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049B1 -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 생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 생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049B1
KR100554049B1 KR1020030002111A KR20030002111A KR100554049B1 KR 100554049 B1 KR100554049 B1 KR 100554049B1 KR 1020030002111 A KR1020030002111 A KR 1020030002111A KR 20030002111 A KR20030002111 A KR 20030002111A KR 100554049 B1 KR100554049 B1 KR 100554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sential oil
composition
acetylcholine
present
enzy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4485A (ko
Inventor
김형민
Original Assignee
(주) 김형민한약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김형민한약연구소 filed Critical (주) 김형민한약연구소
Priority to KR1020030002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4049B1/ko
Publication of KR20040064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4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03D1/35Flushing valves having buoyanc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2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flo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박하, 계피, 백두구, 천궁, 곽향 및 석창포의 정유(essential oil) 또는 수추출물을 함유하는,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acetylcholin -esterase) 저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조성물은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을 비롯한 노인성 치매, 중증 근무력증, 위장관 및 방광평활근의 무력증, 또는 녹내장과 같은 체내 아세틸콜린의 농도 감소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질환을 독성이나 부작용 없이 예방하거나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며, 기억력 증진, 정신집중 등에도 탁월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 생약 조성물{Acetylcholinesterase inhibiting herbal composi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유 혼합물의 향기가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의 활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유 혼합물의 향기 흡입에 의한 기억력 증진효과를 Y-미로 시험에 의해 측정한 결과(평균값±표준편차(n=10))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유 혼합물의 향기 흡입에 의한 기억력 증진효과를 수동회피 시험에 의해 측정한 결과(평균값±표준편차(n=10))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박하, 계피, 백두구, 천궁, 곽향 및 석창포의 정유(essential oil) 또는 수추출물을 함유하는,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acetylcholin -esterase; 이하 'AChE'라고도 지칭함) 저해 생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는 체내 부교감 신경의 활성을 매개하는 신경전달물질들(neurotransmitters)중의 하나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을 콜린과 아세테이 트로 가수분해하는 효소로서, 소포체 막에서 형성되어 세포막으로 이동하여 그 기능을 수행한다. 이 효소는 콜린 신경과 그 주위, 특히 근신경 접합부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고, 혈장, 간 및 다른 조직에서도 발견되는 중요한 효소이다.
일반적으로 아세틸콜린은 신경 세포의 축색 말단 막에서 시냅틱 크레프트(synaptic cleft)라고 불리는 틈으로 분비되어 시냅스후 뉴우런 세포막의 수용체에 결합함으로써 활동 전위를 전달시키는 물질이다. 이 물질은 작용 부위에서 신경의 흥분을 전달한 후, 효소 AChE에 의해 콜린과 아세테이트로 분해된 후 세포내로 흡수되어 재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발한 연구 결과, 많은 신체적, 정신적 질환들이 아세틸콜린의 합성과 분해 기작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아세틸콜린의 농도 감소와 깊은 관련이 있음이 밝혀졌다. 