware supporting multiple protocols for distributed comput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8161A1 (en) 2000-12-19 2002-06-20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UPnP enabling device for heterogeneous networks of slave devices
KR20030055766A (en) * 2001-12-27 2003-07-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s in private network from public network
US20030217136A1 (en) 2002-05-16 2003-11-20 Chunglae Cho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nd controlling UPnP devices in home network over external internet network
KR20040005464A (en) * 2002-07-10 2004-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Remote control system for home network using universal plug and pla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8161A1 (en) 2000-12-19 2002-06-20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UPnP enabling device for heterogeneous networks of slave devices
KR20030055766A (en) * 2001-12-27 2003-07-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s in private network from public network
US20030217136A1 (en) 2002-05-16 2003-11-20 Chunglae Cho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nd controlling UPnP devices in home network over external internet network
KR20040005464A (en) * 2002-07-10 2004-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Remote control system for home network using universal plug and 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548A (en) 200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0992B2 (en) Home appliance remote control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2291979B1 (en) Remote access between upnp devices
US85611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remote access to a local network
KR10142471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ible home network information in remote access environment
KR10079129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of home network
JP2003337772A (en) Device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service through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and method therefor
EP1193912A2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s in IP-based network system
WO2008023934A1 (en) Outdoor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home network device
KR20090078719A (en) Upnp apparatus for providing remote access service and method thereof
CN101867508B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realizing home network interconnection
KR100906677B1 (en) Secure remote access system and method for universal plug and play
US20090254671A1 (en) Remote control of a device by a terminal
JP2005101890A (en) Device and program for name registration mediation, and for name solution mediation name solution system, and name solution method
KR100565205B1 (en) Device dynamic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network based to universal plug and play
KR100585669B1 (en) Network device controlling method using internet
KR100548265B1 (en) Device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based to privately internet protocol
KR100492543B1 (en) Remote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in home network
KR20050046998A (en) Remote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in home network
JP4680172B2 (e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KR100513291B1 (en) Network system for supporting network connection and method thereof
KR20040110941A (en) Remote controlling method for device in home network
KR20050027500A (en) Remote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in home network
JP2013162389A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ty management server, gateway apparatus,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KR20040110942A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identifier information of home network
KR101367180B1 (en) An apparatus for switching and sharing network services and the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