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6998A - Remote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in home network - Google Patents

Remote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in home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6998A
KR20050046998A KR1020030080860A KR20030080860A KR20050046998A KR 20050046998 A KR20050046998 A KR 20050046998A KR 1020030080860 A KR1020030080860 A KR 1020030080860A KR 20030080860 A KR20030080860 A KR 20030080860A KR 20050046998 A KR20050046998 A KR 20050046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network
upnp
specification information
domain name
web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08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정현
안성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0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6998A/en
Publication of KR20050046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6998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5Reporting to a device located outside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적 도메인 네임 서비스 기능을 각각의 UPnP 디바이스에 탑재하여 홈 네트워크 내에서 주소가 동적으로 변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UPnP 서버가 독립적으로 디바이스 명세(description) 정보를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홈 네트워크 내에 별도의 에이전트를 구비하지 않고도 인터넷을 통해 UPnP 디바이스를 제어 가능하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UPnP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가 자신의 명세 정보를 작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명세 정보 내의 주소 정보를 해당 도메인 네임과 홈 게이트웨이로부터의 공인 포트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디바이스가 웹 서버에 연결하여 명세 정보를 전송하고 그 웹 서버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웹 서버에 저장된 명세 정보에 포함된 디바이스의 도메인 네임을 통해 홈 네트워크 내의 해당 디바이스에 직접 연결하여 원격 제어하는 제4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a device in a home network. In particular, a UPnP server can be independently connected to a device specification even in a network environment in which a dynamic domain name service function is installed in each UPnP device to dynamically change an address in the home network. description) to manage the information to control the UPnP device over the Internet without having a separate agent in the home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UPnP home network, comprising: a first step in which a device in a home network creates its own spec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device authorizes address information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from a corresponding domain name and a home gateway; Converting the port value into a port value, connecting the device to the web server to transmit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and disconnecting the web server; and converting a domain name of the devic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web server into a port valu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erform a fourth step of remote control by directly connecting to the corresponding device in the home network.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REMOTE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IN HOME NETWORK}REMOTE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IN HOME NETWORK}

본 발명은 UPnPTM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UPnP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a device in a home network.

가정에 있는 2개 이상의 장치가 서로 통신하는 것을 홈 네트워크라고 한다. The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devices in a home is called a home network.

홈 네트워킹의 확산으로 가정에서 기존의 PC 위주의 네트워크 환경이 점점 다양한 하위 네트워크 기술이 사용되어지는 환경으로 바뀌면서 이들 가전 제품들을 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독립적이며 통일된 방식으로 네트워크화 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으로 UPnPTM(이하, UPnP라 약칭함)기술이 MS에 의해 제안되었다.The proliferation of home networking has transformed the existing PC-oriented network environment from home to the environment where various sub-network technologies are used, and the necessity of a technology that can network these home appliances in an independent and unified manner using IP protocol. UPnP (hereinafter, abbreviated as UPnP) technology has been proposed by MS.

UPnP 기술은 분산 및 개방 네트워킹 구조를 기반으로 함으로써 홈 네트워크 내의 각 가전 제품들이 중앙 집중의 관리를 받지 않고 피어투피어(seamless peer to peer) 네트워킹이 가능하도록 한다. UPnP technology is based on distributed and open networking architectures, enabling each appliance in a home network to be seamlessly peer-to-peer without management.

이때, UPnP 기술에서는 분산 및 개방 네트워킹 구조의 구성요소로서 IP, HTTP 등과 같은 표준 네트워킹 기술을 채택함으로써 운영체제, 플랫폼(platform) 및 전송매체에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In this case, the UPnP technology adopts standard networking technologies such as IP and HTTP as components of distributed and open networking structures, so that the UPnP technology can operate independently of an operating system, a platform, and a transmission medium.

현재 UPnP 디바이스 아키텍처 1.0 기반의 UPnP 디바이스는 크게 주소 할당(Addressing), 발견(Discovery), 명세(Description), 제어(Control), 이벤트(Event),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의 6가지 기능을 통해 Plug & Play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Currently, UPnP devices based on UPnP device architecture 1.0 can b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Plug & Address, Address, Discovery, Description, Control, Event, and Presentation. It can be operated by Play method.

상기 발견 단계는 목적하는 UPnP 디바이스의 발견이 네트워크 상의 정보만으로 중앙 집중화된 데이터베이스(DB)없이 IP 멀티캐스트를 이용하여 분산, 독립적으로 일어나도록 한다. The discovery step allows discovery of the desired UPnP device to occur distributed and independent using IP multicast without a centralized database (DB) with only information on the network.

상기 명세 단계는 사용자 및 다른 기기가 자세한 제품 정보 및 서비스 정보들을 조회할 수 있도록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The specification step stipulates that the user and the other device provide the information in an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manner so that detailed product information and service information can be queried.

상기 제어 단계에서 사용자는 명세 단계에서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In the control step, the user can control the device using the information obtained in the specification step.

