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012B1 - 유동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동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3012B1
KR100523012B1 KR10-2003-0027463A KR20030027463A KR100523012B1 KR 100523012 B1 KR100523012 B1 KR 100523012B1 KR 20030027463 A KR20030027463 A KR 20030027463A KR 100523012 B1 KR100523012 B1 KR 100523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belt
waste
flowable
separation unit
soli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3549A (ko
Inventor
한덕환
Original Assignee
서일공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일공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일공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7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3012B1/ko
Publication of KR20040093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0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belt or band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filtering bands or the like supported on cylinders which are impervious for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1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5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 B01D33/5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involving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동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며, 유동성 폐기물을 펌핑하여 공급하는 펌프를 구비하는 유동성 폐기물 공급장치와; 유동성 폐기물 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된 유동성 폐기물을 걸러서 수분과 고형물로 분리해내는 메시벨트를 구비하는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과;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에 의해 분리된 수분을 2차적으로 처리하여 수분과 고형물로 재분리해내는 메시벨트를 구비하는 2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동성 폐기물을 도입한 후 도입된 유동성 폐기물을 1차와 2차에 걸쳐 수분과 고형물로 분리함으로써, 유동성 폐기물 속에 포함된 고형물의 분리효율을 최대한 증대시켜 준다. 특히, 큰입자의 고형물과 작은 입자의 고형물을 순차적으로 걸러 줌으로써 유동성 폐기물의 선별적인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브러시롤러와 타격장치와 천공강모로 메시벨트에 붙어 있는 고형물을 쓸어내고 털어내며 뚫어줌으로써 메시벨트에 붙어있는 고형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동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FLUID WASTE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유동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을 함유한 축분, 슬러지 등의 유동성 폐기물을 효율좋게 처리할 수 있는 유동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축산농가의 축분, 공장폐수의 슬러지 등과 같은 유동성 폐기물에는 많은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해물질은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축산농가, 공장 등에서는 발생된 유동성 폐기물을 반드시 처리해야 한다.
유동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발생된 유동성 폐기물을 압축기로 압축하여 수분과 고형분을 분리해낸 다음, 수분이 분리된 고형물을 매립하거나 또는 퇴비로 사용하거나 또는 임의로 투기하는 하는 방법이 있다.
한편, 이러한 유동성 폐기물 처리 방법은, 유동성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유동성 폐기물속의 수분을 분리해내기 위한 여러 가지 장치가 필요하고,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수분을 분리하고, 수분이 분리된 고형물을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작업효율도 떨어진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를 감안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2-43526호에서는 메시벨트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 장치는 슬러지 등과 같은 유동성 폐기물을 자동으로 걸러서 수분과 고형물을 분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으나, 메시벨트의 통공 크기가 한 가지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입자의 크기에 따른 유동성 폐기물의 선별 분리가 곤란하고, 고형물이 메시벨트에 붙어서 잘 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메시벨트에 부착된 고형물을 강제로 제거하기 위해서 브러시 롤러를 채용하고 있으나, 고형물 제거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브러시 롤러의 강모 규격이 한가지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통공 크기의 메시벨트에 적용할 수 없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입자 크기에 따라 유동성 폐기물의 선별적인 분리가 가능한 유동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시벨트에 붙어있는 고형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유동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유동성 폐기물을 펌핑하여 공급하는 펌프를 구비하는 유동성 폐기물 공급장치와; 상기 유동성 폐기물 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된 유동성 폐기물을 걸러서 수분과 고형물로 분리해내는 메시벨트를 구비하는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과; 상기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에 의해 분리된 수분을 2차적으로 처리하여 수분과 고형물로 재분리해내는 메시벨트를 구비하는 2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동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동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크게 프레임(10)과, 유동성 폐기물을 프레임(10)의 상측으로 공급하는 유동성 폐기물 공급장치(20)와, 공급된 유동성 폐기물을 1차적으로 걸러서 수분과 고형물을 분리해내는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100)과, 1차적으로 분리된 수분을 2차적으로 걸러서 수분과 고형물을 다시 분리해내는 2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200)으로 구성된다.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프레임(10)은 수평지지대(12)와, 수평지지대(12)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지지대(14)로 구성된다. 이러한 프레임(10)은 본 발명의 각 장치 및 유닛들을 지지한다.