아세틸콜린 관련 질환으로서 대표적인, 노인성 치매인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의 경우, 환자의 뇌에는 전뇌 기저에 있는 마이네르트핵(basal nucleus of Meynert) 신경 세포가 대부분 사멸하여 이 신경 세포가 지배하는 시냅스와 대뇌 피질과의 연결이 퇴화되어 있고, 이들 신경 세포의 사멸로 인해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생산량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뇌에서의 아세틸콜린 농도를 높게 유지시키면 환자의 기억력이 크게 회복된다는 연구 결과에 따라, 현재 임상 분야에서는 알츠하이머병의 치료제로서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가역적으로 억제하여 아세틸콜린의 농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항-콜린에스터라제(anti-AChE)의 사용이 선호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알츠하이 머병의 치료제로는 타크린(tacrine)이나 아리셉트(ARICEPT)와 같은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저해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의 경우 어느 정도 약효는 인정되고 있으나, 장기간 고용량 투여시, 근육통, 위장 장애로 인한 메스꺼움, 구토, 설사 및 식욕 부진과 함께, 간 독성 등의 부작용이 커서 치료를 중단해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콜린 신경계와 관련한 또다른 병리학적 연구에 따르면, 위장 운동은 신경 자극에 의해 조절되는데, 아세틸콜린이 이러한 위장 운동을 항진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수술 후 장폐색증으로 인한 복부팽창 또는 방광 배뇨근의 무력증으로 인한 배뇨 곤란 등을 치료하기 위하여, 항콜린에스터라제의 일종인 네오스티그민(neostigmine)이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중증 근무력증(myasthenia gravis)은 근육 막에 있는 아세틸콜린 수용체가 자가면역 질환으로 인해 파괴되어, 신경 말단 부위에서 분비되는 아세틸콜린이 근육 막에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신경 근육 질환으로, 이 역시 약물 치료의 일환으로 메스티논(mestinon)이나 네오스티그민과 같은 아세틸콜린 분해 저해제를 사용하고 있다. 중증 근무력증의 약물 치료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메스티논 역시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의 작용을 억제하여 체내 아세틸콜린의 농도를 증가시켜 아세틸콜린이 근육 수용체에 오랫동안 머물게 하자는 의도에서 개발된 치료제로서, 복용시 단시간내에 효과가 나타나는 장점이 있으나, 복용 용량에 따라 복통이나 설사를 호소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또한 메스티논을 비롯하여 현재까지 개발된 중증 근무력증 치료용 AChE 저해제들은 니코틴형과 무스카린형 아 세틸콜린 수용체에 대한 선택적인 분별력이 부족하여 약물 투여시 환자들에게서 무스카린 수용체의 흥분으로 인한 독성이나 부작용이 초래되고, 흡수율이 매우 낮으며, 치료 효과가 부분적으로 나타날 수 있어 치료 범위가 좁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 밖에도, 안압 상승으로 인한 시신경 손상으로 시력 장애를 초래하는 안질환인 녹내장의 경우에도, AChE 저해제들이 방수의 재흡수를 촉진시킴으로써 안압을 효과적으로 낮추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AChE 저해제들은 녹내장 치료 목적으로 6 개월 이상 사용시 백내장이 발생할 위험이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아세틸콜린의 수치 감소에 따라 발생하는 여러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하여, 콜린 등의 아세틸콜린 전구체를 투여하여 아세틸콜린의 합성을 촉진시키는 대체 방안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들 물질은 뇌혈관 관문을 통과하지 못하고 효력이 단시간에 끝나는 단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현재는 상기한 바와 같이 타크린과 같은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제를 사용하여 아세틸콜린의 가수분해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 요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현재 개발되어 시판중인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저해제들은 독성으로 인한 간 장애, 복통이나 설사 등의 위장 장애, 근육통이 유발되는 등의 부작용이 따르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저해제들에 비해 독성이나 부작용이 감소된 새로운 물질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를 지속한 결과, 방향성 한약재인 박하, 계피, 백두구, 천궁, 곽향 및 석창포의 정유 또는 수추출물이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억제활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체내 아세틸콜린의 농도 감소와 관련한 각종 질환을 독성이나 부작용 없이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생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체내 아세틸콜린의 농도 감소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질환, 예를 들어 알츠하이머병을 비롯한 노인성 치매, 중증 근무력증, 위장관 및 방광평활근의 무력증, 및 녹내장을 독성이나 부작용 없이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방향제 또는 약학적 제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상기 질환을 예방하거나 기억력 증진, 정신집중 등의 목적으로 섭취할 수 있는 식품 또는 식품 첨가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첫째,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박하, 계피, 백두구, 천궁, 곽향 및 석창포의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정유 또는 그들 각각으로부터 추출한 