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185B1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동시통화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동시통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185B1
KR100557185B1 KR1020050041353A KR20050041353A KR100557185B1 KR 100557185 B1 KR100557185 B1 KR 100557185B1 KR 1020050041353 A KR1020050041353 A KR 1020050041353A KR 20050041353 A KR20050041353 A KR 20050041353A KR 100557185 B1 KR100557185 B1 KR 100557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all
digital multimedia
multimedia broadcasting
ke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1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185B1/ko
Priority to EP07022221A priority patent/EP1895751A1/en
Priority to EP06008800A priority patent/EP1725004A1/en
Priority to US11/415,751 priority patent/US9490925B2/en
Priority to CN2006100785271A priority patent/CN1866844B/zh
Priority to CNA2007101674285A priority patent/CN101179761A/zh
Priority to JP2006130426A priority patent/JP2006325205A/ja
Priority to US15/346,369 priority patent/US2017005484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8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herein functions are triggered by incoming communication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2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통화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화상 정보의 출력을 위한 화상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을 위한 가청음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를, DMB 모듈과 연결되는 경로 또는 모뎀 모듈과 연결되는 경로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모뎀 모듈이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화상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가 상기 DMB 모듈에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만약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 사용자가 모뎀 모듈을 사용하기를 원할 경우, 상기 경로들의 스위칭 만을 통해 상기 화상 정보와 가청음의 출력 경로 및 키 입력 경로만을 모뎀 모듈에 연결함으로써,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수신을 종료하지 않고서도, 사용자가 모뎀 모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에 사용자가 모뎀 모듈의 기능을 사용한다고 할지라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의 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동시 통화 방법{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ING MOBILE TERMINAL AND CONCURRENT CALL METHOD FOR ACCOMPLISHING SIMULTANEOUSLY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ING WITH CALL}
도 1은 통상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키 입력에 따른 동작 상태의 천이를 보이고 있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제어부의 상세한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수신 또는 발신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의 과정을 보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발신 동작의 상세한 동작 과정을 보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수신 동작의 상세한 동작 과정을 보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수신 동작 또는 발신 동작 수행시 출력 전환키의 입력에 따른 출력 전환 동작의 흐름도.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는 수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 뿐 아니라 휴대 전화의 기능과 같은 겸용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현재 등장하는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 입력에 따라 동작 상태를 천이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가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이를 작성하는 SMS 메시지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는 현재의 동작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따라 동작 상태를 천이하여 상기 SMS 메시지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동작 상태로 천이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동작 상태의 천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키를 입력하는 것처럼, 특정 이벤트(Event)가 발생했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가 이를 감지하여 동작 상태를 천이하게 된다. 이처럼 이벤트의 발생을 중심으로 동작 상태를 천이하는 기기를 State Machine이라고 하기도 한다.
그리고 현재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러한 상태 천이 방식을 따르고 있다. 이것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 예라고도 볼 수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니다. 도 1은 이러한 통상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동작 상태가 천이되는 것을 보이고 있는 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도 1에서는 편의상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가, 대기 상태에 있는 Idle State(102), 기 설정된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Menu State(104), 그리고 호 착신 또는 호 발신 시의 동작 상태인 Call State(106), 그리고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할 경우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인 DMB State(108)의 4가지 동작 상태를 가지고 있는 UI(User Interface) State(10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 상태 방식에서는 우선 사용자가 어떤 입력도 하지 않았을 경우 UI State(100)는 Idle State(102) 상태로 있게 된다. 그리고 만약 사용자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위해 메뉴을 디스플레이하는 메뉴 키를 입력한다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는 Idle State(102)에서 Menu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Menu State(104)로 천이하게 된다. 그리고 만약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에 호 착신 신호가 수신되거나 사용자가 호를 발신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는 Call State(106)로 천이하게 되어 통화 처리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만약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기 위한 키를 입력한다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는 DMB State(108)로 진행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 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도 1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통상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는 어느 한 시점에 어느 하나의 동작 상태만을 가지게 된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DMB State(108)에 있는 상태에서, 호 착신 신호가 수신된다면, 그리고 사용자가 이를 승인한다면, 상기 통상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는 상기 호 착신이라는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Call State(106)로 동작 상태로 동작 상태를 천이하게 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고 이를 출력하는 DMB State(108)의 동작은 종료된다.
