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5188B1 - 방사 기계의 섬유속 집속 장치 - Google Patents

방사 기계의 섬유속 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5188B1
KR100555188B1 KR1020030061508A KR20030061508A KR100555188B1 KR 100555188 B1 KR100555188 B1 KR 100555188B1 KR 1020030061508 A KR1020030061508 A KR 1020030061508A KR 20030061508 A KR20030061508 A KR 20030061508A KR 100555188 B1 KR100555188 B1 KR 100555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bundle
suction
spinning machine
apro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3525A (ko
Inventor
가와이야스유끼
나까노쯔또무
사노아끼또시
이시이다까히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040023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5/00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 Threading of roving into drafting machine
    • D01H5/18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without fallers or like pinned bars
    • D01H5/26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without fallers or like pinned bars in which fibres are controlled by one or more endless apr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섬유속 집속 장치(30)에는, 드래프팅 장치의 최종 송출 롤러쌍의 하류측에 설치된 송출부(31), 및 송출부(31)의 닙 지점에 대하여 섬유속 이동 방향의 상류측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흡인 구멍(32a)이 설치된 미끄러짐 표면을 갖는 흡인관(32)이 설치되어 있다. 흡인관(32)의 반대측에는, 그 사이에 송출부(31)를 형성하기 위한 바닥 닙 롤러(35a)를 갖는 랩핑 부재(33)가 제공되어 있다. 흡인관(32), 랩핑 부재(33), 및 바닥 닙 롤러(35a) 주위에는 통기 에이프런(34)이 감싸여 있다. 플리즈 각을 증가시키기 위해 흡인관(32)으로부터 분리된 구성요소로서 랩핑 부재(33)가 제공된다. 흡인관(32)은 연결관(48)을 통해 덕트에 연결되고, 흡인 장치는 덕트에 연결된다.

Description

방사 기계의 섬유속 집속 장치{FIBER BUNDLE COLLECTING DEVICE OF A SPINN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섬유속 집속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측면도.
도 2a는 섬유속 이동 방향에 대해 정면으로부터 도시된 섬유속 집속 장치의 부분 개략도.
도 2b는 회전축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4a는 랩핑 부재가 있는 경우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4b는 랩핑 부재가 없는 경우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5a는 랩핑 부재가 있는 경우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5b는 랩핑 부재가 없는 경우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다모성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7은 종래 구조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8은 또 다른 종래 구조의 개략적인 측면도.
* 도면 부호의 설명 *
11 : 드래프팅 장치 12, 13, 14 : 바닥 롤러 15 : 롤러 스탠드
19, 20, 21 : 상부 롤러 30 : 섬유속 집속 장치 31 : 송출부
31a : 상부 닙 롤러 35a : 바닥 닙 롤러 32 : 흡인관
33 : 랩핑 부재 34 : 에이프런 35 : 회전축 44 : 덕트
본 발명은 방사 기계의 섬유속 집속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예를 들어 정방기(spinning frame)의 드래프팅 장치(드래프팅부)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드래프팅 장치에 의해 드래프트된 섬유속을 집속하도록 형성된 방사 기계의 섬유속 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프팅 장치를 형성하는 한쌍의 최종 롤러(61)의 하류측에는 다공성 에이프런(62; perforated apron)이 설치된 한쌍의 송출 롤러(63)가 제공되어 있고, 이 다공성 에이프런(62)에는 다공성 에이프런(62)의 송출 표면에 흡인 기류를 작용하기 위한 공기 흡인 장치(64)가 설치되는 종류의 섬유속 집속 장치가 일본특허 제 7-238425 A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섬유속 집속 장치에 있어서, 다공성 에이프런(62)을 안내하기 위한 에이프런 케이지(65)에 형성된 흡인 홈 구멍(suction groove hole)을 통해 흡인 기류가 다공성 에이프런(62)의 송출 표면에 작용한다.
유사하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한쌍의 최종 롤러(71)의 하류측에는 섬유속 운반 표면을 형성하는 다공성 에이프런(72)이 설치 된 한쌍의 송출 롤러(73)가 제공되어 있고, 이 다공성 에이프런(72)에는 다공성 에이프런(72)의 송출 표면에 흡인 기류를 작용하기 위한 공기 흡인 장치(74)가 설치되는 종류의 섬유속 집속 장치가 독일특허 제 19708410 A1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다공성 에이프런(72)을 안내하기 위한 에이프런 가이드(75)에 형성된 홈 구멍을 통해 흡인 기류가 다공성 에이프런(72)의 송출 표면에 작용한다. 또한, 안내 부재(76)에 의해 다공성 에이프런(72)에 장력이 가해지고, 그 상태에서 다공성 에이프런은 회전한다.
