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5172B1 - 전기-음향변환기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기-음향변환기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172B1
KR100535172B1 KR10-2002-0061001A KR20020061001A KR100535172B1 KR 100535172 B1 KR100535172 B1 KR 100535172B1 KR 20020061001 A KR20020061001 A KR 20020061001A KR 100535172 B1 KR100535172 B1 KR 100535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electro
magnets
drive coil
acoustic transdu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0887A (ko
Inventor
우스키사와코
사이키슈지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0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0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1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3Loudspeakers using a plurality of acoustic dr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10Telephone recei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Abstract

제 1 자석이 상부케이스에 마련되고, 제 2 자석은 하부케이스에 마련되고 이들 자석은 상호간에 마주 본다. 이들 자석은 반대방향으로 착자된다. 구동코일을 가지는 진동판이 이들 자석사이에 놓인다. 따라서, 각 자석으로부터 방사된 자속은 자속의 초기방출방향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자장에 있어서, 구동력에 비례하는 방사방향에서의 자속성분이 지배적이 되고, 진동방향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된다. 따라서, 재생음의 음압이 증가되고 구동력의 비대칭에 따른 2차 고조파 변형이 감소된다.

Description

전기-음향변환기 및 전자기기{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예컨대 휴대전화 또는 페이저에 탑재되어, 착신시에 경보음, 멜로디음 및 음성의 재생에 사용되는 전기-음향변환기와, 이 전기-음향변환기를 내장하는 휴대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TV, 퍼스널 컴퓨터 및 자동차 네비게이션등의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두께의 감소 및 저소비전력화가 진행되는 휴대전화, PDA 등을 비롯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그러한 전자기기에 탑재되는 전기-음향변환기도 함께 두께의 감소 및 고효율화가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두께의 감소 및 고효율을 실현하는 수단으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기-음향변환기가 개발되었다 [일본국 특개평 8(199 6)-140185 호 공보).
이러한 전자-음향변환기에 있어서는, 한 끝단이 개구한 원통형의 커버(1)와, 마찬가지로 한 끝단이 개구한 원통형의 프레임(2)을 접합함에 의해 케이싱(20)이 구성되어 있다. 소리의 방출을 위한 복수개의 작은 구멍(11)이 원형으로 마련되어 있다. 커버(1)의 내면에는, 커버(1)의 중심축상에 자석(3)이 고정되어 있다.
케이싱(20)의 내부에는, 자석(3)의 하면과 진동판(4)의 사이에 틈 G 을 형성하도록 원판형상의 진동판(4)이 배치되고, 진동판(4)의 외주부가 커버(1)와 프레임 (2)의 사이에 끼워지고 고정되어 있다. 진동판(4)의 하면에는, 구동 코일(5)을 자석(3)과 동축이 되도록 고정하고 있다. 구동 코일(5)에 전류를 흘리기 위한 전극 (6)이, 프레임(2)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다. 전극(6)의 끝단부에는 구동코일(5)부터의 리드선(도시생략)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기-음향변환기에서는, 자석(3)으로부터 방사되는 자속(磁束)이 자석 중앙부에서는 자석면에서 대략 수직으로 방사되어 구동코일(5)을 관통한다. 한편, 자속은 자석 주변부에서는 자석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넓어져, 비스듬히 구동코일 (5)을 관통한다. 이와 같은 자장에서 구동코일(5)에 전류가 흐르면, 구동코일(5)상에 진동판(4)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하고, 진동판(4)은 상하로 진동하여 소리가 발생한다. 이 전기-음향변환기의 경우, 자석으로부터 자속을 직접 방사함으로써 요크(yoke)나 센터 폴(center pole)이 필요없게 되기 때문에 두께의 감소가 실현되고, 구동코일(5)의 권취폭이 자유롭게 고려될 수 있으므로, 임피던스치의 제어가 가능하고, 그 결과 고임피던스에 의해 소비전력이 감소된다.
그러나, 구동코일(5)상에 생기는 구동력은, 구동코일(5)상을 흐르는 전류방향 및 진동판(4)의 진동방향에 수직인 자속에 비례한다. 종래의 전기-음향변환기에서는 진동방향에 수직한 자속보다는 평행한 자속의 쪽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충분한 구동력을 얻을 수 없고, 재생음압(音壓)이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자석으로부터 방사되는 자속은 거리에 비례하여 감소된다. 요컨대, 중간위치로부터 진동판이 위쪽 방향, 즉 자석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와 아래쪽 방향, 즉, 자석에 가까이 가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에 구동코일상에 발생하는 구동력은 다르다. 이러한 비대칭성이 구동력변형을 야기하여 재생음을 열화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부가적으로, 일반적인 전력형 전기-음향변환기의 경우에, 구동코일은 자석, 요크 및 센터폴로 구성되는 자기회로내의 틈내로 삽입된다. 따라서, 구동코일이 예를 들면 타원형이나 사각형과 같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지 않으면 원형이 자기 갭내에 삽입되는 경우와 비교할 때 구동코일의 진동시 틈과 용이하게 접촉하게 된다. 이는, 어떤 경우에는, 이상음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피하기 위하여 틈을 확장하게 되면 재생음의 음압에 감소가 있게 된다. 따라서, 전력형 전기-음향변환기가 타원형이나 사각형일때는 어스펙트비에 제한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구동코일에 발생하는 구동력이 증가되고 진동방향에 대하여 대칭이 됨으로써 재생음의 음압이 증가되고 따라서 소리가 낮은 왜로 재생될 수 있는 전기-음향변환기 및 그러한 전기-음향기를 사용한 전자기기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전기-음향변환기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을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호간에 대향하여 위치되며 진동판의 각 면을 마주 함으로써 진동판이 그들 사이에 놓이게 되며 진동판의 진동방향에 평행하게 상호간에 반대방향으로 착자(着磁)된 제 1 및 제 2의 자석 및, 상기 진동판상에 놓이는 구동코일을 포함하며, 구동코일은 제 1 및 제 2 의 자석의 외부둘레를 연결하는 선을 포함하도록 마련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전기-음향변환기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을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호간에 대향하여 위치되며 진동판의 각 면을 마주 함으로써 진동판이 그들 사이에 놓이게 되며 중심으로서 진동판을 중심을 관통하는 중심축을 가지는 방사방향으로 착자된 제 1 및 제 2의 자석 및, 상기 진동판상에 놓이는 구동코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이러한 전기-음향변환기중의 하나가 구비된 전자기기이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전기-음향변환기에 관해서, 도 2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전기-음향변환기의 단면도, 도 2B는 제 1 및 제 2의 자석의 평면도, 도 2C는 구동코일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전기-음향변환기기의 조립도이며, 도 4는 제 1 및 제 2의 자석에 의해서 생기는 자속 벡터도이다. 도 5는 반경방향으로의 틈 G 의 중심에 있는 중심축(107)과 자속밀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틈 의 중심으로부터 구동코일의 위치에서의 진동방향에서의 거리와 자속밀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전기-음향변환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01) 및 (102)는 제 1 및 제 2자석으로서, 도 2 및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03) 및 하부케이스 (104)에 고정된다. 상부케이스(103) 및 하부케이스(104)는 원통형부재이며 조립될 때 하우징을 구성한다. 부가적으로, 이들은 중심부에 구동코일(105)를 가져서, 진동판(106)이 자유롭게 진동하는 진동판(106)을 고정한다. 제 1 및 제 2자석(101), (102)은 원기둥형상의 예컨대 44 MGOe 의 에너지적을 가지는 네오디뮴(Neodymium)자석이다. 또한, 이들은 반대방향으로 착자된다. 한 경우에, 예컨대 제 1의 자석 (101)가 상향, 즉, 제 2의 자석으로부터 제 1의 자석에의 방향으로 착자되면, 제 2의 자석(102)은 하향, 즉, 제 1의 자석으로부터 제 2의 자석의 방향으로 착자된다.