이에 따라 통상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에 어떤 다른 동작을 수행하게 한다면, 그에 따른 동작 상태로의 천이로 인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수신을 중단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 뿐만 아니라 상기 통상적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던 사용자가 반드시 통화를 하여야만 하는 경우, 사용자가 통화를 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Call State로의 동작 상태 천이로 인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시청이 불가능하였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디지 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에 어떤 다른 동작을 수행하게 한다고 할지라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의 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반드시 통화를 하여야만 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통화를 하면서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는, 화상 정보의 출력을 위한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을 위한 가청음 출력 경로, 및 사용자의 키 입력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 경로를 DMB 모듈과 모뎀 모듈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DMB-모뎀 스위치부와, 상기 사용자의 동작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DMB-모뎀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동작 모드에 따른 모듈에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상기 가청음 출력 경로 및 상기 키 입력 모듈이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DMB-모뎀 스위치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한 통화 방법은, 상기 모뎀 모듈이,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선택 시,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상기 가청음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를 상기 DMB 모듈에 연결하는 DMB 모듈 연결 단계와, 상기 DMB 모듈이, 상기 가청음 출력 경로와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를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 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키 입력 경로를 통해 사용자의 키 입력을 입력받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계와, 상기 모뎀 모듈이, 호 착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 경로 및 키 입력 경로를 상기 모뎀 모듈로 연결하는 모뎀 모듈 연결 단계와, 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호 착신 신호에 따른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화 처리 단계와, 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통화 처리 단계 종료 후,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 경로 및 키 입력 경로를 상기 DMB 모듈로 다시 연결하는 DMB 모듈 재연결 단계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의 수신 및 상기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의 처리와 출력을 위한 DMB 모듈, 그리고 상기 DMB 수신 기능과는 다른 겸용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며, 각각의 모듈들을 구동시키는 어플리케이션에 각기 서로 다른 메모리 작업 영역이 할당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이 각각 병렬적(Concurrently)으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어느 한 시점에 하나 이상의 모듈이 동시에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동시에 동작 가능한 DMB 모듈과 상기 또 다른 기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구비한 제어부로부터, 화상 정보의 출력을 위해 표시부와 연 결되는 화상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을 위해 증폭부와 연결되는 가청음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부로부터 사용자의 키 입력이 상기 제어부로 입력되는 키 입력 경로를, 상기 DMB 모듈과 연결되는 경로 또는 상기 또 다른 기능을 위한 모듈과 연결되는 경로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 구비된 모듈들 중 주 제어부의 역할을 수행하는 모듈이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화상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가 상기 또 다른 기능을 위한 모듈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DMB 모듈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만약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에 사용자가 다른 기능을 사용하기를 원한다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수신을 종료하지 않고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다른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의 수신과 처리 및 출력을 위한 DMB 모듈 및 통상적인 전화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모뎀(Modem)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예로 들고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는 메모리부(202), 키 입력부(204), 표시부(206), 베이스밴드 처리부(210), 코덱(CODEC: Coder-Decoder)(212)이 제어부(200)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 어부(200)는 전화 통화나 데이터 통신,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에 따라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처리를 위한 모뎀 모듈(218)과, 영상, 오디오,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디코딩(decoding)을 위한 DMB 영상 디코더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디코딩을 위한 DMB 오디오 디코더를 포함하며, 디코딩된 DMB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DMB 모듈(22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키 입력부(204)로부터 사용자의 키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키 입력 경로와, 상기 표시부(206)로 화상 정보가 출력되는 화상 출력 경로, 그리고 가청음의 출력을 위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증폭부(214)로 가청음 신호가 출력되는 가청음 출력 경로를 상기 모뎀 모듈(218) 또는 상기 DMB 모듈(22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하는 DMB-모뎀 스위칭부(216)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DMB-모뎀 스위칭부(216)는 하드웨어(Hardware)로 구현될 수 있으나, 스위칭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소프트웨어(Software)로도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00)는 하기 도 3에서 더욱 자세히 보이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제어부(200)와 연결되는 메모리부(202)는 롬(ROM: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롬은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램은 제어부(2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를 제공하며, 플래시 메모리는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메모리부(202)는, 상기 DMB 모듈(220)과 모뎀 모듈(218)이, 주 제어부의 역할을 하는 주 제어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뿐 아니라, 다른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에게 각각의 작업 영역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는 어느 하나의 시점에서 동시에 두 개 이상의 모듈이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키 입력부(20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숫자키들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을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입력부(204)는 출력 전환키를 구비하는데, 여기서 출력 전환키라는 것은 상기 모뎀 모듈(218)이 사용자의 호 착신 또는 호 발신 상태에 따른 통화 처리 동작을 수행할 경우,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상기 키 입력 경로만을 스위칭하여, 사용자가 통화를 하는 동시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시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 전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키이다.
그리고 RF부(208)는 기지국과 RF신호를 송,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수신된 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상기한 제어부(200)와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밴드 처리부(210)로 출력하고 베이스밴드 처리부(210)로부터 입력되는 IF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RF부(208)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구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한 베이스밴드 처리부(210)는 제어부(200)와 RF부(208)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BBA(Baseband Analog ASIC)로서, 제어부(200)로부터 인가되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IF신호로 변환하여 RF부(208)에 인가하며, RF부(208)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 그 IF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00)에 인가한다.
그리고 제어부(200)와 연결된 코덱(212)은 증폭부(214)를 통해 마이크 및 스피커와 접속되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부호화(Encoding)하여 음성 데이터를 제어부(200)에 출력하고 제어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PCM 복호화(Decoding)하여 증폭부(214)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한다. 그리고 증폭부(214)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나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데, 스피커의 음량과 마이크의 이득을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조절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로부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의 가청음 신호가 입력될 경우, 이를 증폭하여 연결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도 3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제어부(200)의 구성을 좀더 상세하게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MB-모뎀 스위칭부(216)는 상기 화상 출력 경로를 스위칭하기 위한 화상 출력 스위치부(318)와 상기 가청음 출력 경로를 스위칭하기 위한 가청음 스위치부(316), 그리고 키 입력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 경로를 스위칭하기 위한 키 입력 스위치부(3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모뎀 모듈(218)은 호 착신을 알리는 호 착신 신호나 SMS 메시지 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의 수신시 이를 감지하기 위한 수신 감지부(304)와, 호 착신 시 또는 호 발신시 사용자가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사용자가 상기 SMS 메시지 또는 MMS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 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상기 SMS 메시지 또는 MMS 메시지를 작성하고 이를 발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 처리 및 메시지 처리부(306)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주 제어 모듈이 상기 모뎀 모듈(218)이라고 가정하였을 경우, 상기 모뎀 모듈(218)은 상기 DMB-모뎀 스위치부(216)를 제어하기 위한 DMB-모뎀 스위치 제어부(3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DMB-모뎀 스위치 제어부(216)는 상기 모뎀 모듈(218)에서 상기 DMB-모뎀 스위치부(216)를 제어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이다. 그런데 이는 하드웨어적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모뎀 모듈(218)은 상기 DMB 모듈(220)과 신호 교환을 하기 위한 DMB 모듈 인터페이스(302)를 구비하는데, 상기 DMB-모뎀 스위치 제어부(300)는 상기 DMB 모듈 인터페이스(302) 내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 제어 모듈인 모뎀 모듈(218)은 출력 전환키 입력 감지부(308)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 전환키라는 것은, 상기 모뎀 모듈(218)이 사용자의 호 착신 또는 호 발신 상태에 따른 통화 처리 동작을 수행할 경우,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상기 키 입력 경로만을 스위칭하여, 사용자가 통화를 하는 동시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시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 전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키이다. 이러한 출력 전환키 감지 및 상기 출력 전환 동작은 하기 도 7에서 자세히 보이기로 한다.