또한, 드래프팅 장치의 최종 롤러의 하류 바닥측에는 흡인 슬릿을 갖는 정지 미끄러짐 표면(stationary sliding surface)을 형성하는 중공 프로파일(hollow profile)(가이드 원통)이 제공되고, 운송용 다공성 벨트가 중공 프로파일 주위로 감싸여 있는 섬유속 집속 장치가 일본특허 제 11-286837 A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상부측에는, 닙핑 지점을 정의하기 위해 다공성 벨트와 접촉하여 유지된 닙핑 롤러(nipping roller)가 제공되어 있다. 상술한 닙핑 롤러는 운송 벨트를 통해 상술한 최종 롤러에 의해 구동된다. 닙핑 롤러가 운송 벨트를 통해 구동되는 대신에, 최종 롤러에 접촉하는 운송 롤러를 통해 구동이 발생하는 구조가 또한 개시되어 있다.
섬유속 집속 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방사 기계를 사용하여 방사함으로써 실이 생산되는 경우와 비교하면, 방사를 통해 실을 생산하기 위한 이러한 섬유속 집속 장치가 설치된 방사 기계를 사용함으로써 보풀 발생 및 실 흠(thread speck)이 저감되어 이에 의해 U%가 증가한다. 그러나, 이러한 점에 있어서 추가적인 개선 이 요구된다.
보풀 발생의 억제에 있어서 플리즈 각(fleece angle)의 증가가 효과적이라는 것이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플리즈 각의 증가는 작동의 관점으로부터는 매우 불리한 실 파손 작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용어 "플리즈 각"은, 섬유속(플리즈)이 닙 지점을 통과한 후에 인출 위치로 안내되는 원호 표면(arcuate surface)의 곡률 중심과 닙 지점을 연결하는 선분과, 상기 곡률 중심과 섬유속(F) 인출 지점을 연결하는 선분에 의해 형성된 각도를 의미한다.
상술한 섬유속 집속 장치에 있어서, 플리즈 각을 증가시킴으로써 보풀 발생의 억제를 통해 실 품질의 개선을 달성하기 위해 어떠한 고려도 제공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은 일본특허 제 7-238425 A 호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출 롤러쌍(63)의 닙 지점의 하류측에 실질적으로 접하여 섬유속(F)이 인출되고, 플리즈 각을 증가시키는데 있어서 어떠한 고려도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독일특허 제 19708410 A1 호에는, 송출 롤러쌍(73)의 하류측에 실질적으로 접하여 섬유속(F)이 인출되고, 플리즈 각을 증가시키는데 있어서 어떠한 고려도 제공되지 않는다.
본 출원인은, 적극적으로 증가된 플리즈 각을 갖는 섬유속 집속 장치를 제조하였고, 종래의 섬유속 집속 장치가 설치된 방사 기계의 경우에 있어서 실 조건과 비교하여 고속의 비디오 카메라로 방사 기계에 의해 방사시킴으로써 생산된 실을 방사하기 위해 방사 기계에 섬유속 집속 장치를 설치하였다. 그 결과, 플리즈 각이 증가된 경우에, 실(섬유속)은 에이프런을 따라 송출 롤러쌍의 닙 지점의 하류 측상에서 구르는 동시에 왕복운동하는 반면에, 플리즈 각이 작은 종래 구조에 있어서 실은 미끄러지게 왕복운동한다. 또한, 방사에 의해 얻어진 실의 다모성(hairiness) 및 U%에 따라 양쪽의 경우에 있어서의 측정이 실시되었다. 측정 결과는 2가지의 경우에 있어서 U%는 동일했던 반면에, 다모성에 관해서는 적극적으로 증가된 플리즈 각을 갖는 구조가 명확하게 우수했던 것으로 증명되었다. 이러한 지식에 기초하여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조에 의해 종래 기술에서 보다 보풀의 발생이 더 억제되어 실 품질의 개선이 달성될 수 있는 방사 기계의 섬유속 집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사 기계의 섬유속 집속 장치는 방사 기계의 드래프팅부에 의해 드래프트된 섬유속을 집속하기 위한 섬유속 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섬유속 집속 장치는: 드래프팅부의 최종 송출 롤러쌍의 하류측에 제공되어 닙 롤러가 설치된 송출부; 송출부의 닙 지점에 대하여 섬유속 이동 방향의 상류측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흡인 구멍이 설치된 미끄러짐 표면을 갖는 흡인부; 및 송출부를 형성하고 또한 미끄러짐 표면과 접촉하는 상태로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통기 에이프런으로서, 섬유속 이동 방향의 하류측에는 상기 통기 에이프런이 주위에 감싸여 있는 랩핑 부재(wrapping member)가 제공되며 이에 의해 플리즈 각의 증가가 달성되는 통기 에이프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드래프팅부에서 드래프트된 섬유속은 드래프팅부의 최종 송출 롤러쌍의 하류측에 제공된 섬유속 집속 장치에 의해 집속되어 집속된 상태로 이동하므로, 섬유속 집속 장치가 없는 방사 기계의 경우와 비교하면, 보풀 및 찌꺼기 면사(waste cotton)의 발생이 억제되어 이에 의해 실 품질의 개선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흡인부의 하류측에 개별적으로 제공된 랩핑 부재로 인해, 플리즈 각은 증가하고, 이에 의해 보풀 발생 억제 효과가 강화되어 추가적인 보풀 발생이 억제되고, 이에 의해 실 품질의 개선이 달성된다. 