제 1 및 제 2의 자석(101),(102)은 각각 상부케이스(103) 및 하부케이스 (104)에 고정되어 있어서, 각각의 중앙을 지나는 중심축(107)이 일치하게 된다. 상부케이스(103) 및 하부케이스(104)는 비자성체, 예를 들면 PC(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수지재료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03)와 하부케이스 (104)의 상부면 및 하부면내에 공기구멍(108)이 마련된다. 부가적으로, 구동코일 (105)은 제 1 및 제 2의 자석(101) 및 (102)과 동심축이 되도록 진동판(106)상에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구동코일(105)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진동판(106)에 부착된다. 그리고, 구동코일(105)이 제 1 및 제 2의 자석(101),(102)사이에서 진동방향으로 중앙에 위치한 것과 같이, 진동판(106)의 주변부가 상부케이스(103) 및 하부케이스(104)에 끼워지고,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구동코일(105)이 마련되는 위치에는 제 1 및 제 2 자석(101) 및 (102)의 외부둘레를 접속하는 라인이 있게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기-음향변환기에 관해서, 그 동작을 설명한다. 구동코일(105)에 교류전기신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 1 및 제2의 자석(101) 및 (102)에 의해서 도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자속이 발생한다. 제 1 및 제 2의 자석(101) 및 (102)은 역착자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부터 방사한 자속은 반발하게 되고, 그 결과 자속벡터는 방사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하게 구부러지고, 진동방향에 수직인 자속으로 구성되는 자장을 형성한다.
이러한 정자장에 있어서, 틈 G의 중앙, 즉, 중심축(107)으로부터의 반경방향에서의 거리와 자속밀도의 관계를 도 5의 곡선 A 로 나타내었다.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자석의 외부둘레는 자속밀도의 정점과 일치하여, 자속밀도는 자속밀도분포에 있어서 최대로 된다. 따라서, 구동코일(105)의 반경방향에서의 대략 중심은 가장 효과적인 방식으로의 구동력을 얻도록 제 1 및 제 2 자석 (101) 및 (102)의 바깥둘레를 연결하는 선상에 위치한다.
다음에 구동코일(105)에 교류전기신호가 입력된 경우, 구동코일(105)상을 흐르는 전류방향에 수직인 방향 및 진동판(106)의 진동방향에 수직인 자속에 비례하도록 구동력이 발생한다. 이 구동력에 의해 구동코일(105)에 접착되어 있는 진동판(1O4)이 진동하고, 그 진동은 소리로서 방사된다.
도 4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의 자석(101) 및 (102)로부터 방사되는 자속벡터는 구동코일(105)상을 흐르는 전류방향에 수직하고 또한 진동판 (106)의 진동방향에 수직인 자속이 지배적이다. 또한, 가장 자속밀도가 최대한으로 되도록 구동코일(105)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큰 구동력를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재생음압이 높아진다.
도 5는, 곡선 B 와 같이, 제 1 및 제 2의 자석을 합친 부피와 같은 부피 및 에너지적을 가지는 자석을 1개 사용한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의 반경방향의 자속밀도의 성분을 나타내었다. 본 도면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종래구성은 낮은 자속밀도는 가지는 반면, 본 실시예의 형태의 구성은, 종래의 구성보다도 약 2dB 높은 재생음압을 가진다.
도 6에, 구동코일의 위치에 있어서 틈 G 의 중심부로부터의 거리와 진동시의 자속밀도사이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갭중심으로 나타낸 점은 교류전기신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초기상태이다. 교류전기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진동판(106)이 초기 상태로부터 진동하기 시작하고, 도 6에서의 좌우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6에 곡선 C 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자석(101) 및 (102)이 존재하는 경우는, 갭중심을 기준으로 진폭에 대하여 대칭이다. 그렇지만, 자석이 1개인 종래 구조에서는 곡선 D 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진폭에 대하여 비대칭이다. 이 구동력의 비대칭성은 2차변형으로서 음질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즉, 제 1 및 제 2 자석(101) 및 (102)을 사용한 자기회로구조에 의해, 2차변형이 저감되어 고음질화가 기도되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l 및 제 2 자석(101) 및(102)으로서 네오디뮴자석을 사용하였지만 목표음압, 형상등에 맞추어서 페라이트, 사마륨코발트(samari um cobalt)등의 자석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부가적으로, 도 2 에서는 진동판(106)의 형상을 거의 편평하게 도시하였지만, 모서리부(110)는 최저 공진주파수 및 최대 진폭을 만족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모서리부(110)는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원형(110A), 타원(110B), 원추형(110C), 및 파형 모서리(110D)등을 포함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상부케이스(103) 및 하부케이스(104)로서 비자성체재료를 사용하였지만, 자성체재료를 사용하는 것으로도 제 1 및 제 2 자석의 하우징측에서 하우징측으로 자속이 새는 것을 경감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시예의 형태에서는 제 1 및 제 2 자석(101) 및 (102)을 원기둥형상으로 하였지만, 타원기둥, 직방체형상등 다른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그러한 경우에, 전기-음향변환기의 외형은 직방체 또는 타원기둥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진동판도 사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이 구조는 구동코일이 자기 틈에 삽입될 필요가 없으므로, 긴 어스펙트비를 가지는 긴 형상의 전기-음향변환기가 완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공기구멍(108)을 상부케이스(103) 및 하부케이스(104)의 상하면에 설치하였지만, 이들을 측면에 설치하여 재생음을 측면에서 방출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의 상하면 혹은 측벽에 적어도 1개의 소리구멍을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진동판으로부터 발생한 소리를 상기 소리구멍으로부터 방사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진동판과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빈방에서 생기는 음압의 증대에 의한 진동판의 최저 공진주파수의 상승을, 소리구멍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하우징의 길이 방향의 측벽에 소리구멍을 설치하여, 이 소리구멍으로부터 소리를 방사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부착에 필요한 폭이 상당히 좁게 되어 하우징의 폭을 대단히 좁은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음향변환기의 단면도이며, 도 9는 제 1 및 제 2 자석에 의하여 발생된 자속벡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 실시예의 전기-음향변환기는 다음과 이 구성되어 있다. 상부케이스(103) 및 하부케이스(104)는 제 1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이며, 일체로 하우징을 형성한다. 제 1 및 제 2자석(202),(203)은 각각 상부케이스(103) 및 하부케이스(104)에 고정된다. 제 1 자석(201) 및 (202)은 원통형이며 상부케이스(103) 및 하부케이스(104)에 부착됨으로써 각각의 중심은 중심축(203)에 일치된다. 부가적으로, 구동코일(204)은, 진동판(205)과 중심축(203)에 대하여 동심이 되도록 진동판(205)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진동판(205)의 둘레가 상부케이스(103) 및 하부케이스(104)의 사이에 오도록 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은 제 1 실시예의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진동판(205)은 평판의 형상이며 그의 외주부에는 모서리부(206)가 마련된다.