그리고 유동성 폐기물 공급장치(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성 폐기물(이하, "폐기물"이라 약칭함)을 도입하여 펌핑하는 펌프(22)와, 펌프(22)로부터 토출된 폐기물을 프레임(10)의 상부로 공급하는 공급파이프(24)로 구성된다. 특히, 공급파이프(24)는 그 단부가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100)의 상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그 상면에는 폐기물을 토출하기 위한 트인 토출슬롯(24a)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부로 트인 토출슬롯(24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기물(W)을 토출함으로써 토출된 폐기물(W)이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100)으로 낙하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100)은, 공급파이프(24)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역삼각 배열을 이루는 구동롤러(110)와 종동롤러(112)와 가이드롤러 (114) 및, 구동롤러(110)와 종동롤러(112)와 가이드롤러(114)에 감아 걸어지는 메시벨트(116) 그리고 구동롤러(11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구동롤러(110)는 프레임(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종동롤러(112)는 프레임(10)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가이드롤러(114)는 구동롤러(110)와 종동롤러(112)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롤러(110)와 종동롤러(112)와 함께 대략 역삼각 배열을 이룬다. 그리고 메시벨트(116)는 다수의 통공(116a)을 갖는 것으로, 공급파이프(24)로부터 낙하하는 폐기물(W)을 걸러서 수분 (S)과 고형물(G)로 분리한다. 특히, 구동롤러(110)와 종동롤러(112)와 가이드롤러 (114)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수분(S)이 분리된 고형물(G)을 한쪽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구동롤러(110)는 종동롤러(112)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이는 구동롤러(110)와 종동롤러(112)에 감아 걸어지는 메시벨트 (116)의 상부주행부(116b)가 한쪽방향으로 상향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구동롤러(11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은, 프레임(10)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20)와, 구동모터(120)의 동력을 구동롤러(110)로 전달하는 체인전동기구 (122)로 구성된다. 특히, 체인전동기구(1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 (120)의 출력축(120a)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124)과 구동롤러(110)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로킷(126)과, 구동스프로킷(124)과 종동스프로킷(126)을 감아 연결하는 체인(128)으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된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100)은, 도 1에서와 같이 공급파이프(24)로부터 토출되는 폐기물(W)을 받아서 이를 걸러 줌으로써 수분(S)과 고형물(G)을 분리한다. 특히, 수분(S)이 분리된 고형물(G)을 한쪽 방향으로 이송함으로써 수분(S)이 분리된 고형물(G)을 손쉽게 수거할 수 있게 한다.
한편,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100)은, 메시벨트(116)로부터 낙하되는 고형물을 받아서 배출시키는 고형물 배출슈트(118)를 더 포함한다. 고형물 배출슈트(118)는 프레임(10)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메시벨트(116)로부터 이송되어 낙하하는 고형물(G)을 받아서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100)은, 메시벨트(116)의 표면에 달라붙어 있는 고형물(G)을 제거하기 위한 고형물 제거수단을 갖는다. 고형물 제거수단은 메시벨트(116)의 하부주행부(116c) 하측에 배치되는 브러시롤러(130)와, 브러시롤러(1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브러시롤러(130)는 다수의 강모(130a)를 갖추고 있으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면서 메시벨트(116)의 표면에 달라붙어 있는 고형물(G)을 털어낸다. 그리고 구동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20)와, 구동모터(120)의 동력을 구동롤러(110)에 전달하는 체인전동기구(122)와, 구동롤러(110)에 전달된 동력을 다시 브러시롤러(130)로 전달하는 제 2의 체인전동기구(132)로 구성된다. 특히, 제 2의 체인전동기구(132)는 구동롤러(110)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134)과, 브러시롤러 (130)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로킷(136)과, 구동스프로킷(134)과 종동스프로킷(136)을 감아 연결하는 체인(138)으로 구성된다.
한편, 고형물 제거수단은 메시벨트(116)에 달라붙어 있는 고형물의 제거 효율을 높여주기 위한 보조 제거수단을 더 구비한다. 보조 제거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벨트(116)를 타격하는 타격장치(140)로 구성된다. 타격장치(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메시벨트(116)에 접촉가능한 타격봉(142)과, 타격봉(142)을 메시벨트(116)로부터 간헐적으로 이격되게 회전시키는 간헐회전수단과, 메시벨트(116)로부터 이격된 타격봉(142)을 상기 메시벨트(116)에 접촉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144)으로 구성된다. 특히, 간헐회전수단은 구동롤러(110)에 일체로 설치되며 복수의 캠돌기(146a)를 갖는 캠휠(146)과, 캠휠(146)의 캠돌기(146a)와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타격봉(142)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간섭로드(148)로 구성된다.