닙 지점을 통과한 후에, 섬유속은 꼬임 작용을 받는 상태로 하류측쪽으로 이동한다. 섬유속이 흡인 구멍의 흡인 작용에 의해 닙 지점으로부터 인출되어 집속되기 때문에, 랩핑 작용으로 인해 꼬임이 닙 지점의 부근에 도달하여 실 강도를 증가시키기가 더 쉬우므로, 플리즈 각이 증가한다 하더라도, 실 파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드래프팅 장치 및 섬유속 집속 장치의 일측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부분 측면도이다. 도 2a는 닙핑 지점의 섬유 인출 방향에서 바라본(드래프팅 장치의 섬유속 이동 방향에 대해 정면측으로부터 바라본) 섬유속 집속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프팅부로서의 드래프팅 장치(11)는 전방 바닥 롤러(12), 중간 바닥 롤러(13), 및 후방 바닥 롤러(14)를 구비한 3선식 구조를 갖는다. 전방 바닥 롤러(12)는 방사 기계 베이스 프레임을 형성하는 롤러 스탠드(15)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서 지지되고, 중간 바닥 롤러(13) 및 후방 바닥 롤러(14)는 세로 방향으로의 위치 조정을 허용하도록 롤러 스탠드(15)에 고정된 지지 브래킷(13a, 14a)을 통해 지지된다. 지지 브래킷(13a, 14a)은 롤러 스탠드(15)내에 형성된 기다란 구멍을 통과한 볼트 및 너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소정의 위치로 고정된다. 바닥 에이프런(16)은 바닥 텐서(17) 및 중간 바닥 롤러(13) 주위를 감싸고 있다.
전방 상부 롤러(19), 중간 상부 롤러(20), 및 후방 상부 롤러(21)는 상부 롤러 지지 부재를 통해 중량 암(18)에 의해 전방 바닥 롤러(12), 중간 바닥 롤러(13), 및 후방 바닥 롤러(14)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지지된다. 각각의 상부 롤러(19, 20, 21)는 2방추 유닛에 지지된다. 전방 바닥 롤러(12) 및 전방 상부 롤러(19)는 드래프팅 장치의 최종 송출 롤러 쌍을 구성한다.
중량 암(18)상에는, 가압 위치와 해제 위치로 회전가능한 레버(18a)가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 암(18)의 프레임(18b)에 인접하는 가압 위치로 레버(18a)가 배치되는 상태에 있어서, 중량 암(18)에 의해 지지된 상부 롤러(19, 20, 21)가 바닥 롤러(12, 13, 14)쪽으로 가압되는 가압 위치(방사 위치)에 위치되는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도 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상부의 해제 위치로 레버(18a)가 회전된 상태에서는, 잠금 상태가 취소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프팅 장치(11)의 최종 송출 롤러 쌍의 하류측에는 섬유속 집속 장치(30)가 배치되어 있다. 섬유속 집속 장치(30)에는 송출부(31), 흡인부로서의 흡인관(32), 랩핑 부재(33), 및 통기 에이프런(34)이 설치되어 있다. 송출부(31)는 전방 바닥 롤러(12)에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축(35)상에 형성된 바닥 닙 롤러(35a), 및 통기 에이프런(34)을 통해 바닥 닙 롤러(35a)에 대항하여 가압된 상부 닙 롤러(31a)로 구성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섬유속 집속 장치(30)에 있어서, 상부 닙 롤러(31a)는 드래프팅 장치(11)의 상부 롤러(19, 20, 21)와 마찬가지로 지지 부재(36)(도 1 및 도 3에 도시됨)를 통해 중량 암(18)에 의해 2개의 방추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 부재(36)가 전방 상부 롤러(19)의 지지 부재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는 점에 유념한다.