정유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치매, 중증 근무력증, 위장관 및 방광평활근의 무력증 및 녹내장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체내 아세틸콜린 농도 감소와 관련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거나, 기억력 증진 또는 정신집중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둘째,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박하, 계피, 백두구, 천궁, 곽향 및 석창 포의 혼합물의 수추출물을 함유하는, 치매, 중증 근무력증, 위장관 및 방광평활근의 무력증 및 녹내장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체내 아세틸콜린 농도 감소와 관련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거나, 기억력 증진 또는 정신집중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1 유효성분인 박하는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박하(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 MAK.)의 지상부 전초이다. 박하는 l-멘톨 등의 정유 및 배당체 등을 주요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2 유효성분인 계피는 녹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인 계피나무(Cinnamomum cassia BLUME)의 수피를 그대로 또는 주피를 다소 제거한 겉껍질이다. 신나믹 알데히드(cinnamic aldehyde) 등의 정유 및 디터페노이드(diterpenoids) 등을 주요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3 유효성분인 백두구는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상록초본인 백두구(Amomum cardamomum L.)의 과실중 과피를 제거한 것이다. d-캠포(d-camphor), d-보르네올(d-borneol) 등의 정유를 주요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4 유효성분인 천궁은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또는 일천궁(Angelica genuflexa NUTT)의 근경이다. 천궁은 정유와 프탈라이드(phthalides)가 주요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5 유효성분인 곽향은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곽향(Agastache rugosa FISCH. et MEY.) 또는 광곽향(Pogostemon cablin Bent.)의 지상부 전초이다. 파코울릭 알콜(pachoulic alcohol),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등의 정유 및 터펜(terpenes) 등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6 유효성분인 석창포는 천남성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석창포(Acorus gramineus SOLAND)의 근경이다. 주요성분으로 아사론(asaron) 등의 정유를 함유한다.
본 조성물의 유효성분은 바람직하게는 박하, 계피, 백두구, 천궁, 곽향 및 석창포가 각각 1∼10 : 1∼10 : 1∼10 : 0.1∼1 : 0.1∼1 : 0.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의 수추출물이나, 상기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정유, 또는 그들 각각으로부터 추출된 정유가 1∼10 : 1∼10 : 1∼10 : 0.1∼1 : 0.1∼1 : 0.1∼1의 부피비로 함유된 혼합물이다.
상기 언급한 생약들의 조성비는 반복된 실험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것이며 그 하한치보다 낮을 경우에는 그 성분의 약리효과가 감소하며 그 상한치보다 높을 경우에는 타성분의 약리효과가 감소될 수 있어 조성물의 상승작용 및 협동작용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박하 2∼20 g, 계피 2∼20 g, 백두구 2∼20 g, 천궁 0.2∼2 g, 곽향 0.2∼2 g 및 석창포 0.2∼2 g의 혼합물로부터 통상적인 정유 추출법에 따라 정유 혼합물을 제조한다.
본 조성물의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억제활성은 배양된 PC12 세포주로부터 추출된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를 이용하여, 문헌[Chung YK 등, Mol Cells 2001; 11: 137]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배양된 PC12 세포주에 1 M NaCl, 50 mM MgCl2 및 1% 트리톤 X-100이 함유된 10 mM 트리스-HCl(pH 7.2)을 충분량 가하고 균질화(homogenation)한 후, 원심분리하여 세포주로부터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를 추출하여 효소로 사용하고, 기질로서 0.5 mM 아세틸티오콜린과 1 mM 5,5'-디티오-비스(2-니트로 벤조산)을 사용하여, 본 조성물의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효소활성 저해실험을 수행하였다. 효소에 기질액을 가한 반응액을 30 분간 배양한 후, 405 ㎚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효소 활성 저해도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조성물은 각각 0.001 ㎎/㎖, 0.01 ㎎/㎖ 및 0.1 ㎎/㎖에서 농도-의존적으로 효소 활성을 저해하였으며, 각각의 저해도는 77.4±3.8%, 59.9±3.5% 및 33.3±0.6%로 이들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치이다.