이러한 타격장치(140)는, 캠휠(146)이 구동롤러(110)와 함께 회전되면, 캠휠(146)과 접촉되는 간섭로드(148)가 캠돌기(146a)와 간섭되어 상부로 운동한다. 그리고 간섭로드(148)가 상부로 운동함에 따라 간섭로드(148)와 일체로 된 타격봉 (142)도 회전하면서 메시벨트(116)로부터 이격된다. 그리고 캠휠(146)이 계속해서 회전되어 간섭로드(148)와 캠돌기(146a)의 간섭이 해제되면, 타격봉(142)은 스프링 (144)의 가압력에 의해 하부로 빠르게 운동하면서 메시벨트(116)를 타격하게 된다. 결국, 메시벨트(116)에 달라붙어 있는 고형물은 순간적인 타격력에 의해 메시벨트 (116)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한편, 타격봉(142)의 끝부분에는 타격시 메시벨트(116)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롤러(149)가 설치된다. 이 고무롤러(149)는 중심축(149a)에 대해 유동할 수 있도록 넓은 축구멍(149b)을 갖는다. 이는 메시벨트(116)의 타격시 타격효율을 높여주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형물의 제거 효율을 높여주기 위한 보조 제거수단으로서, 도시하지 않은 에어스프레이장치를 더 구비한다. 에어스프레이장치는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콤프레셔와, 에어컴프레셔로부터 토출되는 고압의 압축공기를 압송하는 압송관과, 압송된 압축공기를 메시벨트(116)로 분사하여 메시벨트 (116)에 달라붙어 있는 고형물을 제거하는 분사노즐로 구성된다. 에어스프레이장치의 구성과 작동은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1을 살펴보면,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100)은 메시벨트(116)의 통공(116a)을 뚫어주기 위한 메시벨트 천공수단을 더 구비한다. 메시벨트 천공수단은 상기 가이드롤러(114)의 외주면에 식재(植栽)되어 있는 천공강모(114a)로 구성된다. 천공강모(114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벨트(116)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롤러(114)에 식재됨으로써 가이드롤러(114)를 따라 주행하는 메시벨트(116)의 통공(116a)을 뚫어주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천공강모(114a)는 메시벨트 (116)의 통공(116a)을 뚫어주는 과정에서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도를 지녀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1과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100)은 메시벨트(116)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메시벨트 장력조절수단을 더 구비한다. 메시벨트 장력조절수단은 도 6에서와 같이 종동롤러(112)의 양단을 지지한 상태에서 프레임(10)의 가이드(16)를 따라 직선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더 (150)와, 도 5에서와 같이 각 슬라이더(150)로부터 뻗어 있는 나사축(152)과, 나사축(152)이 관통할 수 있도록 프레임(10)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154)와, 고정플레이트(154)를 관통한 슬라이더(150)의 나사축(152)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너트(156)로 구성된다.
이러한 메시벨트 장력조절수단은, 조절너트(156)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절너트 (156)와 나사결합된 나사축(152)을 축방향운동시키고, 나사축(152)을 축방향운동시킴으로써 나사축(152)이 고정된 슬라이더(150)를 프레임(10)에 대해 직선운동시키며, 슬라이더(150)를 프레임(10)에 대해 직선운동시킴으로써 슬라이더(150)에 고정된 종동롤러(112)를 구동롤러(110)에 대해 운동시킬 수 있다. 결국,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롤러(112)와 구동롤러(110)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종동롤러(112)와 구동롤러(110)에 감겨지는 메시벨트(116)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을 살펴보면,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100)은 메시벨트(116)에 의해 분리되는 폐기물의 수분(S), 즉 유출수(이하, "유출수" 칭함)를 받아서 수집하는 물받이(160)와, 수집된 유출수를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파이프(162)를 더 구비한다. 물받이(160)는 메시벨트(116)의 상부주행부(116b)와 하부주행부 (116c) 사이에 배치되며, 메시벨트(116)의 상부주행부(116b)로부터 낙하하는 유출수(S)를 받아내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배출파이프(162)는 물받이(160)에 수집된 유출수(S)를 하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물받이(160)에 연결되어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동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100)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출수(S)를 2차적으로 처리하는 2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200)을 구비한다.