한편, 섬유속 집속 장치(30)의 바닥측에는, 드래프팅 장치(11)의 서로 인접하는 롤러 스탠드(15) 사이에 배치된 방추의 반,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방추가 하나의 유닛을 구성한다. 방사 기계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롤러 스탠드(15)의 중간 위치에는, 방사 기계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 빔(37)에 의해 베이스 단부가 지지되고 또한 롤러 스탠드(15)와 지지암(38)(도 2a에만 도시되어 있고 방사 기계 베이스 프레임을 형성함) 사이에 회전축(35)이 지지되는 상태로 지지암(38)이 배치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방추(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방추)에 대응하는 소정의 길이로 회전축(35)이 형성되어 있고, 베어링(39)은 양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39)는 단부 플러그(40)에 끼워지고, 또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플러그(40)는 롤러 스탠드(15) 및 지지암(38)상에 설치된 지지부(15a, 38a)에 의해 결합부(40a)에서 지지되고, 이에 의해 회전축(35)이 롤러 스탠드(15)와 지지암(38)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부(15a, 38a) 는 인접 회전축(35)의 단부에 설치된 2개의 단부 플러그(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5a)는 롤러 스탠드(15)에 고정된 블럭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방사 기계 베이스의 전방측에 상향 경사져서 연장하는 결합홈을 갖는다. 지지부(38a)는 또한 장치 베이스의 전방측에 상향 경사져서 연장하는 결합홈을 갖는다. 그리고 나서, 단부 플러그(40)는 결합홈과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40a)를 갖고, 또한 이 단부 플러그(40)는 결합부(40a)의 지지부(15a, 38a)에 대해 한번의 운동으로 끼워맞춤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35)의 길이방향 중심에는 회전축(35)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기어(41)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바닥 롤러(12)는 기어(41)의 맞은편에서 기어부(12a)를 갖는다. 또한, 기어부(12a) 및 기어(41)와 맞물린 중간 기어(43)는 지지암(4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이 지지암(42)의 베이스 단부는 지지암(38)과 마찬가지로 지지빔(37)에 고정된다. 즉, 전방 바닥 롤러(12)의 토크는 기어부(12a), 중간 기어(43), 및 기어(41)에 의해 회전축(35)에 전달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방기의 방사 기계 베이스에는, 섬유속 집속 장치(30)용 흡인원(부압원)으로서 작용하는 덕트(44)가 길이 방향(도 1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수의 덕트(44)는 방사 기계의 기계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각각의 덕트(44)내의 부압을 유지하기 위한 흡인 장치(45)는 관(46)을 통해 각각의 덕트(44)에 연결되어 있다. 흡인 장치(45)는 모터(47)에 의해 팬(47a)이 구동되는 팬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44)는 드래프팅 장치(11)의 상부 후방측 및 방적기의 장치 베이스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고, 흡인 장치(45)는 덕트(44) 밑에 배치되어 있다. 흡인관(32)은 덕트(44)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상태로 연결관(48)을 통해 덕트(44)에 연결되어 있다.
흡인관(32) 및 랩핑 부재(33)는, 회전축(35)을 지지하는 단부 플러그(40) 쌍과 흡인관 및 랩핑 부재의 단부가 끼워맞춤 결합되는 상태로 또한 지지되어 있다. 흡인관(32)은, 섬유속(플리즈)(F)이 바닥 닙 롤러(35a)의 닙 지점에 대해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상류측쪽으로 연장하는 슬릿형 흡인 구멍(32a)이 형성되어 있는 미끄러짐 표면(32b)을 갖는다. 랩핑 부재(33)는 통기 에이프런(34)을 미끄러지게 안내하기 위한 미끄러짐 표면(33a)을 갖는다. 또한,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속(F)의 이동 방향에 대해 바닥 닙 롤러(35a)의 닙 지점의 상류측에는 흡인관(32)이 배치되어 있고, 하류측에는 랩핑 부재(33)가 배치되어 있다.
흡인관(32)은, 전방 바닥 롤러(12)와 전방 상부 롤러(19)의 닙 지점에 인접하도록 통기 에이프런(34)을 안내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랩핑 부재(33)는, 상기 닙 지점과, 섬유속(F)이 상기 닙 지점의 하류측상에서 통기 에이프런(34)을 떠나는 위치와의 거리(L)가 5 mm 이상, 더 바람직하게 8 내지 10 mm 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랩핑 부재(33)는 바아 형상의 중실 부재로 이루어진다.
각 통기 에이프런(34)은 흡인관(32)과 부분적으로, 랩핑 부재(33)와 부분적으로, 또한 바닥 닙 롤러(35a)와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감싸이고, 또한 이러한 통 기 에이프런은 바닥 닙 롤러(35a)가 회전할 때 미끄러짐 표면(32a, 33a)상에서 구르는 상태로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통기 에이프런(34)은 적절한 통기성을 보장하는 직조 직물로 제조된다.