그런데, IP 멀티캐스트를 이용한 UPnP 디바이스의 발견 구조는 현재 IP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인터넷 범위에서 정상적으로 이루어짐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결과적으로 UPnP 디바이스의 발견을 통하여 얻은 정보를 이용하는 UPnP 디바이스의 제어도 인터넷을 통해 가능하지 않게 된다. However, since the discovery structure of UPnP devices using IP multicast cannot guarantee that IP multicast services are normally performed in the Internet range, the control of UPnP devices us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discovery of UPnP devices is also possible through the Internet. You will not.

따라서, 홈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에이전트(agent)와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서버 간에 연결을 설정하여 디바이스 발견 연동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UPnP 디바이스의 인터넷을 통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UDCOWEB(UPnP Device Control Over WEB) 구조가 제안되었다. Accordingly, the UDCOWEB (UPnP Device Control Over WEB) structure enables the UPnP device to be controlled through the Internet by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an agent existing in a home network and a server existing on the Internet to perform a device discovery interworking function. Was proposed.

이러한 종래 기술의 일례로는 2003년 특허출원 25185호(출원일 2003년 4월 21일)이 있다. An example of such a prior art is 2003 Patent Application No. 25185 (application date April 21, 2003).

이러한 종래의 인터넷을 통한 UPnP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 기술은 홈 네트워크 내의 UDCOWEB 에이전트와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UDCOWEB 서버 간의 디바이스 발견 연동 기능을 통해 네트워크 상의 UPnP 디바이스를 발견하고, 에이전트와 서버 간에 연결을 설정하여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홈 네트워크에서 발견된 디바이스의 명세(description)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며, 사용자가 서버에 연결하여 인증 후 명세 정보 내의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URL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내의 해당 UPnP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The conventional UPnP device control service technology through the Internet discovers UPnP devices on a network through a device discovery interworking function between a UDCOWEB agent in a home network and a UDCOWEB server existing on the Internet, and establishes a connection between an agent and a server to authenticate a user. If successful, it transmits the descrip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found in the home network to the server, and the user connects to the server and controls the corresponding UPnP device in the home network by using the presentation URL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after authentication. To perform the operation.

그러나, 종래에는 발견된 디바이스 명세(description) 정보가 IP 주소 기반의 URL로 표현되어 있어서, 홈 네트워크에서 공인 주소가 변경될 때마다 UDCOWEB 에이전트(agent)가 UDCOWEB 서버로 변경된 디바이스 명세(description) 정보를 전송함에 따라 UDCOWEB 서버가 홈 네트워크 내의 주소가 동적으로 빈번하게 변하는 네트워크 환경에 대처하여야 함으로 서버 처리 능력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in the related art, discovered device description information is expressed as a URL based on an IP address, so that whenever the public address is changed in the home network, the UDCOWEB agent changes the device description information to the UDCOWEB server. As a transmission, the UDCOWEB server must cope with a network environment in which an address in a home network is frequently changed dynamically.

또한, 종래에는 홈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모든 UPnP 디바이스를 인터넷을 통해 제어 가능하도록 디바이스 발견 연동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홈 네트워크에 UPnP 디바이스 외에 별도의 에이전트(agent)를 구비함으로써 홈 네트워크 환경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home network environment is complicated by providing a separate agent in addition to the UPnP device in order to perform the device discovery interworking function so that all UPnP devices existing in the home network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Internet. have.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동적 도메인 네임 서비스 기능을 각각의 UPnP 디바이스에 탑재함으로써 홈 네트워크 내에서 주소가 동적으로 변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UPnP 서버가 독립적으로 디바이스 명세(description)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홈 네트워크 내에 별도의 에이전트를 구비하지 않고도 인터넷을 통해 UPnP 디바이스를 제어 가능하도록 창안한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dis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nP server independently manages device description information even in a network environment where addresses are dynamically changed in a home network by installing a dynamic domain name service function in each UPnP devi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a device in a home network, which is designed to control a UPnP device through the Internet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agent in the home network.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UPnP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있어서, UPnP 디바이스가 명세 주소 내의 주소정보를 해당 도메인 네임과 홈 게이트웨이로부터의 공인 포트값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UPnP 디바이스가 UPnP 서버에 접속하여 명세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웹 서버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UPnP 서버에 저장된 명세 정보에 포함된 디바이스의 도메인 네임을 통해 홈 네트워크 내의 해당 디바이스에 직접 연결하여 원격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a UPnP home network, comprising the steps of: a UPnP device converting address information in a specification address into a corresponding port name from a domain name and a home gateway; Connecting to transmit specification information and releasing connection with the web server, and directly connecting to a corresponding device in a home network through a domain name of a devic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UPnP server and remotely controlling the conne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상기에서 주소정보 변환 단계는 명세 정보 내의 주소 정보가 사설 주소인 경우 사설 주소와 포트 번호를 해당 도메인 네임과 홈 게이트웨이로부터 받은 공인 포트번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address information converting step, when the address information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is a private address, the process of converting a private address and a port number into a public port number received from a corresponding domain name and a home gateway is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UPnP 서버에 저장된 명세 정보에 포함된 디바이스의 도메인 네임을 통해 홈 네트워크 내의 해당 디바이스에 직접 연결하여 원격 제어하는 UPnP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있어서, 홈 게이트웨이로부터의 공인 주소 변경 이벤트가 확인되면 해당 UPnP 디바이스가 DNS 서버가 유지하고 있는 공인 주소를 변경하기 위해 새로이 변경된 공인 주소를 DNS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PnP home network control method for remote control by directly connecting to the corresponding device in the home network through the domain name of the devic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UPnP serv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from the home gateway When the public address change event is confirmed, the UPnP device further comprises transmitting a newly changed public address to the DNS server to change the public address maintained by the DNS server.