2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200)은,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100)의 배출파이프(162)와 연결되는 도입파이프(202)를 갖는다. 도입파이프(202)는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100)로부터 배출되는 유출수(S)를 도입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입파이프(202)는 도입된 유출수(S)를 상부로 토출하기 위한 트인 토출슬롯(204)을 갖추고 있다. 토출슬롯(204)은 도입파이프(20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도입된 유출수(S)를 토출함으로써 토출된 유출수(S)가 하부로 낙하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2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200)은 역삼각 배열을 이루는 구동롤러 (210)와 종동롤러(212)와 가이드롤러(214) 및, 구동롤러(210)와 종동롤러(212)와 가이드롤러(214)에 감아 걸어지는 메시벨트(216) 그리고 구동롤러(21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구동롤러(210)와 종동롤러(212)와 가이드롤러(214)와 메시벨트(216)의 구성은 상술한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100)의 구동롤러(110)와 종동롤러(112)와 가이드롤러(114)와 메시벨트(116)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2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200)의 메시벨트(216)는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100)의 메시벨트(116)에 비해 보다 작은 크기의 통공(216a)을 갖는다. 이는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 (100)의 메시벨트(116)를 통과한 작은 입자의 고형물(G)을 걸러주기 위함이며, 이는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100)에서 걸리지지 않은 작은 입자의 고형물(G)을 걸러줌으로써 수분(S′)과 고형물(G)의 분리효율을 최대한 증대시켜주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2차 유동성 분리유닛(200)의 메시벨트(216)에 의해 분리된 유출수를,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100)에 의해 분리되는 유출수와 구별하기 위해 "2차 유출수(S′)"라 칭한다.
한편, 구동롤러(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은, 프레임(10) 하부의 구동모터(120)와, 구동모터(120)의 동력을 구동롤러(210)로 전달하는 체인전동기구 (122)로 구성된다. 특히, 체인전동기구(122)는 도 2에서와 같이 구동모터(120)의 출력축(120a)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124)과, 구동롤러(210)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로킷(210a)과, 구동스프로킷(124)과 종동스프로킷(210a)을 감아 연결하는 체인 (128)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구동수단의 구동모터(120)와 구동스프로킷(124)와 체인(128)은 상술한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100)의 것을 그대로 이용하는데, 이는 하나의 구동모터(120)로서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100)과 2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200)을 동시에 구동시키기 위함이다. 물론, 별도의 구동모터와 체인전동기구를 사용하여 2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200)의 구동롤러(210)를 구동시킴으로써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100)과 2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200)을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설명된 2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200)은, 도 1에서와 같이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100)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출수(S)를 받아서 이를 다시 걸러 줌으로써 유출수(S)속의 고형물(G)을 2차적으로 분리한다.
한편, 2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200)은 메시벨트(216)로부터 낙하하는 고형물을 받아서 배출시키는 고형물 배출슈트(218)와, 메시벨트(216)의 표면에 달라붙어 있는 고형물(G)을 제거하기 위한 고형물 제거수단을 갖는다.
고형물 제거수단은 메시벨트(216)의 하부주행부(216c) 하측에 배치되는 브러시롤러(230)와, 브러시롤러(2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브러시롤러(230)는 다수의 강모(230a)를 갖는 것으로,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면서 메시벨트(216)의 표면에 달라붙어 있는 고형물을 털어낸다. 그리고 구동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20)와, 구동모터(120)의 동력을 구동롤러(210)에 전달하는 체인전동기구(122)와, 구동롤러(210)에 전달된 동력을 다시 브러시롤러 (230)로 전달하는 제 3의 체인전동기구(232)로 구성된다. 특히, 제 3의 체인전동기구(232)는 구동롤러(210)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234)과, 브러시롤러(230)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로킷(236)과, 구동스프로킷(234)과 종동스프로킷(236)을 감아 연결하는 체인(238)으로 구성된다.