진동판(205)은 중심부에서만 평평한 형상을 가지며, 단면이 반원형인 모서리부(206)가 둘레부에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편평한 형상인 것에 비교해서 진폭을 크게 증가할 수 있다. 또한, 공기구멍(207)이 상부케이스(103) 및 하부케이스(104)의 측면에 설정된다. 이것으로 제 1 실시예의 형태와는 다른 방향에 전기-음향변환기가 전자기기에 부착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자석(201) 및 (202)의 착자방향에 관하여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의 착자방향이 함께 중심축(203)으로부터 자석바깥둘레로 향하여, 요컨대 반경방향으로 착자되어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그러한 착자를 방사상 착자라 한다.
도 9는 자속벡터를 도시한다. 제 1 및 제 2자석(201) 및 (202)은 방사상 착자됨으로써 각각의 외부둘레에 동일한 자극을 가진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자석 (201) 및 (202)은 상호 대향하여 놓여지고, 각 자석에 의하여 방출된 자속은 상호간에 반발하게 방출되며, 결과적으로 반경방향의 구성이 지배적인 자장이 자기 틈내에 형성된다. 그 자기 틈내에서 가장 자속밀도가 높게 되는 위치에 구동코일 (204)을 배치한다. 그 구동코일(204)에 교류전기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력이 발생하여, 진동판(205)이 진동하고, 소리가 방사되는 것은, 제 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다.
도 10 은 반경방향으로의 중심축(203)으로부터의 거리와 자속밀도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반경방향의 성분이 지배적인 거의 균일한 자장이 중심축(203)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둔 소정의 범위에 형성되기 때문에, 곡선 E 로 나타낸 바와 같은 넓은 평탄부가 존재한다. 따라서 구동코일(204)의 설치범위를 넓게 취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코일의 턴수, 길이 등이 크게 증가됨으로써 구동력을 크게 제고할 수 있다. 또한, 거의 균일한 자속밀도분포가 형성되기 때문에, 구동코일(204)의 위치에 있어서의 진동방향의 자속밀도의 변화도 적다. 여기에서 도 10 의 곡선 F 는 종래기술에 따른 그래프이다.
진동판의 양측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자석의 착자가 상술한 방식에서 기준으로서 진동판의 중심을 관통하는 중심축을 가지는 진동판의 진동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자석이 유효하게 이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구동코일의 설치범위가 넓게 취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코일 및 진동판의 형상이 자유롭게 설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판(206)의 외부둘레형상으로 반원형상을 형성하였지만, 모서리부(206)의 단면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최저공진주파수 및 최대진폭을 만족하도록, 파형, 타원형 또는 원추형상등을 포함하여도 좋다.
또, 본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제 1 및 제 2자석(201) 및 (202)이 각각 1개의 자석에 방사상 착자를 행하였으나, 자석을 몇 개로 분할, 착자하고, 다시 합체함으로써 방사상 착자를 실현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부케이스(103) 및 하부케이스(104)에 대하여 비자성체재료를 사용하였지만, 자성체재료를 사용하더라도 좋다. 자성체재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제 1 및 제 2자석으로부터 하우징측으로 누설되는 자속을 경감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제 1 및 제 2자석(201) 및 (202)을 원기둥형상으로 하였지만, 전기-음향변환기의 외형형상에 응해서 타원기둥, 직방체형상등 다른 형상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공기구멍(207)을 상부케이스(103) 및 하부케이스(104)의 측면에 설치하였지만, 상하면에 설치하더라도 좋다.
(제 3 실시예)
도 11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음향변환기의 단면도이며, 도 12 는 각각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전기-음향변환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요크(303) 및 (304)은 제 1 및 제 2자석 (301) 및 (302)의 둘레에 마련된다. 제 1 및 제 2 요크(303) 및 (304)는 철과 같은 자성재료로 만들어져 있다. 또한, 제 1 요크 및 제 2 요크(303) 및 (304) 프레임형상의 상부케이스(305) 및 하부케이스(306)는 303는 하우징을 형성한다. 부가적으로, 구동코일(307)을 가지는 진동판(308)이 하우징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진동판이 자유진동한다. 원호형상의 모서리부(309)가 진동판(308)의 외부둘레부에 마련된다. 제 1 및 제 2 자석 (301) 및 (302)은 원통형상이며 예를 들어 44 MGOe 의 에너지적을 가지는 네오디뮴자석으로 만들어진다. 또한, 착자방향은 상호간에 반대방향이어서, 예를 들어 제 1 자석(301)이 상향, 즉 제 2 자석으로부터 제 1 자석방향으로 착자된 경우에는, 제 2 자석(302)은 하향, 즉 제 1 자석으로부터 제 2 자석방향으로 착자된다.
제 1 및 제 2 자석(301) 및 (302)은 각각 자석의 각 중심을 관통하는 축 (310)이 동심상으로 되도록 요크(303) 및 (304)에 고정된다. 공기구멍(311)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크(303) 및 (304)의 상하면에 마련된다. 부가적으로 구동코일(307)은 제 1 및 제 2 자석(301) 및 (302)과 동심상으로 되도록 진동판 (308)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구동코일(307)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진동판(308)에 부착된다. 그리고, 진동판(308)의 둘레부는 상부케이스(305) 및 하부케이스(306)의 사이에 위치되고 고정되어 구동코일(307)이 제 1 및 제 2 자석(301) 및 (302) 사이의 진폭방향에서 중심에 위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기-음향변환기에 관해서, 그 동작과 효과를 설명한다. 구동코일(307)에 교류전기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력이 발생하고 그 구동력에 의해서 구동코일(307)과 접착하고 있는 진동판(308)이 진동하여, 소리가 방사되는 것은, 제 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이다.