이러한 출력 전환키 입력 감지부(308)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뎀 모듈(218)이 통화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 상기 출력 전환키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출력 전환키 입력 감지는, 상기 통화 처리 동작을 위해 키 입력 경로가 상기 모뎀 모듈(218)에 연결된 상태에 있을 경우에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출력 전환키 입력 감지부(308)는 상기 도 3에서와 같이 모뎀 모듈(218)에만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DMB 모듈(220)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 및 디코딩하고 이를 출력하기 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 처리부(312) 뿐만 아니라, 현재 DMB 모듈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 및 출력하고 있을 때에 사용자가 호 발신 또는 SMS 메시지나 MMS 메시지를 발신하기 위한 발신키(Send Key)를 입력하였을 경우 이를 감지하기 위한 발신키 입력 감지부(314)를 구비한다. 그리고 모뎀 모듈 인터페이스(310)를 구비하여 상기 모뎀 모듈(218)과 신호 교환을 수행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시청을 선택한 경우, 주 제어 모듈인 모뎀 모듈(218)의 DMB 모뎀 스위치 제어부(300)가 가청음 스위치부(316), 화상 출력 스위치부(318), 키 입력 스위치부(216)를 제어하여, 증폭부(214)와 연결되는 가청음 출력 경로와, 표시부(206)와 연결되는 화상 정보 출력 경로 및, 상기 키 입력부(204)와 연결되는 키 입력 경로를 상기 DMB 모듈(220)과 연결되도록 스위칭한다. 따라서 상기 증폭부(214)를 통한 가청음의 출력 및 표시부(206)를 통한 화상 정보의 출력은 상기 DMB 모듈(220)이 담당하게 되고, 상기 키 입력부(204)로부터 입력 되는 사용자의 키 입력 신호는 상기 DMB 모듈(220)로 입력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만약 사용자가 SMS 메시지 또는 MMS 메시지의 작성 및 호 발신을 위해 발신키를 입력한다면, 상기 DMB 모듈(220)은 발신키 입력 감지부(314)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모뎀 모듈 인터페이스(310)를 통해 이를 알리는 신호를 모뎀 모듈(218)에 알린다. 그리고 모뎀 모듈(218)은, DMB 모듈 인터페이스(302)를 통해 상기 발신키 입력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할 경우, DMB-모뎀 스위치 제어부(300)를 통해 가청음 스위치부(316), 화상 출력 스위치부(318), 그리고 키 입력 스위치부(320)를 제어하여, 가청음 출력 경로와 화상 정보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를 모뎀 모듈(218)에 연결되도록 스위칭한다. 이 경우 상기 DMB-모뎀 스위치 제어부(300)는 단지 상기 가청음 출력 경로와 화상 정보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를 스위칭 할 뿐이다. 이에 따라 DMB 모듈(220)의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 처리부(312)는 상기 DMB-모뎀 스위치 제어부(300)의 제어와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의 수신 및 처리를 수행한다. 그러나 이 경우 가청음 출력 경로와 화상 정보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가 DMB 모듈(220)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의 화상 정보 및 가청음이 출력되지 않고, 상기 사용자의 키 입력이 상기 DMB 모듈(220)로 입력되지 않을 뿐이다.
그리고 상기 모뎀 모듈(218)은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를 발신 또는 사용자의 호 발신으로 인한 통화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통화 처리 동작 또는 메시지의 발신 동작이 종료되면 다시 DMB-모뎀 스위 치 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가청음 출력 경로와 화상 정보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를 다시 DMB 모듈(220)에 연결되도록 스위칭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호를 발신하거나 메시지를 작성하여 발신할 경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의 종료 없이 상기 호 발신과 메시지 발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수신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다만 이러한 경우는 사용자가 발신키를 입력하는 경우와는 달리, 모뎀 모듈(218)의 수신 감지부(304)가 호 착신 또는 SMS 메시지나 MMS 메시지의 수신을 감지하였을 경우, 이를 DMB-모뎀 스위치 제어부(300)에 알리고, 이에 따라 DMB-모뎀 스위치 제어부(300)가 상기 가청음 출력 경로와 화상 정보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를 상기 통화 처리 또는 메시지의 수신 처리 동작이 종료될 때까지 스위칭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호 발신이나 메시지 발신시의 발신 동작 및 상기 호 착신이나 메시지의 수신시의 수신 동작시에 상기 DMB-모뎀 스위치 제어부(300)의 경로 스위칭 동작을 하기 도 5와 도 6에서 자세히 보이기로 한다.