즉, 본 발명은 UPnP 디바이스와 UPnP 서버 간에 필요한 경우에만 연결을 유지함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를 서비스하는 사업자에게 부여된 공인 주소 정보가 해지(release)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홈 네트워크를 서비스하는 홈 게이트웨이가 UPnP IGD(Internet Gateway Device)로 가정하면 새로 부여된 공인 주소를 UPnP 이벤트로 알리는 과정과, 상기 변경된 공인 주소를 받은 해당 UPnP 디바이스가 DNS 서버로 그 변경된 공인 주소를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n maintaining the connection only when necessary between the UPnP device and the UPnP server, the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public address information given to the service provider for the home network is released (release), and the home gateway for servicing the home network Assumes that the UPnP Internet Gateway Device (IGD) is configured to notify the newly granted public address as a UPnP event, and the corresponding UPnP device receiving the changed public address transmits the changed public address to a DNS server. It is characterized by.

이러한 구성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UPnP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해당 도메인 네임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발견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제공하는 각각의 UPnP 디바이스와,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홈 네트워크 내의 UPnP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접속 서버로 동작하는 UPnP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features provides each UPnP device that provides device discovery information including a corresponding domain name to an external server in order to provide a UPnP device control service through the Internet, and a user to a UPnP device in a home network through the Internet.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UPnP server that acts as an access server to control the.

상기 UPnP 디바이스는 외부 DNS 기능의 서버에 자신의 도메인 네임을 생성하고, IP 주소가 변경되면 DNS 기능의 서버에 해당 엔트리를 갱신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UPnP device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its own domain name in a server of an external DNS function and to update a corresponding entry in a server of a DNS function when an IP address is changed.

즉, 본 발명의 UPnP 디바이스는 홈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여 UPnP 디바이스 발견을 위한 디바이스 명세(description) 문서를 정정(retrieve)하여 UPnP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디바이스 본연의 기능 수행을 위한 DCP(Device Control Protocol) 기능과, UPnP 디바이스 아키텍쳐 1.0 기능 외에 도메인 네임을 이용하여 디바이스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적 도메인 네임 서비스 클라이언트 기능과, 디바이스 명세(description) 정보를 외부의 UPnP 서버로 제공하는 발견(discovery) 확장 기능을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That is, the UPnP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exists in a home network and performs a function of retrieving a device description document for UPnP device discovery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a UPnP server. Device Control Protocol) feature, dynamic domain name service client function that enables device control using domain name in addition to UPnP device architecture 1.0 function, and discovery that provides device description information to external UPnP server.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n extension function.

이러한 기능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UPnP 디바이스는 명세 문서 내의 주소 정보가 사설 주소 정보이면 홈 게이트웨이의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기능부에 가용한 공인 주소 항목을 요청 및 설정하고 사설 주소 정보를 미리 생성한 도메인 네임 및 홈 게이트웨이로부터 할당받은 공인 포트값으로 변환하며 UPnP 서버로 연결을 설정하여 인증 과정을 거쳐 디바이스 명세 문서를 전송한 후 연결을 해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If the address information in the specification document is private address information, the UPnP device having such a function requests and sets a public address item available to the 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 function of the home gateway and generates private address information in advance. It converts the domain name and the authorized port value assigned from the home gateway, establishes the connection to the UPnP server, sends the device specification document through the authentication process, and then releases the connection.

상기 UPnP 서버는 홈 네트워크 식별 정보 관리를 위한 HomeNetBind 테이블에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디바이스 명세 정보를 구분 보유함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이 성공되면 자신의 홈 네트워크 내의 UPnP 디바이스 명세 문서를 조회할 수 있고 명세 문서 내의 도메인 네임으로 구성된 presentation URL을 통해 홈 네트워크 내의 해당 UPnP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접속 서버로 동작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UPnP server classifies and holds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a HomeNetBind table for managing home network identification information. Upon successful user authentication, the UPnP server can query a UPnP device specification document in its home network. It functions as an access server to control a corresponding UPnP device in a home network through a presentation URL composed of a domain name within.