도 1, 도 2a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 파손시에 드래프팅 장치(11)로부터 인출된 섬유속(F)을 흡인하도록 형성된 단일형 공압 장치의 흡인 노즐(49)의 선단부는 랩핑 부재(33)의 밑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흡인 노즐(49)의 베이스 단부는 모든 방추 유닛에 의해 공유된 공압 덕트(50)에 연결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장치의 작동이 설명될 것이다.
정방기가 작동되면, 각 섬유속(F)은 바닥 롤러(12, 13, 14)와 상부 롤러(19, 20, 21)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드래프트되고, 그리고 나서 섬유속 집속 장치(30)로 안내된다. 송출부(31)의 상부 닙 롤러(31a)는 각각의 전방 바닥 롤러(12) 및 전방 상부 롤러(19)의 표면 속도보다 다소 빠르게 회전하고, 적절한 장력하에서 송출부(31)의 닙 지점을 통과한 후에, 섬유속(F)은 꼬임 작용을 받는 상태로 하류측쪽으로 이동한다.
또한, 덕트(44)의 흡인 작용은 연결관(48)을 통해 흡인관(32)에 작용하고, 미끄러짐 표면(32b)에 형성된 흡인 구멍(32a)의 흡인 작용은 통기 에이프런(34)을 통해 섬유속(F)에 작용한다. 또한, 섬유속(F)은 흡인 구멍(32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흡인 및 집속되는 상태로 이동한다. 따라서, 섬유속 집속 장치(30)가 없는 방사 기계의 경우와 비교하면, 보풀 및 찌꺼기 면사의 발생을 억제하여 이에 의해 실 품질의 개선을 달성할 수 있다.
흡인관(32)의 하류측에 흡인관(32)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설치된 랩핑 부재(33)가 존재함으로써, 도 4a에 도시된 플리즈 각(θ1)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랩핑 부재(33)가 없는 경우의 플리즈 각(θ2)보다 크다. 플리즈 각이 큰 상태에 있어서, 닙 지점을 통과한 후에 통기 에이프런(34)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섬유속(F)에 의해 덮인 거리는 비교적 길다. 따라서, 랩핑부로부터 섬유속(F)에 작용하는 꼬임 작용으로 인해, 섬유속이 회전하는 동시에, 섬유속(F)의 둘레로부터 비산되는 섬유(f)는 통기 에이프런(34)과 접촉하므로, 섬유(f)가 섬유속(F)으로 쉽게 꼬이고, 이에 의해 보풀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랩핑 부재(33)가 존재하는 구조에 있어서, 섬유속(F)은 에이프런상에서 구르는 상태로 왕복운동을 한다. 그 결과, 섬유속(F)의 둘레로부터 비산되는 섬유(f)는 섬유속(F)으로 쉽게 꼬인다.
대조적으로, 플리즈 각이 작은 상태에 있어서, 닙 지점을 통과한 후에 통기 에이프런(34)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섬유속(F)에 의해 덮인 거리는 비교적 짧다. 따라서, 랩핑부로부터 섬유속(F)에 작용되는 꼬임 작용으로 인해, 섬유속이 회전하기가 다소 어렵고 섬유속(F)의 둘레로부터 비산되는 섬유(f)가 통기 에이프런(34)과 접촉하고, 섬유가 섬유속(F)으로 꼬이지 않으므로, 보풀이 발생되기 쉽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랩핑 부재(33)가 없고 통기 에이프런(34)이 바닥 닙 롤러(35a) 및 흡인관(32) 주위로 감싸여 있는 구조에 있어서, 섬유속(F)은 에이프런상에서 구르지 않고 미끄러지게 왕복운동한다. 그 결과, 섬유속(F)의 둘레로부터 비산되는 섬유(f)는 섬유속(F)으로 쉽게 꼬이지 않는 다.
방사에 의한 40수 실의 생산은, 다모성 및 U%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랩핑 부재(33)가 있는 섬유속 집속 장치(30)를 구비한 방사 기계 및 랩핑 부재(33)가 없는 섬유속 집속 장치(30)를 구비한 방사 기계를 사용함으로써 실시되었다. 측정 결과는, 랩핑 부재(33)가 있는 섬유속 집속 장치가 U%에 있어서 다소 더 만족스러웠지만 어떠한 우수성도 관찰되지 않았다는 것을 보였다. 대조적으로, 다모성에 있어서는, 랩핑 부재(33)가 있는 섬유속 집속 장치가 명백하게 더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도 6은 다모성에 관한 측정 결과를 도시한다. 용어 "다모성"은 실 1 cm 내에 존재하는 보풀의 길이의 전체 합계 [cm] 를 의미한다. 이러한 다모성은 일반적으로 단위 없이 표시된다. 랩핑 부재(33)가 있었던 경우에 있어서 평균 다모성 값은 3.64 이었던 반면에, 랩핑 부재(33)가 없었던 경우에 있어서 평균 다모성 값은 3.96 이었다. 대체적으로, 0.1의 다모성 값의 차이는 우세한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 0.3 만큼의 다모성 값의 차이는 두드러진 보풀 발생 억제 효과를 명백하게 나타낸다. 섬유속 집속 장치(30)가 설치되지 않은 방사 기계에 의해 얻어진 실의 경우에 있어서, 다모성 값은 4.77 이었다.