제 1 및 제 2 요크(303) 및 (304)가 제 1 및 제 2 자석(301) 및 (302)의 주위에 부가되어, 제 1 자석(301)과 제 1 요크(303), 또한 제 2 자석(302)과 제 2 요크(304)에 의해서 각각 자로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및 제 2자석(301) 및 (302)로부터 방사된 자속이 제 1 및 제 2 요크(303) 및 (304)에 의해서 자기 틈 G 에 도달하고 자기 틈 G 내의 자속밀도가 높아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코일 (307)은 자기 틈내의 자속밀도가 최대로 되는 위치, 즉, 구동코일(307)은 제 1 및 제 2 자속(301) 및 (302)의 외부둘레를 연결하는 선들을 포함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결과적으로, 구동코일(307)의 위치에 있어서의 자속밀도도 높아지게 되므로, 자속밀도에 비례하는 구동력도 커져서, 재생음압 향상으로 이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지름 7mm, 높이 0.5mm의 네오디뮴 자석을 사용한 경우, 구동코일(307)상에서 얻어지는 자속밀도는 제 1 및 제 2요크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1.5배 커지고, 음압또한 3.8dB 높아진다. 또한 요크를 설치함으로써, 전기-음향변환기로부터 외부로의 누설자속을 억제할 수가 있다.
제 1 및 제 2 요크는 상술한 방식으로 각각 제 1 및 제 2 자석의 둘레에 마련되므로, 제 1 및 제 2 자석으로부터의 자속이 제 1 및 제 2 요크의 수단에 의하여 수렴된다. 따라서, 구동코일에서 발생된 구동력이 더욱 증가되어 재생음의 음압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비록 제 1 요크와 상부케이스, 또한 제 2 요크 및 하부케이스가 별개 부재로 되어 있으나, 이들은 각각 자성체로 만들어진 일체부재로 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제 1 및 제 2 자석(301) 및 (302)이 원기둥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이들은 전기-음향변환기의 외부형상에 맞추어 타원기둥형 또는 입방체의 형상으로 될 수 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요크의 내주부와 제 1 및 제 2자석의 외주부와의 사이에 슬릿을 설치하였다. 도 13A 는 그러한 요크와 자석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에 비하여, 전기-음향변환기의 외부직경을 감소하거나, 또는 진동판의 외부둘레부에 마련된 원호형부를 넓게 하기 위하여, 슬릿을 설치하지 않고 제 1 및 제 2자석의 외주부와 제 1및 제 2요크의 내주부를 밀착시키더라도 좋다. 부가적으로, 도 13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요크(302)가 자석(301) 및 (302)의 측면에만 마련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요크(320)는 도 1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석들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또한, 도 13E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크 (321)가 자석의 편평부에 놓일 수 있다. 이 때, 제 1 및 제 2 자석들이 입방체의 형상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요크는 진동판에 대향하지 않는 적어도 2개의 측부의 외부둘레의 주위에서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도 13A 및 13E 의 전체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요크들은 진동판을 마주보는 부분에는 위치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비록 도 13A 내지 13D는 자석면과 요크면이 진동판을 마주 대하는 측상에서 동일면상에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들은 진동판의 형상, 최대진폭치등에 따라서 단턱을 가지는 동일면상에 있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공기구멍(311)을 요크(303) 및 (304)의 상하면에 설치하였지만, 재생음이 측면으로 방출되도록 상부케이스(305) 및 하부케이스 (306)에 마련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14A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 및 구동코일의 평면도이고, 도 14B는 도 14A 의 A-B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4C는 도 14B의 원형부분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은 구동코일(403)이 부착된 진동판(404)을 나타낸다. 기타 부품에 대하여는,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품이 전기-음향변환기를 형성하도록 사용된다. 진동판(404)은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 평판형이다.
본 실시예가 다른 실시예와 다른 점은, 구동코일(403)이 진동판(404)과 일체로 된 점이다. 구동코일(403)과 진동판(404)을 일체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하나의 기술인 에칭법을 설명한다. 먼저,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로 만들어진 진동판의 기재상에 동을 도금한다. 그 위에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하고, 노광 및 현상하여, 동도금상에 에칭레지스트가 형성된다. 다음에, 에칭이 시행되고, 레지스트가 제거되며, 그에 의하여 진동판의 기재상에 코일배선이 형성된다. 구동코일은 진동판 (404)의 한쪽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진동판(404)의 양쪽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4B 및 14C 는 본 방법에 따라서 진동판(404)의 전후면의 양쪽에 제 1 및 제 2 코일(403A) 및 (403B)이 형성되고 이들이 구동코일을 형성하도록 접속된 것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에칭방법은 일체화를 위한 기술의 하나로 나타낸 것이지만, 부가적인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코일이 2층구조를 가지는 것이지만, 단층구조 또는 3층이상의 구조도 채택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여 다른 일체화 기술을 설명한다. 도 15A 는 구동코일(413)이 부착된 진동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5B 는 그의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진동판(414A) 및 (414B)이 형성되고 구동코일(413)이 2개의 진동판 사이에 놓임으로써, 진동판(414A)-구동코일(413)-진동판(414B)의 샌드위치구조가 형성된다.
구동코일과 진동판을 이러한 방식으로 일체화 함으로써, 진동시의 구동코일내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가 감소된다. 따라서, 구동코일의 파단이 방지되고 신뢰성이 향상된다.
구동코일은 적층, 프린팅등에 의하여 권취방법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내입력성이 향상된다. 부가적으로 접착공정 및 리드선의 배선이 생략되므로, 자동생산이 가능하게 되고 큰 진동시에 신뢰성이 제고될 수 있다.
(제 5 실시예)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전기-음향변환기에 대하여 이하 기술한다. 도 16A는 전기-음향변환기의 개략이며, 제 16B 도는 그의 단면도, 도 17A는 제 1 및 제 2 자석의 평면도이고, 도 17B는 구동코일의 평면도, 도 17C는 진동판의 평면도이다.