따라서,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UPnP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UPnP Device Architecture 버전 1.0 사양을 준수하는 범위 내에서 UPnP 디바이스에 동적 도메인 네임 서비스 클라이언트 기능과 발견 확장 기능을 추가 구현함으로써 UPnP 서버가 홈 네트워크 내에서 IP 주소가 동적으로 변하는 네트워크 환경에 독립적으로 디바이스 명세 정보를 관리하도록 하면서 사용자가 도메인 네임을 이용하여 홈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PnP server home network by adding a dynamic domain name service client function and discovery extension function to a UPnP device within the scope of the UPnP Device Architecture version 1.0 specification to provide a UPnP device control service through the Internet. It allows users to control home devices by using domain names while maintaining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independently in a network environment in which IP addresses change dynamically.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110)에 대한 명세 정보를 보관하며 웹 상에서 사용자가 접속하여 인증된 경우 해당 명세 정보를 제공하는 UPnP 서버(130)와, 명세 정보 내의 주소 정보를 도메인 네임(domain name)으로 변경하고 상기 UPnP 서버(130)에 접속하여 인증되면 상기 명세 정보를 전송하여 보관시킨 후 상기 UPnP 서버(130)와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UPnP 디바이스(110)와, 이 UPnP 디바이스(110)의 요청에 의해 그 UPnP 디바이스(110)를 상기 UPnP 서버(130)에 연결시키며 상기 UPnP 서버(130)로부터 확인한 디바이스의 도메인 네임 기반의 프리젠테이션 URL을 이용하여 원격의 기기(140)로부터 접속되는 경우 홈 네트워크 내의 해당 디바이스로 연결시키는 홈 게이트웨이(120)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rein, which stores specification information for a device 110 in a home network and provides the corresponding specification information when a user is connected and authenticated on the web. The UPnP server 130 and the address information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are changed to a domain name and connected to the UPnP server 130 to be authenticated by transmitting and storing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and then connecting to the UPnP server 130. The UPnP device 110 for releasing the connection, and connects the UPnP device 110 to the UPnP server 130 at the request of the UPnP device 110 and based on the domain name of the device identified from the UPnP server 130. When connected from the remote device 140 using the presentation URL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me gateway 120 to connect to the corresponding device in the home network.

상기 UPnP 디바이스(110)는 UPnP 디바이스 아키텍쳐 1.0 표준(114)을 기반으로 디바이스 본연의 기능 수행을 위한 DCP(Device Control Protocol) 및 기능(113)과, 도메인 네임을 이용하여 디바이스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적 도메인 네임 서비스 클라이언트 기능(112)과, 디바이스 명세(description) 정보를 외부의 UPnP 서버(130)로 제공하는 발견(discovery) 확장 기능(111)을 구비하여 구성한다. The UPnP device 110 is based on the UPnP device architecture 1.0 standard 114, a device control protocol (DCP) and a function 113 for performing a device's inherent functions, and a dynamic function that enables device control using a domain name. And a domain name service client function 112 and a discovery extension function 111 that provides device description information to an external UPnP server 130.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도1에서 원격의 기기(140)는 데스크탑 피씨, 노트북 피씨, PDA, 이동 통신단말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로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노트북 피씨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In FIG. 1, the remote device 140 may be configured as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desktop PC, a notebook PC, a PDA,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ptop PC will be described.

우선, UPnP 디바이스(110)는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면서 UPnP 디바이스 아키텍쳐 1.0의 발견 단계에서 자신의 존재를 광고(advertise)하여 UPnP 서버(130)와의 발견 연동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First, while the UPnP device 110 is present in the home network, the UPnP device 110 advertises its existence in the discovery phase of the UPnP device architecture 1.0 to perform a discovery interworking function with the UPnP server 130.

이때, 명세(description) 정보 내의 URL 기반의 주소 정보가 NAT 사용으로 인한 사설 주소 정보일 경우 UPnP 디바이스(110)는 홈 게이트웨이(120)의 NAT 모듈로부터 공인 주소 정보를 획득하여 명세 정보 내의 주소 정보를 공인 주소 정보로 대치한다. 즉, 명세 정보 내의 URL 기반의 주소 정보가 IP 주소인 경우 특히, NAT 사용으로 인한 사설 주소 정보일 경우 UPnP 디바이스(110)는 홈 게이트웨이(120)의 NAT 모듈로부터 공인 주소정보(공인 주소, 포트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명세 정보 내의 IP 주소와 포트번호를 각각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도메인 네임(domain name)과 상기 홈 게이트웨이(120)로부터 할당받은 공인 포트번호로 변경한다. 여기서, 도메인 네임은 디바이스 모델과 홈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친숙한 이름으로 제공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URL-based address information in the description information is private address information due to the use of NAT, the UPnP device 110 obtains public address information from the NAT module of the home gateway 120 to obtain address information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Replace with public address information. That is, in the case where the URL-based address information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is an IP address, in particular, the private address information due to the use of NAT, the UPnP device 110 receives public address information (public address, port number) from the NAT module of the home gateway 120. ) And change the IP address and port number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omain name for the corresponding device and the authorized port number assigned from the home gateway 120, respectively. Here, the domain name may be provided as a user-friendly name by configuring the device model and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home network.