도 4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제어부(200)에서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수신을 선택하였을 경우 모뎀 모듈(218)과 DMB 모듈(220)의 동작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4 역시, 상기 가정한 바와 같이 모뎀 모듈(218)이 주 제어 모듈임을 가정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수신을 선택하는 경우, 모뎀 모듈(218)은 가청음 출력 경로 및 화상 정보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를 스위칭하여 상기 경로들이 DMB 모듈(220)에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모뎀 모듈(218)은, 40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DMB 모듈(220)에 DMB 모듈 활성화 신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DMB 모듈(220)은 404단계로 진행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의 수신 및 디코딩 처리를 하고, 상기 연결된 가청음 출력 경로 및 화상 정보 출력 경로를 통해 가청음 및 화상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키 입력이 있을 경우, 이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에 따른 키 입력으로 입력 받는다. 그리고 상기 DMB 모듈(220)은 406단계로 진행하여 발신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한다.
한편 상기 모뎀 모듈(218)은 상기 402단계에서 DMB 모듈 활성화 신호를 DMB 모듈(220)로 입력한 다음, 416단계로 진행하여 호 착신 또는 SMS 메시지 또는 MMS 메시지의 수신이 감지되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상기 416단계에서 호 착신 신호 또는 메시지의 수신이 감지되는 경우, 모뎀 모듈(218)은 41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를 모뎀 모듈(218)로 연결하여 상기 호 착신 신호에 따라 통화 처리를 수행하거나, 수신된 메시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418단계에 대해서는 하기 도 6에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만약 상기 416단계에서 호 착신 신호 또는 메시지의 수신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모뎀 모듈(218)은 410단계로 진행하여 DMB 모듈(220)로부터 발신키가 입력되었음을 알리는 신호가 입력 되었는지를 체크한다.
한편 상기 DMB 모듈(220)은 상기 406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발신키가 입력되었을 경우 408단계로 진행하여 모뎀 모듈(218)에 상기 발신키의 입력을 알리는 발신키 입력 알림 신호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 모뎀 모듈(218)은 발신키가 입력되었음을 알리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는 410단계에서, 상기 DMB 모듈(220)로부터 입력된 발신키 입력 알림 신호가 있을 경우 이를 감지한다. 그리고 모뎀 모듈(218)은 412단계로 진행하여 화상 정보 출력 경로 및 가청음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를 모뎀 모듈(218)로 연결하고, 사용자의 호 발신에 따른 통화 처리 또는 SMS 메시지나 MMS 메시지의 작성 및 작성된 메시지를 발신하는 발신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412단계에 대해서는 하기 도 5에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모뎀 모듈(218)은 상기 418단계의 수신 동작 또는 상기 412단계의 발신 동작이 종료되면, 414단계로 진행하여 가청음 출력 경로와 화상 정보 출력 경로 및 키 입력 경로를 다시 DMB 모듈(220)에 연결하도록 스위칭한다. 여기서, 상기 모뎀 모듈(218)의 418단계 및 412단계는, 도 4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DMB 모듈(220)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 수신 및 처리에 어떤 영향도 주지 않는다. 다만 상기 모뎀 모듈(218)은 상기 418단계와 상기 412단계에서 상기 가청음 출력 경로와 화상 정보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를 스위칭할 뿐이다. 이에 따라 상기 모뎀 모듈(218)에서 상기 418단계 또는 상기 412단계가 진행될 때에도 여전히 상기 DMB 모듈(220)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 및 처리하는 404단계의 동작을 유지한다. 그러므로 상기 414단계에서 상기 모뎀 모듈(218)이 가 청음 출력 경로 및 화상 정보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가 다시 DMB 모듈(220)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가청음 출력 경로와 화상 정보 출력 경로를 통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의 오디오 신호와 영상 신호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표시부(206) 및 스피커로 다시 출력되고, 상기 키 입력부(204)의 입력은 다시 DMB 모듈(220)로 입력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에 호 착신 신호 또는 SMS 메시지나 MMS 메시지가 수신되었다고 할지라도,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시청을 종료 없이 상기 호 착신에 따른 통화 및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에라도,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의 종료 없이 언제든지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거나, 호를 발신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 4의 412단계에서 보인 발신 동작 수행 단계의 자세한 동작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에 발신키를 입력하였을 경우, 상기 모뎀 모듈(218)은 이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모뎀 모듈(218)은 50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도 2에서 보이고 있는 가청음 스위치부(316)와 화상 출력 스위치부(318), 그리고 키 입력 스위치부(320)를 제어하여 상기 가청음 출력 경로와 화상 정보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를 DMB 모듈(220)과 연결된 상태에서 모뎀 모듈(218)에 연결된 상태로 스위칭한다. 그리고 모뎀 모듈(218)은 50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 자의 키 입력에 따라, 호를 발신하고 이에 따른 통화 처리 동작을 수행하거나, 사용자가 SMS 메시지 또는 MMS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발송하는 메시지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뎀 모듈(218)은 504단계로 진행하여 출력 전환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상기 출력 전환키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모뎀 모듈(218)은 5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 및 키 입력 경로를 DMB 모듈(220)에 연결되도록 스위치함으로써 표시부(206)의 출력이 DMB 모듈(220)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출력으로 전환되고, 키의 입력이 상기 DMB 모듈(220)로 입력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 전환키라는 것은, 상기 모뎀 모듈(218)이 사용자의 호 착신 또는 호 발신 상태에 따른 통화 처리 동작을 수행할 경우,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상기 키 입력 경로만을 스위칭하여, 사용자가 통화를 하는 동시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시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 전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키이다. 이러한 출력 전환키 감지 및 상기 출력 전환 동작은 하기 도 7에서 자세히 보이기로 한다.