상기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현재 항콜린에스터라제 물질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타크린에 비해 떨어지지 않는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억제활성을 가짐과 동시에, 타크린이나 아리셉트와 같은 종래의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제와는 달리 인체 또는 동물에게 투여시 체내 부작용이나 급성 독성 등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는 안전한 것으로, 제품화할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문제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약학적 제제의 형태로 제조하는 경우, 유효성분을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적인 담체와 함께 배합하여 투여 목적에 따라, 정제, 경질 또는 연질 캅셀제, 츄잉정, 분말제, 액제나 현탁제와 같은 경구 투여용 제제 또는 주 사가능한 액제나 현탁제, 비강세척제 등과 같은 비경구 투여용 제제의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경구 투여의 목적으로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을 정제, 캅셀제, 츄잉정, 분말제, 액제, 현탁제 등의 제제로 제형화하는 경우에는, 아라비아 고무, 옥수수 전분,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인산이칼슘 또는 락토오즈와 같은 부형제, 알긴산, 옥수수 전분 또는 감자 전분과 같은 붕해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과 같은 윤활제, 슈크로오즈 또는 사카린과 같은 감미제 및 페퍼민트, 메틸 살리실산염 또는 과일향과 같은 향미제가 포함될 수 있다. 단위 투여형이 캅셀제인 경우에는 상기 성분외에도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지방유와 같은 액상 담체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를 위한 용액 또는 현탁액 형태의 주사제는 비경구적으로, 예를 들면 피하, 정맥내, 근육내 또는 복강내로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사가능한 용액 또는 현탁액은 물, 염수, 수성 덱스트로스 및 관련된 설탕 용액제, 비휘발성 오일, 에탄올, 글리세린,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글리콜류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액상 담체중에 유효량의 활성 화합물을 균질하게 혼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항세균제, 킬레이트제, 완충제, 보존제와 같은 보조제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약제학적으로 순수하고, 실질적으로 무독성이며, 활성성분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는 임의의 모든 보조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한 약학적 제제외에도, 기존의 청량 음료, 미네랄 워터, 알코올 음료 등의 음료 제품 또는 츄잉껌이나 캐러멜 제품, 캔디류, 빙과류, 과자류 등에 적당량 배합하거나, 비타민이나 미네랄 등을 포함한 건강 보조 식품, 또는 식품 첨가제 등에 포함시켜 식품 또는 식품 보조제의 형태로 제조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식품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섭취하는 경우 기억력을 향상시키고, 치매 방지 등 상기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통상 1 일 0.1∼100 ㎎/㎏ 투여될 수 있지만, 이는 적의 증감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정유 혼합물의 제조
박하, 계피, 백두구, 천궁, 곽향 및 석창포로부터 통상의 스팀 증류에 의한 정유 추출법에 따라 각각의 정유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박하 정유 0.5 ㎖, 계피 정유 0.5 ㎖, 백두구 정유 0.5 ㎖, 천궁 정유 0.05 ㎖, 곽향 정유 0.05 ㎖ 및 석창포 정유 0.05 ㎖을 혼합하여 정유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혼합물의 정유 제조
실시예 1과 같은 스팀 증류에 의한 정유 추출법에 따라 박하 20 g, 계피 20 g, 백두구 20 g, 천궁 2 g, 곽향 2 g 및 석창포 2 g의 혼합물로부터 정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액제의 제조
끓는 물 약 600 ㎖에 박하 20 g, 계피 20 g, 백두구 20 g, 천궁 2 g, 곽향 2 g 및 석창포 2 g의 혼합물을 가하고 약 20 분간 달여 액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억제활성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정유 혼합물의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억제활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효소의 아세틸콜린 분해 억제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실험은 문헌[Chung YK 등, Mol. Cells 2001; 11: 137]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는 PC12 세포(한국 세포주 은행으로부터 입수) 배양물로부터 추출하여 사용하였으며, 효소 저해제 시료로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정유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먼저 PC12 세포주를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지에서 7 일 간 배양한 배양물에 1 M NaCl, 50 mM MgCl2 및 1% 트리톤 X-100이 함유되어 있는 10 mM 트리스-HCl(pH 7.2) 용액을 PC12 세포의 5 배량으로 첨가하였다. 