한편, 고형물 제거수단은 메시벨트(216)에 달라붙어 있는 고형물의 제거 효율을 높여주기 위한 보조 제거수단을 더 구비한다. 보조 제거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벨트(216)를 타격하는 타격장치(240)로 구성된다. 타격장치(2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봉(242)과, 타격봉(242)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간헐회전수단과, 타격봉(242)을 상기 메시벨트(216)에 접촉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244)으로 구성된다. 특히, 간헐회전수단은 복수의 캠돌기(246a)를 갖는 캠휠(246)과, 캠휠(246)의 캠돌기(246a)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타격봉 (242)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간섭로드(248)로 구성되며, 타격봉(242)의 끝부분에는 고무롤러(249)가 설치된다.
타격장치(240)는 상술한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100)의 타격창치(140)와 동일한 구성과 작동을 가지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형물의 제거 효율을 높여주기 위한 보조 제거수단으로서, 도시하지 않은 에어스프레이장치를 더 구비한다. 에어스프레이장치는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콤프레셔와, 에어컴프레셔로부터 토출되는 고압의 압축공기를 압송하는 압송관과, 압송된 압축공기를 메시벨트(216)로 분사하여 메시벨트 (216)에 달라붙어 있는 고형물을 제거하는 분사노즐로 구성된다. 에어스프레이장치의 구성과 작동은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2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200)은 메시벨트(216)의 통공(216a)을 뚫어주기 위한 메시벨트 천공수단을 더 구비한다. 메시벨트 천공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롤러(214)의 외주면에 식재(植栽)되어 있는 천공강모(214a)로 구성된다. 천공강모(214a)는 메시벨트(216)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롤러(214)에 식재됨으로써 가이드롤러(214)를 따라 주행하는 메시벨트 (216)의 통공(216a)을 뚫어주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1과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2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200)은 메시벨트(216)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메시벨트 장력조절수단을 구비한다. 메시벨트 장력조절수단은 상술한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100)의 메시벨트 장력조절수단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도 6에서와 같이 종동롤러(212)의 양단을 지지한 상태에서 프레임(10)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더(250)와, 도 5에서와 같이 각 슬라이더(250)로부터 뻗어 있는 나사축(252)과, 나사축(252)이 관통할 수 있도록 프레임(10)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254)와, 고정플레이트(254)를 관통한 슬라이더(250)의 나사축(252)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너트(256)로 구성된다.
이러한 메시벨트 장력조절수단의 작동은, 상술한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100)의 메시벨트 장력조절수단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시, 도 1을 살펴보면, 2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200)은 메시벨트(216)에 의해 분리되는 2차 유출수(S′)를 받아서 수집하는 물받이(260)와, 수집된 2차 유출수(S′)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파이프(262)를 구비한다. 물받이(260)는 메시벨트(216)의 상부주행부(216b)와 하부주행부(216c) 사이에 배치되며, 메시벨트 (216)의 상부주행부(216b)로부터 낙하하는 2차 유출수(S′)를 받아내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배출파이프(262)는 물받이(260)에 수집된 2차 유출수(S′)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물받이(260)에 연결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을 도 1을 참고로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작동시킨다. 그러면, 펌프(22)가 작동되면서 폐기물(W)을 펌핑하며, 펌핑된 폐기물(W)은 공급파이프(24)를 통해 프레임(10)의 상측으로 압송된다. 그리고 상측으로 압송된 폐기물(W)은 공급파이프(24)의 토출슬롯(24a)을 통해 토출된다.
한편, 토출된 폐기물(W)은 하부의 메시벨트(116)로 낙하하면서 수분(S)과 고형물(G)로 각각 분리된다. 즉, 폐기물(W)속의 수분(S)은 메시벨트(116)의 통공 (116a)을 통과하여 하부로 낙하하며, 폐기물(W)속의 고형물(G)은 메시벨트(116)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메시벨트(116)에 걸러진 고형물(G)은 메시벨트(116)가 주행함에 따라 한쪽 방향으로 이송되며, 한쪽 방향으로 이송된 고형물(G)은 메시벨트(116)의 말단에 이르게 되면 하부의 배출슈트(118)로 낙하하면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폐기물(W)은 수분과 고형물로 각각 1차적으로 분리되고, 1차적으로 분리된 고형물은 외부로 배출되면서 처리된다.