그리고 만약 상기 504단계에서 출력 전환키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모뎀 모듈(218)은 5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통화 처리 및 메시지 처리 동작이 종료되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상기 통화 처리 및 메시지 처리 동작이 종료되지 않은 상태일 경우에는 504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출력 전환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 508단계에서 상기 통화 처리 및 메시지 처리 동작이 종료되었을 경우에는 도 4의 41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가청음 스위치 부(316)와 화상 출력 스위치부(318), 그리고 키 입력 스위치부(320)가, 상기 가청음 출력 경로와 화상 정보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를 스위칭하여 상기 DMB 모듈(22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에,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의 종료 없이 언제든지 메시지의 작성 및 발신 또는 호 발신에 따른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메시지의 발신 또는 통화 처리 종료 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의 재시작 없이 바로 상기 메시지의 발신 또는 통화 처리 이전에 시청하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연속적으로 시청할 수 있다.
도 6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 4의 418단계에서 보인 수신 동작 수행 단계의 자세한 동작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에 호 착신 신호가 수신되었을 경우 또는 SMS 메시지나 MMS 메시지와 같은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경우, 모뎀 모듈(218)은 41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0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수신된 호 착신 신호에 따른 통화를 할 것인가 또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할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확인한다. 그리고 만약 사용자가 상기 통화 또는 수신된 메시지의 확인을 승인하지 않는 다면 다시 도 4의 416단계로 진행하여 호 착신 신호 또는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를 체크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 600단계에서 사용자가 상기 통화 또는 수신된 메시지의 확인을 승인할 경우, 모뎀 모듈(218)은 60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도 2에서 보이고 있는 가청음 스위치부(316)와 화상 출력 스위치부(318), 그리고 키 입력 스위치부(320)를 통해 상기 가청음 출력 경로와 화상 정보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를 모뎀 모듈(218)에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모뎀 모듈(218)은 604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된 호 착신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 처리 동작 또는 사용자가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수신 메시지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뎀 모듈(218)은 606단계로 진행하여 출력 전환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상기 출력 전환키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모뎀 모듈(218)은 5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 및 키 입력 경로를 DMB 모듈(220)에 연결되도록 스위치함으로써 표시부(206)의 출력이 전환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의 입력이 상기 DMB 모듈(220)로 입력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 전환키라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뎀 모듈(218)이 통화 처리 동작을 수행할 경우,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상기 키 입력 경로만을 스위칭하여, 사용자가 통화를 하는 동시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시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 전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키이다. 이러한 출력 전환키 감지 및 상기 출력 전환 동작은 하기 도 7에서 자세히 보이기로 한다.
그리고 만약 상기 606단계에서 출력 전환키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모뎀 모듈(218)은 6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통화 처리 및 수신 메시지 처리 동작이 종료되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상기 통화 처리 및 수신 메시지 처리 동작이 종료되지 않은 상태일 경우에는 다시 606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출력 전환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 608단계에서 상기 통화 처리 및 수신 메시지 처리 동작이 종료되었을 경우에는 도 4의 41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가청음 스위치부(316)와 화상 출력 스위치부(318), 그리고 키 입력 스위치부(320)가, 상기 가청음 출력 경로와 화상 정보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를 스위칭하여 상기 DMB 모듈(22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에,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의 종료 없이 언제든지 수신된 메시지의 확인 또는 호 착신에 따른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확인 또는 통화 종료 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재시작 없이 바로 상기 메시지의 수신 또는 호 착신 신호에 따른 통화 이전에 시청하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연속적으로 시청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 도 5와 도 6의 506단계를 상세히 보이고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가, 사용자가 호 착신 또는 호 발신에 따른 통화를 하고 있는 도중 출력 전환키가 입력되었을 때에, 상기 표시부(206)로 출력되는 화상 정보의 출력 경로 및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 신호의 입력 경로를 스위칭하는 동작의 과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도 5의 504단계 또는 도 6의 606단계에서 모뎀 모듈(218)은 사용자로부터 출력 전환키의 입력이 있었는지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 전환키는 상기 키 입력부(204)에 하드웨어적으로 구비된 키 일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소프트 키(Soft-key)일수도 있다.