전기-음향변환기는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요크(503) 및 (504)가 도 16A 및 16B 에서와 같이 제 1 및 제 2 자석(501) 및 (502)의 둘레에 마련된다. 제 1 및 제 2 요크(503) 및 (504)는 예를 들면 철과 같은 자성체로 만들어진다. 또한, 제 1 및 제 2 요크(503) 및 (504), 프레임 형상의 상부케이스(505) 및 하부케이스(506)는 하우징을 형성한다. 상부케이스(505) 및 하부케이스(506)는 비자성체로 만들어지고 예를 들면 PC(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수지재료로 만들어진다. 부가적으로, 구동코일(507)을 가지는 진동판(508)이 하우징의 중앙부에서 케이스들의 사이에 고정되어 진동판(508)이 자유진동한다. 진동판(508)은 원호형상의 모서리부(509)를 외부둘레부에 가진다. 제 1 및 제 2 자석(501) 및 (502)은 입방체형상이며 예를 들어 38 MGOe 의 에너지적을 가지는 네오디뮴자석으로 만들어진다. 또한, 착자방향은 기준방향으로의 진동판의 진동방향에 대하여 상호간에 반대방향이어서, 예를 들어 제 1 자석(501)이 상향, 즉 제 2 자석으로부터 제 1 자석방향으로 착자된 경우에는, 제 2 자석(502)은 하향, 즉 제 1 자석으로부터 제 2 자석방향으로 착자된다.
제 1 및 제 2 자석(501) 및 (502)은 요크(503) 및 (504)에 고정되어 중심축 (510)을 공유하며, 이 중심축은 주축 및 부축으로서 각 자석의 중심을 관통한다. 부가적으로, 공기구멍(511) 및 (512)이 각각 상부케이스(505)의 측면 및 제 2 요크 (504)의 바닥에 마련된다. 부가적으로, 구동코일(507)은 제 1 및 제 2자석(501) 및 (502)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각형을 가지며, 진동판(508)에 부착되어 주축 및 부축이 상호간에 일치하게 된다. 구동축(507)은, 예를 들면 접착제를 사용하여 진동판(508)에 부착된다. 그리고, 진동판(508)의 둘레부는 상부케이스(505) 및 하부케이스(506)의 사이에 위치되고 고정되어 구동코일(507)은 진동방향으로 제 1 및 제 2 자석(501) 및 (502)의 사이에서 중심에 위치된다. 부가적으로, 진동판(508)의 외형은 타원형이며 구동코일(507)이 부착되는 외부는 대략 반원형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기-음향변환기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이하 기술한다.
제 1 및 제 2 자석(501),(502)과 제 1 및 제 2 요크(503),(504)는 자장을 형성한다. 구동코일(507)이 자기 틈 G 내에 형성되어 자속밀도가 최대로 된다. 교류신호가 구동코일(507)로 입력되고, 구동력이 발생되며 이 구동력이 구동코일 (507)에 부착된 진동판(508)을 진동함으로써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재생음이 발생된다. 부가적으로, 제 1 및 제 2 요크(503) 및 (504)는 제 1 및 제 2 자석(501) 및 (502)을 둘러싸서, 제 1 자석(501) 및 제 1 요크(503), 또한 제 2 자석(502) 및 제 2 요크(504)가 각각 자로를 형성한다. 그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자석(501) 및 (502)로부터 방사된 자속이 제 1 및 제 2 요크의 수단에 의하여 자기 틈 G 으로 도달하며, 제 3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자기틈 G 내에서 높은 자속밀도를 얻게 된다.
본 실시예는, 제 1 및 제 2 자석(501) 및 (502)과 구동코일(507)이 사각형이고 진동판(508)의 외형이 대략 타원형이며, 또한 본 실시예에서 나타낸 전기-음향 변환기의 외형이 입방체형상이라는 점에서 제 1 및 제 3 실시예와 상이하다. 부가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나타낸 전기-음향변환기의 하부면 및 측부에 공기구멍(511) 및 (512)이 마련된다.
전기-음향변환기가 입방체형상으로 만들어지므로, 휴대전화나 PDA 와 같은 휴대형 정보단말기내에 조립할 때의 공간효율이 개선된다.
부가적으로, 공기구멍(511)이 상부케이스(505)내에 마련됨으로써, 공기구멍 (511)과 이들 표면이 전자기기에 부착되는 면으로서 사용되고, 따라서 긴 소리구멍을 가지는 전자기기가 실현된다.
공정상의 이유로, 동선을 권취하여 준비되는 구동코일을 원형으로 할 때와 비교할 때 타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하는 쪽이 어렵다. 특히, 큰 어스펙트비를 가지는 형상의 경우에, 코일의 권취폭을 균일하게 하는 것은 어렵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음향변환기에 있어서는, 종래의 전력형 전기-음향변환기와 같이 구동코일을 자기 틈내에 삽입할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구동코일은 제 1 및 제 2 코일(501) 및 (502)의 사이의 공간에 존재한다. 따라서, 구동코일(507)의 권취폭을 균일하게 할 필요는 없다. 결과적으로, 구동코일(507)의 어스펙트비가 자유롭게 설계될 수 있으며, 따라서 큰 어스펙트비를 가지는 타원형 또는 사각형 전기-음향 변환기가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비록 공기구멍(511) 및 (512)은 측부 및 바닥면내에 마련되어 공기구멍(511)을 가진 면이 부착을 위하여 사용되지만, 공기구멍은 전기-음향변환기를 구성하는 6개의 면중에서 어떤 면에도 마련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부착면으로서 어떤 면도 사용가능하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 요크의 내주부 및 제 1 및 제 2 자석의 외주부의 사이에 공기 틈이 마련된다. 그러나, 전기-음향변환기의 외형의 크기감소나 구동코일 및 하우징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는 등의 목적을 위하여 제 1 및 제 2 자석의 외주부 및 제 1 및 제 2 요크의 내주부가 공기틈이 없이 상호간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비록 제 1 및 제 2 요크와 하우징이 별개체로 되어 있으나, 비자성체로 만들어진 일체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부품의 수가 감소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비록 제 1 및 제 2 자석이 입방체 형상이며, 구동코일이 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나, 이들은 각각 타원기둥형 및 타원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비록 제 1 및 제 2 자석용으로 네요디뮴자석이 사용되었으나, 페라이트 또는 사마륨코발트 자석이 원하는 음압, 형상등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최저 공진주파수의 Q 인자를 제어하기 위하여 공기구멍위에 방음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권취코일이 구동코일로서 사용되었으며, 진동판 및 구동코일이 별개체로 되어 있으나, 진동판 및 구동판은 제 4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체로 될 수 있다.
(제 6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및 제 5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전기-음향변환기를 구비한 전자기기중의 하나인 개인 휴대전화기에 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8A는 휴대전화기의 정면도, 도 18B는 부분파탄도, 도 19는 휴대전화기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8A 및 18B에 있어서, (601)는 휴대전화기전체로서, 휴대전화기의 하우징 (502)의 상부에 소리구멍(603)이 형성되고,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음향변환기(604)가 이 부분의 내부에 마련된다. 전기-음향변환기(604)는 그의 케이스면에 마련된 소리구멍이 소리구멍(603)과 마주 대하도록 마련된다.