플리즈 각의 증가가 실을 파손시킨다는 것이 종래적으로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섬유속 집속 장치(30)가 제공되는 경우에 있어서, 섬유속(F)은 흡인 구멍(32a)의 흡인 작용에 의해 집속되는 동시에 닙 지점으로부터 인출되므로, 랩핑 작용으로 인해 꼬임이 닙 지점의 부근까지 도달하여 이에 의해 실 강도가 증가하고, 양털각이 증가하는 경우라도 실 파손의 발생의 증가가 억제된다. 따라서, 실 파손으로 인한 생산성의 저하가 억제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이하의 장점을 갖는다:
a) 섬유속 집속 장치(30)에는, 송출부(31)의 닙 지점에 대하여 섬유속(F) 이동 방향의 상류측에 제공된 흡인관(32), 및 흡인관(32)의 미끄러짐 표면(32b)과 접촉하는 상태로 회전하는 통기 에이프런(3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흡인관(32) 보다 섬유속(F) 이동 방향의 하류측에는, 통기 에이프런(34)이 주위에 감싸여 있는 랩핑 부재(33)가 흡인관(32)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제공되어 있고, 이에 의해 플리즈 각이 증가한다. 따라서, 보풀 발생 억제 효과가 강화되고, 보풀 발생이 추가로 억제되고, 이에 의해 실 품질의 개선이 달성된다. 또한, 플리즈 각이 증가하는 경우라도, 섬유속(F)은 흡인 구멍(32a)의 흡인 작용에 의해 집속되는 상태로 닙 지점으로부터 인출되므로, 랩핑 작용으로 인한 꼬임이 닙 지점의 부근에 도달하고, 이에 의해 실 파손의 발생의 증가가 억제된다.
b) 랩핑 부재(33)는, 상기 닙 지점과, 섬유속이 닙 지점의 하류측에서 상기 통기 에이프런(34)을 떠나는 위치와의 거리가 5 mm 이상이 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섬유속(F)이 통기 에이프런(34)상에서 구르는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 섬유속(F)으로부터 비산되는 섬유(f)는 섬유속(F)으로 쉽게 꼬이고, 이에 의해 보풀 발생 억제 효과가 개선된다.
c) 통기 에이프런(34)이 주위에 감싸여 있는 흡인관(32) 및 랩핑 부재(33)의 각각은, 방사 기계 베이스 프레임상에 설치된 지지부(15a, 38a)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지지되는 피지지부(단부 플러그(40))에 적어도 그의 일단부가 끼워맞춤 결합되 는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거리가 5 mm 이상이 되도록 흡인관(32) 및 랩핑 부재(33)가 쉽게 배치된다.
d) 랩핑 부재(33)는 바아 형상의 중실 부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랩핑 부재(33)가 관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면, 부재의 생산은 용이하다. 또한, 설치, 분해 및 유지 작동시에 랩핑 부재(33)가 다른 부재와 충돌하는 경우라도, 이 랩핑 부재는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e) 상부 닙 롤러(31a)가 통기 에이프런(34)을 가압하는 힘은 바닥 닙 롤러(35a)에 의해 생성되고, 상부 닙 롤러(31a)의 가압력은 흡인관(32)에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 장치(일본특허 제 11-286837 A 호)의 경우와 비교하면, 흡인관(32)의 강성이 덜 필요하고, 수지로 제조되는 경우라도 충분한 강도가 확보될 수 있다.
f) 부압원으로서 작용하는 덕트(44)는 실 파손시에 드래프팅부로부터 인출된 플리즈를 흡인하기 위한 공압 장치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흡인관(32)의 흡인 압력은 적절한 압력으로 쉽게 조정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는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이하의 구조에 채택될 수도 있다.
닙 지점과, 섬유속(F)이 송출부(31)의 닙 지점의 하류측에서 통기 에이프런(34)을 떠나는 위치와의 거리(L)에 있어서, 거리(L)가 5 mm 이상인 한 보풀 발생 억제 효과가 만족스럽다. 거리(L)에 있어서 어떠한 특정한 상향 제한은 없다. 그러나, 거리를 너무 길게 형성하게 되면 보풀 발생 억제 효과에 큰 도움이 되지는 않고, 단지 기계 베이스의 크기가 증가할 뿐이다. 따라서, 거리의 범위는 바람직하게 8 내지 10 mm 이다.