상기 모뎀 모듈(218)은 상기 504단계 또는 상기 606단계에서 출력 전환키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700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키 입력 경로가, 모뎀 모듈(218)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인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상기 700단계에서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상기 키 입력 경로가 모뎀 모듈(218)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모뎀 모듈(218)은 70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화상 출력 스위치(318)와 키 입력 스위치(320)의 경로를 스위칭한다. 이에 따라 상기 702단계에서는, 가청음 출력 경로를 제외한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상기 키 입력 경로가 DMB 모듈(220)로 연결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통화를 하고 있는 도중일지라도, 표시부(206)로 출력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볼 수 있으며, 키를 입력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을 전환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서 상기 가청음 출력 경로는 여전히 모뎀 모듈(218)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오디오 출력은 출력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700단계에서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상기 키 입력 경로가 모뎀 모듈(218)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모뎀 모듈(218)은 7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화상 출력 스위치(318)와 키 입력 스위치(320)의 경로를 현재 DMB 모듈(220)과 연결된 상태에서 모뎀 모듈(220)과 연결된 상태로 스위칭한다. 이에 따라 상기 704단계에서는, 가청음 출력 경로와 화상 정보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가 모두 모뎀 모듈(218)로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만약 상기 출력 전환키가 1회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통화를 수행하면서도 표시부(206)에 출력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볼 수 있도록 표시부(206)의 출력이 전환되고, 다시 한번 상기 출력 전환키기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다시 통화의 수행에 따른 표시부(206)의 화면이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화를 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출력 전환키의 입력을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출력 상태에 따른 화면 및 키 입력 상태를 상기 통화 상태에 따른 화면 및 키 입력 상태로 토글 스위칭(Toggle Switching)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단지 사용자가 호 착신인 호 발신, 그리고 SMS 메시지 또는 MMS 메시지의 수신이나 발신에 대한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만약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 상기한 기능을 제외한 모뎀 모듈의 기능, 예를 들어 주소록의 검색과 같은 기능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도 이러한 본 발명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지 DMB 모듈과 모뎀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송 데이터를 수신, 처리 및 출력할 수 있는 DVB 모듈이 구비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모듈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모듈이 구비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해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화상 정보의 출력을 위한 화상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을 위한 가청음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를, DMB 모듈과 연결되는 경로 또는 모뎀 모듈과 연결되는 경로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모뎀 모듈이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화상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가 상기 DMB 모듈에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만약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 사용자가 모뎀 모듈을 사용하기를 원할 경우, 상기 경로들의 스위칭 만을 통해 상기 화상 정보와 가청음의 출력 경로 및 키 입력 경로만을 모뎀 모듈에 연결함으로써,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수신을 종료하지 않고서도, 사용자가 모뎀 모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에 사용자가 모뎀 모듈의 기능을 사용한다고 할지라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의 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22)

  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기 위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모듈과 이동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뎀(Modem)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DMB 모듈과 상기 모뎀 모듈이 개별적으로 동작 가능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에 있어서,
    화상 정보의 출력을 위한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을 위한 가청음 출력 경로, 및 사용자의 키 입력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 경로를 상기 DMB 모듈과 상기 모뎀 모듈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DMB-모뎀 스위치부와,
    상기 사용자의 동작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DMB-모뎀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동작 모드에 따른 모듈에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상기 가청음 출력 경로 및 상기 키 입력 경로가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DMB-모뎀 스위치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MB-모뎀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모뎀 모듈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MB-모뎀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모드일 경우,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가 상기 DMB 모듈에 연결되도록 상기 DMB-모뎀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MB-모뎀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이동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모드일 경우,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가 상기 모뎀 모듈에 연결되도록 상기 DMB-모뎀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모드는,
    호 착신 신호 또는 호 발신에 따른 통화를 처리하는 Call 동작 모드, 수신된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확인하거나 상기 SMS 메시지를 작성 및 발신 하는 SMS 메시지 동작 모드, 및 수신된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를 확인하거나 상기 MMS 메시지를 작성 및 발신하는 MMS 메시지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MB 모듈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호 발신 또는 SMS 메시지 또는 MMS 메시지의 작성 및 발신을 위한 발신키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발신키 입력 감지부와,
    상기 발신키 입력을 알리는 발신키 입력 감지 신호를 상기 모뎀 모듈로 입력하기 위한 모뎀 모듈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MB-모뎀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발신키 입력 감지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가 상기 모뎀 모듈에 연결되도록 상기 DMB-모뎀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MB-모뎀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모뎀 모듈이, 호 착신 신호 또는 SMS 메시지 또는 MMS 메시지의 수신을 감지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가 상기 모뎀 모듈에 연결되도록 상기 DMB-모뎀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MB-모뎀 스위치부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증폭부에 연결되는 가청음 출력 경로를 상기 모뎀 모듈과 상기 DMB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모듈에 연결되도록 하는 가청음 스위치부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연결되는 화상 정보 출력 경로를 상기 모뎀 모듈과 상기 DMB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모듈에 연결되도록 하는 화상 출력 스위치부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에 연결되는 키 입력 경로를 상기 모뎀 모듈과 상기 DMB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모듈에 연결되도록 하는 키 입력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는,
    상기 모뎀 모듈이, 호 발신 또는 호 착신에 따른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화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상기 키 입력 경로를, 현재 연결되어 있는 모듈과는 다른 모듈로 연결하기 위한 출력 전환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MB-모뎀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출력 전환키의 입력이 감지될 경우 상기 화상 출력 스위치부와 상기 키 입력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상기 키 입력 경로가 상기 DMB 모듈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12.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기 위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모듈과 이동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뎀(Modem)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DMB 모듈과 상기 모뎀 모듈이 개별적으로 동작 가능하며, 상기 모뎀 모듈에 의해 화상 정보의 출력 경로와, 가청음의 출력 경로, 키 입력 경로가 상기 DMB 모듈과 상기 모뎀 모듈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스위칭 가능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통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뎀 모듈이,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선택 시,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상기 가청음 출력 경로, 그리고 키 입력 경로를 상기 DMB 모듈에 연결하는 DMB 모듈 연결 단계와,
    상기 DMB 모듈이, 상기 가청음 출력 경로와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를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키 입력 경로를 통해 사용자의 키 입력을 입력받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계와,
    상기 모뎀 모듈이, 호 착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 경로 및 키 입력 경로를 상기 모뎀 모듈로 연결하는 모뎀 모듈 연결 단계와,
    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호 착신 신호에 따른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화 처리 단계와,
    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통화 처리 단계 종료 후,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 경로 및 키 입력 경로를 상기 DMB 모듈로 다시 연결하는 DMB 모듈 재연결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모듈 연결 단계는,
    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호 착신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체크하는 수신 체크 단계와,
    상기 수신된 호 착신 신호에 따른 통화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확인하는 통화 여부 승인 단계와,
    상기 통화 여부 승인 결과, 상기 사용자가 통화를 승인한 경우,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 경로 및 키 입력 경로를 모뎀 모듈로 연결하는 연결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는,
    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호 착신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상기 키 입력 경로를, 현재 연결되어 있는 모듈과는 다른 모듈로 연결하기 위한 출력 전환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처리 단계는,
    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수신된 호 착신 신호에 따른 수신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신 통화 처리 단계와,
    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수신 통화가 종료되었는지를 체크하는 통화 처리 종료 체크 단계와,
    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수신 통화가 종료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출력 전환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는 출력 전환키 입력 체크 단계와,
    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상기 키 입력 경로를, 현재 연결되어 있는 모듈과는 다른 모듈로 연결하는 경로 출력 전환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 방법.