이후, UPnP 디바이스(110)는 UPnP 서버(130)로의 연결을 설정하여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인증한 후 자신의 명세 정보를 상기 UPnP 서버(130)로 전송한다. Thereafter, the UPnP device 110 establishes a connection to the UPnP server 130 to authenticate based o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n transmits its spec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PnP server 130.

이후, 상기 UPnP 디바이스(110)는 UPnP 서버(130)로 명세 정보를 전송하고 그 UPnP 서버(130)와의 연결을 해제시킨다. Thereafter, the UPnP device 110 transmits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PnP server 130 and releases the connection with the UPnP server 130.

이에 따라, UPnP 서버(130)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검색 키로 하는 홈넷바인드(HomeNetBind) 테이블 정보를 기반으로 UPnP 디바이스(110)로부터 전송된 디바이스 명세 정보를 구분하여 관리하게 된다. 여기서, 홈넷바인드 테이블은 서버로의 사용자 인증 정보, 서버로의 디바이스 인증정보, 디바이스 명세 정보를 포함하며, 삽입(Insert), 삭제(Delete), 조회(Retrieve) 기능을 이용하여 관리한다. Accordingly, the UPnP server 130 classifies and manages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PnP device 110 based on HomeNetBind table information using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as a search key. Here, the homenet bind table includes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devi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The homenet bind table is managed using an insert, delete, and retrieve function.

이후, 사용자는 노트북 피씨(140)를 이용하여 UPnP 서버(130)에 접속하고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이때, UPnP 서버(130)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사용자 인증정보(username)는 상기 UPnP 서버(130) 내의 홈넷바인드 테이블의 검색키로 사용되어 UPnP 디바이스(110)가 UPnP 서버(130)로 인증 단계를 거칠 때 전송하는 인증 정보와 함께 디바이스 명세 정보를 검색하는데 이용된다. Thereafter, the user accesses the UPnP server 130 using the notebook PC 140 and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In this case,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username) used to access the UPnP server 130 is used as a search key of the homenet bind table in the UPnP server 130 so that the UPnP device 110 undergoes an authentication step with the UPnP server 130. It is used to retrieve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along with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at is sent.

이후,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사용자는 명세 정보 내의 도메인 네임 기반의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URL을 확인하고 현재 제어하려는 디바이스의 해당 도메인 네임을 통해 홈 네트워크 내의 해당 UPnP 디바이스에 연결하여 해당 디바이스를 제어하게 된다. Subsequently, if the us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user checks the presentation URL based on the domain name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device by connecting to the corresponding UPnP device in the home network through the corresponding domain name of the device to be controlled currently. .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UPnP 디바이스(110)는 동적 도메인 네임 서비스의 클라이언트 기능을 구비하여 도메인 네임을 미리 생성하며, UPnP 서버(130)는 상기 UPnP 디바이스(110)의 동적 도메인 네임 서비스의 클라이언트 기능을 처리하기 위해 DNS 서버 기능 및 도메인 네임 생성 인터페이스를 직접 제공한다. 하지만, 구현에 따라서는 외부 서비스가 제공하는 DNS 서버 기능 및 도메인 네임 생성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In other word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nP device 110 includes a client function of the dynamic domain name service to generate a domain name in advance, and the UPnP server 130 may determine the dynamic domain name service of the UPnP device 110. Directly provides DNS server functions and domain name generation interfaces to handle client functions. However,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DNS server function and domain name generation interface provided by the external service may be used.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UPnP 디바이스(110)와 UPnP 서버(130) 간의 네트워킹 과정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명세(Description), 홈네트워크 연결(HomeNetworkBind), 원격제어(RemoteControl)의 3단계로 동작되는데, 이를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ing process between the UPnP device 110 and the UPnP server 130 is shown in FIG. It is operated in steps,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each step as follows.

상기 명세(decription) 단계는 UPnP 디바이스(110)가 디바이스 명세 정보를 UPnP 서버(130)에게 알려주는 단계로서, UPnP 디바이스가 사설 주소를 사용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에 따라 도3의 동작 순서도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The description step is a step in which the UPnP device 110 informs the UPnP server 130 of the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and confirms whether the UPnP device uses a private address, a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heck, the operation of FIG. This will perform the same operation as the flowchart.