섬유속 집속 장치(30)의 송출부의 구조는 닙 롤러 쌍이 설치된 집속 장치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기 에이프런(34)을 구동하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흡인관(32) 및 바닥 닙 롤러(35a)를 제거하고, 달걀형 단면의 흡인관을 설치하고, 흡인관의 소정의 위치로 흡인 구멍을 형성하며, 흡인관 및 랩핑 부재(33)의 외주 주위에 통기 에이프런(34)을 미끄럼가능하게 감싸는 것을 포함하는 구조도 채택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부 닙 롤러(31a)를 적극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통기 에이프런(34)은 통기 에이프런(34)과 가압 접촉을 유지하는 상태로 상부 닙 롤러(31a)를 구동시킴으로써 구동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랩핑 부재(33)에 통기 에이프런(34)의 장력 조정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흡인관(32), 랩핑 부재(33), 및 회전축(35)은 4개의 방추 유닛이 하나의 유닛을 구성하는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인접 롤러 스탠드(15) 사이의 방추 유닛(예를 들어, 8개 방추 유닛)이 하나의 유닛을 구성하는 구조 또는 2개의 방추 유닛이 하나의 유닛을 구성하는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유닛이 동일한 개수의 방추 유닛을 항상 가질 필요는 없고, 인접 롤러 스탠드(15) 사이의 방추의 개수를 상이한 개수로 분리하여(예를 들어, 6개와 2개), 상응하는 2종류의 유닛을 설치할 수 있다.
중실 부재로서 랩핑 부재(33)를 형성하는 대신에, 관형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중량의 저감이 달성된다.
흡인관(32)의 단부가 폐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단부 플러그(40)가 흡인관(32)의 단부를 밀폐식으로 밀봉할 필요는 없고, 베어링(39)이 결합되고 흡인관(32) 및 랩핑 부재(33)의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 구멍이 설치되는 것만이 필요하고, 이에 의해 생산이 용이해진다.
단부 플러그(40)와 끼워맞춤 결합하는 단부의 반대측상의 흡인관(32) 및 랩핑 부재(33)의 단부가 연결관(48)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 부재와 결합하는 구조를 또한 채택할 수 있다.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덕트(44)를 설치하는 대신에, 방사 기계의 기계 베이스의 전체 길이를 통해 연장하는 단일 덕트를 또한 설치할 수 있다.
덕트(44)의 위치는 드래프팅 장치(11)의 후방측 위쪽에 제한되지 않는다. 덕트는 또한 드래프팅 장치(11)의 후방측 또는 후방측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정방기의 좌우양측에 배치된 흡인관(32)에 의해 덕트(44)가 공유되는 배치 대신에, 방사 기계의 기계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각각 좌우양쪽으로 2열로 덕트가 배치되는 배치가 또한 채택될 수 있다.
흡인 장치의 구조는 팬(47a)이 모터(47)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감압 펌프(진공 펌프)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진공 펌프는 회전식 펌프 또는 왕복동식 펌프일 수 있다.
통기 에이프런(34)을 직조 직물로 형성하는 대신에, 통기 에이프런(34)을 편물 직물로 또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통기 에이프런(34)을 형성하는 벨트에 작은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도 적절한 수준의 통기성을 달성하여, 이에 의해 적은 비용으로 통기 에이프런(34)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편물 직물의 탄성으로 인해, 특별한 인장 장치를 제공할 필요없이 적절한 인장하에서 통기 에이프런(34)이 회전할 수 있다.
통기 에이프런(34)을 직조 직물 또는 편물 직물로 형성하는 대신에, 고무 또는 탄성 수지로 형성된 수지 벨트에 구멍을 뚫어 통기 에이프런(34)을 또한 형성할 수 있다.
바닥 닙 롤러(35a)가 형성된 회전축(35)이 모든 방추 유닛에 의해 공유되고, 또한 드래프팅 장치(11)의 바닥 롤러(12, 13, 14)의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회전축이 기계 베이스의 기어 단부에 설치된 기어열을 통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를 또한 채택할 수 있다.
흡인관(32) 및 공압 장치용으로 공통 부압원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공압 장치로서, 싱글 노즐식 공압 장치 대신에 플루트식 공압 장치를 또한 채택할 수 있다.
자세히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섬유속 집속 장치에 따르면,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단일 구조로 보풀 발생을 추가로 억제하여 실 품질의 개선을 달성할 수 있다.