이를 균질하게 호모제네이션(homogenation)한 후, 10,000 g에서 30 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층 액을 분리하여 효소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정유 혼합물을 100% 에탄올에 녹인 다음 이를 증류수로 희석하여 10% 에탄올(1% 정유)로 만든 후 각각 0.001 ㎎/㎖, 0.01 ㎎/㎖ 및 0.1 ㎎/㎖의 최종 농도가 되도록 세포에 처리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50 mM 인산염 완충액(pH 8.0) 30 ㎕, 시료로서 상기 농도의 정유 용액 10 ㎕ 및 효소 AChE 10 ㎕를 첨가하였다. 여기에 효소에 대한 기질 용액으로서 0.5 mM 아세틸티오콜린(acetylthiocholine)과 1 mM 5,5'-디티오-비스(2-니트로벤조산)[5,5'-dithio-bis(2-nitrobenzoic acid)]이 함유된 50 mM 인산염 완충액(pH 8.0)을 50 ㎕씩 투입하여 총 100 ㎕의 반응액을 시료 농도별로 제조하였다. 그 후 이 반응액을 37 ℃의 인큐베이터에서 30 분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엘라이자 리더(ELIZA reader)로 405 ㎚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SR 값, 즉 효소 저해제를 첨가한 시료 반응 후 측정한 흡광도 수치를 얻었다. 상기 시료 반응에 대한 대조군으로서, 효소 대신 완충액을 넣어 배양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SC 값을 얻었다. 그 후, 효소 저해제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의 효소 반응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시료 대신 완충액을 넣어 흡광도 ER 값을 구하고, 이에 대한 대조군으로서 시료와 효소 대신 완충액을 넣은 후 흡광도 EC 값을 구하였다.
상기와 같이 측정한 흡광도 수치 SR, SC, ER 및 EC 값으로부터 아래 수학식을 이용하여 효소 활성 저해도를 계산하였다:
효소 활성 저해도(%)={1-[(SR-SC)/(ER-EC)]}×100
상기 식에서,
SR은 효소 저해제를 첨가한 시료 반응 시 측정한 흡광도 수치이고,
SC는 상기 시료 반응의 대조군으로 효소 대신 완충액을 사용한 흡광도 수치이며,
ER은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효소 반응 시 측정한 흡광도 수치이고,
EC는 상기 효소 반응의 대조군으로 효소 대신 완충액을 사용한 흡광도 수치를 나타낸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정유 혼합물의 효소 활성 억제도는 각각 0.001 ㎎/㎖, 0.01 ㎎/㎖ 및 0.1 ㎎/㎖에서 농도-의존적으로 각각 77.4±3.8%, 59.9±3.5% 및 33.3±0.6%로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타크린과 같은 종래의 AChE 저해제가 독성으로 인한 간 장애, 복통이나 설사 등의 위장 장애, 근육통 등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을 나타내는 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물질에서 추출되어 생체 안전성이 뛰어나고 독성이 거의 없는 생리활성 물질임을 고려해볼 때,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억제활성은 매우 의미 있는 수치라 할 수 있다.
실험예 2: 기억력 증진효과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정유 혼합물의 향기가 생체 내에서 기억증진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기억감퇴를 유발한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정 유 혼합물의 향기를 맡은 후의 기억증진 효과를 Y-미로 시험(Y-maze test)과 수동 회피 시험(passive avoidance test)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1) Y-미로 시험을 이용한 기억력 증진효과 측정
마미야(Mamiya)와 우카이(Ukai) 등의 방법[Br. J. Pharmacol. 134(8): 1597-9(2001)]에 따라 Y-미로 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즉, 대조군, 스코폴아민(scopolamine) 투여군, 및 스코폴아민과 실시예 1의 정유 혼합물 향기 처치군의 생쥐를 Y 모양의 미로 측정 장치의 중앙에 놓고 각 팔에 방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은 스코폴아민(1 ㎎/㎏)을 복강내 주사하고 30 분후에 미로 측정 장치의 중앙에 놓고, 10 분 동안 들어간 전체 팔의 회수와 순서대로 방문한 회수를 측정하여 순서대로 방문한 회수를 전체 횟수에서 2를 뺀 값으로 나눈 백분율을 기억력(%)으로 측정하였다. 기억력 수치가 높을수록 장소에 대한 학습 및 기억능력이 향상된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대조군의 기억력이 65.9±4.7%인데 반해 스코폴아민 투여로 인한 기억손상 유발군은 45.4±4.3%로 크게 저하된 기억력을 보였고, 여기에 실시예 1의 정유 혼합물의 향기와 스코폴아민을 함께 투여한 군에서는 54.2±2.9%로 스코폴아민 투여로 인해 저하된 기억력을 본 발명에 따른 정유 혼합물의 향기가 회복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2) 수동회피 시험을 이용한 기억력 증진효과 측정
수동 회피 시험을 이용한 기억력 증진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가운데 칸막이가 있고 좌우 밝고 어두운 방으로 나뉘어져 있는 셔틀 상자를 이용하였다. 대조 군, 스코폴아민 투여군, 및 스코폴아민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정유 혼합물의 향기 처치군의 생쥐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은 스코폴아민(1 ㎎/㎏)을 복강내 주사한 후 30 분 후에 바닥에 전기 그릿이 부착된 셔틀 상자(shuttle box with electric grid floor: 19 L × 9 W ×10.875 H, Columbus Instruments, Model PACS-30, USA)의 칸막이 방(A)에 넣고 1500 Lux의 조명을 켜면서 칸막이 문(connectic guillotine door: 3 H ×2.625 W)을 열어 주었다.