한편, 메시벨트(116)의 통공(116a)을 통과한 유출수(S)는 하부로 낙하하면서 물받이(160)에 수집되며, 수집된 유출수(S)는 배출파이프(162)를 따라 이송되면서 2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200)의 도입파이프(202)로 도입된다.
그리고 도입파이프(202)로 도입된 유출수(S)는 토출슬롯(204)을 통해 토출되며, 토출된 유출수(S)는 하부로 낙하한다. 그리고 하부로 낙하된 유출수(S)는 메시벨트(216)를 통과하면서 수분(S′)과 고형물(G)로 각각 분리된다. 즉, 유출수(S)속의 수분은 메시벨트(216)의 통공(216a)을 통과하여 하부로 낙하하며, 유출수(S)속의 고형물(G)은 메시벨트(216)에 걸리게 된다. 이때, 메시벨트(216)는 매우 작은 크기의 통공(216a)을 가지므로 매우 작은 입자의 고형물(G)까지 여과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메시벨트(216)에 걸러진 고형물(G)은 메시벨트(216)가 주행함에 따라 한쪽 방향으로 이송되며, 한쪽 방향으로 이송된 고형물(G)은 메시벨트(216)의 말단에 이르게 되면 하부의 배출슈트(218)로 낙하하면서 배출된다. 그리고 메시벨트 (216)의 통공(216a)을 통과한 2차 유출수(S′)는 하부로 낙하하면서 물받이(260)에 수집되며, 수집된 유출수(S′)는 배출파이프(262)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폐기물(W)은 수분과 고형물로 각각 2차적으로 분리되고, 2차적으로 분리된 고형물은 외부로 배출되면서 처리된다.
한편,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100)과 2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200)이 작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1차 및 2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100, 200)의 각 브러시롤러(130, 230)는 각 메시벨트(116, 216)에 달라붙어 있는 고형물(G)을 한쪽 방향으로 쓸어내림으로써 상기 고형물(G)을 제거한다. 그리고 각 타격장치(140, 240)는 각 메시벨트(116, 216)를 타격하여 진동충격을 줌으로써 메시벨트(116, 216)에 달라붙어 있는 고형물(G)을 털어낸다. 그리고 가이드롤러(114, 214)의 천공강모(114a, 214a)는 메시벨트(116, 216)의 통공(116a, 216a)을 뚫어줌으로써 상기 통공(116a, 216a)을 막고 있는 고형물(G)을 제거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을 2단으로 구성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을 3단, 4단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동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유동성 폐기물을 도입한 후 도입된 유동성 폐기물을 1차와 2차에 걸쳐 수분과 고형물로 분리함으로써, 유동성 폐기물 속에 포함된 고형물의 분리효율을 최대한 증대시켜 준다. 특히, 큰입자의 고형물과 작은 입자의 고형물을 순차적으로 걸러 줌으로써 유동성 폐기물의 선별적인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브러시롤러와 타격장치와 천공강모로 메시벨트에 붙어 있는 고형물을 쓸어내고 털어내며 뚫어줌으로써 메시벨트에 붙어있는 고형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메시벨트 타격장치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메시벨트 천공수단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메시벨트 장력조절수단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프레임 20: 유동성 폐기물 공급장치
22: 펌프 24: 공급파이프
24a: 토출슬롯 100: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
200: 2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 110, 210: 구동롤러
112, 212: 종동롤러 114, 214: 가이드롤러
114a, 214a: 천공강모 116, 216: 메시벨트
120: 구동모터 130, 230: 브러시롤러
140, 240: 타격장치 142, 242: 타격봉
144, 244: 스프링 146, 246: 캠휠
146a, 246a: 캠돌기 148, 248: 간섭로드
160, 260: 물받이 162, 262: 배출파이프
202: 도입파이프 204: 토출슬롯

Claims (9)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유동성 폐기물을 펌핑하여 공급하는 펌프를 구비하는 유동성 폐기물 공급장치와;
    상기 유동성 폐기물 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된 유동성 폐기물을 걸러서 수분과 고형물로 분리해내는 메시벨트를 구비하는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과;
    상기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에 의해 분리된 수분을 2차적으로 처리하여 수분과 고형물로 재분리해내는 메시벨트를 구비하는 2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을 포함하는 유동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폐기물 공급장치는, 상기 펌프에서 펌핑된 유동성 폐기물을 상기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의 메시벨트로 토출할 수 있는 공급파이프를 더 구비하며, 상기 공급파이프는 상부로 트인 토출슬롯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 각각은, 상기 메시벨트를 상기 프레임에 주행가능하도록 지지시키는 구동롤러, 종동롤러, 가이드롤러 및, 상기 메시벨트가 주행되도록 상기 구동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의 