  16.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기 위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모듈과 이동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뎀(Modem)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DMB 모듈과 상기 모뎀 모듈이 개별적으로 동작 가능하며, 상기 모뎀 모듈에 의해 화상 정보의 출력 경로와, 가청음의 출력 경로, 키 입력 경로가 상기 DMB 모듈과 상기 모뎀 모듈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스위칭 가능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수신 단말기의 통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뎀 모듈이,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수신 모드 선택 시,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상기 가청음 출력 경로, 그리고 상기 키 입력 경로를 상기 DMB 모듈에 연결하는 DMB 모듈 연결 단계와,
    상기 DMB 모듈이, 상기 가청음 출력 경로와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를 통 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키 입력 경로를 통해 사용자의 키 입력을 입력받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계와,
    상기 모뎀 모듈이,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경우,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 경로 및 키 입력 경로를 상기 모뎀 모듈로 연결하는 모뎀 모듈 연결 단계와,
    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 처리 단계와,
    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메시지 처리 단계 종료 후,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 경로 및 키 입력 경로를 상기 DMB 모듈로 다시 연결하는 DMB 모듈 재연결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SMS(Short Messaging Service) 메시지 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모듈 연결 단계는,
    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를 체크하는 수신 체크 단계와,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할지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체크하는 메시지 확인 여부 승인 단계와,
    상기 메시지 확인 여부 승인 결과, 상기 사용자가 메시지 확인을 승인한 경우,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 경로 및 키 입력 경로를 모뎀 모듈로 연결하는 연결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 방법.
  19.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기 위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모듈과 이동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뎀(Modem)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DMB 모듈과 상기 모뎀 모듈이 개별적으로 동작 가능하며, 상기 모뎀 모듈에 의해 화상 정보의 출력 경로와, 가청음의 출력 경로, 키 입력 경로가 상기 DMB 모듈과 상기 모뎀 모듈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스위칭 가능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통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뎀 모듈이,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수신 모드 선택 시,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상기 가청음 출력 경로, 그리고 상기 키 입력 경로를 상기 DMB 모듈에 연결하는 DMB 모듈 연결 단계와,
    상기 DMB 모듈이, 상기 가청음 출력 경로와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를 통 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키 입력 경로를 통해 사용자의 키 입력을 입력받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계와,
    상기 DMB 모듈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호 발신 또는 메시지의 작성 및 발신을 위한 발신키의 입력을 감지하고 이를 상기 모뎀 모듈에 알리는 발신키 입력 감지 단계와,
    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발신키의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발신키 동작 수행 단계와
    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발신키 동작 수행 종료 후,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가청음 출력 경로 및 키 입력 경로를 상기 DMB 모듈로 다시 연결하는 DMB 모듈 재연결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키 동작은,
    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호를 발신하는 호 발신 동작, SMS(Short Messaging Service) 메시지 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의 작성 및 발신하는 메시지 발신 동작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는,
    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호 발신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상기 키 입력 경로를, 현재 연결되어 있는 모듈과는 다른 모듈로 연결하기 위한 출력 전환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키 동작 수행 단계는,
    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호 발신 동작의 수행에 따른 발신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발신 통화 처리 단계와,
    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발신 통화가 종료되었는지를 체크하는 통화 처리 종료 체크 단계와,
    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발신 통화가 종료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출력 전환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는 출력 전환키 입력 체크 단계와,
    상기 모뎀 모듈이, 상기 출력 전환키가 입력된 경우, 상기 화상 정보 출력 경로와 상기 키 입력 경로를, 상기 경로들이 현재 연결되어 있는 모듈과는 다른 모듈로 연결하는 경로 출력 전환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통화 방법.