UPnP 디바이스(110)는 사설 주소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홈 게이트웨이(120)의 NAT 모듈로부터 공인 주소를 획득하여 명세 정보 내의 주소 정보(IP 주소, 포트번호)를 변환함에 있어서, 사설 주소를 해당 디바이스에 부여된 도메인 네임으로 변환하고 포트번호를 상기 홈 게이트웨이(120)로부터 획득한 공인 포트번호로 변환한다. 이때, 홈 게이트웨이(120)가 UPnP IGD(Internet Gateway Device)라면 AddPortMapping 액션을 이용하여 공인 주소를 부여받으며, UPnP IGD가 아닌 일반 게이트웨이라면 텔넷(telnet) 통신을 이용하여 공인 주소를 부여받는다. When the UPnP device 110 is using a private address, in obtaining a public address from the NAT module of the home gateway 120 and converting address information (IP address and port number)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the UPnP device 110 converts the private address to the corresponding device. It converts into the assigned domain name and converts the port number into the authorized port number obtained from the home gateway 120. At this time, if the home gateway 120 is an UPnP IGD (Internet Gateway Device), the public address is given using the AddPortMapping action. If the home gateway 120 is a general gateway other than the UPnP IGD, the home gateway 120 is given a public address using telnet communication.

상기 홈네트워크 연결(HomeNetworkBind) 단계는 UPnP 디바이스(110)가 알려준 명세 정보 중 사용자 인증 정보를 검색키로 하는 홈넷바인드(HomeNetBind) 테이블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속한 홈 네트워크에 해당하는 디바이스의 명세 정보를 구분하여 발견하는 단계이다. 이는 홈 네트워크 외부의 원격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노트북 피씨(140)를 이용하여 UPnP 서버(130)에 접속한 후 사용자 인증을 성공하고 이에 의해 사용자 식별 기반으로 구분된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 명세 정보를 조회하는 것을 의미한다. The home network connection step is to classify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home network to which the user belongs based on the HomeNetBind table information using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as a search key among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UPnP device 110. To discover. This means that a user remotely located outside the home network accesses the UPnP server 130 using the notebook PC 140 and then successfully authenticates the user, thereby inquiring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in the home network classified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Means that.

상기 원격제어(RomoteControl) 단계는 원격에서 조회한 디바이스 명세 내의 도메인 네임 기반의 프리젠테이션 URL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내의 해당 UPnP 디바이스에 접속하여 그 디바이스를 직접 제어하는 단계이다. The remote control step is to directly control a device by accessing a corresponding UPnP device in a home network by using a presentation URL based on a domain name in a device specification retrieved remotely.

그런데, 사업자가 홈 네트워크를 서비스할 때 사용자측에서 일정 기간동안 네트워크 연결을 이용하지 않으면 IPv4 주소 부족 문제를 완화하기 위하여 주소를 해제(release)한다. However, when a service provider provides a home network, the user releases an address in order to alleviate the IPv4 address shortage problem if the user does not use the network connec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만일, 홈 게이트웨이가 사용하는 공인 주소가 일정한 휴지 기간이 경과되어 해제된 후 새로운 공인 주소를 할당받았을 경우, UPnP 디바이스(110)는 그 변경된 주소를 DNS 서버로 알려야 한다. 즉, 홈 네트워크 내의 UPnP 디바이스의 사설 주소를 이용할 경우 UPnP 디바이스(110)는 도메인 네임과 공인 포트값으로 변환하지만, 만일 주소가 해제된 후 새로운 주소로 변경되는 경우라면 DNS 서버에 그 변경된 공인 주소를 재전송하여야 하는데 이를 도4의 동작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f the public address used by the home gateway has been assigned a new public address after a certain idle period has been released, the UPnP device 110 should inform the DNS server of the changed address. That is, when using a private address of the UPnP device in the home network, the UPnP device 110 converts the domain name and the public port value, but if the address is changed to a new address after being released, the changed public address is transmitted to the DNS server. It should be retransmitte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operation flowchart of FIG. 4.

우선, 공인주소가 해제된 경우 홈 네트워크를 서비스하는 홈 게이트웨이(120)가 UPnP IGD라면 새로 부여된 공인 주소값을 UPnP 이벤트를 이용하여 UPnP 디바이스(110)로 알리게 된다. First, when the public address is released, if the home gateway 120 serving the home network is the UPnP IGD, the newly provided public address value is notified to the UPnP device 110 using the UPnP event.

이때, UPnP 디바이스(110)는 홈 게이트웨이(120)로부터 변경된 공인 주소값을 이벤트로 받는 경우, DNS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 네임에 대한 변경된 공인 주소값을 전송한다. At this time, when the UPnP device 110 receives the changed public address value from the home gateway 120 as an event, the UPnP device 110 transmits the changed public address value for the domain name registered in the DNS server.