도 19에 있어서, 안테나(610)는 송수신회로(620)에 접속된다. 호출신호발생회로(631) 및 마이크로폰(632)은 송수신회로(620)에 접속되며, 전기-음향변환기 (604)는 호출신호발생회로(631)에 접속된다. 부가적으로, 송수신회로(620)는 복조부(621), 변조부(622), 신호전환부(623) 및 부재녹음부(624)를 갖는다.
안테나(610)는 근처의 기지국으로부터 출력된 전파를 수신하는 것이며, 전파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복조부(621)는 안테나(610)로부터 입력된 변조파를 복호하여 수신신호로 변환하고, 수신신호를 신호전환부(623)으로 공급하는 회로이다. 신호전환부(623)는 수신신호의 내용에 응해서 신호처리를 바꾸는 회로이다. 수신신호가 호출신호인 경우는 호출신호발생회로(631)로 보내지고, 음성신호인 경우는 전기-음향변환기(604)로 보내지며, 부재녹음의 음성신호의 경우는 부재녹음부(624)로 보내진다. 부재녹음부(624)는 예컨대 반도체메모리로 구성된다. 전원이 온 상태인때의 부재녹음 메시지가 부재녹음부(624)에 기억되지만, 휴대전화기가 서비스영역밖에 있을 때나 전원이 오프상태인 때에는, 부재녹음 메시지가 기지국의 기억장치에 기억된다.
호출신호발생회로(631)는 호출신호를 생성하여, 전기-음향변환기(604)로 공급하는 회로이다.
종래의 휴대전화기와 같이, 전기-음향변환기로서 소형의 마이크로폰(632)이 설치된다. 변조부(622)는 다이얼신호나, 마이크로폰(632)로 변환된 음성신호를 변조하여, 안테나(610)로 출력하는 회로이다.
이러한 구성의 휴대단말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기지국에서 출력된 전파는 안테나(610)로 수신된다. 복조부(621)는 수신된 베이스-밴드신호를 복조한다. 신호전환회로(623)가 착신신호로부터 호출신호를 검출하면, 착신을 휴대전화기의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서, 착신신호를 호출신호발생회로(631)로 출력한다.
호출신호발생회로(631)가 이러한 착신신호를 받으면, 가청대역의 순음 또는 그것들의 복합음의 신호인 호출신호를 출력한다. 휴대전화기에 설치되는 소리구멍 (603)을 통해서 전기-음향변환기(604)로부터 출력되는 이 호출음을 듣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는 착신사실을 알게 된다.
사용자가 수화상태에 들어가면, 신호전환부(623)는 수신신호를 레벨조정한 뒤, 음성신호를 전기-음향변환기(604)로 직접 출력한다. 전기-음향변환기(604)는 수화기 또는 송화기로서 동작하여, 음성신호를 재생한다.
부가적으로, 사용자의 음성은 마이크로폰(632)으로 수집되어, 전기신호에 변환된뒤 변조부(622)에 입력된다. 그리고 음성신호가 변조되어, 소정의 반송파에 변환되어 안테나(610)로부터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휴대전화기의 사용자가 전원을 온상태로 하고 부재녹음상태로 설정한 경우, 송화내용은 부재녹음부(624)에 기억된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전원을 오프로 하고 있는 경우, 송화내용은 기지국에 일시 기억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키조작에 의하여 부재녹음의 재생의뢰를 하면, 신호전환부(623)는 이 의뢰를 받아, 부재녹음부(624) 또는 기지국에서 녹음메시지를 취득한다. 그리고 그 음성신호를 확성레벨로 조정하여, 전기-음향변환기(604)로 출력한다. 이 때, 전기-음향변환기 (604)는 수화기 또는 스피커로서 동작하여, 메시지를 출력한다.
또한, 제 6 실시예에서는 전기-음향변환기를 직접 하우징에 부착하였지만, 휴대전화기에 내장되고 있는 기판에 부착하여 음성포트를 통하여 하우징에 접속하더라도 좋다. 또한, PDA나, TV나, 퍼스털 컴퓨터, 카네비게이션 시스템과 같은 다른 전자기기에 부착되었을 때에도 동일한 동작 및 효과가 얻어진다.
전기-음향변환기는 다양한 방식의 전자기기에 내장될 수 있으므로, 경보음, 음성등을 재생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실현할 수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 및 요지내에서 다양한 기타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게 명백하며, 기타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포괄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2001 년 10월 9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2001-310914 호 및 2002년 5월 10일에 출원된 2002-135152 호가 참고사항으로 본 출원에 첨부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음향변환기의 단면도;
도 2A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음향변환기의 단면도;
도 2B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의 자석의 평면도;
도 2C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동 코일의 평면도;
도 3은 제 1 실시예 의 전자-음향변환기기의 조립도;
도 4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의 자석에 의해서 생기는 자속 벡터도;
도 5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틈중심으로부터의 진동방향과 자속밀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 ;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틈 중심에서 진동방향에서의 거리와 자속밀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 1 실시예의 모서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음향변환기의 단면도;
도 9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자석에 의하여 발생된 자속벡터도;
도 10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중심축으로부터의 반경방향의 거리와 자속밀도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기-음향변환기의 단면도;
도 12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기-음향변환기의 사시도;
도 13A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석과 요크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1);
도 13B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석과 요크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2);
도 13C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석과 요크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3);
도 13D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석과 요크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4);
도 13E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석과 요크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5);
도 14A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 및 구동코일의 평면도;
도 14B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 및 구동코일의 단면도;
도 14C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 및 구동코일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15A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과 구동코일의 측면도;
도 15B은 제 4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및 구동코일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16A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전기-음향변환기의 개략도;
도 16B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전기-음향변환기의 단면도;
도 17A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자석의 평면도;
도 17B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구동코일의 평면도;
도 17C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의 평면도;
도 18A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의 정면도;
도 18B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의 측면도;
도 19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버 2 : 프레임
3 : 자석
4, 106, 205, 308, 404, 414A, 414B, 508 : 진동판
5, 105, 204, 307, 403, 413, 507 : 구동코일
6 : 전극 11 : 소리구멍
20 : 케이싱 101, 202, 301, 501 : 제 1 자석
102, 203, 302, 502 : 제 2 자석 103, 305, 505 : 상부케이스
104, 306, 506 : 하부케이스 107, 203, 510 : 중심축
108, 207, 311, 511, 512 : 공기구멍
110, 110A, 110B, 110C, 110D, 206, 309, 509 : 모서리부
303, 503 : 제 1 요크 304, 504 : 제 2 요크
403A : 제 1 코일 403B : 제 2 코일
601 : 휴대전화기 603 : 소리구멍
604 : 전기-음향변환기 610 : 안테나
620 : 송수신회로 621 : 복조부
622 : 변조부 623 : 신호전환부
624 : 부재녹음부 631 : 호출신호발생회로
632 : 마이크로폰

Claims (35)

  1.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을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호간에 대향하여 위치되며, 진동판의 각 면을 마주 함으로써 진동판이 그들 사이에 놓이게 되며 진동판의 진동방향에 평행하게 상호간에 반대방향으로 착자된 제 1 및 제 2 자석; 및,