이때, 생쥐는 방안을 여기 저기 살피다가 조명이 있는 칸막이 방(B)으로 옮겨가게 되는데, 이와 동시에 자동적으로 칸막이 문이 닫히도록 하였다. 생쥐가 칸막이 방(B)으로 옮겨가면, 불이 꺼진 상태에서 1 mA의 전류가 5 초간 통하게 하여 랫트에게 발바닥 쇼크(foot shock)를 주었다. 그러면, 생쥐는 어두운 방과 발바닥 쇼크와의 관계를 기억하게 되며, 24 시간 후 칸막이 방(A)에 넣어주고 불을 비추어도 칸막이 방(B)으로 옮겨가는 것을 망설이게 된다. 이 때의 망설임 시간 (latency)을 스코폴아민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 스코폴아민(1 ㎎/㎏)을 투여한 군, 및 본 발명의 정유 혼합물의 향기와 스코폴아민(1 ㎎/㎏)을 투여한 군에서 각각 비교하였으며, 이를 기억증진 효과(sec)로 측정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의 회피 시간(망설임 시간)은 최대 300 초 중 285.0±15.8 초로 기억력이 우수한데 반해, 스코폴아민 투여로 인한 기억손상 유발군은 206.5±6.8 초로 크게 저하된 기억력을 보였고, 여기에 본 발명의 정유 혼합물의 향기와 스코폴아민을 함께 투여한 군에서는 287.0±13.6 초로 스코폴아민 투여로 인해 저하된 기억력을 본 발명의 정유 혼합물 향기가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회복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정유 혼합물의 향기가 유의한 기억력 증진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유 혼합물의 향기를 효과적인 기억력 증진 및 치매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효과적인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제로서, 알츠하이머병을 비롯한 노인성 치매, 중증 근무력증, 위장관 및 방광평활근의 무력증, 및 녹내장과 같이 체내 아세틸콜린의 농도 감소에 따라 발생하는 각종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로부터 추출된 생리활성 물질로서 생체 안전성이 뛰어나므로, 종래의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제들이 갖는 독성으로 인한 간 장애, 복통이나 설사 등의 위장 장애, 근육통과 같은 부작용 없이 관련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안심하고 투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방향제 또는 각종 식품에 첨가하거나 식품 보조제로 사용함으로써, 신경 전달 체계의 작용 향상에 따른 기억력 증진 또는 정신집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유효성분으로서, 박하, 계피, 백두구, 천궁, 곽향 및 석창포를 각각 1∼10 : 1∼10 : 1∼10 : 0.1∼1 : 0.1∼1 : 0.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정유(essential oil) 또는 박하, 계피, 백두구, 천궁, 곽향 및 석창포 각각으로부터 추출한 정유를 1∼10 : 1∼10 : 1∼10 : 0.1∼1 : 0.1∼1 : 0.1∼1의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함유하는, 치매, 중증 근무력증, 위장관 및 방광평활근의 무력증 및 녹내장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체내 아세틸콜린 농도 감소와 관련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거나, 기억력 증진을 위한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노인성 치매 또는 알츠하이머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의약, 식품 또는 식품 첨가제로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방향제로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향기 요법(aroma therapy)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KR1020030002111A 2003-01-13 2003-01-13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 생약 조성물 KR100554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111A KR100554049B1 (ko) 2003-01-13 2003-01-13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 생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111A KR100554049B1 (ko) 2003-01-13 2003-01-13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 생약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485A KR20040064485A (ko) 2004-07-19
KR100554049B1 true KR100554049B1 (ko) 2006-02-22

Family

ID=37355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111A KR100554049B1 (ko) 2003-01-13 2003-01-13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 생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40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771B1 (ko) * 2013-01-15 2014-10-2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경세포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천연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4490A (ja) * 2003-11-21 2005-06-16 Kanazawa Inst Of Technology 痴呆高齢者向け行動改善用香料