KR1020050041353A 2005-05-17 2005-05-17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동시통화 방법 KR100557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353A KR100557185B1 (ko) 2005-05-17 2005-05-17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동시통화 방법
EP07022221A EP1895751A1 (en) 2005-05-17 2006-04-27 DMB terminal for enabling simultaneous DMB viewing and phone call and method therefor
EP06008800A EP1725004A1 (en) 2005-05-17 2006-04-27 DMB terminal for enabling simultaneous DMB viewing and phone call and method therefor
US11/415,751 US9490925B2 (en) 2005-05-17 2006-05-02 DMB terminal for enabling simultaneous DMB viewing and phone call and method therefor
CN2006100785271A CN1866844B (zh) 2005-05-17 2006-05-08 使dmb观看和电话呼叫能同时进行的dmb终端及方法
CNA2007101674285A CN101179761A (zh) 2005-05-17 2006-05-08 使dmb观看和电话呼叫能同时进行的dmb终端及方法
JP2006130426A JP2006325205A (ja) 2005-05-17 2006-05-09 Dmb視聴機能と共に通話機能を遂行するdmb受信端末機及び同時通話方法
US15/346,369 US20170054841A1 (en) 2005-05-17 2016-11-08 Dmb terminal for enabling simultaneous dmb viewing and phone call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353A KR100557185B1 (ko) 2005-05-17 2005-05-17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동시통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7185B1 true KR100557185B1 (ko) 2006-03-03

Family

ID=36603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353A KR100557185B1 (ko) 2005-05-17 2005-05-17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동시통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490925B2 (ko)
EP (2) EP1725004A1 (ko)
JP (1) JP2006325205A (ko)
KR (1) KR100557185B1 (ko)
CN (2) CN186684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859B1 (ko) 2006-03-21 2012-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용 단말기 및 그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출력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447B1 (ko) * 2005-10-24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채널 정보 표시 방법
KR100757231B1 (ko) * 2006-06-08 2007-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Dmb 휴대단말기에 있어 복수의 채널 동시 다중화면시청 방법 및 장치
KR100862307B1 (ko) * 2006-12-29 2008-10-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디엠비 및 브이에스비 튜너 모듈
CA2714710C (en) * 2010-09-03 2016-05-10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incorporating short message service (sms) and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 contacts into an instant messaging interface
CN106921995B (zh) * 2017-05-09 2019-10-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马达状态控制方法、存储介质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5723A (ja) * 1994-10-27 1996-05-17 Toshiba Corp 着信音の出力方法、電源供給方法及び携帯電話機
KR100547841B1 (ko) * 1998-12-26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텔레비전 휴대폰의 동작 모드 전환 제어 방법
US20030097659A1 (en) * 2001-11-16 2003-05-22 Goldman Phillip Y. Interrupting the output of media content in response to an event
WO2003081878A1 (fr) 2002-03-27 2003-10-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ppareil de communication et procede de communication
KR100921303B1 (ko) * 2002-04-05 2009-10-09 파나소닉 주식회사 콘텐츠 수신 및 음성 통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 장치
JP4368125B2 (ja) 2002-04-05 2009-11-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受信および音声通話が可能な通信端末装置
JP2004062369A (ja) 2002-07-26 2004-02-26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ルチタスク携帯端末及び携帯通信端末
KR100754647B1 (ko) 2002-09-17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텔레비전 영상신호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678204B1 (ko) * 2002-09-17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모드에 따른 영상 및 데이터 표시장치 및 방법
JP2004187269A (ja) * 2002-11-20 2004-07-02 Sanyo Electric Co Ltd 携帯機器
JP3688678B2 (ja) * 2002-11-29 2005-08-31 株式会社東芝 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携帯情報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TWI241821B (en) * 2003-04-15 2005-10-11 Mobitek Comm Corp Mobile phone architecture for acquiring or viewing image and simultaneously functioning for calling services and design method thereof
US7146185B2 (en) 2003-06-12 2006-12-05 Richard Lane Mobile station-centric method for managing bandwidth and QoS in error-prone system
KR100526554B1 (ko) 2003-07-21 2005-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단말에서 음성통화시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JP4622223B2 (ja) 2003-09-30 2011-02-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電話機
KR101014719B1 (ko) 2004-01-09 201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타임 시프트 방법
JP4277207B2 (ja) * 2004-04-06 2009-06-10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型tv電話の送受信方法および携帯型tv電話端末
KR100539884B1 (ko) * 2004-06-19 200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데이터 출력 중 수신된 문자메시지를처리하는 이동통신단말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859B1 (ko) 2006-03-21 2012-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용 단말기 및 그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출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25205A (ja) 2006-11-30
EP1725004A1 (en) 2006-11-22
US20060233373A1 (en) 2006-10-19
CN101179761A (zh) 2008-05-14
CN1866844A (zh) 2006-11-22
EP1895751A1 (en) 2008-03-05
US9490925B2 (en) 2016-11-08
CN1866844B (zh) 2011-08-31
US20170054841A1 (en)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54841A1 (en) Dmb terminal for enabling simultaneous dmb viewing and phone call and method therefor
US20080002668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JP2006325216A5 (ko)
JP2006325205A5 (ko)
KR100724860B1 (ko)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동작 모드 전환 방법
US200702874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riting message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51607B1 (ko) 화상 통화 중에 캡쳐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화상 통화목록을 구성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03355B1 (ko) 휴대단말기에서 호 수신 방법
KR20090098027A (ko) 통화요청신호에 대해 메뉴를 통한 다양한 대응방법을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3008049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송신방법
KR1007157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목록 관리방법
KR20000020178A (ko) 이동단말기의 통화곤란시 메시지 전송방법 및 그 장치
KR101199860B1 (ko) 가로모드에서 한뼘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KR100338640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내용편집 및 전송방법
KR100795749B1 (ko) 휴대 단말기의 화상통화 실행 방법
KR100663468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이메일 주소 입력방법
KR101370178B1 (ko) 푸시 투 토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입력설정방법
KR10106380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KR10067819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매너모드에서 상황을 알리는 방법
KR101394278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능 수행 방법
KR100879685B1 (ko) 멀티미디어 처리 장치의 메시지 처리 방법
JP2002190766A (ja) 携帯無線電話装置
KR100518175B1 (ko) 음성메시지 선택 송수신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시스템및 그 제어방법
KR10066342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 및 수신방법
JP2005354320A (ja) 通信処理装置、通信処理システム及び通信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