또한, 상기에서 UPnP 디바이스(110)가 UPnP 서버(130)와의 연결이 해제된 후 새로운 공인 주소가 할당되는 경우 DNS 서버 내의 도메인 네임에 대한 공인 주소값을 변경하는 과정만을 설명하였으나,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 명세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UPnP 서버(130)로 연결하여 인증한 후 변경된 디바이스 명세 정보를 전송한다. In addition, in the above, when the new public address is allocated after the UPnP device 110 is disconnected from the UPnP server 130, only the process of changing the public address value for the domain name in the DNS server has been described. Even whe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is changed, the changed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after authentication by connecting to the UPnP server 130.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UPnP 디바이스의 발견이 인터넷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홈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UPnP 디바이스와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UPnP 서버를 연동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UPnP 서버에 접속한 후 자신이 속하는 홈 네트워크 내의 UPnP 디바이스를 제어함에 있어서, UPnP 디바이스와 UPnP 서버 간의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자원을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디바이스 발견 연동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UPnP 서버의 자원을 절약하여 서버의 처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nP device existing in the home network and the UPnP server existing on the Internet are linked to enable the discovery of the UPnP device through the Internet. In controlling UPnP devices in the home network to which the home network belongs, the device discovery interworking function is performed without requiring resources for maintaining a connection between the UPnP device and the UPnP server, thereby improving the processing power of the server by saving resources of the UPnP server. It can be effective.

특히,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내에 별도의 에이전트(agent)를 구비하지 않고 개별 UPnP 디바이스에 확장 기능을 탑재시킴으로써 홈 네트워크 환경을 단순화시킴은 물론 각 디바이스의 발견과 관련한 기능을 각 디바이스로 분산시켜 실행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simplifies the home network environment by installing an extension function on individual UPnP devices without having a separate agent in the home network, but also distributes and executes functions related to discovery of each device to each device. Can b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킹 과정을 보인 신호 흐름도. 2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ing process in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세 전송 단계의 동작 순서도. 3 is an operational flowchart of a specification transmission step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소 해제 후 새로운 명세 전송 단계의 동작 순서도. 4 is an operational flowchart of a new specification transmission step after address releas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UPnP 디바이스 120 : 홈 게이트웨이 110: UPnP device 120: home gateway

130 : UPnP 서버 130: UPnP Server

Claims (9)

웹 서버에 저장된 명세 정보를 확인하고 홈 네트워크 내의 해당 디바이스에 직접 연결하여 원격 제어하는 UPnP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있어서, In the UPnP home network control method of checking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web server and directly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device in the home network for remote control, 홈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디바이스가 명세 정보 내의 주소 정보를 도메인 네임 기반의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URL로 변경하여 웹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 원격 제어 방법. And each device in the home network converts the address information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into a presentation URL based on the domain name and transmits the address information to the web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웹 서버에 저장된 명세 정보에 포함된 디바이스의 도메인 네임 기반의 프리젠테이션 URL을 통해 홈 네트워크 내의 해당 디바이스에 직접 연결하여 원격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 원격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remotely connecting to a corresponding device in a home network through a presentation URL based on a domain name of a device included in spec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 web server. Device remote control method. 웹 서버에 저장된 명세 정보에 포함된 디바이스의 도메인 네임 기반의 프리젠테이션 URL을 통해 홈 네트워크 내의 해당 디바이스에 직접 연결하여 원격 제어하는 UPnP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있어서, In the UPnP home network control method for remote control by directly connecting to the corresponding device in the home network through the domain name-based presentation URL of the devic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web server, 홈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디바이스가 명세 정보를 작성하는 제1 단계와, A first step in which each device in the home network creates specification information, 각각의 디바이스가 상기 명세 정보 내의 주소 정보를 해당 도메인 네임으로 변경하는 제2 단계와, A second step of each device changing the address information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into a corresponding domain name; 각각의 디바이스가 웹 서버에 연결하여 상기 명세 정보를 전송하고 그 웹 서버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제3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 원격 제어 방법. Configuring each device to connect to a web server to transmit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and to disconnect from the web server.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주소정보 변환을 위한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 or 3, wherein the step for address information conversion is 명세 정보 내의 주소 정보가 사설 주소인 경우 사설 주소와 포트 번호를 해당 도메인 네임과 홈 게이트웨이로부터 받은 공인 포트번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 원격 제어 방법. And converting a private address and a port number into a public port number received from a corresponding domain name and a home gateway when the address information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is a private address.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도메인 네임은 사용자의 친숙도를 고려하여 디바이스 모델과 홈 네트워크 식별자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 원격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or 3, wherein the domain name comprises a device model and a home network identifier in consideration of user familiarity. 웹 서버에 저장된 명세 정보에 포함된 디바이스의 도메인 네임을 통해 홈 네트워크 내의 해당 디바이스에 직접 연결하여 원격 제어하는 UPnP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에 있어서, In the UPnP home network control method for remote control by directly connecting to the corresponding device in the home network through the domain name of the devic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web server, 공인주소 변경이 확인되면 DNS 서버에 각 도메인 네임별로 변경된 공인 주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 원격 제어 방법. And transmitting the changed public address information for each domain name to a DNS server when the public address change is confirmed. 제6항에 있어서, 홈 게이트웨이가 UPnP IGD(Internet Gateway Device)인 경우 공인주소 변경을 인식하면 새로 부여된 공인주소 값을 UPnP 이벤트로 알리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 원격 제어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if the home gateway is a UPnP Internet Gateway Device (IGD), recognizing the change of the public address, a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the device in the home network, comprising notifying the newly authorized public address value as a UPnP event. . 홈넷바인드 테이블에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별 도메인 네인 기반의 프리젠테이션 URL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명세 정보를 보관하며 웹 상에서 사용자가 접속하여 인증된 경우 해당 명세 정보를 제공하는 웹 서버와, A web server storing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presentation URL based on domain domains of each device in a home network in a home net bind table, and providing the corresponding specification information when a user is connected and authenticated on the web;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하여 인증한 후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 명세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홈넷바인드 테이블을 갱신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PnP 디바이스와, At least one UPnP device that accesses the web server and authenticates and transmits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in a home network to update the homenet bind table; 상기 디바이스의 요청에 의해 그 디바이스를 상기 웹 서버에 연결시키고 그 디바이스의 결정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와 웹 서버 간의 연결/연결 해제를 수행하며 상기 웹 서버로부터 확인한 디바이스 명세 정보의 디바이스 도메인 네임 기반의 프리젠테이션 URL을 이용하여 원격의 단말기로부터 접속되는 경우 홈 네트워크 내의 해당 디바이스로 연결시키는 홈 게이트웨이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 원격 제어 시스템. The device domain name based presentation of the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confirmed from the web server by connecting the device to the web server at the request of the device and performing connection / disconnection between the device and the web server by the determination of the device. And a home gateway configured to connect to a corresponding device in a home network when connected from a remote terminal using a URL. 제8항에 있어서, UPnP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명세 정보에 사설 주소 정보가 포함된 경우 그 사설 주소 정보를 해당 도메인 네임으로 변경함과 아울러 포트번호를 홈 게이트웨이를 통해 할당받은 공인 포트번호로 변경하여 명세 정보와 함께 웹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 원격 제어 시스템. The device of claim 8, wherein the UPnP device changes the private address information to a corresponding domain name if the private address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and changes the port number to a public port number assigned through a home gateway. And remotely control the device in a home network.
KR1020030080860A 2003-11-15 2003-11-15 Remote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in home network KR2005004699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860A KR20050046998A (en) 2003-11-15 2003-11-15 Remote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in home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860A KR20050046998A (en) 2003-11-15 2003-11-15 Remote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in home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998A true KR20050046998A (en) 2005-05-19