    상기 진동판상에 놓이는 구동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음향변환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코일은 상기 제 1 및 제 2 자석의 외부둘레를 연결하는 선이 상기 구동 코일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교류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구동코일과 상기 자석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구동력으로 상기 진동판이 진동하여 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음향변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원형, 사각형 및 타원형상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전기-음향변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자석은 원기둥형, 입방체형 및 타원기둥형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전기-음향변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코일은 원형, 사각형 및 타원형상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전기-음향변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석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 자로를 형성하는 제 1 요크; 및 상기 제 2 자석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 자로를 형성하는 제 2 요크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음향변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요크는 상기 진동판에 대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자석의 외부에 위치되는 전기-음향변환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요크는 상기 진동판과 마주 대하는 면을 제외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자석둘레의 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전기-음향변환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코일은 사각형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자석은 입방체 형상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요크는 상기 제 1 및 제 2 자석의 각각의 적어도 2개의 측부를 연장됨으로써 얻어지는 외부둘레의 주위에 마련되는 전기-음향변환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크 및 상기 제 1 자석의 둘레부와, 상기 제 2 요크 및 상기 제 2 자석의 둘레부의 사이에 공기의 틈들이 마련되는 전기-음향변환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및 제 2 요크를 포함하는 전기-음향변환기.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코일은 상기 제 1 및 제 2 요크의 외주부의 내부에 마련되는 전기-음향변환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코일이 상기 진동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전기-음향변환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코일은 상기 진동판에 퇴적 또는 인쇄되는 전기-음향변환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코일은 제 1 및 제 2 구동코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코일은 상기 진동판의 상부면 및 하부면상에 각각 형성되는 전기-음향변환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제 1 및 제 2 진동판을 적층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구동코일은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판의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마련되는 전기-음향변환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음향변환기는 적어도 1개의 소리구멍이 상기 하우징의 상하부면 및 측벽중의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구성을 가지는 전기-음향변환기.
  17.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을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호간에 대향하여 위치되며 진동판의 각 면을 마주 함으로써 진동판이 그들 사이에 놓이게 되며 중심으로서 상기 진동판의 중심을 관통하는 중심축을 가지는 방사방향으로 착자된 제 1 및 제 2의 자석; 및,
    상기 진동판상에 놓이는 구동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교류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구동코일과 상기 자석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구동력으로 상기 진동판이 진동하여 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음향변환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코일은 상기 진동판의 진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자석이 최대 자속밀도를 발생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전기-음향변환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원형, 사각형 및 타원형상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전기-음향변환기.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자석은 원기둥형, 입방체형 및 타원기둥형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전기-음향변환기.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코일은 원형, 사각형 및 타원형상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전기-음향변환기.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석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 자로를 형성하는 제 1 요크; 및 상기 제 2 자석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 자로를 형성하는 제 2 요크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음향변환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요크는 상기 진동판에 대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자석의 외부에 위치되는 전기-음향변환기.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요크는 상기 진동판과 마주 대하는 면을 제외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자석둘레의 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전기-음향변환기.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코일은 사각형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자석은 입방체 형상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요크는 상기 제 1 및 제 2 자석의 각각의 적어도 2개의 측부를 연장됨으로써 얻어지는 외부둘레의 주위에 마련되는 전기-음향변환기.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크 및 상기 제 1 자석의 둘레부와, 상기 제 2 요크 및 상기 제 2 자석의 둘레부의 사이에 공기의 틈들이 마련되는 전기-음향변환기.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및 제 2 요크를 포함하는 전기-음향변환기.
  2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코일은 상기 제 1 및 제 2 요크의 외주부의 내부에 마련되는 전기-음향변환기.
  2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코일이 상기 진동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전기-음향변환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코일은 상기 진동판에 퇴적 또는 인쇄되는 전기-음향변환기.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코일은 제 1 및 제 2 구동코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코일은 상기 진동판의 상부면 및 하부면상에 각각 형성되는 전기-음향변환기.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제 1 및 제 2 진동판을 적층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구동코일은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판의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마련되는 전기-음향변환기.
  3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음향변환기는 적어도 1개의 소리구멍이 상기 하우징의 상하부면 및 측벽중의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구성을 가지는 전기-음향변환기.
  34. 청구항 1에 따른 전기-음향변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기기.
  35. 청구항 17에 따른 전기-음향변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기기.
KR10-2002-0061001A 2001-10-09 2002-10-07 전기-음향변환기 및 전자기기 KR1005351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10914 2001-10-09
JPJP-P-2001-00310914 2001-10-09
JP2002135152 2002-05-10
JPJP-P-2002-00135152 2002-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887A KR20030030887A (ko) 2003-04-18
KR100535172B1 true KR100535172B1 (ko) 2005-12-08

Family

ID=26623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001A KR100535172B1 (ko) 2001-10-09 2002-10-07 전기-음향변환기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085394B2 (ko)
EP (1) EP1304903B8 (ko)
KR (1) KR1005351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0820A (ko) * 2002-12-27 2004-07-06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음향 변환기 및 전자 장치
US11102585B2 (en) 2019-02-28 2021-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Ultra slim transduc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73068B2 (ja) * 2003-08-19 2010-06-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ピーカ
CN1943270B (zh) 2004-04-05 2012-08-2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扬声器装置
US7961900B2 (en) * 2005-06-29 2011-06-14 Motorola Mobility, Inc. Communication device with single output audio transducer
EP1947906B1 (en) * 2005-11-11 2016-10-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ic-acoustic converter and electronic device
US8098867B2 (en) * 2006-11-30 2012-01-17 Motorola Mobility, Inc. Attachable external acoustic chamber for a mobile device
US8180075B2 (en) 2007-04-26 2012-05-15 Motorola Mobility, Inc. Arrangement for variable bass reflex cavities
US8712086B2 (en) * 2007-12-27 2014-04-29 Motorola Mobility Llc Acoustic reconfiguration devices and methods
ITMC20080159A1 (it) * 2008-09-02 2010-03-03 Sipe Srl Altoparlante magnetodinamico.