Claims (6)

  1. 방사 기계의 드래프팅부에 의해 드래프트된 섬유속을 집속하기 위한 방사 기계의 섬유속 집속 장치로서, 드래프팅부의 최종 송출 롤러쌍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닙 롤러를 구비하는 송출부, 송출부의 닙 지점에 대하여 섬유속 이동 방향의 상류측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흡인 구멍이 설치된 미끄러짐 표면을 갖는 흡인부, 및 송출부를 형성하고 또한 미끄러짐 표면과 접촉하는 상태로 회전하는 통기 에이프런을 포함하는 방사 기계의 섬유속 집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인부보다 상기 섬유속 이동 방향의 하류측에는, 상기 통기 에이프런이 주위에 감싸여 있는 랩핑 부재가 제공되며, 이에 의해 플리즈 각을 증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기계의 섬유속 집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 부재는 상기 흡인부와는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기계의 섬유속 집속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 부재는, 상기 닙 지점과, 상기 섬유속이 상기 닙 지점의 하류측에서 상기 통기 에이프런을 떠나는 위치와의 거리가 5 mm 이상 및 10mm 이하가 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기계의 섬유속 집속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 부재는, 상기 닙 지점과, 상기 섬유속이 상기 닙 지점의 하류측에서 상기 통기 에이프런을 떠나는 위치와의 거리가 8 mm 이상 및 10 mm 이하가 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기계의 섬유속 집속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에이프런이 감싸여 있는 상기 흡인부 및 랩핑 부재의 각각은, 방사 기계 베이스 프레임상에 제공된 지지부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지지되는 피지지부에 적어도 그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상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기계의 섬유속 집속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 부재는 바아 형상의 중실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기계의 섬유속 집속 장치.
KR1020030061508A 2002-09-10 2003-09-03 방사 기계의 섬유속 집속 장치 KR100555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64336 2002-09-10
JP2002264336A JP3826864B2 (ja) 2002-09-10 2002-09-10 紡機における繊維束集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525A KR20040023525A (ko) 2004-03-18
KR100555188B1 true KR100555188B1 (ko) 2006-03-03

Family

ID=32263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508A KR100555188B1 (ko) 2002-09-10 2003-09-03 방사 기계의 섬유속 집속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826864B2 (ko)
KR (1) KR100555188B1 (ko)
CN (1) CN1488791A (ko)
TW (1) TWI2438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9227B2 (ja) * 2004-05-28 2008-11-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紡機における繊維束集束装置
CN100348792C (zh) * 2004-08-02 2007-11-14 刘志祥 细纱机紧密纺牵伸装置
JP4844336B2 (ja) * 2006-10-11 2011-12-2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紡機における繊維束集束装置
CN103201419A (zh) * 2010-11-10 2013-07-10 马佐里有限公司 纺纱机中的纺织条的聚集装置
DE102018006100A1 (de) * 2018-08-03 2020-02-06 Saurer Spinning Solutions Gmbh & Co. Kg Streckwerkeinheit und Streckwerk für eine Spinnmaschine
JP7468394B2 (ja) * 2021-02-17 2024-04-1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紡機の繊維束集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525A (ko) 2004-03-18
JP2004100094A (ja) 2004-04-02
TW200413585A (en) 2004-08-01
TWI243865B (en) 2005-11-21
JP3826864B2 (ja) 2006-09-27
CN1488791A (zh) 2004-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9880B1 (ko) 방사기에서의 섬유다발 집속장치
JP3820951B2 (ja) 紡機における繊維束集束装置
KR100555188B1 (ko) 방사 기계의 섬유속 집속 장치
JP6207369B2 (ja) 空気紡績装置
KR100507421B1 (ko) 방사기의 섬유속 집속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링 방사 프레임
US633625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densing a drafted fiber strand
US6298523B1 (en) Apparatus for condensing a fiber strand and a method of making yarn using same
JP4613210B2 (ja) 繊維バンドリング装置のための吸引チャネル
CN111465728B (zh) 用于纺纱机的具有集聚机构的牵伸装置
EP2921577B1 (en) Draft device and spinning machine
EP2151514A1 (en) Fiber bundle collecting device for spinning machine
US6052872A (en) Apparatus for condensing a drafted fiber strand
CN1453404A (zh) 在一台纺纱机上集聚一根纤维条的装置
CN112760765B (zh) 用于纺纱机牵伸装置的凝棉装置和凝棉装置的牵伸装置
JP3587905B2 (ja) リング紡績法及びリング紡績機
KR20070029097A (ko)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EP2865795A1 (en) Drafting device and spinning machine
CN209468544U (zh) 一种五罗拉牵伸***及环锭细纱机
JP2005023430A (ja) 繊維束集束装置
CN205874615U (zh) 空气纺织装置以及盖部件
JP2002309452A (ja) 複数の紡糸ステーションを持つ紡糸機
JP2020524756A (ja) 紡績機械用の集束装置
JP2005082956A (ja) 繊維ストランドを集束するための紡糸機の装置
EP1520919A2 (en) Draft device comprising rollers preventing the bundle of fibres from being spread during drafting
JP2012087419A (ja) 紡機における繊維束集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