KR101924711B1 (ko) * 2017-01-10 2018-12-03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갈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망증 치료,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506064B1 (ko) * 2020-08-04 2023-03-07 주식회사 이노한방 익모초 추출물 및 박하 추출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94107B1 (ko) * 2020-08-28 2023-10-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백출 및 배초향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로 개선 또는 운동수행능력 증진용 조성물
WO2022260211A1 (ko) * 2021-06-10 2022-12-15 코스맥스엔에스 주식회사 배초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근 기능 개선 또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이의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771B1 (ko) * 2013-01-15 2014-10-2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경세포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천연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485A (ko) 2004-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6182B1 (ko) 하이드록시신남산 유도체 또는 이를 포함하는 당귀추출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382564B1 (ko) 치매병 예방 및 치료용 생약조성물
US8604087B2 (en)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amyloid-related diseases comprising 4-O-methylhonokiol
CN110151823A (zh) 一种肉桂精油的应用
KR100540369B1 (ko) (-)에페갈로카테킨 갈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증 무력증, 위장관과 방광평활근 무력증 및 녹내장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제제와 기억력 촉진를 위한 약학적 제제
US11071765B2 (en) Herbal compositions comprising extracts of Bacopa monnieri and Terminada chebula
KR100554049B1 (ko)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 생약 조성물
US6426097B2 (en) Herbal supplement for cognitive related impairment due to estrogen loss
KR101916603B1 (ko)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신경 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378735B1 (ko) 원지로부터 유효성분의 추출·정제방법 및 그 추출물을함유한 치매치료용 생약 조성물
KR20060072642A (ko) 뇌기능 개선 효능을 갖는 생약 추출물
KR101426133B1 (ko) 백단향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09440B1 (ko) 쥐눈이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츠하이머씨병을 비롯한 노인성 치매, 중증 근무력증, 위장관 및 방광평활근의 무력증, 및 녹내장 질환 치료 또는 예방제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제제
KR101167628B1 (ko) 흑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기능 개선 조성물
KR100550358B1 (ko) 쥐눈이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츠하이머씨병을 비롯한 노인성 치매, 중증 근무력증, 위장관 및 방광평활근의 무력증, 및 녹내장 질환에 유효한 식품 및 사료
KR100932962B1 (ko) 4-o-메틸호노키올을 함유하는 아밀로이드 관련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기능성 식품조성물
KR102054129B1 (ko) 잇꽃씨 및 흰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10100548A (ko) 지실로부터 유효성분의 추출·정제방법 및 그 추출물을함유한 치매치료용 생약 조성물
KR20050023711A (ko) 치매치료 효과를 갖는 백두옹 추출물
KR101106376B1 (ko) 참가죽그물바탕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030044845A (ko)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저해제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제제, 식품 및 사료
CA2398747C (en) Herbal supplement containing galanthamine for treating symptoms of estrogen-deficiency
KR101194935B1 (ko) 신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230141647A (ko) 백작약 추출물 및 그의 지표성분을 포함하는 기억력 및 인지기능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50780A (ko) 까마귀쪽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