JP5849197B2 (ja) * 2010-03-24 2016-01-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ピーカ、および、それを備える電子機器
CN201839419U (zh) * 2010-05-10 2011-05-18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多功能振动器件
US8520886B2 (en) * 2010-11-12 2013-08-27 Apple Inc. Speaker having a horizontal former
CN102590846A (zh) * 2012-03-02 2012-07-18 山西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辐射报警器
KR101340973B1 (ko) * 2012-05-14 2013-12-12 주식회사 이엠텍 음향변환장치
WO2013172583A1 (ko) * 2012-05-14 2013-11-21 주식회사 이엠텍 음향변환장치용 자속 형성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
KR101353442B1 (ko) * 2012-08-13 2014-01-22 주식회사 이엠텍 요크 및 이를 구비하는 음향변환장치
CN105022065A (zh) * 2014-04-30 2015-11-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及其测距的方法
US20160212544A1 (en) * 2014-10-30 2016-07-21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Planar dynamic sound transducer
US20160192079A1 (en) * 2014-12-31 2016-06-30 Knowles Ipc (M) Sdn. Bhd. Rotary flux acoustic transducer
CN104968064B (zh) * 2015-07-14 2016-06-01 于宝深 电感线圈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349453B1 (ko) * 2015-07-24 2022-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775427B1 (ko) * 2016-06-30 2017-09-07 이성수 스피커 유닛
US10321235B2 (en) * 2016-09-23 2019-06-11 Apple Inc. Transducer having a conductive suspension member
US10291990B2 (en) 2016-10-26 2019-05-14 Apple Inc. Unibody diaphragm and former for a speaker
US10555085B2 (en) 2017-06-16 2020-02-04 Apple Inc. High aspect ratio moving coil transducer
CN107623885A (zh) * 2017-09-08 2018-01-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声组件、电声装置及移动终端
CN107426657A (zh) * 2017-09-08 2017-12-0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声组件、电声装置及移动终端
ES2828374T4 (es) 2017-10-25 2023-10-13 Ps Audio Design Oy Disposición de transductor
CN108055628A (zh) * 2018-01-19 2018-05-18 东莞市和乐电子有限公司 平板覆膜复合膜片扬声器***
JP7352980B2 (ja) * 2018-09-20 2023-09-29 常州阿木奇声学科技有限公司 スピーカー構造及びその磁気回路システム
US10959024B2 (en) * 2018-09-27 2021-03-23 Apple Inc. Planar magnetic driver having trace-free radiating region
GB2583729B (en) * 2019-05-06 2021-05-12 Waves Audio Ltd Micro electrostatic speaker
CN112203197B (zh) * 2019-07-08 2021-11-09 歌尔股份有限公司 磁势换能器及其电子设备
CN111277934A (zh) * 2020-03-02 2020-06-12 厦门圣德斯贵电子科技有限公司 扬声器的磁性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3571A (ko) * 1983-01-07 1984-09-08 김석태 반발자기(磁氣)를 이용한 전기음향 변환기
JPH08140185A (ja) * 1994-09-12 1996-05-31 Sanyo Electric Co Ltd 電気音響変換装置
JP2001054192A (ja) * 1999-07-30 2001-02-23 Microtech Corp 電気−音響変換器
KR20010079380A (ko) * 2001-07-10 2001-08-22 장세열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용 양방향 스피커
JP2001231097A (ja) * 1999-05-14 2001-08-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磁型電気音響変換器および携帯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169701A (fr) * 1957-03-15 1959-01-05 Ct D Etudes Et De Dev De L Ele Dispositif électromagnétique, notamment pour microphones et écouteurs
US3141071A (en) 1960-07-18 1964-07-14 Rosen Alfred H Full range electroacoustic transducers
JPH01226299A (ja) 1988-03-07 1989-09-08 Sanden Corp 振動装置
JPH09511625A (ja) * 1994-02-11 1997-11-18 キルク・アコウスティクス・エー/エス 電力変換器
US5764784A (en) * 1994-09-12 1998-06-09 Sanyo Electric Co., Ltd.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6104825A (en) 1997-08-27 2000-08-15 Eminent Technology Incorporated Planar magnetic transducer with distortion compensating diaphragm
US5901235A (en) * 1997-09-24 1999-05-04 Eminent Technology, Inc. Enhanced efficiency planar transducers
US6154557A (en) * 1998-05-21 2000-11-28 Sonigistix Corporation Acoustic transducer with selective driving force distribution
JP4500426B2 (ja) * 2000-11-02 2010-07-14 フォスター電機株式会社 面駆動型電気音響変換器
US6810126B2 (en) * 2001-10-24 2004-10-26 Bg Corporation Planar magnetic transduc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3571A (ko) * 1983-01-07 1984-09-08 김석태 반발자기(磁氣)를 이용한 전기음향 변환기
JPH08140185A (ja) * 1994-09-12 1996-05-31 Sanyo Electric Co Ltd 電気音響変換装置
JP2001231097A (ja) * 1999-05-14 2001-08-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磁型電気音響変換器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2001054192A (ja) * 1999-07-30 2001-02-23 Microtech Corp 電気−音響変換器
KR20010079380A (ko) * 2001-07-10 2001-08-22 장세열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용 양방향 스피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0820A (ko) * 2002-12-27 2004-07-06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음향 변환기 및 전자 장치
US11102585B2 (en) 2019-02-28 2021-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Ultra slim transdu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887A (ko) 2003-04-18
EP1304903A3 (en) 2006-09-20
EP1304903A2 (en) 2003-04-23
US20030068063A1 (en) 2003-04-10
EP1304903B8 (en) 2017-05-24
US7085394B2 (en) 2006-08-01
EP1304903B1 (en) 201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5172B1 (ko) 전기-음향변환기 및 전자기기
US7231058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electronic apparatus
US6920957B2 (en) Loudspeaker diaphragm
JP3997133B2 (ja) 電気音響変換器及び電子機器
US20050220320A1 (en) Speaker for mobile terminal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677953B1 (ko) 스피커장치
EP1843630B1 (en) Electrodynamic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electronic device
KR20070100665A (ko) 통합된 공기 흐름 통로를 갖는 소형의 확성기 및 자기 회로
EP1179285B1 (en) Electromagnetic transducer a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4361580B2 (ja) スピーカ用振動板およびスピーカ
JP5100546B2 (ja) 電気音響変換器
JP4034696B2 (ja) スピーカ用振動板
JP2001231097A (ja) 電磁型電気音響変換器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2004364247A (ja) 電気音響変換器および電子機器
KR100711298B1 (ko) 초박형 마이크로스피커
JP4536284B2 (ja) 電磁型電気音響変換器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2996842B2 (ja) スピーカ
CN219834359U (zh) 声学装置
CN112088538B (zh) 电声换能器及通信设备
KR20030083774A (ko) 자화필름을 이용한 고정형 코일구조를 갖는 단방향/양방향전기-음향 변환기 및 전기-음향 변환 방법
JP4662522B2 (ja) 電磁形電気音響変換器および携帯端末装置
KR200284571Y1 (ko) 자화필름을 이용한 고정형 코일구조를 갖는단방향/양방향 전기-음향 변환기
KR20050075787A (ko) 스피커의 음압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단말기용 스피커
CN118317235A (zh) 一种扬声器及一种扬声器箱
CN117729497A (zh) 发声装置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