메시벨트는 상기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의 메시벨트보다 작은 크기의 통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 각각은, 상기 메시벨트에 부착되어 있는 고형물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거수단은 상기 메시벨트에 부착되어 있는 고형물을 털어낼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러시롤러와, 상기 브러시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 각각은, 상기 메시벨트에 진동충격을 가하여 고형물을 털어낼 수 있도록 상기 메시벨트를 타격하는 타격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타격장치는 상기 메시벨트에 접촉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타격봉과, 상기 타격봉을 메시벨트로부터 간헐적으로 이격되게 회전시키는 간헐회전수단과, 상기 메시벨트로부터 이격된 상기 타격봉을 상기 메시벨트에 접촉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간헐회전수단은 상기 구동롤러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복수의 캠돌기를 갖는 캠휠과, 상기 캠휠의 캠돌기와 간섭되어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타격봉으로부터 연장되는 간섭로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7.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 각각은, 상기 메시벨트의 통공을 뚫어주기 위한 천공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천공수단은 상기 가이드롤러의 외주면에 식재되어 있는 천공강모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 각각은, 상기 메시벨트로부터 여과된 수분을 받아 수집하는 물받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의 물받이에 수집된 수분을 이송하기 위한 배출파이프와, 상기 배출파이프로 배출된 수분을 상기 2차 유동성 폐기물 분리유닛으로 도입시킬 수 있도록 상부로 트인 토출슬롯을 갖는 도입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KR10-2003-0027463A 2003-04-30 2003-04-30 유동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KR100523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463A KR100523012B1 (ko) 2003-04-30 2003-04-30 유동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463A KR100523012B1 (ko) 2003-04-30 2003-04-30 유동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549A KR20040093549A (ko) 2004-11-06
KR100523012B1 true KR100523012B1 (ko) 2005-10-20

Family

ID=37373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463A KR100523012B1 (ko) 2003-04-30 2003-04-30 유동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30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516B1 (ko) * 2011-12-29 2013-06-17 서영관 감속용 분사기를 구비한 활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549A (ko) 2004-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7985B1 (ko) 오폐수 및 하수 여과장치
US5268100A (en) Manure separator
KR102004507B1 (ko) 오폐수 협잡물 종합처리기의 스크린탈수장치
US20030230520A1 (en) Solid and liquid separation device
KR100543419B1 (ko) 축산분뇨용 고액분리장치
RU2365400C2 (ru) Способ и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удаления плавучих загрязнений
KR100523012B1 (ko) 유동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US6976592B1 (en) Liquid/solids waste separator
KR100902816B1 (ko) 오폐수 처리용 자동 바 스크린 장치
KR200322489Y1 (ko) 유동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20050096739A (ko) 폐수의 슬러지 분리장치
KR100897359B1 (ko) 슬러지용 탈수장치
CN110526461A (zh) 基于振动去污泥技术的工业污水处理***及其处理方法
KR200323529Y1 (ko) 찌꺼기 분리 처리장치
KR0185281B1 (ko) 축산폐수의 찌꺼기 걸름장치
KR200390469Y1 (ko) 슬러지처리용 스크레이퍼(30)를 갖춘 쓰레기분리수조
KR100783024B1 (ko) 원통형의 메쉬스크린과 헬리컬바를 이용한 고액분리장치
KR100811921B1 (ko) 수세식 도장 부스
KR102036156B1 (ko) 폐기물처리시설용 악취제거장치
KR100586490B1 (ko) 축산분뇨의 고액분리장치
KR200349379Y1 (ko) 하수내 협잡물 제거를 위한 스크린 장치
JP2008272630A (ja) ベルト式濃縮機及びその運転方法
JP3623785B2 (ja) し渣回収装置
KR200367385Y1 (ko) 스크린 드럼을 구비한 협잡물 제거장치
KR100544977B1 (ko) 유동성 폐기물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