Family

ID=37246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860A KR20050046998A (en) 2003-11-15 2003-11-15 Remote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in home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6998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447B1 (en) * 2005-08-19 2007-06-15 (주)다산씨앤에스 Task manager for multiple network devices
KR100729623B1 (en) * 2005-12-21 2007-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home-device and home-device control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823269B1 (en) * 2006-06-13 2008-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State Information of Remote User Interface
US9158395B2 (en) 2009-04-02 2015-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ther devices using a remote user interfa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447B1 (en) * 2005-08-19 2007-06-15 (주)다산씨앤에스 Task manager for multiple network devices
KR100729623B1 (en) * 2005-12-21 2007-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home-device and home-device control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823269B1 (en) * 2006-06-13 2008-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State Information of Remote User Interface
US9158395B2 (en) 2009-04-02 2015-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ther devices using a remote user interf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451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evice information via network
US73250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nd controlling UPnP devices in home network over external internet network
KR10079129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of home network
US8307093B2 (en) Remote access between UPnP devices
US7831696B2 (en) Apparatus for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via network and a method thereof
KR100461593B1 (en) Apparatus and system providing remote control and management service via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US7385981B2 (en) Apparatus for converting internet protocol address and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same
US20030169728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s in a sub-network of a home-network and a method thereof
US20050240758A1 (en) Controlling devices on an internal network from an external network
US20020040397A1 (en) IP based network system and networking method thereof
KR10142471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ible home network information in remote access environment
JP2005539420A (en) Device equal connection method when realizing dynamic network configuration in home network
EP1193912A2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s in IP-based network system
US20090254671A1 (en) Remote control of a device by a terminal
US20050111486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devices located within private networks
WO2009154249A1 (en) Remote access system, device, method and program
JP2003208366A (en) Network construction device for appliance integration
KR100661856B1 (en) Service discovery system based on agent and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050046998A (en) Remote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in home network
Park et al. Architecture of home gateway for device collaboration in extended home space
KR100492543B1 (en) Remote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in home network
KR20090060916A (en) Method and system for serving multi-media data between hetero upnp networks
KR100548265B1 (en) Device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based to privately internet protocol
KR20040110941A (en) Remote controlling method for device in home network
KR20050027500A (en) Remote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in home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